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4788A - Printed circuit heat exchanging plate and printed circuit heat exchanger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rinted circuit heat exchanging plate and printed circuit heat exchanger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4788A
KR20200064788A KR1020180151330A KR20180151330A KR20200064788A KR 20200064788 A KR20200064788 A KR 20200064788A KR 1020180151330 A KR1020180151330 A KR 1020180151330A KR 20180151330 A KR20180151330 A KR 20180151330A KR 20200064788 A KR20200064788 A KR 20200064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edge region
region channel
heat exchanger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13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52460B1 (en
Inventor
손상호
윤석호
김정철
신정헌
도규형
김태훈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51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460B1/en
Publication of KR20200064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7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4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F28F13/02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influencing fluid bounda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inted circuit board-type heat exchange plate and a printed circuit board-type heat exchanger including the same which can evenly transfer heat in entire channels by having a uniform flow velocity for the entire channe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nted circuit board-type heat exchange plate comprises an inlet head unit and a heat exchange unit. The inlet head unit includes an inlet end into which fluid flows, a head chamber in which the inflow fluid is moved, and an outlet end to discharge the fluid. The heat exchange unit has a plurality of channels connected to the outlet end and arranged to be separated to distribute and move fluid. The outlet end is asymmetrically formed around a virtual reference line extended from the center of the inlet end in a first direction. The heat exchange unit includes a first and a second edge area channel arranged adjacent to sidewalls provided on both sides, and a center area channel arrang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dge area channels. The front end of the second edge area channel arranged farther from the virtual reference line protrudes more than the center area channel towards the inlet end.

Description

인쇄기판형 열교환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기판형 열교환기{PRINTED CIRCUIT HEAT EXCHANGING PLATE AND PRINTED CIRCUIT HEAT EXCHANGER INCLUDING THE SAME}PRINTED CIRCUIT HEAT EXCHANGING PLATE AND PRINTED CIRCUIT HEAT EXCHANG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쇄기판형 열교환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기판형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체 채널에 대해 유동 속도가 균일해지도록 하여 전체 채널에서 열전달이 고르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인쇄기판형 열교환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기판형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inted-substrate heat exchanger plate and a printed-substrate heat exchanger compris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a printed-substrate-type heat exchanger plate capable of uniformly transferring heat in all channels by making the flow rate uniform for all channels and the same. It relates to a printed board heat exchanger.

인쇄기판형 열교환기(PCHE: Printed Circuit Heat Exchanger)는 MEMS(Micro Electro-Mechanical System) 기술을 이용하여 가공된 마이크로 채널을 구비한 얇고 작은 열교환판을 수 장에서 수십 장 적층하여 제작된다. 열교환판에 사용되는 마이크로 채널이란 특성 길이가 1 ㎛ 에서 수 ㎜ 사이인 채널을 말한다.Printed Circuit Heat Exchanger (PCHE) is manufactured by stacking dozens of thin and small heat exchange plates with micro-channels processed using micro electro-mechanical system (MEMS) technology. The microchannel used in the heat exchanger plate refers to a channel having a characteristic length between 1 μm and several mm.

마이크로 채널을 구비하는 인쇄기판형 열교환기는 정상상태의 관내 유동에서 관내 열전달 계수가 관직경에 반비례한다는 것을 이용한 것으로 폭이 좁은 마이크로 채널을 만들고 그 채널 속으로 유체를 흘려 고온의 유체와 저온을 유체가 열교환하도록 할 수 있다.A printed-substrate heat exchanger equipped with a micro-channel utilizes that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in the tube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tube diameter in a steady-state tube flow to create a narrow micro-channel and flow the fluid into the channel to exchange high-temperature fluid and low-temperature fluid. You can do it.

채널의 크기가 작아지고 채널의 수가 늘어날수록 단위체적당 큰 전열면적을 가지므로 인쇄기판형 열교환기는 기존의 매크로(macro) 단위의 열교환기와 비교하여 우수한 성능을 보이며,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다. 이러한 장점으로 초소형 전자기기 및 국소냉각을 요구하는 다양한 예에서 마이크로 채널을 가지는 인쇄기판형 열교환기의 적용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The smaller the size of the channel and the larger the number of channels, the larger the heat transfer area per unit volume, so the printed-substrate heat exchanger shows superior performance compared to the existing macro unit heat exchanger,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and weight. Due to these advantages, interest in the application of a printed-substrate type heat exchanger having a micro channel is increasing in various examples requiring ultra-small electronic devices and local cooling.

유체는 마이크로 채널을 통과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고온 유체와 저온 유체가 각각 상하로 인접한 채널을 통과하면서 서로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In the process of moving the fluid through the micro-channel, the high-temperature fluid and the low-temperature fluid respectively exchange heat with each other while passing through the adjacent channels vertically.

통상적으로, 열교환판은 유체가 이동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마이크로 채널의 일측에 유입헤드를 가지고, 마이크로 채널의 타측에는 배출헤드를 가진다.Typically, the heat exchanger plate has an inlet head on one side of the microchannel where heat exchange occurs while the fluid moves, and an outlet head on the other side of the microchannel.

그런데, 종래의 인쇄기판형 열교환판에서는 유입헤드에서 복수의 마이크로 채널로 이동 하는 유체의 속도가 균일하게 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경우, 각각의 채널별로 열전달이 다르게 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열교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printed-substrate-type heat exchange plat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velocity of the fluid moving from the inflow head to the plurality of micro-channels is not uniform. In this case, since the heat transfer is different for each channel,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verall heat exchange efficiency is lower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317920호(2013. 10. 16. 공고)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317920 (2013. 10. 16. announcemen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체 채널에 대해 유동 속도가 균일해지도록 하여 전체 채널에서 열전달이 고르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인쇄기판형 열교환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기판형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inted substrate type heat exchanger plate and a printed substrate type heat exchanger including the same, which enables uniform heat transfer in all channels by making the flow rate uniform for all channels. Is to do.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유체가 진입되는 입구단과, 상기 입구단으로 진입되는 유체가 이동되는 헤드챔버와, 상기 헤드챔버로 이동되는 유체가 배출되는 출구단을 가지는 유입헤드부; 그리고 상기 출구단에 연결되고 유입되는 유체가 분배되어 이동하도록 제1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채널을 가지는 열교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구단은 상기 입구단의 중앙에서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기준선을 중심으로 비대칭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열교환부는 양측에 상기 제1방향으로 구비되는 측벽에 각각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가장자리영역 채널 및 제2가장자리영역 채널과, 상기 제1가장자리영역 채널 및 상기 제2가장자리영역 채널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영역 채널을 가지며, 상기 가상의 기준선을 중심으로 더 멀리 배치되는 상기 제2가장자리영역 채널은 상기 중앙영역 채널보다 앞단부가 상기 입구단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판형 열교환판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let end through which fluid enters, a head chamber through which fluid enters the inlet end moves, and an outlet end through which fluid moved into the head chamber is discharged. Inlet head portion; And it is connected to the outlet end and is formed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so that the fluid flowing is distributed, and includes a heat exchange unit having a plurality of channels spaced apart in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The outlet end is formed to be asymmetric about a virtual reference line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inlet end, and the heat exchange parts are first edges disposed adjacent to side walls provided in the first direction on both sides, respectively. A second edge region having a region channel and a second edge region channel, and a center region channel disposed between the first edge region channel and the second edge region channel, and disposed further away from the virtual reference line. The channel provides a printed-substrate-type heat exchanger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end of the channel is protruded in the direction of the inlet end.

한편,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유체가 진입되는 입구단과, 상기 입구단으로 진입되는 유체가 이동되는 헤드챔버와, 상기 헤드챔버로 이동되는 유체가 배출되는 출구단을 가지는 유입헤드부; 그리고 상기 출구단에 연결되고 유입되는 유체가 분배되어 이동하도록 제1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채널을 가지는 열교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구단은 상기 입구단의 중앙에서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기준선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열교환부는 양측에 상기 제1방향으로 구비되는 측벽에 각각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가장자리영역 채널 및 제2가장자리영역 채널과, 상기 제1가장자리영역 채널 및 상기 제2가장자리영역 채널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영역 채널을 가지며, 상기 제1가장자리영역 채널 및 상기 제2가장자리영역 채널은 상기 중앙영역 채널보다 앞단부가 상기 입구단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판형 열교환판을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let end to which fluid enters, a head chamber to which fluid entering the inlet end moves, and an outlet end to which fluid moved to the head chamber is discharged. Inlet head portion having; And a heat exchanger having a plurality of channels connected to the outlet end, extending along a first direction to distribute and move the inflowing fluid, and having a plurality of channels spaced apart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The outlet end is formed to be symmetric about a virtual reference line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inlet end, and the heat exchange parts are first edge regions disposed adjacent to side walls provided in the first direction on both sides, respectively. A channel having a channel and a second edge region channel, and a central region channel disposed between the first edge region channel and the second edge region channel, wherein the first edge region channel and the second edge region channel are the central region. It provides a printed substrate heat exchange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end than the channel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inlet end dire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채널은 앞단부가 라운드 형태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channels may be formed such that the front end protrudes in a round shap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채널은 앞단부가 쐐기 형태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channels may be formed such that the front end protrudes in a wedge shap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가장자리영역 채널의 앞단부는 인접되는 상기 측벽 방향으로 갈수록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end of the second edge region channel may be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adjacent side wall.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입헤드부의 출구단은 상기 복수의 채널과 연결되는 개방부와, 상기 복수의 채널과 연결되지 않는 폐쇄부로 구획되고, 상기 폐쇄부의 상기 제2방향 길이가 증가할수록, 상기 제2가장자리영역 채널의 돌출 길이도 비례하여 증가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let end of the inlet head portion is divided into an opening portion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channels and a closing portion not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channels, and the length of the second direction of the closing portion increases. , The protrusion length of the second edge region channel may also increase proportional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가장자리영역 채널 및 상기 제2가장자리영역 채널의 앞단부는 각각 인접되는 상기 측벽 방향으로 갈수록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nt ends of the first edge region channel and the second edge region channel may be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adjacent sidewalls, respectively.

한편,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가 적층되어 구비되는 인쇄기판형 열교환판; 그리고 적층되어 구비되는 상기 인쇄기판형 열교환판을 내측에 수용하여 고정시키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인쇄기판형 열교환기를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inted substrate type heat exchange plat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t provides a printed-substrate heat exchanger including a housing for receiving and fixing the printed-substrate-type heat exchanger plate stacked therein.

한편,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가 적층되어 구비되는 인쇄기판형 열교환판; 그리고 적층되어 구비되는 상기 인쇄기판형 열교환판을 내측에 수용하여 고정시키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인쇄기판형 열교환기를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inted substrate type heat exchange plat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t provides a printed-substrate heat exchanger including a housing for receiving and fixing the printed-substrate-type heat exchanger plate stacked therei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측벽에 인접하는 가장자리영역 채널에 포함되는 채널의 앞단부가 입구단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하고, 특히, 채널의 앞단부가 인접하는 측벽 방향으로 갈수록 돌출 형성되도록 하여 측벽에 인접하는 가장자리영역 채널로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유동박리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줄일 수 있어 유동이 균일해지도록 할 수 있고, 전체 채널에 대해 유동 속도가 균일해지도록 하여 전체 채널에서 열전달이 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end of the channel included in the edge region channel adjacent to the side wall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inlet end, and in particular, the front end of the channel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adjacent side wall to adjoin the side wall. The flow resistance of the fluid flowing into the edge region channel can be reduce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ccurrence of the flow separation phenomenon, so that the flow can be made uniform, and the flow velocity can be made uniform over the entire channel, so that heat transfer can be evenly performed in the entire channe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채널의 앞단부가 라운드 형태 또는 쐐기 형태로 돌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채널 사이로 이동하는 유체의 흐름 저항이 낮아지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end of the channel is formed to protrude in a round shape or a wedge shape, so that the flow resistance of the fluid moving between the channels can be lowered.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deduc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쇄기판형 열교환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쇄기판형 열교환판의 유입헤드부 및 채널을 중심으로 나타낸 평면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쇄기판형 열교환판에서의 압력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쇄기판형 열교환판의 채널별 유속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쇄기판형 열교환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쇄기판형 열교환판의 채널을 중심으로 나타낸 평면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쇄기판형 열교환판의 채널별 유속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inted board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flow head portion and the channel of the printed substrate heat exchange pla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pressure change in the printed substrate heat exchange pla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graph for explaining the flow rate for each channel of the printed substrate heat exchange pla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inted substrat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showing the center of the channel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type heat exchanger plat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graph for explaining the flow rate for each channel of the printed-substrate heat exchange plat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us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lik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coupl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 between. It also includes the case where it is. Also,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provided, no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herei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ies of field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쇄기판형 열교환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쇄기판형 열교환판의 유입헤드부 및 채널을 중심으로 나타낸 평면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inted-substrate-typ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lanar view showing the inlet head portion and the channel of the printed-substrate-type heat exchanger pla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ample.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쇄기판형 열교환판(10)은 유입헤드부(100) 및 열교환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1 and 2, the printed substrate heat exchange plate 10 may include an inflow head portion 100 and a heat exchange portion 200.

유입헤드부(100)를 통해서는 유체가 유입될 수 있으며, 유입헤드부(100)로 유입되는 유체는 열교환부(200)로 분배되어 이동할 수 있다. Fluid may b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head portion 100, and the fluid flowing into the inlet head portion 100 may be distributed and moved to the heat exchange portion 200.

또한, 인쇄기판형 열교환판(10)은 배출헤드부(3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열교환부(200)에서 분배되어 이동하는 유체는 배출헤드부(30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inted substrate heat exchange plate 10 may include a discharge head portion 300, and the fluid that is distributed and moved in the heat exchange portion 200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ead portion 300.

인쇄기판형 열교환판(10)은 단일의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유입헤드부(100) 및 배출헤드부(300)는 양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printed substrate heat exchange plate 10 may be formed in a single plate shape, and the inflow head portion 100 and the discharge head portion 300 may be formed at both ends.

그리고, 열교환부(200)는 유입헤드부(100) 및 배출헤드부(30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유입헤드부(100) 및 배출헤드부(300)를 연결하는 복수의 채널(201)을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heat exchange unit 200 may be formed between the inlet head portion 100 and the outlet head portion 300, and a plurality of channels 201 connecting the inlet head portion 100 and the outlet head portion 300 ).

인쇄기판형 열교환기는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가 적층되어 구비되는 인쇄기판형 열교환판(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인쇄기판형 열교환판(10)의 사이로는 고온 유체 및 저온 유체가 이동될 수 있다. The printed substrate heat exchanger may include a printed substrate heat exchange plate 10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acked stack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igh temperature and low temperature fluids may be moved between each printed substrate type heat exchange plate 10.

채널(201)은 복수개가 돌출 형성되어 열교환부(200)의 표면적이 넓어지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인쇄기판형 열교환판(10)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고온 유체 및 저온 유체는 열교환부(200)를 지나면서 효과적으로 열교환될 수 있다.Since the channel 201 has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so that the surface area of the heat exchange unit 200 can be widened, the high temperature fluid and the low temperature fluid moving between the respective printed substrate type heat exchange plates 10 are heat exchange units 200. As it passes, it can be effectively exchanged.

고온 유체 및 저온 유체 사이의 열교환 효율이 높아질 수 있도록, 고온 유체 및 저온 유체는 적층된 인쇄기판형 열교환판(10)의 층별로 서로 번갈아 가면서 이동될 수 있다. In order to increas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between the high-temperature fluid and the low-temperature fluid, the high-temperature fluid and the low-temperature fluid may be moved alternately with each layer of the printed substrate type heat exchange plate 10 stacked.

인쇄기판형 열교환기는 적층되어 구비되는 인쇄기판형 열교환판(10)과, 적층되어 구비되는 인쇄기판형 열교환판(10)을 내측에 수용하여 고정시키는 하우징(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inted substrate heat exchanger may include a printed substrate type heat exchange plate 10 provided in a stack, and a housing 20 for receiving and fixing the printed substrate type heat exchange plate 10 provided in a stack therein.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유체의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앞단/앞단부/전방방향, 후단/후단부/후방방향으로 설명한다. 즉, 유체가 제1지점에서 제2지점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1지점을 앞단/앞단부/전방방향으로, 제2지점을 후단/후단부/후방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will be described as a front end/front end/front direction and a rear end/rear end/rear direction based on the flow direction of the fluid. That is, when the fluid is moved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the first point will be described as the front end/front end/front direction and the second point as the rear end/rear end/rear direction.

유입헤드부(100)는 입구단(110), 헤드챔버(120) 및 출구단(130)을 가질 수 있다.The inlet head portion 100 may have an inlet end 110, a head chamber 120, and an outlet end 130.

입구단(110)으로는 유체가 진입될 수 있다. Fluid may enter the inlet end 110.

헤드챔버(120)는 입구단(110)의 후단에 연결될 수 있으며, 입구단(110)으로 진입되는 유체는 헤드챔버(120)로 이동할 수 있다. The head chamber 120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inlet end 110, and the fluid entering the inlet end 110 may move to the head chamber 120.

출구단(130)은 헤드챔버(120)의 후단에 연결될 수 있으며, 입구단(110)으로 진입되어 헤드챔버(120)로 이동되는 유체는 출구단(130)으로 배출될 수 있다.The outlet end 130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head chamber 120, and fluid entering the inlet end 110 and moving to the head chamber 12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let end 130.

열교환부(200)는 출구단(130)에 연결되고 유입되는 유체가 분배되어 이동하도록 제1방향(A1)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열교환부(200)는 제1방향(A1)과 교차하는 제2방향(A2)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채널(201)을 가질 수 있다. The heat exchange part 200 may be connected to the outlet end 130 and may be formed to extend along the first direction A1 so that the fluid flowing therein is distributed and moved. In addition, the heat exchanger 200 may have a plurality of channels 201 that are spaced apart along the second direction A2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A1.

본 실시예에서, 출구단(130)은 입구단(110)의 중앙에서 제1방향(A1)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기준선(SL)을 중심으로 비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outlet end 130 may be formed to be asymmetrical around a virtual reference line SL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1 from the center of the inlet end 110.

그리고, 출구단(130)은 복수의 채널(201)과 연결되는 개방부와, 복수의 채널(201)과 연결되지 않는 폐쇄부(21)로 구획될 수 있다. 폐쇄부(21)는 하우징(20)에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쇄기판형 열교환판(10)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다. 폐쇄부(21)는 제2방향(A2)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let end 130 may be divided into an open portion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channels 201 and a closed portion 21 not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channels 201. The closing portion 21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2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directly formed on the printed substrate heat exchange plate 10. The closing portion 21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second direction (A2).

열교환부(200)는 제1가장자리영역 채널(220a), 제2가장자리영역 채널(220b) 및 중앙영역 채널(230)을 가질 수 있다.The heat exchanger 200 may have a first edge region channel 220a, a second edge region channel 220b, and a central region channel 230.

제1가장자리영역 채널(220a) 및 제2가장자리영역 채널(220b)은 열교환부(200)의 양측에 제1방향(A1)으로 구비되는 측벽(210a,210b)에 각각 인접하여 배치되는 채널일 수 있다.The first edge region channel 220a and the second edge region channel 220b may be channels disposed adjacent to the side walls 210a and 210b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first direction A1 on both sides of the heat exchanger 200. have.

여기서, 측벽(210a,210b)은 인쇄기판형 열교환판(10)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하우징(20)의 측면이거나, 또는 열교환부(200)에 마련되는 채널 중에 가장 외곽에 마련되는 채널이거나, 또는, 열교환부(200)의 양측에 별도로 마련되는 벽면일 수도 있다.Here, the side walls 210a and 210b are side surfaces of the housing 20 provided to surround the printed substrate heat exchange plate 10, or channels provided on the outermost of the channels provided in the heat exchanger 200, or It may be a wall surface provided separately on both sides of the heat exchange unit 200.

제1가장자리영역 채널(220a) 및 제2가장자리영역 채널(220b)은 각각 복수의 채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가장자리영역 채널(220a) 및 제2가장자리영역 채널(220b)에 포함되는 채널의 개수는 미리 정해질 수 있다.Each of the first edge region channel 220a and the second edge region channel 220b may include a plurality of channels, and the channels included in the first edge region channel 220a and the second edge region channel 220b may be The number can be predetermined.

중앙영역 채널(230)은 제1가장자리영역 채널(220a) 및 제2가장자리영역 채널(220b)의 사이에 배치되는 채널일 수 있으며, 열교환부(200)의 중앙에 마련될 수 있다. 중앙영역 채널(230)은 복수의 채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중앙영역 채널(230)에 포함되는 채널은 제1가장자리영역 채널(220a) 및 제2가장자리영역 채널(220b)에 포함되는 채널을 제외한 채널일 수 있다.The central region channel 230 may be a channel disposed between the first edge region channel 220a and the second edge region channel 220b, and may be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heat exchanger 200. The central region channel 2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hannels, and the channels included in the central region channel 230 may exclude the channels included in the first edge region channel 220a and the second edge region channel 220b. It can be a channel.

제1가장자리영역 채널(220a)은 가상의 기준선(SL)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가까이 배치되는 채널일 수 있으며, 제2가장자리영역 채널(220b)은 가상의 기준선(SL)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더 멀리 배치되는 채널일 수 있다.The first edge region channel 220a may be a channel disposed relatively close to the virtual reference line SL, and the second edge region channel 220b may be relatively farther away from the virtual reference line SL. It may be a deployed channel.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가상의 기준선(SL)을 중심으로 더 멀리 배치되는 제2가장자리영역 채널(220b)은 중앙영역 채널(230)보다 앞단부가 입구단(110)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edge region channel 220b disposed farther away from the virtual reference line SL may be formed so that the front end portion protrudes toward the entrance end 110 direction than the center region channel 230. .

즉, 제2가장자리영역 채널(220b)에 포함되는 채널과 중앙영역 채널(230)에 포함되는 채널의 후단부가 제2방향으로 마련되는 동일한 선상에 위치된 상태일 때, 제2가장자리영역 채널(220b)에 포함되는 채널의 길이는 중앙영역 채널(230)에 포함되는 채널의 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That is, when the rear end of the channel included in the second edge region channel 220b and the channel included in the center region channel 230 are positioned on the same line provided in the second direction, the second edge region channel 220b ) May be longer than a channel included in the central region channel 230.

그리고, 제2가장자리영역 채널(220b)에 포함되는 채널(221~226)의 앞단부는 측벽(210b) 방향으로 갈수록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ont end of the channels 221 to 226 included in the second edge region channel 220b may be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sidewall 210b.

즉, 제2가장자리영역 채널(220b)에 포함되는 채널(221~226) 중에 측벽(210b)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채널(221)의 앞단부가 상대적으로 가장 많이 입구단(110)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중앙영역 채널(230)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6채널(226)의 앞단부는 상대적으로 가장 조금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among the channels 221 to 226 included in the second edge region channel 220b,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irst channel 221 disposed closest to the side wall 210b is relatively more frequently directed toward the inlet end 110. It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addition, the front end of the sixth channel 226 disposed closest to the center region channel 230 may be formed to protrude relatively little.

또한, 측벽(210b) 방향으로 마련되는 채널일수록, 즉, 제5채널(225)에서 제4채널(224), 제3채널(223) 및 제2채널(222)로 갈수록 앞단부는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nnel provided in the side wall 210b direction, that is, the front end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fourth channel 224, the third channel 223, and the second channel 222 from the fifth channel 225. Can be.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출구단(130)의 중심이 입구단(110)의 중심과 비대칭을 이루는 경우, 입구단(110)의 중심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마련되는 측벽에 인접되는 채널에서는 유동박리현상에 따라 유속이 불안정해질 수 있다. 유동박리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하나의 채널에서 봤을 때, 채널의 입구부분에서는 유동박리가 발생하여 유체가 채널 내에서 위나 아래로 쏠리게 되면서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단면적이 작아지게 되고, 따라서, 국부적으로 유체의 유속이 빨라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As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center of the outlet end 130 is asymmetric with the center of the inlet end 110, flow separation occurs in a channel adjacent to the side wall provided relatively far from the center of the inlet end 110 Depending on the flow rate may become unstable. When flow separation occurs, when viewed from one channel, flow separation occurs at the inlet of the channel, so that the fluid is moved up or down in the channel, and the cross-sectional area through which the fluid can flow decreases, and thus, is localized. As a result, a phenomenon in which the flow rate of the fluid becomes faster may occur.

한편, 유동은 순압력 구배에서 발생하게 되는데, 유체가 채널을 지나갈 때 채널 표면과의 마찰력 때문에 플러스 압력이 차차 줄어들어 마이너스 압력이 되면서, 유동속도도 점차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채널 입구에서는 상대적으로 빠른 유속을 보이다가 어느 정도 유동이 진행되면 유동이 채널 벽면에서 떨어져 나가면서 유동이 정체되고 지체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채널에서 배출될 때에는 유속이 감소된 상태로 배출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low occurs in the forward pressure gradient, and when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channel, the plus pressure gradually decreases due to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channel surface, resulting in a negative pressure, and the flow rate gradually decreases. Therefore, the channel inlet shows a relatively fast flow rate, and when the flow proceeds to a certain extent, the flow is stagnated and delayed as the flow falls off the channel wall, and when discharged from the channel, the flow rate is reduced. Can be.

이렇게 되면, 채널별로 유체의 유속이 다르게 되기 때문에 전체 채널에서 열전달이 고르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In this case, since the flow velocity of the fluid is different for each channel, heat transfer is not evenly performed in all channels.

본 실시예를 참고하면, 유동박리현상은 유입헤드부(100)의 입구단(110)의 중심에서 제1방향(A1)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기준선(SL)에서 멀어지게 위치되는 제2가장자리영역 채널(220b)에서 더욱 잘 발생하게 된다. 즉, 입구단(110)으로 진입되는 유체가 가상의 기준선(SL)에 가까운 채널로 이동할 때의 유동경로(F1)는 직선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채널 입구에서 유체의 흐름 저항이 작을 수 있다. Referring to this embodiment, the flow separation phenomenon is a second edge region located away from the virtual reference line SL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1 from the center of the inlet end 110 of the inflow head portion 100. It is more likely to occur in channel 220b. That is, since the flow path F1 when the fluid entering the inlet end 110 moves to a channel close to the virtual reference line SL, the flow resistance of the fluid at the channel inlet may be small.

반면, 입구단으로 진입되는 유체가 제2가장자리영역 채널(220b)로 진입하는 유동경로(F2)를 가지는 경우에는 흐름각도가 커지게 되기 때문에, 채널 입구에서 유체의 흐름 저항이 커지게 되고, 유동박리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luid entering the inlet end has a flow path F2 entering the second edge region channel 220b, the flow angle increases, and thus the flow resistance of the fluid increases at the channel inlet. Peeling may occur.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제2가장자리영역 채널(220b)에 포함되는 채널(221~226)의 앞단부가 입구단(11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하고, 특히, 제2가장자리영역 채널(220b)에 포함되는 채널(221~226)의 앞단부가 측벽(210b) 방향으로 갈수록 돌출 형성되도록 하여 제2가장자리영역 채널(220b)로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유동박리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To solve this, in this embodiment, the front end of the channels 221 to 226 included in the second edge region channel 220b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inlet end 110, in particular, the second edge region channel 220b ) To the front end of the channels (221 ~ 226) included in the direction of the side wall (210b) is formed to protrude to reduce the flow resistance of the fluid flowing into the second edge region channel (220b), through which, flow separation The occurrence of the phenomenon can be reduced.

제2가장자리영역 채널(220b)에 포함되는 채널(221~226)의 앞단부는 측벽(210b) 방향으로 갈수록 선형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The front end of the channels 221 to 226 included in the second edge region channel 220b may be formed to increase linearly toward the sidewall 210b, but is not limited thereto.

그리고, 제1가장자리영역 채널(220a)은 그 앞단부가 중앙영역 채널(230)의 앞단부와 동일한 선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edge region channel 220a may be formed such that its front end is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s the front end of the central region channel 230.

즉, 제1가장자리영역 채널(220a)에 포함되는 채널과 중앙영역 채널(230)에 포함되는 채널의 후단부가 제2방향(A2)으로 마련되는 선상에 위치된 상태일 때, 제1가장자리영역 채널(220a)에 포함되는 채널의 길이와 중앙영역 채널(230)에 포함되는 채널의 길이는 동일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rear end of the channel included in the first edge region channel 220a and the channel included in the center region channel 230 are positioned on the line provided in the second direction A2, the first edge region channel The length of the channel included in (220a) and the length of the channel included in the central region channel 230 may be the same.

한편, 도 2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열교환부(200)에 마련되는 채널은 앞단부가 라운드 형태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2 (a), the channel provided in the heat exchange unit 200 may be formed to protrude the front end in a round shape.

또는, 도 2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열교환부(200)에 마련되는 채널은 앞단부가 쐐기 형태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Or, as shown in Figure 2 (b), the channel provided in the heat exchange unit 200 may be formed so that the front end protrudes in a wedge shape.

채널(201)의 앞단부가 라운드 형태 또는 쐐기 형태로 돌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유입헤드부(100)에 진입하여 열교환부(200)로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 저항은 감소될 수 있다.Since the front end of the channel 201 is formed to protrude in a round shape or a wedge shape, the flow resistance of the fluid entering the inlet head portion 100 and flowing into the heat exchange portion 200 may be reduced.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쇄기판형 열교환판에서의 압력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쇄기판형 열교환판의 채널별 유속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인데, 도 4의 (a)는 채널의 앞단부가 편평하고 동일하게 돌출된 상태의 열교환부를 가지는 종래의 인쇄기판형 열교환판에서 채널에 유입되는 유체의 유속을 나타낸 것이고, 도 4의 (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기판형 열교환판에서 채널에 유입되는 유체의 유속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pressure change in the printed substrate type heat exchanger pla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llustrates the flow rate for each channel of the printed substrate type heat exchanger pla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raph (a) of FIG. 4 shows the flow velocity of the fluid flowing into the channel in a conventional printed-substrate heat exchanger plate having a heat exchange portion in a flat and equally protruding state at the front end of the channel. ) Denotes the flow velocity of the fluid flowing into the channel in the printed substrate heat exchang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더 포함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it will be furth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먼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입구단(110)으로 진입되는 유체는 헤드챔버(120)를 통해 출구단(130)으로 이동하게 된다. First, as shown in FIG. 3, the fluid entering the inlet end 110 moves to the outlet end 130 through the head chamber 120.

그런데, 헤드챔버(120)는 후방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도록 형성되고, 헤드챔버(120)의 후단부 일부는 폐쇄부(21)에 막히게 된다. 따라서, 헤드챔버(120)로 진입되는 유체 중 일부는 폐쇄부(21)에 막혀 흐름이 정체될 수 있으며, 헤드챔버(120) 내부의 압력은 증가할 수 있다.However, the head chamber 120 is formed to have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oward the rear direction, and a part of the rear end of the head chamber 120 is blocked by the closing portion 21. Therefore, a part of the fluid entering the head chamber 120 may be blocked by the closing portion 21 and the flow may stagnat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head chamber 120 may increase.

이 상태에서, 채널의 앞단부가 라운드 형태 또는 쐐기 형태가 아니라, 종래와 같이 제2방향(A2)을 따라 편평한 형태인 경우, 헤드챔버(120)의 유체가 출구단(130)을 통해 채널(201)로 진입 시에 유체저항은 더욱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헤드챔버(120) 내부의 압력이 더욱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front end of the channel is not a round shape or a wedge shape, but is a flat shape along the second direction A2 as in the prior art, the fluid in the head chamber 120 passes through the outlet end 130 to the channel 201 ) When entering the fluid resistance is further increased, thereby causing a problem that the pressure inside the head chamber 120 is further increased.

도 4에서 그래프의 가로축은 채널을 나타내는 것으로, 그래프에서 제일 좌측의 채널은 도 2를 참고했을 때 제일 하측의 채널이고, 그래프에서 제일 우측의 채널은 도 2를 참고했을 때 제일 상측의 채널이다. 그리고, 그래프의 세로축은 유속을 나타낸다.In FIG. 4, the horizontal axis of the graph represents a channel, and the leftmost channel in the graph is the lowest channel when referring to FIG. 2, and the rightmost channel in the graph is the uppermost channel when referring to FIG. 2. In addition, the vertical axis of the graph represents the flow rate.

도 4의 (a)를 참조하면, 유동박리현상에 의해 상대적으로 측벽(210b)과 가까운 곳에 배치되는 채널에서 상대적으로 빠른 유입 속도(B1)가 발생하게 된다.Referring to (a) of FIG. 4, a relatively fast inflow velocity B1 is generated in a channel disposed close to the sidewall 210b by the flow separation phenomenon.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채널(201)의 앞단부가 라운드 형태 또는 쐐기 형태로 돌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채널의 앞단부가 편평한 형태일 때보다 채널(201) 사이로 이동하는 유체의 흐름 저항이 낮아지도록 할 수 있고, 제2가장자리영역 채널(220b)에 포함되는 채널의 앞단부가 입구단(110)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유동박리 정도를 완화시켜 유동이 균일해지도록 할 수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end of the channel 201 is formed to protrude in a round shape or a wedge shape, so that the flow resistance of the fluid moving between the channels 201 is lower than when the front end of the channel is fl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egree of flow separation by making the front end of the channel included in the second edge region channel 220b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inlet end 110 so that the flow becomes uniform.

즉, 도 4의 (b)를 참조하면, 상대적으로 측벽과 가까운 곳에 배치되는 채널을 포함하는 전체적인 채널에서 균일한 유입 속도가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전체 채널에 대해 유동 속도가 균일해질 수 있기 때문에 열전달이 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referring to FIG. 4B, a uniform inflow velocity may occur in the entire channel including the channel disposed relatively close to the sidewall. In this case, since the flow velocity can be uniform for the entire channel, heat transfer can be evenly performed.

제2가장자리영역 채널(220b)의 돌출 길이(L2)는 폐쇄부(21)의 제2방향 길이(L1)가 증가할수록 비례하여 증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페쇄부(21)의 제2방향 길이(L1)가 증가하여 제2가장자리영역 채널(220b) 쪽으로 유체의 유량이 더욱 증가하더라도 제2가장자리영역 채널(220b)에서 유동박리가 효과적으로 완화될 수 있다.The protruding length L2 of the second edge region channel 220b may increase proportionally as the second length L1 of the closing portion 21 increases. Through this, even if the flow rate of the fluid is further increased toward the second edge region channel 220b due to the increase in the second direction length L1 of the closing portion 21, the flow separation in the second edge region channel 220b is effectively relieved. Can be.

도 5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쇄기판형 열교환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쇄기판형 열교환판의 채널을 중심으로 나타낸 평면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출구단의 형태가 다를 수 있으며, 제1실시예와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는 가급적 설명을 생략한다.5 is an exemplary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inted-substrate-type heat exchanger plat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channel of the printed-substrate-type heat exchanger plat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In this embodiment, the shape of the exit stage may be different, and the description of the same content as in the first embodiment is omitted as much as possible.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쇄기판형 열교환판(1010)은 유입헤드부(1100) 및 열교환부(1200)를 포함할 수 있다. 5 and 6, the printed substrate heat exchange plate 1010 may include an inflow head portion 1100 and a heat exchange portion 1200.

유입헤드부(1100)를 통해서는 유체가 유입될 수 있으며, 유입헤드부(1100)로 유입되는 유체는 열교환부(1200)로 분배되어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인쇄기판형 열교환판(1010)은 배출헤드부(13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열교환부(1200)에서 분배되어 이동하면서 열교환되는 유체는 배출헤드부(130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Fluid may be introduced through the inflow head portion 1100, and the fluid flowing into the inflow head portion 1100 may be distributed and moved to the heat exchanger 1200. In addition, the printing substrate type heat exchange plate 1010 may include a discharge head portion 1300, and the fluid that is distributed and moved through the heat exchange portion 1200 and heat exchanged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ead portion 1300.

그리고, 인쇄기판형 열교환기는 적층되어 구비되는 인쇄기판형 열교환판(1010)과, 적층되어 구비되는 인쇄기판형 열교환판(1010)을 내측에 수용하여 고정시키는 하우징(1020)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inted substrate heat exchanger may include a printed substrate type heat exchange plate 1010 provided by being stacked, and a housing 1020 for receiving and fixing the printed substrate type heat exchange plate 1010 provided by being stacked therein.

유입헤드부(1100)는 입구단(1110), 헤드챔버(1120) 및 출구단(1130)을 가질 수 있으며, 입구단(1110)으로는 유체가 진입될 수 있다. 헤드챔버(1120)는 입구단(1110)의 후단에 연결될 수 있으며, 입구단(1110)으로 진입되는 유체는 헤드챔버(1120)로 이동할 수 있다. 출구단(1130)은 헤드챔버(1120)의 후단에 연결될 수 있으며, 입구단(1110)으로 진입되어 헤드챔버(1120)로 이동되는 유체는 출구단(1130)으로 배출될 수 있다.The inlet head 1100 may have an inlet end 1110, a head chamber 1120 and an outlet end 1130, and fluid may enter the inlet end 1110. The head chamber 1120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inlet end 1110, and the fluid entering the inlet end 1110 may move to the head chamber 1120. The outlet end 1130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head chamber 1120, and fluid entering the inlet end 1110 and moving to the head chamber 112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let end 1130.

본 실시예에서, 출구단(1130)은 입구단(1110)의 중앙에서 제1방향(A1)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기준선(SL)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let end 1130 may be formed to be symmetric about the imaginary reference line SL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1 from the center of the inlet end 1110.

그리고, 열교환부(1200)는 제1가장자리영역 채널(1220a), 제2가장자리영역 채널(1220b) 및 중앙영역 채널(1230)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t exchanger 1200 may have a first edge region channel 1220a, a second edge region channel 1220b, and a central region channel 1230.

가상의 기준선(SL)을 중심으로 출구단(1130)은 입구단(1110)과 대칭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제1가장자리영역 채널(1220a) 및 제2가장자리영역 채널(1220b)은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Since the outlet end 1130 is formed to be symmetric with the inlet end 1110 around the virtual reference line SL, the first edge region channel 1220a and the second edge region channel 1220b may be formed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Can be.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1가장자리영역 채널(1220a) 및 제2가장자리영역 채널(1220b)은 중앙영역 채널(1230)보다 앞단부가 입구단(1110)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edge region channel 1220a and the second edge region channel 1220b may be formed such that the front end thereof protrudes toward the inlet end 1110 toward the center region channel 1230.

또한, 제1가장자리영역 채널(1220a) 및 제2가장자리영역 채널(1220b)에 포함되는 채널들의 앞단부는 각각 인접되는 측벽(1210a,1210b) 방향으로 갈수록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ont ends of the channels included in the first edge region channel 1220a and the second edge region channel 1220b may be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adjacent side walls 1210a and 1210b, respectively.

본 실시예에서는, 출구단(1130)의 중심이 입구단(1110)의 중심과 대칭을 이루기 때문에, 제1가장자리영역 채널(1220a) 및 제2가장자리영역 채널(1220b)에서는 동일한 수준의 유동박리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center of the outlet end 1130 is symmetric to the center of the inlet end 1110, the first edge region channel 1220a and the second edge region channel 1220b have the same level of flow separation. This can happen.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제1가장자리영역 채널(1220a) 및 제2가장자리영역 채널(1220b)에 각각 포함되는 채널들의 앞단부가 입구단(111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하고, 특히, 채널들의 앞단부가 인접하는 측벽(1210a,1210b) 방향으로 갈수록 돌출 형성되도록 하여 제1가장자리영역 채널(1220a) 및 제2가장자리영역 채널(1220b)로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유동박리가 효과적으로 완화되도록 할 수 있다.To solve this, in this embodiment, the front end of the channels included in the first edge region channel 1220a and the second edge region channel 1220b are protruded in the direction of the inlet end 1110,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low resistance of the fluid flowing into the first edge region channel 1220a and the second edge region channel 1220b by protruding toward the side walls 1210a and 1210b adjacent to the front end portion, through which It is possible to ensure that the liquid separation is effectively alleviated.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쇄기판형 열교환판의 채널별 속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인데, 도 7의 (a)는 채널의 앞단부가 편평하고 동일하게 돌출된 상태의 열교환부를 가지는 종래의 인쇄기판형 열교환판에서 채널에 유입되는 유체의 유속을 나타낸 것이고, 도 7의 (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기판형 열교환판에서 채널에 유입되는 유체의 유속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7 is a graph for explaining the speed of each channel of the printed-substrate heat exchanger plat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a) is a front end of the channel is flat and has a heat exchanger in the same protruding state The flow rate of the fluid flowing into the channel in the printed-substrate-type heat exchanger plate is shown, and FIG. 7(b) shows the flow rate of the fluid flowing in the channel in the printed-substrate type heat exchanger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먼저, 도 7의 (a)를 참조하면, 유동박리현상에 의해 상대적으로 측벽과 가까운 곳에 배치되는 양측 채널들에서는 상대적으로 빠른 유입 속도(B2,B3)가 발생하게 된다.First, referring to (a) of FIG. 7, relatively fast inflow speeds B2 and B3 are generated in both channels disposed close to the sidewall by the flow separation phenomenon.

그러나, 도 7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가장자리영역 채널(1220a) 및 제2가장자리영역 채널(1220b)에 각각 포함되는 채널들의 앞단부가 입구단(111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하여 열교환부(1200)의 채널(1201) 전체에서 균일한 유입 속도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체 채널에 대해 유동 속도가 균일해질 수 있어 열전달이 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However, as shown in (b) of FIG. 7,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ront ends of the channels included in the first edge region channel 1220a and the second edge region channel 1220b are respectively directed toward the inlet end 1110. By protruding, uniform flow rate may be generated in the entire channel 1201 of the heat exchanger 1200. In addition, the flow velocity can be made uniform for the entire channel, so that heat transfer can be evenly performed.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on only, and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modifications or vari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1010: 인쇄기판형 열교환판
20, 1020: 하우징
21: 페쇄부
100, 1100: 유입헤드부
200, 1200: 열교환부
201, 1201: 채널
210a, 210b, 1210a, 1210b: 측벽
220a, 1220a: 제1가장자리영역 채널
220b, 1220b: 제2가장자리영역 채널
230, 1230: 중앙영역 채널
300, 1300: 배출헤드부
10, 1010: Printed board type heat exchanger plate
20, 1020: housing
21: closed portion
100, 1100: inlet head
200, 1200: heat exchanger
201, 1201: Channel
210a, 210b, 1210a, 1210b: sidewall
220a, 1220a: first edge region channel
220b, 1220b: second edge region channel
230, 1230: Central area channel
300, 1300: discharge head

Claims (9)

유체가 진입되는 입구단과, 상기 입구단으로 진입되는 유체가 이동되는 헤드챔버와, 상기 헤드챔버로 이동되는 유체가 배출되는 출구단을 가지는 유입헤드부; 그리고
상기 출구단에 연결되고 유입되는 유체가 분배되어 이동하도록 제1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채널을 가지는 열교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구단은 상기 입구단의 중앙에서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기준선을 중심으로 비대칭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열교환부는 양측에 상기 제1방향으로 구비되는 측벽에 각각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가장자리영역 채널 및 제2가장자리영역 채널과,
상기 제1가장자리영역 채널 및 상기 제2가장자리영역 채널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영역 채널을 가지며,
상기 가상의 기준선을 중심으로 더 멀리 배치되는 상기 제2가장자리영역 채널은 상기 중앙영역 채널보다 앞단부가 상기 입구단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판형 열교환판.
An inlet head portion having an inlet end through which fluid enters, a head chamber through which fluid entering the inlet end moves, and an outlet end through which fluid moved into the head chamber is discharged; And
It is connected to the outlet end and is formed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to distribute and move the inflowing fluid, and includes a heat exchange part having a plurality of channels spaced apart in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The outlet end is formed to be asymmetric about an imaginary reference line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inlet end,
The heat exchanger may include a first edge region channel and a second edge region channel disposed adjacent to side walls provided in the first direction on both sides, respectively,
And a central region channel disposed between the first edge region channel and the second edge region channel,
The second edge region channel disposed farther away from the virtual reference line is a printed substrate type heat exchanger plate, characterized in that a front end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inlet end than the central region channel.
유체가 진입되는 입구단과, 상기 입구단으로 진입되는 유체가 이동되는 헤드챔버와, 상기 헤드챔버로 이동되는 유체가 배출되는 출구단을 가지는 유입헤드부; 그리고
상기 출구단에 연결되고 유입되는 유체가 분배되어 이동하도록 제1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채널을 가지는 열교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구단은 상기 입구단의 중앙에서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기준선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열교환부는 양측에 상기 제1방향으로 구비되는 측벽에 각각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가장자리영역 채널 및 제2가장자리영역 채널과,
상기 제1가장자리영역 채널 및 상기 제2가장자리영역 채널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영역 채널을 가지며,
상기 제1가장자리영역 채널 및 상기 제2가장자리영역 채널은 상기 중앙영역 채널보다 앞단부가 상기 입구단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판형 열교환판.
An inlet head portion having an inlet end through which fluid enters, a head chamber through which fluid entering the inlet end moves, and an outlet end through which fluid moved into the head chamber is discharged; And
It includes a heat exchange unit having a plurality of channels that are connected to the outlet end and are formed to extend along a first direction to distribute and move the inflowing fluid, and are spaced apart along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The outlet end is formed to be symmetric about a virtual reference line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inlet end,
The heat exchanger may include a first edge region channel and a second edge region channel disposed adjacent to side walls provided in the first direction on both sides, respectively,
And a central region channel disposed between the first edge region channel and the second edge region channel,
The first edge region channel and the second edge region channel are printed substrate type heat exchange plates, characterized in that a front end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entrance end of the central region channel.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채널은 앞단부가 라운드 형태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판형 열교환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plurality of channels is a printed circuit board type heat exchanger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end is formed to protrude in a round shap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채널은 앞단부가 쐐기 형태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판형 열교환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plurality of channels is a printed circuit board type heat exchanger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end is formed to protrude in a wedge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장자리영역 채널의 앞단부는 인접되는 상기 측벽 방향으로 갈수록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판형 열교환판.
According to claim 1,
The front edge of the second edge region channel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side wall adjacent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헤드부의 출구단은 상기 복수의 채널과 연결되는 개방부와, 상기 복수의 채널과 연결되지 않는 폐쇄부로 구획되고,
상기 폐쇄부의 상기 제2방향 길이가 증가할수록, 상기 제2가장자리영역 채널의 돌출 길이도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판형 열교환판.
According to claim 1,
The outlet end of the inlet head portion is divided into an open portion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channels and a closed portion not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channels,
As the length of the second portion of the closing portion increases,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channel of the second edge region also increases proportionall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장자리영역 채널 및 상기 제2가장자리영역 채널의 앞단부는 각각 인접되는 상기 측벽 방향으로 갈수록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판형 열교환판.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edge region channel and the front edge portion of the second edge region channel are respectively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sidewalls adjacent to each other.
제1항,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되고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가 적층되어 구비되는 인쇄기판형 열교환판; 그리고
적층되어 구비되는 상기 인쇄기판형 열교환판을 내측에 수용하여 고정시키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인쇄기판형 열교환기.
Claim 1, 3 to 6, wherein the printed substrate-type heat exchanger plate described in any one of claims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rinted-substrate-type heat exchanger including a housing for receiving and fixing the printed-substrate-type heat-exchanging plate provided inside.
제2항 내지 제4항,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되고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가 적층되어 구비되는 인쇄기판형 열교환판; 그리고
적층되어 구비되는 상기 인쇄기판형 열교환판을 내측에 수용하여 고정시키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인쇄기판형 열교환기.
A printed-substrate heat exchange pl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ayers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rinted-substrate-type heat exchanger including a housing for receiving and fixing the printed-substrate-type heat-exchanging plate provided inside.
KR1020180151330A 2018-11-29 2018-11-29 Printed circuit heat exchanging plate and printed circuit heat exchanger including the same KR1021524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330A KR102152460B1 (en) 2018-11-29 2018-11-29 Printed circuit heat exchanging plate and printed circuit heat exchanger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330A KR102152460B1 (en) 2018-11-29 2018-11-29 Printed circuit heat exchanging plate and printed circuit heat exchanger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788A true KR20200064788A (en) 2020-06-08
KR102152460B1 KR102152460B1 (en) 2020-09-04

Family

ID=71089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1330A KR102152460B1 (en) 2018-11-29 2018-11-29 Printed circuit heat exchanging plate and printed circuit heat exchanger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246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48819A (en) * 2021-04-26 2021-06-29 山东大学 Supercritical CO2Spiral Z-shaped printed circuit board type heat exchang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920B1 (en) 2013-02-07 2013-10-16 한국기계연구원 Printed circuit heat exchange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20140094245A (en) * 2013-01-22 2014-07-30 주식회사 이랩 Heat Exchanger
KR20150105978A (en) * 2013-01-11 2015-09-18 후타바 인더스트리얼 컴패니 리미티드 Heat exchanger
KR20180061284A (en) * 2015-10-02 2018-06-07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Heat transfer plate and plate heat exchang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5978A (en) * 2013-01-11 2015-09-18 후타바 인더스트리얼 컴패니 리미티드 Heat exchanger
KR20140094245A (en) * 2013-01-22 2014-07-30 주식회사 이랩 Heat Exchanger
KR101317920B1 (en) 2013-02-07 2013-10-16 한국기계연구원 Printed circuit heat exchange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20180061284A (en) * 2015-10-02 2018-06-07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Heat transfer plate and plate heat exchang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48819A (en) * 2021-04-26 2021-06-29 山东大学 Supercritical CO2Spiral Z-shaped printed circuit board type heat exchan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2460B1 (en) 2020-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4516B2 (en) Heat exchanger having winding micro-channels
EP3133366B1 (en) Heat exchanger
EP3217119A1 (en) Heat exchanger
JP5135225B2 (en) Use of a micro heat transfer device as a fluid cooler for micro heat transfer and electronic devices
WO2010120125A2 (en) Plate heat exchanger
US11310935B2 (en) Heat dissipator and communications device
US20200258815A1 (en) Heat sink
KR20050061306A (en) Forced fluid heat sink
KR20100085999A (en) Liquid-cooled cooling device
KR102152460B1 (en) Printed circuit heat exchanging plate and printed circuit heat exchanger including the same
US20120097381A1 (en) Heat sink
KR20180060262A (en) Plate heat exchanger
KR101218314B1 (en) Micro Channel Plate for Heat Exchanger
EP3931511B1 (en) Two-orientation condenser for enhanced gravity driven film condensation
KR101317920B1 (en) Printed circuit heat exchange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20090049989A (en) Oilcooler
KR101520400B1 (en) The water cool type oil cooler
KR102154815B1 (en) Heat exchanger plate and plate heat exchanger including the same
CN213519929U (en) Novel cooling plate and device using same
KR20060061472A (en) Plate having 3-dimensional microchannel and heat exchanger using it
JP7432742B2 (en) Heat exchanger
KR102393899B1 (en) Heat exchanging device comprising printed circuit heat exchanger
US20190376750A1 (en) Water heat exchanger
TWM445686U (en) Liquid-cooled heat exchange module with uniform stream channel
KR20120034499A (en) Microchannel heat exchanger which hot and cold fluids flow alternately in each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