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9760A - Hanger for current cable - Google Patents

Hanger for current c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9760A
KR20200069760A KR1020180157187A KR20180157187A KR20200069760A KR 20200069760 A KR20200069760 A KR 20200069760A KR 1020180157187 A KR1020180157187 A KR 1020180157187A KR 20180157187 A KR20180157187 A KR 20180157187A KR 20200069760 A KR20200069760 A KR 20200069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transmission cable
power transmission
display unit
sea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71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89360B1 (en
Inventor
이진희
서동범
조정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157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9360B1/en
Publication of KR20200069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97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3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6Suspensions for lines or cables along a separate supporting wire, e.g. S-hook

Landscapes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hanger for a power transmission cable, which can increase working efficienc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ger for a power transmission cable is provided for a power transmission cable to move while a mounting unit (50) is mov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a second hanger (200) in accordance with thermal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2).

Description

송전케이블용 행거{Hanger for current cable}Hanger for current cable

본 발명은 송전케이블용 행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송전케이블의 열신축에 따른 스네이크 포설 상태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송전케이블용 행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ger for a power transmission cab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anger for a power transmission cable capable of accurately grasping the state of snake laying due to thermal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일반적으로 송전케이블을 지중에 포설하는 경우에 지하에 터널 형태의 전력구를 형성하고, 상기 전력구 내로 상기 송전케이블을 인입 및 이동시키게 된다.In general, when a power transmission cable is laid underground, a tunnel-shaped electric power sphere is formed underground, and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is introduced and moved into the electric power sphere.

종래의 송전케이블을 지중에 포설하는 상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state of laying the conventional transmission cable in the grou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에는 송전케이블을 포설하기 위해서 지상의 대형 허브에 권취된 송전케이블(13)이 포설비계에 의해 전력구 내로 공급되고, 상기 전력구 내의 송전케이블(13)은 고정 설치된 다수의 캐터필러(14)에 의해 인출되면서 안내롤러(15)를 따라 이송되었다.Referring to the attached Figures 1 to 3, conventionally, the transmission cable 13 wound on a large hub on the ground to be installed in order to lay the transmission cable is supplied into the power sphere by a gun installation system, and the transmission cable 13 in the power sphere ) Was drawn along a guide roller 15 while being pulled out by a plurality of caterpillars 14 fixedly installed.

상기 송전케이블(13)이 안내롤러(15)에 안착되면서 고정된 캐터필러(14)에 장착되고, 다수의 캐터필러(14)의 견인에 의해 상기 송전케이블(13)이 안내롤러(14)를 따라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된 송전케이블(13)은 전력구 벽에 설치된 행거(16)에 포설되었다.The transmission cable 13 is mounted on a fixed caterpillar 14 while being seated on the guide roller 15, and the transmission cable 13 is transported along the guide roller 14 by traction of a plurality of caterpillars 14 do. And the transferred power transmission cable 13 was installed on a hanger 16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electric power outlet.

상기 송전케이블(13)은 전력구내에 포설할 경우 열신축에 따른 길이 방향 이동에 따른 변위를 자체적으로 보완하기 위해 스네이크 포설을 실시한다.When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13 is installed in the electric power sphere, snake placement is performed to compensate for displacement caused by longitudinal movement due to thermal expansion and contraction.

스네이크 포설은 상기 행거(16)가 특정 간격이 유지되면서 벽을 따라 설치되는데, 일 예로 상기 행거(16)는 1.5미터 간격으로 4개가 설치된 길이를 1피치(pitch)로 정의 한다. 그리고 상기 송전케이블(13)은 상기 1피치의 구간에서 각각의 행거를 따라 설치된다.Snake laying is installed along the wall while the hanger 16 maintains a certain distance. For example, the hanger 16 defines a length of 4 pitches at 1.5 meter intervals as 1 pitch. And the transmission cable 13 is installed along each hanger in the 1-pitch section.

송전케이블(13)은 정상적으로 설치될 경우 정해진 이동폭의 범위 이내에서 신축에 따른 변화가 유지된다.When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13 is normally installed, changes according to expansion and contraction are maintained within a range of a predetermined movement width.

만약 상기 송전케이블(13)이 부하량이 증가하여 자체 열신축이 과도하게 발생될 경우에는 정해진 이동폭을 초과하여 이동되었다.If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13 has an excessive amount of self-expansion due to an increase in the load, it has been moved beyond a predetermined movement width.

또한 상기 송전케이블(13)은 부하량이 감소될 경우 정해진 위치 보다 적은 폭으로 이동되는데, 스네이크 포설 기준에 따라 상이하나 작업자가 스네이크 포설시 또는 포설 이후에 상기 송전케이블(13)의 정상 범위 이내에서 열신축이 이루어지는지 점검 하기 위해서는 매 피치마다 일일이 육안으로 점검하는데 상당한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유발되었다.In addition,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13 is moved to a width less than a predetermined position when the load is reduced, but differs according to the snake laying standard, but the worker heats within the normal range of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13 when or after laying the snake. In order to check whether the new construction is made, a problem was caused that it takes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and manpower to visually inspect every pitch.

일 예로 상기 송전케이블(13)이 1Km 전력구에 신설된 경우 작업자가 상기 송전케이블(13)의 포설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수백 개의 행거를 확인해야 하므로 최초 송전케이블(13)이 설치된 위치에서 열신축에 따른 부하량 변화를 정확하게 인식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게 되었다.As an example, when the transmission cable 13 is newly installed in a 1Km power outlet, an operator must check hundreds of hangers in order to visually check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transmission cable 13, so that the first transmission cable 13 is installed. It is necessary to take measures to accurately recognize the change in load due to thermal expansion and contraction.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2006-0052813호Korea Registered Patent No. 10-2006-0052813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작업자가 송전케이블의 스네이크 포설에 따른 설치 중 또는 설치가 완료된 이후에 부하량 또는 외기온도와 같은 변수에 따라 열신축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위치 이동 여부를 육안으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송전케이블용 행거를 제공하고자 한다.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or can accurately check whether the position is shifted visually even when thermal expansion or contraction occurs according to variables such as load or outside temperature during installation or after installation is completed according to the snake laying of the transmission cable. We want to provide a dragon hanger.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송전케이블용 행거는 지중에 구축된 전력구의 통로를 기준으로 측벽(3)에 설치되고, 송전케이블(2)이 고정된 제1 행거(100); 및 상기 제1 행거(200)에서 상기 송전케이블(2)이 연장된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측벽(3)에 설치되고, 상기 송전케이블(2)이 안착되는 안착부(50)의 하면이 삽입되며 상기 제1 행거(100)와 교대로 설치된 제2 행거(200)를 포함하되, 상기 안착부(50)는 상기 송전케이블(2)의 열신축에 따라 상기 제2 행거(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anger for a power transmission cab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side wall 3 based on the passage of the power tool constructed in the ground, and the first hanger 100 having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2 fixed thereto; And the first hanger 200,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2) is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installed on the side wall (3),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2) seating portion 50 is seated ) Is inserted and includes a second hanger 200 alternately installed with the first hanger 100, wherein the seat 50 is the second hanger according to the thermal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transmission cable 2 ( 20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ement is ma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제2 행거(200)는 일단이 상기 측벽(3)에 구비된 지지대(4)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통로를 향해 상면이 수평하게 연장된 자유단으로 이루어진 바디부(210); 상기 바디부(210)의 연장된 단부에 형성된 스토퍼(220)를 포함한다.The second hanger 200 includes a body portion 210 having one end fixed to the support 4 provided on the side wall 3 and the other end made of a free end whose horizontal surface extends horizontally toward the passageway; It includes a stopper 220 formed on the extended end of the body portion 210.

상기 바디부(210)는 상기 측벽(3)에서 상기 스토퍼(220)로 갈수록 하면이 상측을 향해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ody portion 21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surface is inclined toward the upper side toward the stopper 220 from the side wall (3).

상기 안착부(50)에는 상기 제2 행거(200)에 하면이 부분 삽입되는 홈부(52)가 형성된다.In the seating portion 50, a groove portion 52 in which a lower surface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second hanger 200 is formed.

상기 홈부(52)는 내측 면 중 상기 제2 행거(200)의 상면과 접촉되는 제1 상대면(52s1)은 면접촉된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제2 행거(200)의 전면(201)과 마주보는 제2 상대면(52s2)과, 상기 제2 행거(200)의 후면(202)과 마주보는 제3 상대면(52s3)과는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roove 52 has a first mating surface 52s1 contacting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anger 200 among the inner surfaces, and a surface contact state is maintained, and the front surface 201 of the second hanger 20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paced apart from the opposing second mating surface 52s2 and the third mating surface 52s3 facing the rear 202 of the second hanger 200 are maintained.

상기 홈부(52)에는 상기 제2 행거(200)의 상면을 향해 돌출된 제1 돌기(52a); 상기 제2 행거(200)의 전면(201)을 향해 돌출된 제2 돌기(52b); 상기 제2 행거(200)의 후면(202)을 향해 돌출된 제3 돌기(52c)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돌기(52a, 52b, 52c)는 상기 안착부(50)와 점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roove portion 52 includes a first protrusion 52a protruding toward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anger 200; A second protrusion 52b protruding toward the front 201 of the second hanger 200; It includes a third projection (52c) protruding toward the rear 202 of the second hanger 200, the first to third projections (52a, 52b, 52c) point contact with the seating portion 5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tained state.

상기 제1 돌기(52a)는 상기 제2 내지 제3 돌기(52b, 52c) 보다 돌출 높이가 높게 돌출된다.The first protrusion 52a protrudes higher than the second to third protrusions 52b and 52c.

상기 홈부(52)에는 상기 제2 행거(200)의 상면을 향해 돌출되고, 구름 접촉이 이루어지는 제1 롤러(52d); 상기 제2 행거(200)의 전면(201)과 구름 접촉이 이루어지는 제2 롤러(52e); 상기 제2 행거(200)의 후면(202)과 구름 접촉이 이루어지는 제3 롤러(52f)를 포함한다. The groove portion 52 has a first roller (52d) protruding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anger 200, the rolling contact is made; A second roller 52e in rolling contact with the front 201 of the second hanger 200; And a third roller 52f in which rolling contact is made with the rear surface 202 of the second hanger 200.

상기 스토퍼(220)는 연성 재질로 이루어진다.The stopper 220 is made of a soft material.

상기 바디부(210)에는 상기 송전케이블(2)이 안착된 안착부(50)의 위치 정보가 기재된 제1 표시부(310); 상기 송전케이블(2) 시스의 평균 외경 정보가 기재된 제2 표시부(320); 상기 송전케이블(2)의 종류에 대한 정보가 기재된 제3 표시부(330)가 형성된 표시부(300)를 더 포함 한다.The body portion 210 includes a first display unit 310 in which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eating portion 50 on which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2 is mounted is described; A second display unit 320 having average outer diameter information of the sheath of the transmission cable 2; The display unit 300 further includes a third display unit 330 on which information on the type of the transmission cable 2 is described.

상기 표시부(300)는 상기 바디부(210)의 하면에 위치되되, 상기 송전케이블(2)이 상기 안착부(50)에 정상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안착부(50)의 단부가 상기 제1 표시부(310)와 상하로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 part 300 is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art 210, but the end of the seating part 50 is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2 is normally seated on the seating part 5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in a position facing the display unit 310 up and down.

상기 제1 내지 제3 표시부(310, 320, 330)는 상기 표시부(300)의 전면에 기재된다.The first to third display units 310, 320, and 330 are describ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unit 300.

상기 제1 표시부(310)는 상기 제2 내지 제3 표시부(320, 330)과 상이한 색깔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display unit 310 is characterized by being displayed in a different color from the second to third display units 320 and 330.

상기 표시부(300)는 상기 바디부(210)에 자력으로 설치되도록 고무에 자성 입자가 함유된 고무 자석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 part 300 is characterized in that a rubber magnet containing magnetic particles is used in the rubber so that the body part 210 is magnetically installed.

상기 제2 행거(200)는 상기 송전케이블(2)이 상기 측벽(3)과 근접하여 연장될 경우에는 제1 길이(L1)로 연장되고, 상기 송전케이블(2)이 상기 통로를 향해 연장될 경우에는 제2 길이(L2)로 연장되되, 상기 제2 길이(L2)는 상기 제1 길이(L1) 보다 길게 연장된다.The second hanger 200 extends to a first length L1 when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2 extends close to the side wall 3, and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2 extends toward the passageway. In this case, the second length L2 extends, but the second length L2 extends longer than the first length L1.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송전케이블용 행거는 지중에 구축된 전력구의 통로를 기준으로 측벽(3)에 설치되고, 송전케이블(2)이 고정된 제1 행거(100); 상기 제1 행거(200)에서 상기 송전케이블(2)이 연장된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측벽(3)에 설치되고, 상기 송전케이블(2)이 안착되는 안착부(50)의 하면이 삽입되며 상기 제1 행거(100)와 교대로 설치된 제2 행거(200); 상기 제2 행거(200)의 하면에 위치된 표시부(300); 및 상기 안착부(50)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송전케이블(2)의 열신축에 따라 상기 안착부(50)가 상기 제2 행거(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이 이루어질 때 위치에 따른 상기 송전케이블(2)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400)를 더 포함한다.The hanger for a power transmission cab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side wall 3 based on the passage of the power tool constructed in the ground, and the first hanger 100 having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2 fixed thereto; In the first hanger 200, the transmission cable 2 is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installed, and is installed on the side wall 3, and the seating portion 50 on which the transmission cable 2 is seated 50 A second hanger 200 in which the lower surface is inserted and alternately installed with the first hanger 100; A display unit 300 position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hanger 200; And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ating portion 50, according to the position when the seating portion 50 is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hanger 200 according to the thermal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transmission cable (2) The transmission cable 2 further includes a sensor unit 400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bnormality.

상기 센서부(400)는 상기 안착부(50)에 위치되고, 상기 표시부(300)를 바라보는 제1 센서(410); 상기 제1 센서(410)와 마주보며 상기 표시부(300)에 구비된 제2 센서(420)를 포함한다.The sensor unit 400 is located on the seating portion 50, the first sensor 410 facing the display unit 300; The second sensor 420 is provided on the display unit 300 facing the first sensor 410.

상기 제2 행거(200)는 일단이 상기 측벽(3)에 구비된 지지대(4)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통로를 향해 상면이 수평하게 연장된 자유단으로 이루어진 바디부(210); 상기 바디부(210)의 연장된 단부에 형성된 스토퍼(220)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210)에는 상기 송전케이블(2)이 안착된 안착부(50)의 위치 정보가 기재된 제1 표시부(310); 상기 송전케이블(2) 시스의 평균 외경 정보가 기재된 제2 표시부(320); 상기 송전케이블(2)의 종류에 대한 정보가 기재된 제3 표시부(330)가 형성된 표시부(300)를 더 포함한다.The second hanger 200 includes a body portion 210 having one end fixed to the support 4 provided on the side wall 3 and the other end made of a free end whose horizontal surface extends horizontally toward the passageway; A first display unit including a stopper 220 formed at an extended end of the body portion 210, and in whic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ating portion 50 on which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2 is mounted is described in the body portion 210 ( 310); A second display unit 320 having average outer diameter information of the sheath of the transmission cable 2; The display unit 300 further includes a third display unit 330 on which information on the type of the transmission cable 2 is described.

상기 제1 표시부(310)는 상기 바디부(210)의 길이 방향에서 복수개의 단위 표시영역으로 구획되고, 각각의 단위 표시영역은 상기 송전케이블(2)이 열신축에 따라 상기 제2 행거(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위치에 따라 점등이 이루어지도록 점등부(311)가 구비된다.The first display unit 31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unit display reg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210, and each unit display region is the second hanger 100 according to the thermal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2 ), the lighting unit 311 is provided to be ligh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바디부(210)에는 상기 송전케이블(2)이 안착된 안착부(50)의 위치 정보가 기재된 제1 표시부(310); 상기 송전케이블(2) 시스의 평균 외경 정보가 기재된 제2 표시부(320); 상기 송전케이블(2)의 종류에 대한 정보가 기재된 제3 표시부(330)가 형성된 표시부(3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부(310)는 상기 제2 내지 제3 표시부(320, 330)와 상이한 색깔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ody portion 210 includes a first display unit 310 in which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eating portion 50 on which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2 is mounted is described; A second display unit 320 having average outer diameter information of the sheath of the transmission cable 2; The display unit 300 further includes a third display unit 330 on which information on the type of the transmission cable 2 is described, and the first display unit 310 includes the second to third display units 320 and 330.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displayed in a different color.

본 실시 예는 송전케이블용 행거를 이용한 스네이크 포설 방법을 제공한다.This embodiment provides a snake laying method using a hanger for a power transmission cable.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작업자가 스네이크 포설된 송전케이블의 열신축에 따른 위치 이동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최초 위치 대비 현재 이동된 위치를 정확하게 육안으로 인지하고 손쉽게 확인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a position movement occurs due to thermal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a transmission cable in which a snake is installed, the presently moved position can be accurately recognized with the naked eye and easily confirmed, thereby improving work efficiency.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작업자가 송전케이블을 포설할 때 정상 위치에 정확히 포설이 가능해지므로 작업자의 작업 효율이 향상되고, 상기 송전케이블의 변형에 의한 고장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operator installs a power transmission cable,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install it in a normal position, thereby improving the work efficiency of the worker and preventing a failure due to deform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in advance.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송전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송전케이블용 행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송전케이블용 행거에 안착된 압착부와 송전케이블을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송전케이블용 행거에 구비된 제2 행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송전케이블용 행거에서 제2 행거에 안착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의 변형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송전케이블용 행거에 구비된 표시부를 도시한 도면.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송전케이블용 행거에 구비된 송전케이블의 작동 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송전케이블용 행거에서 제2 행거에 안착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6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송전케이블용 행거에 구비된 센서부와 표시부의 작동 상태도.
1 to 3 are views showing a process for installing a conventional power transmission cable.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anger for a power transmission cab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5 is a front view showing a crimp portion and a power transmission cable seated on a power cable hang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hanger provided in the hanger for a power transmission cab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t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second hanger in the power cable hang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to 10 are views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of FIG. 7.
11 is a view showing a display unit provided in a hanger for a power transmission cab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to 14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transmission cable provided in the hanger for a transmission cab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t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second hanger in the power cable hang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to 17 are operation states of the sensor unit and the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hanger for a power transmission cab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송전케이블용 행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A hanger for a power transmission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reference,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exemplified only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o the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disclosure forms, and includes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righ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The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just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neighboring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herein exists,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ies of field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related technologie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herein. Does not.

첨부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는 지중에 구축된 전력구의 통로를 기준으로 측벽(3)에 설치되고, 송전케이블(2)이 고정된 제1 행거(100) 및 상기 제1 행거(200)에서 상기 송전케이블(2)이 연장된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측벽(3)에 설치되고, 상기 송전케이블(2)이 안착되는 안착부(50)의 하면이 삽입되며 상기 제1 행거(100)와 교대로 설치된 제2 행거(200)를 포함하되, 상기 안착부(50)는 상기 송전케이블(2)의 열신축에 따라 상기 제2 행거(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4 to 6,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on the side wall 3 based on the passage of the power tool built in the ground, and the transmission cable 2 is fixed to the first hanger 100 and the agent When the hanger 200 is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2 is extended, it is installed on the side wall 3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50 on which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2 is seated This is inserted and includes a second hanger 200 alternately installed with the first hanger 100, the seating portion 50 of the second hanger 200 according to the thermal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transmission cable (2)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ement is ma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실시 예는 송전케이블(2)이 상기 제1,2 앵커(100, 200)를 따라 스네이크 포설이 이루어질 때 또는 이루어진 이후에 작업자가 육안으로 상기 송전케이블(2)의 설치 상태를 손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송전케이블(2)에서 열신축이 발생되는 경우 에도 상기 제2 행거(200)의 길이 방향에서 위치 이동된 상태를 직관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transmission cable 2 is formed or the snake is laid along the first and second anchors 100 and 200, the operator can easily distinguish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transmission cable 2 with the naked eye. In addition, even when thermal expansion and contraction occurs in the transmission cable 2, it is intended to intuitively grasp the position shif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hanger 200.

이를 위해 본 실시 예는 제1 행거(100)와, 제2 행거(200)가 구비되고, 상기 제1,2 행거(100, 200)가 전력구의 통로를 따라 서로 교대로 설치된다. To this e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hanger 100 and the second hanger 200 are provided, and the first and second hangers 100 and 200 are alternately installed along the passageway of the power tool.

제1,2 행거(100, 200)가 교대로 설치되는 이유는 송전케이블(2)에서 열신축이 발생될 경우 제1 행거(100)는 고정된 상태가 유지 되고, 제2 행거(200)에 위치된 송전케이블(2)의 열신축에 의해 상기 제2 행거(200)의 길이 방향에서 이동 되도록 하여 상기 송전케이블(2)의 열신축에 의한 위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The reason why the first and second hangers 100 and 200 are alternately installed is that when the thermal expansion and contraction occurs in the transmission cable 2, the first hanger 100 is maintained in a fixed state and the second hanger 200 is This is to facilitate movement of the position of the transmission cable 2 by thermal expansion and contraction by being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hanger 200 by thermal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location of the transmission cable 2.

상기 전력구의 통로는 짧게는 수 백 미터에서 길게는 수 킬로 미터에 이르는 상당히 길게 연장되고, 상기 송전케이블(2)이 3상으로 이루어진 케이블로 작동될 때 열신축이 발생된다.The passage of the power tool extends considerably long, ranging from a few hundred meters to several kilometres, and thermal expansion and contraction occurs when the transmission cable 2 is operated with a three-phase cable.

상기 제1 행거(100)는 상기 송전케이블(2)이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제2 행거(200)의 안착부(50)에 위치된 송전케이블(2)만 열신축되는 정도에 따라 제2 행거(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이동이 이루어지다.In the first hanger 100, the transmission cable 2 is maintained in a fixed state, and only the transmission cable 2 positioned at the seating portion 50 of the second hanger 200 is thermally stretched. Position movement is ma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hanger 200.

일 예로 상기 제2 행거(200)는 일단이 상기 측벽(3)에 구비된 지지대(4)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통로를 향해 상면이 수평하게 연장된 자유단으로 이루어진 바디부(210)와, 상기 바디부(210)의 연장된 단부에 형성된 스토퍼(220)를 포함한다.For example, the second hanger 200 is fixed to the support 4 provided at one end of the side wall 3, and the other end has a body portion 210 made of a free end whose horizontal surface extends horizontally toward the passageway. , A stopper 220 formed at an extended end of the body portion 210.

상기 제2 행거(200)는 지지대(4)에 일단이 고정되므로 송전케이블(2)과 안착부(50)의 무게에 따른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하측으로 처짐이 최소화 된다.Since the second hanger 200 has one end fixed to the support 4, sag is minimized downward even when a load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transmission cable 2 and the seat 50 is applied.

상기 바디부(210)는 상기 측벽(3)에서 상기 스토퍼(220)로 갈수록 하면이 상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이와 같이 바디부(210)의 하면이 상측으로 경사지는 이유는 상기 지지대(4)가 고정점에 해당되므로 전술한 구성품의 하중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이다.The body portion 210 extends obliquely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side wall 3 toward the stopper 220. The reason why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10 is inclined upward is to prevent deformation due to the load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and maintain a stable fixed state because the support 4 is a fixed point.

상기 바디부(210)는 위에서 바라볼 때 소정의 폭을 갖는 아이형 행거가 사용되는데, 상기 송전케이블(2)과 안착부(50)의 무게에 의한 하중으로 인한 변형 발생이 최소화 되도록 폭(b)은 짧고, 높이(h)는 상기 폭(b)에 비해 길게 연장된다.The body portion 210 is an eye-shaped hanger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when viewed from above, the width (b)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deformation due to the load due to the weight of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2) and seating portion (50) ) Is short, and the height h extends longer than the width b.

이 경우 상기 바디부(210)는 송전케이블(2)과 안착부(5)의 무게에 따른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자체적인 단면 2차 모멘트에 따른 휨에 대한 저항 성능과, 좌굴 또는 진동 특성에 따른 강성이 증가하게 되므로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body portion 210 is resistant to deflection due to its own cross-sectional secondary moment and buckling or vibration characteristics even when a load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transmission cable 2 and the seating portion 5 is applied. Since the resulting stiffness increases, it is configured in the form shown in the drawings.

또한 바디부(210)는 측벽(3)과 연결된 부분의 높이(h)가 폭(b)에 비해 길게 유지되므로 상기 위치에 별도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변형에 따른 파손 발생 확률이 감소된다.In addition, since the body part 210 maintains the height h of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side wall 3 longer than the width b, the probability of damage due to deformation is reduced even when a separat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position.

상기 스토퍼(220)는 일 예로 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고무 또는 실리콘이 사용될 수 있으나, 전술한 재질로 반드시 한정하지 않는다.The stopper 220 is made of a soft material, for example, rubber or silicone may be used,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forementioned materials.

상기 스토퍼(220)는 후술할 안착부(50)가 상기 제2 행거(200)의 상면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때 통로를 향해 연장된 단부에서 더 이상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The stopper 220 is provided to prevent further movement of the seating portion 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t an end extended toward the passage when the second hanger 200 is moved along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top surface.

따라서 상기 안착부(50)는 제2 행거(200)에서 스토퍼(220)가 위치된 곳 까지만 이동되고 더 이상 길이 방향에서의 이동이 차단되므로 송전케이블(2)의 열신축에 따른 과도한 이동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seating portion 50 is moved only from the second hanger 200 to the place where the stopper 220 is located, and the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no longer blocked, so that excessive movement due to thermal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transmission cable 2 is stable. Can be prevented.

첨부된 도 5 또는 도7을 참조하면, 안착부(50)는 3상으로 이루어진 송전케이블(2)을 감싼 상태로 상기 제2 행거(200)의 상면에 하면이 부분 삽입되는 홈부(52)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2 행거(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5 or 7, the seating portion 50 has a groove portion 52 in which a lower surface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anger 200 in a state in which a three-phase transmission cable 2 is wrapped. It is formed, it can be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hanger 200.

상기 안착부(50)는 하면의 폭이 상기 제2 행거(200)의 상면 폭 보다 길게 연장되므로 상기 제2 행거(200)를 구성하는 바디부(210)의 전면(201) 또는 후면(202)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삽입된 상태가 유지된다.Since the width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50 extends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anger 200, the front surface 201 or the rear surface 202 of the body part 210 constituting the second hanger 200 is provided. It is not tilted and is kept stably inserted.

첨부된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홈부(52)는 내측 면 중 바디부(210)의 상면과 접촉되는 제1 상대면(52s1)은 면접촉된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제2 행거(200)의 전면(201)과 마주보는 제2 상대면(52s2)과, 상기 제2 행거(200)의 후면(202)과 마주보는 제3 상대면(52s3)과는 이격된 상태가 유지된다.Referring to FIG. 8, the groove portion 5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intains a surface contact state with a first mating surface 52s1 contacting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10 among inner surfaces. The second mating surface 52s2 facing the front 201 of the hanger 200 and the third mating surface 52s3 facing the rear 202 of the second hanger 200 are maintained. do.

즉 안착부(50)가 제2 행거(200)의 상면에서 이동될 때 직접적인 면접촉이 유지되는 부분은 상기 홈부(52)의 하면과 상기 제2 행거(200)의 상면에 해당되므로 이동에 따른 마찰 저항이 최소화 되면서 송전케이블(2)의 열신축에 따른 안정적인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when the seating portion 50 is mov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anger 200, the portion where direct surface contact is maintained corresponds to the lower surface of the groove portion 5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anger 200. As the frictional resistance is minimized, stable movement due to thermal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transmission cable 2 can be achieved.

첨부된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는 전술한 실시 예와 다르게 상기 홈부(52)에 상기 제2 행거(200)의 상면을 향해 돌출된 제1 돌기(52a)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행거(200)의 전면(201)을 향해 돌출된 제2 돌기(52b)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행거(200)의 후면(202)을 향해 돌출된 제3 돌기(52c)가 형성된다.Referring to the attached FIG. 9,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protrusion 52a protruding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anger 200 is formed in the groove 52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second A second protrusion 52b protruding toward the front 201 of the hanger 200 is formed, and a third protrusion 52c protruding toward the rear 202 of the second hanger 200 is formed.

본 실시 예는 안착부(50)가 전술한 면 접촉에 따른 이동이 아닌 점 접촉 방식에 의해 이동이 이루어진다. 점 접촉 방식은 접촉면의 면적이 최소화 되고, 면적 감소에 따른 마찰 저항도 최소화되므로 송전케이블(2)의 열신축에 따른 작동 효율성이 보다 향상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ating portion 50 is moved by a point contact method, not a movement according to the aforementioned surface contact. In the point contact method, since the area of the contact surface is minimized and the frictional resistance due to the reduction in area is also minimized, the operating efficiency of thermal transmission and contraction of the transmission cable 2 is further improved.

상기 제1 내지 제3 돌기(52a, 52b, 52c)는 상기 안착부(50)와 점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는데, 상기 안착부(50)의 안정적인 작동을 위해 전술한 위치에서 각각 점 접촉이 유지되므로 안착부(50)가 바디부(210)의 길이 방향에서 이동될 때 일측 방향으로 편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되므로 이동 안정성이 향상된다.The first to third protrusions 52a, 52b, and 52c are maintained in point contact with the seating portion 50, respectively, for the stable operation of the seating portion 50, point contact is maintained at the above-mentioned positions. Therefore, when the seating portion 50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210, it moves stably without eccentricity in one direction, thereby improving movement stability.

상기 제1 돌기(52a)는 상기 제2 내지 제3 돌기(52b, 52c) 보다 돌출 높이가 높게 돌출되는데, 상기 안착부(50)의 무게와 송전케이블(2)의 무게에 의한 하중을 고려하여 높게 돌출된다.The first protrusion 52a protrudes higher than the second to third protrusions 52b and 52c. In consideration of the weight of the seating portion 50 and the weight of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2, It protrudes high.

상기 제2 내지 제3 돌기(52b, 52c)는 제1 돌기(52a)와 다르게 하중을 직접적으로 받는 부분이 아닌 점 접촉에 의한 마찰력이 주로 발생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돌기(52a) 보다 돌출 높이가 상이하게 돌출된다.Unlike the first protrusion 52a, the second to third protrusions 52b and 52c are protruded from the first protrusion 52a as described above because frictional force due to point contact is mainly generated rather than a part directly receiving a load. The height protrudes differently.

첨부된 도 11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는 전술한 실시 예와 다르게 구름 접촉에 의해 안착부(50)가 바디부(210)의 상면에서 이동된다. Referring to the attached FIG. 11,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ating part 50 is mov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210 by rolling contact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일 예로 상기 홈부(52)에는 상기 제2 행거(200)의 상면을 향해 돌출되고, 구름 접촉이 이루어지는 제1 롤러(52d)와, 상기 제2 행거(200)의 전면(201)과 구름 접촉이 이루어지는 제2 롤러(52e)와, 상기 제2 행거(200)의 후면(202)과 구름 접촉이 이루어지는 제3 롤러(52f)를 포함한다. For example, the groove portion 52 protrudes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anger 200, and the first roller 52d, in which rolling contact is made, and the front 201 of the second hanger 200, and rolling contact. It includes a second roller (52e) made, and a third roller (52f) that is in rolling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202) of the second hanger (200).

상기 제1 내지 제3 롤러(52d, 52e, 52f)는 구름 접촉을 통해 마찰에 따른 저항을 최소화 함과 동시에 송전케이블(2)의 열신축에 따른 보다 안정적인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to third rollers 52d, 52e, and 52f minimize resistance due to friction through rolling contact, and at the same time, more stable movement due to thermal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transmission cable 2 may be achieved.

특히 송전케이블(2)이 열신축 되거나 주변 온도에 따라 변형이 발생될 경우 제1 행거(100)는 고정되므로 제2 행거(200)에서 바디부(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 하기 때문이다. In particular, when the transmission cable 2 is thermally stretched or deformed according to the ambient temperature, the first hanger 100 is fixed, so that the second hanger 200 stably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210. Because it is preferable.

첨부된 도 5 또는 도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바디부(210)에는 상기 송전케이블(2)이 안착된 안착부(50)의 위치 정보가 기재된 제1 표시부(310)와, 상기 송전케이블(2) 시스의 평균 외경 정보가 기재된 제2 표시부(320)와, 상기 송전케이블(2)의 종류에 대한 정보가 기재된 제3 표시부(330)가 형성된 표시부(300)를 더 포함한다.5 or 11 to 12, the body portion 210 includes a first display unit 310 in which position information of a seating portion 50 on which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2 is mounted is described, and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2) The display unit 300 further includes a second display unit 320 on which the average outer diameter information of the sheath is described, and a third display unit 330 on which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2 is described.

상기 표시부(300)는 상기 바디부(210)에 자력으로 설치되도록 고무에 자성 입자가 함유된 고무 자석이 사용되므로, 상기 바디부(210)의 하면에 손쉽게 부착이 가능해 진다.The display unit 300 is a rubber magnet containing magnetic particles is used in the rubber so as to be installed on the body 210 by magnetic force, it is possible to easily attach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10.

상기 표시부(300)는 일 예로 상기 바디부(210)의 하면 폭과 대응되는 폭으로 연장되고, 상기 바디부(210)의 전면과 후면을 감싸며 연장된다.For example, the display unit 300 extends to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unit 210 and extends arou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ody unit 210.

이 경우 표시부(300)는 자력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손쉽게 상기 바디부(210)에 설치가 가능해지므로 작업 속도가 향상되고, 실수로 잘못 장착하는 경우에도 재 장착이 가능해지므로 작업이 편리성이 향상된다.In this case, since the display unit 300 can be easily installed on the body portion 210 by the operator using magnetic force, the work speed is improved, and even if it is accidentally mounted incorrectly, it is possible to re-install,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work. .

상기 표시부(300)는 상기 바디부(210)의 하면에 위치되되, 상기 송전케이블(2)이 상기 안착부(50)에 정상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안착부(50)의 단부가 상기 제1 표시부(310)와 상하로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된다.The display part 300 is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art 210, but the end of the seating part 50 is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2 is normally seated on the seating part 50. 1 is located at a position facing the display unit 310 up and down.

상기 위치는 상기 송전케이블(2)이 정상적으로 안착된 경우에 해당되므로, 설치 이후에 열신축이 발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위치에 송전케이블(2)이 위치된 상태가 유지된다.Since the position corresponds to the case where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2 is properly seated, the state where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2 is positioned at the position is maintained when heat expansion and contraction do not occur after installation.

예를 들어 송전케이블(2)이 1Km의 구간에 설치되고 열신축이 발생될 경우로 가정해 볼 때 작업자가 송전케이블의 이상 유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상기 안착부(50)의 이동에 따른 단부 위치가 제1 표시부(310)의 정상 또는 초과 또는 미달 중 어느 위치에 위치 되었는 지만 파악하면 되므로 작업자가 신속하게 현재 송전케이블의 상태를 파악하고 이상 유무가 발생된 위치에서 대응 조치를 실시할 경우 적업 속도가 향상된다.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transmission cable 2 is installed in a section of 1 Km and thermal expansion occurs, the end posi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eating portion 50 is determined by the worker to determine whether the transmission cable is abnormal. Since it is only necessary to determine where the first display unit 310 is located, whether normal or exceeded or not, the operator can quickly grasp the current status of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and perform the countermeasure at the location where the abnormality occurred. Is improved.

상기 제1 내지 제3 표시부(310, 320, 330)는 상기 표시부(300)의 전면에 기재되는데, 상기 제1 표시부(310)는 일 예로 송전케이블(2)이 정상적으로 제2 행거(200)에 안착된 경우에 해당될 경우 정상으로 표기되고, 만약 안착부(50)가 이동하여 우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위치될 경우에는 초과로 표기된다.The first to third display units 310, 320, and 330 are describ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unit 300. In the first display unit 310, for example, the transmission cable 2 is normally connected to the second hanger 200. If it is seated, it is marked as normal, and if the seating portion 50 moves and is located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right, it is marked as excessive.

초과의 의미는 송전케이블(2)이 허용된 스네이크 폭을 초과하여 설치된 경우에 해당된다.The excess means that the transmission cable 2 is installed in excess of the allowed snake width.

상기 제1 표시부(310)는 상기 제2 내지 제3 표시부(320, 330)와 상이한 색깔로 표시되는데, 작업자가 육안으로 시인성이 향상되도록 적색으로 표시될 수 있으나, 다른 색깔로 표시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The first display unit 310 is displayed in a different color from the second to third display units 320 and 330, but may be displayed in red so that an operator can visually improve visibility, but may be displayed in a different color. have.

첨부된 도 13을 참조하면, 제1 표시부(310)에 기재된 초과는 송전케이블(2)에서 열신축이 발생될 경우 바디부(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통로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를 표시하기 위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13, the excess described in the first display unit 310 is displayed to indicate a case in which a thermal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2 occurs in the direction of passag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unit 210. Is formed.

상기 제1 표시부(310)는 정상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미달로 표시되며, 상기 미달은 송전케이블(2)의 길이가 스네이크 포설되지 않고 직선에 가깝게 포설될 경우에 해당되므로 작업자는 제1 표시부(310)에 표시된 사항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현재 송전케이블(2)이 정상인지 초과인지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The first display unit 310 is displayed as less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left with respect to the normal, and the shortage corresponds to a case where the length of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2 is not laid on the snake but close to the straight line. Can visually check the item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310 and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transmission cable 2 is normal or exceeded.

제2 표시부(320)는 일 예로 설치되는 송전케이블(2)의 kV에 따라 변경되나, 일 예로 345kV일 경우 1.5DS(송전케이블 시스의 평균 외경) ±0.1DS(오차)로 표시되고, 154kV일 경우 1.2DS(송전케이블 시스의 평균 외경) ±0.1DS(오차)로 표시되므로 작업자가 육안으로 어떤 송전케이블이 설치되었는지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The second display unit 320 is changed according to the kV of the transmission cable 2 installed as an example, but for example, when it is 345kV, it is displayed as 1.5DS (average outer diameter of the transmission cable sheath) ±0.1DS (error), and 154kV days In the case of 1.2DS (average outer diameter of power transmission cable sheath) ±0.1DS (error), the operator can visually determine which power transmission cable is installed.

제3 표시부(330)는 송전케이블(2)의 종류가 어떤 것인지와 용도가 함께 표시된다.The third display unit 330 displays the type of the transmission cable 2 and the purpose of use.

첨부된 도 14를 참조하면, 송전케이블(2)이 예를 들어 미달 상태로 설치되거나, 열신축이 발생될 경우 안착부(50)가 상기 송전케이블(2)에 의해 이동되어 제1 표시부(310)의 미달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when the transmission cable 2 is installed, for example, under the condition, or when thermal expansion or contraction occurs, the seating portion 50 is moved by the transmission cable 2 and the first display portion 310 ).

작업자는 육안으로 상기 안착부(50)의 단부가 미달 위치에 위치된 것을 직접적으로 확인하고 송전케이블(2)의 포설 상태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The operator can directly confirm that the end portion of the seating portion 50 is located at a position below the naked eye and accurately recognize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2.

상기 제2 행거(200)는 상기 송전케이블(2)이 상기 측벽(3)과 근접하여 연장될 경우에는 제1 길이(L1)로 연장되고, 상기 송전케이블(2)이 상기 통로를 향해 연장될 경우에는 제2 길이(L2)로 연장되되, 상기 제2 길이(L2)는 상기 제1 길이(L1) 보다 길게 연장된다.The second hanger 200 extends to a first length L1 when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2 extends close to the side wall 3, and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2 extends toward the passageway. In this case, the second length L2 extends, but the second length L2 extends longer than the first length L1.

즉 송전케이블(2)이 스네이크 포설될 경우 열신축에 따라 이동되는 범위와 경로를 고려하여 위와 같이 연장된다.That is, when the transmission cable 2 is laid on the snake, it is extended as described above in consideration of the range and path of movement according to thermal expansion and contraction.

상기 제2 행거(200)는 송전케이블(2)이 측벽(3)과 근접될 경우에는 제1 길이(L1)로 연장되므로 통로를 향해 불필요하게 연장되지 않으므로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When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2 is close to the side wall 3, the second hanger 200 does not unnecessarily extend toward the passage,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

또한 제2 행거(200)가 측벽(3)과 멀어져서 통로를 향해 연장된 경우에는 제2 길이(L2)로 연장되므로 송전케이블(2)의 열신축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커버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hanger 200 extends toward the passage away from the side wall 3, the second hanger 200 extends to the second length L2, so that it can be stably covered even when thermal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2 occurs. .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송전케이블용 행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본 실시 예는 전술한 실시 예와 다르게 센서부를 이용하여 안착부의 이동에 따라 표시부에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시각적인 시인성을 높이고, 조도가 낮은 경우에도 정확하게 송전케이블의 현재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A hanger for a power transmission c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reference, this embodiment,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y using a sensor unit to light up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eating unit, improves visual visibility, and has an advantage of accurately grasping the current state of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even in low illumination. Have

첨부된 도 4 또는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는 지중에 구축된 전력구의 통로를 기준으로 측벽(3)에 설치되고, 송전케이블(2)이 고정된 제1 행거(100)와, 상기 제1 행거(200)에서 상기 송전케이블(2)이 연장된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측벽(3)에 설치되고, 상기 송전케이블(2)이 안착되는 안착부(50)의 하면이 삽입되며 상기 제1 행거(100)와 교대로 설치된 제2 행거(200)와, 상기 제2 행거(200)의 하면에 위치된 표시부(300) 및 상기 안착부(50)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송전케이블(2)의 열신축에 따라 상기 안착부(50)가 상기 제2 행거(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이 이루어질 때 위치에 따른 상기 송전케이블(2)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400)를 더 포함한다. 4 or 15, the present embodiment is a first hanger 100 installed on a side wall 3 based on a passage of a power tool constructed in the ground, and fixed with a transmission cable 2, and In the first hanger 200, the transmission cable 2 is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installed on the side wall 3, and the transmission cable 2 is seated 50 of the seating portion The lower surface is inserted and the second hanger 200 alternately installed with the first hanger 100, and the lower side of the display unit 300 and the seating unit 50 position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hanger 200 In accordance with the thermal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transmission cable 2, when the seating portion 50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hanger 100,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transmission cable 2 according to the position is detected. It further includes a sensor unit 400 for.

상기 센서부(400)는 상기 안착부(50)에 위치되고, 상기 표시부(300)를 바라보는 제1 센서(410)와, 상기 제1 센서(410)와 마주보며 상기 표시부(300)에 구비된 제2 센서(420)를 포함한다.The sensor unit 400 is positioned on the seating unit 50 and is provided on the display unit 300 facing the first sensor 410 facing the display unit 300 and facing the first sensor 410. It includes a second sensor 420.

상기 센서부(400)는 일 예로 적외선 센서가 사용되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다른 센서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As the sensor unit 400, an infrared sensor is used as an example, but it may also be possible to use another sensor having a function of detecting a position.

상기 센서부(400)가 구비될 경우 송전케이블(2)이 안착부(50)에서 이동될 때 정확한 위치 파악이 가능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실수로 표시부(300)에 표시된 정보를 잘못 확인하는 오류를 범하지 않게 된다.When the sensor unit 400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locate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2 when it is moved from the seating unit 50, so an operator accidentally commits an error of incorrectly checking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00. It does not.

상기 제2 행거(200)는 일단이 상기 측벽(3)에 구비된 지지대(4)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통로를 향해 상면이 수평하게 연장된 자유단으로 이루어진 바디부(210)와, 상기 바디부(210)의 연장된 단부에 형성된 스토퍼(220)를 포함한다.The second hanger 200 has one end fixed to the support 4 provided on the side wall 3,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210 made of a free end with a horizontally extending upper surface toward the passage, and It includes a stopper 220 formed on the extended end of the body portion 210.

상기 바디부(210)에는 기 설명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전케이블(2)이 안착된 안착부(50)의 위치 정보가 기재된 제1 표시부(310)와, 상기 송전케이블(2) 시스의 평균 외경 정보가 기재된 제2 표시부(320)와, 상기 송전케이블(2)의 종류에 대한 정보가 기재된 제3 표시부(330)가 형성된 표시부(300)를 더 포함한다.As illustrated in FIG. 11 described above, the body portion 210 includes a first display portion 310 on whic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ating portion 50 on which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2 is mounted is described, and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2 sheath. The display unit 300 further includes a second display unit 320 on which average outer diameter information is described and a third display unit 330 on which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2 is described.

상기 표시부(300)는 상기 바디부(210)에 자력으로 설치되도록 고무에 자성 입자가 함유된 고무 자석이 사용되므로, 상기 바디부(210)의 하면에 손쉽게 부착이 가능해 진다.The display unit 300 is a rubber magnet containing magnetic particles is used in the rubber so as to be installed on the body 210 by magnetic force, it is possible to easily attach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10.

상기 표시부(300)는 일 예로 상기 바디부(210)의 하면 폭과 대응되는 폭으로 연장되고, 상기 바디부(210)의 전면과 후면을 감싸며 연장된다.For example, the display unit 300 extends to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unit 210 and extends arou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ody unit 210.

이 경우 표시부(300)는 자력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손쉽게 상기 바디부(210)에 설치가 가능해지므로 작업 속도가 향상되고, 실수로 잘못 장착하는 경우에도 재 장착이 가능해지므로 작업이 편리성이 향상된다.In this case, since the display unit 300 can be easily installed on the body portion 210 by the operator using magnetic force, the work speed is improved, and even if it is accidentally mounted incorrectly, it is possible to re-install,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work. .

상기 표시부(300)는 상기 바디부(210)의 하면에 위치되되, 상기 송전케이블(2)이 상기 안착부(50)에 정상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안착부(50)의 단부가 상기 제1 표시부(310)와 상하로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된다.The display part 300 is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art 210, but the end of the seating part 50 is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2 is normally seated on the seating part 50. 1 is located at a position facing the display unit 310 up and down.

상기 위치는 상기 송전케이블(2)이 정상적으로 안착된 경우에 해당되므로, 설치 이후에 열신축이 발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위치에 송전케이블(2)이 위치된 상태가 유지된다.Since the position corresponds to the case where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2 is properly seated, the state where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2 is positioned at the position is maintained when heat expansion and contraction do not occur after installation.

상기 바디부(210)에는 상기 송전케이블(2)이 안착된 안착부(50)의 위치 정보가 기재된 제1 표시부(310)와, 상기 송전케이블(2) 시스의 평균 외경 정보가 기재된 제2 표시부(320)와, 상기 송전케이블(2)의 종류에 대한 정보가 기재된 제3 표시부(330)가 형성된 표시부(3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부(310)는 상기 제2 내지 제3 표시부(320, 330)와 상이한 색깔로 표시된다.The body portion 210 includes a first display portion 310 in which position information of a seating portion 50 on which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2 is mounted is described, and a second display portion in which average outer diameter information of the sheath of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2 is described. 320 and a display unit 300 on which a third display unit 330 on which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the transmission cable 2 is described is formed, wherein the first display unit 310 is the second to third display units. It is displayed in a different color from (320, 330).

상기 제1 표시부(310)는 작업자가 육안으로 시인성이 향상되도록 적색으로 표시될 수 있으나, 다른 색깔로 표시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The first display unit 310 may be displayed in red so that an operator can visually improve visibility, but may be displayed in a different color.

첨부된 도 16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제1 표시부(310)는 상기 바디부(210)의 길이 방향에서 복수개의 단위 표시영역으로 구획되고, 각각의 단위 표시영역은 상기 송전케이블(2)이 열신축에 따라 상기 제2 행거(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위치에 따라 점등이 이루어지도록 점등부(311)가 구비된다.16 to 17, the first display unit 31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unit display area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unit 210, and each of the unit display areas is provided with the transmission cable 2. A lighting unit 311 is provided to light up according to a position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hanger 100 according to thermal expansion and contraction.

상기 제1 표시부(310)는 일 예로 송전케이블(2)이 정상적으로 제2 행거(200)에 안착된 경우에 해당될 경우 정상으로 표기되고, 우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초과로 표기된다.The first display unit 310 is marked as normal when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2 is properly seated on the second hanger 200 as an example, and is marked as excee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right.

초과의 의미는 송전케이블(2)이 허용된 스네이크 폭을 초과하여 설치된 경우에 해당된다.The excess means that the transmission cable 2 is installed in excess of the allowed snake width.

만약 안착부(50)가 이동하여 정상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위치될 경우에는 미달로 표시되며, 상기 미달은 송전케이블(2)의 길이가 스네이크 포설되지 않고 직선에 가깝게 포설될 경우에 해당되므로 작업자는 제1 표시부(310)에 표시된 사항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현재 송전케이블(2)이 정상인지 초과인지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If the seating portion 50 moves and is locat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left with respect to the top, it is marked as under, and the under length is to be installed close to a straight line without the snake being laid with the length of the transmission cable 2 being snaked. As it is the case, the operator can visually check the item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310 and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transmission cable 2 is normal or exceeded.

상기 점등부(311)는 일 예로 제1 표시부(310)에 표기된 정상, 미달, 초과에 각각 정등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되어 있고, 제2 센서(420) 또한 정상, 미달, 초과로 표시된 상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어 상기 안착부(50)가 최종적으로 이동된 위치에서 제1 센서(410)와 제2 센서(420)가 서로 마주볼 경우 점등이 이루어진다.The lighting unit 311 is provided, for example, to be equal to normal, below, and above, respectively, indicated on the first display unit 310, and the second sensor 420 is also disposed on the upper side indicated as above, below, and above, respectively. It is turned on when the first sensor 410 and the second sensor 420 face each other at a position where the seating portion 50 is finally moved.

예를 들어 안착부(50)가 정상 위치에 단부가 위치될 경우에는 제1 센서(410)가 상기 정상으로 표시된 상측에 위치된 제2 센서(420)와 반응하면서 상기 정상으로 표기된 부분이 점등되므로 작업자는 현재 송전케이블(2)의 위치를 정확하게 육안으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eat portion 50 is positioned at the end in the normal position, the first sensor 410 reacts with the second sensor 420 located at the upper side marked as normal, so that the portion marked as normal is lit. The operator can accuratel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current transmission cable 2 with the naked eye.

따라서 송전케이블(2)이 열신축될 경우 안착부(50)의 이동에 따라 정상 또는 초과 또는 미달 위치에 정확하게 점등이 이루어짐으로써 다수개의 제2 행거(200)에 안착된 송전케이블(2)의 위치 이동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2 is thermally stretched, the posi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2 seated on the plurality of second hangers 200 by accurately lighting up the normal or over or under posi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eating portion 50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grasp the movement state.

본 실시 예는 송전케이블용 행거를 이용한 스네이크 포설 방법을 제공하는데, 제1 행거(100)와 제2 행거(200)를 교대로 설치하되, 상기 제2 행거(200)에 안착부(50)를 안착시키고, 송전케이브(2)을 상면에 설치한다.This embodiment provides a method for laying snakes using a hanger for a power transmission cable, wherein the first hanger 100 and the second hanger 200 are alternately installed, and the seat 50 is placed on the second hanger 200. Seated, the transmission cable (2)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그리고 제2 행거(200)의 하면에 표시부(300)를 부착시키되, 현재 송전케이블(2)이 안착된 안착부(50)의 위치에 따라 정상 상태로 설치되었는지, 초과 상태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하고 설치한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300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hanger 200, and it is checked whether the current transmission cable 2 is installed in a normal state or in an excess stat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eating part 50 in which the current transmission cable 2 is mounted. do.

만약 송전케이블(2)이 안착된 안착부(50)가 정상 위치에 위치될 경우 포설 작업을 계속하고, 초과 위치 또는 미달 위치에 위치될 경우 즉시 재설치를 실시하면 되므로 작업자의 작업성이 향상된다.If the seating portion 50 on which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2 is seated is positioned at a normal position, the installation work is continued, and if it is located at an excess position or an underposition, it is necessary to immediately reinstall, thereby improving the workability of the operator.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dd, change, delete, or add ele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the claims. It will be sai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e like, and this is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2 : 송전케이블
3 : 측벽
4 : 지지대
50 : 안착부
52 : 홈부
52s1 : 제1 상대면:
52s2 : 제2 상대면
52s3 : 제3 상대면
52a : 제1 돌기
52b : 제2 돌기
52c : 제3 돌기
52d : 제1 롤러
52e : 제2 롤러
52f : 제3 롤러
100 : 제1 행거
200 : 제2 행거
210 : 바디부
220 : 스토퍼
300 : 표시부
310, 320, 330 : 제1,2,3 표시부
400 : 센서부
2: Transmission cable
3: sidewall
4: Support
50: seating portion
52: groove
52s1: First opponent:
52s2: Second opponent
52s3: Third opponent
52a: first projection
52b: second projection
52c: third projection
52d: first roller
52e: second roller
52f: Third roller
100: first hanger
200: second hanger
210: body part
220: stopper
300: display unit
310, 320, 330: 1, 2, 3 display
400: sensor unit

Claims (21)

지중에 구축된 전력구의 통로를 기준으로 측벽(3)에 설치되고, 송전케이블(2)이 고정된 제1 행거(100); 및
상기 제1 행거(200)에서 상기 송전케이블(2)이 연장된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측벽(3)에 설치되고, 상기 송전케이블(2)이 안착되는 안착부(50)의 하면이 삽입되며 상기 제1 행거(100)와 교대로 설치된 제2 행거(200)를 포함하되,
상기 안착부(50)는 상기 송전케이블(2)의 열신축에 따라 상기 제2 행거(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이 이루어지는 송전케이블용 행거.
A first hanger 100 installed on the side wall 3 based on the passage of the electric power tool constructed in the ground, and fixed with the transmission cable 2; And
In the first hanger 200, the transmission cable 2 is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installed, and is installed on the side wall 3, and the seating portion 50 on which the transmission cable 2 is seated 50 The lower surface is inserted and includes a second hanger 200 alternately installed with the first hanger 100,
The seating portion 50 is a hanger for a power transmission cable that is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hanger 200 according to the thermal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행거(200)는 일단이 상기 측벽(3)에 구비된 지지대(4)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통로를 향해 상면이 수평하게 연장된 자유단으로 이루어진 바디부(210);
상기 바디부(210)의 연장된 단부에 형성된 스토퍼(220)를 포함하는 송전케이블용 행거.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hanger 200 includes a body portion 210 having one end fixed to the support 4 provided on the side wall 3 and the other end made of a free end whose horizontal surface extends horizontally toward the passageway;
Hanger for a power transmission cable comprising a stopper 220 formed on the extended end of the body portion 210.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210)는 상기 측벽(3)에서 상기 스토퍼(220)로 갈수록 하면이 상측을 향해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케이블용 행거.
According to claim 2,
The body portion 210 is a hanger for a power transmission c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surface is inclined toward the upper side from the side wall (3) to the stopper (2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50)에는 상기 제2 행거(200)에 하면이 부분 삽입되는 홈부(52)가 형성된 송전케이블용 행거.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eating portion 50, a hanger for a power transmission cable having a groove 52 into which a lower surface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second hanger 200.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52)는 내측 면 중 상기 제2 행거(200)의 상면과 접촉되는 제1 상대면(52s1)은 면접촉된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제2 행거(200)의 전면(201)과 마주보는 제2 상대면(52s2)과, 상기 제2 행거(200)의 후면(202)과 마주보는 제3 상대면(52s3)과는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는 송전케이블용 행거.
According to claim 4,
The groove 52 has a first mating surface 52s1 contacting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anger 200 among the inner surfaces, and a surface contact state is maintained, and the front surface 201 of the second hanger 200 A hanger for a power transmission cable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opposing second mating surface 52s2 and the third mating surface 52s3 facing the rear 202 of the second hanger 200.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52)에는 상기 제2 행거(200)의 상면을 향해 돌출된 제1 돌기(52a);
상기 제2 행거(200)의 전면(201)을 향해 돌출된 제2 돌기(52b);
상기 제2 행거(200)의 후면(202)을 향해 돌출된 제3 돌기(52c)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돌기(52a, 52b, 52c)는 상기 안착부(50)와 점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는 송전케이블용 행거.
According to claim 4,
The groove portion 52 includes a first protrusion 52a protruding toward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anger 200;
A second protrusion 52b protruding toward the front 201 of the second hanger 200;
It includes a third projection (52c) protruding toward the rear 202 of the second hanger 200, the first to third projections (52a, 52b, 52c) point contact with the seating portion 50 Hanger for power transmission cable that maintains its condition.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52a)는 상기 제2 내지 제3 돌기(52b, 52c) 보다 돌출 높이가 높게 돌출된 송전케이블용 행거.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protrusion 52a is a hanger for a power transmission cable that protrudes higher than the second to third protrusions 52b and 52c.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52)에는 상기 제2 행거(200)의 상면을 향해 돌출되고, 구름 접촉이 이루어지는 제1 롤러(52d);
상기 제2 행거(200)의 전면(201)과 구름 접촉이 이루어지는 제2 롤러(52e);
상기 제2 행거(200)의 후면(202)과 구름 접촉이 이루어지는 제3 롤러(52f)를 포함하는 송전케이블용 행거.
According to claim 4,
The groove portion 52 has a first roller (52d) protruding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anger 200, the rolling contact is made;
A second roller 52e in rolling contact with the front 201 of the second hanger 200;
Hanger for a power transmission cable comprising a third roller (52f) that is in rolling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202) of the second hanger (200).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220)는 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송전케이블용 행거.
According to claim 2,
The stopper 220 is a hanger for a transmission cabl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210)에는 상기 송전케이블(2)이 안착된 안착부(50)의 위치 정보가 기재된 제1 표시부(310);
상기 송전케이블(2) 시스의 평균 외경 정보가 기재된 제2 표시부(320);
상기 송전케이블(2)의 종류에 대한 정보가 기재된 제3 표시부(330)가 형성된 표시부(300)를 더 포함하는 송전케이블용 행거.
The method of claim 5,
The body portion 210 includes a first display unit 310 in which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eating portion 50 on which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2 is mounted is described;
A second display unit 320 having average outer diameter information of the sheath of the transmission cable 2;
A hanger for a transmission cable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unit 300 on which a third display unit 330 on which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the transmission cable 2 is described is formed.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300)는 상기 바디부(210)의 하면에 위치되되, 상기 송전케이블(2)이 상기 안착부(50)에 정상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안착부(50)의 단부가 상기 제1 표시부(310)와 상하로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되는 송전케이블용 행거.
The method of claim 10,
The display part 300 is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art 210, but the end of the seating part 50 is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2 is normally seated on the seating part 50. 1 Hanger for power transmission cables located in a position facing the display part 310 up and down.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표시부(310, 320, 330)는 상기 표시부(300)의 전면에 기재된 송전케이블용 행거.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to third display units 310, 320, and 330 are hangers for a transmission cable describ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unit 300.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310)는 상기 제2 내지 제3 표시부(320, 330)과 상이한 색깔로 표시되는 송전케이블용 행거.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display unit 310 is a hanger for a power transmission cable displayed in a different color from the second to third display units 320 and 330.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300)는 상기 바디부(210)에 자력으로 설치되도록 고무에 자성 입자가 함유된 고무 자석이 사용되는 송전케이블용 행거.
The method of claim 10,
The display unit 300 is a hanger for a power transmission cable in which a rubber magnet containing magnetic particles is used in rubber so as to be installed magnetically on the body portion 2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행거(200)는 상기 송전케이블(2)이 상기 측벽(3)과 근접하여 연장될 경우에는 제1 길이(L1)로 연장되고, 상기 송전케이블(2)이 상기 통로를 향해 연장될 경우에는 제2 길이(L2)로 연장되되,
상기 제2 길이(L2)는 상기 제1 길이(L1) 보다 길게 연장된 송전케이블용 행거.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hanger 200 extends to a first length L1 when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2 extends close to the side wall 3, and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2 extends toward the passageway. In the case, it is extended to the second length (L2),
The second length (L2) is a hanger for a transmission cable extending longer than the first length (L1).
지중에 구축된 전력구의 통로를 기준으로 측벽(3)에 설치되고, 송전케이블(2)이 고정된 제1 행거(100);
상기 제1 행거(200)에서 상기 송전케이블(2)이 연장된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측벽(3)에 설치되고, 상기 송전케이블(2)이 안착되는 안착부(50)의 하면이 삽입되며 상기 제1 행거(100)와 교대로 설치된 제2 행거(200);
상기 제2 행거(200)의 하면에 위치된 표시부(300); 및
상기 안착부(50)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송전케이블(2)의 열신축에 따라 상기 안착부(50)가 상기 제2 행거(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이 이루어질 때 위치에 따른 상기 송전케이블(2)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400)를 더 포함하는 송전케이블용 행거.
A first hanger 100 installed on the side wall 3 based on the passage of the electric power tool constructed in the ground, and fixed with the transmission cable 2;
In the first hanger 200, the transmission cable 2 is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installed, and is installed on the side wall 3, and the seating portion 50 on which the transmission cable 2 is seated 50 A second hanger 200 in which the lower surface is inserted and alternately installed with the first hanger 100;
A display unit 300 position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hanger 200; And
It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ating portion 50, and according to the position when the seating portion 50 is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hanger 200 according to the thermal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transmission cable (2) Hanger for the transmission cable further comprises a sensor unit 400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transmission cable (2).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400)는 상기 안착부(50)에 위치되고, 상기 표시부(300)를 바라보는 제1 센서(410);
상기 제1 센서(410)와 마주보며 상기 표시부(300)에 구비된 제2 센서(420)를 포함하는 송전케이블용 행거.
The method of claim 16,
The sensor unit 400 is located on the seating portion 50, the first sensor 410 facing the display unit 300;
A hanger for a power transmission cable comprising a second sensor 420 provided on the display unit 300 facing the first sensor 410.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행거(200)는 일단이 상기 측벽(3)에 구비된 지지대(4)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통로를 향해 상면이 수평하게 연장된 자유단으로 이루어진 바디부(210);
상기 바디부(210)의 연장된 단부에 형성된 스토퍼(220)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210)에는 상기 송전케이블(2)이 안착된 안착부(50)의 위치 정보가 기재된 제1 표시부(310);
상기 송전케이블(2) 시스의 평균 외경 정보가 기재된 제2 표시부(320);
상기 송전케이블(2)의 종류에 대한 정보가 기재된 제3 표시부(330)가 형성된 표시부(300)를 더 포함하는 송전케이블용 행거.
The method of claim 16,
The second hanger 200 includes a body portion 210 having one end fixed to the support 4 provided on the side wall 3 and the other end made of a free end whose horizontal surface extends horizontally toward the passageway;
It includes a stopper 220 formed on the extended end of the body portion 210,
The body portion 210 includes a first display unit 310 in which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eating portion 50 on which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2 is mounted is described;
A second display unit 320 having average outer diameter information of the sheath of the transmission cable 2;
A hanger for a transmission cable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unit 300 on which a third display unit 330 on which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the transmission cable 2 is described is formed.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310)는 상기 바디부(210)의 길이 방향에서 복수개의 단위 표시영역으로 구획되고, 각각의 단위 표시영역은 상기 송전케이블(2)이 열신축에 따라 상기 제2 행거(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위치에 따라 점등이 이루어지도록 점등부(311)가 구비된 송전케이블용 행거.
The method of claim 18,
The first display unit 31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unit display reg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210, and each unit display region is the second hanger 100 according to the thermal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2 ) Hanger for a power transmission cable provided with a lighting unit 311 so that light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a position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210)에는 상기 송전케이블(2)이 안착된 안착부(50)의 위치 정보가 기재된 제1 표시부(310);
상기 송전케이블(2) 시스의 평균 외경 정보가 기재된 제2 표시부(320);
상기 송전케이블(2)의 종류에 대한 정보가 기재된 제3 표시부(330)가 형성된 표시부(3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부(310)는 상기 제2 내지 제3 표시부(320, 330)와 상이한 색깔로 표시되는 송전케이블용 행거.
The method of claim 16,
The body portion 210 includes a first display unit 310 in which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eating portion 50 on which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2 is mounted is described;
A second display unit 320 having average outer diameter information of the sheath of the transmission cable 2;
The display unit 300 further includes a third display unit 330 on which information on the type of the transmission cable 2 is described,
The first display unit 310 is a hanger for a power transmission cable displayed in a different color from the second to third display units 320 and 330.
제1 항 내지 제20항에 따른 송전케이블용 행거를 이용한 스네이크 포설 방법.
Method of laying snakes using the hanger for power transmission cables according to claim 1.
KR1020180157187A 2018-12-07 2018-12-07 Hanger for current cable KR1022893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187A KR102289360B1 (en) 2018-12-07 2018-12-07 Hanger for current c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187A KR102289360B1 (en) 2018-12-07 2018-12-07 Hanger for current ca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9760A true KR20200069760A (en) 2020-06-17
KR102289360B1 KR102289360B1 (en) 2021-08-13

Family

ID=71405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7187A KR102289360B1 (en) 2018-12-07 2018-12-07 Hanger for current c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936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504B1 (en) * 2020-07-27 2021-03-24 견금자 Cable Fastener System for Underground Electrical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2813A (en) 2003-07-15 2006-05-19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Handle for doors or hinged flaps of vehicles
KR100939937B1 (en) * 2009-10-06 2010-02-04 (주)이디에스 엔지니어링 Fixing structure of ground wire of electric energy cable
KR101150182B1 (en) * 2010-12-17 2012-05-2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Cable keeper and management system of cable keeper
KR20130061888A (en) * 2011-12-02 2013-06-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Roller stopper type hanging jig for ship'd longi
KR101415883B1 (en) * 2014-05-15 2014-07-11 (주)케이아이씨 Support apparatus for underground power cabl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2813A (en) 2003-07-15 2006-05-19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Handle for doors or hinged flaps of vehicles
KR100939937B1 (en) * 2009-10-06 2010-02-04 (주)이디에스 엔지니어링 Fixing structure of ground wire of electric energy cable
KR101150182B1 (en) * 2010-12-17 2012-05-2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Cable keeper and management system of cable keeper
KR20130061888A (en) * 2011-12-02 2013-06-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Roller stopper type hanging jig for ship'd longi
KR101415883B1 (en) * 2014-05-15 2014-07-11 (주)케이아이씨 Support apparatus for underground power cabl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504B1 (en) * 2020-07-27 2021-03-24 견금자 Cable Fastener System for Underground Electric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9360B1 (en) 2021-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3915B2 (en) Electric cable with strain sensor an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strain in at least one electric cable
US9032809B2 (en) Electric cable with bending sensor an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bending in at least one electric cable
US6737574B2 (en) Detectable cable tape
SA01220571B1 (en) Cable assembly and method for its use
US20130058615A1 (en) Cable Carrier Device
KR20200069760A (en) Hanger for current cable
CN110267902A (en) Elevator rope maintaining method
JP4417884B2 (en) Cable laying method, bend pipe used therefor, and cable drawing jig
CN105888644A (en) Anti-collision method and anti-collision system for arm supports
US20070098340A1 (en) Tube for installing an optical fiber unit having a lubricous surface
KR101264909B1 (en) Structure for wiring underground power cable
US20150268437A1 (en) Air jetted micro-cable with super low resistance and dramatically improved for air blockage
KR102018483B1 (en) Protecion Plate for Underground Cable
CN114830478A (en) Guiding device for long strip
AU691034B2 (en) Apparatus for blowing cable and method therefor
WO2007097490A1 (en) Bus duct with tube and bust duct system measurable the temperature
CN102596784B (en) Main-rope fastening device for elevator
JP2016192850A (en) Conduit lin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KR100835907B1 (en) Bus duct measurable the temperature
KR101071562B1 (en) Long distance cable laying method
KR101318396B1 (en) Connection bracket of underground electronic line of power distribution
CN205873589U (en) Disconnected guide system is prevented to lift cable
CN110718330A (en) Cable convenient to construct
JP2007113197A (en) Manhole structure and cable construction method
CN214375433U (en) Anti-rupture optical fiber for cable tunnel and optical fiber fix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