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1765A - 고주파 미용기기 - Google Patents

고주파 미용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1765A
KR20200061765A KR1020180147446A KR20180147446A KR20200061765A KR 20200061765 A KR20200061765 A KR 20200061765A KR 1020180147446 A KR1020180147446 A KR 1020180147446A KR 20180147446 A KR20180147446 A KR 20180147446A KR 20200061765 A KR20200061765 A KR 20200061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high frequency
skin
conductive layer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3164B1 (ko
Inventor
김하영
Original Assignee
김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하영 filed Critical 김하영
Priority to KR1020180147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3164B1/ko
Publication of KR20200061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6Electrodes for high-frequency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61N1/0496Patch electrodes characterised by using specific chemical compositions, e.g. hydrogel compositions, 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02Skin piercing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skin, e.g. facial toning or wrinkle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17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with leads or electrodes penetrat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2037/0007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having means for enhancing the permeation of substances through the epidermis, e.g. using suction or depression, electric or magnetic fields, sound waves or chemic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23Drug applicators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Patholog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주파 미용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에 부착된 팩 형태의 고주파 미용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주파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고주파발생모듈이 설치된 본체와, 상기 고주파발생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고주파발생모듈에서 발생된 고주파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고주파케이블과, 상기 고주파케이블에 결합하며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상기 고주파케이블을 통해 전달된 고주파 전기 신호를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전달하는 패치 부재를 포함하는 고주파 미용기기로서, 상기 패치 부재는, 부도체 시트와, 상기 부도체 시트의 일면에 형성된 전도성 층과, 상기 전도성 층에 부착되는 복수의 용해성 마이크로 니들들과, 상기 전도성 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부도체 시트에 설치되며, 상기 고주파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미용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주파 미용기기{AESTHETIC APPARATUS USING HIGH-FREQUENCY TREATMENT}
본 발명은 고주파 미용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에 부착된 팩 형태의 고주파 미용기기에 관한 것이다.
고주파 미용기기는 고주파 전류를 사용자의 피부에 흘려서 미용 효과를 얻어내는 장치이다. 사용자는 고주파 전류(전기에너지가)가 사용자의 피부로 흘러들어가면서 이에 대한 반응으로 발생한 심부열에 의해 온열감을 느끼게 된다. 그리고 발생한 심부열로 사용자의 신진대사가 촉진되고 혈관이 확장되어 혈액 순환이 원활하게 된다. 또한, 노폐물이 배출되고, 콜라겐의 형성이 촉진되며, 뭉친 근육이 풀어지며, 피부 내 피하지방이 효율적으로 제거되게 하는 등 다양한 효과가 있다. 또한,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모낭의 기능을 활성화시켜 탈모치료에도 효과가 좋다. 특히 피부주름개선에 효과적이다.
등록특허 10-1364445호에는 종래의 고주파 미용기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고주파 미용기기는 시술자가 미용기기의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해드부를 피부에 접촉시키고 지속적으로 문질러 주어야 하므로, 시술자의 팔, 어깨 등에 무리가 가는 등 사용상 불편한 점을 많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등록특허 10-1582777호에는 내부에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고주파발생모듈이 내장된 본체부, 상기 고주파발생모듈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고주파발생모듈에서 발생된 고주파전류를 전달하며 한 쌍으로 구성된 고주파케이블과, 상기 고주파케이블의 측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시술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상기 고주파케이블을 통해 전달된 고주파전류를 상기 시술자의 피부에 공급하며 한 쌍으로 구성된 패치부재를 포함하는 팩형 고주파 미용기기가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 10-1364445호 등록특허 10-1582777호
본 발명은 상술한 팩형 고주파 미용기기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피부에 약물이나 화장품도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고주파 미용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고주파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고주파발생모듈이 설치된 본체와, 상기 고주파발생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고주파발생모듈에서 발생된 고주파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고주파케이블과, 상기 고주파케이블에 결합하며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상기 고주파케이블을 통해 전달된 고주파 전기 신호를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전달하는 패치 부재를 포함하는 고주파 미용기기로서, 상기 패치 부재는, 부도체 시트와, 상기 부도체 시트의 일면에 형성된 전도성 층과, 상기 전도성 층에 부착되는 복수의 용해성 마이크로 니들들과, 상기 전도성 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부도체 시트에 설치되며, 상기 고주파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미용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도성 판에 미세한 바늘 형태의 돌기들이 형성되며, 상기 용해성 마이크로 니들들은 상기 돌기들의 사이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미용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도성 판은 동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미용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도성 판에 코팅되는 하이드로겔을 더 포함하는 고주파 미용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패치 부재에는 상기 부도체 시트와 전도성 층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고주파케이블과 상기 단자부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단자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겹합부와, 상기 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해서 피부를 향해서 빛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는 고주파 미용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미용기기는 패치 부재에 형성된 용해성 마이크로 니들들을 통해서 피부에 약물이나 화장품도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약물이나 화장품을 피부에 직접 바를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매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약물이나 화장품의 피부에 더 효과적으로 흡수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미용기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주파케이블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패치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패치 부재에 고주파케이블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A-A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패치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는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미용기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미용기기는 본체(10), 한 쌍의 고주파케이블(20) 및 한 쌍의 패치 부재(30)를 포함한다.
본체(10)에는 고주파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고주파발생모듈(11)이 설치된다. 고주파발생모듈(11)은 고주파 전류와 같은 고주파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체(10)에는 전원 버튼, 고주파 미용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각종 조절 버튼들과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에는 광원 제어 모듈(12)도 설치된다.
고주파케이블(20)은 본체(10)의 고주파발생모듈(11)과 연결되어 고주파발생모듈(11)에서 발생된 고주파 전기 신호를 패치 부재(3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고주파케이블(20)은 한 쌍으로 구성되며, 고주파케이블(20)의 일단은 본체(10)와 연결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주파케이블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주파케이블(20)의 타단에는 커넥터(25)가 설치된다. 커넥터(25)는 고주파케이블(20)과 패치 부재(30)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커넥터(25)는 몸체(26)와, 한 쌍의 결합부(27)와, 복수의 광원(28)을 포함한다. 몸체(26)의 일측면에는 고주파케이블(20)이 결합된다.
한 쌍의 결합부(27)는 몸체(26)의 일면에 설치된다. 한 쌍의 결합부(27)는 패치 부재(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스냅 단추형 소켓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결합부(27)는 고주파케이블(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각각의 고주파케이블(20)에는 극성이 서로 다른 한 쌍의 전선이 포함되어 있다. 한 쌍의 결합부(27)는 한 쌍의 극성이 다른 전선과 각각 결합된다. 따라서 한 쌍의 결합부(27)는 서로 다른 극성을 띠게 된다.
복수의 광원(28)들은 한 쌍의 결합부(27)가 설치된 몸체(26)의 일면에 설치된다. 광원(28)으로는 예를 들어, 적색 발광다이오드 및/또는 적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광원(28)으로 적색, 청색, 녹색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여 용도에 따라서 다른 색의 빛을 조사할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복수의 광원(28)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결합부(27)를 중심에 두고 결합부(27)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광원(28)들은 본체(10)의 광원 제어 모듈(12)과 도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선은 고주파케이블(20)과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으나, 고주파케이블(20)의 절연 피복 안에 함께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원 제어 모듈(12)은 용도에 따라서 광원(28)의 밝기, 색상, 점멸주기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패치 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패치 부재에 고주파케이블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A-A방향 단면도이다.
패치 부재(30)는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고주파케이블(20)을 통해 전달된 고주파 전기 신호를 사용자의 피부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패치 부재(30)는 피부 치료나 미용의 도움이 되는 약물이나 화장품을 피부에 전달하는 역할도 한다. 또한, 패치 부재(30)는 커넥터(25)에 설치된 광원(28)에서 조사되는 빛을 피부에 전달하는 역할도 한다. 이러한 빛은 피부 치료나 약물 또는 화장품의 피부 전달을 돕는 역할을 한다.
패치 부재(30)는 고주파케이블(20)에 설치된 커넥터(25)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한다.
도 3과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치 부재(30)는 부도체 시트(31)와, 두 조각으로 분리된 전도성 층(32)과, 복수의 용해성 마이크로 니들(33)들과, 한 쌍의 단자부(34)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부도체 시트(31)는 코팅된 종이 또는 플라스틱 필름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도체 시트(31)는 사용자의 볼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부도체 시트(31)의 형태는 부착되는 위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패치 부재가 사용자의 눈가에 부착될 경우에는 부도체 시트가 사용자의 눈가를 아래쪽에서 감싸는 아치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전도성 층(32)은 부도체 시트(31)의 사용자의 피부를 향하는 일면에 형성된다. 전도성 층(32)은 얇은 동판 층일 수 있다. 전도성 층(32)은 대체로 부도체 시트(31)와 동일한 형태이지만 두 개의 조각으로 분리된다. 분리된 두 개의 조각 사이에는 두 개의 조각을 전기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수㎜ 정도의 갭(G)이 형성되어 있다.
용해성 마이크로 니들(33)들은 전도성 층(32)에 부착된다. 용해성 마이크로 니들(33)들은 그 자체가 피부 내에서 용해되는 물질과 약물을 혼합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피부 내에서 용해되는 물질로 형성된 바늘의 내부 공간에 약물이나 화장품이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약물로는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있는 히알루론산, 항염 효과가 있는 판테놀(Panthenol)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용해성 마이크로 니들(33)들은 전기 전도성이 있어서, 고주파케이블(20)을 통해 전도성 층(32)에 전달된 고주파 전기 신호를 사용자의 피부에 전달하는 역할도 한다. 고주파 전류가 사용자의 피부에 흐르면 심부열이 발생하여 피부 주름이 개선된다.
한 쌍의 단자부(34)는 부도체 시트(31)의 전도성 층(32) 반대 면에 설치된다. 한 쌍의 단자부(34)는 전도성 층(32)의 한 쌍의 조각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단자부(34)는 커넥터(25)를 통해서 고주파케이블(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단자부(34)는 커넥터(25)의 스냅 단추형 소켓부에 끼워지는 스냅 단추형 돌기부이다. 한 쌍의 스냅 단추형 돌기부를 한 쌍의 스냅 단추형 소켓부에 끼우는 방법으로 패치 부재(30)와 커넥터(25)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고주파발생모듈(11)에서 발생한 고주파 전기 신호는 고주파케이블(20)을 통해서 커넥터(25)의 스냅 단추형 소켓부에 전달되고, 스탭 단추형 소켓부에 끼워진 스냅 단추형 돌기부에 전달된다. 스냅 단추형 돌기부에 전달된 고주파 전기 신호는 전도성 층(32)에 전달된 후 전도성 층(32)에 형성된 용해성 마이크로 니들(33)들을 통해서 사용자의 피부에 전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도성 층(32)은 갭(G)에 의해서 두 개의 조각으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두 개의 조각이 서로 극성이 다른 단자부(34)에 각각 연결되어도 합선되지 않는다.
또한, 패치 부재(30)에는 복수의 관통 구멍(35)들이 형성된다. 관통 구멍(35)들은 커넥터(25)에 설치된 광원(28)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패치 부재(30)의 단자부(34)와 커넥터(25)가 결합하였을 때, 커넥터(25)에 설치된 광원(28)들에서 조사된 빛이 관통 구멍(35)을 통과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전달될 수 있는 위치에 관통 구멍(35)들이 형성된다. 피부에 전달된 빛은 약물 성분이 피부에 쉽게 흡수되도록 돕는 역할과 피부의 톤을 개선하고, 진피의 치밀도를 개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고주파 미용기기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사용자가 각각의 패치 부재(30)의 한 쌍의 스냅 단추형 돌기부를 각각의 커넥터(25)의 한 쌍의 스탭 단추형 소켓부에 끼우면 한 쌍의 고주파케이블(20)에 한 쌍의 패치 부재(30)가 연결된다.
다음으로, 한 쌍의 패치 부재(30)를 사용자의 눈가 아래나 볼 등 피부관리가 필요한 위치에 부착한다. 이때, 용해성 마이크로 니들(33)들의 첨단부가 사용자의 피부에 침투한다.
다음으로, 본체(10)의 전원 버튼을 누르고 조작 버튼들을 조작하여 원하는 조건으로 설정한 후에 시작 버튼을 누르면 고주파 미용기기가 작동하여, 설정된 조건에 따라서 본체(10)에서 고주파 전기 신호가 발생한다. 또한, 설정된 조건에 따라서 광원(28)도 동작한다.
그러면, 패치 부재(30)의 용해성 마이크로 니들(33)들을 통해서 고주파 전기 신호가 사용자의 피부에 전달된다. 또한, 광원(28)에서 조사된 빛도 관통구멍(35)을 통해서 사용자의 피부에 전달된다. 동시에 용해성 마이크로 니들(33)들이 피부 내에서 용해되면서 유용한 약물을 피부에 전달한다.
도 5는 패치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전도성 판(42)에 미세한 바늘 형태의 돌기(421)들이 형성된다는 점에서 도 3과 4에 도시된 패치 부재(30)와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용해성 마이크로 니들(43)들은 돌기(421)들의 사이사이에 배치된다. 돌기(421)들은 피부에 침투하여 용해성 마이크로 니들(43)들에 의한 약물들이 피부에 좀 더 용이하게 침투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미세한 바늘 형태의 돌기(421)들은 전도성 판(42)을 프레스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도성 판(42)에 하이드로겔(46)이 도포된다. 하이드로겔(46)은 전기전도성이 있어서, 고주파 전기 신호가 피부에 더욱 고르게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하이드로겔(46)은 점착성이 있으므로 패치 부재(40)가 사용자의 피부에 더 쉽게 밀착되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전도성 판(42)의 서로 극성이 다른 분리된 두 개의 부분 사이의 절연성을 유지해야 하므로, 하이드로겔(46)은 전도성 판(42)의 갭(G) 부분에는 도포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본체
20: 고주파케이블
25: 커넥터
30, 40: 패치 부재
31, 41: 부도체 시트
32, 42: 전도성 층
421: 돌기
33, 43: 용해성 마이크로 니들
34, 44: 단자부
35, 45: 관통구멍
46: 하이드로겔

Claims (5)

  1. 고주파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고주파발생모듈이 설치된 본체와, 상기 고주파발생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고주파발생모듈에서 발생된 고주파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고주파케이블과, 상기 고주파케이블에 결합하며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상기 고주파케이블을 통해 전달된 고주파 전기 신호를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전달하는 패치 부재를 포함하는 고주파 미용기기로서,
    상기 패치 부재는,
    부도체 시트와,
    상기 부도체 시트의 일면에 형성된 전도성 층과,
    상기 전도성 층에 부착되는 복수의 용해성 마이크로 니들들과,
    상기 전도성 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부도체 시트에 설치되며, 상기 고주파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미용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판에 미세한 바늘 형태의 돌기들이 형성되며, 상기 용해성 마이크로 니들들은 상기 돌기들의 사이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미용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판은 동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미용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판에 코팅되는 하이드로겔을 더 포함하는 고주파 미용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 부재에는 상기 부도체 시트와 전도성 층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고주파케이블과 상기 단자부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단자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겹합부와, 상기 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해서 피부를 향해서 빛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는 고주파 미용기기.
KR1020180147446A 2018-11-26 2018-11-26 고주파 미용기기 KR102123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446A KR102123164B1 (ko) 2018-11-26 2018-11-26 고주파 미용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446A KR102123164B1 (ko) 2018-11-26 2018-11-26 고주파 미용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765A true KR20200061765A (ko) 2020-06-03
KR102123164B1 KR102123164B1 (ko) 2020-06-15

Family

ID=71081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446A KR102123164B1 (ko) 2018-11-26 2018-11-26 고주파 미용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31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0984A1 (zh) * 2020-12-28 2022-07-07 深圳由莱智能电子有限公司 美容手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0487A (ko) 2021-12-15 2023-06-22 주식회사 아스낙 피부 부착형 고주파 자극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076U (ko) * 1998-04-27 1998-07-25 이경용 지혈용 양극핀셋의 니들구조
KR20100113889A (ko) * 2009-04-14 2010-10-22 (주)바이오제닉스 생리 활성 물질의 경피 전달을 위한 마이크로 니들 장치
KR101364445B1 (ko) 2013-12-20 2014-02-18 주식회사 나리안 고주파 미용기기
KR101582777B1 (ko) 2015-06-25 2016-01-05 김하영 팩형 고주파 미용기기
KR20170040767A (ko) * 2015-10-05 2017-04-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용해성 마이크로니들 마스크 키트
KR20180006132A (ko) * 2016-07-08 2018-01-17 김영선 마이크로니들 전자패치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076U (ko) * 1998-04-27 1998-07-25 이경용 지혈용 양극핀셋의 니들구조
KR20100113889A (ko) * 2009-04-14 2010-10-22 (주)바이오제닉스 생리 활성 물질의 경피 전달을 위한 마이크로 니들 장치
KR101364445B1 (ko) 2013-12-20 2014-02-18 주식회사 나리안 고주파 미용기기
KR101582777B1 (ko) 2015-06-25 2016-01-05 김하영 팩형 고주파 미용기기
KR20170040767A (ko) * 2015-10-05 2017-04-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용해성 마이크로니들 마스크 키트
KR20180006132A (ko) * 2016-07-08 2018-01-17 김영선 마이크로니들 전자패치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0984A1 (zh) * 2020-12-28 2022-07-07 深圳由莱智能电子有限公司 美容手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3164B1 (ko) 202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44385B2 (ja) 個人エステティック皮膚トリートメント用使い捨て可能パッチ
US10188859B2 (en) Portable one-piece therapeutical apparatus with dual heating and low-frequency treatment functions
EP2627400B1 (en) A disposable patch for personal aesthetic skin treatment
KR102073947B1 (ko)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
US20220305275A1 (en) Device and method for unattended treatment of a patient
US20080058915A1 (en) Membrane mask with acupuncture and massage functions and manufacturing methods
KR101571444B1 (ko) 마스크팩을 이용한 휴대용 이온도입 시스템
KR102123164B1 (ko) 고주파 미용기기
US20220134094A1 (en) Skin care device
US20240082576A1 (en) Device and method for unattended treatment of a patient
KR102234264B1 (ko) 저주파 및 고주파 전기 자극을 이용하는 패치형 물리치료기
KR200489160Y1 (ko) 피부 관리 장치
US11896816B2 (en) Device and method for unattended treatment of a patient
KR102241004B1 (ko) 전기적 펄스 인가 장치
US20220266047A1 (en) Skin treatment device for thermotherapy
JP7488615B1 (ja) 美容健康機器
CN220002757U (zh) 一种电刺激光疗保健治疗仪
US20240091547A1 (en) Device and method for unattended treatment of a patient
CN203425032U (zh) 激光脱毛器
US20240181242A1 (en) Device and method for unattended treatment of a patient
US20230241384A1 (en) Device and method for unattended treatment of a patient
US20240024691A1 (en) Device and method for unattended treatment of a patient
US20210370058A1 (en) Mouthpiece for treating skin including insulation layer in impression body acquired in accordance with oral cavity structure of user and skin treating apparatus
KR20240007826A (ko) 개인용 피부 미용 치료를 위한 일회용 패치
KR20180034076A (ko) 피부 관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