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4706A - 광 투과율 가변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필터 및 스마트 윈도우 - Google Patents

광 투과율 가변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필터 및 스마트 윈도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4706A
KR20200064706A KR1020180151130A KR20180151130A KR20200064706A KR 20200064706 A KR20200064706 A KR 20200064706A KR 1020180151130 A KR1020180151130 A KR 1020180151130A KR 20180151130 A KR20180151130 A KR 20180151130A KR 20200064706 A KR20200064706 A KR 20200064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transmittance
electrode
variable light
variable
transpa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1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9945B1 (ko
Inventor
유민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엠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엠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엠케이
Priority to KR1020180151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945B1/ko
Priority to PCT/KR2019/015635 priority patent/WO2020111608A1/ko
Priority to EP19891556.3A priority patent/EP3889654A4/en
Priority to US17/297,069 priority patent/US11927778B2/en
Priority to CN201980077406.0A priority patent/CN113167949A/zh
Publication of KR20200064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08Surface plasmon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 E06B3/671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specially adapted for increased thermal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 E06B3/6722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specially adapted for increased thermal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with adjustable passage of l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02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materials engineered to provide properties not available in nature, e.g. meta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2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0816Multilayer mirrors, i.e. having two or more reflecting layers
    • G02B5/085Multilayer mirrors, i.e. having two or more reflecting layers at least one of the reflecting layers comprising meta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7Filters comprising semiconducting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8Interference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0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semiconductor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having a PN or PIN jun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6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featuring transparency control by applying voltage, e.g. LCD, electrochromic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207/00Coding scheme for general features or characteristics of optical elements and systems of subclass G02B, but not including elements and systems which would be classified in G02B6/00 and subgroups
    • G02B2207/101Nanoop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0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semiconductor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having a PN or PIN junction
    • G02F1/015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semiconductor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having a PN or PIN junction modulating the optical absorp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4Arrangements combining different electro-active layers, e.g. electrochromic, liquid crystal or electroluminescent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36Micro- or nano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05Function characteristic wavelength dependent
    • G02F2203/055Function characteristic wavelength dependent wavelength filte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10Function characteristic plasm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15Function characteristic involving resonance effects, e.g. resonantly enhanced intera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34Colour display without the use of colour mosaic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48Variable attenuato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62Switchable arrangements whereby the element being usually not switchab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 Optical Modulation, Optical Deflection, Nonlinear Optics, Optical Demodulation, Optical Logic Elements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전극; 금속 나노입자가 분산된 투명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광 투과율 가변층; 제2 전극; 및 상기 광 투과율 가변층과 제2 전극 사이에 개재(介在)된 절연층;을 포함해 이루어지는 광 투과율 가변 구조를 포함하는 광 투과율 가변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필터 및 스마트 윈도우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광 투과율 가변 소자는, 전극/절연층/금속 나노입자 함유 투명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광 투과율 가변 적층 구조의 양단에 전압을 인가해 속박된 표면 플라즈몬 공진(LSPR) 상태 변화를 유도함으로써, 상기 금속 나노입자 함유 투명 반도체층의 광투과율 및 색상을 자유로이 가변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기존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필터 뿐만 아니라, 스마트 윈도우, 스마트 안경 등 투명한 정보표시 제품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광 투과율 가변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필터 및 스마트 윈도우{LIGHT-TRANSMITTANCE VARIABLE ELEMENT, AND COLOR FILTER FOR DISPLAY DEVICE AND SMART WINDOW INCLUDING SAME}
본 발명은 광 투과율 가변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필터 및 스마트 윈도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광 투과율 가변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필터 및 스마트 윈도우에 관한 것이다.
투명한 비전도성 매질에 금속 나노입자가 포함되어 있으면 빛깔을 가질 수 있다. 이것은 속박된 표면 플라즈몬 공진(localized surface plasmon resonance, LSPR)이라는 현상으로 인한 것이다. 간단히 설명하면, 금속 나노입자 내부의 자유전자와 빛(전자기파)의 전기장과 상호작용이 일어나며 이때 공진 현상이 발생하는 특정 파장의 빛은 흡수, 산란되어 전체적으로 빛깔을 띠게 된다. 그리고, 이 빛깔은 금속 나노입자의 크기, 간격, 모양에 의하여 달라질 수 있다. 그 사례로서, 유럽 고성이나 성당의 스테인드 글라스이다. 이들 스테인드 글라스를 분석해 보면 매우 작은 크기의 금(Au) 입자들이 유리에 함유되어 있는데 그 금 입자의 크기가 밀도(간격), 모양에 따라서 스테인드 글라스의 빛깔이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을 이용하기 위하여 기존의 연구에서는 주로 금속 나노입자의 크기가 입자들 간의 간격을 조절하거나 특수한 합성 기술을 사용하여 모양을 다양하게 하여 겉보기의 색깔을 변화시켰다.
한편, 액정표시장치는 컬러필터(color filter) 기판, 어레이(array) 기판(TFT 어레이 기판), 및 컬러필터 기판과 어레이 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liquid crystal layer)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액정표시장치의 제조공정은 기본적으로 다수의 마스크공정 즉,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공정을 필요로 하므로 생산성 면에서 마스크 수를 줄이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컬러필터는 염료 또는 안료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색의 광은 흡수하여 소멸시키고 구현하고자 하는 색의 광만 투과시켜 컬러를 구현함에 따라 하나의 서브-화소를 기준으로 입사된 백색광에서 RGB 삼원색 중 한 가지 색만 투과시킴으로써 컬러 필터층에서 투과율이 30(%) 이상 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패널(LCD 패널)의 투과효율이 매우 낮아 백라이트(backlight)에 의한 전력 소비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컬러필터는 각 원색별로 컬러 레지스트(resist) 도포, 노광, 현상 및 경화공정을 반복하여 진행하기 때문에 공정이 복잡할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8-0003483호 (공개일:2018.01.09) 한국 공개특허 제10-2013-0127101호 (공개일:2013.11.22) 한국 공개특허 제10-2018-0052372호 (공개일:2018.05.18) 일본 공개특허 제2014-163950호 (공개일:2014.09.0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LSPR 현상으로 기반으로 하는 구조를 포함함으로써, 전술한 문제점을 가지는 기존의 컬러필터는 물론 다양한 투명 정보표시 장치에 적용 가능한 광 투과율 가변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광 투과율 가변 구조를 포함하는 광 투과율 가변 소자로서, 상기 광 투과율 가변 구조는, 제1 전극; 금속 나노입자가 분산된 투명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광 투과율 가변층; 제2 전극; 및 상기 광 투과율 가변층과 제2 전극 사이에 개재(介在)된 절연층;을 포함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투과율 가변 소자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투명 반도체 물질은 Zn, In 및 Sn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산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투과율 가변 소자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투명 반도체 물질은 Si, Ge, Al 및 Ga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원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투과율 가변 소자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금속 나노입자는 Au, Ag, Cu, Al, Pt, Pd, Ni, Co, Fe, Mn, Cr, Mo, W, V, Ta, Nb, Hf, Zr, Ti, Zn, In, Sn, Sb 및 Bi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금속 또는 2종 이상의 금속의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투과율 가변 소자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은 투명전극 또는 반사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투과율 가변 소자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광 투과율 가변 적층 구조에 전압을 인가해 상기 광 투과율 가변층에 포함된 투명 반도체 물질의 도전성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금속 나노입자의 속박된 표면 플라즈몬 공진(localized surface plasmon resonance, LSPR) 상태를 변화시켜 상기 광 투과율 가변층의 광 투과율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투과율 가변 소자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광 투과율 가변층과 제1 전극 사이에 개재(介在)된 투명 반도체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투과율 가변 소자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광 투과율 가변 구조의 일면에 기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은 투명전극이고, 상기 광 투과율 가변 구조 및 상기 기판 사이에 개재(介在)된 하부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투과율 가변 소자를 제안한다.
또한, 반사막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반사막은 상기 광 투과율 가변 구조의 타면에 형성되거나 상기 광 투과율 가변 구조와 상기 하부 코팅층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투과율 가변 소자를 제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 광 투과율 가변 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필터를 제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광 투과율 가변 소자를 포함하는 스마트 윈도우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 투과율 가변 소자는, 전극/절연층/금속 나노입자 함유 투명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광 투과율 가변 적층 구조의 양단에 전압을 인가해 속박된 표면 플라즈몬 공진(LSPR) 상태 변화를 유도함으로써, 상기 금속 나노입자 함유 투명 반도체층의 광투과율 및 색상을 자유로이 가변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기존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필터 뿐만 아니라, 스마트 윈도우, 스마트 안경 등 투명한 정보표시 제품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 투과율 가변 소자에 포함되는 광 투과율 가변 적층 구조(투과형 및 반사형)의 모식도이다.
도 2(a) 내지 도 2(h)는 본 발명에 따른 광 투과율 가변 소자의 일례로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이 1회의 패터닝 공정에 의해 동시에 형성된 '한면형'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에 따른 광 투과율 가변 소자의 일례로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이 각각 별도의 패터닝 공정에 의해 형성된 '양면형'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광 투과율 가변 소자의 일례로서 하부 코팅층 및/또는 반사막을 더 포함하는 소자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속박된 표면 플라즈몬 공진(LSPR) 현상은 금속 나노입자들이 투명한 비전도성 매질 속에 있을 때 외부에서 들어오는 빛과 상호작용을 하여 매질의 광투과율이 변화되어 결과적으로 빛깔을 띠게 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금속 내부에서는 전자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나 비전도성 매질에서는 전자의 이동이 자유롭지 못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외부에서 전기장이 인가되면 금속 내부의 자유전자들이 전기장에 의하여 한쪽 방향으로 구름처럼 모이게 되어 금속 나노입자는 전자가 많은 부분과 모자라는 부분이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전자기파인 빛의 진동하는 전기장이 금속 나노입자 내부에 있는 자유전자의 이동을 야기할 수 있다. 금속 나노입자의 크기와 간격, 모양 등이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전자기파의 파장과 관련되어 있다. 만약, 빛의 전자기파의 특정 파장과 금속 나노입자의 전자들이 공진하게 되면 그 특정 파장은 흡수, 산란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금속 나노입자가 비전도성 매질에 둘러싸여 있을 경우에 나타난다. 그 이유는 자유전자가 비전도성 매질로는 이동하지 못하고 금속 나노입자 내부에 속박되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만약 금속 나노입자가 전도성 매질에 둘러싸여 있을 경우에는 자유전자의 일부는 금속 나노입자에 속박되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입사되는 빛의 전기장과 상호 작용하는 조건이 달라질 수 있어 공진할 수 있는 전자기파의 파장이 변할 수 있어 겉보기의 빛깔이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 투과율 가변 소자는 상기와 같은 LSPR 현상을 기반으로 금속 나노입자를 둘러싸고 있는 매질을 투명 반도체 물질로 구성하고 매질의 전도성을 조절하여 LSPR 상태를 변화시켜 광 투과율 조절해 겉보기 빛깔을 변화시키는 것을 핵심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
즉, 투명 반도체 물질 안에 금속 나노입자들을 함입하여 금속내부의 자유전자 영역을 주변 반도체 영역까지 조절하여 실효적인 자유전자 영역을 변화시켜 투과할 수 있는 빛의 파장을 조정하는 것이다. 이때, 실효적인 전자의 영역을 조절하는 방법은 외부에서 인가할 수 있는 전기장으로서, 전압 인가를 통해 금속 나노입자를 둘러싸고 있는 매질의 전도성을 조절하여 LSPR 상태를 변화시켜 결국 겉보기 빛깔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광 투과율 가변 소자는 금속 나노입자가 분산된 투명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진 광 투과율 가변층을 포함한 광 투과율 가변 구조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 투과율 가변 구조는, 제1 전극, 금속 나노입자가 분산된 투명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광 투과율 가변층, 제2 전극, 및 상기 광 투과율 가변층과 제2 전극 사이에 개재(介在)된 절연층을 포함해 이루어진다.
상기 광 투과율 가변 적층 구조의 제1 전극 및 제2 전극 간에 전압을 인가해 상기 광 투과율 가변층에 포함된 투명 반도체 물질의 도전성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금속 나노입자의 LSPR 상태를 변화시켜 상기 광 투과율 가변층의 광 투과율을 변화시켜 결과적으로 광 투과율 가변층의 겉보기 색상을 변화시킨다.
이때, 상기 광 투과율 가변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전극 및 전압 인가를 위한 제2 전극은 투명전극(ITO 투명전극, Ag 나노와이어 포함 ITO 투명전극 등) 또는 반사전극(거울 반사가 가능한 금속 전극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전극 및 제2 전극 모두 투명전극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도 1의 좌측 도면과 같이 투과형 구조를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광 투과율 가변 구조를 포함하는 소자를 디스플레이의 컬러 필터로 응용하면 인가 전압을 조절해 광 투과율 가변층을 원하는 색깔로 조절할 수 있어 기존 각각의 RGB 컬러필터를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더욱 작은 픽섹을 형상할 수 있어 보다 높은 화질의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소자를 투명 디스플레이에 활용한다면 보다 투명도가 높은 디스플레이로 활용할 수 있고, 스마트 윈도우, 스마트 안경 등 투명한 정보표시 장치에 응용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한면형' 소자에서 제1 전극 및 제2 전극 모두 반사전극으로 구성하거나 '양면형' 소자에서 제1전극은 투명전극, 제2 전극은 반사전극으로 구성할 경우에는 도 1의 우측 도면과 같이 반사형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광 투과율 가변층의 매질을 이루는 투명 반도체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 물질일 수 있으며, 이러한 금속 산화물 반도체 물질은 Zn, In 및 Sn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산화물을 예로 들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금속 산화물 반도체 물질은 Si, Ge, Al 및 Ga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원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 산화물 반도체 물질은 비정질 상태일 수 있다.
참고로, 투명 금속 산화물 반도체는 전기장을 이용하여 전도체 상태와 비전도체 상태로 조절할 수 있다. 산화물 반도체의 경우 거의 대부분 n형 반도체이기 때문에 전도 전하는 전자이다. 그리고 밴드갭이 약 3eV 정도 되면 가시광선 영역에서 투명하며 소수 전하인 정공은 거의 없다. 전극, 절연체, 반도체의 MIS 적층 구조에서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면 전기장에 의하여 반도체 층에 있는 전하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MIS 구조에서 전극에 양전압을 인가하면 반도체 층에서는 음전하가 유도되어 n형 반도체의 주전하인 전자가 충만하게 된다. 반대로, 전극에 음전압을 인가하면 반도체 층에는 주 전하인 전자는 밀려나고 양전하가 유도되어야 하는데 넓은 밴드갭을 가지는 투명한 산화물 반도체에는 양전하인 정공이 없기 때문에 양 전하를 띠는 고정 전하전하가 드러나는 공핍층(depletion layer)이 형성된다. 이 공핍층은 전도전하가 거의 없는 비전도체 매질이다.
즉, 전극의 전압을 조정하여 반도체 층의 전자 밀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반도체 층에 금속 나노입자가 있으면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매질의 전기적 특성이 전도성 매질과 비전도성 매질로 상호 간에 변화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LSPR 상태가 변화되어 겉보기 빛깔이 변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투과율 가변층의 투명 반도체 물질 내에 분산된 상기 금속 나노입자는 Au, Ag, Cu, Al, Pt, Pd, Ni, Co, Fe, Mn, Cr, Mo, W, V, Ta, Nb, Hf, Zr, Ti, Zn, In, Sn, Sb 및 Bi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금속 또는 2종 이상의 금속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그 중에서도 Au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투명 금속산화물 반도체의 전도대 최저점 (conduction band minimum, CBM)은 보통 -4.1eV ~ -4.4eV 정도이고 금의 일함수는 -5.1eV이다. 반도체가 비전도체 상태일 때 이 두 에너지의 차이는 약 0.7 ~ 1.0 eV 정도로 상온에서 자유전자가 극복하기 어려울 정도의 에너지 장벽이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일 수 있다. 또한, 산소와 만났을 때 금은 은과 동 보다 산화가 어렵기 때문에 안정적일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h)는 본 발명에 따른 광 투과율 가변 소자의 다양한 단면 구조 중에서 1회의 패터닝 공정에 의해 동시에 형성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구비하는 이른바 '한면형' 소자들의 단면도이다.
도 2(a)에 단면을 도시한 한면형 소자는, 유리, PMMA, PC, PET 등 투명 소재로 이루어진 기판(10) 상에 투명전극을 패터닝해 투명전극인 제1 전극(21) 및 투명전극인 제2 전극(22)을 형성하고, 이어서, 상기 절연층에 해당하는 절연 패턴(30)을 형성한 후, 광 투과율 가변층(40) 및 절연막(50)을 순차적으로 형성해 얻어진다.
도 2(b)에 단면을 도시한 소자는, 도 2(a)에 도시한 소자와 비교해 광 투과율 가변층(40)과 제1 전극(21) 사이에 개재(介在)된 투명 반도체층(60)을 더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도 2(c)에 단면을 도시한 소자는, 도 2(a)에 도시한 소자와 비교해 기판(10)을 최하부로 보았을 때, 전압이 인가되는 제2 전극(22)이 광 투과율 가변층(40) 보다 상부에 위치한다.
도 2(d)에 단면을 도시한 소자는, 도 2(b)에 도시한 소자와 비교해 광 투과율 가변층(40)과 제1 전극(21) 사이에 개재(介在)된 투명 반도체층(60)을 더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도 2(e) 내지 도 2(h)에 단면을 도시한 소자는 각각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한 소자와 비교해 전극으로서 반사전극인 제1 전극(23) 반사전극인 제2 전극(24)을 구비한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에 따른 광 투과율 가변 소자의 다양한 단면 구조 중에서 각각 별도의 패터닝 공정에 의해 형성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구비하는 이른바 '양면형'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3(a)에 단면을 도시한 양면형 소자는, 유리, PMMA, PC, PET 등 투명 소재로 이루어진 기판(10) 상에 투명전극을 패터닝해 투명전극인 제2 전극(22)을 형성하고, 이어서, 상기 절연층에 해당하는 절연 패턴(30)을 형성한 후, 광 투과율 가변층(40) 및 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투명전극인 제1 전극(21)을 형성하고, 마지막으로 절연막(50)을 형성해 얻어진다.
도 3(b)에 단면을 도시한 소자는, 도 3(a)에 도시한 소자와 비교해 투명전극인 제1 전극(21)을 형성한 후에 광 투과율 가변층(40)을 형성해 얻어진다는 점에서만 상이하다.
또한, 도 3(c)에 단면을 도시한 소자는, 도 3(b)에 도시한 소자와 비교해 기판(10)을 최하부로 보았을 때, 전압이 인가되는 제2 전극(22)이 광 투과율 가변층(40) 보다 상부에 위치한다.
도 3(d) 내지 도 3(f)에 단면을 도시한 소자는 각각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한 소자와 비교해 제2 전극으로서 반사전극인 제2 전극(24)을 구비한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광 투과율 가변 소자의 다양한 단면 구조 중에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이 투명전극으로 이루어질 경우 소자 구조에 포함될 수 있는 하부 코팅층 및/또는 반사막이 구비된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4(a)에 단면을 도시한 소자는 상기 도 2(a)에 도시한 소자와 비교해 제1 전극(21) 및 제2 전극(22)이 포함된 전극층과 기판(10) 사이에 개재(介在)된 하부 코팅층(70)을 더 포함하는 투과형 소자이다.
또한, 도 4(b)에 단면을 도시한 소자는 상기 도 4(a)에 도시한 소자와 비교해 절연막(50) 상에 거울 반사가 가능한 금속 등으로 이루어진 반사막(80)을 더 포함함으로써 반사전극을 포함하지 않는 상부 반사형 소자가 된다.
또한, 도 4(c)에 단면을 도시한 소자는 상기 도 4(a)에 도시한 소자와 비교해 하부 코팅층(70) 상에 반사막(80)을 더 포함함으로써 반사전극을 포함하지 않는 하부 반사형 소자가 된다.
본원 도면에는 미도시했지만, 상기 도 2(c)에 도시한 소자도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이 투명전극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상기 하부 코팅층(70) 또는 하부 코팅층(70) 및 반사막(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 투과율 가변 소자는 상기와 같이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광 투과율 가변 소자는, 전극/절연층/금속 나노입자 함유 투명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광 투과율 가변 적층 구조의 양단에 전압을 인가해 속박된 표면 플라즈몬 공진(LSPR) 상태 변화를 유도함으로써, 상기 금속 나노입자 함유 투명 반도체층의 광투과율 및 색상을 자유로이 가변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기존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필터 뿐만 아니라, 스마트 윈도우, 스마트 안경 등 투명한 정보표시 제품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10: 기판
21: 제1 전극(투명 전극)
22: 제2 전극(투명 전극)
23: 제1 전극(반사 전극)
24: 제2 전극(반사 전극)
30: 절연 패턴
40: 광 투과율 가변층
50: 절연막
60: 투명 반도체층
70: 하부 코팅층
80: 반사막

Claims (11)

  1. 광 투과율 가변 구조를 포함하는 광 투과율 가변 소자로서,
    상기 광 투과율 가변 구조는,
    제1 전극;
    금속 나노입자가 분산된 투명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광 투과율 가변층;
    제2 전극; 및
    상기 광 투과율 가변층과 제2 전극 사이에 개재(介在)된 절연층;을 포함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투과율 가변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반도체 물질은 Zn, In 및 Sn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산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투과율 가변 소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반도체 물질은 Si, Ge, Al 및 Ga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원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투과율 가변 소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나노입자는 Au, Ag, Cu, Al, Pt, Pd, Ni, Co, Fe, Mn, Cr, Mo, W, V, Ta, Nb, Hf, Zr, Ti, Zn, In, Sn, Sb 및 Bi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금속 또는 2종 이상의 금속의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투과율 가변 소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은 투명전극 또는 반사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투과율 가변 소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투과율 가변 적층 구조에 전압을 인가해 상기 광 투과율 가변층에 포함된 투명 반도체 물질의 도전성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금속 나노입자의 속박된 표면 플라즈몬 공진(localized surface plasmon resonance, LSPR) 상태를 변화시켜 상기 광 투과율 가변층의 광 투과율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투과율 가변 소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투과율 가변층과 제1 전극 사이에 개재(介在)된 투명 반도체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투과율 가변 소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투과율 가변 구조의 일면에 기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은 투명전극이고,
    상기 광 투과율 가변 구조 및 상기 기판 사이에 개재(介在)된 하부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투과율 가변 소자.
  9. 제8항에 있어서,
    반사막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반사막은 상기 광 투과율 가변 구조의 타면에 형성되거나 상기 광 투과율 가변 구조와 상기 하부 코팅층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투과율 가변 소자.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 투과율 가변 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필터.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 투과율 가변 소자를 포함하는 스마트 윈도우.
KR1020180151130A 2018-11-29 2018-11-29 광 투과율 가변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필터 및 스마트 윈도우 KR102129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130A KR102129945B1 (ko) 2018-11-29 2018-11-29 광 투과율 가변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필터 및 스마트 윈도우
PCT/KR2019/015635 WO2020111608A1 (ko) 2018-11-29 2019-11-15 광 투과율 가변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필터 및 스마트 윈도우
EP19891556.3A EP3889654A4 (en) 2018-11-29 2019-11-15 ELEMENT WITH VARIABLE TRANSMISSION AND COLOR FILTER AND INTELLIGENT FIXER FOR DISPLAY DEVICE THEREFORE
US17/297,069 US11927778B2 (en) 2018-11-29 2019-11-15 Variable light transmittance element, and color filter and smart window for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CN201980077406.0A CN113167949A (zh) 2018-11-29 2019-11-15 透光率可变元件及包括该元件的显示装置用滤色器及智能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130A KR102129945B1 (ko) 2018-11-29 2018-11-29 광 투과율 가변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필터 및 스마트 윈도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706A true KR20200064706A (ko) 2020-06-08
KR102129945B1 KR102129945B1 (ko) 2020-07-03

Family

ID=70852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1130A KR102129945B1 (ko) 2018-11-29 2018-11-29 광 투과율 가변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필터 및 스마트 윈도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927778B2 (ko)
EP (1) EP3889654A4 (ko)
KR (1) KR102129945B1 (ko)
CN (1) CN113167949A (ko)
WO (1) WO20201116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18858A (zh) * 2022-06-24 2022-09-2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图像传感器、图像采集方法、装置、电子设备及储存介质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07538A1 (en) * 2003-06-13 2007-01-11 Masayuki Ono Light-emitting device,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display
JP2007079532A (ja) * 2005-03-25 2007-03-29 Fuji Xerox Co Ltd 表示媒体、それを用いた表示素子、及び表示方法
KR20130127101A (ko) 2012-05-14 2013-11-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컬러필터 제조용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의 제조 방법
JP2014163950A (ja) 2013-02-21 2014-09-08 Dainippon Printing Co Ltd カラーフィルタ形成基板と表示装置、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形成基板の作製方法
KR20150125051A (ko) * 2014-04-29 2015-11-09 (주)엘지하우시스 광 투과율 가변 필름 및 이를 포함한 표시 장치
KR20160117326A (ko) * 2015-03-30 2016-10-10 동진홀딩스 주식회사 스마트 윈도우
KR20180003483A (ko) 2017-10-27 2018-01-09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표면 플라즈몬 효과를 이용한 광 검출기 소자, 및 상기 광 검출기 소자들의 배열을 포함하는 광 검출기 어레이
KR20180052372A (ko) 2016-11-10 2018-05-1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감광성 수지 조성물, 컬러필터 및 화상표시장치
KR101891208B1 (ko) * 2009-05-29 2018-08-24 오스람 오엘이디 게엠베하 유기 발광 다이오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9669A (ja) * 2003-03-14 2004-10-07 Sharp Corp 表示システム
KR20080002257A (ko) * 2006-06-30 2008-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면광원 유닛을 구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이를 포함한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8339543B2 (en) * 2009-11-06 2012-12-25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Plasmonic device tuned using elastic and refractive modulation mechanisms
US9372283B2 (en) * 2009-11-13 2016-06-21 Babak NIKOOBAKHT Nanoengineered devices based on electro-optical modulation of the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plasmonic nanoparticles
KR101313654B1 (ko) * 2009-12-18 2013-10-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면 플라즈몬을 이용한 컬러필터와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517995B1 (ko) * 2013-03-29 2015-05-0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래핀에 의하여 광증폭된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JP6226606B2 (ja) * 2013-07-23 2017-11-0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アレイ、固体撮像素子、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07538A1 (en) * 2003-06-13 2007-01-11 Masayuki Ono Light-emitting device,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display
JP2007079532A (ja) * 2005-03-25 2007-03-29 Fuji Xerox Co Ltd 表示媒体、それを用いた表示素子、及び表示方法
KR101891208B1 (ko) * 2009-05-29 2018-08-24 오스람 오엘이디 게엠베하 유기 발광 다이오드
KR20130127101A (ko) 2012-05-14 2013-11-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컬러필터 제조용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의 제조 방법
JP2014163950A (ja) 2013-02-21 2014-09-08 Dainippon Printing Co Ltd カラーフィルタ形成基板と表示装置、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形成基板の作製方法
KR20150125051A (ko) * 2014-04-29 2015-11-09 (주)엘지하우시스 광 투과율 가변 필름 및 이를 포함한 표시 장치
KR20160117326A (ko) * 2015-03-30 2016-10-10 동진홀딩스 주식회사 스마트 윈도우
KR20180052372A (ko) 2016-11-10 2018-05-1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감광성 수지 조성물, 컬러필터 및 화상표시장치
KR20180003483A (ko) 2017-10-27 2018-01-09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표면 플라즈몬 효과를 이용한 광 검출기 소자, 및 상기 광 검출기 소자들의 배열을 포함하는 광 검출기 어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26606A1 (en) 2022-01-27
EP3889654A1 (en) 2021-10-06
CN113167949A (zh) 2021-07-23
EP3889654A4 (en) 2022-01-19
WO2020111608A1 (ko) 2020-06-04
US11927778B2 (en) 2024-03-12
KR102129945B1 (ko) 2020-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9254B2 (en) Method for fabricating color filter using surface plasmon and method for fabricat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330904B2 (en) Color filter using surface plasmo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N102103223B (zh) 使用表面等离激元的滤色器、液晶显示器及其制造方法
US9063353B2 (en) Air stable, color tunable plasmonic structures for ultraviolet (UV) and visible wavelength applications
WO2015087988A1 (ja) 電気光学素子
US8502243B2 (en) Display substrat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display substrate
Han et al. Highly conductive and flexible color filter electrode using multilayer film structure
Yang et al. Tunable reflecting terahertz filter based on chirped metamaterial structure
Aalizadeh et al. Toward electrically tunable, lithography-free, ultra-thin color filters covering the whole visible spectrum
US20080198440A1 (en) Active reflective polarizer and magnetic display panel comprising the same
KR102129945B1 (ko) 광 투과율 가변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필터 및 스마트 윈도우
Ferrera et al. Ultra-fast transient plasmonics using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Cselyuszka et al. Novel dual-band band-pass filters based on surface plasmon polariton-like propagation induced by structural dispersion of substrate integrated waveguide
Wang et al. Tunable graphene-based mid-infrared plasmonic multispectral and narrow band-stop filter
Chi et al. A broadband enhanced plasmonic modulator based on double-layer graphene at mid-infrared wavelength
Moon et al. Plasmonic chromatic electrode with low resistivity
KR20120133522A (ko) 칼라를 제어하는 광학 윈도우 및 그 제조 방법
Zhang et al. An electrically tunable plasmonic optical modulator with high modulation depth based on graphene-wrapped silver nanowire
Liao et al. Ultra-compact graphene plasmonic filter integrated in a waveguide
CN111954846B (zh) 透光元件
WO2014152201A1 (en) Display device
CN110955093A (zh)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KR20090053612A (ko)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8094317B1 (en) Plasmonic router
Sun et al. A novel method for PIT effects based on plasmonic decoup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