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4773A - 안테나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4773A
KR20200064773A KR1020180151301A KR20180151301A KR20200064773A KR 20200064773 A KR20200064773 A KR 20200064773A KR 1020180151301 A KR1020180151301 A KR 1020180151301A KR 20180151301 A KR20180151301 A KR 20180151301A KR 20200064773 A KR20200064773 A KR 20200064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antenna device
radiation plate
shap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1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득
윤종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1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4773A/ko
Publication of KR20200064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7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61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 H01Q21/065Patch antenna arr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5/00Devices for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or polarisation of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e.g. quasi-optical devices
    • H01Q15/14Reflecting surfaces; Equivalent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Abstract

본 발명은, 안테나 특성 상, 안테나의 전방 상하좌우로 일정 각도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에 음영 영역이 존재하는 안테나에 대하여, 음영 영역을 효율적으로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안테나 구조 및 형상을 제안하는 기술이다.

Description

안테나장치{ANTENNA APPARATUS}
본 발명은, 안테나빔이 도달하지 않는 음역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안테나장치를 구현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5G 통신시스템에서는, 현재 LTE(4G) 통신시스템에서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 대역 대비, 초 고주파 대역(mmWave 대역)을 사용하게 된다.
공기 중에서 진행하는 전파의 특정 상 고주파 대역일수록 직진성이 강하기 때문에, 초 고주파 대역(mmWave 대역)을 사용하는 5G 통신시스템에서는, 안테나빔을 특정 방향으로 집중할 수 있는 빔포밍 기술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빔포밍 기술을 실현하는 안테나 구조는 다양할 수 있으며, 일 예로서는 패치 어레이 안테나(Patch Array Antenna)를 들 수 있다.
패치 어레이 안테나는, 구조적으로 상하좌우로 일정 각도를 갖는 방사패턴의 안테나빔을 형성하도록 설계되는 안테나로서, 일반적으로는 상하좌우로 120 ° 를 갖는 방사패턴의 안테나빔을 형성하여 전방으로 빔포밍하게 된다.
따라서, 패치 어레이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 안테나 특정 상, 안테나의 전방 120 °에서는 높은 이득을 가져갈 수 있는 반면, 상하좌우 30 °바깥 공간은 공간은 신호의 음영 영역이 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패치 어레이 안테나와 같이, 안테나 특성 상, 안테나의 전방 상하좌우로 일정 각도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에 안테나빔이 도달하지 않는 음영 영역이 존재하는 안테나에 대하여, 음영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안테나빔이 도달하지 않는 음역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안테나장치를 구현하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 영역의 방향으로 설치되는 안테나장치는, 상기 대상 영역으로 안테나 신호를 방사하여, 상기 안테나 신호에 따른 안테나빔을 형성하는 안테나부; 및 상기 안테나부의 일 측면에 위치하여, 입사되는 안테나 신호를 반사시켜 상기 대상 영역 중 상기 안테나빔이 미 도달되는 음영 영역으로 진행시키는 반사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테나부는, 상하좌우로 일정 각도를 갖는 방사패턴의 안테나빔을 형성하는 패치 어레이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사부는, 상기 안테나장치의 설치 방향에 따라, 상기 안테나부의 상하좌우 중 상기 안테나 신호 도달이 불필요한 상기 일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영 영역은, 상기 안테나장치가 설치된 위치에서, 상기 안테나부의 전방에서 상기 일정 각도를 제외한 상하좌우 측 방향의 영역 각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사부는, 상기 안테나부의 일 측면에서부터 상기 대상 영역 방향으로 연장된 방사판이 연장 방향을 절곡선으로 하여 구부러진 형상으로, 상기 절곡선이 상부 방향으로 볼록하게 올라가고, 상기 절곡선을 기준으로 구부러진 상기 방사판 양측의 제1방사판면 및 제2방사판면이 하부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사판은, 상기 안테나부의 일 측면에서부터 상기 연장 방향에 따라 멀어질수록, 방사판 폭이 줄어드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사판은, 상기 안테나부의 일 측면에서부터 상기 연장 방향에 따라 멀어질수록, 방사판 폭이 단계적으로 줄어드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방사판면 및 제2방사파면 각각은, 상기 방사판 폭이 단계적으로 줄어드는 각 지점에 방사판면의 상하 방향을 절곡선으로 하여 구부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테나부의 일 측면에서부터 가장 먼 상기 방사판의 끝 부분은, 첨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사부는, 상기 안테나부에서 우측 상부 방향으로 방사하는 안테나 신호를 입사 받아 상기 안테나부의 좌측 방향 음영 영역으로 반사 및 진행시키고, 상기 안테나부에서 좌측 상부 방향으로 방사하는 안테나 신호를 입사 받아 상기 안테나부의 우측 방향 음영 영역으로 반사 및 진행시키도록 하는, 형상의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안테나의 전방 상하좌우로 일정 각도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에 안테나빔이 도달하지 않는 음영 영역이 존재하는 안테나에 대하여, 상하좌우 중 안테나빔을 통한 신호 도달이 불필요한 일 측면에 안테나 신호를 반사시켜 음영 영역으로 진행시키는 반사부(방사판)을 형성하는 구조의 안테나장치를 구현함으로써, 고가의 안테나를 수정/변경하는 설계 없이도 음영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
도 1은 기존의 패치 안테나 사용 시 음영 영역으로 인한 설치 이격 상황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장치 사용 시 안테나 설치의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장치의 구조를 정면에서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장치의 구조를 위에서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장치의 구조를 측면에서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장치 사용 시 음영 영역으로 인한 설치 이격 상황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안테나빔이 도달하지 않는 음역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안테나장치를 구현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5G 통신시스템에서는, 현재 LTE(4G) 통신시스템에서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 대역 대비, 초 고주파 대역(mmWave 대역)을 사용하게 된다.
공기 중에서 진행하는 전파의 특정 상 고주파 대역일수록 직진성이 강하기 때문에, 초 고주파 대역(mmWave 대역)을 사용하는 5G 통신시스템에서는, 안테나빔을 특정 방향으로 집중할 수 있는 빔포밍 기술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빔포밍 기술을 실현하는 안테나 구조는 다양할 수 있으며, 일 예로서는 패치 어레이 안테나(Patch Array Antenna)를 들 수 있다.
패치 어레이 안테나는, 구조적으로 상하좌우로 일정 각도를 갖는 방사패턴의 안테나빔을 형성하도록 설계되는 안테나로서, 일반적으로는 상하좌우로 120 ° 를 갖는 방사패턴의 안테나빔을 형성하여 전방으로 빔포밍하게 된다.
따라서, 패치 어레이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 안테나 특정 상, 안테나의 전방 120 °에서는 높은 이득을 가져갈 수 있는 반면, 전방에서 120 °를 제외한 상하좌우 측 방향의 영역 각각 즉 상하좌우 30 °바깥 공간은 신호의 음영 영역이 될 수밖에 없다.
도 1은, 기존의 패치 안테나 사용 시 음영 영역으로 인한 설치 이격 상황을 위에서 보여주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패치 어레이 안테나의 경우 안테나의 전방 120 °의 방사패턴을 갖는 안테나빔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기존 패치 어레이 안테나를 사용하여 10m 높이에서 25m의 폭을 대상 영역을 커버(cover)하기 위한 상황을 가정하면, 안테나 전방의 상하좌우 30 °바깥 공간의 음영 영역을 고려하여 대상 영역으로부터 약 9m의 이격된 위치에 안테나를 설치 해야만 한다.
이처럼, 기존 패치 어레이 안테나를 사용할 경우 안테나 특성 상 존재하는 음영 영역으로 인해, 상당한 거리의 이격 설치가 불가피한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패치 어레이 안테나와 같이, 안테나 특성 상, 안테나의 전방 상하좌우로 일정 각도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에 안테나빔이 도달하지 않는 음영 영역이 존재하는 안테나에 대하여, 음영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장치 사용 시 안테나 설치의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기존 패치 어레이 안테나를 수정/변경하는 설계 없이, 음영 영역을 최소화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대상 영역이 최대한 안테나의 전방 120 °에 포함되도록, 안테나를 대상 영역의 일 측에 설치하고 안테나 전방이 대상 영역을 향하도록 설치 측 반대 방향으로 기울여서 설치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안테나를 대상 영역의 상부 측에 설치하고 안테나 전방이 대상 영역을 향하도록 설치 측(상부 측) 반대 방향인 하부 방향으로 기울여서 설치한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하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 영역이 최대한 안테나의 전방 120 °에 포함되도록 안테나를 설치하더라도, 안테나빔이 도달되지 못하는 음영 영역이 존재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 영역이 최대한 안테나의 전방 120 °에 포함되도록 안테나를 대상 영역의 일 측 예컨대 상부 측에 설치하면, 안테나의 상부 쪽으로는 안테나 신호 도달이 불필요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안테나의 상하좌우 중 안테나 신호 도달이 불필요한 일 측면, 예컨대 도 2의 경우라면 상부 측면에 방사판을 설치하여 안테나의 음영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제안 방안(기술)을 실현하는 구조의 안테나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장치(100)는, 안테나부(1)와, 반사부(2)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안테나장치(100)는 안테나장치(100)에서 형성되는 안테나빔을 통해 커버하고자 하는 대상 영역의 방향으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테나장치(100)는 대상 영역의 상부 측에 설치되며, 전방이 대상 영역을 향하도록 설치 측(상부 측) 반대 방향인 하부 방향으로 기울여서 설치될 수 있다.
안테나장치(100)의 안테나부(1)는, 대상 영역으로 안테나 신호를 방사하여, 안테나 신호에 따른 안테나빔을 형성한다.
이러한 안테나부(1)는, 상하좌우로 일정 각도를 갖는 방사패턴의 안테나빔을 형성하는 패치 어레이 구조의 안테나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안테나부(1)는, 도 3 내지 도 5에서 패치 안테나(1)로 도시되고 있다.
이러한 안테나부(1) 즉 패치 안테나(1)는, 상하좌우로 일정 각도 예컨대 상하좌우로 120 ° 를 갖는 방사패턴의 안테나빔을 형성하여, 전방 즉 대상 영역의 방향으로 빔포밍하게 된다.
반사부(2)는, 안테나부(1) 즉 패치 안테나(1)의 일 측면에 위치하여, 입사되는 안테나 신호를 반사시켜 대상 영역 중 안테나빔이 미 도달되는 음영 영역으로 진행시키는 구조 및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반사부(2)는, 안테나부(1) 즉 패치 안테나(1)의 상부에 위치하여, 패치 안테나(1)에서 우측 상부 방향으로 방사하는 안테나 신호를 입사 받아 패치 안테나(1)의 좌측 방향 음영 영역으로 반사 및 진행시키고, 패치 안테나(1)에서 좌측 상부 방향으로 방사하는 안테나 신호를 입사 받아 패치 안테나(1)의 우측 방향 음영 영역으로 반사 및 진행시키도록 하는, 형상의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반사부(2)의 구조 및 형상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먼저,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안테나장치 구조를 정면에서 바라보는 구조 및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반사부(2)는, 안테나장치(100)의 설치 방향에 따라, 안테나부(1) 즉 패치 안테나(1)의 상하좌우 중 안테나 신호 도달이 불필요한 일 측면에 위치하게 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테나장치(100)가 대상 영역의 상부 측에 설치되며, 전방이 대상 영역을 향하도록 설치 측(상부 측) 반대 방향인 하부 방향으로 기울여서 설치된 상황을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안테나부(1) 즉 패치 안테나(1)의 상하좌우 중 안테나 신호 도달이 불필요한 일 측면은, 패치 안테나(1)의 상부 측면일 것이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부(2)는, 패치 안테나(1)의 상하좌우 중 안테나 신호 도달이 불필요한 패치 안테나(1)의 상부 측면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부(2)는, 안테나부(1)의 일 측면(상부 측면)에서부터 대상 영역 방향으로 연장된 방사판(3)이 연장 방향을 절곡선(4)으로 하여 구부러진 형상으로, 절곡선(4)이 상부 방향으로 볼록하게 올라가고, 절곡선(4)을 기준으로 구부러진 방사판(3) 양측의 제1방사판면(5) 및 제2방사판면(6)이 하부 방향으로 경사진 구조 및 형상을 가질 수 잇다.
도 4는 본 발명의 안테나장치 구조를 위에서 바라보는 구조 및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반사부(2)의 방사판(3)은, 안테나부(1)의 일 측면(상부 측면)에서부터 대상 영역 방향으로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그리고,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판(3)은, 안테나부(1) 즉 패치 안테나(1)의 일 측면(상부 측면)에서부터 연장 방향에 따라 멀어질수록, 방사판 폭이 줄어드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안테나부(1) 즉 패치 안테나(1)의 일 측면(상부 측면)에서부터 가장 먼 지점인 방사판(3)의 끝 부분은, 첨단 형상(7)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안테나장치 구조를 측면에서 바라보는 구조 및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판(3)은, 안테나부(1) 즉 패치 안테나(1)의 일 측면(상부 측면)에서부터 연장 방향에 따라 멀어질수록, 방사판 폭이 줄어드는 형상을 가지되, 방사판 폭이 단계적으로 줄어드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판(3) 양측의 제1방사판면(5) 및 제2방사판면(6) 각각은, 방사판 폭이 단계적으로 줄어드는 각 지점에 방사판면의 상하 방향을 절곡선(8)으로 하여 구부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5에서는, 방사판(3) 양측의 제1방사판면(5) 및 제2방사판면(6) 중 제1방사판면(5) 만 보여지고 있다.
그리고, 도 5에서는, 방사판 폭이 단계적으로 줄어드는 각각의 2 지점에서, 제1방사판면(5)의 상하 방향으로 2 개의 절곡선(8)을 가지고 구부러진 형상을 일 예로서 도시하고 있다.
이때,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제1방사판면(5) 및 제2방사판면(6) 각각에 방사판 폭이 단계적으로 줄어드는 지점 마다 형성되는 절곡선(8)의 형상은, 하부 방향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부에 위치한 안테나부(1) 즉 패치 안테나(1)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제1방사판면(5) 및 제2방사판면(6) 각각에 방사판 폭이 단계적으로 줄어드는 지점 마다 형성되는 절곡선(8)은, 연장 방향을 따라 멀리 형성되는 절곡선일수록 그 기울기가 클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역시, 안테나부(1) 즉 패치 안테나(1)의 일 측면(상부 측면)에서부터 가장 먼 지점인 방사판(3)의 끝 부분은, 첨단 형상(7)을 가질 수 있다.
결국, 전술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구조 및 형상의 방사판(3)을 갖는 반사부(2)는, 안테나부(1) 즉 패치 안테나(1)의 상부에 위치하여, 패치 안테나(1)에서 우측 상부 방향으로 방사하는 안테나 신호를 입사 받아 패치 안테나(1)의 좌측 방향 음영 영역으로 반사 및 진행시키고, 패치 안테나(1)에서 좌측 상부 방향으로 방사하는 안테나 신호를 입사 받아 패치 안테나(1)의 우측 방향 음영 영역으로 반사 및 진행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안테나장치 사용 시 음영 영역으로 인한 설치 이격 상황을 위에서 보여주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테나장치의 경우, 안테나부(1) 즉 패치안테나(1)는 전방 120 °의 방사패턴을 갖는 안테나빔을 기존과 같이 형성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안테나장치의 경우, 안테나부(1) 즉 패치안테나(1) 상부에 위치하는 반사부(2)에 의해, 패치 안테나(1)에서 우측 상부 방향으로 방사하는 안테나 신호를 입사 받아 패치 안테나(1)의 좌측 방향 음영 영역으로 반사 및 진행시키고, 패치 안테나(1)에서 좌측 상부 방향으로 방사하는 안테나 신호를 입사 받아 패치 안테나(1)의 우측 방향 음영 영역으로 반사 및 진행시킬 수 있다.
이에, 도 1과 동일한 가정으로서, 본 발명의 안테나장치를 사용하여 10m 높이에서 25m의 폭을 대상 영역을 커버(cover)하기 위한 상황을 가정하면, 반사부(2)에 의해 반사 및 진행되는 안테나 신호로 인해 안테나 전방의 좌우 방향의 음영 영역이 기존 대비 줄어들기 때문에, 음영 영역으로 인해 안테나장치를 대상 영역으로부터 이격 설치해야 하는 이격 거리(xm)가 기존 9m 대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서는, 패치 어레이 안테나와 같이, 안테나 특성 상, 안테나의 전방 상하좌우로 일정 각도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에 안테나빔이 도달하지 않는 음영 영역이 존재하는 안테나에 대하여, 상하좌우 중 안테나빔을 통한 신호 도달이 불필요한 일 측면에 안테나 신호를 반사시켜 음영 영역으로 진행시키는 반사부(방사판)을 형성하는 구조의 안테나장치를 구현하고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가의 안테나를 수정/변경하는 설계 없이도, 안테나의 음영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안테나의 설치 시 커버하고자 하는 대상 영역과의 이격 거리를 줄일 수 있고 대상 영역을 효율적으로 커버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테나 특성 상, 안테나의 전방 상하좌우로 일정 각도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에 음영 영역이 존재하는 안테나에 대하여, 음영 영역을 효율적으로 최소화할 수 있는 안테나장치를 구현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 : 안테나부 2 : 반사부
3 : 방사판 4 : 절곡선
5 : 제1방사판면 6 : 제2방사판면

Claims (9)

  1. 대상 영역의 방향으로 설치되는 안테나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상 영역으로 안테나 신호를 방사하여, 상기 안테나 신호에 따른 안테나빔을 형성하는 안테나부; 및
    상기 안테나부의 일 측면에 위치하여, 입사되는 안테나 신호를 반사시켜 상기 대상 영역 중 상기 안테나빔이 미 도달되는 음영 영역으로 진행시키는 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상하좌우로 일정 각도를 갖는 방사패턴의 안테나빔을 형성하는 패치 어레이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안테나장치의 설치 방향에 따라, 상기 안테나부의 상하좌우 중 상기 안테나 신호 도달이 불필요한 상기 일 측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영 영역은,
    상기 안테나장치가 설치된 위치에서, 상기 안테나부의 전방에서 상기 일정 각도를 제외한 상하좌우 측 방향의 영역 각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안테나부의 일 측면에서부터 상기 대상 영역 방향으로 연장된 방사판이 연장 방향을 절곡선으로 하여 구부러진 형상으로,
    상기 절곡선이 상부 방향으로 볼록하게 올라가고, 상기 절곡선을 기준으로 구부러진 상기 방사판 양측의 제1방사판면 및 제2방사판면이 하부 방향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판은,
    상기 안테나부의 일 측면에서부터 상기 연장 방향에 따라 멀어질수록, 방사판 폭이 줄어드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판은,
    상기 안테나부의 일 측면에서부터 상기 연장 방향에 따라 멀어질수록, 방사판 폭이 단계적으로 줄어드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방사판면 및 제2방사파면 각각은,
    상기 방사판 폭이 단계적으로 줄어드는 각 지점에 방사판면의 상하 방향을 절곡선으로 하여 구부러진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의 일 측면에서부터 가장 먼 상기 방사판의 끝 부분은,
    첨단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안테나부에서 우측 상부 방향으로 방사하는 안테나 신호를 입사 받아 상기 안테나부의 좌측 방향 음영 영역으로 반사 및 진행시키고, 상기 안테나부에서 좌측 상부 방향으로 방사하는 안테나 신호를 입사 받아 상기 안테나부의 우측 방향 음영 영역으로 반사 및 진행시키도록 하는, 형상의 구조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장치.
KR1020180151301A 2018-11-29 2018-11-29 안테나장치 KR202000647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301A KR20200064773A (ko) 2018-11-29 2018-11-29 안테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301A KR20200064773A (ko) 2018-11-29 2018-11-29 안테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773A true KR20200064773A (ko) 2020-06-08

Family

ID=71089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1301A KR20200064773A (ko) 2018-11-29 2018-11-29 안테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477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7607B2 (en) Horn antenna
KR100441146B1 (ko) 이동통신 서비스용 중계기의 노치형 안테나
TWI429138B (zh) 平面雙向輻射天線
CN102104200B (zh) 曲线阵列馈源双焦抛物反射面空间功率合成天线
US718046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tenna radiation pattern control
KR102409534B1 (ko) 레이더 안테나, 안테나의 방사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적절한 방법
JP2019536384A (ja) 反射アレイアンテナおよび通信デバイス
CN108288757B (zh) 一种无线移动终端及天线
JP2019009531A (ja) 無給電中継装置及び無線中継システム
JP4724862B2 (ja) アレーアンテナ
US200701392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tenna Radiation Pattern Control
US20230025634A1 (en) 5g dual port beamforming antenna
WO2023226528A1 (zh) 用于天线的频率选择表面以及天线系统
KR20200064773A (ko) 안테나장치
KR100849703B1 (ko) 병렬 급전형 저앙각 고이득 원편파 안테나
JP2014045366A (ja) レーダアンテナ
KR100921556B1 (ko) 배열 안테나 시스템
JP7208102B2 (ja) アンテナ装置
RU2664870C1 (ru) Ненаклонная многолучевая диапазонная двухзеркальная антенна
KR100304077B1 (ko) 고앙각전파복사억제안테나장치
KR200284309Y1 (ko) 이동통신 서비스용 중계기의 노치형 안테나
KR102038900B1 (ko) 고도각 방향의 빔 조향이 가능한 평면형 슬롯 배열 안테나
KR200187214Y1 (ko) 상부 반사판이 설치된 기지국용 안테나
KR101303636B1 (ko) 사이드 로브 특성 제어 안테나
JP2020174268A (ja) レーダアンテナ用フレアおよびレーダアンテ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