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1788A - 독거노인을 위한 응급안전 센서등 - Google Patents

독거노인을 위한 응급안전 센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1788A
KR20200061788A KR1020180147484A KR20180147484A KR20200061788A KR 20200061788 A KR20200061788 A KR 20200061788A KR 1020180147484 A KR1020180147484 A KR 1020180147484A KR 20180147484 A KR20180147484 A KR 20180147484A KR 20200061788 A KR20200061788 A KR 20200061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sensor
living alone
elderly liv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9841B1 (ko
Inventor
정대원
Original Assignee
(주)에스티와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티와이드 filed Critical (주)에스티와이드
Priority to KR1020180147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841B1/ko
Publication of KR20200061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08B21/043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detecting an emergency event, e.g. a fal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08B21/0423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detecting deviation from an expected pattern of behaviour or schedu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76Cameras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video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관에 설치되어 자동으로 점등하는 센서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독거노인을 위한 응급안전 센서등은 현관의 천정에 설치되는 독거노인을 위한 응급안전 센서등에 있어서, 상기 현관에 빛을 발산하는 복수의 LED가 실장된 LED기판, 상기 LED기판이 수용되는 등케이스, 상기 LED기판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LED기판을 통해 발산하는 빛을 확산시켜 제공하는 확산커버, 상기 등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LED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등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현관을 지나는 신체를 감지하는 신체감지센서, 상기 현관의 실내측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기초로 응급상황을 판단하는 응급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 및 상기 LED를 온 또는 오프하도록 제어하는 센서컨트롤러, 상기 비상판단부에서 응급상황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센서컨트롤러에 저장된 영상과 응급신호를 상기 센서컨트롤러에서 제공받아 인터넷망으로 발신하는 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비상판단부에 응급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외부로 응급상황을 알리도록 상기 응급신호를 상기 무선통신모듈로 무선통신하여 제공하는 응급발신기를 포함한다. 따라서, 독거노인의 응급상황을 명확히 파악하여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Description

독거노인을 위한 응급안전 센서등{A sensor light for emergency safety}
본 발명은 현관에 설치되어 자동으로 점등하는 센서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관에는 야간에 어둠을 밝히기 위해 현관등이 설치되는데, 현관을 출입할 때, 일일히 현관등을 켜고, 끄기가 번거롭기 때문에 근래에는 사람이 지나면, 감지하여 현관등을 점등하는 센서등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센서등은 사람을 감지하여 감지센서가 설치되기 때문에 최근에는 센서등이 단순히 불을 켜고 끄는 기능만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을 감지하는 기능을 이용하여 다양한 센서등이 개발되고 있다.
일례로 종래의 센서등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31659호(2012.3.28.공고)의 "방범장치가 일체화된 현관등"이 개시된 바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방범장치가 일체화된 현관등은 센서부, 실내조명, 카메라부, 메모리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어린이, 독거노인 등의 노약층이 거주하는 세대에 발생한 비상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출입자가 인식하지 못한 상태로 선명한 출입자의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출입자가 방범장치에 대응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방범장치가 일체화된 현관등은 적외선 센서에 의해 사람을 감지하기 때문에 반려동물이 지나도 사람으로 판단하여 오동작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만으로 출입자의 외출과 복귀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카메라에 촬영된 영상만으로 비상상황의 파악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일반적으로 송출할 뿐, 인터넷망을 통해 접근하여 확인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외출 또는 복귀 시 일일히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현관문을 잠그거나 열어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응급상황의 발생 시 집안으로 진입하기 위해 잠금장치를 해제하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어 응급구조의 시간이 지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람의 감지를 명확히 하여 오작동을 최소화하고, 현관의 출입을 명확히 판단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터넷망을 통해서 촬영된 영상을 관리 및 용이하게 접근하여 현재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독거노인을 위한 응급안전 센서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독거노인의 상태를 명확히 파악하여 응급상황을 외부에 알릴 수 있으며, 응급 시 잠금장치를 작동시켜 응급시간이 지체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독거노인을 위한 응급안전 센서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독거노인을 위한 응급안전 센서등은 현관의 천정에 설치되는 독거노인을 위한 응급안전 센서등에 있어서, 상기 현관에 빛을 발산하는 복수의 LED가 실장된 LED기판, 상기 LED기판이 수용되는 등케이스, 상기 LED기판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LED기판을 통해 발산하는 빛을 확산시켜 제공하는 확산커버, 상기 등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LED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등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현관을 지나는 신체를 감지하는 신체감지센서, 상기 현관의 실내측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기초로 응급상황을 판단하는 응급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 및 상기 LED를 온 또는 오프하도록 제어하는 센서컨트롤러, 상기 비상판단부에서 응급상황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센서컨트롤러에 저장된 영상과 응급신호를 상기 센서컨트롤러에서 제공받아 인터넷망으로 발신하는 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비상판단부에 응급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외부로 응급상황을 알리도록 상기 응급신호를 상기 무선통신모듈로 무선통신하여 제공하는 응급발신기를 포함한다.
상기 신체감지센서는 상기 등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신체를 감지하는 제1 감지센서, 및 상기 등케이스의 타측에 설치되어 신체를 감지하는 제2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컨트롤러는 상기 제1 감지센서와 상기 제2 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순서에 따라 상기 현관의 출입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현관의 천정 높이에 따라 상기 제1 감지센서와 상기 제2 감지센서의 신체감지 범위가 중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등케이스에서 상기 제1 감지센서와 상기 제2 감지센서의 이격되는 거리를 조절하는 이격거리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격거리조절부는 상기 등케이스의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등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감지센서가 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 랙기어가 형성된 제1 센서랙바, 상기 등케이스의 타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등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감지센서가 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 랙기어가 형성된 제2 센서랙바, 및 상기 제1 센서랙바와 상기 제2 센서랙바 중 어느 하나를 슬라이딩 이동할 때, 함께 연동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상기 제1 센서랙바와 상기 제2 센서랙바의 사이에 설치되어 각 랙기어와 맞물리는 연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급발신기는 독거노인의 신체에 접촉되는 웨어러블 기기이며, 상기 독거노인의 신체에 접촉되어 심박을 측정하는 심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응급판단부는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과 상기 심박센서에서 제공되는 심박신호를 기초로 응급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확산커버는 상기 확산커버의 외측면의 둘레에 무늬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무선통신모듈로 신호를 수발신하도록 도체로 인쇄된 안테나패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산커버는 상기 안테나패턴부가 형성된 면과 반대방향의 면에 설치되어 상기 안테나패턴부로 수발신되는 신호를 집중시키는 신호반사면을 갖는 신호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모듈과 통신하여 상기 현관을 개폐하는 도어의 잠금 또는 잠금을 해제하는 도어락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락장치는 상기 무선통신모듈에서 응급신호의 발생 시 상기 도어락장치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에 의해 사람과 반려동물을 구별하여 실내등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센서컨트롤러에 접근이 가능하여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관람 및 관리하여 응급상황을 보다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의 사각지대에서 응급상황의 발생 시 독거노인이 응급발신기를 통해 응급신호를 발생하여 신속한 응급상황의 대처가 가능하며, 응급발신기에서 심장박동 수를 측정하여 독거노인의 상태에 따라 응급신호를 발생시켜 신속한 응급상황의 대처가 가능하다.
또한, 출입 시 제1 감지센서와 제2 감지센서가 현관의 출입상태를 파악하고, 도어락장치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도어락장치의 작동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응급상황의 발생 시 도어락장치가 현관문의 잠금을 자동으로 해제하여 실내에 진입에 지체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센서등의 설치위치에 따라 제1 감지센서와 제2 감지센서의 거리조절이 가능하여 감지범위의 중첩으로 인한 오작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확산판에 안테나패턴부가 형성되어 응급신호의 수발신을 보다 명확히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독거노인을 위한 안전응급 센서등을 도시한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독거노인을 위한 안전응급 센서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독거노인을 위한 안전응급 센서등을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독거노인을 위한 안전응급 센서등의 응급발신기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독거노인을 위한 안전응급 센서등을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독거노인을 위한 안전응급 센서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독거노인을 위한 안전응급 센서등의 이격거리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독거노인을 위한 안전응급 센서등의 확산판을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독거노인을 위한 안전응급 센서등의 도어락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독거노인을 위한 안전응급 센서등의 응급발신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거노인을 위한 응급안전 센서등(100)은 LED기판(121)을 포함할 수 있다.
LED기판(121)은 빛을 발산할 수 있다.
한편, LED기판(121)은 인쇄회로기판에 복수 개의 LED(121)를 실장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LED기판(121)은 하부를 향해 빛을 조사하도록 저면에 LED(121)가 실장될 수 있다.
그리고, LED기판(121)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LED(121)는 하나의 색상만을 발광하도록 모두 동일한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LED(121)이거나, 선택적으로 원하는 색상을 발광하도록 여러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LED(121)가 혼합된 형태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독거노인을 위한 응급안전 센서등(100)은 등케이스(110)를 포함할 수 있다.
등케이스(110)는 LED기판(121)을 내부에 설치할 수 있으며, 등케이스(110)의 저면에는 LED기판(121)에서 조사되는 빛이 외부로 발산되는 발산공(111)이 관통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등케이스(110)는 LED기판(121)이 수용되는 기판수용공간과 센서컨트롤러(150)가 설치되는 컨트롤러공간으로 구획되어 LED기판(121)에서 발생하는 열이 센서컨틀롤러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기판수용공간과 컨트롤러공간은 등케이스(110)의 상하로 구획되거나, 좌우로 구획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등케이스(110)의 상면이 천정에 부착되는 형태로 독거노인을 위한 응급안전 센서등(100)을 천정에 볼트 또는 앙카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직착하거나, 브래킷을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독거노인을 위한 응급안전 센서등(100)은 확산커버(1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확산커버(115)는 등케이스(110)의 발산공(111)에 설치되어 LED기판(121)에서 조사되는 빛을 확산시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LED(121)는 특성상 점광원의 형태의 빛을 발산하기 때문에 확산커버(115)는 점광원의 빛을 확산시켜 전체적으로 균일한 빛을 제공할 수 있다.
확산커버(115)는 내면에 광학적으로 빛을 분산시키는 확산패턴이 형성되거나, 흰색의 반투명한 커버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독거노인을 위한 응급안전 센서등(100)은 전원공급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전원공급부(160)는 등케이스(110)의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전원공급부(160)는 LED기판(121)에서 빛을 조사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컨트롤러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60)는 안정기(SMPS)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원공급부(160)는 LED기판(121)과 하기에 설명될 센서컨트롤러(150)로 공급되는 전압이 서로 다를 경우, 서로 다른 전압의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독거노인을 위한 응급안전 센서등(100)은 신체감지센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신체감지센서(130)는 현관을 지나는 독거노인의 신체를 감지하여 LED기판(121)의 LED(121)를 점등시킬 수 있다.
한편, 신체감지센서(130)는 신체를 열에 의해 감지하는 열센서, 또는 초음파에 의해 감지하는 초음파센서 또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적외선센서 또는 레이져에 의한 거리차에 따라 감지하는 라이다센서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신체감지센서(130)는 신체를 감지하면 신체감지신호를 발생하고, 센서컨트롤러(150)로 보내 센서컨트롤러(150)에서 LED기판(121)에 전원을 공급하여 LED(121)를 점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독거노인을 위한 응급안전 센서등(100)은 조도감지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조도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조도감지센서는 신체감지센서(130)에서 신체를 감지하더라도 주변의 조도에 따라 LED(121)가 점등되지 않도록 센서컨트롤러(150)로 조도에 따른 조도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조도감지센서는 낮에는 LED(121)를 점등하지 않더라도 물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조도가 미리 설정된 조도보다 높을 경우, 신체감지센서(130)가 신체를 감지하더라도 LED(121)를 점등하지 않도록 조도신호를 발생하며, 밤과 같이 미리 설정된 조도보다 낮을 경우, 신체감지센서(130)가 신체를 감지하면 LED(121)를 점등하도록 조도신호를 센서컨트롤러(15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독거노인을 위한 응급안전 센서등(100)은 카메라(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카메라(140)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140)는 현관에서 실내측을 촬영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카메라(14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촬영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등케이스(11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140)는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하기에 설명될 센서컨트롤러(150)로 제공할 수 있다.
카메라(140)는 독거노인의 응급상황 또는 애완동물임을 판단하기 위한 판단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카메라(140)로 촬영된 영상은 사진과 같은 정지영상 또는 움직이는 동영상일 수 있다.
카메라(140)는 CMOS, CCD소자에 의해 디지털 영상으로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센서컨트롤러(15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독거노인을 위한 응급안전 센서등(100)은 센서컨트롤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센서컨트롤러(150)는 LED기판(121)에서 LED(121)가 점등하거나, 카메라(140)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거나, 카메라(140)에 촬영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센서컨트롤러(150)는 아두노이드, 라즈베리파이 등의 소형 컴푸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liux 또는 windows 같은 OS가 설치되고, OS에 의해 공지된 언어들로 짜여진 프로그래밍에 의해 LED기판(121)을 점동시키거나, 응급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컨트롤러(150)는 신체감지센서(130)에서 신체가 감지되면, 조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조도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조도보다 낮은 경우, LED(121)를 점등시키고, 조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조도신호가 미리 설정된 조도보다 높은 경우, LED(121)를 점등시키지 않도록 프로그래밍하여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센서컨트롤러(150)는 저장매체(151)를 포함하여, 카메라(140)에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매체(151)는 하드디스크, SD메모리카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컨트롤러(150)는 RTC(real time computer,153)를 포함하여 실시간의 시간 정보를 카메라(140)에서 촬영된 영상에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센서컨트롤러(150)는 촬영된 영상을 기초로 신체 또는 반려동물을 판단하거나, 독거노인의 비상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컨트롤러(150)는 촬영된 영상에서 독거노인의 신체를 트래킹하여 신체가 일정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으면, 비상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촬영된 영상을 트래킹하여 반려동물이 촬영되면, 반려동물에 의해서는 LED(121)가 점등되지 않도록 판단할 수 있다.
영상에서 독거노인의 신체 또는 반려동물을 트래킹하는 기술은 공지된 영상 추적 기법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센서컨트롤러(150)는 카메라(140)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서 응급상황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응급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센서컨트롤러(150)에는 스피커(152)가 연결되어 비상신호의 발생시 스피커(152)에서 응급상황의 발생을 알리는 알림음이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컨트롤러(150)는 응급신호의 발생시 하기에 설명될 무선통신모듈(155)로 응급신호를 전달할 수 있으며, LED기판(121)에서 응급상황을 알리도록 예컨대, 빨강색상의 LED(121)를 점등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독거노인을 위한 응급안전 센서등(100)은 무선통신모듈(155)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무선통신모듈(155)은 인터넷망과 연결되어 응급상황의 발생시 응급신호를 외부로 발신할 수 있다.
한편, 무선통신모듈(155)은 근거리 통신망인 WI-FI, ZiGBEE, Bluetooth 등의 통신방법에 의해 외부로 통신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모듈(155)은 인터넷망을 통해 LTE 라우터(180)와 연결되어 응급상황의 발생 시 응급구조기관(소방서) 또는 미리 입력된 비상연락처로 비상상황의 발생을 알릴 수 있다.
이때, 응급구조기관 또는 미리 입력된 비상연락처로 비상상황을 알릴 때, 저장매체(151)에 저장된 영상 또는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을 함께 전송하여 응급구조기관 또는 비상연락처에서 현재의 상황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무선통신모듈(155)은 응급신호를 발신할 뿐만 아니라, 센서컨트롤러(15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센서컨트롤러(150)를 제어할 수도 있으며, 외부에서 인터넷망을 통해 센서컨트롤러(150)에 접속하여 센서컨트롤러(150)의 저장매체(151)에 저장된 영상을 시청하거나 관리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독거노인을 위한 응급안전 센서등(100)은 응급발신기(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응급발신기(170)는 응급상황이 발생하여 독거노인이 응급스위치(171)를 누를 경우, 응급신호가 발신되고, 무선통신모듈(155)이 응급신호를 수신하여 센서컨트롤러(150)로 전송하고, 센서컨트롤러(150)는 카메라(140)에서 판단된 응급신호와는 별개로 응급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응급상황을 무선통신모듈(155)를 통해 알리거나, 스피커(152), 및 LED(121)에서 다른 색상의 빛을 발광시켜 응급상황을 알릴 수 있다.
한편, 응급발신기(170)에는 무선통신모듈(155)과 동일한 통신방법에 의해 통신하는 응급발신모듈(173)이 설치되어 무선통신모듈(155)과 무선으로 응급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응급발신기(170)는 응급발신모듈(173)을 작동하기 위한 배터리(175)가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독거노인을 위한 응급안전 센서등(100)은 현관의 천장에 설치되고, 현관을 독거노인이 지날 때, 신체감지센서(130)가 감지하고, 감지된 감지신호를 센서컨트롤러(150)로 제공하면, 센서컨트롤러(150)는 LED기판(121)의 LED(121)를 점등한다.
이때, 센서컨트롤러(150)는 신체감지센서(130)에서 감지된 감지신호 뿐만 아니라, 조도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조도신호 및, 카메라(140)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참고하여 LED(121)의 점등여부를 결정한다.
예컨대, 신체감지센서(130)가 신체를 감지한 경우, 조도감지센서에서 제공되는 조도신호가 미리 설정된 조도보다 낮고, 카메라(140)에서 촬영되는 영상에서 반려동물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LED(121)를 점등하고, 신체감지센서(130)에서 신체를 감지한 경우라도, 조도감지센서에서 제공되는 조도신호가 미리 설정된 조도보다 높으면, 카메라(140)에서 촬영된 영상과는 무관하게 센서컨트롤러(150)는 LED(121)를 점등하지 않는다.
이와 동시에 카메라(140)는 실내측을 실시간으로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센서컨트롤러(150)로 제공하고, 센서컨트롤러(150)는 저장매체(151)에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센서컨트롤러(150)는 촬영된 영상에서 독거노인의 신체를 트래킹하고, 트래킹한 신체를 추적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신체가 움직이지 않는 경우, 응급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응급신호를 발생하여 무선컨트롤러를 통해 인터넷망으로 전송하고, 인터넷망에서는 LTE 라우터(180)를 통해 응급구조기관 또는 비상연락처로 연락한다.
이때, 응급신호가 발생되면, 스피커(152)와 LED(121)에서 응급신호를 출력하거나, 응급신호에 따른 색깔의 빛을 발광하여 응급구조기관 또는 비상연락처 뿐만 아니라, 주변에 응급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한편, 센서컨트롤러(150)에서 카메라(140)에 의한 응급상황을 판단하지 않더라도, 독거노인이 직접 응급발신기(170)의 응급스위치(171)를 누르면, 응급발신기(170)에서 응급신호를 무선통신모듈(155)로 전송하고, 센서컨트롤러(150)는 카메라(140)에 의해 응급상황이 발생되었다는 판단과 동일하게 응급신호를 무선통신모듈(155)을 통해 발신하여 응급구조기관 또는 비상연락처로 응급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독거노인을 위한 응급안전 센서등(100)은 독거노인의 움직임을 파악하여 응급상황을 판단하고, 응급발신기(170)를 통해 응급상황의 발생을 외부에 알려, 신속한 응급처치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40)를 통해 독거노인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으며, 카메라(140)에 의해 현재상태의 영상을 응급구조기관 또는 비상연락처로 함께 전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려동물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모듈(155)에 의해 무선으로 통신하여 유선설치가 필요가 없어 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독거노인을 위한 응급안전 센서등(100)을 설명하도록 한다.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병기하고, 동일한 구성은 작용과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독거노인을 위한 응급안전 센서등(100)은 신체감지센서(130), 확산커버(115'), 및 응급발신기(170')에 특징이 있으며, 도어락장치(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독거노인을 위한 응급안전 센서등(100)의 신체감지센서(130)는 제1 감지센서(131)와 제2 감지센서(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센서(131)는 등케이스(110)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2 감지센서(133)는 등케이스(110)의 타측에 설치되어 독거노인의 출입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감지센서(131)가 제2 감지센서(133)보다 현관문에 가깝게 위치된 상태에서 제1 감지센서(131)가 신체를 감지한 후, 제2 감지센서(133)에서 신체가 감지되면, 독거노인이 외부에서 실내로 들어온 것으로 판단하고, 제2 감지센서(133)가 신체를 먼저 감지한 후, 제1 감지센서(131)에서 신체를 감지하면, 독거노인이 외출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독거노인을 위한 응급안전 센서등(100)은 이격거리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이격거리조절부는 제1 감지센서(131)와 제2 감지센서(133)의 감지범위가 겹쳐 신체의 감지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제1 감지센서(131)와 제2 신쳉감지센서의 이격되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축물마다 천정의 높이가 달라지는데, 대게 신체감지센서(13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감지 범위가 넓어지기 때문에 천정의 높이에 따라 제1 감지센서(131)와 제2 감지센서(133)의 감지범위가 중첩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이격거리조절부는 제1 감지센서(131)와 제2 감지센서(133)의 감지범위가 중첩되지 않도록 제1 감지센서(131)와 제2 감지센서(133)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격거리조절부는 제1 센서랙바(132)와 제2 센서랙바(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랙바(132)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측면에는 랙기어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센서랙바(132)의 끝단에는 제1 감지센서(131)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센서랙바(134)는 제1 센서랙바(132)와 나란하게 등케이스(110)에 관통 설치될 수 있으며, 제2 센서랙바(134)는 제1 센서랙바(132)와 마찬가지로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측면에는 랙기어가 형성되 수 있다.
제2 센서랙바(134)의 끝단에는 제2 감지센서(133)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센서랙바(132)와 제2 센서랙바(134)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에 랙기어가 위치되며, 제1 감지센서(131)와 제2 감지센서(133)는 서로 대향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센서랙바(134)와 제1 센서랙바(132)의 사이에는 연동기어(135)가 설치되어 제1 센서랙바(132)의 랙기어와 제2 센서랙바(134)의 랙기어가 연동기어(135)의 양측에 서로 맞물릴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격거리조절부는 제1 감지센서(131)를 등케이스(110)에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연동기어(135)가 회전하여 제2 감지센서(133)도 제1 감지센서(131)와 함께 슬라이딩이동하여 제1 감지센서(131)와 제2 감지센서(133)의 거리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형태로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독거노인을 위한 응급안전 센서등(100)의 확산커버(115')은 무선통신모듈(155)이 신호의 수발신성을 향상시키도록 안테나패턴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패턴부(116)는 확산커버(115')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저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안테나패턴부(116)는 도체를 확산커버(115')에 인쇄하는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안테나패턴부(116)는 확산커버(115')의 저면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통신모듈(155)이 2.4Ghz를 이용하는 WI-FI 또는 bluthtooth 통신을 수행할 경우, 안테나패턴부(116)는 마치 Bi-quad 안테나와 같이, 가로 26mm 세로 28.5mm의 마름모 형상으로 연속되도록 확산커버(115')의 저면 둘레를 따라 예컨대, 구리와 같은 도체를 확산커버(115')에 인쇄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안테나패턴부(116)는 마름모가 연속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안테나의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확산커버(115')에 무늬가 형성된 것과 같은 미감을 부여할 수 있다.
한편, 확산커버(115')은 등케이스(110)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본체케이스에 걸쳐지는 걸침부(115a')가 형성될 수 있으며, 걸침부(115a')에는 안테나패턴부(116)와 무선통신모듈(155)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115b')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걸침부(115a')가 걸쳐져 접속단자(115b')와 접촉되는 본체케이스의 부분에는 무선통신모듈(155)의 안테나와 연결될 부분에서 연장되어 접속단자(115b')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모듈단자(155a)가 설치되어 확산커버(115') 등케이스(110)에 끼우기만 하면, 안테나패턴부(116)와 무선통신모듈(155)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안테나패턴부(116)를 통해 무선통신모듈(155)의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확산커버(115')의 상면에는 안테나패턴부(116)로 무선통신모듈(155)과 통신하는 신호가 용이하게 수신될 수 있도록 안테나패턴부(116)의 후방을 가리는 신호커버(117)가 설치될 수 있다.
신호커버(117)는 안테나패턴부(116)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안테나패턴부(116)로 전달되는 신호가 반사되어 안테나패턴부(116)로 집중되도록 안테나패턴부(116)의 둘레를 따라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신호커버(117)는 신호를 용이하게 반사하여 안테나패턴부(116)로 집중할 수 있도록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독거노인을 위한 응급안전 센서등(100)은 도어락장치(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도어락장치(190)는 현관을 개폐하는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를 개방하지 못하도록 잠그거나, 도어를 개방하도록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도어락장치(190)는 전기적으로 구동모터(193)에 의해 전기적으로 걸쇠(191)를 출몰시키는 디지털도어락장치(190)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어락장치(190)는 구동모터(193)를 작동시키는 배터리(197)와 무선통신모듈(155)로부터 개폐신호를 전달받아 잠금과 잠금의 해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무선통신모듈(155)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개폐통신모듈(195)이 설치될 수 있다.
개폐통신모듈(195)은 도어락장치(190)를 구동하는 배터리(197)로 작동할 수 있으며, 개폐통신모듈(195)은 신체감지센서(130)에서 신체가 감지된 경우, 센서컨트롤러(150)에서 무선통신모듈(155)을 통해 개폐신호를 발신하고, 개폐통신모듈(195)이 개폐신호를 수신하여 도어락장치(190)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감지센서(131)에서 신체를 감지 후 제2 감지센서(133)에서 신체가 감지되면, 센서컨트롤러(150)는 독거노인이 집에 들어온 것으로 판단하고, 폐쇄신호를 무선통신모듈(155)을 통해 발신하면, 개폐통신모듈(195)이 이를 수신하여 도어락장치(190)가 도어를 잠그도록 작동시킨다.
반면, 제2 감지센서(133)가 신체를 감지 후 제1 감지센서(131)에서 신체가 감지되면, 센서컨트롤러(150)는 독거노인이 외출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개방신호를 무선통신모듈(155)을 통해 발신하면, 도어락장치(190)가 수신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작동시키는 형태로 독거노인이 도어락장치(190)를 직접 작동시키지 않아도 출입에 따라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개폐통신모듈(195)은 센서컨트롤러(150)에서 응급신호를 발생 시 응급신호를 수신하여 응급요원이 현관을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도 5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독거노인을 위한 응급안전 센서등(100)의 응급발신기(170')는 신체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기기의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응급발신기(170')구는 손목시계 또는 목걸이 또는 발찌, 팔찌 등의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응급발신기(170')는 심박센서(177')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심박센서(177')는 응급발신기(170')를 착용한 독거노인의 심장박동 수를 체크할 수 있다.
한편, 심박센서(177')는 독거노인의 심장박동 수를 체크하고, 응급발신모듈(173')을 통해 발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응급발신모듈(173')을 통해 발신되는 심장박동 수는 무선통신모듈(155)을 통해 센서컨트롤러(150)로 제공되고, 센서컨트롤러(150)는 수신되는 심장박동 수에 따라 독거노인이 응급상황의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장박동 수가 미리 설정된 심장박동 수의 범위보다 작거나 큰 경우, 독거노인의 응급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응급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그리고, 응급발신기(170')에는 독거노인이 직접적으로 응급신호를 발신할 수 있도록 응급스위치(171')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응급발신기(170')에는 심박센서(177'), 및 응급발신모듈(173')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75')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응급발신기(170')에는 스피커가 설치되어 심박센서(177')가 신체에 접촉되지 않은 경우, 예컨대, 응급발신기(170')를 신체에 작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응급발신기(170')를 착용하도록 스피커를 통해 알람을 발생할 수 있다.
이 알람은 응급발신기(170')의 착용을 독려하는 기능과 함께 응급발신기(170')의 위치를 알리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는 응급발신모듈(173')과 무선통신모듈(155)의 접속이 서로 끊어졌을 때, 알람을 발생시켜 무선통신모듈(155)과 응급발신모듈(173')이 접속상태를 유지하도록 경고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응급발신기(170')에는 센서컨트롤러(150)와 연동되는 OTP(one time password)가 내장되어 응급발신기(170')의 OTP에서 생성되는 패스워드를 도어락장치(190)에 입력해야만 도어락장치(190)를 외부에서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물론, 도어락장치(190)에는 외부에서 번호입력방식으로 개방되도록 키패드가 설치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센서컨트롤러(150)에서 응급신호의 발생 시 도어락장치(190)가 응급신호를 수신하여 자동으로 잠겨진 현관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독거노인을 위한 응급안전 센서등(100)은 구별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구별센서는 센서컨트롤러(150)에서 반려동물과 독거노인을 판단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구별센서는 거리측정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거리측정센서는 등케이스(110)에서 현관의 바닥을 향해 거리를 측정하여 센서컨트롤러(150)로 제공하고, 센서컨트롤러(150)는 구별센서에서 제공되는 거리에 따라 카메라(140)에서 촬영되는 영상에 더해 반려동물과 독거노인을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천장에서 바닥까지의 거리가 3m라고 가정하고, 반려동물이 키가 1m 미만일 경우, 센서컨트롤러(150)는 구별센서에서 측정되는 거리가 1cm~ 2m 범위 내에 위치하면, 독거노인이라고 판단하고, 구별센서에서 측정되는 거리가 2m를 초과하면 반려동물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물론, 센서컨트롤러(150)는 구별센서에서 측정되는 거리가 2m를 초과한다고 하더라도, 카메라(140)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독거노인이 촬영되는 경우, 반려동물이 아니라 독거노인이라고 판단하여 LED(121)를 점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독거노인을 위한 응급안전 센서등(100)은 현관을 독거노인이 지날 때, 제1 감지센서(131) 또는 제2 감지센서(133)가 신체를 감지하고, 감지된 감지신호를 센서컨트롤러(150)로 제공하면, 센서컨트롤러(150)는 LED기판(121)의 LED(121)를 점등한다.
이때, 제1 감지센서(131)와 제2 감지센서(133)의 감지 순서에 따라 독거노인이 외출 또는 외출 후 실내로 들어오는 것으로 센서컨트롤러(150)가 판단하여 도어락장치(190)가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개폐신호를 발생하여 도어락장치(190)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감지센서(131)와 제2 감지센서(133)의 감지범위가 중첩될 경우,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제1 감지센서(131) 또는 제2 감지센서(133)를 등케이스(110)에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제1 센서랙바(132)와 제2 센서랙바(134)가 연동기어(135)와 맞물려 상호 거리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형태로 제1 감지센서(131)와 제2 감지센서(133)의 중첩되는 감지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센서컨트롤러(150)는 촬영된 영상에서 독거노인의 신체를 트래킹하고, 트래킹한 신체를 추적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신체가 움직이지 않는 경우, 응급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응급신호를 발생하여 무선컨트롤러를 통해 인터넷망으로 전송하고, 인터넷망에서는 LTE 라우터(180)를 통해 응급구조기관 또는 비상연락처로 연락한다.
이때, 응급신호가 발생되면, 스피커(152)와 LED(121)에서 응급신호를 출력하거나, 응급신호에 따른 색깔의 빛을 발광하여 응급구조기관 또는 비상연락처 뿐만 아니라, 주변에 응급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물론, 독거노인이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움직이지 않으면, 센서컨트롤러(150)는 응급발신기(170')에서 제공되는 심장박동 수를 제공받아 응급상황의 발생을 판단하는 데, 참고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컨트롤러(150)는 촬영된 영상에서 독거노인이 움직이지 않으면, 응급발신기(170')로부터 심장박동 수를 제공받아 심장박동 수가 정상인 경우에는 응급상황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응급신호를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센서컨트롤러(150)에서 카메라(140)에 의한 응급상황을 판단하지 않더라도, 응급발신기(170')의 심박센서(177')에서 제공되는 심장박동 수가 미리 설정된 범위 이하이면, 센서컨트롤러(150)가 응급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독거노인이 직접 응급발신기(170')의 응급스위치(171')를 누르면, 응급발신기(170')에서 응급신호를 무선통신모듈(155)로 전송하고, 센서컨트롤러(150)는 카메라(140)에 의해 응급상황이 발생되었다는 판단과 동일하게 응급신호를 무선통신모듈(155)을 통해 발신하여 응급구조기관 또는 비상연락처로 응급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그리고, 센서컨트롤러(150)에서 응급신호가 발생되어 도어락장치(190)의 개폐통신모듈(195)이 응급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응급요원이 현관을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도어락장치(19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한편, 독거노인이 집안으로 들어오기 위해 응급발신기(170')의 OTP를 작동시키면, 비밀번호가 생성되고, 이 생성된 비밀번호를 도어락장치(190)의 키패드를 통해 입력하면, 도어락장치(190)에서 입력되는 비밀번호와 센서컨트롤러(150)에서 OTP와 연동된 비밀번호가 일치할 경우, 도어락장치(190)가 도어를 개방하도록 함으로써,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응급발신기(170')는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심박센서(177')가 신체에 접촉되지 않으면, 스피커를 통해 알람을 울려 독거노인이 응급발신기(170')를 신체에 착용하도록 독려하거나, 응급발신기(170')가 위치된 장소를 외부에 알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독거노인을 위한 응급안전 센서등(10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독거노인을 위한 응급안전 센서등(100)의 효과에 더 해, 제1 감지센서(131)와 제2 감지센서(133)에 의해 독거노인의 출입을 판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되는 높이에 따라 제1 감지센서(131)와 제2 감지센서(133)의 감지하는 중첩범위를 없애 감지오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감지센서(131)와 제2 감지센서(133)에서 독거노인의 출입을 판단하여 자동으로 도어락장치(190)를 작동시킬 수 있어 도어락장치(190)의 작동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센서컨트롤러(150)에서 응급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도어락장치(190)의 잠금이 해제되어 응급요원이 도어의 잠금으로 인한 실내 진입에 시간의 지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응급발신기(170')에 심박센서(177')가 설치되어 심장박동 수에 따라 정확한 응급상황을 판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응급발신기(170')에 센서컨트롤러(150)와 연동되는 OTP가 설치되어 도어락장치(190)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독거노인을 위한 응급안전 센서등 110: 등케이스
111: 발산공 115,115': 확산커버
115a': 걸침부 115b': 접속단자
116: 안테나패턴부 117: 신호커버
120: LED기판 121:LED
130: 신체감지센서 131: 제1 감지센서
132: 제1 센서랙바 133: 제2 감지센서
134: 제2 센서랙바 135: 연동기어
140: 카메라 150: 센서컨트롤러
151: 저장매체 152: 스피커
153: RTC 155: 무선통신모듈
155a: 모듈단자 160: 전원공급부
170,170': 응급발신기 171, 171': 응급스위치
173, 173': 응급발신모듈 175, 175',197: 배터리
177': 심박센서 180: LTE 라우터
190: 도어락장치 191: 걸쇠
193: 구동모터 195: 개폐통신모듈

Claims (8)

  1. 현관의 천정에 설치되는 독거노인을 위한 응급안전 센서등에 있어서,
    상기 현관에 빛을 발산하는 복수의 LED가 실장된 LED기판,
    상기 LED기판이 수용되는 등케이스,
    상기 LED기판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LED기판을 통해 발산하는 빛을 확산시켜 제공하는 확산커버,
    상기 등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LED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등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현관을 지나는 신체를 감지하는 신체감지센서,
    상기 현관의 실내측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기초로 응급상황을 판단하는 응급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 및 상기 LED를 온 또는 오프하도록 제어하는 센서컨트롤러,
    상기 비상판단부에서 응급상황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센서컨트롤러에 저장된 영상과 응급신호를 상기 센서컨트롤러에서 제공받아 인터넷망으로 발신하는 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비상판단부에 응급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외부로 응급상황을 알리도록 상기 응급신호를 상기 무선통신모듈로 무선통신하여 제공하는 응급발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노인을 위한 응급안전 센서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감지센서는
    상기 등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신체를 감지하는 제1 감지센서, 및 상기 등케이스의 타측에 설치되어 신체를 감지하는 제2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컨트롤러는 상기 제1 감지센서와 상기 제2 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순서에 따라 상기 현관의 출입을 판단하는 출입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노인을 위한 응급안전 센서등.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관의 천정 높이에 따라 상기 제1 감지센서와 상기 제2 감지센서의 신체감지 범위가 중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등케이스에서 상기 제1 감지센서와 상기 제2 감지센서의 이격되는 거리를 조절하는 이격거리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노인을 위한 응급안전 센서등.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거리조절부는
    상기 등케이스의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등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감지센서가 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 랙기어가 형성된 제1 센서랙바,
    상기 등케이스의 타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등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감지센서가 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 랙기어가 형성된 제2 센서랙바, 및
    상기 제1 센서랙바와 상기 제2 센서랙바 중 어느 하나를 슬라이딩 이동할 때, 함께 연동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상기 제1 센서랙바와 상기 제2 센서랙바의 사이에 설치되어 각 랙기어와 맞물리는 연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노인을 위한 응급안전 센서등.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발신기는
    독거노인의 신체에 접촉되는 웨어러블 기기이며, 상기 독거노인의 신체에 접촉되어 심박을 측정하는 심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응급판단부는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과 상기 심박센서에서 제공되는 심박신호를 기초로 응급상황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노인을 위한 응급안전 센서등.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커버는
    상기 확산커버의 외측면의 둘레에 무늬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무선통신모듈로 신호를 수발신하도록 도체로 인쇄된 안테나패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노인을 위한 응급안전 센서등.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커버는
    상기 안테나패턴부가 형성된 면과 반대방향의 면에 설치되어 상기 안테나패턴부로 수발신되는 신호를 집중시키는 신호반사면을 갖는 신호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노인을 위한 응급안전 센서등.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모듈과 통신하여 상기 현관을 개폐하는 도어의 잠금 또는 잠금을 해제하는 도어락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락장치는 상기 무선통신모듈에서 응급신호의 발생 시 상기 도어락장치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노인을 위한 응급안전 센서등.
KR1020180147484A 2018-11-26 2018-11-26 독거노인을 위한 응급안전 센서등 KR102129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484A KR102129841B1 (ko) 2018-11-26 2018-11-26 독거노인을 위한 응급안전 센서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484A KR102129841B1 (ko) 2018-11-26 2018-11-26 독거노인을 위한 응급안전 센서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788A true KR20200061788A (ko) 2020-06-03
KR102129841B1 KR102129841B1 (ko) 2020-07-03

Family

ID=71087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484A KR102129841B1 (ko) 2018-11-26 2018-11-26 독거노인을 위한 응급안전 센서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84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690Y1 (ko) * 2005-02-03 2005-05-06 김종수 생명체의 이동 방향 감시용 지능형 센서
KR20110116675A (ko) * 2010-04-20 2011-10-26 조용성 방범장치가 일체화된 현관등
KR101349513B1 (ko) * 2012-03-20 2014-01-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KR20150061745A (ko) * 2013-11-28 2015-06-05 (주) 임베디드 솔루션 적외선 방식 뎁스 카메라 기반의 독거노인 위급상황 감지 시스템
KR20170061994A (ko) * 2015-11-27 2017-06-07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응급 상황 경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690Y1 (ko) * 2005-02-03 2005-05-06 김종수 생명체의 이동 방향 감시용 지능형 센서
KR20110116675A (ko) * 2010-04-20 2011-10-26 조용성 방범장치가 일체화된 현관등
KR101349513B1 (ko) * 2012-03-20 2014-01-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KR20150061745A (ko) * 2013-11-28 2015-06-05 (주) 임베디드 솔루션 적외선 방식 뎁스 카메라 기반의 독거노인 위급상황 감지 시스템
KR20170061994A (ko) * 2015-11-27 2017-06-07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응급 상황 경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9841B1 (ko) 2020-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4641B2 (en) Smart home-care lighting system
US11442146B2 (en) Side looking occupancy sensor
US10666032B2 (en) Built-in electromechanical equipment for controlling devices in a building
EP3723456A1 (en) An elderly care and security system
CN205535314U (zh) 一种智能消防应急照明灯
TW201724039A (zh) 結合照明裝置多功能的居家監控系統
EP3431870A1 (en) Lighting device for smart residence lighting
US11236896B1 (en) Closed-door night light
KR101732172B1 (ko) Cctv 카메라 일체형 led 등기구
KR102129841B1 (ko) 독거노인을 위한 응급안전 센서등
JP2009080524A (ja) 防犯装置
JP4811312B2 (ja) 熱線式ワイヤレス発信器及びワイヤレス受信器
KR20160095901A (ko) 홈네트워크 시스템과 연동하는 안전창호를 이용한 방범시스템
JP6868290B2 (ja) 多機能ledランプ、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照明範囲監視・警報システム
JP2009235892A (ja) ドア用ロック装置
KR20230046442A (ko) 반려동물 감지용 도어잠금장치
KR100945857B1 (ko) 멀티 소방 피난 유도장치
JP2011138178A (ja) 発光装置、不審者検出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80069158A (ko) 다기능 재실감지센서
JP2010198616A (ja) 警報器
TWM444572U (zh) 智慧型緊急指示照明燈及系統
KR100875065B1 (ko) 도어용 시건장치
KR102026405B1 (ko) 방범용 스마트 램프
KR101321562B1 (ko) 전등스위치 일체형 감시카메라
KR200411099Y1 (ko) 촬상기능을 갖는 센서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