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3951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3951A
KR20200063951A KR1020190043304A KR20190043304A KR20200063951A KR 20200063951 A KR20200063951 A KR 20200063951A KR 1020190043304 A KR1020190043304 A KR 1020190043304A KR 20190043304 A KR20190043304 A KR 20190043304A KR 20200063951 A KR20200063951 A KR 20200063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input sample
sss
pss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윤
도주현
심명준
이해철
임보라
정다해
황승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DE102019129167.4A priority Critical patent/DE102019129167A1/de
Priority to US16/685,354 priority patent/US11218239B2/en
Priority to TW108143057A priority patent/TWI799667B/zh
Publication of KR20200063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9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2211/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orthogonal multiplex systems
    • H04J2211/003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orthogonal multiplex systems within particular systems or standards
    • H04J2211/005Long term evolution [L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따른 입력 샘플들을 버퍼링하기 위한 제1 메모리 및 제2 메모리를 이용하여 셀 탐색을 수행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은, 제1 구간에서 상기 제1 메모리에 제1 입력 샘플 그룹을 버퍼링하면서 상기 제1 입력 샘플 그룹으로부터 제1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그룹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1 구간에 후속하는 제2 구간에서 상기 제2 메모리에 제2 입력 샘플그룹을 버퍼링하면서, 상기 제2 입력 샘플 그룹으로부터 제2 PSS 그룹 및, 상기 제1 입력 샘플 그룹으로부터 상기 제1 PSS 그룹에 대응하는 제1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그룹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구간에 후속하는 제3 구간에서 상기 제1 메모리에 제3 입력 샘플 그룹을 버퍼링하면서 상기 제3 입력 샘플 그룹으로부터 제3 PSS 그룹 및, 상기 제2 입력 샘플 그룹으로부터 상기 제2 PSS 그룹에 대응하는 제2 SSS 그룹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A operating method of a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terminal}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셀 탐색을 수행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에 관한 것이다.
최근 5G(또는, NR(New Radio)) 통신 시스템은 신규 무선 접속 기술(new radio access technology)로서 기존의 LTE 및 LTE-A 대비 대역폭 100MHz 이상의 초광대역을 사용해서 수 Gbps의 초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하지만, LTE 및 LTE-A에서 사용하는 수백 MHz 혹은 수 GHz의 주파수 대역에서는 100MHz 이상의 초광대역 주파수를 확보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5G 통신 시스템은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 존재하는 넓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이 고려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28GHz 대역, 또는 60GHz 대역과 같이 밀리미터파(millimeter wave) 대역을 사용하여 전송률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전파의 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한 빔포밍 기술로 인하여 단말의 셀 탐색 동작 시에 가장 좋은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셀을 탐색해야 하는 것뿐만 아니라 셀이 형성하는 복수의 송신 빔들 중 단말의 수신 빔에 매칭되는 송신 빔을 탐색해야하기 때문에 이를 위해 단말이 버퍼링해야 하는 동기 신호들의 입력 샘플들이 비약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이로 인해, 단말의 셀 탐색 동작 이외의 데이터 처리 동작 등을 위해 사용 가능한 메모리 공간이 제한될 수 있어 전체적인 단말의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5G 통신 시스템에서 셀 탐색 시에 단말의 메모리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함과 더불어 신속한 셀 탐색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입력 샘플들을 버퍼링하기 위한 제1 메모리 및 제2 메모리를 이용하여 셀 탐색을 수행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은, 제1 구간에서 상기 제1 메모리에 제1 입력 샘플 그룹을 버퍼링하면서 상기 제1 입력 샘플 그룹으로부터 제1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그룹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1 구간에 후속하는 제2 구간에서 상기 제2 메모리에 제2 입력 샘플그룹을 버퍼링하면서, 상기 제2 입력 샘플 그룹으로부터 제2 PSS 그룹 및, 상기 제1 입력 샘플 그룹으로부터 상기 제1 PSS 그룹에 대응하는 제1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그룹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구간에 후속하는 제3 구간에서 상기 제1 메모리에 제3 입력 샘플 그룹을 버퍼링하면서 상기 제3 입력 샘플 그룹으로부터 제3 PSS 그룹 및, 상기 제2 입력 샘플 그룹으로부터 상기 제2 PSS 그룹에 대응하는 제2 SSS 그룹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다른 측면에 따른 셀 탐색을 위해 생성된 입력 샘플들을 소정의 버퍼링 구간동안 교번적으로 버퍼링하기 위한 복수의 메모리들이 구비된 셀 단말의 동작 방법은, 제1 구간에서 제1 유효 셀 탐색 동작에 필요한 제1 입력 샘플 그룹을 제1 메모리에 버퍼링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구간에 후속하는 제2 구간에서 제2 유효 셀 탐색 동작에 필요한 제2 입력 샘플 그룹을 제2 메모리에 버퍼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효 셀 탐색 동작은, 상기 제1 구간 및 상기 제2 구간을 포함하는 제1 탐색 구간 동안 상기 제1 입력 샘플 그룹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셀 탐색을 위해 생성된 입력 샘플들을 소정의 버퍼링 구간동안 교번적으로 버퍼링하도록 제1 메모리 및 제2 메모리로 구분된 버퍼 및 제1 구간에서 상기 제1 메모리에 버퍼링되는 제1 입력 샘플 그룹으로부터 제1 구간 및 상기 제1 구간에 후속하는 제2 구간이 포함된 제1 탐색 구간 동안 제1 유효 셀 탐색 동작을 제어하는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구간에서 제2 유효 셀 탐색 동작에 필요한 제2 입력 샘플 그룹이 제2 메모리에 버퍼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복수의 메모리들을 이용해 입력 샘플 그룹 단위의 입력 샘플들에 대한 다중 버퍼링을 수행함으로써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입력 샘플 그룹 별로 유효 셀 탐색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신속한 셀 탐색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을 실시함에 따른 의도하지 아니한 효과들 역시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셀 탐색을 위해 필요한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을 포함하는 동기 신호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버퍼링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동기 신호 검출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셀 탐색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셀 탐색기의 구체적인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셀 탐색기의 유효 셀 탐색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단계 S23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유효 셀 탐색 동작을 안정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셀 탐색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셀 탐색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동기 신호 검출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d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셀 탐색기의 입력 샘플 그룹의 버퍼링을 위한 구간의 길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셀 탐색기의 구체적인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셀 탐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1)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셀 탐색을 위해 필요한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을 포함하는 동기 신호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1)은 복수의 셀들(10, 20, 30) 및 단말(100)을 포함할 수 있다. 서술의 편의상 무선 통신 시스템(1)은 세 개의 셀들(10, 20, 30)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실시 예에 불과한 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더 많거나 적은 셀들을 포함하도록 무선 통신 시스템(1)이 구현될 수 있다.
단말(100)은 셀들(10, 20,30)과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무선 통신 시스템(10)에 접속할 수 있다. 단말(100)이 접속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1)은 RAT(Radio Access Technology)로서 지칭될 수도 있고,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5G(5th generation wireless) 통신 시스템,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시스템, LTE-Advanced 통신 시스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 시스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통신 시스템 등과 같은 셀룰러 네트워크(cellular network)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일 수도 있고,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다른 임의의 무선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이하에서, 단말(100)이 접속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1)은 5G 통신 시스템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할 것이나,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들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에도 본 개시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분명하다.
무선 통신 시스템(1)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가용 네트워크 자원들을 공유함으로써 단말(10)을 포함하는 다수의 무선 통신 기기들이 통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FDMA, OFDM-TDMA, OFDM-CDMA 등과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방식으로 정보가 전달할 수 있다.
셀(10, 20, 30)은 일반적으로 단말(100) 및 또 다른 셀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지칭할 수 있고, 단말(100) 및/또는 타 셀과 통신함으로써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셀(10, 20, 30)은 기지국, Node B, eNB(evolved-Node B), gNB(Next generation Node B), 섹터(Sector), 싸이트(Site), BTS(Base Transceiver System), AP(Access Pint),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스몰 셀(small cell)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셀 또는 기지국은 CDMA에서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 WCDMA의 Node-B, LTE에서의 eNB 또는 섹터(싸이트) 등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 또는 기능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될 수 있고, 메가 셀, 매크로 셀, 마이크로 셀, 피코 셀, 펨토 셀 및 릴레이 노드, RRH, RU, 스몰 셀 통신범위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할 수 있다.
단말(100)은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로서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고, 셀과 통신하여 데이터 및/또는 제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기기들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100)은 MS(Mobile Station), MT(Mobile Terminal), UT(User Terminal), SS(Subscribe Station), 무선 장치(wireless device), 휴대 장치(handheld device)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셀(10, 20, 30)은 단말(100)과 무선 채널로 연결되어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셀(10, 20, 30)은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될 수 있고, 단말(100)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1)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을 무선 접속 기술로 하여 빔포밍 기술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1)은 단말(100)의 채널 상태에 맞춰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과 채널 코딩률(channel coding rate)을 결정하는 적응 변조 코딩(Adaptive Modulation & Coding; AMC)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1)은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 존재하는 넓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시스템(1)에서는 28GHz 대역, 또는 60GHz 대역과 같이 밀리미터파(millimeter wave) 대역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률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 때에, 밀리미터파 대역은 거리당 신호 감쇠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무선 통신 시스템(1)은 커버리지(coverage) 확보를 위해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여 생성된 지향성 빔 기반의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1)은 지향성 빔 기반 송수신을 위해 빔 스위핑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빔 스위핑이란, 단말(100) 및 셀(10, 20, 30)이 소정의 패턴을 갖는 지향성 빔을 순차적 또는 랜덤하게 스위핑(sweeping)하여, 지향 방향이 서로 동조되는 송신 빔 및 수신 빔을 결정하는 과정이다. 즉, 지향 방향이 서로 동조되는 송신 빔의 패턴과 수신 빔의 패턴은 송수신 빔 패턴 쌍으로서 결정될 수 있다. 빔 패턴이란 빔의 너비 및 빔의 지향 방향으로 결정되는 빔의 모양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단말(100)이 셀 탐색을 수행하는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서술하며, 셀(10, 20, 30)은 셀 탐색에 필요한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를 각각 포함하는 동기 신호들을 상이한 빔 패턴을 갖는 복수의 송신 빔들을 통해 단말(100)에 송신하는 것을 전제한다. 일 예로, 제1 셀(10)은 셀 탐색에 필요한 SSB를 각각 포함하는 동기 신호들을 복수의 송신 빔들(TX_B1~TX_B8)을 통해 단말(100)에 송신할 수 있다. 다만, 도 1은 이해의 편의를 위한 예시에 불과한 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무선 통신 시스템(1)의 통신 환경 또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경우들이 발생할 수 있음은 충분히 이해될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제1 셀(10)은 제1 내지 제8 송신 빔(TX_B1~TX_B8)을 통해 각각 제1 내지 제8 SSB(SSB1~SSB8)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동기 신호들을 단말(100)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셀(10)은 제1 송신 빔(TX_B1)을 통해 제1 SSB(SSB1)를 포함하는 신호를 단말(100)에 송신할 수 있으며, 제2 송신 빔(TX_B1)을 통해 제2 SSB(SSB2)를 포함하는 신호를 단말(100)에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1 셀(10)은 송신 빔들(TX_B1~TX_B8)을 통해 다양한 SSB들(SSB1~SSB8)을 단말(100)에 송신할 수 있으며, 단말(100)은 제1 내지 제8 SSB(SSB1~SSB8)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제1 셀(10)을 탐색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SSB는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및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SSB는 4개의 심볼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주파수 축 방향으로 소정의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들에 대응하는 곳에 PSS, SSS, PBCH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자원 블록(RB)은 12개의 연속된 서브캐리어들(subcarriers)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첫 심볼에 대응하는 PSS는 127개의 서브 캐리어들을 통해 단말로 송신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하나의 슬롯(slot)에 2개의 SSB들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셀(10)은 소정의 SSB 버스트 세트 주기(TSSB) 내에서 SSB 버스트 세트(SSB burst set)를 단말(100)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예로, 무선 통신 시스템(1)에서 15kHZ의 서브 캐리어 스페이싱(subcarrier spacing)이 적용된 NR임을 가정할 때에, 제1 셀(10)은 SSB 버스트 세트 주기(TSSB) 동안 8개의 SSB들(SSB1~SSB8)을 포함하는 SSB 버스트 세트(SSB burst set)를 단말(100)에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하나의 슬롯(slot)의 길이는 1ms, SSB 버스트 세트 주기(TSSB)는 20ms 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 실시 예에 불과한 바, 이에 국한되지 않고, SSB 버스트 세트(SSB burst set)에 포함된 SSB들의 개수, SSB 버스트 세트 주기(TSSB), 하나의 슬롯(slot)의 길이는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의 크기, 제1 셀(10)에서 설정된 동기 신호 주기, 셀 탐색을 위해 할당된 시간 구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SSB들(SSB1~SSB8)은 제1 셀(10)의 송신 빔들(TX_B1~TX_B8)을 통해 단말(100)로 송신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2 셀(20) 및 제3 셀(30)도 단말(100)이 제2 셀(20) 및 제3 셀(30)을 탐색하기 위해 필요한 SSB들을 포함하는 동기 신호들을 복수의 송신 빔들을 통해 단말(100)로 송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은 셀들(10, 20, 30)로부터 동기 신호들을 수신하고, 동기 신호들을 샘플링하여 복수의 입력 샘플들을 생성할 수 있으며, 입력 샘플들을 소정의 입력 샘플 그룹으로 나누어 입력 샘플 그룹 별로 유효 셀 탐색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입력 샘플들은 각각의 셀들(10, 20, 30)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PSS들, 복수의 SSS들 및 복수의 PBCH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100)은 입력 샘플 그룹 별 유효 셀 탐색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단말(100)의 복수의 메모리들을 이용하여 복수의 입력 샘플들에 대한 다중 버퍼링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100)의 입력 샘플 그룹 별 유효 셀 탐색 동작, 입력 샘플들에 대한 다중 버퍼링 동작의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100)은 복수의 안테나들(110), 프론트-엔드 회로(120), 트랜시버(130) 및 컨트롤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들(110)은 프론트-엔드 회로(120)에 연결될 수 있고, 프론트-엔드 회로(12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다른 무선 통신 기기(단말 또는 셀)로 송신하거나, 다른 무선 통신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프론트-엔드 회로(120)에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단말(100)은 복수의 안테나들(110)을 이용하여 위상 배열(phased array), MIMO(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등을 지원할 수 있다. 프론트-엔드 회로(120)는 안테나 튜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안테나 튜너(미도시)는 안테나들(110)과 연결되어 안테나들(110)의 임피던스를 조절할 수 있다.
트랜시버(130)는 수신기(131), 송신기(132) 및 스위치(13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131)는 스위치(133)로부터 수신되는 RF 수신 신호를 처리함으로써 기저대역 수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수신기(131)는 필터, 믹서,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131)는 스위치(133)로부터 RF 대역의 동기 신호들을 처리하여 기저대역의 동기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으며, 기저대역의 동기 신호들은 컨트롤러(140)에 제공될 수 있다. 송신기(132)는 컨트롤러(140)로부터 수신되는 기저대역 송신 신호를 처리함으로써 RF 송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송신기(132)는 필터, 믹서,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40)는 셀 탐색기(14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셀 탐색기(142)는 동기 신호 검출기(142a) 및 버퍼(142b)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4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은 논리 합성 등을 통해서 설계된 전용의 하드웨어 블록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블록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유닛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전용의 하드웨어 블록 및 프로세싱 유닛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컨트롤러(100)는 셀 탐색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셀 탐색기(142)는 셀 탐색 동작을 수행하여 탐색된 셀을 통해 단말(100)이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접속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동기 신호 검출기(142a)는 기저대역 동기 신호들이 샘플링되어 생성된 복수의 입력 샘플들을 입력 샘플 그룹 단위로 나누어 입력 샘플 그룹 별로 유효 셀 탐색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동기 신호 검출기(142a)는 유효 셀 탐색 동작을 수행할 때에, 버퍼(142b)의 복수의 메모리(MEM)들을 이용하여 복수의 입력 샘플들에 대한 다중 버퍼링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버퍼(142b)의 복수의 메모리(MEM)들은 입력 샘플 그룹 단위의 입력 샘플들을 각각 교번적으로 버퍼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수의 순번을 갖는 입력 샘플 그룹들은 복수의 메모리(MEM)들 중 제1 메모리에 버퍼링될 수 있으며, 짝수의 순번을 갖는 입력 샘플 그룹들은 복수의 메모리(MEM)들 중 제2 메모리에 버퍼링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4에서 서술한다. 버퍼(142b)의 복수의 메모리(MEM)들은 각각 물리적으로 구분되도록 구현되거나, 주소 관리를 통해 가상적으로 구분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유효 셀 탐색 동작은 하나의 입력 샘플 그룹에 포함된 입력 샘플들을 이용하여 PSS 그룹 및 SSS 그룹을 검출하고, 검출된 PSS 그룹 및 SSS 그룹을 이용하여 유효 셀을 결정하는 일련의 동작을 지칭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은 복수의 메모리들을 이용해 입력 샘플 그룹 단위의 입력 샘플들에 대한 다중 버퍼링을 수행함으로써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입력 샘플 그룹 별로 유효 셀 탐색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신속한 셀 탐색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버퍼링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동기 신호 검출기(142a)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에서는 단말의 입력 샘플들을 버퍼링하기 위한 버퍼는 제1 메모리 및 제2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전제하여 서술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소정의 버퍼링 구간(BF ITV) 동안 복수의 입력 샘플들은 입력 샘플 그룹 단위로 나뉘어 제1 메모리 및 제2 메모리에 교번적으로 버퍼링될 수 있다. 한편, 버퍼링 구간(BF ITV)은 도 2의 SSB 버스트 세트 주기(TSSB)에 부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각 구간(1st ITV~nth ITV)의 길이는 입력 샘플 그룹(1st ISG~nth ISG)에 포함된 입력 샘플 개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복수의 입력 샘플들은 제1 내지 제n 입력 샘플 그룹(1st ISG~nth ISG)으로 나뉘어 각각 제1 내지 제n 구간(1st ITV~nth ITV)에서 제1 메모리 및 제2 메모리에 교번적으로 버퍼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입력 샘플 그룹(1st ISG)은 제1 구간(1st ITV)에서 제1 메모리에 버퍼링되고, 제2 입력 샘플 그룹(2nd ISG)은 제2 구간(2nd ITV)에서 제2 메모리에 버퍼링되며, 제3 입력 샘플 그룹(3rd ISG)은 제3 구간(3rd ITV)에서 제1 메모리에 버퍼링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메모리 및 제2 메모리는 하나의 입력 샘플 그룹에 대하여 버퍼링 가능한 정도의 용량을 가질 수 있으며, 새로운 입력 샘플 그룹을 버퍼링할 때에 이전에 저장된 입력 샘플 그룹은 삭제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동일한 길이를 갖는 구간들(1st ITV~nth ITV)로 버퍼링 구간(BF ITV)이 구분된 실시 예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실시 예에 불과하며,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단말의 통신 환경, 성능, 워크로드 등이 고려되어 구간들(1st ITV~nth ITV)의 길이는 다양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 예는 도 14a 내지 도 14d에서 서술한다.
도 5를 더 참조하면, 동기 신호 검출기(142a)는 PSS 검출기(142a_1), SSS 검출기(142a_2) 및 타이밍 컨트롤러(142a_3)를 포함할 수 있다. PSS 검출기(142a_1)는 입력 샘플 그룹 단위로 PSS 검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PSS 검출기(142a_1)는 입력 샘플 그룹의 입력 샘플들과 PSS 기준 시퀀스들 간의 상관 정도를 연산하고, 연산된 상관 정도 결과를 기반으로 입력 샘플 그룹으로부터 PSS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PSS 그룹은 소정의 입력 샘플 그룹으로부터 셀 탐색에 유력한 후보 PSS에 대응하는 입력 샘플을 포함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즉, PSS 검출기(142a_1)는 대상 입력 샘플과 이에 대응하는 PSS 기준 시퀀스 간의 상관 정도를 연산하고, 연산된 상관 정도 결과가 제1 기준 값 이상인 때에 대상 입력 샘플을 PSS 그룹으로 결정할 수 있다. PSS 검출기(142a_1)는 입력 샘플 그룹이 소정의 메모리에 버퍼링이 되는 것과 병렬적으로 PSS 그룹을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SSS 검출기(142a_2)는 PSS 검출기(142a_1)로부터 검출된 PSS 그룹의 입력 샘플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입력 샘플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SSS 설정(configuration)을 세팅하며, 세팅된 SSS 설정을 기반으로 선택된 입력 샘플에 대응하는 SSS를 검출하는 동작을 적어도 일 회 수행함으로써 SSS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SSS 그룹은 소정의 입력 샘플 그룹으로부터 셀 탐색에 유력한 후보 SSS에 대응하는 입력 샘플을 포함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택된 입력 샘플로부터 획득된 정보는 선택된 입력 샘플에 대응하는 셀의 소정의 타이밍(예를 들면, 5ms 타이밍), 셀의 PID(Primary Identification Number) 및 SSS의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SS 검출기(142a_2)는 선택된 입력 샘플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SSS 설정을 세팅하고, 세팅된 SSS 설정을 기반으로 SSS 기준 시퀀스를 생성할 수 있다. SSS 검출기(142a_2)는 생성된 SSS 기준 시퀀스와 입력 샘플 그룹의 입력 샘플들 간의 상관 정도를 연산하고, 연산된 상관 정도 결과를 기반으로 입력 샘플 그룹으로부터 SSS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즉, SSS 검출기(142a_2)는 대상 입력 샘플과 이에 대응하는 SSS 기준 시퀀스 간의 상관 정도를 연산하고, 연산된 상관 정도 결과가 제2 기준 값 이상인 때에 대상 입력 샘플을 SSS 그룹으로 결정할 수 있다. SSS 검출기(142a_2)는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된 입력 샘플 그룹을 이용하여 SSS 그룹을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142a_3)는 PSS 검출기(142a_1) 및 SSS 검출기(142a_3)의 동작 타이밍을 단말의 버퍼(142b, 도 3)의 버퍼링 상태를 고려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타이밍 컨트롤러(142a_3)는 제1 타이밍 제어신호(TM_C1)를 PSS 검출기(142a_1)에 제공하여 입력 샘플 그룹이 버퍼(142b, 도 3)의 메모리에 버퍼링되면서 PSS 검출기(142a_1)가 상기 입력 샘플 그룹을 이용하여 PSS 검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타이밍 컨트롤러(142a_3)는 제2 타이밍 제어신호(TM_C2)를 SSS 검출기(142a_2)에 제공하여 PSS 그룹으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기반으로 SSS 설정을 완료한 후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입력 샘플 그룹을 이용하여 SSS 검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타이밍 컨트롤러(142a_3)는 상기 입력 샘플 그룹을 저장하고 있는 상기 메모리가 새로운 입력 샘플 그룹을 버퍼링하기 전에 상기 입력 샘플 그룹에 대한 SSS 검출 동작(또는, 상기 입력 샘플 그룹을 이용한 유효 셀 탐색 동작)을 완료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타이밍 컨트롤러(142a_3)는 PSS 그룹의 입력 샘플(또는, PSS) 개수를 미리 설정하거나, SSS 그룹의 검출을 위해 이용되는 PSS 그룹의 입력 샘플(또는, PSS) 개수를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7에서 서술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셀 탐색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3의 단말(100)의 구성을 참조하여 서술된다. 또한, 'N'은 하나의 입력 샘플 그룹에 포함된 입력 샘플의 개수, 'h'는 입력 샘플 그룹에 대한 서수, 'i'는 입력 샘플 그룹에 포함된 입력 샘플에 대한 서수, 'K'는 모든 입력 샘플들을 기준으로 정해진 입력 샘플에 대한 서수, 'M'은 모든 입력 샘플들의 개수를 나타내는 것을 전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셀 탐색기(142)는 제i 입력 샘플을 수신하고(S100), 제i 입력 샘플을 포함하는 입력 샘플 그룹의 서수 'h'가 홀수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S101). 단계 S101이 'YES'인 때에, 제i 입력 샘플을 버퍼(142b)의 제1 메모리에 버퍼링하며(S102), 단계 S101이 'NO'인 때에, 제i 입력 샘플을 버퍼(142b)의 제2 메모리에 버퍼링할 수 있다(S103). 동기 신호 검출기(142a)는 제1 메모리 및 제2 메모리 중 어느 하나에 버퍼링되는 제i 입력 샘플을 이용하여 PSS 검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104). 셀 탐색기(142)는 'i'가 'N-1'이거나 'K'가 'M'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S105). 단계 S105가 'NO' 인 때에, 'i'를 카운트 업하고(S106), 단계 S100 내지 단계 S105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셀 탐색기(142)는 제1 입력 샘플 그룹에 포함된 입력 샘플들을 단계 S100 내지 단계 S106을 통해 제1 메모리에 버퍼링하면서 제1 입력 샘플 그룹으로부터 PSS 그룹을 검출할 수 있다. 단계 S105가 'YES'인 때에, 'h'를 카운트 업하고(S107), 단계 S100 내지 단계 S105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셀 탐색기(142)는 제1 입력 샘플 그룹에 대한 버퍼링 동작이 완료한 후에, 제2 입력 샘플 그룹을 제2 메모리에 버퍼링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105가 'YES'인 때에, 동기 신호 검출기(142a)는 복수 회 수행된 단계 S104를 통해 소정의 입력 샘플 그룹으로부터 검출된 PSS 그룹을 이용하여 SSS 검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108). 일 예로, 동기 신호 검출기(142a)는 제2 입력 샘플 그룹에 대한 버퍼링 동작이 수행되는 구간에서 제1 입력 샘플 그룹으로부터 검출된 PSS 그룹을 이용하여 SSS 설정을 세팅하고, 세팅된 SSS 설정을 이용하여 제1 입력 샘플 그룹으로부터 SSS 그룹을 검출할 수 있다. 셀 탐색기(142)는 소정의 입력 샘플 그룹으로부터 검출된 PSS 그룹 및 SSS 그룹을 이용하여 유효 셀을 결정할 수 있다(S109). 일 예로, 셀 탐색기(142)는 제1 입력 샘플 그룹으로부터 검출된 PSS 그룹 및 SSS 그룹을 이용하여 유효 셀을 결정할 수 있다. 셀 탐색기(142)는 'h'가 'M/N'(총 입력 샘플 그룹의 개수)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으며(S110), 단계 S109가 'NO'인 때에는 다른 입력 샘플 그룹에 대한 단계 S108 및 단계 S109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110가 'YES'인 때에는 입력 샘플들을 이용한 유효 셀 탐색 동작 수행을 종료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셀 탐색기의 구체적인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서는 제1 메모리(MEM1) 및 제2 메모리(MEM2)를 이용한 더블 버퍼링 동작을 기반으로 유효 셀 탐색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전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셀 탐색기는 't1a'시간 내지 't2a'시간에 대응하는 제1 구간(1st ITV)에서 제1 메모리(MEM1)에 제1 입력 샘플 그룹(1st ISG)을 버퍼링하면서 제1 입력 샘플 그룹(1st ISG)으로부터 제1 PSS 그룹 검출 동작(1st PSS_D)을 수행하여 제1 PSS 그룹 검출 결과(PSS_R1)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셀 탐색기는 제1 입력 샘플 그룹(1st ISG)에 포함된 입력 샘플들과 이에 대응하는 PSS 기준 시퀀스들 간의 상관 정도를 연산하여 상관 정도 결과가 제1 기준 값 이상의 조건에 부합하는 입력 샘플(또는, PSS)을 제1 PSS 그룹으로 결정함으로써 제1 PSS 그룹 검출 결과(PSS_R1)를 생성할 수 있다.
셀 탐색기는 't2a'시간 내지 't4a'시간에 대응하는 제2 구간(2nd ITV)에서 제2 메모리(MEM2)에 제2 입력 샘플 그룹(2nd ISG)을 버퍼링하면서 제2 입력 샘플 그룹(2nd ISG)으로부터 제2 PSS 그룹 검출 동작(2nd PSS_D)을 수행하여 제2 PSS 그룹 검출 결과(PSS_R2)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셀 탐색기는 't2a'시간과 동일 또는 유사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구간(F1) 동안 제1 PSS 그룹 검출 결과(PSS_R1)를 기반으로 제1 SSS 그룹 검출 동작(1st SSS_D)을 수행하기 위한 SSS 설정을 세팅할 수 있다. 셀 탐색기는 세팅된 SSS 설정을 기반으로 제2 구간(2nd ITV) 내에서 제1 SSS 그룹 검출 동작(1st SSS_D)을 수행하여 't3a'시간까지 제1 SSS 그룹 검출 결과(SSS_R1)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셀 탐색기는 제1 입력 샘플 그룹(1st ISG)에 포함된 입력 샘플들과 이에 대응하는 SSS 설정 세팅에 따른 SSS 기준 시퀀스들 간의 상관 정도를 연산하여 상관 정도 결과가 제2 기준 값 이상의 조건에 부합하는 입력 샘플(또는, SSS)을 제1 SSS 그룹으로 결정함으로써 제1 SSS 그룹 검출 결과(SSS_R1)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셀 탐색기는 't3a'시간 내지 't4a'시간 사이에 제1 PSS 그룹 검출 결과(PSS_R1) 및 제1 SSS 그룹 검출 결과(SSS_R1)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유효 셀을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셀 탐색기는 제1 PSS 그룹 검출 동작(1st PSS_D) 및 제1 SSS 그룹 검출 동작(1st SSS_D)을 포함하는 제1 유효 셀 탐색 동작을 제1 탐색 구간(VCD_ITV)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제1 탐색 구간(VCD_ITV)은 제1 구간(1st ITV) 및 제2 구간(2nd ITV)을 포함할 수 있다. 유효 셀을 결정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할 때에, 셀 탐색기는 제1 SSS 그룹 검출 동작(1st SSS_D)이 't3a'시간까지 완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셀 탐색기는 제1 PSS 그룹 검출 결과(PSS_R1) 및 제1 SSS 그룹 검출 결과(SSS_R1)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유효 셀을 결정할 수 있다. 셀 탐색기는 결정된 유효 셀의 PBCH에 대한 디코딩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11 및 도 12에서 서술한다.
셀 탐색기는 't4a'시간 내지 't6a'시간에 대응하는 제3 구간(3rd ITV)에서 제1 메모리(MEM1)에 제3 입력 샘플 그룹(3rd ISG)을 버퍼링하면서 제3 입력 샘플 그룹(3rd ISG)으로부터 제3 PSS 그룹 검출 동작(3rd PSS_D)을 수행하여 제3 PSS 그룹검출 결과(PSS_R3)를 생성할 수 있다. 제3 구간(3rd ITV)에서 기존에 제1 메모리(MEM1)에 저장된 제1 입력 샘플 그룹(1st ISG)은 삭제될 수 있다. 또한, 셀 탐색기는 't4a'시간과 동일 또는 유사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구간(F2) 동안 제2 PSS 그룹 검출 결과(PSS_R2)를 기반으로 제2 SSS 그룹 검출 동작(2nd SSS_D)을 수행하기 위한 SSS 설정을 세팅할 수 있다. 셀 탐색기는 세팅된 SSS 설정을 기반으로 제3 구간(3rd ITV)에서 제2 SSS 그룹 검출 동작(2nd SSS_D)을 수행하여 't5a' 시간까지 제2 SSS 그룹 검출 결과(SSS_R2)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셀 탐색기는 't5a'시간 내지 't6a'시간 사이에 제2 PSS 그룹 검출 결과(PSS_R2) 및 제2 SSS 그룹 검출 결과(SSS_R2)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유효 셀을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셀 탐색기는 입력 샘플 그룹 별로 유효 셀 탐색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입력 샘플 그룹 별로 제1 메모리(MEM1) 및 제2 메모리(MEM2)에 교번적인 버퍼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셀 탐색기의 유효 셀 탐색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에서는 버퍼링 구간 내의 연속된 임의의 제1 구간 내지 제3 구간에서의 셀 탐색기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8에 개시된 셀 탐색기의 동작은 버퍼링 구간 내의 다른 구간에서도 적용될 수 있음은 충분히 이해될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셀 탐색기는 제1 구간에서 제1 유효 셀 탐색 동작에 필요한 제1 입력 샘플 그룹을 제1 메모리에 버퍼링할 수 있다(S200). 셀 탐색기는 제1 구간에 후속하는 제2 구간에서 제2 유효 셀 탐색 동작에 필요한 제2 입력 샘플 그룹을 제2 메모리에 버퍼링할 수 있다(S210). 셀 탐색기는 제2 구간에 후속하는 제3 구간에서 제3 유효 셀 탐색 동작이 필요한 제3 입력 샘플 그룹을 제1 메모리에 버퍼링할 수 있다(S220). 셀 탐색기는 제1 구간 및 제2 구간을 포함하는 제1 탐색 구간 동안 제1 유효 셀 탐색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230).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유효 셀 탐색 동작은 제1 입력 샘플 그룹을 이용한 제1 PSS 그룹 검출 동작, 제1 SSS 그룹 검출 동작 및 제1 PSS 그룹, 제1 SSS 그룹을 이용한 유효 셀 검출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셀 탐색기는 제2 구간 및 제3 구간을 포함하는 제2 탐색 구간 동안 제2 유효 셀 탐색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240).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유효 셀 탐색 동작은 제2 입력 샘플 그룹을 이용한 제2 PSS 그룹 검출 동작, 제2 SSS 그룹 검출 동작 및 제2 PSS 그룹, 제2 SSS 그룹을 이용한 유효 셀 검출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단계 S23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셀 탐색기는 제1 입력 샘플 그룹으로부터 제1 PSS 그룹을 검출할 수 있다(S232). 구체적으로, 셀 탐색기는 PSS 기준 시퀀스들을 생성하고, 제1 입력 샘플 그룹에 포함된 입력 샘플들과 PSS 기준 시퀀스들 간의 상관 정도를 연산할 수 있다. 셀 탐색기는 상관 정도 연산 결과를 기반으로 제1 기준 값 이상의 상관 정도를 갖는 입력 샘플들을 제1 PSS 그룹으로 결정할 수 있다.
셀 탐색기는 1 입력 샘플 그룹으로부터 제1 PSS 그룹에 대응하는 제1 SSS 그룹을 검출할 수 있다(S234). 구체적으로, 셀 탐색기는 제1 PSS 그룹에 포함된 입력 샘플들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획득하여 SSS 설정을 세팅할 수 있으며, 세팅된 SSS 설정을 기반으로 SSS 기준 시퀀스들을 생성할 수 있다. 셀 탐색기는 제1 입력 샘플 그룹에 포함된 입력 샘플들과 SSS 기준 시퀀스들 간의 상관 정도를 연산할 수 있다. 셀 탐색기는 상관 정도 연산 결과를 기반으로 제2 기준 값 이상의 상관 정도를 갖는 입력 샘플들을 제1 SSS 그룹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제1 기준 값과 제2 기준 값은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셀 탐색기는 제1 PSS 그룹 및 제1 SSS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유효 셀을 결정할 수 있다(S236). 구체적으로, 셀 탐색기는 제1 PSS 그룹에 포함된 제X(단, X는 1 이상의 정수) 입력 샘플과 이에 대응하는 PSS 기준 시퀀스 간의 제1 상관 정도 및, 제1 SSS 그룹에 포함되고 제X 입력 샘플과 대응하는, 제Y(단, Y는 1 이상의 정수) 입력 샘플과 이에 대응하는 SSS 기준 시퀀스 간의 제2 상관 정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비교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셀 탐색기는 생성된 비교 값과 제3 기준 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제X 입력 샘플 및 제Y 입력 샘플에 대응하는 셀이 유효 셀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셀 탐색기는 생성된 비교 값이 제3 기준 값 이상인 때에, 상기 셀을 유효 셀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셀 탐색기는 상기 제1 상관 정도에는 제1 가중치를 반영하고, 상기 제2 상관 정도에는 제2 가중치를 반영하여 생성된 두 값을 합산함으로써 비교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가중치 및 제2 가중치는 정확한 유효 셀 탐색을 위해 복수 회의 시뮬레이션 결과로 결정된 값일 수 있으며, 제1 가중치 및 제2 가중치는 셀 탐색기에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셀 탐색기는 다른 입력 샘플 그룹을 이용하여 유효 셀 탐색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유효 셀 탐색 동작을 안정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셀 탐색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일 예로, 도 7에서 제1 입력 샘플 그룹(1st ISG)은 제3 구간(3rd ITV)에서 삭제되기 때문에, 셀 탐색기는 제1 입력 샘플 그룹(1st ISG)을 이용한 제1 유효 셀 탐색 동작을 제3 구간(3rd ITV)이 시작되기 전, 다시 말해, 제1 탐색 구간(VCD_ITV) 내에서 완료해야한다. 즉, 셀 탐색기는 유효 셀 탐색 동작 시에 필요한 입력 샘플 그룹이 다중 버퍼링에 의해 삭제되기 전에 소정의 탐색 구간 내에서 유효 셀 탐색 동작을 완료할 수 있도록 이하 서술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0a를 참조하면, 셀 탐색기는 단계 S232(도 9)를 수행할 때에, 셀 탐색기는 제1 입력 샘플 그룹으로부터 제1 PSS 그룹으로 구분될 수 있는 후보 입력 샘플들을 결정할 수 있다(S232a). 후보 입력 샘플들은 각각에 대응하는 PSS 기준 시퀀스 간의 상관 정도가 제1 기준 값 이상인 것들일 수 있다. 제1 PSS 그룹에 포함된 입력 샘플 개수는 미리 설정되거나, 단말의 성능, 단말의 통신 환경 및 단말의 워크로드 등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입력 샘플 개수는 설정될 수 있으며, 셀 탐색기는 설정된 입력 샘플 개수에 부합하도록 후보 입력 샘플들로부터 제1 PSS 그룹에 포함되는 입력 샘플들을 결정할 수 있다(S232b). 일 예로, 셀 탐색기는 제1 유효 셀 탐색 동작을 제1 탐색 구간 내에서 여유있게 수행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때에, 제1 PSS 그룹의 입력 샘플의 개수를 늘릴 수 있으며, 제1 탐색 구간 내에서 수행을 완료하기 어렵다고 판단되는 때에, 제1 PSS 그룹의 입력 샘플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로, 셀 탐색기는 단계 S232b를 수행할 때에, 상관 정도 크기 및 후보 입력 샘플들의 주파수 간격 등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후보 입력 샘플들로부터 제1 PSS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셀 탐색기는 단계 S234(도 9)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셀 탐색기는 단계 S234(도 9)를 수행할 때에, 셀 탐색기는 제1 PSS 그룹의 입력 샘플들로부터 제1 SSS 그룹 검출을 위해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샘플을 선택할 수 있다(S234a). 즉, 셀 탐색기는 제1 PSS 그룹이 결정된 상태에서도 제1 유효 셀 탐색 동작을 제1 탐색 구간 내에서 완료할 수 있도록 단말의 성능, 단말의 통신 환경 및 단말의 워크로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제1 PSS 그룹의 입력 샘플들 중에서 제1 SSS 그룹 검출을 위해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샘플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예로, 셀 탐색기는 제1 유효 셀 탐색 동작을 제1 탐색 구간 내에서 여유있게 수행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때에, 제1 SSS 그룹 검출을 위해 이용되는 제1 PSS 그룹의 입력 샘플의 개수를 늘릴 수 있으며, 제1 탐색 구간 내에서 수행을 완료하기 어렵다고 판단되는 때에, 제1 SSS 그룹 검출을 위해 이용되는 제1 PSS 그룹의 입력 샘플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셀 탐색기는 제1 PSS 그룹의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샘플을 이용하여 제1 SSS 그룹을 검출할 수 있다(S234b). 이후, 셀 탐색기는 단계 S236(도 9)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셀 탐색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셀 탐색기는 소정의 버퍼링 구간 동안 더블 버퍼링된 입력 샘플들을 모두 이용하여 유효 셀(들)을 결정할 수 있다(S300). 즉, 셀 탐색기는 모든 입력 샘플 그룹들을 이용한 복수의 유효 셀 탐색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복수의 유효 셀 탐색 동작들을 수행한 결과 유효 셀(들)을 결정할 수 있다. 셀 탐색기는 결정된 유효 셀(들)을 기반으로 나머지 셀 탐색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310). 일 예로, 셀 탐색기는 결정된 유효 셀로부터 수신된 PBCH를 디코딩할 수 있으며, PBCH 디코딩 결과가 성공인 때에 유효 셀에 디코딩 결과를 보고하고, 유효 셀과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셀 탐색기는 PBCH 디코딩 결과가 실패인 때에 다른 유효 셀로부터 수신된 PBCH를 디코딩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셀 탐색기는 더블 버퍼링된 입력 샘플들을 이용하여 입력 샘플 그룹 별 유효 셀 탐색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유효 셀을 결정할 수 있다(S300'). 셀 탐색기는 유효 셀 탐색 동작을 수행하면서 제L(단, L은 1 이상의 정수) 유효 셀 탐색 동작에서 유효 셀이 결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S310'). 셀 탐색기는 단계 S310'이 'NO'인 때에, 단계 S300'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단계 S310'이 'YES'인 때에 버퍼링이 아직 되지 않은 입력 샘플들에 대한 버퍼링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S320'). 한편, 도 12에서는 유효 셀이 결정된 때에 버퍼링 동작을 종료하기 때문에 이후 버퍼링되지 않은 입력 샘플 그룹에 대한 유효 셀 탐색 동작이 생략된다. 따라서, 셀 탐색 성공 가능성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하여 단계 S300'에서 유효 셀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은 도 11의 단계 S300보다 엄격할 수 있다. 셀 탐색기는 제L 유효 셀 탐색 동작에서 결정된 유효 셀(들)을 기반으로 나머지 셀 탐색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330'). 일 예로, 셀 탐색기는 결정된 유효 셀로부터 수신된 PBCH를 디코딩할 수 있으며, PBCH 디코딩 결과가 성공인 때에 유효 셀에 디코딩 결과를 보고하고, 유효 셀과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셀 탐색기는 PBCH 디코딩 결과가 실패인 때에, 셀들로부터 새롭게 동기 신호들을 수신하여 셀 탐색 동작을 재수행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동기 신호 검출기(142a)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동기 신호 검출기(142a')는 PSS 검출기(142a_1'), SSS 검출기(142a_2') 및 타이밍 컨트롤러(142a_3')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의 동기 신호 검출기(142a)의 구성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타이밍 컨트롤러(142a_3')는 구간 조절기(ITV_AD) 및 룩-업 테이블(LUT)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간 조절기(ITV_AD)는 조절 정보(AD_I)를 기반으로 입력 샘플 그룹에 포함된 입력 샘플의 개수를 조절하고, 입력 샘플 그룹이 소정의 메모리에 버퍼링되는 구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조절 정보(AD_I)는 단말의 통신 환경, 단말의 성능, 단말의 워크로드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룩 업 테이블(LUT)은 다양한 값의 조절 정보와 각각에 매칭된 입력 샘플 그룹에 포함된 입력 샘플의 개수 및 구간의 길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간 조절기(ITV_AD)는 룩 업 테이블(LUT)을 참조하여 수신된 조절 정보(AD_I)에 대응하는 상기 입력 샘플의 개수 및 상기 구간의 길이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입력 샘플의 개수 및 상기 구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13에 서술된 타이밍 컨트롤러(142a_3')의 구현 예는 예시적 실시 예에 불과한 바,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단말의 다양한 상태들을 고려하여 입력 샘플 그룹의 입력 샘플의 개수, 입력 샘플 그룹이 버퍼링되는 구간의 길이 등을 조절 가능하도록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4d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셀 탐색기의 입력 샘플 그룹의 버퍼링을 위한 구간의 길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4a 내지 도 14d에서는 동일한 길이의 버퍼링 구간 일부(BF_ITVpart)에 포함된 구간들의 실시 예들을 서술한다.
도 14a를 참조하면, 버퍼링 구간 일부(BF_ITVpart)는 제1 내지 제5 구간(1st ITV~5th ITV)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구간(1st ITV~5th ITV)은 각각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5 입력 샘플 그룹(1st ISG~5th ISG) 각각에 포함된 입력 샘플의 개수는 동일할 수 있다.
도 14b를 참조하면, 버퍼링 구간 일부(BF_ITVpart)는 제1 내지 제3 구간(1st ITV~3rd ITV)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구간(1st ITV'~3rd ITV')은 각각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도 14a의 제1 내지 제5 구간(1st ITV~5th ITV)의 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한편, 제1 내지 제3 입력 샘플 그룹(1st ISG'~3rd ISG') 각각에 포함된 입력 샘플의 개수는 동일하며, 도 14a의 제1 내지 제5 입력 샘플 그룹(1st ISG~5th ISG) 각각에 포함된 입력 샘플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
도 14c를 참조하면, 버퍼링 구간 일부(BF_ITVpart)는 제1 내지 제4 구간(1st ITV''~4th ITV'')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3 구간(1st ITV'', 3rd ITV'')은 각각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및 제3 입력 샘플 그룹(1st ISG'', 3rd ISG'') 각각에 포함된 입력 샘플의 개수는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2 및 제4 구간(2nd ITV'', 4th ITV'')은 각각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및 제4 입력 샘플 그룹(2nd ISG'', 4th ISG'') 각각에 포함된 입력 샘플의 개수는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3 구간(1st ITV'', 3rd ITV'')의 길이는 제2 및 제4 구간(2nd ITV'', 4th ITV'')의 길이와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부합하여, 제1 및 제3 입력 샘플 그룹(1st ISG'', 3rd ISG'')의 입력 샘플 개수는 제2 및 제4 입력 샘플 그룹(2nd ISG'', 4th ISG'')의 입력 샘플 개수와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3 구간(1st ITV'', 3rd ITV'')의 길이는 제2 및 제4 구간(2nd ITV'', 4th ITV'')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으며, 제1 및 제3 입력 샘플 그룹(1st ISG'', 3rd ISG'')의 입력 샘플 개수는 제2 및 제4 입력 샘플 그룹(2nd ISG'', 4th ISG'')의 입력 샘플 개수보다 적을 수 있다.
도 14d를 참조하면, 버퍼링 구간 일부(BF_ITVpart)는 제1 내지 제4 구간(1st ITV'''~4th ITV''')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구간(1st ITV'''~4th ITV''')의 길이는 각각 상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및 제4 입력 샘플 그룹(1st ISG'''~4th ISG''') 각각에 포함된 입력 샘플의 개수는 상이할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4d와 같이 입력 샘플 그룹을 버퍼링하기 위한 구간의 길이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구간의 길이에 따라 다중 버퍼링을 위한 메모리들의 용량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3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타이밍 컨트롤러(142a_3')은 단말의 통신 환경, 단말의 성능, 단말의 워크 로드 등을 고려하여 구간의 길이를 도 14a 내지 도 14d에 도시된 실시 예들과 같이 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 때에, 버퍼의 메모리들의 용량은 구간의 최대 길이(또는, 입력 샘플 그룹의 입력 샘플의 최대 개수)를 고려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셀 탐색기의 구체적인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에서는 제1 내지 제3 메모리(MEM1~MEM3)를 이용한 트리플 버퍼링 동작을 기반으로 유효 셀 탐색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전제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셀 탐색기는 't1b'시간 내지 't2b'시간에 대응하는 제1 구간(1st ITV)에서 제1 메모리(MEM1)에 제1 입력 샘플 그룹(1st ISG)을 버퍼링하면서 제1 입력 샘플 그룹(1st ISG)으로부터 제1 PSS 그룹 검출 동작(1st PSS_D)을 수행하여 제1 PSS 그룹 검출 결과(PSS_R1)를 생성할 수 있다.
셀 탐색기는 't2b'시간 내지 't3b'시간에 대응하는 제2 구간(2nd ITV)에서 제2 메모리(MEM2)에 제2 입력 샘플 그룹(2nd ISG)을 버퍼링하면서 제2 입력 샘플 그룹(2nd ISG)으로부터 제2 PSS 그룹 검출 동작(2nd PSS_D)을 수행하여 제2 PSS 그룹 검출 결과(PSS_R2)를 생성할 수 있다. 셀 탐색기는 't3b'시간 내지 't5b'시간에 대응하는 제3 구간(3rd ITV)에서 제3 메모리(MEM3)에 제3 입력 샘플 그룹(3rd ISG)을 버퍼링하면서 제3 입력 샘플 그룹(3rd ISG)으로부터 제3 PSS 그룹 검출 동작(3rd PSS_D)을 수행하여 제3 PSS 그룹 검출 결과(PSS_R3)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셀 탐색기는 't2b'시간과 동일 또는 유사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구간(F1) 동안 제1 PSS 그룹 검출 결과(PSS_R1)를 기반으로 제1 SSS 그룹 검출 동작(1st SSS_D)을 수행하기 위한 SSS 설정을 세팅할 수 있다. 셀 탐색기는 세팅된 SSS 설정을 기반으로 제2 구간(2nd ITV) 및 제3 구간(3rd ITV) 내에서 제1 SSS 그룹 검출 동작(1st SSS_D)을 수행하여 't4b'시간까지 제1 SSS 그룹 검출 결과(SSS_R1)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셀 탐색기는 't4b'시간 내지 't5b'시간 사이에 제1 PSS 그룹 검출 결과(PSS_R1) 및 제1 SSS 그룹 검출 결과(SSS_R1)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유효 셀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제4 구간(미도시)에서 제4 입력 샘플 그룹(미도시)이 제1 메모리(MEM1)에 버퍼링되면서, 제1 입력 샘플 그룹(1st ISG)은 제1 메모리(MEM1)에서 삭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셀 탐색기는 트리플 버퍼링을 통해 제1 입력 샘플 그룹(1st ISG)이 제1 메모리(MEM1)에 저장되는 시간을 더블 버퍼링보다 좀더 길게 확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유효 셀 탐색 동작(제1 PSS 검출 동작(1st PSS_D) 및 제1 SSS 검출 동작(1st SSS_D)을 포함)이 수행되는 탐색 구간(VCD_ITV')이 길어질 수 있다. 이는 다른 유효 셀 탐색 동작의 탐색 구간들에도 적용될 수 있는 바, 길어진 탐색 구간 안에서 셀 탐색기는 유효 셀 탐색 동작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도 15는 예시적인 실시 예에 불과한 바, 이에 국한되지 않고, 더 많은 메모리들을 이용하여 입력 샘플들에 대한 다중 버퍼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셀 탐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셀들(Cells)로부터 단말(Terminal)은 복수의 동기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S400). 단말(Terminal)은 수신된 동기 신호들을 소정의 샘플링 주파수에 기반해 샘플링을 수행함으로써 입력 샘플들을 생성할 수 있다(S410). 단말(Terminal)은 입력 샘플들에 대하여 복수의 메모리들을 이용한 다중 버퍼링을 수행할 수 있다(S420). 즉, 복수의 메모리들은 각각 할당된 입력 샘플 그룹들에 대한 버퍼링을 교번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단말(Terminal)은 입력 샘플 그룹 별로 유효 셀 탐색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430). 단말(Terminal)은 적어도 일 회의 유효 셀 탐색 동작을 수행한 결과 유효 셀을 결정할 수 있으며, 결정된 유효 셀로부터 수신한 PBCH를 디코딩할 수 있다(S440). 단말은 상기 PBCH에 대한 디코딩을 성공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S450). 단계 S450이 'YES'인 때에, 셀 탐색 결과를 유효 셀에 보고할 수 있다(460). 단계 S460이 'NO'인 때에, 단말(Terminal)은 새로운 동기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S470). 단말(Terminal)은 다중 버퍼링 기반 입력 샘플 그룹 별 유효 셀 탐색 동작을 포함하는 셀 탐색을 재수행할 수 있다(S480).
도 1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0)는 메모리(1010), 프로세서 유닛(Processor Unit)(1020), 입출력 제어부(1040), 표시부(1050), 입력 장치(1060) 및 통신 처리부(109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1010)는 다수 개 존재할 수도 있다. 각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메모리(1010)는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1011) 및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1012)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1012)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013), 다중 버퍼링 기반 셀 탐색 프로그램(1014)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 저장부(1011)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013), 다중 버퍼링 기반 셀 탐색 프로그램(101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 저장부(1011)에 포함되는 프로그램은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로 표현할 수도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013)은 전자 장치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즉,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013)은 프로세서(1022)에 의해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중 버퍼링 기반 셀 탐색 프로그램(1014)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라 입력 샘플들을 입력 샘플 그룹으로 나누어 복수의 메모리들에 교번적으로 버퍼링하고, 입력 샘플 그룹 별 유효 셀 탐색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023)는 기지국의 입출력 주변 장치와 프로세서(1022) 및 메모리 인터페이스(1021)의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2)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지국이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프로세서(1022)는 메모리(1010)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해당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입출력 제어부(1040)는 표시부(1050) 및 입력 장치(1060) 등의 입출력 장치와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023)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1050)는 상태 정보, 입력되는 문자, 동영상(moving picture) 및 정지 영상(still picture) 등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1050)는 프로세서(1022)에 의해 구동되는 응용프로그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입력 장치(1060)는 전자 장치의 선택에 의해 발생하는 입력 데이터를 입출력 제어부(1040)를 통해 프로세서 유닛(102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입력 장치(1060)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 및 터치 정보를 감지하는 터치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1060)는 터치 패드를 통해 감지한 터치, 터치 움직임, 터치 해제 등의 터치 정보를 입출력 제어부(1040)를 통해 프로세서(1022)로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0)는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처리부(10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 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입력 샘플들을 버퍼링하기 위한 제1 메모리 및 제2 메모리를 이용하여 셀 탐색을 수행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1 구간에서 상기 제1 메모리에 제1 입력 샘플 그룹을 버퍼링하면서 상기 제1 입력 샘플 그룹으로부터 제1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그룹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1 구간에 후속하는 제2 구간에서 상기 제2 메모리에 제2 입력 샘플그룹을 버퍼링하면서, 상기 제2 입력 샘플 그룹으로부터 제2 PSS 그룹 및, 상기 제1 입력 샘플 그룹으로부터 상기 제1 PSS 그룹에 대응하는 제1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그룹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구간에 후속하는 제3 구간에서 상기 제1 메모리에 제3 입력 샘플 그룹을 버퍼링하면서 상기 제3 입력 샘플 그룹으로부터 제3 PSS 그룹 및, 상기 제2 입력 샘플 그룹으로부터 상기 제2 PSS 그룹에 대응하는 제2 SSS 그룹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간 내에 상기 제1 SSS 그룹의 검출을 완료하기 위해 상기 제1 PSS 그룹의 입력 샘플 개수가 미리 설정되거나, 상기 제1 SSS 그룹의 검출을 위해 이용되는 상기 제1 PSS 그룹의 입력 샘플 개수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SS 그룹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입력 샘플 그룹의 입력 샘플들과 PSS 기준 시퀀스들 간의 상관 정도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상관 정도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입력 샘플 그룹으로부터 상기 제1 PSS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SSS 그룹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PSS 그룹에 포함된 입력 샘플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입력 샘플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SSS 설정(configuration)을 세팅하는 단계; 및
    상기 세팅된 SSS 설정을 기반으로 상기 선택된 입력 샘플에 대응하는 SSS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SSS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세팅된 SSS 설정을 기반으로 SSS 기준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SSS 기준 시퀀스와 상기 제1 입력 샘플 그룹의 입력 샘플들 간의 상관 정도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상관 정도를 기반으로 상기 SSS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SSS 그룹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1 입력 샘플 그룹으로부터 상기 제1 SSS 그룹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간 내지 상기 제3 구간을 포함하는 상기 단말의 버퍼링 구간 내에서, 상기 제1 PSS 그룹 및 상기 제1 SSS 그룹에 대응하는 복수의 셀들 중 유효 셀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셀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PSS 그룹에 포함된 제X(단, X는 1 이상의 정수) 입력 샘플과 이에 대응하는 PSS 기준 시퀀스 간의 제1 상관 정도 및, 상기 제1 SSS 그룹에 포함되고 상기 제N 입력 샘플과 대응하는, 제Y(단, Y는 1 이상의 정수) 입력 샘플과 이에 대응하는 SSS 기준 시퀀스 간의 제2 상관 정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비교 값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비교 값과 기준 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제X 입력 샘플 및 상기 제Y 입력 샘플에 대응하는 셀이 상기 유효 셀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값을 생성하는 단계는,
    제1 가중치가 반영된 상기 제1 상관 정도 및 제2 가중치가 반영된 상기 제2 상관 정도를 합산함으로써 상기 비교 값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셀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유효 셀로 결정한 때에,
    상기 입력 샘플들에 대한 버퍼링 동작을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 셀로부터 수신한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PBCH에 대한 디코딩을 성공한 때에,
    상기 유효 셀에 셀 탐색 결과를 보고하고, 상기 셀 탐색 수행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2. 셀 탐색을 위해 생성된 입력 샘플들을 소정의 버퍼링 구간동안 교번적으로 버퍼링하기 위한 복수의 메모리들이 구비된 셀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1 구간에서 제1 유효 셀 탐색 동작에 필요한 제1 입력 샘플 그룹을 제1 메모리에 버퍼링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구간에 후속하는 제2 구간에서 제2 유효 셀 탐색 동작에 필요한 제2 입력 샘플 그룹을 제2 메모리에 버퍼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효 셀 탐색 동작은, 상기 제1 구간 및 상기 제2 구간을 포함하는 제1 탐색 구간 동안 상기 제1 입력 샘플 그룹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효 셀 탐색 동작은,
    상기 제1 입력 샘플 그룹으로부터 제1 PSS 그룹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입력 샘플 그룹으로부터 상기 제1 PSS 그룹에 대응하는 제1 SSS 그룹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PSS 그룹 및 상기 제1 SSS 그룹을 이용하여 유효 셀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셀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PSS 그룹에 포함된 제X 입력 샘플과 이에 대응하는 PSS 시준 시퀀스 간의 제1 상관 정도 및, 상기 제1 SSS 그룹에 포함되고 상기 제X 입력 샘플과 대응하는, 제Y 입력 샘플과 이에 대응하는 SSS 기준 시퀀스 간의 제2 상관 정도를 기반으로 상기 제X 입력 샘플 및 상기 제Y 입력 샘플에 대응하는 셀이 유효 셀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효 셀 탐색 동작에서 유효 셀을 결정한 때에,
    상기 복수의 메모리들에 대한 버퍼링 동작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효 셀 탐색 동작은,
    상기 결정된 유효 셀로부터 수신한 PBCH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PBCH에 대한 디코딩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셀 탐색을 재수행 또는 완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간에 후속하는 제3 구간에서 제3 유효 셀 탐색 동작에 필요한 제3 입력 샘플 그룹을 상기 제1 메모리에 버퍼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입력 샘플 그룹은, 상기 제3 구간에서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간에 후속하는 제3 구간에서 제3 유효 셀 탐색 동작에 필요한 제3 입력 샘플 그룹을 제3 메모리에 버퍼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탐색 구간은, 상기 제3 구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구간에 후속하는 제4 구간에서 제4 유효 셀 탐색 동작에 필요한 제4 입력 샘플 그룹을 상기 제1 메모리에 버퍼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입력 샘플 그룹은, 상기 제4 구간에서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20. 셀 탐색을 위해 생성된 입력 샘플들을 소정의 버퍼링 구간동안 교번적으로 버퍼링하도록 제1 메모리 및 제2 메모리로 구분된 버퍼; 및
    제1 구간에서 상기 제1 메모리에 버퍼링되는 제1 입력 샘플 그룹으로부터 제1 구간 및 상기 제1 구간에 후속하는 제2 구간이 포함된 제1 탐색 구간 동안 제1 유효 셀 탐색 동작을 제어하는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구간에서 제2 유효 셀 탐색 동작에 필요한 제2 입력 샘플 그룹이 제2 메모리에 버퍼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90043304A 2018-11-28 2019-04-1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KR2020006395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9129167.4A DE102019129167A1 (de) 2018-11-28 2019-10-29 Betriebsverfahren eines Endgeräts in einem Drahtlos-Kommunikationssystem und Endgerät zum Durchführen des Verfahrens
US16/685,354 US11218239B2 (en) 2018-11-28 2019-11-15 Operating method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for performing the method
TW108143057A TWI799667B (zh) 2018-11-28 2019-11-27 終端機及小區終端機的操作方法以及終端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50086 2018-11-28
KR1020180150086 2018-11-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951A true KR20200063951A (ko) 2020-06-05

Family

ID=71088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304A KR20200063951A (ko) 2018-11-28 2019-04-1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63951A (ko)
TW (1) TWI799667B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60054B2 (en) * 2016-02-29 2020-05-19 Lg Electronics Inc.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ssion method using synchronization subfra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031075A (zh) 2020-08-16
TWI799667B (zh) 2023-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17479B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EP3593507B1 (en) System and method for beam management in high frequency multi-carrier operations with spatial quasi co-locations
US9491755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transmit and receive synchronization signal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2989730B1 (en) Method and system for acquiring high frequency carri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113747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ynchronization signal and transmission system
EP3876466A1 (en) Beam reporting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10911128B2 (en) Techniques for beam discovery and beamform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10993122B2 (en) Beam management procedure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11265067B2 (en) Beam training of a radio transceiver device
US10673587B2 (en) Beam management for a radio transceiver device
RU2748161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CN112335186B (zh) 波束管理
US20240015679A1 (en) Operating method of communication device and signal processor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device
CN111669209A (zh) 校正基站与无线通信装置之间的偏移的装置及其操作方法
CN112534945B (zh) 用户装置以及基站装置
WO2017067436A1 (zh) 下行同步的方法、用户设备以及基站
US11218239B2 (en) Operating method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2640345B1 (ko) 기지국과의 오프셋을 보정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10007356A (ko)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전자 장치에 포함된 신호 처리 장치
KR2020006395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CN113965975B (zh) 信号处理方法、装置、通信设备及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