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6267A - Smart Phone Cradle Case for Self Camera - Google Patents

Smart Phone Cradle Case for Self Camer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6267A
KR20200066267A KR1020200013652A KR20200013652A KR20200066267A KR 20200066267 A KR20200066267 A KR 20200066267A KR 1020200013652 A KR1020200013652 A KR 1020200013652A KR 20200013652 A KR20200013652 A KR 20200013652A KR 20200066267 A KR20200066267 A KR 20200066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able
support
support portion
attachment disk
cas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36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28755B1 (en
Inventor
이상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상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상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상해
Priority to KR1020200013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755B1/en
Publication of KR20200066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62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7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ie stick used as a holder, which comprises: an attachment disk attached to a rear surface of a case body having a space for divisively accommodating a smartphone, and formed as a disk; a case body support unit including an attachment disk coupling unit detachably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attachment disk and an extension unit extending from the attachment disk coupling unit; a foldable unit having one end hinged to an end of the extension unit to be in contact with the case body support unit or to be folded to be separated from the case body support unit; and a foldable unit support unit positioned at the other end of the foldable unit, serving as a holder in a state where one portion thereof is supported on the bottom, and serving as a handle during selfie camera photographing of a smartphone. The attachment disk coupling unit is formed in a C-shape in which an opening is formed at one side thereof to allow the attachment disk to be inserted and coupled thereto. In a state where the attachment disk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to be coupled to the attachment disk coupling unit, the attachment disk coupling unit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attachment disk and can be rotat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ttachment disk.

Description

거치대겸 셀카봉{Smart Phone Cradle Case for Self Camera}Holder and Selfie Stick {Smart Phone Cradle Case for Self Camera}

본 발명은 변형에 의해 스마트폰을 사용자가 혼자서 멀리 이격시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카메라의 셀프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셀카봉의 역할 수행 및 스마트폰을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대겸 셀카봉에 관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remotely move a smartphone alone by a modification, and thus serves as a selfie stick that enables self-photography of a camera using a smartphone, and a holder that allows a smartphone to function as a holder. It's about selfie sticks.

일반적으로 셀카봉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타인의 도움없이 자신의 모습과 배경을 적합하게 촬영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어 고안된 장치이다.In general, the selfie stick is a device designed because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using a smartphone to properly take a picture of yourself and the background without the help of others.

셀카봉의 일반적인 구성은 스마트폰을 거치시키는 거치부와, 거치부 하단에 연결되고 휴대시에는 길이를 짧게 유지하고 사용시에는 길이를 길게 연장시켜 사용하는 연장대가 구비되며, 상기 연장대는 신축이 가능한 봉형태로 되어 있다.The general configuration of the selfie stick is provided with a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a smartphone, an extension portion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to keep the length short when carrying, and to extend the length when using, and the extension rod is a flexible rod type It is made.

이러한 셀카봉은 스마트폰과 별개로 구비되는 부가장치이고 연장대가 신축가능한 봉형태로 되어 있어 스마트폰과 함께 휴대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These selfie sticks are additional device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smart phone, and the extension is in the form of a stretchable rod, which is not easy to carry with the smart phone.

한편, 스마트폰 케이스는 스마트폰을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탈착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스마트폰의 손상방지를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는 스마트폰과 거의 동등한 폭과 두께를 가지는게 통상적이므로 스마트폰 휴대시 스마트폰 케이스에 스마트폰이 수용된 상태로 휴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smart phone case is provided with a detachable part that allows the smart phone to be detached and serves to prevent damage to the smart phone. Since the smart phone case has a width and thickness that are almost the same as that of a smart phone, when carrying a smart phone, the smart phone case is carried in a state in which the smart phone is accommodated.

하지만, 셀카봉은 스마트폰과 함께 휴대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셀카봉을 스마트폰과 함께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셀카봉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However, since the selfie stick is not easy to carry with a smartphon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selfie stick that facilitates carrying the selfie stick with a smartphone.

한편,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을 거치되도록 하여 스마트폰을 손으로 들지 않은 상태에서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smartphone holder is to perform the role of allowing the smartphone to be mounted so that the smartphone can be used without lifting the smartphone by hand.

스마트폰 거치대는 셀카봉과 마찬가지로 스마트폰과 별개로 구비되는 부가장치이고, 대부분은 고정식으로 되어 있어 스마트폰과 함께 휴대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The smartphone holder, like the selfie stick, is an additional devic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smartphone, and most of the smartphone holders have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asy to carry with the smartphone.

스마트폰과 함께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도 있지만, 스마트폰의 거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에 그치고 있다. 스마트폰의 거치높이 조절하는 기능이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는 휴대성이 떨어져 사용자가 휴대하기를 꺼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더구나 셀카봉의 역할을 수행하는 기능은 전혀 없다.There are also smartphone holders that can be carried along with the smartphone, but they are limited to the ability to adjust the angle of the smartphone. A smartphone holder having a function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martphone has a problem in that the user is reluctant to carry it due to poor portability, and furthermore, there is no function to perform the role of a selfie stick.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한국등록특허 제10-1792412호(발명의 명칭: 거치대 겸용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가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is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792412 (invention name: smartphone case for a holder and a selfie) applied and registered by the applicant.

상기 거치대 겸용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는 스마트폰의 거치시 거치하는 과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The smartphone case for a selfie combined with the cradle has a complicated problem in the process of mounting when the smartphone is mounted.

또한, 셀카용으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 즉, 스마트폰만 가지고 다닐 경우에는 케이스를 스마트폰과 분리시켜야 하는데, 이때, 케이스본체를 스마트폰으로부터 완전히 제거시켜야 하므로 스마트폰을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케이스를 구비하여야 한다.In addition, when not used for selfies, that is, when carrying only a smartphone, the case must be separated from the smartphone. At this time, the case body must be completely removed from the smartphone. Should be equipp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의 거치시 거치하는 과정이 간단하고, 셀카용 및 거치용으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간편하게 분리시켜 스마트폰의 휴대를 용이하도록 하는 거치대겸 셀카봉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mplify the process of mounting when the smartphone is mounted, and if not used for selfie and mounting, simply separate the smartphone. It is to provide a holder and a selfie stick to facilitate portabilit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폰의 거치대용 및 셀카용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의 충전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대겸 셀카봉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lder and a selfie stick to perform the charging function of the smartphone, as well as for the holder and selfie of the smartphon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거치대겸 셀카봉은, 스마트폰(1)이 뉘어지도록 수용되는 공간이 구비된 케이스본체(2)의 배면에 부착되고, 원판으로 된 부착원판(10); 상기 부착원판(10)의 외주연에 탈부착되도록 결합되어 회전가능한 부착원판결합부(21)와,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로부터 상기 케이스본체(2)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2)로 이루어지는 케이스본체 지지부(20); 상기 케이스본체 지지부(20)와 접하거나 상기 케이스본체 지지부(20)로부터 이격가능하게 접철되도록 상기 케이스본체 지지부(20)의 상기 연장부(22) 단부에 일측단부가 힌지결합되며, 상기 케이스본체 지지부(20)를 지지하는 판상으로 된 접철부(30); 상기 접철부(30)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접철부(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접철부(30)를 지지하는 판상으로 되며, 후방면이 바닥에 지지된 상태에서는 거치대의 역할을 수행하고, 스마트폰(1)의 셀프 카메라 촬영시에는 손잡이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접철부 지지부(40); 상기 접철부(30)의 타측 단부와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의 일측단부 양쪽을 각각 연결하되, 상기 접철부(30)의 타측단부가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의 일측단부가 접하도록 하여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의 지지를 보조하거나, 상기 접철부(30)로부터 상기 접철부 지지부(40)를 이격시켜 상기 접철부(30) 및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와 함께 셀카봉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 1 신축봉(51) 및 제 2 신축봉(52);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lder and the selfie stick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body (2) provided with a space accommodated so that the smart phone (1), the attachment disk 10 of a disc; The attachment disk coupling part 21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attachment disk 10 and rotatable, and the extension part 22 extending from the attachment disk coupling part 21 outwardly of the case body 2 A case body support 20 made of; One end is hinged to an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22 of the case body support portion 20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case body support portion 20 or to be foldably spaced from the case body support portion 20, the case body support portion The plate-shaped folding part 30 supporting the 20; Located at the other end of the foldable portion 3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ldable portion 30 to form a plate supporting the foldable portion 30, and the role of the cradle when the rear surface is supported on the floor To perform, and when taking a self-portrait of the smartphone (1) Foldable support portion 40 to perform the role of a handle;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foldable portion 30 and one side end portion of the foldable portion support portion 40 are respectively connected, but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foldable portion 3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one side end portion of the foldable portion support portion 40. Supporting the support of the foldable portion 40, or separating the foldable portion 40 from the foldable portion 30 serves as a selfie stick together with the foldable portion 30 and the foldable portion 40 A first telescopic rod 51 and a second telescopic rod 52 to be performe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또한, 상기 부착원판(10)의 외주연에는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가 상기 부착원판(10)의 두께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걸림턱(11)이 형성되며,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는 상기 부착원판(10)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에 개구부(21a)가 형성된 C자형을 이루며, 상기 연장부(22)는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와 인접하는 부위에 상기 부착원판(10)과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의 결합시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의 상기 개구부(21a)가 벌어질 수 있도록 복수개의 절개부(22a)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attachment disk 10, in the state where the attachment disk coupling portion 21 is coupled, the attachment disk coupling portion 21 prevents the attachment disk 10 from devi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attachment disk 10 (11) is formed, the attachment disc coupling portion 21 forms a C-shape with an opening 21a formed on one side so that the attachment disc 10 can be inserted and coupled, and the extension portion 22 is the attachment When the attachment disk 10 and the attachment disk coupling portion 21 are coupled to a portion adjacent to the disk coupling portion 21, a plurality of incisions (eg, openings 21a) of the attachment disk coupling portion 21 may be opened. It characterized in that 22a) is provided.

또,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의 중앙부위에 수용 구비되고,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에 수용되거나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의 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접철되도록 상기 접철부(30)와 근접하는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의 상부부위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접철부 지지부(40)가 상기 접철부(30)로부터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와 "∧"자형태로 이루도록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의 후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접철부 지지부(40) 후방을 지지하도록 하여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와 함께 상기 케이스본체 지지부(20)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케이스본체 지지부(20)의 부착원판결합부(21)에 결합된 부착원판(10)에 부착된 상기 케이스본체(2)에 수용된 스마트폰(1)을 지지하도록 하고, 접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와 거치대 및 손잡이 역할을 수행하는 접철부 지지부용 후방지지부(6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provid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oldable portion support portion 40, is accommodated in the foldable portion support portion 40 or close to the foldable portion 30 so as to be foldably foldable to the rear of the foldable portion support portion 40 The hinge portion is hing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40, and the folding portion support portion 40 is rotated to be inclined forward from the folding portion 30 and the folding portion support 40 and "∧" The case main body is supported by the case body support part 20 together with the fold part support part 40 by being rotated to the rear side of the fold part support part 40 to support the fold part support part 40 so as to form a letter shape. To support the smart phone (1) accommodated in the case body (2) attached to the attachment disk (10) coupled to the attachment disk coupling portion (21) of the support portion (20), and in the folded state, the folding support (40) ) And a rear support portion 60 for a foldable portion supporting portion that serves as a cradle and a handle; is further provided.

아울러, 상기 접철부 지지부용 후방지지부(60)는, 상부가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의 상부부위와 힌지결합되며, 하부부위에 삽입부(61a)가 구비된 상부 후방지지부(61)와, 상기 상부 후방지지부(61)의 하부에 구비되고, 양쪽에 상기 상부 후방지지부(61)의 삽입부(61a)가 삽입결합되며 상기 삽입부(61a)의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쌍의 삽입부 결합가이드(62a)가 구비된 하부 후방지지부(6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ar support portion 60 for the foldable portion support portion, the upper portion is hinged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oldable portion support portion 40, and the upper rear support portion 61 provided with an insertion portion 61a in the lower portion, A pair of insert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rear support portion 61, the insertion portions 61a of the upper rear support portions 61 are inserted and coupled to both sides to enable the insertion and withdrawal of the insertion portions 61a.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lower rear support portion 62 is provided with a coupling guide (62a).

또, 상기 하부 후방지지부(62)는 상기 한쌍의 삽입부 결합가이드(62a) 내측에 상기 삽입부(61a)의 인입출 방향으로 다수개의 걸림홈(62b)이 이격형성되고, 상기 상부 후방지지부(61)의 삽입부(61a)는, 하부부위에 상기 걸림홈(62b)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 후방지지부(62)를 상기 상부 후방지지부(61)에 고정되도록 하는 상기 걸림돌기(61b)가 구비되며, 상기 걸림돌기(61b)가 포함되도록 "

Figure pat00001
"자형으로 된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61a)의 인입출 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의 누름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61b)가 상기 걸림홈(62b)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상기 삽입부(61a)의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편(61c)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wer rear support portion 62 has a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62b spaced apart in the direction of the insertion and exit of the insertion portion 61a inside the pair of insertion portion coupling guides 62a, and the upper rear support portion ( The insertion portion 61a of 61) is provided with the locking protrusion 61b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62b in the lower portion to fix the lower rear supporting portion 62 to the upper rear supporting portion 61, , So that the engaging projection (61b) is included"
Figure pat00001
"It is formed by cutting in the shape of a letter, and the pressing protrusion 61b is spaced apart from the locking groove 62b by press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serting portion 61a is drawn in and ou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n elastic piece (61c) to enable the insertion and withdrawal of.

아울러, "

Figure pat00002
"형상으로 되며 내측이 상기 하부 후방지지부(62)의 하단부위 외측에 힌지결합되며 회동되어 바닥에 접하여 상기 하부 후방지지부(62)의 지지를 보조하는 하부 후방지지부 보조지지부(63)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ogether, "
Figure pat00002
"It is a shape, the inner side is hinged to the outside of the lower end of the lower rear support portion 62 and is rotated to contact the floor, the lower rear support portion auxiliary support portion 63 is further provided to assist the support of the lower rear support portion 62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에는 상기 스마트폰을 충전하기 위한 보조배터리(70)가 내부에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olding unit support 4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ary battery 70 for charging the smartphone is mounted therein.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거치대겸 셀카봉은 거치대 및 셀카봉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스마트폰 케이스에 결합하여 사용하게 되고, 거치대 및 셀카봉으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간편하게 분리시켜 스마트폰 케이스만 휴대하게 되므로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The cradle and selfie stick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used in combination with a smartphone case when used as a cradle and a selfie stick, and when not used as a cradle and a selfie stick, it is easily separated to carry only the smartphone case This is a very convenient advantage.

아울러, 스마트폰의 거치시 거치하는 과정이 간단하여 사용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easy to use because the process of mounting the smartphone is simple.

아울러, 스마트폰을 떨어뜨리는 경우에 스마트폰 케이스로부터 분리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므로 낙하에 의한 스마트폰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smart phone is dropped, it absorbs the shock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smart phone case, thereby minimizing damage to the smart phone due to falling.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거치대겸 셀카봉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부착원판으로부터 케이스본체 지지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부착원판에 케이스본체 지지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스마트폰을 가로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대의 역할을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하부 후방지지부와 상부 후방지지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거치대겸 셀카봉이 셀카용으로 사용되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거치대겸 셀카봉이 충전에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A to 1C are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holder and the selfie stic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se body support is separated from the mounting disk.
Figure 2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se body support is coupled to the attachment disk.
3A to 3D are views showing a state of performing a role of a holder to be mounted in a state in which the smartphone is placed in a horizontal direction.
4A and 4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lower rear support portion and the upper rear support portion.
5A to 5B are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in which the holder and the selfie stick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for selfies.
6A and 6B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er and the selfie stick are used for charging.

이하, 본 발명의 거치대겸 셀카봉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holder and the selfie stick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거치대겸 셀카봉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a는 부착원판으로부터 케이스본체 지지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b는 부착원판에 케이스본체 지지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a 내지 도 3d는 스마트폰을 가로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대의 역할을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a 및 도 4b는 하부 후방지지부와 상부 후방지지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거치대겸 셀카봉이 셀카용으로 사용되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a 및 도 6b는 거치대겸 셀카봉이 충전에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A to 1C are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holder and a selfie stick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A is a view showing a case body support part separated from an attachment disk, and FIG. 2B is a case body support coupled to the attachment disk 3A to 3D are views showing a state of performing a role of a holder for mounting a smartphone in a horizontally erected state, and FIGS. 4A and 4B are a lower rear support and an upper rear support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FIGS. 5A to 5B are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in which the cradle and selfie stick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for selfie, and FIGS. 6A and 6B show the state in which the cradle and selfie stick are used for charging. It is a drawing.

본 발명에 의한 거치대겸 셀카봉은, 부착원판(10); 케이스본체 지지부(20); 접철부(30); 접철부 지지부(40); 제 1 신축봉(51) 및 제 2 신축봉(5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holder and the selfie sti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ttached disc 10; Case body support portion 20; Folding part 30; Folding support portion 40; It comprises a; first telescopic rod 51 and the second telescopic rod (52).

케이스본체(2)는 스마트폰(1)이 뉘어지도록 수용되는 공간이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본체(2)는 전면으로 스마트폰(1)을 삽입하여 스마트폰의 테두리를 고정하며 스마트폰(1)의 배면을 커버하는 일반적인 케이스이다.The case body 2 is provided with a space accommodated so that the smartphone 1 is laid. The case body (2) is a general case that inserts the smartphone (1) to the front to fix the border of the smartphone and covers the back of the smartphone (1).

상기 부착원판(10)은 상기 케이스본체(2)의 배면에 부착되고, 원판으로 된다. 상기 부착원판(10)과 케이스본체(2)와의 부착은 리벳형태로 부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양면테이프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ttachment disk 10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body 2 and becomes a disk. The attachment disk 10 and the case body 2 may be attached in the form of rivets, but preferably attached to double-sided tape.

상기 케이스본체 지지부(20)는 부착원판결합부(21)와, 연장부(22)로 이루어진다.The case body support portion 20 is composed of an attachment disc coupling portion 21 and an extension portion 22.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는, 상기 부착원판(10)의 외주연에 탈부착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부착원판(10)으로부터 회전가능하다.The attachment disk coupling portion 21 is coupl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attachment disk 10 and is rotatable from the attachment disk 10.

상기 연장부(22)는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로부터 상기 케이스본체(2)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연장부(22)의 단부부위에는 접철부(30)가 힌지결합된다.The extension portion 22 extends from the attachment disc coupling portion 21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case body 2. The folding portion 30 is hinged to an end por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22.

상기 접철부(30)는, 상기 케이스본체 지지부(20)와 접하거나 상기 케이스본체 지지부(20)로부터 이격가능하게 접철되도록 상기 케이스본체 지지부(20)의 상기 연장부(22) 단부에 일측단부가 힌지결합되며, 상기 케이스본체 지지부(20)를 지지하는 판상으로 된다.The foldable portion 30 has one end at the end por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22 of the case body support portion 20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case body support portion 20 or to be foldably spaced from the case body support portion 20. It is hinged, and is in the form of a plate supporting the case body support 20.

상기 접철부 지지부(40)는, 상기 접철부(30)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접철부(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접철부(30)를 지지하는 판상으로 된다. 상기 접철부 지지부(40)는 후방면이 바닥에 지지된 상태에서는 거치대의 역할을 수행하고, 스마트폰(1)의 셀프 카메라 촬영시에는 손잡이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다.The foldable portion support portion 40 is positioned at the other end of the foldable portion 30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ldable portion 30 to form a plate that supports the foldable portion 30. The foldable support portion 40 serves as a holder when the rear surface is supported on the floor, and serves as a handle when taking a selfie of the smartphone 1.

상기 제 1 신축봉(51) 및 제 2 신축봉(52)은, 상기 접철부(30)의 타측 단부와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의 일측단부 양쪽을 각각 연결하되, 상기 접철부(30)의 타측단부가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의 일측단부가 접하도록 하여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의 지지를 보조하거나, 상기 접철부(30)로부터 상기 접철부 지지부(40)를 이격시켜 상기 접철부(30) 및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와 함께 셀카봉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다.The first telescopic rod 51 and the second telescopic rod 52 connect both ends of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foldable portion 30 and one side end portion of the foldable portion support portion 40, respectively, and the foldable portion 30 The other end of the fold so that one side end of the fold part support 40 is in contact with the support of the fold part support 40, or the fold part 30 is spaced apart from the fold part 30 to fold the fold Together with the portion 30 and the foldable support portion 40 to serve as a selfie stick.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거치대겸 셀카봉은 다음과 같이 사용되게 된다.The holder and the selfie stick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used as follows.

스마트폰(1)이 뉘어지도록 수용되는 공간이 구비된 케이스본체(2)를 회전시키면 도 1a의 상태가 된다. 도 1a의 상태에서 케이스본체(2)를 예각으로 회동시키면, 케이스본체 지지부(20)의 부착원판결합부(21)가 부착원판(10)에 결합되어 있고 케이스본체 지지부(20)의 연장부(22)는 접철부(30)에 힌지결합되므로, 접철부(30)로부터 케이스본체 지지부(20)가 회동되게 되며, 도 1b의 상태가 되게 된다. 도 1b의 상태에서 케이스본체(2)를 더 회동시켜 케이스본체(2)가 접철부(30)와 둔각을 이루게 되면 도 1c의 상태가 된다. 도 1c는 후술할 도 5a와 동일한 상태이다. 후술하겠지만, 도 5a의 상태에서는 스마트폰이 가로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지지하는 스마트폰 거치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Rotating the case body 2 with a space accommodated so that the smart phone 1 is laid is in the state of FIG. 1A. When the case body 2 is rotated at an acute angle in the state of FIG. 1A, the attachment disk coupling portion 21 of the case body support 20 is coupled to the attachment disk 10 and an extension 22 of the case body support 20 ) Is hinged to the foldable portion 30, so that the case body support portion 20 is rotated from the foldable portion 30, and is in the state of FIG. 1B. When the case body 2 is further rotated in the state of FIG. 1B so that the case body 2 forms an obtuse angle with the folding part 30, the state of FIG. 1C is obtained. 1C is in the same state as in FIG. 5A to be described later.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state of FIG. 5A,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role of a smartphone holder supporting the smartphone in a horizontally erected state.

도 2a는 부착원판(10)으로부터 케이스본체 지지부(20)의 부착원판결합부(21)가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b는 부착원판(10)에 케이스본체 지지부(20)의 부착원판결합부(21)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2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ttachment disk coupling portion 21 of the case body support 20 is separated from the attachment disk 10, and FIG. 2B is an attachment disk coupling part of the case body support 20 to the attachment disk 10 (21) is a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도면에서와 같이, 부착원판(10)으로부터 케이스본체 지지부(20)의 부착원판결합부(21)를 분리시키면 케이스본체(2)는 부착원판(10)이 부착된 상태로 휴대할 수 있게 되며 케이스본체(2)는 스마트폰을 수용하여 보호하는 케이스 본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attachment disk coupling portion 21 of the case body support 20 is separated from the attachment disk 10, the case body 2 can be carried while the attachment disk 10 is attached, and the case body (2) will be able to perform the role of the intrinsic case to accommodate and protect the smartphone.

분리된 장치는 케이스본체(2)와 별도로 휴대하도록 하며 스마트폰 거치대 및 셀카봉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케이스본체 지지부(20)의 부착원판결합부(21)를 부착원판(10)에 결합시켜 사용하면 된다.The separated device is to be carried separately from the case body 2, and when a smartphone holder and a selfie stick are needed, the attachment disk coupling portion 21 of the case body support 20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attachment disk 10.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가 상기 부착원판(10)에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는 개구부(21a)가 형성된 C자형으로 되고, 상기 연장부(22)는 절개부(22a)가 구비되도록 한다(도 2a 참조).In order to facilitate attachment of the attachment disk coupling portion 21 to the attachment disk 10, the attachment disk coupling portion 21 is C-shaped with an opening 21a formed therein, and the extension portion 22 is an incision. (22a) is to be provided (see Figure 2a).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는 상기 부착원판(10)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에 개구부(21a)가 형성된 C자형을 이룬다.The attachment disk coupling portion 21 forms a C-shape with an opening 21a formed at one side so that the attachment disk 10 can be inserted and coupled.

상기 연장부(22)는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와 인접하는 부위에 상기 부착원판(10)과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의 결합시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의 상기 개구부(21a)가 벌어질 수 있도록 복수개의 절개부(22a)가 구비된다.The extension part 22 has the opening 21a of the attachment disk coupling part 21 when the attachment disk 10 and the attachment disk coupling part 21 are joined to a portion adjacent to the attachment disk coupling part 21. A plurality of incisions 22a are provided to be opened.

상기 연장부(22)는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가 상기 부착원판(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부착원판(10)으로부터 분리된 후에 상기 절개부(22a)에 의해 벌어진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의 상기 개구부(21a)가 결합전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xtension part 22 is the attachment disk coupling part opened by the incision part 22a after being detached from the attachment disk 10 in a state where the attachment disk coupling part 21 is coupled to the attachment disk 10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ning 21a of 21)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o that it can be restored to the state before bonding.

아울러, 상기 부착원판(10)의 외주연에는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가 상기 부착원판(10)의 두께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걸림턱(11)이 형성되도록 한다(도 3a 참조).In addition,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attachment disk 10, the attachment disk coupling portion 21 is coupled with a locking jaw to prevent the attachment disk coupling portion 21 from devi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attachment disk 10 (11) is formed (see Fig. 3a).

또한, 상기 부착원판(10)의 외주연에는 상기 부착원판(10)에 결합되는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상기 베어링이 구비되어도 무방하다.In additi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attachment disk 10 may be provided with the bearing so that the rotation of the attachment disk coupling portion 21 coupled to the attachment disk 10 is easy.

아울러, 상기 부착원판(10)의 외주연에는, 상기 연장부(22)의 연장방향과 케이스본체(10)의 가로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90도가 되는 위치에서, 딸깍하고 걸리도록 걸림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상응하는 위치에 걸림홈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걸림돌기 및 걸림홈에 의해 스마트폰을 가로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거치되도록 하거나 셀프 촬영을 위한 스마트폰의 각도 조절이 용이하게 된다.In addition,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attachment disk 10, a locking projection is provided so that it clicks and catches at a position where the angle betwee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22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case body 10 is 90 degrees, It is preferable that the attachment disc engaging portion 21 is provided with a locking groov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projection. It is easy to adjust the angle of the smartphone for self-photography or to mount the smartphone in a horizontally erected state by such a locking protrusion and a locking groove.

케이스본체(2)를 회동시켜 케이스본체(2)가 접철부(30)와 둔각을 이루게 되는 도 1c의 상태(도 5a와 동일한 상태임)에서는 접철부(30)와 접철부 지지부(40)를 바닥에 접한 상태로 두면 그 자체만으로 스마트폰(1)을 가로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거치되도록 하게 된다.In the state of FIG. 1C (which is in the same state as in FIG. 5A) in which the case body 2 is rotated to form an obtuse angle with the folding part 30, the folding part 30 and the folding part support 40 are used. If it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floor, the smartphone 1 itself is mounted in a horizontally erected state.

도 1c 및 도 5a의 상태는 스마트폰(1)이 거치된 상태의 위치가 낮은 상태가 이다.1c and 5a is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smartphone 1 is mounted is low.

도 1c 및 도 5a의 상태보다 스마트폰(1)이 거치된 상태의 위치가 높도록 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은 접철부 지지부(40)에 접철부 지지부용 후방지지부(60)가 구비되도록 한다.In order to make the position of the smartphone 1 mounted higher than that of FIGS. 1C and 5A,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folding supporter 40 to be provided with a rear support 60 for the folding support.

상기 접철부 지지부용 후방지지부(60)는,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의 중앙부위에 수용 구비되고,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에 수용되거나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의 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접철되도록 상기 접철부(30)와 근접하는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의 상부부위에 힌지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접철부 지지부용 후방지지부(60)는, 상기 접철부 지지부(40)가 상기 접철부(30)로부터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와 "∧"자형태로 이루도록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의 후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접철부 지지부(40) 후방을 지지하도록 하여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와 함께 상기 케이스본체 지지부(20)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케이스본체 지지부(20)의 부착원판결합부(21)에 결합된 부착원판(10)에 부착된 상기 케이스본체(2)에 수용된 스마트폰(1)을 지지하도록 하고, 접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와 거치대 및 손잡이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The rear support portion 60 for the foldable support portion is accommodat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oldable support portion 40 and is accommodated in the foldable support portion 40 or rotatably to the rear of the foldable support portion 40. It is hing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oldable portion support portion 40 adjacent to the foldable portion 30 so as to be folded. In addition, the rear support portion 60 for the foldable portion support, the foldable portion support portion 40 and the foldable portion 40 in a state in which the foldable portion is rotated to be inclined forward from the foldable portion 30 and a "∧" shape The case body support part is supported by supporting the case body support part 20 together with the fold part support part 40 so as to support the rear part of the fold part support part 40 by being rotated to the rear of the fold part support part 40 to achieve 20) to support the smart phone (1) accommodated in the case body (2) attached to the attachment disc (10) coupled to the attachment disc coupling portion (21), and in the folded state, the folding portion support (40) and It will act as a cradle and handle.

아울러, 상기 접철부 지지부용 후방지지부(60)는, 상부 후방지지부(61)와, 하부 후방지지부(62)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ear support portion 60 for the foldable support portion is preferably composed of an upper rear support portion 61 and a lower rear support portion 62.

상기 상부 후방지지부(61)는 상부가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의 상부부위와 힌지결합되며, 하부부위에 삽입부(61a)가 구비된다.The upper rear support portion 61 is hinged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foldable portion support portion 40, and an insertion portion 61a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상기 하부 후방지지부(62)는 상기 상부 후방지지부(61)의 하부에 구비되고, 양쪽에 상기 상부 후방지지부(61)의 삽입부(61a)가 삽입결합되며 상기 삽입부(61a)의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쌍의 삽입부 결합가이드(62a)가 구비된다.The lower rear support portion 62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rear support portion 61, the insertion portion 61a of the upper rear support portion 61 is inserted and coupled to both sides, the insertion and withdrawal of the insertion portion 61a A pair of insertion guide 62a is provided to enable this.

또한, 상기 하부 후방지지부(62)는 상기 한쌍의 삽입부 결합가이드(62a) 내측에 상기 삽입부(61a)의 인입출 방향으로 다수개의 걸림홈(62b)이 이격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상부 후방지지부(61)의 삽입부(61a)는, 하부부위에 상기 걸림홈(62b)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 후방지지부(62)를 상기 상부 후방지지부(61)에 고정되도록 하는 상기 걸림돌기(61b)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부 후방지지부(61)의 삽입부(61a)는, 상기 걸림돌기(61b)가 포함되도록 "

Figure pat00003
"자형으로 된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61a)의 인입출 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의 누름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61b)가 상기 걸림홈(62b)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상기 삽입부(61a)의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편(61c)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접철부 지지부용 후방지지부(60)가 상부 후방지지부(61)와, 하부 후방지지부(62)로 이루어져 하부 후방지지부(62)의 삽입부(61a)의 인입 및 입출이 가능하게 되면 스마트폰의 거치높이 및 세움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lower rear support portion 62 is preferably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62b) are spaced apart in the direction of the insertion and exit of the insertion portion (61a) inside the pair of insertion portion coupling guide (62a). In addition, the insertion portion 61a of the upper rear support portion 61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62b in the lower portion to fix the lower rear support portion 62 to the upper rear support portion 61 Group 61b is provided. In addition, the insertion portion (61a) of the upper rear support portion 61, so that the locking projections (61b) is included"
Figure pat00003
"It is formed by cutting in the shape of a letter, and the pressing protrusion 61b is spaced apart from the locking groove 62b by press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serting portion 61a is drawn in and out. ) It is preferable that the elastic piece 61c is provided to allow the inlet and the inlet. As described above, the rear support portion 60 for the foldable support portion is provided as the upper rear support portion 61 and the lower rear support portion 62. Consisting of the insertion and exit of the insertion portion 61a of the lower rear support portion 62,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mounting height and angle of the smartphone.

아울러, 상기 하부 후방지지부(62)의 지지면적을 넓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하부 후방지지부(62)의 하단부위에 하부 후방지지부 보조지지부(63)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support area of the lower rear support portion 62 so as to be stably suppor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rear support portion auxiliary support portion 63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rear support portion 62.

상기 하부 후방지지부 보조지지부(63)는, "

Figure pat00004
"형상으로 되며 내측이 상기 하부 후방지지부(62)의 하단부위 외측에 힌지결합되며 회동되어 바닥에 접하여 상기 하부 후방지지부(62)의 지지를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The lower rear support auxiliary support 63, "
Figure pat00004
"It is shaped and the inner side is hinged to the outside of the lower end of the lower rear support portion 62 and rotated to contact the floor and serve to assist the support of the lower rear support portion 62.

상기 하부 후방지지부 보조지지부(63)의 하단은 상기 하부 후방지지부(62)보다 낮도록 결합되므로, 상기 하부 후방지지부(62)가 바닥에 접하게 되면 상기 하부 후방 지지부 보조지지부(63)는 힌지결합부위를 중심으로 자연스럽게 회동되어 바닥에 접하게 되어 상기 하부 후방지지부(62)의 지지면적을 넓혀지도록 하게 되어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지게 된다.Since the lower end of the lower rear supporting portion 63 is lower than the lower rear supporting portion 62, when the lower rear supporting portion 62 is in contact with the floor, the lower rear supporting portion auxiliary supporting portion 63 is a hinge coupling portion It is naturally rotated around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loor, so that the support area of the lower rear support portion 62 is widened, so that stable support is achieved.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에는 상기 하부 후방지지부(62)가 후방으로 회동되기 전의 상태에서 상기 하부 후방 지지부 보조지지부(63)가 안착되는 안착부(41)가 구비되고, 상기 안착부(41)에는 자석(41a)이 구비되며(도 4a 및 도 4b 참조), 상기 하부 후방 지지부 보조지지부(63)에는 상기 자석(41a)에 부착될 수 있는 자성체(63a)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자석(41a) 및 자성체(63a)를 구비함으로써, 거치대의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하부 후방지지부(62)가 후방으로 회동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할 수 있다.The foldable support portion 40 is provided with a seating portion 41 on which the lower rear supporting portion auxiliary support portion 63 is seated in a state before the lower rear supporting portion 62 is rotated backward, and the seating portion 41 is provided. The magnet 41a is provided (see FIGS. 4A and 4B ), and the lower rear support portion auxiliary support portion 63 is provided with a magnetic body 63a that can be attached to the magnet 41a. By providing the magnet 41a and the magnetic body 63a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unction of the cradle is not used, it is possible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lower rear support portion 62 to the rear.

도 3a 내지 도 3d는 스마트폰을 가로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대의 역할을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c 및 도 5a의 상태보다 스마트폰(1)이 거치된 상태의 위치가 높도록 하기 위한 작동상태를 나타낸다.3A to 3D are views showing a state of performing a role of a holder to be mounted in a state in which the smartphone is erec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position of the state in which the smartphone 1 is mounted is more than that of FIGS. 1C and 5A It shows the operating condition to make it high.

도 1a의 상태에서 케이스본체(2)를 회동시켜 케이스본체(2)가 접철부(30)와 둔각을 이루는 도 1c에서와 같은 도 3a의 상태에서,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의 중앙부위에 수용 구비된 접철부 지지부용 후방지지부(60)가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와 "∧"자형태로 이루도록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의 후방으로 회동되도록 하여 상기 접철부 지지부(40) 후방을 지지하도록 하면 도 3b의 상태가 된다. 도 3b의 상태에서 상기 하부 후방지지부(62)의 하단부위 외측에 힌지결합되는 하부 후방지지부 보조지지부(63)를 회동시켜 바닥에 접하도록 하게 되면 도 3c의 상태가 되게 된다. 스마트폰의 거치높이 및 세움각도 조절을 위해 상기 삽입부(61a)의 인출 길이를 조절하도록 하면 도 3d와 같은 상태가 된다.In the state of FIG. 3A, as in FIG. 1C, in which the case body 2 rotates in an obtuse angle with the folding part 30 by rotating the case body 2 in the state of FIG. 1A,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olding part support 40 The rear support portion 60 for the foldable portion supporting portion accommodated is rotated to the rear of the foldable portion supporting portion 40 so as to be formed in a "∧" shape with the foldable portion supporting portion 40, so that the foldable portion supporting portion 40 is rearward. When it is supported, it becomes the state of FIG. 3B. In the state of FIG. 3B, when the lower rear support auxiliary support 63 hinged to the outside of the lower end of the lower rear support 62 is rotated to contact the floor, the state of FIG. 3C is obtained. To adjust the withdrawal length of the insertion portion 61a to adjust the mounting height and the angle of erecting of the smartphone, the state is as shown in FIG. 3D.

도 4a 및 도 4b는 하부 후방지지부(62)와 상부 후방지지부(61)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4A and 4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lower rear support portion 62 and the upper rear support portion 61.

도 4a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 후방지지부(62)에 걸림홈(62b)이 구비되며, 삽입부 결합가이드(62a)에 삽입부(61a)가 삽입결합되는 것을 나타낸다.As shown in Figure 4a, the lower rear support portion 62 is provided with a locking groove (62b), it is shown that the insertion portion 61a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coupling guide (62a).

도 4b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 후방지지부(61)에 "

Figure pat00005
"자형으로 절개된 탄성편(61c)이 구비되며, 상기 탄성편(61c)에는 도 4a에 도시된 걸림홈(62b)에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돌기(61b)가 구비된다.As shown in Figure 4b, the upper rear support (61) "
Figure pat00005
The elastic piece 61c cut into a shape is provided, and the elastic piece 61c is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61b that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62b shown in FIG. 4A.

상기 걸림홈(62b)으로부터 상기 걸림돌기(61b)가 이격되게 되면 상기 삽입부(61a)의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걸림홈(62b)으로부터 상기 걸림돌기(61b)가 이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탄성편(61c)을 눌러 이격되도록 한다.When the locking projections 61b are separated from the locking grooves 62b, the insertion and removal of the insertion portion 61a is possible. In order to space the locking projections 61b from the locking grooves 62b, the elastic pieces 61c are pressed to be spaced apart.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접철부(30) 및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에는 상기 케이스본체 지지부(20)와 접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본체 지지부(20)가 수용되도록 하는 케이스본체 지지부 수용홈(80)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본체 지지부 수용홈(80)에 상기 케이스본체 지지부(20)가 수용되게 되면 상기 접철부(30) 및 상기 접철부 지지부(40)가 접철된 상태에서 케이스본체(2)의 배면에 접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케이스본체 지지부(20)의 노출을 최대한 줄일 수 있게 되어 미관을 해치지 않게 된다.In addition, the case body support portion receiving groove 80 so that the case body support portion 20 is accommodated in the state in contact with the case body support portion 20 in the folding portion 30 and the folding portion support portion 40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is is provided. When the case body support portion 20 is accommodated in the case body support portion receiving groove 80, the folded portion 30 and the folded portion support portion 40 may be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body 2 in a folded stat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xposure of the case body support portion 20 as much as possible so as not to harm the aesthetics.

또한, 상기 접철부(30) 및 상기 접철부 지지부(40)는, 두께가 서로 동일하며, 동일평면 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oldable portion 30 and the foldable portion support portion 40 have the same thickness and are preferably located on the same plane.

도 5a는 스마트폰(1)을 가로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거치되도록 하는 상태를 나타내지만, 셀카봉으로 사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5a의 상태에서 접철부 지지부(40)를 상기 접철부(30)로부터 이격되도록 잡아 빼면 상기 제 1 신축봉(51) 및 제 2 신축봉(52)이 동시에 신장되게 되며, 상기 접철부 지지부(40)가 셀카봉의 손잡이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셀프 촬영을 하면 된다.5A shows a state in which the smartphone 1 is mounted in a horizontally erected state, but shows a state before being used as a selfie stick. In the state of FIG. 5A, when the foldable support portion 40 is pulled apart from the foldable portion 30, the first stretchable rod 51 and the second stretchable rod 52 are simultaneously stretched, and the foldable support portion ( 40) will serve as the handle of the selfie stick. In this state, you can take a self-portrait.

본 발명은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에 상기 스마트폰을 충전하기 위한 보조배터리(70)가 내부에 탑재된 것이 바람직하다(도 4a 및 도 4b 참조).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n auxiliary battery 70 for charging the smart phone is mounted inside the foldable support portion 40 (see FIGS. 4A and 4B ).

도 6a는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에 탑재된 보조배터리(70)를 충전하도록 하는 충전포트(42)가 구비되며, 보조배터리(70)로부터 스마트폰을 충전하도록 할 수 있는 충전용포트가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에 구비된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에는 케이스본체 지지부(20)의 부착원판결합부(21)를 부착원판(10)으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사용자의 스마트폰 또는 다른 사람의 스마트폰을 충전할 수 있게 된다.6A is provided with a charging port 42 for charging the auxiliary battery 70 mounted on the foldable support 40, and a charging port capable of charging a smartphone from the auxiliary battery 70 is It shows what is provided in the foldable part support part 40.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charge the user's smart phone or another person's smart phone in a state in which the attachment disc engaging portion 21 of the case body support 20 is separated from the attachment disc 10.

도 6b는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에 탑재된 보조배터리(70)로부터 거치된 스마트폰에 충전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에는 스마트폰을 거치한 상태에서 충전을 수행하면서 스마트폰의 작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6B shows a state in which the smartphone mounted from the auxiliary battery 70 mounted on the foldable support 40 is charged.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smartphone while charging while the smartphone is mounted.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The technical idea should not be interpreted to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the scope of application is variou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implemented at the level of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Accordingly, such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 : 스마트폰 2 : 케이스본체
10 : 부착원판 20 : 케이스본체 지지부
21 : 부착원판결합부 21a : 개구부
22 : 연장부 22 : 절개부
30 : 접철부 40 : 접철부 지지부
51 : 제 1 신축봉 52 : 제 2 신축봉
60 : 접철부 지지부용 후방지지부 61 : 상부 후방지지부
61a : 삽입부 61b : 걸림돌기
62 : 하부 후방지지부 62a : 삽입부 결합가이드
62b : 걸림홈 61c : 탄성편
63 : 하부 후방지지부 보조지지부 70 : 보조배터리
80 : 케이스본체 지지부 수용홈
1: Smartphone 2: Case body
10: mounting disc 20: case body support
21: mounting disc coupling portion 21a: opening
22: extension 22: incision
30: foldable portion 40: foldable portion support
51: first extension rod 52: second extension rod
60: rear support for foldable support 61: upper rear support
61a: Insertion portion 61b: Jam
62: lower rear support portion 62a: insertion portion coupling guide
62b: engaging groove 61c: elastic piece
63: lower rear support section auxiliary support section 70: auxiliary battery
80: case body support groove

Claims (8)

스마트폰(1)이 뉘어지도록 수용되는 공간이 구비된 케이스본체(2)의 배면에 부착되고, 원판으로 된 부착원판(10);
상기 부착원판(10)의 외주연에 탈부착되도록 결합되어 회전가능한 부착원판결합부(21)와,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22)를 포함하는 케이스본체 지지부(20);
상기 케이스본체 지지부(20)와 접하거나 상기 케이스본체 지지부(20)로부터 이격가능하게 접철되도록 상기 연장부(22) 단부에 일측단부가 힌지결합되는 접철부(30); 및
상기 접철부(30)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고, 일부분이 바닥에 지지된 상태에서는 거치대의 역할을 수행하고, 스마트폰(1)의 셀프 카메라 촬영시에는 손잡이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접철부 지지부(40)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는 상기 부착원판(10)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에 개구부(21a)가 형성된 C자형을 이루며,
상기 부착원판(10)이 상기 개구부(21a)에 삽입되어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는 상기 부착원판(10)의 외주연과 접하며 상기 부착원판(10)의 원주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겸 셀카봉.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body (2) is provided with a space accommodated so that the smart phone (1) is laid, the original disc (10) of a disc;
A case body support portion 20 including a rotatable attachment disc coupling portion 21 and an extension portion 22 extending from the attachment disc coupling portion 21 coupl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an outer periphery of the attachment disc 10;
A folding part 30 in which one end is hinged to an end of the extension part 22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case body support part 20 or to be folded away from the case body support part 20; And
Located on the other end of the fold 30, a portion of the fold that supports the fold while in the state supported by the floor, and the fold fold support 40 to serve as a handle when taking a self-portrait of the smartphone 1 Including,
The attachment disk coupling portion 21 forms a C-shape with an opening 21a formed at one side so that the attachment disk 10 can be inserted and coupled,
In the state that the attachment disk 10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21a and coupled with the attachment disk coupling portion 21, the attachment disk coupling portion 21 contacts the outer periphery of the attachment disk 10 and the attachment disk (10) A holder and a selfie stick, which are rotatabl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원판(10)의 외주연에는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가 상기 부착원판(10)의 두께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걸림턱(11)이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22)는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와 인접하는 부위에 상기 부착원판(10)과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의 결합시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의 상기 개구부(21a)가 벌어질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22a)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겸 셀카봉.
According to claim 1,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attachment disk 10, in the state where the attachment disk coupling portion 21 is coupled, the locking jaw 11 prevents the attachment disk coupling portion 21 from devi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attachment disk 10 ) Is formed,
The extension part 22 has the opening 21a of the attachment disk coupling part 21 when the attachment disk 10 and the attachment disk coupling part 21 are joined to a portion adjacent to the attachment disk coupling part 21. A holder and a selfie stick,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incision (22a) is provided to be open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30)의 타측 단부와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의 일측단부 양쪽을 각각 연결하되, 상기 접철부(30)의 타측단부가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의 일측단부가 접하도록 하여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의 지지를 보조하거나, 상기 접철부(30)로부터 상기 접철부 지지부(40)를 이격시켜 상기 접철부(30) 및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와 함께 셀카봉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 1 신축봉(51) 및 제 2 신축봉(5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겸 셀카봉.
According to claim 1,
The other end of the foldable portion 30 and one side end of the foldable portion support portion 40 are respectively connected, but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foldable portion 3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one side end portion of the foldable portion support portion 40. Supporting the support of the foldable portion 40, or separating the foldable portion 40 from the foldable portion 30 serves as a selfie stick together with the foldable portion 30 and the foldable portion 40 A first holder and a selfie stic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he first telescopic rod 51 and the second telescopic rod (52) to be perform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의 중앙부위에 수용 구비되고,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에 수용되거나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의 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접철되도록 상기 접철부(30)와 근접하는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의 상부부위에 힌지결합되는 접철부 지지부용 후방지지부(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겸 셀카봉.
According to claim 1,
It is provid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oldable portion support portion 40, is accommodated in the foldable portion support 40 or the foldable portion supporting portion 40 so as to be foldable to the rear of the foldable portion support portion 40 to close the foldable portion 30 A holder and a selfie stick further comprising; a rear support portion 60 for a foldable portion support portion hing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oldable portion support portion 4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 지지부용 후방지지부(60)는, 상기 접철부 지지부(40)가 상기 접철부(30)로부터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와 "∧"자형태로 이루도록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의 후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접철부 지지부(40) 후방을 지지하도록 하여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와 함께 상기 케이스본체 지지부(20)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케이스본체 지지부(20)의 부착원판결합부(21)에 결합된 부착원판(10)에 부착된 상기 케이스본체(2)에 수용된 스마트폰(1)을 지지하도록 하고, 접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와 거치대 및 손잡이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겸 셀카봉.
The method of claim 4,
The rear support portion 60 for the foldable support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foldable support portion 40 is formed in a “∧” shape with the foldable support portion 40 in a state in which the foldable portion 40 is rotated to be inclined forward from the foldable portion 30. The case body support portion 20 is supported by supporting the case body support portion 20 together with the fold portion support portion 40 by being rotated to the rear of the fold portion support portion 40 to support the fold portion support portion 40 rearward. To support the smart phone (1) accommodated in the case body (2) attached to the attachment disk (10) coupled to the attachment disk coupling portion (21), in the folded state, the folding support (40) and the cradle and A selfie stick and a selfie stick characterized by performing the role of a handl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 지지부용 후방지지부(60)는,
상부가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의 상부부위와 힌지결합되는 상부 후방지지부(61)와,
상기 상부 후방지지부(61)의 하부에 구비된 하부 후방지지부(62)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후방지지부(61)와 상기 하부 후방지지부(62)는 상기 케이스본체(2)에 수용된 스마트폰(1)의 거치높이 및 세움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겸 셀카봉.
The method of claim 5,
The rear support portion 60 for the folding portion support,
An upper rear support portion 61, the upper portion of which is hing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foldable portion support portion 40,
Including the lower rear support portion 62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rear support portion 61,
The upper rear support portion 61 and the lower rear support portion 62 is a holder and a selfie stick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adjust the mounting height and the vertical angle of the smartphone (1) accommodated in the case body (2)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후방지지부(62)의 하단부위 외측에 힌지결합되며 회동되어 바닥에 접하여 상기 하부 후방지지부(62)의 지지를 보조하는 하부 후방지지부 보조지지부(6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겸 셀카봉.
The method of claim 6,
The lower rear support portion (62) is hinged to the outside of the lower portion and rotates to the bottom of the lower rear support portion (62) to support the lower rear support portion (62); Selfie stic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에는 상기 스마트폰을 충전하기 위한 보조배터리(70)가 내부에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겸 셀카봉.
According to claim 1,
A holder and a selfie stick, characterized in that an auxiliary battery (70) for charging the smartphone is mounted on the foldable part support part (40).
KR1020200013652A 2020-02-05 2020-02-05 Smart Phone Cradle Case for Self Camera KR1021287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652A KR102128755B1 (en) 2020-02-05 2020-02-05 Smart Phone Cradle Case for Self Camer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652A KR102128755B1 (en) 2020-02-05 2020-02-05 Smart Phone Cradle Case for Self Camera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2266A Division KR102082169B1 (en) 2018-11-30 2018-11-30 Smart Phone Cradle Case for Self Camer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267A true KR20200066267A (en) 2020-06-09
KR102128755B1 KR102128755B1 (en) 2020-07-01

Family

ID=71082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652A KR102128755B1 (en) 2020-02-05 2020-02-05 Smart Phone Cradle Case for Self Camer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8755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542B1 (en) * 2015-06-29 2016-04-28 이재일 Portable terminal cradle
KR20160137325A (en) * 2015-05-22 2016-11-30 이재호 Mobile terminal case comprising selfie stick
KR101792412B1 (en) * 2016-05-03 2017-11-02 이상순 Smart Phone Cradle Case for Self Camera
KR20170131188A (en) * 2016-05-20 2017-11-29 신윤철 Rotatable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protection cover having the same
KR20180039789A (en) * 2016-10-10 2018-04-19 이상순 Smart Phone Cradle Case for Self Camera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7325A (en) * 2015-05-22 2016-11-30 이재호 Mobile terminal case comprising selfie stick
KR101616542B1 (en) * 2015-06-29 2016-04-28 이재일 Portable terminal cradle
KR101792412B1 (en) * 2016-05-03 2017-11-02 이상순 Smart Phone Cradle Case for Self Camera
KR20170131188A (en) * 2016-05-20 2017-11-29 신윤철 Rotatable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protection cover having the same
KR20180039789A (en) * 2016-10-10 2018-04-19 이상순 Smart Phone Cradle Case for Self Came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8755B1 (en) 202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2169B1 (en) Smart Phone Cradle Case for Self Camera
KR100696601B1 (en) A universal bookholder
KR101022872B1 (en) Camera stand
CN211046986U (en) Cloud platform
US9377155B2 (en) Portable-device presentation system
KR20180011042A (en) Integral range extender and mechanical protector system for a handheld digital device
CN101383902A (en) Imaging apparatus and auxiliary recording medium unit
US20160342072A1 (en) Integral range extender and mechanical protector system for a handheld digital device
KR102128755B1 (en) Smart Phone Cradle Case for Self Camera
US8192861B2 (en) Battery cover fixing means for portable terminal
KR101909340B1 (en) Smart Phone Cradle Case for Self Camera
KR101423474B1 (en) mobile phone case having folding type ring
US6024215A (en) Compact disc carrier
CN105407192A (en) Mobile phone shell
KR101655922B1 (en) Charger for watch type mobile terminal
KR20190034643A (en) The rear panel, which can be converted into a mobile phone and a stretchable cellular phone bar
CN206948415U (en) A kind of self-shooting bar
KR200467694Y1 (en) Camera holder
KR200484029Y1 (en) The selfie pad for selfie smartphone
CN214744296U (en) Stabilizing device for mobile camera
KR200365083Y1 (en) Tripod with charger for camera phone
CN209991187U (en) From rapping bar
CN212755590U (en) Multifunctional checker for oral anatomy
CN206364865U (en) Portable self-timer
CN216015939U (en) Flexible data line with support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