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2098A -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62098A KR20200062098A KR1020200059789A KR20200059789A KR20200062098A KR 20200062098 A KR20200062098 A KR 20200062098A KR 1020200059789 A KR1020200059789 A KR 1020200059789A KR 20200059789 A KR20200059789 A KR 20200059789A KR 20200062098 A KR20200062098 A KR 2020006209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ertificate
- app
- user terminal
- signature value
- support serv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15—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providing single-sign-on or feder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19—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 H04L9/083—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involving central third party, e.g. key distribution center [KDC] or trusted third party [TTP]
- H04L9/0833—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involving central third party, e.g. key distribution center [KDC] or trusted third party [TTP] involving conference or group key
- H04L9/0836—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involving central third party, e.g. key distribution center [KDC] or trusted third party [TTP] involving conference or group key using tree structure or hierarchical structur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3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cryptographic hash func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6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certificates, e.g. public key certificate [PKC] or attribute certificate [AC];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 H04L2209/3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어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되는 각각의 서비스를 이용 가능하도록 하는 앱들을 통해 각각 생성된 PKI 인증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서들이 블록체인에 등록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의 특정 앱에서의 로그인 정보를 이용한 통합 로그인 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블록체인을 통해 사용자 인증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증서에 의한 통합 로그인 상태를 확인하며, 통합 로그인 되어 있지 않은 경우, 블록체인으로부터 로그인 정보에 대응되는 푸쉬 토큰 아이디를 획득하고, 적어도 푸쉬 토큰 아이디와 검증 확인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확인 요청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의 특정 앱에서 프라이빗키를 이용하여 검증 확인값을 서명한 서명값이 전송되면 서명값을 검증하여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면 사용자 단말의 특정 앱을 통한 서비스 서버의 서비스를 이용 가능하게 하도록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어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되는 각각의 서비스를 이용 가능하도록 하는 앱들을 통해 각각 생성된 PKI 인증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서들이 블록체인에 등록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의 특정 앱에서의 로그인 정보를 이용한 통합 로그인 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블록체인을 통해 사용자 인증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증서에 의한 통합 로그인 상태를 확인하며, 통합 로그인 되어 있지 않은 경우, 블록체인으로부터 로그인 정보에 대응되는 푸쉬 토큰 아이디를 획득하고, 적어도 푸쉬 토큰 아이디와 검증 확인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확인 요청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의 특정 앱에서 프라이빗키를 이용하여 검증 확인값을 서명한 서명값이 전송되면 서명값을 검증하여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면 사용자 단말의 특정 앱을 통한 서비스 서버의 서비스를 이용 가능하게 하도록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에 관한 것이다.
초고속 인터넷 망이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들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사항이 증가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여러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응용 프로그램을 활용함에 있어 각 서비스 별 개별적인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관리하고 있다.
또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업체나 응용 프로그램들인 사용자의 접근 권한을 보다 정확히 판별하기 위하여, 아이디와 패스워드 외에 추가적으로 공인인증서 비밀번호 등의 개인정보를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제공받는 서비스가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가 기억해야 하는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증가하게 되었고, 이는 사용자가 웹(web) 서비스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는데 많은 불편을 초래하게 되었다.
그리고, 최근에는 스마트 폰(smart phone)의 발달로 인하여 사용자가 제공받고자 하는 서비스의 숫자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서비스마다 별도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기억하는 것은 단순히 개인의 불편함의 정도를 넘어 큰 사회적 비용의 문제점에 이르게 되었다. 즉, 서비스 업체 측면에서는 여러 연계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됨에 따라 중복 사용자들의 인증정보를 따로 관리하여야 하는 많은 비용적인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서비스에 접속하는 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효율적 관리 측면에서 통합 로그인 방식인 싱글 사인 온(single sign on: SSO)이라는 인증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싱글 사인 온 시스템은 사용자의 인증 정보가 공격자에 의하여 탈취되는 경우 모든 서비스에 공격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싱글 사인 온과 같이 통합적인 로그인이 가능토록 하면서도 개인정보와 같은 사용자 인증 정보를 외부 공격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새로운 보안 알고리즘(algorithm)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상 화폐의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외부 공격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 로그인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인증서를 해쉬함수와 암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보안이 보장되고 위/변조가 불가능한 통합 로그인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회성의 검증 확인값을 통해 사용자를 인증하므로 사용자 정보 도용에 따른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 로그인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의 제1 앱 - 상기 제1 앱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어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되는 제1 서비스를 이용 가능하도록 하는 앱임 - 을 통해 생성된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 등록 요청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부터 획득되면, 인증 지원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제1 앱으로 상기 제1 PKI 인증서의 제1 프라이빗키를 이용하여 제1 검증 확인값을 서명한 제1 서명값을 요청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서명값이 획득되면 상기 제1 서명값을 검증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1 서명값을 검증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제1 서명값이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면 적어도 상기 제1 PKI 인증서의 제1 퍼블릭키와 인증서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가 블록체인에 등록되도록 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를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제2 앱 - 상기 제2 앱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어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되는 제2 서비스를 이용 가능하도록 하는 앱임 - 을 통한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 조회 요청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부터 획득되면, 상기 인증 지원 서버가,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된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를 확인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된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를 확인하도록 지원하며, 적어도 제2 검증 확인값을 포함하는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에 대한 확인 결과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2 앱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에 대한 확인 결과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2 앱으로 전송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제2 앱으로 하여금, 상기 제1 앱을 통해 상기 제2 검증 확인값을 상기 제1 프라이빗키로 서명한 제2 서명값을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제1 앱에게 요청하도록 하는 단계; 및 (c)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1 앱으로부터 적어도 상기 제2 서명값이 획득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부터 적어도 상기 제2 서명값이 획득되면, 상기 인증 지원 서버가, 상기 제2 서명값을 검증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2 서명값을 검증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제2 서명값이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면 검증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1 앱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상기 검증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1 앱으로 전송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1 앱으로 하여금 상기 검증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2 앱으로 전송하도록 하며, 상기 검증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2 앱을 통해 생성된 제2 PKI 인증서를 이용한 슬레이브 인증서 등록 요청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부터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2 앱으로 상기 제2 PKI 인증서의 제2 프라이빗키를 이용하여 제3 검증 확인값을 서명한 제3 서명값을 요청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부터 상기 제3 서명값이 획득되면 상기 제3 서명값을 검증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3 서명값을 검증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제3 서명값이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면 적어도 상기 제2 PKI 인증서의 제2 퍼블릭키와 인증서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 PKI 인증서를 이용한 슬레이브 인증서가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되도록 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2 PKI 인증서를 이용한 슬레이브 인증서를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의 다수의 앱 - 상기 다수의 앱 각각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어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되는 각각의 서비스를 이용 가능하도록 하는 앱임 - 을 통해 각각 생성된 PKI 인증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서들이 블록체인에 등록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특정 앱에서의 로그인 정보를 이용한 통합 로그인 요청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되면, 인증 지원 서버가, 상기 블록체인을 통해 상기 사용자 인증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증서에 의한 통합 로그인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i) 상기 통합 로그인 상태 확인 결과 통합 로그인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인증 지원 서버가, 상기 블록체인으로부터 상기 로그인 정보에 대응되는 푸쉬 토큰 아이디를 획득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상기 푸쉬 토큰 아이디를 획득하도록 지원하고, 적어도 상기 획득된 상기 푸쉬 토큰 아이디와 검증 확인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확인 요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지원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특정 앱에서 상기 특정 앱에 대응되는 특정 사용자 인증서의 특정 프라이빗키를 이용하여 상기 검증 확인값을 서명한 서명값이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획득되면 상기 서명값을 검증하거나 상기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상기 서명값을 검증하도록 하고, 상기 서명값이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서비스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특정 앱을 통한 상기 특정 앱에 대응되는 특정 서비스의 이용을 가능하도록 지원하며, 상기 블록체인에 상기 통합 로그인 상태를 통합 로그인이 된 상태로 등록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상기 블록체인에 상기 통합 로그인 상태를 통합 로그인이 된 상태로 등록하도록 지원하고, (ii) 상기 통합 로그인 상태 확인 결과 통합 로그인이 되어 있는 경우, 상기 인증 지원 서버가, 상기 서비스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특정 앱을 통한 상기 특정 앱에 대응되는 특정 서비스의 이용을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이, 제1 앱 - 상기 제1 앱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어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되는 제1 서비스를 이용 가능하도록 하는 앱임 - 을 통해 생성된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 등록 요청 정보를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로 하여금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 등록 요청 정보를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하여금 제1 검증 확인값을 포함하는 제1 서명값 요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1 앱으로 전송되도록 하며, 상기 인증 지원 서버 또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제1 검증 확인값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서명값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제1 앱에 대응되는 상기 제1 PKI 인증서의 제1 프라이빗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검증 확인값을 서명하여 제1 서명값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서명값을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로 하여금 상기 제1 서명값을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하여금 (i) 상기 제1 서명값을 검증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1 서명값을 검증하도록 하고 (ii) 상기 제1 서명값이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면 적어도 상기 제1 PKI 인증서의 제1 퍼블릭키와 인증서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를 블록체인에 등록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를 통해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가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되도록 지원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제2 앱 - 상기 제2 앱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어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되는 제2 서비스를 이용 가능하도록 하는 앱임 - 을 통한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 조회 요청 정보를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하여금 (i)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된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를 확인하도록 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를 통해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된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를 확인하도록 하고 (ii) 적어도 제2 검증 확인값을 포함하는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에 대한 확인 결과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2 앱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2 앱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단계; 및 (c) 상기 인증 지원 서버 또는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에 대한 확인 결과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앱을 통해 상기 제2 검증 확인값을 상기 제1 앱으로 전송하여 상기 제1 앱이 상기 제1 프라이빗키로 상기 제2 검증 확인값을 서명한 제2 서명값을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하여금 (i) 상기 제2 서명값을 검증하도록 하거나 상기 블록체인을 통해 상기 제2 서명값을 검증하도록 하고 (ii) 상기 제2 서명값이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면 검증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1 앱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1 앱으로 전송하도록 하며, 상기 제1 앱을 통해 상기 검증 결과가 획득되면 상기 제1 앱이 상기 검증 결과를 상기 제2 앱으로 전송하도록 하고, 상기 제2 앱이 상기 검증 결과에 대응하여 제2 PKI 인증서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제2 PKI 인증서를 이용한 슬레이브 인증서 등록 요청 정보가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되도록 하거나 상기 서비스 지원 서버를 통해 상기 제2 PKI 인증서를 이용한 슬레이브 인증서 등록 요청 정보를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2 앱으로 제3 검증 확인값을 포함하는 제3 서명값 요청 정보를 전송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전송하도록 하며, 상기 제3 서명값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제2 앱을 통해 상기 제3 검증 확인값을 상기 제2 PKI 인증서의 제2 프라이빗키를 이용하여 서명한 제3 서명값을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하여금 (iii) 상기 제3 서명값을 검증하거나 상기 블록체인을 통해 상기 제3 서명값을 검증하도록 하고 (iv) 상기 제3 서명값이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면 적어도 상기 제2 PKI 인증서의 제2 퍼블릭키와 인증서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 PKI 인증서를 이용한 슬레이브 인증서가 블록체인에 등록되도록 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상기 상기 제2 PKI 인증서를 이용한 슬레이브 인증서를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이, 다수의 앱 - 상기 다수의 앱 각각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어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되는 각각의 서비스를 이용 가능하도록 하는 앱임 - 을 통해 각각 생성된 PKI 인증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서들이 블록체인에 등록된 상태에서, 특정 앱에서의 로그인 정보를 이용한 통합 로그인 요청 정보를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하여금 상기 블록체인을 통해 상기 사용자 인증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증서에 의한 통합 로그인 상태를 확인하도록 하는 단계; 및 (b) (i) 상기 통합 로그인 상태 확인 결과 통합 로그인이 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될 경우 상기 인증 서버로 하여금 상기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블록체인에서 획득된 푸쉬 토큰 아이디와 검증 확인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확인 요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전송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확인 요청 정보가 상기 인증 지원 서버 또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특정 앱에서 상기 특정 앱에 대응되는 특정 사용자 인증서의 특정 프라이빗키를 이용하여 상기 검증 확인값을 서명한 서명값을 생성하고 상기 서명값을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하여금 (i-1) 상기 서명값을 검증하도록 하거나 상기 블록체인을 통해 상기 서명값을 검증하도록 하여 상기 서명값이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서비스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특정 앱을 통한 상기 특정 앱에 대응되는 특정 서비스의 이용을 가능하게 지원하도록 하고, (i-2) 상기 블록체인에 상기 통합 로그인 상태를 통합 로그인이 된 상태로 등록하도록 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를 통해 상기 블록체인에 상기 통합 로그인 상태를 통합 로그인이 된 상태로 등록하도록 하며, (ii) 상기 통합 로그인 상태 확인 결과 통합 로그인이 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될 경우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특정 앱을 통한 상기 특정 앱에 대응되는 특정 서비스의 이용을 가능하도록 지원하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및 인증 지원 서버가 제공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가상 화폐의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통합 로그인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외부 공격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통합 로그인을 위한 사용자 인증서를 해쉬함수와 암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보호함으로써 보안이 보장되고 위/변조가 불가능한 통합 로그인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일회성의 검증 확인값을 통해 통합 로그인을 위한 사용자를 인증하므로 사용자 정보 도용에 따른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 방법에서 마스터 인증서를 등록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 방법에서 통합 로그인과 관련한 트랜잭션을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 방법에서 슬레이브 인증서를 등록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 방법에서 통합 로그인을 수행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 방법에서 마스터 인증서를 등록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 방법에서 통합 로그인과 관련한 트랜잭션을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 방법에서 슬레이브 인증서를 등록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 방법에서 통합 로그인을 수행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서비스 서버(200), 인증 지원 서버(300), 및 블록체인(40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에게 서비스되는 정보를 표시하여 주며 통합 로그인을 위한 정보의 입력 및 표시를 위한 디바이스로, PC, 모바일 컴퓨터, PDA/EDA, 휴대 전화, 스마트폰, 태블릿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무선 통신 기능을 가진 휴대용 게임기, 디지털 카메라 개인 내비게이션 등의 모든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정보의 송수신을 지원하는 통신부와 정보를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주는 것으로, 정보의 송수신을 지원하는 통신부와 정보를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인증 지원 서버(300)는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을 수행하는 것으로, 통신부(310)와 프로세서(320)를 포함할 수 있다. 동일한 참조 부호를 이용하여 나타낸 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이들 개별 장치들이 동일하다는 의미로 의도된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방법은 서버를 상이하게 구성하여 해당 방법을 수행하거나 동일한 인증 지원 서버(300)를 통해 해당 방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인증 지원 서버(300)는 블록체인의 각각의 노드에 대응하는 서버이거나, 블록체인의 노드를 관리하는 서버 또는 트랜잭션 서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증 지원 서버(300)는 전형적으로 컴퓨팅 장치(예컨대,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 스토리지,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 기타 기존의 컴퓨팅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는 장치; 라우터, 스위치 등과 같은 전자 통신 장치; 네트워크 부착 스토리지(NAS) 및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SAN)와 같은 전자 정보 스토리지 시스템)와 컴퓨터 소프트웨어(즉,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특정의 방식으로 기능하게 하는 인스트럭션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원하는 시스템 성능을 달성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퓨팅 장치의 통신부(310)는 연동되는 타 컴퓨팅 장치와 요청과 응답을 송수신할 수 있는 바, 일 예시로서 그러한 요청과 응답은 동일한 TCP 세션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바, 예컨대 UDP 데이터그램으로서 송수신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서(320)는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캐쉬 메모리(Cache Memory), 데이터 버스(Data Bus) 등의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영체제,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블록체인(400)은 데이터들에 대한 블록을 체인으로 연결하여 분산원장에 기록하는 데이터 분산 처리를 수행하는 주체일 수 있다. 이때, 블록체인(400)은 다수의 블록체인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블록체인은 프라이빗 블록체인 또는 퍼블릭 블록체인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 방법에서 마스터 인증서를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서비스 서버(2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마스터 인증서를 등록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다수의 앱들 중 등록하고자 하는 마스터 인증서에 대응되는 제1 앱(110)을 통해 제1 PKI 인증서의 생성을 요청하며, 그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은 제1 앱(110)을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제1 PKI 인증서, 바람직하게는 제1 PKI 인증서의 제1 프라이빗키로의 접근 허용을 위한 패스 정보를 설정하도록 한다(S1). 이때, 패스 정보는 비밀번호, PIN 코드, 사용자의 지문 정보, 및 사용자의 생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PKI 인증서에 대한 접근 제어를 위한 패스 정보의 설정을 생략할 수도 있다.
이후, 사용자에 의한 패스 정보가 설정되면, 사용자 단말(100)은 제1 앱(110)을 통해 제1 프라이빗 키와 제1 퍼블릭키를 포함하는 제1 PKI 인증서를 생성한다(S2). 이때, 제1 프라이빗키는 사용자 단말(100)의 SE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제1 앱(110)을 통해 생성된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 등록 요청 정보를 인증 지원 서버(300)로 전송하거나 사용자 단말(100)에 연동되는 타 장치 또는 서비스 서버(200)를 통해 인증 지원 서버(300)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S3). 이때, 마스터 인증서 등록 요청 정보는 제1 퍼블릭키, 전화 번호 등의 사용자 식별 정보,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등의 사용자 단말 식별 정보, 제1 앱 식별 정보, 제1 앱에 대응되는 푸쉬 토큰 아이디, 및 사용자 개인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KI 인증서의 생성 동작 이전에,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의 제1 앱(110)을 통해 아이디와 패스워드 등을 이용하는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서비스 서버(200)에 접속한 상태에서 마스터 인증서 등록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서비스 서버(200)에 로그인한 상태에서 ARS 인증, 계좌, 신용 카드, 공인 인증서 등의 개인 식별 정보들을 이용한 추가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러면, 인증 지원 서버(300)는 통신부(31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 또는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마스터 인증서 등록 요청 정보를 획득하며, 프로세서(320)는 통신부(310)를 통해 획득된 마스터 인증서 등록 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제1 앱(110)으로 제1 PKI 인증서의 제1 프라이빗키를 이용하여 제1 검증 확인값을 서명한 제1 서명값을 요청하거나 인증 지원 서버(300)에 연동되는 타 장치 또는 서비스 서버(200)를 통해 제1 앱(110)으로 제1 서명값에 대한 요청이 전송되도록 한다(S4). 이때, 제1 검증 확인값은 논스(nonce), OTP(one time password), 또는 타임스탬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서명값 요청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제1 앱(110)은 제1 프라이빗키를 이용하여 제1 검증 확인값을 서명한 제1 서명값을 생성하며(S5), 생성된 제1 서명값을 인증 지원 서버(300)로 전송하거나 사용자 단말(100)에 연동되는 타 장치 또는 서비스 서버(200)를 통해 제1 서명값이 인증 지원 서버(300)로 전송되도록 한다(S6). 이때, 사용자 단말(100)의 제1 앱(110)은 제1 서명값을 생성하기 이전, 사용자에게 패스 정보의 입력을 요청하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패스 정보가 설정된 패스 정보와 일치할 경우 제1 프라이빗키를 이용한 제1 검증 확인값에 대한 서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인증 지원 서버(300)는 획득되는 제1 서명값이 유효한지를 검증하거나 인증 지원 서버(300)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검증하도록 한다(S7).
이때, 제1 서명값의 검증은 제1 서명값의 서명에 이용된 제1 프라이빗키에 대응되는 제1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제1 서명값의 서명에 사용된 제1 서명값의 검증 확인값을 확인하고, 확인된 제1 서명값의 검증 확인값이 서명 요청시 전송한 제1 검증 확인값과 일치하는지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서명값의 검증 결과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면, 인증 지원 서버(300)는 적어도 제1 퍼블릭키와 인증서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마스터 인증서를 블록체인(400)에 등록하도록 요청하거나 인증 지원 서버(300)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마스터 인증서를 블록체인(400)에 등록하도록 요청(S8)함으로써 블록체인(400)으로 하여금 마스터 인증서를 등록하도록 하고(S9), 등록 결과를 인증 지원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하며(S10), 등록 결과가 획득되면 인증 지원 서버(300)는 등록 결과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거나 인증 지원 서버(300)에 연동되는 타 장치 또는 서비스 서버(20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S11). 이때, 블록체인(400)에 등록되는 마스터 인증서는 제1 퍼블릭키, 전화 번호 등의 사용자 식별 정보,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등의 사용자 단말 식별 정보, 제1 앱 식별 정보, 제1 앱에 대응되는 푸쉬 토큰 아이디, 및 사용자 개인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인증서는 제1 퍼블릭키, 전화 번호 등의 사용자 식별 정보,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등의 사용자 단말 식별 정보, 제1 앱 식별 정보, 제1 앱에 대응되는 푸쉬 토큰 아이디, 및 사용자 개인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해쉬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마스터 인증서를 블록체인(400)에 등록하였으나, 블록체인(400)이 다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 예로, 블록체인(400)이 제1 블록체인과 제2 블록체인으로 구성될 경우, 인증 지원 서버(300)가 마스터 인증서를 제1 블록체인과 제2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증 지원 서버(300)는 마스터 인증서를 제1 블록체인에 등록하거나 인증 지원 서버(300)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제1 블록체인에 등록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2 블록체인에 소정의 해쉬값을 등록하기 위한 트리거링 조건이 만족되면, 인증 지원 서버(300)는 마스터 인증서에 해쉬함수를 적용하여 생성한 제1 특정 해쉬값과 제1 특정 해쉬값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웃 해쉬값을 연산함으로써 머클 루트인 제1 대표 해쉬값 또는 제1 대표 해쉬값을 가공한 값을 생성한다.
또한, 인증 지원 서버(300)는 생성된 제1 대표 해쉬값 또는 제1 대표 해쉬값을 가공한 값을 제1 블록체인에 등록하거나 인증 지원 서버(300)에 연동되는 타 장치 또는 제1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제1 대표 해쉬값 또는 제1 대표 해쉬값을 가공한 값을 제2 블록체인에 등록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인증 지원 서버(300)는 제1 특정 해쉬값과 적어도 하나의 이웃 해쉬값을 소정의 데이터 구조로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구조는 다양할 수 있는 데, 일 예로 머클 트리(merkle tree) 구조가 될 수도 있다.
즉, 인증 지원 서버(300)는 제1 특정 해쉬값이 특정 리프 노드에 할당된 머클 트리(merkle tree)를 생성하거나 생성하도록 지원할 수 있고, 트리거링 조건이 만족되면, 제1 특정 해쉬값과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리프 노드에 할당된 해쉬값을 연산하여 생성되는 머클 루트인 제1 대표 해쉬값 또는 제1 대표 해쉬값을 가공한 값을 제2 블록체인에 등록하거나 인증 지원 서버(300)에 연동되는 타 장치 또는 제1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제2 블록체인에 등록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x1) 인증 지원 서버(300)는, (i) 제1 특정 해쉬값과 (ii) 제1 특정 해쉬값이 할당된 노드의 형제 노드에 할당된 해쉬값을 연산하거나 인증 지원 서버(300)에 연동된 타 장치로 하여금 연산하도록 지원하고, 연산값에 대한 해쉬값을 노드의 부모 노드에 할당하거나 인증 지원 서버(300)에 연동된 타 장치로 하여금 부모 노드에 할당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x2) 만일, 부모 노드가 머클 트리의 루트 노드이면, 부모 노드에 할당된 해쉬값이 제1 대표 해쉬값 또는 제1 대표 해쉬값을 가공한 값이 된다. (x3) 반면, 부모 노드가 머클 트리의 루트 노드가 아니면, 인증 지원 서버(300)는, 부모 노드에 할당된 해쉬값을 제1 특정 해쉬값으로 하여 (x1) 내지 (x3)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그리고, 인증 지원 서버(300)는 최종적으로 머클 트리의 루트 노드에 할당된 해쉬값을 제1 대표 해쉬값 또는 제1 대표 해쉬값을 가공한 값으로서 제2 블록체인에 등록하거나 인증 지원 서버(300)에 연동된 타 장치 또는 제1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제2 블록체인에 등록하도록 지원한다. 이때, 제1 대표 해쉬값을 가공한 값은, 예를 들어, 제1 대표 해쉬값에 hex 연산이 수행된 결과값일 수 있다.
한편, 인증 지원 서버(300)가 제1 특정 해쉬값과 적어도 하나의 이웃 해쉬값을 소정의 제1-1 데이터 구조로 저장하고, 이후 제1-1 데이터 구조와 동일한 형태의 제1-2 데이터 구조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경우, 제1-1 데이터 구조와 제1-2 데이터 구조는 체인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예에서와 같이 제1-1 데이터 구조 및 제1-2 데이터 구조가 머클 트리인 경우, 제1-1 데이터 구조의 루트값 또는 루트값의 해쉬값이 제1-2 데이터 구조의 첫번째 리프 노드에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제1-2 데이터 구조를 생성할 때는 제1-1 데이터 구조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짐으로써 데이터 integrity가 좀더 보장될 수 있다. 제1-2 데이터 구조의 검증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체인 형태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머클 트리 중 첫번째 머클 트리의 경우, 첫번째 머클 트리의 첫번째 리프 노드에는 텍스트, 숫자, 또는 기호로 이루어진 소정의 메시지 데이터의 해쉬값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이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머클 트리 생성시 인증 지원 서버(300)에 의해 최초로 부여된 입력 메시지의 해쉬값이 할당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머클 트리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서는 리프 노드의 개수가 4개인 머클 트리가 도시된다. 도시된 머클 트리는 첫번째 머클 트리이기 때문에(tree_id=0), 첫번째 리프 노드인 h0 노드에는 소정의 메시지 데이터의 해쉬값 (sha256(coinplug_unique_message))이 할당되었음을 알 수 있다. 기록 데이터에 대한 등록 요청이 있는 경우, 인증 지원 서버(300)는 현재 구성 중인 머클 트리의 가장 마지막 리프 노드의 다음 리프 노드를 생성하여 제1 특정 해쉬값 또는 제1 특정 해쉬값을 가공한 값을 할당하거나 할당하도록 지원한다. 예를 들어, 도 3의 머클 트리에서 두번째 리프 노드인 h1 노드까지 값 할당이 완료된 상태에서 새로운 리프 노드를 생성하여야 하는 경우, 다음 리프 노드인 h2 노드를 생성하여 제1 특정 해쉬값 또는 제1 특정 해쉬값을 가공한 값(sha256(input2))을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인증 지원 서버(300)는 (i) h2 노드에 할당된 제1 특정 해쉬값과 (ii) h2 노드의 형제 노드인 h3 노드에 할당된 해쉬값을 연산하거나 연산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연산값에 대한 해쉬값은 h2 노드와 h3 노드의 부모 노드(h23 노드)에 할당된다. 부모 노드(h23 노드)가 머클 트리의 루트 노드가 아니므로 인증 지원 서버(300)는 h23 노드에 할당된 해쉬값을 제1 특정 해쉬값으로 하여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즉, h23 노드에 할당된 해쉬값을 제1 특정 해쉬값으로 하고, h23 노드에 할당된 해쉬값과 h01 노드에 할당된 해쉬값을 연산하여 h23 노드와 h01 노드의 부모 노드(h0123 노드)에 할당할 수 있다. 이때, h0123 노드가 머클 트리의 루트 노드이므로 인증 지원 서버(300)는, h0123 노드에 할당된 해쉬값을 가공한 값(hex(h{node_index}))을 제2 블록체인에 등록하거나 인증 지원 서버(300)에 연동된 타 장치 또는 제1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제2 블록체인에 등록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트리거링 조건이란, (i) 소정의 개수만큼 마스터 인증서와 관련한 트랜잭션이 생성되는 조건, (ii) 소정 시간이 경과하는 조건, (iii) 제1 블록체인에서 블록이 생성되는 조건, (iv) 서비스 특성에 대한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마스터 인증서와 관련한 트랜잭션이 머클 트리의 리프 노드 수만큼 획득되면 머클 트리를 생성하고, 머클 트리의 루트값을 제2 블록체인에 등록하거나 타 장치로 하여금 등록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인증 지원 서버(300)는 소정 시간 단위로 전술한 머클 트리의 루트값을 생성할 수 있다(상기 (ii) 조건). 이 경우 인증 지원 서버(300)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그때까지의 입력값을 이용하여 머클 트리를 생성하고 머클 트리의 루트값을 제2 블록체인에 등록하거나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된 타 장치 또는 제1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제2 블록체인에 등록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런데, 이 경우에는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음에도 머클 트리의 특정 해쉬값이 할당된 노드의 형제 노드에 값이 할당되지 않을 수 있다. 이처럼 트리거링 조건이 만족되었음에도 제1 특정 해쉬값이 할당된 노드의 형제 노드에 해쉬값이 할당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인증 지원 서버(300)는, 형제 노드에 소정의 해쉬값을 할당하거나 할당하도록 지원하여 전술한 방식으로 머클 트리의 루트값이 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지원 서버(300)는 제1 특정 해쉬값을 복제하여 형제 노드에 할당하거나 할당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특성이란, 마스터 인증서와 관련한 트랜잭션을 발행한 발행자가 제공한 비용 정보, 마스터 인증서 관련 트랜잭션 등록이 이루어지는 시간대 정보, 마스터 인증서 관련 트랜잭션 등록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지역 정보, 마스터 인증서 관련 트랜잭션 등록 요청을 한 회사 타입 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기재한 것에 한정할 것은 아니고, 통상적으로 인정되는 차등적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는 다양한 조건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새로운 머클 트리 생성이 시작되고, 마스터 인증서 관련 트랜잭션이 없는 상태에서 트리거링 조건이 만족되면, 인증 지원 서버(300)는, 소정의 메시지 데이터가 첫번째 리프 노드와 두번째 리프 노드에 할당된 머클 트리를 생성하거나 생성하도록 지원하고, 머클 트리의 루트값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을 제2 블록체인에 등록하거나 인증 지원 서버(300)에 연동된 타 장치 또는 제1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제2 블록체인에 등록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리프 노드 2개짜리 머클 트리가 생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것처럼 인증 지원 서버(300)가 제1 특정 해쉬값과 적어도 하나의 이웃 해쉬값을 소정의 제1-1 데이터 구조로 저장하고, 이후 제1-1 데이터 구조와 동일한 형태의 제1-2 데이터 구조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경우, 제1-1 데이터 구조와 제1-2 데이터 구조는 체인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제1-1 데이터 구조 및 제1-2 데이터 구조가 머클 트리인 경우, 제1-1 데이터 구조의 루트값 또는 루트값의 해쉬값이 제1-2 데이터 구조의 첫번째 리프 노드에 할당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2 데이터 구조로서 생성된 머클 트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3의 머클 트리(tree_id=0)의 루트값(hex(h0123))이 새로운 머클 트리의 첫번째 리프 노드(h4 노드)에 할당되었음을 알 수 있다(sha256(input4)). 본 발명은 이와 같이 트랜잭션 발생시 생성되는 복수의 데이터 구조를 연결함으로써 중간에 데이터가 변조가 발생되는 경우라도 쉽게 트래킹이 가능하여 데이터 integrity를 향상시키는 장점을 가진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 방법에서 슬레이브 인증서를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서비스 서버(2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슬레이브 인증서를 등록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다수의 앱들 중 등록하고자 하는 슬레이브 인증서에 대응되는 제2 앱(120)을 통해 인증 지원 서버(300)로 마스터 인증서 조회 요청 정보를 전송하거나 사용자 단말(100)에 연동되는 타 장치 또는 서비스 서버(200)를 통해 인증 지원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한다(S21). 이때,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의 제2 앱(120)을 통해 아이디와 패스워드 등을 이용하는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서비스 서버(200)에 접속한 상태에서 슬레이브 인증서 등록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서비스 서버(200)에 로그인한 상태에서 ARS 인증, 계좌, 신용 카드, 공인 인증서 등의 개인 식별 정보들을 이용한 추가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러면, 인증 지원 서버(300)는 블록체인(400)으로 사용자 식별 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마스터 인증서 확인을 요청하거나 인증 지원 서버(300)에 연동되는 타 장치를 통해 블록체인(400)에 마스터 인증서 확인을 요청하도록 하며(S22), 인증 지원 서버(300)로부터의 마스터 인증서 확인 요청에 대응하여 블록체인(400)은 사용자 식별 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 식별 정보 등에 대응하여 등록된 마스터 인증서를 확인하고(S23) 적어도 제2 검증 확인값을 포함하는 마스터 인증서 확인 결과를 인증 지원 서버(300)로 전송하여 준다(S24). 이때, 마스터 인증서 확인 결과는 제2 검증 확인값, 마스터 인증서에 대응되는 앱, 즉 제1 앱에 대한 제1 앱 아이디, 및 제1 앱으로의 제2 검증 확인값 전송과 제2 검증 확인값에 대한 서명 요청을 위한 URL schem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검증 확인값은 논스(nonce), OTP(one time password), 또는 타임스탬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블록체인(400)이 제1 블록체인과 제2 블록체인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사용자 식별 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제2 블록체인에 등록된 제1 대표 해쉬값 또는 제1 대표 해쉬값을 가공한 값을 확인하고, 제2 블록체인에서 확인된 제1 대표 해쉬값 또는 제1 대표 해쉬값을 가공한 값과 대응하여 제1 블록체인에 등록된 머클 트리 정보 및 리프 노드 정보를 확인하며, 머클 트리 정보 및 리프 노드 정보를 참조하여 제1 블록체인에 등록된 마스터 인증서를 확인하거나 타 장치로 하여금 확인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인증 지원 서버(300)는 획득된 마스터 인증서 확인 결과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거나 인증 지원 서버(300)에 연동되는 타 장치 또는 서비스 서버(200)를 통해 마스터 인증서 확인 결과가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되도록 한다(S25).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마스터 인증서 확인 결과를 수신하고, 제1 앱(110)을 호출하여 제2 검증 확인값을 서명한 서명값을 인증 지원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요청한다(S26). 즉, 사용자 단말(100)은 마스터 인증서 확인 결과로부터 획득되는 URL scheme에 의해 제1 앱(110)을 호출하며, 제1 앱(110)을 통해 제2 검증 확인값을 서명하고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100)의 제1 앱(120)은 제1 프라이빗키를 이용하여 제2 검증 확인값을 서명하여 제2 서명값을 생성하며(S27), 생성된 제2 서명값을 인증 지원 서버(300)로 전송하거나 사용자 단말(100)에 연동되는 타 장치 또는 서비스 서버(200)를 통해 제2 서명값이 인증 지원 서버(300)로 전송되도록 한다(S28). 이때, 사용자 단말(100)의 제1 앱(110)은 제2 서명값을 생성하기 이전, 사용자에게 패스 정보의 입력을 요청하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패스 정보가 설정된 패스 정보와 일치할 경우 제1 프라이빗키를 이용한 제2 검증 확인값에 대한 서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인증 지원 서버(300)는 획득되는 제2 서명값이 유효한지를 검증하거나 인증 지원 서버(300)에 연동되는 타 장치 또는 블록체인(400)으로 하여금 검증하도록 한다(S29)(S30).
이때, 제2 서명값의 검증은 제2 서명값의 서명에 이용된 제1 프라이빗키에 대응되는 제1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제2 서명값의 서명에 사용된 제2 서명값의 검증 확인값을 확인하고, 확인된 제2 서명값의 검증 확인값이 서명 요청시 전송한 제2 검증 확인값과 일치하는지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서명값의 검증 결과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거나 블록체인(400)으로부터 제2 서명값이 유효한 것으로 확인된 검증 결과가 획득되면(S31), 인증 지원 서버(300)는 검증 결과를 사용자 단말(100)의 제2 앱(120)으로 전송하거나 인증 지원 서버(300)에 연동되는 타 장치 또는 서비스 서버(200)를 통해 전송되도록 한다(S32)(S33).
그러면, 사용자 단말(100)은 제2 앱(120)을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제2 PKI 인증서, 바람직하게는 제2 PKI 인증서의 제2 프라이빗키로의 접근 허용을 위한 패스 정보를 설정하도록 한다(S34). 이때, 패스 정보는 비밀번호, PIN 코드, 사용자의 지문 정보, 및 사용자의 생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PKI 인증서에 대한 접근 제어를 위한 패스 정보의 설정을 생략할 수도 있다.
이후, 사용자에 의한 패스 정보가 설정되면, 사용자 단말(100)은 제2 앱(120)을 통해 제2 프라이빗 키와 제2 퍼블릭키를 포함하는 제2 PKI 인증서를 생성한다(S35). 이때, 제2 프라이빗키는 사용자 단말(100)의 SE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제2 앱(120)을 통해 생성된 제2 PKI 인증서를 이용한 슬레이브 인증서 등록 요청 정보를 인증 지원 서버(300)로 전송하거나 사용자 단말(100)에 연동되는 타 장치 또는 서비스 서버(200)를 통해 인증 지원 서버(300)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S36). 이때, 슬레이브 인증서 등록 요청 정보는 제2 퍼블릭키, 전화 번호 등의 사용자 식별 정보,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등의 사용자 단말 식별 정보, 제2 앱 식별 정보, 제2 앱에 대응되는 푸쉬 토큰 아이디, 및 사용자 개인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인증 지원 서버(300)는 통신부(31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 또는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슬레이브 인증서 등록 요청 정보를 획득하며, 프로세서(320)는 통신부(310)를 통해 획득된 슬레이브 인증서 등록 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제2 앱(110)으로 제2 PKI 인증서의 제2 프라이빗키를 이용하여 제3 검증 확인값을 서명한 제3 서명값을 요청하거나 인증 지원 서버(300)에 연동되는 타 장치 또는 서비스 서버(200)를 통해 제2 앱(110)으로 제3 서명값 요청이 전송되도록 한다(S37). 이때, 제3 검증 확인값은 논스(nonce), OTP(one time password), 또는 타임스탬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서명값 요청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제2 앱(120)은 제2 프라이빗키를 이용하여 제3 검증 확인값을 서명한 제3 서명값을 생성하며(S38), 생성된 제3 서명값을 인증 지원 서버(300)로 전송하거나 사용자 단말(100)에 연동되는 타 장치 또는 서비스 서버(200)를 통해 제3 서명값이 인증 지원 서버(300)로 전송되도록 한다(S39). 이때, 사용자 단말(100)의 제2 앱(110)은 제3 서명값을 생성하기 이전, 사용자에게 패스 정보의 입력을 요청하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패스 정보가 설정된 패스 정보와 일치할 경우 제2 프라이빗키를 이용한 제3 검증 확인값에 대한 서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인증 지원 서버(300)는 획득되는 제3 서명값이 유효한지를 검증하거나 인증 지원 서버(300)에 연동되는 타 장치 또는 블록체인(400)으로 하여금 검증하도록 한다(S40).
이때, 제3 서명값의 검증은 제3 서명값의 서명에 이용된 제2 프라이빗키에 대응되는 제2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제3 서명값의 서명에 사용된 제3 서명값의 검증 확인값을 확인하고, 확인된 제3 서명값의 검증 확인값이 서명 요청시 전송한 제3 검증 확인값과 일치하는지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3 서명값의 검증 결과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면, 인증 지원 서버(300)는 적어도 제2 퍼블릭키와 인증서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슬레이브 인증서를 블록체인(400)에 등록하도록 요청하거나 인증 지원 서버(300)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슬레이브 인증서를 블록체인(400)에 등록하도록 요청(S41)함으로써 블록체인(400)으로 하여금 슬레이브 인증서를 등록하도록 하고(S42), 등록 결과를 인증 지원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하며(S43), 등록 결과가 획득되면 인증 지원 서버(300)는 등록 결과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거나 인증 지원 서버(300)에 연동되는 타 장치 또는 서비스 서버(20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S44). 이때, 블록체인(400)에 등록되는 슬레이브 인증서는 제2 퍼블릭키, 전화 번호 등의 사용자 식별 정보,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등의 사용자 단말 식별 정보, 제2 앱 식별 정보, 제2 앱에 대응되는 푸쉬 토큰 아이디, 및 사용자 개인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슬레이브 인증서는 제2 퍼블릭키, 전화 번호 등의 사용자 식별 정보,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등의 사용자 단말 식별 정보, 제2 앱 식별 정보, 제2 앱에 대응되는 푸쉬 토큰 아이디, 및 사용자 개인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해쉬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슬레이브 인증서를 블록체인(400)에 등록하였으나, 블록체인(400)이 다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 예로, 블록체인(400)이 제1 블록체인과 제2 블록체인으로 구성될 경우, 인증 지원 서버(300)가 슬레이브 인증서를 제1 블록체인과 제2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증 지원 서버(300)는 슬레이브 인증서를 제1 블록체인에 등록하거나 인증 지원 서버(300)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제1 블록체인에 등록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2 블록체인에 소정의 해쉬값을 등록하기 위한 트리거링 조건이 만족되면, 인증 지원 서버(300)는 슬레이브 인증서에 해쉬함수를 적용하여 생성한 제2 특정 해쉬값과 제2 특정 해쉬값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웃 해쉬값을 연산함으로써 머클 루트인 제2 대표 해쉬값 또는 제2 대표 해쉬값을 가공한 값을 생성한다.
또한, 인증 지원 서버(300)는 생성된 제2 대표 해쉬값 또는 제2 대표 해쉬값을 가공한 값을 제2 블록체인에 등록하거나 인증 지원 서버(300)에 연동되는 타 장치 또는 제1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제2 대표 해쉬값 또는 제2 대표 해쉬값을 가공한 값을 제2 블록체인에 등록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인증 지원 서버(300)는 제2 특정 해쉬값과 적어도 하나의 이웃 해쉬값을 소정의 데이터 구조로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구조는 다양할 수 있는데, 일 예로 머클 트리(merkle tree) 구조가 될 수도 있다.
즉, 인증 지원 서버(300)는 제1 특정 해쉬값이 특정 리프 노드에 할당된 머클 트리(merkle tree)를 생성하거나 생성하도록 지원할 수 있고, 트리거링 조건이 만족되면, 제2 특정 해쉬값과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리프 노드에 할당된 해쉬값을 연산하여 생성되는 머클 루트인 제2 대표 해쉬값 또는 제2 대표 해쉬값을 가공한 값을 제2 블록체인에 등록하거나 인증 지원 서버(300)에 연동되는 타 장치 또는 제1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제2 블록체인에 등록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x4) 인증 지원 서버(300)는, (i) 제2 특정 해쉬값과 (ii) 제2 특정 해쉬값이 할당된 노드의 형제 노드에 할당된 해쉬값을 연산하거나 인증 지원 서버(300)에 연동된 타 장치 또는 제1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연산하도록 지원하고, 연산값에 대한 해쉬값을 노드의 부모 노드에 할당하거나 인증 지원 서버(300)에 연동된 타 장치 또는 제1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부모 노드에 할당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x5) 만일, 부모 노드가 머클 트리의 루트 노드이면, 부모 노드에 할당된 해쉬값이 제2 대표 해쉬값 또는 제2 대표 해쉬값을 가공한 값이 된다. (x6) 반면, 부모 노드가 머클 트리의 루트 노드가 아니면, 인증 지원 서버(300)는, 부모 노드에 할당된 해쉬값을 제2 특정 해쉬값으로 하여 (x4) 내지 (x6)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그리고, 인증 지원 서버(300)는 최종적으로 머클 트리의 루트 노드에 할당된 해쉬값을 제2 대표 해쉬값 또는 제2 대표 해쉬값을 가공한 값으로서 제2 블록체인에 등록하거나 인증 지원 서버(300)에 연동된 타 장치 또는 제1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제2 블록체인에 등록하도록 지원한다. 이때, 제2 대표 해쉬값을 가공한 값은, 예를 들어, 제2 대표 해쉬값에 hex 연산이 수행된 결과값일 수 있다.
한편, 인증 지원 서버(300)가 제2 특정 해쉬값과 적어도 하나의 이웃 해쉬값을 소정의 제1-1 데이터 구조로 저장하고, 이후 제1-1 데이터 구조와 동일한 형태의 제1-2 데이터 구조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경우, 제1-1 데이터 구조와 제1-2 데이터 구조는 체인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예에서와 같이 제1-1 데이터 구조 및 제1-2 데이터 구조가 머클 트리인 경우, 제1-1 데이터 구조의 루트값 또는 루트값의 해쉬값이 제1-2 데이터 구조의 첫번째 리프 노드에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제1-2 데이터 구조를 생성할 때는 제1-1 데이터 구조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짐으로써 데이터 integrity가 좀더 보장될 수 있다.
또한, 체인 형태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머클 트리 중 첫번째 머클 트리의 경우, 첫번째 머클 트리의 첫번째 리프 노드에는 텍스트, 숫자, 또는 기호로 이루어진 소정의 메시지 데이터의 해쉬값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이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머클 트리 생성시 인증 지원 서버(300)에 의해 최초로 부여된 입력 메시지의 해쉬값이 할당될 수 있다.
상기에서 생성된 머클 트리의 예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나타내어질 수 있으며, 상기 마스터 인증서의 등록에서 설명한 바, 이하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에서는 슬레이브 인증서 등록을 위하여 마스터 인증서를 확인한 결과, 마스터 인증서가 블록체인(400)에 등록된 상태를 상정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마스터 인증서가 블록체인(400)에 등록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인증 지원 서버(300)가 제2 앱(120)을 통한 슬레이브 인증서 등록 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마스터 인증서를 등록하여 줄 수도 있다.
즉, 사용자 단말(100)의 제2 앱(120)을 통한 마스터 인증서 조회 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블록체인(400)에 등록된 마스터 인증서를 확인한 결과 마스터 인증서가 블록체인(400)에 등록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인증 지원 서버(300)가 사용자 단말(100)의 제2 앱(120)으로 하여금 제2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 등록 요청 정보를 인증 지원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하거나 사용자 단말(100)에 연동되는 타 장치 또는 서비스 서버(200)를 통해 제2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 등록 요청 정보를 인증 지원 서버(300)로 전송되도록 하며, 제2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 등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사용자 단말(100)의 제2 앱(120)으로 제2 PKI 인증서의 제2 프라이빗키를 이용하여 제4 검증 확인값을 서명한 제4 서명값을 요청하며, 사용자 단말(100) 또는 사용자 단말(100)에 연동되는 타 장치 또는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제4 서명값이 획득되면 제4 서명값을 검증하거나 인증 지원 서버(300)에 연동되는 타 장치 또는 블록체인(400)으로 하여금 제4 서명값을 검증하도록 지원하고, 제4 서명값이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면 적어도 제2 PKI 인증서의 제2 퍼블릭키와 인증서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제2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가 블록체인(400)에 등록되도록 하거나 인증 지원 서버(300)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제2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를 블록체인(400)에 등록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블록체인(400)은 제1 블록체인과 제2 블록체인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동작은 상기에서의 설명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또는 도 5에서와 같은 방법에 의해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되며 서비스 서버(200)에서 제공되는 각각의 서비스를 이용 가능하도록 하는 앱들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증서들이 블록체인(400)에 등록될 수 있다. 즉, 서비스 서버(200)에서 제공되는 각각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앱들에 대응하는 마스터 인증서와 슬레이브 인증서들이 블록체인(400)에 등록될 수 있으며, 블록체인(400)이 제1 블록체인과 제2 블록체인으로 구성될 경우, 사용자 인증서들이 제1 블록체인에 등록되고 제2 블록체인에 각각의 사용자 인증서에 대응하는 대표 해쉬값 또는 대표 해쉬값을 가공한 값들이 등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100)의 특정 앱에서의 로그인 정보를 이용한 통합 로그인 정보가 사용자 단말(100) 또는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획득되면, 인증 지원 서버(300)가 블록체인(400)을 통해 사용자 인증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증서에 의한 통합 로그인 상태를 확인한다. 이때, 로그인 정보는 퍼블릭키,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사용자 단말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통합 로그인 상태 확인 결과 통합 로그인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인증 지원 서버(300)가 블록체인(400)으로부터 로그인 정보에 대응되는 푸쉬 토큰 아이디를 획득하거나 인증 지원 서버(300)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푸쉬 토큰 아이디를 획득하도록 지원하고, 적어도 푸쉬 토큰 아이디와 검증 확인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확인 요청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거나 서비스 서버(200)로 하여금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도록 지원하며, 사용자 단말(100)의 특정 앱에서 특정 앱에 대응되는 특정 사용자 인증서의 특정 프라이빗키를 이용하여 검증 확인값을 서명한 서명값이 사용자 단말(100) 또는 서비스 서버(200)를 통해 획득되면 서명값을 검증하거나 블록체인(400)으로 하여금 서명값을 검증하도록 하고, 서명값이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면 서비스 서버(200)로 하여금 사용자 단말(100)의 특정 앱을 통한 특정 앱에 대응되는 특정 서비스의 이용을 가능하도록 지원하며, 블록체인(400)에 통합 로그인 상태를 통합 로그인이 된 상태로 등록하거나 인증 지원 서버(300)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블록체인(400)에 통합 로그인 상태를 통합 로그인이 된 상태로 등록하도록 지원한다.
일 예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의 제1 앱(110)을 통해 통합 로그인 요청을 인증 지원 서버(300)로 전송하거나 사용자 단말(100)에 연동되는 타 장치 또는 서비스 서버(200)를 통해 인증 지원 서버(300)로 전송되도록 한다(S51)(S52). 이때, 로그인 정보는 제1 퍼블릭키,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사용자 단말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인증 지원 서버(300)는 블록체인(400)으로 통합 로그인 상태 확인을 요청하거나 인증 지원 서버(300)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통합 로그인 상태 확인을 요청하도록 한다(S53).
그리고, 블록체인(400)은 인증 지원 서버(300)로부터의 통합 로그인 상태 확인 요청에 대응하여 등록된 통합 로그인 상태 정보를 확인하며(S54), 확인된 통합 로그인 상태 정보를 인증 지원 서버(300)로 전송하여 준다(S55).
확인 결과, 통합 로그인 상태 정보가 통합 로그인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S56), 인증 지원 서버(300)는 블록체인(400)으로 로그인 정보에 대응되는 푸쉬 토큰 아이디 확인 요청을 하거나 인증 지원 서버(300)에 연동되는 타 장치를 통해 푸쉬 토큰 아이디 확인 요청을 하도록 한다(S57).
그러면, 블록체인(400)은 로그인 정보에 대응되는 푸쉬 토큰 아이디를 확인하고(S58), 확인된 푸쉬 토큰 아이디를 인증 지원 서버(300)로 전송하여 준다(S59). 이때, 푸쉬 토큰 아이디는 마스터 인증서에 대응되는 푸쉬 토큰 아이디일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400)은 푸쉬 토큰 아이디와 동시에 검증 확인값을 생성하여 전송하여 줄 수 있다.
그리고, 인증 지원 서버(300)는 적어도 푸쉬 토큰 아이디와 검증 확인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확인 요청 정보를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하거나 인증 지원 서버(300)에 연동되는 타 장치를 통해 전송되도록 하고(S60),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 푸쉬 토큰 아이디와 검증 확인값을 포함하는 서명값 요청을 전송하거나 서비스 서버(200)에 연동되는 타 장치를 통해 전송되도록 한다(S61).
그러면, 사용자 단말(100)은 푸쉬 토큰 아이디에 대응되는 제1 앱(110), 즉, 마스터 인증서를 등록한 앱을 호출하여 제1 프라이빗키를 이용하여 검증 확인값을 서명한 서명값을 생성하고(S62), 생성된 서명값을 인증 지원 서버(300)로 전송하거나 사용자 단말(100)에 연동되는 타 장치 또는 서비스 서버(200)를 통해 전송하도록 한다(S63)(S64). 이때, 사용자 단말(100)의 제1 앱(110)은 서명값을 생성하기 이전, 사용자에게 패스 정보의 입력을 요청하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패스 정보가 설정된 패스 정보와 일치할 경우 제1 프라이빗키를 이용한 검증 확인값에 대한 서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인증 지원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제1 앱(110)으로부터의 서명값이 획득되면, 서명값을 검증하거나 인증 지원 서버(300)에 연동되는 타 장치 또는 블록체인(400)통해 검증하도록 한다(S65). 이때, 서명값의 검증은 서명값의 서명에 이용된 제1 프라이빗키에 대응되는 제1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서명값의 서명에 사용된 서명값의 검증 확인값을 확인하고, 확인된 서명값의 검증 확인값이 서명 요청시 전송한 검증 확인값과 일치하는지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검증 결과, 서명값이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면, 인증 지원 서버(300)는 서비스 서버(200)로 하여금 사용자 단말(100)의 제1 앱(110)을 통한 제1 앱(110)에 대응되는 서비스의 이용을 가능하도록 지원한다(S66)(S67).
그리고, 인증 지원 서버(300)는 블록체인(400)으로 통합 로그인 상태 등록을 요청하거나 인증 지원 서버(300)에 연동되는 타 장치를 통해 요청하도록 하며(S68), 그에 따라 블록체인(400)은 통합 로그인 상태를 등록하고(S69) 등록 결과를 인증 지원 서버(300)로 전송하여 준다(S70).
이때, 블록체인(400)이 제1 블록체인과 제2 블록체인으로 구성될 경우, 제2 블록체인에 소정의 해쉬값을 등록하기 위한 트리거링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통합 로그인이 된 상태의 정보에 해쉬함수를 적용하여 생성한 제2 특정 해쉬값과 제2 특정 해쉬값과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웃 해쉬값을 연산한 제2 대표 해쉬값 또는 제2 대표 해쉬값을 가공한 값을 제2 블록체인에 등록하거나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 또는 제1 블록체인을 통해 제2 대표 해쉬값 또는 제2 대표 해쉬값을 가공한 값이 제2 블록체인에 등록되도록 지원한다.
상기 제2 블록체인에 제2 대표 해쉬값 또는 제2 대표 해쉬값을 가공한 값을 등록하는 방법은 도 2 또는 도 5에서의 설명으로부터 이해 가능하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통합 로그인 상태 확인 결과 통합 로그인이 되어 있는 경우, 인증 지원 서버(300)는 서비스 서버(200)로 하여금 사용자 단말(100)의 특정 앱을 통한 특정 앱에 대응되는 특정 서비스의 이용을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의 제2 앱(120)을 통해 인증 지원 서버(300)로 통합 로그인을 요청하거나 사용자 단말에 연동되는 타 장치 또는 서비스 서버(200)를 통해 요청하도록 하면(S81)(S82), 인증 지원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제2 앱(120)으로부터의 통합 로그인 요청에 대응하여 블록체인(400)으로 통합 로그인 상태 확인을 요청하거나 인증 지원 서버(300)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통합 로그인 상태 확인을 요청하도록 한다(S83).
그리고, 블록체인(400)은 인증 지원 서버(300)로부터의 통합 로그인 상태 확인 요청에 대응하여 등록된 통합 로그인 상태 정보를 확인하며(S84), 확인된 통합 로그인 상태 정보를 인증 지원 서버(300)로 전송하여 준다(S85).
확인 결과, 통합 로그인 상태 정보가 통합 로그인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S86), 인증 지원 서버(300)는 서비스 서버(200)로 하여금 사용자 단말(100)의 제2 앱(110)을 통한 제2 앱(110)에 대응되는 서비스의 이용을 가능하도록 지원한다(S87)(S88).
또한,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
200: 서비스 서버,
300: 인증 지원 서버,
310: 통신부,
320: 프로세서,
400: 블록체인
200: 서비스 서버,
300: 인증 지원 서버,
310: 통신부,
320: 프로세서,
400: 블록체인
Claims (34)
-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의 제1 앱 - 상기 제1 앱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어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되는 제1 서비스를 이용 가능하도록 하는 앱임 - 을 통해 생성된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 등록 요청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부터 획득되면, 인증 지원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제1 앱으로 상기 제1 PKI 인증서의 제1 프라이빗키를 이용하여 제1 검증 확인값을 서명한 제1 서명값을 요청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서명값이 획득되면 상기 제1 서명값을 검증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1 서명값을 검증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제1 서명값이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면 적어도 상기 제1 PKI 인증서의 제1 퍼블릭키와 인증서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가 블록체인에 등록되도록 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를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제2 앱 - 상기 제2 앱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어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되는 제2 서비스를 이용 가능하도록 하는 앱임 - 을 통한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 조회 요청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부터 획득되면, 상기 인증 지원 서버가,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된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를 확인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된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를 확인하도록 지원하며, 적어도 제2 검증 확인값을 포함하는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에 대한 확인 결과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2 앱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에 대한 확인 결과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2 앱으로 전송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제2 앱으로 하여금, 상기 제1 앱을 통해 상기 제2 검증 확인값을 상기 제1 프라이빗키로 서명한 제2 서명값을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제1 앱에게 요청하도록 하는 단계; 및
(c)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1 앱으로부터 적어도 상기 제2 서명값이 획득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부터 적어도 상기 제2 서명값이 획득되면, 상기 인증 지원 서버가, 상기 제2 서명값을 검증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2 서명값을 검증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제2 서명값이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면 검증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1 앱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상기 검증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1 앱으로 전송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1 앱으로 하여금 상기 검증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2 앱으로 전송하도록 하며, 상기 검증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2 앱을 통해 생성된 제2 PKI 인증서를 이용한 슬레이브 인증서 등록 요청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부터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2 앱으로 상기 제2 PKI 인증서의 제2 프라이빗키를 이용하여 제3 검증 확인값을 서명한 제3 서명값을 요청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부터 상기 제3 서명값이 획득되면 상기 제3 서명값을 검증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3 서명값을 검증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제3 서명값이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면 적어도 상기 제2 PKI 인증서의 제2 퍼블릭키와 인증서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 PKI 인증서를 이용한 슬레이브 인증서가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되도록 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2 PKI 인증서를 이용한 슬레이브 인증서를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d)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2 앱을 통한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 조회 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된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를 확인한 결과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가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인증 지원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2 앱으로 하여금 상기 제2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 등록 요청 정보를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에 연동되는 타 장치를 통해 상기 제2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 등록 요청 정보가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되도록 하며, 상기 제2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 등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2 앱으로 상기 제2 PKI 인증서의 제2 프라이빗키를 이용하여 제4 검증 확인값을 서명한 제4 서명값을 요청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부터 상기 제4 서명값이 획득되면 상기 제4 서명값을 검증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4 서명값을 검증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제4 서명값이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면 적어도 상기 제2 PKI 인증서의 제2 퍼블릭키와 인증서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가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되도록 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2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를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1 앱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2 앱은 각각 상기 제1 PKI 인증서 또는 상기 제2 PKI 인증서 생성 시, 상기 제1 PKI 인증서의 상기 제1 프라이빗키 또는 상기 제2 PKI 인증서의 상기 제2 프라이빗키로의 접근 허용을 위한 각각의 패스 정보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지원 서버는,
상기 제1 PKI 인증서의 상기 제1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서명값 또는 상기 제2 서명값의 서명에 사용된 제1 서명값의 검증 확인값 또는 제2 서명값의 검증 확인값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제1 서명값의 검증 확인값 또는 상기 제2 서명값의 검증 확인값이 상기 제1 검증 확인값 또는 상기 제2 검증 확인값과 일치하는지 비교하여 상기 제1 서명값 또는 상기 제2 서명값을 검증하거나 상기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상기 제1 서명값 또는 상기 제2 서명값을 검증하도록 지원하며,
상기 제2 PKI 인증서의 상기 제2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3 서명값의 서명에 사용된 제3 서명값의 검증 확인값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제3 서명값의 검증 확인값이 상기 제3 검증 확인값과 일치하는지 비교하여 상기 제3 서명값을 검증하거나 상기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상기 제3 서명값을 검증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된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 또는 상기 제2 PKI 인증서를 이용한 슬레이브 인증서는 각각, 상기 제1 퍼블릭키 또는 상기 제2 퍼블릭키, 사용자 식별 정보, 사용자 단말 식별 정보, 상기 제1 앱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2 앱 식별 정보, 상기 제1 앱 또는 상기 제2 앱에 대응되는 푸쉬 토큰 아이디, 및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인증 지원 서버는, 상기 블록체인으로부터 확인된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에 대응하는 제1 앱 아이디, 및 상기 제1 앱으로의 상기 제2 검증 확인값 전송과 상기 제2 검증 확인값에 대한 서명 요청을 위한 URL scheme을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에 대한 확인 결과 정보에 더 포함하여 상기 제2 앱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전송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의 다수의 앱 - 상기 다수의 앱 각각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어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되는 각각의 서비스를 이용 가능하도록 하는 앱임 - 을 통해 각각 생성된 PKI 인증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서들이 블록체인에 등록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특정 앱에서의 로그인 정보를 이용한 통합 로그인 요청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되면, 인증 지원 서버가, 상기 블록체인을 통해 상기 사용자 인증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증서에 의한 통합 로그인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i) 상기 통합 로그인 상태 확인 결과 통합 로그인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인증 지원 서버가, 상기 블록체인으로부터 상기 로그인 정보에 대응되는 푸쉬 토큰 아이디를 획득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상기 푸쉬 토큰 아이디를 획득하도록 지원하고, 적어도 상기 획득된 상기 푸쉬 토큰 아이디와 검증 확인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확인 요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지원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특정 앱에서 상기 특정 앱에 대응되는 특정 사용자 인증서의 특정 프라이빗키를 이용하여 상기 검증 확인값을 서명한 서명값이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획득되면 상기 서명값을 검증하거나 상기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상기 서명값을 검증하도록 하고, 상기 서명값이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서비스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특정 앱을 통한 상기 특정 앱에 대응되는 특정 서비스의 이용을 가능하도록 지원하며, 상기 블록체인에 상기 통합 로그인 상태를 통합 로그인이 된 상태로 등록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상기 블록체인에 상기 통합 로그인 상태를 통합 로그인이 된 상태로 등록하도록 지원하고, (ii) 상기 통합 로그인 상태 확인 결과 통합 로그인이 되어 있는 경우, 상기 인증 지원 서버가, 상기 서비스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특정 앱을 통한 상기 특정 앱에 대응되는 특정 서비스의 이용을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된 각각의 사용자 인증서들은 상기 다수의 앱 각각에 대응되는 퍼블리키, 사용자 식별 정보, 사용자 단말 식별 정보, 상기 다수의 앱 각각에 대응되는 앱 식별 정보, 상기 다수의 앱 각각에 대응되는 푸쉬 토큰 아이디, 및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로그인 정보는 상기 퍼블릭키,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사용자 단말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인증 지원 서버는, 특정 사용자 인증서의 특정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상기 서명값의 서명에 사용된 서명값의 검증 확인값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서명값의 검증 확인값이 상기 검증 확인값과 일치하는지 비교하여 상기 서명값을 검증하거나 상기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서명값을 검증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이, 제1 앱 - 상기 제1 앱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어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되는 제1 서비스를 이용 가능하도록 하는 앱임 - 을 통해 생성된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 등록 요청 정보를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로 하여금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 등록 요청 정보를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하여금 제1 검증 확인값을 포함하는 제1 서명값 요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1 앱으로 전송되도록 하며, 상기 인증 지원 서버 또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제1 검증 확인값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서명값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제1 앱에 대응되는 상기 제1 PKI 인증서의 제1 프라이빗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검증 확인값을 서명하여 제1 서명값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서명값을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로 하여금 상기 제1 서명값을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하여금 (i) 상기 제1 서명값을 검증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1 서명값을 검증하도록 하고 (ii) 상기 제1 서명값이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면 적어도 상기 제1 PKI 인증서의 제1 퍼블릭키와 인증서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를 블록체인에 등록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를 통해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가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되도록 지원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제2 앱 - 상기 제2 앱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어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되는 제2 서비스를 이용 가능하도록 하는 앱임 - 을 통한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 조회 요청 정보를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하여금 (i)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된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를 확인하도록 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를 통해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된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를 확인하도록 하고 (ii) 적어도 제2 검증 확인값을 포함하는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에 대한 확인 결과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2 앱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2 앱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단계; 및
(c) 상기 인증 지원 서버 또는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에 대한 확인 결과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앱을 통해 상기 제2 검증 확인값을 상기 제1 앱으로 전송하여 상기 제1 앱이 상기 제1 프라이빗키로 상기 제2 검증 확인값을 서명한 제2 서명값을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하여금 (i) 상기 제2 서명값을 검증하도록 하거나 상기 블록체인을 통해 상기 제2 서명값을 검증하도록 하고 (ii) 상기 제2 서명값이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면 검증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1 앱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1 앱으로 전송하도록 하며, 상기 제1 앱을 통해 상기 검증 결과가 획득되면 상기 제1 앱이 상기 검증 결과를 상기 제2 앱으로 전송하도록 하고, 상기 제2 앱이 상기 검증 결과에 대응하여 제2 PKI 인증서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제2 PKI 인증서를 이용한 슬레이브 인증서 등록 요청 정보가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되도록 하거나 상기 서비스 지원 서버를 통해 상기 제2 PKI 인증서를 이용한 슬레이브 인증서 등록 요청 정보를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2 앱으로 제3 검증 확인값을 포함하는 제3 서명값 요청 정보를 전송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전송하도록 하며, 상기 제3 서명값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제2 앱을 통해 상기 제3 검증 확인값을 상기 제2 PKI 인증서의 제2 프라이빗키를 이용하여 서명한 제3 서명값을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하여금 (iii) 상기 제3 서명값을 검증하거나 상기 블록체인을 통해 상기 제3 서명값을 검증하도록 하고 (iv) 상기 제3 서명값이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면 적어도 상기 제2 PKI 인증서의 제2 퍼블릭키와 인증서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 PKI 인증서를 이용한 슬레이브 인증서가 블록체인에 등록되도록 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상기 상기 제2 PKI 인증서를 이용한 슬레이브 인증서를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d)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에 대한 확인 결과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가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어 상기 인증 지원 서버 또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가 등록되지 않은 결과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앱을 통해 생성된 제2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 등록 요청 정보를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로 하여금 상기 제2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 등록 요청 정보를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하여금 제4 검증 확인값을 포함하는 제4 서명값 요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2 앱으로 전송하도록 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2 앱으로 전송되도록 하며, 상기 인증 지원 서버 또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제4 검증 확인값을 포함하는 상기 제4 서명값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제2 앱에 대응되는 상기 제2 PKI 인증서의 제2 프라이빗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4 검증 확인값을 서명하여 제4 서명값을 생성하고, 상기 제4 서명값을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로 하여금 상기 제4 서명값을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하여금 (i) 상기 제4 서명값을 검증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4 서명값을 검증하도록 하고 (ii) 상기 제4 서명값이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면 적어도 상기 제2 PKI 인증서의 제2 퍼블릭키와 인증서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를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를 통해 상기 제2 PKI 인증서를 이용한 상기 마스터 인증서가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되도록 지원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1 앱 또는 상기 제2 앱을 통한 상기 제1 PKI 인증서 또는 상기 제2 PKI 인증서 생성 시, 상기 제1 PKI 인증서의 상기 제1 프라이빗키 또는 상기 제2 PKI 인증서의 상기 제2 프라이빗키로의 접근 허용을 위한 각각의 패스 정보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앱을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에 로그인을 수행하며,
상기 (b) 단계 이전에 상기 제2 앱을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에 로그인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된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 또는 상기 제2 PKI 인증서를 이용한 슬레이브 인증서는 각각, 상기 제1 퍼블릭키 또는 상기 제2 퍼블릭키, 사용자 식별 정보, 사용자 단말 식별 정보, 상기 제1 앱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2 앱 식별 정보, 상기 제1 앱 또는 상기 제2 앱에 대응되는 푸쉬 토큰 아이디, 및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마스터 인증서에 대한 확인 결과 정보로, 상기 블록체인으로부터 확인된 상기 마스터 인증서에 대응하는 제1 앱 아이디, 및 상기 제1 앱으로의 상기 제2 검증 확인값 전송과 상기 제2 검증 확인값에 대한 서명 요청을 위한 URL scheme을 더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이, 다수의 앱 - 상기 다수의 앱 각각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어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되는 각각의 서비스를 이용 가능하도록 하는 앱임 - 을 통해 각각 생성된 PKI 인증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서들이 블록체인에 등록된 상태에서, 특정 앱에서의 로그인 정보를 이용한 통합 로그인 요청 정보를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하여금 상기 블록체인을 통해 상기 사용자 인증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증서에 의한 통합 로그인 상태를 확인하도록 하는 단계; 및
(b) (i) 상기 통합 로그인 상태 확인 결과 통합 로그인이 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될 경우 상기 인증 서버로 하여금 상기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블록체인에서 획득된 푸쉬 토큰 아이디와 검증 확인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확인 요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전송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확인 요청 정보가 상기 인증 지원 서버 또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특정 앱에서 상기 특정 앱에 대응되는 특정 사용자 인증서의 특정 프라이빗키를 이용하여 상기 검증 확인값을 서명한 서명값을 생성하고 상기 서명값을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하여금 (i-1) 상기 서명값을 검증하도록 하거나 상기 블록체인을 통해 상기 서명값을 검증하도록 하여 상기 서명값이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서비스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특정 앱을 통한 상기 특정 앱에 대응되는 특정 서비스의 이용을 가능하게 지원하도록 하고, (i-2) 상기 블록체인에 상기 통합 로그인 상태를 통합 로그인이 된 상태로 등록하도록 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를 통해 상기 블록체인에 상기 통합 로그인 상태를 통합 로그인이 된 상태로 등록하도록 하며, (ii) 상기 통합 로그인 상태 확인 결과 통합 로그인이 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될 경우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특정 앱을 통한 상기 특정 앱에 대응되는 특정 서비스의 이용을 가능하도록 지원하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된 각각의 사용자 인증서들은 상기 다수의 앱 각각에 대응되는 퍼블리키, 사용자 식별 정보, 사용자 단말 식별 정보, 상기 다수의 앱 각각에 대응되는 앱 식별 정보, 상기 다수의 앱 각각에 대응되는 푸쉬 토큰 아이디, 및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로그인 정보는 상기 퍼블릭키,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사용자 단말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을 수행하는 인증 지원 서버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의 제1 앱 - 상기 제1 앱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어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되는 제1 서비스를 이용 가능하도록 하는 앱임 - 을 통해 생성된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 등록 요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부터 획득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제1 앱으로 상기 제1 PKI 인증서의 제1 프라이빗키를 이용하여 제1 검증 확인값을 서명한 제1 서명값을 요청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서명값이 획득되면 상기 제1 서명값을 검증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1 서명값을 검증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제1 서명값이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면 적어도 상기 제1 PKI 인증서의 제1 퍼블릭키와 인증서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가 블록체인에 등록되도록 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를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하도록 지원하는 제1 프로세스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제2 앱 - 상기 제2 앱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어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되는 제2 서비스를 이용 가능하도록 하는 앱임 - 을 통한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 조회 요청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부터 획득되면,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된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를 확인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된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를 확인하도록 지원하며, 적어도 제2 검증 확인값을 포함하는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에 대한 확인 결과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2 앱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에 대한 확인 결과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2 앱으로 전송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제2 앱으로 하여금, 상기 제1 앱을 통해 상기 제2 검증 확인값을 상기 제1 프라이빗키로 서명한 제2 서명값을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제1 앱에게 요청하도록 하는 제2 프로세스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1 앱으로부터 적어도 상기 제2 서명값이 획득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부터 적어도 상기 제2 서명값이 획득되면, 상기 제2 서명값을 검증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2 서명값을 검증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제2 서명값이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면 검증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1 앱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상기 검증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1 앱으로 전송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1 앱으로 하여금 상기 검증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2 앱으로 전송하도록 하며, 상기 검증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2 앱을 통해 생성된 제2 PKI 인증서를 이용한 슬레이브 인증서 등록 요청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부터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2 앱으로 상기 제2 PKI 인증서의 제2 프라이빗키를 이용하여 제3 검증 확인값을 서명한 제3 서명값을 요청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부터 상기 제3 서명값이 획득되면 상기 제3 서명값을 검증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3 서명값을 검증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제3 서명값이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면 적어도 상기 제2 PKI 인증서의 제2 퍼블릭키와 인증서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 PKI 인증서를 이용한 슬레이브 인증서가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되도록 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2 PKI 인증서를 이용한 슬레이브 인증서를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하도록 지원하는 제3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지원 서버.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프로세스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2 앱을 통한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 조회 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된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를 확인한 결과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가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2 앱으로 하여금 상기 제2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 등록 요청 정보를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에 연동되는 타 장치를 통해 상기 제2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 등록 요청 정보가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되도록 하며, 상기 제2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 등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2 앱으로 상기 제2 PKI 인증서의 제2 프라이빗키를 이용하여 제4 검증 확인값을 서명한 제4 서명값을 요청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부터 상기 제4 서명값이 획득되면 상기 제4 서명값을 검증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4 서명값을 검증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제4 서명값이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면 적어도 상기 제2 PKI 인증서의 제2 퍼블릭키와 인증서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가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되도록 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2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를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하도록 지원하는 제4 프로세스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지원 서버.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1 앱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2 앱은 각각 상기 제1 PKI 인증서 또는 상기 제2 PKI 인증서 생성 시, 상기 제1 PKI 인증서의 상기 제1 프라이빗키 또는 상기 제2 PKI 인증서의 상기 제2 프라이빗키로의 접근 허용을 위한 각각의 패스 정보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지원 서버.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PKI 인증서의 상기 제1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서명값 또는 상기 제2 서명값의 서명에 사용된 제1 서명값의 검증 확인값 또는 제2 서명값의 검증 확인값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제1 서명값의 검증 확인값 또는 상기 제2 서명값의 검증 확인값이 상기 제1 검증 확인값 또는 상기 제2 검증 확인값과 일치하는지 비교하여 상기 제1 서명값 또는 상기 제2 서명값을 검증하거나 상기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상기 제1 서명값 또는 상기 제2 서명값을 검증하도록 지원하며,
상기 제2 PKI 인증서의 상기 제2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3 서명값의 서명에 사용된 제3 서명값의 검증 확인값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제3 서명값의 검증 확인값이 상기 제3 검증 확인값과 일치하는지 비교하여 상기 제3 서명값을 검증하거나 상기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상기 제3 서명값을 검증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지원 서버.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된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 또는 상기 제2 PKI 인증서를 이용한 슬레이브 인증서는 각각, 상기 제1 퍼블릭키 또는 상기 제2 퍼블릭키, 사용자 식별 정보, 사용자 단말 식별 정보, 상기 제1 앱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2 앱 식별 정보, 상기 제1 앱 또는 상기 제2 앱에 대응되는 푸쉬 토큰 아이디, 및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지원 서버.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프로세스에서, 상기 블록체인으로부터 확인된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에 대응하는 제1 앱 아이디, 및 상기 제1 앱으로의 상기 제2 검증 확인값 전송과 상기 제2 검증 확인값에 대한 서명 요청을 위한 URL scheme을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에 대한 확인 결과 정보에 더 포함하여 상기 제2 앱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전송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지원 서버. -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을 수행하는 인증 지원 서버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의 다수의 앱 - 상기 다수의 앱 각각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어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되는 각각의 서비스를 이용 가능하도록 하는 앱임 - 을 통해 각각 생성된 PKI 인증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서들이 블록체인에 등록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특정 앱에서의 로그인 정보를 이용한 통합 로그인 요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통신부; 및
상기 블록체인을 통해 상기 사용자 인증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증서에 의한 통합 로그인 상태를 확인하는 제1 프로세스와, (i) 상기 통합 로그인 상태 확인 결과 통합 로그인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블록체인으로부터 상기 로그인 정보에 대응되는 푸쉬 토큰 아이디를 획득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상기 푸쉬 토큰 아이디를 획득하도록 지원하고, 적어도 상기 획득된 상기 푸쉬 토큰 아이디와 검증 확인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확인 요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지원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특정 앱에서 상기 특정 앱에 대응되는 특정 사용자 인증서의 특정 프라이빗키를 이용하여 상기 검증 확인값을 서명한 서명값이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획득되면 상기 서명값을 검증하거나 상기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상기 서명값을 검증하도록 하고, 상기 서명값이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서비스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특정 앱을 통한 상기 특정 앱에 대응되는 특정 서비스의 이용을 가능하도록 지원하며, 상기 블록체인에 상기 통합 로그인 상태를 통합 로그인이 된 상태로 등록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상기 블록체인에 상기 통합 로그인 상태를 통합 로그인이 된 상태로 등록하도록 지원하고, (ii) 상기 통합 로그인 상태 확인 결과 통합 로그인이 되어 있는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특정 앱을 통한 상기 특정 앱에 대응되는 특정 서비스의 이용을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제2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지원 서버.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된 각각의 사용자 인증서들은 상기 다수의 앱 각각에 대응되는 퍼블리키, 사용자 식별 정보, 사용자 단말 식별 정보, 상기 다수의 앱 각각에 대응되는 앱 식별 정보, 상기 다수의 앱 각각에 대응되는 푸쉬 토큰 아이디, 및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로그인 정보는 상기 퍼블릭키,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사용자 단말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지원 서버.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프로세스에서,
특정 사용자 인증서의 특정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상기 서명값의 서명에 사용된 서명값의 검증 확인값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서명값의 검증 확인값이 상기 검증 확인값과 일치하는지 비교하여 상기 서명값을 검증하거나 상기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서명값을 검증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지원 서버. -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제1 앱 - 상기 제1 앱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어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되는 제1 서비스를 이용 가능하도록 하는 앱임 - 을 통해 생성된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 등록 요청 정보를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로 하여금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 등록 요청 정보를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하여금 제1 검증 확인값을 포함하는 제1 서명값 요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1 앱으로 전송되도록 하며, 상기 인증 지원 서버 또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제1 검증 확인값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서명값 요청 정보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1 서명값 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앱에 대응되는 상기 제1 PKI 인증서의 제1 프라이빗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검증 확인값을 서명하여 제1 서명값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서명값을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로 하여금 상기 제1 서명값을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하여금 (i) 상기 제1 서명값을 검증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1 서명값을 검증하도록 하고 (ii) 상기 제1 서명값이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면 적어도 상기 제1 PKI 인증서의 제1 퍼블릭키와 인증서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를 블록체인에 등록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를 통해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가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되도록 지원하는 제1 프로세스와, 제2 앱 - 상기 제2 앱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어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되는 제2 서비스를 이용 가능하도록 하는 앱임 - 을 통한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 조회 요청 정보를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하여금 (i)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된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를 확인하도록 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를 통해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된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를 확인하도록 하고 (ii) 적어도 제2 검증 확인값을 포함하는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에 대한 확인 결과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2 앱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2 앱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제2 프로세스와, 상기 인증 지원 서버 또는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에 대한 확인 결과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앱을 통해 상기 제2 검증 확인값을 상기 제1 앱으로 전송하여 상기 제1 앱이 상기 제1 프라이빗키로 상기 제2 검증 확인값을 서명한 제2 서명값을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하여금 (i) 상기 제2 서명값을 검증하도록 하거나 상기 블록체인을 통해 상기 제2 서명값을 검증하도록 하고 (ii) 상기 제2 서명값이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면 검증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1 앱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1 앱으로 전송하도록 하며, 상기 제1 앱을 통해 상기 검증 결과가 획득되면 상기 제1 앱이 상기 검증 결과를 상기 제2 앱으로 전송하도록 하고, 상기 제2 앱이 상기 검증 결과에 대응하여 제2 PKI 인증서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제2 PKI 인증서를 이용한 슬레이브 인증서 등록 요청 정보가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되도록 하거나 상기 서비스 지원 서버를 통해 상기 제2 PKI 인증서를 이용한 슬레이브 인증서 등록 요청 정보를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2 앱으로 제3 검증 확인값을 포함하는 제3 서명값 요청 정보를 전송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전송하도록 하며, 상기 제3 서명값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제2 앱을 통해 상기 제3 검증 확인값을 상기 제2 PKI 인증서의 제2 프라이빗키를 이용하여 서명한 제3 서명값을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하여금 (iii) 상기 제3 서명값을 검증하거나 상기 블록체인을 통해 상기 제3 서명값을 검증하도록 하고 (iv) 상기 제3 서명값이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면 적어도 상기 제2 PKI 인증서의 제2 퍼블릭키와 인증서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 PKI 인증서를 이용한 슬레이브 인증서가 블록체인에 등록되도록 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상기 상기 제2 PKI 인증서를 이용한 슬레이브 인증서를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하도록 하는 제3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프로세스에서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에 대한 확인 결과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가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어 상기 인증 지원 서버 또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가 등록되지 않은 결과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제2 앱을 통해 생성된 제2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 등록 요청 정보를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로 하여금 상기 제2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 등록 요청 정보를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하여금 제4 검증 확인값을 포함하는 제4 서명값 요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2 앱으로 전송하도록 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2 앱으로 전송되도록 하며, 상기 인증 지원 서버 또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제4 검증 확인값을 포함하는 상기 제4 서명값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제2 앱에 대응되는 상기 제2 PKI 인증서의 제2 프라이빗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4 검증 확인값을 서명하여 제4 서명값을 생성하고, 상기 제4 서명값을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로 하여금 상기 제4 서명값을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하여금 (i) 상기 제4 서명값을 검증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4 서명값을 검증하도록 하고 (ii) 상기 제4 서명값이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면 적어도 상기 제2 PKI 인증서의 제2 퍼블릭키와 인증서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를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를 통해 상기 제2 PKI 인증서를 이용한 상기 마스터 인증서가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되도록 지원하는 제4 프로세스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앱 또는 상기 제2 앱을 통한 상기 제1 PKI 인증서 또는 상기 제2 PKI 인증서 생성 시, 상기 제1 PKI 인증서의 상기 제1 프라이빗키 또는 상기 제2 PKI 인증서의 상기 제2 프라이빗키로의 접근 허용을 위한 각각의 패스 정보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앱 또는 상기 제2 앱을 통한 상기 제1 PKI 인증서 또는 상기 제2 PKI 인증서 생성 이전에, 상기 제1 앱을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에 로그인을 수행하며,
상기 제2 프로세스 이전에 상기 제2 앱을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에 로그인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된 상기 제1 PKI 인증서를 이용한 마스터 인증서 또는 상기 제2 PKI 인증서를 이용한 슬레이브 인증서는 각각, 상기 제1 퍼블릭키 또는 상기 제2 퍼블릭키, 사용자 식별 정보, 사용자 단말 식별 정보, 상기 제1 앱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2 앱 식별 정보, 상기 제1 앱 또는 상기 제2 앱에 대응되는 푸쉬 토큰 아이디, 및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3 프로세스에서,
상기 마스터 인증서에 대한 확인 결과 정보로, 상기 블록체인으로부터 확인된 상기 마스터 인증서에 대응하는 제1 앱 아이디, 및 상기 제1 앱으로의 상기 제2 검증 확인값 전송과 상기 제2 검증 확인값에 대한 서명 요청을 위한 URL scheme을 더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다수의 앱 - 상기 다수의 앱 각각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어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되는 각각의 서비스를 이용 가능하도록 하는 앱임 - 을 통해 각각 생성된 PKI 인증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서들이 블록체인에 등록된 상태에서, 특정 앱에서의 로그인 정보를 이용한 통합 로그인 요청 정보를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하여금 상기 블록체인을 통해 상기 사용자 인증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증서에 의한 통합 로그인 상태를 확인하도록 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합 로그인 상태 확인 결과 통합 로그인이 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될 경우 상기 인증 서버로 하여금 상기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블록체인에서 획득된 푸쉬 토큰 아이디와 검증 확인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확인 요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전송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확인 요청 정보가 상기 인증 지원 서버 또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되면, 상기 특정 앱에서 상기 특정 앱에 대응되는 특정 사용자 인증서의 특정 프라이빗키를 이용하여 상기 검증 확인값을 서명한 서명값을 생성하고 상기 서명값을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하여금 (i-1) 상기 서명값을 검증하도록 하거나 상기 블록체인을 통해 상기 서명값을 검증하도록 하여 상기 서명값이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서비스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특정 앱을 통한 상기 특정 앱에 대응되는 특정 서비스의 이용을 가능하게 지원하도록 하고, (i-2) 상기 블록체인에 상기 통합 로그인 상태를 통합 로그인이 된 상태로 등록하도록 하거나 상기 인증 지원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를 통해 상기 블록체인에 상기 통합 로그인 상태를 통합 로그인이 된 상태로 등록하도록 하는 제1 프로세스와, 상기 통합 로그인 상태 확인 결과 통합 로그인이 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될 경우 상기 인증 지원 서버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특정 앱을 통한 상기 특정 앱에 대응되는 특정 서비스의 이용을 가능하도록 지원하게 하는 제2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된 각각의 사용자 인증서들은 상기 다수의 앱 각각에 대응되는 퍼블리키, 사용자 식별 정보, 사용자 단말 식별 정보, 상기 다수의 앱 각각에 대응되는 앱 식별 정보, 상기 다수의 앱 각각에 대응되는 푸쉬 토큰 아이디, 및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로그인 정보는 상기 퍼블릭키,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사용자 단말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9789A KR20200062098A (ko) | 2020-05-19 | 2020-05-19 |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9789A KR20200062098A (ko) | 2020-05-19 | 2020-05-19 |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37111A Division KR102216285B1 (ko) | 2018-03-30 | 2018-03-30 |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62098A true KR20200062098A (ko) | 2020-06-03 |
Family
ID=71087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59789A KR20200062098A (ko) | 2020-05-19 | 2020-05-19 |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062098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733127A (zh) * | 2021-01-13 | 2021-04-30 | 杭州甘道智能科技有限公司 | 一种基于区块链的双向认证方法及系统 |
-
2020
- 2020-05-19 KR KR1020200059789A patent/KR2020006209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733127A (zh) * | 2021-01-13 | 2021-04-30 | 杭州甘道智能科技有限公司 | 一种基于区块链的双向认证方法及系统 |
CN112733127B (zh) * | 2021-01-13 | 2024-02-20 | 杭州甘道智能科技有限公司 | 一种基于区块链的双向认证方法及系统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81600B1 (ko) |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 |
KR102254499B1 (ko) | 블록체인 기반의 권한 인증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 |
KR102252086B1 (ko) | 블록체인 기반의 권한 인증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 |
KR102192370B1 (ko) | 블록체인 기반의 권한 인증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 |
KR102116235B1 (ko) |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아이덴티티를 관리하는 방법 및 서버, 그리고,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사용자 아이덴티티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법 및 단말 | |
KR102118962B1 (ko) |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아이덴티티를 관리하는 방법 및 서버, 그리고,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사용자 아이덴티티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법 및 단말 | |
KR20210095093A (ko) | 탈중앙화 아이디 앱을 이용하여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탈중앙화 아이디 인증 서버 | |
KR102118935B1 (ko) |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아이덴티티를 관리하는 방법 및 서버, 그리고,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사용자 아이덴티티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법 및 단말 | |
KR102372503B1 (ko) | 탈중앙화 아이디 앱을 이용하여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탈중앙화 아이디 인증 서버 | |
KR102216292B1 (ko) |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 |
KR102118947B1 (ko) |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아이덴티티를 관리하는 방법 및 서버, 그리고,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사용자 아이덴티티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법 및 단말 | |
Riad et al. | A blockchain‐based key‐revocation access control for open banking | |
KR20200043320A (ko) |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 |
KR20200062100A (ko) |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 |
KR102216285B1 (ko) |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 |
KR102216305B1 (ko) |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 |
KR102181601B1 (ko) |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 |
KR20200083396A (ko) |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아이덴티티를 관리하는 방법 및 서버, 그리고,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사용자 아이덴티티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법 및 단말 | |
KR102353808B1 (ko) |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 |
KR20200062098A (ko) |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 |
KR20200110118A (ko) |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아이덴티티를 관리하는 방법 및 서버, 그리고,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사용자 아이덴티티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법 및 단말 | |
KR20200083178A (ko) |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아이덴티티를 관리하는 방법 및 서버, 그리고,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사용자 아이덴티티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법 및 단말 | |
KR20200043321A (ko) |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 |
KR20200112770A (ko) | 블록체인 기반의 권한 인증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 |
KR20200112771A (ko) | 블록체인 기반의 권한 인증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