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6917A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6917A
KR20200066917A KR1020180153648A KR20180153648A KR20200066917A KR 20200066917 A KR20200066917 A KR 20200066917A KR 1020180153648 A KR1020180153648 A KR 1020180153648A KR 20180153648 A KR20180153648 A KR 20180153648A KR 20200066917 A KR20200066917 A KR 20200066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erminal
rar
presen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3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범
아닐 에기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3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6917A/ko
Publication of KR20200066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69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05Transmission of information for alerting of incoming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H04W74/0833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a random access procedure

Abstract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는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기반하여 기지국에게 전용 프리앰블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메시지3를 수신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RAR(random access response)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RAR에 기반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OWNLINK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 및 기지국 동작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인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 및 기지국 동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기반하여 기지국에게 전용 프리앰블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메시지3를 수신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RAR(random access response)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RAR에 기반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 및 기지국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랜덤 엑세스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d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서 랜덤 엑세스 과정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e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서 랜덤 엑세스 과정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f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서 랜덤 엑세스 과정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지국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도 1g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서 랜덤 엑세스 과정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h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서 랜덤 엑세스 응답 메시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i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서 랜덤 엑세스 과정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j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서 랜덤 엑세스 과정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지국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k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l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LTE 시스템을 기반으로 작성되나,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인 NR(new radio) 등 다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도 적용된다. 일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LTE에서의 eNB는 NR에서의 gNB, LTE에서의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는 NR에서의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로 대응된다.
도 1a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a을 참조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LTE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차세대 기지국(Evolved Node B, 이하 ENB, Node B 또는 기지국)(1a-05, 1a-10, 1a-15, 1a-20)과 MME (1a-25, Mobility Management Entity) 및 S-GW(1a-30, Serving-Gateway)로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이하 UE 또는 단말)(1a-35)은 ENB(1a-05, 1a-10, a-15, 1a-20) 및 S-GW(1a-30)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도 1a에서 ENB(1a-05, 1a-10, 1a-15, 1a-20)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시스템의 기존 노드 B에 대응된다. ENB는 UE(1a-35)와 무선 채널로 연결되며 기존 노드 B 보다 복잡한 역할을 수행한다. LTE 시스템에서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한 VoIP(Voice over IP)와 같은 실시간 서비스를 비롯한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 되므로, UE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ENB(1a-05, 1a-10, 1a-15, 1a-20)가 담당한다. 하나의 ENB는 통상 다수의 셀들을 제어한다. 예컨대, 100 Mbps의 전송 속도를 구현하기 위해서 LTE 시스템은 예컨대, 20 MHz 대역폭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한다)을 무선 접속 기술로 사용한다. 또한 단말(1a-35)의 채널 상태에 맞춰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과 채널 코딩률(channel coding rate)을 결정하는 적응 변조 코딩(Adaptive Modulation & Coding, 이하 AMC라 한다) 방식을 적용한다. S-GW(1a-30)는 데이터 베어러를 제공하는 장치이며, MME(1a-25)의 제어에 따라서 데이터 베어러를 생성하거나 제거한다. MME(1a-25)는 단말(1a-35)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다수의 기지국들(1a-05, 1a-10, 1a-15, 1a-20)과 연결된다.
도 1b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LTE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은 단말과 ENB에서 각각 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1b-05, 1b-40), RLC (Radio Link Control 1b-10, 1b-35), MAC (Medium Access Control 1b-15, 1b-30)으로 이루어진다. 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1b-05, 1b-40)는 IP 헤더 압축/복원 등의 동작을 담당하고,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이하 RLC라고 한다)(1b-10, 1b-35)는 PDCP PDU(Packet Data Unit)를 적절한 크기로 재구성해서 ARQ 동작 등을 수행한다. MAC(1b-15, 1b-30)은 한 단말에 구성된 여러 RLC 계층 장치들과 연결되며, RLC PDU들을 MAC PDU에 다중화하고 MAC PDU로부터 RLC PDU들을 역다중화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물리 계층(1b-20, 1b-25)은 상위 계층 데이터를 채널 코딩 및 변조하고, OFDM 심벌로 만들어서 무선 채널로 전송하거나,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한 OFDM 심벌을 복조하고 채널 디코딩해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동작을 한다.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랜덤 엑세스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랜덤 엑세스는 상향링크 동기화를 맞추거나,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수행된다. 좀 더 상세하게, 대기 모드에서 연결 모드로 전환 시, RRC re-establishment 수행 시, 핸드오버 수행 시, 상, 하향링크 데이터 시작 시 수행될 수 있다. 단말 (1c-05)은 기지국 (1c-10)으로부터 전용 프리엠블 (dedicated preamble)을 제공받으면, 상기 프리엠블을 적용하여, 프리엠블을 전송한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단말(1c-05)은 두 프리엠블 그룹 중 한 그룹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그룹에 속한 프리엠블을 선택한다. 상기 그룹을 group A 와 group B라고 칭한다. 단말(1c-05)은 채널 품질 상태가 특정 임계값보다 양호하고, msg 3의 크기가 특정 임계값보다 크면, group B에 속한 프리엠블을 선택하며, 그렇지 않으면 group A에 속한 프리엠블을 선택한다.
상기 단말(1c-05)이 상기 프리엠블을 n 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전송하였다면 (1c-15), n+3번째 서브프레임부터 RAR (Random Access Response) 윈도우를 시작하고, 단말(1c-05)은 상기 윈도우 시간 구간 내에서 RAR 이 전송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1c-20). RAR의 스케줄링 정보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의 RA-RNTI에 의해 지시된다. 상기 RA-RNTI는 상기 프리엠블을 전송하는데 사용되었던 시간, 주파수 축에서의 무선 자원 위치를 이용하여 유도된다. 상기 RAR에는 MAC 헤더와 하나 이상의 MAC RAR로 구성되며, 각 MAC RAR은 Timing Advance Command, UL grant, temporary C-RNTI로 구성된다. Timing Advance Command 정보는 상향링크 동기를 위해 조정해야 하는 송신 타이밍 정보를 지시한다. UL grant는 msg3의 스케줄링 정보이다. Temporary C-RNTI는 PDCCH에서 msg4에 대응하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을 지시하는데 이용되며, 랜덤 엑세스 이후, C-RNTI로 전환될 수 있다. 단말(1c-05)이 상기 RAR을 상기 RAR 윈도우에서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다면, RAR 에 포함된 UL grant을 정보를 이용하여, 상향링크에서 msg3을 전송한다 (1c-25). Msg3에는 상기 랜덤 엑세스의 목적에 따라, 다른 정보가 포함된다. 하기 표는 msg 3에 실리는 정보의 예시이다.
[도 1] msg3에 포함되는 정보의 예
Figure pat00001
RAR을 n 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수신하였다면, Msg3는 n+6 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된다. Msg3부터는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가 적용된다. Msg3 전송 후, 상기 단말(1c-05)은 특정 타이머를 구동시키며,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까지 Contention Resolution (CR) 메시지를 모니터링한다 (1c-30). 상기 CR 메시지는 CR MAC CE 외에도, 랜덤 엑세스 목적에 따라 RRC Connection Setup 혹은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메시지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대기 모드 (RRC_Idle) 혹은 비활성 모드 (RRC_Inactive) 단말이 연결모드 (RRC_Connected)로 전환되지 않고, 기지국과의 랜덤 엑세스 과정 중에, 소정의 작은 크기의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상기 기술을 EDT (Early Data Transmission)이라고 칭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EDT 기술을 이용하여 기지국이 단말로 (Mobile Terminated-initiated, MT-initiated)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는 상기 하향링크 전송을 DL EDT (Downlink Early Data Transmission) 이라고 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하향링크 msg3와 상향링크 msg4을 포함하는 신규 랜덤 엑세스 과정을 제안한다. 제 1 실시 예에서는 RAR의 포맷을 변경하지 않고, 하향링크 msg3와 상향링크 msg4을 지원하며, 제 2 실시 예에서는 RAR의 포맷을 변경하면서, 하향링크 msg3와 상향링크 msg4을 지원한다. 본 발명의 상세 내용은 LTE 시스템을 바탕으로 기술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은 NR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LTE 시스템의 eNB는 NR 시스템의 gNB, LTE 시스템의 MME는 NR 시스템의 AMF와 대응된다.
도 1d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서 랜덤 엑세스 과정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말 (1d-05)은 기지국 (1d-10)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다 (1d-15). 상기 페이징에서 상기 단말(1d-05)에 대응하는 paging record가 존재한다. 또한, 상기 페이징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랜덤 엑세스 과정을 통해 DL EDT의 수행을 지시하는 지시자와 dedicated preamble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상기 제공받은 dedicated preamble을 상기 기지국에게 전송한다 (1d-20). 상기 preamble을 수신한 상기 기지국(1d-10)은 상향링크에서 전송되는 msg4을 위한 UL grant와 하향링크에서 전송되는 msg3을 스케줄링 하기 위한 temporary C-RNTI을 수납한 MAC RAR을 구성할 수 있다. 기존의 UL grant와 temporary C-RNTI 필드를 유지하기 때문에 MAC RAR 포맷은 변경되지 않는다. 기존의 RAR에 포함된 UL grant 의 목적은 단말이 msg 3를 보내기 위한 목적이라면, 제1 실시 예에서 RAR에 포함된 UL grant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sg4를 위한 UL grant로 UL grant의 이용이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RAR에 포함되는 정보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할당한 dedicated preamble을 기지국이 수신하였는지 여부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기지국(1d-10)은 상기 구성한 RAR을 상기 단말(1d-05)에게 전송한다 (1d-25).
상기 단말(1d-05)은 상기 RAR을 수신한 후, 소정의 시간 동안 혹은 특정 시점에서, PDCCH을 모니터링한다. 상기 PDCCH에서 상기 제공받은 temporary C-RNTI로 지시되는 DCI가 전송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DCI에는 하향링크에서 전송되는 msg3의 스케줄링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단말(1d-05)이 상기 소정의 시간 동안 혹은 특정 시점에서 수신된 PDCCH에서 상기 temporary C-RNTI로 지시되는 DCI을 성공적으로 수신한다면, 상기 단말(1d-05)는 상기 DCI에 수납된 스케줄링 정보를 적용하여, 하향링크에서 전송되는 msg3을 수신한다 (1d-30).
상기 msg3에는 사용자 데이터를 수납하고 있다. 상기 사용자 데이터는 여러 방법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일례로, 소정의 RRC 메시지에 포함된 NAS(non-access stratum) container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NAS container을 이용하는 이유는 NAS security을 적용하기 위함이다. 상기 RRC 메시지에는 상기 NAS container 외,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해야 하는 단말(1d-05)의 S-TMSI 정보와 establishment cause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cause 정보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가 어떤 종류의 데이터인지를 지시하는데 이용된다. 일례로, MT(mobile terminating) data인지, 혹은 delay tolerant access 인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다른 옵션으로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가 DTCH(dedicated traffic channel)에 수납될 수도 있다.
상기 소정의 시간이란, 상기 단말(1d-05)이 상기 RAR을 수신한 후, 설정된 혹은 미리 정의된 값을 가진 타이머를 구동시켜 결정된다. 만약 타이머 값이 설정된다면, 상기 값은 시스템 정보를 통해, 상기 단말(1d-05)에게 제공된다. 상기 타이머는 상기 단말(1d-05)이 수신한 PDCCH에서 상기 temporary C-RNTI로 지시되는 DCI을 성공적으로 수신할 때 중지한다. 그렇지 않고, 상기 타이머가 만료된다면 상기 PDCCH을 모니터링하는 동작을 중지하고, 상기 랜덤 엑세스 과정이 실패한 것으로 간주한다. 이 때, 상기 단말(1d-05)은 소정의 시간을 대기한 후, 다시 랜덤 엑세스 과정을 재시도할 수 있다. 특정 시점에서 PDCCH을 모니터링하는 경우는 상기 단말(1d-05)이 상기 RAR을 수신한 후, 설정된 혹은 미리 정의된 시점에서의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 혹은 프레임 혹은 시간슬롯에서의 PDCCH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상기 시점이 설정된다면, 상기 시점 정보는 시스템 정보를 통해, 상기 단말(1d-05)에게 제공된다. 상기 시점에서 수신한 PDCCH에서 상기 temporary C-RNTI로 지시되는 DCI을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다면, 상기 랜덤 엑세스 과정이 실패한 것으로 간주한다. 이 때, 상기 단말(1d-05)은 소정의 시간을 대기한 후, 다시 랜덤 엑세스 과정을 재시도할 수 있다.
상기 하향링크 msg3을 성공적으로 디코딩한 상기 단말(1d-05)은 ACK/NACK 목적으로 상향링크에서 msg4을 전송한다. 또한, 피드백 목적 등으로 상향링크 사용자 데이터가 존재한다면, 상기 msg4에 수납한다. 예를 들어, msg4에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수납한 NAS container을 포함하는 소정의 RRC 메시지가 포함될 수 있다. 단말(1d-05)는 상기 RAR에서 제공하는 UL grant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을 적용하여 상기 msg4를 전송한다 (1d-35). 상기 msg4은 상기 msg3을 수신한 이후 소정의 시간 내에 전송되어야 한다. 상기 소정의 시간은 설정되거나 미리 정의된다. 설정되는 경우에는 관련 타이머 값이 시스템 정보로 제공된다.
도 1e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서 랜덤 엑세스 과정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e-05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페이징에서 상기 단말에 대응하는 paging record가 존재한다. 또한, 상기 페이징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랜덤 엑세스 과정을 통해 DL EDT의 수행을 지시하는 지시자와 dedicated preamble 정보가 제공된다.
1e-10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dedicated preamble을 상기 기지국에게 전송한다.
1e-15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RAR을 수신한다. 상기 RAR에는 상향링크에서 전송되는 msg4을 위한 UL grant와 하향링크에서 전송되는 msg3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temporary C-RNTI가 수납된다.
1e-20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소정의 시간 동안 혹은 특정 시점에서, 수신 PDCCH에서 상기 제공받은 temporary C-RNTI로 지시되는 DCI으로부터 하향링크에서 전송되는 msg3의 스케줄링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DCI에 수납된 스케줄링 정보를 적용하여, 하향링크에서 전송되는 msg3을 수신한다.
1e-25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ACK/NACK 목적으로 상기 RAR에서 제공하는 UL grant을 이용하여, 상향링크에서 msg4을 전송한다. 만약 상향링크에서 전송해야 할 사용자 데이터가 있다면, 단말은 상기 데이터를 msg4에 포함시킨다. 상기 데이터는 NAS container에 수납되며, 상기 NAS container을 포함하는 소정의 RRC 메시지가 정의될 수 있다.
도 1f는 제 1 실시 예에서 랜덤 엑세스 과정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지국 동작의 순서도이다.
1f-05 단계에서 기지국은 MME로부터 사용자 데이터와 함께 특정 단말에 대한 페이징을 수신한다.
1f-10 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랜덤 엑세스 과정을 통해 DL EDT의 수행을 지시하는 지시자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랜덤 엑세스 과정을 통해 DL EDT을 위해 할당된 dedicated preamble 정보가 포함된 페이징을 상기 단말에게 전송한다.
1f-15 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하나의 프리엠블을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다.
1f-20 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프리엠블이 상기 제공했던 dedicated preamble 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1f-25 단계에서 만약 상기 수신한 preamble이 상기 제공했던 dedicated preamble이라면, 상기 기지국은 상향링크에서 전송되는 msg4을 위한 UL grant와 하향링크에서 전송되는 msg3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temporary C-RNTI가 수납된 RAR을 단말에게 전송한다.
1f-30 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temporary C-RNTI가 지시하는 DCI에 수납된 스케줄링 정보를 적용하여, 하향링크에서 msg3을 전송한다.
1f-35 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UL grant가 지시하는 무선 자원에서 msg4을 수신한다. 상기 msg4에는 상향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상기 상향링크 사용자 데이터는 상기 MME에게 전달한다.
1f-40 단계에서 만약 상기 수신한 preamble이 상기 제공했던 dedicated preamble이 아니라면, 상기 기지국은 상향링크에서 전송되는 msg3을 위한 UL grant와 하향링크에서 전송되는 msg4을 스케줄링 하기 위한 temporary C-RNTI가 수납된 RAR을 전송한다.
1f-45 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UL grant가 지시하는 무선 자원에서 msg3을 수신한다. 상기 msg3에는 사용자 데이터를 수납하고 있지 않다.
1f-50 단계에서 상기 temporary C-RNTI가 지시하는 DCI에 수납된 스케줄링 정보를 적용하여, 하향링크에서 msg4을 전송한다. 상기 msg4에는 사용자 데이터를 수납하고 있지 않다.
도 1g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서 랜덤 엑세스 과정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말 (1g-05)은 기지국 (1g-10)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다 (1g-15). 상기 페이징에서 상기 단말에 대응하는 paging record가 존재한다. 또한, 상기 페이징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랜덤 엑세스 과정을 통해 DL EDT의 수행을 지시하는 지시자와 dedicated preamble 정보가 제공된다.
상기 단말(1g-05)은 상기 제공받은 dedicated preamble을 상기 기지국(1g-10)에게 전송한다 (1g-20). 상기 preamble을 수신한 상기 기지국(1g-10)은 하향링크에서 전송되는 msg3을 위한 DL assignment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을 수납한 MAC RAR을 구성한다. MAC RAR에서 기존의 UL grant 혹은 temporary C-RNTI 필드는 상향링크에서 전송되는 msg4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이용되며, 두 필드들 중 적어도 하나는 MAC RAR에 그대로 유지된다.
상기 기지국(1g-10)은 상기 구성한 RAR을 상기 단말(1g-05)에게 전송한다 (1g-25).
상기 단말(1g-05)은 상기 RAR을 수신한 후, 특정 시점에서, 상기 제공받은 DL assignment가 지시하는 하향링크 무선 자원에서 전송되는 msg3을 수신한다 (1g-30). 상기 msg3에는 사용자 데이터를 수납하고 있다. 상기 사용자 데이터는 여러 방법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일례로, 소정의 RRC 메시지에 포함된 NAS container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NAS container을 이용하는 이유는 NAS security을 적용하기 위함이다. 상기 RRC 메시지에는 상기 NAS container 외,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해야 하는 단말(1g-05)의 S-TMSI 정보와 establishment cause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cause 정보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가 어떤 종류의 데이터인지를 지시하는데 이용된다. 일례로, MT data인지, 혹은 delay tolerant access 인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다른 옵션으로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가 DTCH에 수납될 수도 있다. 만약 단말(1g-05)이 성공적으로 상기 msg3을 성공적으로 디코딩하지 못하면, 상기 단말(1g-05)은 소정의 시간을 대기한 후, 다시 랜덤 엑세스 과정을 재시도할 수 있다.
상기 하향링크 msg3을 성공적으로 디코딩한 상기 단말(1g-05)은 ACK/NACK 목적으로 상향링크에서 msg4을 전송한다. 또한, 피드백 목적 등으로 사용자 데이터가 존재한다면, 상기 msg4에 수납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수납한 NAS container을 포함하는 소정의 RRC 메시지가 포함된다. 상기 msg4는 상기 RAR에서 제공하는 UL grant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을 적용하여 전송하거나 상기 temporary C-RNTI가 지시하는 DCI에 수납된 스케줄링 정보를 적용하여 전송된다 (1g-35). 상기 msg4은 상기 msg3의 전송 이후 소정의 시간 내에 전송되어야 한다. 또는 상기 msg4는 상기 msg3의 수신 이후 소정의 시간 내에 전송되어야 한다.
도 1h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서 랜덤 엑세스 응답 메시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 2 실시 예에서의 MAC RAR는 하향링크 msg3가 전송되는 무선 자원을 지시하는 DL assignment을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하기의 도면에서와 같은 MAC RAR의 구성도를 고려할 수 있다.
도 1h (a)는 종래의 MAC RAR의 UL grant 대신에 DL assignment 필드 (1h-05)를 수납하는 구성도이다. 전체 MAC RAR의 크기에 영향이 없다. 상기 MAC RAR에서 Temporary C-RNTI는 상향링크 msg4의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DCI을 지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1h (b)는 종래의 MAC RAR의 Temporary C-RNTI 필드 대신에 DL assignment 필드 (1h-10)를 수납하는 구성도이다. 전체 MAC RAR의 크기에 영향이 없다. 상기 MAC RAR에서 UL grant는 상향링크 msg4의 스케줄링 정보를 지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1h (c)는 종래의 MAC RAR에 추가적으로 DL assignment 필드 (1h-15)를 수납하는 구성도이다. 전체 MAC RAR의 크기는 증가한다. 상기 MAC RAR에서 Temporary C-RNTI 혹은 UL grant는 상향링크 msg4을 스케줄링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1i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서 랜덤 엑세스 과정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i-05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페이징에서 상기 단말에 대응하는 paging record가 존재한다. 또한, 상기 페이징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랜덤 엑세스 과정을 통해 DL EDT의 수행을 지시하는 지시자와 dedicated preamble 정보가 제공된다.
1i-10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dedicated preamble을 상기 기지국에게 전송한다.
1i-15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RAR을 수신한다. 상기 RAR에는 하향링크에서 전송되는 msg3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DL assginment가 수납된다. 또한, 상기 RAR에는 ACK/NACK 목적의 UL grant 혹은 ACK/NACK 목적의 temporary C-RNTI가 포함될 수 있다.
1i-20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소정의 시간 동안 혹은 특정 시점에서, DL assignment로 지시되는 무선 자원으로부터 하향링크에서 전송되는 msg3의 스케줄링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적용하여, 하향링크에서 전송되는 msg3을 수신한다.
1i-25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ACK/NACK 목적으로 상기 RAR에서 제공하는 UL grant 혹은 Temporary C-RNTI을 이용하여, 상향링크에서 msg4을 전송한다. 만약 상향링크에서 전송해야 할 사용자 데이터가 있다면, 상기 데이터를 msg4에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NAS container에 수납되며, 상기 NAS container을 포함하는 소정의 RRC 메시지가 정의될 수 있다.
도 1j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서 랜덤 엑세스 과정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지국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j-05 단계에서 기지국은 MME로부터 사용자 데이터와 함께 특정 단말에 대한 페이징을 수신한다.
1j-10 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랜덤 엑세스 과정을 통해 DL EDT의 수행을 지시하는 지시자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랜덤 엑세스 과정을 통해 DL EDT을 위해 할당된 dedicated preamble 정보가 포함된 페이징을 상기 단말에게 전송한다.
1j-15 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하나의 프리엠블을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다.
1j-20 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프리엠블이 상기 제공했던 dedicated preamble 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1j-25 단계에서 만약 상기 수신한 preamble이 상기 제공했던 dedicated preamble이라면, 상기 기지국은 하향링크에서 전송되는 msg3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DL assignment가 수납된 RAR을 전송한다. 또한, 상기 RAR에는 ACK/NACK 목적의 UL grant 혹은 ACK/NACK 목적의 temporary C-RNTI가 포함될 수 있다.
1j-30 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DL assignment가 지시하는 스케줄링 정보를 적용하여, 하향링크에서 msg3을 전송한다.
1j-35 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UL grant가 지시하는 무선 자원 혹은 상기 temporary C-RNTI가 지시하는 DCI에 수납된 스케줄링 정보가 지시하는 무선 자원에서 msg4을 수신한다. 만약 상기 msg4가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면,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상기 MME에게 전달할 수 있다.
1j-40 단계에서 만약 상기 수신한 preamble이 상기 제공했던 dedicated preamble이 아니라면, 상기 기지국은 상향링크에서 전송되는 msg3을 위한 UL grant와 하향링크에서 전송되는 msg4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temporary C-RNTI가 수납된 RAR을 전송한다.
1j-45 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UL grant가 지시하는 무선 자원에서 msg3을 수신한다.
1j-50 단계에서 상기 temporary C-RNTI가 지시하는 DCI에 수납된 스케줄링 정보를 적용하여, 하향링크에서 msg4을 전송한다.
도 1k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참고하면, 상기 단말은 RF(Radio Frequency)처리부(1k-10), 기저대역(baseband)처리부(1k-20), 저장부(1k-30), 제어부(1k-4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k-40)는 다중연결 처리부(1k-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F처리부(1k-10)는 신호의 대역 변환, 증폭 등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RF처리부(1k-10)는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k-2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 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한다. 예를 들어, 상기 RF처리부(1k-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mixer), 오실레이터(oscillator),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면에서, 하나의 안테나만이 도시되었으나, 상기 단말은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처리부(1k-10)는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RF처리부(1k-10)는 빔포밍(beamforming)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빔포밍을 위해, 상기 RF처리부(1k-10)는 다수의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요소(element)들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위상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 처리부(1k-10)는 MIMO를 수행할 수 있으며, MIMO 동작 수행 시 여러 개의 레이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k-20)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k-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k-20)은 상기 RF처리부(1k-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예를 들어,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에 따르는 경우, 데이터 송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k-20)는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하고, 상기 복소 심벌들을 부반송파들에 매핑한 후,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 및 CP(cyclic prefix) 삽입을 통해 OFDM 심벌들을 구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k-20)은 상기 RF처리부(1k-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OFDM 심벌 단위로 분할하고, FFT(fast Fourier transform) 연산을 통해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신호들을 복원한 후,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k-20) 및 상기 RF처리부(1k-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k-20) 및 상기 RF처리부(1k-10)는 송신부, 수신부, 송수신부 또는 통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k-20) 및 상기 RF처리부(1k-1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다수의 무선 접속 기술들을 지원하기 위해 다수의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k-20) 및 상기 RF처리부(1k-1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해 서로 다른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로 다른 무선 접속 기술들은 무선 랜(예: IEEE 802.11), 셀룰러 망(예: LT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들은 극고단파(SHF:super high frequency)(예: 2.NRHz, NRhz) 대역, mm파(millimeter wave)(예: 60GHz)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k-30)는 상기 단말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상기 저장부(1k-30)는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2접속 노드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1k-30)는 상기 제어부(1k-4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1k-40)는 상기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k-40)는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k-20) 및 상기 RF처리부(1k-10)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k-40)는 상기 저장부(1k-3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k-4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k-40)는 통신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CP(communication processor) 및 응용 프로그램 등 상위 계층을 제어하는 AP(appl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k-4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l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은 RF처리부(1l-10), 기저대역처리부(1l-20), 백홀통신부(1l-30), 저장부(1l-40), 제어부(1l-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l-50)는 다중연결 처리부(1l-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F처리부(1l-10)는 신호의 대역 변환, 증폭 등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RF처리부(1l-10)는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l-2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한다. 예를 들어, 상기 RF처리부(1l-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 오실레이터, DAC,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면에서, 하나의 안테나만이 도시되었으나, 상기 제1접속 노드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처리부(1l-10)는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RF처리부(1l-10)는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빔포밍을 위해, 상기 RF처리부(1l-10)는 다수의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요소들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위상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RF 처리부(1l-10)는 하나 이상의 레이어를 전송함으로써 하향 MIMO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l-20)는 제1무선 접속 기술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l-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l-20)은 상기 RF처리부(1l-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예를 들어, OFDM 방식에 따르는 경우, 데이터 송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l-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하고, 상기 복소 심벌들을 부반송파들에 매핑한 후, IFFT 연산 및 CP 삽입을 통해 OFDM 심벌들을 구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l-20)은 상기 RF처리부(1l-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OFDM 심벌 단위로 분할하고, FFT 연산을 통해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신호들을 복원한 후,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l-20) 및 상기 RF처리부(1l-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l-20) 및 상기 RF처리부(1l-10)는 송신부, 수신부, 송수신부, 통신부 또는 무선 통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백홀통신부(1l-30)는 네트워크 내 다른 노드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상기 백홀통신부(1l-30)는 기지국(또는 주기지국)에서 다른 노드, 예를 들어, 보조기지국, 코어망 등으로 송신되는 비트열을 물리적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물리적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한다.
상기 저장부(1l-40)는 상기 주기지국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상기 저장부(1l-40)는 접속된 단말에 할당된 베어러에 대한 정보, 접속된 단말로부터 보고된 측정 결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l-40)는 단말에게 다중 연결을 제공하거나, 중단할지 여부의 판단 기준이 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1l-40)는 상기 제어부(1l-5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1l-50)는 상기 주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l-50)는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l-20) 및 상기 RF처리부(1l-10)을 통해 또는 상기 백홀통신부(1l-30)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l-50)는 상기 저장부(1l-4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l-5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l-5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

  1.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기반하여 기지국에게 전용 프리앰블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메시지3를 수신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RAR(random access response)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RAR에 기반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80153648A 2018-12-03 2018-12-03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0669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648A KR20200066917A (ko) 2018-12-03 2018-12-03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648A KR20200066917A (ko) 2018-12-03 2018-12-03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917A true KR20200066917A (ko) 2020-06-11

Family

ID=71070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3648A KR20200066917A (ko) 2018-12-03 2018-12-03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691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67559B (zh) 在无线通信系统中使用不同的无线连接技术提供多连接的装置和方法
CN109392183B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支持补充上行链路频率的方法和装置
CN116056235A (zh) 用于无线通信系统中的终端的数据传输的方法和装置
KR2017002372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및 장치
CN112106401B (zh) 发送和接收寻呼和系统信息的系统和方法
CN108353317B (zh) 用于在移动通信系统中接收mac pdu的方法和装置
KR102497601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및 장치
JP2022548059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データを送受信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CN113273248A (zh) 用于处理2步和4步随机接入之间的切换的方法和装置
KR20210119703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서비스에 harq를 적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3455086A (zh) 用于移动通信系统中通过两步随机接入过程传输用户数据的方法和装置
CN115669178A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执行随机接入的方法和装置
US11974185B2 (en) Method and device for handover without suspension of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15211209A (zh) 在下一代移动通信系统中有效传输小尺寸数据的方法和装置
US202200150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ser data through paging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15245026A (zh) 在非活跃状态中至分解式基站的小数据传输
CN113170359A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执行通信的方法和装置
EP39964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2-step random access proced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10090445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불연속수신 설정 시 빔실패검출 자원을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
CN114026950A (zh) 在无线通信系统中的两步随机接入过程中执行退避的方法和设备
KR20200066917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2013238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ell access without random access in next gene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790310B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3164867A1 (en) System and method for l1 connection setup and l1 reconfiguration
EP4025011A1 (en) Method and device for applying plurality of drxs in carrier aggregation technology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