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3563A - Similari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through image comparison - Google Patents

Similari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through image comparis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3563A
KR20200063563A KR1020180149401A KR20180149401A KR20200063563A KR 20200063563 A KR20200063563 A KR 20200063563A KR 1020180149401 A KR1020180149401 A KR 1020180149401A KR 20180149401 A KR20180149401 A KR 20180149401A KR 20200063563 A KR20200063563 A KR 20200063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unit
image
trademark
similarit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94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시웅
차원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말이없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말이없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말이없다
Priority to KR1020180149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3563A/en
Publication of KR20200063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56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35Query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6/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dditional aspects of information retrieval not explicitly covered by G06F16/00 and subgroups
    • G06F2216/11Patent retriev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milari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through image comparis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tilizing deep learning technology, an image file to be searched is directly compared with a figure image of a searched first-applied trademark, and similarity information is numerically provided. Therefore, the completeness of search results can be increased.

Description

이미지 비교를 통한 유사도 정보 제공 시스템{Similari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through image comparison}Similari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through image comparison}

본 발명은 이미지 비교를 통한 유사도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형 상표 검색시 검색 대상 이미지와,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된 선출원 상표 데이터의 이미지 직접 비교를 통해 유사도를 수치화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similarity information through image comparison, and more specifically, to make it possible to quantify and provide similarity by directly comparing images to be searched when searching for a trademark trademark and images of pre-registered trademark data built in a database. It's about technology.

상품 또는 서비스업의 식별을 위해 사용되는 상표는 기호, 문자, 도형, 입체적 형상 또는 이들의 결합 및 색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표법에 따르면 이러한 상표들 중 자체의 식별력을 가지고 또한 다른 자가 취급하는 상품과 식별되는 출원상표에 대해서 독점배타적인 권리를 부여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출원된 상표에 대한 심사과정에서는 타인의 선출원상표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Trademarks used for the identification of goods or services are composed of symbols, letters, figures, three-dimensional shapes, or combinations and colors thereof. And, according to the trademark law, it is necessary to grant exclusive and exclusive rights to products and other trademarks that are handled by others with their own discernment power. Therefore, in the process of reviewing the trademarks filed, it is necessary to check whether there are any other registered trademarks.

한편 전자출원제도가 정착되면서 출원 상표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완료되었으며, 온라인을 통한 검색 기술도 발전하였다. 이에 따라 완성된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하여 출원과정 및 심사과정에서 출원 예정 상표, 또는 심사대상 상표들에 대해 그와 동일 유사한 선출원상표의 온라인 검색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출원상표 검색에 대한 현재의 기술 수준은 문자 상표에 대한 텍스트 검색에 머무르고 있다.Meanwhile,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electronic filing system, the database of application trademarks was completed, and online search technology also developed. Accordingly, on the basis of the completed database, online searches for similar trademarks or similar trademarks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for the trademarks to be applied for or the trademarks to be reviewed in the application process and the examination process. However, the current level of skill in searching for trademarks remains in text search for character trademarks.

한편 상표 검색 서비스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2-0006339호(2002.01.19. '상표검색방법 및 상표검색시스템') 등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ior art related to the trademark search service include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2-0006339 (2002.01.19.'Trademark Search Method and Trademark Search System').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검색 대상이 되는 이미지 파일과 검색된 선출원 상표의 도형 이미지를 직접 비교한 후 유사도 정보를 수치로 제공함으로써 검색 결과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by directly comparing the image file to be searched with the image of the searched prior application trademark using deep learning technology and providing similarity information as a numerical value. The aim is to provide a technique that can improve the completeness of search result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비교를 통한 유사도 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단말로부터 이미지 파일을 수신하는 정보수신부; 상기 정보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이미지 파일을 분석하여 비엔나코드를 추론하고 검색 쿼리를 생성하는 검색쿼리생성부; 상기 검색쿼리생성부에서 생성된 검색 쿼리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표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이미지 파일의 비엔나코드와 동일 또는 유사한 개수의 비엔나코드를 갖는 상표 데이터를 추출하는 검색부; 상기 검색부에서 추출된 상표 데이터의 도형과 상기 정보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이미지 파일을 이미지를 비교하여 유사도 정보를 산출하여 각 상표 데이터에 매칭시키는 이미지비교부; 및 상기 검색부에서 추출되고 상기 이미지비교부에서 산출된 유사도 정보가 매칭되어 있는 상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 측으로 제공하는 정보제공부;를 포함한다.A system for providing similarity information through image comparis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n information receiving unit receiving an image file from a user terminal; A search query generator that infers the Vienna code and generates a search query by analyzing the image file received through the information receiver; A search unit that searches for trademark data stored in a database using a search query generated by the search query generator and extracts trademark data having the same or similar number of Vienna codes as the Vienna code of the image file; An image comparison unit that compares the image of the trademark data extracted from the search unit with the image file received through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to calculate similarity information and matches each trademark data; And an information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trademark data matching the similarity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image comparison unit and extracted from the search unit to the user terminal.

여기서, 상기 이미지비교부에서 상기 이미지 파일과 상기 상표 데이터의 도형을 비교할 시 딥 러닝 기법이 적용될 수 있다.Here, a deep learning technique may be applied when comparing the image file and the trademark data in the image comparison unit.

또한, 상기 검색부는 상기 상표 데이터를 상기 이미지비교부에서 산출된 유사도 정보에 따라 정렬시킬 수 있다.Also, the search unit may sort the trademark data according to similarity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image comparison unit.

본 발명에 따른 유사도 정보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면, 일반 사용자가 도형 상표의 비엔나코드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더라도, 머신 러닝 기법을 이용해 입력된 이미지 파일의 비엔나코드를 추론하고 자동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도형 상표의 검색 효율이 높아진다.Using the similari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general user does not properly grasp the Vienna code of the graphic trademark, it is possible to infer the Vienna code of the input image file and perform an automatic search using a machine learning technique. Therefore, the search efficiency of graphic trademarks is increased.

더불어 텍스트 기반의 기존 검색 방법과 달리 이미지를 이용한 검색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표 등의 지식재산권 검색이 더욱 간편해지고, 유사 검색 결과를 출력해 주어 선출원 상표의 검색은 물론, 침해 유무의 판단과 출원 결정에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In addition, unlike text-based search methods, it is possible to search for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uch as trademarks because it is possible to search using images. Can help directly.

또한, 검색하고자 하는 대상 상표 이미지와, 검색 결과의 상표 이미지의 유사도 수치가 함께 제공됨으로써 사용자의 분석 편의성을 높여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he target brand image to be searched and the trademark image of the search result is provided together, thereby enhancing the user's analysis convenience.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비교를 통한 유사도 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사도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providing similarity information through image comparis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similarity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ome components irrelevant to the subject matter of the invention will be omitted or compressed, but the omitted components are not necessarily necessary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더불어 이하에서 설명하게 되는 각 구성부와 서버 및 시스템은 반드시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독립적인 구성부나 서버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또는 하나 이상의 서버 또는 하나 이상의 시스템의 집합으로 구현되거나 일부가 공유될 수도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In addition, each of the components and servers and systems described below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composed of independent components or servers that perform respective functions, and may be implemented as a set of one or more programs or one or more servers or one or more systems, or some It can be shared.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비교를 통한 유사도 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설명에 앞서 도1에 도시된 유사도 정보 제공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상표 검색 서비스 기능을 지원하며, 검색 결과 화면에 유사도 정보가 함께 노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providing similarity information through image comparis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ior to the description, the similari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shown in FIG. 1 basically supports a trademark search service function, and provides a service so that similarity information is exposed on a search result screen.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사도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통신부(110), 인터페이스제공부(120), 정보수신부(130), 정보제공부(140), 검색쿼리생성부(150), 검색부(160), 이미지비교부(170) 및 데이터베이스(190)를 포함한다. 1, the similari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an interface providing unit 120, a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30, an information providing unit 140, and a search query generation. It includes a unit 150, a search unit 160, an image comparison unit 170, and a database 190.

통신부(11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단말(200)과 정보 송수신을 위한 통신 채널을 연결하기 위해 마련된다. 여기서 사용자단말(200)이란 도형 상표를 검색하고 그 결과를 확인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을 말하며, 사용자단말(200)을 통해 검색 명령을 입력하고 이미지 파일을 업로드하며, 검색 결과가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단말(200)로는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유사도 정보 제공 시스템(100)과 통신 채널을 연결하고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PC 또는 스마트폰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is provided to connect a communication channe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with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Here, the user terminal 200 refers to a terminal used by a user who searches for a figure trademark and checks the result, inputs a search command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uploads an image file, and outputs a search result. . As the user terminal 200, a desktop computer, a laptop computer, a tablet PC, or a smart phone that can connect and transmit information to and from the similari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through an Internet network 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used.

인터페이스제공부(120)는 사용자단말(200) 측으로 검색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interface providing unit 120 is provided to provide various user interfaces for providing a search service to the user terminal 200.

정보수신부(130)는 사용자단말(200)로부터 검색을 위한 명령이나 이미지 파일 등을 수신하기 위해 마련되고, 정보제공부(140)는 사용자단말(200) 측으로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30 is provided to receive a command or image file for searching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40 is provided to provide a search result to the user terminal 200 side.

검색쿼리생성부(150)는 정보수신부(130)를 통해 수신된 이미지 파일을 분석하여 비엔나 코드를 추론하고 검색 쿼리를 생성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search query generation unit 150 is provided to analyze the image file received through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30 to infer the Vienna code and generate a search query.

검색부(160)는 검색쿼리생성부(150)에서 생성된 검색 쿼리를 활용하여 데이터베이스(190)를 검색하고, 입력된 상표 이미지 파일과 유사한 상표 데이터를 추출 및 정리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search unit 160 is provided to search the database 190 by using the search query generated by the search query generation unit 150, and to extract and organize trademark data similar to the input trademark image file.

이미지비교부(170)는 업로드된 검색 대상의 이미지 파일과 검색부(160)에서 검색된 상표 데이터의 도형상표를 직접 이미지 비교하여 유사도 정보를 수치로 산출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미지비교부(170)에서 산출된 유사도 정보는 검색부(160)에서 정리된 각 상표 데이터에 매칭 된다.The image comparison unit 170 is provided to directly compare images of uploaded image files and graphic trademarks of trademark data searched by the search unit 160 to calculate similarity information numerically. The similarity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image comparison unit 170 is matched to each trademark data organized in the search unit 160.

검색부(160)에서 유사한 상표 데이터들이 추출 및 정리되고, 이미지비교부(170)에서 유사도정보가 산출되어 각 상표 데이터에 매칭되면, 정보제공부(140)가 사용자단말(200) 측으로 정리된 검색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When similar trademark data is extracted and organized in the search unit 160, and similarity information is calculated in the image comparison unit 170 to match each trademark data,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40 searches the user terminal 200. Results can be sent.

데이터베이스(190)는 선출원 된 상표들의 데이터를 보관하는 저장 매체이다.The database 190 is a storage medium that stores data of pre-applied trademarks.

이하에서는 도2를 참조하여 도1에 도시된 유사도 정보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토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providing a search service using the similari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설명에 앞서 유사도 정보 제공 시스템(100)의 데이터베이스(190)에는 선출원 된 상표들에 대한 데이터가 미리 구축된 상태라고 가정한다. 상표 데이터들은 1출원 상표에 대하여 상표명, 상표견본(도형상표 이미지), 출원번호, 출원일자, 출원인, 등록번호, 등록일자, 상품분류, 지정상품, 법적상태 등이 매칭 저장된 상태이다. 또한 상표 데이터 중 도형상표에 대해서는 도형분류코드, 즉 비엔나코드와 그 설명도 함께 매칭 저장되어 있다.Prior to the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data of the pre-applied trademarks is pre-built in the database 190 of the similari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Trademark data is stored in the form of matching, including trademark name, trademark sample (figure trademark image), application number, application date, applicant, registration number, registration date, product classification, designated product, legal status, etc. In addition, in the trademark data, the figure classification code, that is, the Vienna code and its description, are also stored in a match.

먼저 도형 상표 검색을 위해 사용자는 사용자단말(200)을 통해 유사도 정보 제공 시스템(100)이 운영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하거나,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유사도 정보 제공 시스템(100)에 접속한다. 사용자단말(200)이 유사도 정보 제공 시스템(100)에 접속하면 인터페이스제공부(120)는 검색 명령을 입력하고 이미지 파일을 업로드 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First, in order to search for a graphic trademark, the user accesses a website operated by the similari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or a dedicated application to access the similari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When the user terminal 200 accesses the similari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the interface providing unit 120 provides a user interface capable of inputting a search command and uploading an image file.

사용자단말(200)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면, 사용자는 검색 대상이 되는 도형상표에 대한 이미지 파일을 입력<S205>하여 유사도 정보 제공 시스템(100)에 전송한다. 실시하기에 따라 업로드 할 수 있는 이미지 파일의 포맷이나 업로드 가능한 최대 파일 크기가 미리 정해져 있을 수도 있다.When the user interface is output from the user terminal 200, the user inputs an image file for the graphic label to be searched <S205> and transmits it to the similari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the format of the image file that can be uploaded or the maximum file size that can be uploaded may be determined in advance.

유사도 정보 제공 시스템(100)의 정보수신부(130)를 통해 사용자단말(200)에서 전송한 이미지 파일을 수신하면, 검색쿼리생성부(150)는 이미지를 분석한 후 검색 쿼리를 생성<S210>한다. 즉 검색쿼리생성부(150)는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이미지를 분석하고, 비엔나 코드를 추론하여 검색 쿼리를 생성한다.When an image file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is received through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30 of the similari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the search query generator 150 analyzes the image and generates a search query <S210>. . That is, the search query generator 150 analyzes an image according to a preset algorithm and infers the Vienna code to generate a search query.

비엔나코드(도형분류코드)는 표장의 도형요소에 관한 분류의 국제적 통일을 위하여 1973년 비엔나 협정에 의하여 성립되고 1985년 발효된 후 사용되고 있다. 도형분류코드의 구성은 도형요소를 류, 군, 항으로 구분하고 각각 두 자리씩 숫자를 부여하되 일반적인 것에서 구체적인 것으로 계층적 체계를 갖는다. 비엔나코드는 해마다 증가하는 도형 상표를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 분류하여 상표심사의 효율성을 높임으로써 심사품질을 제고하기 위해 도입된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비엔나코드를 활용하면 도형상표를 출원하기 전 유사 또는 동일한 선출원 상표가 존재하는지 미리 검색해 볼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검색 사이트에서 텍스트 형태의 상표명 외에 비엔나코드를 입력하여 도형상표에 대한 검색을 실시하는 것이다. 하지만 일반 사용자의 경우 도형 상표의 비엔나코드를 알아내는 것이 쉽지 않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사도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입력한 도형상표에 대한 이미지 파일을 분석하여 비엔나 코드를 추론한다.The Vienna Code (Shape Classification Code) was established by the Vienna Convention in 1973 and entered into force in 1985 for the international unification of the classification of graphic elements on the emblem. The structure of the figure classification code is divided into categories, groups, and terms, and each number is assigned two digits. The Vienna Code was introduced to improve the quality of examination 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rademark examination by systematically managing and classifying the increasing number of trademarks each year. However, if you use these Vienna codes, you can also search for similar or identical pre-existing trademarks before filing a trademark. That is, the user enters the Vienna code in addition to the textual brand name on the search site to search for the graphic trademark. However, it is not easy for ordinary users to find out the Vienna code of a graphic trademark. To this end, the similari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fers a Vienna code by analyzing an image file of a graphic trademark input by a user.

즉, 검색쿼리생성부(150)는 이미지 파일의 분석을 통해 비엔나코드를 추론한다. 비엔나코드를 추론할 때에는 머신러닝 기법이 활용된다.That is, the search query generator 150 infers the Vienna cod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image file. Machine learning techniques are used to infer the Vienna code.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 기계 학습)이란 컴퓨터 과학 중 인공지능의 한 분야로, 패턴 인식과 컴퓨터 학습 이론의 연구로부터 진화한 분야이다. 머신 러닝은 경험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을 하고 예측을 수행하며 스스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시스템과 이를 위한 알고리즘을 연구하고 구축하는 기술이다. 머신 러닝의 알고리즘들은 엄격하게 정해진 정적인 프로그램 명령들을 수행하는 것이라기보다, 입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예측이나 결정을 이끌어내기 위해 특정한 모델을 구축하는 방식을 취한다.Machine learning is a field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computer science that evolved from the study of pattern recognition and computer learning theory. Machine learning is a technology that studies and builds systems and algorithms for learning, making predictions, and improving one's own performance based on empirical data. Rather than performing strictly defined static program instructions, machine learning algorithms take the form of building a specific model to make predictions or decisions based on input data.

이러한 머신 러닝 기법을 이용하여 검색쿼리생성부(150)는 도형 상표 이미지 분석을 위한 기계 학습을 꾸준히 수행하고, 이를 통해 비엔나 코드를 추론한 후, 검색을 위한 검색 쿼리를 생성한다.Using such a machine learning technique, the search query generator 150 continually performs machine learning for analyzing the graphic image of the figure, infers the Vienna code through this, and then generates a search query for the search.

검색쿼리생성부(150)에서 검색 쿼리가 생성되면, 검색부(160)는 검색 쿼리를 활용하여 데이터베이스(190)를 검색<S215>한다. 즉 검색부(160)는 사용자단말(200)에서 입력된 도형상표에 대한 이미지 파일과 유사한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190)에서 검색하는데, 입력된 이미지 파일의 비엔나코드와 동일한 비엔나코드를 갖는 상표 데이터들을 우선적으로 검색 추출한다. 또한 이미지 파일의 비엔나코드가 하나 이상 도출되었다면, 일정 개수 이상의 비엔나코드가 일치하는 상표 데이터들을 우선적으로 검색 추출한다.When a search query is generated in the search query generation unit 150, the search unit 160 searches the database 190 using the search query (S215). That is, the search unit 160 searches the database 190 for an image similar to the image file for the graphic trademark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 prioritizes trademark data having the same Vienna code as the input image file. Search extract. In addition, if one or more Vienna codes of the image file are derived, the trademark data matching a certain number of Vienna codes is searched and extracted preferentially.

검색부(160)를 통해 입력된 이미지 파일과 동일 또는 유사한 비엔나코드를 갖는 상표 데이터가 검색 및 추출되면, 검색부(160)는 추출된 상표 데이터들을 정리한다. 예컨대 검색부(160)는 추출된 상표 데이터를 클래스(상품분류)별로 분류하고, 해당 클래스 내에서 비엔나코드가 가장 유사한 순서로 상표 데이터를 정렬시킨다. 물론 사용자가 이미지 파일을 입력하면서 특정 상품분류를 미리 입력하였다면, 동일한 상품분류 또는 유사군의 상표 데이터들만 검색 결과로 활용토록 할 수 있다.When trademark data having the same or similar Vienna code as the image file input through the search unit 160 is searched and extracted, the search unit 160 organizes the extracted trademark data. For example, the search unit 160 classifies the extracted trademark data by class (product classification), and sorts the trademark data in the order in which the Vienna code is most similar within the class. Of course, if a user inputs a specific product classification in advance while inputting an image file, only the same product classification or trademark data of a similar group can be used as a search result.

이후 이미지비교부(170)는 입력된 이미지 파일과 추출된 상표 데이터의 상표견본(도형)을 직접 비교하여 유사도 정보를 수치로 산출<S220>하며, 산출된 유사도 정보는 각 상표 데이터에 매칭되어 기입된다. 이때 검색부(160)는 이미지비교부(170)에서 산출된 유사도 값을 기반으로 상표 데이터들을 내림 차순 정렬할 수 있다.Thereafter, the image comparison unit 170 directly compares the trademark image (figure) of the input image file and the extracted trademark data to calculate similarity information numerically <S220>, and the calculated similarity information is matched to each trademark data do. In this case, the search unit 160 may sort the trademark data in descending order based on the similarity value calculated by the image comparison unit 170.

여기서 이미지비교부(170)는 이미지 간의 직접 비교를 위해 딥러닝 기법을 활용한다.Here, the image comparison unit 170 uses a deep learning technique for direct comparison between images.

딥 러닝(Deep learning, 심층 학습)이란, 여러 비선형 변환기법의 조합을 통해 높은 수준의 추상화(abstraction, 다량의 데이터나 복잡한 자료들 속에서 특징, 핵심적인 내용 또는 기능을 요약하는 작업)를 시도하는 기계학습 알고리즘의 집합으로 정의되며, 사람의 사고 방식을 컴퓨터에게 가르치는 기계학습의 한 분야이다. 이러한 딥 러닝 기법을 활용하면 입력된 이미지와 상표 데이터의 도형을 직접 비교하여 유사도를 수치화할 수 있다.Deep learning refers to attempting to achieve a high level of abstraction (abstraction, summarizing features, key content or functions in a large amount of data or complex data) through a combination of several nonlinear transformation methods. It is defined as a set of machine learning algorithms, and is a field of machine learning that teaches a person's way of thinking to computers. Using this deep learning technique, the similarity can be quantified by directly comparing the input image with the trademark data.

이미지비교부(170)에서 산출된 유사도값(수치로 산출된 유사도 정보)이 각 상표 데이터에 매칭되어 정리된 후, 정보제공부(140)를 통해 사용자단말(200) 측으로 상표 데이터가 제공되어 출력<S225>되면, 사용자는 입력한 이미지 파일과 동일 유사한 비엔나코드를 갖는 상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고, 각 상표 데이터의 이미지 유사도값도 함께 확인할 수가 있다.After the similarity value calculated by the image comparison unit 170 (similarity information calculated as a numerical value) is matched and arranged for each trademark data, the trademark data is provided and output to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40 When <S225>, the user can check the trademark data having the same Vienna code as the input image file, and also check the image similarity value of each trademark data.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사도 정보 제공 시스템(100)을 이용하면, 일반 사용자가 도형 상표의 비엔나코드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더라도, 머신 러닝 기법을 이용해 입력된 이미지 파일의 비엔나코드를 추론하고 자동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도형 상표의 검색 효율이 높아진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when the similari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even if an ordinary user does not properly grasp the Vienna code of the graphic trademark, the Vienna code of the image file input using the machine learning technique can be used. Can infer and perform automatic searches. Therefore, the search efficiency of graphic trademarks is increased.

더불어 텍스트 기반의 기존 검색 방법과 달리 이미지를 이용한 검색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표 등의 지식재산권 검색이 더욱 간편해지고, 유사 검색 결과를 출력해 주어 선출원 상표의 검색은 물론, 침해 유무의 판단과 출원 결정에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In addition, unlike text-based search methods, it is possible to search for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uch as trademarks because it is possible to search using images. Can help directly.

또한, 검색하고자 하는 대상 상표 이미지와, 검색 결과의 상표 이미지의 유사도 수치가 함께 제공됨으로써 사용자의 분석 편의성을 높여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he target brand image to be searched and the trademark image of the search result is provided together, thereby enhancing the user's analysis convenience.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clo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having ordinary knowledg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ddi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유사도 정보 제공 시스템
110 : 통신부
120 : 인터페이스제공부
130 : 정보수신부
140 : 정보제공부
150 : 검색쿼리생성부
160 : 검색부
170 : 이미지비교부
190 : 데이터베이스
200 : 사용자단말
100: similarity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110: communication unit
120: interface providing unit
130: information receiving department
140: information providing department
150: search query generator
160: search unit
170: Image comparison department
190: database
200: User terminal

Claims (3)

사용자단말로부터 이미지 파일을 수신하는 정보수신부;
상기 정보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이미지 파일을 분석하여 비엔나코드를 추론하고 검색 쿼리를 생성하는 검색쿼리생성부;
상기 검색쿼리생성부에서 생성된 검색 쿼리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표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이미지 파일의 비엔나코드와 동일 또는 유사한 개수의 비엔나코드를 갖는 상표 데이터를 추출하는 검색부;
상기 검색부에서 추출된 상표 데이터의 도형과 상기 정보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이미지 파일을 이미지를 비교하여 유사도 정보를 산출하여 각 상표 데이터에 매칭시키는 이미지비교부; 및
상기 검색부에서 추출되고 상기 이미지비교부에서 산출된 유사도 정보가 매칭되어 있는 상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 측으로 제공하는 정보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비교를 통한 유사도 정보 제공 시스템.
An information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an image file from a user terminal;
A search query generator that infers the Vienna code and generates a search query by analyzing the image file received through the information receiver;
A search unit that searches for trademark data stored in a database using a search query generated by the search query generator and extracts trademark data having the same or similar number of Vienna codes as the Vienna code of the image file;
An image comparison unit that compares the image of the trademark data extracted from the search unit with the image file received through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to calculate similarity information and matches each trademark data; And
And an information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trademark data matching the similarity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image comparison unit and extracted by the search unit to the use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비교부에서 상기 이미지 파일과 상기 상표 데이터의 도형을 비교할 시 딥 러닝 기법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비교를 통한 유사도 정보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system for providing similarity information through image comparison, characterized in that a deep learning technique is applied when the image comparison unit compares the shape of the image file and the trademark dat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부는 상기 상표 데이터를 상기 이미지비교부에서 산출된 유사도 정보에 따라 정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비교를 통한 유사도 정보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search unit provides the similari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through image comparison, wherein the trademark data is sorted according to the similarity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image comparison unit.
KR1020180149401A 2018-11-28 2018-11-28 Similari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through image comparison KR2020006356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401A KR20200063563A (en) 2018-11-28 2018-11-28 Similari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through image comparis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401A KR20200063563A (en) 2018-11-28 2018-11-28 Similari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through image comparis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563A true KR20200063563A (en) 2020-06-05

Family

ID=71088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401A KR20200063563A (en) 2018-11-28 2018-11-28 Similari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through image comparis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3563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0262A (en) * 2020-12-22 2022-06-29 주식회사 드림비트 Trademarks searching model and method of learning trademarks searching mod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0262A (en) * 2020-12-22 2022-06-29 주식회사 드림비트 Trademarks searching model and method of learning trademarks searching mod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507125A (en) Triple information extrac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11105209B (en) Job resume matching method and device suitable for person post matching recommendation system
CN110929125B (en) Search recall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thereof
CN111400607B (en) Search content output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Halibas et al. Application of text classification and clustering of Twitter data for business analytics
CN109308319B (en) Text classification method, text classification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04063683A (en) Expression input method and device based on face identification
CN109271514B (en) Generation method, classification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of short text classification model
CN110427480B (en) Intelligent personalized text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10401545B (en) Chat group creation method, chat group creation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3127633A (en) Intelligent conference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2836509A (en) Expert system knowledge base construction method and system
CN111274371A (en) Intelligent man-machine conversation method and equipment based on knowledge graph
CN113722438A (en) Sentence vector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sentence vector model and computer equipment
CN112417121A (en) Client intention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3627797A (en) Image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for employee enrollment,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3656561A (en) Entity word recognition method, apparatus, device, storage medium and program product
CN112446209A (en) Method, equipment and device for setting intention label and storage medium
KR20200063561A (en) Image-based search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machine learning
CN113821587B (en) Text relevance determining method, model training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Dehghan et al. An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expert finding in community question answering networks
KR20200063563A (en) Similari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through image comparison
CN111311455B (en) Examination information matching method, examination information matching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1382254A (en) Electronic business card recommenda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13704623B (en) Data recommenda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