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0698A - 이차전지용 케이스, 이차전지 및 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이차전지용 케이스, 이차전지 및 전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0698A
KR20200070698A KR1020180158129A KR20180158129A KR20200070698A KR 20200070698 A KR20200070698 A KR 20200070698A KR 1020180158129 A KR1020180158129 A KR 1020180158129A KR 20180158129 A KR20180158129 A KR 20180158129A KR 20200070698 A KR20200070698 A KR 20200070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case
case
region
thickness
irregularit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8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1248B1 (ko
Inventor
이원종
김기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80158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1248B1/ko
Priority to EP19897500.5A priority patent/EP3739649B1/en
Priority to CN201980006973.7A priority patent/CN111557054A/zh
Priority to US16/960,636 priority patent/US11335966B2/en
Priority to PCT/KR2019/010010 priority patent/WO2020122353A1/ko
Publication of KR20200070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0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2/020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2/0217
    • H01M2/102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01M2002/020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1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 H01M50/222Inorganic material
    • H01M50/224Met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이차전지용 케이스, 이차전지 및 전지 모듈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차전지의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에 각각 요철부가 형성됨으로써, 각형 이차전지의 제조 과정에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간에 서로 어긋남이 없이 결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차전지용 케이스, 이차전지 및 전지 모듈{Case for secondary battery,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본 발명은 이차전지용 케이스, 이차전지 및 전지모듈에 관한 것입니다.
반복적인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는 그 제조 방법 또는 구조에 따라 파우치형 이차전지, 원통형 이차전지, 각형 이차전지 등으로 나뉠 수 있다.
이 중 각형 이차전지의 경우 다른 이차전지에 비해, 외부 충격 등에 대한 안정성 및 내부식성 등의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
한편, 전자기기의 형상이 종래에 비해 다양해지면서, 전자기기에 탑재되는 이차전지의 형상 역시 종래에 비해 다양해질 것이 요구되고 있고, 종래에 비해 큰 전력이 저장될 수 있을 것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각형 이차전지의 경우 사각형의 기둥 형상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이차전지의 형상에 대한 상기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각형 이차전지의 형상 역시 종래의 형상과 달리 비정형적(irregular)으로 제조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 기술에 비해 비정형적인 형상을 가지면서도 종래 기술에 비해 증가된 양의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각형 이차전지를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 및 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상부 케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 영역과 상부 케이스의 하부 영역이 서로 만나 결합하는 영역인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 영역에는 하부 케이스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 중 상기 하부 케이스 요철부와 마주보는 영역에는 상기 하부 케이스 요철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상부 케이스 요철부가 형성되는 이차전지용 케이스가 개시된다.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 영역은 소정의 두께(t1)를 가지고, 상기 하부 케이스 요철부는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 영역의 상기 두께(t1) 방향을 따라 높이가 변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 요철부 중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내측 끝부 영역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하부 케이스 요철부 중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외측 끝부 영역은 하방으로 만입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 요철부 중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내측 끝부 영역은 하방으로 만입되어 있고, 상기 하부 케이스 요철부 중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외측 끝부 영역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 요철부 중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내측 끝부 영역 및 외측 끝부 영역은 하방으로 만입되어 있고, 상기 하부 케이스 요철부 중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가운데 영역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 요철부 중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내측 끝부 영역 및 외측 끝부 영역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하부 케이스 요철부 중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가운데 영역은 하방으로 만입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 요철부는,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 영역 중 일 영역에 형성되는 제1 하부 케이스 요철부; 및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 영역의 타 영역 중 상기 제1 하부 케이스 요철부가 형성되는 영역의 반대편 영역에 형성되는 제2 하부 케이스 요철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 케이스 요철부 및 상기 제2 하부 케이스 요철부 중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내측 끝부 영역은 각각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1 하부 케이스 요철부 및 상기 제2 하부 케이스 요철부 중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외측 끝부 영역은 각각 하방으로 만입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 케이스 요철부 중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내측 끝부 영역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1 하부 케이스 요철부 중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외측 끝부 영역은 하방으로 만입되어 있고, 상기 제2 하부 케이스 요철부 중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내측 끝부 영역은 하방으로 만입되어 있고, 상기 제2 하부 케이스 요철부 중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외측 끝부 영역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 케이스 요철부 및 상기 제2 하부 케이스 요철부 중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내측 끝부 영역 및 외측 끝부 영역은 각각 하방으로 만입되어 있고, 상기 제1 하부 케이스 요철부 및 상기 제2 하부 케이스 요철부 중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가운데 영역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 케이스 요철부 중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내측 끝부 영역 및 외측 끝부 영역은 각각 하방으로 만입되어 있고, 상기 제1 하부 케이스의 요철부 중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가운데 영역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2 하부 케이스의 요철부 중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내측 끝부 영역 및 외측 끝부 영역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2 하부 케이스의 요철부 중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가운데 영역은 하방으로 만입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 영역은 소정의 두께(t1)를 가지고, 상기 하부 케이스 요철부는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외측 끝부로부터 내측 끝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강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 요철부는 상기 하부 케이스의 폭(W) 방향에 걸쳐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상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는 L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결합부에서 상기 하부 케이스 요철부와 상기 상부 케이스 요철부는 용접에 의해 서로 접합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이차전지용 케이스; 및 상기 이차전지용 케이스 내부의 빈 공간에 구비되는 전극 조립체; 를 포함하는 이차전지가 개시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이차전지가 복수로 구비되는 전지 모듈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기술에 비해 비정형적인 형상을 가지면서도 종래 기술에 비해 증가된 양의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각형 이차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케이스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방향을 따라 절단된,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케이스의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방향을 따라 절단된,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케이스의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 방향을 따라 절단된,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케이스의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A-A 방향을 따라 절단된,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케이스의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B-B 방향을 따라 절단된 이차전지용 케이스의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B-B 방향을 따라 절단된 이차전지용 케이스의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A-A 방향을 따라 절단된, 제5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케이스의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케이스의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차전지용 케이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케이스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케이스는 각형(prismatic) 이차전지에 사용되는 케이스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케이스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케이스(10)는 비정형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전지용 케이스(10)는 L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L자 형상을 갖는 이차전지용 케이스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케이스(10)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A-A 방향을 따라 절단된,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케이스의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전지용 케이스(10)는 이차전지용 케이스의 하부 영역을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100)와 이차전지용 케이스의 상부 영역을 형성하는 상부 케이스(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100)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상부 케이스(200)는 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빈 공강이 형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를 참고하면, 하부 케이스(100)와 상부 케이스(2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100)의 상부 영역은 t1만큼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상부 케이스(200)의 하부 영역은 t2만큼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t1과 t2는 동일할 수 있으나, 그와 달리 t1과 t2는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차전지용 케이스(10)에는 하부 케이스(100)의 상부 영역과 상부 케이스(200)의 하부 영역이 서로 만나 결합되는 영역인 결합부(30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300)는 하부 케이스(100)의 상부 영역의 상단, 또는, 결합부(300)는 상부 케이스(200)의 하부 영역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결합부(300)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하부 케이스(100)의 상부 영역의 끝부에는 위치에 따라 높이가 가변적인 하부 케이스 요철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200)의 하부 영역 중 하부 케이스 요철부(120)와 마주보는 영역의 끝부에는 위치에 따라 높이가 가변적인 상부 케이스 요철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 요철부(220)는 하부 케이스 요철부(12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결합부(300)에서 하부 케이스 요철부(120)와 상부 케이스 요철부(220)는 용접에 의해 서로 접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접은 레이저 용접일 수 있다.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서로 결합하여 각형 이차전지용 케이스를 제조하는 경우,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가 서로 맞닿는 지점에서 결합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그런데,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가 맞닿는 지점이 평평할 경우, 맞닿는 지점에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가 서로 어긋나기 쉬워,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간의 결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기 쉽다. 이로 인해, 이차전지용 케이스의 밀봉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가 서로 만나는 영역에서 요철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간의 결합 과정에서 어긋나는 문제를 해결하여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가 서로 결합되는 영역인 결합부(즉, 이음매)를 균일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차전지용 케이스의 밀봉성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이차전지 내 전해액이 외부에 누출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가 서로 결합되는 영역인 결합부가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후에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서로 접합하기 위한 용접 공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 요철부(120)는 하부 케이스(100)의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을 따라 높이가 변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상부 케이스 요철부(220) 역시 상부 케이스(200)의 하부 영역의 두께(t2) 방향을 따라 높이가 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하부 케이스 요철부(120) 및 상부 케이스 요철부(220)는 각각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 요철부(120)는, 하부 케이스(100)의 상부 영역 중 일 영역에 형성되는 제1 하부 케이스 요철부(122) 및 하부 케이스(100)의 상부 영역 중 타 영역에 형성되는 제2 하부 케이스 요철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부 케이스 요철부(124)는 제1 하부 케이스 요철부(122)가 형성되는 영역의 반대편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상부 케이스 요철부(220)는, 상부 케이스(200)의 하부 영역 중 일 영역에 형성되는 제1 상부 케이스 요철부(222) 및 상부 케이스(200)의 하부 영역 중 타 영역에 형성되는 제2 상부 케이스 요철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상부 케이스 요철부(224)는 제1 상부 케이스 요철부(222)가 형성되는 영역의 반대편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 하부 케이스 요철부(120) 및 상부 케이스 요철부(220)의 형상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부 케이스 요철부(122) 중 하부 케이스(100)의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내측 영역(즉, 이차전지용 케이스의 두께 방향 내부(I)와 인접한 영역)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고, 제1 하부 케이스 요철부(122) 중 하부 케이스(100)의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외측 영역(즉, 이차전지용 케이스의 두께 방향 외부(P)와 인접한 영역)은 하방으로 만입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부 케이스 요철부(122)에는 계단 형상의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2 하부 케이스 요철부(124) 역시 제1 하부 케이스 요철부(122)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부 케이스 요철부(124) 중 하부 케이스(100)의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내측 영역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고, 제2 하부 케이스 요철부(124) 중 하부 케이스(100)의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외측 영역은 하방으로 만입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2 하부 케이스 요철부(124)에도 역시 계단 형상의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상부 케이스 요철부(222)와 제2 상부 케이스 요철부(224)는 각각 제1 하부 케이스 요철부(122) 및 제2 하부 케이스 요철부(124)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부 케이스 요철부(222) 중 상부 케이스(200)의 하부 영역의 두께(t2) 방향 내측 영역은 상방으로 만입되어 있을 수 있고, 제1 상부 케이스 요철부(222) 중 상부 케이스(200)의 하부 영역의 두께(t2) 방향 외측 영역은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상부 케이스 요철부(224) 중 상부 케이스(200)의 하부 영역의 두께(t2) 방향 내측 영역은 상방으로 만입되어 있을 수 있고, 제2 상부 케이스 요철부(224) 중 상부 케이스(200)의 하부 영역의 두께(t2) 방향 외측 영역은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상부 케이스 요철부(222)와 제2 상부 케이스 요철부(224)에도 계단 형상의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이차전지용 케이스(10)의 하부 케이스(100)에 형성된 제1 하부 케이스 요철부(122)와 제2 하부 케이스 요철부(124)는 이차전지용 케이스(10)의 중심에 대해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되고, 상부 케이스(200)에 형성된 제1 상부 케이스 요철부(222)와 제2 상부 케이스 요철부(224) 역시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이차전지용 케이스(10)의 제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제1 하부 케이스 요철부(122)와 제2 상부 케이스 요철부(224)가 서로 마주보고, 제2 하부 케이스 요철부(124)와 제1 상부 케이스 요철부(222)가 서로 마주보는 경우에도 요철부들 간에 서로 결합되어 이차전지용 케이스(10)가 제조될 수 있으므로, 하부 케이스(100)와 상부 케이스(200)를 서로 결합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감축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A-A 방향을 따라 절단된,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케이스의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케이스에서 제1 하부 케이스 요철부(122)와 제1 상부 케이스 요철부(222)의 구조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제2 하부 케이스 요철부(124) 및 제2 상부 케이스 요철부(224)의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부 케이스 요철부(124) 및 제2 상부 케이스 요철부(224)에도 계단 형상의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하부 케이스 요철부(124) 중 하부 케이스(100)의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내측 영역은 하방으로 만입되어 있을 수 있고, 제2 하부 케이스 요철부(124) 중 하부 케이스(100)의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외측 영역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2 상부 케이스 요철부(224) 중 상부 케이스(200)의 하부 영역의 두께(t2) 방향 내측 영역은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고, 제2 상부 케이스 요철부(224) 중 상부 케이스(200)의 하부 영역의 두께(t2) 방향 외측 영역은 상방으로 만입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이차전지용 케이스(10)의 하부 케이스(100)에 형성된 제1 하부 케이스 요철부(122)와 제2 하부 케이스 요철부(124)는 서로 닮은 꼴 또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 케이스(200)에 형성된 제1 상부 케이스 요철부(222)와 제2 상부 케이스 요철부(224) 역시 서로 닯은 꼴 또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하부 케이스(100)와 상부 케이스(200)의 요철부들(122, 124, 222, 224)의 형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차로 요철부들(122, 124, 222, 224) 간의 치수가 서로 다소 어긋나더라도 제1 하부 케이스 요철부(122)와 제1 상부 케이스 요철부(222)가 서로 결합 가능한 동시에, 제2 하부 케이스 요철부(124)와 제2 상부 케이스 요철부(224)가 서로 결합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이차전지용 케이스(10)를 제조하기 위해 미리 만들어진 하부 케이스(100)와 상부 케이스(200)의 일부가 치수 문제 때문에 사용되지 못하고 버려지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이차전지용 케이스의 제조 비용 절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A-A 방향을 따라 절단된,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케이스의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케이스(10)에서, 제1 하부 케이스 요철부(122) 중 하부 케이스(100)의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내측 영역 및 외측 영역은 하방으로 만입되어 있을 수 있고, 제1 하부 케이스 요철부(122) 중 하부 케이스(100)의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가운데 영역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부 케이스 요철부(122)의 가운데 영역은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케이스(10)에서, 제1 상부 케이스 요철부(222) 중 상부 케이스(200)의 하부 영역의 두께(t2) 방향 내측 영역 및 외측 영역은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고, 제1 상부 케이스 요철부(222) 중 상부 케이스(200)의 하부 영역의 두께(t2) 방향 가운데 영역은 상방으로 만입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상부 케이스 요철부(222)의 가운데 영역은 상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케이스(10)에서, 제2 하부 케이스 요철부(124)는 제1 하부 케이스 요철부(122)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부 케이스 요철부(124) 중 하부 케이스(100)의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내측 영역 및 외측 영역은 하방으로 만입되어 있을 수 있고, 제2 하부 케이스 요철부(124) 중 하부 케이스(100)의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가운데 영역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케이스(10)에서, 제2 상부 케이스 요철부(224)는 제1 상부 케이스 요철부(222)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상부 케이스 요철부(224) 중 상부 케이스(200)의 하부 영역의 두께(t2) 방향 내측 영역 및 외측 영역은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고, 제2 상부 케이스 요철부(224) 중 상부 케이스(200)의 하부 영역의 두께(t2) 방향 가운데 영역은 상방으로 만입되어 있을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이차전지용 케이스(10)의 하부 케이스(100)에 형성된 제1 하부 케이스 요철부(122)와 제2 하부 케이스 요철부(124)는 이차전지용 케이스(10)의 중심에 대해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되고, 상부 케이스(200)에 형성된 제1 상부 케이스 요철부(222)와 제2 상부 케이스 요철부(224) 역시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이유로 이차전지용 케이스(10)의 제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1 하부 케이스 요철부(122)와 제1 상부 케이스 요철부(222)가 서로 접촉하는 면적과, 제2 하부 케이스 요철부(124)와 제2 상부 케이스 요철부(224)가 서로 접촉하는 면적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케이스(100)와 상부 케이스(200) 간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A-A 방향을 따라 절단된,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케이스의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1 하부 케이스 요철부(122) 및 제1 상부 케이스 요철부(222)의 구조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 하부 케이스 요철부 및 제1 상부 케이스 요철부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제2 하부 케이스 요철부(124) 및 제2 상부 케이스 요철부(224)의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케이스(10)에서, 제2 하부 케이스 요철부(124) 중 하부 케이스(100)의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내측 영역 및 외측 영역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고, 제2 하부 케이스 요철부(124) 중 하부 케이스(100)의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가운데 영역은 하방으로 만입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케이스(10)에서, 제2 상부 케이스 요철부(224) 중 상부 케이스(200)의 하부 영역의 두께(t2) 방향 내측 영역 및 외측 영역은 상방으로 만입되어 있을 수 있고, 제2 상부 케이스 요철부(224) 중 상부 케이스(200)의 하부 영역의 두께(t2) 방향 가운데 영역은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이차전지용 케이스(10)의 하부 케이스(100)에 형성된 제1 하부 케이스 요철부(122)와 제2 하부 케이스 요철부(124)는 서로 닮은 꼴 또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 케이스(200)에 형성된 제1 상부 케이스 요철부(222)와 제2 상부 케이스 요철부(224) 역시 서로 닯은 꼴 또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이유로 이차전지용 케이스(10)의 제조 원가 절감이 극대화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1 하부 케이스 요철부(122)와 제1 상부 케이스 요철부(222)가 서로 접촉하는 면적과, 제2 하부 케이스 요철부(124)와 제2 상부 케이스 요철부(224)가 서로 접촉하는 면적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케이스(100)와 상부 케이스(200) 간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B-B 방향을 따라 절단된 이차전지용 케이스의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B-B 방향을 따라 절단된 이차전지용 케이스의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전지용 케이스를 도 1의 B-B 방향으로 잘랐을 때의 단면에서 제1 하부 케이스 요철부와 제1 상부 케이스 요철부가 만나는 영역은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케이스(10)에서, 이차전지용 케이스(10)의 폭(W) 방향에 걸쳐 하나의 제1 하부 케이스 요철부 및 하나의 제1 상부 케이스 요철부만이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전지용 케이스를 도 1의 B-B 방향으로 잘랐을 때의 단면에서 제1 하부 케이스 요철부와 제1 상부 케이스 요철부가 만나는 영역은 요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케이스(10)에서 이차전지용 케이스(10)의 폭(W) 방향에 걸쳐 복수의 제1 하부 케이스 요철부 및 복수의 제1 상부 케이스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A-A 방향을 따라 절단된, 제5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케이스의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와 달리, 제1 하부 케이스 요철부(122)는 하부 케이스(100)의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외측 끝부로부터 내측 끝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강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8에는 제2 하부 케이스 요철부(124) 역시 제1 하부 케이스 요철부(122)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부 케이스 요철부(222) 및 제2 상부 케이스 요철부(224) 역시 상부 케이스(200)의 하부 영역의 두께(t2) 방향 외측 끝부로부터 내측 끝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강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케이스(100)와 상부 케이스(200)에 요철부를 형성하기 위해서 하부 케이스(100)의 상부 영역과 상부 케이스(200)의 하부 영역을 비스듬하게 잘라내기만 하면 되므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 비해 요철부들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이 간소화될 수 있다.
그러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달리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하부 케이스 요철부(124)는 하부 케이스(100)의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내측 끝부로부터 외측 끝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강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2 상부 케이스 요철부(224) 역시 상부 케이스(200)의 하부 영역의 두께(t2) 방향 내측 끝부로부터 외측 끝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강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하부 케이스(100)와 상부 케이스(200)의 요철부들(122, 124, 222, 224)의 형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차로 요철부들(122, 124, 222, 224) 간의 치수가 서로 다소 어긋나더라도 제1 하부 케이스 요철부(122)와 제1 상부 케이스 요철부(222)가 서로 결합 가능한 동시에, 제2 하부 케이스 요철부(124)와 제2 상부 케이스 요철부(224)가 서로 결합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및 제4 실시예의 경우와 유사하게, 이차전지용 케이스(10)를 제조하기 위해 미리 만들어진 하부 케이스(100)와 상부 케이스(200) 중 일부가 치수 문제때문에 사용되지 못하고 버려지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이차전지용 케이스의 제조 비용 절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이차전지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배치된 구조를 갖는 전극 조립체, 및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이차전지용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차전지용 케이스의 구조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내용으로 갈음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지 모듈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 모듈은 전술한 이차전지용 케이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이차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이차전지용 케이스
100 : 하부 케이스
120 : 하부 케이스 요철부
122 : 제1 하부 케이스 요철부
124 : 제2 하부 케이스 요철부
200 : 상부 케이스
220 : 상부 케이스 요철부
222 : 제1 상부 케이스 요철부
224 : 제2 상부 케이스 요철부
300 : 결합부
W : 이차전지용 케이스의 폭
t1 : 하부 케이스의 상부 영역 두께
t2 : 상부 케이스의 하부 영역 두께
I : 이차전지용 케이스의 두께 방향 내부
P : 이차전지용 케이스의 두께 방향 외부

Claims (17)

  1.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 및
    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상부 케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 영역과 상부 케이스의 하부 영역이 서로 만나 결합하는 영역인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 영역에는 하부 케이스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 중 상기 하부 케이스 요철부와 마주보는 영역에는 상기 하부 케이스 요철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상부 케이스 요철부가 형성되는 이차전지용 케이스.
  2. 청구항 1에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 영역은 소정의 두께(t1)를 가지고,
    상기 하부 케이스 요철부는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 영역의 상기 두께(t1) 방향을 따라 높이가 변하는 형상을 갖는 이차전지용 케이스.
  3. 청구항 2에서,
    상기 하부 케이스 요철부 중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내측 끝부 영역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하부 케이스 요철부 중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외측 끝부 영역은 하방으로 만입되어 있는 이차전지용 케이스.
  4. 청구항 2에서,
    상기 하부 케이스 요철부 중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내측 끝부 영역은 하방으로 만입되어 있고,
    상기 하부 케이스 요철부 중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외측 끝부 영역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이차전지용 케이스.
  5. 청구항 2에서,
    상기 하부 케이스 요철부 중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내측 끝부 영역 및 외측 끝부 영역은 하방으로 만입되어 있고,
    상기 하부 케이스 요철부 중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가운데 영역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이차전지용 케이스.
  6. 청구항 2에서,
    상기 하부 케이스 요철부 중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내측 끝부 영역 및 외측 끝부 영역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하부 케이스 요철부 중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가운데 영역은 하방으로 만입되어 있는 이차전지용 케이스.
  7. 청구항 2에서,
    상기 하부 케이스 요철부는,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 영역 중 일 영역에 형성되는 제1 하부 케이스 요철부; 및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 영역의 타 영역 중 상기 제1 하부 케이스 요철부가 형성되는 영역의 반대편 영역에 형성되는 제2 하부 케이스 요철부; 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케이스.
  8. 청구항 7에서,
    상기 제1 하부 케이스 요철부 및 상기 제2 하부 케이스 요철부 중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내측 끝부 영역은 각각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1 하부 케이스 요철부 및 상기 제2 하부 케이스 요철부 중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외측 끝부 영역은 각각 하방으로 만입되어 있는 이차전지용 케이스.
  9. 청구항 7에서,
    상기 제1 하부 케이스 요철부 중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내측 끝부 영역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1 하부 케이스 요철부 중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외측 끝부 영역은 하방으로 만입되어 있고,
    상기 제2 하부 케이스 요철부 중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내측 끝부 영역은 하방으로 만입되어 있고,
    상기 제2 하부 케이스 요철부 중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외측 끝부 영역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이차전지용 케이스.
  10. 청구항 7에서,
    상기 제1 하부 케이스 요철부 및 상기 제2 하부 케이스 요철부 중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내측 끝부 영역 및 외측 끝부 영역은 각각 하방으로 만입되어 있고,
    상기 제1 하부 케이스 요철부 및 상기 제2 하부 케이스 요철부 중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가운데 영역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이차전지용 케이스.
  11. 청구항 7에서,
    상기 제1 하부 케이스 요철부 중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내측 끝부 영역 및 외측 끝부 영역은 각각 하방으로 만입되어 있고,
    상기 제1 하부 케이스의 요철부 중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가운데 영역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2 하부 케이스의 요철부 중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내측 끝부 영역 및 외측 끝부 영역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2 하부 케이스의 요철부 중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가운데 영역은 하방으로 만입되어 있는 이차전지용 케이스.
  12. 청구항 1에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 영역은 소정의 두께(t1)를 가지고,
    상기 하부 케이스 요철부는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 영역의 두께(t1) 방향 외측 끝부로부터 내측 끝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강하는 형상을 갖는 이차전지용 케이스.
  13. 청구항 1에서,
    상기 하부 케이스 요철부는 상기 하부 케이스의 폭(W) 방향에 걸쳐 복수로 구비되는 이차전지용 케이스.
  14. 청구항 1에서,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상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는 L자 형상을 갖는 이차전지용 케이스.
  15. 청구항 1에서,
    상기 결합부에서 상기 하부 케이스 요철부와 상기 상부 케이스 요철부는 용접에 의해 서로 접합되는 이차전지용 케이스.
  16. 청구항 1에 따른 이차전지용 케이스; 및
    상기 이차전지용 케이스 내부의 빈 공간에 구비되는 전극 조립체; 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17. 청구항 16에 따른 이차전지가 복수로 구비되는 전지 모듈.
KR1020180158129A 2018-12-10 2018-12-10 이차전지용 케이스, 이차전지 및 전지 모듈 KR102351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129A KR102351248B1 (ko) 2018-12-10 2018-12-10 이차전지용 케이스, 이차전지 및 전지 모듈
EP19897500.5A EP3739649B1 (en) 2018-12-10 2019-08-08 Case for secondary battery,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CN201980006973.7A CN111557054A (zh) 2018-12-10 2019-08-08 二次电池的壳体、二次电池和电池模块
US16/960,636 US11335966B2 (en) 2018-12-10 2019-08-08 Case for secondary battery,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PCT/KR2019/010010 WO2020122353A1 (ko) 2018-12-10 2019-08-08 이차전지용 케이스, 이차전지 및 전지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129A KR102351248B1 (ko) 2018-12-10 2018-12-10 이차전지용 케이스, 이차전지 및 전지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0698A true KR20200070698A (ko) 2020-06-18
KR102351248B1 KR102351248B1 (ko) 2022-01-17

Family

ID=71075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129A KR102351248B1 (ko) 2018-12-10 2018-12-10 이차전지용 케이스, 이차전지 및 전지 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335966B2 (ko)
EP (1) EP3739649B1 (ko)
KR (1) KR102351248B1 (ko)
CN (1) CN111557054A (ko)
WO (1) WO202012235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682B1 (ko) * 2021-11-19 2022-08-26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이차 전지용 캔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캔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6448A (ko) * 2009-12-11 2011-06-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
JP4875226B2 (ja) * 2010-02-02 2012-02-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収納ケース及びこれを備えた電池パック
KR20130080258A (ko) * 2012-01-04 2013-07-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전극 조립체의 케이싱 방법
KR20150007942A (ko) * 2013-07-12 2015-01-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JP2017152395A (ja) * 2014-07-10 2017-08-3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蓄電デバイスの製造方法及び電極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92486B2 (ja) 2002-03-29 2008-12-10 ソニー株式会社 電池パック
KR100686827B1 (ko) 2005-07-11 2007-0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
KR101233466B1 (ko) 2006-05-04 2013-02-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080130B1 (ko) 2007-03-26 2011-11-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해액 누출시 안전성이 보장된 전지팩
KR101060839B1 (ko) 2009-11-05 2011-08-30 삼성전기주식회사 칩형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403388B1 (ko) 2012-05-07 2014-06-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정형 구조의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CN203644833U (zh) * 2013-12-24 2014-06-11 深圳市甬维科技有限公司 一种锂电池的封装结构
KR101903494B1 (ko) 2015-03-20 2018-10-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기밀 봉상화장품 용기
KR101950464B1 (ko) 2015-11-30 2019-02-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셀 케이스의 밀봉 신뢰성이 향상된 비정형 구조의 전지셀
US10644276B2 (en) 2016-02-11 2020-05-05 Lg Chem, Ltd. Battery module
JP6085058B1 (ja) 2016-08-02 2017-02-22 冨士発條株式会社 電池缶及び電池
CN107146860A (zh) * 2017-04-26 2017-09-08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电池单体、电池包及具有其的车辆
KR102337493B1 (ko) 2017-05-08 2021-12-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CN208127276U (zh) 2018-04-13 2018-11-20 高泽 一种电瓶箱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6448A (ko) * 2009-12-11 2011-06-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
JP4875226B2 (ja) * 2010-02-02 2012-02-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収納ケース及びこれを備えた電池パック
KR20130080258A (ko) * 2012-01-04 2013-07-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전극 조립체의 케이싱 방법
KR20150007942A (ko) * 2013-07-12 2015-01-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JP2017152395A (ja) * 2014-07-10 2017-08-3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蓄電デバイスの製造方法及び電極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682B1 (ko) * 2021-11-19 2022-08-26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이차 전지용 캔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39649B1 (en) 2023-10-04
EP3739649A4 (en) 2021-08-18
US11335966B2 (en) 2022-05-17
CN111557054A (zh) 2020-08-18
US20200335734A1 (en) 2020-10-22
KR102351248B1 (ko) 2022-01-17
WO2020122353A1 (ko) 2020-06-18
EP3739649A1 (en) 202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5834B1 (ko) 전지 모듈
KR101116449B1 (ko) 이차 전지
US8450006B2 (en) Rechargeable battery
KR101135498B1 (ko) 이차 전지 및 그 캔
US20210257695A1 (en) Secondary Battery Case, and Secondary Battery
EP2899780B1 (en) Two-piece interlocking current collector for a secondary battery
KR102593582B1 (ko) 이차 전지
JP6996505B2 (ja) 二次電池
KR20160150235A (ko) 이차 전지 모듈
EP2814079B1 (en) Sealed battery
EP2897192B1 (en) Curved secondary battery
KR100855184B1 (ko) 전지팩 케이스
KR20200070698A (ko) 이차전지용 케이스, 이차전지 및 전지 모듈
US8445131B2 (en) Holder case for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KR101223522B1 (ko) 이차전지
KR102195732B1 (ko) 이차 전지
US11482748B2 (en) Battery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20150214511A1 (en) Battery pack
KR20200077304A (ko) 비대칭 형태의 오목부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US20180123109A1 (en) Electrical connection part for a secondary cell
KR101724008B1 (ko) 이차 전지
KR20180007298A (ko) 상호 결합된 추가 탭들이 형성되어 있는 극판들을 포함하고 있는 전극조립체
KR102578784B1 (ko) 이차전지용 케이스 및 이차전지
US20220293996A1 (en) Secondary battery,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econdary battery
KR20200052738A (ko)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