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9208A - 중추신경계 질환, 당뇨병 및 이의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벤즈이미다졸 또는 벤족사졸 유도체 - Google Patents

중추신경계 질환, 당뇨병 및 이의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벤즈이미다졸 또는 벤족사졸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9208A
KR20200069208A KR1020190081902A KR20190081902A KR20200069208A KR 20200069208 A KR20200069208 A KR 20200069208A KR 1020190081902 A KR1020190081902 A KR 1020190081902A KR 20190081902 A KR20190081902 A KR 20190081902A KR 20200069208 A KR20200069208 A KR 20200069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zimidazole
formula
thiol
diabetes
alk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1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근
박민호
신석호
변진주
최장미
김나혜
박유리
임정현
박민재
박서진
이병일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00069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920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carbazole
    • A61K31/404Indoles, e.g. pindol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641,3-Diazoles
    • A61K31/41841,3-Diazole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benzimid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Oxazoles
    • A61K31/423Oxazole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7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439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omepr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one carbocyclic ring
    • C07D209/04Indoles; Hydrogenated indoles
    • C07D209/30Indoles; Hydrogenated indole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hetero ring
    • C07D209/32Oxygen atoms
    • C07D209/34Oxygen atoms in position 2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35/04Benzimidazoles; Hydrogenated benzimidazoles
    • C07D235/24Benzimidazoles; Hydrogenated benzimidazole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 C07D235/28Sulfur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6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 C07D263/5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63/54Benzoxazoles; Hydrogenated benzoxazoles
    • C07D263/58Benzoxazoles; Hydrogenated benzoxazole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Diabet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docri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벤즈이미다졸 또는 벤족사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 CNS) 질환, 당뇨병 및 이의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사용된 벤즈이미다졸 또는 벤족사졸 유도체가 Keap1-Nrf2-ARE 경로를 통한 Nrf2의 활성화 메커니즘 및 GLT-1/EAAT, GLAST 등과 같은 글루타메이트 수송체(transporter)의 활성화 경로를 통해 중추신경계 및 췌장에서의 산화적 손상을 억제하고 글루타티온과 같은 항산화물질의 생성을 유도함으로써, 중추신경계 질환, 당뇨병 및 이의 합병증의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중추신경계 질환, 당뇨병 및 이의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벤즈이미다졸 또는 벤족사졸 유도체{BENZIMIDAZOLE OR BENZOXAZOLE DERTIVATIVE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ENTRAL NERVOUS SYSTEM DISORDERS, DIABETES AND DIABETIC COMPLICATIONS}
본 발명은 벤즈이미다졸 또는 벤족사졸 유도체를 포함하는 중추신경계 질환, 당뇨병 및 이의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 CNS) 질환은 신경계의 이상을 아우르는 질환군을 칭한다. 병인에 따라 파킨슨씨병(Parkinson's disease)과 같은 행동 장애 질환, 알츠하이머 병(Alzheimer's disease)을 비롯한 다양한 치매(Dementia), 신경계 암질환 (nervous system tumors),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을 비롯한 마엘린 손상 질환들, 프리온 질환들(prion diseases), 뇌수막염(meningitis)을 비롯한 뇌 또는 척추 감염 (infections of the brain or spinal cord), 및 조현병(schizophrenia) 등이 있다. 특히, 신경퇴행성 뇌질환은 뇌, 척수 등을 구성하는 뉴론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이며, 여러 가지 요소들이 작용하는 복합적인 질병이므로 그 치료 기전의 연구도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당뇨병 (dibetes mellitus)은 주로 식이 습관과 연계된 비만, 대사증후군, 고혈압 등의 위험요소에 의해 발생하는 2형 당뇨병(type 2 diabetes mellitus)과 췌장 인슐린 생성 베타세포의 자가면역반응에 따른 세포 파괴에 의해 발생하는 1형 당뇨병 (type 1 diabetes mellitus)로 구분된다. 각각의 질환의 기원과 발생시기는 다르지만 혈당 수치의 상승에 의한 말초 기관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당뇨성 신장 질환(Diabetic Nephropathy), 당뇨성 망막증(Diabetic Retinopathy) 및 당뇨성 심근증(diabetic cardiomyopathy) 등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최근 산화-환원 항상성의 기능장애는 당뇨병 질환 및 그 합병증의 발병기전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으며, 당뇨병 환자는 세포 내 활성 산소종과 그에 따른 DNA 손상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그 치료 기전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신경퇴행성 질환 및 당뇨병 합병증의 원인은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의한 세포의 산화적 손상 또는 염증적 세포사멸과 관련될 수 있다. 특히, 뇌는 지질이 60% 이상을 구성하고 있으며,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에 의한 산화를 통해 반응성이 높은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수퍼옥사이드 음이온(superoxide anion), 히드록실 라디칼(hydroxyl radical) 등의 활성 산소종을 형성하여 뇌세포 사멸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뇌내 산화적 손상 및 염증적 세포사멸은 알츠하이머, 파킨슨씨병, 치매 등과 같은 신경퇴행성 중추신경계 질환의 진행을 가속화하게 된다.
췌장 베타세포의 경우 혈당 상승에 따라 인슐린 분비를 위해 다량의 산소를 소모하는 산화적 인산화 과정을 거치는데, 이에 따른 산화적 손상 및 활성산소종 생산 등의 위험 요소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췌장 베타세포는 다른 조직에 비해 항산화 효소인 카탈라아제(catalase), 과산화물 제거효소 (SOD, superoxide dismutase),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제(GPx, glutathione peroxidase)의 생산량이 낮으므로 당뇨병 발생시 산화적 손상 및 염증적 세포사멸로 인한 당뇨 합병증의 진행을 가속화하게 된다.
한편, Keap1-Nrf2 단백질 복합체에서, Nrf2(Nuclear Factor-E2-related factor 2)는 레독스 민감성(redox-sensitive) 전사인자로 활성화되었을 때 산화적 스트레스, 염증반응, 능동적 세포사멸 대하여 보호 작용을 갖는 항산화 관련 단백질의 발현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상 조건에서는 Keap1(Kelch-like ECH-related protein 1)과 결합하여 Keap1-Nrf2 복합체를 형성하여 불활성 상태로 존재하나, 산화적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 Keap1에서 분리된 Nrf2가 활성화되어 핵내로 이동하여 ARE(antioxidant response element)에 결합함으로써 표적 유전자인 GCL(γ-glutamylcusteine ligase), GST(glutathione-S-transferase), NQO1(NAD(P)H:quinone oxidoreductase 1), 및 HO-1(heme oxygenase-1)와 같은 항산화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할 수 있다(참조: Kang et al., (2005), Antioxid. Redox. Signal, 7, 1664-1673; Steele et al., (2013), Redox. Biol, 1, 441-445; Chen et al., (2009), Proc. Natl. Acad. Sci. U. S. A. 106, 2933-2938; Innamorato et al.,(2008), J. Immunol. 181, 680-689; Li et al.,(2007), Toxicol Lett, 171, 87-98; Scapagnini et al., (2011), Mol. Neurobiol. 44, 192-201).
또한, 뇌내에서 Nrf2의 활성은 신경퇴행성 중추신경계 질환을 치료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많은 CNS 질환에서 뇌 내 신경세포의 산화적 손상 및 염증을 억제하는 GSH(glutathione) 수준이 정상인에 비해 현저히 떨어져 있다는 사실이 보고된 바 있으며(참조: Hybertson et al., (2011), Mol. Aspects. Med, 32, 234-246; Raffa et al., (2011), BMC. Psychiatry, 11, 124; Gawryluk et al., (2011), Int. J. Neuropsychopharmacol. 14, 123-130), GSH 또는 이의 전구물질을 정맥 주사하거나 비강 분무하였을 때 CNS 질환이 개선되었다고 알려져 있다(참조: Mischley et al., NPJ. Parkinsons. Dis., 2, 16002; Sechi et al., (1996), Prog. Neuropsychopharmacol. Biol. Psychiatry., 20, 1159-1170; Hauser et al., (2009), Mov. Disord., 24, 979-983). 그러나, GSH의 낮은 생체이용률과 짧은 반감기와 같은 약동학적 (pharmacokinetic) 문제로 인해 GSH 자체 또는 이의 전구물질을 투여하는데 어려움이 존재한다.
글루탐산 수송체는 뇌 내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인 글루탐산의 농도를 낮게 유지함으로 세포외 공간(extracellular space)에서 발생가능한 흥분독성(excitotoxicity)을 저해하는 역할을 한다. 글루탐산 항상성과 관련된 글루탐산 수송체(GLT-1/EAAT, GLAST 등) 발현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뇌 내 신경세포 손상과 신경퇴화에 의한 다양한 CNS 질환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참조: Kim et al., (2011), J. Cell. Physiol., 226(10), 2484-2493; Karki et al., (2015), Neurochem. Res., 40(2), 380-388.). 최근에 글루탐산 수송체 활성화 및 발현을 유도하는 물질이 뇌 내에 GSH 생성을 촉진하여 메틸수은(MeHg) 등에 의한 산화적 손상 및 신경독성을 개선하였다고 알려져 있다(참조: Fontana., (2015), J. Neurochem., 134, 982-1007; Deng et al., (2012), Oxid. Med. Cell. Longev.).
알츠하이머 및 치매 등의 퇴행성 뇌질환의 종래 치료제는 신경전달 물질인 아세틸콜린의 분해 효소인 아세틸콜린 에스터라제(acetylcholinesterase, AchE)의 작용을 억제하는 AchE 저해제와, 신경 내 흥분독성을 일으키고 뇌가소성을 저해하는 글루타메이트의 전달체계를 억제하는 NMDA(N-methyl-D-aspartate) 수용체 길항제로 나뉜다. 현재까지 미국 식약청 (FDA)에서 승인된 약물로는 도네페질(Donepezil, Aricept), 리바스티그민(Rivastigmine, Exelon), 갈란타민(Galantamine, Reminyl), 타크린(Tacrine, Cognex) 등의 AchE 저해제와 NMDA 수용체 길항제인 메만틴(Memantine, Ebixa)이 있다.
상기 종래 치료제들은 감퇴된 인지 기능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나, 그 효과가 미미하거나 일시적이며, 뉴런의 손상 발생 후 이로 인한 증상의 완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예를 들면, 아밀로이드가 뇌에 축적되어 최종적으로 뇌세포의 대량괴사가 일어나는 알츠하이머의 치료제는 주로 증상을 완화하는 것이 목적이며, 개발중인 약물들도 베타-아밀로이드의 응집 저해 및 뇌세포 괴사 저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한편, 당뇨병의 종래 치료에서는 기본적으로 혈당을 저하시키는 물질인 인슐린을 사용하면서, 당뇨병 합병증의 위해 요소인 혈압,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 당화혈색소, 공복혈당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추가 약물을 사용하고 있다. 현재 당뇨병 치료제로는 AMPK(AMP-activated protein kinase) 활성화제인 메포민(Metformin. Glucophage), GLP1(Glucagon-like peptide-1) 억제제인 엑세나타이드(Exenatide, Byetta), SGLT2(sodium-glucose co-transporter 2 inhibitor) 억제제인 엠파글로플로진(empagliflozin, Jardiance) 등 다양한 기전의 약물들이 승인되어 있다.
상기 종래 약물들은 혈당 수치를 개선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나, 함께 발생하는 합병증의 치료를 위해서는 추가의 약물 치료를 병행함에도 불구하고, 당뇨병 환자의 합병증 진행을 예방하거나 지연시키는 것이 어려운 상태이다.
따라서, 다양한 새로운 기전에 근거한 신경질환 치료제 및 당뇨병과 이의 합병증에 대한 치료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새로운 기전에 근거한 신경성 질환 치료제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한 결과, 벤즈이미다졸 또는 벤족사졸 유도체가 Keap1-Nrf2-ARE 경로를 통한 Nrf2의 활성화 메커니즘 및 GLT-1/EAAT, GLAST 등과 같은 글루타메이트 수송체(transporter)의 활성화 경로를 통해 중추신경계 및 취장에서의 산화적 손상을 억제하고 글루타티온과 같은 항산화물질의 생성을 유도함으로써, 중추신경계 질환, 당뇨병 및 이의 합병증의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음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중추신경계 질환, 당뇨병 및 이의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벤즈이미다졸 또는 벤족사졸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벤즈이미다졸 또는 벤족사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 CNS) 질환, 당뇨병 및 이의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이 제공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할로겐 원자, 히드록실기 또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C1-C6알킬이고,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원자, 히드록실, C1-C6알킬기,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C1-C6알콕시, 설포닐, 설폰산, 또는 니트로이거나, R2 및 R3는 함께 결합하여 아릴 고리를 형성하고,
A는 C1-C6알킬렌, NH, 또는 (C1-C6알킬)-N이고,
X는 O, N, 또는 NH이고,
Y는 O, S, -SO-(CH2)n-R4, -S-(CH2)n-R4, -SO2-(CH2)n-R4, 또는 -S-R5이며,
n은 1 내지 3의 정수이고,
R4는 C1-C6알킬, C1-C6알콕시, 할로-C1-C6알콕시 및 C1-C6알콕시-C1-C6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피리딘이며,
R5는 수소 또는 C1-C6알킬이다.
본 발명의 중추신경계 질환 및 당뇨 또는 이의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사용된 벤즈이미다졸 또는 벤족사졸 유도체가 벤즈이미다졸 또는 벤족사졸 유도체가 Keap1-Nrf2-ARE 경로를 통한 Nrf2의 활성화 메커니즘 및 GLT-1/EAAT, GLAST 등과 같은 글루타메이트 수송체(transporter)의 활성화 경로를 통해 중추신경계 및 취장에서의 산화적 손상을 억제하고 글루타티온과 같은 항산화물질의 생성을 유도함으로써, 중추신경계 질환 및 당뇨 또는 이의 합병증의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 CNS), 당뇨병 및 이의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벤즈이미다졸 또는 벤족사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할로겐 원자, 히드록실기 또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C1-C6알킬이고,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원자, 히드록실, C1-C6알킬기,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C1-C6알콕시, 설포닐, 설폰산, 또는 니트로이거나, R2 및 R3는 함께 결합하여 아릴 고리를 형성하고,
A는 C1-C6알킬렌, NH, 또는 (C1-C6알킬)-N이고,
X는 O, N, 또는 NH이고,
Y는 O, S, -SO-(CH2)n-R4, -S-(CH2)n-R4, -SO2-(CH2)n-R4, 또는 -S-R5이며,
n은 1 내지 3의 정수이고,
R4는 C1-C6알킬, C1-C6알콕시, 할로-C1-C6알콕시 및 C1-C6알콕시-C1-C6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피리딘이며,
R5는 수소 또는 C1-C6알킬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예컨대, F, Cl, Br, I 등)로 치환된 C1-C6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자(예컨대, F, Cl, Br, I 등)로 치환된 C1-C6알콕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F로 치환된 C1-C6알킬기, 또는 F로 치환된 C1-C6알콕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NO2, -(NO)0H, 또는 -(SO2)OH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R2 및 R3는 함께 결합하여 벤젠고리 또는 페닐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R4는 C1-C6알킬 및 C1-C6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치환된 피리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R4는 C1-C6알킬 및 할로-C1-C6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치환된 피리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R4는 하나 이상의 C1-C6알콕시로 치환된 피리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R4는 C1-C6알킬 및 C1-C6알콕시-C1-C6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치환된 피리딘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알킬”은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된 탄화수소 라디칼 사슬을 의미하며, 그 예로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아이소프로필, n-부틸, 아이소부틸, t-부틸, n-펜틸, 이소펜틸 및 헥실을 들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아릴”은 벤젠 고리 또는 하나 이상의 임의 치환기들의 융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고리계를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알콕시”는 산소와 결합된 알킬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그 예로는 메톡시, 다이플루오로메톡시, 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 에톡시, n-프로폭시, 아이소프로폭시, n-부톡시 및 t-부톡시를 들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알콕시는 임의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으며, 상기 치환기는 1 내지 3개의 플루오르 치환기를 갖거나 갖지 않는 C1-C3 알킬, C2--C3 알케닐, C2-C3 알키닐, 1 내지 3개의 플루오르 치환기를 갖거나 갖지 않는 C1-2 알콕시, 설파닐, 설피닐, 설포닐, 옥소, 하이드록시, 머캅토, 아미노, 구아니디노, 카복시, 아미노카보닐, 아릴, 아릴옥시,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옥시, 헤테로사이클, 아미노설포닐, 설포닐아미노, 카복시아미드, 우레이도, 니트로, 시아노, 및 할로겐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알킬렌”은 알킬 라디칼의 임의 위치에서 1개의 수소 원자가 1개의 추가 결합 부위에 의해 대체되어 2가 부분(moiety)을 형성하는 알킬 라디칼을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설포닐”은 -S(O)2Ra 기를 의미하며, 여기서 Ra는 앞서 알킬, 히드록실 또는 아릴일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설폰산”은 -SO2-OH 기를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아미노”는 -NH2 기를 의미하며, 상기 아미노기는 알킬, 히드록실 또는 아릴로 치환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니트로”는 -NO2 기를 의미하며, 상기 니트로기는 예컨대
Figure pat00003
와 같이 protonation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화학식 1의 Y가 O 또는 S인 경우
Figure pat00004
가 단일결합이고,
Figure pat00005
가 이중결합이고,
Y가 -SO-(CH2)-R4, -S-(CH2)-R4, -SO2-(CH2)-R4, 또는 -S-R5인 경우
Figure pat00006
가 이중결합이고,
Figure pat00007
가 단일결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치환기 R4는 화학식 2a 내지 2d의 피리딘 구조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화학식 2a]
Figure pat00008
[화학식 2b]
Figure pat00009
[화학식 2c]
Figure pat00010
[화학식 2d]
Figure pat00011
상기 식에서, 피리딘 고리의 질소 원자는 옥사이드(oxide)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는다.
상기 화학식 1의 대표적인 예로는 하기의 화합물들이 포함된다:
1) 오메프라졸(omeprazole);
2) 오메프라졸 설파이드(omeprazole sulfide)
3) 오메프라졸 설폰(omeprazole sulfone);
4) 오메프라졸 N-옥사이드(omeprazole N-oxide)
5) 5-메톡시-2-벤즈이다졸티올(5-methoxy-2-benzimidazolethiol);
6) 5-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티올(5-methoxy-1-methyl-1H-benzimidazole-2-thiol);
7) 5-메톡시-2-(메틸티오)-1H-벤즈이미다졸(5-methoxy-2-(methylthio)-1H-benzimidazole);
8) 란소프라졸(lansoprazole);
9) 란소프라졸 설파이드(lansoprazole sulfide);
10) 란소프라졸 설폰(lansoprazole sulfone);
11) 란소프라졸 N-옥사이드(lansoprazole N-oxide);
12) 2-머캅토벤즈이미다졸(2-mercaptobenzimidazole);
13) 1-메틸-1H-벤즈이미다졸-2-티올(1-methyl-1H-benzimidazole-2-thiol);
14) 판토프라졸(pantoprazole);
15) 판토프라졸 설파이드(pantoprazeole sulfide);
16) 판토프라졸 설폰(pantoprazeole sulfone);
17) 판토프라졸 N-옥사이드(pantoprazeole N-oxide);
18) 5-디플로오로메톡시-2-머캅토벤즈이미다졸(5-difluoromethoxy-2-mercaptobenzimidazole);
19) 라베프라졸(rabeprazole);
20) 라베프라졸 설파이드(rabeprazole sulfide);
21) 라베프라졸 설폰(rabeprazole sulfone);
22) 라베프라졸 N-옥사이드(rabeprazole N-oxide);
23) 클로르족사존(chlorzoxazone);
24) 4-메틸-1H-벤즈이미다졸-2-티올(4-methyl-1H-benzimidazole-2-thiol);
25) 2-설파닐-1H-벤즈이미다졸-5-설폰산(2-sulfanyl-1H-benzimidazole-5-sulfonic acid);
26) 5-클로로-1,3-디히드로벤즈이미다졸-2-온(5-chloro-1,3-dihydrobenzimidazol-2-one);
27) 5-히드록시인돌린-2-온(5-hydroxyindolin-2-one);
28) 4,5,6-트리클로로-3H-a,3-벤족사졸-2-온(4,5,6-trichloro-3H-a,3-benzoxazol-2-one);
29) 6-메톡시벤조[d]옥사졸-2(3H)-온(6-methoxybenzo[d]oxazol-2(3H)-one;
30) 2-머캅토-5-니트로벤즈이미다졸(2-mercapto-5-nitrobenzimidazole);
31) 6-히드록시클로로족사존(6-hydroxychlorzoxazone);
32) 5-클로로-2-머캅토벤즈이미다졸(5-chloro-2-mercaptobenzimidazole);
33) 1,3-디히드로벤조[f]벤즈이미다졸-2-티온(1,3-dihydrobenzo[f]benzimidazole-2-thione; 및
34) 5,6-디메톡시-1H-벤조[d]이미다졸-2-티올(5,6-dimethoxy-1H-benzo[d]imidazole-2-thiol).
구체적으로, 상기 화합물 1 내지 34는 상기 화학식 1에서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치환기를 갖는다.
[표 1a]
Figure pat00012
[표 1b]
Figure pat00013
[표 1c]
Figure pat00014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으로 사용된 화학식 1의 벤즈이미다졸 또는 벤족사졸 유도체는 Keap1-Nrf2-ARE 경로를 통한 Nrf2의 활성화 메커니즘 및 GLT-1/EAAT, GLAST 등과 같은 글루타메이트 수송체(transporter)의 활성화 경로를 통해 중추신경계의 산화적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사용된 화학식 1의 벤즈이미다졸 또는 벤족사졸 유도체는 경구투여(oral administration), 복강투여(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정맥투여(intravenous administration) 등에 의한 간단한 처치를 통해, 중추신경계에서의 산화적 손상을 억제하고, 글루타치온 등의 항산화 물질의 생성을 유도함으로써 GSH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는 Nrf2 경로의 활성화 및 글루타메이트 수송체 경로의 활성화를 통한 항산화 메커니즘과 연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화학식 1의 벤즈이미다졸 또는 벤족사졸 유도체는 Keap1-Nrf2-ARE 경로를 통한 Nrf2의 활성화 메커니즘 및 GLT-1/EAAT, GLAST 등와 같은 글루타메이트 수송체의 활성화 메타니즘을 통해 뇌내 GSH의 농도를 상승시켜 신경세포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중추신경계 질환의 치료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다양한 CNS 질환들, 예컨대 우울증, 불안 장애, 양극성 장애, 주의력 결핍 과다행동 장애(ADHD), 자폐증, 스트레스성 질환, 정신병적 장애, 예컨대 정신분열증, 신경학적 질병, 예컨대 파킨슨병, 신경퇴행성 질환, 예컨대 알츠하이머병, 간질, 편두통, 고혈압, 체온 항상성의 장애 및 기능이상, 수면 및 일주기 리듬의 장애, 및 심혈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사용된 화학식 1의 벤즈이미다졸 또는 벤족사졸 유도체는 Keap1-Nrf2-ARE 경로를 통한 Nrf2의 활성화 메커니즘 및 GLT-1/EAAT, GLAST 등과 같은 글루타메이트 수송체(transporter)의 활성화 경로를 통해, 중추신경계 뿐만 아니라 췌장에서도 산화적 손상을 억제하여 GSH의 생성을 유도하고, 추가로 인슐린의 감응성을 높일 수 있어, 당뇨병 및 이의 합병증의 치료에도 효과적이다.
상기 당뇨병의 합병증으로는 신경성 질환, 고지혈증, 고혈압, 망막증, 신부전증 및 심근증을 포함하나,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벤즈이미다졸 또는 벤족사졸 유도체뿐만 아니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이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가능한 용매화물, 수화물, 라세미체, 또는 입체이성질체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벤즈이미다졸 또는 벤족사졸 유도체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드화수소산, 아질산 또는 아인산과 같은 무기산류와 지방족 모노 및 디카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및 알칸디오에이트, 방향족 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류와 같은 무독성 유기산으로부터 얻는다.
본 발명에 따른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벤즈이미다졸 또는 벤족사졸 유도체를 과량의 산 수용액 중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수혼화성 유기 용매,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 혼합물에서 용매나 과량의 산을 증발시켜서 건조하거나 또는 석출 된 염을 흡입 여과시켜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 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음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적으로(예를 들면, 복용 또는 흡입) 또는 비경구적으로(예를 들면, 주사, 침착, 이식, 좌약) 투여될 수 있으며, 주사는 예를 들면, 정맥주사, 피하주사, 근육내주사 또는 복강내주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투여 경로에 따라, 정제, 캡슐제, 과립제, 파인 서브틸래(fine subtilae), 분제, 설하 정제, 좌약, 연고, 주사제, 유탁액제, 현탁액제, 시럽제, 분무제 등으로 제형화될수 있다. 상기 여러 가지 형태의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각 제형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carrier)를 사용하는 공지기술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의 예로는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disintegrating agent), 윤활제, 방부제, 항산화제, 등장제(isotonic agent), 완충제, 피막제, 감미제, 용해제, 기제(base), 분산제, 습윤제, 현탁화제, 안정제, 착색제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의 형태에 따라 다르지만, 화학식 1의 벤즈이미다졸 또는 벤족사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9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구체적인 투여량은 치료되는 사람을 포함한 포유동물의 종류, 체중, 성별, 질환의 정도, 의사의 판단 등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경구투여의 경우에는 하루에 체중 1kg당 활성성분 0.01 내지 50mg이 투여되고, 비경구투여의 경우에는 하루에 체중 1kg당 활성성분 0.01 내지 10mg이 투여된다.
상기 총 일일 투여량은 질환의 정도, 의사의 판단 등에 따라 한번에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A549-ARE 루시퍼라제 검정(luciferase assay)을 이용한 벤즈이미다졸 또는 벤족사졸 유도체의 Nrf2 활성 측정 방법
Nrf2의 활성 검정은 문헌[Ilse M. Beck et al., (2013),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715. 1-9]의 보고된 방법에 따라 변형시켜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A549-ARE 세포주를 96-웰(well) 플레이트(plate)에 분주한 후, 하기 표 1의 각 화합물 10 μM을 DMSO(dimethyl sulfoxide)에 용해시킨 용액으로 처리하였다. 한편, 표 1에 기재된 화합물 1 및 13은 시그마-알드리히(Sigma-aldrich, US); 화합물 2, 5, 8, 9 12, 15, 18-20, 23, 25, 30 및 32은 도쿄 케미칼 인더스트리(Tokyo Chemical Industry, JP); 화합물 3은 랩시커(Labseeker, CN); 화합물 4는 보크 사이언스(BOC Science, US); 화합물 6 및 7은 켐브리지(Chembridge, US)화합물 10, 11, 16, 17, 21 및 22는 토론토 리서치 케미칼스(Toronto Research Chemicals, CA); 화합물 14는 셀렉켐(Selleckchem, US); 화합물 24, 26, 27 및 31은 비엘디 팜(BLD Pharm, CN); 화합물 28 및 33은 맥큘(Mcule, US); 화합물 29는 켐셔틀(Chemshuttle, US) 및 화합물 34는 알린다(Alinda, RU)로부터 입수하였다.
이후, 상기 96-웰 플레이트에 30㎕의 루시퍼라제 용리 완충액(luciferase lysis buffer, 90.8 mM K2HPO4, 9.2mM KH2PO4, 0.1% Triton X-100)를 처리한 후, 30분 이상 인큐베이션하여 세포 용리(cell lysis)를 진행하였다. 인큐베이션이 완료된 세포 용리액(cell lysate)을 다른 96-웰 플레이트(white plate)에 옮긴 후, 100㎕의 루시퍼라제 완충 혼합액(luciferase buffer mixture, 20mM Tricine, 1.07 mM [(MgCO₃)₄Mg(OH)₂·5H₂O], 2.67mM [MgSO₄·7H₂O], 0.1mM EDTA, 33.3 mM DTT, 270 μM coenzyme A [CoA], 500 μM D-luciferin, 530 μM ATP)을 각각의 웰에 대하여 처리하고, 바로 ELISA 분석을 진행하여 Nrf2의 활성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a]
Figure pat00015
[표 2b]
Figure pat00016
[표 2c]
Figure pat00017
[표 2d]
Figure pat00018
상기 표 2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화학식 1의 화합물 1 내지 34는 루시퍼라제 검정을 통해 측정한 결과 Keap1-Nrf2-ARE 경로에서 Nrf2 활성을 나타내며, 이는 상기 벤즈이미다졸 또는 벤족사졸 유도체가 Keap1-Nrf2-ARE 경로에서 Nrf2 활성화 메커니즘을 통해 중추신경계 및 췌장에서의 산화적 손상을 억제하고 글루타티온과 같은 항산화물질의 생성을 유도함으로써 중추신경계 질환, 당뇨병 및 이의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5)

  1.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벤즈이미다졸 또는 벤족사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 CNS) 질환, 당뇨병 및 이의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19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할로겐 원자, 히드록실기 또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C1-C6알킬이고,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원자, 히드록실, C1-C6알킬기,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C1-C6알콕시, 설포닐, 설폰산, 또는 니트로이거나, R2 및 R3는 함께 결합하여 아릴 고리를 형성하고,
    A는 C1-C6알킬렌, NH, 또는 (C1-C6알킬)-N이고,
    X는 O, N, 또는 NH이고,
    Y는 O, S, -SO-(CH2)n-R4, -S-(CH2)n-R4, -SO2-(CH2)n-R4, 또는 -S-R5이며,
    n은 1 내지 3의 정수이고,
    R4는 C1-C6알킬, C1-C6알콕시, 할로-C1-C6알콕시 및 C1-C6알콕시-C1-C6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피리딘이며,
    R5는 수소 또는 C1-C6알킬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4는 하기 화학식 2a 내지 2d의 피리딘 구조로부터 선택되는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2a]
    Figure pat00020

    [화학식 2b]
    Figure pat00021

    [화학식 2c]
    Figure pat00022

    [화학식 2d]
    Figure pat00023

    상기 식에서, 피리딘 고리의 질소 원자는 옥사이드(oxide)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는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벤즈이미다졸 또는 벤족사졸 유도체가 하기의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1) 오메프라졸(omeprazole);
    2) 오메프라졸 설파이드(omeprazole sulfide)
    3) 오메프라졸 설폰(omeprazole sulfone);
    4) 오메프라졸 N-옥사이드(omeprazole N-oxide)
    5) 5-메톡시-2-벤즈이다졸티올(5-methoxy-2-benzimidazolethiol);
    6) 5-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티올(5-methoxy-1-methyl-1H-benzimidazole-2-thiol);
    7) 5-메톡시-2-(메틸티오)-1H-벤즈이미다졸(5-methoxy-2-(methylthio)-1H-benzimidazole);
    8) 란소프라졸(lansoprazole);
    9) 란소프라졸 설파이드(lansoprazole sulfide);
    10) 란소프라졸 설폰(lansoprazole sulfone);
    11) 란소프라졸 N-옥사이드(lansoprazole N-oxide);
    12) 2-머캅토벤즈이미다졸(2-mercaptobenzimidazole);
    13) 1-메틸-1H-벤즈이미다졸-2-티올(1-methyl-1H-benzimidazole-2-thiol);
    14) 판토프라졸(pantoprazole);
    15) 판토프라졸 설파이드(pantoprazeole sulfide);
    16) 판토프라졸 설폰(pantoprazeole sulfone);
    17) 판토프라졸 N-옥사이드(pantoprazeole N-oxide);
    18) 5-디플로오로메톡시-2-머캅토벤즈이미다졸(5-difluoromethoxy-2-mercaptobenzimidazole);
    19) 라베프라졸(rabeprazole);
    20) 라베프라졸 설파이드(rabeprazole sulfide);
    21) 라베프라졸 설폰(rabeprazole sulfone);
    22) 라베프라졸 N-옥사이드(rabeprazole N-oxide);
    23) 클로르족사존(chlorzoxazone);
    24) 4-메틸-1H-벤즈이미다졸-2-티올(4-methyl-1H-benzimidazole-2-thiol);
    25) 2-설파닐-1H-벤즈이미다졸-5-설폰산(2-sulfanyl-1H-benzimidazole-5-sulfonic acid);
    26) 5-클로로-1,3-디히드로벤즈이미다졸-2-온(5-chloro-1,3-dihydrobenzimidazol-2-one);
    27) 5-히드록시인돌린-2-온(5-hydroxyindolin-2-one);
    28) 4,5,6-트리클로로-3H-a,3-벤족사졸-2-온(4,5,6-trichloro-3H-a,3-benzoxazol-2-one);
    29) 6-메톡시벤조[d]옥사졸-2(3H)-온(6-methoxybenzo[d]oxazol-2(3H)-one;
    30) 2-머캅토-5-니트로벤즈이미다졸(2-mercapto-5-nitrobenzimidazole);
    31) 6-히드록시클로로족사존(6-hydroxychlorzoxazone);
    32) 5-클로로-2-머캅토벤즈이미다졸(5-chloro-2-mercaptobenzimidazole);
    33) 1,3-디히드로벤조[f]벤즈이미다졸-2-티온(1,3-dihydrobenzo[f]benzimidazole-2-thione; 및
    34) 5,6-디메톡시-1H-벤조[d]이미다졸-2-티올(5,6-dimethoxy-1H-benzo[d]imidazole-2-thiol).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NS 질환은 알츠하이머병, 파킨슨씨병, 치매, 조현병, 공황장애, 우울증, 불안 장애, 양극성 장애, 주의력 결핍 과다행동 장애(ADHD), 자폐증, 스트레스성 질환, 정신병적 장애, 신경학적 질병, 신경퇴행성 질환, 간질, 편두통, 고혈압, 체온 항상성의 장애와 기능이상, 및 수면과 일주기 리듬의 장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뇨병의 합병증은 고지혈증, 고혈압, 망막증 또는 신부전증 및 심근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KR1020190081902A 2018-12-06 2019-07-08 중추신경계 질환, 당뇨병 및 이의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벤즈이미다졸 또는 벤족사졸 유도체 KR202000692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76204P 2018-12-06 2018-12-06
US62/776,204 2018-12-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9208A true KR20200069208A (ko) 2020-06-16

Family

ID=71141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902A KR20200069208A (ko) 2018-12-06 2019-07-08 중추신경계 질환, 당뇨병 및 이의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벤즈이미다졸 또는 벤족사졸 유도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920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52952A1 (en) * 2019-09-16 2021-03-25 Universite de Bordeaux Methods of treatment and/or prevention of disorders and symptoms related to bkca and/or sk channelophathies
KR20220146747A (ko) * 2021-04-23 2022-11-02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폐 스펙트럼 장애 치료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52952A1 (en) * 2019-09-16 2021-03-25 Universite de Bordeaux Methods of treatment and/or prevention of disorders and symptoms related to bkca and/or sk channelophathies
KR20220146747A (ko) * 2021-04-23 2022-11-02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폐 스펙트럼 장애 치료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1845B2 (en) Fatty acid cysteamine conjugates and their use as activators of autophagy
US9265764B2 (en) Uses of chemicals to modulate GSK-3 signaling for treatment of bipolar disorder and other brain disorders
KR102713117B1 (ko) 중추신경계 질환, 당뇨병 및 이의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벤즈이미다졸 또는 벤족사졸 유도체
EP2772136B1 (en) Methods for treating a variety of diseases and conditions, and compounds useful therefor
AU2018204831A1 (en) Combination therapies for the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and related disorders
US20130216625A1 (en) Treatment of insulin resistance or diseases associated with insulin resistance
CN112638866B (zh) 索拉非尼衍生物的共晶体及其制备方法
US8785483B2 (en) Methods for treating COPD
WO2009126305A1 (en) Glucose metabolism modulating compounds
US20210177846A1 (en) USE OF sGC STIMULATORS FOR THE TREATMENT OF MITOCHONDRIAL DISORDERS
AU2009313906A1 (en) Treatment of proteinopathies using a farnesyl transferase inhibitor
KR20200069208A (ko) 중추신경계 질환, 당뇨병 및 이의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벤즈이미다졸 또는 벤족사졸 유도체
Ho et al. Caffeic acid phenethyl amide improves glucose homeostasis and attenuates the progression of vascular dysfunction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R20160040932A (ko) 로-키나제 저해제를 포함하는 세포의 노화를 감소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그의 용도
CN111315383B (zh) 共享表位-钙网蛋白相互作用的小分子抑制剂和使用方法
US20130231366A1 (en) Use of a Novel Alpha-7 Nachr Antagonist to Suppress Pathogenic Signal Transduction in Cancer and Aids
US11413270B2 (en) Method for the treatment of pancreatitis
US10815219B2 (en) 2,4-diaminoquinazoline derivatives for inhibiting endoplasmic reticulum (ER) stress
US20110060005A1 (en) Treatment of mitochondrial disorders using a farnesyl transferase inhibitor
Wei et al. Current Therapy in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a review on Past and Future Therapeutic Strategies
US20230339854A1 (en) Negative Allosteric Modulation of GluN3-Containing N-Methyl-D-Aspartate Receptors
US20090221610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Cognitive Disorders
US11203582B2 (en) Benzamide derivatives for inhibiting endoplasmic reticulum (ER) stress
US20230414628A1 (en) Methods for treating diseases mediated by glutathione peroxidase 4
WO2023183843A1 (en) Combination therapy for treating castration-resistant prostate canc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