KR20200070805A - 보안을 지원하는 컴퓨팅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보안을 지원하는 컴퓨팅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0805A
KR20200070805A KR1020180158338A KR20180158338A KR20200070805A KR 20200070805 A KR20200070805 A KR 20200070805A KR 1020180158338 A KR1020180158338 A KR 1020180158338A KR 20180158338 A KR20180158338 A KR 20180158338A KR 20200070805 A KR20200070805 A KR 20200070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store
user
security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8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7022B1 (ko
Inventor
이경돈
최택호
박정애
Original Assignee
신한카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한카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한카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8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7022B1/ko
Publication of KR20200070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0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7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7Regula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3Solvency checks
    • G06Q20/4033Local solvency check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보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모바일 단말은, 지정된 매장 내에 배치된 복수의 전자가격표 태그 장치들 중 대상 태그 장치 및 보안 장치에 대해 미리 지정된 방식에 따라 인터랙션을 수행하는 리더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모바일 단말 및 매장의 보안 단말 간의 인터랙션을 검출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 및 상기 보안 단말 간의 인터랙션이 검출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한 상기 사용자 계정의 결제 한도를 조회하며, 상기 결제 한도의 조회 결과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에 대해 상기 매장으로의 입장을 허용할 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매장으로의 입장이 허용된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보안 해제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안을 지원하는 컴퓨팅 장치 및 방법{COMPU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ITY}
이하, 보안을 지원하는 컴퓨팅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대형마트나 편의점 등과 같이 상품을 진열하고 판매하는 상점은 고객들이 진열된 상품을 둘러보고, 장바구니에 담는 쇼핑 공간(shopping area)과 캐셔(cashier)가 지정된 상품을 확인하고 계산을 진행하는 계산대 공간을 포함하고 있다. 야간과 같이 고객이 적은 시간대에서도 상점을 운영하려면, 사업자는 인건비를 부담해야 한다.
이러한 상점을 무인으로 운영하기 위해 상품과 사용자 단말과의 인터랙션만으로 어플리케이션 상에 제공되는 장바구니 목록이 업데이트되고, 간편결제 기술을 통해 기다림 없이 해당 장바구니 목록에 대해 결제를 수행하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63897호(공개일자 2007년 6월 20일)는 상품코드를 포함하는 구매 상품의 샘플을 진행하는 샘플 샵과 상품코드를 인식하여 구매를 원하는 상품의 쇼핑 리스트를 생성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샘플 샵 쇼핑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제공 방법은,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모바일 단말 및 매장의 보안 단말 간의 인터랙션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 및 상기 보안 단말 간의 인터랙션이 검출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한 상기 사용자 계정의 결제 한도를 조회하는 단계; 상기 결제 한도의 조회 결과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에 대해 상기 매장으로의 입장을 허용할 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매장으로의 입장이 허용된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보안 해제 메시지 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보안 제공 방법은 상기 매장에 대한 입장이 허용된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보안 단말과 연결된 게이트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계정의 결제 한도를 조회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이 로그인한 사용자 계정의 잔여 결제 한도에 대한 요청을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계정의 상기 잔여 결제 한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로 상기 잔여 결제 한도에 관한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에 대해 상기 매장으로의 입장을 허용할 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계정의 잔여 결제 한도가 임계 한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해 상기 매장으로의 입장을 허용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계정의 잔여 결제 한도가 임계 한도 이하인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해 상기 매장으로의 입장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에 대해 상기 매장으로의 입장을 허용할 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카드 정보에 대응하여 임시 토큰을 발행하는 단계; 상기 보안 단말을 경유하여 상기 발행된 임시 토큰에 대한 검증을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임시 토큰에 대한 검증 결과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에 대해 상기 매장으로의 입장을 허용할 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카드 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단계; 및 상기 카드 정보가 유효한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매장으로의 입장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보안 제공 방법은 상기 매장의 서비스 공간 내에 배치된 복수의 전자가격표(ESL, electronic shelf label) 태그 장치들(tag devices) 중 대상 태그 장치(target tag device) 및 상기 모바일 단말 간의 인터랙션이 검출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대상 태그 장치에 대응하는 대상 아이템을 상기 사용자 계정의 구매 목록에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아이템이 상기 구매 목록에 추가될 때, 상기 구매 목록의 합산 가격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합산 가격 및 상기 사용자 계정의 잔여 결제 한도에 기초하여, 예상 잔여 한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예상 잔여 한도를 출력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아이템이 상기 구매 목록에 추가되면서 상기 예상 잔여 한도가 부족한 경우 에 응답하여, 한도 증액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모바일 단말 및 매장의 보안 단말 간의 인터랙션을 검출하는 명령어 세트; 상기 모바일 단말 및 상기 보안 단말 간의 인터랙션이 검출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한 상기 사용자 계정의 결제 한도를 조회하는 명령어 세트; 상기 결제 한도의 조회 결과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에 대해 상기 매장으로의 입장을 허용할 지 여부를 결정하는 명령어 세트; 및 상기 매장으로의 입장이 허용된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보안 해제 메시지를 출력하는 명령어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모바일 단말은, 지정된 매장 내에 배치된 복수의 전자가격표 태그 장치들 중 대상 태그 장치 및 보안 장치에 대해 미리 지정된 방식에 따라 인터랙션을 수행하는 리더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모바일 단말 및 매장의 보안 단말 간의 인터랙션을 검출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 및 상기 보안 단말 간의 인터랙션이 검출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한 상기 사용자 계정의 결제 한도를 조회하며, 상기 결제 한도의 조회 결과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에 대해 상기 매장으로의 입장을 허용할 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매장으로의 입장이 허용된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보안 해제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보안 제공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한도에 기초하여 인터랙션을 통해 제공되는 보안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 장치와의 인터랙션에 따른 구매 목록 관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에 따른 결제 한도의 변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모바일 단말에 의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APP: Application)에 기반하여 매장 내의 전자가격표(ESL, electronic shelf label) 태그 장치(이하, ESL 태그 장치)와 인터랙션을 수행하고 구매 목록을 업데이트하며, 자동 결제를 실행하는 결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매장은 주로 편의점 및 마트 등과 같이 상품을 진열하고 판매하는 물리적인 공간을 포함하는 장소를 나타낼 수 있으나,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매장은 서비스를 판매 및 제공하는 장소를 나타낼 수도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보안 제공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단계(110)에서 모바일 단말은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모바일 단말 및 매장의 보안 단말 간의 인터랙션을 검출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 및 보안 단말 간의 인터랙션은 아래 도 2 및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단계(120)에서 모바일 단말은 모바일 단말 및 보안 단말 간의 인터랙션이 검출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한 사용자 계정의 결제 한도를 조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은, 카드사 서버로 사용자 계정의 결제 한도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130)에서 모바일 단말은 결제 한도의 조회 결과에 따라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에 대해 매장으로의 입장을 허용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계정의 잔여 결제 한도가 임계 한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응답하여, 사용자에 대한 매장으로의 입장이 허용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로부터 결제 한도의 조회 요청을 수신한 서버가 입장 허용 여부를 결정하여 보안 단말에 통지할 수 있으나,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서버로부터 결제 한도의 조회 결과를 수신한 모바일 단말이 자체적으로 사용자의 입장을 허용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단계(140)에서 모바일 단말은 매장으로의 입장이 허용된 경우에 응답하여, 모바일 단말을 통해 사용자에게 보안 해제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보안 해제 메시지를 시각화할 수 있다. 보안 해제 메시지의 시각화는 하기 도 3에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한도에 기초하여 인터랙션을 통해 제공되는 보안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2는 카드사에 의해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매장에 입장하는 상황을 도시한다.
우선, 모바일 단말(210)은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카드사에 의해 배포된 어플리케이션이 모바일 단말(210)에 미리 설치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카드사 서버에 의해 직접 배포될 수 있으나,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3 사의 서버에 의해 배포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 조작(예를 들어, 터치 조작, 버튼 조작, 및 음성 조작 등)에 따른 입력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210)은 터치 디스플레이에서 객체(object)가 시각화된 그래픽 표현(graphic representation)을 터치하는 조작에 따라, 해당 객체에 대응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210)은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210)은 사용자(219)로부터 임의의 사용자 계정에 대한 계정 명칭(예를 들어, ID) 및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계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210)은 사용자(219)로부터 수신된 계정 정보를 서버로 송신함으로써, 사용자 계정에 대한 로그인을 시도할 수 있다. 서버는 계정 정보가 기 등록된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 응답하여, 해당 모바일 단말(210)의 해당 사용자 계정에 대한 로그인을 허용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210)은 사용자 계정에 대한 로그인을 유지할 수 있다.
이어서 모바일 단말(210)은 보안 단말(220)과의 인터랙션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210)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보안 단말(220)과의 인터랙션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인터랙션 동작은, 모바일 단말(210)이 전자가격표 태그 장치 또는 보안 단말(220)과 지정된 통신 방식으로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나타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지정된 통신 방식은 NFC 탭핑(Tapping), 블루투스 통신, 지그비 통신과 같은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210)이 보안 단말(220)에 대해 임계 거리 미만으로 접근한 경우에 응답하여, 모바일 단말(210)은 보안 단말(220)과의 통신을 수립할 수 있고, 인터랙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210)은 보안 단말(220)과의 인터랙션이 검출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사용자 계정의 결제 한도를 조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계정에 복수의 카드들이 등록된 경우, 모바일 단말(210)은 복수의 카드들의 잔여 한도들의 총합을 잔여 결제 한도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모바일 단말(210)은 사용자 계정에 등록된 주 거래 카드의 잔여 한도를 잔여 결제 한도로 결정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으로 로그인한 사용자 계정의 결제 한도를 조회한 결과가 미리 정한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 응답하여, 사용자(219)의 매장(290)에 대한 입장이 허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조회된 결제 한도가 특정 값을 상회하는 경우, 보안 단말(220)로 잠금 상태를 해제하라는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안 단말(220) 및 서버는 서로 연결이 수립된 상태일 수 있다. 다만,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모바일 단말(210)이 서버로부터 보안 해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보안 해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면서 보안 단말(220)로도 송신할 수 있다. 보안 단말(220)은 보안 해제 메시지에 응답하여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210)은 매장(290)에 대한 입장이 허용된 경우에 응답하여, 보안 단말(220)과 연결된 게이트(229)의 잠금을 직간접적으로 해제할 수 있다.
도 3은 잔여 결제 한도에 기초한 인터랙션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모바일 단말(310)은, 보안 단말(320)과의 인터랙션(390)이 검출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모바일 단말(310)이 로그인한 사용자 계정의 잔여 결제 한도에 대한 요청을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310)은 잔여 결제 한도에 대한 요청을 직접 서버로 송신할 수도 있으나,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보안 단말(320)을 경유하여 송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310)은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카드 정보에 대응하여 임시 토큰을 발행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310)은 보안 단말(320)을 경유하여 발행된 임시 토큰에 대한 검증을 서버에 요청할 수 있다. 서버는 모바일 단말(310)로부터 수신된 요청에 응답하여, 임시 토큰에 대응하는 잔여 결제 한도를 조회할 수 있다. 서버는 사용자 계정의 잔여 결제 한도(예를 들어, 도 3에서는 8,000원)가 임계 한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응답하여, 사용자에 대해 매장으로의 입장을 허용할 수 있다. 서버는 사용자 계정의 잔여 결제 한도가 임계 한도 이하인 경우에 응답하여, 사용자에 대해 매장으로의 입장을 제한할 수 있다. 다만,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모바일 단말(310)이 잔여 결제 한도를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잔여 결제 한도를 임계 한도와 직접 비교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해 매장으로의 입장을 허용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사용자 계정의 잔여 결제 한도가 임계 한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응답하여, 모바일 단말(310)은 사용자에 대해 매장으로의 입장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임시 토큰 자체가 유효한 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의 매장에 대한 입장이 허용될 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임시 토큰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서버는 임시 토큰이 발행 규칙을 충족하는 경우, 임시 토큰이 유효한 것으로 검증할 수 있다. 서버는 임시 토큰에 대한 검증 결과를 모바일 단말(310) 및 보안 단말(320) 중 적어도 하나로 전달할 수 있다. 서버는 임시 토큰에 대한 검증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매장 입장을 허용할 지 여부를 보안 단말(320)에 직접 지시할 수 있으나,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모바일 단말(310)은 서버로부터 임시 토큰에 대한 검증 결과를 수신할 수 있고, 임시 토큰에 대한 검증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매장 입장을 허용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310)은 사용자의 매장 입장을 허용할 지 여부를 보안 단말(320)에 통지할 수도 있다. 이 때, 보안 단말(320)은 모바일 단말(310) 또는 서버로부터 보안 해제 명령을 통지 받은 경우에 응답하여, 해당 보안 단말(320)에 연결된 게이트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모바일 단말(310)은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카드 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310)은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계정에 등록된 카드 정보의 유효성 검증을 서버로 요청할 수 있다. 서버는 카드 정보의 카드 번호, 유효 기간, 카드사에 의해 블랙 리스트로 등록되었는지 여부 및 휴면 상태 등을 검증함으로써, 등록된 카드 정보가 유효한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서버는 카드 정보를 검증한 결과를 모바일 단말(31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카드 정보가 유효한 경우에 응답하여, 사용자에게 매장으로의 입장을 허용할 수 있다. 다만,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서버로부터 카드 정보를 검증한 결과를 수신한 모바일 단말(310)이, 카드 정보가 유효한 경우에 응답하여 보안 단말(320)로 매장 입장을 요청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보안 단말(320)은 모바일 단말(310)로부터 수신된 매장 입장 요청에 응답하여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도 있다.
이 때, 모바일 단말(310)은 잔여 결제 한도를 조회한 결과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임의의 사용자 계정에 대해 총 한도는 10,000원이고 사용금액은 2,000원이므로, 잔여 결제 한도는 8,000원일 수 있다. 임계 한도가 1,000으로 설정된 경우, 잔여 결제 한도가 임계 한도를 초과하므로, 모바일 단말(310), 서버, 및 보안 단말(320)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에 대해 매장으로의 입장을 허용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310)은 서버로부터 사용자 계정의 잔여 결제 한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310)은 모바일 단말(310)로 잔여 결제 한도에 관한 메시지(311)를 출력할 수 있다. 잔여 결제 한도에 관한 메시지(311)는 잔여 한도에 대응하는 금액을 지시하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모바일 단말(310)은 사용자의 매장 입장이 허용된 경우에 응답하여, 보안 해제 메시지(312)를 출력할 수 있다. 보안 해제 메시지(312)는 보안 해제를 지시하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310)은 도 2 및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보안 단말(320) 및 모바일 단말(310) 간의 인터랙션 검출 및 사용자 계정의 잔여 결제 한도를 조회한 결과에 따라 게이트의 잠금 상태를 변경함으로써, 구매 능력 및 구매 의사가 있는 고객에게만 매장의 입장을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매장 내에 점원 또는 점주가 없는 상황에서도 고객의 입장을 허용함으로써 안전한 무인 보안을 제공할 수 있다. 매장의 소유자는 무인으로 매장을 운영할 수 있으므로,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특히, 매장의 소유자는 일부 시간(예를 들어, 낮 시간)에는 매장에 점원을 두어 유인 상태로 점포를 운영하고, 다른 시간(예를 들어, 고객이 적은 밤 시간)에는 상술한 보안 단말을 통해 출입을 관리함으로써 무인 상태로 점포를 운영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제공 방법은 24시간 무인 점포 운영 또는 일부 시간 동안 무인 점포 운영을 가능하게 하므로, 최근 최저 임금 상승에 따른 사업자의 인건비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참고로, 도 2 및 도 3에서는 무인 상태인 매장으로의 입장을 허용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아래에서는 무인 상태의 매장에서 고객에게 상품을 판매하면서 자동 결제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 장치와의 인터랙션에 따른 구매 목록 관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420)은 매장의 서비스 공간 내에 배치된 복수의 ESL 태그 장치들 중 대상 태그 장치(target tag device)(412) 및 모바일 단말(420) 간의 인터랙션이 검출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대상 태그 장치(412)에 대응하는 대상 아이템을 사용자 계정의 구매 목록(430)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서비스 공간은 아이템이 진열될 수 있는 물리적 공간을 나타낼 수 있다. 대상 태그 장치(412)는 매장 내에 배치된 복수의 ESL 태그 장치들(411, 412, 413) 중 모바일 단말(420)과 인터랙션을 수행하는 ESL 태그 장치를 나타낼 수 있다. 대상 아이템은 대상 태그 장치(412)와 연관된 아이템으로서, 예를 들어, 판매 상품일 수 있다. 다만,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대상 아이템은 고객에게 제공될 수 있는 서비스를 지시할 수도 있다.
도 4을 참조하면, 지정된 매장 내에 배치된 복수의 ESL 태그 장치들(411, 412, 413)와 인터랙션을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420)이 도시된다. 본 실시예 상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사과, 수박, 토마토와 같은 아이템들이 진열된 과일 코너에 배치된 ESL 태그 장치들(411, 412, 413)이 도시되나 이는 다른 실시예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모바일 단말(420)과 인터랙션되는 ESL 태그 장치는 지정된 매장 내의 서로 다른 층, 서로 다른 섹션, 서로 다른 코너에 배치되어 각각 서로 다른 상품의 가격을 나타내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를테면,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420)을 통해 소고기에 연관되는 ESL 태그 장치, 운동화에 연관되는 ESL 태그 장치, 맥주에 연관되는 ESL 태그 장치 각각과 인터랙션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의 모바일 단말(420)은 대상 아이템(예를 들어, 수박)에 상응하는 대상 태그 장치(412)와 인터랙션을 수행하고, 대상 태그 장치(412)에 대응하는 수박을 사용자 계정의 구매 목록(430)에 추가함으로써 구매 목록(430)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ESL 태그 장치와의 간단한 인터랙션 만으로 해당 아이템을 모바일 장바구니로 옮겨 담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420)은 인터랙션을 통해 지정된 통신 방식에 따라 대상 태그 장치(412)로부터 대상 아이템(예를 들어, 수박)에 대한 상품명, 가격 및 품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420)은 카드사에 의해 배포된 어플리케이션 상의 구매 목록에 대상 아이템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모바일 단말(420)은 각각의 ESL 태그 장치들(411, 412, 413)이 포함하는 상품 코드를 인식하는 방식으로 구매 목록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그러나 한정되지 않게 상품 코드는 QR 코드(Quick Response code) 또는 바코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에 따른 결제 한도의 변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모바일 단말(500)은 대상 아이템이 구매 목록(520)에 추가될 때, 구매 목록(520)의 합산 가격(522)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500)은 매장에 입장시 초기 잔여 한도(510)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초기 잔여 한도(510)는 8,000원일 수 있다. 구매 목록(520)에 m개의 아이템들(521)이 포함된 것을 가정할 수 있다. 여기서, m은 1이상의 정수일 수 있다. 구매 목록(520)에 포함된 m개의 아이템들(521)의 합산 가격(522)은 도 5에서 8,000원으로 가정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500)은 합산 가격(522) 및 사용자 계정의 잔여 결제 한도(510)에 기초하여, 예상 잔여 한도(530)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500)은 초기의 잔여 결제 한도(510)로부터 합산 가격(522)을 차감함으로써, 예상 잔여 한도(530)를 산출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500)은 예상 잔여 한도(530)를 출력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500)은 대상 아이템이 구매 목록(520)에 추가되면서 예상 잔여 한도(530)가 부족한 경우에 응답하여, 한도 증액을 요청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500)은 대상 아이템의 추가에 따라 예상 잔여 한도(530)가 음수인 경우(예를 들어, 0보다 작아지는 경우)에 응답하여, 예상 잔여 한도(530)가 부족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500)은 구매 목록(520)의 합산 가격(522)이 초기 잔여 결제 한도(510)를 초과하는 경우에 응답하여, 예상 잔여 한도(530)가 부족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500)은 예상 잔여 한도(530)가 부족한 경우, 한도 증액을 요청할 지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540)를 출력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500)은 사용자로부터 한도 증액 요청에 관한 입력을 수신한 경우에 응답하여, 한도 증액 요청을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500)은 소액 한도(예를 들어, 10만원 내외)의 증액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500)은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구매 목록(520)을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500)은 사용자로부터 결제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결제 입력에 응답하여 구매 목록(520)을 확정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500)은 확정된 구매 목록(520)에 대하여 합산된 금액에 대해 서버(예를 들어, 카드사 서버)로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결제 입력은 예를 들어, 매장의 서비스 공간 내로 진입한 모바일 단말 및 보안 단말 간의 인터랙션일 수 있다. 사용자가 매장에 진입한 이후 보안 단말은 게이트를 다시 잠금 상태로 변경할 수 있는데, 모바일 단말(500)의 사용자는 게이트를 통해 매장을 나가기 위해 보안 단말에 대해 인터랙션(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500)을 보안 단말에 탭핑하는 행위)을 수행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500)은 매장으로부터 퇴장하려는 사용자의 입력(예를 들어, 퇴장 행위)에 의한 보안 단말과의 인터랙션이 검출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인터랙션이 발생하는 시점에서 구매 목록(520)을 확정하고, 구매 목록(520)의 합산 금액에 대한 결제를 서버에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명시적으로 결제 버튼을 선택하지 않더라도, 상술한 바와 같이 매장을 나가기 위해 보안 단말에 모바일 단말(500)을 탭핑하는 행위 만으로도 결제를 완료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제공 방법은 보안 단말을 통해 고객의 입장을 허용하면서, 태그 장치와 모바일 단말(500) 간의 인터랙션에 의해 자동으로 구매 목록(520)을 생성하고, 고객이 매장을 나갈 때 이렇게 생성된 구매 목록(520)에 대해 자동으로 결제를 수행함으로써, 완전 무인 상태에서도 고객에게 상품을 판매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업자의 인건비 부담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보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모바일 단말(600)은, 리더기(610), 프로세서(620), 및 통신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리더기(610)는 지정된 매장 내에 배치된 복수의 전자가격표 태그 장치들 중 대상 태그 장치 및 보안 단말에 대해 미리 지정된 방식에 따라 인터랙션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620)는,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모바일 단말(600) 및 매장의 보안 단말 간의 인터랙션을 검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620)는 모바일 단말(600) 및 보안 단말 간의 인터랙션이 검출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한 사용자 계정의 결제 한도를 조회할 수 있다. 프로세서(620)는 결제 한도의 조회 결과에 따라 모바일 단말(600)의 사용자에 대해 매장으로의 입장을 허용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620)는 매장으로의 입장이 허용된 경우에 응답하여, 모바일 단말(600)을 통해 사용자에게 보안 해제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620)의 동작을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프로세서(620)는 도 1 내지 도 5에서 상술한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630)는 서버와 통신을 수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630)는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계정 정보, 한도 조회 요청, 및 카드 정보 검증 결과 등을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630)는 보안 단말과의 통신을 수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630)는 프로세서(620)에 의해 사용자의 매장에 대한 입장이 허용된 경우, 보안 해제 메시지를 보안 단말로 전달할 수도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보안 제공 시스템(700)은 모바일 단말(710), 보안 단말(720), 및 서버(73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710)은 보안 단말(720)과의 인터랙션이 검출되는 경우, 서버(730)로 사용자 계정의 잔여 결제 한도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6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서버(730)는 모바일 단말(710)로부터의 요청을 처리하여 사용자에 대해 매장으로의 입장을 허용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서버(730)는 보안 단말(720)로 보안 해제 명령을 전달함으로써, 보안 단말(720)과 연결된 게이트를 열 수도 있다.
보안 단말(720)은 모바일 단말(710) 또는 서버(730)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잠금 상태를 해제하거나,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안 단말(720)은 매장의 서비스 공간에서 출입구에 장착될 수 있다. 보안 단말(720)은 출입구에 배치된 게이트와 연결될 수 있고, 게이트의 잠금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Claims (11)

  1.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모바일 단말 및 매장의 보안 단말 간의 인터랙션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 및 상기 보안 단말 간의 인터랙션이 검출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한 상기 사용자 계정의 결제 한도를 조회하는 단계;
    상기 결제 한도의 조회 결과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에 대해 상기 매장으로의 입장을 허용할 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매장으로의 입장이 허용된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보안 해제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안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에 대한 입장이 허용된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보안 단말과 연결된 게이트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보안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계정의 결제 한도를 조회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이 로그인한 사용자 계정의 잔여 결제 한도에 대한 요청을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계정의 상기 잔여 결제 한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로 상기 잔여 결제 한도에 관한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안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대해 상기 매장으로의 입장을 허용할 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계정의 잔여 결제 한도가 임계 한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해 상기 매장으로의 입장을 허용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계정의 잔여 결제 한도가 임계 한도 이하인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해 상기 매장으로의 입장을 제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안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대해 상기 매장으로의 입장을 허용할 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카드 정보에 대응하여 임시 토큰을 발행하는 단계;
    상기 보안 단말을 경유하여 상기 발행된 임시 토큰에 대한 검증을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임시 토큰에 대한 검증 결과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안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대해 상기 매장으로의 입장을 허용할 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카드 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단계; 및
    상기 카드 정보가 유효한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매장으로의 입장을 허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안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의 서비스 공간 내에 배치된 복수의 전자가격표(ESL, electronic shelf label) 태그 장치들(tag devices) 중 대상 태그 장치(target tag device) 및 상기 모바일 단말 간의 인터랙션이 검출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대상 태그 장치에 대응하는 대상 아이템을 상기 사용자 계정의 구매 목록에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안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아이템이 상기 구매 목록에 추가될 때, 상기 구매 목록의 합산 가격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합산 가격 및 상기 사용자 계정의 잔여 결제 한도에 기초하여, 예상 잔여 한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예상 잔여 한도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안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아이템이 상기 구매 목록에 추가되면서 상기 예상 잔여 한도가 부족한 경우에 응답하여, 한도 증액을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안 제공 방법.
  10. 보안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모바일 단말 및 매장의 보안 단말 간의 인터랙션을 검출하는 명령어 세트;
    상기 모바일 단말 및 상기 보안 단말 간의 인터랙션이 검출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한 상기 사용자 계정의 결제 한도를 조회하는 명령어 세트;
    상기 결제 한도의 조회 결과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에 대해 상기 매장으로의 입장을 허용할 지 여부를 결정하는 명령어 세트; 및
    상기 매장으로의 입장이 허용된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보안 해제 메시지를 출력하는 명령어 세트
    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1. 보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모바일 단말에 있어서,
    지정된 매장 내에 배치된 복수의 전자가격표 태그 장치들 중 대상 태그 장치 및 보안 장치에 대해 미리 지정된 방식에 따라 인터랙션을 수행하는 리더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모바일 단말 및 매장의 보안 단말 간의 인터랙션을 검출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 및 상기 보안 단말 간의 인터랙션이 검출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한 상기 사용자 계정의 결제 한도를 조회하며, 상기 결제 한도의 조회 결과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에 대해 상기 매장으로의 입장을 허용할 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매장으로의 입장이 허용된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보안 해제 메시지를 출력하는,
    모바일 단말.
KR1020180158338A 2018-12-10 2018-12-10 보안을 지원하는 컴퓨팅 장치 및 방법 KR102227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338A KR102227022B1 (ko) 2018-12-10 2018-12-10 보안을 지원하는 컴퓨팅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338A KR102227022B1 (ko) 2018-12-10 2018-12-10 보안을 지원하는 컴퓨팅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0805A true KR20200070805A (ko) 2020-06-18
KR102227022B1 KR102227022B1 (ko) 2021-03-12

Family

ID=71143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338A KR102227022B1 (ko) 2018-12-10 2018-12-10 보안을 지원하는 컴퓨팅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70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9855A1 (ja) * 2021-06-24 2022-12-29 日本電気株式会社 販売支援システム、方法、及び、記録媒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6649A (ja) * 2002-03-29 2003-10-17 Railway Technical Res Inst 販売システム
KR20070063897A (ko) 2005-12-15 2007-06-20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샘플 샵 쇼핑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05098A (ko) * 2012-03-16 2013-09-25 이정록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인증 시스템
KR20150142532A (ko) * 2014-06-12 2015-12-22 서상욱 사용자 자동 인증 전자지갑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6649A (ja) * 2002-03-29 2003-10-17 Railway Technical Res Inst 販売システム
KR20070063897A (ko) 2005-12-15 2007-06-20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샘플 샵 쇼핑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05098A (ko) * 2012-03-16 2013-09-25 이정록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인증 시스템
KR20150142532A (ko) * 2014-06-12 2015-12-22 서상욱 사용자 자동 인증 전자지갑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9855A1 (ja) * 2021-06-24 2022-12-29 日本電気株式会社 販売支援システム、方法、及び、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7022B1 (ko) 2021-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1183A (ko) 무인 상점 관리 방법 및 시스템
WO2016109754A1 (en) System and method for beacon based navigation to offer based transactions and beacon based digital transactions with multiple layer authentication
CN110223464B (zh) 一种自助购物结算方法及系统
US20230376931A1 (en) Payment device and process
US20220366423A1 (en) Store management system and store management method
JP2020115261A (ja) 商品登録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2227022B1 (ko) 보안을 지원하는 컴퓨팅 장치 및 방법
JP2019053735A (ja) 情報処理装置
JP2022141481A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2014048977A (ja) 機器接続ユニットと商品販売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50008287A (ko) 이동 단말을 이용한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00124A (ko) 결제를 지원하는 컴퓨팅 장치 및 방법
KR102070036B1 (ko) 결제를 지원하는 컴퓨팅 장치 및 방법
CN112581669B (zh) 追踪系统及追踪方法
US20210182944A1 (en) Shopper management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shopper management method, and shopper management system
US20210312434A1 (en) Server,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ettlement system, and method
US20210192485A1 (en)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
US20220188908A1 (en) Sales management device, sales managemen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2262635B1 (ko) 결제를 지원하는 컴퓨팅 장치 및 방법
KR20200070806A (ko) 결제를 지원하는 컴퓨팅 장치 및 방법
KR20110129301A (ko) 물품 구입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자체 계산을 위한 사용자 단말장치 및 상품 관리 서버 그리고 그들의 동작 방법
US20220405759A1 (en) Sales management system
JP7274561B2 (ja) 登録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端末装置
KR102168605B1 (ko) 결제를 지원하는 컴퓨팅 장치 및 방법
JP7392732B2 (ja) 管理サーバ、管理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