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0210A - Apparatus for energy recovering, turboprop aircraft including of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energy recovering, turboprop aircraft including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0210A
KR20200070210A KR1020200071165A KR20200071165A KR20200070210A KR 20200070210 A KR20200070210 A KR 20200070210A KR 1020200071165 A KR1020200071165 A KR 1020200071165A KR 20200071165 A KR20200071165 A KR 20200071165A KR 20200070210 A KR20200070210 A KR 20200070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braking
speed
generator
dri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11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07887B1 (en
Inventor
김형철
Original Assignee
김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9585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39010B1/en
Application filed by 김형철 filed Critical 김형철
Priority to KR1020200071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887B1/en
Publication of KR20200070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02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8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2Additional mass for increasing inertia, e.g. flywhe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20Structural association with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e.g. with electric starter motors or exci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6Mechanical energy storage, e.g. flywheels or pressurised fl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Various kinds of energy including a fuel, a battery or an alternative energy source are converted into kinetic energy for use in the case of a power apparatus including construction equipment, a power generator at an industrial site, a vehicle, a turboprop and an airplane. But, speed reducing and stopping, namely braking, has to be done if necessary while energy is used like that, and, in such case, most energy is unavoidably changed into heat and consumed up in an unusable stat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nergy recovering apparatus, which efficiently recovers abused energy using a power generator and enhances energy efficiency using an inertia force induced by a power generation device. To achieve the purpose, a turbopr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otor receiving a rotating force from a power generation device; a braking device controlling a speed of the rotor; an energy storage device storing the rotating force of the rotor; and a plurality of power generators connected to the energy storage device, wherein the number of power generators connected to the rotor is determined on the basis of a required braking force of the braking device.

Description

에너지회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터보프롭 {APPARATUS FOR ENERGY RECOVERING, TURBOPROP AIRCRAFT INCLUDING OF THE SAME}Energy recovery device and turboprop including it {APPARATUS FOR ENERGY RECOVERING, TURBOPROP AIRCRAFT INCLUDING OF THE SAME}

본 발명은 에너지회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터보프롭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ergy recovery device and a turboprop including the same.

건설장비, 산업현장의 발전기, 차량, 선박, 항공기를 포함하는 동력장치의 경우, 연료나 전지 또는 대체에너지원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변환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이렇게 에너지를 사용하다가 필요 시에는 감속 및 정지, 즉 제동을 해야하는데, 이런 경우 불가피하게 대부분의 에너지가 열로 바뀌어 유용하지 못한 상태로 소모된다. 현재 가장 일반적인 제동 방식은 유압을 이용하여 마찰력을 발생시켜, 차륜 등에서 열에너지로 소모시키는 방식이다. 이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회생제동시스템으로 에너지를 저장하는 방법이 널리 알려져 있으나, 이는 저장 가능한 에너지를 열에너지로 소모시키는 방법과 병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로 인해 비효율적이다.In the case of power devices including generators, vehicles, ships, and aircraft in construction equipment and industrial sites, various types of energy, including fuel or cells or alternative energy sources, are converted into kinetic energy and used. However, when energy is used in this way, deceleration and stop, or braking, should be performed when necessary. In this case, most of the energy is inevitably converted into heat and consumed in an unusable state. Currently, the most common braking method is a method of generating frictional force using hydraulic pressure and consuming it as thermal energy in a wheel or the lik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method of storing energy with a regenerative braking system is widely known, but it is generally used in parallel with a method of consuming stored energy as thermal energy, which is inefficient.

철도차량의 경우, 공급전력과 주전동기 사이에 저항을 넣어 그 저항치를 바꾸어 주전동기의 회전을 제어하는 방식, 또는 레일과 차량간 반대극성의 자력을 이용하는 제동방식 등이 부가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방식은 모두 생성된 운동에너지를 사용하지 못하는 에너지로 변환시키면서 소모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회생제동방식의 경우, 발전제동 시 발생된 전력을 변전소로 송전하여 다른 동력차에 사용하도록 하는 방법이 주류이나, 전동기에서 발전된 전기를 전차선의 전압과 유사하게 만들기 위해 기구가 복잡해지고, 전차선, 전압변환장치, 주파수변환장치 등이 따로 설치되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회생제동을 채택했을 경우의 에너지 절약량과 차량 및 지상측 시설비와 보수비를 합한 비용의 경제성 비교를 하여 발전제동으로 할 것이냐 회생제동으로 할 것이냐를 정하여야 한다는 한계점들이 있다.In the case of a railway vehicle, a method of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main motor by changing the resistance value by putting a resistance between the supply power and the main motor, or a braking method using magnetic force of opposite polarity between the rail and the vehicle is additionally used. All of these methods have a problem in that they are consumed while converting generated kinetic energy into unusable energy.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regenerative braking method, the method of transmitting power generated during power generation braking to a substation for use in other power vehicles is mainstream, but the mechanism is complicated to make the electricity generated by the electric motor similar to the voltage of the electric car lane, There is a difficulty in that a voltage converter, a frequency converter, etc. must be installed separately. Therefore, there is a limitation that it is necessary to decide whether to use power generation braking or regenerative braking by comparing the economics of the cost of combining the energy savings and vehicle and ground facilities costs and maintenance costs when regenerative braking is adopted.

본 발명은 낭비되는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회수하며 에너지효율을 높이는 에너지회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터보프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information on an energy recovery device that efficiently recovers wasted energy and increases energy efficiency, and a turboprop including the sa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보프롭은 동력발생장치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속도를 제어하는 제동장치, 상기 회전체의 회전력을 저장하는 에너지저장장치, 상기 에너지저장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제동장치의 요구 제동력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체와 연결되는 개수가 결정되는 복수의 발전기를 포함한다. Turbopr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rotating bod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power generating device, a brak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rotating body, an energy storage device for stor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ng body, It includes a plurality of generators are connected to the energy storage device and the number connected to the rotating body is determined based on the required braking force of the braking device.

본 발명에 의하면 제동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recover energy when brak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략적 입체구성을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략적 구성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략적 구성의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개략적 구성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of a schematic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chematic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of a schematic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구성 및 작용을 도면의 부호와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thr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provided as a preferr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by any mean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보프롭은 동력발생장치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속도를 제어하는 제동장치, 상기 회전체의 회전력을 저장하는 에너지저장장치, 상기 에너지저장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제동장치의 요구 제동력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체와 연결되는 개수가 결정되는 복수의 발전기를 포함한다. Turbopr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rotating bod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power generating device, a brak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rotating body, an energy storage device for stor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ng body, It includes a plurality of generators are connected to the energy storage device and the number connected to the rotating body is determined based on the required braking force of the braking device.

또한, 상기 동력발생장치는 연료의 화학에너지를 산소와 연소시켜 역학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엔진 또는 전기에너지를 역학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모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역학에너지는 열에너지, 기계적에너지, 회전에너지, 직선에너지, 운동에너지, 또는 상기 에너지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에너지로서 회전력을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ower generating device includes an engine that converts chemical energy of the fuel into mechanical energy by burning with oxygen, or a motor that converts electrical energy into mechanical energy. In addition, the mechanical energy is heat energy, mechanical energy, rotational energy, linear energy, kinetic energy, or it is preferable to generate a rotational force as one or more of the energy.

상기 회전체는 차량의 차륜, 헬리콥터 및 항공기 및 선박의 스크루 등을 포함한다. 또한, 클러치에서부터 상기의 차륜 또는 스크루에 이르는 과정에서 작용하는 회전운동을 하는 물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체는 일단은 상기 동력발생장치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체에 연결되는 구동축을 포함한다.The rotating body includes a vehicle wheel, a helicopter and a screw of an aircraft and a ship. In addition, it includes an object that performs a rotational movement acting in the process from the clutch to the wheel or screw. In addition, the rotating body includes a drive shaft which is connected to the power generating device at one end and connected to the rotating body at the other end.

상기 스크루는 구동축에 2개 이상의 블레이드 날개깃을 붙여 동체를 밀어내거나 당기는 힘이 생기도록 작용,반작용의 자연법칙을 이용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블레이드 날개깃은 나선면이 바람직하다. The screw includes a device using two or more blade wing feathers on the drive shaft to push or pull the fuselage, thereby using natural laws of action and reaction. The blade wing feather is preferably a spiral surface.

상기 차륜은 차바퀴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은 도로나 선로를 이동하는 차량을 포함한다. 상기 차바퀴는 전동차바퀴, 전철바퀴, 자동차바퀴, 선박차바퀴 등을 포함한다.The wheel includes a wheel. The vehicle includes a vehicle that moves on a road or track. The wheel includes an electric wheel, a train wheel, a car wheel, a ship wheel, and the like.

상기 제동장치는 제동레버, 제동페달, 브레이크레버, 브레이크페달을 포함하며, 각 산업에서 사용되는 용어가 다르고 장치가 제동되도록 인위적 힘을 부여 받는 모듈을 포함한다. The braking device includes a braking lever, a braking pedal, a brake lever, and a brake pedal. The terms used in each industry are different and include a module that is applied with artificial force to brake the devic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발전기는 동력발생장치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는 회전체의 일측과 이격되어 설치되고 에너지저장장치와 연결되되, 제동장치의 작동으로 상기 회전체의 속도가 감속되는 경우 상기 회전체의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해 상기 회전체와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the rotating bod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power generating device and connected to the energy storage device, when the speed of the rotating body is reduced by the operation of the braking device of the rotating body It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body to receive the rotational forc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회수방법은 동력발생장치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는 회전체의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 요구 제동력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체와 연결되는 발전기의 개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개수의 발전기를 상기 회전체와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energy recover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rotating bod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power generator, determining the number of generators connected to the rotating body based on the required braking forc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he step of connecting the generator with the rotating body.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전기의 개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회전체 속도를 제어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되는 압력을 미리 입력된 수치와 비교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tep of determining the number of generators may further include measuring a pressure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rotating body, and comparing the measured pressure with a previously input value.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전기는 무게가 다른 제2발전기를 더 포함하여, 상기 발전기, 상기 제2발전기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회전체와 연결 또는 이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generator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generator having a different weight, wherein at least one of the generator and the second generator is connected to or separated from the rotating body.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인 도 1에서 보는바와 같이, 제동을 위해 제동페달(86)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72)가 설치된다. 상기 센서(72)는 전자제어장치(70)와 연결되어 신호를 입력받는다. 상기 전자제어장치(70)는 구동축(05)의 에너지가 서브발전기1(241)로 인가될 수 있도록 서브발전기1(241) 또는 연결회전체(후술) 등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센서(72)는 압력센서가 바람직하나, 변위 감지 센서 (또는 위치센서 또는 페달스트로크센서)를 제동페달(86) 부근에 장착하여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실린더유압센서 또는 브레이크 작동 검출기 (작동 여부만을 검출하는 on-off센서)를 포함하는 각종 센서로도 대체가 가능하다. 서브발전기1(241) 또는 연결회전체(후술) 등의 동작은 전자제어장치(70)와 연결되는 솔레노이드밸브1(761)의 개폐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체 중 구동축(05)에 발전기가 탈착(단속)되는 것을 통하여 실시 예를 설명한다. 실시 예의 상기 구동축(05)이 차량에서 그 직경이 적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플라이휠 등을 포함하여 직경을 넓히도록 보조구성을 추가 설치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which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nsor 72 for measuring the pressure of the brake pedal 86 is installed for braking. The sensor 72 is connected to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70 to receive a signal.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7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ub-generator 1 241 or a connecting rotor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energy of the drive shaft 05 can be applied to the sub-generator 1 241. The sensor 72 is preferably a pressure sensor, but a displacement detection sensor (or position sensor or pedal stroke sensor) may be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brake pedal 86 to replace it. In addition, it can be replaced with various sensors including a master cylinder hydraulic sensor or a brake operation detector (on-off sensor that detects whether it is activated). The operation of the sub-generator 1 241 or the connecting rotating body (to be described later) is preferably determined by opening and closing the solenoid valve 1 761 connected to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70.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rough a generator being detached (interrupted) to the drive shaft 05 among the rotating bodie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 shaft 05 of the embodiment has a small diameter in the vehicle, an auxiliary component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to increase the diameter, including a flywheel.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인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자제어장치(70)로부터 연결되어 솔레노이드밸브1(761)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 하나 이상의 구동실린더(78)를 포함하는 액추에이터가 설치된다. 구동실린더(78) 및 솔레노이드밸브1(761)은 구동축(05)과 동일한 움직임을 나타내는 플라이휠 또는 배전기 주변 중 어느 곳이든 구동축(05) 부근에 설치된다. 또한, 구동축(05)과 동일한 움직임을 나타내는 회전체의 다른 예로 브래이크디스크 주변 중 어느 곳이든 설치가 가능하다. 마스터실린더(84)와 제어밸브라인(892), 구동실린더라인(894), 구동실린더하우징(782), 감압라인(896)의 내부는 유체로 압력이 유지된다. 유체로는 액체 또는 기체가 사용될 수 있으나, 액체가 더욱 바람직하다. 솔레노이드밸브1(761)는 전류에 의해 전자석으로 변환이 가능하며 제어밸브라인(892)과 구동실린더라인(894) 사이의 개폐를 결정한다. 솔레노이드밸브1(761)가 닫힌 상태에서는 구동실린더(78)의 내부에 설치된 구동리턴스프링(784)의 장력에 의해 컵씰(786)이 고정된 상태이며, 이로 인해 일체화되어 설치되는 실린더피스톤(788)과 피스톤동작연결부(789)가 움직이지 않는 상태로 유지된다. 감압라인(896)에는 체크밸브(769)가 설치되어, 마스터실린더(84)측의 압력에 의한 유체 이동이 감압라인(896)을 따라서 구동실린더(78)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서브발전기1(241)은 피스톤동작연결부(789)와 연결되어 일체화된 동작을 유도하고, 구동축(05)과는 이격을 두어 평시에는 상호간의 에너지가 인가되지 않도록 설치한다.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which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drives connected to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70 and controlled by the solenoid valve 1 761 An actuator comprising a cylinder 78 is installed. The driving cylinder 78 and the solenoid valve 1 761 are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driving shaft 05 either in the vicinity of the flywheel or the distributor that exhibits the same movement as the driving shaft 05. 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of the rotating body showing the same movement as the drive shaft 05, it is possible to install anywhere in the vicinity of the brake disc. The pressure inside the master cylinder 84, the control valve line 892, the driving cylinder line 894, the driving cylinder housing 782, and the pressure reducing line 896 is maintained as a fluid. As the fluid, liquid or gas may be used, but liquid is more preferable. The solenoid valve 1 (761) can be converted into an electromagnet by electric current and determines opening and closing between the control valve line (892) and the driving cylinder line (894). When the solenoid valve 1 (761) is closed, the cup seal (786) is fixed by the tension of the drive return spring (784) installed inside the drive cylinder (78), and thereby the cylinder piston (788) is integrally installed. And the piston operation connecting portion 789 remain in a non-moving state. A check valve 769 is installed in the depressurization line 896 to prevent fluid movement due to the pressure on the side of the master cylinder 84 from flowing back to the drive cylinder 78 along the decompression line 896. In addition, the sub-generator 1 241 is connected to the piston operation connecting portion 789 to induce an integrated operation,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drive shaft 05 so that energy is not applied to each other during normal times.

제동페달(86)에 의해 마스터실린더(84) 압력이 증가되고, 증압력은 제어밸브라인(892)과 감압라인(896)에 전달된다. 감압라인(896)에는 체크밸브(769)가 설치되어 있어서 체크밸브(769)를 기준으로 더이상의 압력은 전달되지 않게 되고 제어밸브라인(892)으로만 압력이 전달된다. 이 때, 전자제어장치(70)에서 전류를 솔레노이드밸브1(761)로 흘려주면, 전달된 유체압력이 제어밸브라인(892)에서 구동실린더라인(894) 및 구동실린더(78) 내부로 차례로 인가되어 설치된 구동리턴스프링(784)의 장력보다 인가된 증압력이 크게 되어, 실린더피스톤(788), 피스톤동작연결부(789)가 동작하여 함께 연결되어 있는 서브발전기1(241)을 구동축(05) 방향으로 밀어낸다. 구동축(05)의 회전력은 마찰력을 매개로 하여 서브발전기1(241)로 인가되며, 인가된 서브발전기1(241)의 에너지는 에너지저장장치(20)로 저장된다. 또한, 구동축(05)의 회전력은 서브발전기1(241)에 인가된 에너지와 마찰에 의해 발생된 열에너지 소모분 만큼 감소하게 되어 회전속도가 줄어들게 된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761)의 작동을 위해 전력를 소모하게 되나,이런 동작을 통해 저장할 수 있는 전력량과 비교하면 매우 미비하다. The pressure of the master cylinder 84 is increased by the braking pedal 86, and the increased pressur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valve line 892 and the decompression line 896. The pressure reducing line 896 is provided with a check valve 769, so that no more pressure is transmitted based on the check valve 769, and pressure is transmitted only to the control valve line 892. At this time, when the electric current flows from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70 to the solenoid valve 1 761, the transmitted fluid pressure is sequentially applied from the control valve line 892 to the drive cylinder line 894 and the drive cylinder 78. The applied pressure increase is greater than the tension of the installed drive return spring 784, and the cylinder piston 788 and the piston operation connecting portion 789 operate to move the subgenerator 1 241 connected together to the drive shaft 05 direction. Push it ou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shaft 05 is applied to the sub-generator 1 241 through the frictional force, and the energy of the applied sub-generator 1 241 is stored in the energy storage device 20. In additio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shaft 05 is reduced by the energy applied to the sub-generator 1 241 and the heat energy consumption generated by friction, thereby reducing the rotational speed. Electric power is consumed for the operation of the solenoid valve 1 (761), but compared to the amount of power that can be stored through such operation, it is very incomplete.

제동페달(86)에서 압력이 제거되면, 솔레노이드밸브1(761)이 닫히도록 하여, 제동페달(86)을 동작시키지 않는 상태에서는 구동축(05)과 서브발전기1(241)에 이격을 두어 상호간에 에너지가 인가되지 않도록 전자제어장치(70)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동페달(86)의 압력이 제거되면서 솔레노이드밸브1(761)이 닫히게 되면, 복원력이 작용하여 마스터실린더(84)와 제어밸브라인(892)의 압력이 낮아진다. 구동실린더라인(894), 구동실린더하우징(782)의 압력은 높은 상태이지만 마스터실린더(84)와 제어밸브라인(892)의 압력은 상대적으로 낮게 되어, 감압라인(896)을 통해 유체가 흘러 압력의 균형을 맞추게 된다. 동시에 구동리턴스프링(784)의 장력에 의해 실린더피스톤(788), 피스톤동작연결부(789), 서브발전기1(241)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면서 일시적으로 증압이 되는데, 이 증압된 유체도 감압라인(896)으로 흘러가면서 구동실린더(78) 내부의 압력이 원래대로 복원된다. 즉, 복원시에는 스프링장력과 파스칼의 원리가 동시에 작용하게 된다. 이 때, 서브발전기1(241)은 구동축(05)과 이격이 생기더라도, 관성력에 의해 지속적으로 에너지저장장치(20)에 에너지를 저장하게 된다.When the pressure is removed from the braking pedal 86, solenoid valve 1 761 is closed so that when the braking pedal 86 is not operated, the drive shaft 05 and the sub generator 1 24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o set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70 so that no energy is applied. When the pressure of the braking pedal 86 is removed and the solenoid valve 1 761 is closed, the restoring force acts to lower the pressure of the master cylinder 84 and the control valve line 892. Although the pressures of the driving cylinder line 894 and the driving cylinder housing 782 are high, the pressures of the master cylinder 84 and the control valve line 892 are relatively low, and fluid flows through the pressure reducing line 896. Balance. At the same time, the cylinder piston 788, the piston operation connecting portion 789, and the sub-generator 1 241 are temporarily restored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tension of the drive return spring 784, and this pressure-increased fluid is also depressurized. As it flows to 896, the pressure inside the driving cylinder 78 is restored. That is, when restoring, the principles of spring tension and Pascal work simultaneously. At this time, even if the sub-generator 1 241 is spaced apart from the drive shaft 05, energy is continuously stored in the energy storage device 20 by the inertia force.

또한, 상기 제동장치의 작동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 상기 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는 전자제어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제어장치는 미리 입력된 수치와 비교하여 상기 회전체와 연결되는 상기 발전기의 개수를 선택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ensor for measuring the operating pressure of the braking device, and further comprising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sensor,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is compared to a number previously input the number of the generator connected to the rotating body It is more preferable to select.

또한, 상기 회전체 속도를 제어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와 연결되는 전자제어장치로 상기 측정된 압력을 미리 입력된 수치와 비교하여 상기 회전체와 단속되는 상기 발전기의 개수 및 종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tep of selecting the number and type of the generator that is intermittent with the rotating body by comparing the measured pressure with a previously input value with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connected to a sensor for measuring the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rotating body speed. It includes more.

또한, 상기 전자제어장치가 하나 이상의 솔레노이드밸브에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를 결정하며,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에 의하여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발전기의 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회전체에 상기 발전기의 단속 여부가 결정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determine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olenoid valve by supplying current to one or more solenoid valves, and controlling the position of one or more generators connected to the solenoid valve by opening and closing the solenoid valve, to the rotating body And determining whether the generator is in control.

한편, 전자제어장치는 동력발생장치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는 회전체의 속도가 제동장치의 작동으로 감속되는 경우, 상기 제동장치의 제동압력을 측정하는 센서에서 신호를 받고, 미리 입력된 수치와 비교하여, 발전기가 상기 회전체의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상기 발전기를 상기 회전체에 연결하되, 상기 회전체와 연결되는 상기 발전기의 개수 및 종류를 선택하여 상기 회전체와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receives a signal from a sensor measuring the braking pressure of the braking device when the speed of the rotating bod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power generating device is decel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braking device, and compares it with a previously input value. , Connecting the generator to the rotating body so that the generator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ng body, and controlling the connection to the rotating body by selecting the number and type of the generator connected to the rotating body.

동축(05)에서 인가되어 감소되는 에너지양은 연결되는 발전기의 개수에 의해 결정된다. 더욱 강한 제동을 요구할 경우, 요구 제동력을 센서(72)에서 전자제어장치(70)로 전달한다. 이 경우 더 많은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상황이 되며, 이를 위하여 서브발전기 및 액추에이터 수를 다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략적 입체구성을 표현한 사시도인 도 4 및 정면도인 도 5에서와 같이, 구동축(05)의 외곽에 이격을 두어 서브발전기를 다수 설치하여, 요구 제동력이 크지 않을 경우에는 서브발전기 하나만 구동축(05)에 접촉시켜 에너지를 인가시키고, 요구 제동력이 클 경우에는 다수의 서브발전기를 접촉시켜 에너지 인가량을 크게하여 구동축(05)의 감속량을 크게 하면 더 강한 제동력을 얻게 되는 동시에 많은 양의 에너지를 저장하게 된다. The amount of energy applied and reduced by the coaxial 05 is determined by the number of connected generators. When a stronger braking is required, the required braking force is transmitted from the sensor 72 to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70. In this case, a situation in which more energy can be stored, and for this purpose, it is desirable to have a large number of subgenerators and actuators. 4, which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which is a front view, spaced apart from the outside of the drive shaft 05 to install a plurality of sub-generators, when the required braking force is not large When only one sub-generator contacts the drive shaft 05 to apply energy, and when the required braking force is large, a larger amount of energy is applied by contacting a plurality of sub-generators to increase the deceleration amount of the drive shaft 05 to obtain stronger braking force. At the same time, it stores a large amount of energy.

속도제어장치는 동력발생장치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는 회전체의 속도를 제어하되, 발전기를 포함하고, 상기 발전기는 에너지저장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체의 일측과 이격되어 상기 회전체와 단속되어 상기 회전체의 속도를 상기 발전기와 상기 회전체의 단속으로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The speed control device controls the speed of the rotating body that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power generating device, and includes a generator, wherein the generator is connected to the energy storage device and is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the rotating body and intermittently intermittently connected to the rotating body. And controlling the overall speed by intermittent control of the generator and the rotating body.

전자제어장치(70)에서는 센서(72)의 상태를 감지하여 미리 설정된 조건에 의해 순차적으로 솔레노이드밸브1(761) 내지 솔레노이드밸브8(768)를 열게 된다. 상세한 예를 개념도인 도 6과 함께 설명하면, 2,600rpm에서 2,000rpm으로 감속하게 될 때, 솔레노이드밸브1(761)과 솔레노이드밸브5(765) 및 솔레노이드밸브3(763)을 열고 이에 따라서 서브발전기1(241), 서브발전기5(245), 서브발전기3(243)이 구동축(05)에 접촉하며 에너지가 인가된다. 인가된 에너지는 에너지저장장치(20)에 저장되게 되고, 회전속도는 2,000rpm까지 감속하게 된다. 만약, 이 단계에서 보정이 필요한 상황으로 전자제어장치(70)에서 감지했다면, 추가적으로 솔레노이드밸브7(767)을 열어 접촉하지 않고 있던 서브발전기7(247)을 구동축(05)에 접촉시켜 회전속도를 줄이면서 에너지를 저장하게 된다. 만약, 접촉하지 않던 것을 접촉시키는 것으로 인하여 구동축(05)이 필요 이상으로 과도하게 감속될 것으로 전자제어장치(70)에서 미리 설정된 값에 의해 인지한다면 서브발전기7(247)을 접촉시킴과 동시에, 접촉하고 있던 솔레노이드밸브1(761)를 닫아 서브발전기1(241)을 구동축(05)에서 이격시킨다. 접촉하지 않고 있던 서브발전기를 회전시키는 에너지가, 접촉하여 회전하고 있는 서브발전기를 회전시키는 에너지보다 항상 크다는 관성력(정지된 서브발전기는 지속적으로 움직이지 않고자 하는 힘이 작용함)과 마찰력의 자연법칙을 이용하여 상기와 같이 좀 더 미세한 속도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구동축(05)의 속도가 더욱 감속되면, 상기의 절차를 반복하며 솔레노이드밸브1 내지 솔레노이드밸브8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구동축(05)의 속도를 제어하며 에너지를 저장하게 된다.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70 senses the state of the sensor 72 and sequentially opens the solenoid valve 1 761 to the solenoid valve 8 768 according to a preset condition. When the detailed example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which is a conceptual diagram, when decelerating from 2,600 rpm to 2,000 rpm, the solenoid valve 1 (761), the solenoid valve 5 (765) and the solenoid valve 3 (763) are opened and the subgenerator 1 accordingly. (241), the sub-generator 5 (245), the sub-generator 3 (243) is in contact with the drive shaft 05, energy is applied. The applied energy is stored in the energy storage device 20, and the rotation speed is reduced to 2,000 rpm. If, in this step,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70 detects a situation in which correction is necessary, additionally, the solenoid valve 7 767 is opened, and the subgenerator 7 247, which has not been contacted,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drive shaft 05 to increase the rotation speed. It saves energy while reducing. If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70 recognizes that the drive shaft 05 will be excessively decelerated more than necessary by contacting the non-contact, the sub-generator 7 247 is contacted at the same time. The solenoid valve 1 (761) was closed to separate the sub generator 1 (241) from the drive shaft (05). The natural law of inertia (the force that the stationary subgenerator does not move continuously) and the frictional force that the energy of rotating the subgenerator that is not in contact is always greater than the energy of rotating the subgenerator that is in contact with it is rotating. As described above, finer speed control is possib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peed of the drive shaft 05 is further decelerated, the above procedure is repeate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solenoid valve 1 to the solenoid valve 8 to control the speed of the drive shaft 05 and store energy.

또한, 상기 발전기는 상기 회전체와 연결되는 무게가 다른 제2발전기를 더 포함하여, 상기 신호에 따라서 상기 발전기, 상기 제2발전기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회전체와 연결 또는 이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Further, the generator further includes a second generator having a different weight connected to the rotating body,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f the generator and the second generator is connected to or separated from the rotating body according to the signal.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인 도 7에서와 같이, 발전기의 크기를 다르게 설계하게 되면 더욱 정밀한 속도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큰 감속일 경우에, 긴 직경의 서브발전기3(243)을 접촉시켜 더욱 큰 에너지를 한꺼번에 인가시킬 수 있다. 크기가 다른 서브발전기를 다수 설치하여 작은 반경의 서브발전기를 함께 구동시키면 더욱 미세한 속도제어가 가능하다. 서브발전기의 반경이 클 수록 관성력이 크고 서브발전기를 회전시켜야 하는 구동축(05)의 인가에너지가 많이 요구되지만, 이는 반대로 구동축(05)로부터 이격이 생기더라도 큰 관성력으로 더 오랜시간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더 많은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에너지가 구동축(05)에서 서브발전기로 인가될 때, 정지되어 있던 서브발전기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서브발전기에 작용하는 관성력보다 강한 힘이 필요하나, 이렇게 관성력에 대응하는 에너지는 서브발전기가 구동축(05)에서 이격된 이후에 회전관성을 갖게 하기 때문에, 관성력만큼의 에너지가 소모되는 것은 아니다. 즉, 큰 직경의 서브발전기를 회전시킬 때 더 많은 에너지가 요구되나, 이격 이후에 큰 직경의 서브발전기가 더 오랜시간 회전한다는 관성의 원리를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에너지 인가는 구동축(05)과 서브발전기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로 인한 소량의 열에너지를 제외하고는 효율적으로 많은 양을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처럼 연결되는 서브발전기의 개수와 크기와 무게를 통하여 전달되는 회전력의 크기가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which is a front vi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ize of the generator is designed differently, more precise speed control is possible. In the case of a large deceleration, a larger diameter of the sub-generator 3 243 may be contacted to apply more energy at once. If multiple sub-generators of different sizes are installed and the sub-generators of a small radius are driven together, finer speed control is possible. The larger the radius of the sub-generator, the greater the inertia force and the more the applied energy of the drive shaft 05 to rotate the sub-generator is required. On the contrary, even if there is a separation from the drive shaft 05, it can rotate for a longer time with a large inertia force. It means you can store more energy. When energy is applied to the sub-generator from the drive shaft 05, a force greater than the inertia force acting on the sub-generator is required to rotate the stationary sub-generator, but the energy corresponding to the inertia force is the sub-generator drive shaft 05 Since it has rotational inertia after being separated from, energy is not consumed as much as inertia. That is, more energy is required when rotating a large-diameter subgenerator, but this explains the principle of inertia that a large-diameter subgenerator rotates for a longer time after separation. Therefore, the energy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iciently store a large amount except for a small amount of thermal energy due to friction generated between the drive shaft 05 and the sub-generator. As described above, the number and size of the connected sub-generators and the size of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weight may be set differently.

또한, 상기 구동축(05)과 동일한 회전을 하는 플라이휠 회전면을 포함하는 서브발전기와의 접촉면 및 상기 접촉면과 마찰에 의해 에너지를 인가받는 서브발전기의 회전면은 마찰차 또는 기어 중 하나 이상의 탈착 구조인 마찰면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sub-generator including a flywheel rotating surface that rotates the same as the drive shaft 05 and the rotational surface of the sub-generator receiving energy by friction with the contact surface is a friction surface that is a detachable structure of one or more of a friction difference or a gear. It includes.

상세하게는 구동축(05)의 회전면과 플라이휠의 회전면은 동일한 속도를 나타내며, 서브발전기는 구동축(05)과 동일한 속도의 에너지를 인가받을 수 있는 위치 어느 곳이든 설치가 가능하다. 이런 구동축(05) 회전면은 서브발전기의 회전면과 접촉 후 마찰에 의해 에너지가 인가되는데, 이렇게 접촉되는 구동축(05)의 접촉면과 서브발전기의 회전면 쌍은 마찰차 또는 기어 중 하나 이상의 탈착구조인 마찰면으로 설계할 수 있다. 단면원형차일 경우에 미끄럼이 생겨 확실한 동력전달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차의 재료로서 금속보다 마찰력이 큰 재료인 나무, 가죽, 고무와 같은 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 마찰차 형태로서 원주형마찰차(평마찰차) 또는 원추차가 가능하나, 마찰차의 표면에 원주에 맞추어 V자형의 홈을 판 홈붙이마찰차(Grooved Friction wheel)을 통해 회전력을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마찰차의 구조에 마멸이나 발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모양을 마찰차의 접촉표면을 기준으로 원통차의 둘레에 등간격으로 돌기부분을 만든 기어형태가 실시 가능한 바람직한 예이다. 스퍼기어, 헬리컬기어, 더블헬리컬기어, 스크루기어 뿐만 아니라 서브발전기의 위치를 조정하면 곡선 베벨기어, 제롤베벨기어, 하이포이드 기어, 페이스기어 등 어떤 형태든지 응용이 가능하다. In detail, the rotational surface of the drive shaft 05 and the rotational surface of the flywheel represent the same speed, and the sub-generator can be installed at any position where energy of the same speed as the drive shaft 05 can be applied. The rotational surface of the drive shaft 05 is energized by friction after contact with the rotational surface of the sub-generator, and the contact surface of the drive shaft 05 and the rotational surface pair of the sub-generator in contact with each other are friction surfaces that are detachable structures of one or more of a friction difference or gear Can be designed as In the case of a circular cross section, there is a limit to the reliable power transmission due to slippag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use materials such as wood, leather and rubber, which are materials having a greater frictional force than metal, as a material for a car. As a friction car, a cylindrical friction car (flat friction car) or a conical car is possible, but it is desirable to increase the rotational force through a grooved friction wheel with a V-shaped groove conforming to the circumference on the surface of the friction car. Do. Or, in order to prevent abrasion or heat generation in the structure of the friction car, a gear form in which the shape of the protrusion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round the cylindrical car based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friction car is a preferred example. Spur gears, helical gears, double helical gears, screw gears, as well as sub-generators can be adjusted to accommodate any form, such as curved bevel gears, zero-roll bevel gears, hypoid gears, face gears.

또한, 상기 발전기 및 상기 회전체의 단속을 위해 연결회전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회전체는 상기 제동장치가 작동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발전기 중 적어도 하나의 발전기 및 상기 회전체 사이에 인입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력을 전달받고 상기 발전기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addition, to further control the generator and the rotating body, a connecting rotating body is further included, and when the braking device is operated, the connecting rotating body is drawn betwee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generators and the rotating body. It is more preferable to receiv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ng body and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to the generator.

또한, 상기 발전기와 상기 회전체와의 단속을 위해 하나 이상의 연결회전체, 하나 이상의 솔레노이드밸브 및 하나 이상의 발전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전기와 상기 제1구동축 사이에 상기 연결회전체가 인입되도록 하되, 상기 전자제어장치는 상기 센서에서 전달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동장치의 작동 압력을 인지하고 미리 입력된 수치와 비교하여,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에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를 결정하며,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에 의하여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에 연결된 상기 연결회전체의 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발전기와 상기 회전체 사이에 인입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In addition, for intermittent control between the generator and the rotating body,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connecting rotating body, at least one solenoid valve and at least one generator, and allowing the connecting rotating body to be introduced between the generator and the first driving shaft,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receive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or, recognizes the operating pressure of the braking device, compares it with a previously input value, supplies current to the solenoid valve to determin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olenoid valve, and the solenoid And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connecting rotator connected to the solenoid valve by opening and closing a valv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inlet is between the generator and the rotator.

또한, 상기 전자제어장치는 상기 신호 및 상기 미리 입력된 수치를 비교하여 솔레노이드밸브로 전류 공급 여부를 선택하여 개폐를 결정하며,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에 연결된 상기 연결회전체의 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발전기와 상기 회전체 사이에 인입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compares the signal and the previously input valu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supply a current to a solenoid valve to determine opening and closing, and controls the position of the connecting rotor connected to the solenoid valve to control the generator and the It is more preferable to decide whether or not to draw between the rotating bodies.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인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브발전기1(241)과 구동축(05)은 이격되어 설치되고, 구동축(05)과 동일한 움직임을 나타내는 플라이휠(18)과 서브발전기1(241)이 탈착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서브발전기1(241)과 플라이휠(18) 사이에 연결회전체(26)가 설치된다. 연결회전체(26)는 구동실린더(78)와 연결되어, 실린더피스톤과 피스톤동작연결부와 일체화된 작동을 하게 된다. 구동실린더(78)는 솔레노이드밸브1(761)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며, 상기 도 2의 실시예에서의 서브발전기1(241)를 플라이휠(18)에 접촉/이격 조건과 유사한 방식으로 연결회전체(26)를 플라이휠(18)과 서브발전기1(241) 사이에 접촉/이격이 가능하도록 설치한다. 에너지인가가 요구되는 상황에서는 연결회전체(26)가 플라이휠(18)과 서브발전기1(241) 사이에 접촉되어 에너지를 인가시키는 역할을 하며, 에너지인가가 요구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연결회전체(26)가 플라이휠(18) 및 서브발전기1(241)과 이격된다. 이러한 서브발전기 및 연결회전체를 다수 설치하여 효율적인 에너지인가를 실시하게 된다.As shown in FIG. 8, which is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generator 1 241 and the drive shaft 05 are installed spaced apart, and the flywheel 18 and the sub-generator 1 241 showing the same movement as the drive shaft 05. ) Is installed to be detached. A connecting rotor 26 is installed between the sub-generator 1 241 and the flywheel 18. The connecting rotating body 26 is connected to the driving cylinder 78 to operate integrally with the cylinder piston and the piston operation connecting portion.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cylinder 78 is controlled by the solenoid valve 1 761, and the sub-generator 1 241 in the embodiment of FIG. 2 is connected to the flywheel 18 in a manner similar to the contact/spacing condition. 26 is installed so that contact/spacing between the flywheel 18 and the sub-generator 1 241 is possible. In a situation in which energy application is required, the connecting rotor 26 contacts between the flywheel 18 and the sub-generator 1 241 to apply energy, and in a situation in which energy application is not required, the connecting rotor 26 ) Is spaced apart from the flywheel 18 and the sub-generator 1 241. Efficient energy application is performed by installing a number of such sub-generators and connecting rotors.

연결회전체(26)는 키, 핀, 스플라인, 코터를 포함하는 어떤 형태로도 설계가 가능하나, 연결회전체(26)와 플라이휠(18)간의 속도차이가 있을 경우, 과도한 마모나 스파크가 우려되므로, 원뿔기둥형태로의 마찰차(두 축 사이에서 서로 접촉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설계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마찰차, 즉 구동축(05)과 평행하나 동일선상은 아닌 상태에서 연결회전체(26)를 인입 및 분리하는 설계 뿐 아니라, 구동축(05)과 동일선상에 연결회전체(26) 및 이 에너지를 인가받는 물체가 구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싱크로매시 등을 이용하여 마모나 진동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The connecting rotator 26 can be designed in any form including a key, pin, spline, and coater, but if there is a speed difference between the connecting rotator 26 and the flywheel 18, excessive wear or spark is a concern.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design a friction difference in the form of a conical column (which transmits power by contacting each other between the two axes). The friction difference, that is, parallel to the drive shaft 05 but not in the same line, is designed to pull in and separate the connecting rotator 26, as well as the connecting rotator 26 and the same as the driving shaft 05. It is also possible to cause an object to be energized to be driven.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minimize wear or vibration by using a synchro mesh.

또한, 복수의 발전기는 회전체의 원주방향으로 배열되어 회전체의 회전축 방향으로 접촉하는 힘의 합력이 0이 되도록 적어도 두 개가 동시에 접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generators are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body so that at least two of them simultaneously contact so that the sum of the forces in the rotating shaft direction of the rotating body becomes 0.

더욱 상세하게는 급제동 여부를 판단하는 바람직한 예로, 제동페달(86)에 장착된 변위 감지 센서(또는 위치센서) 및 시간 감지 센서로부터 제동 변위 및 제동페달 이동 시간 값을 입력 받아 제동페달의 이동 속도를 계산하고 이것을 사전 설정된 급제동 여부를 결정하는 속도와 비교하여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급제동 결정 여부는 여러 차례 시행착오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고정된 값으로 적용할 수도 있고, 운전자의 조작을 수집 및 분석하여 사전에 입력된 계산식에 의해 변경시켜 재저장할 수도 있다. 계산된 제동페달(86) 이동속도와 사전 설정된 급제동 여부 결정 속도를 비교하여 그 속도가 더 크면, 급제동으로 결정한다. 상기 과정을 거쳐 급제동이라 판단되는 경우, 구동축(05)을 빠르게 제어하기 위하여 서브발전기 다수를 구동축(05)에 연결한다. 이 때 구동축(05)의 균형과 더 빠른 제동을 위하여 구동축 중심으로 작용하는 서브발전기의 힘은 제로에 맞추도록 한다. 도 5를 예로 설명할 때, 2방향 내지 8방향 중 2방향의 예라면 서브발전기1(241) 및 서브발전기5(245)가 동시에 연결되도록 한다. 구동축(05)을 중심으로 타측에 위치한 서브발전기를 동시에 연결하도록 한다. 4방향의 예로는 서브발전기1(241), 서브발전기3(243), 서브발전기5(245), 서브발전기7(247)을 동시에 접촉시킨다. 3방향 및 5방향의 경우도 (도면에 기재하지 않음) 중심 방향으로 균형을 이루도록 서브발전기를 동시에 연결시킨다. 또한, 후술할 도 9에서와 같은 경우에는 서브발전기1(241), 서브발전기2(242), 서브발전기3(243)이 브레이크디스크(96)에 접촉되도록 설정하는 경우에 상기의 서브발전기들이 상기 브레이크디스크(96) 반대편에도 설치되어 동시에 연결(접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원리와 서브발전기의 수 및 위치가 도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운전자가 제동페달(86)을 밟으면서부터 발전기단속(탈착)의 제어가 시작된다. 차속, 브레이크 신호 변화율, 휠의 슬립율 등을 참고하여 유압제동 제어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패닉 제동이나 급박한 상황으로 판단되면, 유압제동 제어를 우선적으로 시행하며, CBS 또는 ABS 제어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more detail, as a preferred example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sudden braking is performed, the movement speed of the braking pedal is received by receiving the values of the braking displacement and braking pedal movement time from the displacement detection sensor (or position sensor) and the time detection sensor mounted on the braking pedal 86. It calculates and compares this with the spe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 predetermined sudden braking is performed. Whether such a sudden braking decision can be made can be decided by trial and error several times. It can be applied as a fixed value, or the driver's operation can be collected and analyzed, and changed by a pre-entered calculation formula to be stored again. When the calculated speed of the braking pedal 86 is compared with a predetermined speed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sudden braking is performed, if the speed is greater, it is determined as the sudden braking. When it is determined through the above process that the sudden braking is performed, a plurality of sub-generators are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05 to quickly control the drive shaft 05. At this time, for the balance of the drive shaft 05 and faster braking, the force of the sub-generator acting as the center of the drive shaft is set to zero. Referring to FIG. 5 as an example, in the case of the two directions of the two directions to the eight directions, the subgenerator 1 241 and the subgenerator 5 245 are simultaneously connected. The sub-generators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drive shaft 05 are simultaneously connected. As an example of the 4-direction, the sub-generator 1 241, the sub-generator 3 243, the sub-generator 5 245, and the sub-generator 7 247 are brought into contact at the same time. In the case of 3 directions and 5 directions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subgenerators are connected at the same time to achieve a balance in the center direction. In addition, in the case of FIG. 9 to be described later, when the subgenerator 1 241, the subgenerator 2 242, and the subgenerator 3 243 are set to contact the brake disc 96, the subgenerators are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o be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brake disc 96 to be connected (contacted) at the same time. This principle and the number and location of sub-generators are not limited to the drawings. In addition, control of the generator interruption (desorption) starts when the driver depresses the brake pedal 86.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hydraulic braking is controlled by referring to the vehicle speed, the brake signal change rate, and the wheel slip rate. If it is judged that panic braking or an urgent situation is desired, it is preferable to perform hydraulic braking control first, and to perform CBS or ABS control.

또 다른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 9에서와 같이, 브레이크디스크(96)와 발전기를 연결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상기한 회전체는 구동축과 브레이크디스크(96)를 포함한다. 브레이크디스크(96)의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하여 서브발전기1(241) 내지 서브발전기3(243)이 마찰면과 단속되도록 설치된다. 전자제어장치에서 구동실린더(78)를 제어하여 서브발전기 (241 내지 243)의 위치를 결정하고 회전력 전달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브레이크디스크(96)와 단속되는 서브발전기의 개수와 종류는 상기한 바와 같은 조건에 의해 상황에 맞추어 탈착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9 showing another embodiment, it may be installed to connect the brake disc 96 and the generator. The above-described rotating body includes a drive shaft and a brake disc 96. In order to receiv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brake disc 96, the sub-generators 1 241 to Sub-generators 3 243 are installed to be intermittent with the friction surface. The driving cylinder 78 is controlled by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sub-generators 241 to 243 and determine whether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The number and type of the sub-generators intermittent with the brake disc 96 are detach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as described above.

또한, 상기 회전체는 상기 동력발생장치와 연결된 제1구동축 및 상기 제1구동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제2구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구동축과 상기 제2구동축 사이에서 동력을 단속하는 클러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rotating body includes a first driving shaft connected to the power generating device and a second driving shaft receiving power from the first driving shaft, and further comprising a clutch that regulates power between the first driving shaft and the second driving shaft. It is more preferable to include.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제1구동축 및 제2구동축은 차량의 전륜 및 후륜과는 명확히 구분되어 이해할 필요가 있다.The first drive shaft and the second drive shaft in the present invention need to be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front and rear wheels of the vehicle.

또한, 당업자의 관점에 따라 상기 제1구동축(15)은 원동축, 상기 제2구동축(55)은 종동축, 상기 구동축은 주축으로 이해할 수도 있으나, 이하 제1구동축 및 제2구동축, 구동축으로 기술한다.Further, according to the viewpoint of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first driving shaft 15 may be understood as a main shaft, the second driving shaft 55 may be a driven shaft, and the driving shaft may be understood as a main shaft, but hereinafter described as a first driving shaft, a second driving shaft, and a driving shaft. do.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인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엔진(12) 내 연소실에서 산소와 결합하며 열에너지를 포함하는 역학적에너지가 발생하고, 상기 연소실과 연결된 크랭크축 또는 터빈을 통하여 회전에너지로 전환된다. 이렇게 전환된 회전에너지는 제1구동축(15), 클러치(40), 제2구동축(55), 에너지출력부로 인가된다. 상기 에너지출력부는 차량의 경우에 차륜을 포함한다. 회전체는 상기 제1구동축(15), 상기 클러치(40), 상기 제2구동축(55), 에너지출력부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12)에서 발생한 역학에너지를 전달하는 제1구동축(15) 및 엔진(12)에서부터 차륜 사이에 하나 이상의 위치에 설치되어 제1구동축(15)으로부터 인가된 역학에너지를 전달하거나 제동시에는 분리되어 동력 전달을 차단하는 클러치(40) 및 클러치(40)와 브레이크디스크(96)를 연결하는 제2구동축(55) 및 제2구동축(55)의 회전속도를 감속하는 제동페달(86), 배력장치(82), 마스터실린더(84)를 포함하는 제동장치(80) 및 상기 제1구동축(15)과 연결되는 에너지저장장치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3, which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chanical energy is generated that is combined with oxygen in the combustion chamber in the engine 12 and includes thermal energy, and the crankshaft connected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it is converted to rotational energy through a turbine. The converted rotation energy is applied to the first drive shaft 15, the clutch 40, the second drive shaft 55, and the energy output unit. The energy output unit includes a wheel in the case of a vehicle. The rotating body includes the first driving shaft 15, the clutch 40, the second driving shaft 55, and an energy output unit. More specifically, it is installed at one or more positions between the first drive shaft 15 and the engine 12 to transmit the dynamic energy generated in the engine 12, and transmits the applied dynamic energy from the first drive shaft 15 or When braking, the brake 40 (separately blocks the transmission of power) and the brake pedal (reduc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econd drive shaft 55 and the second drive shaft 55 connecting the clutch 40 and the brake disc 96) 86), a power distribution device 82, a braking device 80 including a master cylinder 84, and an energy storage device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shaft 15.

상기 클러치(40)는 유체응집력(cohesive force)을 포함하는 전달력, 마찰력, 장력, 탄성력, 자기력, 전자력(電磁力), 원심력(centrifugal force) 중 하나 이상의 힘을 이용하는 클러치를 포함한다.The clutch 40 includes a clutch that uses one or more of transmission force, friction force, tension, elastic force, magnetic force, electromagnetic force, and centrifugal force, including a cohesive force.

또한, 제동상태를 위하여 제동페달(86), 배력장치(82), 마스터실린더(84), 브레이크라인(88), 브레이크실린더(92), 브레이크캘리퍼(94), 브레이크디스크(96)가 연결 설치된다. 또한, 상기 마스터실린더(84)에는 클러치라인(87), 릴리스피스톤(59), 릴리스포크(58), 릴리스레버(46)를 연결 설치한다. In addition, for the braking state, the brake pedal (86), the booster (82), the master cylinder (84), the brake line (88), the brake cylinder (92), the brake caliper (94), and the brake disc (96) are installed in connection. do. Further, a clutch line 87, a release piston 59, a release fork 58, and a release lever 46 are connected to the master cylinder 84.

엔진(12) 또는 모터에 의해 발생한 역학에너지, 상세하게는 회전에너지는 제1구동축(15)으로 전달되어 플라이휠(18)에 인가되고 클러치(40)를 회전시킨다. 평시, 즉 주행시에는 클러치(40)가 연결되어져 있어서, 제2구동축(55), 브레이크디스크(96), 에너지출력부인 차륜에까지 전달되어, 이들 모두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제동시에는 제동페달(86)을 밟으면 힘을 증폭시키기 위한 배력장치(82)를 통해 마스터실린더(84)에 압력이 전달된다. 마스터실린더(84)에는 유액이 채워져 있고, 파스칼의 원리를 이용하여 마스터실린더(84)에 붙어 있는 작은 실린더 안의 브레이크 액을 압축하게 되며, 이 힘은 브레이크라인(88)을 타고 브레이크실린더(92)에 순차적으로 압력이 전달되어 브레이크캘리퍼(94)에 작용하여 압착력으로 변환된다. 회전하고 있던 제2구동축(55)에 연결된 브레이크디스크(96)와 마찰을 일으키며 열에너지로 변환되어 소모되면서 속도를 제어하게 된다. 유액을 이용하여 힘을 전달할 경우, 힘의 증폭이 용이하다. 유압 브레이크는 고압으로 작동되므로 제동장치 구성부품의 크기, 예를 들면 휠 실린더의 직경이 작아도 큰 힘을 얻을 수 있다. 또 브레이크액은 비압축성이므로 공극(air gap)이 작다면, 적은 유량으로도 여러 개의 휠 실린더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다. 즉, 제동페달을 밟으면 라인압력은 급속히 상승하고, 이 압력에 의해 각 휠 실린더의 피스톤도 즉시 작동하여 각 차륜에 제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The dynamic energy generated by the engine 12 or the motor, in particular, the rotational energy is transmitted to the first driving shaft 15 and applied to the flywheel 18 to rotate the clutch 40. During normal driving, that is, during driving, the clutch 40 is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shaft 55, the brake disc 96, and the wheels which are the energy output units, so that they all rotate at the same speed. When braking, pressure is transmitted to the master cylinder 84 through the booster 82 for amplifying the force when the brake pedal 86 is stepped on. The master cylinder 84 is filled with latex, and compresses the brake fluid in a small cylinder attached to the master cylinder 84 using the Pascal principle, and this force rides the brake line 88 to break the cylinder 92 Pressure is sequentially transmitted to the brake caliper 94 and is converted into a compressive force. It causes friction with the brake disc 96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shaft 55 that is rotating, and is converted into thermal energy and consumed to control the speed. When the force is transmitted using latex, it is easy to amplify the force. Since the hydraulic brake is operated at a high pressure, a large force can be obtained even if the size of the brake component, for example, the diameter of the wheel cylinder is small. In addition, since the brake fluid is incompressible, if the air gap is small, several wheel cylinders can be operated at the same time with a small flow rate. That is, when the brake pedal is depressed, the line pressure rises rapidly, and the piston of each wheel cylinder immediately operates by this pressure, thereby generating braking force in each wheel.

동력 전달시에는 코일스프링(56)이 클러치디스크(42)에 대항하여 클러치압력판(44)을 누르고 있게 되어, 클러치디스크(42)는 플라이휠(18)의 마찰면과 클러치압력판(44) 사이에서 압착된다. 엔진(12) 또는 모터에서 변환된 에너지는 제1구동축(15)에 의해 플라이휠(18)에 전달되고, 상기 압착력에 의해 생성된 마찰력은 클러치디스크(42)의 유효반경에 작용하는 토크로 변환되어 제2구동축(55)에 전달된다. 제동을 위하여 제동페달(86)에 압력을 가하면 상기와 같이, 마스터실린더(84)에 채워진 유액이 배력장치(82)에 의해 압력을 받아 파스칼의 원리에 따라 브레이크라인(88)과 클러치라인(87)에 각각 전달된다. 제동을 위한 유액은 브레이크라인(88)으로 흘러들어 차륜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릴리스포크(58)는 릴리스중심축(505)을 기준으로 지렛대원리를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한 것으로서, 릴리스중심축(505)을 기준으로 하부에는 릴리스피스톤(59)이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릴리스피스톤(59)은 실린더하우징(506) 내에 유액 또는 공기로 가득 채워져 외부로부터의 압력이 있을 경우, 접촉피스톤(508)이 릴리스포크(58) 하부 방향으로 밀려나가도록 설계한다. 클러치라인(87)을 통한 압력이 푸쉬로드(504)에 전달되어 실린더하우징(506) 내부의 압력을 상승시키면 접촉피스톤(508)이 릴리스포크(58) 하부를 밀면서 릴리스링(54)-릴리스레버(46)-클러치압력판(44)으로 순차적으로 힘이 인가되면서 클러치(40)내부에 이격이 생겨 제1구동축(15)과 제2구동축(55)의 회전력이 분리된다. 다시 말해서, 코일스프링(56)의 압착력으로 작용하는 복원력보다 릴리스링(54)을 누르는 힘이 더 커지면, 지렛대 원리로 설치된 릴리스링(54), 릴리스레버(46), 클러치압력판(44)에 의해 클러치압력판(44)이 클러치디스크(42)로부터 분리된다. 클러치압력판(44)이 클러치디스크(42)로부터 분리되면, 플라이휠(18)과 클러치디스크(42), 클러치압력판(44) 사이에는 간극이 조성되고, 제1구동축(15)과 제2구동축(55) 간의 토크는 전달될 수 없게 된다. 또한, 제동페달(86)에서 힘을 제거하여 압력이 제거되면, 리턴스프링(502)에 의하여 접촉피스톤(508)이 복귀되고, 클러치디스크(42)는 코일스프링(56)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플라이휠(18)과 클러치압력판(44) 사이에서 압착된다. 따라서 제1구동축(15)에서 전달된 에너지는 플라이휠(18)의 동력을 통해 제2구동축(55)에 전달된다. When the power is transmitted, the coil spring 56 is pressed against the clutch disc 42 to press the clutch pressure plate 44, so that the clutch disc 42 is compressed between the friction surface of the flywheel 18 and the clutch pressure plate 44. do. The energy converted from the engine 12 or the motor is transmitted to the flywheel 18 by the first drive shaft 15, and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pressing force is converted into torque acting on the effective radius of the clutch disc 42 It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drive shaft (55).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braking pedal 86 for braking, as described above, the fluid filled in the master cylinder 84 is pressurized by the booster 82, and according to Pascal's principle, the brake line 88 and the clutch line 87 ) Respectively. The fluid for braking flows into the brake line 88 to control the wheel. In addition, the release fork 58 is designed to use the lever principle based on the release center axis 505, and the release piston 59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respect to the release center axis 505. The release piston 59 is filled with fluid or air in the cylinder housing 506 so that when there is pressure from the outside, the contact piston 508 is pushed out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release fork 58. When the pressure through the clutch line 87 is transmitted to the push rod 504 to increase the pressure inside the cylinder housing 506, the contact piston 508 pushes the lower portion of the release fork 58 and release ring 54 and release lever (46)-As the force is sequentially applied to the clutch pressure plate 44, separation occurs within the clutch 40, 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driving shaft 15 and the second driving shaft 55 is separated. In other words, when the force pressing the release ring 54 is greater than the restoring force acting as the pressing force of the coil spring 56, the release ring 54, the release lever 46, and the clutch pressure plate 44 installed on the lever principle The clutch pressure plate 44 is separated from the clutch disc 42. When the clutch pressure plate 44 is separated from the clutch disc 42, a gap is formed between the flywheel 18, the clutch disc 42, and the clutch pressure plate 44, and the first drive shaft 15 and the second drive shaft 55 ) Torque cannot be transmitted. In addition, when the pressure is removed by removing the force from the braking pedal 86, the contact piston 508 is returned by the return spring 502, and the clutch disc 42 is flywheel agai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il spring 56. It is compressed between (18) and the clutch pressure plate (44). Therefore, the energy transmitted from the first driving shaft 15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driving shaft 55 through the power of the flywheel 18.

또한, 변속을 위하여 클러치페달(806)을 통한 압력이 클러치로드(804)에 지렛대원리로 전달되면, 연결된 클러치케이블(805)의 장력으로 릴리스포크(58)의 상부를 당기게 된다. 릴리스중심축(505)을 기준으로 상부가 당겨지는 반대방향으로 하부는 밀리면서, 릴리스링(54)-릴리스레버(46)-클러치압력판(44)으로 순차적으로 힘이 인가되고 클러치(40) 내부에 이격이 생겨 제1구동축(15)과 제2구동축(55)의 회전력이 분리된다. 이렇게 클러치를 통한 변속시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동력분리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저장할지 여부는 당업자가 판단한다.In addition, when the pressure through the clutch pedal 806 is transmitted to the clutch rod 804 for shifting, the tension of the connected clutch cable 805 pulls the upper portion of the release fork 58. While pushing the lower part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part is pulled relative to the release center shaft 505, the force is sequentially applied to the release ring 54-the release lever 46-the clutch pressure plate 44 and the clutch 40 inside The separation between the first driving shaft 15 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cond driving shaft 55 is separated. It is determin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hether to store energy using power separation temporarily generated when shifting through the clutch.

압착력으로 플라이휠(18)과 클러치압력판(44)이 압착되어 있어 제1구동축(15)과 제2구동축(55)의 에너지가 상호 전달되고 변속 또는 제동시에는 분리되도록 함에 있어서, 종래의 변속장치(808)에 인접 설치되어 있는 클러치를 클러치(40)로 결합하는 실시예를 제시하였다. 클러치(40)를 종래의 클러치 위치와 분리하여 플라이휠(18)부터 차륜 사이, 하나 이상의 위치 어디든 설치하여 실시할 수 있다. The flywheel 18 and the clutch pressure plate 44 are compressed by the pressing force, so that the energy of the first driving shaft 15 and the second driving shaft 55 are mutually transmitted and separated during shifting or braking. 808) has been presented an embodiment of coupling a clutch installed adjacent to the clutch (40). The clutch 40 may be separated from the conventional clutch position and installed between the flywheel 18 and the wheel, and installed at any one or more positions.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클러치의 몸체인 요크와 회전로타허브의 간격을 약 0.8mm두고, 마찰디스크와 고정후레치로 조립하여 축과 축을 연결하여 리드선에 전류를 흘리면 자력이 발생하여 회전로타허브의 마찰면과 마찰디스크가 접촉되어 동력을 전달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류를 차단하면 자력이 소멸되고 클러치는 분리되게 된다. 상세하게는 주행 중 전류를 공급하여 클러치(40)가 결합된 상태로 제1구동축(15)과 제2구동축(55)의 회전을 일체화시키고, 제동시에는 제동장치에서부터 전자제어장치로 신호가 입력되어 전자제어장치에서부터 전류를 차단하여 클러치(40)의 결합을 분리시킨다. 이러한 전자식 클러치의 경우에는, 전류가 흐를 때 동력이 전달되고 전류가 차단될 때 클러치도 분리되도록 할 수 있으며, 반대로 전류가 전달될 때 동력을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As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gap between the yoke, which is the body of the clutch, and the rotating rotor hub is about 0.8 mm, and assembled by a friction disc and a fixed flare to connect the shaft and the shaft, and when a current flows through the lead wire, magnetic force is generated to generate friction in the rotating rotor hub. It can be designed to transmit power by contacting the surface and the friction disk. In this case, when the current is cut off, the magnetic force is lost and the clutch is separated. In detail, the rotation of the first driving shaft 15 and the second driving shaft 55 is integ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clutch 40 is coupled by supplying current during driving, and when braking, signals are input from the braking device to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And disconnects the clutch 40 by blocking the current from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In the case of such an electronic clutch, power can be transmitted when the current flows, and the clutch can be separated when the current is cut off. On the contrary,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power when the current is transmitted.

또한, 구동축(05), 제1구동축(15), 제2구동축(55)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에너지저장장치(20)를 추가하여 소모될 에너지를 저장하며 에너지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체는 제2구동축과 일체화되어 동일한 회전 운동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회전체의 속도를 제어하는 것은 제2구동축의 속도를 제어하는 것으로 상호 대체가 가능하다.In addition, by adding an energy storage device 20 that is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05, the first drive shaft 15, and the second drive shaft 55, energy to be consumed can be stored and energy efficiency can be further increased.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ng body is integrated with the second driving shaft to perform the same rotational movement. That is,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rotating body can be mutually substituted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second driving shaft.

건설장비, 산업현장의 발전기, 선박, 철도, 항공기를 포함하는 동력장치 중 바람직한 실시 예인 도로나 선로를 이동하는 차량의 경우, 시동이 걸린 상태를 구분하면 아이들링을 포함하는 중립상태, 가속기에 압력이 가해지는 가속상태, 가속기에 압력이 제거되었으나 관성력에 의해 이동하며 마찰에 의해 속도가 감소하는 감속주행상태, 제동페달에 압력이 가해져 차량이 제동되는 제동상태로 나눌 수 있다. 제동상태에 대하여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치하여 발전기를 단속할 수 있게 된다.In the case of a vehicle moving on a road or a track, which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a power device including a construction equipment, a generator in an industrial site, a ship, a railroad, or an aircraft, when the start state is divided, the neutral state including idling and the pressure on the accelerator It can be divided into an accelerated state applied, a decelerating driving state in which the pressure is removed by the inertia force and the speed decreases due to friction, and a braking state in which the vehicle is braked by applying pressure to the brake pedal. The braking state can be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to control the generator.

가속상태에서는 클러치(40)가 결합되어져서 제1구동축(15)의 에너지가 제2구동축(55)으로 인가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의 의도대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립상태, 제동상태, 감속주행상태에서는 클러치(40)를 분리시키고, 필요시 제1구동축(15)의 에너지를 에너지저장장치(20)와 연결하여 저장하게 된다. 감속주행상태에서는 관성력을 이용하여 제1구동축(15)은 분리되고, 제2구동축(55)을 포함하는 차륜이 회전하여 종래에는 소모되던 관성력을 이용하여 주행할 수 있게 된다. In the accelerated state, it is preferable that the clutch 40 is engaged so that the energy of the first drive shaft 15 can be applied to the second drive shaft 55 so that the driver can operate as intended. In the neutral state, the braking state, and the decelerating driving state, the clutch 40 is separated, and if necessary, the energy of the first driving shaft 15 is connected to the energy storage device 20 to be stored. In the decelerating driving state, the first drive shaft 15 is separated using the inertia force, and the wheel including the second drive shaft 55 rotates, so that it is possible to drive using the inertia force that was previously consumed.

가속페달 작동의 제거 또는 제동페달(86)이 작동하는 경우, 제2구동축(55)과 제1구동축(15)이 분리되어 독립적인 에너지로 운동하고, 제1구동축(15) 또는 제2구동축(55)의 에너지가 발전기로 인가된다.When the accelerator pedal operation is removed or the brake pedal 86 is operated, the second driving shaft 55 and the first driving shaft 15 are separated to move with independent energy, and the first driving shaft 15 or the second driving shaft ( The energy of 55) is applied to the generator.

감속주행상태 시, 도 2 및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엔진이나 모터를 포함하는 동력원에서부터 전환된 에너지가 제1구동축(15), 클러치, 제2구동축(55)을 거쳐서 차륜으로 전달되어 마찰력으로 도로나 선로를 차량이 이동한다. 클러치(40)은 서브발전기1(241)부터 차륜 사이에 설치된다. 일정한 속도까지는 동력원의 회전속도가 이에 상응하는 차량의 속도보다 빠르므로 에너지가 동력발생장치에서부터 차륜으로 인가되어 차량이 가속도를 얻게 된다. 반면, 차량의 속도가 빠른 상태에서는 동력발생장치와 차륜의 일체화가 오히려 이동을 방해하게 되므로 클러치(40)에 의해 제1구동축(15)과 제2구동축(55)을 분리시킨다. In the decelerating driving state, as shown in FIGS. 2 and 8, energy converted from a power source including an engine or a motor is transmitted to the wheels through the first driving shaft 15, the clutch, and the second driving shaft 55 to generate frictional force. The vehicle moves along the road or track. The clutch 40 is installed between the sub-generator 1 241 and the wheels. Up to a certain spee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ower source is faster than the speed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so energy is applied from the power generating device to the wheels so that the vehicle obtains accelera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s fast, since the integration of the power generating device and the wheels hinders movement, the first driving shaft 15 and the second driving shaft 55 are separated by the clutch 40.

더욱 상세하게는, 동력발생장치의 동작 중 가속페달(89) 또는 가속레버(또는 마스콘)를 포함하는 가속발생장치의 작동이 제거되면 제1구동축(15)과 제2구동축(55)의 동력이 분리되도록 한다. 가속페달(89)에서 압력이 제거되면, 연결된 전자제어장치(70)에서 인지하여 클러치(40)에 전류 공급하던 것을 차단한다. 운전이 시작되면서 동시에 적용할 수 있으나, 일정 속도 이상에서부터 작동되도록 전자제어장치(70)에서 설정하여 탈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소 30km/h의 차속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0km/h 속도 이상에서 가속페달에 압력이 없는 경우에 클러치(40)가 분리되며, 필요시 제1구동축(15)의 회전에너지를 에너지저장장치(20)에 저장한다. 클러치(40) 분리 시, 제1구동축(15)과 제2구동축(55)의 회전속도를 동일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에서의 다수의 구동실린더(78)를 포함하는 액추에이터가 제1구동축(15)의 회전에 관여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operation of the acceleration generator including the accelerator pedal 89 or the accelerator lever (or mascon) is remov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power generator, the power of the first driving shaft 15 and the second driving shaft 55 is removed. Let it separate. When the pressure is removed from the accelerator pedal 89, it is recognized by the connected electronic control device 70 to block current supply to the clutch 40. It can be applied at the same time as the operation starts, but it is preferable to set and detach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70 to operate from a certain speed or higher. At least 30 km/h of vehicle speed or more, more preferably at 60 km/h or more, when the accelerator pedal has no pressure, the clutch 40 is separated, and if necessary, the rotational energy of the first drive shaft 15 is stored in energy ( 20). When the clutch 40 is detached, an actuator including a plurality of driving cylinders 78 in the first driving shaft 15 to maintain the same rotational speeds of the first driving shaft 15 and the second driving shaft 55 Is involved in the rotation.

또한, 가속페달(89)에 의한 작동 여부에 의한 판단이 아닌, 속도센서를 함께 사용하여 작동시킬 수 있다. 차량의 등속운동의 차속에 해당되는 제1구동축(15)의 회전속도를 설정하고 이 수치를 비교하여 가속페달(89)을 밟지 않는 중에 동력을 분리한다. 감속주행상태 중, 가속페달(89) 작동 제거에 의해 클러치(40)가 작동하도록 설계할지, 속도센서에 의한 신호로 작동하도록 할지, 혹은 병행할지의 여부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perate by using a speed sensor together, rather than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accelerator pedal 89 is operate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first drive shaft 15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speed of the vehicle's constant speed movement is set, and the values are compared to separate power while not stepping on the accelerator pedal 89. During the decelerating driving state,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select whether the clutch 40 is designed to operate by removing the opera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89, whether to operate with a signal by a speed sensor, or in parallel.

또한, 감속주행상태에서 제1구동축(15) 또는 제2구동축(55)과 연결되어 회전속도 변화를 감지하는 속도센서 및 상기 속도센서와 연결되는 전자제어장치(70)로 제1구동축(15)과 제2구동축(55) 사이의 클러치(40) 탈착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drive shaft 15 is connected to the first drive shaft 15 or the second drive shaft 55 in a decelerated driving state to sense a rotation speed change and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70 connected to the speed sensor. It is prefera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clutch 40 is detached between the and the second drive shaft 55.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는 차속센서(726) 및 동력발생장치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제1구동축회전속도센서(724)는 전자제어장치(70)와 연결되고, 차량의 이동속도가 이에 상응하는 제1구동축(15)의 회전속도보다 빠른 경우, 클러치(40)에 의해 제1구동축(15)과 제2구동축(55)이 분리되게 한다. More specifically, the vehicle speed sensor 726 for detecting the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first driving shaft rotational speed sensor 724 for detect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ower generating device ar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70, and the moving speed of the vehicle Is faster tha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corresponding first drive shaft 15, the first drive shaft 15 and the second drive shaft 55 are separated by the clutch 40.

발전기를 제1구동축(15)에 탈착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발전기를 제1구동축(15)에 탈착되도록 설치하는 경우, 제2구동축(55)의 움직임과 동일한 속도를 유지하면서도 에너지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enerator can be installed to be detached from the first drive shaft 15. When the generator is installed so as to be detached from the first drive shaft 15, it is preferable to store energy while maintaining the same speed as the movement of the second drive shaft 55.

바람직한 예로, 100km/h의 등속운동을 위해 동력원이 3,000rpm의 회전을 요구하는 차량의 경우, 동일한 회전수이면서 100km/h이하의 이동속도에서는 클러치(40)가 결합상태를 유지한다. 동일한 회전속도, 110km/h의 이동속도이며, 가속페달(89)에 압력을 주고 있는 상태인 경우에도 클러치(40)는 결합상태를 유지하여 운전자가 원하는데로 가속페달(89)을 통하여 차량의 가속도를 높이게 된다. 만약 이 차량이 110km/h이상의 속도로 이동하는데, 3,000rpm 회전속도이면서 가속페달(89)에 압력이 없는 상태라면, 이동속도(110km/h)보다 제1구동축회전속도(3,000rpm의 회전속도에 해당되는 등속운동속도는 100km/h)가 느린 경우로 전자제어장치(70)에서 인지하여 클러치(40)가 분리된다. 이미 이동하고 있는 가속도와 관성으로 제2구동축(55)과 차륜은 회전하며 차량이 이동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느린 제1구동축(15)의 회전이 방해되지 않게 된다. 이 차량의 60km/h의 등속운동을 위한 동력원 회전속도가 1,800rpm이라면 상기와 같은 동일한 설정을 한다. 즉, 저속의 등속운동에 해당되는 제1구동축회전속도로부터 고속에 해당되는 제1구동축회전속도를 세팅하고, 가속페달(89)을 밟지 않은 상태에서 해당되는 등속운동속도보다 제1구동축(15)이 느리게 회전되는 경우에 클러치(40)를 분리시키는 방법이다. 이런 방법으로 저속으로부터 고속주행까지 모두 세밀한 세팅이 가능하나, 효율면에서는 중속, 고속에서의 설정에 집중하는 것이 에너지 효율면에서 바람직하다. 제2구동축회전속도센서(722)는 상응하는 차속센서(726)로도 대체가 가능하다. 변속기나 유체클러치가 제1구동축(15)과 제2구동축(55)의 일체화를 일시적으로 이탈시키게 되고, 이것을 전자제어장치(70)가 감지한다. 상기 예에서는 이해를 위하여 속도범위를 넓게 설명하였으나, 실제 적용시에는 미세한 차이에 의한 탈착이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a preferred example, in the case of a vehicle in which a power source requires rotation of 3,000 rpm for a constant speed movement of 100 km/h, the clutch 40 maintains the engagement state at the same rotational speed and a movement speed of 100 km/h or less. The same rotational speed, a movement speed of 110 km/h, and even in a state in which pressure is applied to the accelerator pedal 89, the clutch 40 remains engaged so that the vehicle accelerates through the accelerator pedal 89 as desired by the driver. Will increase. If the vehicle moves at a speed of 110 km/h or more, and the rotational speed is 3,000 rpm and there is no pressure in the accelerator pedal 89, the first driving shaft rotational speed (at a rotational speed of 3,000 rpm) is higher than the moving speed (110 km/h). The corresponding constant velocity is 100 km/h), which is recognized by the electronic control unit 70, and the clutch 40 is separated. With the acceleration and inertia already moving, the second driving shaft 55 and the wheel rotate and the vehicle moves, and the rotation of the relatively slow first driving shaft 15 is not disturbed. If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ower source for the constant speed movement of 60km/h of this vehicle is 1,800rpm, the same setting as above is performed. That is, a first driving shaft rotation speed corresponding to a high speed is set from a first driving shaft rotation speed corresponding to a low speed constant speed movement, and a first driving shaft 15 is applied to the first driving shaft 15 rather than the corresponding constant speed movement without stepping on the accelerator pedal 89. This is a method of separating the clutch 40 in the case of slow rotation.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set all the details from low speed to high speed driving, but it is desirable in terms of energy efficiency to focus on the medium speed and high speed settings in terms of efficiency. The second driving shaft rotational speed sensor 722 can also be replaced by a corresponding vehicle speed sensor 726. The transmission or fluid clutch temporarily disengages the integration of the first drive shaft 15 and the second drive shaft 55, and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70 senses this. In the above example, the speed range has been described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but in actual application, it is preferable to set it to be detached due to minute differences.

감속주행상태에서 동력이 분리되면, 오르막 경사에서는 일정시간 이후 바로 차량의 이동속도가 늦어질 것인데, 이런 경우에는 동력의 분리 시간이 짧게 된다. 반면, 내리막 경사에서는 위치에너지가 함께 작용하여 동력원의 에너지 공급 없이도 일정 구간을 주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When the power is separated in the decelerated driving state, the moving speed of the vehicle will be delayed immediately after a certain time on the uphill slope, in which case the power separation time is shortened. On the other hand, in the downhill slope, the potential energy acts together, so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certain section can be driven without supplying energy from a power source.

차량의 이동속도가 이에 상응하는 동력발생장치의 회전속도보다 빠른 경우, 즉, 동력이 분리되면 제1구동축(15)의 회전속도보다 제2구동축(55)의 회전속도가 더 빠른 경우, 상기와 같이 클러치(40)에 의해 제1구동축(15)과 제2구동축(55)이 분리된다. 제동상태와 마찬가지로, 제2구동축회전속도센서(722) 및 제1구동축회전속도센서(724)에 의해 검출되는 회전속도는 전자제어장치(70)로 연결되어 회전속도 차이를 인지하고, 전자제어장치(70)와 연결되어 있는 스로틀밸브 및 흡입공기 제어 기능 등을 통하여 점화사이클을 빠르게 진행시키면 (또는 모터 속도를 빠르게 진행) 제2구동축(55) 회전속도에 제1구동축(15)의 회전속도를 맞출 수 있다. When the moving speed of the vehicle is faster tha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corresponding power generator, that is, when the power is separate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econd driving shaft 55 is faster than the rotating speed of the first driving shaft 15, Likewise, the first driving shaft 15 and the second driving shaft 55 are separated by the clutch 40. As in the braking state, the rotational speeds detected by the second driving shaft rotational speed sensor 722 and the first driving shaft rotational speed sensor 724 ar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70 to recognize the rotational speed difference, and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If the ignition cycle is rapidly advanced (or the motor speed is advanced) through the throttle valve and suction air control function connected to (70), the rotational speed of the first driving shaft 15 is compared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econd driving shaft 55. Can match.

위치에너지가 존재하는 내리막길이 아닌 한, 제2구동축(55)의 회전은 연결되어 있는 차륜과 바닥면과의 마찰로 인하여 공기의 저항만으로 속도가 줄어드는 제1구동축(15)의 회전속도보다 빠르게 감소한다. 즉, 동력이 분리된 상태 및 가속페달(89)을 밟지 않은 상태에서, 제1구동축(15)의 속도가 제2구동축(55)의 속도보다 빠른 경우가 발생된다. 동력 분리 상태에서 제2구동축(55)의 속도가 더 빠른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점화사이클을 빠르게 진행시키나, 제1구동축(15)의 속도가 더 빠른 경우에는 그 회전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상황이 된다. 차량의 이동에 관여되는 관성력에 의해 추가적인 에너지 공급이 없이도 차량 속도는 유지하며, 클러치(40)에 의해 분리된 제1구동축(15)의 회전에너지를 제2구동축(55)의 회전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유지하면서 저장할 수 있게 된다. Unless the potential energy exists, the rotation of the second driving shaft 55 decreases faster tha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first driving shaft 15, which is reduced only by air resistance due to friction between the connected wheel and the bottom surface. do. That is, when the power is separated and the accelerator pedal 89 is not stepped on, the speed of the first driving shaft 15 is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 driving shaft 55. When the speed of the second driving shaft 55 is faster in the power separation state, the ignition cycle is advanced as described above, but when the speed of the first driving shaft 15 is faster, the rotational energy can be stored. . The vehicle speed is maintained without additional energy supply by the inertia force involved in the movement of the vehicle, and the rotational energy of the first drive shaft 15 separated by the clutch 40 is the same a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econd drive shaft 55 You will be able to save while maintaining the.

상기의 경우에서 액추에이터의 바람직한 예로, 도 2에서와 같이, 전자제어장치(70)로부터 연결되어 솔레노이드밸브1(761)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 하나 이상의 구동실린더(78)가 설치된다. 제동시에는 마스터실린더(84)가 관여하고, 주행 중에는 압력조정장치(85)가 관여한다. In the above case, a preferred example of the actuator is, as shown in FIG. 2, one or more driving cylinders 78 connected to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70 and controlled by the solenoid valve 1 761 are installed. When braking, the master cylinder 84 is involved, and while driving, the pressure regulating device 85 is involved.

상기 액추에이터는 유압, 공기압을 포함하는 압력과 전기력, 복원력, 압전력 중 하나 이상의 힘을 운동력으로 변환하는 운동동력발생장치를 포함한다. The actuator includes a motor power generating device that converts one or more of pressure and electric power, restoring power, and piezoelectric power including hydraulic pressure and air pressure into kinetic force.

차량의 이동속도가 이에 상응하는 제1구동축(15)의 회전속도보다 빠른 경우, 전자제어장치(70)에서 압력조정장치(85)로 전류를 보내 압력을 증가시키고, 증압력은 제어밸브라인(892)과 감압라인(896)에 전달된다. 그 이후 작동은 제동상태에서 속도를 제어하며 에너지를 저장하는 것과 유사하여 생략한다. 또한, 제1구동축(15)과 제2구동축(55)의 속도 차이가 없어지면, 압력조정장치(85)에서 압력이 복귀되고, 솔레노이드밸브1(761)이 닫히도록 하여, 플라이휠(18)과 서브발전기에 이격을 두어 상호간에 에너지가 인가되지 않도록 전자제어장치(70)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의 복원과정은 제동상태에서와 유사하다. 오르막 경사가 심한 경우에는 제2구동축(55)의 회전속도가 더욱 빠른 속도로 감속되는데, 이런 경우 제1구동축(15)의 회전속도와 차이가 더욱 심해지게 된다. 만약, 가속페달(89)을 밟는 경우라면 모든 시스템의 동작이 중지되며, 클러치(40)가 결합하여 차량이 가속되나, 가속페달(89)을 밟지 않아도 되는 경우라면, 동력 분리 상태에서 제1구동축(15)의 에너지를 제2구동축(55) 회전속도 감소분만큼 저장한다. 이 경우, 서브발전기 및 액추에이터 수를 다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세한 작동은 제동상태의 경우와 유사하다. When the moving speed of the vehicle is faster tha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corresponding first driving shaft 15,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70 sends a current to the pressure regulating device 85 to increase the pressure, and the increased pressure is applied to the control valve line ( 892) and the decompression line 896. Subsequent operation is omitted, similar to controlling the speed in braking and saving energy. In addition, when the speed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driving shaft 15 and the second driving shaft 55 disappears, the pressure is returned from the pressure regulating device 85 and the solenoid valve 1 761 is closed, so that the flywheel 18 and the sub It is preferable to set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70 so that energy is not applied to each other by spaced apart from the generator. The subsequent restoration process is similar to that in braking. When the uphill slope is sever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econd driving shaft 55 is decelerated at a faster speed. In this case, the difference from the rotational speed of the first driving shaft 15 becomes more severe. If the accelerator pedal 89 is depressed, all system operations are stopped, and the clutch 40 is engaged to accelerate the vehicle, but if the accelerator pedal 89 does not need to be depressed, the first drive shaft in the power disconnected state The energy of (15) is stored by the second drive shaft 55 as much as the decrease in rotational speed. In this case, it is desirable to have a large number of subgenerators and actuators, and the detailed operation is similar to that of the braking state.

발전기는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할 수 있으나, 병렬구조가 더욱 바람직하다.The generators may be connected in series or parallel, but a parallel structure is more preferred.

또한, 가속페달 작동 검출기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n accelerator pedal actuation detector.

가속페달(89)에 압력이 생기는 경우에는, 가속페달(89)과 연결되는 가속페달(89)의 동작을 검출하는 온오프(on/off) 센서가 이를 감지하고, 이동속도와 회전속도의 강약에 관계 없이 클러치(40)는 결합되어 제1구동축(15)과 제2구동축(55)을 일체화시켜 운전자가 통제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속페달(89)에서 압력이 전달되면, 이와 연결된 전자제어장치 (70)에서 감지하고, 클러치(40)를 결합시키는 방법이 바람직하다.When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accelerator pedal 89, an on/off sensor that detects the opera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89 connected to the accelerator pedal 89 detects this, and the dynamics of the moving speed and the rotational speed Regardless, it is preferable that the clutch 40 is coupled to integrate the first driving shaft 15 and the second driving shaft 55 so that the driver can control them. When pressure is transmitted from the accelerator pedal 89, a method of sensing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70 connected thereto and coupling the clutch 40 is preferable.

또한, 동력이 분리된 상태에서 가속페달(89)이 아닌, 제동페달을 밟게 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 때에는 클러치(40)가 결합되지 않고 분리상태를 유지하면서, 제동력은 제2구동축(55)에 전달되어 차량을 제어하고, 제1구동축(15)의 회전관성은 에너지저장장치로 인가시킬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 case where the braking pedal, rather than the accelerator pedal 89, may be depressed in a state in which power is separated, the clutch 40 is not coupled and maintains the separating state while the braking force is applied to the second driving shaft ( 55) to control the vehicle, and the rotational inertia of the first drive shaft 15 can be applied to the energy storage device.

중립상태시, 종래에는 제1구동축(15)과 제2구동축(55)이 분리되더라도 에너지를 모두 낭비하던가, 저장하더라도 비효율적으로 제어하였다. 본 발명에 의해 클러치(40)로 동력이 분리되고, 분리된 제1구동축(15)의 에너지가 발전기로 인가되어 편리하게 에너지 효율을 높이게 된다. In the neutral state, in the prior art, even if the first driving shaft 15 and the second driving shaft 55 are separated, all of the energy is wasted or stored, and the storage is inefficiently controlled. Power is separated by the clutch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nergy of the separated first drive shaft 15 is applied to the generator to increase energy efficiency conveniently.

또한, 발전기는 상기 제2구동축(55)에 탈착되도록 한다. 이런 경우 제2구동축(55)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의 다량을 저장하여 활용할 수 있다는 이점과 더불어 제1구동축(15)의 회전력은 제2구동축(55)과 분리되어 상기에서와 같이 제1구동축(15)의 회전관성 대부분을 저장하게 된다. 브레이크디스트(96)에서 마찰력이 발생하여 차량이 제동되는 경우 제2구동축(55)은 브레이크디스크(96)와 동일한 회전운동을 하여 브레이크디스크(96)와 일체화되어 회전하는 제2구동축(55)의 회전력은 일부 열에너지로 소모될 수 밖에 없다. 이는 안전을 고려하는 유압식 브레이크를 병행하여 사용할 것이 더욱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회전관성을 포함하는 에너지는 질량에 비례하므로 제1구동축(15)보다 더 많은 양의 에너지를 보유한 제2구동축(55)의 에너지를 저장하는 것이 병행되면 에너지 효율성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In addition, the generator is to be detached from the second drive shaft (55). In this case, in addition to the advantage that a large amount of rotational force generated in the second drive shaft 55 can be stored and utilize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drive shaft 15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drive shaft 55 an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drive shaft 15 ) Will store most of the rotational inertia. When a vehicle is braked due to frictional force generated in the brake disc 96, the second drive shaft 55 performs the same rotational motion as the brake disc 96 and is integrated with the brake disc 96 to rotate the second drive shaft 55. The rotational force has to be consumed with some heat energy. This is because it is more preferable to use a hydraulic brake in consideration of safety in parallel. Nevertheless, since the energy including the rotational inertia is proportional to the mass, the energy efficiency is further increased when storing the energy of the second driving shaft 55 having a larger amount of energy than the first driving shaft 15 in parallel.

상기에서 동력찰탁장치(40)에 의하여 구동축(05)을 제1구동축(15)과 제2구동축(55)으로 분리하여 제1구동축(15)의 에너지를 인가받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다. 유사한 구조로 제2구동축(55)의 에너지를 인가받을 수 있도록 설치가 가능하며, 이는 당업자라면 상술한 내용을 토대로 이해하는 것이 자명하다.In the above,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driving shaft 05 is separated into the first driving shaft 15 and the second driving shaft 55 by the power charging device 40 to receive the energy of the first driving shaft 15. It can be installed to receive the energy of the second drive shaft 55 in a similar structure, which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based on the above.

또한, 회전체의 회전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 및 회수하며 제동력을 발휘하는 전력회생브레이크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power regenerative brake device that converts and recovers the rotational energy of the rotating body into electrical energy and exerts a braking force.

더욱 상세하게는 제동페달(86)에 의한 제동이 발생하는지를 인지한 후, 제동페달(86)에 의한 요구 제동력을 계산한다. 요구하는 제동력을 유압제동력과 회생제동력으로 배분하여, 휠을 구속하는 유압제동력과 에너지를 저장하면서 발생하는 회생제동력의 합으로 실행된다. 이러한 전력회생브레이크장치의 구성은 당업자가 명백히 이해하고 있는바, 생략하도록 한다.More specifically, after recognizing whether braking by the brake pedal 86 occurs, the required braking force by the brake pedal 86 is calculated. The required braking force is divided into hydraulic braking force and regenerative braking force, and is executed as the sum of the hydraulic braking force constraining the wheel and regenerative braking force generated while storing energy. The configuration of such a power regenerative brake device is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will be omitted.

이러한 전력회생브레이크장치는 구동축(05)의 에너지를 인가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력회생브레이크장치는 제동시에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에도 회로의 변화로 인하여 급제동을 운전자가 느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클러치가 작동되는 경우 관성력이 일시적으로 작동하면서 차량이 주행방향으로 쏠리는 느낌을 받게 된다. 상기한 전력회생브레이크장치와 상기한 클러치 시스템이 동시에 작동되는 경우에는 상호간의 문제점들이 상쇄되면서도 두 시스템을 통하여 각각 다량의 에너지를 회수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It is preferable that such a power regenerative brake device can receive the energy of the drive shaft 05. The power regenerative brake device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efficiently store energy when braking, but it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 driver can feel the sudden braking due to a change in the circuit. When the above-described clutch is operated, the inertial force is temporarily operated and the vehicle feels that the vehicle is in the driving direction. When the above-described power regenerative brake device and the above-described clutch system are operated at the same time,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large amount of energy can be recovered through the two systems, while mutual problems are offse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는 선행 차량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차간거리센서, 자동차의 속도를 측정하는 차속센서, 상기 차간거리센서 및 차속센서와 연결되는 전자제어장치, 동력발생장치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는 회전체, 요구 제동력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체와 연결되는 개수가 결정되는 복수의 발전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inter-vehicle distance sensor that measures the distance from the preceding vehicle, a vehicle speed sensor that measures the speed of the vehicle, an electronic control connected to the inter-vehicle distance sensor and the vehicle speed sensor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plurality of generators in which the number connected to the rotating body is determined based on the device, the rotating bod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power generating device, and the required braking force.

상기 차간거리센서로는 차간 거리를 레이저 레이더 또는 카메라 등의 원리로 검출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는 차속센서와 함께 상기 차간거리센서를 통하여 선행하는 차량과의 상황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전자제어장치(70)에서 추가적인 감속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추가적인 감속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구동축의 에너지를 인가받도록 발전기와 연결하여 차속을 감속 하며, 에너지를 저장한다.The inter-vehicle distance sensor is generally a method of detecting the inter-vehicle distance using a laser radar or a camera. In addition to the vehicle speed sensor for measuring the speed of the vehicle, the situation with the preceding vehicle may be determined through the inter-vehicle distance sensor, and through this,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70 may determine whether to decelerate furth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additional deceleration is necessary, the vehicle is decelerated by connecting the generator to receive the energy of the drive shaft, and energy is stored.

상기의 원리는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시스템에도 활용할 수 있는데,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CC, Smart Cruise Control)이란, 레이더를 사용하여 선행차량과의 차간 거리를 측정하여 차간 거리를 유지하도록 차량을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차간 거리를 유지하도록 차량을 제어하는 경우에 제어되는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게 된다.The above principle can also be utilized in a smart cruise control system. Smart cruise control (SCC) is a system that controls a vehicle to maintain a distance between vehicles by measuring a distance between vehicles with a radar using a radar. When the vehicle is controlled to maintain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s, it is possible to store controlled energy.

또한, 본 발명은 구동축(05)의 길이 또는 제1구동축(15)과 제2구동축(55)의 길이를 조정하거나 구동축(05)을 없앤 후 인휠모터에서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n an in-wheel motor afte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drive shaft 05 or the length of the first drive shaft 15 and the second drive shaft 55 or removing the drive shaft 05.

본 발명은 상기에서의 도로나 선로를 이동하는 차량을 포함하여 터보프롭, 전동차, 건설장비, 산업현장의 발전기, 선박, 항공기, 로켓, 군사장비를 포함하는 구동축을 구성하도록 설계할 수 있는 동력장치의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증기, 전기, 디젤, 터빈을 포함하는 각종 동력방식을 이용하는 동력차 및 이에 견인되는 차량에 상기에서와 같이 응용할 수 있다. 또한, 전차선로(trolly lines)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동력을 기계동력으로 전환시키는 장치만을 탑재하는 전기차량(electric rolling stock)의 경우에도, 회전운동을 포함하는 역학적 운동에너지를 갖게 되는 동력전달장치 중 어느 위치든 상기의 방법을 응용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한 예로, 차륜 축의 회전에너지와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er device that can be designed to constitute a drive shaft including a turboprop, an electric vehicle, a construction equipment, an industrial site generator, a ship, an aircraft, a rocket, and military equipment, including a vehicle moving a road or a track in the above. Case. In addition, it can be applied as described above to power vehicles using various power systems including steam, electricity, diesel, and turbines and vehicles towed therein. In addition, in the case of an electric rolling stock equipped only with a device that converts electrical power into mechanical power by receiving power from trolly lines, a power transmission device having mechanical kinetic energy including rotational motion Any of the above positions makes it possible to apply the above method. As a preferred example, the rotational energy of the wheel shaft can be designed to be removable.

05 구동축 761 솔레노이드밸브1
12 엔진 765 솔레노이드밸브5
15 제1구동축 769 체크밸브
18 플라이휠 78 구동실린더
20 에너지저장장치 782 구동실린더하우징
241 서브발전기1 784 구동리턴스프링
245 서브발전기5 786 컵씰
26 연결회전체 788 실린더피스톤
40 클러치 789 피스톤동작연결부
42 클러치디스크 80 제동장치
44 클러치압력판 804 클러치로드
46 릴리스레버 805 클러치케이블
502 리턴스프링 806 클러치페달
504 푸쉬로드 808 변속장치
505 릴리스중심축 82 배력장치
506 실린더하우징 84 마스터실린더
508 접촉피스톤 85 압력조정장치
54 릴리스링 86 제동페달
55 제2구동축 87 클러치라인
56 코일스프링 88 브레이크라인
58 릴리스포크 89 가속페달
59 릴리스피스톤 892 제어밸브라인
70 전자제어장치 894 구동실린더라인
72 센서 896 감압라인
722 제2구동축회전속도센서 92 브레이크실린더
724 제1구동축회전속도센서 94 브레이크캘리퍼
726 차속센서 96 브레이크디스크
05 Drive shaft 761 Solenoid valve 1
12 Engine 765 Solenoid Valve 5
15 1st drive shaft 769 check valve
18 Flywheel 78 Driving cylinder
20 Energy storage device 782 Driving cylinder housing
241 Subgenerator 1 784 Drive return spring
245 Subgenerator 5 786 Cup Seal
26 Connecting rotator 788 cylinder piston
40 Clutch 789 Piston action connection
42 Clutch disc 80 Brake
44 Clutch pressure plate 804 Clutch rod
46 Release lever 805 Clutch cable
502 Return spring 806 Clutch pedal
504 push rod 808 transmission
505 release center shaft 82 power supply
506 Cylinder housing 84 Master cylinder
508 contact piston 85 pressure regulator
54 Release ring 86 Brake pedal
55 2nd drive shaft 87 Clutch line
56 Coil spring 88 Break line
58 Release Fork 89 Accelerator Pedal
59 Release piston 892 Control valve line
70 Electronic control device 894 Driving cylinder line
72 sensor 896 decompression line
722 Second drive shaft speed sensor 92 Brake cylinder
724 First drive shaft speed sensor 94 Brake caliper
726 Vehicle speed sensor 96 Brake disc

Claims (1)

동력발생장치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속도를 제어하는 제동장치;
상기 회전체의 회전력을 저장하는 에너지저장장치;
상기 에너지저장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제동장치의 요구 제동력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체와 연결되는 개수가 결정되는 복수의 발전기를 포함하는 터보프롭
A rotating body receiving rotational force from a power generator;
A braking device that controls the speed of the rotating body;
An energy storage device that stor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ng body;
Turboprop comprising a plurality of generators that are connected to the energy storage device and the number connected to the rotating body is determined based on the required braking force of the braking device.
KR1020200071165A 2019-08-07 2020-06-11 Apparatus for energy recovering, turboprop aircraft including of the same KR1023078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165A KR102307887B1 (en) 2019-08-07 2020-06-11 Apparatus for energy recovering, turboprop aircraft including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852A KR102139010B1 (en) 2019-08-07 2019-08-07 Apparatus and method for energy recovering, ship including of the same
KR1020200071165A KR102307887B1 (en) 2019-08-07 2020-06-11 Apparatus for energy recovering, turboprop aircraft including of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852A Division KR102139010B1 (en) 2019-08-07 2019-08-07 Apparatus and method for energy recovering, ship including of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0210A true KR20200070210A (en) 2020-06-17
KR102307887B1 KR102307887B1 (en) 2021-09-30

Family

ID=71405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1165A KR102307887B1 (en) 2019-08-07 2020-06-11 Apparatus for energy recovering, turboprop aircraft including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788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1280A (en) * 1996-11-30 1998-08-17 양재신 Generator using braking force of vehicle
KR20050076903A (en) * 2004-01-26 2005-07-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Device for battery charging when braking of a vehicle
KR20070065952A (en) * 2005-11-25 2007-06-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 distance control system and the method for a hybrid car
KR20110133527A (en) * 2008-01-07 2011-12-13 이옥재 Apparatus for brake and power generation and vehicle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1280A (en) * 1996-11-30 1998-08-17 양재신 Generator using braking force of vehicle
KR20050076903A (en) * 2004-01-26 2005-07-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Device for battery charging when braking of a vehicle
KR20070065952A (en) * 2005-11-25 2007-06-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 distance control system and the method for a hybrid car
KR20110133527A (en) * 2008-01-07 2011-12-13 이옥재 Apparatus for brake and power generation and vehicle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7887B1 (en) 202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9850B2 (en) Brake control device
EP2623380A1 (en) A method of controlling a brake system for a vehicle
CN104802784A (en) Braking apparatus for vehicle with collision avoidance mechanism
CN105492271A (en) Vehicle
CN104816639A (en) New energy commercial vehicle energy efficient recovery system
KR10213900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ergy recovering, vehicle including of the same
KR10213901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ergy recovering, ship including of the same
KR10213901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ergy recovering, aircraft including of the same
KR102010604B1 (en) Apparatus for energy recovering
KR102309415B1 (en) Apparatus for energy recovering
KR102307885B1 (en) Apparatus for energy recovering, two-wheeled vehicle including of the same
KR102307887B1 (en) Apparatus for energy recovering, turboprop aircraft including of the same
KR102307886B1 (en) Apparatus for energy recovering, electric vehicel including of the same
KR102307884B1 (en) Apparatus for energy recovering, construction equipment including of the same
KR102307882B1 (en) Apparatus for energy recovering, military equipment including of the same
KR102307883B1 (en) Apparatus for energy recovering, industrial generators including of the same
KR102440853B1 (en) Energy-saving combined braking device using sensing technoloy
KR102372375B1 (en) Electric vehicle for energy saving using sensing technology
KR102044563B1 (en) Apparatus for energy saving
KR102044581B1 (en) Apparatus for energy sav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