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5465A - 중앙 간호 시스템 기반의 개인 간호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중앙 간호 시스템 기반의 개인 간호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5465A
KR20200065465A KR1020180151979A KR20180151979A KR20200065465A KR 20200065465 A KR20200065465 A KR 20200065465A KR 1020180151979 A KR1020180151979 A KR 1020180151979A KR 20180151979 A KR20180151979 A KR 20180151979A KR 20200065465 A KR20200065465 A KR 20200065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ral
nursing system
nursing
patient
personal c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1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만형
임예준
전종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키네틱랩
주식회사 코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키네틱랩, 주식회사 코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키네틱랩
Priority to KR1020180151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5465A/ko
Publication of KR20200065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54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larm System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은 간호, 간병 인력으로 기존과 동일 혹은 더 적극적인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므로, 비용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입원환자 및 보호자의 의료 서비스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기존 간호인력당 담당해야 할 환자수가 적어져 양질의 의료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지며 입원 환자의 만족도는 물론 의료서비스 제공자의 만족도 또한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중앙 간호 시스템 기반의 개인 간호 서비스 제공 방법 {METHOD FOR PROVIDING INDIVIDUAL NURSING SERVICE BASED ON CENTRAL NURSING SYSTEM}
본 발명은 중앙 간호 시스템 기반의 개인 간호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병동 내의 중앙 간호 시스템과 연동하여, 간호사 별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개인 간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디지털 의료를 위한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사용자와 주변 환경에 대한 데이터를 측정하거나 스마트폰 등 기존의 기기와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IoT 기반의 기술은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헬스케어와 의료 분야에 웨어러블과 같은 IoT 기기를 활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신체에 직접 착용하여 생체 데이터를 연속적이고, 정량적이며, 실시간으로 수집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기존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측정 가능했던 움직임과 걸음 수 측정 기반의 활동량, 칼로리 소모뿐만 아니라 체온, 심박수, 산소포화도, 심전도 등 다양한 의료 데이터 측정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따라서, 최신 IoT 기술을 적용한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입원환자의 건강상태에 대한 지속적인(Continuous) 측정이 가능할 뿐 아니라 항상 연결되어 있는(Connected) 네트워크 기술을 통해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에 비해, 간호사나 의사에게 직접 연락이 닿을 수 있는 수단은, 시스템으로 구현되지 않아 직접 유선으로 연락을 전하거나 병원내의 시스템에서만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현행 간호간병통합서비스의 문제점들과 필요성 그리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입원환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간호서비스 제공자들이 효율적으로 간호, 간병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커넥티드 입원환자 모니터링 시스템과 연동하여, 간호, 간병 서비스를 제공하는 담당 간호사를 위한 시스템으로, 담당 입원환자의 지속적인 상태 확인과 응급상황을 알려주는 모바일 앱 형태의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중앙 간호 시스템 기반의 개인 간호 서비스 제공 방법은, (a) 입원 환자 모니터링 디바이스로부터 환자의 생체 정보 및 상태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입원 환자의 상태를 분석하여 응급상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입원 환자의 상태에 따라, 간호사 단말로 기 설정된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중앙 간호 시스템이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은 간호, 간병 인력으로 기존과 동일 혹은 더 적극적인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므로, 비용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입원환자 및 보호자의 의료 서비스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기존 간호인력당 담당해야 할 환자수가 적어져 양질의 의료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지며 입원 환자의 만족도는 물론 의료서비스 제공자의 만족도 또한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중앙 간호 시스템 기반의 개인 간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구조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중앙 간호 시스템 기반의 개인 간호 서비스 제공 방법의 중앙 간호 시스템에 대한 구조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중앙 간호 시스템 기반의 개인 간호 서비스 제공 방법의 개인 간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 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VR HMD(예를 들어, HTC VIVE, Oculus Rift, GearVR, DayDream, PSVR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VR HMD 는 PC용 (예를 들어, HTC VIVE, Oculus Rift, FOVE, Deepon 등)과 모바일용(예를 들어, GearVR, DayDream, 폭풍마경, 구글 카드보드 등) 그리고 콘솔용(PSVR)과 독립적으로 구현되는 Stand Alone 모델(예를 들어, Deepon, PICO 등) 등을 모두 포함한다.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NFC, RFID, 초음파(Ultrasonic), 적외선, 와이파이(WiFi), 라이파이(LiFi) 등의 통신 모듈을 탑재한 각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중앙 간호 시스템 기반의 개인 간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중앙 간호 시스템 기반의 개인 간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10)은, 서버(100) 및 간호사 단말(2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서버(100) 및 간호사 단말(200)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서버(100)는 중앙 간호 시스템이 내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중앙 간호 시스템(소프트웨어)은 저장된 메모리 및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프로세서는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입원 환자 모니터링 디바이스로부터 환자의 생체 정보 및 상태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입원 환자의 상태를 분석하여 응급상황 여부를 판단하고 입원 환자의 상태에 따라, 간호사 단말(200)로 기 설정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간호사 단말(200)은, 특정 장소에 위치한 컴퓨팅 장치가 될 수 있으며, 간호사가 소지한 디바이스가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한 휴대기기가 될 수 있다.
또한, 간호사 단말(200)은 개인 간호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중앙 간호 시스템 기반의 개인 간호 서비스 제공 방법의 중앙 간호 시스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중앙 간호 시스템은, 서버에 내장되어 있는 중앙 관리 및 주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이고, 입원 환자 모니터링 디바이스로부터 수집되는 환자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중앙 간호 시스템 기반의 개인 간호 서비스 제공 방법의 중앙 간호 시스템은, 입원 환자의 생체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가 내장된 입원 환자용 모니터링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통신연결 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서버(100)는, 병동 내 간호사실에 위치하고 있는 중앙 관리 및 주 알림 서비스 제공 소프트웨어로 디바이스로부터 수집되는 환자 데이터를 관리하고 응급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수집되는 데이터의 실시간 모니터링과 효율적인 간호 간병 업무 지원을 위한 데이터 시각화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비를 포함하여 구비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중앙 간호 시스템 기반의 개인 간호 서비스 제공 방법의 중앙 간호 시스템은 기 설정된 게이트웨이 및 VPN(가상 사설 네트워크)을 통해 접근이 가능한 보안 네트워크 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원 환자에 대한 데이터 중, 개인 정보와 관련된 사항이나 검진 내역 등 보안 사항은 외부로 유출이 되어서는 안되는 데이터로, 게이트웨이 및 VPN을 통해서만 데이터의 송, 수신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중앙 간호 시스템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입원 환자용 모니터링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환자의 심박수 모니터링, 낙상감지 알림, 응급콜 응답 서비스, 제한구역 접근 알림이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환자 ID매칭 및 관리, 디바이스 연결 및 관리,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 등의 기능을 지원하는 것이 가능한 소프트웨어가 될 수 있다.
즉, 환자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수집된 생체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낙상과 같은 응급상황의 인지와 환자의 응급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입원 환자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집된 입원환자 정보를 저장, 분석하며 입원환자의 상태에 대한 지속적인 알림, 응급상황 인지, 입원환자위치 추적, 환자-담당 간호사 관리 등을 수행하는 서버(100) 및 간호간병 서비스를 제공하는 담당 간호사를 위한 시스템으로, 담당 입원환자의 지속적인 상태 확인과 응급상황을 알려주는 모바일 앱 형태의 소프트웨어인 개인 간호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앱 형태의 소프트웨어인 개인 간호 시스템은 간호사 단말(200)에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로써, 입원 환자와 간호사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채널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원 환자가 소지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간호사 단말(200)간 매칭을 통해 병원 내에서 환자의 긴급 상황 호출 및 간호, 간병인의 환자 호출 등을 위한 통신 채널이 확보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응급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할 수 있으며, 간호사 단말(200) 하나에 다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매칭하여, 적은 간호 인력으로도 입원 환자에 대한 의료 서비스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중앙 간호 시스템 기반의 개인 간호 서비스 제공 방법의 개인 간호 서비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개인 간호 서비스는 서버(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서버(100)는 입원 환자 모니터링 디바이스로부터 환자의 생체 정보 및 상태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입원 환자의 상태를 분석하여 응급상황 여부를 판단하여, 입원 환자의 상태에 따라, 간호사 단말(200)로 기 설정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서버(100)는 입원 환자로부터 호출되는 응급 콜이나 입원 환자의 상태가 응급으로 변경된 경우 해당 간호사 단말(200)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간호사 단말의 위치가 병원 내에 있을 뿐 아니라 병원 밖에 있더라도 응급상황 발생 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도록 원내 보안 네트워크(중앙 간호 시스템이 사용하는 네트워크)가 아닌 Public Network(3G, LTE, Wi-Fi)로 연결할 수 있다.
보안이 지원되지 않는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으로 인해 환자 개인 정보에 대해 직접적인 접근은 불가하며 중앙 간호 시스템을 통한 연결(VPN) 또는 간호 지시사항, 알림 데이터 등 보안이 필요 없는 정보에만 접근 가능할 수 있다.
즉, 기 설정된 보안 데이터(환자의 개인 정보 등)를 제외한, 간호 지시 사항, 환자 관리 일반 데이터 및 응급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일반 네트워크 망(2G, 3G, LTE, WI-FI)통해 간호사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로써, 중앙 간호 시스템 기반의 개인 간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은, 입원 환자가 착용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웨어러블 디바이스, 서버(100), 간호사 단말(200)의 각 컴포넌트들을 통합하고, 병원 내 기 구축되어 있는 네트워크와 연동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간호 시스템과 간호사 단말(200)의 소프트웨어 간 TCP/IP 통신이 가능할 수 있으며, 환자의 개인정보에 대한 보안을 위해 입원 환자가 소지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직접 통신은 불가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중앙 간호 시스템 기반의 개인 간호 서비스 제공 방법의 서버(100)는 중앙 간호 시스템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병동 내 간호사실 등의 간호사, 간호조무사 및 의사가 상주하는 공간에 설치될 수 있으며, 입원 환자 모니터링이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보안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연결될 수 있는 공간에 설치 될 수 있다.
서버(100)의 중앙 간호 시스템은, 환자 심박수 모니터링, 낙상 감지 알림, 응급 콜 응답, 제한구역 접근 알림, 환자 ID 매칭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 연결 관리, 개인 간호 시스템 연결 관리 및 기존 디스플레이 연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중앙 간호 시스템 기반의 개인 간호 서비스 제공 방법의 간호사 단말(200)은, 개인 간호 시스템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개인 간호 시스템은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존재하는 소프트웨어가 될 수 있다.
개인 간호 시스템은, 담당 환자 관리, 환자 상태 알림, 응급상황 알림, 환자 응급 콜 대응, 환자 위치 추적 및 환자 ID 매칭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서버(100) 및 간호사 단말(200)에 포함된 시스템이 수행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써,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의 기능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시스템
100: 서버 200: 간호사 단말

Claims (4)

  1.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중앙 간호 시스템 기반의 개인 간호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입원 환자 모니터링 디바이스로부터 환자의 생체 정보 및 상태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입원 환자의 상태를 분석하여 응급상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입원 환자의 상태에 따라, 간호사 단말로 기 설정된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중앙 간호 시스템이 내장되어 있는 것인,
    중앙 간호 시스템 기반의 개인 간호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간호 시스템은,
    중앙 관리 및 주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이고,
    상기 입원 환자 모니터링 디바이스로부터 수집되는 환자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인,
    중앙 간호 시스템 기반의 개인 간호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간호 시스템은,
    기 설정된 게이트웨이 및 VPN(가상 사설 네트워크)을 통해 접근이 가능한 보안 네트워크 망을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인 것인
    중앙 간호 시스템 기반의 개인 간호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기 설정된 보안 데이터를 제외한, 간호 지시 사항, 환자 관리 일반 데이터 및 응급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일반 네트워크 망(2G, 3G, LTE, WI-FI)통해 간호사 단말로 제공하는 것인,
    중앙 간호 시스템 기반의 개인 간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80151979A 2018-11-30 2018-11-30 중앙 간호 시스템 기반의 개인 간호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0654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979A KR20200065465A (ko) 2018-11-30 2018-11-30 중앙 간호 시스템 기반의 개인 간호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979A KR20200065465A (ko) 2018-11-30 2018-11-30 중앙 간호 시스템 기반의 개인 간호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465A true KR20200065465A (ko) 2020-06-09

Family

ID=71082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1979A KR20200065465A (ko) 2018-11-30 2018-11-30 중앙 간호 시스템 기반의 개인 간호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546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agadeeswari et al. A study on medical Internet of Things and Big Data in personalized healthcare system
Jaiswal et al. An IoT-cloud based smart healthcare monitoring system using container based virtual environment in edge device
Zeadally et al. Harnessing the power of Internet of Things based connectivity to improve healthcare
AbdElnapi et al. A survey of internet of things technologies and projects for healthcare services
Nasri et al. Smart mobile healthcare system based on WBSN and 5G
Stradolini et al. IoT for telemedicine practices enabled by an Android™ application with cloud system integration
Famá et al. An IoT-based interoperable architecture for wireless biomonitoring of patients with sensor patches
Su et al. A novel framework for a remote patient monitoring (RPM) system with abnormality detection
Miao et al. Mobihealthcare system: Body sensor network based m-health system for healthcare application
Hassan et al. Integration of internet of things (IoT) in health care industry: an overview of benefits, challenges, and applications
Akhtar et al. A holistic analysis of Medical Internet of Things (MIoT)
US20130346091A1 (en) Transition monitoring and statistical analysis
Gomes et al. A comprehensive cloud-based IoT software infrastructure for ambient assisted living
Kaushik et al. Internet of Things advancements in healthcare
Goyal et al. Designing the low cost patient monitoring device (LCPMD) & Ubiquitous based Remote Health Monitoring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using Tablet PC
Bhuiyan et al. Iot-based patient monitoring system through online cloud and ecg sensor
BasheeruddinAsdaq et al. Wireless Networking‐Driven Healthcare Approaches in Combating COVID‐19
Elsaadany et al. A triggering mechanism for end-to-end IoT eHealth system with connected ambulance vehicles
Suhail et al. IoT enabled applications for Healthcare decisions
Sridevi et al. Context aware health monitoring system
Rokonuzzaman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elehealth device: Linking IoT sensors to cloud networks
KR20200065465A (ko) 중앙 간호 시스템 기반의 개인 간호 서비스 제공 방법
Adly et al. Healthcare technology trade-offs for IoT ecosystems from a developing country perspective: case of Egypt
Shen et al. Toward a Nationwide Mobile‐Based Public Healthcare Service System with Wireless Sensor Networks
Memon et al. The Role of the Internet of Things (IoT) and Wireless Sensor Network (WSN) in Healthca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