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9775A - Battery charge-discharge cycle test after battery over-discharge test apparatus and method - Google Patents

Battery charge-discharge cycle test after battery over-discharge test apparatus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9775A
KR20200069775A KR1020180157211A KR20180157211A KR20200069775A KR 20200069775 A KR20200069775 A KR 20200069775A KR 1020180157211 A KR1020180157211 A KR 1020180157211A KR 20180157211 A KR20180157211 A KR 20180157211A KR 20200069775 A KR20200069775 A KR 20200069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discharge
test
char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72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남규
고재모
조영진
이현원
이동규
남정우
사승훈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관리부서: 행정안전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관리부서: 행정안전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관리부서: 행정안전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장)
Priority to KR1020180157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9775A/en
Publication of KR20200069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977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2Determining battery ageing or deterioration, e.g. state of heal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3Environmental or reliability tes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35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involving only voltage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85Tes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n apparatus for testing a charge/discharge cycle after a battery overdischarge test. The apparatus comprises: a chamber configured to test a battery under a set temperature; a battery overdischarge test unit for discharging the battery under a set discharge condition; a temperature measurement unit including a chamber internal temperature measurement sensor capable of measuring a temperature inside the chamber in order to check a set temperature and a battery temperature measurement sensor for measuring a temperature change in the battery; a voltage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a voltage of the battery; a data collection unit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measurement unit and the voltage measurement unit to collect measured values and displaying the measured values; and a battery charge/discharge cycle test unit for performing a test that performs a charge/discharge cycle repeating charge and discharge on the overdischarged battery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so as to calculate a battery capacity measurement result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Description

배터리 과방전 테스트 후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 장치 및 방법 {BATTERY CHARGE-DISCHARGE CYCLE TEST AFTER BATTERY OVER-DISCHARGE TEST APPARATUS AND METHOD}Charging and discharging cycle test device and method after battery overdischarge test {BATTERY CHARGE-DISCHARGE CYCLE TEST AFTER BATTERY OVER-DISCHARGE TEST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배터리가 실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도의 과방전을 일으킨 후 배터리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는 배터리 과방전 테스트 후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testing and discharging cycles after a battery overdischarge test capable of performing a battery charge/discharge cycle test after causing the battery to overdischarge to a degree that may occur in real life.

2000년대 들어 배터리의 발전 및 연구가 지속됨에 따라서, 배터리가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 등의 휴대기기의 보급이 증가되고 있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As the development and research of batteries continues in the 2000s, the spread of portab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notebooks, and tablet PCs in which batteries are used as an energy source is increasing.

특히 리튬이온 배터리는 충방전을 통해서 반복 재사용이 가능한 2차 전지이며, 높은 전압 및 높은 전류 밀도를 얻을 수 있어 모바일 기기 및 전기자동차 등의 전원 공급원으로 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리튬이온 배터리는 고에너지 고밀도의 효율적인 에너지원이지만, 이와 같은 특성 때문에 발화 및 폭발 위험이 존재한다. In particular, lithium-ion batteries are secondary batteries that can be reused repeatedly through charging and discharging, and are mainly used as power sources for mobile devices and electric vehicles because they can obtain high voltage and high current density. As described above, a lithium ion battery is an efficient energy source of high energy and high density, but due to such characteristics, there is a risk of ignition and explosion.

실생활에서 배터리가 충전기 등의 오작동으로 과방전이 된 후 발화되지 않은 상태로 소비자가 계속하여 충방전을 반복하여 지속적으로 사용할 경우, 배터리 전극 표면에 생기는 결정인 덴드라이트(dendrite) 현상 발생, 분리막 천공, 전해액 기화 현상 등으로 배터리가 발화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가 일상 생활에서 사용 중 과방전된 경우에도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를 거쳐 안전성을 확인하여야 한다. In the real life, when the battery is overdischarged due to a malfunction of the charger, etc., and the consumer continues to use charging and discharging repeatedly without being ignited, a dendrite phenomenon that occurs on the surface of the battery electrode occurs, separation membrane perforation, The battery may ignite due to the evaporation of the electrolyte. Therefore, even if the battery is over-discharged during use in daily life, safety must be verified through a charge-discharge cycle test.

한국등록특허 제10-1220910호(2013.01.04.)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220910 (2013.01.04.)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배터리가 실생활에서 충전기 또는 배터리 모듈 등의 오작동으로 과방전이 된 후에 배터리를 지속적으로 충방전하여 사용하는 경우 배터리의 안전성을 파악할 수 있는 배터리 과방전 테스트 후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battery is continuously discharged and used after a battery is overdischarged due to malfunction of a charger or a battery module in real life, a battery overdischarge test and a charge/discharge cycle test device that can determine the safety of the battery and Provide a metho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설정된 온도 하에서 배터리를 테스트할 수 있도록 형성된 챔버, 설정된 방전 조건으로 상기 배터리를 과방전시키는 배터리 과방전 테스트부, 설정된 온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챔버 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챔버 내부 온도 측정 센서와 상기 배터리의 온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배터리 온도 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온도 측정부,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전압 측정부, 상기 온도 측정부 및 상기 전압 측정부와 연결되어 측정된 값을 수집하고, 표시하는 데이터 수집부 및 상기 과방전된 배터리에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는 충방전 사이클을 설정된 횟수만큼 수행하여 그에 따른 배터리 용량 측정 결과를 산출하는 테스트를 수행하는 배터리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과방전 테스트 후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hamber formed to test the battery under a set temperature, a battery over-discharge test unit for over-discharging the battery with a set discharge condition, to measure the temperature inside the chamber to confirm the set temperature A temperature measurement unit including a temperature measurement sensor inside the chamber and a battery temperature measurement sensor for measuring a temperature change of the battery, a voltage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the voltage of the battery, and a connection with the temperature measurement unit and the voltage measurement unit Battery charging that collects and displays the measured values, and performs a test that calculates a battery capacity measurement result by performing a charging/discharging cycle that repeats charging and discharging on the overdischarged battery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fter a battery overdischarge test including a discharge cycle test unit, a charge/discharge cycle test device may be provided.

이때, 상기 배터리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부는 상기 과방전된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부, 상기 과방전된 배터리에 전류를 공급하여 방전시키는 방전부 및 충방전 사이클의 설정된 횟수와 그에 따른 배터리 용량 측정 결과를 산출하여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attery charge/discharge cycle test unit calculates a charging unit for charging the over-discharged battery, a discharge unit for supplying and discharging current to the over-discharged battery, and a set number of charge-discharge cycles and a result of measuring the battery capacity accordingly. It may include a display unit to display.

이때, 상기 설정된 온도는 15°C 내지 25°C 범위 내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t temperature may be in the range of 15 °C to 25 °C.

이때, 상기 설정된 방전 조건은 상기 배터리의 방전율을 0.2C-rate으로 설정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0.0V내지 2.5V 사이의 값에 도달하도록 방전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t discharge condition may set the discharge rate of the battery to 0.2C-rate, thereby discharging the voltage of the battery to reach a value between 0.0V and 2.5V.

이때, 상기 충방전 사이클의 설정된 횟수는 100회 이상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t number of charge/discharge cycles may be 100 or more tim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챔버 내부를 15°C 내지 25°C 범위 내의 온도로 설정하여 내부에 배터리 과방전 테스트부와 배터리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부를 설치하는 준비 단계, 배터리 과방전 테스트부에서 설정된 방전 조건으로 상기 배터리를 과방전시키는 과방전 단계 및 배터리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부에서 상기 과방전된 배터리에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는 충방전 사이클을 100회 이상 수행하여 그에 따른 배터리 용량 측정 결과를 산출하는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 과방전 테스트 후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mber is set to a temperature within a range of 15°C to 25°C to prepare a battery over-discharge test unit and a battery charge-discharge cycle test unit therein, set in a battery over-discharge test unit The over-discharge step of over-discharging the battery under the discharge condition and the charge-discharge cycle of repeating charging and discharging on the over-discharged battery in the battery charge-discharge cycle test unit are performed at least 100 times to calculate the result of battery capacity measurement A method for testing a charge-discharge cycle after a battery over-discharge test including the step of performing a charge-discharge cycle test may be provided.

이때, 상기 설정된 방전 조건은 상기 배터리의 방전율을 0.2C-rate으로 설정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0.0V내지 2.5V 사이의 값에 도달하도록 방전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t discharge condition may set the discharge rate of the battery to 0.2C-rate, thereby discharging the voltage of the battery to reach a value between 0.0V and 2.5V.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과방전 테스트 후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 장치 및 방법은, 현실적으로 실생활에서 배터리를 사용하다가 충전기, 배터리 모듈 등이 오작동이 되어 과방전 된 후 배터리가 발화되지 않은 상태로 계속적으로 사용할 경우에 배터리의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다.Charging and discharging cycle test apparatus and method after the battery overdischarge t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using the battery in real life, the charger, the battery module, etc. malfunction, and after the overdischarge, the battery continues to not ignite When used as a battery, the safety of the battery can be check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과방전 테스트 후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배터리 과방전 테스트 후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harge/discharge cycle test apparatus after a battery overdischarge t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testing a charge/discharge cycle after a battery overdischarge test of a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transformations and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In the following example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not used in a limited sense, but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examples below,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meant to mean the presence of features or compon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ng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in advance.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when a part of a film, region, component, etc. is said to be on or on another part, as well as when it is directly above the other part, other films, regions, components, etc. are intervened Also included.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drawings, the size of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r example, 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what is shown.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When an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differently, a specific process order may be performed differently from the described order. For example, two processes described in succession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opposite to that described.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막, 영역, 구성요소들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전기적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when a membrane, region, component, etc. is connected, other membranes, regions, components are interposed in the middle of the membrane, region, components, as well as when the membranes, regions, components are directly connected. It is also included indirectly. For examp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membrane, region, component, etc. is electrically connected, not only is the membrane, region, component, etc. directly electrically connected, but other membranes, regions, components, etc. are interposed therebetween. Also includes indirect electrical connection.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과방전 테스트 후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 장치(10)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1, a charge/discharge cycle test apparatus 10 after a battery overdischarge t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과방전 테스트 후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harge/discharge cycle test apparatus after a battery overdischarge t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과방전 테스트 후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 장치(10)는 챔버(100), 배터리 과방전 테스트부(300), 온도 측정부(400), 전압 측정부(500), 데이터 수집부(600), 배터리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fter a battery over-discharge t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e-discharge cycle test apparatus 10 includes a chamber 100, a battery over-discharge test unit 300, a temperature measurement unit 400, and a voltage It may include a measurement unit 500, a data collection unit 600, a battery charge and discharge cycle test unit 700.

챔버(100)는 설정된 온도 하에서 배터리(200)를 테스트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챔버(100)의 형태에는 제한이 없으며, 설정된 온도 하에서 배터리(200)에 관한 테스트를 수행하도록 적절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챔버(100)는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발열 및 폭발 사고를 대비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보호하고,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내구성을 확보한 재질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hamber 100 may be formed to test the battery 200 under a set temperature. The shape of the chamber 100 is not limited, and may be formed to an appropriate size to perform a test on the battery 200 under a set temperature. The chamber 100 may be made of a material and a structure that secures durability so as to protect a user's safety and minimize risk in preparation for a heat and explosion accident that may occur inside.

배터리(200)는 각형, 원통형, 파우치형 등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고, 어떠한 형태를 가져도 무관하다. 적용기기의 대상이 되는 형태의 배터리(200)를 사용하여 테스트를 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200)는 1개 또는 복수 개일 수 있다. The battery 200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shape such as a square shape, a cylindrical shape, or a pouch shape, and may have any shape. Testing may be performed using a battery 200 of a type that is a target of an applied device. At this time, the battery 200 may be one or a plurality.

배터리 과방전 테스트부(300)는 설정된 방전 조건으로 배터리(200)를 과방전시킬 수 있다. The battery over-discharge test unit 300 may over-discharge the battery 200 under a preset discharge condition.

설정된 방전 조건은 배터리(200)의 방전율을 0.2C-rate으로 설정하여, 배터리(200)의 전압을 0.0V 내지 2.5V 사이의 값에 도달하도록 방전시킬 수 있다.The set discharge condition may set the discharge rate of the battery 200 to 0.2C-rate to discharge the voltage of the battery 200 to reach a value between 0.0V and 2.5V.

배터리(200)의 방전율을 0.2C-rate으로 설정하고, 방전을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도달하는 배터리(200)의 전압을 0.0V 내지 2.5V 사이의 값에 이르도록 한다. 이때 배터리(200)의 방전을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도달하는 전압값은 배터리(200)가 발화나 폭발이 되지 않을 정도의 값이어야 한다. 실생활에서 배터리(200)가 과방전된 이후에도 배터리(200)에서 누액이나, 폭발, 발화 등이 관찰되지 않아서, 배터리(200)를 지속적으로 계속 사용할 수 있는 경우에 대하여 배터리의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The discharge rate of the battery 200 is set to 0.2 C-rate, and discharge is performed, so that the voltage of the finally reached battery 200 reaches a value between 0.0V and 2.5V. At this time, the voltage value that finally reaches the discharge of the battery 200 should be such that the battery 200 does not ignite or explode. In the real life, even after the battery 200 is over-discharged, leakage or explosion, ignition, etc. are not observed in the battery 200, so that the battery safety must be confirmed in a case where the battery 200 can be continuously used. Because.

온도 측정부(400)는 챔버 내부 온도 측정 센서와 배터리 온도 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챔버 내부 온도 측정 센서는 설정된 온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챔버 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챔버 내부 온도 측정 센서는 챔버(100)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에 해당하는지 여부 및 시간의 경과에 따라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는지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배터리 온도 측정 센서는 배터리(200)의 시간에 따른 온도 변화를 각각 측정하여 과방전된 전후의 상태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배터리(200) 표면에 배터리 온도 측정 센서를 부착할 경우, 폴리 카보네이트 필름(Poly Carbonate film)을 사용하여 표면에 손상이 없도록 한다. 또한, 배터리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부(700)에서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를 수행한 이후의 온도 변화도 측정할 수 있다. The temperature measurement unit 400 may include a temperature measurement sensor and a battery temperature measurement sensor inside the chamber. The temperature measurement sensor inside the chamber can measure the temperature inside the chamber to confirm the set temperature. The chamber temperature measurement sensor may check whether the temperature inside the chamber 100 corresponds to a set temperature and whether to maintain the set temperature over time. The battery temperature measurement sensor can measure the temperature change over time of the battery 200, respectively, and check the state change before and after over-discharge. When attaching the battery temperature sensor to the surface of the battery 200, a polycarbonate film is used to prevent damage to the surface. In addition, the temperature change after the charge/discharge cycle test is performed by the battery charge/discharge cycle test unit 700 may be measured.

전압 측정부(500)는 배터리(200)의 시간에 따른 전압 변화를 각각 측정할 수 있으며, 과방전 전후의 배터리(200)의 전압의 변화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200)가 배터리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부(700)에서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를 수행한 이후의 전압의 변화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The voltage measuring unit 500 may measure voltage changes over time of the battery 200, respectively, and may measure changes in the voltage of the battery 200 before and after over-discharge. In addition, the battery 200 may measure a state of change in voltage after the battery charge/discharge cycle test unit 700 performs a charge/discharge cycle test.

데이터 수집부(600)는 온도 측정부(400) 및 전압 측정부(500)와 연결되어 측정된 값을 수집하여, 표시할 수 있다.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배터리(200)의 온도 및 전압 측정값을 수집하여 표시할 수 있다.The data collection unit 600 may be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measurement unit 400 and the voltage measurement unit 500 to collect and display measured values. Temperature and voltage measurements of the battery 200 may be collected and displayed at set time intervals.

배터리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부(700)는 과방전된 배터리(200)에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는 충방전 사이클을 설정된 횟수만큼 수행하여 그에 따른 배터리 용량 측정 결과를 산출하는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배터리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부(700)는 충전부, 방전부 및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부는 과방전된 배터리(200)를 충전시킬 수 있고, 방전부는 과방전된 배터리(200)에 전류를 공급하여 방전시킬 수 있다. 표시부는 충방전 사이클의 설정된 횟수와 그에 따라 측정된 배터리 용량 측정 결과를 산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충방전 사이클의 설정된 횟수는 100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battery charge/discharge cycle test unit 700 may perform a test for calculating a battery capacity measurement resul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charge/discharge cycles that repeat charging and discharging on the overdischarged battery 200. The battery charge/discharge cycle test unit 700 may include a charging unit, a discharging unit, and a display unit. The charging unit may charge the over-discharged battery 200, and the discharge unit may supply and discharge the current to the over-discharged battery 200. The display unit may calculate and display the set number of charge/discharge cycles and the measured battery capacity measurement result accordingly. The set number of charge/discharge cycles is preferably 100 or more.

예를 들어, 정전류 시험법으로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를 하는 경우 배터리(200)에 정전류를 인가하여 시간에 따른 배터리의 시간에 따른 전압의 변화를 측정하여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배터리(200)가 리튬 이온 배터리일 경우, 충전의 경우 배터리(200)의 전압이 상승하며, 방전의 경우 배터리(200)의 전압이 하강한다. 통상적으로 충전 전압은 전해질 분해 및 전극물질 안전성을 위하여 4.3V 이하의 전압을 이용하며, 방전전압의 경우 방전전압의 경우 3V 정도까지 측정하여 과방전(over-discharge)에 의한 전극 물질의 손상을 막게 된다. 이와 같이 배터리(200)가 특정 전압을 나타내는 범위 내에서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는 사이클 과정을 수행하여, 이에 따라 배터리가 가진 용량 측정 결과를 산출하여 테스트를 수행하게 된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charging/discharging cycle test using the constant current test method, a constant current is applied to the battery 200 to measure a change in voltage over time of the battery over time to check characteristics. When the battery 200 is a lithium ion battery, the voltage of the battery 200 increases in the case of charging, and the voltage of the battery 200 decreases in the case of discharge. Typically, the charging voltage uses a voltage of 4.3 V or less for electrolyte decomposition and electrode material safety, and in the case of discharge voltage, measures up to 3 V for discharge voltage to prevent damage to the electrode material due to over-discharge. do. In this way, the battery 200 performs a cycle process of repeating charging and discharging within a range representing a specific voltage, thereby calculating a capacity measurement result of the battery and performing a test.

한편, 배터리 과방전 테스트 후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 장치(10)는 배터리(200)의 테스트 과정 상에서 발화나 폭발의 가능성이 있을 수 있으므로, 유독가스 등을 별도로 배출할 수 있는 공기 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after the battery over-discharge test, the charge-discharge cycle test apparatus 10 may further include an air filter unit capable of separately discharging toxic gases, etc., since there may be a possibility of ignition or explosion in the process of testing the battery 200. hav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과방전 테스트 후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 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3 is a flow chart showing a step-by-step method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cycles after a battery overdischarge t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과방전 테스트 후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 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charging and discharging cycle test method after a battery overdischarge t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S100 단계는, 챔버(200) 내부를 15°C 내지 25°C 범위 내의 온도로 설정하여 내부에 배터리 과방전 테스트부(300)와 배터리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부(400)를 설치하는 준비 단계이다. Step S100 is a preparation step of setting the inside of the chamber 200 to a temperature within the range of 15°C to 25°C to install the battery over-discharge test unit 300 and the battery charge-discharge cycle test unit 400 therein.

S200 단계는, 배터리 과방전 테스트부(300)에서 설정된 방전 조건으로 배터리(200)를 과방전시키는 과방전 단계이다. 이때 설정된 방전 조건은 배터리(200)의 방전율을 0.2C-rate으로 설정하여, 배터리(200)의 전압을 0.0V 내지 2.5V 사이의 값에 도달하도록 방전시킬 수 있다. 이는 배터리(200)가 발화나 폭발이 되지 않을 정도에 해당되어, 이후의 단계를 진행할 수 있어야 한다. 실생활에서 배터리(200)가 과방전된 이후에도 배터리(200)에서 누액이나, 폭발, 발화 등이 관찰되지 않아서, 배터리(200)를 지속적으로 계속 사용할 수 있는 경우에 대하여 배터리의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Step S200 is an over-discharge step of over-discharging the battery 200 under a discharge condition set by the battery over-discharge test unit 300. At this time, the set discharge condition may set the discharge rate of the battery 200 to 0.2C-rate, thereby discharging the voltage of the battery 200 to reach a value between 0.0V and 2.5V. This corresponds to the extent to which the battery 200 does not ignite or explode, and should be able to proceed with the subsequent steps. In the real life, even after the battery 200 is over-discharged, leakage or explosion, ignition, etc. are not observed in the battery 200, so that the battery safety must be confirmed in a case where the battery 200 can be continuously used. Because.

S300 단계는, 배터리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부(700)에서 과방전된 배터리(200)에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는 충방전 사이클을 100회 이상 수행하여 그에 따른 배터리 용량 측정 결과를 산출하는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이다. In step S300, a charge/discharge cycle test that performs a charge/discharge cycle that repeats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overcharged battery 200 at least 100 times in the battery charge/discharge cycle test unit 700 to calculate a battery capacity measurement result accordingly It is a step to perform.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배터리 과방전 테스트 후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 장치(10) 및 측정 방법은 실생활에서 배터리를 사용하는 경우 일상적인 사용 환경에서 과방전이 발생한 경우에도 계속 배터리를 사용한 상태의 배터리에 대해 충방전 테스트를 진행하여, 배터리의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에서 과방전이 발생한 경우에도 일상에서 계속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의 환경을 상정하여 배터리의 안전성을 테스트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battery over-discharge tes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e-discharge cycle test apparatus 10 and the measuring method continue to use the battery even when over-discharge occurs in a daily use environment when the battery is used in real life. Charging and discharging tests can be performed on the used battery to check the safety of the battery. Therefore, even if an over-discharge occurs in the battery, it is possible to test the safety of the battery by assuming an environment in which the battery is continuously used in daily lif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of the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 : 배터리 과방전 테스트 후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 장치
100 : 챔버
200 : 배터리
300 : 배터리 과방전 테스트부
400 : 온도 측정부
500 : 전압 측정부
600 : 데이터 수집부
700 : 배터리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부
10: Charging and discharging cycle test device after battery overdischarge test
100: chamber
200: battery
300: battery over-discharge test unit
400: temperature measuring unit
500: voltage measuring unit
600: data collection unit
700: battery charge and discharge cycle test unit

Claims (7)

설정된 온도 하에서 배터리를 테스트할 수 있도록 형성된 챔버;
설정된 방전 조건으로 상기 배터리를 과방전시키는 배터리 과방전 테스트부;
설정된 온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챔버 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챔버 내부 온도 측정 센서와 상기 배터리의 온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배터리 온도 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온도 측정부;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전압 측정부;
상기 온도 측정부 및 상기 전압 측정부와 연결되어 측정된 값을 수집하고, 표시하는 데이터 수집부; 및
상기 과방전된 배터리에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는 충방전 사이클을 설정된 횟수만큼 수행하여 그에 따른 배터리 용량 측정 결과를 산출하는 테스트를 수행하는 배터리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과방전 테스트 후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 장치.
A chamber formed to test the battery under a set temperature;
A battery over-discharge test unit for over-discharging the battery under a set discharge condition;
A temperature measuring unit including a chamber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capable of measur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chamber and a battery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battery to check the set temperature;
A voltag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voltage of the battery;
A data collection unit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measurement unit and the voltage measurement unit to collect and display measured values; And
A battery charge/discharge cycle test unit performing a test for calculating a battery capacity measurement result by performing a charge/discharge cycle repeating charging and discharging on the overdischarged battery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Discharge cycle test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부는
상기 과방전된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부, 상기 과방전된 배터리에 전류를 공급하여 방전시키는 방전부 및 충방전 사이클의 설정된 횟수와 그에 따른 배터리 용량 측정 결과를 산출하여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과방전 테스트 후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attery charge and discharge cycle test unit
A battery over-discharge including a charging unit for charging the over-discharged battery, a discharge unit for supplying and discharging current to the over-discharged battery, and a display unit for calculating and displaying a set number of charge and discharge cycles and a result of measuring the battery capacity accordingly. Charging and discharging cycle test device after tes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온도는 15°C 내지 25°C 범위 내인, 배터리 과방전 테스트 후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t temperature is in the range of 15 °C to 25 °C, the battery over-discharge test and charge-discharge cycle test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방전 조건은 상기 배터리의 방전율을 0.2C-rate으로 설정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0.0V내지 2.5V 사이의 값에 도달하도록 방전시키는, 배터리 과방전 테스트 후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t discharge condition sets the discharge rate of the battery to 0.2C-rate, and discharges the voltage of the battery to reach a value between 0.0V and 2.5V, after a battery overdischarge test, a charge and discharge cycle test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 사이클의 설정된 횟수는 100회 이상인, 배터리 과방전 테스트 후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t number of times of the charge/discharge cycle is 100 or more times, and a charge/discharge cycle test device after a battery overdischarge test.
챔버 내부를 15°C 내지 25°C 범위 내의 온도로 설정하여 내부에 배터리 과방전 테스트부와 배터리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부를 설치하는 준비 단계;
배터리 과방전 테스트부에서 설정된 방전 조건으로 상기 배터리를 과방전시키는 과방전 단계; 및
배터리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부에서 상기 과방전된 배터리에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는 충방전 사이클을 100회 이상 수행하여 그에 따른 배터리 용량 측정 결과를 산출하는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 과방전 테스트 후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 방법.
A preparation step of setting the inside of the chamber to a temperature within the range of 15°C to 25°C to install a battery over-discharge test unit and a battery charge-discharge cycle test unit therein;
An over-discharge step of over-discharging the battery under a discharge condition set by a battery over-discharge test unit; And
A battery charging/discharging cycle test unit performs a charging/discharging cycle test to perform a charging/discharging cycle of repeating charging and discharging on the overdischarged battery at least 100 times to calculate a battery capacity measurement result accordingly. Charging/discharging cycle test method after over-discharge test.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방전 조건은 상기 배터리의 방전율을 0.2C-rate으로 설정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0.0V내지 2.5V 사이의 값에 도달하도록 방전시키는, 배터리 과방전 테스트 후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set discharge condition is to set the discharge rate of the battery to 0.2C-rate, to discharge the voltage of the battery to reach a value between 0.0V and 2.5V, after the battery over-discharge test, charge and discharge cycle test method.
KR1020180157211A 2018-12-07 2018-12-07 Battery charge-discharge cycle test after battery over-discharge test apparatus and method KR2020006977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211A KR20200069775A (en) 2018-12-07 2018-12-07 Battery charge-discharge cycle test after battery over-discharge test apparatus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211A KR20200069775A (en) 2018-12-07 2018-12-07 Battery charge-discharge cycle test after battery over-discharge test apparatus an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9775A true KR20200069775A (en) 2020-06-17

Family

ID=71405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7211A KR20200069775A (en) 2018-12-07 2018-12-07 Battery charge-discharge cycle test after battery over-discharge test apparatus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9775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728B1 (en) 2022-03-29 2022-08-24 (주)헤스테크놀로지 Fire extinguishing method occurring inside the chamber during battery test using Fire suppression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910B1 (en) 2011-05-09 2013-02-05 주식회사 피앤이솔루션 Zero voltage discharge circuit having active switching elements of parallel typ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910B1 (en) 2011-05-09 2013-02-05 주식회사 피앤이솔루션 Zero voltage discharge circuit having active switching elements of parallel typ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728B1 (en) 2022-03-29 2022-08-24 (주)헤스테크놀로지 Fire extinguishing method occurring inside the chamber during battery test using Fire suppress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1317B1 (en) Explosive pressure measurement system for middle or large sized cell and method for measuring explosive pressure of middle or large sized cell module using the same
KR101660443B1 (en) Device for detecting inner pressure of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detecting inner pressure of secondary battery by using the same
KR100809453B1 (en) The monitering system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lithium rechargable battery pack
Madani et al. A review of different electric equivalent circuit models and parameter identification methods of lithium-ion batteries
JP2014222603A (en) Inspection method for battery
US11196269B2 (en) Battery cell protection system
US11506721B2 (en) Method for determining section in which generation of internal gas in second battery accelerates
KR101681968B1 (en) Apparatus for testing secondary battery
KR20200069768A (en) Battery charge-discharge cycle test after battery heating test apparatus and method
KR101943612B1 (en) Apparatus for inspecting secondary battery protection circui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20018676A (en) Thermal propagation simulation apparatus simulating thermal propagation of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simultaneously, and thermal propagation method using the same
US20130252070A1 (en) Dummy battery cell for safe testing of battery systems
KR20200069766A (en) Battery charge-discharge cycle test after battery short-circuit test apparatus and method
TW201237758A (en) Lithium cell simulating device
Hardy et al. Rethinking lithium-ion battery management: eliminating routine cell balancing enhances hazardous fault detection
KR20200069775A (en) Battery charge-discharge cycle test after battery over-discharge test apparatus and method
KR10247323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battery
KR102160646B1 (en) The crack detecting method for protection circuit module type of Li ion battery
KR101005851B1 (en) Overcurrent Testing Apparatus of Battery Multi Cell Protection Circuit with Serial Loop
WO2019058666A1 (en) Secondary battery deterioration detection system
CN107356880B (en) Battery electric quantity detection method
CN106291371A (en) A kind of lithium battery lancing test emulation mode and device
JP6478293B2 (en) Battery management uni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9627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short of a battery cell
JP2018129896A (en) Battery Management Un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