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4237A -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operation control system - Google Patents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operation control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4237A
KR20200064237A KR1020180149598A KR20180149598A KR20200064237A KR 20200064237 A KR20200064237 A KR 20200064237A KR 1020180149598 A KR1020180149598 A KR 1020180149598A KR 20180149598 A KR20180149598 A KR 20180149598A KR 20200064237 A KR20200064237 A KR 20200064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ype
module
sewage treatment
treatment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95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예진
김민수
조영대
최명원
이상원
김효수
Original Assignee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엔바이론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엔바이론소프트 filed Critical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49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4237A/en
Publication of KR20200064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23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8Chemical Oxygen Demand [COD]; Biological Oxygen Demand [BO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10Solids, e.g. total solids [TS], total suspended solids [TSS] or volatile solids [V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16Total nitrogen (tkN-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2Water filtr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wage disposal plant operation control system. The sewage disposal plant operation control system comprises: an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including a first database unit and a second database; a type determination module; an operation condition calling module; a simulation module; an operation condition transmission module; a terminal module; and a control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on conditions of a sewage disposal plant, which are suitable for the type of influent sewage and which can satisfy the effluent quality standards, can be derived.

Description

하수처리장 운전 제어 시스템{A wastewater treatment plant operation control system}A wastewater treatment plant operation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 운전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처리장에 유입되는 유입하수의 유형을 분류하고, 분류된 유입하수의 유형에 따라 적합한 하수처리장을 운전하기 위한 최적의 운전 조건을 도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하수처리장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는 하수처리장 운전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wage treatment plant operation control system, more specifically to classify the type of influent sewage entering the sewage treatment plant, and derive optimal operating conditions for operating a suitable sewage treatment plant according to the classified inflow sewage type. Therefore, it relates to a sewage treatment plant operation control system capable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sewage treatment plant based on this.

하수처리장의 안정적인 유출수질 확보와 경제적인 하수처리장 운전을 위해서는 하수처리장에 유입되는 유입 하수와 상기 하수처리장에서 배출되는 유출수에 대한 각종 정보의 취득이 필요하다.In order to secure a stable effluent quality of the sewage treatment plant and to operate an economical sewage treatment plant, it is necessary to acquire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inflow sewage flowing into the sewage treatment plant and the effluent discharged from the sewage treatment plant.

특히, 상기 유입 하수와 관련된 정보는 하수처리장의 운전 조건을 결정하기 위해 중요한 인자로써 작용함에 따라, 하수처리장에서의 처리효율 악화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유입 하수의 변화를 감지하여 유동적인 하수처리장의 운전 조건 확보가 필요하다.In particular, as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flow sewage acts as an important factor for determining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sewage treatment plant, in order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treatment efficiency in the sewage treatment plant, the change of the inflow sewage is sensed and the fluidity of the sewage treatment plant. It is necessary to secure driving conditions.

이에, 상술한 하수처리장의 운전 조건 확보를 진행하면서, 상기 하수처리장의 처리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 지속적인 진단 및 사전 예방을 진행함과 동시에, 전문가제어 시스템, 수학적 모델 또는 인공 신경망 모델 등을 활용함으로써, 처리 성능의 예측을 진행하고, 여기에 제어계측 기술을 적용하여 상기 하수처리장의 최적 운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Thus, while securing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above-described sewage treatment plant, by continuously conducting diagnosis and prevention in order to optimize the treatment performance of the sewage treatment plant, and utilizing an expert control system, a mathematical model, or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A study in which the prediction of treatment performance is carried out and control measurement technology is applied thereto to maintain the optimum operation state of the sewage treatment plant is continuously being conducted.

그러나, 상술한 기술들이 실제 하수처리장에 적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하수처리장은 운전자의 현장 경험 지식에 따른 노하수에 의존하여 관리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하수처리장에 유입되는 유입하수의 수질과는 무관하게 법적 방류수질 기준을 초과하여 방류할 수 없음에 따라, 목표로 하는 유출수의 유출수질 농도만을 고려하여 하수처리장의 운전조건을 조절하는 바, 실질적으로 유입하수와 관련된 정보는 큰 고려사항이 되지 못하여, 보다 유동적인 운전 조건의 확보가 힘든 실정이다.However, despite the fact that the above-described techniques have been applied to an actual sewage treatment plant, the sewage treatment plant is still managed depending on the sewage according to the operator's field experience knowledge, and is not related to the quality of the influent sewage flowing into the sewage treatment plant. Therefore, as it cannot be discharged in excess of the legal discharge water quality standards,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sewage treatment plant ar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ffluent quality concentration of the target effluent. However, it is difficult to secure more flexible operating conditions.

또한, 최근 빅데이터를 이용하면서, 상기 빅데이터로부터 하수처리장의 운전 제어에 유용한 운전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여 하수처리장의 운전 제어를 지원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나, 해당 기술의 경우, 하수처리장에 예측 모델을 적용하여 하수처리 공정 상태를 진단하고, 방류수질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의 수를 모두 고려한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운전조건을 추출하는 방식임에 따라, 현장 운전자가 요구하는 특정 운전 조건을 선택적으로 제공받지 못할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운전 조건이 추출되더라도 실제 하수처리장에 적용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여전히 존재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extract driving information usefu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sewage treatment plant from the big data while using big data,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echnology capable of supporting operation control of a sewage treatment plant by applying a data mining technique is currently in progress. However, in the case of the relevant technology, the operating conditions are extracted through scenario analysis considering the number of cases that satisfy the discharge water quality criteria by diagnosing the condition of the sewage treatment process by applying a predictive model to the sewage treatment plant. Since there may be a situation in which a specific driving condition required by the driver may not be selectively provided, there is still a problem that a situation that cannot be applied to an actual sewage treatment plant may occur even if the driving condition is extract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997526호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99752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432437호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43243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767368호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76736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유입 하수의 유형 기준에 따라 유입 하수의 유형별 분류를 진행할 수 있도록 구축되어, 유입 하수의 유형에 적합하면서, 방류수질기준을 충족할 수 있는 하수처리장의 운전조건을 도출할 수 있도록 구축됨과 동시에, 사용자가 원하는 최적 운전 조건 정보를 제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사용성을 보유한 하수처리장 운전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s constructed to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 of inflow sewage according to the type standard of inflow sewage, and is suitable for the type of inflow sewage, and discharge quality standards It is constructed to derive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sewage treatment plant that can meet the requirements, and at the same time, by allowing the user to propose the optimum operating condition information desired, the purpose of providing a sewage treatment plant operation control system with improved usability. have.

본 발명의 하수처리장 운전 제어 시스템은 하수처리장에 유입되는 유입 하수의 수질에 따른 유형을 분류하여 하수처리장의 운전조건을 확보하여, 확보된 운전조건을 기준으로 하수처리장의 운전 제어를 진행하는 하수처리장 운전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하수처리장에 유입되는 유입 하수의 수질 정보가 획득되도록 마련되는 제 1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유입 하수의 수질 정보 획득 시의 하수처리장의 운전조건 기록을 포함하는 운전 정보가 획득되도록 마련되는 제 2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정보 획득 모듈과, 상기 정보 획득 모듈과 연동되어 수질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수질 정보에 대한 유형 분류를 위한 유입 하수의 유형 기준을 생성하고, 상기 유형 기준에 따라 분류된 유입 하수의 유형을 포함하는 유형 확정 정보를 생성하는 유형 확정 모듈과, 상기 정보 획득 모듈과 연동되어, 상기 정보 획득모듈로부터 운전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유형 확정 모듈과 연동되어 상기 유형 확정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운전 정보와 유형 확정 정보간의 대비를 통해, 복수개의 상기 운전 정보가 통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 조건 후보군 정보를 생성하도록 마련되는 운전 조건 호출 모듈과, 상기 운전 조건 호출 모듈과 연동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 조건 후보군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운전 조건 후보군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어느 하나의 운전 조건 후보군 정보에서 최적 운전 조건 정보를 생성하는 시뮬레이션 모듈과, 상기 시뮬레이션 모듈과 연동되어 사용자에게 상기 최적 운전 조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는 운전 조건 전송 모듈과, 상기 운전 조건 전송 모듈과 연동되며, 상기 운전 조건 전송 모듈에서 상기 최적 운전 조건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최적 운전 조건 정보를 영상 또는 문자 신호 형태로 송출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단말 모듈 및상기 운전 조건 전송 모듈과 연동되며, 상기 최적 운전 조건 정보를 제공받아 하수처리장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wage treatment plant operation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lassifies types according to the water quality of the inflowing sewage flowing into the sewage treatment plant, secures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sewage treatment plant, and operates the sewage treatment plant based on the secured operating conditions. In the operation control system,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a first database unit provided to obtain water quality information of an inflowing sewage flowing into a sewage treatment plant and operation conditions of a sewage treatment plant when acquiring water quality information of the inflowing sewage is obtained An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including a second database provided, interlocked with the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provided with water quality information, generates a type criterion of inflow sewage for type classification of the water quality information, and according to the type criterion A type determination module that generates type determin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classified type of inflow sewage, and the type determination information that is linked to the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receives driving information from the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and is linked to the type determination module The driving condition calling module is provided to generate at least one driving condition candidate group inform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the driving information is integrated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the driving information and the type determination information, and is linked to the driving condition calling module. Of the at least one driving condition candidate group information, a simulation module receiving any one driving condition candidate group information and generating optimal driving condition information from the one driving condition candidate group information, and a simulation module interworking with the simulation module to provide the optimal The driving condition transmitting module provided to provide the driving condition information is interlocked with the driving condition transmitting module, and receiving the optimal driving condition information from the driving condition transmitting module to convert the optimal driving condition information into a video or text signal form.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erminal module provided to be able to be transmitted and a control module that is interlocked with the operation condition transmission module and is provided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ewage treatment plant by receiving the optimum operation condition information.

또한, 상기 하수처리장 운전 제어 시스템은 상기 단말 모듈 및 시뮬레이션 모듈과 연동되며, 상기 최적 운전 조건 정보에 대한 적용 유무정보가 입력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적용 유무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시뮬레이션 모듈에서 다른 하나의 운전 조건 후보군 정보를 생성하도록 상기 시뮬레이션 모듈 측으로 후보군 재산출 신호를 제공하는 운전 조건 수정 입력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wage treatment plant operation control system is interlocked with the terminal module and the simulation module, and is provided so as to apply the presence/absence information for the optimum operation condition information, and when the presence/absence information is input, the simulation module is another on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riving condition correction input module for providing a candidate group recalculation signal to the simulation module side to generate the driving condition candidate group information of the.

그리고, 상기 정보 획득 모듈은 정보 입력부와, 상기 정보 입력부와 연동되는 제 1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정보 입력부와 연동되는 운전조건 기록부와, 상기 운전조건 기록부와 연동되는 제 2 데이터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includes an information input unit, a first database unit interlocked with the information input unit, a driving condition recording unit interlocked with the information input unit, and a second database unit interlocked with the driving condition recording unit. Is done.

덧붙여, 상기 정보 획득 모듈은 상기 수질 정보가 유입 하수의 유입유량,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BOD),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 부유물질량(SS), 총질소(TN), 총인(TP)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the water quality information is selected from the influent flow rate of the inflow sewage,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chemical oxygen demand (COD), suspended matter amount (SS), total nitrogen (TN), total phosphorus (TP)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ny one or more.

또한, 상기 유형 확정 모듈은 상기 유형 기준에 따라 수질 정보의 유형 분류를 진행하여 제 1 유형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 1 유형 정보 생성 이후의 상기 하수처리장에 유입되는 유입 하수의 수질 정보에 대해, 상기 유형 기준에 따라 유형 분류를 진행하여 제 2 유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유형 정보와 제 2 유형 정보를 기반으로 유형 확정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ype determination module proceeds to classify the type of water qualit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ype criterion to generate first type information, and for the water quality information of the inflow sewage flowing into the sewage treatment plant after the first type information gener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ype classific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type criteria to generate second type information, and type determin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based on the first type information and the second type information.

아울러, 상기 유형 확정 모듈은 상기 유형 기준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유형 기준을 기반으로 상기 유형 분류를 진행하여 제 1 유형 정보를 생성하면서, 상기 제 1 유형 정보 생성 이후에 취득되는 수질 정보에 대해, 상기 유형 기준에 따라 유형 분류를 진행하여 제 2 유형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유형 정보와 제 2 유형 정보를 기반으로 유형 확정 정보를 생성하는 유입하수 유형 확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ype determination module generates the type criterion and proceeds to classify the type based on the generated type criterion, while generating first type information, for water quality information acquired after the first type information genera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influent sewage type determination unit to generate the second type information by performing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type criteria, and the type determin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first type information and the second type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유형 확정 모듈은, 상기 유형 확정 정보의 생성 시, 상기 제 1 유형 정보와 제 2 유형 정보를 기반으로 하면서, 자기조직화 지도를 통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ype determination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generated through a self-organizing map, based on the first type information and the second type information, when the type determin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또한, 상기 운전 조건 호출 모듈은 상기 유형 확정 모듈과 연동되면서, 상기 정보 획득 모듈의 제 2 데이터 베이스와 연동되며, 상기 제 2 데이터 베이스에서 운전 정보를 제공받아 복수개의 상기 운전 정보가 통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 조건 후보군 정보를 생성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riving condition calling module is interlocked with the type determination module, is interlocked with the second database of the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and receives at least one driving information from the second database, where at least one driving information is integra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generate the above-described driving condition candidate group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시뮬레이션 모듈은 상기 운전 조건 호출 모듈과 연동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 조건 후보군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운전 조건 후보군 정보에 의해 하수처리장이 운전되었을 때의 유출수 수질을 예측하기 위한 예측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마련되는 시뮬레이션 수행부와,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부를 통해 생성된 예측 정보의 수질 기준 만족 유무를 판단하기 위해 구비되는 판단부와,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부와 상기 판단부와 연동되되, 상기 판단부에서 상기 예측 정보가 수질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부 측으로 다른 하나의 운전 조건 후보를 제공받아 예측 정보를 재생성하며, 상기 예측 정보가 수질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예측 정보를 기반으로 최적 운전 조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imulation module is linked with the driving condition calling module, receives at least one driving condition candidate group information, and generates prediction information for predicting effluent water quality when the sewage treatment plant is operated by the driving condition candidate group information The simulation execution unit provided to perform the operation, and the determination unit provid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quality information of the prediction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simulation execution unit is satisfied, is interlocked with the simulation execution unit and the determination uni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diction information does not satisfy the water quality criterion, the simulation execution unit receives another candidate for the driving condition, and regenerates the prediction inform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diction information satisfies the water quality criterion, the prediction information It is characterized by generating the optimum operating conditions based on.

마지막으로, 상기 단말 모듈은 상기 최적 운전 조건 정보가 영상 또는 문자 신호 형태로 제공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inally, the terminal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so that the optimal driving condition information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video or text signal.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의하면, 본 발명은 유입 하수와 관련된 정보인 수질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수질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유형 확정 모듈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최적 운전 조건 정보를 제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obtains water quality information that is information related to inflow sewage, and enables the user to propose optimum driving condition information desired by the type determination module based on the water quality information. , It can provide an effect that can further improve the usability.

아울러, 유출수의 유출수질을 고려하여 하수처리장의 운전조건을 조절함과 동시에, 실질적으로 유입 하수와 관련된 상기 수질 정보를 운전 조건 정보 취득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정확도 및 적합도를 보유한 운전 조건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by controlling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sewage treatment plant in consideration of the effluent quality of the effluent,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water quality information substantially related to the inflow sewage to obtain the operating condition information, thereby operating information with improved accuracy and suitability. It can provide an effect that can be obtained.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하수처리장 운전 제어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식화한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하수처리장 운전 제어 시스템의 정보 획득 모듈을 도식화한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하수처리장 운전 제어 시스템의 유형 확정 모듈을 도식화한 블록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하수처리장 운전 제어 시스템의 운전 조건 호출 모듈을 도식화한 블록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하수처리장 운전 제어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모듈을 도식화한 블록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하수처리장 운전 제어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형 확정 모듈에서 자기 조직화 지도를 통해 생성된 유형 확정 정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illustrat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ose described in those drawing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sewage treatment plant operation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of the sewage treatment plant operation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ype determination module of a sewage treatment plant operation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condition calling module of a sewage treatment plant operation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imulation module of the sewage treatment plant operation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ype determination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a self-organizing map in a type determin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sewage treatment plant operation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described below does not unduly limit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and the entire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cannot be said to be essential as a solu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descriptions that ar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be omitted, and descriptions of the omitted components and functions may be sufficiently referred to within a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수처리장 운전 제어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the sewage treatment plant operatio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은 본 발명의 하수처리장 운전 제어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식화한 블록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의 하수처리장 운전 제어 시스템의 정보 획득 모듈을 도식화한 블록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하수처리장 운전 제어 시스템의 유형 확정 모듈을 도식화한 블록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하수처리장 운전 제어 시스템의 운전 조건 호출 모듈을 도식화한 블록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하수처리장 운전 제어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모듈을 도식화한 블록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하수처리장 운전 제어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형 확정 모듈에서 자기 조직화 지도를 통해 생성된 유형 확정 정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sewage treatment plant operation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of a sewage treatment plant operation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ewage treat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type determination module of the treatment plant operation control system, and FIG.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operation condition calling module of the sewage treatment plant operation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of the sewage treatment plant operation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imulation module, and FIG.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ype determination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a self-organization map in a type determin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sewage treatment plant operation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수처리장 운전 제어 시스템은 정보 획득 모듈(100), 유형 확정 모듈(200), 운전 조건 호출 모듈(300), 시뮬레이션 모듈(400), 운전 조건 전송 모듈(500), 단말 모듈(600) 및 제어 모듈(7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irst, as shown in FIG. 1, the operation control system of the sewage treatment pla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00, a type determination module 200, an operation condition calling module 300, a simulation module 400, and an operation condition transmission module. (500),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erminal module 600 and the control module 700.

먼저, 상기 정보 획득 모듈(100)은 하수처리장에 유입되는 유입 하수의 수질 정보와, 상기 유입 하수의 수질 정보 획득시의 하수처리장 운전 조건 기록을 포함하는 운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마련된다.First, the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00 is provided to obtain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water quality information of an inflowing sewage flowing into a sewage treatment plant and operating conditions of a sewage treatment plant when acquiring water quality information of the inflowing sewage.

특히, 상기 정보 획득 모듈(100)은 상기 수질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제 1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운전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 2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the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0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database unit for obtaining and storing the water quality information, and a second database unit for obtaining and stor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다음으로, 상기 유형 확정 모듈(200)은 수질 정보를 유형별로 분류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수질 정보에 대한 유형 분류를 진행하기 위한 기준인 유입 하수의 유형 기준을 생성하면서, 상기 정보 획득 모듈(100)과 연동되어 상기 수질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유형 기준에 따라 분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 하수의 유형 정보를 생성하며, 복수개의 상기 유형 정보를 기반으로 유형 확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Next, the type determination module 200 is provided to classify water quality information by type, and while generating the type criteria of inflow sewage, which is a criterion for performing type classification for the water quality information, the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 100) is provided in connection with the water quality information to generate at least one type of sewage type informatio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 criteria, and is provided to generate type determination information based on a plurality of the type information.

특히, 상기 유형 확정 모듈(200)은 자기조직화 지도를 통해 상기 유형 확정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3 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In particular, the type determination module 200 is characterized by generating the type determination information through a self-organization map,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FIG. 3 to be described later.

그리고, 상기 운전 조건 호출 모듈(300)은 상기 유형 확정 모듈과 연동되어 상기 유형 확정 정보를 제공받고, 동시에 상기 정보 획득 모듈의 제 2 데이터 베이스와 연동되어 복수개의 운전 정보를 제공받으며, 상기 유형 확정 정보를 기준으로 복수개의 운전 정보를 분류하여 통합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 조건 후보군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마련된다.In addition, the driving condition calling module 300 is provided with the type determination information in connection with the type determination module, and at the same time, a plurality of oper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in connection with the second database of the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and the type determination It is provided to generate at least one or more driving condition candidate group information by classifying and combining a plurality of driving inform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다음으로, 상기 시뮬레이션 모듈(400)은 상기 하수처리장으로부터 유출되는 유출수가 방류수질기준을 만족할 수 있도록 상기 하수처리장의 운전에 요구되는 최적의 운전 조건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다. Next, the simulation module 400 is provided to provide optimal operating conditions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sewage treatment plant so that the effluent discharged from the sewage treatment plant may satisfy the discharge water quality standard.

특히, 상기 시뮬레이션 모듈(400)은 상기 운전 조건 호출 모듈(300)과 연동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 조건 후보군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운전 조건 후보군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어느 하나의 운전 조건 후보군 정보에서 최적 운전 조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the simulation module 400 is interlocked with the driving condition calling module 300 to receive any one of the driving condition candidate group information among at least one driving condition candidate group information, and the one of the driving condition candidate group inform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generates optimal driving condition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운전 조건 전송 모듈(500)은 상기 시뮬레이션 모듈(400)과 연동되어 사용자에게 상기 최적 운전 조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다.In addition, the driving condition transmission module 500 is provided in conjunction with the simulation module 400 to provide the user with the optimum driving condition information.

아울러, 상기 단말 모듈(600)은, 상기 하수처리장의 작업 담당자와 같은 사용자에게 제공되어 최적 운전 조건 정보를 사용자에게 송출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운전 조건 전송 모듈(500)과 연동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운전 조건 전송 모듈(500)에서 상기 최적 운전 조건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최적 운전 조건 정보를 영상 또는 문자 신호 형태로 송출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erminal module 600 is provided to a user, such as a person in charge of work in the sewage treatment plant, and is provided to transmit optimal operating condition information to the user. More specifically, it interlocks with the operating condition transmitting module 50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so as to be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transmit the optimum driving condition information in the form of an image or text signal by receiving the optimum driving condition information from the driving condition transmitting module 500.

또한, 상기 제어 모듈(700)은 상기 하수처리장의 운전을 제어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운전 조건 전송 모듈과 연동되며, 상기 최적 운전 조건 정보를 제공받아 하수처리장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700 is provid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ewage treatment plant, and more specifically, it is linked to the operation condition transmission module, and receives the optimum operation condition information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ewage treatment plant. It is equipped to generate a signal.

덧붙여, 본 발명의 하수처리장 운전 제어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운전 조건의 수정 적용이 가능하도록 운전 조건 수정 입력 모듈(8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o improve reliability of the sewage treatment plant operation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peration condition modification input module 800 may be further provided to enable modification of operation conditions.

특히, 상기 운전 조건 수정 입력 모듈(800)은 상기 단말 모듈(600) 및 시뮬레이션 모듈(400)과 연동되며, 상기 최적 운전 조건 정보에 대한 적용 유무정보가 입력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적용 유무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시뮬레이션 모듈(400)에서 다른 하나의 운전 조건 후보군 정보를 생성하도록 상기 시뮬레이션 모듈(400) 측으로 후보군 재산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Particularly, the operation condition modification input module 800 is interlocked with the terminal module 600 and the simulation module 400, and is provided so that application information for the optimum operation condition information is input and the application information is input. If possible, the simulation module 400 is provided so as to provide a candidate group recalculation signal to the simulation module 400 so as to generate information on the candidate group for another driving condition.

다음으로, 도 2 는 본 발명의 하수처리장 운전 제어 시스템의 정보 획득 모듈을 도식화한 블록도이며, 상기 도 2 를 참조하여 상기 정보 획득 모듈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Next, FIG.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of the sewage treatment plant operation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보 획득 모듈(100)은 정보 입력부(110)와, 상기 정보 입력부(110)와 연동되는 제 1 데이터베이스부(120)와, 상기 정보 입력부(110)와 연동되는 운전조건 기록부(130)와, 상기 운전조건 기록부와 연동되는 제 2 데이터 베이스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2, the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00 is interlocked with the information input unit 110, the first database unit 120 interlocked with the information input unit 110, and the information input unit 110.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riving condition recording unit 130 and a second database unit 140 interlocked with the driving condition recording unit.

여기서, 상기 정보 입력부(110)는 하수처리장에 유입되는 유입하수의 수질 정보가 입력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수질 정보는 유입 하수의 유입유량,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BOD),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 부유물질량(SS), 총질소(TN), 총인(TP)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information input unit 110 is provided so that water quality information of the inflowing sewage flowing into the sewage treatment plant can be input, and the water quality information includes inflowing flow of inflowing sewage,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and chemical oxygen demand ( COD), suspended matter amount (SS), total nitrogen (TN), total phosphorus (TP).

그리고, 상기 제 1 데이터베이스부(120)는 상기 정보 입력부(110)와 연동되어 상기 수질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시간별로 상기 수질 정보가 저장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In addition, the first database unit 120 is provided to store the water quality inform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information input unit 110, and is provided so that the water quality information can be stored by time.

그리고, 상기 운전조건 기록부(130)는 상기 하수처리장의 운전 당시의 운전 조건과 관련한 운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운전 정보 획득 시의 하수처리장에서 유출되는 유출수의 수질이 방류기준을 만족하였을 때의 운전 정보를 저장하는 제 2 데이터베이스(140)와 연동되도록 구비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condition recording unit 130 is provided to obtain operation information related to operation conditions at the time of operation of the sewage treatment plant, and the quality of the effluent discharged from the sewage treatment plant at the time of obtain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satisfies the discharge standard. It is provided to be interlocked with the second database 140 that stores driving information when it is done.

다음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하수처리장 운전 제어 시스템의 유형 확정 모듈을 도식화한 블록도이며,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유형 확정 모듈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Next, FIG.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type determination module of the sewage treatment plant operation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ype determination modul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형 확정 모듈(200)은 유입 하수 유형 형성부(210), 소속 유형 변화 확인부(220), 소속 유형 정의부(230) 및 유입하수 유형 결정부(2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type determination module 200 includes an inflow sewage type forming unit 210, a belonging type change checking unit 220, a belonging type definition unit 230, and an inflow sewage type determination unit 240 It includes.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유형 확정 모듈(200)은 정보 획득 모듈과 연동되어 수질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수질 정보에 대한 유형 분류를 위한 유입 하수의 유형 기준을 생성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유형 기준에 따라 분류된 유입 하수의 유형을 포함하는 유형 확정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비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type determining module 200 is provided to receive water quality information in connection with an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and is provided to generate a type criterion for inflow sewage for type classification of the water quality information. It is provided to generate type confirm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types of inflow sewage classified accordingly.

그리고, 상기 유입 하수 유형 형성부(210)는 상기 유형 기준에 따라 수질 정보의 유형 분류를 진행하여 제 1 유형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 1 유형 정보 생성 이후의 상기 하수처리장에 유입되는 유입 하수의 수질 정보에 대해, 상기 유형 기준에 따라 유형 분류를 진행하여 제 2 유형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마련되며, 상기 제 2 유형 정보 생성 이후에도 복수의 유형 정보가 더 추가될 수 있다.Then, the inflow sewage type forming unit 210 generates first type information by classifying the type of water qualit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ype criterion, and of the inflow sewage flowing into the sewage treatment plant after the first type information is generated. For water quality information, it is provided to generate second type information by performing typ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type criteria, and a plurality of type information may be further added after the second type information is generated.

특히, 상기 유형 확정 정보 생성시, 자기조직화 지도를 통해 생성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generating the type determination information, it may be generated through a self-organizing map.

또한, 상기 소속 유형 변화 확인부(220)는 상기 제 1 유형 정보와 제 2 유형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유형 정보와 제 2 유형 정보간의 변화 유무를 판단하여 유형 확정 정보를 생성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소속 유형 변화 확인부(220)에서의 변화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최종적으로 상기 유입하수 유형 결정부(240)에서 유형 확정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Further, the belonging type change checking unit 220 is provid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change between the first type information and the second type information based on the first type information and the second type information to generate type determination information As a result, when the change in the belonging type change confirmation unit 220 is not detected, the final determination type information is generated by the inflow sewage type determination unit 240.

한편, 상기 소속 유형 변화 확인부(220)에서의 상기 제 1 유형 정보와 제 2 유형 정보간의 변화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소속 유형 정의부(230)를 거친 이후, 최종적으로 상기 유입하수 유형 결정부(240)에서 유형 확정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change between the first type information and the second type information in the belonging type change confirmation unit 220 is not detected, after passing through the belonging type definition unit 230, the influent sewage type is finally determined The type determin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by the unit 240.

다음으로, 도 4 는 본 발명의 하수처리장 운전 제어 시스템의 운전 조건 호출 모듈을 도식화한 블록도이며, 도 4를 통해 상기 운전 조건 호출 모듈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Next, FIG.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operation condition calling module of the sewage treatment plant operation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peration condition calling modul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전 조건 호출 모듈(300)은 운전 조건 수집부(310), 운전 조건 분석부(320) 및 운전조건 후보 도출부(330)를 포함한다.As illustrated in FIG. 4, the driving condition call module 300 includes a driving condition collection unit 310, a driving condition analysis unit 320, and a driving condition candidate derivation unit 330.

특히, 상기 운전 조건 수집부(310)는 상기 정보 획득 모듈의 제 2 데이터 베이스와 연동되어 상기 제 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운전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마련되며, 상기 운전 조건 분석부(320)는 상기 운전 조건 수집부(310)로 수집된 운전 정보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며, 최종적으로 상기 운전조건 후보 도출부(330)에서 복수개의 상기 운전 정보가 통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 조건 후보군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In particular, the driving condition collection unit 310 is provided to collect driv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econd database in conjunction with the second database of the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and the driving condition analysis unit 320 is configured to drive the driving conditions. Analysis of the driving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collecting unit 310 is performed, and finally, at least one driving condition candidate group inform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the driving information is integrated is generated by the driving condition candidate deriving unit 330.

아울러, 상기 운전 조건 분석부(320)에서 상기 운전 정보에 대한 분석 진행 시, K-means 군집분석을 통해 상기 운전 정보에 대한 분석을 진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riving condition analysis unit 320 analyzes the driving information, the driving information may be analyzed through a K-means cluster analysis.

다음으로, 도 5 는 본 발명의 하수처리장 운전 제어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모듈을 도식화한 블록도이며, 상기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시뮬레이션 모듈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Next, FIG. 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imulation module of the sewage treatment plant operation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imulation modul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뮬레이션 모듈(400)은 시뮬레이션 수행부(410), 판단부(420) 및 운전조건 후보 변경부(430)를 포함하며, 먼저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부(410)는 상술한 운전 조건 호출 모듈의 운전조건 후보 도출부와 연동되어 상기 운전조건 후보 도출부에서 생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 조건 후보군 정보중 어느 하나의 운전 조건 후보군 정보를 제공받게 된다.As shown in FIG. 5, the simulation module 400 includes a simulation execution unit 410, a determination unit 420, and a driving condition candidate change unit 430, and the simulation execution unit 410 is described above. One driving condition candidate group information among at least one driving condition candidate group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driving condition candidate derivation unit is provided in conjunction with a driving condition candidate derivation unit of a driving condition calling module.

이후, 상기 운전 조건 후보군 정보에 의해 하수처리장이 운전되었을 때의 유출수 수질을 예측하기 위한 예측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Subsequently, prediction information for predicting effluent water quality when the sewage treatment plant is operated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ndition candidate group information.

그리고, 판단부(420)는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부를 통해 생성된 예측 정보의 수질 기준 만족 유무를 판단하기 위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unit 420 is provid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satisfaction of the water quality standard of the prediction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simulation execution unit.

아울러, 상기 운전조건 후보 변경부(430)는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부(410) 및 판단부(420)와 연동되되, 상기 판단부(420)에서 상기 예측 정보가 수질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부(410) 측에서 다른 하나의 운전 조건 후보를 제공받아 예측 정보를 재생성하며, 상기 예측 정보가 수질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예측 정보를 기반으로 최적 운전 조건을 생성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In addition, when the driving condition candidate changing unit 430 is interlocked with the simulation execution unit 410 and the determination unit 420, when the determination unit 420 determines that the prediction information does not satisfy the water quality standard, When the simulation execution unit 410 receives another candidate for the driving condition and regenerates the prediction information,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diction information satisfies the water quality criterion, an optimal driving condition is generated based on the prediction information. It is prepared to be.

다음으로, 도 6 은 본 발명의 하수처리장 운전 제어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형 확정 모듈에서 자기 조직화 지도를 통해 생성된 유형 확정 정보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상기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하수처리장 운전 제어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Next, FIG.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ype determination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a self-organization map in a type determin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sewage treatment plant operation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eferring to FIG. 6, the sewage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mbodiment of the treatment plant operation control system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실시예][Example]

본 발명의 하수처리장 운전 제어 시스템이 적용되는 하수처리장의 처리공정은 무산소조와 호기조를 포함하는 전탈질소 단일 슬러지 공정인 MLE 공정이 사용되며, 상기 MLE 공정에서 획득되는 유입하수의 수질 정보는 유입 하수의 유입유량,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BOD),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 부유물질량(SS), 총질소(TN), 총인(TP)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The treatment process of the sewage treatment plant to which the operation control system of the sewage treatment pla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uses an MLE process, which is a single sludge process comprising anoxic and aerobic tanks, and the quality information of the influent sewage obtained in the MLE process is It includes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influent flow rate,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chemical oxygen demand (COD), suspended matter amount (SS), total nitrogen (TN), and total phosphorus (TP).

아울러, 유출수와 관련된 정보인 유출수질 정보는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BOD),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 부유물질량(SS), 총질소(TN), 총인(TP)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effluent quality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related to effluent, includes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chemical oxygen demand (COD), suspended matter amount (SS), total nitrogen (TN), and total phosphorus (TP). .

한편, 방류수질기준은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BOD)이 10mg/L 이하,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이 40mg/L 이하, 부유물질량(SS)이 10mg/L 이하, 총질소(TN)이 20mg/L 이하, 총인(TP)이 0.5mg/L이하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discharge water quality standards have a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of 10 mg/L or less, a chemical oxygen demand (COD) of 40 mg/L or less, a suspended solids amount (SS) of 10 mg/L or less, and total nitrogen (TN) of 20 mg/L. L or less, the total phosphorus (TP) is characterized in that less than 0.5mg / L.

그리고, 상기 하수처리장에서 획득 가능한 운전 정보는 상기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는 기체의 송풍량, 공정 진행시 발생되는 반송슬러지량, 내부반송슬러지량 및 잉여슬러지량과, 공정 진행 시 요구되는 응집제주입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information obtainable at the sewage treatment plant includes the amount of gas flowing into the sewage treatment plant, the amount of conveyed sludge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the amount of internal conveyed sludge and the amount of excess sludge, and the amount of coagulant injected during the process. It is characterized by.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수질 정보, 유출수질 정보 및 운전 정보 취득 후, 유형확정모듈에서 자기 조직화지도를 통한 유형 확정 정보(G)를 생성하게 되며, 상기 유형 확정 정보(G)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유형 정보(C1 내지 C4)를 포함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6, after obtaining the above-described water quality information, effluent quality information, and driving information, the type determination module generates type determination information G through a self-organization map, and the type determination information ( G) may include a plurality of type information (C1 to C4) as shown in FIG.

이후, 상기 유형 확정 정보를 통해, 상기 정보 획득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운전 정보와, 상기 유형 확정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유형 확정 정보를 기반으로 운전 조건 후보군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Thereafter, through the type determination information, driving condition candidate group information is generated based on driving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and type determin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type determination modul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입 하수와 관련된 정보인 수질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수질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유형 확정 모듈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최적 운전 조건 정보를 제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usability by acquiring water quality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related to inflow sewage, and by using the type determination module based on the water quality information, the user can propose optimum driving condition information desired by the user. It can provide the effect that can be made.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scription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omit the description, and descriptions of the omitted components and functions may be sufficiently referenc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상술한 각부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을 뿐, 필요에 따라 어느 한 구성 및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로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또는 더 세분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Descriptions of the components and functions of the above-described parts have been describ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if necessary, any one component and function may be integrated into other components, or may be implemented in more subdivision.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 또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한 결합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That i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at many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nfiguration or a coupling relationship for eac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something to do.

100 : 정보 획득 모듈
110 : 정보 입력부
120 : 제 1 데이터베이스부
130 : 운전 조건 기록부
140 : 제 2 데이터베이스부
200 : 유형 확정 모듈
210 : 유입 하수 유형 형성부
220 : 소속 유형 변화 확인부
230 : 소속 유형 정의부
240 : 유입 하수 유형 결정부
300 : 운전 조건 호출 모듈
310 : 운전 조건 수집부
320 : 운전 조건 분석부
330 : 운전 조건 후보 도출부
400 : 시뮬레이션 모듈
410 : 시뮬레이션 수행부
420 : 판단부
430 : 운전조건 후보 변경부
500 : 운전 조건 전송 모듈
600 : 단말 모듈
700 : 제어 모듈
800 : 운전 조건 수정 입력 모듈
G : 유형 확정 정보
C1 : 제 1 유형 정보
C2 : 제 2 유형 정보
C3 : 제 3 유형 정보
C4 : 제 4 유형 정보
100: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information input unit
120: first database unit
130: operating condition recording unit
140: second database unit
200: type determination module
210: inlet sewage type forming part
220: belonging type change confirmation unit
230: belonging type definition department
240: influent sewage type determination unit
300: operating condition call module
310: driving condition collection unit
320: operating condition analysis unit
330: driving condition candidate derivation unit
400: simulation module
410: simulation execution unit
420: judgment unit
430: driving condition candidate change unit
500: operation condition transmission module
600: terminal module
700: control module
800: Input module for modifying operating conditions
G: Type confirmation information
C1: first type information
C2: second type information
C3: third type information
C4: fourth type information

Claims (10)

하수처리장에 유입되는 유입 하수의 수질에 따른 유형을 분류하여 하수처리장의 운전조건을 확보하여, 확보된 운전조건을 기준으로 하수처리장의 운전 제어를 진행하는 하수처리장 운전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하수처리장에 유입되는 유입 하수의 수질 정보가 획득되도록 마련되는 제 1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유입 하수의 수질 정보 획득 시의 하수처리장의 운전조건 기록을 포함하는 운전 정보가 획득되도록 마련되는 제 2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정보 획득 모듈;
상기 정보 획득 모듈과 연동되어 수질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수질 정보에 대한 유형 분류를 위한 유입 하수의 유형 기준을 생성하고, 상기 유형 기준에 따라 분류된 유입 하수의 유형을 포함하는 유형 확정 정보를 생성하는 유형 확정 모듈;
상기 정보 획득 모듈과 연동되어, 상기 정보 획득모듈로부터 운전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유형 확정 모듈과 연동되어 상기 유형 확정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운전 정보와 유형 확정 정보간의 대비를 통해, 복수개의 상기 운전 정보가 통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 조건 후보군 정보를 생성하도록 마련되는 운전 조건 호출 모듈;
상기 운전 조건 호출 모듈과 연동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 조건 후보군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운전 조건 후보군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어느 하나의 운전 조건 후보군 정보에서 최적 운전 조건 정보를 생성하는 시뮬레이션 모듈;
상기 시뮬레이션 모듈과 연동되어 사용자에게 상기 최적 운전 조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는 운전 조건 전송 모듈;
상기 운전 조건 전송 모듈과 연동되며, 상기 운전 조건 전송 모듈에서 상기 최적 운전 조건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최적 운전 조건 정보를 영상 또는 문자 신호 형태로 송출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단말 모듈; 및
상기 운전 조건 전송 모듈과 연동되며, 상기 최적 운전 조건 정보를 제공받아 하수처리장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 운전 제어 시스템.
In the sewage treatment plant operation control system to classify the type according to the quality of the incoming sewage flowing into the sewage treatment plant to secure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sewage treatment plant, and to proceed with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sewage treatment plant based on the secured operating conditions,
A first database unit provided to obtain water quality information of inflowing sewage flowing into the sewage treatment plant, and a second database provided to obtain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recording of operating conditions of the sewage treatment plant when obtaining the water quality information of the inflowing sewage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comprising a;
In connection with the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water quality information is provided, and a type criterion for inflow sewage for type classification of the water quality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type determination information including a type of inflow sewag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 criterion is generated. Type determination module;
Interlocked with the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the driving information is provided from the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and the type determination module is interlocked with the type determination information to provide a plurality of the driving information through a comparison between the driving information and the type determination information A driving condition calling module provided to generate at least one integrated driving condition candidate group information;
A simulation module interworking with the driving condition calling module, receiving at least one driving condition candidate group information among at least one driving condition candidate group information, and generating optimal driving condition information from the driving condition candidate group information;
An operation condition transmission module provided in conjunction with the simulation module to provide the user with the optimum operation condition information;
A terminal module interlocked with the driving condition transmitting module, and configured to receive the optimum driving condition information from the driving condition transmitting module and transmit the optimal driving condition information in the form of an image or a text signal; And
And a control module which is interlocked with the operation condition transmission module and is provided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ewage treatment plant by receiving the optimum operation condition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처리장 운전 제어 시스템은,
상기 단말 모듈 및 시뮬레이션 모듈과 연동되며, 상기 최적 운전 조건 정보에 대한 적용 유무정보가 입력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적용 유무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시뮬레이션 모듈에서 다른 하나의 운전 조건 후보군 정보를 생성하도록 상기 시뮬레이션 모듈 측으로 후보군 재산출 신호를 제공하는 운전 조건 수정 입력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 운전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ewage treatment plant operation control system,
It is interlocked with the terminal module and the simulation module, and is provided so as to apply the presence/absence information for the optimum operation condition information, and when the presence/absence information is input, the simulation module generates another operation condition candidate group information. Sewage treatment plant operation control system further comprises a; operation module for modifying the driving condition providing a signal for recalculating the candidate group toward the simulation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획득 모듈은,
정보 입력부와, 상기 정보 입력부와 연동되는 제 1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정보 입력부와 연동되는 운전조건 기록부와, 상기 운전조건 기록부와 연동되는 제 2 데이터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처리장 운전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A sewage treatment plant operation control system comprising an information input unit, a first database unit interlocked with the information input unit, a driving condition recording unit interlocked with the information input unit, and a second database unit interlocked with the driving condition recording unit.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획득 모듈은,
상기 수질 정보가 유입 하수의 유입유량,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BOD),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 부유물질량(SS), 총질소(TN), 총인(TP)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처리장 운전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The water quality information includes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inlet flow rate of the inflow sewage,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chemical oxygen demand (COD), suspended matter amount (SS), total nitrogen (TN), total phosphorus (TP) Sewage treatment plant operation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b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형 확정 모듈은,
상기 유형 기준에 따라 수질 정보의 유형 분류를 진행하여 제 1 유형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 1 유형 정보 생성 이후의 상기 하수처리장에 유입되는 유입 하수의 수질 정보에 대해, 상기 유형 기준에 따라 유형 분류를 진행하여 제 2 유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유형 정보와 제 2 유형 정보를 기반으로 유형 확정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 운전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type determination module,
Type classification of water quality inform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type criteria to generate first type information, and for water quality information of inflowing sewage flowing into the sewage treatment plant after generation of the first type information, type classific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type criteria Proceeding to generate the second type information, and the sewage treatment system operation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the type determin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first type information and the second type informa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형 확정 모듈은,
상기 유형 기준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유형 기준을 기반으로 상기 유형 분류를 진행하여 제 1 유형 정보를 생성하면서, 상기 제 1 유형 정보 생성 이후에 취득되는 수질 정보에 대해, 상기 유형 기준에 따라 유형 분류를 진행하여 제 2 유형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유형 정보와 제 2 유형 정보를 기반으로 유형 확정 정보를 생성하는 유입하수 유형 확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 운전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type determination module,
The classification of the water quality information obtained after the generation of the first type information while generating the first type information while generating the first type information by generating the type reference and performing the type classification based on the generated type reference A sewage treatment system operation control system comprising: an inflow sewage type determination unit that generates second type information and generates type determin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first type information and the second type informa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형 확정 모듈은,
상기 유형 확정 정보의 생성 시, 상기 제 1 유형 정보와 제 2 유형 정보를 기반으로 하면서 자기조직화 지도를 통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 운전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type determination module,
When the type determin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a sewage treatment system operation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generated through a self-organizing map while being based on the first type information and the second type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조건 호출 모듈은,
상기 유형 확정 모듈과 연동되면서, 상기 정보 획득 모듈의 제 2 데이터 베이스와 연동되며, 상기 제 2 데이터 베이스에서 운전 정보를 제공받아 복수개의 상기 운전 정보가 통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 조건 후보군 정보를 생성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 운전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condition calling module,
While interlocking with the type determination module, interworking with the second database of the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receiving driving information from the second database to generate at least one driving condition candidate group inform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the driving information are integrated. Sewage treatment plant operation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 모듈은,
상기 운전 조건 호출 모듈과 연동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 조건 후보군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운전 조건 후보군 정보에 의해 하수처리장이 운전되었을 때의 유출수 수질을 예측하기 위한 예측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마련되는 시뮬레이션 수행부와,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부를 통해 생성된 예측 정보의 수질 기준 만족 유무를 판단하기 위해 구비되는 판단부와,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부와 상기 판단부와 연동되되, 상기 판단부에서 상기 예측 정보가 수질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부 측으로 다른 하나의 운전 조건 후보를 제공받아 예측 정보를 재생성하며, 상기 예측 정보가 수질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예측 정보를 기반으로 최적 운전 조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 운전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imulation module,
Simulated to be provided in connection with the driving condition calling module, receiving at least one driving condition candidate group information, and performing simulation provided to generate prediction information for predicting effluent water quality when the sewage treatment plant is operated by the driving condition candidate group information Wealth, a determination unit provid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prediction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simulation execution unit satisfies the water quality standard, is interlocked with the simulation execution unit and the determination unit, and the prediction information in th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e water quality standard.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ot satisfied, the simulation execution unit receives another candidate for the driving condition and regenerates the prediction inform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diction information satisfies the water quality standard, the optimum driving condition is based on the prediction information. Sewage treatment plant operation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모듈은,
상기 최적 운전 조건 정보가 영상 또는 문자 신호 형태로 제공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 운전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terminal module,
Sewage treatment plant operation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to provide the optimum operation condition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video or text signal.
KR1020180149598A 2018-11-28 2018-11-28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operation control system KR2020006423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598A KR20200064237A (en) 2018-11-28 2018-11-28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operation contro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598A KR20200064237A (en) 2018-11-28 2018-11-28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operation control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237A true KR20200064237A (en) 2020-06-08

Family

ID=71089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598A KR20200064237A (en) 2018-11-28 2018-11-28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operation control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4237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19294A (en) * 2021-01-14 2021-05-18 北京朗新明环保科技有限公司 Intelligent sewage collection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526B1 (en) 2008-03-11 2010-12-03 정병길 A automatic control system implementing measuring water quality for sewage treatment plants
KR101432437B1 (en) 2013-03-28 2014-08-2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aterquality information capable of diagnosis and prediction of watersystem waterquality state
KR101767368B1 (en) 2015-12-31 2017-08-14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Supporting method and system of sewage disposal for energy sav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526B1 (en) 2008-03-11 2010-12-03 정병길 A automatic control system implementing measuring water quality for sewage treatment plants
KR101432437B1 (en) 2013-03-28 2014-08-2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aterquality information capable of diagnosis and prediction of watersystem waterquality state
KR101767368B1 (en) 2015-12-31 2017-08-14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Supporting method and system of sewage disposal for energy sav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19294A (en) * 2021-01-14 2021-05-18 北京朗新明环保科技有限公司 Intelligent sewage collec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ongo et al. A systematic methodology for the robust quantification of energy efficiency at wastewater treatment plants featur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Davies Development of a national river bioassessment system (AUSRIVAS) in Australia
Soranno et al. Using landscape limnology to classify freshwater ecosystems for multi-ecosystem management and conservation
Borja et al. Bridging the gap between policy and science in assessing the health status of marine ecosystems
KR101987897B1 (en) A Process performance monitoring system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
Garrido-Baserba et al. Implementation of a knowledge-based methodology in a decision support system for the design of suitable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flow diagrams
Molinos-Senante et al. Comparing the dynamic performance of wastewater treatment systems: A metafrontier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approach
Shephard et al. Making progress towards integration of existing sampling activities to establish Joint Monitoring Programmes in support of the MSFD
Reymond et al. Towards sustainable sanitation in an urbanising world
US11365140B2 (en) Decision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water treatment
Schütze et al. Simulation and visualization of material flows in sanitation systems for streamlined sustainability assessment
KR20200064237A (en)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operation control system
Moragaspitiya et al. Simulation of dynamic behaviour of a biologic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in South East Queensland, Australia using bio-win software
Rees et al. Role of benthic indicators in regulating human activities at sea
Comas Matas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an activated sludge supervisory system for the granollers WWTP
Rogers et al. Combining expert judgement and stakeholder values with Promethee: a case study in contaminated sediments management
JP2006095440A (en) Operation management system in sewage treatment plant
Wooldridge et al. Integrated environmental management of ports and harbours: the European experience–From policy to practice
KR20060136071A (en) Integrated system and method for small-scale sewage treatment plant
CN111695756B (en) Water volume calculation method and system for influencing river channel water quality
Fältström Towards the Control of Microplastic Pollution in Urban Waters
Stanica et al. Towards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Danube River–Danube Delta–Black Sea system: collaboration of the two EUSDR Flagship Distributed Research Infrastructures
Hakanen et al. Simulation-based interactive multiobjective optimization in wastewater treatment
Duncan et al. Comparison of Many-Objective Optimisation and Multi-Criteria Analysis for Improved Water Energy Efficient Design of Water Treatment Works for India
Wong Water Quality Data to Support Cumulative Effects Decision-Making in the Mackenzie Valley, Northwest Territo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