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5347A - Method for online creativity leaning management, and management server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online creativity leaning management, and management server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5347A
KR20200065347A KR1020180151719A KR20180151719A KR20200065347A KR 20200065347 A KR20200065347 A KR 20200065347A KR 1020180151719 A KR1020180151719 A KR 1020180151719A KR 20180151719 A KR20180151719 A KR 20180151719A KR 20200065347 A KR20200065347 A KR 20200065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information
learner
evaluation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17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50307B1 (en
Inventor
정제근
Original Assignee
정제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제근 filed Critical 정제근
Priority to KR1020180151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307B1/en
Publication of KR20200065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53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3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online creativity learning management, and a management server therefor. The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pre-storing learner information on each of a plurality of learners; pre-storing sample data including expression target information for each of a plurality of creative learning, at least one basic shap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an expression target, a background imag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creative learning, and a sample image completed based on the expression target information on the background image; generating a learning request UI for requesting to perform creative learning expressing the expression target information by using the basic shape information on the background image, while providing the background image, the expression target information, and the basic shape information that correspond to predetermined creative learning; uploading a task image for creative learning performed by the learner from a user terminal of the learner and storing the task image for each learner, in response to the learning request UI; and generating evaluation information by evaluating a learning level of the learner based on a result of comparing the similarity between the sample image corresponding to the creative learning and the task image. Accordingly, since evaluation results for current learning levels of the learner are periodically provided to a caregiver, the learner gets feedback on weak areas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by the caregiver, so that customized learning management is facilitated according to the learning level of the learner.

Description

온라인 창의학습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관리 서버{METHOD FOR ONLINE CREATIVITY LEANING MANAGEMENT, AND MANAGEMENT SERVER FOR THE SAME}METHOD FOR ONLINE CREATIVITY LEANING MANAGEMENT, AND MANAGEMENT SERVER FOR THE SAME

본 발명은 온라인 창의학습을 수행한 학습자의 작업물에 대한 학습 평가를 수행하고 이에 기초한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는 온라인 창의학습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관리 서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line creative learning management method and a management server therefor for performing a learning evaluation on a work of a learner who has performed online creative learning and providing a portfolio based thereon.

컴퓨터의 연산 능력이 고도화되고 유무선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의 보급이 확산됨에 따라서 특히 컴퓨터를 이용한 학습이 보편화되고 있다. 이러한 컴퓨터를 이용한 학습은 특히 사교육의 증가에 따른 학습 기회의 불균형을 해소하며 또한 교육 비용의 절감 차원에서 보급이 가속화되고 있는 실정이다.As computer computing power is advanced and the spread of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wired and wireless Internet is spreading, learning using computers is becoming more common. In particular, learning using a computer solves the imbalance of learning opportunities due to the increase in private education, and the spread is accelerating in order to reduce education costs.

현재 이러한 통신 네트워크 또는 컴퓨터를 이용한 학습은 주로 강의 내용을 동영상 형태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하여 학습하는 형태로 구성된다.Currently, learning using such a communication network or computer mainly consists of transmitting lecture content in the form of a video and receiving it for learning.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통신 네트워크 또는 컴퓨터를 이용한 학습은 특히 실습이 중요시되는 미술 학습에 있어서는 적용되는 것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communication network or computer-based learning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especially in art learning where practice is important.

즉, 기타 다른 과목의 경우와 같은 일방적인 강의를 통하는 경우에는 특히 실습이 중요시되는 미술 학습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실제 실습을 통하여 예컨대 그림을 그리면 이 결과를 다시 피드백하여 사용자의 학습 결과를 평가하는 과정이 구현되어야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지만, 종래의 컴퓨터를 이용한 학습은 이러한 과정의 구현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한계가 있는 상황이다.That is, in the case of unilateral lectures such as in the case of other subjects, art learning in which practice is particularly important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In addition, when the user draws a picture, for example, through actual practice, the result is fed back to the user's learning Although the process of evaluating the results can be implemented to improve the learning effect, learning using a conventional computer has a limitation in that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such a process realistically.

KRKR 10-2018-006644010-2018-0066440 AA KRKR 10-075894010-0758940 B1B1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온라인 창의학습을 수행한 학습자의 작업물에 대한 학습 평가를 수행하고 이에 기초한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는 온라인 창의학습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관리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n online creative learning management method and a management server for performing a learning evaluation on a work of a learner who has performed online creative learning and providing a portfolio based thereon The purpo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온라인 창의학습 관리 방법은, 복수의 학습자 각각의 학습자 정보를 기저장하는 단계와, 복수 개의 창의학습 각각에 대한 표현대상 정보 및 상기 표현대상의 형상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본도형 정보와, 각각의 상기 창의학습에 대응되는 배경이미지 및 상기 배경이미지 상에서 상기 표현대상 정보에 기초하여 완성된 견본이미지를 포함하는 견본데이터를 기저장하는 단계와, 소정의 창의학습에 대응되는 상기 배경이미지, 상기 표현대상 정보 및 상기 기본도형 정보를 제공하면서 상기 배경이미지 상에서 상기 기본도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표현대상 정보를 표현하는 창의학습을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학습 요청 UI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학습요청 UI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학습자가 수행한 창의학습에 대한 작업이미지를 상기 학습자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업로드받아 학습자별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창의학습에 대응되는 상기 견본이미지와 상기 작업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평가하여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line creative learning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tep of pre-storing the learner information of each of a plurality of learners, the expression target information and the expression target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reative learning Pre-storing sample data including at least one basic shap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hape, a background imag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creative learning, and a completed sample image based on the expression target information on the background image; Learning to request to perform creative learning to express the expression target information using the basic shape information on the background image while providing the background image, the expression target information, and the basic shap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creative learning Generating a request UI, uploading a job image for creative learning performed by the learner from the user terminal of the learner and storing it for each learner in response to the learning request UI, and corresponding to the creative learning And evaluating the learner's learning level based on a result of comparing the similarity between the sample image and the work image, and generating evaluation information.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학습자에 대응하여 소정 시간 동안 기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작업이미지 각각에 기초한 상기 학습 견본 데이터 및 상기 평가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평가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시간 순서대로 취합한 학습자별 포트폴리오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a portfolio for each learner that generates learning evaluation data including the learning sample data and the evaluation information based on each of at least one work image pre-stored for a predetermined time corresponding to each learner, and then collects the learning evaluation data in chronological ord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generat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본도형 정보는 상기 표현대상 정보에 대응되는 기본도형의 유형 정보 및 개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견본이미지를 기준으로 상기 작업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기본도형의 개수 및 배치 상태와 각각의 상기 기본도형의 색상, 윤곽 형상, 모서리 및 꼭지점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색상, 형태, 구도 및 창의성 각각에 대한 평가 항목별로 계산하여 평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basic shape information includes type information and number information of the basic shape corresponding to the expression target information, and the generating of the evaluation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the image included in the work image based on the sample image. Evaluation items for each color, shape, composition and creativity of the learner's learning level based on the result of comparing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one basic figure with the color, contour shape, corner and vertex of each basic figure. It is characterized by generating the evaluation information evaluated by calculating for each.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온라인 창의학습 관리 서버는, 복수의 학습자 각각의 학습자 정보가 기저장된 학습자 관리부와, 복수 개의 창의학습 각각에 대한 표현대상 정보 및 상기 표현대상의 형상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본도형 정보와, 각각의 상기 창의학습에 대응되는 배경이미지 및 상기 배경이미지 상에서 상기 표현대상 정보에 기초하여 완성된 견본이미지를 포함하는 견본데이터가 기저장된 견본데이터 관리부와, 소정의 창의학습에 대응되는 상기 배경이미지, 상기 표현대상 정보 및 상기 기본도형 정보를 제공하면서 상기 배경이미지 상에서 상기 기본도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표현대상 정보를 표현하는 창의학습을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학습 요청 UI를 생성하는 학습요청 생성부와, 상기 학습요청 UI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학습자가 수행한 창의학습에 대한 작업이미지를 상기 학습자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업로드받아 학습자별로 저장하는 작업파일 관리부와, 상기 창의학습에 대응되는 상기 견본이미지와 상기 작업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평가하여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평가부와, 각각의 학습자에 대응하여 소정 시간 동안 기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작업이미지 각각에 기초한 상기 학습 견본 데이터 및 상기 평가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평가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시간 순서대로 취합한 학습자별 포트폴리오를 생성하는 포트폴리오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the online creative learning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a learner management unit in which learner information of each of a plurality of learners is pre-stored, and at leas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xpression target information and the shape of the expression target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reative learning. A sample data management unit pre-stored with sample data including one basic figure information, a sample image completed based on the expression target information on the background image and the background image corresponding to each creative learning, and predetermined creative learning Generating a learning request UI requesting to perform creative learning that expresses the expression target information by using the basic shape information on the background image while providing the background image, the expression target information, and the basic shap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 learning request generating unit to perform, a work file management unit that uploads a work image for creative learning performed by the learner from the user terminal of the learner and stores it for each learner in response to the learning request UI, and corresponding to the creative learning An evaluation unit that generates evaluation information by evaluating the learner's learning level based on a result of comparing the similarity between the sample image and the work image, and at least one work image pre-stored for a predetermined time corresponding to each learner, respectively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rtfolio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portfolio for each learner who collects the training sample data based on the learning sample data and the evalu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chronological order.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본도형 정보는 상기 표현대상 정보에 대응되는 기본도형의 유형 정보 및 개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평가부는, 상기 견본이미지를 기준으로 상기 작업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기본도형의 개수 및 배치 상태와 각각의 상기 기본도형의 색상, 윤곽 형상, 모서리 및 꼭지점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색상, 형태, 구도 및 창의성 각각에 대한 평가 항목별로 계산하여 평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basic shape information includes type information and number information of the basic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to be expressed, and the evaluation unit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basic shapes included in the work image based on the sample image. Based on the result of comparing the number, arrangement state of each, and the color, contour shape, edge, and vertex of each of the basic shapes, the learner's learning level is calculated and evaluated for each color, shape, composition, and creativity for each evaluation item. It is characterized by generating evaluation inform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학습자 각각에 대응되는 보호자 정보가 기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보호자 정보에 대응되는 보호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평가 정보를 제공하면서 상기 평가 정보의 중요도에 대한 제1 피드백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면서 상기 포트폴리오에 포함된 복수의 상기 학습 평가 데이터 각각의 필요성 여부에 대한 제2 피드백 정보를 요청한 후,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되는 제1 피드백 정보 또는 상기 제2 피드백 정보를 보호자별로 저장하는 피드백 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포트폴리오 생성부는, 상기 보호자에 대응되는 학습자에 대한 상기 포트폴리오 생성 시에 상기 제1 피드백 정보에 기초한 중요도에 따라 소정의 가중치를 반영한 상기 학습 평가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제2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필요성이 있는 상기 학습 평가 데이터만 선택적으로 취합한 상기 포트폴리오를 생성하여 상기 학습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while the guardia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learners is pre-stored, the first feedback information on the importance of the assessment information is requested while providing the assessment information to the guardian's user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guardian information. Then, while providing the portfolio and requesting second feedback information about whether each of the plurality of learning evaluation data included in the portfolio is necessary, the first feedback information or the second feedback information received in response to the request Further comprising a feedback management unit for storing each guardian, the portfolio generation unit, the learning evaluation data reflecting a predetermined weight according to the importance based on the first feedback information when generating the portfolio for the learner corresponding to the guardian After generat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based on the second feedback information, the portfolio which selectively collects only the necessary learning evaluation data is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learner's user terminal.

본 발명에 따르면, 학습자의 현재 학습 수준에 대한 평가 결과를 주기적으로 보호자에게 제공함에 따라, 보호자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학습자가 취약한 부분에 대한 피드백을 수행하여 학습자의 학습 수준에 따른 맞춤형 학습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learner's current learning level is periodically provided to the guardian, personalized learning management according to the learner's learning level is possible by performing feedback on the weak part of the learner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of the guardian It work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창의학습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창의학습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견본데이터 관리부에 기저장되는 견본이미지의 일례로 이에 기초한 기본도형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포트폴리오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포트폴리오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for managing online creative lear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nline creative learning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basic shape information based on an example of a sample image pre-stored in the sample data management unit of FIG. 2,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portfolio generated by the portfolio generating unit of FIG. 2.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려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The problems to be solved for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and specific matters including the effect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following examples and drawing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 same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창의학습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견본데이터 관리부에 기저장되는 견본이미지의 일례로 이에 기초한 기본도형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포트폴리오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포트폴리오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nline creative learning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xample of a sample image pre-stored in the sample data management unit of FIG. 2 to explain basic figure information based thereon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ortfolio generated by the portfolio generating unit of FIG. 2.

이하, 전술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창의학습 관리 서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online creative learning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forementioned drawings.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창의학습 관리 서버(10)는 소정의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학습자 단말기(20) 및 보호자 단말기(30)와의 데이터 통신을 각각 수행 가능한 상태로, 소정의 창의학습을 수행하는 학습자의 학습자 단말기(20)로부터 업로드 받은 작업이미지에 대한 평가를 수행한 후 이에 기초한 평가 데이터를 소정 기간 누적하여 취합한 학습자별 포트폴리오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Referring to FIG. 2, the online creative learning management serv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the learner terminal 20 and the guardian terminal 30 using a predetermined Internet network, respectively. In addition, after performing evaluation on the work image uploaded from the learner terminal 20 of a learner performing a predetermined creative learning, it serves to generate and provide a portfolio for each learner by accumulating evaluation data based thereon for a predetermined period.

본 발명에 따른 창의학습은 도형, 색상, 구도 등을 활용한 모든 형태의 학습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창의학습은 직선이나 곡선을 이용하여 시작점과 끝점을 잇는 형태로 형성 가능한 다양한 형상의 도형을 종합적으로 이용하는 모든 학습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The creative lear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all forms of learning using figures, colors, composi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creative learning can include all types of learning that use shapes of various shapes that can be formed in a form connecting a starting point and an ending point using a straight line or a curve.

여기서, 창의학습 관리 서버(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자 관리부(110), 견본데이터 관리부(120), 학습요청 생성부(130), 작업파일 관리부(140), 평가부(150), 포트폴리오 생성부(160) 및 피드백 관리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reative learning management server 10, as shown in Figure 2, the learner management unit 110, the sample data management unit 120, the learning request generation unit 130, the work file management unit 140, the evaluation unit 150 , A portfolio creation unit 160 and a feedback management unit 170.

학습자 관리부(110)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의 학습자 각각의 학습자 정보가 기저장된 상태일 수 있다.The learner management unit 110 may be provided in a predetermined database form, and learner information of each of a plurality of learners may be pre-stored.

이때, 상기 학습자 정보는 서버(10)에 기등록된 학습자의 이름, 성별, 나이, 주소 등의 인적사항 정보와 복수의 학습자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20)를 구별하기 위한 학습자별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learner information includes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the name, gender, age, and address of the learner previously registered in the server 10 an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learner for distinguishing each user terminal 20 of the plurality of learners. It may be.

견본데이터 관리부(120)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창의학습 각각에 대한 표현대상(Eo) 정보, 기본도형(Fb) 정보, 배경이미지(Ib) 및 견본이미지(Is)를 포함하는 견본데이터가 기저장된 상태일 수 있다.The sample data management unit 12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redetermined database, and includes expression object (Eo) information, basic shape (Fb) information, background image (Ib), and sample image (I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reative learning. The included sample data may be in a pre-stored state.

이때, 표현대상(Eo) 정보는 상기 창의학습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표현대상의 명칭이나 정의를 나타내는 것이고, 기본도형(Fb) 정보는 표현대상(Eo) 정보의 형상에 대응되는 기본도형(Fb)의 유형 정보 및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expression object (Eo) information indicates the name or definition of the expression object to be expressed in the creative learning, and the basic shape (Fb) information is the basic shape (Fb)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expression object (Eo) information. It may include type information and number information.

또한, 배경이미지(Ib)는 상기 창의학습에 대한 작업 요청 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바탕 이미지에 해당하는 것이고, 견본이미지(Is)는 배경이미지(Ib) 상에서 표현대상(Eo) 정보에 기초하여 완성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background image (Ib) corresponds to the background image that is basically provided when requesting work for the creative learning, and the sample image (Is) is completed based on the expression target (Eo) information on the background image (Ib). It may be a form.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견본이미지(Is)가 견본데이터 관리부(120)에 기저장된 상태일 때, 도 3A에 대응되는 견본 데이터로서, 표현대상 정보는 '사과나무'이고, 기본도형의 유형 정보는 사과나무에 열린 각각의 사과의 윤곽 형상에 대응하는 '원형'의 제1 기본도형(f1)과 사과나무의 기둥의 윤곽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형'의 제2 기본도형(f2)을 포함하고, 기본도형의 개수정보는 제1 기본도형(f1)은 견본이미지(Is)에 표시된 총 사과의 개수에 해당하고 제2 기본도형(f2)은 1개인 것으로 견본데이터 관리부(120)에 저장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ample image Is as shown in FIG. 3 is pre-stored in the sample data management unit 120, as sample data corresponding to FIG. 3A, the expression target information is an'apple tree', and the basic figure type information is 'round' the first basic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tour of each apple open on apple trees (f 1) and apple "square" second basic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tour shape of the pillars of wood (f 2 ), and the number information of the basic figure is a first basic figure (f 1) corresponds to the total number of apples shown in the sample image (is), and the second basic figure (f 2) is a sample data management unit to one individual include ( 120).

또한, 도 3B에 대응되는 견본 데이터로서, 표현대상 정보는 '포도'이고, 기본도형의 유형 정보는 하나의 포도 알갱이에 대응하는 '원형'의 제3 기본도형(f3)이며, 기본도형인 제3 기본도형(f3)의 개수정보는 견본이미지(Is)에 표시된 총 포도알의 개수에 해당하는 것으로 견본데이터 관리부(120)에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ample data corresponding to FIG. 3B, the expression target information is'grape', and the type information of the basic shape is the third basic shape f 3 of the'circle' corresponding to one grape grain, and the basic shape is The number information of the third basic figure f 3 corresponds to the total number of grape grains displayed in the sample image Is and may be stored in the sample data management unit 120.

학습요청 생성부(130)는 소정의 창의학습에 대응되는 배경이미지(Ib), 표현대상(Eo) 정보 및 기본도형(Fb) 정보를 제공하면서 배경이미지(Ib) 상에서 기본도형(Fb) 정보를 이용하여 표현대상(Eo) 정보를 표현하는 창의학습을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학습 요청 UI를 생성한다.The learning request generating unit 130 provides basic image (Fb) information on the background image (Ib) while providing background image (Ib), expression object (Eo) information, and basic shape (Fb)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creative learning. Create a learning request UI requesting to perform creative learning that expresses the expression object (Eo) information.

이때, 배경이미지(Ib)는 소정 규격의 캔버스에 대응하는 크기의 이미지 파일 형태로 첨부될 수 있으며, 상기 학습 요청 UI는 표현대상(Eo)의 명칭과 기본도형(Fb)의 유형 정보를 포함하면서 상기 창의학습에 대응되는 학습 목표를 안내하는 소정의 안내문구를 포함하는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ackground image Ib may be attached in the form of an image file of a size corresponding to a canvas of a predetermined standard, and the learning request UI includes the name of the expression target Eo and the type information of the basic shape Fb. It may be generated in a form including a predetermined guide phrase that guides the learning objective corresponding to the creative learning.

예컨대, 제1 기본도형이 '삼각형'이고 제2 기본도형이 '사각형'이며 표현대상이 '오징어'인 경우, 상기 학습 요청 UI는 '삼각형과 사각형을 이용하여 오징어를 표현하시오'와 같은 학습목표에 해당하는 안내문구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basic shape is'triangle', the second basic shape is'square', and the expression target is'squid', the learning request UI is a learning target such as'express squid using triangles and squares'. It may include a guide phrase corresponding to.

작업파일 관리부(140)는 학습요청 생성부(130)에 의해 생성된 학습요청 UI에 대한 응답으로서 학습자가 수행한 창의학습에 대한 작업이미지(Iw)를 학습자의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업로드받아 학습자별로 저장한다.The work file management unit 140 receives the work image Iw for the creative learning performed by the learner in response to the learning request UI generated by the learning request generation unit 130 from the learner's user terminal 20 and learners Save as much.

여기서, 작업이미지(Iw)는 학습자가 배경이미지(Ib)를 이용하여 작업한 이미지를 서버(10)에 업로드 가능한 파일 형식으로 변환한 것일 수 있다.Here, the work image Iw may be one in which a learner converts an image worked using the background image Ib into a file format uploadable to the server 10.

평가부(150)는 상기 창의학습에 대응되는 견본이미지(Is)와 작업이미지(Iw) 간의 유사도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평가하여 평가 정보를 생성한다.The evaluation unit 150 generates evaluation information by evaluating a learner's learning level based on a result of comparing the similarity between a sample image Is and a work image Iw corresponding to the creative learning.

여기서, 평가부(150)는, 견본이미지(Is)를 기준으로 작업이미지(Iw)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기본도형(Fb)의 개수 및 배치 상태와 각각의 기본도형(Fb)의 색상, 윤곽 형상, 모서리 및 꼭지점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색상, 형태, 구도 및 창의성 각각에 대한 평가 항목별로 계산하여 평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Here, the evaluation unit 150,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at least one basic shape (Fb) included in the work image (Iw) based on the sample image (Is) and the color, contour of each basic shape (Fb) Based on the result of comparing the shape, corners, and vertices, evaluation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by calculating the learner's learning level for each color, shape, composition, and creativity for each evaluation item.

이때, 상기 색상에 대한 평가는 견본이미지(Is)와 작업이미지(Iw) 각각의 소정 영역에 대응하여 추출되는 RGB 평균값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한 것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evaluation of the color may be based on a result of comparing the RGB average values extracted in correspondence with a predetermined area of each of the sample image Is and the work image Iw.

또한, 상기 형태에 대한 평가는 작업이미지(Iw)에 기본도형(Fb)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패턴 마스크를 가지는 필터를 적용함에 따라 추출되는 선형적 성분, 비선형적 성분, 특징 성분, 논리연산에 따른 성분 등에 기초한 기본도형(Fb)의 개수, 윤곽 형상, 모서리 및 꼭지점을 기저장된 기본도형(Fb) 정보와 비교한 결과에 기초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evaluation of the shape is based on the linear component, the nonlinear component, the feature component, and the logical operation extracted by applying a filter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mask corresponding to the basic shape Fb to the work image Iw. It may be based on a result of comparing the number, contour shape, corners, and vertices of a basic shape (Fb) based on components, etc. with previously stored basic shape (Fb) information.

또한, 상기 구도에 대한 평가는 견본이미지(Is)와 작업이미지(Iw) 각각의 배경이미지(Ib) 상에서의 기본도형(Fb)의 배치 형상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evaluation of the composition may be based on a result of comparing the arrangement shape of the basic figure Fb on the background image Ib of each of the sample image Is and the work image Iw.

예컨대, 도 3B를 참조하면, 견본이미지(Is)에 포함된 복수 개의 기본도형(f3)의 윤곽 형상에 대응되는 배치 형상이 '삼각형' 형상을 이루는 경우, 평가부(150)는 도 3B에 도시된 견본이미지(Is)와 비교하는 작업이미지(Iw)에 포함된 기본도형의 배치 형상이 '삼각형' 형상을 이루는지에 따라 작업이미지(Iw)에 대한 '구도' 항목의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3B, when the arrangement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tour shape of the plurality of basic shapes f 3 included in the sample image Is forms a'triangular' shape, the evaluation unit 150 is shown in FIG. 3B. Evaluation of the item'composition' for the work image Iw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whether the arrangement shape of the basic figure included in the work image Iw compared to the illustrated sample image Is forms a'triangle' shape. .

또한, 상기 창의성에 대한 평가는, 작업이미지(Iw)에 포함된 복수 개의 기설정된 크기의 기본도형이 견본이미지(Is)와 비교하여 각각의 위치를 유지하면서 배치된 상태일 때, 작업이미지(Iw)에 포함된 상기 기본도형을 제외한 나머지 도형의 수, 배치, 색상 등을 정량화해서 카운팅한 값에 기초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evaluation of the creativity, when the basic shapes of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sizes included in the work image (Iw) are arranged while maintaining their respective positions compared to the sample image (Is), the work image (Iw It may be based on the value counted by quantifying the number, arrangement, color, etc. of the figures other than the basic shapes included in ).

이 경우, 상기 나머지 도형의 배치 및 크기와 상기 나머지 도형의 윤곽에 대응하는 선의 굵기, 길이, 유형에 기초하여 해당 학습자의 심리를 분석한 결과를 도출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result of analyzing the psychology of the corresponding learner may be derived based on the arrangement and size of the remaining figures and the thickness, length, and type of lines corresponding to the outlines of the remaining figures.

여기서, 상기 평가부는,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전술한 바와 같이 색상, 형태, 구도 및 창의성 각각에 대한 평가 항목별로 계산하여 견본이미지(Is) 대비 작업이미지(Iw)의 일치도에 대응되는 평가 항목별 점수를 계산하고, 평가항목별 점수의 총합을 기저장된 평가 점수 범위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 중, 하 중 어느 하나의 평가값을 상기 평가 정보의 최종 평가 결과로써 결정할 수 있다.Here, the evaluation unit calculates the learner's learning level by evaluation items for each of color, shape, composition, and creativity as described above, and scores for each evaluation item corresponding to the matching degree of the sample image (Is) and the work image (Iw). It can be calculated, a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paring the sum of scores for each evaluation item with a previously stored range of evaluation scores, one of the evaluation values of upper, middle, and lower may be determined as the final evaluation result of the evaluation information.

예컨대, 도 4를 참조하면, 평가항목별 점수의 총합이 '40(점)' 내지 '60(점)'이면 '하'의 평가값을 가지고, '60(점)' 내지 '80(점)'이면 '중'의 평가값을 가지고, '80(점)' 내지 '100(점)'이면 '상'의 평가값을 가지는 것으로 기저장된 상태일 때, 만약 작성자 '김○○'가 '2018-11-12'에 작성한 작업이미지(<작업본>)를 견본이미지(<견본>)에 기초하여 평가한 평가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평가 데이터(D1)의 경우, '색상'에 대한 제1 평가점수인 '20(점)'과, '형태'에 대한 제2 평가점수인 '25(점)'과, '구도'에 대한 제3 평가점수인 '20(점)'과, '창의성'에 대한 제4 평가점수인 '15(점)'을 모두 합산한 총합이 '80(점)'이 되므로, 최종 평가 결과는 '80(점)'에 대응되는 '상'의 평가값으로 결정되게 된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4, if the sum of the scores for each evaluation item is '40 (points)' to '60 (points)', it has an evaluation value of'lower' and '60 (points)' to '80 (points). If it is pre-stored as having an evaluation value of'medium'and'evaluation' of '80 (point)' to '100 (point)', if the author'Kim○○' is '2018 In the case of learning evaluation data (D 1 ) that includes evaluation information evaluated based on a sample image (<sample>), a work image (<work>) created in '11-12' is the first for'color'. The evaluation score of '20 (points)', the second evaluation score of'forms', '25 (points)', the third evaluation score of'composition', '20 (points)', and'creativity' Since the sum of all the 4th evaluation scores of '15 (points)' becomes '80 (points)', the final evaluation result is determined as the evaluation value of'phase' corresponding to '80 (points)'. do.

포트폴리오 생성부(160)는 각각의 학습자에 대응하여 소정 시간 동안 기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작업이미지(Iw) 각각에 기초한 상기 학습 견본 데이터 및 상기 평가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평가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시간 순서대로 취합한 학습자별 포트폴리오를 생성한다.The portfolio generation unit 160 generates learning evaluation data including the learning sample data and the evaluation information based on each of at least one work image Iw pre-store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correspondence with each learner, and then time sequence Create a portfolio for each learner collected as follows.

여기서, 포트폴리오 생성부(160)는, 소정의 창의학습을 수행하는 학습자명 및 학습 수행 일시에 대한 정보와, 상기 창의학습에 대응되는 견본이미지(Is) 및 이에 기초한 학습자의 작업이미지(Iw)와, 견본이미지(Is)를 기준으로 평가한 작업이미지(Iw)에 기초한 학습 수준에 대한 평가 항목별 점수와, 평가 항목별 점수의 총합에 기초한 최종평가에 대한 평가값을 포함하는 학습 평가 데이터를 학습 수행 시점마다 생성한 후 이를 시간 순서대로 취합한 학습자별 포트폴리오를 생성할 수 있다.Here, the portfolio generating unit 160 includes information on a learner's name and date and time of performing a predetermined creative learning, a sample image Is corresponding to the creative learning, and a learner's working image Iw based thereon. , Learning learning evaluation data including evaluation item scores for the evaluation level based on the work image (Iw) evaluated based on the sample image (Is), and final evaluation based on the sum of the scores for each evaluation item. A portfolio for each learner can be generated after generating each execution time and collecting them in chronological order.

예컨대, 도 4를 참조하면, '2018-11-12'부터 '2018-11-18'까지의 일주일 동안 학습자 '김OO'가 수행한 창의학습에 대한 포트폴리오를 생성하고자 하는 경우, 포트폴리오 생성부(160)는 학습자인 '김OO'가 '2018-11-12'에 수행한 창의학습에 대한 첫번째 학습 평가 데이터(D1)와, '2018-11-13'에 수행한 창의학습에 대한 두번째 학습 평가 데이터(D2)와, '2018-11-18'에 수행한 창의학습에 대한 N번째 학습 평가 데이터(DN)를 포함하는 총 N개의 학습 평가 데이터(D1,D2,…,DN)를 취합한 포트폴리오를 생성하게 된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4, in order to create a portfolio for creative learning performed by learner'KIMOO' for a week from '2018-11-12' to '2018-11-18', the portfolio generation unit ( 160) is the first learning evaluation data (D 1 ) for creative learning performed by'Kim OO', a learner, on '2018-11-12', and the second learning on creative learning performed on '2018-11-13' A total of N learning evaluation data (D 1 ,D 2 ,…,D) including evaluation data (D 2 ) and Nth learning evaluation data (D N ) for creative learning performed in '2018-11-18' N ) to create a portfolio.

피드백 관리부(170)는 평가부(150)에 의해 생성된 상기 평가 정보와 포트폴리오 생성부(160)에 의해 생성된 상기 포트폴리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피드백을 요청한 후 이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된 피드백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The feedback management unit 170 requests feedback on at least one of the evalu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evaluation unit 150 and the portfolio generated by the portfolio generation unit 160, and stores feedback information received in response thereto. Plays a role.

여기서, 피드백 관리부(170)는, 상기 복수의 학습자 각각에 대응되는 보호자 정보가 기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보호자 정보에 대응되는 보호자의 사용자 단말기(30)로 평가부(150)에 의해 생성된 상기 평가 정보를 제공하면서 상기 평가 정보의 중요도에 대한 제1 피드백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Here, the feedback management unit 170, in the state in which the guardia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learners is pre-stored, the evaluation generated by the evaluation unit 150 to the user terminal 30 of the guardian corresponding to the guardian information While providing information, the first feedback information on the importance of the evaluation information may be requested.

이때, 상기 제1 피드백 정보는 상기 평가 정보에 대응되는 학습 평가 데이터에 포함되는 견본이미지(Is)에 기초하여 해당 창의학습의 중요도를 높음, 보통, 낮음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In this case, the first feedback information is for determining the importance of the creative learning as high, normal, or low based on a sample image Is included in the learning evalu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evaluation information.

또한, 피드백 관리부(170)는, 보호자의 사용자 단말기(30)로 포트폴리오 생성부(160)에 의해 생성된 상기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면서 상기 포트폴리오에 포함된 복수의 상기 학습 평가 데이터 각각의 필요성 여부에 대한 제2 피드백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eedback management unit 170, while providing the portfolio generated by the portfolio generation unit 160 to the guardian's user terminal 30, the plurality of learning evaluation data included in the portfolio, whether or not each need to 2 Feedback information can be requested.

이때, 상기 제2 피드백 정보는 각각의 상기 학습 평가 데이터를 상기 포트폴리오에 포함시킬지 아니면 제외시킬지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At this time, the second feedback information is for determining whether to include or exclude each of the learning evaluation data in the portfolio.

또한, 피드백 관리부(170)는 전술한 제1 피드백 요청 또는 제2 피드백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되는 제1 피드백 정보 또는 상기 제2 피드백 정보를 보호자별로 저장한 후, 상기 제1 피드백 정보 및 상기 제2 피드백 정보를 포트폴리오 생성부(160)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eedback management unit 170 stores the first feedback information or the second feedback information received in response to the first feedback request or the second feedback request described above for each guardian, and then the first feedback information and the first feedback information. 2 Feedback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portfolio generator 160.

이 경우, 포트폴리오 생성부(160)는 상기 제1 피드백 정보에 기초한 중요도에 따라 소정의 가중치를 반영한 상기 학습 평가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제2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필요성이 있는 상기 학습 평가 데이터만 선택적으로 취합한 상기 포트폴리오를 생성하여 학습자의 사용자 단말기(20)로 제공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portfolio generating unit 160 generates the learning evaluation data reflecting a predetermined weight according to the importance based on the first feedback information, and then only needs the learning evaluation data based on the second feedback information. The portfolio is selectively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learner's user terminal 20.

한편,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창의학습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1 is a flow chart showing an online creative learning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창의학습은 도형, 색상, 구도 등을 활용한 모든 형태의 학습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창의학습은 직선이나 곡선을 이용하여 시작점과 끝점을 잇는 형태로 형성 가능한 다양한 형상의 도형을 종합적으로 이용하는 모든 학습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The creative lear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all forms of learning using figures, colors, composi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creative learning can include all types of learning that use shapes of various shapes that can be formed in a form connecting a starting point and an ending point using a straight line or a curve.

이하, 도 1과 전술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창의학습 관리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online creative learning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nd the foregoing drawings.

먼저, 복수의 학습자 각각의 학습자 정보를 기저장한다(S100).First, learner information of each of a plurality of learners is previously stored (S100).

이때, 상기 학습자 정보는 서버(10)에 기등록된 학습자의 이름, 성별, 나이, 주소 등의 인적사항 정보와 복수의 학습자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20)를 구별하기 위한 학습자별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learner information includes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the name, gender, age, and address of the learner previously registered in the server 10 an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learner for distinguishing each user terminal 20 of the plurality of learners. It may be.

다음으로, 복수 개의 창의학습 각각에 대한 표현대상(Eo) 정보, 기본도형(Fb) 정보, 배경이미지(Ib) 및 견본이미지(Is)를 포함하는 견본데이터를 기저장한다(S200).Next, sample data including expression target (Eo) information, basic shape (Fb) information, background image (Ib), and sample image (I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reative learning is pre-stored (S200).

이때, 표현대상(Eo) 정보는 상기 창의학습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표현대상의 명칭이나 정의를 나타내는 것이고, 기본도형(Fb) 정보는 표현대상(Eo) 정보의 형상에 대응되는 기본도형(Fb)의 유형 정보 및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expression object (Eo) information indicates the name or definition of the expression object to be expressed in the creative learning, and the basic shape (Fb) information is the basic shape (Fb)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expression object (Eo) information. It may include type information and number information.

또한, 배경이미지(Ib)는 상기 창의학습에 대한 작업 요청 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바탕 이미지에 해당하는 것이고, 견본이미지(Is)는 배경이미지(Ib) 상에서 표현대상(Eo) 정보에 기초하여 완성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background image (Ib) corresponds to the background image that is basically provided when requesting work for the creative learning, and the sample image (Is) is completed based on the expression target (Eo) information on the background image (Ib). It may be a form.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견본이미지(Is)를 포함하는 견본 데이터가 상기 S200 단계에 기저장된 상태일 때, 도 3A에 대응되는 견본 데이터로서, 표현대상 정보는 '사과나무'이고, 기본도형의 유형 정보는 사과나무에 열린 각각의 사과의 윤곽 형상에 대응하는 '원형'의 제1 기본도형(f1)과 사과나무의 기둥의 윤곽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형'의 제2 기본도형(f2)을 포함하고, 기본도형의 개수정보는 제1 기본도형(f1)은 견본이미지(Is)에 표시된 총 사과의 개수에 해당하고 제2 기본도형(f2)은 1개인 것으로 저장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ample data including the sample image Is as shown in FIG. 3 is pre-stored in step S200, as the sample data corresponding to FIG. 3A, the expression target information is'apple tree', and the basic The type information of the figure includes the first basic shape (f 1 ) of the'circle' corresponding to the contour shape of each apple opened on the apple tree and the second basic shape of the'square' corresponding to the contour shape of the pillar of the apple tree ( including f 2), and the number information of the basic figure is a first basic figure (f 1) corresponds to the total number of apples shown in the sample image (is), and the second basic figure (f 2) is to be stored as one individual Can be.

또한, 도 3B에 대응되는 견본 데이터로서, 표현대상 정보는 '포도'이고, 기본도형의 유형 정보는 하나의 포도 알갱이에 대응하는 '원형'의 제3 기본도형(f3)이며, 기본도형인 제3 기본도형(f3)의 개수정보는 견본이미지(Is)에 표시된 총 포도알의 개수에 해당하는 것으로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ample data corresponding to FIG. 3B, the expression target information is'grape', and the type information of the basic shape is the third basic shape (f 3 ) of the'circle' corresponding to one grape grain, and the basic shape is The number information of the third basic figure f 3 may be stored as corresponding to the total number of grape grains displayed in the sample image Is.

다음으로, 소정의 창의학습에 대응되는 배경이미지(Ib), 표현대상(Eo) 정보 및 기본도형(Fb) 정보를 제공하면서 배경이미지(Ib) 상에서 기본도형(Fb) 정보를 이용하여 표현대상(Eo) 정보를 표현하는 창의학습을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학습 요청 UI를 생성한다(S300).Next, while providing background image (Ib), expression target (Eo) information, and basic shape (Fb)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creative learning, expression target (Fb) information using the basic shape (Fb) information on the background image (Ib) Eo) Create a learning request UI requesting to perform creative learning to express information (S300).

이때, 배경이미지(Ib)는 소정 규격의 캔버스에 대응하는 크기의 이미지 파일 형태로 첨부될 수 있으며, 상기 학습 요청 UI는 표현대상(Eo)의 명칭과 기본도형(Fb)의 유형 정보를 포함하면서 상기 창의학습에 대응되는 학습 목표를 안내하는 소정의 안내문구를 포함하는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ackground image Ib may be attached in the form of an image file of a size corresponding to a canvas of a predetermined standard, and the learning request UI includes the name of the expression target Eo and the type information of the basic shape Fb. It may be generated in a form including a predetermined guide phrase that guides the learning objective corresponding to the creative learning.

예컨대, 제1 기본도형이 '삼각형'이고 제2 기본도형이 '사각형'이며 표현대상이 '오징어'인 경우, 상기 학습 요청 UI는 '삼각형과 사각형을 이용하여 오징어를 표현하시오'와 같은 학습목표에 해당하는 안내문구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basic shape is'triangle', the second basic shape is'square', and the expression target is'squid', the learning request UI is a learning target such as'express squid using triangles and squares'. It may include a guide phrase corresponding to.

다음으로, 상기 S300 단계에 생성된 학습요청 UI에 대한 응답으로서 학습자가 수행한 창의학습에 대한 작업이미지(Iw)를 학습자의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업로드받아 학습자별로 저장한다(S400).Next, in response to the learning request UI generated in step S300, a work image Iw for creative learning performed by the learner is uploaded from the learner's user terminal 20 and stored for each learner (S400).

여기서, 작업이미지(Iw)는 학습자가 배경이미지(Ib)를 이용하여 작업한 이미지를 서버(10)에 업로드 가능한 파일 형식으로 변환한 것일 수 있다.Here, the work image Iw may be one in which a learner converts an image worked using the background image Ib into a file format uploadable to the server 10.

다음으로, 상기 창의학습에 대응되는 견본이미지(Is)와 작업이미지(Iw) 간의 유사도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평가하여 평가 정보를 생성한다(S500).Next, based on the result of comparing the similarity between the sample image (Is) and the work image (Iw) corresponding to the creative learning, evalu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by evaluating the learner's learning level (S500).

여기서, 상기 S500 단계에서는, 견본이미지(Is)를 기준으로 작업이미지(Iw)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기본도형(Fb)의 개수 및 배치 상태와 각각의 기본도형(Fb)의 색상, 윤곽 형상, 모서리 및 꼭지점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색상, 형태, 구도 및 창의성 각각에 대한 평가 항목별로 계산하여 평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Here, in step S500,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at least one basic shape (Fb) included in the work image (Iw) based on the sample image (Is) and the color, contour shape of each basic shape (Fb), Based on the result of comparing the corners and vertices, evalu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evaluating the learner's learning level for each color, shape, composition, and creativity can be generated.

이때, 상기 색상에 대한 평가는 견본이미지(Is)와 작업이미지(Iw) 각각의 소정 영역에 대응하여 추출되는 RGB 평균값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한 것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evaluation of the color may be based on a result of comparing the RGB average values extracted in correspondence with a predetermined area of each of the sample image Is and the work image Iw.

또한, 상기 형태에 대한 평가는 작업이미지(Iw)에 기본도형(Fb)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패턴 마스크를 가지는 필터를 적용함에 따라 추출되는 선형적 성분, 비선형적 성분, 특징 성분, 논리연산에 따른 성분 등에 기초한 기본도형(Fb)의 개수, 윤곽 형상, 모서리 및 꼭지점을 기저장된 기본도형(Fb) 정보와 비교한 결과에 기초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evaluation of the shape is based on the linear component, the nonlinear component, the feature component, and the logical operation extracted by applying a filter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mask corresponding to the basic shape Fb to the work image Iw. It may be based on a result of comparing the number, contour shape, corners, and vertices of a basic shape (Fb) based on components, etc. with previously stored basic shape (Fb) information.

또한, 상기 구도에 대한 평가는 견본이미지(Is)와 작업이미지(Iw) 각각의 배경이미지(Ib) 상에서의 기본도형(Fb)의 배치 형상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evaluation of the composition may be based on a result of comparing the arrangement shape of the basic figure Fb on the background image Ib of each of the sample image Is and the work image Iw.

예컨대, 도 3B를 참조하면, 견본이미지(Is)에 포함된 복수 개의 기본도형(f3)의 윤곽 형상에 대응되는 배치 형상이 '삼각형' 형상을 이루는 경우, 상기 S500 단계에는 도 3B에 도시된 견본이미지(Is)와 비교하는 작업이미지(Iw)에 포함된 기본도형의 배치 형상이 '삼각형' 형상을 이루는지에 따라 작업이미지(Iw)에 대한 '구도' 항목의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3B, when the arrangement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tour shape of the plurality of basic shapes f 3 included in the sample image Is forms a'triangle' shape, the step S500 is illustrated in FIG. 3B. Evaluation of the item'composition' for the work image Iw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whether the arrangement shape of the basic figure included in the work image Iw compared with the sample image Is forms a'triangle' shape.

또한, 상기 창의성에 대한 평가는, 작업이미지(Iw)에 포함된 복수 개의 기설정된 크기의 기본도형이 견본이미지(Is)와 비교하여 각각의 위치를 유지하면서 배치된 상태일 때, 작업이미지(Iw)에 포함된 상기 기본도형을 제외한 나머지 도형의 수, 배치, 색상 등을 정량화해서 카운팅한 값에 기초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evaluation of the creativity, when the basic shapes of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sizes included in the work image (Iw) are arranged while maintaining their respective positions compared to the sample image (Is), the work image (Iw It may be based on the value counted by quantifying the number, arrangement, color, etc. of the figures other than the basic shapes included in ).

이 경우, 상기 나머지 도형의 배치 및 크기와 상기 나머지 도형의 윤곽에 대응하는 선의 굵기, 길이, 유형에 기초하여 해당 학습자의 심리를 분석한 결과를 도출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result of analyzing the psychology of the corresponding learner may be derived based on the arrangement and size of the remaining figures and the thickness, length, and type of lines corresponding to the outlines of the remaining figures.

여기서, 상기 S500 단계는,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전술한 바와 같이 색상, 형태, 구도 및 창의성 각각에 대한 평가 항목별로 계산하여 견본이미지(Is) 대비 작업이미지(Iw)의 일치도에 대응되는 평가 항목별 점수를 계산하고, 평가항목별 점수의 총합을 기저장된 평가 점수 범위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 중, 하 중 어느 하나의 평가값을 상기 평가 정보의 최종 평가 결과로써 결정할 수 있다.Here, in step S500, the learner's learning level is calculated for each evaluation item for each of color, shape, composition, and creativity, as described above, for each evaluation item corresponding to the degree of agreement between the sample image (Is) and the work image (Iw). According to the result of calculating the score and comparing the sum of the scores for each evaluation item with a range of previously stored evaluation scores, one of the evaluation values of upper, middle, and lower may be determined as the final evaluation result of the evaluation information.

예컨대, 도 4를 참조하면, 평가항목별 점수의 총합이 '40(점)' 내지 '60(점)'이면 '하'의 평가값을 가지고, '60(점)' 내지 '80(점)'이면 '중'의 평가값을 가지고, '80(점)' 내지 '100(점)'이면 '상'의 평가값을 가지는 것으로 기저장된 상태일 때, 만약 작성자 '김○○'가 '2018-11-12'에 작성한 작업이미지(<작업본>)를 견본이미지(<견본>)에 기초하여 평가한 평가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평가 데이터의 경우, '색상'에 대한 제1 평가점수인 '20(점)'과, '형태'에 대한 제2 평가점수인 '25(점)'과, '구도'에 대한 제3 평가점수인 '20(점)'과, '창의성'에 대한 제4 평가점수인 '15(점)'을 모두 합산한 총합이 '80(점)'이 되므로, 최종 평가 결과는 '80(점)'에 대응되는 '상'의 평가값으로 결정되게 된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4, if the sum of the scores for each evaluation item is '40 (points)' to '60 (points)', it has an evaluation value of'lower' and '60 (points)' to '80 (points). If it is pre-stored as having an evaluation value of'medium' and'evaluation' of '80 (point)' to '100 (point)', if the author'Kim○○' is '2018 In the case of learning evaluation data including evaluation information evaluated based on the sample image (<sample>), the work image (<work>) created in '11-12' is the first evaluation score for'color'. 20 (point), the second evaluation score for'form', '25 (point)', the third evaluation score for'composition', '20 (point)', and the fourth for'creativity' Since the total sum of all the evaluation scores '15 (points)' becomes '80 (points)', the final evaluation result is determined as an evaluation value of'phase' corresponding to '80 (points)'.

다음으로, 상기 S400 단계에 기저장된 소정의 학습자에 대응되는 평가 정보를 해당 학습자에 대응되는 보호자의 사용자 단말기(30)로 제공하면서 이에 대한 제1 피드백을 요청한다(S520).Next, while providing evalu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learner pre-stored in the step S400 to the user terminal 30 of the guardian corresponding to the learner, the first feedback is requested (S520).

여기서, 상기 S520 단계는, 상기 복수의 학습자 각각에 대응되는 보호자 정보가 기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보호자 정보에 대응되는 보호자의 사용자 단말기(30)로 상기 S500 단계에 의해 생성된 상기 평가 정보를 제공하면서 상기 평가 정보의 중요도에 대한 제1 피드백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Here, in step S520, while the guardia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learners is pre-stored, while providing the evalu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tep S500 to the guardian's user terminal 30 corresponding to the guardian information The first feedback information on the importance of the evaluation information may be requested.

이때, 상기 제1 피드백 정보는 상기 평가 정보에 대응되는 학습 평가 데이터에 포함되는 견본이미지(Is)에 기초하여 해당 창의학습의 중요도를 높음, 보통, 낮음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In this case, the first feedback information is for determining the importance of the creative learning as high, normal, or low based on a sample image Is included in the learning evalu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evaluation information.

다음으로, 각각의 학습자에 대응하여 소정 시간 동안 기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작업이미지(Iw) 각각에 기초한 상기 학습 견본 데이터 및 상기 평가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평가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시간 순서대로 취합한 학습자별 포트폴리오를 생성한다(S600).Next, a learner who collects the learning sample data based on the learning sample data and the evaluation information based on each of at least one work image Iw pre-stored for a predetermined time corresponding to each learner and then collects them in chronological order Create a separate portfolio (S600).

여기서, 상기 S600 단계는, 소정의 창의학습을 수행하는 학습자명 및 학습 수행 일시에 대한 정보와, 상기 창의학습에 대응되는 견본이미지(Is) 및 이에 기초한 학습자의 작업이미지(Iw)와, 견본이미지(Is)를 기준으로 평가한 작업이미지(Iw)에 기초한 학습 수준에 대한 평가 항목별 점수와, 평가 항목별 점수의 총합에 기초한 최종평가에 대한 평가값을 포함하는 학습 평가 데이터를 학습 수행 시점마다 생성한 후 이를 시간 순서대로 취합한 학습자별 포트폴리오를 생성할 수 있다.Here, in step S600, information on a learner's name and a date and time of performing a predetermined creative learning, a sample image (Is) corresponding to the creative learning, and a learner's working image (Iw) and a sample image based thereon Learning evaluation data, including evaluation scores for each evaluation item based on the work image (Iw) evaluated based on (Is), and final evaluation based on the sum of the scores for each evaluation item After creation, you can create a portfolio for each learner that is collected in chronological order.

예컨대, 도 4를 참조하면, '2018-11-12'부터 '2018-11-18'까지의 일주일 동안 학습자 '김OO'가 수행한 창의학습에 대한 포트폴리오를 생성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S600 단계에서는 학습자인 '김OO'가 '2018-11-12'에 수행한 창의학습에 대한 첫번째 학습 평가 데이터(D1)와, '2018-11-13'에 수행한 창의학습에 대한 두번째 학습 평가 데이터(D2)와, '2018-11-18'에 수행한 창의학습에 대한 N번째 학습 평가 데이터(DN)를 포함하는 총 N개의 학습 평가 데이터(D1,D2,…,DN)를 취합한 포트폴리오를 생성하게 된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4, in the case of attempting to generate a portfolio for creative learning performed by learner'Kim O'for a week from '2018-11-12' to '2018-11-18', in step S600, The first learning evaluation data (D 1 ) for creative learning performed by'Kim OO', '2018-11-12', and the second learning evaluation data for creative learning performed by '2018-11-13' ( D 2 ) and a total of N learning evaluation data (D 1 ,D 2 ,…,D N ) including Nth learning evaluation data (D N ) for creative learning performed in '2018-11-18' You will create a combined portfolio.

이때, 상기 S600 단계는, 만일 상기 S520 단계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제1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피드백 정보를 반영한 상기 학습 평가 데이터 및 이에 기초한 학습자별 포트폴리오를 생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step S600, if the first feedback information is received in response to the request of step S520, the learning evaluation data reflecting the first feedback information and a portfolio for each learner based on the first feedback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이 경우, 상기 S600 단계에서는 상기 제1 피드백 정보에 기초한 중요도에 따라 소정의 가중치를 반영한 상기 학습 평가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In this case, in step S600, the learning evaluation data reflecting a predetermined weight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importance based on the first feedback information.

다음으로, 상기 S600 단계에 생성된 포트폴리오를 해당 학습자에 대응되는 보호자의 사용자 단말기(30)로 제공하면서 이에 대한 제2 피드백을 요청한다(S620).Next, while providing the portfolio generated in step S600 to the guardian's user terminal 30 corresponding to the learner, the second feedback is requested (S620).

여기서, 상기 S620 단계는, 보호자의 사용자 단말기(30)로 포트폴리오 생성부(160)에 의해 생성된 상기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면서 상기 포트폴리오에 포함된 복수의 상기 학습 평가 데이터 각각의 필요성 여부에 대한 제2 피드백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Here, in step S620, while providing the portfolio generated by the portfolio generating unit 160 to the guardian's user terminal 30, a second feedback on whether each of the plurality of learning evaluation data included in the portfolio is necessary or not. Information can be requested.

이때, 상기 제2 피드백 정보는 각각의 상기 학습 평가 데이터를 상기 포트폴리오에 포함시킬지 아니면 제외시킬지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At this time, the second feedback information is for determining whether to include or exclude each of the learning evaluation data in the portfolio.

다음으로, 상기 S620 단계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제2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 피드백 정보를 반영한 포트폴리오를 생성하여 학습자의 사용자 단말기(20)로 제공한다(S700).Next, when receiving the second feedback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request in step S620, a portfolio reflecting the second feedback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learner's user terminal 20 (S700).

여기서, 상기 S700 단계는, 상기 수신된 상기 제2 피드백 정보를 보호자별로 저장한 후, 상기 제2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필요성이 있는 상기 학습 평가 데이터만 선택적으로 취합한 상기 포트폴리오를 생성하여 학습자의 사용자 단말기(20)로 제공할 수 있다.Here, in step S700, after storing the received second feedback information for each guardian, a user who is a learner is generated by selectively generating the portfolio that selectively collects the necessary learning evaluation data based on the second feedback information. It can be provided to the terminal 20.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특히,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강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으므로, 상술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형상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써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In particular, the foregoing has described the features and technical strengths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what broadly so as to better understand the claims of the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and thus the concept and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serve similar purposes to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t can be used immediately as the basis for designing or modifying other shapes for.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창의학습 관리 방법은 전술한 특징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창의학습 관리 방법의 경우, 다음과 같은 추가 기능을 더 구비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In this regard, the online creative learning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features, and in the case of the creative learning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additional functions may be further provided.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500)에서, 창의성에 대한 평가는, 전술한 바에 의하면, 작업이미지(Iw)에 포함된 복수 개의 기설정된 크기의 기본도형이 견본이미지(Is)와 비교하여 각각의 위치를 유지하면서 배치된 상태일 때, 작업이미지(Iw)에 포함된 상기 기본도형을 제외한 나머지 도형의 수, 배치, 색상 등을 정량화해서 카운팅한 값에 기초하여 수행된다고 설명한 바 있다.In the step (S500) of generating the evalu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evaluation of creativity,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basic image of a plurality of preset sizes included in the work image Iw, a sample image Is It is performed based on the value calculated by quantifying the number, arrangement, color, etc. of the remaining figures other than the basic figures included in the work image Iw when they are arranged while maintaining their respective positions in comparison with ). There is a bar.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창의학습 관리 방법의 상기 S500 단계에 의하면, 상기 나머지 도형의 배치 및 크기와 상기 나머지 도형의 윤곽에 대응하는 선의 방향(①), 굵기, 길이(②), 유형에 기초하여 해당 학습자의 심리를 분석한 심리 분석 결과를 도출하는 기능을 더 추가할 수도 있다.In this regard, according to the step S500 of the creative learning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rrangement and size of the remaining figures and the direction (①), thickness, length (②), type of the line corresponding to the outline of the remaining figures On the basis of this, a function for deriving a psychological analysis result analyzing the psychology of the learner may be further added.

① '선의 방향'에 따른 심리 분석의 일례① An example of psychological analysis according to the'direction of goodness'

선의 방향이 '위쪽'인 경우엔 상상력과 공상력이 풍부하여 현실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거나 사고성이 한쪽으로 치우치는 성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고, 선의 방향이 '아래쪽'인 경우는 낮은 자존감을 보유하여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감추려는 성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선의 방향이 '곡선을 강조'하는 경우엔 유연성, 활동성이 좋아 환경에 대한 적응성이 높은 성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고, 선의 방향이 '경직된 직선'인 경우엔 약간의 불안감으로 사물과 사람에 대해 대처하지 못하는 성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When the direction of the line is'upward', it can be interpreted as having a lack of understanding of reality or thinking tendency toward one side due to the richness of imagination and imagination. When the direction of the line is'downward', it has low self-esteem. Therefore, it can be interpreted as indicating a tendency to hide one's thoughts and feelings. If the direction of a line is'emphasizing a curve', it can be interpreted as showing a tendency to be highly adaptable to the environment because it has good flexibility and activity. If the direction is a'stiff straight line', it can be interpreted as showing an inclination to cope with objects and people with a little anxiety.

② '선의 길이'에 따른 심리 분석의 일례② An example of psychological analysis according to the'line length'

선의 길이가 '긴 획'에 해당하는 경우엔 추진력이 좋은 성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고, 선의 길이가 '짧고 이어지지 않는 선'에 해당하는 경우엔 충동적이며 인내력이 부족한 성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If the length of the line corresponds to the'long stroke', it can be interpreted as showing good propensity, and when the length of the line corresponds to the'short and unconnected line', it is interpreted as impulsive and lacking endurance. You can.

이때, 상기 도출된 심리 분석 결과는 제1 피드백 요청 단계(S520)에 보호자의 사용자 단말기(30)로 창의학습에 대한 평가 정보와 함께 전송되거나, 혹은 포트폴리오 생성 단계(S600)에서 학습 평가 데이터에 포함된 형태로 생성된 후, 제2 피드백 요청 단계(S620)에 보호자의 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erived psychological analysis results are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evaluation information for creative learning to the user terminal 30 of the guardian in the first feedback request step (S520), or included in the learning evaluation data in the portfolio creation step (S600). After being generated in the form,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30 of the guardian in the second feedback request step (S620).

이 경우, 온라인을 통한 비대면 창의 학습을 수행함에도 불구하고, 학습자의 현재 학습 수준에 대한 평가와 더불어 심리 상태에 대한 심리 분석 결과를 주기적으로 보호자에게 제공함에 따라, 보호자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학습자가 취약한 부분에 대한 피드백을 수행하여 학습자의 학습 수준 및 심리 상태에 따른 맞춤형 학습 관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In this case, despite performing online non-face-to-face creative learning, the learner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of the guardian is provided as the evaluation of the current learning level of the learner and the psychological analysis results of the psychological state are periodically provided to the guardian. By performing feedback on the vulnerable par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customized learning management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learner's learning level and psychological state.

한편, 상기에서 기술된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이러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전술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only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modified and changed form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terms of explanation, not limita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also indicat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s belonging to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quivalent ranges thereof. All differences within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 창의학습 관리 서버 20: 학습자 단말기
30: 보호자 단말기 110: 학습자 관리부
120: 견본데이터 관리부 130: 학습요청 생성부
140: 작업파일 관리부 150: 평가부
160: 포트폴리오 생성부 170: 피드백 관리부
10: creativ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 learner terminal
30: guardian terminal 110: learner management department
120: sample data management unit 130: learning request generation unit
140: work file management unit 150: evaluation unit
160: portfolio creation unit 170: feedback management unit

Claims (6)

복수의 학습자 각각의 학습자 정보를 기저장하는 단계;
복수 개의 창의학습 각각에 대한 표현대상 정보 및 상기 표현대상의 형상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본도형 정보와, 각각의 상기 창의학습에 대응되는 배경이미지 및 상기 배경이미지 상에서 상기 표현대상 정보에 기초하여 완성된 견본이미지를 포함하는 견본데이터를 기저장하는 단계;
소정의 창의학습에 대응되는 상기 배경이미지, 상기 표현대상 정보 및 상기 기본도형 정보를 제공하면서 상기 배경이미지 상에서 상기 기본도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표현대상 정보를 표현하는 창의학습을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학습 요청 UI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학습요청 UI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학습자가 수행한 창의학습에 대한 작업이미지를 상기 학습자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업로드받아 학습자별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창의학습에 대응되는 상기 견본이미지와 상기 작업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평가하여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창의학습 관리 방법.
Pre-storing learner information of each of a plurality of learners;
Completed based on the expression target informa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reative learning and at least one basic shap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expression target, and the expression target information on the background image and the background imag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creative learning. Pre-storing the sample data including the sample image;
Learning to request to perform creative learning to express the expression target information using the basic shape information on the background image while providing the background image, the expression target information, and the basic shap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creative learning Generating a request UI;
Receiving a job image for creative learning performed by the learner from the user terminal of the learner and storing it for each learner in response to the learning request UI; And
And generating evaluation information by evaluating the learner's learning level based on a result of comparing the similarity between the sample image and the work image corresponding to the creative learning.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학습자에 대응하여 소정 시간 동안 기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작업이미지 각각에 기초한 상기 학습 견본 데이터 및 상기 평가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평가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시간 순서대로 취합한 학습자별 포트폴리오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창의학습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1,
Generating learning sample data based on each of at least one work image pre-stored for a predetermined time corresponding to each learner and learning evaluation data including the evaluation information, and generating portfolios for each learner by combining them in chronological order ; On-line creative learning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도형 정보는 상기 표현대상 정보에 대응되는 기본도형의 유형 정보 및 개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견본이미지를 기준으로 상기 작업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기본도형의 개수 및 배치 상태와 각각의 상기 기본도형의 색상, 윤곽 형상, 모서리 및 꼭지점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색상, 형태, 구도 및 창의성 각각에 대한 평가 항목별로 계산하여 평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창의학습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basic shape information includes type information and number information of the basic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to be expressed,
The step of generating the evaluation information,
The learner's learning level based on the result of comparing the number and arrangement state of at least one basic figure included in the working image with the color, outline shape, corner, and vertex of each basic figure based on the sample image. An online creative learning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by generating evaluation information that is evaluated by calculating each color, shape, composition, and creativity for each evaluation item.
복수의 학습자 각각의 학습자 정보가 기저장된 학습자 관리부;
복수 개의 창의학습 각각에 대한 표현대상 정보 및 상기 표현대상의 형상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본도형 정보와, 각각의 상기 창의학습에 대응되는 배경이미지 및 상기 배경이미지 상에서 상기 표현대상 정보에 기초하여 완성된 견본이미지를 포함하는 견본데이터가 기저장된 견본데이터 관리부;
소정의 창의학습에 대응되는 상기 배경이미지, 상기 표현대상 정보 및 상기 기본도형 정보를 제공하면서 상기 배경이미지 상에서 상기 기본도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표현대상 정보를 표현하는 창의학습을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학습 요청 UI를 생성하는 학습요청 생성부;
상기 학습요청 UI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학습자가 수행한 창의학습에 대한 작업이미지를 상기 학습자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업로드받아 학습자별로 저장하는 작업파일 관리부;
상기 창의학습에 대응되는 상기 견본이미지와 상기 작업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평가하여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평가부; 및
각각의 학습자에 대응하여 소정 시간 동안 기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작업이미지 각각에 기초한 상기 학습 견본 데이터 및 상기 평가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평가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시간 순서대로 취합한 학습자별 포트폴리오를 생성하는 포트폴리오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창의학습 관리 서버.
A learner management unit in which learner information of each of a plurality of learners is pre-stored;
Completed based on the expression target informa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reative learning and at least one basic shap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expression target, and the expression target information on the background image and the background imag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creative learning. Sample data management unit pre-stored the sample data including the sample image;
Learning to request to perform creative learning to express the expression target information using the basic shape information on the background image while providing the background image, the expression target information, and the basic shap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creative learning A learning request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request UI;
A work file management unit that uploads a work image for creative learning performed by the learner from the user terminal of the learner and stores it for each learner in response to the learning request UI;
An evaluation unit generating evaluation information by evaluating the learner's learning level based on a result of comparing the similarity between the sample image and the work image corresponding to the creative learning; And
A portfolio that generates learning-specific portfolios based on each of at least one work image pre-stored for a predetermined time corresponding to each learner and learning evaluation data including the evaluation information, and then combines them in chronological order to generate a portfolio for each learner Online creation learning management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도형 정보는 상기 표현대상 정보에 대응되는 기본도형의 유형 정보 및 개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평가부는,
상기 견본이미지를 기준으로 상기 작업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기본도형의 개수 및 배치 상태와 각각의 상기 기본도형의 색상, 윤곽 형상, 모서리 및 꼭지점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색상, 형태, 구도 및 창의성 각각에 대한 평가 항목별로 계산하여 평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창의학습 관리 서버.
The method of claim 4,
The basic shape information includes type information and number information of the basic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to be expressed,
The evaluation unit,
The learner's learning level based on the result of comparing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at least one basic figure included in the working image with the color, contour shape, edge, and vertex of each basic figure based on the sample image. Online creative learning management server, characterized by generating evaluation information by calculating each color, shape, composition, and creativity for each evaluation it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학습자 각각에 대응되는 보호자 정보가 기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보호자 정보에 대응되는 보호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평가 정보를 제공하면서 상기 평가 정보의 중요도에 대한 제1 피드백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면서 상기 포트폴리오에 포함된 복수의 상기 학습 평가 데이터 각각의 필요성 여부에 대한 제2 피드백 정보를 요청한 후,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되는 제1 피드백 정보 또는 상기 제2 피드백 정보를 보호자별로 저장하는 피드백 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포트폴리오 생성부는,
상기 보호자에 대응되는 학습자에 대한 상기 포트폴리오 생성 시에 상기 제1 피드백 정보에 기초한 중요도에 따라 소정의 가중치를 반영한 상기 학습 평가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제2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필요성이 있는 상기 학습 평가 데이터만 선택적으로 취합한 상기 포트폴리오를 생성하여 상기 학습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창의학습 관리 서버.
The method of claim 4,
While the guardia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learners is pre-stored, while providing the assessment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of the guardian corresponding to the guardian information, request first feedback information about the importance of the assessment information, and the portfolio While requesting the second feedback information for whether or not each of the plurality of learning evaluation data included in the portfolio is provided while storing the first feedback information or the second feedback information received in response to the request for each guardian To further include a feedback management unit;
The portfolio generating unit,
When the portfolio for the learner corresponding to the guardian is generated, the learning evaluation data reflecting a predetermined weight according to the importance based on the first feedback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then the learning is necessary based on the second feedback information An online creative learning management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folio is created by selectively collecting only evaluation data and provided to the learner's user terminal.
KR1020180151719A 2018-11-30 2018-11-30 Server for online creativity leaning management KR1021503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719A KR102150307B1 (en) 2018-11-30 2018-11-30 Server for online creativity leaning manag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719A KR102150307B1 (en) 2018-11-30 2018-11-30 Server for online creativity leaning manag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347A true KR20200065347A (en) 2020-06-09
KR102150307B1 KR102150307B1 (en) 2020-09-01

Family

ID=71082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1719A KR102150307B1 (en) 2018-11-30 2018-11-30 Server for online creativity leaning manage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0307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1364A (en) 2020-11-24 2022-05-31 정성태 Real-time non-face-to-face reading training methods and their systems
KR20220155862A (en) 2021-05-17 2022-11-24 정성태 the real-time non-face-to-face reading comprehension training method and system
KR102536410B1 (en) * 2022-10-19 2023-05-26 (주)이랜서 System for updating of resume by allocation of variable portfolio area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6422A (en) * 2002-10-22 2002-11-18 학교법인 영진교육재단 Learning method and system by children's creativity program and record media which record the above program
KR100758940B1 (en) 2006-04-21 2007-09-14 김영나 Management system for learning art
KR101044976B1 (en) * 2010-05-27 2011-06-29 문영기 Method for judging a the student's performance
KR20180066440A (en) 2016-12-09 2018-06-19 장보라 Apparatus for learning paint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storing program to perform the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6422A (en) * 2002-10-22 2002-11-18 학교법인 영진교육재단 Learning method and system by children's creativity program and record media which record the above program
KR100758940B1 (en) 2006-04-21 2007-09-14 김영나 Management system for learning art
KR101044976B1 (en) * 2010-05-27 2011-06-29 문영기 Method for judging a the student's performance
KR20180066440A (en) 2016-12-09 2018-06-19 장보라 Apparatus for learning paint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storing program to perform the method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웹 블로그. 창의가베 강의-한 가지 도형으로 표현하기(2014.04.15.)*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1364A (en) 2020-11-24 2022-05-31 정성태 Real-time non-face-to-face reading training methods and their systems
KR20220155862A (en) 2021-05-17 2022-11-24 정성태 the real-time non-face-to-face reading comprehension training method and system
KR102536410B1 (en) * 2022-10-19 2023-05-26 (주)이랜서 System for updating of resume by allocation of variable portfolio are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0307B1 (en) 202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n-Martín et al. The determinants of teachers’ continuance commitment to e-learning in higher education
CN106528656B (en) A kind of method and system for realizing that course is recommended based on student&#39;s history and real-time learning state parameter
Lloyd et al. Skills in the age of over-qualification: Comparing service sector work in Europe
Payambarpour et al. The impact of talent management and employee engagement on organisational performance
CN109670023A (en) Man-machine automatic top method for testing,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2150307B1 (en) Server for online creativity leaning management
US20110276356A1 (en) Method of matching employers with job seekers
CN109636337A (en) A kind of talent&#39;s base construction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based on big data
JPWO2020148969A1 (e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program
Manxhari et al. Developing models of managerial competencies of managers: a review
Wibawa et al. Learning analytic and educational data mining for learning science and technology
CN116862166A (en) Post match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computer storage medium
Gelaidan et al. Creativity and innovation in rapidly developing Qatar: the impact of leadership and the mediation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amidst rapid growth
Terrier et al. How to deal with amotivated students? Using commitment to reduce amotivation as applied to hospitality training
Brownlie High minds and low deeds: on being blind to creativity in strategic marketing
RYMMIN et al. Digital Solutions in Teacher Education enhance Wellbeing and Expertise
Voorhees Institutional research's role in strategic planning
US20150058096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rketing Maturity Self-Assessment
CN115829219A (en) Power supply enterprise dispatching method, system, medium and equipment based on personnel portrait
Clark et al. Learning Analytics implementations in universities: Towards a model of success, using multiple case studies
CN106203504B (en) A kind of network sentiment classification method based on optimal interval distribution ridge regression
Črnjar et al. COMPETENCIES AND EMPLOYABILITY OF ECONOMICS GRADUATES: EMPLOYERS’PERSPECTIVE
JP6130580B1 (en) Personal plan creation system and personal plan creation program
Balázs Polgár et al. The usability approach in software process improvement
Frías et al. FrUtEG: a conceptual framework for utility evaluation in groupwa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