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7203A - 높은 안정성과 우수한 성능을 구비하는 풀 캐비티 콘크리트 슬래브식 구조, 캐비티 구조 및 철근 구조 - Google Patents

높은 안정성과 우수한 성능을 구비하는 풀 캐비티 콘크리트 슬래브식 구조, 캐비티 구조 및 철근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7203A
KR20200067203A KR1020207014385A KR20207014385A KR20200067203A KR 20200067203 A KR20200067203 A KR 20200067203A KR 1020207014385 A KR1020207014385 A KR 1020207014385A KR 20207014385 A KR20207014385 A KR 20207014385A KR 20200067203 A KR20200067203 A KR 20200067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cavity
reinforcing bar
slab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4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6643B1 (ko
Inventor
뤼난 구
이종 구
Original Assignee
난징 셩유엔 씨빌 엔지니어링 하이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711135173.4A external-priority patent/CN107989252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21529444.XU external-priority patent/CN207582795U/zh
Application filed by 난징 셩유엔 씨빌 엔지니어링 하이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난징 셩유엔 씨빌 엔지니어링 하이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00067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7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1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 E04C2/2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laminated and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12, E04C2/16, E04C2/2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 E04C2/0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reinforc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E04C2002/3477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tubular elements parallel to the sh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E04C2002/348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frame lik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은 안정성과 우수한 성능을 구비하는 풀 캐비티 콘크리트 슬래브식 구조, 캐비티 구조 및 철근 구조에 관한 것이며, 상기 슬래브식 콘크리트 구조 내에는 슬래브식 콘크리트 구조 유닛이 구비되고, 슬래브식 콘크리트 구조 유닛의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 내에는 경사 콘크리트 격벽이 구비되며,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 양단은 밀봉되고,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의 양측 패널과 대응되는 경사 콘크리트 격벽 및 양단의 밀봉단은 외주가 밀봉되는 중공 캐비티를 형성하며, 각 중공 캐비티는 일렬로 교차되어 설치되며,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 및 경사 콘크리트 격벽 내에는 철근 구조가 구비된다. 본 발명은, 구조와 건축의 에너지 절약, 친환경의 고도 일체화를 실현하며, 상기 슬래브식 구조는 원래의 벽 구조의 하중 저항력 요구를 만족할 뿐만 아니라, 구조가 보다 안전하고 내진성 및 방재성을 보다 제고할 수 있다. 즉, 전면적으로 구조가 보다 안전하고, 구조가 자체적 에너지 절약을 실현하며, 구조가 자체적 친환경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슬래브식 벽 구조는 외부 페이싱, 내부 페이싱이 필요 없고, 중간에 보온 방화 등 재료를 매립할 필요도 없도록 하며, 건축의 다양한 콘크리트 슬래브식 구조로 사용될 수 있어, 제품 적용 범위가 매우 넓다.

Description

높은 안정성과 우수한 성능을 구비하는 풀 캐비티 콘크리트 슬래브식 구조, 캐비티 구조 및 철근 구조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 건축 구조의 안전, 에너지 절약, 친환경 일체화 공사 과학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높은 안정성과 우수한 성능을 구비하는 풀 캐비티 콘크리트 슬래브식 구조, 캐비티 구조 및 철근 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축 공사는, 최근 국가에서 다시 한번 명확하게 지적한 중국 경제 건설 분야의 기간산업이다. 건축 공사는 에너지를 절약하고, 친환경적이어야 하며, 이는 국가의 전략적 수요이다. 공급측에 기반하여, 경제, 사회, 산업 발전, 과학기술의 진보 요구, 녹색, 친환경, 생태, 문명환경 우호의 요구, 에너지 절약, 저탄소 요구, 안전 민생 요구 등에 따라, 국무원은 최근 건축 산업의 에너지 절약 및 친환경은 전환 업그레이드되어야 하며, 품질과 효율을 제고하여, 조립식 건물의 발전에 힘쓰고, 건축 공업화, 현대화 사업 발전을 추진해야 한다고 하였다.
철근 콘크리트 구조는, 철근으로 강화한 콘트리트로 제조된 구조를 의미하며, 건축의 주요 구성 구조 중 하나이다. 기존 80%의 건축 구조는 모두 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이용하여 제조되는데, 하중을 담당하는 주요 구성 요소는 철근 콘크리트로 건축되며, 그 중, 철근은 주로 장력을 감당하고, 콘크리트는 주로 압력을 감당한다. 견고하고, 내구성과 방화 성능이 강하고, 강재를 절약하고 원가가 낮은 등 장점을 가진다.
건축 공사 중 슬래브식 재료 구조는, 범위가 넓고, 다양한 제품들이 존재하며, 과학 기술 연구 및 기술 발전이 비교적 빠르다. 현재, 주로 조적 슬래브식 구조(벽돌담), 콘크리트 슬래브식 구조가 있으며, 그 중, 콘크리트 슬래브식 구조는, 주열식 흙막이 공법을 이용한 실심(실체) 슬래브식 구조, 중공(원형 홀) 스트립 슬래브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 프리캐스트 실심 외측 페이싱 보온 벽, 프리캐스트 중간 표면 매립 내부 보온 보드(폴리스티렌 보드, 세라믹 보온 보드 등)를 포함한다.
이러한 슬래브식 구조는, 시공 주기가 길고(일례로, 주열식 흙막이 공법), 시공 공정이 복잡하고(페이싱, 표면 매립), 제조 원가가 높으며, 에너지 절약 기능(냉, 열, 분열, 누설) 및 친환경 기능(광공해, 소음 공해 등)이 나쁘고, 내구성이 낮은 등 여러 가지 결함이 존재하며, 실제 성능이 비교적 좋지 못한 등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에 대해 획기적인 개량이 필요하고, 높은 안정성과 우수한 성능을 구비하는 풀 캐비티 콘크리트 슬래브식 구조, 캐비티 구조 및 철근 구조의 혁신적인 설계를 통해 기존 구조를 대체해야 한다.
상술한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높은 안정성과 우수한 성능을 구비하는 풀 캐비티 콘크리트 슬래브식 구조, 캐비티 구조 및 철근 구조를 제공하며, 구조와 건축의 에너지 절약, 친환경의 고도의 일체화를 실현한다. 상기 슬래브식 구조는 원래의 벽 구조의 하중 저항력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보다 안전하고 내진성 및 방재성을 보다 제고시킬 수 있다. 즉, 구조가 보다 안전하고, 구조가 자체적 에너지 절약을 실현하며, 구조가 자체적 친환경을 전면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슬래브식 구조는 외부 페이싱, 내부 페이싱이 필요 없고, 중간에 보온 방화 등 재료를 매립할 필요도 없다. 건축의 다양한 콘크리트 슬래브식 구조, 예를 들어, 내부 벽과 외부 벽, 바닥, 지붕으로 사용될 수 있어, 제품 적용 범위가 매우 넓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 밀봉단, 철근 구조 및 경사 콘크리트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 내에는 경사 콘크리트 격벽이 배열되고, 인접한 두 경사 콘크리트 격벽은 대칭되어 설치되며, 상기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 양단은 밀봉되고, 상기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의 양측 패널과 대응되는 경사 콘크리트 격벽 및 양단의 밀봉단은 외주가 밀봉되는 중공 캐비티를 형성하며, 상기 중공 캐비티는 이등변 또는 직각 삼각기둥식 캐비티이며, 각 중공 캐비티는 일렬로 교차되어 설치되며, 상기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 및 경사 콘크리트 격벽 내에는, 수평 철근, 수직 철근 및 수평 교차 연결 철근을 포함하는 철근 구조가 구비되며, 상기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의 양측 패널 내에는 수직으로 수직 철근이 배열되고, 각 수직 철근은 이등변 또는 직각 삼각기둥식 캐비티의 모서리 변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의 양측 패널 내에는 횡방향으로 쌍을 이룬 수평 철근이 일렬로 설치되며, 각 수평 철근은 대응되는 수직 철근의 내측 또는 일측에 설치되고, 각 수평 철근은 하나의 수평 교차 연결 철근에 대응되며, 상기 수평 교차 연결 철근은 접선식이며, 상기 수평 교차 연결 철근은 대응되는 평면을 관통하는 수평 철근과 수직 철근의 결합점을 연결하는 슬래브식 콘크리트 구조 유닛을 포함하는 높은 안정성과 우수한 성능을 구비하는 풀 캐비티 콘크리트 슬래브식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개선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식 구조는, 내벽과 외벽 구조 또는 바닥 구조 또는 지붕 구조이며, 이에 모두 적용되는 콘크리트 슬래브식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개선에 따라, 상기 중공 캐비티는 직각 이등변 삼각기둥식 캐비티이며, 본 발명의 캐비티 구조의 절단면은 직각 이등변 삼각형일 경우 지지 안정 효과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개선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식 구조는 양의 정수인 N개의 슬래브식 콘크리트 구조 유닛이 서로 연결되어 나란히 배열되고,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식 구조는 양의 정수인 M개의 슬래브식 콘크리트 구조 유닛이 상하로 연결되며, 구조적 제한이 비교적 작아, 실제 상황에 따라 다양한 슬래브식 콘크리트 구조 유닛을 연결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선에 따라, 상기 중공 캐비티 상단 밀봉단은 볼록 각추부인 밀봉단1이고, 상기 중공 캐비티 하단의 밀봉단은 오목 각추부인 밀봉단2이며, 상하로 서로 연결된 콘크리트 구조 사이는, 볼록 각추부와 대응되는 오목 각추부를 통해 맞물림 연결되며, 본 발명의 상하로 인접한 콘크리트 구조 사이는 상단이 볼록 각추부인 각추 연결 방식을 통해 연결되므로, 물의 유입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 밀봉단 및 경사 콘크리트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내에는 경사 콘크리트 격벽이 배열되고, 인접한 두 경사 콘크리트 격벽은 대칭되어 설치되며, 상기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 양단은 밀봉되고, 상기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의 양측 패널과 대응되는 경사 콘크리트 격벽 및 양단의 밀봉단은 외주가 밀봉되는 중공 캐비티를 형성하며, 상기 중공 캐비티는 이등변 또는 직각 삼각기둥식 캐비티이며, 각 중공 캐비티는 일렬로 교차되여 설치되는 높은 안정성과 우수한 성능을 구비하는 풀 캐비티 콘크리트 슬래브식 구조용 캐비티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개선에 따라, 상기 중공 캐비티는 직각 이등변 삼각기둥식 캐비티이며, 본 발명의 캐비티 구조의 절단면은 직각 이등변 삼각형일 경우 지지 안정 효과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높은 안정성과 우수한 성능을 구비하는 풀 캐비티 콘크리트 슬래브식 구조의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 및 경사 콘크리트 격벽 내에 설치되며, 수평 철근, 수직 철근 및 수평 교차 연결 철근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의 양측 패널 내에는 수직으로 수직 철근이 설치되고, 각 수직 철근은 이등변 또는 직각 삼각기둥식 캐비티의 모서리 변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의 양측 패널 내에는 횡방향으로 쌍을 이룬 수평 철근이 일렬로 설치되며, 각 수평 철근은 대응되는 수직 철근의 내측 또는 일측에 설치되고, 각 수평 철근은 하나의 수평 교차 연결 철근에 대응되며, 상기 수평 교차 연결 철근은 접선식이며, 상기 수평 교차 연결 철근은 대응되는 평면을 관통하는 수평 철근과 수직 철근의 결합점을 연결하는 높은 안정성과 우수한 성능을 구비하는 풀 캐비티 콘크리트 슬래브식 구조용 철근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높은 안정성과 우수한 성능을 구비하는 풀 캐비티 콘크리트 슬래브식 구조, 캐비티 구조 및 철근 구조 중, 본 발명의 슬래브식 구조 내에는 캐비티가 구비되고, 캐비티의 전후 단에는 외주가 밀봉되는 삼각기둥식 캐비티가 형성되며, 각 캐비티는 일렬로 교차 설치되고, 캐비티의 횡방향 절단면은 직각 이등변 삼각형이고, 철근은 이중층 양방향 철근망이며, 입체 안정 철근을 이용하고, 주로 철근 콘크리트로 제조되며, 또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수지, 합금 등 다양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콘크리트는, 일반 콘크리트, 세라믹 콘크리트 등 하중 콘크리트, 또는 방수 침투 방지 콘크리트, 방화 콘크리트 등 특수 콘크리트를 선택할 수 있다. 배합 비율은 구체적인 기능에 따라 합리적으로 설계할 수 있으며, 그 중, 콘크리트 핵심 부분은 분층 주조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장점들을 구비한다.
1. 본 발명은 캐비티 구조를 이용하며, 따라서 전체적 구조가 가볍고 30~50%의 콘크리트를 절약할 수 있어, 재료의 절약이 비교적 뚜렷하다.
2. 본 발명의 전체 캐비티 구조는 중공 박벽 삼각형 통이며, 내부는 에어 캐비티로서, 전체적인 구조가 안정적이다.
3. 본 발명의 철근은 건축용 철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규범 규정에 따라 통상적인 방식으로 설계할 수 있다.
4. 본 발명의 철근은 이중층 양방향 철근망이며, 입체 안정 철근을 이용하며, 수평 삼각형으로 설치한다. 연속적으로 교체 교차 연결되며, 순차적으로 내외 이중층 망의 각 결합점을 고효율적이고 전체적이며 안정되고 튼튼한 벽으로 연결한다. 전체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벽마다 철근망 센터링을 설치할 수 있다.
5. 본 발명의 전체적 구조는 과학적이고, 정교하며, 고효율적이고, 표면으로 단열 홀을 나타내고 실질적으로 이중층 캐비티를 실현하여 보다 높은 에너지 절약 및 환경 보호 효과를 가진다.
6. 본 발명의 캐비티 양측의 밀봉단 외측은 원천 기술인 오목, 볼록 각추 구조를 사용하며, 이러한 구조는 내전단성과 내진성능이 우수하고, 침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7. 본 발명의 성능은 우수하며, 적용 범위가 넓다. 바닥 및 벽 등 콘크리트 슬래브식 구조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외부 콘크리트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양 끝이 밀봉된 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방열 방식의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과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해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높은 안정성과 우수한 성능을 구비하는 풀 캐비티 콘크리트 슬래브식 구조, 캐비티 구조 및 철근 구조를 제공하며, 구조와 건축의 에너지 절약, 친환경의 고도의 일체화를 실현한다. 상기 슬래브식 구조는 원래의 벽 구조의 하중 저항력 요구를 만족할 뿐만 아니라, 구조가 보다 안전하고 내진성 및 방재성을 보다 제고할 수 있다. 즉, 전면적으로 구조가 보다 안전하고, 구조가 자체적 에너지 절약을 실현하며, 구조가 자체적 친환경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슬래브식 구조는 외부 페이싱, 내부 페이싱이 필요 없고, 중간에 보온 방화 등 재료를 매립할 필요도 없도록 하며, 건축의 다양한 콘크리트 슬래브식 구조, 예를 들어, 내벽 및 외벽, 바닥, 지붕으로 사용될 수 있어, 제품 적용 범위가 매우 넓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슬래브식 구조의 가장 간단한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높은 안정성과 우수한 성능을 구비하는 풀 캐비티 콘크리트 슬래브식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슬래브식 콘크리트 구조 내부에는 슬래브식 콘크리트 구조 유닛이 존재하며, 상기 슬래브식 콘크리트 구조 유닛은,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1), 밀봉단, 철근 구조(5) 및 경사 콘크리트 격벽(6)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1) 내부에는 배열되는 경사 콘크리트 격벽(6)이 구비되며, 인접한 두 경사 콘크리트 격벽(6)은 대칭되게 설치된다. 상기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1)의 양단은 밀봉되며, 상기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1)의 양측 패널과 대응되는 경사 콘크리트 격벽(6) 및 양단의 밀봉단은 외주가 밀봉되는 중공 캐비티(2)를 형성한다. 상기 중공 캐비티(2)는 이등변 또는 직각 삼각기둥식 캐비티이며, 각 중공 캐비티(2)는 일렬로 교차 설치되며, 상기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1)과 경사 콘크리트 격벽(6) 내에는 철근 구조(5)가 구비되며, 상기 철근 구조(5)는, 수평 철근(51), 수직 철근(52) 및 수평 교차 연결 철근(53)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1)의 양측 패널 내에는 수직으로 수직 철근(52)이 설치되어 있고, 각 수직 철근(52)은 이등변 또는 직각 삼각기둥식 캐비티의 모서리 변의 단부에 설치된다. 상기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1)의 양측 패널 내에는 횡방향으로 쌍을 이룬 수평 철근(51)이 배열 설치되며, 각 수평 철근(51)은 대응되는 수직 철근(52)의 내측 또는 일측에 설치된다. 각 수평 철근(51)은 하나의 수평 교차 연결 철근(53)에 대응되며, 상기 수평 교차 연결 철근(53)은 접선식이고, 상기 수평 교차 연결 철근(53)은 대응되는 평면을 관통하는 수평 철근(51) 및 수직 철근(52)의 결합점을 연결한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슬래브식 구조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높은 안정성과 우수한 성능을 구비하는 풀 캐비티 콘크리트 슬래브식 구조를 제공하며,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식 구조는, 내벽 및 외벽 구조 또는 바닥 구조 또는 지붕 구조이며, 본 발명의 콘크리트 슬래브식 구조는 이에 모두 적용된다. 따라서, 벽 구조 또는 바닥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식 구조 내에는 콘크리트 구조 유닛이 구비되며,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식 구조는, 양의 정수인 N개의 슬래브식 콘크리트 구조 유닛이 서로 연결되어 나란히 배열되고,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식 구조는 양의 정수인 M개의 슬래브식 콘크리트 구조 유닛이 상하로 연결된다. 본 발명은 구조적 제한이 비교적 작아, 실제 상황에 따라 다양한 슬래브식 콘크리트 구조 유닛을 연결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래브식 콘크리트 구조 유닛은,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1), 밀봉단, 철근 구조(5) 및 경사 콘크리트 격벽(6)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1) 내부에는 배열되는 경사 콘크리트 격벽(6)이 구비되며, 인접한 두 경사 콘크리트 격벽(6)은 대칭되게 설치된다. 상기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1)의 양단은 밀봉되며, 상기 중공 캐비티 (2)는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공 캐비티(2) 상단의 밀봉단은 볼록 각추부인 밀봉단1(3)이고, 상기 중공 캐비티(2)의 하단의 밀봉단은 오목 각추부인 밀봉단2(4)이며, 상하로 서로 연결된 콘크리트 구조 사이는, 볼록 각추부와 대응되는 오목 각추부를 통해 맞물림 연결된다. 본 발명의 상하로 인접한 콘크리트 구조 사이는 상단이 볼록 각추부인 각추 연결 방식을 통해 연결되므로, 물의 유입을 방지한다. 상기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1)의 양측 패널과 대응되는 경사 콘크리트 격벽(6) 및 양단의 밀봉단은 외주가 밀봉되는 중공 캐비티(2)를 형성한다. 상기 중공 캐비티(2)는 직각 이등변 삼각기둥식 캐비티이며, 본 발명의 캐비티 구조의 절단면은 직각 이등변 삼각형일 경우 지지 안정 효과가 가장 바람직하다. 각 중공 캐비티(2)는 일렬로 교차 설치되며, 상기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1)과 경사 콘크리트 격벽(6) 내에는 철근 구조(5)가 구비되며, 상기 철근 구조(5)는, 수평 철근(51), 수직 철근(52) 및 수평 교차 연결 철근(53)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1)의 양측 패널 내에는 수직으로 수직 철근(52)이 설치되어 있고, 각 수직 철근(52)은 이등변 또는 직각 삼각기둥식 캐비티의 모서리 변의 단부에 설치된다. 상기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1)의 양측 패널 내에는 횡방향으로 쌍을 이룬 수평 철근(51)이 배열 설치되며, 각 수평 철근(51)은 대응되는 수직 철근(52)의 내측 또는 일측에 설치된다. 각 수평 철근(51)은 하나의 수평 교차 연결 철근(53)에 대응되며, 상기 수평 교차 연결 철근(53)은 접선식이며, 상기 수평 교차 연결 철근(53)은 대응되는 평면을 관통하는 수평 철근(51) 및 수직 철근(52)의 결합점을 연결한다.
본 발명의 슬래브식 콘크리트 구조용 캐비티 구조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슬래브식 콘크리트 구조용 캐비티 구조는,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1), 밀봉단 및 경사 콘크리트 격벽(6)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1) 내에는 경사 콘크리트 격벽(6)이 배열되고, 인접한 두 경사 콘크리트 격벽(6)은 대칭으로 설치되며, 상기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1)의 양단은 밀봉되며, 상기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1)의 양측 패널과 대응되는 경사 콘크리트 격벽(6) 및 양단의 밀봉단은 외주가 밀봉된 중공 캐비티(2)를 형성하고, 상기 중공 캐비티(2)는 이등변 또는 직각 삼각 기둥식 캐비티이며, 각 중공 캐비티(2)는 일렬로 교차 설치된다.
본 발명의 슬래브식 콘크리트 구조용 철근 구조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철근 구조(5)는 높은 안정성과 우수한 성능을 구비하는 풀 캐비티 콘크리트 슬래브식 구조의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1) 및 경사 콘크리트 격벽(6) 내에 설치되며, 상기 철근 구조(5)는, 수평 철근(51), 수직 철근(52) 및 수평 교차 연결 철근(53)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1)의 양측 패널 내에는 수직으로 수직 철근(52)이 설치되어 있고, 각 수직 철근(52)은 이등변 또는 직각 삼각기둥식 캐비티의 모서리 변의 단부에 설치된다. 상기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1)의 양측 패널 내에는 횡방향으로 쌍을 이룬 수평 철근(51)이 배열 설치되며, 각 수평 철근(51)은 대응되는 수직 철근(52)의 내측에 설치된다. 각 수평 철근(51)은 하나의 수평 교차 연결 철근(53)에 대응되며, 상기 수평 교차 연결 철근(53)은 접선식이며, 상기 수평 교차 연결 철근(53)은 대응되는 평면을 관통하는 수평 철근(51) 및 수직 철근(52)의 결합점을 연결한다.
본 발명의 방열 방음 상황은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슬래브식 구조A측 영역은 외측이고, D측 영역은 내측이며, 소리 또는 온도는 A측 영역으로부터 D측 영역으로 진입한다. 진입 과정에서, 우선 B캐비티 영역내로 진입하고, B캐비티 영역은 이등변 삼각형이므로, 소리 또는 온도는 진입 후 배출되지 못하며, 따라서 양측으로 C캐비티 영역으로 진입하며, 그 후 D측 영역으로 진입한다. 단열 홀만 구비되지만 실제 온도와 소리는 이중층 캐비티를 관통하여 대폭적으로 소음 및 온도를 감소시켜 에너지 절약, 소음 감소 및 친환경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의 기타 실시 방식에 대한 한정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본질에 따른 모든 수정 또는 동등한 변경은 여전히 본 발명이 청구하는 범위내에 속한다.
1: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
2: 캐비티
3: 밀봉단 1
4: 밀봉단 2
5: 철근 구조
51: 수평 철근
52: 수직 철근
53: 수평 교차 연결 철근
6: 경사 콘크리트 격벽

Claims (9)

  1.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1), 밀봉단, 철근 구조(5) 및 경사 콘크리트 격벽(6)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1) 내에는 경사 콘크리트 격벽(6)이 배열되고, 인접한 두 경사 콘크리트 격벽(6)은 대칭되어 설치되며, 상기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1) 양단은 밀봉되고, 상기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1)의 양측 패널과 대응되는 경사 콘크리트 격벽(6) 및 양단의 밀봉단은 외주가 밀봉되는 중공 캐비티(2)를 형성하며, 상기 중공 캐비티(2)는 이등변 또는 직각 삼각기둥식 캐비티이며, 각 중공 캐비티(2)는 일렬로 교차되어 설치되며, 상기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1) 및 경사 콘크리트 격벽(6) 내에는, 수평 철근(51), 수직 철근(52) 및 수평 교차 연결 철근(53)을 포함하는 철근 구조(5)가 구비되며, 상기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1)의 양측 패널 내에는 수직으로 수직 철근(52)이 일렬로 설치되고, 각 수직 철근(52)은 이등변 또는 직각 삼각기둥식 캐비티의 모서리 변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1)의 양측 패널 내에는 횡방향으로 쌍을 이룬 수평 철근(51)이 일렬로 설치되며, 각 수평 철근(51)은 대응되는 수직 철근(52)의 내측 또는 일측에 설치되고, 각 수평 철근(51)은 하나의 수평 교차 연결 철근(53)에 대응되며, 상기 수평 교차 연결 철근(53)은 접선식이며,상기 수평 교차 연결 철근(53)은 대응되는 평면을 관통하는 수평 철근(51)과 수직 철근(52)의 결합점을 연결하는 슬래브식 콘크리트 구조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안정성과 우수한 성능을 구비하는 풀 캐비티 콘크리트 슬래브식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식 구조는, 내벽 및 외벽 구조 또는 바닥 구조 또는 지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안정성과 우수한 성능을 구비하는 풀 캐비티 콘크리트 슬래브식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공 캐비티(2)는 직각 이등변 삼각기둥식 캐비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안정성과 우수한 성능을 구비하는 풀 캐비티 콘크리트 슬래브식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식 구조는 양의 정수인 N개의 슬래브식 콘크리트 구조 유닛이 서로 연결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안정성과 우수한 성능을 구비하는 풀 캐비티 콘크리트 슬래브식 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식 구조는 양의 정수인 M개의 슬래브식 콘크리트 구조 유닛이 상하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안정성과 우수한 성능을 구비하는 풀 캐비티 콘크리트 슬래브식 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중공 캐비티(2) 상단의 밀봉단은 볼록 각추부인 밀봉단1(3)이고, 상기 중공 캐비티(2)의 하단의 밀봉단은 오목 각추부인 밀봉단2(4)이며, 상하로 서로 연결된 콘크리트 구조 사이는, 볼록 각추부와 대응되는 오목 각추부를 통해 맞물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안정성과 우수한 성능을 구비하는 풀 캐비티 콘크리트 슬래브식 구조.
  7.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1), 밀봉단 및 경사 콘크리트 격벽(6)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1)내에는 경사 콘크리트 격벽(6)이 배열되고, 인접한 두 경사 콘크리트 격벽(6)은 대칭되어 설치되며, 상기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1) 양단은 밀봉되고, 상기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1)의 양측 패널과 대응되는 경사 콘크리트 격벽(6) 및 양단의 밀봉단은 외주가 밀봉되는 중공 캐비티(2)를 형성하며, 상기 중공 캐비티(2)는 이등변 또는 직각 삼각기둥식 캐비티이며, 각 중공 캐비티(2)는 일렬로 교차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안정성과 우수한 성능을 구비하는 풀 캐비티 콘크리트 슬래브식 구조용 캐비티 구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중공 캐비티(2)는 직각 이등변 삼각기둥식 캐비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안정성과 우수한 성능을 구비하는 풀 캐비티 콘크리트 슬래브식 구조용 캐비티 구조.
  9. 높은 안정성과 우수한 성능을 구비하는 풀 캐비티 콘크리트 슬래브식 구조의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1) 및 경사 콘크리트 격벽(6) 내에 설치되는 철근 구조(5)는,
    수평 철근(51), 수직 철근(52) 및 수평 교차 연결 철근(53)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1)의 양측 패널 내에는 수직으로 수직 철근(52)이 일렬로 설치되고, 각 수직 철근(52)은 이등변 또는 직각 삼각기둥식 캐비티의 모서리 변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외부 콘크리트 하우징(1)의 양측 패널 내에는 횡방향으로 쌍을 이룬 수평 철근(51)이 일렬로 설치되며, 각 수평 철근(51)은 대응되는 수직 철근(52)의 내측 또는 일측에 설치되고, 각 수평 철근(51)은 하나의 수평 교차 연결 철근(53)에 대응되며, 상기 수평 교차 연결 철근(53)은 접선식이며, 상기 수평 교차 연결 철근(53)은 대응되는 평면을 관통하는 수평 철근(51)과 수직 철근(52)의 결합점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안정성과 우수한 성능을 구비하는 풀 캐비티 콘크리트 슬래브식 구조용 철근 구조.
KR1020207014385A 2017-11-16 2018-06-20 높은 안정성과 우수한 성능을 구비하는 풀 캐비티 콘크리트 슬래브식 구조, 캐비티 구조 및 철근 구조 KR1022966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1135173.4 2017-11-16
CN201711135173.4A CN107989252B (zh) 2017-11-16 2017-11-16 全腔囊高整稳优性能砼板式结构及腔囊结构及钢筋架构
CN201721529444.XU CN207582795U (zh) 2017-11-16 2017-11-16 全腔囊高整稳优性能砼板式结构及腔囊结构及钢筋架构
CN201721529444.X 2017-11-16
PCT/CN2018/091933 WO2019095687A1 (zh) 2017-11-16 2018-06-20 全腔囊高整稳优性能砼板式结构及腔囊结构及钢筋架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7203A true KR20200067203A (ko) 2020-06-11
KR102296643B1 KR102296643B1 (ko) 2021-09-01

Family

ID=66539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4385A KR102296643B1 (ko) 2017-11-16 2018-06-20 높은 안정성과 우수한 성능을 구비하는 풀 캐비티 콘크리트 슬래브식 구조, 캐비티 구조 및 철근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274445B2 (ko)
JP (1) JP2021503574A (ko)
KR (1) KR102296643B1 (ko)
WO (1) WO2019095687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319B1 (ko) * 2000-06-15 2003-03-10 김형주 보온단열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WO2007048149A1 (de) * 2005-10-28 2007-05-03 Johann Berger Bauplatte od.dgl.,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KR200467942Y1 (ko) * 2012-02-23 2013-07-17 김가영 조립식 블록
KR101543587B1 (ko) * 2014-10-24 2015-08-11 안승한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콘크리트 패널,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바닥 시공구조
US20150275531A1 (en) * 2012-09-17 2015-10-01 Eleven Solutions Rfe S.A. De C.V. Modular, multiperforated permanent formwork or centering construction system for reinforced concret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2368A (en) * 1973-09-14 1976-09-28 American Volkscastle International Inc. Wall construction and method to make same
US4001474A (en) * 1974-08-26 1977-01-04 Wilkins & Associates, Inc. Honeycomb panel cellular structure having triangular cells
JPS55579Y2 (ko) * 1976-09-10 1980-01-09
US4223053A (en) * 1978-08-07 1980-09-16 The Boeing Company Truss core panels
JPS5632727U (ko) * 1979-08-22 1981-03-31
US4614013A (en) * 1984-02-21 1986-09-30 David Stevenson Method of forming a reinforced structural building panel
JPS61151355A (ja) * 1984-12-25 1986-07-10 株式会社 栗本鉄工所 中空スラブ
EP0459938B1 (en) * 1990-05-31 1994-03-16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Fiber reinforced glass matrix and glass-ceramic matrix composite articles
ES2068110B1 (es) * 1992-12-18 1996-12-16 Herman Storch Una malla estructural, para ser utilizada en componentes resistentes de sistemas constructivos.
DE102004024802A1 (de) * 2004-05-17 2005-12-08 Sf-Kooperation Gmbh Beton-Konzepte Stützmauer und Formstein aus Beton zur Herstellung einer Stützmauer
CN100537939C (zh) 2004-11-23 2009-09-09 邱则有 一种砼轻质板
US8893447B1 (en) * 2012-12-05 2014-11-25 J Kevin Harris Use devices for mechanically secured block assembly systems
CN101042018A (zh) 2007-04-10 2007-09-26 南京工业大学 一种复合材料模板
CN101487313A (zh) 2008-01-17 2009-07-22 邱则有 一种现浇砼空心板
CN201495679U (zh) 2009-06-24 2010-06-02 深圳市建筑科学研究院有限公司 耐火绝热混凝土夹芯墙板
WO2012010189A1 (en) * 2010-07-18 2012-01-26 Stuart Harry Robertshaw Building panels
DE202011000359U1 (de) 2011-02-16 2012-05-18 Acquaalta Schutzsysteme Gmbh Baumaterial und darauf basierende Fertigteilkonstruktion
JP2015194073A (ja) * 2014-03-28 2015-11-05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押出成形セメント板
US20170051506A1 (en) * 2014-04-30 2017-02-23 Seung Han AN Concrete panel for constructing floor of building, shock absorption unit, and floor construction structure for building including same
CN204401865U (zh) 2014-12-25 2015-06-17 郭娟娟 一种新型建筑预制结构单元
DE102015110129A1 (de) 2015-06-24 2016-12-29 Guido Schulte Sichtbeton-Schalung
CN205189252U (zh) 2015-11-20 2016-04-27 浙江航天管桩有限公司 一种隔热屋面砼板
US10087618B2 (en) * 2016-07-22 2018-10-02 HFW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rlocking structural member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319B1 (ko) * 2000-06-15 2003-03-10 김형주 보온단열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WO2007048149A1 (de) * 2005-10-28 2007-05-03 Johann Berger Bauplatte od.dgl.,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KR200467942Y1 (ko) * 2012-02-23 2013-07-17 김가영 조립식 블록
US20150275531A1 (en) * 2012-09-17 2015-10-01 Eleven Solutions Rfe S.A. De C.V. Modular, multiperforated permanent formwork or centering construction system for reinforced concrete
KR101543587B1 (ko) * 2014-10-24 2015-08-11 안승한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콘크리트 패널,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바닥 시공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23239A1 (en) 2021-04-29
US11274445B2 (en) 2022-03-15
KR102296643B1 (ko) 2021-09-01
JP2021503574A (ja) 2021-02-12
WO2019095687A1 (zh) 2019-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491852U (zh) 半外包现浇双排组砌型墙体无机防火自保温体系
CN204151990U (zh) 半外包现浇双排组砌型墙体自保温体系
KR20200067203A (ko) 높은 안정성과 우수한 성능을 구비하는 풀 캐비티 콘크리트 슬래브식 구조, 캐비티 구조 및 철근 구조
CN104251026A (zh) 全外包砌型现浇墙体无机防火自保温体系
CN204151921U (zh) 半外包砌型现浇组合墙体无机防火自保温体系
CN204151922U (zh) 半外包砌型组合墙体无机防火自保温体系
CN204151980U (zh) 半外包砌型墙体无机防火自保温体系
CN204151979U (zh) 半外包砌型现浇墙体无机防火自保温体系
CN204152064U (zh) 全外包砌型墙体自保温体系
CN204151984U (zh) 半外包砌现浇组合型墙体自保温体系
CN204151964U (zh) 半外包砌型组合墙体自保温体系
CN204370586U (zh) 半外包砌型全夹芯现浇组合墙体自保温体系
CN204151936U (zh) 半外包砌型现浇墙体自保温体系
CN204151962U (zh) 半外包砌型墙体自保温体系
CN204370584U (zh) 半外包全夹芯现浇双排组砌型墙体自保温体系
CN204152027U (zh) 半外包砌型全夹芯组合墙体自保温体系
CN204151997U (zh) 半外包砌型夹芯组合墙体自保温体系
CN204151920U (zh) 全外包砌型墙体无机防火自保温体系
CN204151923U (zh) 半外包砌型夹芯现浇组合墙体自保温体系
CN204151934U (zh) 半外包双排组砌型墙体自保温体系
CN104234232A (zh) 半外包现浇双排组砌型墙体无机防火自保温体系
CN104251033A (zh) 全外包砌型墙体自保温体系
CN104234226A (zh) 半外包现浇双排组砌型墙体自保温体系
CN104234239A (zh) 半外包砌型现浇组合墙体无机防火自保温体系
CN204151940U (zh) 半外包双排组砌型墙体无机防火自保温体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