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7561A - System for generating geometric information of facility and program for generating geometric information of facility stored in physical medium - Google Patents
System for generating geometric information of facility and program for generating geometric information of facility stored in physical mediu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67561A KR20200067561A KR1020180154547A KR20180154547A KR20200067561A KR 20200067561 A KR20200067561 A KR 20200067561A KR 1020180154547 A KR1020180154547 A KR 1020180154547A KR 20180154547 A KR20180154547 A KR 20180154547A KR 20200067561 A KR20200067561 A KR 202000675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cility
- measurement
- information
- geographic information
- terminal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7/08—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for measuring distance only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시설물 지리 정보 획득 시스템 및 시설물 지리 정보 획득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cility geographic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and a facility geographic information acquisition program.
시설물은 건설공사를 통하여 만들어진 다양한 구조물과 그 부대시설을 일컬으며, 지하시설물은 상수도, 하수도, 전력시설물, 가스공급시설물 등 지하를 개발하거나 이용하는 시설물을 일컫는다. 시설물들에 대해서는 정기적으로 지표면과의 거리 및 지형물과의 거리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 특히 지하시설물의 경우에는 설치 과정에서 시설물의 위치를 결정한다고 하더라도 다양한 요인에 따라 지하에서의 시설물의 지리적 정보가 달라질 수 있다. The facilities refer to various structures created through construction work and their subsidiary facilities, and the underground facilities refer to facilities that develop or use underground such as waterworks, sewerage, power facilities, and gas supply facilities. For facilities, it is necessary to regularly manage the distance from the surface and the distance from the topography. In particular, even in the case of underground facilities, even if the location of the facilities is determined during the installation process,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of the facilities in the basement may vary depending on various factors.
따라서 시설물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위치 정보의 기준이 될 지형물(예를 들어, 경계석, 주변 건물 등)과의 수평거리를 측정할 수 있으며, 지하시설물에 대해서는 지표면과의 수직거리를 추가로 측정할 수 있다. 그런데 거리 측정을 위해서는 정확한 수평 거리를 계측해야 하고 더욱이 지표면과의 수직 거리 또한 계측해야 하는바, 2인 1조로 시설물에 수직 폴대를 세워 거리를 측정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eriodically measure the horizontal distance from the topography (e.g., boundary stone, surrounding buildings, etc.) that will be the basis of location information for facilities, and additionally measure the vertical distance from the surface of underground facilities. have. However, in order to measure the distance, it is necessary to measure the exact horizontal distance, and furthermore, the vertical distance to the surface of the surface must also be measu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시설물 지리 정보 획득 시스템 및 시설물 지리 정보 획득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한 명의 측정자가 시설물의 측정 지점에 대한 수직 및 수평 거리 정보를 획득하고 지형물과의 거리를 산출함에 따라 지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생성된 지리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여 측정된 지리 정보(예를 들어, 심도, 이격거리, GPS 좌표 정보 등)가 곧바로 지리적 정보 시스템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acility geographic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and a facility geographic information acquisition program for realizing the object of the above-described technology, where one measurement person acquires vertical and horizontal distance information about the measurement point of the facility and distances from the terrain. As it is calculated, it is possible to generate geographic information. In addition, the generated geographic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so that the measured geographic information (eg, depth, separation distance, GPS coordinate information, etc.) can be directly reflected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지리 정보 획득 프로그램은 측정 지점과 그 장치 사이의 수평 및 수직 거리를 획득하는 측정 장치와 연동되어 동작함에 따라 시설물에 대한 지리 정보를 생성하며, 매체에 저장된다. 상기 프로그램은, 측정 위치 식별부가, 지리 정보 시스템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이 설치된 단말 장치에 구비된 입력 수단을 통해 시설물과 상기 시설물과 인접한 지형물의 측정 지점들을 선택받는 단계, 데이터 수집부가, 상기 측정 장치에 구비된 자이로(Gyro) 센서 및 라이다(lidar) 센서를 통해, 상기 측정 장치와 상기 시설물의 측정 지점 사이, 및 상기 측정 지점과 상기 지형물의 복수의 측정 지점들 사이의 수평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동시에 상기 측정 장치와 인접하는 상기 단말 장치의 촬영 수단을 통해 상기 측정 지점들에 대한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지리 정보 산출부가, 상기 데이터 수집부로부터 획득된 거리 정보들에 기초하여, 상기 시설물의 측정 지점과 상기 지형물의 측정 지점들 사이의 수평 거리들을 산출하여 지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통신부가, 상기 생성된 지리 정보와 상기 측정 지점들에 대한 영상 정보를 연계하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다.The facility geographic information acquisition pro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geographic information for a facility as it works in conjunction with a measurement device that acquires horizontal and vertical distances between a measurement point and the device, and is stored in a medium. The program, the measurement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he step of receiving the facility and the measurement points of the terrain adjacent to the facility through the input means provided in the terminal device, the data collection unit, Through the gyro sensor and lidar sensor provided in the measuring device, horizontal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measuring device and the measuring point of the facility, and between the measuring point and a plurality of measuring points of the terrain. Acquiring and acquiring image information of the measurement points through the photographing means of the terminal device adjacent to the measurement device, the geographic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based on the distanc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data collection unit, Generating geographic information by calculating horizontal distances between the measurement point of the facility and the measurement points of the terrain, and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the generated geographic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for the measurement points to a server. It is stored on the medium to perform the step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부가 상기 수직 및 수평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동시에 상기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시설물 측정 장치의 상기 라이다 센서의 레이저 방출 및 수신 방향이 상기 단말 장치의 촬영 수단 시선(eyeline)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됨에 따라, 상기 라이다 센서를 통해 상기 측정 지점들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동시에 상기 측정 지점들의 시각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acquiring the image information while simultaneously acquiring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stance information by the data collection unit is a laser emission and reception direction of the lidar sensor of the facility measurement device photographing the terminal device As it is installed to face the same direction as the means eyeline, it may include the step of measuring the distance to the measurement points through the lidar sensor while simultaneously obtaining the visual information of the measurement point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로부터 획득된 거리 정보들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 장치와 상기 지형물의 제1 측정 지점 사이의 수평 거리 및 상기 측정 장치와 상기 지형물의 제2 측정 지점 사이의 수평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지형물의 제1 측정 지점과 상기 지형물의 제2 측정 지점 사이의 수평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측정 장치와 상기 시설물의 측정 지점 사이의 수평 거리 및 상기 측정 장치와 상기 지형물의 제1 측정 지점 사이의 수평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시설물의 측정 지점과 상기 지형물의 제1 측정 지점 사이의 수평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지형물의 제1 측정 지점과 상기 지형물의 제2 측정 지점 사이의 수평 거리 및 상기 시설물의 측정 지점과 상기 지형물의 제1 측정 지점 사이의 수평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시설물의 측정 지점과 상기 지형물의 제2 측정 지점 사이의 수평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generating of the geographic information comprises: based on distanc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data collection unit, a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measuring device and a first measurement point of the terrain and the measuring device and the Calculating a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first measurement point of the feature and the second measurement point of the feature based on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second measurement point of the feature,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measurement device and the measurement point of the facility And calculating a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measurement point of the facility and the first measurement point of the feature based on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measurement device and the first measurement point of the feature.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measurement point of the facility and the second measurement point of the feature is based on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second measurement point of the feature and the measurement point of the facility and the first measurement point of the feature. And calculat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지리 정보 획득 프로그램은 상기 데이터 수집부가, 상기 측정 장치에 구비된 상기 센서들을 통해, 지표면 측정 지점에 대한 수직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지리 정보 산출부가, 상기 지표면 측정 지점에 대한 수직 거리와 상기 시설물 측정 지점의 수직 거리를 연산하여 상기 시설물의 심도를 산출하여 상기 지리 정보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acility geographic information acquisition pro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 of acquiring vertical distance information of a surface measurement point through the sensors provided by the data collection unit and the geographic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calculating a depth of the facility by calculating a vertical distance to the surface measurement point and a vertical distance of the facility measurement point and adding the depth to the facilit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지리 정보 획득 프로그램은 상기 측정 위치 식별부가, 상기 시설물 및 시설물과 인접한 지형물의 측정 지점들을 선택받는 동안에 단말 장치에 표시되는 지도 화면의 지리적 절대 좌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지리 정보 산출부가, 상기 지리적 절대 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지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acility geographic information acquisition pro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the geographic absolute coordinates of the map screen displayed on the terminal device while the measurement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selects measurement points of the facility and features adjacent to the facility, and The geographic information calculator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the geographic information based on the geographic absolute coordinat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지리 정보 획득 시스템은, 자이로 센서 및 라이다 센서를 포함하여 측정 지점과의 수평 거리 및 수직 거리를 획득하는 측정 장치, 및 상기 측정 장치와 연동하여 시설물의 측정 지점과의 수평 및 수직 거리, 상기 시설물과 인접한 지형물의 제1 및 제2 측정 지점들과의 수평 및 수직 거리 정보를 직렬 통신을 통해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수평 및 수직 거리 정보들에 기초하여 상기 시설물에 대한 지리 정보를 생성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단말 장치를 포함한다.The facility geographic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yro sensor and a lidar sensor, a measuring device for obtaining a horizontal distance and a vertical distance from a measuring point, and a measuring point of a facility in cooperation with the measuring devic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stance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stance inform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measurement points of the terrain adjacent to the facility is received through serial communication, and based on the received horizontal and vertical distance information to the facility. And a terminal device in which a program for generating geographic information is install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단말 장치에 구비된 촬영 수단을 통하여 상기 측정 지점들의 영상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지리 정보와 연계하여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erminal device may acquire image information of the measurement points through the photographing means provided in the terminal device and manage it in association with the geographic informa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정 장치의 라이다 센서의 레이저 방출 및 수신 방향과 상기 촬영 수단의 시선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측정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에 부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asurement device may be attached to the terminal device to face the same direction as the laser emission and reception direction of the lidar sensor of the measurement device and the gaze of the imaging mean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지리 정보 시스템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시설물과 지형물의 측정 지점들이 표시되는 지도 정보를 표시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지리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지리적 절대 좌표를 수신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erminal device displays map information on which measurement points of the facility and the terrain are displayed based on information stored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receives geographical absolute coordinates from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Can be.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지리적 절대 좌표 및 상기 지리 정보를 연계하여 상기 지리 정보 시스템을 갱신하도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The terminal device may transmit information to update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n association with the geographic absolute coordinates and the geographic information.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기 프로그램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pro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a compu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설물 지리 정보 획득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 장치와 단말 장치의 물리적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측정 장치와 단말 장치의 결합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장치와 단말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측정 지점과의 직선 거리 및 각도를 감지함에 따라, 측정 지점과의 수평 및 수직 거리를 획득하는 방법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의 지오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하여 측정 장치를 통해 측정이 필요한 값들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6b는 측정 장치로부터 획득한 수평 거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지오 데이터의 생성에 필요한 데이터 값을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단말 장치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통해 수평 거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이 시각적으로 표현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서 심도 값 획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단말 장치를 통해 심도 값을 획득하는 예시적인 화면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지리 정보 획득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측정된 지오 데이터가 반영된 지리 데이터 정보 시스템의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acility geographic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physical implementation of the measurement device and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easurement device and the terminal device in more detail.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easuring device and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 method of acquiring horizontal and vertical distances from a measurement point by sensing a straight line distance and an angle from the measurement p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A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values that need to be measured through a measuring device to obtain geo data of a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B is based on horizontal distance data obtained from the measuring device. It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calculating a data value necessary for data generation.
7A to 7D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process of acquiring information about a horizontal distance through a program installed in a terminal device is visually expressed.
8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obtaining a depth value in the present invention.
9A and 9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emplary screen for obtaining a depth value through a terminal device.
10 is a sequ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acility geographic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f a geographic data information system in which geo data meas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flected.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화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면들 중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구성을 갖는 구성요소들에 대하여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을 부여하였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장치와 방법을 함께 서술하도록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clarif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mponent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the drawings, elements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al configuration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f necessary, describe the device and method togeth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설물 지리 정보 획득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acility geographic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설물 지리 정보 획득 시스템(10)은 측정 장치(100) 및 단말 장치(200)를 포함하며, 실시예에 따라 서버(300)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facility geographic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지리 정보 획득 시스템(10)은 한 명의 측정자가 측정 장치(100)를 통하여 복수의 측정 지점과의 수평 및 수직 거리를 획득하고, 측정 장치(100)와 연동되는 단말 장치(200)가 그 획득한 수평 및 수직 거리에 기초하여 시설물과 지형물 사이의 거리 및 시설물의 심도를 산출해낼 수 있다. 단말 장치(200)에서 산출한 시설물과 지형물 사이의 거리 정보 및 시설물의 심도는, 지오 데이터(Geo data)로서 가공되어 서버(300)에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수평 및 수직 거리를 측정하는 시설물은 지상에 노출되어 있거나 지하에 매설된 다양한 종류의 시설물을 포함할 수 있다. 지하시설물의 경우, 일반적으로는 지중에 매립되어 있으나, 거리를 측정할 때에는 지하시설물의 외관이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시설물은 가스배관과 같은 가스시설, 상하수도 배관과 같은 상하수도시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acility geographic
실시예에 따라, 단말 장치(200)와 측정 장치(100)는 기능적으로 연동하는 것만이 아니라,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측정 장치(100)를 통해 복수의 측정 지점들에 대한 거리를 측정하는 과정에서, 단말 장치(200)는 측정 장치(100)와 일체로 이동하여 단말 장치(200)에 구비된 입출력 수단 중 하나인 촬영 수단(예를 들어, 카메라)이 측정 지점을 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측정 장치(100)를 통해 측정 지점과의 직선 거리와 각도를 측정하는 동시에, 단말 장치(200)의 촬영 수단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측정 지점에 대한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한 측정 지점에 대한 영상 데이터는, 생성된 지오 데이터와 함께 관리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서버(300)에 전송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본 발명에 있어서, 단말 장치(200)는, 그 내부의 물리적인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하나 이상의 단계들을 수행하는 주체로서, 이하에서는 단말 장치(200)와 그에 저장 또는 설치된 프로그램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주체로서 기술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는 이동이 간편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연산을 수행하는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지리 정보 획득 시스템(10)에 있어서, 측정 장치(100)와 단말 장치(200)는 시리얼 통신 방식으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단말 장치(200)와 서버(30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장치(200)에 포함된 통신부는 시리얼 통신과 더불어 유무선 통신 방식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것이 적합할 수 있다.In the facility geographic
서버(300)는 지리 정보 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을 관리하는 서버로서, 중앙 집중형 또는 분산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서버(300)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지오 데이터들을 관리하여 통합된 지리 정보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있어서, 서버(300)는 단말 장치(200)로부터 시설물의 심도와 관련된 특성 데이터 및 시설물이 인접한 지형물과 이루는 수평 거리와 관련된 특성 데이터를 지오 데이터로 수신하여 관리할 수 있다. 서버(300)는 단말 장치(200)에 대하여 특정 지점에 관해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지도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지도 이미지에 대해서 사용자의 선택에 응답하여 지리적 절대 좌표를 제공할 수도 있다.Th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 장치와 단말 장치의 물리적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a physical implementation of the measurement device and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측정 장치(100)는 라이다 센서와 자이로 센서를 구비할 수 있으며, 라이다 센서의 광원 및 수광부가 바라보는 방향과 단말 장치(200)의 촬영 수단(211)이 바라보는 방향이 동일하도록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정 장치(100)가 단말 장치(200)에 결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예를 들어, 측정 장치(100)는 단말 장치(200)에 대해 접착력을 가지는 영구자석 등으로 부착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도 3a 및 도 3b는 측정 장치와 단말 장치의 결합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측정 장치와 단말 장치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된 경우, 도 3a는 결합된 장치들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3b는 결합된 장치들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3A and 3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easurement device and the terminal device in more detail. When the measurement device and the terminal device are combined as shown in FIG. 2, FIG. 3A is a view of the combined devices viewed from the front and FIG. 3B is a view of the combined devices viewed from the side.
도 3a를 참조하면, 단말 장치(200)의 촬영 수단(211)과 측정 장치(100)의 발광 수단(111_1)의 중심이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도 3b와 같이 측정 장치(100)와 단말 장치(200)가 결합되는 각도(As)는 직각을 이룰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발광 수단(111_1)과 촬영 수단(211)의 시선(eyeline)이 수평을 이룰 수 있다. 물론 발광 수단(111_1) 뿐만 아니라, 수광 수단(111_2)의 시선 또한 발광 수단(111_1) 및 활영 수단(211)과 평행할 수 있다. 발광 수단(111_1) 및 수광 수단(111_2)은 라이다 센서(111)에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A, the centers of the imaging means 211 of the
단말 장치(200)와 측정 장치(100)가 결합함에 있어서 발광 수단(111_1)과 촬영 수단(211) 사이의 거리가 최소화되어 측정 장치(100)에 의하여 측정되는 지점에 대해 획득되는 영상 데이터가 실제 측정된 지점과의 차이를 최소화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촬영 수단(211)과 이격 거리(Ds2)를 최소화되도록 측정 장치(100)가 장착될 수 있다.When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장치와 단말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측정 장치(100)와 단말 장치(200)는 기능적으로 연동하여 복수의 측정 지점들에 대한 수직 및 수평 거리를 산출하고, 시설물의 지오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easuring device and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도 4를 참조하면, 측정 장치(100)는 감지부(110), 통신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10)는 측정 지점과의 직선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라이다 센서(111)와 측정 지점과 이루는 각도를 측정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113)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측정 지점과의 직선 거리 및 각도를 감지함에 따라, 측정 지점과의 수평 및 수직 거리를 획득하는 방법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5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 method of acquiring horizontal and vertical distances from a measurement point by sensing a straight line distance and an angle from the measurement p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시설물(T)의 한 측정 지점(p)에 대해 측정 장치(100)의 라이다 센서(111)를 통해 직선 거리(Dt)를 측정하고 자이로 센서(113)를 통해 측정 지점과 지평선이 이루는 각도(At)를 획득할 수 있다. 시설물(T)은 지중에 매립되어 있으나, 측정 시점에는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 straight line distance Dt is measured through the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시점이 언급되지 않으면 종점(end point)의 거리 또는 종점에 대한 거리라 함은 그 시점(start point)이 측정 장치(100)인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측정 지점의 직선 거리(Dt)는 측정 장치(100)와 측정 지점 사이의 직선 거리를 의미하며, 측정 지점의 수평 거리(Dh)는 측정 장치(100)와 측정 지점 사이의 수평 거리, 측정 지점의 수직 거리(Dv)는 측정 장치(100)와 측정 지점 사이의 수직 거리를 의미한다. 이하에서 동일한 기술 방식을 사용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unless a point of time is specifically mentioned, the distance of the end point or the distance to the end point means that the start point is the measuring
이와 같이 획득한 측정 지점의 직선 거리(Dt)와 지평선과 이루는 각도(At)에 기초하여 측정 지점의 수평 거리(Dh=Dt·sin(At))와 수직 거리(Dv=Dt·cos(At))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감지부(110)로부터 수신된 값들을 제어부(130)에 전달하여 간단한 연산을 수행함에 따라 측정 지점의 수평 거리(Dh)와 수직 거리(Dv)를 획득할 수 있다.The horizontal distance (Dh=Dt·sin(At)) and vertical distance (Dv=Dt·cos(At)) of the measurement point based on the straight line distance (Dt) of the obtained measurement point and the angle (At) formed with the horizon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horizontal distance (Dh) and the vertical distance (Dv) of the measurement point may be obtained by passing the values received from the
측정 지점의 수평 거리 및 수직 거리 정보는 측정 장치(100)의 통신부(120)를 통하여 단말 장치(200)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측정 장치(100)와 단말 장치(200)는 시리얼 통신 방식으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측정 장치(100)로부터 수평 및 수직 거리가 가공되지 않은 로우 데이터(raw data) 형태로 제공됨에 따라 단말 장치(200)에 설치된 다양한 프로그램들에 대하여 활용될 수 있다.The horizontal distance and vertical distance information of the measurement point may be provided to the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30)는 다수의 측정 지점에 대하여 측정된 직선 거리 및 각도를 식별자와 함께 그 산출된 수평 거리 및 수직 거리와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130)는 측정이 이루어질 때마다 표 1과 같은 형식의 측정 데이터를 단말 장치(200)에 곧바로 전송할 수 있으며, 단말 장치(200)는 측정 데이터가 어느 측정 지점에 대한 데이터인지 식별하여 관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표 1은 측정 장치(100)에서 하나의 측정 지점에 대하여 단말 장치(200)로 전달되는 측정 데이터 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Table 1 shows an embodiment of a measurement data structure transmitted to the
다시 도 4로 돌아와서, 측정 장치(100)로부터 표 1과 같은 측정 데이터를 시리얼 통신으로 전달받은 단말 장치(200)는, 수신한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측정 지점들에 대한 지오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측정 지점들에 대한 지오 데이터를 생성한 단말 장치(200)는 지오 데이터를 서버(300)로 전달하여 지리 정보 시스템에 측정 지점에 대한 지오 데이터를 갱신하도록 할 수 있다.Returning to FIG. 4 again, the
단말 장치(200)는 입출력부(210), 통신부(220), 측정 위치 식별부(230), 데이터 수집부(240), 및 지오 데이터 산출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이하에서는 도 4와 함께 도 6a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단말 장치(200)가 그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하는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n operation performed by the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의 지오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하여 측정 장치를 통해 측정이 필요한 값들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6A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values that need to be measured through a measuring device in order to obtain geo data of a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를 참조하면, 측정 장치(100)를 소지한 작업자, 시설물(T), 그리고 시설물(T)과 인접하여 시설물(T)과의 상대적인 위치를 정의할 지형물(B)이 위치할 수 있다. 지리 정보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필요한 지오 데이터는 시설물(T)과 지형물(B) 사이의 수평 거리, 시설물(T)과 지형물(B)의 모서리 사이의 수평 거리, 그리고 시설물(T)의 깊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A, an operator (B) having a measuring
이를 위하여, 측정자는 측정 장치(100)를 통해 시설물(T)의 일 측정 지점(p1), 일 지점(p1)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지형물(B)과 만나는 지형물(B)의 제1 측정 지점(p2), 그리고 지형물(B)의 모서리인 제2 측정 지점(p3)에 대하여 직선 거리 및 각도를 측정한다. To this end, the measurer extends from one measurement point (p1), one point (p1) of the facility (T) through the
각각의 측정 지점들에 대하여 직선 거리와 각도를 측정함에 따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시설물(T)의 일 측정 지점(p1)의 수평 거리(h(L~p1)), 지형물(B)의 제1 측정 지점(p2)의 수평 거리(h(L~p2)), 및 지형물(B)의 제2 측정 지점(p3)의 수평 거리(h(L~p3))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측정 장치(100)를 사용하는 경우, 측정자가 완벽하게 수평을 이루지 않은 상태에서도 정확한 수평 거리를 획득할 수 있다.As the distance and angle of the straight line are measured for each measurement point,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the horizontal distance (h(L to p1)) of one measurement point p1 of the facility T, the topography ( Acquire the horizontal distance h(L~p2) of the first measurement point p2 of B) and the horizontal distance h(L~p3) of the second measurement point p3 of the terrain B can do. As described above, when the measuring
이와 같이 획득한 수평 거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서는 시설물(T)과 지형물(B) 사이의 수평 거리와 시설물(T)과 지형물(B)의 모서리 사이의 수평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Based on the horizontal distance data thus obtained, the present invention can calculate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facility T and the terrain B and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corners of the facility T and the terrain B. .
도 6b는 측정 장치(100)로부터 획득한 수평 거리 데이터에 기초하여(수평 거리 데이터는 측정 장치(100)로부터 단말 장치(200)로 제공되는 측정 데이터에 포함될 수 있다.), 지오 데이터의 생성에 필요한 데이터 값을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FIG. 6B is based on horizontal distance data obtained from the measurement device 100 (horizontal distance data may be included in measurement data provided from the
도 6b를 참조하면, 시설물(T)의 일 측정 지점(p1)과 지형물(B)의 제1 측정 지점(p2) 사이의 직선 거리(D1)는 D1=h(L~p2)-h(L~p1)으로 간단히 산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B, a straight line distance D1 between one measurement point p1 of the facility T and a first measurement point p2 of the terrain B is D1=h(L~p2)-h( L~p1).
시설물(T)의 일 측정 지점(p1)과 지형물(B)의 제2 측정 지점(p3) 사이의 거리(D2)는 직접 측정하기 어렵다. 측정자가 시설물(T)의 바로 위에서 거리를 측정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지형물(B)의 제2 측정 지점(p3)과 제1 측정 지점(p2) 사이의 수평 거리(D3)를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수학식 1과 같이 산출한다. The distance D2 between one measurement point p1 of the facility T and the second measurement point p3 of the terrain B is difficult to measure directly. 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for the measurer to measure the distance directly above the facility T. Accordingly, the horizontal distance D3 between the second measurement point p3 and the first measurement point p2 of the terrain B is calculated using
수학식 1을 통해 산출된 지형물(B)의 제2 측정 지점(p3)과 제1 측정 지점(p2) 사이의 수평 거리(D3) 값을 토대로 시설물(T)의 일 측정 지점(p1)과 지형물(B)의 제2 측정 지점(p3) 사이의 수평 거리(D2)는 수학식 2와 같이 산출될 수 있다.Based on the horizontal distance (D3) between the second measurement point (p3) and the first measurement point (p2) of the terrain (B) calculated through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서 본 발명에서는 세 측정 지점에 대한 측정을 통해 시설물(T)의 바로 상부에서 측정을 하지 않고도, 지형물(B)과 시설물(T) 사이의 수평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Through the above proces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topography (B) and the facility (T) can be calculated without measuring at the top of the facility (T) through measurement of three measurement points.
이러한 단계들이 단말 장치(20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통해 수행되는 과정이 시각적으로 표현되는 예를 도 7a 내지 도 7d에 나타냈다.7A to 7D show an example in which the steps performed through the programs installed in the
도 7a를 참조하면, 측정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시설물의 위치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선택할 수 있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단말 장치(200)에 포함된 입출력부(210)는 촬영 수단(211)과 같은 다양한 입력 수단과 디스플레이 수단과 같은 다양한 출력 수단을 포함하여 측정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A, a location of a facility to be measured by a measurer can be selected through a display. Referring again to FIG. 4, the input/
단말 장치(200)는 통신부(220)를 통하여 서버(300)와 통신하여 측정자가 검색한 위치에 대한 지리 정보 시스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단말 장치(200)에 구비된 GPS 등으로부터 측정자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서버(300)로부터 지리 정보 시스템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The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낸 바와 수신된 지리 정보 시스템 데이터를 입출력부(210)에 포함된 출력 수단을 통해 측정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측정자는 단말 장치(200)를 통해 지리 정보 시스템 데이터를 확인하고, 단말 장치(200)를 통해 측정 지점을 선택할 수 있다. 7A and 7B, the receiv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data may be visually displayed to a measurement person through output means included in the input/
측정자가 선택하는 측정 지점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설물(T)의 일 측정 지점과, 지형물(B)의 적어도 두 측정 지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정자는 시설물(T)의 일 측정 지점을 선택하고,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형물(B)의 두 측정 지점을 선택하여 측정 지점의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asurement point selected by the measurer may include one measurement point of the facility T and at least two measurement points of the terrain B. As shown in FIG. 7A, the measurer may select one measurement point of the facility T and select two measurement points of the terrain B as shown in FIG. 7B to designate the location of the measurement point.
단말 장치(200)의 측정 위치 식별부(230)는 입출력부(210)를 통해 측정자가 선택한 측정 지점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The measurement
실시예에 따라 측정자가 지정한 측정 지점 정보를 표 2와 같이 관리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measurement point information designated by a measurement person may be managed as shown in Table 2.
예를 들어, 선택영역은,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정자가 측정 배관과 인접한 지형물을 선택할 경우, 해당 선택 화면에 표시되는 지도 화면 전체를 일컬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선택영역 중앙 좌표는 측정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에 표시되는 전체 지도에 있어서 중앙의 지리적 좌표, 좌측상단의 좌표는 측정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의 좌측 상단 모서리의 지리적 좌표, 우측하단의 좌표는 측정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의 우측 하단 모서리의 지리적 좌표를 나타낼 수 있다. 선택지점의 지리적 좌표를 관리함에 따라 향후 지리 정보 시스템에 대하여 지도 정보의 업데이트를 요청하는 경우, 또는 측정 거리에 대한 정확한 지리적 위치를 아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해당 지리적 좌표는 지리적 절대 좌표로서 지리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단말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7A, the selection area may refer to the entire map screen displayed on the corresponding selection screen when the measurer selects a feature adjacent to the measurement pipe. Accordingly, the central coordinates of the selected area are the geographical coordinates of the center of the entire map displayed on the screen provided to the measurer, the coordinates of the upper left corner are provided to the measurer, and the geographical coordinates of the upper left corner of the screen are provided to the measurer. It can indicate the geographical coordinates of the lower right corner of the screen. By managing the geographical coordinates of the selected point, it may be helpful to request an update of the map information to the futur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or to know the exact geographic location of the measured distance. The geographic coordinates may be provided to the terminal device from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s geographic absolute coordinates.
이와 같이 직접적으로 측정 지점에 대한 선택 정보가 관리되지 않는 경우에는 선택영역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한편으로, 선택영역 내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측정 지점들의 정보를 유추할 수 있다.When the selection information for the measurement point is not directly managed as described above, the information for the selection area may be managed while the information of the measurement points selected by the user in the selection area may be inferred.
이와 같이 단말 장치(200)의 출력 수단(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을 통해 측정 지점이 모두 선택된 이후, 측정 장치(100)와 촬영 수단(211)을 통해 측정 데이터를 수집한다. After all the measurement points are selected through the output means (for example, a display) of the
측정 장치(100)는 측정 지점의 직선 거리 및 각도 값을 얻고, 이에 기초하여 수직 및 수평 거리를 획득하여 표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수직 및 수평 거리 데이터를 단말 장치(200)에 전달한다. 한편,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 장치(200)에 구비된 촬영 수단(211)을 통해 측정 지점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함께 획득될 수 있다.The
이에 따라 데이터 수집부(240)는 해당 측정 지점에 대하여 측정 장치(100)로부터 수직 및 수평 거리 데이터를 수신하며, 영상 데이터를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만, 수직 및 수평 거리 데이터에 대해서는 연산을 통하여 지오 데이터에 요구되는 거리 정보를 산출해야 하는바, 표 3과 같이 영상 데이터를 별도로 관리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첨부파일 ID에는 측정 지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어느 측정 지점에 대한 영상 정보인지를 단말 장치(200)가 인식하여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다. 도면 스케치 내역은 선택영역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attachment file ID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measurement point. That is, the
지오 데이터 산출부(250)는 데이터 수집부(240)가 수집한 데이터를 토대로 지오 데이터에 필요한 값을 산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학식 1 및 수학식 2에 기초하여 시설물(T)의 일 측정 지점(p1)과 지형물(B)의 두 측정 지점들(p2, p3) 사이의 수평 거리를 연산하여 도 7d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결과를 측정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The geo
이와 같이 시설물(T)과 지형물 사이의 수평 거리를 산출한 이후, 단말 장치(200)는 시설물(T)의 심도를 측정을 통하여 산출할 수 있다. 다만, 수평 거리의 산출과 심도의 산출 순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시에 수행되거나 심도가 먼저 산출될 수도 있다.After calculating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facility T and the topography in this way, the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서 심도 값 획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9a 및 도 9b는 단말 장치를 통해 심도 값을 획득하는 예시적인 화면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8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obtaining a depth value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9A and 9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emplary screen for obtaining a depth value through a terminal device.
도 8을 참조하면, 지표면(G)에 서 있는 측정자가 측정 장치(100)가 부착된 단말 장치(200)을 들고 있는 가상의 위치(L)로부터 시설물(T), 가상의 위치(L)와 지표면(G) 사이의 수직 거리를 측정한다. 앞서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가상의 위치(L)는 측정자가 측정 장치(100)를 들고 있는 위치에 상응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facility T, the virtual position L, from the virtual position L where the measurer standing on the ground surface G is holding the
이미 시설물(T)의 일 측정 지점(p1)에 대한 측정을 통해 수직 및 수평 거리(v(L~p1), h(L~p1))를 획득하였으므로, 측정자는 지표면(G)의 일 측정 지점(p4)에 대하여 측정 장치(100)를 통해 측정을 수행한다. 측정 방식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측정 장치(100)를 통해 지표면(G)의 일 측정 지점(p4)에 대한 직선 거리 및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측정과 동시에,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표면의 영상 데이터도 함께 획득될 수 있다. Since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stances (v(L~p1), h(L~p1)) have already been obtained through the measurement of one measuring point (p1) of the facility T, the measuring person has one measuring point of the ground surface G The measurement is performed through the measuring
지표면의 일 측정 지점(p4)에 대한 측정까지 마치면, 측정 장치(100)는 지표면(G)의 일 측정 지점(p4)과의 수평 및 수직 거리(h(L~p4), v(L~p4))를 산출할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 지표면의 일 측정 지점(p4)과의 수평 거리 정보는 필요하지 않으므로 측정 장치(100)는 수직 거리(v(L~p4))만을 산출할 수도 있다.When the measurement of one measuring point p4 on the surface is completed, the measuring
이에 따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설물(T)의 일 측정 지점(p1)의 수직 거리(v(L~p1))와, 지표면(G)의 일 측정 지점(p4)의 수직 거리(v(L~p4)) 획득하고, 이들의 차이를 통해 간단한 방법으로 시설물(T)의 심도(H)를 산출할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8, the vertical distance (v(L to p1)) of one measurement point p1 of the facility T and the vertical distance (v() of one measurement point p4 of the ground surface G are shown. L~p4)) can be obtained, and the depth (H) of the facility (T) can be calculated through a simple method.
지표면(G)에 대한 측정 데이터 또한 마찬가지로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데이터 구조로 가공되어 단말 장치(200)의 데이터 수집부(240)에 제공될 수 있다. Measurement data for the ground surface G may also be processed into a data structure as shown in Table 1 and provided to the
결론적으로, 데이터 수집부(240)는 시설물(T), 지형물(B), 및 지표면(G)의 복수의 측정 지점들(p1, p2, p3, p4)에 대한 측정을 통해 수평 및 수직 거리를 획득함에 따라 각각의 측정 지점들에 대하여 모두 표 1과 같은 데이터들을 수신한 후에, 표 4와 같은 연산용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In conclusion, the
지오 데이터 산출부(250)는 표 4와 같은 연산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 5와 같은 지오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The geo
시설물(T), p2 측정지점 및 p3 측정 지점의 X좌표와 Y좌표는 각각 표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선택영역의 실제 지리적 X좌표 및 Y좌표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표 5의 마지막 세 행의 정보가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 거리 정보 '7.32' 및 '9.64'로 표시되며, 시설물의 심도 '1.24'로 단말 장치(20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이들 각각이 표시되는 위치는 앞서 선택영역에 따라 획득된 지리적 좌표에 기초할 수 있다.The X coordinates and Y coordinates of the facility T, p2 measurement point, and p3 measurement point can be obtained based on the actual geographic X coordinate and Y coordinate of the selected area, which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able 2, respectively. The information of the last three rows of Table 5 is displayed as horizontal distance information '7.32' and '9.64' as shown in FIG. 9B, and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이와 같이 시설물과 지형물 사이의 수평 거리 데이터, 그리고 시설물의 심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지오 데이터가 생성되면, 단말 장치(200)를 통해 측정자가 서버(300)에 수정 의뢰를 요청할 수 있다. 단말 장치(200)의 통신부(220)를 통하여 지오 데이터가 서버(300)에 제공되어 해당 시설물의 지오 데이터가 갱신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geo-data including horizontal distance data between a facility and terrain and depth data of a facility is generated, a measurer may request a modification request from the
실시예에 따라, 지오 데이터에는 단말 장치(200)의 촬영 수단(211)을 통해 측정 지점에 대해 획득된 영상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오 데이터는 시설물에 대한 특성 정보로 포함될 수 있는데, 하나의 시설물에 대하여 복수의 측정 지점들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획득될 수도 있는바, 하나의 시설물에 대해 복수의 영상 데이터들이 연계되어 지오 데이터로서 서버(300)에 전송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geo data may include image data obtained for a measurement point through the imaging means 211 of the
서버(300)는 수신한 지오 데이터에 기초하여, 관련된 시설물(T) 또는 지형물(B)을 식별하고, 식별된 시설물(T) 또는 지형물(B)의 특성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The
도 10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지리 정보 획득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도면이다. 10 is a sequ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acility geographic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도 10을 참조하면, 측정 장치(100), 단말 장치(200), 및 서버(300)가 시설물 지리 정보 획득 시스템(10)을 구성할 수 있다. 단말 장치(200)에는 프로그램이 저장 또는 설치되어 이하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Referring to FIG. 10, the
단말 장치(200)는 서버(300)로부터 지리 정보 시스템 데이터를 전달받는다 (단계 S1010). 상술한 바와 같이, 측정자가 단말 장치(200)를 통해 측정을 하고자 하는 시설물의 식별 정보를 입력하여 서버(300)로 전달함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지리 정보 시스템 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단말 장치(200)에 구비된 GPS를 통해 획득한 위치 정보를 토대로 서버(300)에 대해 해당 위치에 대한 지리 정보 시스템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The
서버(300)는 방대한 지리 정보 시스템을 관리하고 있는데, 이 중에서 시설물과 연관된 지리 정보 시스템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단말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The
단말 장치(200)는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지리 정보 시스템 데이터를 단말 장치(200)의 입출력부(210)에 포함된 출력 수단을 통해 표시한다 (단계 S1020). 출력 수단은 시각적 출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측정자는 단말 장치(200)에 표시된 시각적인 지리 정보 시스템 데이터를 토대로 측정하고자 하는 시설물(T)과 지형물(B)을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1030). The measurer may select a facility T and a terrain object B to be measured based on the visu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data displayed on the terminal device 200 (step S1030).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 장치(200)를 통해 시설물(T)과 지형물(B)의 측정 지점들을 선택하라는 안내 정보가 출력될 수 있으며, 또한 실시예에 따라 단말 장치(200)에서는 측정자에게 순차적으로 해당 측정 지점에 대한 측정을 하라는 지시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지시는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7A and 7B, guide information for selecting measurement points of the facility T and the terrain B may be output through the
측정자는 단말 장치(200)와 그에 결합된 측정 장치(100)를 통해 측정 지점을 측정(단계 S1041)하고, 동시에 촬영 수단(211)을 통해 영상 데이터를 획득(단계 S1043)할 수 있다. The measurer may measure the measurement point through the
단말 장치(200)는 순차적으로 해당 시점에 획득된 측정 데이터가 어느 측정 지점에 대한 측정 데이터인지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시설물의 일 측정 지점(p1), 지형물의 제1 및 제2 측정 지점(p2, p3), 및 지표면의 일 측정 지점(p4)에 대하여 측정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것이라 판단하고 각 측정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장치(200)는 단말 장치(200)의 출력 수단을 통해 측정자에게 측정을 안내한 측정 지점에 대한 측정 데이터가 수신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측정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다.The
실시예에 따라 측정 지점에 대한 영상 데이터는 모든 측정 지점에 대해 획득되지 않고, 어느 측정 지점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획득될 수 있다. 측정 지점에 대한 영상 데이터의 선택적 획득은 측정자의 선택 또는 해당 시설물에 대한 정책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해당 시설물에 대한 정책은 단말 장치(200)가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지리 정보 시스템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image data for a measurement point is not acquired for all measurement points, but can be selectively acquired for only one measurement point. The selective acquisition of image data for a measurement point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of the measurement person or a policy for the corresponding facility. The policy for the facility may be included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data received by the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측정 장치(100)는 측정 지점에 대해 측정한 직선 거리 및 각도에 기초하여 측정 지점에 대한 수평 및 수직 거리를 산출한다(단계 S1050).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the
측정 장치(100)는 산출한 수평 및 수직 거리를 포함하는 표 1과 같은 구조의 측정 데이터를 시리얼 통신을 통해 단말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 장치(200)의 데이터 수집부(240)는 측정 데이터에 식별자를 부여하여 관리할 수 있다. The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수집부(240)는 측정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무결성 등 오류 여부를 판단하여 단말 장치(200)의 출력 수단을 통하여 측정 데이터의 오류가 있음을 알리고, 재측정을 요청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단말 장치(200)의 지오 데이터 산출부(250)는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시설물에 대한 지오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S1070). 복수의 측정 지점들에 대한 측정 방법, 그에 따른 지오 데이터의 생성에 대해서는 앞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The geo
단말 장치(200)는 지오 데이터를 서버(300)에 전달할 수 있다 (단계 S1080). 지오 데이터는 하나의 시설물에 대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표 5와 같은 형태로 생성되거나, 그에 대하여 측정 지점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적어도 하나 이상 부가되어 서버(300)로 전달될 수 있다. The
서버(300)는 수신한 지오 데이터가 어느 피쳐에 대한 것인지 식별하고 그에 대한 지오 데이터에 기초하여 지리 정보 시스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단계 S1090).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300)는 수신한 지오 데이터에 포함된 지리적 좌표에 기초하여 지리 정보 시스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The
본 발명에 의하면, 한 명의 측정자가 수평이나 수직을 맞추기 위한 작업 없이, 간단한 장비를 통해 수평 및 수직 거리를 획득할 수 있다. 더욱이 시설물에 대한 지오 데이터를 획득함에 있어서 시설물에 접근하지 않고도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나아가 자동으로 지오 데이터를 생성하여 서버에 제공함에 따라 실시간으로 지오 데이터의 반영이 가능하도록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orizontal and vertical distances can be obtained through a simple equipment without a single operator having to work horizontally or vertically. Moreover, in obtaining the geo data for the facility, distance information can be obtained without accessing the facility, and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reflect the geo data in real time as it is automatically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server.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측정된 지오 데이터가 반영된 지리 데이터 정보 시스템의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서 표시된 수치는 미터(m) 단위일 수 있으며, 화살표의 위쪽에 표시된 수치는 수평 이격 거리를 나타내며, 화살표의 하부에 표시된 수치는 심도를 나타낸다.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f a geographic data information system in which geo data meas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flected. The numerical values indicated in FIG. 11 may be in meters (m), and the numerical values indi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arrows indicate horizontal separation distances, and the numerical values display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arrows indicate depths.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예시 구성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명령들, 소프트웨어 모듈, 마이크로코드, 컴퓨터(정보 처리 기능을 갖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논리 회로들, 주문형 반도체, 또는 펌웨어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 DVD, 자기 테이프,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xemplary configura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puter program products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program instructions, software modules, microcode, and computers (all including devices having information processing functions) executed by a processor, I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such as logic circuits, custom semiconductors, or firmware.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 DVD, magnetic tape, hard disk, floppy disk, hard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and also carrier waves (eg, via the Internet) Transport).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살펴보았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비록 본 명세서에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형태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균등물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se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but merely illustrative, and should be considered from an explanatory point of view rather than a limiting point of view.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in this specification, they are us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or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include all currently invented equivalents as well as equivalents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ie, all components invented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regardless of structure.
Claims (10)
측정 위치 식별부가, 지리 정보 시스템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이 설치된 단말 장치에 구비된 입력 수단을 통해 시설물과 상기 시설물과 인접한 지형물의 측정 지점들을 선택받는 단계;
데이터 수집부가, 상기 측정 장치에 구비된 자이로(Gyro) 센서 및 라이다(lidar) 센서를 통해, 상기 측정 장치와 상기 시설물의 측정 지점 사이, 및 상기 측정 지점과 상기 지형물의 복수의 측정 지점들 사이의 수평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동시에 상기 측정 장치와 인접하는 상기 단말 장치의 촬영 수단을 통해 상기 측정 지점들에 대한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지리 정보 산출부가, 상기 데이터 수집부로부터 획득된 거리 정보들에 기초하여, 상기 시설물의 측정 지점과 상기 지형물의 측정 지점들 사이의 수평 거리들을 산출하여 지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통신부가, 상기 생성된 지리 정보와 상기 측정 지점들에 대한 영상 정보를 연계하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시설물 지리 정보 획득 프로그램.In the program stored in the medium, which generates geographic information about the facility as it works in conjunction with a measuring device that obtains horizontal and vertical distances between the measuring point and the device,
The measurement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receiving measurement points of a facility and features adjacent to the facility through input means provided in the terminal device in which the program is installed;
The data collection unit, through a gyro sensor and a lidar sensor provided in the measurement device, between the measurement device and the measurement point of the facility, and between the measurement point and a plurality of measurement points of the terrain Acquiring horizontal distance information of the image and acquiring image information of the measurement points through the photographing means of the terminal device adjacent to the measurement device;
Generating geographic information by calculating horizontal distances between measurement points of the facility and measurement points of the terrain, based on the distanc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data collection unit; And
The communication unit acquires facility geographic information stored in the medium in order to perform the step of linking the generated geographic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on the measurement points to a server.
상기 데이터 수집부가 상기 수직 및 수평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동시에 상기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 장치의 상기 라이다 센서의 레이저 방출 및 수신 방향이 상기 단말 장치의 촬영 수단 시선(eyeline)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됨에 따라, 상기 라이다 센서를 통해 상기 측정 지점들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동시에 상기 측정 지점들의 시각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에 저장된 시설물 지리 정보 획득 프로그램.According to claim 1,
The data collection unit acquiring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stance information while acquiring the image information is
As the laser emission and reception direction of the lidar sensor of the measurement device is installed to face the same direction as the imaging means eyeline of the terminal device, the distance to the measurement points is measured through the lidar sensor. And at the same time acquiring the visual information of the measurement points, facility geographic information acquisition program stored in the medium.
상기 지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로부터 획득된 거리 정보들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 장치와 상기 지형물의 제1 측정 지점 사이의 수평 거리 및 상기 측정 장치와 상기 지형물의 제2 측정 지점 사이의 수평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지형물의 제1 측정 지점과 상기 지형물의 제2 측정 지점 사이의 수평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측정 장치와 상기 시설물의 측정 지점 사이의 수평 거리 및 상기 측정 장치와 상기 지형물의 제1 측정 지점 사이의 수평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시설물의 측정 지점과 상기 지형물의 제1 측정 지점 사이의 수평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지형물의 제1 측정 지점과 상기 지형물의 제2 측정 지점 사이의 수평 거리 및 상기 시설물의 측정 지점과 상기 지형물의 제1 측정 지점 사이의 수평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시설물의 측정 지점과 상기 지형물의 제2 측정 지점 사이의 수평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에 저장된 시설물 지리 정보 획득 프로그램.According to claim 1,
Generating the geographic information,
Based on the distanc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data collection unit, the terrain is based on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measuring device and the first measurement point of the terrain and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measurement device and the second measurement point of the terrain. Calculating a horizontal distance between a first measurement point of water and a second measurement point of the terrain;
Based on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measuring device and the measuring point of the facility and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measuring device and the first measuring point of the feature,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measuring point of the facility and the first measuring point of the feature. Calculating; And
Based on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first measurement point of the feature and the second measurement point of the feature and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measurement point of the facility and the first measurement point of the feature, the measurement point of the facility and the feature of the feature 2 Comprising the step of calculating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measurement points, facility geographic information acquisition program stored in the medium.
상기 데이터 수집부가, 상기 측정 장치에 구비된 상기 센서들을 통해, 지표면 측정 지점에 대한 수직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지리 정보 산출부가, 상기 지표면 측정 지점에 대한 수직 거리와 상기 시설물 측정 지점의 수직 거리를 연산하여 상기 시설물의 심도를 산출하여 상기 지리 정보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에 저장된 시설물 지리 정보 획득 프로그램.According to claim 1,
Obtaining, by the data collection unit, vertical distance information on a surface measurement point through the sensors provided in the measurement device; And
The geographic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calculating the depth of the facility by calculating the vertical distance to the surface measurement point and the vertical distance to the facility measurement poin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adding to the geographic information, the medium, Stored facility geographic information acquisition program.
상기 측정 위치 식별부가, 상기 시설물과 및 시설물과 인접한 지형물의 측정 지점들을 선택받는 동안에 단말 장치에 표시되는 지도 화면의 지리적 절대 좌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지리 정보 산출부가, 상기 지리적 절대 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지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에 저장된 시설물 지리 정보 획득 프로그램.According to claim 3,
Receiving the geographical absolute coordinates of the map screen displayed on the terminal device while the measurement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selects measurement points of the facility and features adjacent to the facility; And
The geographic information calculat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generating the geographic information on the basis of the geographic absolute coordinates, facility geo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program stored in the medium.
상기 측정 장치와 연동하여 시설물의 측정 지점과의 수평 및 수직 거리, 상기 시설물과 인접한 지형물의 제1 및 제2 측정 지점들과의 수평 및 수직 거리 정보를 직렬 통신을 통해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수평 및 수직 거리 정보들에 기초하여 상기 시설물에 대한 지리 정보를 생성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시설물 지리 정보 획득 시스템.A measuring device for acquiring a horizontal distance and a vertical distance from a measurement point, including a gyro sensor and a lidar sensor; And
In connection with the measuring device, horizontal and vertical distances to a measurement point of a facility and horizontal and vertical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first and second measurement points of a terrain adjacent to the facility are received through serial communication, and the received horizontal And a terminal device in which a program is installed to generate geographic information for the facility based on vertical distance information.
상기 단말 장치는, 단말 장치에 구비된 촬영 수단을 통하여 상기 측정 지점들의 영상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지리 정보와 연계하여 관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지리 정보 획득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6,
The terminal device, by obtaining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measurement point through the imaging means provided in the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manage in connection with the geographic information, facility geographic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상기 측정 장치의 라이다 센서의 레이저 방출 및 수신 방향과 상기 촬영 수단의 시선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측정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지리 정보 획득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7,
A facility for obtaining geographical information of a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measuring device is attached to the terminal device so as to face the laser emitting and receiving direction of the lidar sensor of the measuring device and the same direction as the gaze of the imaging means.
상기 단말 장치는 지리 정보 시스템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시설물과 지형물의 측정 지점들이 표시되는 지도 정보를 표시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지리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지리적 절대 좌표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지리 정보 획득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8,
The terminal device displays map information on which measurement points of the facility and the terrain are displayed based on information stored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receives geographical absolute coordinates from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Geographic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지리적 절대 좌표 및 상기 지리 정보를 연계하여 상기 지리 정보 시스템을 갱신하도록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지리 정보 획득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9,
The terminal device transmits information to update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n association with the geographic absolute coordinates and the geographic information, facility geographic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4547A KR102126203B1 (en) | 2018-12-04 | 2018-12-04 | System for generating geometric information of facility and program for generating geometric information of facility stored in physical mediu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4547A KR102126203B1 (en) | 2018-12-04 | 2018-12-04 | System for generating geometric information of facility and program for generating geometric information of facility stored in physical mediu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67561A true KR20200067561A (en) | 2020-06-12 |
KR102126203B1 KR102126203B1 (en) | 2020-06-24 |
Family
ID=71088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54547A KR102126203B1 (en) | 2018-12-04 | 2018-12-04 | System for generating geometric information of facility and program for generating geometric information of facility stored in physical mediu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2620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74883B1 (en) * | 2022-05-16 | 2022-12-06 | 케이엠아이에스 주식회사 | Device and Mehtod for measuring underground facility locatio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22831A (en) * | 2011-08-26 | 2013-03-07 | 유민규 | Method for measuring distance, height, length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KR20160146359A (en) * | 2015-06-12 | 2016-12-21 | 조중헌 | Distance and height measuring device, system for storing data comprising the same, distance height measur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
KR20170037394A (en) * | 2015-09-25 | 2017-04-04 |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Ladar sensor device |
-
2018
- 2018-12-04 KR KR1020180154547A patent/KR10212620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22831A (en) * | 2011-08-26 | 2013-03-07 | 유민규 | Method for measuring distance, height, length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KR20160146359A (en) * | 2015-06-12 | 2016-12-21 | 조중헌 | Distance and height measuring device, system for storing data comprising the same, distance height measur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
KR20170037394A (en) * | 2015-09-25 | 2017-04-04 |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Ladar sensor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26203B1 (en) | 2020-06-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90272676A1 (en) | Local positioning system for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 |
US9619944B2 (en) | Coordinate geometry augmented reality process for internal elements concealed behind an external element | |
US9830338B2 (en) | Virtual white lines for indicating planned excavation sites on electronic images | |
US9552669B2 (en) |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utiliz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 |
CN103644896B (en) | A kind of engineering geological mapping method based on 3 D laser scanning | |
CN109826248B (en) | Method for applying three-dimensional laser scanner to foundation pit deformation monitoring | |
KR101501160B1 (en) | Investig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ewer facility | |
KR102126203B1 (en) | System for generating geometric information of facility and program for generating geometric information of facility stored in physical medium | |
Jiang et al. | Determination of construction site elevations using drone technology | |
KR20210022343A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ixed reality contents related to underground facilities | |
CN112530010A (en) | Data acquisition method and system | |
Lovas et al. | Indoor building survey assessment | |
KR101209285B1 (en) | Surveying data control system for the surface of the earth checking datumpoint and benchmark | |
CN104964670A (en) | Method for paperless photogrammetry by digital equipment | |
CN109945831A (en) | A kind of easy building height measurement method and device | |
JP2019168226A (en) | Plant facility navigation system and plant facility navigation method | |
US20230110052A1 (en) | System and method for harmonization of vertical projections for displaying of geospatial object data in mediated reality | |
CN113763561B (en) | POI data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 |
JP2010287218A (en) | Feature data registration system, feature data registration method, and feature data registration program | |
JP7242370B2 (en) | Underground object management system | |
RU2675057C1 (en) | Method of identification and visualization of engineering communications in space | |
JP2023102447A (en) | Work support system, work support method, and work support program | |
TW202247109A (en) | Method for displaying hidden object through augmented reality | |
Colombo et al. | Terrestrial multi-sensor survey | |
AU2011253633B2 (en) | Virtual white lines for indicating planned excavation sites on electronic imag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