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2909A -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의 입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의 입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2909A
KR20200062909A KR1020180148880A KR20180148880A KR20200062909A KR 20200062909 A KR20200062909 A KR 20200062909A KR 1020180148880 A KR1020180148880 A KR 1020180148880A KR 20180148880 A KR20180148880 A KR 20180148880A KR 20200062909 A KR20200062909 A KR 20200062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key input
input
unique signal
elapsed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8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경수
신동수
김도삼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8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2909A/ko
Publication of KR20200062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29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Abstract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의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은, 선순위 고유신호 식별번호가 지정 할당되어 패널 상에 배치된 개별 터치 스위치들, 상기 개별 터치 스위치들이 위치하는 해당 각 영역 범위에서 후순위 고유신호 식별번호를 지정 할당할 수 있도록 배치된 터치 조작부; 및 상기 개별 터치 스위치들에 전달되는 터치 키 입력의 경과 시간을 설정 기준값과 비교 판단하여 터치 키 입력의 경과 시간이 설정 기준값을 벗어나는 경우, 후순위 고유신호 식별번호를 지정 선택한 것으로 키 입력 신호를 변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의 입력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input processing of wheel type touch slide switch}
본 발명은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의 조작부 입력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하고 사용자 의도대로 입력과 미세 조작이 가능하도록 사용 편의성을 개선한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의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일러, 가스 및 전기 조리 가열기구, 냉장고, 가전 제품 등 디지털 기기들은 경량화, 슬림화 등의 설계에 따라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입력 수단이 버튼형 스위치에서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 등으로 대체되어 있다.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의 작동 방식은 메뉴 선택에서 손가락으로 스치듯 터치하여 작동할 수 있으므로 간편하게 입력 신호를 전달하고 적용 제품 사양을 고급스러운 이미지로 디자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로 포함될 수 있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스크린 표면에 전하를 충전하고 그 둘레에 센서들을 설치한 후 손가락과 같은 도전체의 접촉시 전하가 상실된 정도를 감지해 접촉이 이루어진 곳을 파악하고 손가락이 화면에 접촉된 순간을 입력 신호가 출력된 것으로 인식하도록 되어 있다.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의 작동 방식은 보통의 경우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거나 화살표 등을 눌러서 조작하도록 되어 있지만 구동 방식의 특성상 외부의 전기적 노이즈에 취약하여 여러가지 형태의 오동작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존의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는 스위치 입력 인가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가락 위치인 접촉부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 접촉부의 위치 및 위치 변경 속도에 따라 슬라이드 스위치의 입력이 확정되지 않고 미확정 상태로 설정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wheel type touch slide switch)의 터치 조작부는 터치 조작부가 횡 또는 종 방향으로 배열된 직렬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의 터치 조작부에 비해 원하는 설정과 미세 조작을 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다. 이로 인해 터치 조작부 슬라이드 조작시 사람의 손가락이 조작부의 중심과 다른 각도로 조작을 하게 되기 때문에 터치 인식을 하는 센서 눌림의 오조작 및 인식률 저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각각의 터치 센서간 간격을 넓게 하거나 개별 터치 센서 부품을 추가하여 개선할 수 있으나 이런 경우 기판 상에서 터치 조작부가 차지하는 면적이 커지고 이에 따른 기구 설계 공간 제약과 재료비가 상승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국내공개특허공보 10-2012-0002891(공개일 2012년01월09일)
특허문헌 2. 국내공개특허공보 10-2012-0107231(공개일 2012년10월02일)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중 하나는,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의 조작부 입력을 정확하게 판단하고 사용자 의도대로 입력과 미세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은, 본 발명에 따르면, 선순위 고유신호 식별번호가 지정 할당되어 패널 상에 배치된 개별 터치 스위치들, 상기 개별 터치 스위치들이 위치하는 해당 각 영역 범위에서 후순위 고유신호 식별번호를 지정 할당할 수 있도록 배치된 터치 조작부; 및 상기 개별 터치 스위치들에 전달되는 터치 키 입력의 경과 시간을 설정 기준값과 비교 판단하여 터치 키 입력의 경과 시간이 설정 기준값을 벗어나는 경우, 후순위 고유신호 식별번호를 지정 선택한 것으로 키 입력 신호를 변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의 입력 장치로부터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터치 키 입력의 경과 시간을 판단하는 터치 키 입력 상태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터치 키 입력 상태 판단부로부터 체크된 키 입력 상태와 경과 시간을 기설정된 기준값과 비교 판단하는 비교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비교 판단부로부터 판단된 터치 키 입력의 경과시간이 설정된 기준값 보다 큰 경우 후순위 고유신호 입력번호로 자동 넘김을 지시하는 키 입력 설정 모드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들은, 본 발명에 따르면, 선순위 고유신호 식별번호가 지정 할당되어 배치된 개별 터치 스위치들이 위치하는 해당 각 영역 범위에서 후순위 고유신호 식별번호를 지정 할당할 수 있도록 배치된 터치 조작부의 터치 스위치를 통해 키 입력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개별 터치 스위치들에 전달되는 터치 키 입력의 경과 시간을 설정 기준값과 비교 판단하여 터치 키 입력의 경과 시간이 설정 기준값을 벗어나는 경우, 후순위 고유신호 식별번호를 선택한 것으로 키 입력 신호를 변환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의 입력 방법으로부터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단계는, 터치 키 입력의 경과 시간을 판단하는 터치 키 입력 상태 판단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단계는, 터치 키 입력 상태 판단단계로부터 체크된 키 입력 상태와 경과 시간을 기설정된 기준값과 비교 판단하는 비교 판단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단계는, 비교 판단 단계로부터 판단된 터치 키 입력의 경과시간이 설정된 기준값 보다 큰 경우 후순위 고유신호 입력번호로 자동 넘김을 지시하는 키 입력 설정 모드 변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의 터치 조작부 입력을 정확하게 판단하고 사용자 의도대로 입력과 미세 조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의 사용 편의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의 터치 조작부 인식률을 제고시키기 위한 터치 센서의 간격 확보나 개별 터치 센서의 부품 추가 및 터치 조작부의 면적 증가 없이 터치 조작부의 인식률을 제고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터치 조작부가 휠 타입으로 디자인된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2는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의 터치 조작부에서 사용자가 스위치를 터치 조작할 때 입력 오류가 없는 이상적인 터치 입력 조작의 예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3은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의 터치 조작부에서 나타날 수 있는 사용자에 의한 개별 터치 스위치의 입력 조작의 예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4의 (a)(b)(c)는 개별 터치 스위치의 입력 조작 예를 도식도로 나타낸 예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의 예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의 최솟값 키 입력에서 후순위 고유신호 입력번호로 키 입력 설정 모드 변환을 통해 입력번호가 자동 설정되는 예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의 최대값 키 입력에서 후순위 고유신호 입력번호로 키 입력 설정 모드 변환을 통해 입력번호가 자동 설정되는 예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의 중간값 키 입력에서 후순위 고유신호 입력번호로 키 입력 설정 모드 변환을 통해 입력번호가 자동 설정되는 예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고유신호 입력번호의 자동 설정의 예를 나타낸 플로우 챠트의 예시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의 입력 장치 및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는 개별 터치 스위치들의 배치 유형이 원주상으로 배열된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고유신호 입력번호'는 기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입력되는 임의의 입력신호로서 터치 조작부의 패널 표면에 프린팅된 된 임의의 숫자이고, 입력번호가 할당되어 터치 스위치의 키 입력을 직접 받는 경우를 '선순위 고유신호 입력번호'로, 입력번호가 할당되지 않고 터치 스위치의 키 입력을 직접 받지 않는 경우를 '후순위 고유신호 입력번호'로 임의로 구분한다.
선순위/후순위 고유신호 입력번호는 '1단, 2단, 3단...N단' 등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터치 조작부'는 원형 배열의 개별 터치 스위치들을 포함하여 기기 동작을 제어하는 터치 스위치들이 집합된 패널의 전체를 일컫는 의미이다.
원주상으로 배열된 '개별 터치 스위치'들의 수는 각 도면에서 '6'개 (S1/S2/S3/S4/S5/S6)로 되어 있으나 그 숫자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 도면에서 개별 터치 스위치들을 구분하는 '고유신호 입력번호'는 홀수로 표시되어 있으나 짝수로 표기될 수 있으며,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터치 키 입력'은 '터치 입력 키'로도 혼용될 수 있으며 이는 공통적으로 터치 스위치를 스치듯 '터치'하거나 '누름'에 따라 제어부로 입력될 수 있는 신호의 의미일 수 있다.
도 1은 터치 조작부가 휠 타입으로 디자인된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100a)는 터치 조작부(110a)를 구성하는 패널(120a)이 있고, 패널(120a)에는 터치 입력을 제어부(미도시)에 입력 신호로 전달하기 위한 메인 터치 스위치(S) 및 개개의 터치 스위치(S1/S3/S5/S7/S9/S11)들을 원주상으로 배열시켜 스위치의 위치가 구조적으로 휠 타입으로 디자인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100a)의 사용 즉 터치 입력 조작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조작부(110a)의 패널(120)에 배치된 메인 터치 스위치(S) 또는 개개의 터치 스위치(S1/S3/S5/S7/S9/S11)들을 누르거나 스치듯 터치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는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의 터치 조작부에서 사용자가 스위치를 터치 조작할 때 입력 오류가 없는 이상적인 터치 입력 조작의 예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개별 터치 스위치(S1/S3/S5/S7/S9/S11)들이 각각 원주상으로 '1,3,5,7,9,11'로 구분되는 고유신호 입력번호(또는 입력 단수)인 홀수형 고유신호 입력번호가 주어진 조건에서 입력 오류 가능성이 가장 낮은 이상적인 터치 입력의 예는 하나의 터치 스위치에 대하여 하나의 터치 포인트가 정확히 작용할 때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유신호 입력번호 '1','5','9'를 지정하여 입력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5','9'번에 해당하는 터치 스위치(S1)(S5)(S9)를 정확히 누르거나 터치하면 터치 포인트가 해당 개별 터치 스위치에 정확히 전달되어 조작 오류나 에러 없이 인식될 수 있다. 도 2는 개별 스위치들에 정확히 터치 포인트가 작용되어 입력 오류가 없는 이상적인 터치 입력 조작의 예를 보여준다.
그러나, 도 2에서 보여주는 터치 조작과는 다르게 실제 조작에서는 고유신호 입력번호로서 홀수가 아닌 짝수의 2,4,6,8,10 고유신호 입력번호를 지정하여 입력하는 경우도 생기는데 이 경우에는 인식률이 저하될 수 있다. 이를 도 3 및 도 4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의 터치 조작부에서 나타날 수 있는 사용자에 의한 개별 스위치 터치 입력 조작의 예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4는 개별 스위치 터치 입력 조작의 예를 도식도로 나타낸 예시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고유신호 입력번호로서 홀수가 아닌 짝수의 2,4,6,8,10 고유신호 입력번호 중 어느 하나를 지정 선택하여 입력하는 경우(예를 들면 도 3과 같이 고유신호 입력번호로서 짝수 '4'의 입력번호를 포함하여 터치 조작을 하는 경우, 도 4의 (b)와 같이 고유신호 입력번호로서 짝수 '2'의 입력번호를 포함하여 터치 조작을 하는 경우), 도 3에서는 고유신호 입력번호 짝수 '4'에서, 도 4의 (b)에서는 고유신호 입력번호 짝수 '2'에서 인식률 저하가 발생될 수 있다.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의 터치 조작부 조작에 따른 인식률 저하 원인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터치 조작부(110a)의 '고유신호 입력번호'를 선택하는 개별 터치 스위치(S1~S6)들을 홀수로 설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터치 포인트를 세팅하도록 설계된 경우, 주로 고유신호 식별번호로서 '홀수'가 아닌 '짝수'를 선택할 때 입력 오류나 인식률 저하가 발생될 수 있다.
도 3은 후순위 고유신호 식별번호로서 '4'를 선택 지정할 때 나타날 수 있는 인식률 저하의 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 사용자는 보통의 경우 후순위 고유신호 식별번호 '4'를 선택 지정 입력하기 위하여 선순위 고유신호 입력번호의 '3'과 '5'로 할당된 두 개의 터치 스위치인 'S3'와 'S5'의 중간 지점을 목표로 터치 포인트를 정하고 해당 부분을 집중적으로 터치하게 되지만, 터치 스위치 'S3'와 'S5' 사이의 공간이 좁은 경우 터치 입력 신호는 두개의 터치 스위치 'S3'와 'S5'에 동시에 전달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입력 오류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선순위 고유신호 입력번호를 홀수로 배열해놓고 해당 홀수를 선택 지정할 수 있도록 터치 스위치를 대응 위치에 두어 터치 포인트를 형성하는 한편 홀수가 아닌 짝수의 선택 지정은 각 터치 스위치들(S1~S11)의 사이가 되도록 세팅된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100a)의 경우, 예를 들면 선순위 고유신호 입력번호가 할당된 1,3,5,7,9,11인 6개 터치 스위치(S1~S11)를 제외한 각각의 후순위 고유신호 입력번호인 2,4,6,8,10에서 입력 오류에 의한 인식률 저하가 발생될 수 있다.
도 4의 (a)는 선순위 고유신호 식별번호로서 '1'을 선택하고 터치 스위치 S1을 터치하는 경우로서 인식률 저하 가능성이 낮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4의 (b)는 선순위 고유신호 식별번호로서 '2'를 선택 지정할 때 나타날 수 있는 인식률 저하의 경우로서, '1'과 '3' 사이의 '고유신호 입력번호'인 '2'를 선택할 경우 터치 조작에서 인식률 저하가 발생될 수 있다.
도 4의 (c)는 선순위 고유신호 식별번호로서 '3'을 선택하고 터치 스위치 S3을 터치하는 경우로서 인식률 저하 가능성이 낮은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의 터치 조작부 인식률을 제고시키기 위한 터치 센서의 간격 확보나 개별 터치 센서의 부품 추가 및 터치 조작부의 면적 증가나 설계 변경 없이 키 입력의 인식률을 제고시켜 터치 조작부 키 입력을 정확하게 판단하고 사용자 의도대로 입력과 미세 조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의 사용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의 입력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고유신호 입력번호'는 기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입력되는 임의의 입력신호로서 터치 조작부의 패널 표면에 프린팅된 된 숫자, 또는 눈금 표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번호가 할당되고 대응되는 터치 스위치의 키 입력을 직접 받는 경우를 '선순위 고유신호 입력번호', 입력번호가 할당되지 않고 터치 스위치의 키 입력을 직접 받지 않는 경우를 '후순위 고유신호 입력번호'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의 예시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장치(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입력 장치(130)로는 선순위 고유신호 식별번호가 지정 할당되어 패널(120) 상에 배치된 개별 터치 스위치(S1~S11)들을 포함한다. 그리고, 개별 터치 스위치(S1~S11)들이 위치하는 해당 각 영역 범위에서 후순위 고유신호 식별번호를 지정 할당할 수 있도록 배치된 터치 조작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개별 터치 스위치(S1~S11)들에 전달되는 터치 키 입력의 경과 시간을 설정 기준값과 비교 판단하여 터치 키 입력의 경과 시간이 설정 기준값을 벗어나는 경우, 후순위 고유신호 식별번호를 지정 선택한 것으로 변환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터치 키 입력의 경과 시간을 판단하는 터치 키 입력 상태 판단부(210), 터치 키 입력 상태 판단부(210)로부터 체크된 키 입력 상태와 경과 시간을 기설정된 기준값과 비교 판단하는 비교 판단부(220) 및 비교 판단부(220)로부터 판단된 터치 키 입력의 경과시간이 설정된 기준값 보다 큰 경우 후순위 고유신호 입력번호로 자동 넘김을 지시하는 키 입력 설정 모드 변환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조작부(110)에서 입력 키 설정 모드를 선순위 고유신호 입력번호에서 후순위 고유신호 입력번호로 자동으로 변환되는 모드 변환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의 최솟값 키 입력에서 후순위 고유신호 입력번호로 키 입력 설정 모드 변환을 통해 입력번호가 자동 설정되는 예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의 최대값 키 입력에서 후순위 고유신호 입력번호로 키 입력 설정 모드 변환을 통해 입력번호가 자동 설정되는 예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의 중간값 키 입력에서 후순위 고유신호 입력번호로 키 입력 설정 모드 변환을 통해 입력번호가 자동 설정되는 예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100)의 터치 조작부(110)의 패널(120)에 배치된 선순위 고유신호 입력번호가 1,3,5,7,9,11이고, 각각의 해당 선순위 고유신호 입력번호들은 키 입력으로 선택될 수 있는 6개의 개별 터치 스위치(S1~S11)들로 터치 포인트를 배치하여 세팅된 조건(a)일 때, 각각 최솟값, 최대값, 중간값에 따른 키 입력 설정 모드 변환을 통한 입력번호는 아래와 같이 자동 설정될 수 있다.
1) 도 6을 참조하면, 고유신호 입력번호 최솟값(상기 조건(a)에서 최솟값은 '1'이다)은 선순위 고유신호 입력번호에 해당하는 터치 스위치(상기 조건(a)에서 최솟값의 입력 키는 터치 스위치 'S1'이다)를 터치하거나 누르는 것으로 선택될 수 있다. 최솟값이 선택된 상태에서 키 입력 경과시간이 설정 기준값을 초과하면 +1을 더하여 후순위 고유신호 입력번호(상기 조건(a)에서 후순위 고유신호 입력번호는 '2'이다)를 선택 결정하는 키 입력 설정 모드 변환을 통해 자동 설정될 수 있다.
2) 도 7을 참조하면, 고유신호 입력번호 최대값(상기 조건(a)에서 최대값은 '11'이다)은 선순위 고유신호 입력번호에 해당하는 터치 스위치(상기 조건(a)에서 최대값의 입력 키는 터치 스위치 'S11'이다)를 터치하거나 누르는 것으로 선택될 수 있다. 최대값이 선택된 상태에서 키 입력 경과시간이 설정 기준값을 초과하면 -1을 감하여 후순위 고유신호 입력번호(상기 조건(a)에서 후순위 고유신호 입력번호는 '10'이다)를 선택 결정하는 키 입력 설정 모드 변환을 통해 자동 설정될 수 있다.
3) 도 8을 참조하면, 고유신호 입력번호 중간값(상기 조건(a)에서 중간값은 '2~10'이다)은 선순위 고유신호 입력번호에 해당하는 터치 스위치(상기 조건(a)에서 중간값의 입력 키는 터치 스위치 'S1~S11'이다)를 터치하거나 누르는 것으로 선택될 수 있다. 중간값이 선택된 상태에서 키 입력 경과시간이 설정 기준값을 초과하면 +1을 더하거나 -1을 감하여 후순위 고유신호 입력번호(상기 조건(a)에서 후순위 고유신호 입력번호는 '2~10'이다)를 선택 결정하는 키 입력 설정 모드 변환을 통해 자동 설정될 수 있다.
4) 고유신호 입력번호 최솟값과 최대값이 동시에 입력되는 경우 순차적으로 입력번호가 낮은 번호에서 높은 번호로 입력번호가 올라가도록 자동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 사용자는 터치 스위치의 위상 배열 위치, 개별 스위치들 간의 간극 및 터치 포인트의 접촉 면적 등을 포함하는 터치 조작부의 패널 디자인과 관계없이 정해진 터치 스위치의 터치나 누름 시간을 조작 메뉴얼에 준하여 조작하는 것만으로 기기의 조작과 제어를 키 입력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류와 에러 없이 신뢰성 있게 실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양호한 조작 편의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 입력 처리 방법은, 선순위 고유신호 식별번호가 지정 할당되어 배치된 개별 터치 스위치들이 위치하는 해당 각 영역 범위에서 후순위 고유신호 식별번호를 지정 할당할 수 있도록 배치된 터치 조작부의 터치 스위치를 통해 키 입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개별 터치 스위치들에 전달되는 터치 키 입력의 경과 시간을 설정 기준값과 비교 판단하여 터치 키 입력의 경과 시간이 설정 기준값을 벗어나는 경우, 후순위 고유신호 식별번호를 선택한 것으로 키 입력 신호를 변환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단계는, 터치 키 입력의 경과 시간을 판단하는 터치 키 입력 상태 판단 단계, 터치 키 입력 상태 판단단계로부터 체크된 키 입력 상태와 경과 시간을 기설정된 기준값과 비교 판단하는 비교 판단 단계, 및 비교 판단 단계로부터 판단된 터치 키 입력의 경과시간이 설정된 기준값 보다 큰 경우 후순위 고유신호 입력번호로 자동 넘김을 지시하는 키 입력 설정 모드 변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조작부에서 입력 키 설정 모드를 선순위 고유신호 입력번호에서 후순위 고유신호 입력번호로 자동으로 변환되는 모드 전환은 하기와 같은 순서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 입력 처리 방법에 의한 후순위 고유신호 입력번호의 자동 설정의 예를 도 9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고유신호 입력번호의 자동 설정의 예를 나타낸 플로우 챠트의 예시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 제어 루틴은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의 터치 조작부(110)에 배치된 터치 키 입력 실행으로부터 시작된다(S110).
키 입력이 실행되면 제어부(200)의 제어 모드는 키 입력으로부터 입력된 해당 입력값으로 설정이 변환된다(S120).
상기 S120 단계 이후, 터치 키 입력 상태 판단부(210)를 통해 키 입력시간이 판단된다(S130).
상기 S130 단계 이후 비교 판단부(220)를 통해 상기 S130 단계에서 판단된 키 입력 경과시간(t1)과 제어부에 설정된 기준값(t2)이 비교 판단된다(S140).
상기 S140 단계에서의 비교 판단결과(S150), 키 입력 경과시간(t1)이 제어부에 설정된 기준값(t2)의 시간이 t1 < t2 이면, 상기 S120 단계에서의 키 입력값의 설정을 유지한다(S155).
상기 S140 단계에서의 비교 판단결과(S150), 키 입력 경과시간(t1)이 제어부에 설정된 기준값(t2)의 시간이 t1 > t2 이면, 키 입력을 최솟값/최대값/중간값으로 구분하여 판단한다(S160).
상기 S160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키 입력 설정의 변환 모드로 실행되어 동작 루틴이 종료될 수 있다(S170).
여기서, 키 입력 설정의 변환 모드 실행 결과로는, 입력값이 최솟값인 경우, 선택된 선순위 고유신호 입력번호에 '+1'을 더하여 선순위 고유신호 입력번호를 후순위 입력번호인 '2'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선순위 고유신호 입력번호는 새로운 후순위 고유신호 식별번호로 자동 변환되어 설정될 수 있다.
입력값이 최대값인 경우, 선택된 선순위 고유신호 입력번호에서 '-1'을 감하여 선순위 고유신호 입력번호를 후순위 입력번호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선순위 고유신호 입력번호는 새로운 후순위 고유신호 식별번호로 자동 변환되어 설정될 수 있다.
입력값이 중간값인 경우, 선택된 선순위 고유신호 입력번호에서 '+1'을 더하거나 또는 '-1'을 감하여 선순위 고유신호 입력번호를 후순위 입력번호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선순위 고유신호 입력번호는 새로운 후순위 고유신호 식별번호로 자동 변환되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진 것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된다.
100: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
110: 터치 조작부 120: 패널
130: 입력 장치 200: 제어부
210: 터치 키 입력 상태 판단부 220: 비교 판단부
230: 키 입력 설정 모드 변환부

Claims (8)

  1. 선순위 고유신호 식별번호가 지정 할당되어 패널 상에 배치된 개별 터치 스위치들, 상기 개별 터치 스위치들이 위치하는 해당 각 영역 범위에서 후순위 고유신호 식별번호를 지정 할당할 수 있도록 배치된 터치 조작부; 및
    상기 개별 터치 스위치들에 전달되는 터치 키 입력의 경과 시간을 설정 기준값과 비교 판단하여 터치 키 입력의 경과 시간이 설정 기준값을 벗어나는 경우, 후순위 고유신호 식별번호를 지정 선택한 것으로 키 입력 신호를 변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의 입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터치 키 입력의 경과 시간을 판단하는 터치 키 입력 상태 판단부를 포함하는,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의 입력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터치 키 입력 상태 판단부로부터 체크된 키 입력 상태와 경과 시간을 기설정된 기준값과 비교 판단하는 비교 판단부를 포함하는,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의 입력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비교 판단부로부터 판단된 터치 키 입력의 경과시간이 설정된 기준값 보다 큰 경우 후순위 고유신호 입력번호로 자동 넘김을 지시하는 키 입력 설정 모드 변환부를 포함하는,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의 입력 장치.
  5. 선순위 고유신호 식별번호가 지정 할당되어 배치된 개별 터치 스위치들이 위치하는 해당 각 영역 범위에서 후순위 고유신호 식별번호를 지정 할당할 수 있도록 배치된 터치 조작부의 터치 스위치를 통해 키 입력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개별 터치 스위치들에 전달되는 터치 키 입력의 경과 시간을 설정 기준값과 비교 판단하여 터치 키 입력의 경과 시간이 설정 기준값을 벗어나는 경우, 후순위 고유신호 식별번호를 선택한 것으로 키 입력 신호를 변환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의 입력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터치 키 입력의 경과 시간을 판단하는 터치 키 입력 상태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의 입력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터치 키 입력 상태 판단단계로부터 체크된 키 입력 상태와 경과 시간을 기설정된 기준값과 비교 판단하는 비교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의 입력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비교 판단 단계로부터 판단된 터치 키 입력의 경과시간이 설정된 기준값 보다 큰 경우 후순위 고유신호 입력번호로 자동 넘김을 지시하는 키 입력 설정 모드 변환 단계;를 포함하는,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의 입력 방법.













KR1020180148880A 2018-11-27 2018-11-27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의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2000629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880A KR20200062909A (ko) 2018-11-27 2018-11-27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의 입력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880A KR20200062909A (ko) 2018-11-27 2018-11-27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의 입력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2909A true KR20200062909A (ko) 2020-06-04

Family

ID=71080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8880A KR20200062909A (ko) 2018-11-27 2018-11-27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의 입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29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08635A (zh) * 2021-08-24 2021-11-05 宁波视睿迪光电有限公司 一种触控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2891A (ko) 2010-07-01 2012-01-09 주식회사 팬택 노이즈 인식하는 터치 스크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20107231A (ko) 2011-03-21 2012-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전식 터치스크린 단말기에서 입력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2891A (ko) 2010-07-01 2012-01-09 주식회사 팬택 노이즈 인식하는 터치 스크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20107231A (ko) 2011-03-21 2012-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전식 터치스크린 단말기에서 입력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08635A (zh) * 2021-08-24 2021-11-05 宁波视睿迪光电有限公司 一种触控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91917A1 (en) Menu selection device in microwave oven
CN104206006B (zh) 加热烹调器
US10678352B2 (en) Virtual touch knob assembly
CN107422973B (zh) 一种控制装置及控制方法
US8988378B2 (en) Touch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521690B1 (ko) 제어 다이얼 방법 및 장치
CN101727233A (zh) 电子装置及其触控方法
WO2014046667A1 (en) Virtual touch knob assembly
US10705704B2 (en) Adaptive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ppliance
CN102750032B (zh) 一种控制器及触控操作方法
CN103257791A (zh) 电子装置的解锁方法
KR20200062909A (ko) 휠 타입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의 입력 장치 및 방법
JP6236640B2 (ja) 静電容量式センサを用いた検出方法と電子機器
US20200371661A1 (en) Method of switching operation mode of touch panel
CN102654291A (zh) 一种可滑动开机的电磁炉及其控制方法
WO2015027398A1 (en) Device for remotely controlling electric equipment
CN110651245B (zh) 家用器具的无障碍操作
JP2013152566A (ja) リモコン装置
WO2013021459A1 (ja) 調理器
US20050057529A1 (en) Touch panel
JP2012017882A (ja) 調理器
CN103677300A (zh) 一种输入装置及输入方法
KR102183718B1 (ko) 터치 슬라이드 스위치의 입력 처리장치 및 방법
CN111262569A (zh) 触控开关及触控开关的操作方法
EP3130858B1 (en) Cooking ho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