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8278A - 범죄 피해 예방을 위한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안경 시스템 - Google Patents

범죄 피해 예방을 위한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안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8278A
KR20200068278A KR1020180155060A KR20180155060A KR20200068278A KR 20200068278 A KR20200068278 A KR 20200068278A KR 1020180155060 A KR1020180155060 A KR 1020180155060A KR 20180155060 A KR20180155060 A KR 20180155060A KR 20200068278 A KR20200068278 A KR 20200068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glasses
signal
unit
input signal
visually impai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5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조
이경민
Original Assignee
이영조
이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조, 이경민 filed Critical 이영조
Priority to KR1020180155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8278A/ko
Publication of KR20200068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82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13Recognition of a predetermined image pattern or behaviour pattern indicating theft or intr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8Devices or methods enabling eye-patients to replace direct visual perception by another kind of percep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04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involving reference image or background adaptation with time to compensate for changing conditions, e.g. reference image update on detection of light level chang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죄 피해 예방을 위한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안경 시스템은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따라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전방에 위치하는 객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신호의 발생에 따라 상기 카메라를 동작시키는 스마트 안경; 및 상기 카메라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촬영 영상으로부터 상기 객체를 검출하는 객체 검출부, 상기 검출된 객체를 미리 저장된 객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판단 결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고 신호를 발생하는 경고 알림부를 구비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범죄 피해 예방을 위한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안경 시스템{SMART GLASSES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TO PREVENT CRIME DAMAG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장애인을 위한 안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범죄 피해 예방을 위한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안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개인과 사회, 국가 전체가 수많은 정보의 홍수 속에 살고 있으나, 전 세계적으로 보면 시각 장애인, 문맹자, 노인 등은 현재의 정보 통신 기술에서 제공하는 정보의 접근과 활용이 어려워 일반인에 비해 정보를 얻기 위한 수단이 충분히 제공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예로, 시각 장애인이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점자나 책을 음성으로 읽어주는 서비스에 의존하는 것처럼 매우 한정적이다. 인쇄 매체를 점자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입력과 교정 등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발생하게 되고, 점자로 만든 책들은 부피도 크고 보관하기도 힘든 단점이 있으며, 음성으로 대신 문자를 읽어주는 방식에서는 낭독자의 부재 시 정보 획득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문서나 정보 등을 압축한 디지털 코드 형태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러한 디지털 코드를 카메라로 인식하는데 있어 일반인이더라도 정확한 초점을 한번에 잡기는 쉽지 않고, 시각 장애인의 경우 그 문제는 훨씬 가중되어 디지털 코드를 이용한 정보 획득도 쉽지 않은 실정이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44510호(발명의 명칭: 시각 장애인용 안경 시스템, 공개일자: 2015.12.28.)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따라 객체를 검출하여 이미지 비교를 통해 객체의 유효성을 검증함으로써 범죄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시각 장애인용 안경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죄 피해 예방을 위한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안경 시스템은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따라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전방에 위치하는 객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신호의 발생에 따라 상기 카메라를 동작시키는 스마트 안경; 및 상기 카메라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촬영 영상으로부터 상기 객체를 검출하는 객체 검출부, 상기 검출된 객체를 미리 저장된 객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판단 결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고 신호를 발생하는 경고 알림부를 구비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검출된 객체와 매칭시켜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입력 신호의 발생 시점으로부터 일정 기간이 경과한 후에 동일한 입력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동일한 입력 신호에 매칭되어 저장된 해당 객체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동일한 입력 신호의 발생에 따라 상기 객체 검출부에 의해 새로 검출된 객체를 상기 추출된 해당 객체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객체 검출부에 의해 새로 검출된 객체를, 상호 중첩되지 않는 동일한 외형과 크기를 가지는 복수의 단위 도형으로 이루어진 객체 도형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객체 도형을 상기 추출된 해당 객체에 대응하는 객체 도형과 비교하여 두 객체 간의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객체 검출부는 상기 촬영 영상으로부터 안면, 지폐, 영수증, 명함, 계약서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객체로서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경고 알림부는 상기 경고 신호로서 음성 신호 또는 진동 신호를 발생하되, 상기 스마트 안경에 구비된 초음파 센서에 의해 측정된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상기 음성 신호 또는 상기 진동 신호의 세기를 크게 하고, 상기 초음파 센서에 의해 측정된 거리가 멀어질수록 상기 음성 신호 또는 상기 진동 신호의 세기를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안경은 상기 스마트 안경의 렌즈 외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렌즈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 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 필름은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DPHA) 100중량부에 대하여, 히드록시 에틸 히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즈 15 ~ 35중량부, 옥타데실 3,5-디-t-부틸-4-하이드록시 하이드로 신나메이트 10 ~ 20중량부, 에틸 2-[3-(6-니트로벤 졸[d]티아졸-2-일)우레이도]아세테이트 7 ~ 15중량부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따라 객체를 검출하여 이미지 비교를 통해 객체의 유효성을 검증함으로써 범죄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죄 피해 예방을 위한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안경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죄 피해 예방을 위한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안경 시스템의 영상 처리 과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죄 피해 예방을 위한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안경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기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 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 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 구성 중에서 종래에 기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 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 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신호 또는 정보의 "전송", "통신", "송신", "수신"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일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 또는 정보가 직접 전달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거쳐 전달되는 것도 포함한다. 특히 신호 또는 정보를 일 구성요소로 "전송" 또는 "송신"한다는 것은 그 신호 또는 정보의 최종 목적지를 지시하는 것이고 직접적인 목적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신호 또는 정보의 "수신"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죄 피해 예방을 위한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안경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죄 피해 예방을 위한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안경 시스템(100)은 스마트 안경(101) 및 서버(1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안경(101)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 카메라(120), 초음파 센서(130), 통신부(140), 전원부(150) 및 제어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사용자(시각 장애인)의 입력 조작에 따라 입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안경(100)의 손잡이 부분에 구비된 입력 버튼을 상기 사용자가 누르거나 상기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안경(100)의 손잡이 부분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음성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상기 입력 버튼의 조작이나 상기 음성 명령에 따라 상기 입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상기 서버(102)로부터 경고 신호를 수신하여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후술하는 카메라(120)에 의해 촬영된 객체가 미리 저장된 객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버(102)로부터 경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경고 신호에 따라 경고음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해당 객체가 미리 지정된 객체와 일치하지 않음을 경고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0)는 전방에 위치하는 객체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센서(130)는 상기 객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40)는 상기 카메라(120) 및 상기 초음파 센서(140) 각각의 출력 신호를 상기 서버(102)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40)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외부 디바이스나 서버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즉, 상기 통신부(140)는 상기 스마트 안경(101) 내부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으며, 반대로 외부의 서버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나 정보, 값 등을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전원부(150)는 상기 스마트 안경(101)이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50)는 상기 스마트 안경(101)의 구성요소들에 전력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며,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되는 충전식 배터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5)는 상기 스마트 안경(100), 즉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 상기 카메라(120), 상기 초음파 센서(130), 상기 메모리부(140), 상기 통신부(150), 상기 전원부(160) 등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안경(101)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스마트 안경(101)의 렌즈 외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렌즈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은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DPHA) 100중량부에 대하여, 히드록시 에틸 히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즈 15 ~ 35중량부, 옥타데실 3,5-디-t-부틸-4-하이드록시 하이드로 신나메이트 10 ~ 20중량부, 에틸 2-[3-(6-니트로벤 졸[d]티아졸-2-일)우레이도]아세테이트 7 ~ 15중량부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에 대해서는 실험을 통해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서버(102)는 객체 검출부(160), 메모리부(170), 영상 처리부(180), 경고 알림부(190) 및 제어부(19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객체 검출부(160)는 상기 카메라(120) 및 상기 초음파 센서(130) 각각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촬영 영상으로부터 상기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객체 검출부(160)는 상기 촬영 영상으로부터 안면, 지폐, 영수증, 명함, 계약서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객체로서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각 장애인이 중요한 계약 등을 직접 처리하는 경우 상대방이 계약 당사자가 아니거나 서류가 조작됨으로 인해 피해를 입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범죄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안면 인식, 지폐 인식, 영수증 인식, 명함 인식, 계약서 인식 등을 시각 장애인이 정확히 행할 수 있도록, 상기 객체 검출부(160)를 통해서 상기 촬영 영상으로부터 상기와 같은 인식 정보들을 상기 객체로서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70)는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검출된 객체와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입력 신호가 계약서 인식에 관한 입력 신호인 경우, 상기 메모리부(170)는 해당 계약서에 관한 인식 정보를 객체로서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객체를 상기 입력 신호와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메모리부(170)에 의해 저장된 객체는 후술하는 영상 처리부(180)가 객체 간 이미지를 비교 판단하는 데에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70)는 상기 스마트 안경(101)에서 처리된 값, 데이터뿐 아니라 상기 스마트 안경(101)이 동작하기 위한 프로그램, 알고리즘, 소프트웨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메모리부(170)는 상기 서버(102)가 아니라 상기 스마트 안경(101)의 내부에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고, 상기 스마트 안경(101)의 통신부(140)를 통해서 연결되는 네트워크 상의 클라우드 서버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영상 처리부(180)는 상기 검출된 객체를 상기 메모리부(170)에 미리 저장된 객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객체 검출부(160)에 의해 검출된 객체를 제1 객체로 정의하고, 상기 메모리부(170)에 미리 저장된 객체를 제2 객체로 정의하면, 상기 영상 처리부(180)는 상기 제1 객체(비교 대상 객체)와 상기 제2 객체(비교 판단의 기준 객체)를 비교하여 두 객체 간의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하면, 상기 영상 처리부(180)는 상기 입력 신호의 발생 시점으로부터 일정 기간이 경과한 후에 동일한 입력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동일한 입력 신호에 매칭되어 저장된 해당 객체(제2 객체)를 상기 메모리부(170)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동일한 입력 신호의 발생에 따라 상기 객체 검출부(160)에 의해 새로 검출된 객체(제1 객체)(103)를 상기 추출된 해당 객체(제2 객체)와 비교하여 상기 제1 및 제2 객체 간의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영상 처리부(18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객체 검출부(160)에 의해 새로 검출된 객체(제1 객체)(103)를, 상호 중첩되지 않는 동일한 외형과 크기를 가지는 복수의 단위 도형으로 이루어진 객체 도형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객체 도형을 상기 추출된 해당 객체(제2 객체)에 대응하는 객체 도형과 비교하여 두 객체 간의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메모리부(170)는 상기 제2 객체를 상기 입력 신호와 매칭시켜 저장할 때 상기 제2 객체에 대응하는 객체 도형을 상기 입력 신호와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영상 처리부(180)가 고대비 영상의 두 객체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교 판단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경고 알림부(190)는 상기 영상 처리부(180)에 의한 판단 결과, 상기 제1 객체(103)와 상기 제2 객체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범죄 피해 예방을 위해 경고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고 알림부(190)는 상기 경고 신호로서 음성 신호 또는 진동 신호를 발생하되, 상기 스마트 안경(101)에 구비된 초음파 센서(130)에 의해 측정된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상기 음성 신호 또는 상기 진동 신호의 세기를 크게 하고, 상기 초음파 센서(130)에 의해 측정된 거리가 멀어질수록 상기 음성 신호 또는 상기 진동 신호의 세기를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95)는 상기 서버(102), 즉 상기 객체 검출부(160), 상기 메모리부(170), 상기 영상 처리부(180), 상기 경고 알림부(190) 등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안경(101)에 구비된 보호 필름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보호 필름의 경도, 투과율, 내열성, 밀착성, 유연성 등을 측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1. 시편의 제조
실시예 1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100g, 히드록시 에틸 히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즈 15g, 옥타데실 3,5-디-t- 부틸-4-하이드록시 하이드로 신나메이트 10g, 에틸 2-[3-(6-니트로벤졸[d]티아졸-2-일)우레이도]아세테이트 7g을 아세톤을 이용하여 혼합한 후, 사출 성형으로 두께 20미크론의 시편을 제작하고, 아세톤을 휘발하였다.
실시예 2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100g, 히드록시 에틸 히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즈 35g, 옥타데실 3,5-디-t- 부틸-4-하이드록시 하이드로 신나메이트 20g, 에틸 2-[3-(6-니트로벤졸[d]티아졸-2-일)우레이도]아세테이트 15g을 아세톤으로 혼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1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100g, 히드록시 에틸 히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즈 40g, 옥타데실 3,5-디-t- 부틸-4-하이드록시 하이드로 신나메이트 5g, 에틸 2-[3-(6-니트로벤졸[d]티아졸-2-일)우레이도]아세테이트 10g을 아세톤으로 혼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2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100g, 히드록시 에틸 히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즈 10g, 옥타데실 3,5-디-t- 부틸-4-하이드록시 하이드로 신나메이트 30g, 에틸 2-[3-(6-니트로벤졸[d]티아졸-2-일)우레이도]아세테이트 10g을 아세톤으로 혼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3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100g, 히드록시 에틸 히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즈 25g, 옥타데실 3,5-디-t- 부틸-4-하이드록시 하이드로 신나메이트 15g, 에틸 2-[3-(6-니트로벤졸[d]티아졸-2-일)우레이도]아세테이트 2g을 아세톤으로 혼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4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100g, 히드록시 에틸 히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즈 20g, 옥타데실 3,5-디-t- 부틸-4-하이드록시 하이드로 신나메이트 10g, 에틸 2-[3-(6-니트로벤졸[d]티아졸-2-일)우레이도]아세테이트 20g을 아세톤으로 혼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작하였다.
상기 실시예 1 ~ 2, 비교예 1 ~ 4에서 제시된 조성을 표 1에 정리하였으며, 단위는 그램(g)이다.
[표 1]
Figure pat00001
2. 경도 측정 및 평가 방법
상기 실시예 1 ~ 2, 비교예 1 ~ 4에서 제조된 시편에 대해 하기 항목을 평가하였다.
1) 연필경도는 ASTM D3502(연필경도기 테스터기)로 측정하였다.
2) 투과율은 UV-vis 스펙트럼(DARSA PRO-5000 SYSTEM)으로 측정하였다.
3) 내열성은 90℃에서 4시간 동안 방치 후 외관의 크랙 및 휨의 발생을 측정하였다.
4) 밀착성은 시편에 2mm 간격으로 선을 그어 바둑눈을 만든 후 TAPE 접착 후 수직방향으로 강하게 1회 당겨서 박리현상이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였다.
5) 유연성은 코팅 뒤 12시간 경과 후 180° 굽힘으로 크랙 유무를 판정하였다.
3. 결과 및 분석
평가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pat00002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2의 경우 연필경도, 투과율, 내열성, 밀착성, 유연성 모두에서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는 반면, 비교예 1 ~ 4의 경우 우수한 투과율과 밀착성을 가지지 만 연필경도, 내열성 및 유연성에 있어서 불량한 특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 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컨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죄 피해 예방을 위한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안경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설명하는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안경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그 이외에 필요에 따라 다양한 단계들이 부가될 수 있고, 하기의 단계들도 순서를 변경하여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하기에 설명하는 각 단계 및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단계(410)에서 상기 스마트 안경(10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따라 입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420)에서 상기 스마트 안경(101)의 카메라(120)가 전방에 위치하는 객체의 영상을 촬영하고, 단계(430)에서 상기 스마트 안경(100)의 초음파 센서(130)가 상기 객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440)에서 상기 서버(102)의 객체 검출부(160)는 상기 카메라(120) 및 상기 초음파 센서(130) 각각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촬영 영상으로부터 상기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450)에서 상기 서버(102)의 영상 처리부(180)는 상기 객체 검출부(160)에 의해 검출된 객체를 상기 메모리부(170)에 미리 저장된 객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계(510)에서 상기 영상 처리부(180)는 상기 입력 신호의 발생 시점으로부터 일정 기간이 경과한 후에 동일한 입력 신호의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발생이 감지된 경우, 단계(520)에서 상기 영상 처리부(180)는 상기 동일한 입력 신호에 매칭되어 저장된 해당 객체(제2 객체)를 상기 메모리부(170)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이후, 단계(530)에서 상기 영상 처리부(180)는 상기 동일한 입력 신호의 발생에 따라 상기 객체 검출부(160)에 의해 새로 검출된 객체(제1 객체)를 상기 추출된 해당 객체(제2 객체)와 비교할 수 있다. 이후, 단계(540)에서 상기 영상 처리부(180)는 상기 비교의 결과에 따라 두 객체 간의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판단 결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470의 "아니오" 방향), 단계(460)에서 상기 서버(102)의 경고 알림부(190)는 범죄 피해 예방을 위한 경고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반면, 상기 판단 결과 일치하는 경우(470의 "예" 방향), 본 실시예는 종료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20: 카메라
130: 초음파 센서
140: 통신부
150: 전원부
155, 195: 제어부
160: 객체 검출부
170: 메모리부
180: 영상 처리부
190: 경고 알림부

Claims (6)

  1.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따라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전방에 위치하는 객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신호의 발생에 따라 상기 카메라를 동작시키는 스마트 안경; 및
    상기 카메라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촬영 영상으로부터 상기 객체를 검출하는 객체 검출부, 상기 검출된 객체를 미리 저장된 객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판단 결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고 신호를 발생하는 경고 알림부를 구비하는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경고 신호를 수신하여 경고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죄 피해 예방을 위한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안경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검출된 객체와 매칭시켜 저장하는 메모리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입력 신호의 발생 시점으로부터 일정 기간이 경과한 후에 동일한 입력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동일한 입력 신호에 매칭되어 저장된 해당 객체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동일한 입력 신호의 발생에 따라 상기 객체 검출부에 의해 새로 검출된 객체를 상기 추출된 해당 객체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죄 피해 예방을 위한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안경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객체 검출부에 의해 새로 검출된 객체를, 상호 중첩되지 않는 동일한 외형과 크기를 가지는 복수의 단위 도형으로 이루어진 객체 도형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객체 도형을 상기 추출된 해당 객체에 대응하는 객체 도형과 비교하여 두 객체 간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죄 피해 예방을 위한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안경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검출부는
    상기 촬영 영상으로부터 안면, 지폐, 영수증, 명함, 계약서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객체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죄 피해 예방을 위한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안경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알림부는
    상기 경고 신호로서 음성 신호 또는 진동 신호를 발생하되, 상기 스마트 안경에 구비된 초음파 센서에 의해 측정된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상기 음성 신호 또는 상기 진동 신호의 세기를 크게 하고, 상기 초음파 센서에 의해 측정된 거리가 멀어질수록 상기 음성 신호 또는 상기 진동 신호의 세기를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죄 피해 예방을 위한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안경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안경의 렌즈 외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렌즈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 필름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 필름은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DPHA) 100중량부에 대하여, 히드록시 에틸 히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즈 15 ~ 35중량부, 옥타데실 3,5-디-t-부틸-4-하이드록시 하이드로 신나메이트 10 ~ 20중량부, 에틸 2-[3-(6-니트로벤 졸[d]티아졸-2-일)우레이도]아세테이트 7 ~ 15중량부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죄 피해 예방을 위한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안경 시스템.
KR1020180155060A 2018-12-05 2018-12-05 범죄 피해 예방을 위한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안경 시스템 KR202000682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060A KR20200068278A (ko) 2018-12-05 2018-12-05 범죄 피해 예방을 위한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안경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060A KR20200068278A (ko) 2018-12-05 2018-12-05 범죄 피해 예방을 위한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안경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278A true KR20200068278A (ko) 2020-06-15

Family

ID=71081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5060A KR20200068278A (ko) 2018-12-05 2018-12-05 범죄 피해 예방을 위한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안경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827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288B1 (ko) * 2020-09-16 2021-06-08 주식회사 다베로아트 실감형 전시 영상 구현 시스템
KR102281246B1 (ko) * 2021-02-10 2021-07-22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에 기반한 시니어 케어를 위한 길안내 및 사물식별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288B1 (ko) * 2020-09-16 2021-06-08 주식회사 다베로아트 실감형 전시 영상 구현 시스템
KR20220036842A (ko) * 2020-09-16 2022-03-23 주식회사 다베로아트 레이저 센서를 이용한 인터렉티브 전시 영상 구현 시스템
KR102281246B1 (ko) * 2021-02-10 2021-07-22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에 기반한 시니어 케어를 위한 길안내 및 사물식별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5112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electromagnetic radiation sensors
KR100790223B1 (ko) 얼굴 인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얼굴 인증 장치를 구비한전자기기, 얼굴 인증 장치 제어 프로그램, 및 해당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US10922512B2 (en) Contactless fingerprint recognition method using smartphone
US968481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tinguishing whether an image is of a live object or a copy of a photo or moving picture
JP6447234B2 (ja) 端末監視装置、端末監視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0019760A1 (zh) 活体检测方法、装置及系统、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09670413B (zh) 人脸活体验证方法及装置
EP3422698B1 (en) Method, device, mobile terminal, and camera for identifying photograph subject
CN102542254A (zh) 图像处理装置及图像处理方法
TW201727537A (zh) 人臉識別系統及人臉識別方法
KR20200068278A (ko) 범죄 피해 예방을 위한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안경 시스템
CN109478227A (zh) 计算设备上的虹膜或其他身体部位识别
CN108875495B (zh) 人证核验装置及人证核验方法
JPWO2009004916A1 (ja) なりすまし検知システム、なりすまし検知方法およびなりすまし検知用プログラム
EP3369041A1 (en) Hair diameter measurement
CN106991376A (zh) 结合深度信息的侧脸验证方法及装置与电子装置
KR20200068277A (ko) 교통 정보 제공을 위한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안경 시스템
EP3369040A1 (en) Hair curl measurement
CN108875553A (zh) 人证核验的方法、装置、系统及计算机存储介质
JP6428152B2 (ja) 肖像権保護プログラム、情報通信装置及び肖像権保護方法
CN204242327U (zh) 可进行人脸识别的检测报警设备
CN112347870A (zh) 头戴设备的图像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8779974A (zh) 信号输出装置以及摄像装置
CN110210290A (zh) 人脸图片采集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CN109660691A (zh) 一种金融自助设备用带加密功能的高拍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