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2139A - Battery module - Google Patents

Battery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2139A
KR20200062139A KR1020200062930A KR20200062930A KR20200062139A KR 20200062139 A KR20200062139 A KR 20200062139A KR 1020200062930 A KR1020200062930 A KR 1020200062930A KR 20200062930 A KR20200062930 A KR 20200062930A KR 20200062139 A KR20200062139 A KR 20200062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tab
bus bar
holes
battery modu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29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71377B1 (en
Inventor
주승훈
김관용
손솔산
최양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62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21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3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2/20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H01M2/1016
    • H01M2/202
    • H01M2/204
    • H01M2/2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 Y02E60/122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battery module which can reduce the number of assembly processes. The battery module comprises: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dividually including an electrode tap; and a busbar coming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tap to electrically connect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to each other. The busbar includes a plate having a plurality of holes formed thereon.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inserting the electrode taps into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holes.

Description

배터리 모듈{BATTERY MODULE}Battery module {BATTERY MODUL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battery module.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이차 전지는 디지털 카메라, 셀룰라 폰, 노트북,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 첨단 분야의 개발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이차 전지로는 니켈-카드뮴 전지, 니켈-메탈 하이드라이드 전지, 니켈-수소 전지, 리튬 이차 전지를 들 수 있다. 이중에서, 리튬 이차 전지는 작동 전압이 3.6V 이상으로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다수개를 직렬 연결하여 고출력의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사용되는데, 니켈-카드뮴 전지나, 니켈-메탈 하이드라이드 전지에 비하여 작동 전압이 3배가 높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의 특성도 우수하여 급속도로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Secondary batteries that can be charged and discharged are being actively research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high-tech fields such as digital cameras, cell phones, notebooks, and hybrid vehicles. Examples of the secondary battery include a nickel-cadmium battery, a nickel-metal hydride battery, a nickel-hydrogen battery, and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mong them,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has a working voltage of 3.6 V or higher and is used as a power sour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or is used in a high-power hybrid vehicle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them in series. For a nickel-cadmium battery or a nickel-metal hydride battery Compared to this, the operating voltage is three times higher, and the energy density per unit weight is also excellent, and thus it is rapidly used.

복수개의 전지 셀을 연결하기 위해 버스바를 전극 탭에 접촉시킨다. 종래의 버스바는 'ㄷ'자 형성으로 형성된다. 'ㄷ'자 형상의 버스바에 전극 탭을 접촉시켜 두 개 이상의 전지 셀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지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전극 탭을 커팅(cutting) 및 벤딩(bending)하는 공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공정을 필수적으로 거쳐야 한다. 3p 또는 4p(3셀 병렬 연결 또는 4셀 병렬 연결) 등의 연결하고자 하는 전지 셀의 개수가 달라짐에 따라, 전극 탭의 커팅 및 벤딩 작업 치수가 달라진다. 전극 탭을 변형시켜야 하기 때문에 공정 작업 수가 증가하여, 비용이 증가하고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The bus ba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lectrode tab to connect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Conventional bus bars are formed by the'U' shape. Two or more battery cells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contacting the electrode tab to the'U' shaped busbar. In order to electrically connect the battery cells, at least one process of cutting and bending an electrode tab must be performed. As the number of battery cells to be connected, such as 3p or 4p (three-cell parallel connection or four-cell parallel connection) is changed, the cutting and bending operation dimensions of the electrode tabs are different. Since the electrode tabs have to be deformed, the number of process operations increases, which increases the cost and complicates the process.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10078호(2015.10.02)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10078 (2015.10.02)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개의 전지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극 탭 처리 공정을 간소화하여, 조립 공정 수를 줄일 수 있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implify the electrode tap treatment proces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to provide a battery module that can reduce the number of assembly processes.

또한, 버스바의 형상 변형을 통해 전극 탭의 형상을 변형하지 않을 수 있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battery module that can not change the shape of the electrode tab through the shape deformation of the bus bar.

또한, 공정 수가 감소됨에 따라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battery module that can reduce the cost as the number of processes is reduced.

또한, 복수개의 전지 셀 간 전기적 연결 시 전극 탭을 균일하게 녹일 수 있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battery module that can uniformly melt the electrode tab when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또한, 용접 등에 의한 복수개의 전지 셀 간 전기적 연결 시 연결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o provide a battery module that can visually check the connection state when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by welding or the like.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배터리모듈은 전극탭을 포함하는 복수의 전지셀;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플레이트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전지셀의 상기 전극탭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탭들은, 절곡되게 형성되는 벤딩부; 상기 벤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버스바에 고정결합되는 직선부로서, 상기 복수개의 홀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된 복수의 홀에 접합되는 직선부;를 포함한다.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cluding electrode tabs; A bus bar having a plate o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de tabs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cluding, wherein the electrode tabs are formed to be bent; And a straight portion extending from the bending portion and fixedly coupled to the bus bar, which is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holes and joined to the inserted plurality of holes.

상기 벤딩부는, 상기 전지셀에서 상기 전극탭이 인출되는 부분과 상기 버스바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bending part may be disposed between a portion where the electrode tab is withdrawn from the battery cell and the bus bar.

상기 벤딩부는, 상기 버스바에 접촉될 수 있다.The bending part may contact the bus bar.

상기 버스바와, 상기 전지셀들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 support plate disposed between the bus bar and the battery cells.

상기 벤딩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bending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contact the support plate.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복수의 홀과 대응되는 복수의 지지홀;을 포함하고, 상기 벤딩부의 상기 접촉은 상기 복수의 지지홀 외주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upport plate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pport hol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holes, and the contact of the bending part may be made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holes.

상기 버스바의 외측에 배치되는 고정플레이트로서, 상기 버스바를 사이에 두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각각 상기 복수의 홀과 대응되는 복수의 지지홀과, 복수의 노출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홀과, 상기 복수의 노출홀은, 상기 복수의 홀에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a fixed plate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bus bar, a fixed plate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with the bus bar therebetween; further comprising, the support plate and the fixed plate, respectively, the plurality of hol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holes The support hole, and a plurality of exposed holes; may include, the plurality of support holes, and the plurality of exposed holes, may be configured to not interfere with the plurality of holes.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상기 버스바의 노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버스바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ixed plate may be configured to cover the bus bar to prevent exposure of the bus bar.

상기 복수의 전지셀은, 상기 전극탭이 연결된 전극조립체와, 상기 전극조립체와 상기 전극탭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외장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탭들은, 상기 외장재에 의해 덮히도록 구성되는 테라스부; 상기 테라스부로부터 연장되며, 절연재질로 감싸지는 절연부; 상기 절연부로부터 연장되는 전극탭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to which the electrode tab is connected, and an exterior material configur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electrode tab, and the electrode tabs are configured to be covered by the exterior material. Terrace part; An insulat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terrace portion and wrapp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It may include; electrode tab portion extending from the insulating portion.

상기 벤딩부는 상기 절연부에 형성되고, 상기 직선부는 상기 전극탭부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bending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insulating portion, and the straight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be formed on the electrode tab portion.

상기 전극탭부는, 상기 복수의 홀에 대한 상기 전극탭들의 삽입이 가이드되도록, 단부를 향해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되는 챔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de tab portion may include a chamfer portion configured to be narrowed toward an end portion so that insertion of the electrode tabs into the plurality of holes is guided.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위치의 주변에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ate may include a protrusion formed around a location where the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상기 복수의 홀에 대한 상기 전극탭들의 삽입이 유도되도록, 상기 복수의 홀 주변의 단면은 상기 플레이트 일측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cross-section around the plurality of holes may be formed to taper to one side of the plate so that the insertion of the electrode tabs into the plurality of holes is induced.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배터리 모듈 제조방법은 벤딩부와, 상기 벤딩부로부터 연장되는 직선부가 형성된 전극탭을 갖는 적층된 복수의 전지셀을구비하는 단계; 복수의 홀이 형성된 플레이트를 갖는 버스바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홀에 상기 전극탭들의 상기 직선부들을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전극탭들을 삽입된 상기 복수의 홀에서 상기 플레이트와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battery modul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providing a plurality of stacked battery cells having a bending portion and an electrode tab formed with a straight portion extending from the bending portion; Providing a bus bar having a plurality of holes formed plate; Inserting the straight portions of the electrode tabs into the plurality of holes; And bonding the electrode tabs to the plate in the plurality of holes inserted therein.

상기 복수의 전지셀을 구비하는 단계는, 상기 전극탭의 기설정된 부위에 상기 벤딩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providing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may include forming the bending portion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electrode tab.

상기 기설정된 부위는, 상기 전지셀에서 상기 전극탭이 인출되는 부분과 상기 버스바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predetermined portion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ortion where the electrode tab is withdrawn from the battery cell and the bus bar.

상기 접합하는 단계는 레이저용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The bonding may be performed by laser welding.

상기 접합하는 단계는 와블(wobble)용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The bonding may be performed by wobble welding.

상기 와블용접은, 상기 제 1, 2 전극탭들의 말단면 길이방향의 축을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The wobble welding may be per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end 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ab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개의 전지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극 탭의 처리 공정을 간소화하여, 조립 공정 수를 줄일 수 있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attery module capable of reducing the number of assembly processes by simplifying a process of processing an electrode tab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또한, 버스바의 형상 변형을 통해 전극 탭의 형상을 변형하지 않을 수 있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attery module capable of not deforming the shape of the electrode tab through shape deformation of the bus bar.

또한, 공정 수가 감소됨에 따라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attery module that can reduce costs as the number of processes is reduced.

또한, 복수개의 전지 셀 간 전기적 연결 시 전극 탭을 균일하게 녹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de tab may be uniformly melted when electrically connect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또한, 용접 등에 의한 복수개의 전지 셀 간 전기적 연결 시 연결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by welding or the like, the connection state can be visually confirm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차전지에 버스바가 접촉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를 나타낸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버스바의 홀에 전극 탭이 삽입된 것을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버스바의 홀에 전극 탭이 삽입된 것을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전극 탭의 절연부에 벤딩부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나타낸 도면
도 7b는 도 7a의 A부분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플레이트, 버스바 및 고정 플레이트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9은 도 8의 지지 플레이트, 버스바 및 고정 플레이트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9의 A-A'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11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전기적 연결상태를 정면에서 나타낸 도면
도 11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전기적 연결상태를 배면에서 나타낸 도면
도 12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12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의 홀에 전극 탭이 삽입된 것을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
도 13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를 나타낸 도면
도 14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1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의 홀에 전극 탭이 삽입된 것을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돌출된 전극 탭에 레이저 용접이 행해지는 위치를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
도 16 (a) 및 (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극 탭에 레이저 용접이 행해지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a) 및 (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극 탭의 길이 방향에 대해 각도를 형성하며 레이저가 조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at the bus bar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bus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a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 bus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electrode tab is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bus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a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 bus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electrode tab is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bus b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ending portion is formed in the insulating portion of the electrode tab
7A is a view showing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b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ure 7a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plate, a bus bar and a fixing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plate, bus bar and fixing plate of FIG. 8 are combined;
FIG. 10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9;
Figure 11a is a view show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state of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front
Figure 11b is a view show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state of the battery module from the re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A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bus b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de tab inserted into a hole in a bus b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 bus b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A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bus b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lectrode tab inserted into a hole of a bus b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sition where laser welding is performed on the protruding electrode ta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a) and (b)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laser welding is performed on an electrode ta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a) and (b)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laser is irradiated while forming an angle with respect to a longitudinal direction of an electrode ta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a user's or operator's intention or practic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xamples are merely a means for effectively explain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에 버스바(20a)가 배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econdary batter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bus bar 20a is disposed on the secondary batter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이차 전지(10)는 전지 셀(11) 및 전지 셀(11)에서 인출된 전극 탭(12)으로 형성될 수 있다.1 to 2, the secondary battery 10 may be formed of a battery cell 11 and an electrode tab 12 drawn out of the battery cell 1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20a)는 플레이트(21a)에 홀(23a)이 형성되는 형상이다. 플레이트(21a)에 복수개의 홀(23a)이 형성되고, 각 홀(23a)에 전극 탭(12)을 용접하여, 용접된 복수개의 전지 셀(11)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홀(23a)에 전극 탭(12)을 삽입하고 용접하여 전지 셀(11)을 연결하는 구조로, 별도로 전극 탭(12)의 형상을 변형하지 않아도 된다. 연결하고자 하는 전지 셀(11)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플레이트(21a)에 복수개의 홀(23a)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지 셀(1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연결하고자 하는 전지 셀(11)의 개수에 관계 없이, 전극 탭(12)의 형상을 변경하지 않고 전지 셀(11)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플레이트(21a) 및 홀(23a)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bus bar 20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hape in which a hole 23a is formed in the plate 21a. A plurality of holes 23a are formed in the plate 21a, and the electrode tabs 12 are welded to each hole 23a to electrically connect the plurality of welded battery cells 11. The electrode tab 12 is inserted into the hole 23a and welded to connect the battery cells 11, and the shape of the electrode tab 12 need not be modified. A plurality of holes 23a may be formed in the plate 21a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battery cells 11 to be connected. Therefore, in order to electrically connect the battery cells 11, regardless of the number of battery cells 11 to be connected, the battery cells 11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without changing the shape of the electrode tab 12. . Details of the plate 21a and the hole 23a will be described later.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20a)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bus bar 20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버스바(20a)는 플레이트(21a), 돌출부(22a) 및 홀(23a)를 포함할 수 있다. 버스바(20a)는 플레이트(21a)에 기 결정된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는 복수개의 홀(23a)을 포함하고, 홀(23a)에 삽입되는 전극 탭(12)을 용접하여, 복수개의 전지 셀(11)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홀(23a)마다 전극 탭(12)을 삽입하고 용접하여, 전극 탭(12)을 플레이트(21a)에 용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용접된 복수개의 전지 셀(11)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홀(23a)은 슬릿(slit)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3A and 3B, the bus bar 20a may include a plate 21a, a protrusion 22a, and a hole 23a. The bus bar 20a includes a plurality of holes 23a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plate 21a, and welds the electrode tabs 12 inserted into the holes 23a to provide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11 )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inserting and welding the electrode tab 12 for each hole 23a, the electrode tab 12 can be welded to the plate 21a. Therefore, the plurality of welded battery cells 11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At this time, the hole 23a may be formed in a slit shape.

플레이트(21a)와 용접되는 전지 셀(11)의 개수에 대응하여, 플레이트(21a)의 면적 또는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전지 셀(11)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때, 2개가 적층된 전지 셀(11)의 전극 탭(12)이 용접될 수 있는 홀(23a)이 형성될 수 있는 면적 또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3개의 전지 셀(11)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때, 3개가 적층된 전지 셀(11)의 전극 탭(12)이 용접될 수 있는 홀(23a)이 형성될 수 있는 면적 또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2개, 3개, 4개 등 연결하고자 하는 전지 셀(11)의 개수에 따라 플레이트(21a)의 면적 또는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20a)는 플레이트(21a)의 면적 또는 크기를 변경하거나 플레이트(21a)에 형성되는 홀(23a)의 개수를 변경하여, 전지 셀(1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때문에 별도로 전극 탭(12)의 형상을 변형하지 않을 수 있다.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battery cells 11 welded to the plate 21a, the area or size of the plate 21a may be determined. For example, when two battery cells 11 are electrically connected, an area or size in which holes 23a in which electrode tabs 12 of two battery cells 11 can be welded can be formed can be formed. Can be formed. Similarly, when three battery cells 11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e electrode tab 12 of the three stacked battery cells 11 may be formed in an area or size in which holes 23a to be welded may be formed. Can be. The area or size of the plate 21a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battery cells 11 to be connected, such as two, three, or four. The bus bar 20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the area or size of the plate 21a or changes the number of holes 23a formed in the plate 21a to electrically connect the battery cell 11. Since the connection is made, the shape of the electrode tab 12 may not be chang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20a)는 플레이트(21a)의 면적 등의 크기를 변경하거나 플레이트(21a)에 형성되는 홀(23a)의 개수를 변경하여 전지 셀(1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때문에 별도로 전극 탭(12)의 형상을 변형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경우 복수개의 전극 탭(12)을 용접하기 위해서는 전극 탭(12)들을 벤딩하거나 형상을 변형시키는 등 서로 맞닿게 할 수 있는 추가 공정이 필요하였다. 하지만,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20a)를 사용할 경우, 버스바(20a)에 전극 탭(12) 삽입 후 서로 연결하는 공정만 거치면 되는 것으로, 상술한 별도의 전극 탭(12) 변형이 불필요한 것이다.In addition, the bus bar 20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the size of the area of the plate 21a or the like or changes the number of holes 23a formed in the plate 21a to change the battery cell 11. Sinc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he shape of the electrode tab 12 may not be changed. Specifically, in the conventional case, in order to weld the plurality of electrode tabs 12, an additional process is required to be able to make contact with each other, such as bending the electrode tabs 12 or deforming the shape. However, when using the bus bar 20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nly necessary to go through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electrodes after inserting the electrode tab 12 into the bus bar 20a, and the separate electrode tab 12 described above. No transformation is necessar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20a)는 돌출부(22a)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돌출부(22a)는 플레이트(21a)에 홀(23a)이 형성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2a)는 홀(23a)에 전극 탭(12)이 삽입되도록 유도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도 3b에 나타난 확대도는 돌출부(22a)에 홀(23a)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홀(23a)은 전극 탭(12)의 두께(T1) 및 길이(L1)에 대응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홀(23a)은 전극 탭(12) 두께(T1)만큼의 좁은 면적으로 플레이트(21a)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홀(23a)에 전극 탭(12)이 보다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유도하기 위해 돌출부(22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은 설명은 도 5에서 후술한다.The bus bar 20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with a protrusion 22a. The protrusion 22a may be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hole 23a is formed in the plate 21a. The protrusion 22a may be formed to guide the electrode tab 12 into the hole 23a. The enlarged view shown in FIG. 3B shows that the hole 23a is formed in the protrusion 22a. Since the hole 23a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thickness T 1 and the length L 1 of the electrode tab 12, the hole 23a is plated with an area as narrow as the thickness T 1 of the electrode tab 12. It may be formed on (21a). Accordingly, a protrusion 22a may be formed to guide the electrode tab 12 into the hole 23a more easily.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5.

홀(23a)은 기 결정된 간격을 가지고 플레이트(21a)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기 결정된 간격은 전지 셀(11)의 간격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 결정된 간격은 홀(23a)에 전극 탭(12)이 삽입되는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전기적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전지 셀(11)의 개수에 따라 홀(23a)의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A plurality of holes 23a may be formed on the plate 21a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predetermined interval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nterval of the battery cells 11. Specifically, the predetermined interval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electrode tab 12 is inserted into the hole 23a. The number of holes 23a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battery cells 11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또한, 홀(23a)은 전극 탭(12)에 대응하는 깊이(도 4에 도시됨) 및 폭(L2)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홀(23a)은 용접 전, 삽입된 전극 탭(12)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깊이(L6)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극 탭(12)이 홀(23a)에 삽입되어, 플레이트(21a)와 접촉될 수 있다. Further, the hole 23a may be formed with a depth (shown in FIG. 4) and a width L 2 corresponding to the electrode tab 12. Specifically, the hole 23a may be formed to a depth L 6 capable of maintaining the state of the inserted electrode tab 12 before welding. Therefore, the electrode tab 12 may be inserted into the hole 23a, and contact the plate 21a.

전극 탭(12)이 홀(23a)에 삽입되어 플레이트(21a)와 접촉된 상태로 용접하여, 전극 탭(12)이 플레이트(21a)에 용접될 수 있다. 따라서, 버스바(20a)에 용접된 복수개의 전지 셀(11)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electrode tab 12 is inserted into the hole 23a and welded in contact with the plate 21a, so that the electrode tab 12 can be welded to the plate 21a. Therefore,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11 welded to the bus bar 20a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20a)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20a)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20a)의 홀(23a)에 전극 탭(12)이 삽입된 것을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bus bar 20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a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 bus bar 20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b is an electrode tab 12 in the hole 23a of the bus bar 20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he figure which showed the inserted thing in cross section.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플레이트(21a)의 기 결정된 간격마다 홀(23a)이 형성될 수 있다. 홀(23a)에 전극 탭(12)이 삽입될 수 있다. 홀(23a)이 전극 탭(12)의 두께(T1) 및 길이(L1)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홀(23a)에 삽입된 전극 탭(12)은 플레이트(21a)와 접촉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을 참조하면, 하나의 버스바(20a)를 이루는 플레이트(21a) 상에 3개의 홀(23a)이 형성될 수 있다. 홀(23a)을 통해 용접된 3개의 전지 셀(11)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4A and 4B, holes 23a may b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f the plate 21a. The electrode tab 12 may be inserted into the hole 23a. The hole 23a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thickness T 1 and the length L 1 of the electrode tab 12, so that the electrode tab 12 inserted into the hole 23a can be in contact with the plate 21a. . Referring to FIG. 4, three holes 23a may be formed on the plate 21a constituting one bus bar 20a. The three battery cells 11 welded through the holes 23a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홀(23a)이 형성된 부분에 돌출부(22a)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돌출부(22a)가 형성되는 것에만 한정되지 않고, 돌출부(22a)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직선의 플레이트(21a)에 홀(23a)이 형성될 수 있다.A protrusion 22a may be formed in a portion where the hole 23a is formed. However, the protrusion 22a is not limited to being formed, and the protrusion 22a may not be formed. In this case, holes 23a may be formed in the straight plate 21a.

나아가, 플레이트(21a)의 일측은 플레이트(21a)의 일측에서 전극 탭(12)이 진입하는 진입 공간의 너비(L4)는 홀(23a)에 가까워 질수록 감소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전극 탭(12)이 진입하는 측의 너비(L4)가 홀(23a)에 가까워 질수록 감소됨으로써 플레이트(21a)의 일측이 경사지게 되고, 위와 같은 형상으로 전극 탭(12)이 홀(23a)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Further, one side of the plate 21a may be formed to decrease as the width L 4 of the entry space into which the electrode tab 12 enters from one side of the plate 21a approaches the hole 23a. As the width (L 4 ) of the side where the electrode tab 12 enters is reduced as it approaches the hole 23a, one side of the plate 21a is inclined, and the electrode tab 12 has the hole 23a in the shape as above. Can be easily inserted into.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20a)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20a)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버스바(20a)의 홀(23a)에 전극 탭(12)이 삽입된 것을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bus bar 20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a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 bus bar 20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b is an electrode tab 12 in the hole 23a of the bus bar 2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he figure which showed the inserted thing in cross section.

도 5a 및 도 5b 참조하면, 전극 탭(12)은 벤딩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벤딩부(121)는 전극 탭(12)의 기 결정된 부위를 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 때, 상기 벤딩부(121)는 U자 형으로 벤딩될 수 있다. 다만, 벤딩부(121)는 전극 탭(12)의 기 결정된 부위가 휘어져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극 탭(12)의 기 결정된 부위에 돌출된 부분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그 밖의 벤딩부(121)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벤딩부(121)는 후에 용접을 통해 전극 탭(12)이 버스바(20a)와 결합한 상태에서 외부 진동 또는 충격이 발생한 경우에 충격을 흡수하여 전극 탭(12)과 버스바(20a) 간의 결합 상태의 손상 또는 전극 탭(12) 자체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5A and 5B, the electrode tab 12 may include a bending part 121. The bending part 121 may be formed by bending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electrode tab 12, and at this time, the bending part 121 may be bent in a U shape. However, the bending part 121 is not limited to being formed by bending a predetermined part of the electrode tab 12, and a protruding part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part of the electrode tab 12, and other bending parts It may include that 121 can be formed. The bending part 121 absorbs a shock when an external vibration or shock occurs in a state in which the electrode tab 12 is coupled to the bus bar 20a through welding, and thus is applied between the electrode tab 12 and the bus bar 20a. It is possible to minimize damage to the bonding state or damage to the electrode tab 12 itself.

나아가, 버스바(20a)에 전극 탭(12) 삽입 시 버스바(20a)는 전극 탭(12)의 벤딩부(121)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고, 후술한 것과 같이 삽입된 상태의 전극 탭(12)과 버스바(20a) 홀(23a)과의 간극(도 15에 도시됨)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홀(23a)에 삽입된 전극 탭(12)의 위치를 고정시켜 후에 전극 탭(12) 용접 시 용접선을 용이하게 추적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벤딩부(121)는 플레이트(21a)의 일측에 밀착됨으로써 용접과정에서 레이저(L)가 전지 셀(11)에 직접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more, when the electrode tab 12 is inserted into the bus bar 20a, the bus bar 20a may be seated and fixed to the bending portion 121 of the electrode tab 12, and the electrode tab in an inserted state as described below 12, the gap between the bus bar 20a and the hole 23a (shown in FIG. 15) is kept constant, and the position of the electrode tab 12 inserted into the hole 23a is fixed, and then the electrode tab 12 ) When welding, the welding line can be easily traced. In addition, the bending portion 121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plate 21a to prevent the laser L from being directly irradiated to the battery cell 11 in the welding process.

한편, 상기 벤딩부(121)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23a)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즉, 홀(23a)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지지 플레이트(30)의 지지홀(32) 외주면 일측에 접촉되어 위치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osition of the bending portion 121 is not limited to this, as shown in Figure 1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located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hole (23a). That is, it may be located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hole 32 of the support plate 30 in a state spaced from the hole 23a. Details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전극 탭(12)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 탭(12)은 벤딩부(121) 및 직선부를 포함할 수 있고, 직선부의 적어도 일부는 홀(23a)에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직선부는 전극 탭(12)에서 벤딩되지 않은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직선부에는 공정에 따라 미세한 굴곡이 존재할 수도 있으나, 직선부는 전극 탭(12)에서 별도로 벤딩을 하지 않은, 곧은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Meanwhile, at least one of the electrode tabs 12 may include a bending portion 121 and a straight portio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traight portion may be inserted into the hole 23a. At this time, the straight portion may mean a portion not bent in the electrode tab 12. However, the above-described straight portion may have fine bends depending on the process, but the straight portion may mean a straight portion that is not separately bent in the electrode tab 12.

한편, 기 결정된 부위는 홀(23a)에 삽입되는 부분과 전지 셀(11)에서 전극 탭(12)이 인출되는 부분 사이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극 탭(12)의 기 결정된 부위에 형성된 벤딩부(121)는 전극 탭(12)이 홀(23a)에 삽입될 때, 전극 탭(12) 중 벤딩부(121) 외측의 벤딩되지 않은 부분의 길이(L7)를 한정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edetermined portion may be between a portion inserted into the hole 23a and a portion where the electrode tab 12 is withdrawn from the battery cell 11. As described above, when the electrode tab 12 is inserted into the hole 23a, the bending part 121 form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electrode tab 12 is not bent outside the bending part 121 of the electrode tab 12. It is possible to limit the length (L 7 ) of the non-part.

벤딩부(121)에 의해 전극 탭(12)이 홀(23a)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전극 탭(12)에 벤딩부(121)가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벤딩부(121)를 통해 전극 탭(12) 중 벤딩부(121) 외측의 벤딩되지 않은 부분의 길이(L7)가 조절될 수 있다. 전극 탭(12)을 홀(23a)에 삽입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전극 탭(12)이 홀(23a)에 삽입되다가, 전극 탭(12)에 형성된 벤딩부(121)가 플레이트(21a)에 접촉되어 걸릴 수 있다. 따라서, 전극 탭(12)에서 벤딩부(121)가 형성된 위치의 바로 위까지 홀(23a)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전극 탭(12) 중 벤딩부(121) 외측의 벤딩되지 않은 부분의 길이(L7)는 홀(23a)의 깊이(L6)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electrode tab 12 may be inserted and fixed into the hole 23a by the bending part 121. Depending on the position where the bending part 121 is formed on the electrode tab 12, the length L 7 of the unbent part of the electrode tab 12 outside the bending part 121 is adjusted through the bending part 121. Can be. Looking at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electrode tab 12 into the hole 23a, the electrode tab 12 is inserted into the hole 23a, and the bending portion 121 formed on the electrode tab 12 contacts the plate 21a. It can take. Therefore, the electrode tab 12 can be fix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hole 23a right up to the position where the bending part 121 is formed. Meanwhile, the length L 7 of the non-bent portion of the electrode tab 12 outside the bending part 121 may be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depth L 6 of the hole 23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20a)에 있어서, 버스바(20a)에 형성된 홀(23a)과 홀(23a)에 삽입된 전극 탭(12) 간의 용접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홀(23a)과 전극 탭(12) 간의 간극(L3)(홀(23a)에 삽입된 전극 탭(12) 양측의 간극 중 어느 하나)이 기 결정된 수치 이하일 수 있으며, 기 결정된 수치는 0.2 mm 일 수 있다. 만약, 홀(23a)과 전극 탭 간의 간극(L3)이 0.2 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홀(23a)과 전극 탭(12) 간이 레이저 용접에 의해서 견고하게 연결되기 어려울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홀(23a)과 전극 탭(12) 간의 간극(L3)이 0.1 mm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스바(20a)에 형성된 홀(23a)의 폭(L2)이 0.5 mm일 경우에, 전극 탭(12)의 두께(T1)는 0.3 mm 이상으로 함으로써, 전극 탭(12)의 양측에 형성되는 홀(23a)과 전극 탭(12) 간 양측의 간극(L3)이 각각 0.1 mm ((0.5 - 0.3)/2) 이하로 될 수 있다. In the bus bar 20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ole is formed so that welding between the hole 23a formed in the bus bar 20a and the electrode tab 12 inserted in the hole 23a is made firmly The gap L 3 between the 23a and the electrode tab 12 (any one of the gaps on both sides of the electrode tab 12 inserted into the hole 23a) may be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and the predetermined value is 0.2 mm. Can be. If the gap L 3 between the hole 23a and the electrode tab exceeds 0.2 mm, it may be difficult to securely connect the hole 23a and the electrode tab 12 by laser welding. More preferably, the gap L 3 between the hole 23a and the electrode tab 12 may be 0.1 mm or less. For example, when the width L 2 of the hole 23a formed in the bus bar 20a is 0.5 mm, the thickness T 1 of the electrode tab 12 is 0.3 mm or more, thereby making the electrode tab 12 ), the gaps L 3 on both sides between the holes 23a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lectrode tab 12 and the electrode tabs 12 may be 0.1 mm ((0.5-0.3)/2) or less, respectively.

더 바람직하게는, 용접 과정에서 버스바(20a)도 함께 녹을 수 있고, 전극 탭(12)의 두께(T1)와 홀(23a)의 크기에 차이가 없을 경우 전극 탭(12) 삽입과정에서 삽입이 원활하지 않을 등 공정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홀(23a)과 삽입된 전극 탭(12) 간 양측의 간극(L3)은 각각 약 0.05mm(0.1/2) 이상이 되어야 한다. 즉, 상기 홀(23a)과 상기 홀(23a)에 삽입된 상기 전극 탭(12) 간의 양측 간극(L3)의 합은 0.1mm 내지 0.2 mm로 형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in the welding process, the bus bar 20a may also be melted, and when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thickness T 1 of the electrode tab 12 and the size of the hole 23a, the electrode tab 12 is inserted in the process. Since there may be problems in the process such as not being smoothly inserted, the gaps L 3 on both sides between the holes 23a and the inserted electrode tabs 12 should be about 0.05 mm (0.1/2) or more, respectively. That is, the sum of both gaps L 3 between the hole 23a and the electrode tab 12 inserted in the hole 23a may be 0.1 mm to 0.2 mm.

이를 통해, 후술할 배터리 모듈(1) 제조 과정에서 레이저 용접 시 전극 탭(12)만을 녹일 수 있다.Through this, only the electrode tab 12 may be melted during laser welding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battery module 1 to be described later.

한편, 전극 탭(12)은 구리(Cu) 및 알루미늄(Al)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양극 탭이 구리(Cu)로 이루어진 경우 음극 탭은 알루미늄(Al)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반대도 가능할 수 있다. 이 때, 양극 및 음극 탭의 두께(T1) 역시 다양할 수 있는데, 양극 및 음극 탭의 특성상 전극 탭이 구리(Cu)로 이루어진 경우의 두께(T1)는 약 0.3mm, 알루미늄(Al)으로 이루어진 경우의 두께(T1)는 약 0.4mm가 됨이 바람직할 것이고, 이에 따라, 버스바(20a)의 홀(23a) 폭(L2)은 대략 0.5mm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전극 탭(12)의 두께(T1) 및 홀(23a)의 폭(L2)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Meanwhile, the electrode tab 12 may be made of any one of copper (Cu) and aluminum (Al). For example, when the positive electrode tab is made of copper (Cu), the negative electrode tab may be made of aluminum (Al), and vice versa. At this time, the thickness of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T 1 ) may also vary, the thickness (T 1 ) when the electrode tab is made of copper (Cu)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 tabs is about 0.3 mm, aluminum (Al) In the case of consisting of the thickness (T 1 ) It will be desirable to be about 0.4mm, and accordingly, the width (L 2 ) of the hole (23a) of the bus bar 20a may be formed to be approximately 0.5mm. However, it is apparent that the thickness T 1 of the electrode tab 12 and the width L 2 of the hole 23a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hanged as necessary.

도 6은 전극 탭(12)의 절연부(125)에 벤딩부(121)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ending portion 121 is formed on the insulating portion 125 of the electrode tab 12.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전지 셀(11)은 전극조립체 및 전극조립체를 감싸는 외장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전극 탭(12)은 상기 전극조립체에서 전극 탭(12)이 돌출된 측면 외곽을 따라 상기 외장재가 접합되어 형성된 테라스부(124), 상기 테라스부(124) 중 전극 탭(12)이 인출되는 위치에서 외장재의 밀봉도를 높이고 동시에 전기적 절연상태를 확보할 수 있는 절연부(125) 및 상기 절연부(125)에서 인출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홀(23a)에 삽입되는 전극 탭부(126)를 포함할 수 있고, 절연부(125)에 상기 벤딩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battery cell 11 may include an electrode assembly and an exterior material surrounding the electrode assembly. At this time. The electrode tab 12 is a position where the electrode tab 12 is drawn out of the terrace portion 124 and the terrace portion 124 formed by joining the exterior material along the side outer surface where the electrode tab 12 protrudes from the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the insulating portion 125 to increase the sealing degree of the exterior material and at the same time to ensure the electrical insulation state and the electrode tab portion 126 withdrawn from the insulating portion 125, at least a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hole (23a) The bending part 121 may be formed on the insulating part 125.

구체적으로, 상기 벤딩부(121)는 절연부(125) 외측의 전극 탭부(126)가 벤딩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극 탭(12) 중 절연부(125) 가 벤딩됨으로써 절연부(125)에 벤딩부(121)가 형성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벤딩부(121)가 절연부(125)에 형성됨에 따라 전체적인 전극 탭(12)의 길이(L1)는 감소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전체 배터리 모듈(1)의 부피 역시 감소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ending portion 121 may be formed by bending the electrode tab portion 126 outside the insulating portion 125,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insulated by bending the insulating portion 125 of the electrode tab 12. A bending portion 121 may be formed in the portion 125. As described above, as the bending part 121 is formed on the insulating part 125, the length L 1 of the entire electrode tab 12 may be reduced, and accordingly, the volume of the entire battery module 1 may also be reduced. have.

나아가, 상기 절연부(125)에 벤딩부(121)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절연부(125)가 찢어지거나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벤딩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바, 절연부(125)의 절연성능은 유지한 채 배터리 모듈(1) 내 전극 탭(12)이 차지하는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고, 나아가, 전지 모듈(1)의 에너지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Furthermore, when the bending portion 121 is formed on the insulating portion 125, bending may be performed within a range in which the insulating portion 125 is not torn or damaged, and the insulating performance of the insulating portion 125 is While maintaining, the volume occupied by the electrode tab 12 in the battery module 1 may be reduced, and further, the energy density of the battery module 1 may be increased.

도 7 (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 (b)는 도 7 (a)의 A 부분 확대도이다.7(a) is a view showing a secondary battery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b)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7(a).

한편, 도 7 (a) 및 (b)를 참조하면, 전극 탭(12)의 말단 양측부에는 챔퍼(chamfer)부(127)가 형성되어 전극 탭(12)의 홀(23a) 삽인 간 전극 탭(12) 삽입이 용이해 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ure 7 (a) and (b), both ends of the electrode tab 12, the chamfer (chamfer) portion 127 is formed between the electrode tab 12 hole (23a) inter-insert electrode tab (12) Insertion can be facilitated.

구체적으로, 상기 전극 탭(12) 중 전극 탭(12) 말단면의 길이(L5) 방향(d2) 양 측단(edge)은 전극 탭(12)의 길이(L1) 방향(d1)에 대해 경사지게 절단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전극 탭(12)의 말단 양측부에는 챔퍼부(127)가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전극 탭(12) 말단에 챔퍼부(127)가 형성됨으로써 홀(23a) 삽입 과정에서 홀(23a) 내부로 전극 탭(12)의 삽입이 유도될 수 있고, 전극 탭(12) 삽입이 더욱 용이해 질 수 있다.Specifically, among the electrode tabs 12, the length (L 5 ) direction (d 2 ) of the end surface of the electrode tab 12 is opposite (edge), and the length (L 1 ) direction (d 1 ) of the electrode tab 12 It may be formed to be cut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hamfer portion 127 may be formed on both ends of the electrode tab 12. As described above, the chamfer portion 127 is formed at the end of the electrode tab 12 so that the insertion of the electrode tab 12 into the hole 23a may be induced in the hole 23a insertion process, and the electrode tab 12 is inserted. This can be easier.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플레이트(30), 버스바(20a) 및 고정 플레이트(40)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지지 플레이트(30), 버스바(20a) 및 고정 플레이트(40)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도 9의 A-A'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plate 30, a bus bar 20a, and a fixed plate 4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support plate 30 of FIG. 8 and a bus The bar 20a and the fixed plate 40 are combined views, and FIG. 10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A-A' in FIG. 9.

이 때, 상기 도 9는 지지 플레이트(30), 버스바(20a) 및 고정 플레이트(40) 결합체에 복수개의 이차 전지(10)가 연결되지 않은 모습을 나타낸 것이며, 상기 도 10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30), 버스바(20a) 및 고정 플레이트(40) 결합체의 일측에서 전극 탭(12)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At this time, the FIG. 9 shows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10 are not connected to the support plate 30, the bus bar 20a, and the fixed plate 40 combination, and FIG. 10 shows the support plate ( 30),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ctrode tab 12 is inserted from one side of the bus bar 20a and the fixed plate 40 assembly.

도 8 내지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은 상기 버스바(20a)의 홀(23a)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지지홀(32)이 형성된 지지 플레이트(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지지 플레이트(30)는 복수개의 전지 셀(11) 및 버스바(20a) 사이에 위치되어 버스바(20a)를 고정 지지할 수 있다.8 to 10, the battery module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pport plate 30 form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 holes 32 corresponding to the holes 23a of the bus bar 20a ) May be further included. At this time, the support plate 30 is positioned between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11 and the bus bar 20a to fixably support the bus bar 20a.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 플레이트(30)는 플레이트 형상의 지지 플레이트 몸체(31)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 몸체(31)상에 버스바(20a)의 복수개 홀(23a)에 대응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홀(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지지홀(32)의 크기는 버스바 홀(23a)의 크기보다 단면이 넓게 형성될 수 있고, 전극 탭(12)의 벤딩부(121)는 지지홀(32)의 외주면 일측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 때, 벤딩부(12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극 탭(12)의 절연부(125)에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upport plate 30 is a plate-shaped support plate body 31 and a plurality of support holes 32 formed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holes 23a of the bus bar 20a on the support plate body 31 ).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support hole 32 may be formed to have a larger cross-section than the size of the bus bar hole 23a, and the bending portion 121 of the electrode tab 12 contacts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hole 32 Can be supported. At this time, the bending portion 121 may be formed on the insulating portion 125 of the electrode tab 12 as described above.

이를 통해, 후술할 용접 과정에서 전극 탭(12)과 버스바 홀(23a) 사이의 간극(L3)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홀(23a)에 삽입된 전극 탭(12)의 위치를 고정시킴으로써 후에 전극 탭(12) 용접 시 용접선을 용이하게 추적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벤딩부(121)가 지지홀(32)의 외주면 일측에 밀착됨에 따라 용접과정에서 레이저(L)가 전지 셀(11)에 직접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in the welding process to be described later, the gap L 3 between the electrode tab 12 and the busbar hole 23a is kept constant, and the position of the electrode tab 12 inserted into the hole 23a is fixed, followed by When welding the electrode tab 12, the welding line can be easily tracked. In addition, as the bending part 121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hole 32,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aser L from being directly irradiated to the battery cell 11 in the welding process.

한편,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외면에 절연물질이 코팅되거나 절연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개의 전극 탭 각각이 복수개의 지지홀 각각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는 바, 전극 탭 사이의 절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plate may be coat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on the outer surface or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 tabs is fixed in a state inserted into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 holes, thereby maintaining the insulation state between the electrode tabs. have.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은 버스바(20a) 및 지지 플레이트(30)를 결속하여 고정 지지하는 고정 플레이트(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battery module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late 40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bus bar 20a and the supporting plate 30.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은 버스바(20a)의 홀(23a)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버스바 노출홀(42)이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고정 플레이트(40)는 버스바(20a)의 외측에 위치되고,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30)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됨으로써 버스바(20a)를 고정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플레이트(40)는 버스바(20a)의 외측면을 덮는 형상으로 위치될 수 있는 바, 외부 이물질 등으로부터 버스바(20a)를 보호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attery module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ixing plate 40 in which a plurality of busbar exposure holes 42 corresponding to holes 23a of the busbar 20a are formed. can do. At this time, the fixing plate 40 is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bus bar 20a, and can be fixedly supported on the bus bar 20a by being coupl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30 at least in part. In addition, the fixing plate 40 can be positioned in a shape that covers the outer surface of the bus bar 20a, and can protect the bus bar 20a from foreign objects.

더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 플레이트(40)는 플레이트 형상의 고정 플레이트 몸체(41)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 몸체(41)상에 버스바(20a)의 복수개 홀(23a)에 대응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버스바 노출홀(4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버스바 노출홀(42)의 크기는 버스바 홀(23a)의 크기보다 단면이 넓게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22a)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용접 간 용접부위 추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xed plate 40 is exposed to a plurality of bus bars formed to correspond to a plurality of holes 23a of the bus bar 20a on the plate-shaped fixed plate body 41 and the fixed plate body 41. It may include a hole (42).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bus bar exposed hole 42 may be formed to have a larger cross-section than the size of the bus bar hole 23a, and preferably, the protrusion 22a may be formed to a size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racking of welds between welds.

나아가, 상기 고정 플레이트(40)는 버스바 노출홀(42)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버스바(20a)의 플레이트(21a) 외면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지지 플레이트(30)와 버스바(20a)를 사이에 두며 결속됨으로써 버스바(20a)를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할 수 있다.Further, the fixed plate 40 may be formed in a form that wraps the outer surface of the plate 21a of the bus bar 20a except for the bus bar exposure hole 42, and the support plate 30 and the bus bar 20a. ) Can be stably fixed by supporting the bus bar 20a by being interposed therebetween.

한편, 2개 이상의 이차 전지(10)가 상기 버스바(20a)를 통해 병렬 연결되어 하나의 병렬집합체(도 11에 도시됨)로 군집될 수 있고, 상기 병렬집합체(100)는 복수개 구비되어 상호 직렬 연결됨으로써 배터리 모듈(1)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스바(20a)는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는데, 2개 이상의 버스바(20a) 중 배터리 모듈(1)의 일 측면에서 양 끝단에 위치한 버스바(20a) 각각의 적어도 일부에는 외부의 다른 배터리 모듈 또는 충방전 장치 등과 연결될 수 있는 터미널부(25a)가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wo or more secondary batteries 10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through the bus bar 20a to be clustered into one parallel aggregate (shown in FIG. 11), and the parallel aggregate 10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utually By connecting in series, the battery module 1 can be formed. At this time, two or more of the bar 20a may be provided. Among the two or more bus bars 20a, at least a portion of each of the bus bars 20a located at both ends of one side of the battery module 1 is external. A terminal unit 25a that may be connected to another battery module or a charging/discharging device may be formed.

구체적으로, 상기 터미널부(25a) 각각은 복수개의 병렬집합체(100)가 연결된 배터리 모듈(1) 전체의 (+)극 및 (-)극을 의미할 수 있고, 복수개 병렬집합체(100)의 전극 배치에 따라 상기 2개의 터미널부(25a) 중 하나는 (+)극에 연결될 수 있고, 나머지 하나는 (-)극에 연결될 수 있다.Specifically, each of the terminal portions 25a may mean a (+) pole and a (-) pole of the entire battery module 1 to which a plurality of parallel assemblies 100 are connected, and an electrode of the plurality of parallel assemblies 100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one of the two terminal portions 25a may be connected to the (+) pole, and the other one may be connected to the (-) pole.

한편, 상기 고정 플레이트(40) 양단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터미널부(25a)에 대응되는 위치에 터미널 지지홀(44)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터미널부(25a)는 터미널 지지홀(44)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Meanwhile, a terminal support hole 44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part 25a on at least a part of both ends of the fixing plate 40, and the terminal part 25a may be provided in the terminal support hole 44. It can be inserted and fixed.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이 3개의 홀(23a)을 포함하는 버스바(20a)는 2개 구비될 수 있고, 배터리 모듈(1)의 일 측면에서 양 끝단에 위치한 상기 2개의 버스바(20a) 각각의 적어도 일부에는 터미널부(25a)가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미널부(25a)는 고정 플레이트(40) 상에 형성된 터미널 지지홀(44)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버스바(20a)의 위치가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8, two bus bars 20a each including three holes 23a may be provided, and are located at both ends at one side of the battery module 1. A terminal portion 25a may be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each of the two bus bars 20a. Furthermore, as illustrated in FIG. 9, the terminal portion 25a is inserted into the terminal support hole 44 formed on the fixing plate 40 so that the position of the bus bar 20a can be fixed and supported.

나아가, 터미널부(25a)가 고정 플레이트(40) 외측으로 돌출되는 바, 버스바(20a)가 고정 플레이트(40)에 감싸여 있는 상태에서도 터미널부(25a)는 고정 플레이트(40)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고, 외부의 배터리 모듈 또는 충방전 장치 등과 연결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terminal portion 25a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xed plate 40 even when the bar protruding outside the fixed plate 40 and the bus bar 20a is wrapped in the fixed plate 40. It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battery module or a charging/discharging device.

한편, 위와 같이, 버스바(20a)가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 고정 플레이트(40)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복수개의 버스바(20a)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버스바(20a)의 위치를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43)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43)는 고정 플레이트 몸체(41)의 적어도 일부에서 버스바(20a) 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버스바(20a)의 개수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바(20a)가 2개 구비되는 경우, 고정 플레이트(40)의 일측에는 고정부재(43)가 1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고정부재(43)는 2개의 버스바(20a) 사이에 위치되어 버스바(20a)의 위치를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hen a plurality of bus bars 20a are provided, at least a part of the fixing plate 40 is positioned between the plurality of bus bars 20a to fix and support the position of the bus bars 20a. At least one fixing member 43 that can be formed. At this time, the at least one fixing member 43 may be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bus bar 20a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fixing plate body 41, and may b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bus bars 20a.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when two bus bars 20a are provided, one fixing member 43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xing plate 40, and the fixing member 43 ) Is located between the two bus bars 20a to fix and support the position of the bus bars 20a.

나아가, 지지 플레이트(30)의 버스바(20a) 측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고정부재(43)에 대응되는 고정부재 삽입홈(33)이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 플레이트(40)에서 돌출된 고정부재(43)가 상기 지지 플레이트(30)의 일측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고정부재(43)가 고정부재 삽입홈(33)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버스바(20a)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Furthermore, a fixing member insertion groove 33 corresponding to the fixing member 43 may be embedd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30 on the bus bar 20a side. Specifically, the fixing member 43 protruding from the fixing plate 40 can be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support plate 30, and the fixing member 43 is located in the fixing member insertion groove 33, so that the bus The bar 20a can be fixed and supported more firmly.

나아가, 고정 플레이트(40)는 고정 플레이트 몸체(41)의 적어도 일부가 버스바(20a) 측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돌기(411)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체결돌기(411)가 지지 플레이트(30)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지지 플레이트(30) 및 고정 플레이트(40)는 상호 결속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fixed plate 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astening protrusions 411 formed at least partially of the fixed plate body 41 protruding toward the bus bar 20a, and the fastening protrusions 411 support plates 30 ) By being combined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30 and the fixed plate 40 may be bound to each other.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돌기(411)에 걸림부(미도시 됨)가 형성되고 지지 플레이트(30)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걸림부에 대응되는 걸림홈(미도시 됨)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걸림부 및 걸림홈의 체결을 통해 고정 플레이트(40) 및 지지 플레이트(30)가 버스바(20a)를 사이에 두고 상호 결속 및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체결돌기(411)가 지지 플레이트(30)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되어 체결 및 결합 될 수 있는 방식이면 충분하다.Specifically, a locking portion (not shown) is formed in the fastening protrusion 411, and a locking groove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portion is formed on at least a part of the support plate 30, so that the locking portion and the locking portion are formed. Through the fastening of the groove, the fixed plate 40 and the support plate 30 can be coupled and coupled to each other with the bus bar 20a interposed therebetween. However, this is exemplary and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method in which the fastening protrusion 411 can be fastened and coupl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30 is sufficient.

위와 같이, 상기한 고정 플레이트(40)는 버스바(20a)의 돌출부(22a)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모두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플라스틱 등의 절연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배터리 모듈(1) 사용 시 버스바(20a) 주변의 타 구성품과의 전기적 연결 가능성을 미리 차단해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xed plate 40 may be formed in a form surrounding all of the rest of the bus bar 20a except for the protruding portion 22a, and as it is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plastic, the battery module 1 When used, the possibility of electrical connection with other components around the bus bar 20a may be blocked in advance.

한편, 상기 고정 플레이트 몸체(41)의 버스바(20a) 측 측면에는 버스바(20a) 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돌기(45)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버스바(20a)는 플레이트(21a)에서 상기 삽입돌기(45)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기(45)에 의해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26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플레이트(30)는 지지 플레이트 몸체(31)상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돌기(45)가 삽입 가능하고, 삽입돌기(45)의 삽입 상태에서 상기 삽입돌기(45)와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t least one insertion protrusion 45 protruding toward the bus bar 20a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fixed plate body 41 on the side of the bus bar 20a. At this time, the bus bar 20a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insertion protrusion 45 on the plate 21a and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through hole 26a penetrated by the insertion protrusion 45. You can. In addition, the support plate 30 is formed on the support plate body 31 so that the insertion protrusion 45 can be inserted and can be combined with the insertion protrusion 45 in the insertion state of the insertion protrusion 45. At least one fastening hole 34 may be further included.

구체적으로, 상기 삽입돌기(45), 관통홀(26a) 및 체결홀(34)은 각각이 고정 플레이트 몸체(41), 플레이트(21a) 및 지지 플레이트 몸체(31) 각각에서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삽입돌기(45)는 버스바 노출홀(42)의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관통홀(26a)은 홀(23a)의 인접한 위치에, 상기 체결홀(34)은 지지홀(32)의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insertion protrusion 45, the through hole 26a and the fastening hole 34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the fixed plate body 41, the plate 21a and the support plate body 31, respectively. Can be. For example, the insertion protrusion 45 may be formed at an adjacent position of the busbar exposure hole 42, and correspondingly, the through hole 26a is located at an adjacent position of the hole 23a, and the fastening hole 34 may be formed at an adjacent position of the support hole 32.

더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플레이트(40), 버스바(20a) 및 지지 플레이트(30)가 결합된 경우, 상기 삽입돌기(45)는 버스바(20a)의 관통홀(26a)을 관통하여 지지 플레이트(30)의 체결홀(34)에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체결홀(34)에 삽입된 삽입돌기(45) 및 체결홀(34) 각각은 상호 결합됨으로써 지지 플레이트(30) 및 고정 플레이트(40)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버스바(20a)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9, when the fixing plate 40, the bus bar 20a and the support plate 30 are coupled, the insertion protrusion 45 has a through hole ( 26a) may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34 of the support plate 30. At this time, each of the insertion protrusion 45 and the fastening hole 34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34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support plate 30 and the fixed plate 40 can be combined, and the bus bar 20a ) Can be fixed.

또한, 삽입돌기(45)가 관통홀(26a)을 통해 체결홀(34)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돌기(45)가 열 융착됨에 따라 지지 플레이트 몸체(31)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고정 플레이트(40), 버스바(20a) 및 지지 플레이트(30)는 상호 결속됨으로써 버스바(20a)의 위치는 안정적으로 고정 및 지지 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insertion projection 45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34 through the through-hole 26a, the insertion projection 45 is thermally fused to be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body 31, Through this, the fixed plate 40, the bus bar 20a and the support plate 30 are mutually engag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bus bar 20a can be stably fixed and supported.

한편, 상기 지지 플레이트(30) 및 고정 플레이트(40)는 복수개의 전지 셀(11) 적층체의 적층 방향 단면적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지 플레이트(30) 및 고정 플레이트(40)의 부피에도 불구하고, 배터리 모듈(1)의 불필요한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바, 배터리 모듈(1)의 에너지 밀도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버스바(20a) 및 전극 탭(12)을 고정 지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plate 30 and the fixed plate 40 may be form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area in the stacking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11 stack. Through this, despite the volume of the support plate 30 and the fixed plate 40,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unnecessary volume of the battery module 1, the bus in a range that does not hinder the energy density of the battery module 1 The bar 20a and the electrode tab 12 may be fixedly supported.

도 11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의 전기적 연결상태를 정면에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의 전기적 연결상태를 배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즉, 도면상 도 11a의 좌측단의 이차 전지(10)는 도 11b의 우측단의 이차 전지(10)이다).11A is a view show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state of the battery module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front, and FIG. 11B is an electrical connection state of the battery module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he figure shown from the back side (namely, the secondary battery 10 in the left end of FIG. 11A in the figure is the secondary battery 10 in the right end of FIG. 11B).

도 11a 및 11b를 참조하면, 2개 이상의 이차 전지(10)가 상기 버스바(20a)를 통해 병렬 연결되어 하나의 병렬집합체(100)로 군집될 수 있고, 상기 병렬집합체(100)는 복수개 구비되어 상호 직렬 연결됨으로써 배터리 모듈(1)이 형성될 수 있다.11A and 11B, two or more secondary batteries 10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through the bus bar 20a to be clustered into one parallel assembly 100, and the parallel assembly 100 may be provided in plural. By being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the battery module 1 can be formed.

예를 들어, 본 명세서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서 봤을 때 이차 전지(10) 3개의 (+)극이 버스바(20a)를 통해 병렬 연결되어 하나의 병렬집합체(100a)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병렬집합체(100a)는 (-)극이 병렬 연결된 병렬집합체(100b)와 나란히 배치되어 상호 직렬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A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ree (+) poles of the secondary battery 10 are connected in parallel through the bus bar 20a to be formed as one parallel assembly 100a. The parallel aggregates 100a may be arranged in series with the parallel aggregates 100b in which the (-) poles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to be connected in series.

구체적으로, 복수개 이차 전지(10)의 일 방향을 기준으로 상호 상이한 전극의 병렬집합체(100a, 100b) 4개가 구비되어 버스바(20a)를 통해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즉, 총 12개의 이차 전지(10)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차 전지(10) 2개가 동일한 전극으로 병렬 연결되어 하나의 병렬집합체(100)로 형성되고, 상기 병렬집합체(100)가 상호 상이한 전극을 일 측으로 복수개 구비되어 직렬 연결되며 하나의 배터리 모듈(1)을 형성할 수도 있다.Specifically, four parallel assemblies 100a and 100b of different electrodes are provided based on one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10 and may be connected in series through the bus bar 20a. That is, a total of 12 secondary batteries 10 may be interconnected. However, this is not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and two secondary batteries 10 are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same electrode to form one parallel assembly 100, and the parallel assembly 1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utually different electrodes on one side. It is connected in series and may form one battery module 1.

위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은 하나의 병렬집합체(100)를 구성할 이차 전지(10) 개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고, 직렬 연결될 병렬집합체(100)의 개수 역시 자유롭게 선택 가능한 바, 배터리 모듈(1)의 구성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이는 단순히 버스바(20a)에 형성되는 홀(23a)의 개수를 달리하는 것으로 수행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attery module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reely select the number of secondary cells 10 constituting one parallel assembly 100, and the number of parallel assemblies 100 to be connected in series is also Freely selectabl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egree of freedom of configuration of the battery module 1, which can be simply performed by varying the number of holes 23a formed in the bus bar 20a.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20a)는 플레이트(21a)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전압 센싱 연결부(20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압 센싱 연결부(200a)는 상기 병렬집합체(100)의 전압 측정을 위한 전압 센싱 모듈(미도시 됨) 등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압 센싱 모듈은 배터리 모듈(1) 외측에 위치된 전압 센싱 회로, 배터리 관리 모듈 등 상기 병렬집합체(100)의 전압 상태를 측정 및 확인할 수 있는 구성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bus bar 2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voltage sensing connection 200a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plate 21a. Specifically, the voltage sensing connection unit 200a may be connected to a voltage sensing module (not shown) for measuring the voltage of the parallel assembly 100. In this case, the voltage sensing module may be configured to measure and check the voltage state of the parallel assembly 100 such as a voltage sensing circuit located outside the battery module 1 and a battery management module.

한편, 후술할 전극 탭(12) 용접 과정에서 레이저는 전극 탭(12)의 말단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어 행해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전극 탭 용접부(123)는 상호 소정 간격을 두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할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는 전극 탭(12)의 말단면에 연속적으로 조사될 수도 있고, 그에 따라 전극 탭 용접부(123)는 일직선의 연속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ocess of welding the electrode tab 12 to be described later, the laser may be per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end faces of the electrode tab 12, and accordingly, a plurality of electrode tab welding parts 123 may b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s shown in FIG. 16(b),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laser may be irradiated continuously to the end face of the electrode tab 12, so that the electrode tab welding part 123 is continuously continuous. It may be formed in a shape.

또한, 도 11의 버스바(20a)에는 상술한 터미널부(25a)가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11은 복수개 이차 전지(10)의 전기적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생략하였을 뿐, 복수개의 버스바(20a) 중 양 끝단의 버스바(20a)의 적어도 일부에는 터미널부(25a)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above-described terminal unit 25a is not shown in the bus bar 20a of FIG. 11, FIG. 11 is for explain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10, and this is omitted. Terminal portions 25a may be protruded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bus bars 20a at both ends of the bar 20a.

도 12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20b)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20b)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20b)의 홀(23b)에 전극 탭(12)이 삽입된 것을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2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 bus bar 20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a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 bus bar 20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b is an electrode tab (23b) in the hole 23b of the bus bar 20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20b)의 돌출부(22b)는 테이퍼 진 단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22b)는 플레이트(21b)에서 홀(23b)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데, 이때 돌출부(22b)가 경사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2b)는 돌출부(22b)의 내부 공간의 단면이 홀(23b)에 가까워 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전극 탭(12)을 삽입할 때, 경사에 의해 전극 탭(12)이 홀(23b)에 삽입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The protrusion 22b of the bus bar 20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apered cross-sectional shape. The protrusion 22b is convexly formed from the plate 21b toward the hole 23b, wherein the protrusion 22b may be formed with an inclination. The protruding portion 22b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becomes narrower as the cross section of the inner sp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22b approaches the hole 23b. This may function to induce the electrode tab 12 to be inserted into the hole 23b by an inclination when the electrode tab 12 is inserted.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20c)를 나타낸 도면이다.13A and 13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bus bar 20c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20c)는 플레이트(21c) 및 홀(23c)을 포함할 수 있다. 버스바(20c)는 플레이트(21c)에 기 결정된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는 복수개의 홀(23c)을 포함하고, 플레이트(21c)와 용접되는 전지 셀(11)의 개수에 대응하여 플레이트(21c)의 면적 등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20a)와 동일한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13A and 13B, the bus bar 20c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ate 21c and a hole 23c. The bus bar 20c includes a plurality of holes 23c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plate 21c, and corresponds to the number of the battery cells 11 welded to the plate 21c, so that the The size of the area and the like can be determined. The detailed contents related to this are the same as the bus bar 20a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 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21c)는 탭 연결부(22c)를 포함할 수도 있다. 탭 연결부(22c)는 각각의 홀(23c) 외주연에서 전극 탭(12)이 돌출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이 후 레이저 용접에 의한 전지 셀(11)간의 전기적 연결 시 레이저(L)에 의해 용융된 전극 탭(12)이 탭 연결부(22c)에 닿아 버스바(20c)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late 21c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ab connecting portion 22c. The tab connecting portion 22c is formed by protruding in a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ode tab 12 protrudes from the outer periphery of each hole 23c, and then connects to the laser L during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battery cells 11 by laser welding. The electrode tab 12 melted may contact the tab connection portion 22c and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us bar 20c.

또한, 플레이트(21c)에 탭 연결부(22c)가 형성됨에 따라, 전지 셀(11) 간 전기적 연결을 위한 레이저(L) 조사 시 레이저(L)의 반사광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레이저(L)의 에너지가 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용접 시 특정 에너지의 레이저(L)를 일정하게 조사할 수 있게 됨으로써, 용접 과정에서의 공정 오차를 줄이고 배터리 모듈(1)의 생산 속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tab connection portion 22c is formed on the plate 21c, it is possible to minimize reflected light of the laser L when irradiating the laser L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battery cells 11. Due to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nergy of the laser (L) from being dispersed, and by being able to constantly irradiate the laser (L) of a specific energy during welding, it reduces the process error in the welding process and reduces the battery module (1). Production speed can be improved.

도 14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20c)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버스바(20c)의 홀(23c)에 전극 탭(12)이 삽입된 것을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4A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 bus bar 20c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B is an electrode tab in a hole 23c of the bus bar 20c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도 14b에 따르면 전지 셀(11)이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전지 셀(11)의 외측에서 버스바(20c)가 전극 탭(12)에 안착될 수 있다. 본원에서는 본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되, 전지 셀(12)이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그에 따라 버스바(20c)의 위치도 변경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 자명할 것이다.According to FIG. 14B, the battery cell 11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a bus bar 20c may be seated on the electrode tab 12 outside the battery cell 11. Although described herei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battery cells 12 are disposed parallel to the ground and the position of the bus bar 20c may be changed accordingly.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면, 홀(23c)의 깊이(L6)는 전극 탭(12)의 길이(L1)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고, 버스바(20c)의 일측에서 삽입된 전극 탭(12)은 버스바(20c)의 타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 때, 후술할 용접 단계에서 레이저(L)를 전극 탭(12)의 길이(L1) 방향(d1) 중심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조사하고 버스바(20c)는 조사하지 않은 채 전극 탭(12)만을 조사하여 용접하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전극 탭(12)은 탭 연결부(22c)의 외측 끝단으로부터 약 1mm 이상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전극 탭(12)이 지나치게 많이 돌출될 경우 용접 시 레이저(L)를 반복해서 조사해야 하거나 전극 탭(12)이 충분히 녹지 않아 전극 탭(12)과 버스바(20c)와의 연결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는 바, 전극 탭(12)은 대략 3mm 이하로 돌출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14A and 14B, the depth L 6 of the hole 23c may b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length L 1 of the electrode tab 12, and the electrode inserted at one side of the bus bar 20c The tab 12 may protrude to the other side of the bus bar 20c. At this time, in the welding step to be described later, the laser tab L is irradiated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length (L 1 ) direction (d 1 ) of the electrode tab 12 and the electrode tab 12 without irradiating the bus bar 20c. ), it is preferable that the electrode tab 12 protrudes about 1 mm or more from the outer end of the tab connecting portion 22c, so that it is possible to weld by irradiating only. On the other hand, if the electrode tab 12 protrudes too much, the laser L must be irradiated repeatedly during welding or the electrode tab 12 is not sufficiently melted, so the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ode tab 12 and the bus bar 20c is not smooth. It may be desirable that the electrode tab 12 protrudes to approximately 3 mm or less.

또한, 전극 탭(12)에는 벤딩부(121)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 벤딩부(121)는 전극 탭(12)의 기 결정된 부위를 벤딩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벤딩부(121)는 전극 탭(12)의 기 결정된 부위가 휘어져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전극 탭(12)의 기 결정된 부위에 돌출된 부분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그 밖의 벤딩부(121)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bending portion 121 may be formed on the electrode tab 12. At this time, the bending portion 121 may be formed by bending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electrode tab 12. The bending part 121 is not limited to being formed by bending a predetermined part of the electrode tab 12, and a protruding part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part of the electrode tab 12, and other bending parts 121 ) May be formed.

이 때, 상기 벤딩부(121)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탭(12)과 동일한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At this time, the detailed content of the bending part 121 is the same as the electrode tab 1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된 전극 탭 벤딩부(121), 지지 플레이트(30), 고정 플레이트(40) 및 병렬집합체(100) 연결 구조 등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및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과 공통되는 특징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the electrode tab bending portion 121, the support plate 30, the fixed plate 40 and the parallel assembly 100 connection structure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s a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eatures common to the module 1, and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모듈(1)은 복수개의 전지 셀(11)이 적층되고, 복수개의 전지 셀(11) 각각에 포함되는 전극 탭(12)이 복수개의 홀(23c)이 형성된 플레이트(21c)의 일측에서 삽입되어 복수개의 홀(23c)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전지 셀(11)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module 1 is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11 are stacked, the electrode tab 12 inclu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11 is a plurality of holes ( 23c) is inserted from one side of the formed plate 21c and is dispos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holes 23c, and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11 can be manufactured by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이 때, 복수개의 전지 셀(11)은 레이저 용접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레이저(L)는 전극 탭(12)에만 조사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버스바(20c)는 조사하지 않은 채 전극 탭(12)만을 조사하여 용접하는 경우, 전극 탭(12)이 충분히 녹은 후 버스바(20c)와 연결됨을 확인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종래의 연결하고자 하는 두 모재를 녹여 용접하는 방법과 달리, 특정 부분은 연결되고 일부는 용접되지 않는 문제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나아가, 용접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배터리 모듈(1)의 품질 및 생산 속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1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laser welding, and as described above, the laser L may be irradiated only to the electrode tab 12. As described above, when welding by welding only the electrode tab 12 without irradiating the bus bar 20c,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electrode tab 12 is sufficiently melted and then connected to the bus bar 20c. Accordingly,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of melting and welding two base materials to be connected, a specific part is connected and a part is not welded, so that the problem can be minimized, and furthermore, the welding state can be visually checked, so that the battery module 1 Can greatly improve the quality and production speed.

나아가, 상기 용접은 전극 탭(12)의 말단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어 행해질 수 있고, 레이저(L)가 반복적으로 원형을 그리며 조사되며, 그 원들의 중심이 전극 탭(12) 말단면의 길이(L5) 방향(d2) 축(122)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원형이 반복되며 중첩되어 진행되는 와블형식(wobble type) 용접을 통해 전극 탭(12)의 용접부위를 균일하게 녹일 수 있고, 특히, 고열에 취약한 전지 셀(11)에 포함되는 전극 탭(12)에 대한 용접 과정에서 배터리 모듈(1) 제조 공정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the welding may be per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end face of the electrode tab 12, and the laser L is irradiated repeatedly in a circular shape, and the center of the circles is the length of the end face of the electrode tab 12 ( L 5 ) direction (d 2 ) may be located along the axis 122.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uniformly melt the welding portion of the electrode tab 12 through a wobble type welding in which the circles are repeated and overlapped, and in particular, the electrode tab included in the battery cell 11 vulnerable to high heat. In the welding process for 12,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battery module 1.

한편, 복수개의 전지 셀(11) 및 버스바(20c) 사이에 지지 플레이트(30)가 배치될 수 있고, 전극 탭(12)은 지지 플레이트(30)의 지지홀(32)을 관통하여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극 탭(12)은 지지 플레이트(30)의 지지홀(32)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플레이트(21c)의 일측에서 삽입됨으로써 복수개의 홀(23c)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a support plate 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11 and the bus bar 20c, and the electrode tab 12 may be positioned through the support hole 32 of the support plate 30. Can be. Specifically, the electrode tab 12 may be dispos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holes 23c by being inserted at one side of the plate 21c while passing through the support hole 32 of the support plate 30. .

이 때, 상기 전극 탭(12)은 밴딩 또는 절곡되어 형성된 벤딩부(121)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벤딩부(121)가 지지홀(32) 외주면의 일측에 밀착됨으로써 전극 탭(12)이 고정 지지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lectrode tab 12 may include a bending part 121 formed by bending or bending, and the electrode tab 12 is formed by the bending part 121 being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hole 32. It can be fixedly supported.

또한, 상술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바(20a)의 타측에 고정 플레이트(40)가 배치될 수 있고, 버스바(20a)는 고정 플레이트(40) 및 지지 플레이트(30)가 상호 결속됨으로써 그 위치가 고정 지지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described above, a fixed plate 40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bus bar 20a, and the fixed plate 40 and the support plate 30 may be mutually connected to the bus bar 20a. By binding, the position can be fixedly supported.

구체적으로, 고정 플레이트(40)의 지지 플레이트(30) 측면에는 고정 플레이트 몸체(41)의 적어도 일부가 돌출된 복수개의 삽입돌기(45)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 몸체(31)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삽입돌기(45)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체결홀(34)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삽입돌기(45)가 체결홀(34)에 삽입되어 융착됨으로써 고정 플레이트(40) 및 지지 플레이트(30)가 버스바(20a)를 사이에 두고 상호 결속될 수 있고, 상기 버스바(20a)의 위치는 고정 지지될 수 있다.Specifically, a plurality of insertion protrusions 45 protru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xing plate body 41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supporting plate 30 of the fixing plate 40,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upporting plate body 31 may be formed.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34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protrusion 45 may be formed in a part.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insertion protrusion 45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34 and fused, so that the fixing plate 40 and the support plate 30 can be bound to each other with the bus bar 20a interposed therebetween. , The position of the bus bar 20a may be fixedly supported.

한편, 홀(23a) 및 후술할 돌출부(22a)는 고정 플레이트(40)의 버스바 노출홀(4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바, 작업자는 전극 탭(12) 및 버스바(20a) 용접 간 용접선을 용이하게 추적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ole 23a and the projecting portion 22a,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us bar exposure hole 42 of the fixing plate 40, and the operator uses the electrode tab 12 and the bus bar 20a. Weld lines can be easily traced between welds.

상기 지지 플레이트(30) 및 고정 플레이트(40)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과 동일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Details of the support plate 30 and the fixing plate 40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battery module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버스바(20a)의 플레이트(21a)에는 홀(23a)이 형성되는 위치에 돌출부(22a)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부(22a)는 돌출부(22a)의 일측에서 전극 탭(12)이 진입하는 진입 공간의 너비(L4)가 홀(23a)에 가까워 질수록 감소하며 형성될 수 있고, 상술한 전극 탭(12)의 플레이트(21a)상의 홀(23a) 삽인 간 전극 탭(12)의 삽입을 유도하여 용이하게 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trusion 22a may be formed at a position where a hole 23a is formed in the plate 21a of the bus bar 20a. Specifically, the protrusion 22a may be formed by decreasing as the width L 4 of the entry space through which the electrode tab 12 enters at one side of the protrusion 22a approaches the hole 23a, and the electrode described above The insertion of the electrode tab 12 between the holes 23a inserted on the plate 21a of the tab 12 can be facilitated.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버스바(20b)의 플레이트(21b)에는 홀(23b)이 형성되는 위치에 돌출부(22b)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부(22b)는 홀(23b) 측으로 테이퍼 진 단면 형상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고, 홀(23b) 전체가 테이퍼 진 단면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전극 탭(12)이 홀(23b)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전극 탭(12)의 삽입을 유도하여 용이하게 할 수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trusion 22b may be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hole 23b is formed in the plate 21b of the bus bar 20b. Specifically, the protruding portion 22b may be formed to include a cross-sectional shape tapered toward the hole 23b, and as the entire hole 23b is formed into a tapered cross-sectional shape, the electrode tab 12 is attached to the hole 23b. In the insertion process,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insertion of the electrode tab 12 to facilitate the insertion.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돌출된 전극 탭(12)에 레이저 용접이 행해지는 위치를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sition where laser welding is performed on the protruding electrode tab 1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배터리 모듈(1)은 복수개의 전지 셀(11)이 적층되고, 복수개의 전지 셀(11) 각각에 포함되는 전극 탭(12)이 복수개의 홀(23c)이 형성된 플레이트(21c)의 일측에서 삽입되어 복수개의 홀(23c) 중 적어도 일부에 플레이트(21c)의 타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복수개의 전지 셀(11)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 in the battery module 1,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11 are stacked, and the electrode tab 12 inclu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11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23c ( It is inserted from one side of 21c) and disposed to protrude to the other side of the plate 21c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holes 23c, and may be manufactured by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11 to each other.

또한, 플라스틱 등의 절연재질로 형성된 버스바 보조부재(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버스바 보조부재(24)는 탭 연결부(22c)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모두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어 배터리 모듈(1) 사용 시 버스바(20c) 주변의 타 구성품과의 전기적 연결 가능성을 미리 차단해줄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bus bar auxiliary member 24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plastic. The above-described bus bar auxiliary member 24 may be formed in a form surrounding all other parts except the tab connection part 22c, so that when using the battery module 1, electrical connection with other components around the bus bar 20c is possible Can be blocked in advance.

또한, 전극 탭(12)은 복수개의 홀(23c)이 형성된 플레이트(21c)의 일측에서 삽입되어 플레이트(21c)의 타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극 탭(12)은 상술한 바와 같이 홀(23c)의 외측 끝단으로부터 1 내지 3mm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de tab 12 may be inserted from one side of the plate 21c on which a plurality of holes 23c are formed and disposed to protrude to the other side of the plate 21c. At this time, the electrode tab 12 may be disposed to protrude 1 to 3 mm from the outer end of the hole 23c as described above.

한편, 복수개의 전지 셀(11)은 레이저 용접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레이저(L)는 전극 탭(12)에만 조사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버스바(20c)는 조사하지 않은 채 전극 탭(12)만을 조사하여 용접하는 경우, 종래에 연결하고자 하는 두 모재를 녹여 용접하는 방법에 비해 특정 부분은 연결되고, 일부는 용접되지 않는 문제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또한 용접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배터리 모듈(1)의 품질 및 생산 속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1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laser welding, and as described above, the laser L may be irradiated only to the electrode tab 12.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welding by irradiating only the electrode tab 12 without irradiating the bus bar 20c, a certain part is connected and some are not welded compared to the method of melting and welding two base materials to be connected in the past. The problem can be minimized, and the welding state can be visually checked,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quality and production speed of the battery module 1.

도 16 (a) 및 (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극 탭(12)에 레이저 용접이 행해지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6A and 16B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laser welding is performed on the electrode tab 1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 (a) 및 (b)를 참조하면, 용접은 전극 탭(12)의 말단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어 행해질 수 있고, 도 16의 확대도는 용접이 통상적인 레이저 용접과 같이 일직선으로 행해지지 않고 레이저(L)가 반복적으로 원형을 그리며 조사되며, 그 원들의 중심이 전극 탭(12) 말단면의 길이(L5) 방향(d2) 축(122)을 따라 위치됨을 나타낸다. 위와 같이, 원형이 반복되며 중첩되어 진행되는 와블형식(wobble type) 용접을 통해 전극 탭(12)의 용접부위를 균일하게 녹일 수 있고, 특히, 정밀한 용접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어, 고열에 취약한 전지 셀(11)에 포함되는 전극 탭(12)에 대한 용접 과정에서 배터리 모듈(1) 제조 공정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16 (a) and (b), welding may be per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end faces of the electrode tabs 12, and the enlarged view of FIG. 16 is not performed in a straight line as in the case of conventional laser welding. It is shown that the laser L is irradiated repeatedly and circularly, and that the centers of the circles are positioned along the length (L 5 ) direction (d 2 ) axis 122 of the end face of the electrode tab 12. As described above, the welding portion of the electrode tab 12 can be uniformly melted through a wobble type welding in which the circles are repeated and overlapped. In the welding process for the electrode tab 12 included in the cell 11, stability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battery module 1 may be improved.

한편, 상기 용접은 일정한 간격을 두어 행해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L)는 전극 탭(12)의 말단면에 연속적으로 조사될 수도 있고, 그에 따라 전극 탭 용접부(123)는 일직선의 연속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welding is not limited to being per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as shown in FIG. 16(b), the laser L may be continuously irradiated to the end face of the electrode tab 12, and accordingly The electrode tab welding part 123 may be formed in a straight continuous shape.

도 17 (a) 및 (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극 탭(12)의 길이 방향(d1)에 대해 각도(θ)를 형성하며 레이저(L)가 조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7 (a) and (b) form an angle (θ)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d 1 ) of the electrode tab 1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 a state in which the laser L is irradiated It is a drawing.

도 17 (a) 및 (b)를 참조하면, 레이저(L)는 홀(23c)에 삽입되어 돌출된 전극 탭(12)의 길이(L1) 방향(d1) 중심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조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만약 전극 탭(12)의 말단면에 수직하게 조사될 경우, 용접 시 오차로 인해 전지 셀(11)에 직접 레이저(L)가 조사되고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또한, 레이저(L)가 경사지게 조사됨에 따라, 전극 탭(12) 말단면의 용접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배터리 모듈(1)의 품질 및 생산 속도 향상을 가능케 한다. 다만, 필요에 따라, 레이저(L)는 전극 탭(12) 말단면에 수직하게 조사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ure 17 (a) and (b), the laser (L) is inserted into the hole (23c) to be irradiated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length (L 1 ) direction (d 1 ) of the protruding electrode tab (12) Can be. Accordingly, if it is irradiated perpendicular to the end face of the electrode tab 12, due to an error in welding,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ossibility that the laser L is directly irradiated to the battery cell 11 and lead to an accident, In addition, as the laser L is irradiated obliquely, the welding process of the end face of the electrode tab 12 can be visually confirmed,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and production speed of the battery module 1. However, if necessary, the laser L may be irradiated perpendicular to the end face of the electrode tab 12.

한편, 이 때, 레이저(L)는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탭(12) 말단면에 조사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극 탭(12)의 재질에 따라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탭(12)의 일 측면에 조사될 수도 있다. 나아가, 경우에 따라 버스바(20c) 주위에 조사될 수도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On the other hand, at this time, the laser (L) may be irradiated to the end surface of the electrode tab 12, as shown in Figure 17 (a), but is not limited thereto,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electrode tab 12, Figure 17 As shown in (b), it may be irradiated to one side of the electrode tab 12. Furthermore, it is apparent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at it may be irradiated around the bus bar 20c in some cases.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limits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fore,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1 : 배터리 모듈
10 : 이차 전지
100, 100a, 100b : 병렬집합체
11 : 전지 셀
12 : 전극 탭
121 : 벤딩부
122 : 탭 말단면의 길이방향 축
123 : 전극 탭 용접부
124 : 테라스부
125 : 절연부
126 : 전극 탭부
127 : 챔퍼부
20a, 20b, 20c : 버스바
21a, 21b, 21c : 플레이트
22a, 22b : 돌출부
22c : 탭 연결부
23a, 23b, 23c : 홀
24 : 버스바 보조부재
25a : 터미널부
26a : 관통홀
200a : 전압 센싱 연결부
30 : 지지 플레이트
31 : 지지 플레이트 몸체
32 : 지지홀
33 : 고정부재 삽입홈
34 : 체결홀
40 : 고정 플레이트
41 : 고정 플레이트 몸체
411 : 체결돌기
42 : 버스바 노출홀
43 : 고정부재
44 : 터미널 지지홀
45 : 삽입돌기
L1 : 전극 탭의 길이
L2 : 홀의 폭
L3 : 홀 및 전극 탭 간의 간극
L4 : 전극 탭 진입 공간의 너비
L5 : 전극 탭 말단면의 길이
L6 : 홀의 깊이
L7 : 전극 탭 중 벤딩부 외측의 벤딩되지 않은 부분의 길이
T1 : 전극 탭 두께
d1 : 전극 탭의 길이방향
d2 : 전극 탭 말단면의 길이방향
L : 레이저
θ : 각도
1: Battery module
10: secondary battery
100, 100a, 100b: parallel aggregate
11: battery cell
12: electrode tab
121: bending section
122: longitudinal axis of the tab end face
123: electrode tab weld
124: Terrace
125: insulation
126: electrode tab
127: chamfer
20a, 20b, 20c: Bus bar
21a, 21b, 21c: plate
22a, 22b: protrusion
22c: tap connection
23a, 23b, 23c: Hall
24: bus bar auxiliary member
25a: Terminal
26a: through hole
200a: voltage sensing connection
30: support plate
31: support plate body
32: support hole
33: fixing member insertion groove
34: fastening hole
40: fixed plate
41: fixed plate body
411: fastening projection
42: bus bar exposure hall
43: fixing member
44: terminal support hole
45: insertion protrusion
L 1 : Length of electrode tab
L 2 : Hole width
L 3 : Clearance between hole and electrode tab
L 4 : Width of the electrode tab entry space
L 5 : Length of the end face of the electrode tab
L 6 : Depth of hole
L 7 : Length of the non-bending portion outside the bending portion of the electrode tab
T 1 : electrode tab thickness
d 1 : longitudinal direction of electrode tab
d 2 :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nd face of the electrode tab
L: laser
θ: angle

Claims (19)

전극탭을 포함하는 복수의 전지셀;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플레이트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전지셀의 상기 전극탭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탭들은,
절곡되게 형성되는 벤딩부;
상기 벤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버스바에 고정결합되는 직선부로서, 상기 복수개의 홀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된 복수의 홀에 접합되는 직선부;를 포함하는 배터리모듈.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cluding electrode tabs;
It includes a bus bar having a plate o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de tabs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The electrode tabs,
A bending part formed to be bent;
A battery module comprising a; a straight portion extending from the bending portion and fixedly coupled to the bus bar, which is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holes and joined to the inserted plurality of hol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는,
상기 전지셀에서 상기 전극탭이 인출되는 부분과 상기 버스바 사이에 배치되는 배터리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bending portion,
A battery module disposed between the portion where the electrode tab is withdrawn from the battery cell and the bus ba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는,
상기 버스바에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bending portion,
A battery module configured to contact the bus ba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와, 상기 전지셀들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배터리모듈.
According to claim 1,
A battery module comprising a; a support plate disposed between the bus bar and the battery cell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 모듈.
The method of claim 4,
The bending module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support plat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복수의 홀과 대응되는 복수의 지지홀;을 포함하고,
상기 벤딩부의 상기 접촉은 상기 복수의 지지홀 외주면에서 이루어지는 배터리 모듈.
The method of claim 5,
The support plate,
It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hol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holes;
The battery module of the bending portion is mad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hole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의 외측에 배치되는 고정플레이트로서, 상기 버스바를 사이에 두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각각 상기 복수의 홀과 대응되는 복수의 지지홀과, 복수의 노출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홀과, 상기 복수의 노출홀은, 상기 복수의 홀에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배터리모듈.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fixed plate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bus bar, the fixed plate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with the bus bar interposed therebetween,
The support plate and the fixed plate,
Each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holes and a plurality of exposed hol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holes;
The plurality of support holes, and the plurality of exposed holes, the battery module is configured not to interfere with the plurality of hole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상기 버스바의 노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버스바를 덮도록 구성되는 배터리모듈.
The method of claim 7,
The fixed plate,
A battery module configured to cover the bus bar to prevent exposure of the bus ba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지셀은,
상기 전극탭이 연결된 전극조립체와, 상기 전극조립체와 상기 전극탭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외장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탭들은,
상기 외장재에 의해 덮히도록 구성되는 테라스부;
상기 테라스부로부터 연장되며, 절연재질로 감싸지는 절연부;
상기 절연부로부터 연장되는 전극탭부;를 포함하는 배터리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It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to which the electrode tab is connected, and an exterior material configur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electrode tab;
The electrode tabs,
A terrace portion configured to be covered by the exterior material;
An insulat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terrace portion and wrapp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A battery module comprising; an electrode tab portion extending from the insulating port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는 상기 절연부에 형성되고, 상기 직선부는 상기 전극탭부에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모듈.
The method of claim 9,
The bending unit is formed on the insulating portion, and the straight portion is a battery module configured to be formed on the electrode tab port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탭부는,
상기 복수의 홀에 대한 상기 전극탭들의 삽입이 가이드되도록, 단부를 향해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되는 챔퍼부;를 포함하는 배터리모듈.
The method of claim 9,
The electrode tab portion,
A battery module comprising a; a chamfer portion configured to narrow the width toward the end so that the insertion of the electrode tabs into the plurality of holes is guid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위치의 주변에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plate includes a protrusion formed around a position where the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a battery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홀에 대한 상기 전극탭들의 삽입이 유도되도록, 상기 복수의 홀 주변의 단면은 상기 플레이트 일측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배터리 모듈.
According to claim 1,
A battery module in which a cross section around the plurality of holes is tapered toward one side of the plate so that the insertion of the electrode tabs into the plurality of holes is induced.
벤딩부와, 상기 벤딩부로부터 연장되는 직선부가 형성된 전극탭을 갖는 적층된 복수의 전지셀을구비하는 단계;
복수의 홀이 형성된 플레이트를 갖는 버스바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홀에 상기 전극탭들의 상기 직선부들을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전극탭들을 삽입된 상기 복수의 홀에서 상기 플레이트와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제조방법.
Providing a plurality of stacked battery cells having a bending portion and an electrode tab formed with a straight portion extending from the bending portion;
Providing a bus bar having a plate having a plurality of holes is formed;
Inserting the straight portions of the electrode tabs into the plurality of holes;
And bonding the electrode tabs to the plate in the plurality of holes inserted therein.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지셀을 구비하는 단계는,
상기 전극탭의 기설정된 부위에 상기 벤딩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모듈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The step of providing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And forming the bending portion 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electrode tab.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부위는,
상기 전지셀에서 상기 전극탭이 인출되는 부분과 상기 버스바 사이에 배치되는 배터리모듈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The predetermined por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a battery module disposed between the portion where the electrode tab is withdrawn from the battery cell and the bus bar.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하는 단계는 레이저용접에 의해 이루어지는 배터리 모듈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The bonding step is a battery module manufacturing method made by laser welding.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하는 단계는 와블(wobble)용접에 의해 이루어지는 배터리 모듈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The bonding step is a battery module manufacturing method made by wobble welding.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와블용접은, 상기 제 1, 2 전극탭들의 말단면 길이방향의 축을 따라 이루어지는 배터리 모듈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8,
The wobble welding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ttery module made alo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end 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abs.

KR1020200062930A 2016-12-23 2020-05-26 Battery module KR10227137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900 2016-12-23
KR20160177900 2016-12-23
KR1020170041875 2017-03-31
KR20170041875 2017-03-31
KR1020170177048A KR102117859B1 (en) 2016-12-23 2017-12-21 Battery modul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7048A Division KR102117859B1 (en) 2016-12-23 2017-12-21 Battery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2139A true KR20200062139A (en) 2020-06-03
KR102271377B1 KR102271377B1 (en) 2021-06-30

Family

ID=62918815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7048A KR102117859B1 (en) 2016-12-23 2017-12-21 Battery module
KR1020200062929A KR102299512B1 (en) 2016-12-23 2020-05-26 Battery module
KR1020200062930A KR102271377B1 (en) 2016-12-23 2020-05-26 Battery module
KR1020210116550A KR20210110555A (en) 2016-12-23 2021-09-01 Battery module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7048A KR102117859B1 (en) 2016-12-23 2017-12-21 Battery module
KR1020200062929A KR102299512B1 (en) 2016-12-23 2020-05-26 Battery modul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6550A KR20210110555A (en) 2016-12-23 2021-09-01 Battery modul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4) KR102117859B1 (en)
CN (1) CN207743312U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7639B1 (en) 2018-12-07 2021-10-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attery module including insert injection molded busbar
KR20200097510A (en) 2019-02-08 2020-08-1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Battery Modu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EP4064448A4 (en) * 2019-11-20 2024-01-17 Sk On Co Ltd Battery module
CN111403668A (en) * 2020-04-29 2020-07-10 湖北亿纬动力有限公司 Glue frame structure, laminate polymer battery module and new energy automobile
KR20220163708A (en) * 2021-06-03 2022-12-1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A busbar increasing the current and reducing the generated heat with additive shape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reof
WO2024010428A1 (en) * 2022-07-08 2024-01-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attery module
KR20240018146A (en) 2022-08-02 2024-02-13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Battery cell and battery module having the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7310A (en) * 2003-04-25 2004-11-18 Toyota Motor Corp Connection structure of secondary battery and connection method of same
JP2006059556A (en) * 2004-08-17 2006-03-02 Nec Tokin Tochigi Ltd Sealed battery
JP2007265945A (en) * 2006-03-30 2007-10-11 Tokyo R & D Co Ltd Lamination cell accumulation type battery and battery module
KR20150110078A (en) 2014-03-24 2015-10-02 에스케이배터리시스템즈 주식회사 Busbar
KR20160103848A (en) * 2015-02-25 2016-09-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Battery pack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57931B2 (en) * 2006-04-18 2011-11-15 Securaplane Technologies, Inc. Battery busing scheme
KR101361193B1 (en) * 2007-04-25 2014-02-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Secondary battery
JP5252836B2 (en) * 2007-05-29 2013-07-31 三洋電機株式会社 Pack battery
KR102249894B1 (en) * 2014-11-21 2021-05-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Rechargeable battery
KR102379560B1 (en) * 2015-02-25 2022-03-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Battery pack
KR102379562B1 (en) * 2015-02-25 2022-03-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Battery pack
KR102384022B1 (en) * 2015-02-25 2022-04-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Battery pack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7310A (en) * 2003-04-25 2004-11-18 Toyota Motor Corp Connection structure of secondary battery and connection method of same
JP2006059556A (en) * 2004-08-17 2006-03-02 Nec Tokin Tochigi Ltd Sealed battery
JP2007265945A (en) * 2006-03-30 2007-10-11 Tokyo R & D Co Ltd Lamination cell accumulation type battery and battery module
KR20150110078A (en) 2014-03-24 2015-10-02 에스케이배터리시스템즈 주식회사 Busbar
KR20160103848A (en) * 2015-02-25 2016-09-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Battery p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1377B1 (en) 2021-06-30
KR102299512B1 (en) 2021-09-07
KR20180074592A (en) 2018-07-03
KR20210110555A (en) 2021-09-08
KR102117859B1 (en) 2020-06-02
CN207743312U (en) 2018-08-17
KR20200062138A (en) 202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0795B2 (en) Battery module
KR102117859B1 (en) Battery module
US9923183B2 (en) Busbar module
US10084173B2 (en) Battery pack
EP3166158B1 (en) Rechargeable battery module
US8293402B2 (en) Battery with circuit board and lead terminals
KR102598811B1 (en) Battery modu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EP2838135B1 (en) Rechargeable battery pack
EP2498318B1 (en) Battery pack
JP6453569B2 (en) Secondary battery pack
KR102271383B1 (en) Cell modu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20160211499A1 (en) Battery module
KR20150047417A (en) Rechargeable battery having fuse and battery module
US20190372082A1 (en) Battery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EP2830121B1 (en) Rechargeable battery
KR101537001B1 (en) Rechargeable battery pack
US11901530B2 (en) Battery module including bus bar assembly sidely disposed on electrode tabs of battery cell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688465B2 (en) Battery pack
US20230344086A1 (en) Battery module
KR20230025190A (en) Battery Pack
KR20240023834A (en) Busbar assembly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