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6963A - 구취 감지 물질 및 상기 구취 감지 물질을 포함하는 구취 밀폐 감지 키트 - Google Patents

구취 감지 물질 및 상기 구취 감지 물질을 포함하는 구취 밀폐 감지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6963A
KR20200066963A KR1020180153742A KR20180153742A KR20200066963A KR 20200066963 A KR20200066963 A KR 20200066963A KR 1020180153742 A KR1020180153742 A KR 1020180153742A KR 20180153742 A KR20180153742 A KR 20180153742A KR 20200066963 A KR20200066963 A KR 20200066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d breath
exhalation
parts
weight
b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3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정우
김삼득
Original Assignee
미르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르호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르호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3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6963A/ko
Publication of KR20200066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6963A/ko
Priority to KR2020200004564U priority patent/KR2004944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gaseous biological material, e.g. brea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2Evaluation by breath analysis, e.g. determination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exhaled brea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8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 G01N21/783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for analysing ga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gaseous biological material, e.g. breath
    • G01N33/4975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gaseous biological material, e.g. breath other than oxygen, carbon dioxide or alcohol, e.g. organic vapours
    • G01N2033/497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asma & Fusion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개시되는 구취 감지 물질이 미힐러 히드롤과, 용제와, 올리고머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미힐러 히드롤 및 상기 용제와 혼합된 상기 올리고머의 빠른 경화성으로 인해, 상기 구취 감지 물질이 신속하게 경화될 수 있게 되어, 상기 구취 감지 물질의 생산 속도가 향상될 수 있고, 상기 미힐러 히드롤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고분자 내부에 안착시킬 수 있어서, 상기 구취 감지 물질의 구취에 대한 반응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구취 감지 물질 및 상기 구취 감지 물질을 포함하는 구취 밀폐 감지 키트{Bad breath detecting material and sealed bad breath kit comprising the bad breath detecting material}
본 발명은 구취 감지 물질 및 상기 구취 감지 물질을 포함하는 구취 밀폐 감지 키트에 관한 것이다.
구취란, 입에서 나는 좋지 않은 냄새로, 식사 후 입속에 남은 음식 찌꺼기가 변형되어 구취로 이어지거나, 구강 건조증, 충치, 또는 치주염과 같은 질환이 원인인 경우도 있으며, 위장이 좋지 않아 장 속의 가스가 식도를 타고 위로 올라와서 발생하거나, 올바르지 않은 양치질로 인하여 구강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구취는 후각이 마비되어 자기 자신의 체취를 잘 모르는 것처럼 본인의 구취를 본인이 잘 느끼지 못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취는 대화를 하는 상대방이 느낄 수 있어, 상대방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고, 이러한 불쾌감으로 인해 기피대상이 될 수 있어 구취를 방치해두면 안된다.
또한, 당뇨병이나 비염과 같은 질환이 있는 사람에게 구취가 유발된다면, 또다른 질병이 발생했거나 본래의 질환이 더욱 심해졌다는 신호를 보내는 것일 수 있으니 오랫동안 방치해두면 위험하다.
위와 같은 이유로, 구취를 측정하기 위해 호기를 불어넣어 구취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구취 측정기가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구취 측정기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들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의 그 것이다.
이러한 구취 측정기에 사용되어 사용자의 날숨 속의 구취를 감지하는 물질이 구취 감지 물질이다.
그러나, 종래의 구취 감지 물질에 의하면, 구취 감지 물질의 생산 속도가 늦어서 그 생산 효율이 떨어지고, 구취에 대한 반응성이 늦은 단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 10-1121525호, 등록일자: 2012.01.29., 발명의 명칭: 구취에 관한 가시 지시 장치
본 발명은 그 생산 속도 및 구취에 대한 반응성이 향상될 수 있는 구취 감지 물질 및 상기 구취 감지 물질을 포함하는 구취 밀폐 감지 키트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구취 감지 물질은 미힐러 히드롤; 에탄올(EtOH), 아세톤(acetone), 메틸에텔케톤(MEK, methyl ethyl ketone)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용제; 및 아크릴(acrylate) 계열과 에폭시(epoxy) 계열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올리고머;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구취(口臭)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구취 밀폐 감지 키트는 미힐러 히드롤과, 에탄올, 아세톤, 메틸에텔케톤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용제와, 아크릴 계열과 에폭시 계열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구취 감지 물질을 포함하고, 사용자의 날숨 속의 구취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구취 감지 물질 및 상기 구취 감지 물질을 포함하는 구취 밀폐 감지 키트에 의하면, 구취 감지 물질이 미힐러 히드롤과, 용제와, 올리고머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미힐러 히드롤 및 상기 용제와 혼합된 상기 올리고머의 빠른 경화성으로 인해, 상기 구취 감지 물질이 신속하게 경화될 수 있게 되어, 상기 구취 감지 물질의 생산 속도가 향상될 수 있고, 상기 미힐러 히드롤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고분자 내부에 안착시킬 수 있어서, 상기 구취 감지 물질의 구취에 대한 반응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취 감지 물질이 적용된 구취 밀폐 감지 키트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취 감지 물질이 적용된 구취 밀폐 감지 키트를 측면에서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A에 대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구취 보관부가 부풀어 오르면서 상기 밀폐 통로부와 구취 보관부의 각도가 수직이 넘으면서 상기 밀폐 통로부가 막힌 모습을 확대한 확대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취 감지 물질을 구성하는 미힐러 히드롤과 용제의 값을 변화시키면서 실험해 본 결과를 정리한 표.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취 감지 물질을 구성하는 미힐러 히드롤과 올리고머의 값을 변화시키면서 실험해 본 결과를 정리한 표.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취 감지 물질을 구성하는 미힐러 히드롤과 계면 활성제의 값을 변화시키면서 실험해 본 결과를 정리한 표.
도 17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취 감지 물질을 구성하는 미힐러 히드롤과 광개시제의 값을 변화시키면서 실험해 본 결과를 정리한 표.
도 21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취 감지 물질을 구성하는 미힐러 히드롤과 첨가제의 값을 변화시키면서 실험해 본 결과를 정리한 표.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구취 감지 물질 및 상기 구취 감지 물질을 포함하는 구취 밀폐 감지 키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취 감지 물질이 적용된 구취 밀폐 감지 키트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취 감지 물질이 적용된 구취 밀폐 감지 키트를 측면에서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A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구취 보관부가 부풀어 오르면서 상기 밀폐 통로부와 구취 보관부의 각도가 수직이 넘으면서 상기 밀폐 통로부가 막힌 모습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취 감지 물질을 구성하는 미힐러 히드롤과 용제의 값을 변화시키면서 실험해 본 결과를 정리한 표이고,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취 감지 물질을 구성하는 미힐러 히드롤과 올리고머의 값을 변화시키면서 실험해 본 결과를 정리한 표이고,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취 감지 물질을 구성하는 미힐러 히드롤과 계면 활성제의 값을 변화시키면서 실험해 본 결과를 정리한 표이고, 도 17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취 감지 물질을 구성하는 미힐러 히드롤과 광개시제의 값을 변화시키면서 실험해 본 결과를 정리한 표이고, 도 21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취 감지 물질을 구성하는 미힐러 히드롤과 첨가제의 값을 변화시키면서 실험해 본 결과를 정리한 표이다.
도 1 내지 도 24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구취 감지 물질은 미힐러 히드롤(MH)과, 용제(solvent)와, 올리고머(oligomer)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날숨 속의 구취(口臭)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미힐러 히드롤은 4,4'-비스(디메틸아미노)-벤즈히드롤이다.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상기 용제는 에탄올(EtOH), 아세톤(acetone), 메틸에텔케톤(MEK, methyl ethyl ketone)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상기 올리고머는 아크릴(acrylate) 계열과 에폭시(epoxy) 계열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상기 올리고머는 구체적으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epoxy acrylate), 노볼락 아크릴레이트(novolac acrylate),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polyester acrylate)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구취 감지 물질은 계면 활성제(surfactant)와, 광개시제(photo initiator)와, 첨가제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상기 계면 활성제는 TW80, TW20 등의 솔루빌라이저(solubilizer), 글리세린(glycerin)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광개시제는 산화 포스핀(phosphine oxide), 알파 하이드록시 케톤(alpha-hydroxy-ketones)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첨가제는 구아니딘 계열 아미노산, 염산 구아니딘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취 감지 물질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미힐러 히드롤 0.5 내지 5 중량부와, 상기 용제 30 내지 60중량부와, 상기 올리고머 30 내지 50중량부와, 상기 계면 활성제 0.1 내지 0.5중량부와, 상기 광개시제 0.5 내지 5중량부와, 상기 첨가제 10 내지 30중량부로 이루어진다.
아래 첨부된 도 5 내지 도 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구취 감지 물질을 구성하는 상기 미힐러 히드롤과 상기 용제의 값을 변화시키면서 실험해 본 결과와, 아래 첨부된 도 9 내지 도 1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구취 감지 물질을 구성하는 상기 미힐러 히드롤과 상기 올리고머의 값을 변화시키면서 실험해 본 결과와, 아래 첨부된 도 13 내지 도 1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구취 감지 물질을 구성하는 상기 미힐러 히드롤과 상기 계면 활성제의 값을 변화시키면서 실험해 본 결과와, 아래 첨부된 도 17 내지 도 20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구취 감지 물질을 구성하는 상기 미힐러 히드롤과 상기 광개시제의 값을 변화시키면서 실험해 본 결과와, 아래 첨부된 도 21 내지 도 2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구취 감지 물질을 구성하는 상기 미힐러 히드롤과 상기 첨가제의 값을 변화시키면서 실험해 본 결과를 보면, 상기 구취 감지 물질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미힐러 히드롤 0.5 내지 5 중량부와, 상기 용제 30 내지 60중량부와, 상기 올리고머 30 내지 50중량부와, 상기 계면 활성제 0.1 내지 0.5중량부와, 상기 광개시제 0.5 내지 5중량부와, 상기 첨가제 10 내지 3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취 밀폐 감지 키트(100)는 상기 구취 감지 물질, 즉 상기 미힐러 히드롤과, 에탄올, 아세톤, 메틸에텔케톤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상기 용제와, 아크릴 계열과 에폭시 계열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상기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구취 감지 물질을 포함하고, 사용자의 날숨 속의 구취를 감지하는 것인데, 이하에서 도면들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구취 밀폐 감지 키트(100)는 키트 몸체(110)와, 주입 부재(120)와, 구취 보관부(150)와, 구취 측정부(170)와, 밀폐 막 부(160)와, 밀폐 통로부(140)와, 이동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키트 몸체(110)는 그 내부가 그 외부와 밀폐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구취 밀폐 감지 키트(100)의 몸체가 된다.
이러한 상기 키트 몸체(110)는 예를 들어 방수성이 뛰어난 투명 또는 불투명의 PVC 필름이나, 비닐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구취 밀폐 감지 키트(100)는 종래의 구취 감지 키트에 비해 적은 양의 날숨(호기)으로 구취를 측정할 수 있어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상기 키트 몸체(110)는 주머니나 가방에 넣어 휴대하고 다닐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된다.
상기 주입 부재(120)는 상기 키트 몸체(110) 내부로 일정량 이상의 호기를 불어 넣어줄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키트 몸체(110)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주입 부재(120)를 사용자가 입으로 물고 상기 호기를 불어 넣으면, 상기 호기가 상기 주입 부재(120)를 통해 상기 키트 몸체(110) 내부로 주입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주입 부재(120)는 빨대처럼 양 측이 관통되어 있고 내부가 빈 관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주입 부재(120)의 하부인 주입 삽입부(121)가 상기 키트 몸체(110)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주입 삽입부(121)를 통해 상기 키트 몸체(110) 내부로 상기 호기가 불어 넣어질 수 있다.
상기 주입 삽입부(12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폐 통로부(140)를 등진채 비스듬히 사절(斜截)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주입 삽입부(121)의 관통된 면이 비스듬히 사절된 형태이므로 사절되지 않았을 때의 관통된 면보다 상기와 같이 사절된 형태의 관통된 면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됨으로 상기 주입 부재(120)에서 상기 호기를 불어 넣으면 상기 호기가 상기 주입 삽입부(121)를 지나 후술 설명될 상기 이동부(130)로 주입될 때, 상기 주입 삽입부(121)의 관통된 면이 비스듬히 사절되어 보다 넓은 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호기를 상기 이동부(130)로 빠르게 주입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입 삽입부(121)의 사절된 면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폐 통로부(140)를 등지고 있으므로 상기 밀폐 통로부(140) 측에 보관되어 있는 상기 호기가 주입 삽입부(121)의 사절된 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상기 구취 보관부(150)는 상기 주입 부재(120)에서 주입된 상기 호기를 보관할 수 있는 부분으로, 상기 호기가 주입되면 상기 호기의 양에 대응하게 부풀어져 부피가 늘어날 수 있다.
상기 구취 측정부(170)는 상기 구취 보관부(150) 내의 상기 호기에 포함된 구취를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호기에 포함되어 있는 구취 유발 성분과 반응하여 변색되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구취 유발 성분 중 황화합물, 또는 아민 화합물과 반응하여 변색되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취 측정부(170)가 상기 구취 감지 물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취 측정부(170)는 상기 구취가 심할수록 변색이 많이 이루어지는 인디케이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취 측정부(170)는 변색 여부를 쉽게 확인하기 위해 상기 키트 몸체(110)를 투명, 또는 불투명으로 제작할 수 있고, 사용자가 구취 측정부(170)의 변색 여부에 따라 구취의 정도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제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호기 내의 구취를 측정하려면, 우선 일정량 이상의 상기 호기를 상기 구취 측정부(170)가 형성된 상기 구취 보관부(150)로 불어 넣는다.
그런 다음, 상기 구취 측정부(170)의 변색 여부, 변색 정도에 따라 구취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변색 정도가 심하면 구취가 강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밀폐 막 부(160)는 상기 키트 몸체(110)에서 연결되어 형성되되, 상기 구취 보관부(150)에서 상기 주입 부재(120)로 상기 호기가 바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상기 구취 보관부(150)와 상기 주입 부재(120) 사이에 개재되어 장애물 역할을 하는 것이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폐 막 부(160)는 상기 주입 부재(120)와 상기 구취 보관부(150) 사이에서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밀폐 막 부(160)가 형성되고 남은 부분에 상기 밀폐 통로부(140)가 형성되는 것이므로, 미리 지정한 상기 밀폐 통로부(140)의 길이와 폭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밀폐 막 부(160)를 성형한다.
상기 밀폐 막 부(160)는 상기 주입 삽입부(121)와 근접하되 닿지 않도록 하는 위치에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밀폐 막 부(160)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주입 부재(120)에서 상기 구취 보관부(150)로 상기 호기가 주입되기 전에 상기 호기가 머무는 공간인 상기 이동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이동부(130)는 상기 주입 삽입부(121)가 상기 이동부(130)에 삽입되어 있는 부분으로, 상기 호기가 상기 주입 부재(120)를 통해 상기 구취 보관부(150)로 유동되기 전에 1차적으로 주입되는 부분으로, 상기 이동부(130) 내에서 많은 양의 상기 호기가 머무르지 않도록 상기 구취 보관부(150)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이동부(130)의 폭이 넓으면, 상기 키트 몸체(110) 내로 주입되는 상기 호기가 상기 이동부(130)를 지나 상기 구취 보관부(150)로 이동되지 않고 상기 이동부(130)에서 머무를 수 있으므로, 상기 이동부(130)의 폭이 상기 구취 보관부(150)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주입 삽입부(121)의 관통된 면이 상기 이동부(130)에 완전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주입 삽입부(121)와 상기 밀폐 막 부(160)가 서로 닿지는 않되, 근접하도록 상기 밀폐 막 부(160)가 형성되면, 상기 주입 삽입부(121)와 상기 밀폐 막 부(160)가 상대적으로 서로 먼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밀폐 막 부(160)가 형성되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이동부(130)의 폭이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대적으로 폭이 좁게 형성된 상기 이동부(130)에는 많은 양의 상기 호기가 머무를 수 없으므로 상기 이동부(130)에서 머무를 수 있는 양보다 많은 양의 상기 호기를 상기 주입 부재(120)에서 상기 이동부(130)로 주입하면 상기 호기가 상기 이동부(130)를 지나 상기 구취 보관부(150)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밀폐 통로부(140)는 상기 주입 부재(120)에서 주입된 상기 호기가 상기 밀폐 막 부(160)를 지나 상기 구취 보관부(150)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되, 상기 구취 보관부(150)의 상기 호기가 다시 상기 이동부(130)를 지나 상기 주입 부재(120)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그 내부가 밀폐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밀폐 통로부(140)는 상기 밀폐 통로부(140)의 폭이 넓을수록 그 내부가 상기 호기에 의해 부풀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호기가 상기 밀폐 통로부(140)에서 유동된다 하더라도 그 내부의 부피가 쉽게 부풀어지지 않도록 형성되며, 그 내부가 압착되도록 볼록 또는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주입 부재(120)에서 주입되는 상기 호기가 상기 밀폐 통로부(140)를 지나기 위해, 상기 주입 부재(120)에서 일정량 이상의 호기를 불어 넣어 상기 이동부(130)에 공기압이 차면서 이러한 공기압에 의해 상기 이동부(130)에서 연결되어 있는 상기 밀폐 통로부(140)의 압착된 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밀폐 통로부(140) 내부에 틈이 발생하고 이러한 틈이 상기 구취 보관부(150)와 관통되어 상기 호기가 상기 밀폐 통로부(140)를 지나 상기 구취 보관부(150)로 유입된다.
상기 밀폐 통로부(140)와 상기 밀폐 막 부(160)가 서로 접해있는 부분에서 상기 구취 보관부(150) 측의 상기 밀폐 막 부(160)의 모서리 부분(161)이 상기 구취 보관부(150)에서 멀어질수록 기울기가 커지는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밀폐 통로부(140)에는 상기 구취 보관부(150)에 상기 호기가 찰수록 상기 구취 보관부(150)의 부피가 커지면서 그 높이가 증가하나 상기 밀폐 통로부(140)는 상기 호기가 상기 구취 보관부(150)로 유동될 수 있을 만큼 살짝 부풀어 오르나, 상기 구취 보관부(150)처럼 그 내부의 부피가 많이 커지지는 않는다.
즉, 상기 주입 부재(120)를 통해 상기 호기가 불어넣어지면, 상기 이동부(130)와 상기 밀폐 통로부(140)가 살짝 부풀어 올라 상기 호기가 유동되어 상기 구취 보관부(150)에 상기 호기가 수용되고, 상기 호기 수용이 진행될수록 상기 밀폐 통로부(140)는 부풀어오르지 않고 상기 구취 보관부(150)는 점차 부풀어올라 상기 밀폐 통로부(140)와 상기 구취 보관부(150) 사이의 높이 차가 점차 커지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밀폐 통로부(140)와 상기 구취 보관부(150)이 이루는 각도가 점차 커져 수직을 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구취 보관부(150)가 상기 호기 내의 구취를 감지 가능할 정도로 부풀어올라서 상기 주입 부재(120)를 통한 상기 호기 투입이 중지되면, 상기 밀폐 통로부(140)로의 압력 유입은 없고, 상기 구취 보관부(150) 내부의 압력은 커져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구취 보관부(150)의 압력 및 이미 수직이 넘은 상기 밀폐 통로부(140)와 상기 구취 보관부(150)의 각도로 인해 상기 밀폐 통로부(140)와 접하는 상기 구취 보관부(150)의 부분이 상기 밀폐 통로부(140) 쪽으로 밀리면서, 상기 구취 보관부(150)가 상기 밀폐 통로부(140)를 덮어 밀착시키게 된다. 그에 따라 꺾임부(145)가 형성되고, 상기 밀폐 통로부(140)가 막히게 되면서, 상기 구취 보관부(150) 내의 상기 호기의 임의 이탈이 방지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취 보관부(150)와 상기 밀폐 통로부(140)의 부풀어진 형태가 달라 그 높이 차이에 의해 상기 구취 보관부(150)측의 상기 밀폐 막 부(160)의 상기 모서리 부분(161)의 기울기를 따라 상기 밀폐 통로부(140)의 내부가 꺾여 졉혀지는 상기 꺾임부(14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꺾임부(145)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구취 보관부(150) 내의 상기 호기를 더욱 밀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간단히, 상기 밀폐 막 부(160)는 상기 키트 몸체(110) 중 상기 이동부(130)과 상기 구취 보관부(150)를 이루는 부분 사이를 접합시켜 형성하되, 상기 키트 몸체(110)의 양 측면부 중 한 측면부의 일부에 해당되는 부분은 접합시키지 아니하여 상기 키트 몸체(110)의 일 측에 편심되도록 상기 밀폐 통로부(140)가 형성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주입 부재(120)를 통해 유입된 상기 호기가 수직으로 상기 이동부(130)를 통해 유동된 다음 상기 키트 몸체(110)의 일 측에 편심된 상기 밀폐 통로부(140)를 통해 상기 구취 보관부(150)로 유입될 수 있어서, 상기 주입 부재(120)를 통해 유입된 상기 호기가 상기 이동부(130)에서 한 번, 상기 밀폐 통로부(140)에서 한 번, 상기 구취 보관부(150)에서 한 번 꺽이면서 유동될 수 있게 되어, 이러한 복수 번의 꺾임 유로 구조에 의해 상기 구취 보관부(150)에 수용된 상기 호기가 임의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밀폐 통로부(140)는 상기 키트 몸체(110)의 양 측면부 중 한 측면부의 말단에 치우쳐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구취 보관부(150) 내로 주입된 상기 호기가 밀폐될 수 있으므로, 계속적으로 상기 호기를 주입하지 않아도 되어 종래보다 적은 양의 호기로도 구취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구취 밀폐 감지 키트(100)를 이용하여 구취를 감지하는 과정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우선, 상기 주입 부재(120)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부(130)로 상기 호기를 일정량 이상으로 주입시킨다.
여기서, 상기 주입 부재(120)에서 주입되는 상기 호기가 상기 밀폐 통로부(140)를 지나기 위해, 상기 주입 부재(120)에서 일정량 이상의 호기를 불어 넣어 상기 이동부(130)에 공기압이 차면서 이러한 공기압에 의해 상기 이동부(130)에서 연결되어 있는 상기 밀폐 통로부(140)의 압착된 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밀폐 통로부(140) 내부에 틈이 발생하고 이러한 틈이 상기 구취 보관부(150)와 관통되어 상기 호기가 상기 밀폐 통로부(140)를 지나 상기 구취 보관부(150)로 유입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구취 보관부(150)에 상기 호기가 유입될수록 상기 구취 보관부(150)의 부피가 커지면서 그 높이가 점차 증가하게 되고, 상기 구취 보관부(150)에서 상기 호기 내의 구취를 감지할 수 있을 정도로 부풀어올라서 상기 주입 부재(120)를 통한 상기 호기 투입이 중지되면, 상기 밀폐 통로부(140)로의 압력 유입이 중단되고, 상기 구취 보관부(150) 내부의 압력은 커져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구취 보관부(150)의 압력 및 이미 수직이 넘은 상기 밀폐 통로부(140)와 상기 구취 보관부(150)의 각도로 인해 상기 밀폐 통로부(140)와 접하는 상기 구취 보관부(150)측의 상기 밀폐 막 부(160)의 상기 모서리 부분(161)이 그 기울기를 따라 상기 밀폐 통로부(140)쪽으로 밀리면서, 상기 구취 보관부(150)가 상기 밀폐 통로부(140)를 덮어 밀착시키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밀폐 통로부(140)의 내부가 꺾여 졉혀지는 상기 꺾임부(145)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꺾임부(145)에 의해 상기 밀폐 통로부(140) 내부가 꺾여짐으로써, 상기 구취 보관부(150) 내의 상기 호기의 임의 이탈이 방지가 되어 상기 구취 보관부(150) 내의 상기 호기를 더욱 밀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구취 보관부(150)에 상기 호기가 차게 되면, 상기 구취 보관부(150) 내의 상기 구취 측정부(170)가 상기 호기에 포함된 구취를 측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구취 측정부(170)가 상기 호기에 있는 구취를 측정하면, 상기 호기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구취 유발 성분에 반응하여, 상기 구취 측정부(170)가 변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취 감지 물질이 상기 미힐러 히드롤과, 상기 용제와, 상기 올리고머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미힐러 히드롤 및 상기 용제와 혼합된 상기 올리고머의 빠른 경화성으로 인해, 상기 구취 감지 물질이 신속하게 경화될 수 있게 되어, 상기 구취 감지 물질의 생산 속도가 향상될 수 있고, 상기 미힐러 히드롤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고분자 내부에 안착시킬 수 있어서, 상기 구취 감지 물질의 구취에 대한 반응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구취 감지 물질 및 상기 구취 감지 물질을 포함하는 구취 밀폐 감지 키트에 의하면, 그 생산 속도 및 구취에 대한 반응성이 향상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구취 밀폐 감지 키트
110 : 키트 몸체
170 : 구취 측정부

Claims (5)

  1. 미힐러 히드롤;
    에탄올(EtOH), 아세톤(acetone), 메틸에텔케톤(MEK, methyl ethyl ketone)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용제; 및
    아크릴(acrylate) 계열과 에폭시(epoxy) 계열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올리고머;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구취(口臭)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 감지 물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취 감지 물질은
    솔루빌라이저(solubilizer), 글리세린(glycerin)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계면 활성제; 및
    산화 포스핀(phosphine oxide), 알파 하이드록시 케톤(alpha-hydroxy-ketones)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광개시제; 및
    구아니딘 계열 아미노산, 염산 구아니딘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 감지 물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취 감지 물질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미힐러 히드롤 0.5 내지 5 중량부와,
    상기 용제 30 내지 60중량부와,
    상기 올리고머 30 내지 50중량부와,
    상기 계면 활성제 0.1 내지 0.5중량부와,
    상기 광개시제 0.5 내지 5중량부와,
    상기 첨가제 10 내지 3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 감지 물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머는 에폭시 아크릴레이트(epoxy acrylate), 노볼락 아크릴레이트(novolac acrylate),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polyester acrylate)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 감지 물질.
  5. 미힐러 히드롤과,
    에탄올, 아세톤, 메틸에텔케톤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용제와,
    아크릴 계열과 에폭시 계열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구취 감지 물질을 포함하고,
    사용자의 날숨 속의 구취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 밀폐 감지 키트.
KR1020180153742A 2018-12-03 2018-12-03 구취 감지 물질 및 상기 구취 감지 물질을 포함하는 구취 밀폐 감지 키트 KR2020006696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742A KR20200066963A (ko) 2018-12-03 2018-12-03 구취 감지 물질 및 상기 구취 감지 물질을 포함하는 구취 밀폐 감지 키트
KR2020200004564U KR200494437Y1 (ko) 2018-12-03 2020-12-14 구취 밀폐 감지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742A KR20200066963A (ko) 2018-12-03 2018-12-03 구취 감지 물질 및 상기 구취 감지 물질을 포함하는 구취 밀폐 감지 키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564U Division KR200494437Y1 (ko) 2018-12-03 2020-12-14 구취 밀폐 감지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963A true KR20200066963A (ko) 2020-06-11

Family

ID=71070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3742A KR20200066963A (ko) 2018-12-03 2018-12-03 구취 감지 물질 및 상기 구취 감지 물질을 포함하는 구취 밀폐 감지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696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525B1 (ko) 2003-10-16 2012-02-28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구취에 대한 가시 지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525B1 (ko) 2003-10-16 2012-02-28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구취에 대한 가시 지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02039B2 (ja) 顔面密封体及び顔面密封体を使用する呼吸用マスク
EP3222315B1 (en) Device and method for pressure indication
ES2431828T3 (es) Dispositivo de medición oftalmoquirúrgico
JP2012519017A5 (ko)
KR200494437Y1 (ko) 구취 밀폐 감지 키트
JP6097749B2 (ja) インスリンのような薬物を保存するための容器
CN219355099U (zh) 一种柔性舌压评估训练仪用的气囊及充气装置
KR20200066963A (ko) 구취 감지 물질 및 상기 구취 감지 물질을 포함하는 구취 밀폐 감지 키트
CN105021465B (zh) 一种内压作用下角膜变形场的测量装置及方法
US20230293838A1 (en) Airway device
US20070023051A1 (en) Inflatable airways with pressure monitoring devices
US4020844A (en) Throat pack
KR20180078671A (ko) 구취 밀폐 감지 키트
KR101835485B1 (ko) 휴대용 구취 감지 키트
US20210298636A1 (en) Mouthpiece,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a Measurement of Analytes in Exhaled Air
WO2020162832A1 (en) An airway management devic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 object
JPS6041942B2 (ja) 血流計測器
US3508539A (en) Combined x-ray and spirometer recording means
CN103316412A (zh) 易于放置可临时折弯型塑料麻醉喉罩
CN108211067B (zh) 气道装置
CN214596752U (zh) 一种急救呼吸囊
CN209713046U (zh) 一种气压压脉带
CN203370177U (zh) 易于放置可临时折弯型塑料麻醉喉罩
CN211749612U (zh) 一种用于儿童肺功能检测的专用含嘴
CN210124767U (zh) 一种便于装卸携带的电子血压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