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8611A - Vertical polarization antenna structure supporting 5G - Google Patents

Vertical polarization antenna structure supporting 5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8611A
KR20200068611A KR1020200025498A KR20200025498A KR20200068611A KR 20200068611 A KR20200068611 A KR 20200068611A KR 1020200025498 A KR1020200025498 A KR 1020200025498A KR 20200025498 A KR20200025498 A KR 20200025498A KR 20200068611 A KR20200068611 A KR 20200068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lectric layer
conductive
embedded
conductive via
conductive p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54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94761B1 (en
Inventor
서기원
Original Assignee
(주)지에쓰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에쓰씨 filed Critical (주)지에쓰씨
Priority to KR1020200025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761B1/en
Publication of KR20200068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86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7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6Details
    • H01Q9/065Microstrip dipole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rtical polarized antenna structure for supporting 5G, which has a small size and is operated at 28 GHz for supporting 5G, and can be applied to a thin user device and other structures as well. To this end, the vertical polarized antenna structure for supporting 5G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 first dielectric layer which has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 first conductive via which is formed in a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rst dielectric layer, a first exposed conductive plane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via and exposed and form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first dielectric layer and a first embedded conductive plane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via and embedded and formed inside the first dielectric layer; and an injection-molded article including a second dielectric layer which has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 second conductive via which penetrates in a thickness direction of the second dielectric layer, a second exposed conductive plane which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e via and exposed and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second dielectric layer, and a second embedded conductive plane which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e via and embedded and formed between the first surface of the second dielectric layer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first dielectric layer. The first and second embedded conductive planes are spaced part from and opposite to each other.

Description

5G를 지원하는 수직 편파 안테나 구조{Vertical polarization antenna structure supporting 5G}Vertical polarization antenna structure supporting 5G}

본 발명의 실시예는 5G를 지원하는 수직 편파 안테나 구조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rtically polarized antenna structure supporting 5G.

5세대(5G) 이동 통신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5G 이동통신의 핵심 성과 지표는 단위 면적당 전송량을 증대하는 것으로 기존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대비 대략 1000배의 전송 용량 증대를 화두로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Research into 5th generation (5G)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The key performance indicator of 5G mobile communication is to increase the transmission capacity per unit area, and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with an increase in transmission capacity of approximately 1000 times compared to the existing Long Term Evolution (LTE) system.

대표적인 5G 이동 통신 시스템의 후보 기술은 소형셀(small cell)과 거대 다중안테나[massive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이다. 거대 다중안테나 기술은 초당 대략 20Gbps(bit per second)의 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수직/수평 편파를 갖는 안테나를 동시에 사용하여 데이터를 한번에 많이 송수신 할 수 있도록 한다.The candidate technologies of typical 5G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are small cells and massive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s (MIMOs). The massive multi-antenna technology enables high-speed data transmission of approximately 20 Gbps (bit per second) per second, and allows mobile applications to transmit and receive a lot of data at a time by simultaneously using an antenna with vertical/horizontal polarization.

한편, 5G 이동 통신의 경우 Below 6GHz(3.6GHz) 및 28GHz 의 두 가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며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에 장착하기에는 3.6GHz 의 경우 안테나의 크기가 커 주로 28G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 수직 수평 편파 안테나를 사용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5G mobile communication, two frequency bands are used: 6 GHz (3.6 GHz) and 28 GHz below, and in the case of 3.6 GHz, the size of the antenna is large for mounting on user equipment (UE). Use a horizontally polarized antenna.

그런데, UE에 수직/수평 편파의 안테나를 적용할 경우, 수평 편파 안테나는 쉽게 구현이 가능하지만 UE의 두께가 얇아(대략 6~7mm) 수직 편파 안테나의 구현에 어려움이 있다.However, when a vertical/horizontal polarization antenna is applied to the UE, the horizontal polarization antenna can be easily implemented, but the thickness of the UE is thin (approximately 6 to 7 mm), which makes it difficult to implement the vertical polarization antenna.

이러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개시된 상술한 정보는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뿐이며, 따라서 종래 기술을 구성하지 않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disclosed in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for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may include information that does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5413467호(2014.02.12)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5413467 (2014.02.12)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4-107746호(2014.06.09)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4-107746 (2014.06.09)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얇은 두께의 UE 뿐만 아닌 다른 구조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5G를 지원할 수 있는 소형의 28GHz 에서 동작하는 수직 편파 안테나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oblem to be sol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rtically polarized antenna structure operating at a small 28 GHz that can support 5G that can be applied to other structures as well as a thinner U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5G를 지원하는 수직 편파 안테나 구조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의 반대면인 제2면을 갖는 제1유전층과, 상기 제1유전층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된 제1도전성 비아와, 상기 제1도전성 비아에 연결되며 상기 제1유전층의 제1면에 노출되어 형성된 제1노출 도전성 플레인과, 상기 제1도전성 비아에 연결되며 상기 제1유전층의 내측에 임베디드되어 형성된 제1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및 제1표면과 상기 제1표면의 반대면인 제2표면을 갖는 제2유전층과, 상기 제2유전층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제2도전성 비아와, 상기 제2도전성 비아에 연결되며 상기 제2유전층의 제2표면에 노출되어 형성된 제2노출 도전성 플레인과, 상기 제2도전성 비아에 연결되며 상기 제2유전층의 제1표면과 상기 제1유전층의 제2면 사이에 임베디드되어 형성된 제2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을 포함하는 사출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과 상기 제2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은 상호간 이격되어 마주볼 수 있고, 상기 제1도전성 비아와 상기 제2도전성 비아의 합친 길이는 동작 주파수의 반파장 길이와 같을 수 있다.A vertically polarized antenna structure supporting 5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ielectric layer having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nd a first conductivity formed in a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rst dielectric layer A via, a first exposed conductive plane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via and exposed by the first surface of the first dielectric layer, and a first formed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via and embedded inside the first dielectric layer A printed circuit board including an embedded conductive plane; And a second dielectric layer having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 second conductive via penetrat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econd dielectric layer, and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e via. A second exposed conductive plane formed by exposing the second surface of the dielectric layer, and a second embedded conductivity formed by being embedded between the first surface of the second dielectric layer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first dielectric layer and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e via It may include an injection material including a plane, the first embedded conductive plane and the second embedded conductive plane can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ace each other, the combined length of the first conductive via and the second conductive via is the operating frequency Can be equal to the half-wavelength length of.

상기 제1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 및 상기 제2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은 급전부에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embedded conductive plane and the second embedded conductive plane may be connected to a power supply unit.

상기 제1도전성 비아의 길이는 상기 제2도전성 비아의 길이와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상기 제1도전성 비아의 길이는 상기 제2도전성 비아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The length of the first conductive via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length of the second conductive via. In some examples, the length of the first conductive via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conductive via.

상기 제1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의 면적은 상기 제2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의 면적과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도전성 비아의 길이가 서로 다름에 따라 면적도 달라질 수 있으며, 길이가 짧은 쪽의 경우 도전성 플레인의 면적을 넓혀 길이를 보상할 수 있다.The area of the first embedded conductive plane may be equal to or different from the area of the second embedded conductive plane. In some examples, the area may vary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conductive via, and in the case of the shorter length, the area of the conductive plane may be widened to compensate for the length.

상기 제1노출 도전성 플레인의 면적은 상기 제2노출 도전성 플레인의 면적과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도전성 비아의 길이가 서로 다름에 따라 면적도 달라질 수 있으며, 길이가 짧은 쪽의 경우 도전성 플레인의 면적을 넓혀 길이를 보상할 수 있다.The area of the first exposed conductive plane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area of the second exposed conductive plane. In some examples, the area may vary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conductive via, and in the case of the shorter length, the area of the conductive plane may be widened to compensate for the length.

상기 제1,2노출 도전성 플레인의 면적이 상기 제1,2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의 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An area of the first and second exposed conductive planes may be larger than an area of the first and second embedded conductive plan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5G를 지원하는 수직 편파 안테나 구조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의 반대면인 제2면을 갖는 제1유전층과, 상기 제1유전층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된 하부 도전성 비아와, 상기 하부 도전성 비아에 연결되며 상기 제1유전층의 내측에 임베디드되어 형성된 하부 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과, 상기 제1유전층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된 상부 도전성 비아와, 상기 상부 도전성 비아에 연결되며 상기 제1유전층의 내측에 임베디드되어 형성된 상부 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 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과 상기 상부 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은 상호간 이격되어 마주보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1유전층의 제1면에 부착된 제2유전층과, 상기 제2유전층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하부 도전성 비아와 연결된 제2도전성 비아와, 상기 제2도전성 비아에 연결되며 상기 제2유전층의 하면에 형성된 하부 노출 도전성 플레인을 포함하는 하부 사출물; 및 상기 제1유전층의 제2면에 부착된 제3유전층과, 상기 제3유전층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상부 도전성 비아와 연결된 제3도전성 비아와, 상기 제3도전성 비아에 연결되며 상기 제3유전층의 상면에 형성된 상부 노출 도전성 플레인을 포함하는 상부 사출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A vertically polarized antenna structure supporting 5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ielectric layer having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nd a lower conductive via formed in a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rst dielectric layer A lower embedded conductive plane connected to the lower conductive via and embedded inside the first dielectric layer, an upper conductive via formed in a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rst dielectric layer, and connected to the upper conductive via and the first dielectric layer A printed circuit board including an upper embedded conductive plane formed by being embedded inside, the lower embedded conductive plane and the upper embedded conductive plan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second dielectric layer attached to the first surface of the first dielectric layer, a second conductive via formed through the second dielectric layer and connected to the lower conductive via, and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e via and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e via A lower injection molding material including a lower exposed conductive plane formed on a lower surface; And a third dielectric layer attached to the second surface of the first dielectric layer, a third conductive via formed through the third dielectric layer and connected to the upper conductive via, and the third dielectric layer connected to the third conductive via. It may be made of an upper injection material containing an upper exposed conductive plan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 하부 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 및 상기 상부 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은 급전부에 연결될 수 있다.The lower embedded conductive plane and the upper embedded conductive plane may be connected to a power supply unit.

상기 하부 도전성 비아와 상기 제2도전성 비아의 합친 길이는 상기 상부 도전성 비아와 상기 제3도전성 비아의 합친 길이와 같거나 다를 수 있다.The combined length of the lower conductive via and the second conductive via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combined length of the upper conductive via and the third conductive via.

상기 하부 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의 면적은 상기 상부 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의 면적과 같거나 다를 수 있다.The area of the lower embedded conductive plane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area of the upper embedded conductive plane.

상기 하부 노출 도전성 플레인의 면적은 상기 상부 노출 도전성 플레인의 면적과 같거나 다를 수 있다.The area of the lower exposed conductive plane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area of the upper exposed conductive plane.

상기 상,하부 노출 도전성 플레인의 면적이 상기 상,하부 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의 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The area of the upper and lower exposed conductive planes may be larger than that of the upper and lower embedded conductive plane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얇은 두께의 UE 뿐만 아닌 다른 구조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5G를 지원할 수 있는 소형의 28GHz 에서 동작하는 수직 편파 안테나 구조를 제공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rtically polarized antenna structure operating at a compact 28 GHz capable of supporting 5G that can be applied to other structures as well as a thinner UE.

일례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인쇄회로기판에 다이폴 안테나의 절반을 도전성 비아 및 도전성 패턴으로 구현하고, 다이폴 안테나의 나머지 절반을 인쇄회로기판에 부착된 사출물(도전성 비아 및 도전성 패턴 포함)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For exampl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half of the dipole antenna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with conductive vias and conductive patterns, and uses the injection material (including conductive via and conductive pattern) attached to the other half of the dipole antenna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Can be implemented.

다른 예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인쇄회로기판에 다이폴 안테나의 절반을 도전성 비아 및 도전성 패턴으로 구현하고, 다이폴 안테나의 나머지 절반을 인쇄회로기판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부착된 사출물(도전성 비아 및 도전성 패턴을 포함)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half of the dipole antenna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with conductive vias and conductive patterns, and the other half of the dipole antenna is injected (conductive via and conductive)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respectively. Pattern).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 편파 안테나 구조는 얇은 두께의 UE에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vertically polarized antenna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formed in a thin-thick UE.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5G를 지원하는 수직 편파 안테나 구조를 투시하여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5G를 지원하는 수직 편파 안테나 구조중 도전체만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5G를 지원하는 수직 편파 안테나 구조에 의한 방사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5G를 지원하는 수직 편파 안테나 구조를 투시하여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5G를 지원하는 수직 편파 안테나 구조가 채택된 인쇄회로기판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1A and 1B are perspective and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vertically polarized antenna structure supporting 5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only a conductor among vertically polarized antenna structures supporting 5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radiation pattern by a vertically polarized antenna structure supporting 5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perspective and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vertically polarized antenna structure supporting 5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rinted circuit board in which a vertical polarization antenna structure supporting 5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op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It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Rather, these examples are provided to make the present disclosure more faithful and complete, and to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라는 의미는 A 부재와 B 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A 부재와 B 부재의 사이에 C 부재가 개재되어 A 부재와 B 부재가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rawings, the thickness or size of each layer is exagge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descrip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elements. As used herein, the term “and/or” includes any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listed items.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connected" means not only when the A member and the B member are directly connected, but also when the C member is interposed between the A member and the B member to indirectly connect the A member and the B member. do.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includ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includ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singular forms may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lso, when used herein, "comprise, include" and/or "comprising, including" refer to the shapes, numbers, steps, actions, elements, elements and/or groups of these mentioned. It is to specify existence and not to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shapes, numbers, actions, elements, elements and/or groups.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Although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herein to describe various members, parts, regions, layers and/or parts, these members, parts, regions, layers and/or parts are defined by these terms It is obvious that not.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member, part, region, layer or part from another region, layer or part. Accordingly, the first member, component, region, layer or portion described below may refer to the second member, component, region, layer or por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하면(bottom surface)", "하부(beneath)", "아래(below)", "낮은(lower)", "상면(top surface)", "상부(above)", "위(upper)"와 같은 공간에 관련된 용어가 도면에 도시된 한 요소 또는 특징과 다른 요소 또는 특징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에 관련된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공정 상태 또는 사용 상태에 따라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의 요소 또는 특징이 뒤집어지면, "하면", "하부" 또는 "아래"로 설명된 요소 또는 특징은 "상면", "상부" 또는 "위에"로 된다. 따라서, "하면"은 "상면"을 포괄하는 개념이다."Bottom surface", "beneath", "below", "lower", "top surface", "above", "upper" Terms related to spaces such as may be used for easy understanding of one element or feature shown in the drawings and another element or feature. Terms related to these spaces are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various process states or use stat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f an element or feature in a drawing is flipped over, the element or feature described as "bottom", "bottom" or "below" becomes "top", "top" or "above". Therefore, "lower surface" is a concept encompassing "upper surface".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5G를 지원하는 수직 편파 안테나 구조(100)를 투시하여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1A and 1B are perspective and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vertically polarized antenna structure 100 supporting 5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5G를 지원하는 수직 편파 안테나 구조(100)는 유전체와 도전체를 갖는 인쇄회로기판(110)과, 유전체와 도전체를 갖는 사출물(120)을 포함할 수 있다.1A and 1B, a vertically polarized antenna structure 100 supporting 5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inted circuit board 110 having a dielectric and a conductor, and an injection material having a dielectric and a conductor ( 120).

이하에 언급되는 모든 유전체(예를 들면, 유전층)는, 예를 들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FR-4, 직조 유리 강화 하이드로카본/세라믹(woven glass reinforced hydrocarbon/ceramic), 폴리테트라플로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PTFE)/직조 유리, 에폭시/유리, 폴리이미드(Polyimide(PI)), 폴리벤즈옥사졸(Polybenzoxazole(PBO)), 벤조사이클로부틴(Benzocyclobuten(BCB)), 실리콘(Silicones), 아크릴레이트(Acrylates), 플라스틱, 세라믹 또는 이들의 합성물로 지칭되거나 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예들에서, 유전체의 두께는, 예를 들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대략 0.5mm 내지 대략 1.5mm, 바람직하기로 대략 1mm일 수 있다.All dielectrics (eg, dielectric layers) mentioned below are, for example, but not limited to, FR-4, woven glass reinforced hydrocarbon/ceramic, polytetrafluoroethylene ( Polytetrafluoroethylene (PTFE)/woven glass, epoxy/glass, polyimide (PI), polybenzoxazole (PBO), benzocyclobuten (BCB), silicone (Silicones), acrylate (acrylate) Acrylates), plastics, ceramics, or composites thereof, or, in some examples, the thickness of the dielectric is, for example, but not limited to, about 0.5 mm to about 1.5 mm, preferably It can be about 1 mm.

일부 예들에서, 유전체의 유전율은, 예를 들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대략 3 내지 대략 4일 수 있고, 손실 탄젠트는 대략 0.003 내지 대략 0.005일 수 있다. 또한, 일부 예들에서, 유전체는 라미네이트 방식 또는 사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일부 예들에서, 유전체는, 예를 들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스핀 코팅, 닥터 블레이드, 캐스팅, 페인팅, 스프레이 코팅, 슬롯 다이 코팅, 커튼 코팅, 슬라이드 코팅 또는 나이프 오버 에지 코팅과 같은 코팅 방식, 스크린 프린팅, 패드 프린 팅, 그라비아 프린팅, 플렉소그래피 프린팅 또는 옵셋 프린팅과 같은 프린팅 방식, 코팅과 프린팅의 중간적 성격의 기술인 잉크젯 프린팅 방식, 또는 이중 사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some examples,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dielectric can be, for example, but not limited to, from about 3 to about 4, and the loss tangent can be from about 0.003 to about 0.005. Further, in some examples, the dielectric may be formed in a laminate or injection method. Moreover, in some examples, the dielectric is, for example, but not limited to, coating methods such as spin coating, doctor blade, casting, painting, spray coating, slot die coating, curtain coating, slide coating or knife over edge coating, It may be formed by a printing method such as screen printing, pad printing, gravure printing, flexographic printing or offset printing, inkjet printing, which is a technique of the intermediate nature of coating and printing, or double injection.

이러한 유전체의 재질 및/또는 제조 방법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유전체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material and/o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dielectric material may be equally applied to all dielectric materials described herein.

또한, 이하에서 언급되는 도전체(즉, 도전성 비아 및/또는 도전성 플레인)는, 예를 들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구리, 알루미늄, 금, 은, 백금, 니켈, 팔라듐, 크롬, 철, SUS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지칭되거나 또는 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이러한 도전체는, 예를 들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스퍼터링, 무전해 도금, 전해도금, 물리기상증착(physical vapor deposition(PVD)), 화학기상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CVD)), 금속유기화학기상증착(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MOCVD)), 원자층증착(atomic layer deposition(ALD)), 저압화학기상증착(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LPCVD)) 또는 플라즈마강하화학기상증착(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PECVD))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예들에서, 도전체의 두께는, 예를 들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대략 10㎛ 내지 대략 500㎛, 바람직하기로 100㎛ 내지 300㎛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ductors mentioned below (ie, conductive vias and/or conductive planes) are, for example, but not limited to copper, aluminum, gold, silver, platinum, nickel, palladium, chromium, iron, SUS, or These may be referred to or include alloys. In some examples, such a conductor is, for example, but not limited to, sputtering, electroless plating, electroplating, physical vapor deposition (PVD),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 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MOCVD), atomic layer deposition (ALD), 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 (LPCVD) or plasma-lowering chemical vapor deposition (LPCVD)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Further, in some examples, the thickness of the conductor may be, for example, but not limited to, approximately 10 μm to approximately 500 μm, preferably 100 μm to 300 μm.

이러한 도전체의 재질 및/또는 제조 방법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도전체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material and/or manufacturing method of such a conductor can be equally applied to all conductors described herein.

계속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 편파 안테나 구조(100)를 구성하는 인쇄회로기판(110)과 사출물(120)에 대해 설명한다.Subsequently, the printed circuit board 110 and the injection material 120 constituting the vertically polarized antenna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인쇄회로기판(110)은 제1유전층(111)과, 제1도전성 비아(112)와, 제1노출 도전성 플레인(113)과, 제1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114)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inted circuit board 110 may include a first dielectric layer 111, a first conductive via 112, a first exposed conductive plane 113, and a first embedded conductive plane 114.

제1유전층(111)은 대략 평평한 제1면(하면)과, 제1면의 반대면으로서 대략 평평한 제2면(상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예들에서, 제1유전층(111)의 제1면에는 상대적으로 넓은 하부 그라운드층(115)이 형성되고, 제1유전층(111)의 제2면에도 상대적으로 넓은 상부 그라운드층(116)이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유전층(111)의 둘레에 하부 그라운드층(115)으로 덮이지 않는 제1면이 하부로 노출될 수 있고, 또한 상부 그라운드층(116)으로 덮이지 않은 제2면이 상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이러한 노출된 제1유전층(111)의 제1면 및 제2면, 그리고 그 내측에 수직 편파 안테나 구조(100)중 일부 또는 절반이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dielectric layer 111 may include an approximately flat first surface (lower surface) and an approximately flat second surface (upper surface) as an opposite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In addition, in some examples, a relatively wide lower ground layer 115 is formed on a first surface of the first dielectric layer 111, and a relatively wide upper ground layer 116 is also formed on a second surface of the first dielectric layer 111. It can be formed. In some examples, a first surface not covered by the lower ground layer 115 may be expos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dielectric layer 111, and a second surface not covered by the upper ground layer 116 may be upper. Can be exposed as. In some examples, some or half of the vertically polarized antenna structure 100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of the exposed first dielectric layer 111 and inside the exposed first dielectric layer 111.

제1도전성 비아(112)는 제1유전층(111)의 두께 방향(예를 들면, 제1면에서 제2면을 향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도전성 비아(112)는 제1면 및/또는 제2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도전성 비아(112)의 하단은 제1유전층(111)의 제1면을 통해 노출될 수 있고, 제1도전성 비아(112)의 상단은 제1유전층(111)의 내측에 임베디드될 수 있다.The first conductive via 112 may be form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rst dielectric layer 111 (eg, a direction from the first surface to the second surface or vice versa). In some examples, the first conductive via 112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the first and/or second surfaces. In some examples, the bottom of the first conductive via 112 can be exposed through the first surface of the first dielectric layer 111, and the top of the first conductive via 112 is inside the first dielectric layer 111. It can be embedded.

제1노출 도전성 플레인(113)은 제1도전성 비아(112)의 하단에 연결되며, 제1유전층(111)의 제1면에 노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노출 도전성 플레인(113)의 평면적인 형태는 대략 원형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노출 도전성 플레인(113)의 평면적인 형태는 정사각형, 직사각형,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 The first exposed conductive plane 113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nductive via 112 and may be formed by exposing the first surface of the first dielectric layer 111. In some examples, the planar shape of the first exposed conductive plane 113 may be approximately circular. In some examples, the planar shape of the first exposed conductive plane 113 may be square, rectangular, triangular, pentagonal, hexagonal, or polygonal.

제1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114)은 제1도전성 비아(112)의 상단에 연결되며, 이는 제1유전층(111)의 내측에 임베디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114)의 평면적인 형태는 대략 원형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114)의 평면적인 형태는 정사각형, 직사각형,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114)의 넓이가 제1노출 도전성 플레인(113)의 넓이보다 좁을 수 있다. 반대로 설명하면, 제1노출 도전성 플레인(113)의 넓이가 제1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114)의 넓이보다 넓을 수 있다.The first embedded conductive plane 114 is connected to the top of the first conductive via 112, which can be formed by being embedded inside the first dielectric layer 111. In some examples, the planar shape of the first embedded conductive plane 114 may be approximately circular. In some examples, the planar shape of the first embedded conductive plane 114 may be square, rectangular, triangular, pentagonal, hexagonal, or polygonal. In some examples, the width of the first embedded conductive plane 114 may be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exposed conductive plane 113. In other words, the width of the first exposed conductive plane 113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embedded conductive plane 114.

일부 예들에서, 제1노출 도전성 플레인(113)과 제1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114)은 대략 평행한 관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예들에서, 제1노출 도전성 플레인(113)과 제1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114)은 제1유전층(111)의 제1면(하면) 및/또는 제2면(상면)에 대략 평행한 관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예들에서, 제1노출 도전성 플레인(113)과 제1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114)은 각각의 중심점이 제1도전성 비아(112)의 하단과 상단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예들에서, 제1노출 도전성 플레인(113)과 제1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114)은 상호간 평행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하여 제1도전성 비아(112)는 수직을 이룰 수 있다.In some examples, the first exposed conductive plane 113 and the first embedded conductive plane 114 may have an approximately parallel relationship. Further, in some examples, the first exposed conductive plane 113 and the first embedded conductive plane 114 ar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first surface (lower surface) and/or the second surface (upper surface) of the first dielectric layer 111. You can have a relationship. In addition, in some examples, the first exposed conductive plane 113 and the first embedded conductive plane 114 may have respective center point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lower and upper ends of the first conductive via 112. In addition, in some examples, the first exposed conductive plane 113 and the first embedded conductive plane 114 may be parallel to each other, but the first conductive via 112 may be vertical.

사출물(120)은 제2유전층(121)과, 제2도전성 비아(122)와, 제2노출 도전성 플레인(123)과, 제2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124)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이러한 사출물(120)의 제1표면 및 제2표면, 그리고 그 내측에 수직 편파 안테나 구조(100)중 일부 또는 절반이 구비될 수 있다.The injection material 120 may include a second dielectric layer 121, a second conductive via 122, a second exposed conductive plane 123, and a second embedded conductive plane 124. In some examples, some or half of the vertically polarized antenna structure 100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injection mold 120, and inside thereof.

제2유전층(121)은 대략 평평한 제1표면(하면)과, 제1표면의 반대면으로서 대략 평평한 제2표면(상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2유전층(121)은 제1유전층(11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부피(또는 체적)를 차지하며, 이는 제2유전층(121)에 직접 접착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2유전층(121)은 대략 원기둥 또는 사각 기둥 형태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2유전층(121)의 제1표면이 절연 접착제를 통하여 제1유전층(111)의 제2면에 접착될 수 있다.The second dielectric layer 121 may include an approximately flat first surface (lower surface) and an approximately flat second surface (upper surface) as an opposite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In some examples, the second dielectric layer 121 occupies a relatively small volume (or volume) than the first dielectric layer 111, which can be directly adhered to the second dielectric layer 121. In some examples, the second dielectric layer 121 may have a substantially cylindrical or square column shape. In some examples, the first surface of the second dielectric layer 121 may be adhered to the second surface of the first dielectric layer 111 through an insulating adhesive.

제2도전성 비아(122)는 제2유전층(121)의 두께 방향(예를 들면, 제1표면에서 제2표면을 향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2도전성 비아(122)는 제1표면 및/또는 제2표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2도전성 비아(122)의 하단은 제2유전층(121)의 제1표면을 통해 노출될 수 있고, 제2도전성 비아(122)의 상단은 제2유전층(121)의 제2표면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예들에서, 제2도전성 비아(122)의 길이 방향은 제1도전성 비아(112)의 길이 방향과 중첩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도전성 비아(112) 및 제2도전성 비아(122)는 서로 이격되어 있으나, 대략 2개의 이격된 직선 형태를 할 수 있다.The second conductive via 122 may be formed through the second dielectric layer 121 in a thickness direction (eg, a direction from the first surface toward the second surface or vice versa). In some examples, the second conductive via 122 can be formed in a direction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the first surface and/or the second surface. In some examples,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onductive via 122 may be exposed through the first surface of the second dielectric layer 121,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conductive via 122 may be exposed through the second dielectric layer 121. It can be exposed through the surface. Further, in some example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onductive via 122 may overlap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onductive via 112. In some examples, the first conductive via 112 and the second conductive via 12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ut may have approximately two spaced apart straight lines.

제2노출 도전성 플레인(123)은 제2도전성 비아(122)의 상단에 연결되며, 제2유전층(121)의 제2표면에 노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2노출 도전성 플레인(123)의 평면적인 형태는 대략 원형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2노출 도전성 플레인(123)의 평면적인 형태는 정사각형, 직사각형,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 The second exposed conductive plane 123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conductive via 122 and may be formed by exposing the second surface of the second dielectric layer 121. In some examples, the planar shape of the second exposed conductive plane 123 may be approximately circular. In some examples, the planar shape of the second exposed conductive plane 123 may be square, rectangular, triangular, pentagonal, hexagonal, or polygonal.

제2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124)은 제2도전성 비아(122)의 하단에 연결되며, 이는 제2유전층(121)과 제1유전층(111)의 사이에 임베디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2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124)의 평면적인 형태는 대략 원형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2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124)의 평면적인 형태는 정사각형, 직사각형,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The second embedded conductive plane 124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onductive via 122, which may be formed by being embedded between the second dielectric layer 121 and the first dielectric layer 111. In some examples, the planar shape of the second embedded conductive plane 124 may be approximately circular. In some examples, the planar shape of the second embedded conductive plane 124 may be square, rectangular, triangular, pentagonal, hexagonal, or polygonal.

일부 예들에서, 제2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124)의 넓이가 제2노출 도전성 플레인(123)의 넓이보다 좁을 수 있다. 반대로 설명하면, 제2노출 도전성 플레인(123)의 넓이가 제2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124)의 넓이보다 넓을 수 있다.In some examples, the width of the second embedded conductive plane 124 may be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exposed conductive plane 123. In other words, the width of the second exposed conductive plane 123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embedded conductive plane 124.

일부 예들에서, 제2노출 도전성 플레인(123)과 제2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124)은 상호간 마주보는 형태 또는 대략 평행한 관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예들에서, 제2노출 도전성 플레인(123)과 제2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124)은 제2유전층(121)의 제1표면(하면) 및/또는 제2표면(상면)에 대략 평행한 관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예들에서, 제2노출 도전성 플레인(123)과 제2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124)은 각각의 중심점이 제2도전성 비아(122)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예들에서, 제2노출 도전성 플레인(123)과 제2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124)은 상호간 평행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하여 제2도전성 비아(122)는 수직을 이룰 수 있다.In some examples, the second exposed conductive plane 123 and the second embedded conductive plane 124 may have mutually opposite shapes or approximately parallel relations. Further, in some examples, the second exposed conductive plane 123 and the second embedded conductive plane 124 ar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first surface (lower surface) and/or the second surfac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dielectric layer 121. You can have a relationship. In addition, in some examples, the second exposed conductive plane 123 and the second embedded conductive plane 124 may b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top and bottom of the second conductive via 122, respectively. Further, in some examples, the second exposed conductive plane 123 and the second embedded conductive plane 124 may be parallel to each other, but the second conductive via 122 may be vertical.

일부 예들에서, 제1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114)과 제2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124)은 상호간 이격되어 마주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114)과 제2임베디드 플레인의 사이에 제1유전층(111)이 개재될 수 있다. In some examples, the first embedded conductive plane 114 and the second embedded conductive plane 124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ace each other. In some examples, the first dielectric layer 111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embedded conductive plane 114 and the second embedded plane.

일부 예들에서, 제1도전성 비아(112)의 길이는 제2도전성 비아(122)의 길이와 같을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도전성 비아(112)의 길이는 제2도전성 비아(122)의 길이와 다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도전성 비아(112)의 길이는 제2도전성 비아(122)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In some examples, the length of the first conductive via 112 may be the same as the length of the second conductive via 122. In some examples, the length of the first conductive via 112 may be different from the length of the second conductive via 122. In some examples, the length of the first conductive via 112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conductive via 122.

일부 예들에서, 제1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114)과 제2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124)은 상호간 평행한 관계일 수 있으며, 상호간의 면적이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제1,2도전성 비아(112,122)의 길이가 서로 다름에 따라 제1,2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114,124)의 면적도 달라질 수 있으며, 길이가 짧은쪽의 경우 도전성 플레인의 면적을 넓혀 길이를 보상할 수 있다.In some examples, the first embedded conductive plane 114 and the second embedded conductive plane 124 may be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area of each other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As the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vias 112 and 12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areas of the first and second embedded conductive planes 114 and 124 may also vary, and in the case of the shorter side, the length of the conductive plane can be widened to compensate for the length. have.

또한, 일부 예들에서, 제1노출 도전성 플레인(113)과 제2노출 도전성 플레인(123)은 상호간 평행한 관계일 수 있으며, 상호간의 면적이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제1,2도전성 비아(112,122)의 길이가 서로 다름에 따라 제1,2노출 도전성 플레인(113,123)의 면적도 달라질 수 있으며, 길이가 짧은쪽의 경우 도전성 플레인의 면적을 넓혀 길이를 보상할 수 있다.In addition, in some examples, the first exposed conductive plane 113 and the second exposed conductive plane 123 may be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areas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As the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vias 112 and 12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areas of the first and second exposed conductive planes 113 and 123 may also vary, and in the case of the shorter side, the area of the conductive plane can be widened to compensate for the length. have.

일부 예들에서, 상호간 이격된 제1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114) 및 제2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124)은 급전부에 연결될 수 있다.In some examples, the first embedded conductive plane 114 and the second embedded conductive plane 124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feeding unit.

일부 예들에서, 인쇄회로기판(110)에 구비된 제1도전성 비아(112)와 사출물(120)에 구비된 제2도전성 비아(122)의 합친 길이는 동작 주파수의 반파장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In some examples, the combined length of the first conductive via 112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110 and the second conductive via 122 provided on the injection material 120 may be equal to the half-wavelength length of the operating frequency. .

일부 예들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100)는 다이폴 안테나와 같은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이폴 안테나는 각각의 암(arm) 길이가 동일하고, 암의 중간에 급전부를 두어 안테나로 동작하도록 한다. 다이폴 안테나의 방향에 따라 안테나의 편파를 결정할 수 있는데, 일례로, 안테나가 누워 있는 경우 수평 편파를 발생시키고, 안테나가 세워져 있는 경우 수직 편파를 발생시킨다.In some examples, the antenna structur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perate in the same manner as a dipole antenna. In general, dipole antennas have the same length of each arm, and a power supply is placed in the middle of the arm to operate as an antenna. The polarization of the antenna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dipole antenna. For example, horizontal polarization is generated when the antenna is lying, and vertical polarization is generated when the antenna is stand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직 편파가 필요하므로 안테나를 수직 방향으로 세운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의 길이를 반파장 이하로 줄이기 위해, 탑 로딩(top loading)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vertical polarization is required, the antenna may be configured in a vertical direction. Also, in order to reduce the length of the antenna to less than half a wavelength, a top loading method may be used.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서는 위의 탑 로딩 다이폴 안테나를 인쇄회로기판(110) 상에 절반을 구현하는 것으로 일반 FR-4 인쇄회로기판(110) 내부에 탑 로딩 다이폴 안테나의 절반에 해당하는 구조를 인쇄회로기판(110)의 도전성 비아와 도전성 패턴으로 구현하고, 나머지 안테나의 절반은 인쇄회로기판(110) 위에 부착된 사출물(120)을 이용하여 구현하여 하나의 다이폴 안테나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way, in the present invention, a half of the top loading dipole antenna is impleme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110, and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half of the top loading dipole antenna inside the general FR-4 printed circuit board 110 is constructed. The printed circuit board 110 is implemented with a conductive via and a conductive pattern, and the other half of the antenna is implemented using an injection 120 attach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110 so that it can operate as a single dipole antenna.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5G를 지원하는 수직 편파 안테나 구조(100)중 도전체만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2a는 탑 로딩 방식의 다이폴 안테나를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일반적인 직선 도선 다이폴 안테를 도시한 것이다.2A and 2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only a conductor among the vertically polarized antenna structures 100 supporting 5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FIG. 2A shows a top-loading dipole antenna, and FIG. 2B shows a general straight conductor dipole antenna.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 로딩 다이폴 안테나의 경우 안테나(즉, 제1,2도전성 비아(112,122))의 하단 및 상단에 원판 형상의 금속체(즉, 제1,2노출 도전성 플레인(113,123))를 추가로 연결하여, 안테나의 캐패시턴스 성분을 높이고, 이에 따라 안테나의 길이를 반파장 길이 이하로 줄이면서도 동일한 공진주파수 대역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원판 형상의 금속체(즉, 제1,2노출 도전성 플레인(113,123))가 없다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의 길이를 반파장 이하로 줄이기 어렵다.As shown in FIG. 2A, in the case of a top loading dipole antenna, a disk-shaped metal body (ie, first and second exposed conductive planes 113 and 123) is provided at the bottom and top of the antenna (ie,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vias 112 and 122) )) by additionally connecting, to increase the capacitance component of the antenna, thereby reducing the length of the antenna to less than a half-wavelength length, while having the same resonance frequency band. If there is no disk-shaped metal body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exposed conductive planes 113 and 123), it is difficult to reduce the length of the antenna to less than half a wavelength as shown in FIG. 2B.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100)는 얇은 두께의 사용자 장비(UE) 뿐만 아닌 다른 구조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5G를 지원할 수 있는 소형의 28GHz 에서 동작하는 수직 편파 안테나를 제공한다.In this way, the antenna structur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rtically polarized antenna operating at a small 28 GHz capable of supporting 5G applicable to other structures as well as a thin user equipment (UE). do.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5G를 지원하는 수직 편파 안테나 구조(100)에 의한 방사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100)는 일반적인 다이폴 안테나와 같은 수직/수평 방향으로 방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3 is a view showing a radiation pattern by a vertically polarized antenna structure 100 supporting 5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he antenna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firmed to radiate in the vertical/horizontal direction as a general dipole antenna.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5G를 지원하는 수직 편파 안테나 구조(200)를 투시하여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4A and 4B are perspective and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vertically polarized antenna structure 200 supporting 5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5G를 지원하는 수직 편파 안테나 구조(200)는 인쇄회로기판(210)과, 하부 사출물(220)과, 상부 사출물(230)을 포함할 수 있다.4A and 4B, the vertical polarization antenna structure 200 supporting 5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inted circuit board 210, a lower injection material 220, and an upper injection material 230. It may include.

인쇄회로기판(210)은 제1면과 제1면의 반대면인 제2면을 갖는 제1유전층(211)과, 제1유전층(211)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된 하부 도전성 비아(212)와, 하부 도전성 비아(212)에 연결되며 제1유전층(211)의 내측에 임베디드되어 형성된 하부 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213)과, 제1유전층(211)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된 상부 도전성 비아(214)와, 상부 도전성 비아(214)에 연결되며 제1유전층(211)의 내측에 임베디드되어 형성된 상부 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215)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하부 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213)과 상부 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215)은 상호간 이격된채 마주 보는 형태를 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하부 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213)과 상부 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215)의 사이에 제1유전층(211)이 개재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하부 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213)의 면적과 상부 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215)의 면적은 상호간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또한, 일부 예들에서, 하부 도전성 비아(212)와 상부 도전성 비아(214)는 대략 2개의 이격된 직선 형태일 수 있다.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includes a first dielectric layer 211 having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 lower conductive via 212 form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rst dielectric layer 211, A lower embedded conductive plane 213 connected to the lower conductive via 212 and embedded inside the first dielectric layer 211, an upper conductive via 214 formed in a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rst dielectric layer 211, and an upper portion It may be connected to the conductive via 214 and may include an upper embedded conductive plane 215 formed by being embedded inside the first dielectric layer 211. In some examples, the lower embedded conductive plane 213 and the upper embedded conductive plane 215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some examples, the first dielectric layer 211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embedded conductive plane 213 and the upper embedded conductive plane 215. In some examples, the area of the lower embedded conductive plane 213 and the area of the upper embedded conductive plane 215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Further, in some examples, the lower conductive via 212 and the upper conductive via 214 may be approximately two spaced apart straight lines.

하부 사출물(220)은 제1유전층(211)의 제1면에 부착된 제2유전층(221)과, 제2유전층(221)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하부 도전성 비아(2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도전성 비아(222)와, 제2도전성 비아(222)에 연결되며 제2유전층(221)의 하면에 형성된 하부 노출 도전성 플레인(223)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2유전층(221)은 절연성 접착제를 통해 제1유전층(211)의 제1면에 접착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2도전성 비아(222)는 도전성 접착제를 통해 하부 도전성 비아(2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예에서, 하부 노출 도전성 플레인(223)의 면적이 상,하부 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213,215)의 각 면적보다 넓은 수 있다.The lower injection material 220 is a second dielectric layer 221 attached to the first surface of the first dielectric layer 211 and a second dielectric layer 221 that is formed through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ower conductive via 212. The conductive via 222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e via 222 and may include a lower exposed conductive plane 223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dielectric layer 221. In some examples, the second dielectric layer 221 may be adhered to the first surface of the first dielectric layer 211 through an insulating adhesive. In some examples, the second conductive via 222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ower conductive via 212 through a conductive adhesive. In addition, in some examples, the area of the lower exposed conductive plane 223 may be larger tha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embedded conductive planes 213 and 215.

상부 사출물(230)은 제1유전층(211)의 제2면에 부착된 제3유전층(231)과, 제3유전층(231)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부 도전성 비아(2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3도전성 비아(232)와, 제3도전성 비아(232)에 연결되며 제3유전층(231)의 상면에 형성된 상부 노출 도전성 플레인(233)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3유전층(231)은 절연성 접착제를 통해 제1유전층(211)의 제2면에 접착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3도전성 비아(232)는 도전성 접착제를 통해 상부 도전성 비아(2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예에서, 상부 노출 도전성 플레인(233)의 면적이 상,하부 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213,215)의 각 면적보다 넓은 수 있다.The upper injection material 230 is a third dielectric layer 231 attached to the second surface of the first dielectric layer 211 and a third dielectric layer 231 that is formed through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conductive via 214. The conductive via 232 may include an upper exposed conductive plane 233 connected to the third conductive via 232 and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dielectric layer 231. In some examples, the third dielectric layer 231 may be adhered to the second surface of the first dielectric layer 211 through an insulating adhesive. In some examples, the third conductive via 232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conductive via 214 through a conductive adhesive. In addition, in some examples, an area of the upper exposed conductive plane 233 may be larger tha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embedded conductive planes 213 and 215.

일부 예들에서, 하부 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213) 및 상부 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215)이 급전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하부 도전성 비아(212)와 제2도전성 비아(222)의 합친 길이는 상부 도전성 비아(214)와 제3도전성 비아(232)의 합친 길이와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하부 노출 도전성 플레인(223)의 면적과 상부 노출 도전성 플레인(233)의 면적은 상호간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In some examples, the lower embedded conductive plane 213 and the upper embedded conductive plane 215 may be connected to the feeder. In some examples, the combined length of the lower conductive via 212 and the second conductive via 222 may be equal to or different from the combined length of the upper conductive via 214 and the third conductive via 232. In some examples, the area of the bottom exposed conductive plane 223 and the area of the top exposed conductive plane 233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서는 탑 로딩 다이폴 안테나를 인쇄회로기판(210) 상에 구현하는 것으로 일반 FR-4 인쇄회로기판(210)의 내부에 탑 로딩 다이폴 안테나의 절반에 해당하는 구조를 인쇄회로기판(210)의 도전성 비아와 도전성 패턴으로 구현하고, 나머지 안테나의 절반은 인쇄회로기판(210)의 하부 및 상부에 각각 사출물(220,230)을 이용하여 구현하여 하나의 다이폴 안테나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wa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op loading dipole antenna is impleme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and the structure corresponding to half of the top loading dipole antenna inside the general FR-4 printed circuit board 210 is printed circuit board. It is implemented with a conductive via and a conductive pattern of 210, and the other half of the antenna is implemented using injection materials 220 and 230 respectively on the lower and upper portions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so that it can operate as a single dipole antenna.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5G를 지원하는 수직 편파 안테나 구조(100,200)가 채택된 인쇄회로기판(110,210)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5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rinted circuit board (110,210) employing a vertically polarized antenna structure (100,200) supporting 5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5G를 지원하는 수직 편파 안테나 구조(100,200)는 인쇄회로기판(110,210)중 그라운드층의 일부 영역이 제거되고, 이러한 제거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방사 패턴이 스마트폰이나 핸드폰과 같은 사용자 장비의 측면으로 방사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5, in the vertically polarized antenna structure 100 and 200 supporting 5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rt of the ground layer of the printed circuit boards 110 and 210 is removed, and the vertically polarized antenna structure is formed in the removed area. Can be. Therefore, the radiation pattern may be radiated to the side of the user equipment such as a smartphone or a mobile phone.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5G를 지원하는 수직 편파 안테나 구조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only one embodiment for implementing a vertically polarized antenna structure supporting 5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Anyone who has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will hav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various changes can be made.

100; 수직 편파 안테나 구조
110; 인쇄회로기판 111; 제1유전층
112; 제1도전성 비아 113; 제1노출 도전성 플레인
114; 제1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 115; 하부 그라운드층
116; 상부 그라운드층 120; 사출물
121; 제2유전층 122; 제2도전성 비아
123; 제2노출 도전성 플레인 124; 제2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
200; 수직 편파 안테나 구조
210; 인쇄회로기판 211; 제1유전층
212; 하부 도전성 비아 213; 하부 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
214; 상부 도전성 비아 215; 상부 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
220; 하부 사출물 221; 제2유전층
222; 제2도전성 비아 223; 하부 노출 도전성 플레인
230; 상부 사출물 231; 제3유전층
232; 제3도전성 비아 233; 상부 노출 도전성 플레인
100; Vertical polarized antenna structure
110; Printed circuit board 111; First dielectric layer
112; First conductive via 113; First exposed conductive plane
114; A first embedded conductive plane 115; Lower ground layer
116; Upper ground layer 120; Injection
121; Second dielectric layer 122; Second conductive via
123; A second exposed conductive plane 124; 2nd embedded conductive plane
200; Vertical polarized antenna structure
210; Printed circuit board 211; First dielectric layer
212; Lower conductive via 213; Lower embedded conductive plane
214; Upper conductive via 215; Upper embedded conductive plane
220; Lower injection material 221; 2nd dielectric layer
222; Second conductive via 223; Bottom exposed conductive plane
230; Upper injection 231; 3rd dielectric layer
232; Third conductive via 233; Top exposed conductive plane

Claims (6)

제1면과 상기 제1면의 반대면인 제2면을 갖는 제1유전층과, 상기 제1유전층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된 제1도전성 비아와, 상기 제1도전성 비아에 연결되며 상기 제1유전층의 제1면에 노출되어 형성된 제1노출 도전성 플레인과, 상기 제1도전성 비아에 연결되며 상기 제1유전층의 내측에 임베디드되어 형성된 제1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및
제1표면과 상기 제1표면의 반대면인 제2표면을 갖는 제2유전층과, 상기 제2유전층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제2도전성 비아와, 상기 제2도전성 비아에 연결되며 상기 제2유전층의 제2표면에 노출되어 형성된 제2노출 도전성 플레인과, 상기 제2도전성 비아에 연결되며 상기 제2유전층의 제1표면과 상기 제1유전층의 제2면 사이에 임베디드되어 형성된 제2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을 포함하는 사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과 상기 제2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은 상호간 이격되어 마주보고,
상기 제1도전성 비아와 상기 제2도전성 비아의 합친 길이는 동작 주파수의 반파장 길이와 같은, 수직 편파 안테나 구조.
A first dielectric layer having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 first conductive via formed in a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rst dielectric layer, and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via and connected to the first dielectric layer A printed circuit board including a first exposed conductive plane formed exposed on a first surface and a first embedded conductive plane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via and embedded inside the first dielectric layer; And
A second dielectric layer having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 second conductive via penetrat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econd dielectric layer, and the second dielectric layer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e via A second exposed conductive plane formed by exposing to the second surface of the second embedded conductive plane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e via and embedded between the first surface of the second dielectric layer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first dielectric layer It includes an injection material containing,
The first embedded conductive plane and the second embedded conductive plan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acing each other,
The vertically polarized antenna structure in which the combined length of the first conductive via and the second conductive via is equal to the half-wave length of the operating frequenc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 및 상기 제2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은 급전부에 연결되는, 수직 편파 안테나 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embedded conductive plane and the second embedded conductive plane are connected to a power feeding unit, a vertically polarized antenna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성 비아의 길이는 상기 제2도전성 비아의 길이와 같거나 다른, 수직 편파 안테나 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length of the first conductive via is the same or different from the length of the second conductive via, a vertically polarized antenna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의 면적은 상기 제2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의 면적과 같거나 다른, 수직 편파 안테나 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area of the first embedded conductive plane is equal to or different from that of the second embedded conductive plane, a vertically polarized antenna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출 도전성 플레인의 면적은 상기 제2노출 도전성 플레인의 면적과 같거나 다른, 수직 편파 안테나 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area of the first exposed conductive plane is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area of the second exposed conductive plane, a vertically polarized antenna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노출 도전성 플레인의 면적이 상기 제1,2임베디드 도전성 플레인의 면적보다 넓은, 수직 편파 안테나 구조.
According to claim 1,
A vertically polarized antenna structure in which the area of the first and second exposed conductive planes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first and second embedded conductive planes.
KR1020200025498A 2020-02-28 2020-02-28 Vertical polarization antenna structure supporting 5G KR1021947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498A KR102194761B1 (en) 2020-02-28 2020-02-28 Vertical polarization antenna structure supporting 5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498A KR102194761B1 (en) 2020-02-28 2020-02-28 Vertical polarization antenna structure supporting 5G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5330A Division KR102093763B1 (en) 2017-12-07 2018-12-05 Vertical polarization antenna structure supporting 5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611A true KR20200068611A (en) 2020-06-15
KR102194761B1 KR102194761B1 (en) 2020-12-23

Family

ID=71081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498A KR102194761B1 (en) 2020-02-28 2020-02-28 Vertical polarization antenna structure supporting 5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4761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13467B2 (en) 2010-01-27 2014-02-1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Broadband antenna
JP2014107746A (en) 2012-11-28 2014-06-09 Denso Wave Inc Antenna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13467B2 (en) 2010-01-27 2014-02-1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Broadband antenna
JP2014107746A (en) 2012-11-28 2014-06-09 Denso Wave Inc Antenna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4761B1 (en) 202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n et al. Solution‐processed Ti3C2Tx MXene antennas for radio‐frequency communication
Li et al. Inkjet printing of wideband stacked microstrip patch array antenna on ultrathin flexible substrates
US9472852B2 (en) Integrated MIMO antenna system
US8803757B2 (en) Patch antenna, element thereof and feeding method therefor
CN106356619B (en) A kind of wide band high-gain WiFi omnidirectional antenna
CN109643853B (en)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022610B1 (en) Structure of single band dual polarization antenna module
CN108668436B (en) Substrate with electronic component
US11637362B2 (en) Antenna module
US10978785B2 (en) Chip antenna module
KR102093763B1 (en) Vertical polarization antenna structure supporting 5G
CN115224493A (en) Dielectric resonator antenna, antenn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WO2023025100A1 (en) Antenna oscillator and antenna array
CN103825093A (en) Decoupling circuit and antenna apparatus
US11431097B2 (en) Chip antenna module
CN109560387A (en) A kind of millimeter wave dual polarized antenna for mobile terminal
KR102194761B1 (en) Vertical polarization antenna structure supporting 5G
US11139551B2 (en) Chip antenna module
CN209056615U (en) The passive multiple-beam array device of millimeter wave for mobile terminal
US11018418B2 (en) Chip antenna and chip antenna module including the same
Volakis et al. Embroidered flexible RF electronics
CN209056604U (en) A kind of millimeter wave dual polarized antenna for mobile terminal
CN113437505A (en) Multilayer antenna structure and electronic equipment
TWM601907U (en) Directional antenna
US11050154B2 (en) Chip anten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