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5539A -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5539A
KR20200065539A KR1020180152099A KR20180152099A KR20200065539A KR 20200065539 A KR20200065539 A KR 20200065539A KR 1020180152099 A KR1020180152099 A KR 1020180152099A KR 20180152099 A KR20180152099 A KR 20180152099A KR 20200065539 A KR20200065539 A KR 20200065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base station
transmitted
transport block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2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조
김석기
문성현
신우람
백승권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52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5539A/ko
Publication of KR20200065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55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groups of terminals or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8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phase diversity (e.g. phase swee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04W72/122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5Access point devices with remote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단말 #1 내지 #n 각각의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블록 #1 내지 #n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송 블록 #1 내지 #n을 포함하는 조인트 전송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조인트 전송 블록을 포함하는 페이로드에 대한 부호화 및 변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변조된 페이로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단말 #1 내지 #n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무선 네트워크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 방법 및 장치{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NETWORK FOR FACTORY AUTOMATION}
본 발명은 공장 자동화를 위한 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다중점(multi-point) 전송 기술에 관한 것이다.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는 제어 장치, 센서(sensor), 및 액추에이터(actu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및 액추에이터는 하나의 디바이스(device)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기지국에 대응할 수 있고, 디바이스(예를 들어, 센서 또는 액추에이터)는 단말에 대응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패킷(packet)을 액추에이터에 전송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는 제어 장치로부터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패킷을 수신할 수 있고,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센서는 액추에이터의 근처에 설치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의 근처에 위치한 센서는 해당 액추에이터의 동작(또는, 액추에이터의 동작에 따른 결과)을 센싱할 수 있고, 센싱된 결과를 포함하는 패킷을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센서로부터 센싱된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노드들(예를 들어, 제어 장치, 센서, 액추에이터) 간에 송수신되는 패킷의 길이는 상대적으로 짧을 수 있다. 또한, 패킷은 주기적으로 발생할 수 있고, 패킷의 발생 주기는 상대적으로 짧을 수 있다.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BLER(block error rate)의 요구사항은 10-9 이하일 수 있고, E2E(end-to-end) 지연의 요구사항은 1ms(millisecond) 이하일 수 있다. 즉, 기계의 오류 없는 동작을 위해, 기계의 동작에 관련된 제어 장치, 센서, 및 액추에이터 간의 통신은 신뢰도 및 지연의 요구사항들을 만족하여야 한다. 따라서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무선 자원의 사용 효율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신뢰도 및 지연의 요구사항들을 만족시키기 위한 통신 기술들이 필요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 요구사항들을 만족시키기 위한 다중점(multi-point) 전송 방법들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단말 #1 내지 #n 각각의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블록 #1 내지 #n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송 블록 #1 내지 #n을 포함하는 조인트 전송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조인트 전송 블록을 포함하는 페이로드에 대한 부호화 및 변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변조된 페이로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단말 #1 내지 #n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n은 2 이상의 정수이다.
여기서, 상기 조인트 전송 블록은 상기 단말 #1 내지 #n의 공통 정보를 포함하는 공통 전송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페이로드는 상기 조인트 전송 블록을 위한 CRC 비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은 복수의 송수신점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는 상기 복수의 송수신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송수신점들 각각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신호에 서로 다른 위상 계수가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호는 상기 단말 #1 내지 #n으로부터 수신된 SRS 또는 CSI를 기초로 결정된 프리코더를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호가 주파수 대역 #1 내지 #m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상기 주파수 대역 #1 내지 #m 각각에서 서로 다른 위상 계수가 상기 신호에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m은 2 이상의 정수일 수 있고, 상기 주파수 대역 #1 내지 #m 각각은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 #k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페이로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페이로드에 대한 복조 및 복호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조인트 전송 블록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조인트 전송 블록에 포함된 전송 블록 #1 내지 #n 중에서 상기 단말 #k를 위한 전송 블록 #k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n은 2 이상의 정수이며, 상기 k는 1 내지 n 중에서 하나의 값이다.
여기서, 상기 조인트 전송 블록은 단말 #1 내지 #n의 공통 정보를 포함하는 공통 전송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페이로드는 상기 조인트 전송 블록을 위한 CRC 비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은 복수의 송수신점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는 상기 복수의 송수신점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복수의 단말들을 그룹 #1 내지 #n으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그룹 #1 내지 #n 각각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그룹 #1 내지 #n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그룹 #1 내지 #n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n은 2 이상의 정수이고, 상기 그룹 #1 내지 #n 각각은 2개 이상의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 중에서 일부 정보는 RRC 메시지를 통해 전송될 수 있고, 상기 스케줄링 정보 중에서 나머지 정보는 DCI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그룹 #1 내지 #n 각각을 위해 할당된 자원 영역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은 복수의 송수신점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케줄링 정보 및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 각각은 상기 복수의 송수신점들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송수신점들 각각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에 서로 다른 위상 계수가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SRS 또는 CSI를 기초로 결정된 프리코더를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가 주파수 대역 #1 내지 #m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상기 주파수 대역 #1 내지 #m 각각에서 서로 다른 위상 계수가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에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m은 2 이상의 정수일 수 있고, 상기 주파수 대역 #1 내지 #m 각각은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그룹 #1 내지 #n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그룹 #1 내지 #n 각각을 위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블록 #1 내지 #n으로 구성되는 조인트 전송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조인트 전송 블록을 포함하는 페이로드에 대한 부호화 및 변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변조된 페이로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그룹 #1 내지 #n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인트 전송 블록은 상기 그룹 #1 내지 #n의 공통 정보를 포함하는 공통 전송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인트 전송 블록의 전송 방법이 사용되는 경우에 CRC(cyclic redundancy check) 오버헤드가 감소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큰 전송 블록의 부호화 이득은 상대적으로 작은 전송 블록의 부호화 이득보다 클 수 있다. 조인트 전송 블록이 하나의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의 시간-주파수 다이버시티(diversity) 이득은 전송 블록들이 서로 다른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의 시간-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단말들은 그룹들로 분류될 수 있고, 그룹들 각각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가 설정될 수 있고, 스케줄링 정보는 그룹별로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자원의 사용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은 복수의 송수신점들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송수신점들은 동일한 무선 자원을 사용하여 동일한 전송 블록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네트워크에서 신호의 수신 성능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조인트 전송 블록의 전송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페이로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스케줄링 정보의 전송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그룹들에 할당된 시간-주파수 자원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송수신점들의 송신 안테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는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송수신점들과 단말 간의 무선 채널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 네트워크(wireless network)가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 네트워크는 아래 설명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무선 네트워크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네트워크는 무선 시스템(system)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는 NR(new radio)(예를 들어, 5G)의 서비스 시나리오들 중에서 URLLC(ultra reliability low latency communication) 시나리오에 해당할 수 있다.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 요구사항들을 만족시키기 위해, 모든 통신 링크들에서 충분한 품질(예를 들어,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을 보장할 수 있는 핫 스팟(hot spot) 형태의 셀(cell) 배치가 효과적일 수 있다.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는 다음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도 1은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은 단일점(single-point) 전송 방식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는 하나의 제어 장치(미도시), 복수의 센서들(sensors)(111, 112, 113), 및 복수의 액추에이터들(actuators)(121, 122, 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기지국에 대응할 수 있고, 하나의 송수신점(transmitting/receiving point)(101)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송수신점(101)은 단일점 또는 단일 안테나일 수 있다. 센서(111, 112, 113) 및 액추에이터(121, 122, 123) 각각은 단말에 대응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복수의 액추에이터들(121, 122, 12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복수의 센서들(111, 112, 113)로부터 측정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장치의 셀 커버리지(cell coverage)(예를 들어, URLLC 시나리오에 따른 셀 커버리지)는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시나리오 또는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시나리오에 따른 셀 커버리지보다 작을 수 있다.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상대적으로 좁은 커버리지를 가지도록 셀이 배치됨으로써, 통신 요구사항들을 만족하는 무선 채널이 제공될 수 있다.
셀룰러(cellular) 네트워크에서 이웃하는 셀들이 동일한 무선 자원을 사용하는 경우, 이웃 셀의 간섭으로 인하여 셀의 경계에 위치한 단말에서 수신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이웃 셀들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동일한 무선 자원을 사용하는 셀들은 서로 충분한 거리를 두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은 다중점(multi-point) 전송 방식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분산형 안테나 시스템(distributed antenna system; DAS)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는 하나의 제어 장치(미도시), 복수의 센서들(111, 112, 113), 및 복수의 액추에이터들(121, 122, 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기지국에 대응할 수 있고, 복수의 송수신점들(101, 102, 103, 104)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송수신점(101, 102, 103, 104)은 다중점 또는 다중 안테나일 수 있다. 복수의 송수신점들(101, 102, 103, 104)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111, 112, 113) 및 액추에이터(121, 122, 123) 각각은 단말에 대응할 수 있다. 제어 장치와 센서(111, 112, 113) 간의 통신 및 제어 장치와 액추에이터(121, 122, 123) 간의 통신은 복수의 송수신점들(101, 102, 103, 104)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복수의 송수신점들들(101, 102, 103, 104)이 적절히 배치됨으로써 통신 노드들(예를 들어, 센서(111, 112, 113) 및 액추에이터(121, 122, 123))이 겪는 무선 채널 품질은 비슷해질 수 있다.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다중점 전송 방식에 기초한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송수신점들(101, 102, 103, 104)은 동일한 무선 자원을 사용하여 동일한 전송 블록(transport block)을 센서(111, 112, 113) 또는 액추에이터(121, 122, 123)에 전송할 수 있다. 센서(111, 112, 113) 또는 액추에이터(121, 122, 123) 각각은 복수의 송수신점들(101, 102, 103, 104)로부터 전송 블록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통신 노드들(예를 들어, 제어 장치, 센서(111, 112, 113), 액추에이터(121, 122, 123))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3은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통신 노드(3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 메모리(320)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3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노드(3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3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350), 저장 장치(3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노드(3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3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통신 노드(3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공통 버스(370)가 아니라, 프로세서(310)를 중심으로 개별 인터페이스 또는 개별 버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메모리(320), 송수신 장치(33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3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350) 및 저장 장치(3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전용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310)는 메모리(320) 및 저장 장치(3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320) 및 저장 장치(3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3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다중점 전송 방식에 기초한 통신 방법들이 설명될 것이다. 통신 노드들 중에서 제1 통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예를 들어, 신호의 전송 또는 수신)이 설명되는 경우에도 이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노드는 제1 통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과 상응하는 방법(예를 들어, 신호의 수신 또는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의 동작이 설명된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기지국은 단말의 동작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기지국의 동작이 설명된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단말은 기지국의 동작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 조인트(joint) 전송 블록의 전송 방법
신호 전송 절차에서, 송신 통신 노드는 전송 블록(예를 들어, 데이터 스트림(stream))에 CRC(cyclic redundancy check) 비트를 추가할 수 있고, CRC 비트가 추가된 전송 블록에 대한 채널 코딩(coding)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송신 통신 노드는 코딩 블록(coded block)(예를 들어, 코드워드(codeword))에 대한 변조(modulation)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변조 심볼(modulated symbol)을 생성할 수 있고, 변조 심볼을 자원에 매핑할 수 있다.
CRC 비트는 수신 통신 노드에서 신호의 수신 성공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전송 블록에 추가되는 CRC 비트의 길이는 목표 BLER(block error rate)보다 낮은 오경보율(flase alarm rate)을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및 NR 시스템에서 CRC 비트의 길이에 따른 오경보율은 아래 표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BLER의 요구사항이 10-9 이하인 경우, BLER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한 CRC 비트의 길이는 30~40비트일 수 있다. CRC 비트의 길이가 30비트인 경우, 오경보율은 10-9일 수 있다. CRC 비트의 길이가 40비트인 경우, 오경보율은 10-12일 수 있다.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전송 블록의 길이는 상대적으로 짧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 블록의 길이가 100비트 이하이고, 전송 블록에 30~40비트의 길이를 가지는 CRC 비트가 추가되는 경우, CRC 오버헤드(overhead)는 30~40%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조인트 전송 블록의 전송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조인트 전송 블록의 전송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는 기지국 및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제어 장치일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송수신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 #1~n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센서(111, 112, 113) 또는 액추에이터(121, 122, 123)일 수 있다. n은 2 이상의 정수일 수 있다.
단말 #1~n에 전송될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기지국은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단말 #1~n에 공통으로 전송될 데이터를 포함하는 공통 전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S410). 단말 #1~n에 공통으로 전송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공통 전송 블록은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 #1~n 각각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S420). 예를 들어, 기지국은 단말 #1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블록 #1을 생성할 수 있고, 단말 #2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블록 #2를 생성할 수 있고, 단말 #n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블록 #3을 생성할 수 있다.
기지국은 공통 전송 블록과 전송 블록 #1~n을 포함하는 조인트 전송 블록을 생성할 수 있고(S430), 조인트 블록에 CRC 비트를 붙임으로써 페이로드(payload)를 생성할 수 있다(S440). 페이로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페이로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페이로드(500)는 조인트 전송 블록(510) 및 CRC 비트(52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인트 전송 블록(510)은 공통 전송 블록(511) 및 2개 이상의 전송 블록들(512-1, 512-2, …, 512-n)을 포함할 수 있다. 공통 전송 블록(511)은 단말 #1~n을 위한 공통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1~n을 위한 공통 데이터가 기지국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공통 전송 블록(511)은 조인트 전송 블록(510)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전송 블록들(512-1, 512-2, …, 512-n)은 서로 다른 단말을 위한 전송 블록일 수 있고, 전송 블록들(512-1, 512-2, …, 512-n)의 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페이로드에 대한 채널 코딩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코딩 블록(예를 들어, 코드워드)을 생성할 수 있고, 코딩 블록에 대한 변조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변조 심볼을 생성할 수 있다(S450). 기지국은 변조 심볼을 자원에 매핑할 수 있고, 자원에 매핑된 변조 심볼을 단말 #1~n에 전송할 수 있다(S460).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송수신점을 사용하여 변조 심볼(예를 들어, 변조된 페이로드)을 전송할 수 있다.
단말 #1~n 각각은 기지국으로부터 페이로드를 수신할 수 있고, 페이로드에 대한 복조/복호 동작들을 수행함으로써 공통 전송 블록 및 전송 블록 #1~n을 획득할 수 있다(S470). 예를 들어, 단말 #1은 공통 전송 블록 및 전송 블록 #1을 획득할 수 있고, 단말 #2는 공통 전송 블록 및 전송 블록 #2를 획득할 수 있고, 단말 #n은 공통 전송 블록 및 전송 블록 #n을 획득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조인트 전송 블록의 전송 방법에 의하면, CRC 오버헤드가 감소할 수 있다. 특히,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전송 블록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CRC 오버헤드의 감소율은 더욱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전송 블록에 동일한 코딩 레이트(coding rate)를 사용한 채널 코딩이 적용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큰 전송 블록의 부호화 이득은 상대적으로 작은 전송 블록의 부호화 이득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조인트 전송 블록이 하나의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의 시간-주파수 다이버시티(diversity) 이득은 전송 블록들이 서로 다른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의 시간-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보다 클 수 있다.
■ 스케줄링 방법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패킷은 일정한 주기에 따라 발생할 수 있으며, 패킷의 크기는 미리 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패킷의 크기는 시간에 따라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SPS(semi-persistent scheduling)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스케줄링 정보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예를 들어,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 L2 시그널링(예를 들어, MAC(medium access control) CE(control element)), 및 L1 시그널링(예를 들어,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스케줄링 정보는 다음과 같이 전송될 수 있다.
도 6은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스케줄링 정보의 전송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는 기지국 및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제어 장치일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송수신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들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센서(111, 112, 113) 또는 액추에이터(121, 122, 123)일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들을 하나 이상의 그룹들(예를 들어, 그룹 #1~4)로 분류할 수 있다(S610). 예를 들어, 기지국은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단말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미리 설정된 영역에 속하는 단말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룹 #1~4 각각은 하나 이상의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그룹 #1~4별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620). 스케줄링 정보는 SPS 방식에 따른 스케줄링 정보일 수 있다. 스케줄링 정보는 자원 할당 정보,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FDM(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 및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방식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그룹 #1~4 각각에 서로 다른 시간-주파수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그룹 #1~4 각각에 서로 다른 공간적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 #1~4 각각에 할당된 시간-주파수 자원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도 7은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그룹들에 할당된 시간-주파수 자원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자원 영역 A를 그룹 #1에 할당할 수 있고, 자원 영역 B를 그룹 #2에 할당할 수 있고, 자원 영역 C를 그룹 #3에 할당할 수 있고, 자원 영역 D를 그룹 #4에 할당할 수 있다. 그룹 #1의 자원 영역 A 및 그룹 #2의 자원 영역 B는 FDM 방식에 기초하여 할당될 수 있고, 그룹 #3의 자원 영역 C 및 그룹 #4의 자원 영역 D는 TDM 방식에 기초하여 할당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그룹 #1~4별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630). 스케줄링 정보가 그룹별로 전송되는 경우의 CRC 오버헤드는 스케줄링 정보가 단말별로 전송되는 경우의 CRC 오버헤드보다 작을 수 있다. 스케줄링 정보는 RRC 시그널링, L2 시그널링, 및 L1 시그널링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케줄링 정보의 시그널링 방식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시그널링 방식 #1 - RRC 시그널링
스케줄링 정보는 RRC 시그널링만을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그룹 #1의 스케줄링 정보 #1을 포함하는 RRC 메시지 #1을 그룹 #1에 전송할 수 있고(S631), 그룹 #2의 스케줄링 정보 #2를 포함하는 RRC 메시지 #2를 그룹 #2에 전송할 수 있다(S632). 또한, 기지국은 그룹 #3의 스케줄링 정보 #3을 포함하는 RRC 메시지 #3을 그룹 #3에 전송할 수 있고(S633), 그룹 #4의 스케줄링 정보 #4를 포함하는 RRC 메시지 #4를 그룹 #4에 전송할 수 있다(S634).
시그널링 방식 #2 - L2 시그널링 또는 L1 시그널링
스케줄링 정보는 L2 시그널링 또는 L1 시그널링만을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그룹 #1의 스케줄링 정보 #1을 포함하는 MAC CE #1 또는 DCI #1을 그룹 #1에 전송할 수 있고(S631), 그룹 #2의 스케줄링 정보 #2를 포함하는 MAC CE #2 또는 DCI #2를 그룹 #2에 전송할 수 있다(S632). 또한, 기지국은 그룹 #3의 스케줄링 정보 #3을 포함하는 MAC CE #3 또는 DCI #3을 그룹 #3에 전송할 수 있고(S633), 그룹 #4의 스케줄링 정보 #4를 포함하는 MAC CE #4 또는 DCI #4를 그룹 #4에 전송할 수 있다(S634). 여기서, DCI #1~4 각각은 해당 그룹을 위해 설정된 물리 제어 채널(예를 들어,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시그널링 방식 #3 - "RRC 시그널링 + L2/L1 시그널링 "의 조합
기지국은 일부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RRC 메시지를 그룹 #1~4 각각에 전송할 수 있고, 나머지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MAC CE 또는 DCI를 그룹 #1~4 각각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그룹 #1의 스케줄링 정보 #1은 "RRC 메시지 #1 + MAC CE #1" 또는 "RRC 메시지 #1 + DCI #1"을 통해 전송될 수 있고, 그룹 #2의 스케줄링 정보 #2는 "RRC 메시지 #2 + MAC CE #2" 또는 "RRC 메시지 #2 + DCI #2"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그룹 #3의 스케줄링 정보 #3은 "RRC 메시지 #3 + MAC CE #3" 또는 "RRC 메시지 #3 + DCI #3"을 통해 전송될 수 있고, 그룹 #4의 스케줄링 정보 #4는 "RRC 메시지 #4 + MAC CE #4" 또는 "RRC 메시지 #4 + DCI #4"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스케줄링 정보 #1~4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조인트 전송 블록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스케줄링 정보 #1을 포함하는 전송 블록 #1, 스케줄링 정보 #2를 포함하는 전송 블록 #2, 스케줄링 정보 #3을 포함하는 전송 블록 #3, 및 스케줄링 정보 #4를 포함하는 전송 블록 #4를 포함하는 조인트 전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기지국은 조인트 전송 블록에 CRC 비트를 추가함으로써 페이로드를 생성할 수 있고, 페이로드를 그룹 #1~4에 전송할 수 있다.
그룹 #1~4에 속한 단말들은 기지국으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수신 동작 또는 상향링크 전송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한 후에, 기지국은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데이터 #1~4를 전송할 수 있다(S640). 예를 들어, 기지국은 동일한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하나 이상의 송수신점을 사용하여 동일한 전송 블록(예를 들어, 하향링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블록)을 전송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전체 송수신점들 중에서 단말 주변에 위치한 송수신점들만을 사용하여 동일한 전송 블록(예를 들어, 하향링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블록)을을 전송할 수 있다.
하향링크 데이터 #1~4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조인트 전송 블록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하향링크 데이터 #1을 포함하는 전송 블록 #1, 하향링크 데이터 #2를 포함하는 전송 블록 #2, 하향링크 데이터 #3을 포함하는 전송 블록 #3, 및 하향링크 데이터 #4를 포함하는 전송 블록 #4를 포함하는 조인트 전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기지국은 조인트 전송 블록에 CRC 비트를 추가함으로써 페이로드를 생성할 수 있고, 페이로드를 그룹 #1~4에 전송할 수 있다.
■ 다중점 전송 방식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다중점 전송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 기지국에 포함된 복수의 송수신점들은 동일한 시간-주파수 자원을 사용하여 동일한 전송 블록을 전송할 수 있다. 다중점 전송은 no-프리코딩(precoding) 방식, 폐루프(closed-loop) 프리코딩 방식, 또는 개루프(open-loop) 위상 계수 조절 방식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다중점 전송 방식은 도 4의 단계 S460, 도 6의 단계 S630 및 단계 S640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아래에서 설명되는 다중점 전송 방식은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셀룰러 네트워크(예를 들어, LTE 네트워크, NR 네트워크)에 적용될 수 있다.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에서 무선 자원의 단위는 2차원의 시간-주파수 도메인에서 시간 축에서 심볼(예를 들어, OFDM 심볼)의 위치와 주파수 축에서 서브캐리어의 위치로 표현될 수 있다. 시간 축에서 하나의 심볼과 주파수 축에서 하나의 서브캐리어로 구성되는 무선 자원은 RE(resource element)로 정의될 수 있다. RE t는 시간 축에서 심볼 인덱스 k와 주파수 축에서 서브캐리어 인덱스 l로 표현될 수 있다. 즉, RE t는 (k,l)로 표현될 수 있다.
√ No- 프리코딩 방식
송수신점들 각각이 하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RE t에서 송수신점 #n이 전송하는 변조 심볼은
Figure pat00002
로 정의될 수 있다. N개의 송수신점들은 RE t에서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RE t에서 단말에 의해 수신된 신호 Rt는 아래 수학식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N은 1 이상의 정수일 수 있고, n은 1 내지 N 중에서 하나의 값일 수 있다.
Figure pat00003
수학식 1에서,
Figure pat00004
는 RE t에서 송수신점 #n의 안테나(예를 들어, 송신 안테나)와 단말의 안테나(예를 들어, 수신 안테나) 간의 무선 채널 계수를 지시할 수 있고, It는 RE t에서 다른 송수신점들 또는 다른 셀들로부터의 간섭을 지시할 수 있고, Nt는 RE t에서 열잡음을 지시할 수 있다. 모든 송수신점들이 동일한 RE를 사용하여 동일한 변조 심볼
Figure pat00005
을 전송하는 경우, Rt는 아래 수학식 2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06
이 경우, 단말과 송수신점들 간의 무선 채널 품질은
Figure pat00007
의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송수신점들에 의해 전송되는 변조 심볼의 위상 값은 추가적으로 조절되지 않을 수 있다. 송수신점이 복수의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경우에 안테나들 각각은 하나의 안테나를 가지는 송수신점으로 가정될 수 있고, 이 가정에 기초하여 앞서 설명된 no-프리코딩 방식에 기초한 다중점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 폐루프 프리코딩 방식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또는 CSI(channel state information)를 수신할 수 있고, SRS 또는 CSI에 기초하여 송수신점들 각각에서 사용될 프리코딩 계수를 결정할 수 있다. RE t를 위한 프리코딩 벡터
Figure pat00008
는 아래 수학식 3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09
수학식 3에서 프리코딩 계수
Figure pat00010
는 기지국의 송수신점 #n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n는 1 내지 N 중에서 하나의 값일 수 있다. N은 송수신점들의 전체 개수일 수 있다. 프리코딩 계수
Figure pat00011
는 크기와 위상으로 표현되는 복소수 값일 수 있고, 프리코딩 계수
Figure pat00012
의 크기는 송수신점별 송신 전력 제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N개 송수신점들이 RE t에서 프리코딩 벡터
Figure pat00013
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RE t에서 단말 #i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는 아래 수학식 4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14
변조 심볼이 RE t에서 프리코딩 벡터
Figure pat00015
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경우,
Figure pat00016
는 송수신점들과 단말 #i 간의 유효(effective) 채널 계수를 지시할 수 있다. 송수신점이 복수의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경우에 안테나들 각각은 하나의 안테나를 가지는 송수신점으로 가정될 수 있고, 이 가정에 기초하여 앞서 설명된 폐루프 프리코딩 방식에 기초한 다중점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복수의 송수신점들이 복수의 단말들을 위한 하나의 코드워드(codeword)를 단일 물리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경우, 송수신점들에 의해 사용되는 프리코딩 벡터(예를 들어, 프리코더)를 결정하는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 폐루프 프리코딩 방식에서 SRS를 기초로 프리코더를 결정하는 방법
기지국은 단말들로부터 SRS를 수신할 수 있고, SRS에 기초하여 기지국의 송수신점들과 단말들 간의 무선 채널 품질을 추정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하향링크에 대한 CQI(channel quality indicator)에 기초하여 기지국의 송수신점들과 단말들 간의 무선 채널 품질을 추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하향링크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 후보들 및 프리코더 후보들을 생성할 수 있고, 프리코더 후보들 각각이 적용되는 경우에 송수신점들과 단말들 간의 무선 채널 품질을 추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들 중에서 가장 낮은 무선 채널 품질(예를 들어, SRS을 기초로 추정된 무선 채널 품질)을 가지는 단말에서 지연 및 신뢰도의 요구사항들을 만족시키는 무선 자원 및 프리코더를 결정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무선 자원 후보들 중에서 지연 및 신뢰도의 요구사항들을 만족시키는 하나의 무선 자원을 선택할 수 있고, 프리코더 후보들 중에서 지연 및 신뢰도의 요구사항들을 만족시키는 하나의 프리코더를 선택할 수 있다. 기지국은 선택된 무선 자원 및 프리코더를 사용하여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프리코더는 송수신점들 각각에서 적용되는 송신 전력 및 위상 계수를 지시할 수 있다. SRS를 기초로 프리코더를 결정하는 방법은 하향링크 채널의 상호성(reciprocity)을 활용할 수 있는 TDD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 폐루프 프리코딩 방식에서 CSI를 기초로 프리코더를 결정하는 방법
단말들 각각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참조 신호에 기초하여 무선 채널을 추정할 수 있고, 추정된 무선 채널에 기초하여 복수의 프리코더 후보들로 구성된 코드북(codebook)에서 하나 이상의 프리코더 후보들을 선택할 수 있다. 단말은 선택된 하나 이상의 프리코더 후보들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CSI)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하나 이상의 프리코더 후보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프리코더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CSI를 추정하기 위해 단말은 수신 신호로부터 자신을 위한 신호 성분 및 간섭/열잡음 성분을 추정할 수 있다. 신호 성분의 추정을 위해, 단말은 송수신점들 각각으로부터 참조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참조 신호에 기초하여 송수신점들 각각과 단말 간의 무선 채널을 추정할 수 있다. 단말은 추정된 무선 채널에 코드북 내의 프리코더 후보들 각각을 적용함으로써 미리 설정된 RE들 또는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RE들에 대한 유효 채널을 추정할 수 있다. 간섭/열잡음 추정을 위해, 단말은 기지국에 의해 미리 설정된 RE들에서 간섭/열잡음을 추정할 수 있다. 기지국(예를 들어, 송수신점들)은 간섭/열잡음 추정을 위해 사용되는 RE들에서 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단말은 추정된 유효 채널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RE들 또는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RE들에서 목표 BLER을 만족하는 전송률을 추정할 수 있다. 전송률은 하나의 RB(resource block) 또는 복수의 RB 단위로 추정될 수 있다. 전체 무선 자원이 복수의 RB들로 구성되는 경우, 단말은 하나의 이상의 RB 단위로 추정된 복수의 전송률들을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전체 무선 자원에 대한 하나의 전송률을 추정할 수 있고, 추정된 하나의 전송률을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여기서, 전송률은 SINR, SNR(signal to noise ratio), 주파수 이용 효율(frequency efficiency), 자원들(예를 들어, RB들) 각각에서 시간당 전송되는 정보의 비트 수 등일 수 있다.
(방식 1) 단말은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RE들에서 목표 BLER을 만족시키는 하나 이상의 프리코더들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하나 이상의 프리코더들의 정보 및 선택된 하나 이상의 프리코더들에 따른 전송률을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방식 2) 단말은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RE들에서 목표 BLER 및 목표 전송률을 만족시키는 하나 이상의 프리코더들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하나 이상의 프리코더들의 정보 및 선택된 하나 이상의 프리코더들에 따른 전송률을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들로부터 CSI(예를 들어, 프리코더, 전송률)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CSI에 기초하여 무선 자원 후보들 및 프리코더 후보들을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프리코더 후보들 각각을 적용함으로써 단말들의 무선 채널 품질을 추정할 수 있고, 가장 낮은 무선 채널 품질을 가지는 단말과의 통신에서 지연 및 신뢰도 요구사항들을 만족시키는 무선 자원 및 프리코더를 선택할 수 있다. 기지국은 선택된 무선 자원 및 프리코더를 사용하여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프리코더는 송수신점들 각각에서 적용되는 송신 전력 및 위상 계수를 지시할 수 있다. CSI를 기초로 프리코더를 결정하는 방법은 TDD 시스템 및 FDD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상호성을 활용하지 않는 TDD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된 CSI에 기초하여 프리코더를 결정할 수 있다.
개루프 위상 계수의 조절 방식
송수신점 #n이 RE t에서 위상 계수
Figure pat00017
를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한 경우, RE t에서 단말 #i에 의해 수신된 신호
Figure pat00018
는 아래 수학식 5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19
수학식 5에 의하면, RE t에서 단말의 무선 채널 품질은
Figure pat00020
의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채널 품질은 송수신점들 각각으로부터 전송되는 변조 심볼의 위상 계수가 조절되는 경우에 변경될 수 있다. 송수신점이 복수의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경우에 안테나들 각각은 하나의 안테나를 가지는 송수신점으로 가정될 수 있고, 이 가정에 기초하여 앞서 설명된 개루프 위상 계수의 조절 방식에 기초한 다중점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 CCD(cyclic delay diversity) 위상 계수의 적용 방식
복수의 송수신점들이 동일한 변조 심볼을 동일한 시간-주파수 자원을 사용하여 전송하는 경우, 단말에서 수신된 신호는 복수의 송수신점들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신호의 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송수신점들(예를 들어, 송수신점 a 및 b)로부터 전송된 신호들이 LOS(line of sight) 경로를 통해 단말에 도달하는 경우, 주파수 f를 가지는 서브캐리어의 RE t1에서 수신된 신호들의 합은 아래 수학식 6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21
송수신점 a의 전송 신호의 경로와 송수신점 b의 전송 신호의 경로 간의 차이는 Δl로 정의될 수 있다. "
Figure pat00022
"가 정의될 수 있고, C는 빛의 속도(즉, 3×108m/s)일 수 있다. 서브캐리어 간격이 Δf로 정의되는 경우, 주파수 f+nΔf를 가지는 서브캐리어에서 수신된 신호는 아래 수학식 7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23
예를 들어, "Δf = 15kHz, Δt = 100ns(즉, Δl = 30ms)"이고, ΔfΔt(즉, 1.5×10-4)와 주파수 f+nΔf 간의 차이가 100MHz인 경우, "
Figure pat00024
"가 정의될 수 있기 때문에 100MHz 대역폭 내에서 송수신점 b로부터 전송된 신호의 위상은 한 주기의 변화를 겪을 수 있다. 여기서, n은 6.6×103일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송수신점들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들 간의 경로 차이가 존재하지만, 경로 차이가 크지 않기 때문에 주파수 축에서 주파수 응답의 변화는 크지 않을 수 있다. 넓은 서브캐리어 범위에서 "
Figure pat00025
"가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무선 채널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주파수 축에서 주파수 응답의 변화를 증가시키기 위해, 송수신점들에서 전송 시점들 간의 차이가 증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송수신점 #n은 Xt 대신에 Xt에 위상 계수
Figure pat00026
를 곱할 수 있고, 곱한 결과(즉,
Figure pat00027
)를 사용하여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kt는 RE t의 서브캐리어 인덱스일 수 있다. 이 경우, 동일한 위상 계수는 주파수 축에서 이웃한 M개의 서브캐리어 주기로 반복될 수 있다. 따라서 주파수 선택성(selectivity)은 M을 조절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기지국은 무선 채널 환경(예를 들어, 무선 채널 품질)을 고려하여 M을 결정할 수 있다. N개의 송수신점들이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주파수 선택성은 "M = N"인 경우에 최대화될 수 있다.
송수신점 a 및 b로부터 전송된 신호들에 앞서 설명된 위상 계수가 적용되는 경우, 단말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의 합은 아래 수학식 8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28
넓은 서브캐리어 범위에서 "
Figure pat00029
"가 되는 경우에도, 앞서 설명된 위상 계수가 사용되는 경우에 주파수 선택성은 증가될 수 있다. 주파수 축에서 서브캐리어에 따른 채널 품질의 변화가 유도되므로, 물리 채널을 구성하는 서브캐리어들 전체에서 채널 품질이 저하되는 것은 방지될 수 있다. 송수신점이 복수의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경우에 안테나들 각각은 하나의 안테나를 가지는 송수신점으로 가정될 수 있고, 이 가정에 기초하여 앞서 설명된 CDD 위상 계수의 조절 방식에 기초한 다중점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 송수신점 별 위상 계수의 랜덤화 방식
송수신점들은 동일한 시간-주파수 자원들을 사용하여 동일한 전송 블록을 전송할 수 있으며, 동일한 RE를 통해 동일한 변조 심볼이 전송될 수 있다. 송수신점들 각각에서 사용되는 위상 계수는 랜덤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수신점들 각각에서 사용되는 위상 계수는 RE 또는 RB 단위로 변경될 수 있다. 송수신점들 각각에서 사용되는 위상 계수를 랜덤하게 변경시키기 위해, 송수신점들 각각은 서로 다른 초기 값을 사용하여 의사 랜덤 바이너리 시퀀스(pseudo random binary sequence)를 생성할 수 있고, 의사 랜덤 바이너리 시퀀스에 따라 위상 계수를 결정할 수 있다. 송수신점 #n을 위한 의사 랜덤 바이너리 시퀀스는 아래 수학식 9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30
위상 계수가 가질 수 있는 값의 개수가 2P개인 경우, 기지국은 일대일 매핑을 통해 의사 랜덤 바이너리 시퀀스로부터 획득된 P개의 비트를 사용하여 위상 계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
Figure pat00031
"을 사용하여 RE t를 위한 위상 계수
Figure pat00032
를 결정할 수 있다.
수신단(예를 들어, 단말)에서 무선 채널 추정의 복잡도를 낮추기 위해, 위상 계수는 주파수 축에서 무선 자원의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심볼 인덱스를 가지는 RE들의 서브캐리어 인덱스가 동일한 경우, 해당 RE들에 동일한 위상 계수가 적용될 수 있다. RB 단위로 위상 계수가 변경되는 경우의 채널 추정의 복잡도는 서브캐리어 단위로 위상 계수가 변경되는 경우의 채널 추정의 복잡도보다 낮을 수 있다. RB 단위로 위상 계수가 변경되는 경우, 동일한 RB에 속한 모든 RE들에 동일한 위상 계수가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위상 계수
Figure pat00033
에서 t는 RB 인덱스일 수 있다.
송수신점들은 채널 추정을 위한 참조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RE에서 동일한 참조 신호가 매핑된 심볼이 전송될 수 있다. 송수신점들 각각에서 참조 신호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위상 계수는 참조 신호가 매핑된 심볼이 전송되는 서브캐리어에서 데이터 심볼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위상 계수
Figure pat00034
와 동일할 수 있다.
송수신점 별 위상 계수가 랜덤화되는 경우, 특정 단말의 무선 채널 품질이 저하되는 것은 방지될 수 있다. 위상 계수의 랜덤화에 따른 효과가 이상적인 경우, 단말들에서 수신된 신호들의 평균 수신 전력은 송수신점들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들의 전력의 합일 수 있다. 송수신점이 복수의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경우에 안테나들 각각은 하나의 안테나를 가지는 송수신점으로 가정될 수 있고, 이 가정에 기초하여 앞서 설명된 송수신점 별 위상 계수의 랜덤화 방식에 기초한 다중점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 프리코더 순환 방식
송수신점들은 프리코더 후보들로 구성되는 프리코더 집합을 생성할 수 있고, 프리코더 집합 내에서 RE 또는 RB 단위로 적용되는 프리코더를 순차적으로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프리코더를 사용하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송수신점이 복수의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경우에 안테나들 각각은 하나의 안테나를 가지는 송수신점으로 가정될 수 있고, 이 가정에 기초하여 앞서 설명된 프리코더 순환 방식에 기초한 다중점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 SFBC (space-frequency block code) 방식
RE t에서 송수신점 #n의 안테나 #i로부터 전송되는 변조 심볼은
Figure pat00035
로 정의될 수 있다. RE t에서 송수신점 #n의 안테나 #i에 의해 사용되는 위상 계수는
Figure pat00036
로 정의될 수 있다.
송수신점들 각각이 두 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경우, 두 개의 송신 안테나들의 형상은 크로스 폴(cross pol) 형상 또는 평행 폴(parallel pol) 형상 일 수 있다. 크로스 폴 형상을 가지는 송신 안테나들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도 8은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송수신점들의 송신 안테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9는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송수신점들과 단말 간의 무선 채널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송수신점 #1~N 각각은 두 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고, 두 개의 송신 안테나들의 형상은 크로스 폴 형상일 수 있다. 두 개의 송신 안테나들 중에서 하나의 송신 안테나의 인덱스는 1일 수 있고, 나머지 송신 안테나의 인덱스는 2일 수 있다. 송수신점들 간에 안테나의 폴러리제이션(polarization) 방향은 동일할 수 있다.
송수신점 #1은
Figure pat00037
가 적용된 신호를 안테나 #1을 통해 전송할 수 있고, 이 경우에 송수신점 #1의 안테나 #1과 단말 #i 간의 무선 채널은
Figure pat00038
일 수 있다. 송수신점 #1은
Figure pat00039
가 적용된 신호를 안테나 #2를 통해 전송할 수 있고, 이 경우에 송수신점 #1의 안테나 #2와 단말 #i 간의 무선 채널은
Figure pat00040
일 수 있다.
송수신점 #2는
Figure pat00041
가 적용된 신호를 안테나 #1을 통해 전송할 수 있고, 이 경우에 송수신점 #2의 안테나 #1과 단말 #i 간의 무선 채널은
Figure pat00042
일 수 있다. 송수신점 #2는
Figure pat00043
가 적용된 신호를 안테나 #2를 통해 전송할 수 있고, 이 경우에 송수신점 #2의 안테나 #2와 단말 #i 간의 무선 채널은
Figure pat00044
일 수 있다.
송수신점 #N은
Figure pat00045
가 적용된 신호를 안테나 #1을 통해 전송할 수 있고, 이 경우에 송수신점 #N의 안테나 #1과 단말 #i 간의 무선 채널은
Figure pat00046
일 수 있다. 송수신점 #N은
Figure pat00047
가 적용된 신호를 안테나 #2를 통해 전송할 수 있고, 이 경우에 송수신점 #N의 안테나 #2와 단말 #i 간의 무선 채널은
Figure pat00048
일 수 있다.
N개의 송수신점들이 서브캐리어 t에서 안테나 #1을 사용하여 Xt를 동시에 전송하는 경우, 단말에서 수신된 신호 Rt는 아래 수학식 10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49
수학식 10에서
Figure pat00050
는 송수신점들 각각의 안테나 #1과 단말 #i 간의 유효 채널일 수 있다. N개의 송수신점들이 서브캐리어 t에서 안테나 #2를 사용하여 Xt를 동시에 전송하는 경우, 단말에서 수신된 신호 Rt는 아래 수학식 1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51
수학식 11에서
Figure pat00052
는 송수신점들 각각의 안테나 #2와 단말 #i 간의 유효 채널일 수 있다. 안테나 #1~2에 의해 형성되는 유효 채널에 SFBC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송수신점은 서브캐리어 2k에서 안테나 #1을 사용하여
Figure pat00053
을 전송할 수 있고, 서브캐리어 2k에서 안테나 #2를 사용하여
Figure pat00054
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점은 서브캐리어 2k+1에서 안테나 #1을 사용하여
Figure pat00055
을 전송할 수 있고, 서브캐리어 2k+1에서 안테나 #2를 사용하여
Figure pat00056
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에서 수신된 신호는 아래 수학식 12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57
송수신점들의 안테나 #1로 구성된 송신 안테나 집합 #1 및 송수신점들의 안테나 #2로 구성된 송신 안테나 집합 #2 각각에 대한 위상 계수
Figure pat00058
는 앞서 설명된 "no-프리코딩 방식", "폐루프 프리코딩 방식", "CDD 위상 계수의 적용 방식", "송수신점 별 위상 랜덤화 방식", 또는 "프리코더 순환 방식"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송수신점이 복수의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경우에 두 개의 안테나들은 하나의 송수신점으로 가정될 수 있고, 이 가정에 기초하여 앞서 설명된 SFBC 방식에 기초한 다중점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기지국은 유효 채널의 추정을 위한 참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위상 계수
Figure pat00059
가 적용된 참조 신호 #1을 안테나 #1을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고, 위상 계수
Figure pat00060
가 적용된 참조 신호 #2를 안테나 #2를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참조 신호 #1이 전송되는 시간-주파수 자원은 참조 신호 #2가 전송되는 시간-주파수 자원과 직교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참조 신호 #1~2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참조 신호 #1~2에 기초하여 기지국의 안테나 #1에 의해 형성되는 유효 채널과 기지국의 안테나 #2에 의해 형성되는 유효 채널을 추정할 수 있다.
- 단말의 CSI 피드백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참조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참조 신호에 기초하여 CSI를 추정할 수 있고, 추정된 CSI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CSI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CSI에 기초하여 스케줄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CSI를 추정하기 위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로부터 자신을 위한 신호 성분 및 간섭/열잡음 성분을 추정할 수 있다. 신호 성분을 추정하기 위해, 단말은 송수신점들 각각에 대한 무선 채널을 추정할 수 있고, 위상 계수를 사용하여 미리 설정된 RE들 또는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RE들에 대한 유효 채널을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위상 계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위상 계수를 설정할 수 있고, 설정된 위상 계수를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미리 설정된 RE들 또는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RE들을 통해 참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위상 계수가 참조 신호에 적용될 수 있고, 송수신점들은 동일한 참조 신호가 매핑된 심볼을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참조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참조 신호가 수신된 RE에 대한 무선 채널을 추정할 수 있고, 추정된 무선 채널의 정보를 사용하여 미리 설정된 RE들 또는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RE들에 대한 무선 채널을 추정할 수 있다.
간섭/열잡음 추정을 위해, 단말은 기지국에 의해 미리 설정된 RE들에서 간섭/열잡음을 추정할 수 있다. 기지국(예를 들어, 송수신점들)은 간섭/열잡음 추정을 위해 사용되는 RE들에서 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단말은 추정된 유효 채널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RE들 또는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RE들에서 목표 BLER을 만족하는 전송률을 추정할 수 있다. 전체 무선 자원이 복수의 RB들로 구성된 경우, 전송률은 하나의 이상의 RB 단위로 추정될 수 있다. 단말은 하나의 이상의 RB 단위로 추정된 복수의 전송률들을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전체 무선 자원에 대한 하나의 전송률을 추정할 수 있고, 추정된 하나의 전송률을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여기서, 전송률은 SINR, SNR, 주파수 이용 효율, 자원들(예를 들어, RB들) 각각에서 시간당 전송되는 정보의 비트 수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무선 네트워크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으로서,
    단말 #1 내지 #n 각각의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블록(transport block) #1 내지 #n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송 블록 #1 내지 #n을 포함하는 조인트(joint) 전송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조인트 전송 블록을 포함하는 페이로드(payload)에 대한 부호화 및 변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변조된 페이로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단말 #1 내지 #n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n은 2 이상의 정수인, 기지국의 동작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전송 블록은 상기 단말 #1 내지 #n의 공통 정보를 포함하는 공통 전송 블록을 더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페이로드는 상기 조인트 전송 블록을 위한 CRC(cyclic redundancy check) 비트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복수의 송수신점(transmitting/receiving point)들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는 상기 복수의 송수신점을 통해 전송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송수신점들 각각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신호에 서로 다른 위상 계수가 적용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단말 #1 내지 #n으로부터 수신된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또는 CSI(channel state information)를 기초로 결정된 프리코더(precoder)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호가 주파수 대역 #1 내지 #m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상기 주파수 대역 #1 내지 #m 각각에서 서로 다른 위상 계수가 상기 신호에 적용되며,
    상기 m은 2 이상의 정수이고, 상기 주파수 대역 #1 내지 #m 각각은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들(subcarriers)을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8. 무선 네트워크에서 단말 #k의 동작 방법으로서,
    기지국으로부터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페이로드에 대한 복조 및 복호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조인트 전송 블록(joint transport block)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조인트 전송 블록에 포함된 전송 블록 #1 내지 #n 중에서 상기 단말 #k를 위한 전송 블록 #k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n은 2 이상의 정수이며, 상기 k는 1 내지 n 중에서 하나의 값인, 단말 #k의 동작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전송 블록은 단말 #1 내지 #n의 공통 정보를 포함하는 공통 전송 블록을 더 포함하는, 단말 #k의 동작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페이로드는 상기 조인트 전송 블록을 위한 CRC(cyclic redundancy check) 비트를 더 포함하는, 단말 #k의 동작 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복수의 송수신점(transmitting/receiving point)들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는 상기 복수의 송수신점을 통해 수신되는, 단말 #k의 동작 방법.
  12. 무선 네트워크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으로서,
    복수의 단말들을 그룹 #1 내지 #n으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그룹 #1 내지 #n 각각을 위한 스케줄링(scheduling)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그룹 #1 내지 #n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그룹 #1 내지 #n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n은 2 이상의 정수이고, 상기 그룹 #1 내지 #n 각각은 2개 이상의 단말들을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 중에서 일부 정보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를 통해 전송되고, 상기 스케줄링 정보 중에서 나머지 정보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을 통해 전송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그룹 #1 내지 #n 각각을 위해 할당된 자원 영역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복수의 송수신점(transmitting/receiving point)들을 포함하며, 상기 스케줄링 정보 및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 각각은 상기 복수의 송수신점들을 통해 전송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송수신점들 각각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에 서로 다른 위상 계수가 적용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17.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또는 CSI(channel state information)를 기초로 결정된 프리코더(precoder)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18.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가 주파수 대역 #1 내지 #m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상기 주파수 대역 #1 내지 #m 각각에서 서로 다른 위상 계수가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에 적용되며,
    상기 m은 2 이상의 정수이고, 상기 주파수 대역 #1 내지 #m 각각은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들(subcarriers)을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19.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그룹 #1 내지 #n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그룹 #1 내지 #n 각각을 위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블록(transport block) #1 내지 #n으로 구성되는 조인트(joint) 전송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조인트 전송 블록을 포함하는 페이로드(payload)에 대한 부호화 및 변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변조된 페이로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그룹 #1 내지 #n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전송 블록은 상기 그룹 #1 내지 #n의 공통 정보를 포함하는 공통 전송 블록을 더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KR1020180152099A 2018-11-30 2018-11-30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 방법 및 장치 KR202000655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099A KR20200065539A (ko) 2018-11-30 2018-11-30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099A KR20200065539A (ko) 2018-11-30 2018-11-30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539A true KR20200065539A (ko) 2020-06-09

Family

ID=71082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2099A KR20200065539A (ko) 2018-11-30 2018-11-30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55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95603B2 (en) 2020-11-25 2024-02-0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Frame structure and terminal synchroniz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95603B2 (en) 2020-11-25 2024-02-0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Frame structure and terminal synchroniz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1978B2 (en) Uplink repetition configuration
CN110073620B (zh) 用于复用信道状态信息的方法和装置
RU2745419C1 (ru) Адаптивная антенная решетка с переменной когерентностью
US10771140B2 (en) Selective channel feedback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U260877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дачи информации управления в беспроводных системах связи
US10686501B2 (en) Precoding information signaling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transmiss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plurality of array antennas
KR20230006489A (ko) 업링크 기준 신호에 기초하여 빔 관리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11177865B2 (en) Precoder resource group allocation methods for MIMO communication
CN115485983A (zh) 用于发送和接收针对多个trp的上行链路的方法及其装置
US20230179339A1 (en) Flexible semi-static harq-ack codebook overhead
KR20230160309A (ko) Csi 보고 단위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4008397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제어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EP4331131A1 (en) Uplink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bundling with beam sweeping
CN116195307A (zh) 用于副分量载波上的物理上行链路控制信道(pucch)传输的功率控制
KR20200065539A (ko)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 방법 및 장치
US9578539B1 (en) Transmitting a data packet over a wireless communication link
US11824808B2 (en) Techniques for multiplexing multi-bit and single-bit feedback
US20230041715A1 (en) Multiplexing multi-bit feedback and single-bit feedback on an uplink shared channel
US20230370231A1 (en) Techniques for sounding reference signal phase coherency
WO2022174388A1 (en) Unified channel state information framework for sidelink communications
WO2021195981A1 (en) Reporting of multiple alternatives of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 quantities for full duplex base station
US202200296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for network cooperative communication
US20230164547A1 (en) Multi-beam based physical layer security enhancement
US11729603B2 (en) Techniques for reporting uplink transmission continuity capability
CN114651408B (zh) 基于确认传输的多播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