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8386A - 실링재 성능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실링재 성능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8386A
KR20200068386A KR1020180155314A KR20180155314A KR20200068386A KR 20200068386 A KR20200068386 A KR 20200068386A KR 1020180155314 A KR1020180155314 A KR 1020180155314A KR 20180155314 A KR20180155314 A KR 20180155314A KR 20200068386 A KR20200068386 A KR 20200068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aterial
cartridge
test
bars
spa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5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5848B1 (ko
Inventor
박동협
이강영
신승영
Original Assignee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filed Critical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55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848B1/ko
Publication of KR20200068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8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9/00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 G01N19/04Measuring adhesive force between materials, e.g. of sealing tape, of coa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esting Resistance To Weather, 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실링재 성능 시험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링재 성능 시험장치는, 시험장치의 전면에 설치되며, 일측에 개구가 형성되고 내부 공간이 형성된 함체; 상기 함체의 내부공간을 밀폐 가능하도록 상기 개구 부위에 배치되고, 상호 간의 사이 영역에 각각 실링재가 장착 가능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카트리지바와, 상기 복수의 카트리지바 사이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실링재의 상하측 부위와 각각 밀착되게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스페이서와, 상기 복수의 카트리지바에 상기 실링재 및 스페이서가 밀착되도록 복수의 카트리지바 사이 간격을 조절 가능한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및 상기 시험장치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함체 내부 공간으로 공기나 물을 포함한 테스트 물질을 공급 가능한 테스트 물질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트리지바 사이 간격을 쉽게 조절하고 적절한 두께를 갖는 스페이서를 사용함으로써, 시험대상체 실링재의 폭 수치가 다앙햐게 변하는 경우에도 유연하게 대응하여 시험장치의 교체없이 시험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스페이서와 실링재의 접촉면에 각각 경사면을 형성하거나 V자 형상의 걸림부를 마련함으로써 스페이서와 실링재 사이의 공극이 발생하는 것을 한층 방지함으로써 공기, 물과 같은 시험물질이 누설되어 테스트 신뢰도가 하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링재 성능 시험장치{Sealing material performance test apparatus}
본 발명은 익스팬션 실링재, 즉 시험대상체 실링재의 폭 수치가 다앙하게 변하는 경우에도 유연하게 대응하여 시험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다양한 규격의 실링재를 테스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험물질이 누설되어 테스트 신뢰도가 하락하는 것을 한층 방지할 수 있는 실링재 성능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조인트 부위에 실링재를 충전하여 틈새를 막는다. 예를 들어 아파트의 전면과 후면 등에 있는 베란다에는 난간과 창문(창틀)이 있는데, 그 창문(창틀)은 베란다의 바닥 슬래브와 지붕 슬래브 및 양측 벽체 사이에 즉, 베란다의 상하 슬래브와 양측 벽체에 의해 형성되는 규모가 큰 개구부 안에 역시 규모가 큰 조립된 새시를 삽입한 다음 상하 슬래브와 새시 사이 및 양측 벽체와 새시 사이에 모르타르와 같은 충전재를 충전하는 방법 등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창문(창틀) 앞에 설치되는 난간은 베란다의 바닥 슬래브와 양측 벽체에 부분 매입되어 있는 앵커에 의해 베란다의 바닥 슬래브와 양측 벽체에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창문(창틀)은 설치후 사계절을 지내면서 온도 및 풍량에 따라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일반적인 실링재는 이러한 창문의 형상 변형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힘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형상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 틈새를 제대로 막기 힘든 문제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익스펜션 실링재, 구체적으로 형상기억 폼 재질의 실링재를 적용하여 창문의 형상 변형에 유연하게 대응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익스펜션 실링재는 제품 출시전 기밀, 수밀 시험 등과 같은 성능 시험을 실시하게 되는데 현재 익스펜션 실링재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장치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본 출원인은 익스펜션 실링재의 내구성(기밀, 수밀, 통기성)을 시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링재의 폭 변화에도 가변적으로 대응하여 데스트를 실시할 수 있는 제공하여 안정적인 실링재를 제조/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9194호(2016.10.19.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시험대상체 실링재의 폭 수치가 다앙하게 변하는 경우에도 유연하게 대응하여 시험장치의 교체없이 시험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다양한 규격의 실링재를 테스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험물질이 누설되어 테스트 신뢰도가 하락하는 것을 한층 방지할 수 있는 실링재 성능 시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실링재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실링재 성능 시험장치로서, 시험장치의 전면에 설치되며, 일측에 개구가 형성되고 내부 공간이 형성된 함체; 상기 함체의 내부공간을 밀폐 가능하도록 상기 개구 부위에 배치되고, 상호 간의 사이 영역에 각각 실링재가 장착 가능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카트리지바와, 상기 복수의 카트리지바 사이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실링재의 상하측 부위와 각각 밀착되게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스페이서와, 상기 복수의 카트리지바에 상기 실링재 및 스페이서가 밀착되도록 복수의 카트리지바 사이 간격을 조절 가능한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및 상기 시험장치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함체 내부 공간으로 공기나 물을 포함한 테스트 물질을 공급 가능한 테스트 물질 공급부를 포함하는 실링재 성능 시험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실링재와 접촉되는 스페이서의 단부에는 제1 경사면이 마련되고, 상기 실링재의 양단에는 상기 제1 경사면과 대응하는 경사를 갖는 제2 경사면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실링재는 일정 이상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실링재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의 경사각은 0.5 ~ 30도일 수 있다.
상기 실링재의 단부에는 V자홈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스페이서의 단부에는 V형 돌기가 마련되거나, 상기 실링재의 단부에 V형 돌기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스페이서의 단부에는 V자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링재 성능 시험장치에 의하면, 카트리지바 사이 간격을 쉽게 조절하고 적절한 두께를 갖는 스페이서를 사용함으로써, 시험대상체 실링재의 폭 수치가 다앙햐게 변하는 경우에도 유연하게 대응하여 시험장치의 교체없이 시험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와 실링재의 접촉면에 각각 경사면을 형성하거나 V자 형상의 걸림부를 마련함으로써 스페이서와 실링재 사이의 공극이 발생하는 것을 한층 방지하여 공기, 물과 같은 시험물질이 누설되어 테스트 신뢰도가 하락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물과 공기 공급에 의해 실링재가 전방으로 밀리는 것을 한층 방지하여 밀림 발생에 따른 기밀, 수밀 성능의 오차가 발생하여 신뢰성이 저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링재 성능 시험장치 전체에서 카트리지가 장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링재 성능 시험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부분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링재 성능 시험장치의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링재 성능 시험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실링재의 팽창에 따른 길이 수축에 의해 공극이 발생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링재 성능 시험장치에서 개선된 스페이서의 성능 비교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링재 성능 시험장치에서 실링재와 스페이서에 경사면이 마련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도 8의 부분 확대도,
도 10 및 도 11은 도 8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링재 성능 시험장치는 건축용 틈새 실링재의 기밀, 수밀 등의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험대상체인 실링재의 폭 수치가 변하는 경우에도 유연하게 대응하여 시험장치의 교체없이 시험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다양한 규격의 실링재를 테스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실링재는 벽체와 벽체 사이, 벽체와 창호 사이, 창호와 창호 사이 등 다양한 틈새를 메우기 위한 용도로 사용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시험대상체인 실링재에 대해 설명하면, 실링재는 형상기억 폼(shape memory foam)으로 적용되며, 탄성복원제어를 위해 함침수지가 첨가된 연질 우레탄 폼 레이어와 레이어의 일측에 마련되는 점착수지 레이어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링재는 연질 우레탄의 탄성 회복 특성과 함침수지의 탄성 복원력을 통해 작용 중인 외력이 제거되면 초기 형상으로 복원되는 성질을 갖고 있으며, 전술한 다양한 틈새에 마련되어 수밀성, 기밀성을 보장하게 된다. 즉, 실링재(500)는 건축구조물 변형, 창호의 미세한 뒤틀림 발생시에도 탄성 복원 특성을 통해 기밀성, 수밀성, 통기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링재 성능 시험장치는 실링재의 기밀, 수밀, 통기성 등을 테스트하기 위한 것으로서, 함체(100), 카트리지(200), 테스트 물질 공급부(300), 테스트 기밀 유지부(400)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도 1을 참고하면 함체(100)가 장착되는 기본 베이스 케이스(10)의 크기가 함체(100)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하는 일자형 실링재의 테스트를 위한 카트리지(200)의 설치 이외에 실링재가 '+'자 형태로 배치된 크로스 타입의 카트리지(미도시)를 테스트할 경우 그 카트리지의 폭 증가를 감안하여 여유 영역을 마련한 것이다. 즉, 크로스 타입의 카트리지를 테스트할 경우 함체(100), 카트리지(200) 모두 그 폭이 증가하여 전술한 기본 베이스 케이스의 여유 영역까지 채우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실링재 테스트 실시를 위해 사용자가 테스트 물질 공급부(300) 및 테스트 기밀 유지부(40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패널(미도시)을 포함하고, 테스트 결과를 기록,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별도의 모니터(미도시) 등을 더 포함한다.
먼저, 함체(100)는 일측에 개구가 형성되고 내부 공간이 마련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함체(100)는 카트리지(200)와의 결합시 내부 공간 밀폐를 확실히 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금속,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함체(100)의 개구부에 카트리지(200)가 결합될 시 함체(100)와 카트리지(200) 사이의 틈새로 공기나 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체(100)의 개구부에는 누출방지부재(110)가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누출방지부재(110)는 고무, 실리콘, 에폭시 등과 같이 일정 이상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카트리지(200)는 시험 대상체인 실링재(500)가 장착되는 것으로서, 함체(100)의 개구부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져 함체(100)의 내부공간을 밀폐 가능하도록 개구 부위에 배치된다.
카트리지(200)는 적어도 하나의 실링재(500)를 장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데 관련 도면에는 시험규격에 적합하도록 3개의 실링재(500)가 장착된다. 또한 카트리지(200)는 시험 대상체의 폭, 즉 실링재(500)의 폭 변화에 대응하여 가변적으로 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시험하고자 하는 실링재(500)의 폭이 5mm, 45mm로 다양하게 변경되는 경우에도 별도의 카트리지 교체없이 하나의 카트리지를 통해 시험을 실시하도록 마련된다. 카트리지의 상세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스트 물질 공급부(300)는 함체(100) 내부 공간으로 공기, 물을 포함한 테스트 물질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함체(100)의 후면에 형성된 주입홀(120)을 통해 공기, 물을 공급하여 기밀, 수밀, 통기성을 테스트하게 된다. 테스트 물질 공급부(300)는 기밀, 통기성을 테스트하기 위한 압축공기 탱크(미도시), 공기배관(미도시), 공기배관상의 밸브(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수밀성을 테스트하기 위한 물탱크(미도시), 물 공급배관(미도시), 밸브(미도시), 배관 상에 설치된 펌프(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전면에 함체가 설치되는 시험장치의 주 베이스 케이스 내부에 마련된다.
다음, 테스트 기밀 유지부(400)는 함체(100)의 개구부에 카트리지(200)가 배치된 상태에서 카트리지(200)를 함체(100), 구체적으로 누출방지부재(110) 측으로 일정 이상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함체(100)와 카트리지(200) 사이의 틈새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테스트 기밀 유지부(400)는 함체(100)가 설치되는 베이스(410)에 복수개로 설치되는 실린더(420), 카트리지(200)의 일면(정면)과 접촉 가능하도록 실린더 로드 단부에 연결되는 가압바(430)를 포함한다.
가압바(430)는 실린더 구동에 의해 카트리지(200)의 정면을 누출방지부재(110) 측으로 가압하여 틈새 발생을 억제하고 틈새를 통해 공기나 물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기밀, 수밀 테스트의 신뢰성 하락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카트리지(200)의 전방에는 공기 누설을 감지하기 위한 별도의 압력센서(미도시)가 설치되며 실링재(500)의 기밀 성능 저하로 인해 공기가 전방으로 누설될 경우 압력센서를 통해 누설 정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수밀 시험에 따른 물 누출은 시험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카트리지(2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200)는 카트리지바(210), 스페이서(220), 간격 조절부(230)를 포함한다.
카트리지바(210)는 사각형 단면 형상을 갖는 바와 같은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는 중공으로 형성되거나 채워진 형태로 적용된다.
카트리지바(210)는 상호 간의 사이 영역에 실링재(500), 스페이서(220)가 각각 장착되도록 서로 이격되게 복수로 배치되며, 관련 설명과 도면에는 시험 규격에 제시된 기준과 적합하도록(3개의 실링재를 동시에 테스트할 수 있도록) 4개로 마련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 및 도시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페이서(220)는 복수의 카트리지바(210) 사이 영역에서 복수의 실링재(500)의 상하측 부위와 각각 밀착되게 접촉하도록 마련되며, 실링재가 3개로 마련되는 경우 스페이서(220)는 총 6개가 설치된다.
스페이서(220)는 일정 이상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카트리지바(210) 사이를 일정 간격으로 유지시킬 뿐만 아니라 테스트 물질 공급부(300)를 통해 공급된 공기나 물이 실링재(500)의 길이 방향 양단 영역(즉 카트리지바 사이 영역 중 길이 방향 양측 공간 부위)를 통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스페이서(220)가 마련되지 않는다면, 복수의 카트리지바(210) 간의 간격을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하기 힘들게 되므로 실링재의 수밀, 기밀 테스트를 수행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그 테스트 결과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다.
스페이서(220)는 시험 대상체인 실링재(500)의 폭이 5mm인 경우, 복수의 카트리지바(210) 간의 사이 간격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5mm 또는 5mm 미만인 설정 간격(예를 들면 4.8mm)을 유지하도록 하는 간격유지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와 같이 누설 방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스페이서(220)는 일정 이상의 강도를 갖는 금속 재질 또는 POM 등과 같이 쉽게 표면 마모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폭은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기본 상태의 실링재(500)의 폭과 동일하거나 그 보다 작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페이서(220)는 그 두께가 다양하게 복수로 마련되며, 예를 들어 5mm의 두께를 갖는 실링재(500)의 기밀, 수밀 테스트를 위해서는 5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스페이서를 사용하고, 45mm의 두께를 갖는 실링재(500)의 기밀, 수밀 테스트를 위해서는 45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스페이서를 사용하게 된다. 즉, 실링재의 두께 변화에 따른 카트리지바(210) 사이의 간극 조절을 위해 적절한 두께의 스페이서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격 조절부(230)는 복수의 카트리지바(210)의 측면에 실링재(500) 및 스페이서(220)가 밀착되도록 복수의 카트리지바(210) 사이 간격을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간격 조절부(230)는 복수의 카트리지바(210)의 길이 방향 양단 영역에 각각 관통 결합되는 간격조절봉(231), 간격조절봉(231)의 양측에 각각 나사 결합되고 최외곽에 배치된 한 쌍의 카트리지바(210)의 측면에 접촉 가능한 한 쌍의 간격조절너트부(232)를 포함한다.
복수의 카트리지바(210)와 스페이서(220)에는 각각 관통공(250)이 형성되며 간격조절봉(231)은 관통공(250)에 관통 삽입된다, 간격조절봉(231)의 양단 영역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작업자가 복수의 카트리지바(210), 실링재(500), 스페이서(220)를 순차적으로 배치 및 결합하고 간격조절봉(231)의 양측에 간격조절너트부(232)를 체결함으로써 카트리지바(210)의 측면에 실링재(500)와 스페이서(220)가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실링재(500)의 일면에는 점착층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카트리지바(210)의 측면에 부착시켜 고정한다.
간격조절너트부(232)는 간격조절너트(233)와 간격조절너트(233)에 비해 단면적이 확장된 확장와셔(234)를 포함하며, 작업자는 간격조절너트(233)를 간격조절봉(231)에 나사 체결하여 고정하게 되는데 확장와셔(234)를 통해 간격조절너트(233)의 체결력이 카트리지바(210)의 측면에 좀 더 확장된 면적으로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그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팽창형 연질 우레탄 실링소재의 기밀/수밀 성능 평가를 위해 DIN 18542 규격에 제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200) 설치시, 팽창에 따른 길이 수축이 발생하여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링재(500)와 스페이서(220) 사이에 공극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시험전 추가로 공극을 매우는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하며 이러한 경우 실링재(500) 성능 평가 결과에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팽창형 연질 우레탄 실링소재의 기밀/수밀 성능 평가를 위해를 DIN 18542 규격에 제시된 카트리지 설치시, 팽창에 따른 길이 수축이 발생하여 접합부 양 끝단에서 공극이 발생할 수 있다. 부연하자면, 연질 우레탐 폼의 포아송 비는 50% 압착기준 약 0.05정도로 DIN 18542 규격에 따라 1m 길이로 설치하였을 경우 약 2.5cm 정도의 수축에 따른 공극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팽창시 길이 수축에 따른 공극 발생 현상을 개선하여 시험 결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팽창시 길이 수축에 따른 공극 발생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링재(500)와 스페이서(220)의 상호 접촉부위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설계하였다.
이와 같이 실링재(500)와 스페이서(220)에 경사면을 적용함으로써 팽창에 따른 길이 수축시에도 상호 간에 공극이 발생하지 않아 신뢰성 있는 평가를 가능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극 발생에 따른 추가적인 실링작업이 불필요함에 따라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DIN 18542 기밀/수밀성 평가 규격에 따라 실링재(500)의 정격길이(1m)는 고정시킨채 스페이서(220)의 경사면을 활용함으로써, 팽창에 따른 길이 수축시에도 기밀/수밀 평가면(예를 들어 실링재와 스페이서 사이의 접촉면)은 별도의 추가적인 실링 작업없이 특성 평가를 신뢰성있게 수행할 수 있다.
도 7에는 경사면을 형성한 실링재(500), 스페이서(220)를 적용한 경우(NEW SPACER), 경사면이 없이 상호 접촉부위가 수직한 상태로 이루어지는 실링재와 스페이서를 적용한 경우(REFERENCE SPACER)의 기밀 성능시험 비교결과가 나타나 있다.
결과를 보면, NEW SPACER 의 경우 공극 발생 저하에 따른 전반적인 유량 감소가 이루어졌고, 표준편차는 REFERENCE SPACER의 경우 0.08이 나왔지만 NEW SPACER의 경우에는 0.05 정도로 낮아져서 신뢰성 높은 테스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경사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링재(500)와 접촉되는 스페이서(220)의 단부에는 제1 경사면(221)이 마련되고, 실링재(500)의 양단에는 제1 경사면(221)과 대응하는 경사를 갖는 제2 경사면(510)이 마련된다.
여기서, 제2 경사면(510)은 일정 이상의 길이를 갖는 실링재(50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며 제1 경사면(221)은 제2 경사면(510)과 균일하게 면접촉하도록 대응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제1 경사면(221)과 제2 경사면(510)을 통해 팽창시 길이 수축에 따른 공극 발생 현상을 개선하여 추가 실링작업 생략에 따른 작업자의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고 테스트 신뢰도가 왜곡되는 것을 저감할 뿐만 아니라 테스트 결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경사면(221), 제2 경사면(510)을 통해, 테스트 물질 공급부(300)를 통해 상당한 압력의 압축공기(물)가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분사되더라도 제1 경사면(221), 제2 경사면(510)의 경사 방향을 통해 실링재(500)가 전방으로 밀리는 것을 한층 방지하여 밀림 발생에 따른 기밀, 수밀 성능의 오차가 발생하여 신뢰성이 저감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경사면(221)과 제2 경사면(510)의 경사각(α)은 0.5 ~ 3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각이 0.5도 미만인 경우, 팽창에 따른 길이 수축시 실링재와 스페이서 간의 공극 발생 방지 효과가 미미하여 전술한 REFERENCE SPACER의 경우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므로 시험 결과의 신뢰성이 하락할 수 있으며, 경사각이 30도를 초과하는 경우 팽창에 따른 길이 수축시 또 다른 공극이 발생할 가능성이 농후하여 이 또한 시험 결과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실링재(500)의 단부에는 V자홈(610)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스페이서(220)의 단부에는 V형 돌기(620)가 마련된다. 도 10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반대로 실링재(500)의 단부에는 V형 돌기(620)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스페이서(220)의 단부에는 V자홈(610)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V자홈(610), V형 돌기(620)는 전술한 경사면과 마찬가지로 테스트 물질 공급부(300)를 통해 상당한 압력의 압축공기(물)가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분사되더라도 실링재(500)가 전방으로 밀리는 것을 한층 방지하여 밀림 발생에 따른 기밀, 수밀 성능의 오차가 발생하여 신뢰성이 저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함체 110: 누출방지부재
200: 카트리지 210: 카트리지바
220: 스페이서 221: 제1 경사면
230: 간격 조절부 231: 간격조절봉
232: 간결조절너트부 300: 테스트 물질 공급부
400: 테스트 기밀 유지부 500: 실링재
510: 제2 경사면 610: V자홈
620: V형 돌기

Claims (5)

  1. 실링재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실링재 성능 시험장치로서,
    시험장치의 전면에 설치되며, 일측에 개구가 형성되고 내부 공간이 형성된 함체;
    상기 함체의 내부공간을 밀폐 가능하도록 상기 개구 부위에 배치되고, 상호 간의 사이 영역에 각각 실링재가 장착 가능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카트리지바와, 상기 복수의 카트리지바 사이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실링재의 상하측 부위와 각각 밀착되게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스페이서와, 상기 복수의 카트리지바에 상기 실링재 및 스페이서가 밀착되도록 복수의 카트리지바 사이 간격을 조절 가능한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및
    상기 시험장치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함체 내부 공간으로 공기나 물을 포함한 테스트 물질을 공급 가능한 테스트 물질 공급부를 포함하는 실링재 성능 시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재와 접촉되는 스페이서의 단부에는 제1 경사면이 마련되고, 상기 실링재의 양단에는 상기 제1 경사면과 대응하는 경사를 갖는 제2 경사면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재 성능 시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재는 일정 이상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실링재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재 성능 시험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의 경사각은 0.5 ~ 3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재 성능 시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재의 단부에 V자홈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스페이서의 단부에 V형 돌기가 마련되거나, 상기 실링재의 단부에 V형 돌기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스페이서의 단부에 V자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재 성능 시험장치.

KR1020180155314A 2018-12-05 2018-12-05 실링재 성능 시험장치 KR102155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314A KR102155848B1 (ko) 2018-12-05 2018-12-05 실링재 성능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314A KR102155848B1 (ko) 2018-12-05 2018-12-05 실링재 성능 시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386A true KR20200068386A (ko) 2020-06-15
KR102155848B1 KR102155848B1 (ko) 2020-09-14

Family

ID=71081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5314A KR102155848B1 (ko) 2018-12-05 2018-12-05 실링재 성능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584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7272A (ja) * 2003-07-16 2005-02-10 Daipura Uintesu Kk シーリング材の試験方法および試験機
KR20100051903A (ko) * 2008-10-28 2010-05-19 현대제철 주식회사 주사 전자 현미경의 시편 홀더장치
JP2010117181A (ja) * 2008-11-11 2010-05-27 Sekisui House Ltd シーリング材の劣化試験装置
KR101669194B1 (ko) 2016-04-25 2016-10-25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실링재의 수조 구조물 변위거동 시험장치
JP2018072216A (ja) * 2016-10-31 2018-05-10 積水ハウス株式会社 シーリング材の動暴露試験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7272A (ja) * 2003-07-16 2005-02-10 Daipura Uintesu Kk シーリング材の試験方法および試験機
KR20100051903A (ko) * 2008-10-28 2010-05-19 현대제철 주식회사 주사 전자 현미경의 시편 홀더장치
JP2010117181A (ja) * 2008-11-11 2010-05-27 Sekisui House Ltd シーリング材の劣化試験装置
KR101669194B1 (ko) 2016-04-25 2016-10-25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실링재의 수조 구조물 변위거동 시험장치
JP2018072216A (ja) * 2016-10-31 2018-05-10 積水ハウス株式会社 シーリング材の動暴露試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5848B1 (ko) 2020-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6641B2 (en) Expansion joint for longitudinal load transfer
US9982428B2 (en) Expansion joint seal with surface load transfer, intumescent, and internal sensor
US10544548B2 (en) Expansion joint seal system with spring centering and ribs with protuberances
US10480136B2 (en) Expansion joint seal with load transfer and sensor
US10233633B2 (en) Expansion joint seal with load transfer and flexion
US10352003B2 (en) Expansion joint seal system with spring centering
US20180171625A1 (en) Expansion Joint Seal with surface load transfer and intumescent
US10240302B2 (en) Durable joint seal system with detachable cover plate and rotatable ribs
US11326311B2 (en) Durable joint seal system with flexibly attached cover plate and rib
US4793162A (en) Method for repairing failed waterstops and products relating to same
US20170342665A1 (en) Durable joint seal system with detachable cover plate and rotatable ribs
ES2638422T3 (es) Dispositivo de ensayos para el ensayo de juntas con patas de anclaje
US20080190055A1 (en) Sealing Device Between Two Structural Bodies
WO2020125827A1 (de) Dehnungsfugenband und dichtanordnung zur dauerhaften, zuverlässigen abdichtung von dehnungsfugen zwischen tunnelsegmenten
KR20200068386A (ko) 실링재 성능 시험장치
RU2347868C2 (ru) Герметиз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рметизации соединений (варианты) и полая профильная полоса для него
US10745910B2 (en) Wet seal system
KR101078363B1 (ko) 구조물 신축이음부의 방수보강장치 및 시공방법
CA2532832A1 (en) Sealing method and apparatus
EP3392422A1 (de) Vorrichtung zum nachträglichen stabilisieren von wasserdurchlässigen fugenkammerrissen in brücken, tunneln und gebäuden
JP6815108B2 (ja) 建具
DE102017108167A1 (de) Vorrichtung zum nachträglichen Stabilisieren von wasserdurchlässigen Fugenkammerrissen in Brücken, Tunneln und Gebäuden
KR101136086B1 (ko) 구조물의 실란트 주입 누수차단방법
KR101497228B1 (ko) 조립식 구조물 접합부의 실란트 선 충진 누수 차단 방법
KR102624538B1 (ko) 분리가능한 차수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