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3370A - Water exchange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 Google Patents

Water exchange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3370A
KR20200063370A KR1020180146817A KR20180146817A KR20200063370A KR 20200063370 A KR20200063370 A KR 20200063370A KR 1020180146817 A KR1020180146817 A KR 1020180146817A KR 20180146817 A KR20180146817 A KR 20180146817A KR 20200063370 A KR20200063370 A KR 20200063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water
solenoid valve
way solenoid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68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89198B1 (en
Inventor
박영현
Original Assignee
박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현 filed Critical 박영현
Priority to KR1020180146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9198B1/en
Publication of KR20200063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3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1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automatically exchanging water of a water tank by using internet of things (IoT), the device comprising: a case; a 3-way solenoid valve; a flow velocity sensor; a driving unit; an IoT signal transmitting unit; and an IoT signal receiving unit. The case is formed in an L-curved pipe shape and includes a screw unit to be attached to a side wall unit of the water tank. The 3-way solenoid valve is arranged inside the case, and switches a mode to a water exchange mode for allowing a direction of water supplied through a circulation pump to flow into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and a water drainage mode for discharging the water to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The flow velocity sensor is arranged inside the case and is arranged to confirm an operation of the 3-way solenoid valve. The driving unit is arranged inside the case, electrically connects a circuit to the 3-way solenoid valve, and controls a flow direction of the 3-way solenoid valve. The IoT signal transmitting unit transmits a controlling signal depending on a setting value inputted to the water exchange mode or the water drainage mode by a user. The IoT signal receiving unit is arranged inside the case, receives the signal transmitted in the IoT signal transmitting unit, and transmits the controlling signal of the 3-way solenoid valve to the driving unit. The present invention maximizes convenience for water tank management.

Description

사물 인터넷을 활용한 수조 자동환수 장치{Water exchange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Water exchange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본 발명은 사물 인터넷을 이용하여 모바일을 통해 수조의 물을 자동으로 환수(물갈이)되도록 함으로써, 수조 관리에 대한 편의성을 극대화 할 수 있고, 수조의 측면부를 파손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부착할 수 있는 사물 인터넷을 활용한 수조 자동환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water of the water tank to be automatically changed (changed) through the mobile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thereby maximizing the convenience for the water tank management and stably attaching the side parts of the water tank without damaging it. It relates to a water tank automatic return device utilizing the.

수조장치는 일부 면들이 투명한 벽으로 이루어져 물을 담을 수 있도록 만든 구조물이다. 일반적으로 수조 내부에는 수중 생물이 원활히 생활할 수 있도록 수조 내의 환경을 개선하거나 유지할 수 있는 장치들이 배치된다. 종래의 기술에서 적용하는 장치는 크게 수조의 온도, 산소량, 조명 등을 조절하는 장치가 있다. 또한, 수조의 환경뿐만 아니라 수중 생물의 먹이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장치도 보급되고 있다.The water tank device is a structure made of some surfaces made of transparent walls to hold water. In general, inside the water tank, devices capable of improving or maintaining the environment in the water tank are disposed so that aquatic organisms can live smoothly. The device applied in the prior art is largely a device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xygen amount, lighting, and the like of the water tank. In addition, a device that automatically supplies food for aquatic organisms as well as the environment of a water tank has been spread.

이 중에서도 수조장치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는 수조 내부의 수질이다. 물이 수조 장치 내에 고여있는 상태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물 속의 독소를 줄이고, 부패의 원인이 되는 물질을 제거해야 하므로 정기적으로 물을 갈아줘야 한다. 하지만 규모가 큰 수조의 경우 수조 자체의 이동이 어려운 문제점 등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동으로 물을 빼내고 주입할 수 있는 소형 펌프 등을 사용하였으나, 수조의 규모가 큰 경우 물갈이 작업에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Among these,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s of the water tank device is the water quality inside the water tank. Since water can be said to be in the tank,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water regularly to reduce toxins in the water and remove substances that cause decay. However, in the case of a large tank,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move the tank itself.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small pump or the like capable of manually draining and injecting water was used, but when the size of the water tank is larg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a lot of labor is required for changing water.

또한, 종래의 기술들은 수조의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기존의 장치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장치를 구매해야 하기 때문에 소비자의 부담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conventional technologies have a problem in that the burden on consumers is high because a new device must be purchased to add a new function to an existing device capable of improving the environment of the tank.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713260호"자동 급배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수조장치"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62967호"해수어 수족관의 자동환수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13260 "Water tank device having an automatic water supply and drainage system" 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62967 "Seawater aquarium automatic recovery system" are launched It is.

상기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713260호"자동 급배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수조장치"는 종래기술 1로서, 배수실을 구비하는 수조, 급수관, 급수펌프, 배수펌프, 밸브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713260 "Water tank device having an automatic water supply and drainage system" is a prior art 1, and is composed of a water tank, a water supply pipe, a water supply pump, a drainage pump, a valve device, etc. having a drainage chamber.

상기한 "자동 급배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수조장치"는 종래의 문제점을 일부 해결할 수는 있으나, 해당 기술의 구성인 밸브장치는 수위측정센서의 신호에 따라 수위가 조절되도록 개폐되기 때문에 수질의 문제로 환수가 필요할 때 사용자가 원거리에 있을 경우 환수가 어렵고, 기존의 장치에 기능을 추가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The above-described "water tank device having an automatic water supply and drainage system" may solve some of the conventional problems, but the valve device, which is a component of the related art, is opened and closed to adjust the water level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water level measurement senso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user when the user is far away when it is necessary, and it is impossible to add a function to an existing device.

상기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62967호"해수어 수족관의 자동환수시스템"은 종래기술 2로서, 호퍼, 이송스크류, 케이스, 해수염 투입수단, 커버, 센서를 제어하는 제어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562967, "Automatic Water Recycling System for Sea Fish Aquarium," is a prior art 2, and consists of a hopper, a transfer screw, a case, a sea salt input means, a cov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ensor.

상기한 "해수어 수족관의 자동환수시스템"은 종래의 문제점을 일부 해결할 수는 있으나, 센서에 의존하여 자동으로 환수하는 시스템을 구비하므로, 사용자의 필요에 의한 환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기존의 장치에 기능을 추가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The "automatic water return system of the saltwater aquarium" may solve some of the conventional problems, but it is equipped with a system that automatically returns depending on the sensor, so it cannot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and functions in the existing device. The disadvantage is that you cannot add.

특허문헌 선출원 특허 [0001] 제10-0713260 "자동 급배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수조장치"Patent document First application patent No. 10-0713260 "Water tank device having automatic water supply and drainage system" 특허문헌 선출원 특허 [0002] 제10-1562967 "해수어 수족관의 자동환수시스템"Patent Literature Prior Application Patent No. 10-1562967 "Automatic water return system of saltwater fish aquarium"

본 발명은 사물 인터넷을 이용하여 모바일 또는 스위치를 통해 수조의 물이 자동으로 환수(물갈이)되도록 함으로써 수조 관리에 대한 편의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사물 인터넷을 활용한 수조 자동환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설치시 수조를 파손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사물 인터넷을 활용한 수조 자동환수 장치를 부착할 수 있으며, 기존의 수조구성품에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사물 인터넷을 활용한 수조 자동환수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n automatic water tank recovery device utilizing the Internet of Things that can maximize the convenience of water tank management by allowing the water in the water tank to be automatically changed (changed) through a mobile or a switch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do.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ttach an automatic water tank automatic water recovery device that utilizes the Internet of Things stably without damaging the water tank during installation. do.

'ㄱ'자로 절곡된 파이프 형상으로서, 수조의 측벽면부에 부착가능하도록 나사부를 포함하고 있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되, 상기 순환펌프를 거쳐 공급되는 물의 방향을 수조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환수모드와 수조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모드로 전환시키는 3방향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되, 상기 3방향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유속센서;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되, 상기 3방향 솔레노이드밸브와 전기적으로 회로가 연결되어 상기 3방향 솔레노이드밸브의 유로 방향을 제어하는 구동부; 사용자에 의해 환수모드 또는 배수모드로 입력된 설정값에 따라 제어신호를 발송하는 IOT신호발송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되, 상기 IOT신호발송부에서 발송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구동부에 상기 3방향 솔레노이드밸브의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IOT신호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을 활용한 수조 자동환수 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A case in which a pipe shape bent with an'L' shape, and including a screw portion to be attached to a side wall surface portion of the water tank; A three-way solenoid valve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case to switch between a return mode to allow the direction of water supplied through the circulation pump to flow into the water tank and a drainage mode to discharge water to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A flow rate sensor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arranged to check whether the three-way solenoid valve is operated; A driving unit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ree-way solenoid valve to control a flow path direction of the three-way solenoid valve; An IOT signal transmitting unit for send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set value input by the user in a return mode or a drainage mode; Utilizing the Internet of Thing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inside the case, receiving the signal sent by the IOT signal transmitting unit, and an IOT signal receiving unit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of the three-way solenoid valve to the driving unit A water tank automatic return device is a technical point.

상기 IOT신호발송부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3방향 솔레노이드밸브에 제어신호를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을 활용한 수조 자동환수 장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IOT signal transmitting unit is a water tank automatic recovery device utilizing the Internet of Things, characterized in that a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three-way solenoid valve from a smartphone on which a mobile application is installed.

상기 사물 인터넷을 활용한 수조 자동환수 장치의 제어신호를 무선 발생시키는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을 활용한 수조 자동환수 장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be a water tank automatic water exchange device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switch for wirelessly generating a control signal of the water tank automatic water exchange device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본 발명은 사물 인터넷을 이용하여 모바일 또는 스위치를 통해 수조의 물이 자동으로 환수(물갈이)되도록 함으로써 수조 관리에 대한 편의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사물 인터넷을 활용한 수조 자동환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설치시 수조를 파손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사물 인터넷을 활용한 수조 자동환수 장치를 부착할 수 있으며, 기존의 수조구성품에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사물 인터넷을 활용한 수조 자동환수 장치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n automatic water tank recovery device utilizing the Internet of Things that can maximize the convenience of water tank management by allowing the water in the water tank to be automatically changed (changed) through a mobile or a switch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do.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ttach the automatic water tank automatic recovery device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stably without damaging the water tank during installation, and the advantage of providing the automatic water tank automatic water recovery device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that can be used in addition to the existing water tank components have.

도 1은 본 발명인 사물 인터넷을 활용한 수조 자동환수 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사물 인터넷을 활용한 수조 자동환수 장치의 장치가 배치된 상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은 본 발명인 사물 인터넷을 활용한 수조 자동환수 장치의 3방향 솔레노이드밸브의 유로변경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인 사물 인터넷을 활용한 수조 자동환수 장치의 3방향 솔레노이드밸브의 유로변경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사물 인터넷을 활용한 수조 자동환수 장치의 3방향 솔레노이드 밸브가 케이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사물 인터넷을 활용한 수조 자동환수 장치의 모바일 기기용 어플리케이션의 적용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사물 인터넷을 활용한 수조 자동환수 장치의 스위치 방식에 대한 적용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c water tank recovery device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apparatus of the automatic water tank recovery device utilizing the Internet of Things,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 view showing a change in the flow path of the three-way solenoid valve of the automatic water tank return device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is a view showing a change in the flow path of the three-way solenoid valve of the automatic water tank return device utilizing the Internet of Things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hree-way solenoid valve of a water tank automatic return device utilizing the Internet of Th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sed.
5 is a view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an application for a mobile device of a water tank automatic exchange device utilizing the Internet of Things,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pplication to the switch method of the automatic water tank recovery device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을 활용한 수조 자동환수 장치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자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automatic water tank recovery apparatus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wings to be introduced in the following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in order to sufficient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present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b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dicate the same components.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At this time, unless there are other definitions in the technical terms and scientific terms used, it has the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nd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nnecessary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be blurred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은 사물 인터넷을 활용한 수조 자동환수 장치의 구성도를, 도 2는 사물 인터넷을 활용한 수조 자동환수 장치의 장치가 배치된 상태도를 각각 나타낸다.Referring to FIGS. 1 and 2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n automatic water tank automatic exchange device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and FIG. 2 is a device of an automatic water tank automatic exchange device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Each deployed state diagram is shown.

본 발명의 수조(40)는 일반적으로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중생물을 사육하는 구조물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수조(40)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측이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The water tank 4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generally be a structure for breeding at least one aquatic organism therein, wherein the water tank 40 may be made of glass or plastic, and the upper side may be selectively opened.

상기 수조(40)의 내측에는 순환펌프(2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순환펌프(20)는 수조 내부의 물을 흡입하는 물흡입관(21)과 3방향 솔레노이드밸브(100)의 하단에 형성된 물유입구(130)로 펌핑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물유입구(130)와 결합된 물배출관(22)으로 구성되어 있다.A circulation pump 20 may be disposed inside the water tank 40, and the circulation pump 20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water suction pipe 21 and the three-way solenoid valve 100 that sucks water inside the water tank. It is composed of a water discharge pipe 22 combined with the water inlet 130 so that water pumped to the water inlet 130 can be introduced.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라 도 3a와 도 3b을 참조하면, 3a는 수조 내부로 물이 배출되어 물이 순환되는 환수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3b는 수조 외부로 물을 배출하는 배수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Referring to FIGS. 3A and 3B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is a view showing a water return mode through which water is discharged into the water tank, and 3B is a drainage mode for discharging water outside the water tank. It is a figure to show.

상기 3방향 솔레노이드밸브(100)는 상기 물배출관(22)와 결합된 물유입구(130), 상기 수조(40) 내부의 물을 순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조(40)로 물을 배출하는 내부배출구(110), 상기 수조(40)의 물을 교환하기 위하여 수조(40)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외부배출구(120)로 이루어져 있다.The three-way solenoid valve 100 is a water inlet 130 combined with the water discharge pipe 22, an internal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water to the water tank 40 so as to circulate the water inside the water tank 40 ( 110), in order to exchange water in the water tank 40, it is composed of an external discharge port 120 for discharging water inside the water tank 40 to the outside.

그리고, 상기 3방향 솔레노이드밸브(100)의 내측에 볼부(140)가 배치되되, 상기 3방향 솔레노이드밸브(100)의 상단에 배치된 구동부(200)가 외부 상용전원으로부터 전기를 인가받으면, 상기 구동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솔레노이드부(150)가 상기 볼부(140)를 회전시킨다.In addition, when the ball portion 140 is disposed inside the three-way solenoid valve 100, and the driving unit 200 disposed on the top of the three-way solenoid valve 100 receives electricity from an external commercial power source, the driving unit The solenoid portion 15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200 rotates the ball portion 140.

상기 볼부(140)의 내측에는 90도로 절곡되어 관통형성된 관통유로부(1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유로부(141)는 일측은 상기 3방향 솔레노이드밸브(100)의 물유입구(130)와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3방향 솔레노이드밸브(100)의 내부배출구(110) 또는 외부배출구(120)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inside of the ball portion 140 is formed through a through-flow portion 141 that is bent through 90 degrees and formed through, and the through-flow portion 141 has a water inlet 130 of the three-way solenoid valve 100 on one side. Is connected, the other side may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inner outlet 110 or the outer outlet 120 of the three-way solenoid valve 100.

또한, 상기 3방향 솔레노이드밸브(100)의 내부배출구(110)와 외부배출구(120)에는 각각 유속센서(160)가 배치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케이스(30) 또는 상기 3방향 솔레노이드밸브(100)와 결합된 관에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 flow rate sensor 160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discharge port 110 and the outer discharge port 120 of the three-way solenoid valve 100, and in some cases, the case 30 or the three-way solenoid valve ( 100).

아울러, 상기 유속센서(160)로부터 얻은 신호를 통하여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3방향 솔레노이드밸브(100)의 작동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속센서(160)는 상기 내부배출구(110)와 상기 외부배출구(120)의 내측 하단에 배치되거나 상기 내부배출구(100)의 입구와 상기 외부배출구(120)와 결합된 관 내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signal obtained from the flow rate sensor 160, the user can check whether the three-way solenoid valve 100 is operated by a mobile device application. And, the flow rate sensor 160 is disposed inside the lower end of the inner discharge port 110 and the outer discharge port 120 or inside the pipe of the inlet of the inner discharge port 100 and the outer discharge port 120, respectively. Can be deployed.

상기 사물 인터넷을 활용한 수조 자동환수 장치(1000)가 환수모드로 작동하면, 상기 볼부(140)가 수직축을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볼부(140)의 일측은 상기 물유입구(130)와 연통되도록 배치되며, 타측은 상기 내부배출구(110)와 연통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물유입구(130)로 유입된 물이 상기 수조(40)의 내부로 배출되도록 한다.When the water tank automatic recovery device 1000 utilizing the Internet of Things operates in a return mode, the ball 14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based on the vertical axis so that one side of the ball 140 communicates with the water inlet 130. The other side is arranged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discharge port 110 so that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water inlet 130 is discharged to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40.

상기 사물 인터넷을 활용한 수조 자동환수 장치(1000)가 배수모드로 작동하면, 상기 볼부(140)가 수직축을 기준으로 타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볼부(140)의 일측은 상기 물유입구(130)와 연통되도록 배치되며, 타측은 상기 외부배출구(120)와 연통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물유입구(130)로 유입된 물이 상기 수조(4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When the water tank automatic return device 1000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operates in a drainage mode, the ball part 140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based on the vertical axis, so that one side of the ball part 140 is provided with the water inlet 130. It is arranged to communicate, and the other side is arranged to communicate with the external discharge port 120 so that the water flowing into the water inlet 13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40.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라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3방향 솔레노이드밸브(100)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볼부(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볼부(140)를 회전시켜 상기 3방향 솔레노이드밸브(100)의 유로를 변경한다. Referring to FIGS. 1 to 3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part 20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three-way solenoid valve 10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ll part 140 and the ball part ( 140) to change the flow path of the three-way solenoid valve 100.

또한,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구동부(200)와 외부 상용전원 사이의 케이블에 어댑터와 누전차단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전차단기는 누전 등의 문제가 발생한 경우 상기 구동부(200)에 인가된 전압 자동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어댑터는 외부 상용전원에서 국내에서 사용되는 220v 전압을 상기 구동부(200)와 호환되는 수준으로 변환하도록 이루어지는 장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unit 200 may include an adapter, an earth leakage breaker, and the like in a cable between the driving unit 200 and an external commercial power source. The earth leakage breaker may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cut off the voltage applied to the driving unit 200 when a problem such as an electric leakage occurs, and the adapter may control the 220v voltage used in Korea from an external commercial power source with the driving unit 200. It may be a device configured to convert to a compatible level.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라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사물 인터넷을 활용한 수조 자동환수 장치(1000)의 IOT신호발송부(300)를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S. 1 to 6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OT signal transmitting unit 300 of the automatic water tank switching apparatus 1000 utilizing the Internet of Th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제 1예로서, 모바일 기기 또는 인터넷망이 연결된 컴퓨터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IOT신호발송부(300)에 설치된 모바일 기기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모니터링, 환수모드, 배수모드, 스케쥴 표시 등의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다. As a first example, a mobile device or a computer connected to an Internet network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functions such as monitoring, return mode, drainage mode, and schedule display through an application for a mobile device installed in the IOT signal transmission unit 300.

즉, 사용자가 상기 모바일 기기용 어플리케이션에 형성된 버튼을 선택적으로 조작하여 상기 3방향 솔레노이드밸브(100)의 유로를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발송한다.That is, the user selectively controls a button formed in the application for the mobile device to send a control signal for changing the flow path of the three-way solenoid valve 100.

제 2예로서, 사물 인터넷을 활용한 수조 자동환수 장치(1000)의 IOT신호발송부(300)는 복수개의 수조(40)가 배치되어 있을시 한개 이상의 그룹으로 설정하여 사물 인터넷을 활용한 수조 자동환수 장치(10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스위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한 개의 스위치에 복수개의 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스위치는 배수모드가 설정된 스위치와 환수모드가 설정된 스위치로 나뉠 수 있다.As a second example, the IOT signal transmitting unit 300 of the automatic water tank returning device 1000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is set to one or more groups when a plurality of water tanks 40 are arranged, and the water tank is automatically utilized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It may be formed of a switch to control the water exchange device 1000. A plurality of switches may be formed, and a plurality of devices may be connected to one switch. In addition, the switch may be divided into a switch with a drainage mode and a switch with a return mode.

사용자가 설정된 기능이 적용된 스위치를 누르면 사물 인터넷을 활용한 수조 자동환수 장치(1000)가 설치되어 있는 수조(40)가 설정값에 맞게 구동하여 상기 수조(40) 내부의 물이 배수되거나, 환수될 수 있다. When the user presses the switch to which the set function is applied, the water tank 40 in which the water tank automatic recovery device 1000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is installed is driven according to the set value so that the water inside the water tank 40 is drained or returned. Can be.

본 발명인 사물 인터넷을 활용한 수조 자동환수 장치(1000)의 IOT신호수신부(400)는, 상기 IOT신호발송부(300)가 전송한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와이파이 모듈 또는 RF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면, 다른 통신모듈이 형성될 수 있다.The IOT signal receiving unit 400 of the water tank automatic exchange device 1000 utilizing the Internet of Things,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Wi-Fi module or an RF module capable of receiving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by the IOT signal transmitting unit 300 Can be. Of course, if the data communication is possible in the present invention, other communication modules may be formed.

상기 구동부(200)가 상기 IOT신호발송부(300)에서 발송한 신호를 상기 IOT신호수신부(400)로 전달하면, 상기 구동부(200)는 수신받은 신호에 맞는 설정값으로 구동하여 상기 3방향 솔레노이드밸브(100) 내측에 배치된 볼부(140)를 회전시키고 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수조(40)내부의 물을 순환시키거나 배출할 수 있다.When the driving unit 200 transmits the signal sent from the IOT signal transmitting unit 300 to the IOT signal receiving unit 400, the driving unit 200 drives to the set valu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ignal to drive the three-way solenoid The ball portion 140 disposed inside the valve 100 is rotated and a pump is driven to circulate or discharge water inside the water tank 40.

본 발병의 제 1실시예에 따라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3방향 솔레노이드밸브(100)와 상기 구동부(200), 상기 IOT수신부(400)는 케이스(30)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3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기 회로부분이 손상되거나 부식, 녹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30)에는 상기 3방향 솔레노이드밸브(100)에 형성된 내부배출구(110), 물유입구(130)가 배치될 수 있는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홀을 통하여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홀과 상기 내부배출구(110), 물유입구(130)사이에 고무패킹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onset, the three-way solenoid valve 100, the driving unit 200, and the IOT receiving unit 400 may be disposed inside the case 30. The case 30 may be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and may prevent damage to the electrical circuit, corrosion, and rust. In addition, a hole (not shown) in which the inner discharge port 110 and the water inlet port 130 formed in the three-way solenoid valve 100 may be disposed may be formed in the case 30, and water may be formed through the hole. A rubber packing may be formed between the hole, the inner outlet 110, and the water inlet 130 so as not to flow.

또한 상기 케이스(30)는 'ㄱ'자로 절곡된 파이프 형상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로대와 세로대가 연통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케이스(30)의 가로대 내측 하면에는 상기 3방향 솔레노이드밸브(10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세로대의 측면에는 나사부(31)가 형성되어 상기 수조(40)의 측벽면에 상기 수조(40)의 파손이 없이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나사부(31)는 상기 수조(40)의 측벽면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수조(40)의 내측에 덧대어지도록 이루어지는 내부판과 볼트, 그리고 상기 세로대의 측면에 형성된 수나사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case 30 is a pipe shape bent with an'L' shape, and more specifically,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cross bar and a vertical bar communicate. The three-way solenoid valve 100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ross case of the case 30, and a thread portion 31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vertical bar to form the water tank 40 on the side wall surface of the water tank 40. It can be formed so as to be able to combine without damage. In more detail, the screw portion 31 is disposed on an upper side of the side wall surface of the water tank 40 and is made of an inner plate and a bolt padded inside the water tank 40, and a male thread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vertical bar. It can be done.

즉, 상기 수조(40)의 내부에 내부판을 덧대고 상기 케이스(30)의 세로대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마주보도록 배치한 후, 수나사부를 상기 내부판과 상기 수나사부에 나사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나사부가 나사결합됨에 따라 상기 내부판과 상기 세로대 사이에 배치된 상기 수조(40)의 측벽면이 조여져 상기 케이스(40)가 고정될 수 있다.That is, after the inner plate is placed on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40 and placed so as to face the male screw portion formed on the vertical stand of the case 30, the male screw portion may be screwed to the inner plate and the male screw portion. At this time, as the male screw portion is screwed, the side wall surface of the water tank 40 disposed between the inner plate and the vertical bar is tightened to fix the case 40.

또한, 상기 케이스(40)에는 상기 수나사부가 원활히 결합되도록 덧댈 수 있는 내부판(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se 40 may include an inner plate (not shown) that can be padded so that the male screw portion is smoothly coupled.

또한, 상기 내부배출구(110)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상기 케이스(30)안에 다시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내부배출구(110)의 끝단부는 상기 케이스(30)와 차단되도록 상기 케이스(30) 내부에 격벽이 형성된다. 즉, 상기 케이스(30)에 형성된 격벽에 상기 내부배출구(110)가 배치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과 상기 내부배출구(110) 사이에는 고무패킹이 형성되어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a partition wall is formed inside the case 30 so that the end portion of the inner outlet 110 is blocked from the case 30 so that water discharged from the inner outlet 110 does not flow back into the case 30. do. That is, a hole through which the inner discharge port 110 can be disposed is formed on the partition wall formed in the case 30, and a rubber packing is formed between the hole and the inner discharge port 110 to increase airtightness.

또한, 상기 케이스(30)를 형성하는 가로대와 세로대의 하면에 각각 홀이 형성되어 상기 물유입구(130)와 상기 외부배출구(120)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holes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s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columns forming the case 30 so that the water inlet 130 and the external outlet 120 are disposed.

그리고, 상기 케이스(30)는 상기 나사부(31)를 이용하여 상기 수조(40)에 부착될 때, 상기 케이스(30)의 일측은 상기 내부배출구(110)에서 물을 수조 내측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수조(40)의 내측방향으로, 타측은 상기 외부배출구(120)에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수조(40)의 외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n, when the case 30 is attached to the water tank 40 using the screw portion 31, one side of the case 30 can discharge water from the inner discharge port 110 into the water tank inside.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water tank 40, the other side may be arranged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water tank 40 to discharge water from the external discharge port 120 to the outside.

본 발명인 사물 인터넷을 활용한 수조 자동환수 장치(1000)는, The water tank automatic exchange device 1000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상기 IOT신호발송부(300)를 통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시스템의 모드 설정값을 지정한다. 그리고 상기 IOT신호발송부(300)에서 상기 IOT신호수신부(400)로 제어신호가 발송되며, 상기 IOT신호발송부(300)와 상기 IOT신호수신부(400) 사이에는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공유기 또는 와이파이 장치가 배치되고, 이를 통해 IOT신호수신부(400)에 전달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200)가 설정값에 맞도록 구동한다.First, a mode setting value of a system is designated by executing the application for the mobile device through the IOT signal transmission unit 300. In addition, a control signal is sent from the IOT signal transmitting unit 300 to the IOT signal receiving unit 400, and a sharer that can exchange data between the IOT signal transmitting unit 300 and the IOT signal receiving unit 400 or A Wi-Fi device is disposed, and the driving unit 200 is driven to match the set valu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to the IOT signal receiving unit 400.

예로서, 사용자가 상기 모바일 기기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환수모드로 설정하면, 상기 구동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솔레노이드부(150)에 결합된 샤프트(미도시)가 수직축을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샤프트와 결합된 상기 볼부(140)가 함께 회전한다. 아울러 상기 볼부(140)의 내측에 관통형성된 상기 관통유로부(141)의 일측은 상기 물유입구(130)와 연통된 상태로 회전하며, 타측은 상기 내부배출구(110)와 연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순환펌프(20)에서 배출되는 수조(40) 내부의 물이 상기 물배출관(22)을 거쳐 상기 물유입구(130)로 유입되며, 유입된 물은 상기 관통유로부(141)에서 상기 내부배출구(110)를 통해 다시 상기 수조(40) 내부로 인입된다.For example, when the user sets the water return mode through the application for the mobile device, a shaft (not shown) coupled to the solenoid unit 15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200 rotates in one direction based on a vertical axis. The ball portion 140 coupled with the shaft rotates together. In addition, one side of the through passage portion 141 formed through the inside of the ball portion 140 rotates in communication with the water inlet 130, and the other side can be arranged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outlet 110. . And the water inside the water tank 40 discharged from the circulation pump 20 flows into the water inlet 130 through the water discharge pipe 22, and the introduced water flows from the through passage part 141 to the inside. It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tank 40 through the outlet 110 again.

또한, 사용자가 상기 모바일 기기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배수모드로 설정하면, 상기 구동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솔레노이드부(150)에 결합된 샤프트가 수직축을 기준으로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샤프트와 결합된 상기 볼부(140)가 함께 회전한다. 아울러 상기 볼부(140)의 내측에 관통형성된 상기 관통유로부(141)의 일측은 상기 물유입구(130)와 연통된 상태로 회전하며, 타측은 상기 외부배출구(120)와 연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순환펌프(20)에서 배출되는 수조(40) 내부의 물이 상기 물배출관(22)을 거쳐 상기 물유입구(130)로 유입되며, 유입된 물은 상기 관통유로부(141)에서 상기 외부배출구(120)를 통해 상기 수조(40)의 외부로 배출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sets the drain mode through the application for the mobile device, the shaft coupled to the solenoid 15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200 rotates in the other direction based on the vertical axis to be coupled with the shaft. The ball 140 rotates together. In addition, one side of the through-pass portion 141 formed through the inside of the ball portion 140 rotates in communication with the water inlet 130, and the other side can be arranged to communicate with the external outlet 120. . And the water inside the water tank 40 discharged from the circulation pump 20 flows into the water inlet 130 through the water discharge pipe 22, and the introduced water flows from the through passage part 141 to the outside.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40 through the outlet 12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the like have been described by the limited embodiment drawings, but these are provided only to help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one embodiment N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se descriptio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termined, and all claims that are equivalent or equivalent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he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below belong to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20 : 순환펌프 21 : 물흡입관
22 : 물배출관 30 : 케이스
31 : 나사부 40 : 수조
100 : 3방향 솔레노이드밸브 110 : 내부배출구
120 : 외부배출구 130 : 물유입구
140 : 볼부 150 : 솔레노이드부
141 : 관통유로부 160 : 유속센서
200 : 구동부 300 : IOT신호발송부
400 : IOT신호수신부
20: circulating pump 21: water suction pipe
22: water discharge pipe 30: case
31: thread 40: water tank
100: 3-way solenoid valve 110: internal outlet
120: external outlet 130: water inlet
140: ball portion 150: solenoid portion
141: through passage 160: flow sensor
200: driving unit 300: IOT signal transmission unit
400: IOT signal receiver

Claims (3)

'ㄱ'자로 절곡된 파이프 형상으로서, 수조(40)의 측벽면부에 부착가능하도록 나사부(31)를 포함하고 있는 케이스(30);
상기 케이스(30)의 내측에 배치되되, 상기 순환펌프(20)를 거쳐 공급되는 물의 방향을 수조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환수모드와 수조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모드로 전환시키는 3방향 솔레노이드밸브(100);
상기 케이스(30)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3방향 솔레노이드밸브(100)의 작동여부를 확인하는 유속센서(160);
상기 케이스(30)의 내측에 배치되되, 상기 3방향 솔레노이드밸브(100)와 전기적으로 회로가 연결되어 상기 3방향 솔레노이드밸브(100)의 유로 방향을 제어하는 구동부(200);
사용자에 의해 환수모드 또는 배수모드로 입력된 설정값에 따라 제어신호를 발송하는 IOT신호발송부(300);
상기 케이스(30)의 내측에 배치되되, 상기 IOT신호발송부(300)에서 발송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구동부(200)에 상기 3방향 솔레노이드밸브(100)의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IOT신호수신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을 활용한 수조 자동환수 장치
A case 30 having a pipe shape bent with a letter'a', including a screw portion 31 to be attached to a side wall surface portion of the water tank 40;
A three-way solenoid valve (100) disposed inside the case (30) to switch between a return mode to allow the direction of water supplied through the circulation pump (20) to flow into the water tank and a drainage mode to be discharged outside the water tank (100) );
A flow velocity sensor 160 disposed inside the case 30 to check whether the three-way solenoid valve 100 operates;
A driving unit 200 disposed inside the case 3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ree-way solenoid valve 100 to control a flow direction of the three-way solenoid valve 100;
An IOT signal sending unit 300 for send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set value input by the user in a return mode or a drainage mode;
IOT signal receiving unit disposed inside the case 30, receiving the signal sent from the IOT signal transmitting unit 300,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of the three-way solenoid valve 100 to the driving unit 200 (400); automatic water tank recovery device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IOT신호발송부(300)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3방향 솔레노이드밸브(100)에 제어신호를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을 활용한 수조 자동환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IOT signal transmission unit 300,
Automatic water tank recovery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characterized in that it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three-way solenoid valve (100) from a smartphone with a mobile application install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IOT신호발송부(300)는,
상기 사물 인터넷을 활용한 수조 자동환수 장치(1000)의 제어신호를 무선 발생시키는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을 활용한 수조 자동환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IOT signal transmission unit 300,
Automatic water tank recovery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switch that wirelessly generates a control signal of the automatic water tank recovery system (1000)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KR1020180146817A 2018-11-23 2018-11-23 Water exchange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KR1021891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817A KR102189198B1 (en) 2018-11-23 2018-11-23 Water exchange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817A KR102189198B1 (en) 2018-11-23 2018-11-23 Water exchange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370A true KR20200063370A (en) 2020-06-05
KR102189198B1 KR102189198B1 (en) 2020-12-09

Family

ID=71089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6817A KR102189198B1 (en) 2018-11-23 2018-11-23 Water exchange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919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0534A (en) 2021-11-30 2023-06-07 김준우 Automatic water exchange system for fish tan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0729B1 (en) * 2019-11-20 2021-10-08 김이호 Apparatus for raising reptil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260B1 (en) 2005-03-21 2007-05-02 주식회사 포시산업 Aquarium with automatic water supply and drain system
KR100756662B1 (en) * 2006-03-10 2007-09-07 영일산업기술 주식회사 Instantaneous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apparatus
KR101562967B1 (en) 2015-04-24 2015-10-23 이병섭 Water tank for sea fish of cleaning aquarium system
KR20170045079A (en) * 2015-10-16 2017-04-26 이용복 A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of aquarium
JP2017086006A (en) * 2015-11-12 2017-05-25 ジェックス株式会社 Filter for water bath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260B1 (en) 2005-03-21 2007-05-02 주식회사 포시산업 Aquarium with automatic water supply and drain system
KR100756662B1 (en) * 2006-03-10 2007-09-07 영일산업기술 주식회사 Instantaneous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apparatus
KR101562967B1 (en) 2015-04-24 2015-10-23 이병섭 Water tank for sea fish of cleaning aquarium system
KR20170045079A (en) * 2015-10-16 2017-04-26 이용복 A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of aquarium
JP2017086006A (en) * 2015-11-12 2017-05-25 ジェックス株式会社 Filter for water bath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0534A (en) 2021-11-30 2023-06-07 김준우 Automatic water exchange system for fish ta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9198B1 (en) 202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3537B2 (en) Aquaculture pump system and method
KR20200063370A (en) Water exchange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KR101449626B1 (en) Remote control system of a fish-raising farm
US20140059759A1 (en) Automatic Liquid Handling and Temperature Control for a Spa
US20190010619A1 (en)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CN105178395A (en) Water supply/drainage system
CN202853120U (en) Circular type heat pump machine set constant temperature water supplement device
JP2024040464A (en) Field water management system and hydrant control device
US20110232775A1 (en) Flow through humidifier recirculating pump
US10070628B2 (en) Marine aquarium water purification and salinit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KR101370487B1 (en) Heat collecting apparatus of multi stage typ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emperature of water tank
CN103070132A (en) Temperature control device in seawater breeding pond water reflow treatment
CN204689774U (en) Rural area integrated ultrafiltration membrane equipment on-line monitoring system
CN211960593U (en) Aquarium fish tank with upper filtering system
KR100923745B1 (en) Heating system which uses solar energy
JP2002095381A (en) Ebb and flow aquarium automatically controlling water level
CN208800145U (en) Water bath with thermostatic control equipment
KR20130133930A (en) System for supplying sea water for fish farm
KR200204966Y1 (en) A live-fish aquarium control system
CN208317962U (en) A kind of fish jar automatic circulating picture-changing water installations
CN208199350U (en) A kind of food fresh keeping transport device
GB0210496D0 (en) Support platform for integrated system control of an appliance
TWM544083U (en) Cloud aquaculture ecology monitoring device
KR200371642Y1 (en) Feeding system installing onto the land area adjecent to the shore
CN108633823A (en) A kind of seawater fish jar water body modula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