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1957A - 차량용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1957A
KR20200061957A KR1020180147835A KR20180147835A KR20200061957A KR 20200061957 A KR20200061957 A KR 20200061957A KR 1020180147835 A KR1020180147835 A KR 1020180147835A KR 20180147835 A KR20180147835 A KR 20180147835A KR 20200061957 A KR20200061957 A KR 20200061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mage
image sensor
driving speed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진
오현구
Original Assignee
해성옵틱스(주)
오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성옵틱스(주), 오현구 filed Critical 해성옵틱스(주)
Priority to KR1020180147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1957A/ko
Publication of KR20200061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9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60W2420/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차량용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영상 표시 장치는차량의 양측 후방의 영상을 촬영하는 사이드 이미지 센서; 차량의 주행속도를 검출하는 주행속도 검출부; 사이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사이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촬영된 영상 중 주행속도 검출부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주행속도에 설정된 이미지 센서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로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좌우측에 설치된 이미지 센서에서 차량 양측 후방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중 차량의 주행속도에 설정된 이미지 센서 영역의 크기를 조절하고 조절된 이미지 센서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차량용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좌/우측에 하나씩 설치되어 있는 아웃사이드 리어 뷰 미러(out-side rear view mirror, 이하 사이드 미러라고 함)는 차량의 주행중에 차선을 바꾸거나 주차 또는 후진 등을 할 경우 운전자가 자동차의 좌/우측 후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운전자는 사각 지대에 위치한 자동차의 유무를 확인한 다음, 후방 차량과의 간격이 충분히 확보되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비로소 차선을 변경하거나 또는 주차 공간으로의 진입을 수행하게 된다.
자동차의 운전석 근처에 설치되어 있는 인사이드 리어 뷰 미러(in-side rear view mirror, 이하 룸미러라고 함)로서, 운전자가 자동차의 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운전자가 차선을 변경하거나 주차를 수행하기 위해 후방을 주시하거나 후진할 경우 좌/우측의 사이드미러와 룸미러를 함께 계속 보아야 하므로 전방에 대한 감시가 소홀하거나 시야를 수시로 바꾸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사이드 미러와 룸미러를 통해 자동차의 후면 상황을 파악할 때 사각 지역이 있기 때문에 주차시 또는 후진시 충돌의 위험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차량의 좌우측 각각에 고해상도 이미지 센서를 설치하여 좌우 후방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차량 실내의 디스플레이 기기로 표시하고 있다. 그러나, 고해상도 이미지 센서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는 16MB 이상으로써 디스플레이 기기가 해당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표시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8-0108024호(2018.10.04)호의 '차량의 사이드 영상 제공용 카메라 모듈'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차량의 좌우측에 설치된 이미지 센서에서 차량의 양측 후방을 촬영하고, 차량의 주행속도에 따라 이미지 센서 영역의 크기를 조절한 후, 촬영된 영상 중 조절된 이미지 센서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차량용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영상 표시 장치는 차량의 양측 후방의 영상을 촬영하는 사이드 이미지 센서; 차량의 주행속도를 검출하는 주행속도 검출부; 상기 사이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사이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촬영된 영상 중 상기 주행속도 검출부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주행속도에 설정된 이미지 센서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속도 검출부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주행속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속도 검출부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주행속도에 기 설정된 이미지 센서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사이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촬영된 영상 중 검출된 이미지 센서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을 검출한 후, 검출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속도 검출부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주행속도가 제1 설정속도 이하이면 전체 이미지 센서 영역 중 기 설정된 제1 설정 영역 이상으로 증가시키고, 차량의 주행속도가 제2 설정 속도 이상이면 전체 이미지 센서 영역 중 기 설정된 제2 설정 영역 이하로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사이드 이미지 센서는 차량의 좌측 후방의 영상을 촬영하는 좌측 이미지 센서 및 차량의 우측 후방의 영상을 촬영하는 우측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화면 영역을 분할하고 분할된 영역 각각으로 상기 좌측 이미지 센서와 상기 우측 이미지 센서에 의해 각각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영상 표시 방법은 사이드 이미지 센서가 차량의 양측 후방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주행속도 검출부가 차량의 주행속도를 검출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사이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촬영된 영상 중 상기 주행속도 검출부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주행속도에 설정된 이미지 센서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속도 검출부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주행속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속도 검출부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주행속도에 기 설정된 이미지 센서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사이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촬영된 영상 중 검출된 이미지 센서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을 검출한 후, 검출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속도 검출부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주행속도가 제1 설정속도 이하이면 전체 이미지 센서 영역 중 기 설정된 제1 설정 영역 이상으로 증가시키고, 차량의 주행속도가 제2 설정 속도 이상이면 전체 이미지 센서 영역 중 기 설정된 제2 설정 영역 이하로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화면 영역을 분할하고 분할된 영역 각각으로 상기 좌측 이미지 센서와 상기 우측 이미지 센서에 의해 각각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은 차량의 좌우측에 설치된 이미지 센서에서 차량의 양측 후방을 촬영하고, 차량의 주행속도에 따라 이미지 센서 영역의 크기를 조절한 후, 촬영된 영상 중 조절된 이미지 센서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용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은 차량의 주행속도가 저속일 경우에는 이미지 센서 영역을 증가시키고 반면에 차량의 주행속도가 고속일 경우에는 이미지 센서 영역을 감소시켜 운전자에게 차량의 주행속도에 적합한 양측 후방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용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은 전체 영상 중 차량의 주행속도에 설정된 이미지 센서 영역의 영상만을 출력하여 차량의 주행속도가 고속일 경우에도 양측 후방 영상을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영상 표시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속도에 따른 이미지 센서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을 분할하여 좌측 후방 영상과 우측 후방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을 분할하여 좌측 후방 영상과 우측 후방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영상 표시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이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영상 표시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속도에 따른 이미지 센서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을 분할하여 좌측 후방 영상과 우측 후방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을 분할하여 좌측 후방 영상과 우측 후방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영상 표시 장치는 사이드 이미지 센서(20), 주행속도 검출부(30), 디스플레이부(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사이드 이미지 센서(20)는 차량 양측 후방의 영상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제어부(50)에 입력한다. 사이드 이미지 센서(20)로는 2Mega Pixel 이상의 고해상도 이미지 센서가 채용될 수 있다.
사이드 이미지 센서(20)는 좌측 이미지 센서(21) 및 우측 이미지 센서(22)를 포함한다.
좌측 이미지 센서(21)는 차량의 좌측에 설치되어 차량의 좌측 후방의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좌측 후방의 영상을 제어부(50)에 입력한다.
우측 이미지 센서(22)는 차량의 우측에 설치되어 차량의 우측 후방의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우측 후방의 영상을 제어부(50)에 입력한다.
좌측 이미지 센서(21)와 우측 이미지 센서(22)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일 예로 16MB 이상의 고화질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좌측 이미지 센서(21)와 우측 이미지 센서(22)의 설치 위치는 차량의 좌측 후방의 영상 및 우측 후방의 영상을 촬영하는 위치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상 설치위치는 A필러 하단인 기존의 거울형 사이드 미러 위치에 설치되거나, 펜더 중간에 설치되는 위치(구형 차량의 깜빡이등 위치), 또는 후드(본넷) 끝단에 설치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차량의 좌우 측면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곳이면 설치가 가능하다.
주행속도 검출부(30)는 차량의 주행속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차량의 주행속도를 제어부(50)에 입력한다.
주행속도 검출부(30)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이나 클러스터, 휠 센서 및 크랭크각 센서 등으로부터 차량의 주행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주행속도 검출부(30)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부(40)는 사이드 이미지 센서(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부(40)는 좌측 이미지 센서(21)에 의해 촬영된 좌측 후방 영상과 우측 이미지 센서(22)에 의해 촬영된 우측 후방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이들 중 어느 하나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0)는 좌측 이미지 센서(21)에 의해 촬영된 좌측 후방 영상과 우측 이미지 센서(22)에 의해 촬영된 우측 후방 영상을 순차적으로 교번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0)는 차량 실내에 설치된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기기가 채용되거나 또는 차량의 대시보드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0)는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40)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좌측 이미지 센서(21)에 의해 촬영된 좌측 후방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다른 하나는 우측 이미지 센서(22)에 의해 촬영된 우측 후방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또 다른 하나는 상기한 좌측 후방 영상과 우측 후방 영상을 하나의 화면 내에서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순차적으로 교번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0)의 설치 위치는 운전자가 차량 실내에서 해당 영상을 인지할 수 있는 위치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50)는 차량의 좌우측에 설치된 사이드 이미지 센서(20)에서 차량의 양측 후방의 영상을 촬영하고, 사이드 이미지 센서(20)에 의해 촬영된 영상 중 주행속도 검출부(30)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주행속도에 설정된 이미지 센서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40)로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할 수 있다.
즉, 제어부(50)는 좌측 이미지 센서(21)를 이용하여 차량의 좌측 후방 영상을 촬영하고 우측 이미지 센서(22)를 이용하여 우측 후방 영상을 촬영한다.
이때, 제어부(50)는 주행속도 검출부(30)를 제어하여 차량의 주행속도를 검출한다.
주행속도 검출부(30)에 의해 차량의 주행속도가 검출됨에 따라, 제어부(50)는 차량의 주행속도에 설정된 사이드 이미지 센서(20)의 이미지 센서 영역을 검출하고, 전체 영상 중 상기한 검출된 이미지 센서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40)로 디스플레이한다.
통상적으로, 차량의 사이드 이미지 센서(20)의 영상은 상기한 바와 같이 16MB 이상의 고화질의 영상 데이터이다.
제어부(50)에는 차량의 주행속도별로 이미지 센서 영역이 사전에 설정되는데, 제어부(50)는 주행속도 검출부(30)에 의해 검출된 차량의 주행속도에 설정된 이미지 센서 영역을 검출하고, 전체 영상 중 검출된 이미지 센서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을 검출한 후, 검출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40)로 디스플레이한다.
이 경우, 이미지 센서 영역은 차량의 주행속도에 따라 설정되는 바, 도 2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주행속도가 저속일 경우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되고, 도 2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속도가 고속일 경우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의 주행속도가 제1 설정속도 이하, 예컨데 30km/h 이하이면 이미지 센서 영역을 전체 이미지 센서 영역 중 기 설정된 제1 설정 영역 이상으로 증가시키고, 차량의 주행속도가 제2 설정속도 이상, 예컨데 70km/h 이상이면 이미지 센서 영역을 전체 이미지 센서 영역 중 기 설정된 제2 설정 영역 이하로 감소시킨다.
제1 설정 영역은 전체 이미지 센서 영역 중 80%의 이미지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미지 센서의 초광각 렌즈모듈의 90도 이상의 영상이 제공될 수 있다.
제2 설정 영역은 전체 이미지 센서 영역 중 50%의 이미지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미지 센서의 초광각 렌즈모듈의 90도 이하의 영상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좌측 이미지 센서(21)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우측 이미지 센서(22)에 의해 촬영된 영상 각각에 대해 차량의 주행속도에 대응되는 이미지 센서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40)로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이들 좌측 이미지 센서(21)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우측 이미지 센서(22)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40)의 화면 영역에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어느 하나만을 화면 영역 전체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개의 디스플레이부(40)가 구비되면, 제어부(50)는 해당 디스플레이부(40)로 좌측 이미지 센서(21)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우측 이미지 센서(22)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40)의 화면 영역에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어느 하나만을 화면 영역 전체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0)가 복수 개가 구비되면, 제어부(50)는 이들 디스플레이부(4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좌측 이미지 센서(21)에 의해 촬영된 좌측 후방 영상을 화면 영역 전체로 디스플레이하고, 다른 하나로 우측 이미지 센서(22)에 의해 촬영된 우측 후방 영상을 화면 영역 전체로 디스플레이하며, 또 다른 하나로 좌측 후방 영상과 우측 후방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순차적으로 교번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 에는 1개의 디스플레이부(40)를 통해 좌측 이미지 센서(21)에서 촬영된 좌측 후방 영상과 우측 이미지 센서(22)에 의해 촬영된 우측 후방 영상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즉, 제어부(50)는 디스플레이부(40)의 전체 화면 영역을 분할하고 분할된 영역 각각으로 좌측 후방 영상과 우측 후방 영상을 각각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영상 표시 방법을 도 5 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영상 표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50)는 좌측 이미지 센서(21)를 이용하여 차량의 좌측 후방 영상을 촬영하고 우측 이미지 센서(22)를 이용하여 우측 후방 영상을 촬영한다(S10).
이때, 제어부(50)는 주행속도 검출부(30)를 제어하여 차량의 주행속도를 검출한다(S20).
좌측 이미지 센서(21)와 우측 이미지 센서(22) 각각에 의해 좌측 후방 영상과 우측 후방 영상이 촬영되고 주행속도 검출부(30)에 의해 차량의 주행속도가 검출됨에 따라, 제어부(50)는 좌측 이미지 센서(21)와 우측 이미지 센서(22) 각각에 의해 각각 촬영된 좌측 후방 영상과 우측 후방 영상 각각에 대해 주행속도 검출부(30)에 의해 검출된 차량의 주행속도에 대응되는 이미지 센서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이미지 센서 영역의 영상을 검출한다(S30). 이 경우, 좌측 이미지 센서(21)와 우측 이미지 센서(22) 각각에 의해 촬영된 좌측 후방 영상과 우측 후방 영상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만 이미지 센서 영역을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차량의 주행속도에 대응되는 이미지 센서 영역에 설정된 영상을 검출됨에 따라, 제어부(50)는 해당 영상을 디스플레이부(40)로 디스플레이한다(S40).
이 경우, 제어부(50)는 차량의 주행속도가 제1 설정속도 이하이면 이미지 센서 영역을 전체 이미지 센서 영역 중 기 설정된 제1 설정 영역 이상으로 증가시키고, 차량의 주행속도가 제2 설정속도 이상이면 이미지 센서 영역을 전체 이미지 센서 영역 중 기 설정된 제2 설정 영역 이하로 감소시킨다.
아울러, 제어부(50)는 좌측 이미지 센서(21)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우측 이미지 센서(22)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40)의 화면 영역에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어느 하나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표시 장치는 차량의 좌우측에 설치된 이미지 센서에서 차량 후방을 촬영하고, 차량의 주행속도에 따라 이미지 센서 영역의 크기를 조절한 후, 촬영된 영상 중 조절된 이미지 센서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표시 장치는 차량의 주행속도가 저속일 경우에는 이미지 센서 영역을 증가시키고 반면에 차량의 주행속도가 고속일 경우에는 이미지 센서 영역을 감소시켜 운전자에게 차량의 주행속도에 적합한 양측 후방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표시 장치는 전체 영상 중 차량의 주행속도에 설정된 이미지 센서 영역의 영상만을 출력하여 차량의 주행속도가 고속일 경우에도 양측 후방 영상을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20: 사이드 이미지 센서
21: 좌측 이미지 센서
22: 우측 이미지 센서
30: 주행속도 검출부
40: 디스플레이부
50: 제어부

Claims (11)

  1. 차량의 양측 후방의 영상을 촬영하는 사이드 이미지 센서;
    차량의 주행속도를 검출하는 주행속도 검출부;
    상기 사이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사이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촬영된 영상 중 상기 주행속도 검출부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주행속도에 설정된 이미지 센서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영상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속도 검출부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주행속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영상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속도 검출부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주행속도에 기 설정된 이미지 센서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사이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촬영된 영상 중 검출된 이미지 센서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을 검출한 후, 검출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영상 표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속도 검출부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주행속도가 제1 설정속도 이하이면 전체 이미지 센서 영역 중 기 설정된 제1 설정 영역 이상으로 증가시키고, 차량의 주행속도가 제2 설정 속도 이상이면 전체 이미지 센서 영역 중 기 설정된 제2 설정 영역 이하로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영상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이미지 센서는
    차량의 좌측 후방의 영상을 촬영하는 좌측 이미지 센서 및 차량의 우측 후방의 영상을 촬영하는 우측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영상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화면 영역을 분할하고 분할된 영역 각각으로 상기 좌측 이미지 센서와 상기 우측 이미지 센서에 의해 각각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영상 표시 장치.
  7. 사이드 이미지 센서가 차량의 양측 후방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주행속도 검출부가 차량의 주행속도를 검출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사이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촬영된 영상 중 상기 주행속도 검출부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주행속도에 설정된 이미지 센서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영상 표시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속도 검출부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주행속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영상 표시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속도 검출부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주행속도에 기 설정된 이미지 센서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사이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촬영된 영상 중 검출된 이미지 센서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을 검출한 후, 검출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영상 표시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속도 검출부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주행속도가 제1 설정속도 이하이면 전체 이미지 센서 영역 중 기 설정된 제1 설정 영역 이상으로 증가시키고, 차량의 주행속도가 제2 설정 속도 이상이면 전체 이미지 센서 영역 중 기 설정된 제2 설정 영역 이하로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영상 표시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화면 영역을 분할하고 분할된 영역 각각으로 상기 좌측 이미지 센서와 상기 우측 이미지 센서에 의해 각각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영상 표시 방법.
KR1020180147835A 2018-11-26 2018-11-26 차량용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2000619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835A KR20200061957A (ko) 2018-11-26 2018-11-26 차량용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835A KR20200061957A (ko) 2018-11-26 2018-11-26 차량용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957A true KR20200061957A (ko) 2020-06-03

Family

ID=71087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835A KR20200061957A (ko) 2018-11-26 2018-11-26 차량용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195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07995B2 (en) Vehicular display system with multi-paned image display
US11505123B2 (en) Vehicular camera monitoring system with stereographic display
US11577645B2 (en) Vehicular vision system with image manipulation
US10029621B2 (en) Rear view camera system using rear view mirror location
US10183621B2 (en) Vehicular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vehicular image processing system
US11310461B2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system, and display system
US8305204B2 (en) Vehicle surrounding confirmation apparatus
US20140350834A1 (en) Vehicle vision system using kinematic model of vehicle motion
EP3493537B1 (en) Vehicle display control device, vehicle display system, vehicl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0917330B1 (ko) 차량의 탑뷰 모니터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77309A (ko) 차량의 후방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CN110226326B (zh) 用于检测车辆的周围环境区域的摄像设备及方法
US20200039435A1 (en) Onboard camera system for eliminating a-pillar blind areas of a mobile vehicl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JP4798576B2 (ja) 付着物検出装置
US8384779B2 (en) Display device for vehicle
US20220408062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20200061957A (ko) 차량용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190062055A (ko) 차량 측 전방 사각 영역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JP5245471B2 (ja) 撮像装置、並びに、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6855254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方法
KR20210108003A (ko) 탑뷰 제공 장치
KR101517130B1 (ko) 차량의 주행 안전 시스템
JP2019094055A (ja) 車両撮像システム
EP3315366B1 (en) Imaging and display device for vehicle and recording medium
JP6586972B2 (ja) 車両用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