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2419A - System for managing interior of sharing vehicle - Google Patents

System for managing interior of sharing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2419A
KR20200062419A KR1020180147096A KR20180147096A KR20200062419A KR 20200062419 A KR20200062419 A KR 20200062419A KR 1020180147096 A KR1020180147096 A KR 1020180147096A KR 20180147096 A KR20180147096 A KR 20180147096A KR 20200062419 A KR20200062419 A KR 20200062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red vehicle
vehicle
portable terminal
sharer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0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충호
김성우
Original Assignee
(주)대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솔루션 filed Critical (주)대한솔루션
Priority to KR1020180147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2419A/en
Publication of KR20200062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241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4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rior management system, which is configured to allow the interior of a vehicle when returning a shared vehicle, and receive an image photographing the image through a portable terminal and transmit the photographed image to a server managing the shared vehicle. In case of determining a responsibility for obligations to be observed by the sharer and when a sharer leaves personal items, a location is conveniently tracked by checking a vehicle indoor state so as to safely find the items. In particular, the interior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at least one camera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sharer throug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 the interior of the shared vehicle, so that the interior management system for a shared vehicle uses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when using a common shared vehicle to receive the photographed image from a camera to directly transmit the photographed image to a server.

Description

공유 차량용 실내 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ING INTERIOR OF SHARING VEHICLE}Indoor management system for shared vehicles{SYSTEM FOR MANAGING INTERIOR OF SHARING VEHICLE}

본 발명은 공유 차량용 실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유 차량을 사용한 다음 반납할 때 실내를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을 공유자의 휴대용 단말을 이용하여 공유 차량을 관리하는 서버로 보낼 수 있게 구성하므로, 공유자가 소지품을 두고 내렸을 때도 안전하고 신속하게 추적할 수 있고, 또한 쓰레기 등을 치우지 않았을 때처럼 책임 소재를 가릴 때 명확하게 가릴 수 있게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management system for a shared vehicle, and more specifically, when using a shared vehicle and then returning it, it is configured to send an image taken and photographed indoors to a server that manages the shared vehicle using a portable terminal of the shar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afely and promptly track even when the sharer leaves their belongings, and also to clearly cover the responsibility when the responsibility is not removed.

차량 공유(Car Sharing)는 공유자가 있는 곳에서 가까운 주차장에서 공유차량을 빌려서 사용한 다음 반납하는 시스템으로, 렌터카와 달리 주택가 주변에서도 공유 차량을 빌릴 수 있으며, 특히 시간 단위로 빌려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 이용이 늘고 있다. 이에, 이러한 차량 공유에 관해,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차량을 공유할 수 있게 한다.Car Sharing is a system that rents and uses a shared vehicle in a parking lot near the place where the sharer is located, and then returns it. Unlike a rental car, it is possible to rent a shared vehicle around the residential area, especially since it can be rented on an hourly basis. Is increasing. Thus, with respect to such a vehicle sharing, as described below (Patent Document 1) to (Patent Document 3), it is possible to share the vehicle in various ways.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784587호(Patent Document 1) Korean Registered Patent No.1784587

P2P(peer-to-peer) 카 쉐어링(car sharing)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카 쉐어링을 위한 차량, 카 쉐어링 시간 및 차량 픽업(pick-up) 장소를 포함하는 카 쉐어링 등록 사항을 등록하는 차량 등록자 단말; 상기 등록된 차량, 카 쉐어링 시간 및 차량 픽업 장소를 포함하는 등록 사항을 참조하여 이용하고자 하는 차량, 이용하고자 하는 시간, 차량 픽업 장소 및 차량 이용 종료 장소를 포함하는 카 쉐어링 이용 신청을 송신하는 차량 이용자 단말; 상기 차량 등록자 단말로부터 차량, 카 쉐어링 시간 및 차량 픽업 장소를 포함하는 카 쉐어링 등록 사항을 등록받아 온라인상에 게시하고, 상기 차량 이용자 단말로부터 이용하고자 하는 차량, 이용하고자 하는 시간, 차량 픽업 장소 및 차량 이용 종료 장소를 포함하는 카 쉐어링 이용 신청을 수신하여 차량 이용을 허용하고 온라인상에 게시하는 카 쉐어링 서버를 구성한다. 상술한 P2P 카 쉐어링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카 쉐어링 상품을 생성하여 P2P(peer-to-peer) 또는 소셜 커머스(Social Commerce) 또는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해 판매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더 많은 사용자가 카 쉐어링 상품에 편리하게 접근하여 구매하고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P2P (peer-to-peer) car sharing (car sharing) system, and a method for registering a car sharing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a vehicle for car sharing, a car sharing time and a vehicle pick-up (pick-up) location Registrant terminal; A vehicle user who transmits a car sharing usage request including a vehicle to be used, a time to be used, a vehicle pickup location, and a vehicle ending location with reference to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registered vehicle, car sharing time, and vehicle pickup location. Terminal; Car sharing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a vehicle, a car sharing time and a vehicle pickup location is registered and posted online from the vehicle registrar terminal, and a vehicle to be used, a time to be used, a vehicle pickup location and a vehicle from the vehicle user terminal A car sharing server configured to allow a vehicle to be used and post it online by receiving a car sharing use application including a location where the use is terminate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2P car sharing system and method, more users are generated by generating a car sharing product and selling it through peer-to-peer (P2P) or social commerce (Social Commerce) or social network service (SNS). It has the effect of convenient access to purchase and use of car sharing products.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37379호(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37379

카 쉐어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서비스 이용자가 특정 편도 반납 장소에서 카 쉐어링 차량을 반납하면, 특정 편도 반납 장소에서부터 서비스 이용자의 최종 목적지까지의 길 안내 정보를 상기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카 쉐어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A method of providing a car sharing service and a program stored in a medium for executing the method. When a service user returns a car sharing vehicle at a specific one way return location, information on the route from the specific one way return location to the service user's final destina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viding a car sharing service provided to the service user and a program stored in the medium to execute the method.

(특허문헌 3)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68529호(Patent Document 3)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68529

카셰어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 셰어링 카(sharing car)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현재위치, 목적지 및 차량 수령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정보 입력단계; 셰어링 카의 현재위치, 목적지 및 반납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셰어링 카정보 입력단계; 상기 셰어링 카정보 및 상기 사용자정보로부터 상기 셰어링 카와 상기 사용자가 만나는 접점을 판단하는 접점 판단단계; 상기 접점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상기 셰어링 카 수령위치를 선정하는 수령위치 선정단계; 상기 사용자의 상기 셰어링 카를 수령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판단하는 수령시간 판단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셰어링 카 수령여부를 판단하는 수령여부 판단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Regarding a car sharing method, a user information input step of receiving information about a current location, a destination and a vehicle receiving location of a user who wants to use a sharing car; A sharing car information input step of receiving information about a current location, destination, and return location of the sharing car; A contact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a contact point between the sharing car and the user from the sharing car information and the user information; A receiving position selection step of selecting a receiving position of the user's sharing car from the contact point; A reception time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a time taken for the user to receive the sharing car; And it may include a determination step of whether or not the user determines whether to receive the sharing car.

하지만, 이러한 차량 공유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However, this vehicle sharing technology has the following problems.

(1) 종래 공유 차량은 먼저 이용했던 공유자가 반납하기로 한 주차장에 공유 차량을 세워 놓으면 그 다음 공유자가 주차한 공유 차량을 이용하게 한다. 이에, 먼저 이용한 공유자가 공유 차량에 연료를 채워놓지 않거나 공유 차량의 실내 청소를 하지 않아 그 다음 공유자를 불편하게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1)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shared vehicle, if a shared vehicle is set up in a parking lot that the previously used sharer decides to return, then the shared vehicle parked by the sharer is used. Accordingly, a situation in which the first used sharer does not fill the shared vehicle with fuel or does not clean the interior of the shared vehicle, then uncomfortable with the next sharer.

(2) 또한, 공유자는 공유 차량을 이용하다가 때에 따라 노트북이나 가방과 같은 개인 소지품을 공유 차량에 놓고 내릴 수 있는 데, 그 후에 다른 여러 공유자가 공유 차량을 이용함에 따라 잃어버린 개인 물품의 행방을 찾기가 어렵다.(2) In addition, the sharer may use the shared vehicle and sometimes place personal belongings such as a laptop or a bag on the shared vehicle, after which several other sharers find whereabouts of lost personal items as they use the shared vehicle. Is difficult.

(3) 특히, 먼저 이용했던 이용자가 공유 차량의 실내를 청소하지 않아 냄새가 나거나 지저분하게 사용하여 공유 차량을 반납하면, 그 다음 공유자가 공유 차량을 이용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불쾌감을 느끼고, 또한 해당 회사의 공유 차량을 다시 이용하지 않아 경영에도 어려움을 줄 수 있다.(3) In particular, if the user who used the vehicle first returns the shared vehicle by smelling it or using it dirty by not cleaning the interior of the shared vehicle, then it is not only difficult for the sharer to use the shared vehicle, but also feels discomfort Not using the company's shared vehicles again can make management difficult.

(4)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 공유 차량을 반납할 때는 공유자가 공유 차량의 내부를 사진으로 찍어서 공유 차량을 관리하는 서버로 전송하게 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4) As a way to solve this problem, when returning a shared vehicle, the sharer takes a picture of the inside of the shared vehicle and sends it to a server that manages the shared vehicle. have.

(5) 이처럼 공유 차량의 내부 사진을 전송하는 것이 의무가 아니므로, 많은 공유자가 사진을 전송하지 않아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가 발생했을 때 책임 여부 등을 가리는 데 어려움이 있다.(5) Since it is not obligatory to transmit the inside picture of the shared vehicle as described above,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or not responsibility is taken when a problem as described above occurs because many sharers do not transmit the picture.

(6) 또한, 공유 차량을 이용하는 공유자가 바쁘게 공유 차량을 반납할 때는 이러한 공유 차량의 내부 사진을 촬영하는 것을 잊어버리거나, 알고 있더라도 무시하여 그대로 공유 차량을 반납하므로, 상술한 것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6) In addition, when the sharer using the shared vehicle is busy returning the shared vehicle, the above-described problem occurs because the shared vehicle is forgotten to be taken or ignored even if known, even if known. .

(7) 그리고 공유자가 공유 차량의 내부 사진을 촬영했다고 하더라도 전송하는 것을 잊어버리거나 촬영한 내부 사진을 삭제하는 등 책임 여부를 가리는 데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7) In addition, even if the sharer has taken the inside picture of the shared vehicle, there may be a case that it cannot be used to indicate whether it is responsible, such as forgetting to transmit or deleting the inside picture taken.

한국등록특허 제1784587호 (등록일 : 2017.09.27)Korean Registered Patent No.1784587 (Registration Date: 2017.09.27)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37379호 (공개일 : 2018.04.12)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37379 (Publication Date: 2018.04.12)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68529호 (공개일 : 2018.06.22)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68529 (Publication date: 2018.06.22)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공유 차량을 반납할 때 자동차 실내를 촬영하게 하고, 촬영한 영상을 공유자의 휴대용 단말을 통해 전송받은 다음 공유 차량을 관리하는 서버로 전송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자동차 실내 상태를 확인하여 공유자가 지켜야 할 의무사항에 대한 책임 규명이나 공유자가 개인 물건 등을 두고 내렸을 때도 편리하게 위치를 추적하여 안전하게 찾을 수 있게 한 공유 차량용 실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takes this into consideration, and allows the vehicle interior to be photographed when the shared vehicle is returned,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transmit the captured image through a sharer's portable terminal and then to a server that manages the shared vehicl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ared vehicle indoor management system that enables users to conveniently locate and securely track locations even when they leave personal items, etc., by identifying the responsibilities for the obligations to be observed by the sharer.

특히, 본 발명은 공유 차량의 실내에 단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공유자의 휴대용 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카메라를 적어도 하나 설치하므로, 통상 공유 차량을 이용하려면 휴대용 단말에 설치해야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을 카메라에서 전송받아 바로 서버로 전송할 수 있게 한 공유 차량용 실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at least one camera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sharer in the indoor of the shared vehicle by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erefore, in order to use the shared vehicle, an image photographed using an application that must be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n indoor management system for a shared vehicle that can be transmitted directly from a camera to a server.

또한, 본 발명은 공유자가 공유 차량을 이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한 휴대용 단말을 이용하여 공유 차량 내부를 촬영한 영상을 서버로 전송하므로, 추가 구성을 최소화하면서도 공유자의 의무 사항이나 책임 규명을 더욱더 쉽고 정확하게 할 수 있게 한 공유 차량용 실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n image taken inside the shared vehicle to the server using a portable terminal in which the sharer downloads an application for using the shared vehicle, so it is easier to identify the obligation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sharer while minimizing additional configuration.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shared vehicle indoor management system that allows it to do exactly that.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유 차량용 실내 관리 시스템은, 공유 차량(V)을 관리하는 서버(S)에서 휴대용 단말(100)로 다운로드 받아서 공유 차량(V)을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공유 차량(V)에 장착하고, 단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휴대용 단말(100)과 양방향 통신할 수 있고, 상기 공유 차량(V) 내부를 촬영할 수 있게 장착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200);를 포함하되;,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공유 차량(V)을 사용한 다음 반납할 때를 판단하는 제1단계; 만일, 상기 공유 차량(V)을 반납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카메라(200)를 통해 상기 공유 차량(V) 내부를 촬영하는 제2단계; 및 촬영한 영상을 휴대용 단말(100)을 통해 서버(S)로 전송하게 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achieve this object, the indoor management system for a shared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pplication for downloading the downloaded vehicle from the server S managing the shared vehicle V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managing the shared vehicle V; And at least one camera 200 mounted on the shared vehicle V, capable of two-way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100 in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mounted to photograph the inside of the shared vehicle V. Including;; The application, the first step of determining when to return after using the shared vehicle (V);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hared vehicle V is to be returned, a second step of photographing the inside of the shared vehicle V through the camera 200; And a third step of transmitting the captured image to the server S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100.

특히, 상기 휴대용 단말(10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PDA, 피처 폰, 넷북, 스마트 워치, 슬레이트 PC, 또는 노트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smart phone, tablet PC, notebook, PDA, feature phone, netbook, smart watch, slate PC, or note pad.

또한, 상기 카메라(200)는, 상기 공유 차량(V)에 장착한 헤드 라이너(H)나 차량 실내의 앞, 중간, 끝 부분 중에서 적어도 한 곳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amera 200 is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head liner (H) mounted on the shared vehicle (V) or the front, middle, end of the vehicle interior.

마지막으로, 상기 단거리 무선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지웨이브(Z-Wave), 또는 와이파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Finally,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Bluetooth (Bluetooth), ZigBee (ZigBee), Z-Wave (Z-Wave), or Wi-Fi.

본 발명에 따른 공유 차량용 실내 관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indoor management system for a shared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1) 공유 차량을 반납하고 이를 공유 차량을 관리하는 서버에 통지하면, 카메라로 공유 차량의 실내를 촬영하여 반납한 공유자의 휴대용 단말을 통해 서버로 전송하게 하므로, 공유 차량을 반납하면 바로 해당 공유 차량의 내부 상태를 쉽고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1) If you return a shared vehicle and notify the server that manages the shared vehicle, the camera will shoot the interior of the shared vehicle and send it to the server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returned sharer. You can quickly and easily check the vehicle's internal condition.

(2) 특히, 공유 차량은 공유자의 휴대용 단말에 공유 차량을 이용하는 데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하게 하므로, 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카메라의 촬영 시기나 촬영한 영상의 전송, 그리고 서버로의 전송 등을 제어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추가 구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2) In particular, since the shared vehicle is equipped with an application required to use the shared vehicle on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sharer, the application can control the timing of the camera's shooting, the transmission of the captured image, and the transmission to the server. Configuration, minimizing additional configuration.

(3) 또한,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다양한 휴대용 단말,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PDA, 피처 폰, 넷북, 스마트 워치, 슬레이트 PC나 노트 패드에 탑재할 수 있으므로, 공유자가 사용하는 다양한 휴대용 단말에 탑재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3) In addition, since these applications can be mounted on various portable terminals, for example, smartphones, tablet PCs, laptops, PDAs, feature phones, netbooks, smart watches, slate PCs or note pads, various applications used by sharers It can be conveniently mounted on a portable terminal.

(4) 이에, 공유 차량을 이용했던 공유자가 공유 차량의 실내를 청소했는지, 기름을 채웠는지, 공유자의 개인용품을 내리고 차량을 반납했는지 등을 쉽고 신속하게 알 수 있다.(4)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asily find out whether the sharer who used the shared vehicle has cleaned the interior of the shared vehicle, filled with oil, unloaded the personal items of the sharer and returned the vehicle.

(5) 따라서, 공유자가 인식하지 못하더라도 공유 차량을 반납했을 때 그 상태를 영상으로 남겨서 중요한 증거자료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공유 차량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5) Therefore, even if the sharer does not recognize it, it is possible to use the shared vehicle safely and conveniently because it is possible to use important evidence by leaving the status as an image when the shared vehicle is returned.

[도 1]은 공유 차량으로 사용하는 자동차의 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카메라의 장착 위치를 보여주는 헤드 라이너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유 차량용 실내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유 차량용 실내 관리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ar used as a shared vehicle.
2 is a bottom view of the headliner showing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indoor management system for a shared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indoor management system for a shared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to ordinary or lexical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to describe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According to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the drawing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s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equivalent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this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and variations.

(구성)(Configuration)

본 발명에 따른 공유 차량용 실내 관리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공유 차량(V)을 관리하는 서버(S)에서 공유자가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100)에 다운로드 받아서 공유 차량(V)을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 그리고 공유 차량(V)에 장착하여 공유 차량(V)의 실내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200)를 포함한다.The indoor management system for a shared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ownloaded from the server S managing the shared vehicle V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used by the sharer, as shown in FIGS. 1 to 4, and the shared vehicle It includes an application for managing (V), and at least one camera 200 mounted on the shared vehicle V to photograph the interior of the shared vehicle V.

특히,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공유자가 공유 차량(V)을 반납한 것으로 확인하면, 상기 카메라(200)로 공유 차량(V)의 실내를 촬영한 다음 휴대용 단말(100)에 저장하면서 상기 서버(S)로 전송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멀리서도 공유 차량(V)의 실내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분쟁이 발생할 여지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유자가 공유 차량(V)에 놓고 내린 개인 물품 등을 쉽게 추적하여 편리하게 되찾을 수 있게 한 것이다.Particularly, when the application confirms that the sharer has returned the shared vehicle V, the application captures the interior of the shared vehicle V with the camera 200 and then stores it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n sends it to the server S Since it is configured to be transmitted, it is possible to check the indoor condition of the shared vehicle (V) from a distance, thereb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disputes, and it is convenient for the sharer to easily track personal items placed on the shared vehicle (V). I made it possible to find it.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100)은 공유 차량(V)을 이용하기 위해 공유 차량(V)을 관리하는 서버(S)에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고, 예시적으로,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PDA, 피처 폰, 넷북, 스마트 워치, 슬레이트 PC, 그리고 노트 패드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공유자가 많이 휴대하고 다니는 단말을 통해 쉽게 공유 차량을 이용하면서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At this time, the portable terminal 100 can use any of the applications that can download the application from the server (S) managing the shared vehicle (V) to use the shared vehicle (V), for example, smart Phones, tablet PCs, laptops, PDAs, feature phones, netbooks, smart watches, slate PCs, and note pads can be used, making it easy and safe to use a shared vehicle while using a shared mobile device. Did.

또한, 상기 카메라(200)는 헤드 라이너(H)의 전방과 후방 그리고 그 중간 부분 중에서 적어도 한 곳을 촬영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공유 차량(V)의 종류와 크기 등을 고려하여 촬영할 내부 공간을 고려하여 적절한 개소에 적어도 하나를 설치하여 공유 차량(V)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camera 20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shoot at least one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headliner H and the middle portion thereof, considering the type and size of the shared vehicle V, the internal space to be photographed is considered. Therefore, at least one is installed at an appropriate location so that the shared vehicle V can be conveniently and safely used.

마지막으로, 상기 카메라(200)는 상술한 휴대용 단말(100)과 단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양방향 통신할 수 있게 구성하되, 예시적으로,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지웨이브(Z-Wave), 그리고 와이파이를 이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Finally, the camera 200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two-way communication with the above-described portable terminal 100 in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example, Bluetooth (Bluetooth), ZigBee (ZigBee), Z-Wave (Z-Wave) ), and Wi-Fi enabled.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V"는 서버(S)를 통해 여러 사람의 공유자가 공유할 수 있는 공유 차량을, "H"는 상기 공유 차량에 장착한 헤드 라이너를 각각 나타낸다.Hereinafter, this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 reference numeral "V" denotes a shared vehicle that can be shared by multiple sharers through the server S, and "H" denotes a headliner mounted on the shared vehicle.

<카메라><Camera>

카메라(20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공유 차량(V)의 실내를 촬영하여 공유자가 실내에 버린 쓰레기를 치웠는지, 실내에 공유자의 개인 물품 등을 놓고서 내렸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The camera 200 photographs the interior of the shared vehicle V, as shown in [FIG. 2] and [FIG. 3], to determine whether the sharer put away the garbage thrown in the room or put the personal items of the sharer in the room. Make it possible to confirm.

이에, 상기 카메라(200)는, [도 2]와 같이, 헤드 라이너(H)의 전방과 후방 그리고 그 중간 중에서 적어도 한 곳, 바람직하게는 전방과 중간에 각각 하나씩 두 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방에 설치한 카메라(200)는 앞좌석에 가려 앞좌석과 뒷좌석 사이를 제대로 촬영할 수 없을 때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공유 차량(V)이 길거나 넓을 때는 이보다 더 많은 개수의 카메라(200)를 장착하여 공유 차량(V) 내부를 확인할 수 있게 장착할 수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종사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us, the camera 200, as shown in Figure 2, it is preferable to install at least one of the front and rear and the middle of the head liner (H), preferably one each in the front and the middle, respectively. . This is because the camera 200 installed in the front may not be able to properly photograph between the front and rear seats because it is obscured by the front seat. In addition, if the shared vehicle (V) is long or wide, any number of persons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mount the camera 200 by checking the inside of the shared vehicle (V). You will know.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카메라(200)는, [도 3]과 같이, 후술할 휴대용 단말(100)과 양방향으로 통신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휴대용 단말(100)을 통해 카메라(200)의 촬영 시점을 전송받고, 이 카메라(200)에서 촬영한 영상을 휴대용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20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able to communicate in both directions with the portable terminal 1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s shown in FIG. 3. This is to enable the camera 200 to receive a shooting time point of the camera 200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o transmit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200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카메라(200)는 휴대용 단말(100)과 무선 방식으로 양방향 통신할 수 있는 단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공유 차량(V)에 고정식으로 장착한 카메라(200)와 이러한 공유 차량(V)을 이용하는 여러 명의 공유자가 가지고 다니는 휴대용 단말(100)과 양방향으로 통신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20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able to communicate in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apable of two-way communication in a wireless manner with the portable terminal 100. This is to enable two-way communication with the camera 200 fixedly mounted on the shared vehicle V and the portable terminal 100 carried by multiple sharers using the shared vehicle V.

마지막으로, 이처럼 카메라(200)와 휴대용 단말(100) 사이에 사용할 수 있는 단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는, 예시적으로,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지웨이브(Z-Wave), 그리고 와이파이를 예로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통상적으로 차량과 휴대용 단말에서 많이 사용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Finally, a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at can be used between the camera 200 and the portable terminal 100, for example, Bluetooth, ZigBee, Z-Wave, and WiFi This is an example. Among them, it is most preferable to use Bluetooth, which is commonly used in vehicles and portable terminals.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애플리케이션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공유 차량(V)을 관리하는 서버(S)에서 공유자가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100)에 다운로드 받아 공유 차량(V)을 이용하는 데 사용하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것이다.The application is download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used by the sharer from the server S managing the shared vehicle V, as shown in FIGS. 3 and 4, and used to use the shared vehicle V It is produced by ordinary technology.

여기서, 상기 휴대용 단말(100)은 본 발명에 따른 서버(S)에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서 공유 차량(V)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PDA, 피처 폰, 넷북, 스마트 워치, 슬레이트 PC, 또는 노트 패드를 예로 들 수 있다.Here, the portable terminal 100 can be used as long as it can use the shared vehicle (V) by downloading an application from the server (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smart phone, a tablet PC, a laptop For example, PDA, feature phone, netbook, smart watch, slate PC, or note pad.

한편,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회원가입을 통해 공유 차량(V)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때 공유 차량(V)의 이용 기간, 금액, 이용 시간과 반납 시간 등을 입력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공유 차량(V)은 전자통신망을 통해 차문을 열고 공유 차량(V)을 이용하게 되며, 이용한 후에는 공유 차량(V)을 반납한다는 사실을 서버(S)에 통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application can use the shared vehicle (V) through membership registration, in which case the usage period, amount, usage time and return time of the shared vehicle (V) are input and used. Then, the shared vehicle V opens the car door through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network to use the shared vehicle V, and after use, notifies the server S that the shared vehicle V is returned.

특히,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도 4]와 같이, 공유 차량(V)을 이용하는 공유자가 공유 차량(V)을 반납할 때를 판단하는 제1단계, 반납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내부를 촬영하는 제2단계, 그리고 촬영한 영상을 서버(S)로 전송하는 제3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이하에서는 각 단계로 나눠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particular, the application, as shown in Figure 4, the first step of determining when the sharer using the shared vehicle (V) to return the shared vehicle (V), the second step of photographing the interior when determined to return And, it comprises a third step of transmitting the captured image to the server (S). Accordingly, the following is divided into each step and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제1단계Stage 1

제1단계는, [도 4]와 같이, 공유 차량(V)을 반납할 때로 판단하는 단계이다. 이때의 판단은 공유 차량(V)을 이용하는 공유자가 휴대용 단말(100)을 이용하여 반납한다고 서버(S)에 통지할 때나, 공유 차량(V)을 빌릴 때 미리 반납할 시간으로 입력한 시간을 기준으로 판단한다.The first step is a step of determining when the shared vehicle V is returned, as shown in FIG. 4. The determination at this time is based on the time entered as the time to be returned in advance when notifying the server S that the sharer using the shared vehicle V returns using the portable terminal 100 or when renting the shared vehicle V Judging by.

이때, 반납할 시간으로 입력한 시간이 지나더라도 공유자가 반납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면 공유 차량(V)을 빌린 시간을 연장한 것으로 판단하거나, 다시 연장한 시간이 될 때까지 반납할 때를 기다리게 한다.At this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harer has not returned even if the time entered as the time to return is passed, it is determined that the time when the shared vehicle V is borrowed is extended, or it is waited for the return until the extended time is reached again.

또한, 반납할 시간으로 입력한 시간이 되거나 그전이라도 공유자가 휴대용 단말(100)을 통해 반납할 것으로 입력하면, 아래의 제2단계를 수행한다.In addition, when the time is entered as the time to return, or even before, when the sharer inputs to return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second step below is performed.

제2단계Stage 2

제2단계는, [도 4]와 같이, 공유 차량(V)을 반납한 것으로 판단했을 때, 상술한 카메라(200)로 반납한 공유 차량(V)의 내부를 촬영하게 하는 단계이다.The second step is a step of taking a picture of the inside of the shared vehicle V returned by the above-described camera 20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hared vehicle V is returned, as shown in FIG. 4.

특히, 상기 카메라(200)는 공유자의 의지나 서버(S)의 명령 없이 공유 차량(V)을 반납한 것으로 판단하면, 애플리케이션에서 미리 설정한 촬영 신호를 카메라(200)로 전송하여 공유 차량(V)의 실내를 촬영한다. 이때, 상기 카메라(200)는 미리 정한 위치에서 공유 차량(V)의 실내를 사진 형태로 촬영하거나 동영상 형태로도 촬영할 수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종사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In particula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amera 200 returns the shared vehicle V without the will of the sharer or the command of the server S, the application 200 transmits a preset shooting signal to the camera 200 to transmit the shared vehicle V ) Indoors. At this time, the camera 200 can be easily photographed by a pers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the interior of the shared vehicle V can be photographed or photographed in the form of a predetermined location.

이렇게 촬영한 영상은 휴대용 단말(100)로 전송한다.The photographed image is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제3단계Stage 3

제3단계는, [도 4]와 같이, 카메라(200)에서 전송받은 영상을 공유 차량(V)을 관리하는 서버(S)로 전송한다. 그리고 서버(S)는 이렇게 전송받은 영상을 저장해 놓음으로써, 사고가 발생하거나 공유자가 개인용품을 공유 차량(V)에 놓고 내렸을 때처럼 영상을 확인할 필요가 있을 때 영상을 재생하거나 볼 수 있게 한다.The third step, as shown in Figure 4, transmits the image received from the camera 200 to the server (S) managing the shared vehicle (V). In addition, the server S stores the transmitted image so that it can play or view the image when an accident occurs or when the sharer needs to check the image, such as when the personal product is put on and off the shared vehicle V.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카메라(200)에서 전송받은 영상은 서버(S)로 전송할 때 휴대용 단말(100)에도 자동으로 저장하거나 공유자가 선택적으로 저장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공유자가 자신의 반납 상태나 개인용품 등을 놓고 내린 사실을 쉽게 알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mage received from the camera 200 is automatically stor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when transmitted to the server S or that the sharer can selectively store it. This is to make it easy for the sharer to know that he has left his return status or personal item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공유 차량을 반납할 때 공유 차량의 실내를 촬영할 수 있게 카메라를 갖추고, 촬영한 영상을 공유 차량을 관리하는 서버로 전송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공유 차량의 실내 청소 상태나 파손 여부 그리고 공유자가 실내에 개인물품 등을 내리고 반납하는 등의 사실 관계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camera so as to be able to photograph the interior of the shared vehicle when returning the shared vehicle, and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captured image to a server managing the shared vehicle, so whether the shared vehicle is cleaned or damaged indoors In addition, it allowed the sharer to accurately judge the facts such as dropping and returning personal items indoors.

100 : 휴대용 단말
200 : 카메라
S : 서버
V : 공유 차량
100: portable terminal
200: camera
S: Server
V: Shared vehicle

Claims (4)

공유 차량(V)을 관리하는 서버(S)에서 휴대용 단말(100)로 다운로드 받아서 공유 차량(V)을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공유 차량(V)에 장착하고, 단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휴대용 단말(100)과 양방향 통신할 수 있고, 상기 공유 차량(V) 내부를 촬영할 수 있게 장착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200);를 포함하되,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공유 차량(V)을 사용한 다음 반납할 때를 판단하는 제1단계;
만일, 상기 공유 차량(V)을 반납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카메라(200)를 통해 상기 공유 차량(V) 내부를 촬영하는 제2단계; 및
촬영한 영상을 휴대용 단말(100)을 통해 서버(S)로 전송하게 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차량용 실내 관리 시스템.
An application that downloads from the server S managing the shared vehicle V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manages the shared vehicle V; And at least one camera 200 mounted on the shared vehicle V, capable of two-way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100 in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mounted to photograph the inside of the shared vehicle V. Including,
The application,
A first step of determining when to return after using the shared vehicle V;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hared vehicle V is to be returned, a second step of photographing the inside of the shared vehicle V through the camera 200; And
A third step of transmitting the captured image to the server (S)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100; Indoor management system for a shared vehicle comprising a.
제1항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10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PDA, 피처 폰, 넷북, 스마트 워치, 슬레이트 PC, 또는 노트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차량용 실내 관리 시스템.
In claim 1,
The portable terminal 100,
An indoor management system for a shared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smartphone, tablet PC, laptop, PDA, feature phone, netbook, smart watch, slate PC, or note pad.
제1항에서,
상기 카메라(200)는,
상기 공유 차량(V)에 장착한 헤드 라이너(H)나 차량 실내의 앞, 중간, 끝 부분 중에서 적어도 한 곳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차량용 실내 관리 시스템.
In claim 1,
The camera 200,
The head liner (H) mounted on the shared vehicle (V) or the front, middle, end portion of the vehicle interior,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indoor management system for a shared vehicl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단거리 무선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지웨이브(Z-Wave), 또는 와이파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차량용 실내 관리 시스템.
In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Bluetooth, ZigBee (ZigBee), Z-Wave (Z-Wave), or a shared vehicle indoor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Wi-Fi.
KR1020180147096A 2018-11-26 2018-11-26 System for managing interior of sharing vehicle KR2020006241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096A KR20200062419A (en) 2018-11-26 2018-11-26 System for managing interior of sharing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096A KR20200062419A (en) 2018-11-26 2018-11-26 System for managing interior of sharing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2419A true KR20200062419A (en) 2020-06-04

Family

ID=71081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096A KR20200062419A (en) 2018-11-26 2018-11-26 System for managing interior of sharing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241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068245A (en) * 2021-11-02 2023-05-17 ゴゴロ インク Imaging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4587B1 (en) 2016-01-25 2017-10-12 주식회사 한국카쉐어링 Peer-to-peer car sharing system and method
KR20180037379A (en) 2016-10-04 2018-04-12 주식회사 피플카쉐어링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of car sharing and the program stored in medium for executing the method
KR20180068529A (en) 2016-12-14 2018-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ar sharing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4587B1 (en) 2016-01-25 2017-10-12 주식회사 한국카쉐어링 Peer-to-peer car sharing system and method
KR20180037379A (en) 2016-10-04 2018-04-12 주식회사 피플카쉐어링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of car sharing and the program stored in medium for executing the method
KR20180068529A (en) 2016-12-14 2018-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ar sharing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068245A (en) * 2021-11-02 2023-05-17 ゴゴロ インク Imaging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08130B2 (en) Car sharing system
CN111508261A (en) Parking information sharing system using block chain
FR3041802A1 (en) AUTOPARTAGE SYSTEM AND METHOD OF BORROWING AND RETRIEVING VEHICLE
CN109978435A (en) Dispense support system, dispatching support method, storage medium and moving body
US201501790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Real-Time Recording
JP6554259B1 (en) Pseudo electronic payment compatible service provision system
CN111815219B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10189154A (en) Informat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13581724B (en) Server device, vehicle,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JP7072297B2 (en) Electronic payment agency type system combination
US20200029190A1 (en) Providing an item of information from a group of a plurality of motor vehicles
JP2012118848A (en) Authentication system for sharing vehicle
US11698637B2 (en) Method and system for a companion autonomous vehicle
CN113343741A (en)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fallen items in an autonomous vehicle
FR3047102A1 (en) METHOD FOR DETECTING PASSENGERS, MANAGING AND OPTIMIZING THEIR SHARED TRANSPORTS
KR20200062419A (en) System for managing interior of sharing vehicle
US7956744B2 (en) Digital ID tag for lost or stolen electronics devices
JP2021086507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ystem, and program
CN110044372A (en) Vehicle carried device, server, navigation system, map display program and method
KR102490018B1 (en) Vehicle rental system using unmanned devices
JP2022153088A (en)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2006237912A5 (en)
KR102437584B1 (en) Battery management and sharing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KR102214989B1 (en) Consignment and rental system of personal mobility
JP731852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