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1246A - Olfactory threshold and false-positive self-test device with the methods of olfactory threshold and false-positive self-te - Google Patents

Olfactory threshold and false-positive self-test device with the methods of olfactory threshold and false-positive self-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1246A
KR20200061246A KR1020180146785A KR20180146785A KR20200061246A KR 20200061246 A KR20200061246 A KR 20200061246A KR 1020180146785 A KR1020180146785 A KR 1020180146785A KR 20180146785 A KR20180146785 A KR 20180146785A KR 20200061246 A KR20200061246 A KR 20200061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fragrance
unit
concentration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67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84533B1 (en
Inventor
양형채
송민근
성충만
김미라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180146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4533B1/en
Publication of KR20200061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2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5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for evaluating the sensory system
    • A61B5/4011Evaluating olfaction, i.e. sense of sme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euro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lfactory threshold and false positive self-inspection device and an inspection method. More specifically, provided are the olfactory threshold and false positive self-inspection device that can be used for evaluating an olfactory state of a patient before olfactory training and evaluating treatment results after treatment, and an olfactory threshold and false positive self-inspection method using the device.

Description

후각 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후각 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방법{Olfactory threshold and false-positive self-test device with the methods of olfactory threshold and false-positive self-te} Olfactory threshold and false-positive self-test device with the methods of olfactory threshold and false-positive self-te}

본 발명은 후각 역치 및 위양성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반인 혹은 후각장애 환자의 후각기능검사, 후각장애 판명환자의 훈련 전 후각상태에 대한 평가와 치료 후 치료결과 확인을 위한 평가시 사용될 수 있는 후각 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후각 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lfactory threshold and a false positive test device and an examination method, and more specifically, to evaluate olfactory function of a general or olfactory disorder patient, to evaluate olfactory state before training, and to confirm treatment results after treatment It relates to an olfactory threshold and false positive self-testing device that can be used for evaluation, and an olfactory threshold and false positive self-testing method using the device.

후각은 일상생활에서 삶의 질을 유지하고 생활을 영위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후각을 소실하면 식욕이 감퇴하고 식사량이 줄며 사회생활에 제한을 받게 된다. 현재 후각에 대한 기전 및 후각장애가 오는 원인에 대해서는 부비동질환, 비염, 상기도감염, 외상, 약물, 선천적 원인 등이 있는데, 교통사고나 뇌졸중 등으로 인한 뇌손상 환자나, 노인성 우울증, 치매나 파킨슨 질환 환자들은 가장 먼저 후각에 문제가 생겨서 자신이 일상적으로 맡아왔던 냄새를 구분하지 못한다는 연구가 오래 전부터 발표되어 왔다. 또한, 후각기관의 기능은 치매나 파킨슨 질환, 우울증 등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므로 후각기관의 기능이 퇴화되지 않도록 훈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The sense of smell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maintaining and maintaining quality of life in everyday life. Losing sense of smell reduces appetite, reduces food intake, and limits social life. The causes of olfactory mechanism and olfactory disorders include sinus diseases, rhinitis, upp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trauma, drugs, and congenital causes. Patients with brain damage due to traffic accidents, strokes, etc., patients with senile depression, dementia or Parkinson's disease It has been published for a long time that the first thing they heard was a problem with their sense of smell, so they couldn't distinguish the odor they had in their daily lives. In addition, since the functions of the olfactory organs are closely related to dementia, Parkinson's disease, depression, etc., it is very important to train the function of the olfactory organs so that they do not deteriorate.

한편, 후각이 소실되거나 저후각증으로 호소하는 환자에서 여러 가지 냄새를 번갈아 가면서 지속적, 반복적으로 맡는 연습을 하는 '후각훈련 (Olfactory training)'이 후각 회복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이 hummel 등의 연구에 의해 잘 알려져 있다. 이를 위해서는 환자의 후각훈련 전 후각상태에 대한 평가와 치료 후 치료결과 확인을 위한 평가가 필요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study of hummel and others, the fact that'Olfactory training', a practice of continuously and repeatedly taking various scents alternately in patients with loss of smell or complaining of hypo olfactory syndrome, helps recovery of smell. It is well known by.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patient's sense of smell before olfactory training and to confirm the outcome of treatment after treatment.

현재 임상에서 시행되는 후각역치 검사로는 Korean Version of Sniffin Stick Test(KVSS)와 Butanol Threshold Test(BTT) 등이 이용되고 있다. KVSS는 3개의 펜을 무작위 순으로 맡게 하여 부탄올이 함유된 펜을 찾는 검사로 총 부탄올의 농도를 16단계로 나누어 검사를 시행한다. BTT는 butanol 용액이 담긴 용기와 대조액으로 mineral oil만 담긴 검사용기를 환자에게 제시하여 butanol 용기를 찾도록 하는 검사로 역시 원액에서부터 12단계의 부탄올 희석 용액을 이용하여 검사를 시행한다. Currently, the Korean version of Sniffin Stick Test (KVSS) and Butanol Threshold Test (BTT) are used as tests for olfactory thresholds in clinical practice. KVSS is a test that finds pens containing butanol by placing 3 pens in random order, and performs the test by dividing the total butanol concentration into 16 levels. BTT is a test to find a butanol container by presenting to a patient a container containing butanol solution and a test container containing only mineral oil as a control solution. The test is also conducted using a dilute solution of butanol from step 12 from the original solution.

이러한 역치 검사들은 검사의 시행과 해석이 복잡하여 전문 검사자가 필요하고 또한 여러 반복 검사가 필요하기 때문에 한회 검사시행에 1시간가량의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또한 검사에 필요한 도구 또한 부피가 커서 휴대하기 어렵고, BTT의 경우 용액을 직접 제조해야 하기 때문에 검사의 시행을 위해서는 병원에 방문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검사자나 환자에게 모두에게 많은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다. 이에 좀 더 간편하고 휴대가 가능하며, 검사자없이 자가 검사가 가능하여 환자가 병원을 방문할 필요 없이 어디서나 검사 시행하고 그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검사 장치가 개발될 필요성이 존재한다.These threshold tests require a lot of time for about one hour to perform a single test because a complicated test is required to perform and interpret, and a specialized tester is also required. In addition, the tools necessary for the test are also large and difficult to carry. In the case of BTT,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solution, so it is necessary to visit a hospital for the test. This can cause a lot of discomfort to both the examiner and the patient.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test device that is more convenient and portable, and can perform self-examination without an examiner, so that a patient can perform the examination anywhere and check the results without having to visit the hospital.

특허등록번호 제10-2007-0099100호Patent Registration No. 10-2007-0099100 미국등록특허 제6558322호U.S. Registered Patent No.6558322

본 발명자들은 다수의 연구결과 기 설정된 검사프로토콜에 따라 자동으로 향을 발산시켜 후각역치검사 또는 위양성 검사를 수행하고 검사에서 얻어진 후각검사결과를 외부서버에 전송할 수 있는 후각 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를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The present inventors developed an olfactory threshold and false positive self-inspection device that can automatically carry out olfactory threshold tests or false positive tests by emitting scen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est protocol as a result of a number of studies and transmit the olfactory test results obtained from the tests to an external server. Thus,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후각역치검사를 위해 필요한 부탄올, 임의 향기물질 1 및 2로 구성된 3종류의 향기(odor)를 후각역치검사를 위해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라 일정농도로 조절하여 일정시간동안 발산시킨 후 휴지하는 과정을 자동으로 반복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후각역치검사를 환자가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피 및 암모니아로 구성된 2종류의 향기를 후각위양성검사를 위해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라 토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후각위양성검사 또한 환자가 용이하게 할 수 있어 환자 및/또는 의료진이 현재 환자의 후각상태를 파악하고, 후각훈련을 하는 경우라면 후각훈련으로 인한 치료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구조의 후각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 그 장치를 이용한 후각역치검사방법 및 후각위양성검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djust the concentration of butyl, which is composed of butanol and optional scent substances 1 and 2, which are necessary for the olfactory threshold test, to a certain concentration according to a protocol for olfactory threshold test and radiat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t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repeat the dormant process afterwards, which facilitates the patient's olfactory threshold test, and can also dispense two types of scent consisting of coffee and ammonia according to the protocol set for olfactory false positive test. The olfactory threshold is structured so that the patient and/or medical staff can understand the current olfactory state of the patient, and if it is conducting olfactory training, the olfactory threshold and the structure that can confirm the therapeutic effect due to olfactory training and It is to provide a false positive self-testing device, an olfactory threshold test method using the device, and an olfactory false positive test metho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환자의 후각 상태 파악 및 추가적인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후각검사결과정보를 병원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주치의가 환자들의 후각상태를 파악하여 이후 치료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환자에게 피드백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후각상태를 향상시키기 위한 후각 훈련 등을 격려할 수 있는 구조의 후각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 그 장치를 이용한 후각역치검사방법 및 후각위양성검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not only enable the attending physician to determine the olfactory state of the patients and then plan the treatment by transmitting the olfactory test result information to the hospital server so as to help the patient understand the olfactory state and further treatment, It provides a self-examination device for smell thresholds and false positive structures that can encourage olfactory training to improve a patient's sense of smell by providing feedback information to a patient, an olfactory threshold test method using the device, and an olfactory false positive test method. .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더라도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인식할 수 있는 발명의 목적 역시 당연히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 and even if not explicitly mentioned, the object of the invention that can be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may naturally be included. .

상술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부탄올, 커피 및 암모니아를 포함하는 다수의 향기물질이 저장된 5개 이상의 캡슐부를 포함하는 캡슐유닛; 상기 캡슐유닛을 고정하고 일정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유닛; 상기 캡슐유닛 및 이동유닛이 설치될 수 있는 닫힌 공간을 포함하는 하우징유닛; 상기 하우징유닛에 포함된 닫힌 공간 상면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이동유닛에 의해 일정위치로 이동된 캡슐부에 담긴 향기를 일정시간 토출시키는 향기토출유닛; 및 상기 하우징유닛에 내장되고 상기 캡슐유닛, 이동유닛 및 향기토출유닛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캡슐부에 저장된 향기물질로부터 발산되는 향기의 농도를 가장 약한 농도단계에서 가장 강한 농도단계까지 적어도 5단계 내지 16단계로 구분하고 기 설정된 검사순서에서 정해진 농도로 상기 향기토출유닛을 통해 피검사자가 맡을 수 있는 향기를 토출시키고, 상기 피검사자가 토출된 향기를 맡은 후 선택한 입력정보에 따라 후각역치검사결과정보 및 위양성검사결과정보 중 하나 이상을 생성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psule unit including at least five capsules in which a plurality of aroma substances containing butanol, coffee and ammonia are stored; A moving unit that fixes the capsule unit and moves it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 housing unit including a closed space in which the capsule unit and the mobile unit can be installed; A fragrance discharging unit which is installed to constitute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losed space included in the housing unit and discharges the scent contained in the capsule part mov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by the mobile unit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built-in the housing unit and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capsule unit, the mobile unit, and the fragrance discharging unit to control the concentration of the scent emitted from the scent material stored in the capsule unit from the weakest concentration step to the strongest concentration step at least five steps. It is divided into steps 16 to 16, and discharges the scent that the testee can take through the scent discharging unit at a predetermined concentration in a predetermined test order, smells the discharged scent, and smell olfactory threshold test resul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lected input information and It provides a threshold and false positive self-testing device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t least one of the false positive test result information.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캡슐부는 일정직경 및 일정길이를 갖는 통형 캡슐부재, 상기 캡슐부재의 하면부와 측면부에 형성되는 가열부재 및 상기 캡슐부재내부에 저장되는 고체형 향기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의 제어에 의해 상기 가열부재가 열을 가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캡슐부에 저장된 고체형 향기물질로부터 일정 농도의 향기를 토출시킨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capsule portion includes a cylindrical capsule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a predetermined length, a heating member formed on a lower portion and a side portion of the capsule member, and a solid fragrance material stored in the capsule member, an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 certain concentration of fragrance is discharged from the solid fragrance material stored in the capsule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the heating member applies heat.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캡슐유닛이 6개의 갭슐부를 포함하는 경우, 2개의 캡슐부에는 부탄올이 저장되고, 1개의 캡슐부에는 커피가 저장되며, 1개의 캡슐부에는 암모니아가 저장되고, 2개의 캡슐부에는 임의 향기물질1 및 2가 각각 담겨 있는 것이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when the capsule unit includes six capsules, butanol is stored in two capsules, coffee is stored in one capsule, ammonia is stored in one capsule, and two The capsule part contains arbitrary fragrance substances 1 and 2, respectively.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캡슐유닛에 포함된 다수의 캡슐부의 하부가 삽입고정 되는 다수의 안착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바닥판부 및 상기 바닥판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mobile unit includes a bottom plate portion in which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into which the lower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capsule portions included in the capsule unit are inserted and fixed are fixed, and a rotating portion rotating the bottom plate portion.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하우징유닛의 하부로부터 상기 바닥판부의 중심을 관통하여 지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회전축부재, 상기 바닥판부로 회전동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회전축부재와 상기 바닥판부를 연결하는 회전연결부재, 및 상기 회전축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바닥판부를 이동시키는 회전동력부재를 포함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rotating part penetrates through the center of the bottom plate portion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unit to a rotating shaft member form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connects the rotating shaft member and the bottom plate portion so that rotational power is transmitted to the bottom plate portion It includes a rotating connecting member, and a rotating power member for rotating the rotating shaft member to move the bottom plate.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유닛은 상기 닫힌 공간의 하면 및 측면 하단부를 이루어 상기 이동유닛의 바닥판부를 둘러싸는 하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닫힌 공간의 측면을 이루어 상기 캡슐유닛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측면하우징, 및 상기 측면하우징의 상단부를 덮어서 상기 캡슐유닛이 내장되는 상기 닫힌 공간의 상면을 이루는 상부하우징을 포함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housing unit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and the lower side of the closed space to surround the bottom plate portion of the mobile unit, vertically extending from the lower housing to form a side of the closed space to form the capsule It includes a side housing formed to surround the unit, and an upper housing forming an upper surface of the closed space in which the capsule unit is embedded by covering an upper end of the side housing.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은 일정두께를 갖는 원통형부재와 상기 원통형부재의 외주연 내측 상부로 수직하게 일정높이 연장 형성되는 돌출연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하우징은 상기 돌출연장부재의 외측으로 끼워지는 직경을 갖고 상기 캡슐유닛보다 긴 길이를 갖는 중공형 내부공간을 형성하면서 상면과 하면이 없는 관통형 원기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하우징은 상기 측면하우징 상단부의 외측면과 끼워지는 내부직경을 갖는 원판부재와 상기 원판부재의 외주연에서 그 하부로 수직하게 일정길이 연장되는 수직하부연장부재를 포함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lower housing includes a cylindrical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protruding extension member vertically extending to an inner upper circumference of the cylindrical member, and the side housing is the outer side of the protruding extension member It includes a through-cylindrical member without a top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while forming a hollow inner space having a diameter fitted with a length longer than that of the capsule unit, and the upper housing is an inner diameter fitted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side housing. It includes a disc member having a vertical lower extension member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vertically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disc member to the lower portion.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유닛에 포함된 하부하우징, 측면하우징 및 상면하우징은 서로 탈부착가능하게 구성되는데, 상기 하부하우징의 돌출연장부재의 외측으로 상기 측면하우징의 관통형 원기둥부재의 하부가 끼워지고 상기 관통형 원기둥부재 상단부 외측으로 상기 상면하우징의 수직연장부재가 끼워져서 상기 하우징유닛은 전체적으로 상기 캡슐유닛보다 긴 높이를 갖고 그 내부에 상기 닫힌 공간이 형성된 원기둥형상을 이룬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lower housing, the side housing, and the upper housing included in the housing unit are configur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each other,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through cylindrical member of the side housing is fitted outside the protruding extension member of the lower housing. The vertically extending member of the upper housing is fitt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end of the through cylindrical member, so that the housing unit has a height higher than that of the capsule unit and forms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the closed space is formed.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향기토출유닛은 상기 닫힌 공간의 상면을 형성하는 하우징유닛의 상부하우징 중 상기 다수의 캡슐부 중 어느 하나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부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된 1개의 관통공부, 상기 관통공부를 그 상부에서 덮도록 상부하우징에 설치되는 커버부 및 상기 관통공부의 하부로 수직하게 상기 관통공부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기둥형 중공부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1개의 중공돌출부를 포함하는 구조, 상기 닫힌 공간의 상면을 형성하는 하우징유닛의 상부하우징 중 상기 다수의 캡슐부 중 어느 하나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부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된 1개의 관통공부, 상기 관통공부를 그 상부에서 덮도록 상부하우징에 설치되는 커버부, 및 상기 닫힌 공간의 상면 하부에 삽입되는 판상구조를 갖고 그 판상구조의 중심에 상기 이동유닛의 회전축부재 상부와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설치된 다수의 캡슐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캡슐부의 상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판상구조를 관통하여 다수의 관통삽입홀이 형성된 이동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구조, 및 상기 닫힌 공간의 상면을 형성하는 하우징유닛의 상부하우징 중 상기 다수의 캡슐부 중 어느 하나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부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된 1개의 관통공부, 상기 관통공부를 그 상부에서 덮도록 상부하우징에 설치되는 커버부, 및 상부하우징의 하면 중 상기 다수의 캡슐부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수직하게 상기 캡슐부가 삽입될 수 있는 폭을 갖고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이중격벽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구조 중 어느 하나이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fragrance discharging unit has one through hole formed by penetrating the upper housing at a position opposite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apsules in the upper housing of the housing unit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losed space, the A structure including a cover portion installed in the upper housing so as to cover the through hole portion at the top and one hollow protrusion formed to form a cylindrical hollow portion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e through hole portion vertically below the through hole portion, the closed One through-hole formed through the upper housing at a position opposite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apsules among the upper housings of the housing unit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pace, and installed in the upper housing to cover the through-holes thereon A cover member, and a plate member having a plate-like structure inserted under the upper surface of the closed space, and a fixing member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shaft member of the mobile unit at the center of the plate-like structure are formed, and in a position facing the plurality of installed capsule units. Any of the plurality of capsule portions of the upper housing of the housing unit forming a top surface of the structure, and a structure including a; and a moving guide portion formed throug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through the plate-shaped structure so tha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capsule portion is inserted. One through-hole formed by penetrating the upper housing at a position facing one, a cover part installed in the upper housing so as to cover the through-hole at the upper part, and a position facing the plurality of capsules among the lower surfaces of the upper housing It is any one of a structure including a double bulkhead guide portion having a width that can be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capsule portion and extended to a predetermined length.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이드부는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회전축부재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상부하우징과 초 근접 거리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이동유닛에 의해 상기 향기토출유닛의 관통공부의 하부에 상기 캡슐부의 상부가 위치하도록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 하는 것이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moving guide part is fixed to the rotating shaft member by the fixing member, and is install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housing at a very close distanc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hrough hole of the fragrance discharging unit by the moving unit. It is to guide the movement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capsule portion.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중격벽 가이드부는 그 내부에 상기 다수의 캡슐부의 상단부가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면 내부에 초 근접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삽입되어, 상기 이동유닛에 의해 특정 캡슐부 상단부가 상기 향기토출유닛의 관통공부에 위치하도록 이동시 마찰 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것이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double bulkhead guide portion is inserted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plurality of capsule portions is maintained within a very close distance inside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and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pecific capsule portion is moved by the mobile unit. It is to guide to move without friction when moving to be located in the through hole of the fragrance discharging unit.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생성된 후각역치검사결과정보 및 위양성검사결과정보 중 하나 이상을 상기 피검사자의 주치의가 접근할 수 있는 병원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주치의의 피드백정보를 포함하는 후각검사관련정보를 수신하는 통신유닛을 더 포함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olfactory threshold test result information and false positive test resul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is transmitted to a hospital server accessible by the examinee's attending physician, and includes feedback information of the attending physician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olfactory inspection-related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은 부탄올이 내장된 캡슐부로부터 가장 고농도인 부탄올 향기가 수초 내지 수십 초 토출되고, 토출된 향기를 피검사자가 감지할 수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기본평가단계; 상기 기본평가단계에서 향기를 감지한 피검사자의 순응을 피하기 위해 수분 동안 휴지하는 단계; 부탄올, 임의 향기물질1 및 임의 향기물질2가 각각 내장된 3개의 캡슐부로부터 가장 저농도인 제n농도로 조절된 향기가 무작위 순서로 각각 수초 내지 수십 초 토출되고, 상기 토출된 향기를 순차적으로 맡은 피검사자에 의해 부탄올 향기가 나는 캡슐부가 선택되는 제1감지단계, 수초 내지 수십초 휴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감지단계가 그대로 재수행되는 제2감지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1차평가단계; 상기 1차평가단계에서 수행되는 상기 제1감지단계 및 제2감지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얻어진 피검사자의 부탄올캡슐부 선택결과에 따라 제1감지단계 및 제2감지단계에서 모두 맞으면 역치검사종료, 또는 상기 제1 및 제2감지단계 중 어느 하나라도 틀리면 현재 농도보다 2단계 높은 농도로 조절된 향기가 토출된 상태로 상기 제1감지단계 및 제2감지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2차평가단계; 및 상기 2차평가단계에서 2단계 높은 농도로 조절된 향기가 토출된 상태로 수행되는 상기 제1감지단계 및 제2감지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얻어진 피검사자의 부탄올캡슐부 선택결과에 따라, 제1감지단계 및 제2감지단계에서 모두 맞으면 토출된 현재농도보다 1단계 낮은 농도로 조절된 향기가 토출된 상태로 상기 제1감지단계 및 제2감지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 또는 상기 제1 감지단계 및 제2 감지단계에서 중 어느 하나라도 틀리면 현재 농도보다 2단계 높은 농도로 조절된 향기가 토출된 상태로 상기 제1감지단계 및 제2감지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3차평가단계;를 포함하는 역치검사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ic evaluation step of evaluating whether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butanol scent is discharged for several seconds to tens of seconds from the capsule portion containing the butanol, and whether the inspected person can detect the emitted scent; Rest for a few minutes to avoid acclimatization of the test subject who sensed the scent in the basic evaluation step; From the three capsules containing butanol, arbitrary scent substance 1, and random scent substance 2, respectively, the scent regulated to the lowest concentration nth concentration is discharged for several seconds to several tens of seconds in a random order, respectively, and the scent is discharged sequentially A first evaluation step of performing at least one of a first sensing step in which a capsule portion having a butanol scent is selected by a testee, a rest period of several seconds to tens of seconds, and a second sensing step in which the first sensing step is re-executed as it is; If both of the first detection step and the second detection step are correc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election of the butanol capsule part of the test subject obtain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detection step and the second detection step performed in the first evaluation step, the threshold test ends, or If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steps is wrong, a second evaluation step of perform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sensing step and the second sensing step in a state in which a fragrance adjusted to a concentration two levels higher than the current concentration is discharged ; And in the second evaluation step,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 of selection of the butanol capsule part of the test subject obtain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sensing step and the second sensing step in which the fragrance adjusted to the high concentration in the second step is discharged. If both the sensing step and the second sensing step are correct, at least one of the first sensing step and the second sensing step is performed or the first sensing step is performed with the fragrance adjusted to a concentration that is one level lower than the discharged current concentration. And a third evaluation step of perform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detection step and the second detection step in a state in which a fragrance adjusted to a concentration higher than the current concentration is discharged if any one of the second detection steps is wrong. Provides a threshold test method that includes.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3차 평가단계는 7개의 전환점이 생기거나, 제n농도로 조절된 향기가 토출된 상태로 제1감지단계 및 제2감지단계가 수행될 때 얻어진 피검사자의 부탄올캡슐부 선택결과가 모두 맞을 때까지 수회 반복 수행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third evaluation step is the butanol encapsulation part of the test subject obtained when the first detection step and the second detection step are performed in the state in which seven turning points are generated or the fragrance adjusted to the nth concentration is discharged. It is repeated several times until the selection results are all correct.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환점은 n차 평가단계를 기준으로 그 이전인 n-1차 평가단계에서 토출되는 향기의 농도가 n차 평가단계에서 토출되는 향기의 농도보다 낮을 때는 n+1차 평가단계에서 토출되는 향기의 농도가 n차 평가단계에서 토출되는 향기의 농도보다 낮은 경우, 및 n-1차 평가단계에서 토출되는 향기의 농도가 n차 평가단계에서 토출되는 향기의 농도보다 높을 때는 n+1차 평가단계에서 토출되는 향기의 농도가 n차 평가단계에서 토출되는 향기의 농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n차 평가단계에서 발생하는 변곡점을 의미하는 것이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turning point is n+1st evaluation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fragrance discharged in the n-1st evaluation step, which is earlier than the n-th evaluation step, is lower than the concentration of the fragrance discharged in the n-th evaluation step.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fragrance discharged in the step is lower than the concentration of the fragrance discharged in the n-th evaluation step, and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fragrance discharged in the n-1st evaluation step is higher than the concentration of the fragrance discharged in the n-th evaluation step, n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fragrance discharged in the +1st evaluation step is higher than the concentration of the fragrance discharged in the nth evaluation step, it means an inflection point generated in the nth evaluation step.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본평가단계에서 토출된 향기를 상기 피검사자가 감지하지 못하면 검사를 종료하고, 후각 위양성검사 및 후각식별검사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도록 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if the test subject does not detect the fragrance discharged in the basic evaluation step, the test is terminated, and one or more of the olfactory false positive test and the olfactory identification test are performed.

또한, 본 발명은 커피 및 암모니아가 각각 저장된 2개의 캡슐부로부터 커피 및 암모니아 향기가 토출되는 단계; 상기 토출된 향기의 감지여부에 대한 피검사자의 답변이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피검사자의 답변에 따라 피검사자의 후각감지에 대한 위양성이 평가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후각 위양성검사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tep of discharging coffee and ammonia aroma from two capsules each storing coffee and ammonia; Inputting a response of an examinee for detecting the discharged fragrance; And evaluating false positives of the sense of smell of the test subject according to the response of the test subject.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양성이 평가되는 단계에서 상기 피검사자의 답변이 두 가지 향기를 모두 감지한 것으로 입력되면 피검사자의 후각이 정상으로 판단되고, 두 가지 향기를 모두 감지하지 못한다고 입력되면 피검사자가 위양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암모니아 향기만 감지한 것으로 입력되면 피검사자가 진성후각소실환자인 것으로 판단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in the step of evaluating the false positives, if the response of the testee is input as detecting both scents, the sense of smell of the testee is determined to be normal, and if it is input that both scents are not detected, the testee is false positive It is judged that there is, and if it is input that only ammonia scent was detected, it is determined that the test subject is a patient with true olfactory loss.

상술된 본 발명에 의하면, 후각역치검사를 위해 필요한 부탄올, 임의 향기물질 1 및 2로 구성된 3종류의 향기(odor)를 후각역치검사를 위해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라 일정농도로 조절하여 일정시간동안 발산시킨 후 휴지하는 과정을 자동으로 반복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후각역치검사를 환자가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피 및 암모니아로 구성된 2종류의 향기를 후각위양성검사를 위해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라 토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후각위양성검사 또한 환자 본인이 시행할 수 있게 하고, 이 결과를 검사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하여, 검사관리자가 검사결과의 신뢰성 판단(malingering)을 용이하게 하며, 이의 피드백을 통해 환자 스스로 현재 본인의 후각상태를 파악하고, 후각훈련을 하는 경우라면 후각훈련으로 인한 치료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ree kinds of odors composed of butanol and optional scent substances 1 and 2, which are required for olfactory threshold testing, are adjusted to a certain concentration according to a protocol for olfactory threshold testing and emit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t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repeat the dormant process afterwards, which facilitates the patient's olfactory threshold test, and can also dispense two types of scent consisting of coffee and ammonia according to the protocol set for olfactory false positive test.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olfactory false positive test can also be performed by the patient himself, and the test manager can confirm the results, so that the test manager can easily determine the reliability of the test result (malingering).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olfactory state of the person and, if conducting olfactory training, the therapeutic effect of olfactory training can be confirm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환자의 후각 상태 파악 및 추가적인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후각검사결과정보를 병원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주치의가 환자들의 후각상태를 파악하여 이후 치료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환자에게 피드백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후각상태를 향상시키기 위한 후각 훈련 등을 격려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ending the olfactory test result information to the hospital server so as to help the patient understand the olfactory state and further treatment, the attending physician can understand the olfactory state of the patients and can make a treatment plan thereafter. By providing feedback information to the patient, it is possible to encourage olfactory training to improve the patient's sense of smell.

본 발명의 이러한 기술적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범위만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더라도 후술되는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 내용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인식할 수 있는 발명의 효과 역시 당연히 포함된다.These technical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ranges, and even if not explicitly mentioned, the effects of the invention that can be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specific content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described below are also Of course it is included.

도 1은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각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상부하우징(330)의 내부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며,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후각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향기토출유닛과 캡슐부재의 배치상태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각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상부하우징(330)의 내부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며, 도 2c는 도 2a에 도시된 후각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향기토출유닛과 캡슐부재의 배치상태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각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상부하우징(330)의 내부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며,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후각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향기토출유닛과 캡슐부재의 배치상태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후각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에 포함되는 캡슐부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각각 본 발명의 후각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에 포함된 이동유닛에서 바닥판부와 회전축부재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바닥판부와 연결부재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및 이동유닛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a에서 이동가이드부(440)가 회전축부재(221)에 고정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후각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를 사용하여 후각역치검사를 수행하는 후각역치검사방법의 일 구현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후각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를 사용하여 위양성검사를 수행하는 위양성사방법의 일 구현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lfactory threshold and false positive self-te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b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upper housing 330 shown in Figure 1a, Figure 1c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fragrance discharging unit and the capsule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olfactory threshold and the false positive self-testing device shown in FIG. 1A are combined.
Figure 2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lfactory threshold and false positive self-tes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upper housing 330 shown in Figure 2a, Figure 2c is Figure 2a It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fragrance discharging unit and the capsule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olfactory threshold and the false positive self-testing device shown in FIG.
Figure 3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lfactory threshold and false positive self-tes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upper housing 330 shown in Figure 3a, Figure 3c is a It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fragrance discharging unit and the capsule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olfactory threshold and the false positive self-testing device shown in 3a are combined.
4 is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capsule part included in the olfactory threshold and false positive self-tes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C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combined state of the bottom plate portion and the rotating shaft member in the mobile unit included in the olfactory threshold and false positive self-insp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and exploded perspective views and movement showing the combined state of the bottom plate portion and the connecting member. It is a sectional view of the unit in a coupled stat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ement guide part 440 is fixed to the rotating shaft member 221 in FIG. 2A.
7 is a flow ch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olfactory threshold test method for performing olfactory threshold test using the olfactory threshold and false positive self-tes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 ch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false positive method for performing false positive tests using the olfactory threshold and false positive self-tes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발명의 설명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inolog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one or more oth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feature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related technologie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특히,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이 사용되는 경우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In interpreting the components, it is interpreted as including the error range even if there is no explicit description. In particular, when the terms "about", "substantially", etc. of degree are used, it can be interpreted as being used in or close to the value when manufacturing and substance tolerances unique to the stated meaning are given. .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 적 선후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한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a time relationship, for example,'after','following','~after','~before', etc. When the temporal sequential relationship is described,'right' or'directly' This includes cases where'is not continuous unless it is used.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preferred embodiments.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used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dicate the same components.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후각역치검사를 위해 필요한 부탄올, 임의 향기물질 1 및 2로 구성된 3종류의 향기(odor)를 후각역치검사를 위해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라 일정농도로 조절하여 일정시간동안 발산시킨 후 휴지하는 과정을 자동으로 반복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후각역치검사를 환자가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피 및 암모니아로 구성된 2종류의 향기를 후각위양성검사를 위해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라 토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후각위양성검사 또한 환자 본인이 시행할 수 있는 구조의 후각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 그 장치를 이용한 후각역치검사방법 및 후각위양성검사방법에 있다.The technic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fter adjusting for a certain time according to the protocol determined for the olfactory threshold, three kinds of odors composed of butanol, optional scent substances 1 and 2, which are necessary for the olfactory threshold test, are emit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t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repeat the rest process, so that the patient can easily perform the olfactory threshold test, and also discharge the two types of aroma composed of coffee and ammonia according to the protocol specified for the olfactory false positive test. It is composed of olfactory threshold and self-examination device of false positive structure of the structure that can be performed by the patient himself, olfactory threshold test method and olfactory false positive test method using the device.

따라서, 본 발명의 후각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는 부탄올, 커피 및 암모니아를 포함하는 다수의 향기물질이 저장된 5개 이상의 캡슐부를 포함하는 캡슐유닛; 상기 캡슐유닛을 고정하고 일정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유닛; 상기 캡슐유닛 및 이동유닛이 설치될 수 있는 닫힌 공간을 포함하는 하우징유닛; 상기 하우징유닛에 포함된 닫힌 공간 상면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이동유닛에 의해 일정위치로 이동된 캡슐부에 담긴 향기를 일정시간 토출시키는 향기토출유닛; 및 상기 하우징유닛에 내장되고 상기 캡슐유닛, 이동유닛 및 향기토출유닛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캡슐부에 저장된 향기물질로부터 발산되는 향기의 농도를 가장 약한 농도단계에서 가장 강한 농도단계까지 적어도 5단계 내지 16단계로 구분하고 기 설정된 검사순서에서 정해진 농도로 상기 향기토출유닛을 통해 피검사자가 맡을 수 있는 향기를 토출시키고, 상기 피검사자가 토출된 향기를 맡은 후 선택한 입력정보에 따라 후각역치검사결과정보 및 위양성검사결과정보 중 하나 이상을 생성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Accordingly, the olfactory threshold and false positive self-inspe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psule unit including five or more capsules in which a plurality of aroma substances including butanol, coffee and ammonia are stored; A moving unit that fixes the capsule unit and moves it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 housing unit including a closed space in which the capsule unit and the mobile unit can be installed; A fragrance discharging unit which is installed to constitute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losed space included in the housing unit and discharges the scent contained in the capsule part mov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by the mobile unit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built-in the housing unit and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capsule unit, the mobile unit, and the fragrance discharging unit to control the concentration of the scent emitted from the scent material stored in the capsule unit from the weakest concentration step to the strongest concentration step at least five steps. It is divided into steps 16 to 16, and discharges the scent that the testee can take through the scent discharging unit at a predetermined concentration in a predetermined test order, smells the discharged scent, and smell olfactory threshold test resul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lected input information and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t least one of the false positive test result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후각 역치검사방법은 부탄올이 내장된 캡슐부로부터 가장 고농도인 부탄올 향기가 수초 내지 수십 초 토출되고, 토출된 향기를 피검사자가 감지할 수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기본평가단계; 상기 기본평가단계에서 향기를 감지한 피검사자의 순응을 피하기 위해 2분 내지 5분 동안 휴지하는 단계; 부탄올, 임의 향기물질1 및 임의 향기물질2가 각각 내장된 3개의 캡슐부로부터 가장 저농도인 제n농도로 조절된 향기가 무작위 순서로 각각 수초 내지 수십 초 토출되고, 상기 토출된 향기를 순차적으로 맡은 피검사자에 의해 부탄올 향기가 나는 캡슐부가 선택되는 제1감지단계, 수초 내지 수십초 휴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감지단계가 그대로 재수행되는 제2감지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1차평가단계; 상기 1차평가단계에서 수행되는 상기 제1감지단계 및 제2감지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얻어진 피검사자의 부탄올캡슐부 선택결과에 따라 제1감지단계 및 제2감지단계에서 모두 맞으면 역치검사종료, 또는 상기 제1 및 제2감지단계 중 어느 하나라도 틀리면 현재 농도보다 2단계 높은 농도로 조절된 향기가 토출된 상태로 상기 제1감지단계 및 제2감지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2차평가단계; 및 상기 2차평가단계에서 2단계 높은 농도로 조절된 향기가 토출된 상태로 수행되는 상기 제1감지단계 및 제2감지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얻어진 피검사자의 부탄올캡슐부 선택결과에 따라, 제1감지단계 및 제2감지단계에서 모두 맞으면 토출된 현재농도보다 1단계 낮은 농도로 조절된 향기가 토출된 상태로 상기 제1감지단계 및 제2감지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 또는 상기 제1 감지단계 및 제2 감지단계에서 중 어느 하나라도 틀리면 현재 농도보다 2단계 높은 농도로 조절된 향기가 토출된 상태로 상기 제1감지단계 및 제2감지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3차평가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olfactory threshold tes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ic evaluation step of evaluating whether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butanol scent is discharged for several seconds to tens of seconds from the capsule unit containing the butanol, and whether the inspected person can detect the discharged fragrance; Rest for 2 to 5 minutes to avoid acclimatization of the test subject who sensed the scent in the basic evaluation step; From the three capsules each containing butanol, optional scent substance 1, and optional scent substance 2, scents adjusted to the lowest concentration nth concentration are discharged in a random order for several seconds to tens of seconds, respectively, and the discharged scents are sequentially charged. A first evaluation step of performing at least one of a first sensing step in which a capsule portion having a butanol scent is selected by a testee, a rest period of several seconds to tens of seconds, and a second sensing step in which the first sensing step is re-executed as it is; If both of the first detection step and the second detection step are correc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election of the butanol capsule part of the test subject obtain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detection step and the second detection step performed in the first evaluation step, the threshold test ends, or If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steps is wrong, a second evaluation step of perform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sensing step and the second sensing step in a state in which a fragrance adjusted to a concentration two levels higher than the current concentration is discharged ; And in the second evaluation step,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 of selection of the butanol capsule part of the test subject obtain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sensing step and the second sensing step in which the fragrance adjusted to the high concentration in the second step is discharged. If both the sensing step and the second sensing step are correct, at least one of the first sensing step and the second sensing step is performed or the first sensing step is performed with the fragrance adjusted to a concentration that is one level lower than the discharged current concentration. And a third evaluation step of perform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detection step and the second detection step in a state in which a fragrance adjusted to a concentration higher than the current concentration is discharged if any one of the second detection steps is wrong. Includes.

또한, 본 발명의 후각 위양성검사방법은 커피 및 암모니아가 각각 저장된 2개의 캡슐부로부터 커피 및 암모니아 향기가 토출되는 단계; 상기 토출된 향기의 감지여부에 대한 피검사자의 답변이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피검사자의 답변에 따라 피검사자의 후각감지에 대한 위양성이 평가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olfactory false positive tes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discharging coffee and ammonia scent from two capsules each storing coffee and ammonia; Inputting a response of an examinee for detecting the discharged fragrance; And evaluating false positives of the sense of smell of the examinee according to the response of the examinee.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후각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의 구성을 도 1a 내지 도 1c, 도 4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각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상부하우징(330)의 내부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며,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후각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향기토출유닛과 캡슐부재의 배치상태를 보여주는 모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후각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에 포함되는 캡슐부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a 내지 도 5c는 각각 본 발명의 후각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에 포함된 이동유닛에서 바닥판부와 회전축부재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바닥판부와 연결부재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및 이동유닛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More specifically, the configuration of the olfactory threshold and false positive self-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A to 1C and 4 to 5C. 1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lfactory threshold and false positive self-te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B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upper housing 330 shown in FIG. 1A, and FIG. 1C is FIG. 1A It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fragrance discharging unit and the capsule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olfactory threshold and the false positive self-inspection device are combined, and FIG. 4 is an embodiment of the capsule part included in the olfactory threshold and the false positive self-insp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C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bonding state of the bottom plate portion and the rotating shaft member in the mobile unit included in the olfactory threshold and false positive self-che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mobile unit is coupled.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후각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1)는 캡슐유닛(100), 이동유닛(200), 하우징유닛(300), 향기토출유닛(400), 제어유닛(미도시)을 포함한다. 필요한 경우 통신유닛(미도시) 및 근접센서유닛(미도시) 중 하나 이상이 더 포함될 수 있다.1A to 1C, the olfactory threshold and false positive self-inspection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capsule unit 100, a moving unit 200, a housing unit 300, and a fragrance discharging unit 400, It includes a control unit (not shown). If necessary, one or more of a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and a proximity sensor unit (not shown) may be further included.

캡슐유닛(100)은 후각검사를 위해 정해진 향기를 피검사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특히 후각역치검사를 위해서는 부탄올, 임의 향기물질1 및 임의 향기물질2가 각각 저장된 캡슐부(110)가 3개 필요하고, 위양성검사를 위해서는 커피 및 암모니아가 각각 저장된 캡슐부(110)가 2개 필요하므로, 적어도 5개의 캡슐부(110)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캡슐유닛(100)은 5개의 캡슐부(110)만으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일 구현예로서 부탄올이 저장된 캡슐부를 1개 더 포함하는 6개의 캡슐부(11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후각역치검사시 피검사자가 후각이 아니라 장치의 구현상태를 보고 토출되는 향기를 예측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함이다. The capsule unit 100 is a component for providing a targeted scent for the olfactory test, and in particular, for the olfactory threshold test, three capsules 110 each storing butanol, optional scent material 1, and optional scent material 2 are stored. It is necessary, and for the false positive test, since two capsules 110 each storing coffee and ammonia are required, at least five capsules 110 may be included. Therefore, the capsule unit 100 may be implemented with only five capsules 110, but as an embodiment, the capsule unit 1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six capsules 110 including one more capsule unit storing butanol. This is to prevent the test subject from observing the sense of smell, not the sense of smell, and predicting the scent discharged.

캡슐부(110)는 향기물질을 저장하고 있다가 일정 조건에서 토출되는 향기의 농도를 조절하여 토출할 수 있는 구성이기만 하면 제한되지 않지만 일 구현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형 캡슐부재(111), 가열부재(112) 및 향기물질(1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capsule 110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is a configuration capable of storing and controlling the concentration of the fragrance discharged under a certain condition while storing the fragrance material, but as an embodiment, the cylindrical capsule member 111 as shown in FIG. ), a heating member 112 and a scent material 113.

도 4를 참조하면, 통형 캡슐부재(111)는 향기물질(113)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로서 일정직경 및 일정길이를 갖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시험관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열부재(112)는 캡슐부재(111)에 저장된 향기물질(113)에 열을 가하여 토출되는 향기물질(113)의 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부재(111)를 형성하는 하면부와 측면부를 이루는 벽체의 내부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캡슐부재(111)의 외부를 감싸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때 가열부재(112)는 처음에는 캡슐부재(111)의 상부에 배치된 가열부재만 동작하다가 캡슐부재(111)에 저장된 향기물질이 사용됨에 따라 중간부에 배치된 가열부재만 동작되고, 최종적으로 하부 및 하면부에 배치된 가열부재만 동작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향기물질(113)은 일반적으로 후각역치검사에 사용되는 부탄올, 임의향기물질1, 임의향기물질2와 후각위양성 검사에 사용되는 커피 및 암모니아를 포함한다. 여기서, 임의향기물질1 및 임의향기물질2는 후각역치검사에 사용되는 공지된 향기물질로서 장미, 계피, 복숭아, 오렌지, 레몬, 딸기, 파인애플, 가죽, 풀, 꿀, 바닐라, 초콜릿, 페퍼민트 전나무, 양파, 코코넛, 바나나, 호두, 버찌, 사과, 자몽, 감초, 츄잉껌, 겨자, 고무, 박하, 송진, 마늘, 당근, 담배, 포도주, 연기, 멜론, 배, 자두, 녹차, 참기름, 럼주, 빵, 생선, 치주, 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향기물질(113)은 향기가 섞이지 않도록 고체상태로 캡슐부재(111)에 저장되고 향기토출유닛(400)을 통해 향기를 토출해야할 시점에만 제어유닛에 의해 가열부재(112)가 열을 가하는 정도에 따라 토출되는 향기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4, the cylindrical capsule member 111 is a container for storing the fragrance material 113 and may be configured as a test tube having a hollow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ving an open top. The heating member 112 is a component for controlling the concentration of the fragrance material 113 discharged by applying heat to the fragrance material 113 stored in the capsule member 111, as shown in FIG. 4, the capsule member 111 ) May be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wall forming the lower surface and the side, but may also be formed in a manner that encloses the outside of the capsule member 111. At this time, the heating member 112 initially operates only the heating member disposed on the top of the capsule member 111, and only the heating member disposed in the middle is operated as the fragrance material stored in the capsule member 111 is used, and finally As a result, it may be implemented in such a way that only heating members disposed on the lower and lower surfaces are operated. The scent material 113 generally includes butanol used for olfactory threshold testing, random scent substance 1, random scent substance 2, and coffee and ammonia used for olfactory false positive testing. Here, the random fragrance substance 1 and the random fragrance substance 2 are known fragrance substances used for olfactory threshold testing, such as rose, cinnamon, peach, orange, lemon, strawberry, pineapple, leather, grass, honey, vanilla, chocolate, peppermint fir, Onion, coconut, banana, walnut, cherry, apple, grapefruit, licorice, chewing gum, mustard, rubber, mint, rosin, garlic, carrot, tobacco, wine, smoke, melon, pear, plum, green tea, sesame oil, rum, bread, Fish, periodontal, ham, etc. can be used. Fragrance material 113 is stored in the capsule member 111 in a solid state so that the fragrance does not mix, and only when the fragrance needs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fragrance discharging unit 400, the heating member 112 is heated by the control unit. It is configured to adjust the concentration of the fragrance to be discharged.

이동유닛(200)은 캡슐유닛(100)을 고정하고 일정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즉 캡슐유닛(100)에 포함된 다수개의 캡슐부(110)를 적절한 위치에 고정하고 피검사자가 선택한 후각검사프로토콜에 따라 제어유닛에 의해 제어되어 향기토출유닛(400)을 통해 토출될 향기가 저장된 캡슐부(110)가 향기토출유닛(400)과 일치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동작하기 때문이다. The mobile unit 200 is a component for fixing the capsule unit 100 and moving it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at is, fixing a plurality of capsules 110 included in the capsule unit 100 at an appropriate location and olfactory examination selected by the examinee This is because the capsule unit 110, which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otocol and stores fragrance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fragrance discharging unit 400, moves to a position that matches the fragrance discharging unit 400.

이동유닛(200)은 일구현예로서 바닥판부(210) 및 회전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부(210)는 원판상의 바닥판부재(211)에 캡슐유닛(100)에 포함된 6개의 캡슐부(110)의 하부가 삽입고정 되는 6개의 안착홈(21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mobile unit 200 may include a bottom plate portion 210 and a rotating portion 220 as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s 5a to 5c, the bottom plate portion 210 has six seating grooves in which the lower portions of the six capsule portions 110 included in the capsule unit 100 are fixed to the bottom plate member 211 on the disc. 212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formed at regular intervals.

회전부(220)는 바닥판부(210)를 회전시키는 구성요소로서 특정 캡슐부재(100)를 향기토출유닛(400)과 일치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데, 회전부(220)에 의해 바닥판부(210)가 회전되면 바닥판부(210)의 안착홈(212)에 안착된 캡슐부재(100)의 위치가 이동되기 때문이다. 일 구현예로서 회전부(220)는 회전축부재(221), 회전연결부재(222), 및 회전동력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부재(221)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유닛(300)의 하부로부터 바닥판부(210)의 중심을 관통하여 지면에 수직하게 형성되고, 회전연결부재(222)는 바닥판부(210)로 회전축부재(221)의 회전동력이 전달되도록 회전축부재(221)와 바닥판부(210)사이에 형성되어 회전축부재(221)와 바닥판부(210)를 연결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바퀴형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회전동력부재는 하우징유닛(300)의 하부하우징(310)에 내장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회전축을 회전시킬 수 있기만 하면 공지된 모든 동력원이 적용될 수 있다. 일 구현예로서, 전기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The rotating part 220 is a component that rotates the bottom plate part 210, and may move the specific capsule member 100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ragrance discharging unit 400, and the bottom plate part 210 by the rotating part 220 This is because the position of the capsule member 100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212 of the bottom plate 210 moves when is rotated. As an embodiment, the rotating unit 220 may include a rotating shaft member 221, a rotating connecting member 222, and a rotating power member (not shown). The rotating shaft member 221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hrough the center of the bottom plate portion 210 from the bottom of the housing unit 300, as shown in Figure 5c, the rotation connecting member 222 is the bottom plate portion 210 It is formed between the rotating shaft member 221 and the bottom plate portion 210 so as to transmit the rotational power of the rotating shaft member 221 as a component connecting the rotating shaft member 221 and the bottom plate portion 210 as shown in Figure 5b It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gear,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rotating power member may be installed and installed in the lower housing 310 of the housing unit 300, and any known power source can be applied as long as it can rotate the rotating shaft. As an embodiment, an electric motor can be used.

하우징유닛(300)은 캡슐유닛(100) 및 이동유닛(200)이 설치될 수 있는 닫힌 공간을 포함하는 구성요소이다. 일 구현예로서, 하우징유닛(300)은 하부하우징(310), 측면하우징(320) 및 상부하우징(33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housing unit 300 is a component including a closed space in which the capsule unit 100 and the mobile unit 200 can be installed. As an embodiment, the housing unit 300 may include a lower housing 310, a side housing 320 and an upper housing 330.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하우징(310)은 닫힌 공간의 하면 및 측면 하단부를 이루어 이동유닛(200)의 바닥판부(210)를 둘러싸는 구성요소로서, 일정두께를 갖는 원통형부재(311)와 원통형부재(311)의 외주연 내측 상부로 수직하게 일정높이 연장 형성되는 돌출연장부재(3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원통형부재(311)는 그 내부에 제어유닛, 통신유닛, 회전동력부재 등이 내장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 두께를 갖는다. 돌출연장부재(3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측으로 측면하우징(320)이 끼워졌을 때 측면하우징(320)이 원통형부재(311)의 측면과 동일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측면하우징(320)의 두께만큼 내부로 삽입된 위치에 형성된다. 측면하우징(320)은 하부하우징(310)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어 닫힌 공간의 측면을 이루어 캡슐유닛(100)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돌출연장부재(312)의 외측으로 끼워지는 직경을 갖고 캡슐유닛(100)보다 긴 길이를 갖는 중공형 내부공간을 형성하면서 상면과 하면이 없는 관통형 원기둥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관통형 원기둥부재는 투명 또는 불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환자가 시각적으로 향기를 인지하지 못하도록 불투명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부하우징(330)은 측면하우징(320)의 상단부를 덮어서 캡슐유닛(100)이 내장되는 닫힌 공간의 상면을 이루는 구성요소로서 측면하우징(320) 상단부의 외측면과 끼워지는 내부직경을 갖는 원판부재(331)와 원판부재(331)의 외주연에서 그 하부로 수직하게 일정길이 연장되는 수직하부연장부재(332)를 포함한다. As shown, the lower housing 310 is a component surrounding the bottom plate portion 210 of the mobile unit 200 by forming a lower surface and a lower side surface of the closed space, the cylindrical member 311 and the cylindrical member ( 311) may include a protruding extension member 312 that extends vertically and vertically to the inner upper edge. Here, the cylindrical member 311 has a thickness in which a space in which a control unit, a communication unit, a rotating power member, and the like can be built is formed. The protruding extension member 312 has a side housing 320 so that the side housing 320 can be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s the side surface of the cylindrical member 311 when the side housing 320 is fitted outward as shown. It is formed in the position inserted into the thickness of the inside. The side housing 320 is a component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lower housing 310 to form a side of the closed space to surround the capsule unit 100, and has a diameter that fits outside the protruding extension member 312. While forming a hollow inner space having a longer length than the capsule unit 100, it includes a through-type cylindrical member having no upper and lower surfaces. Here, the through-type cylindrical member may be formed transparently or opaquely, but may be preferably formed opaquely so that the patient does not visually perceive the fragrance. The upper housing 330 is a component that forms an upper surface of the closed space in which the capsule unit 100 is embedded by covering the upper end of the side housing 320, and a disc member having an inner diameter fitted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side housing 320 331 and a vertical lower extension member 332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isk member 331 vertically downward.

하우징유닛(300)은 일 구현예로서 상술된 구성을 갖는 하부하우징(310), 측면하우징(320) 및 상면하우징(330)이 서로 탈부착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하부하우징(310)의 돌출연장부재(312)의 외측으로 측면하우징(320)의 관통형 원기둥부재의 하부가 끼워지고 관통형 원기둥부재 상단부 외측으로 상면하우징(330)의 수직연장부재(332)가 끼워져서 하우징유닛(300)은 전체적으로 캡슐유닛(100)보다 긴 높이를 갖고 그 내부에 닫힌 공간이 형성된 원기둥형상을 이룰 수 있다. The housing unit 3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lower housing 310, the side housing 320, and the upper housing 33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re detachably attached to each other. That is, the lower portion of the through-cylindrical member of the side housing 320 is fitted to the outside of the protruding extension member 312 of the lower housing 310 and the vertical extension member 332 of the upper housing 330 outside the upper end of the through-cylindrical member ) Is inserted so that the housing unit 300 has a height higher than that of the capsule unit 100 as a whole and can form a cylindrical shape with a closed space formed therein.

향기토출유닛(400)은 하우징유닛(300)에 포함된 닫힌 공간 상면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설치되어 이동유닛(200)에 의해 일정위치로 이동된 특정 캡슐부(110)에 담긴 향기를 일정시간 토출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일 구현예로서 향기토출유닛(400)은 관통공부(410), 커버부(420) 및 중공돌출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ragrance discharging unit 400 is installed to constitute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losed space included in the housing unit 300 and discharges the fragrance contained in the specific capsule unit 110 moved to a certain position by the moving unit 200 for a predetermined time. It is a component. As an embodiment, the fragrance discharging unit 400 may include a through hole 410, a cover part 420, and a hollow protrusion 430.

관통공부(410)는 하우징유닛(300)의 내부공간 즉 닫힌 공간의 상면을 형성하는 하우징유닛의 상부하우징(330)을 관통하여 형성된 구멍으로서, 닫힌 공간에 설치된 캡슐부(110)에 담긴 향기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관통공부(410)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하우징(330)의 원판부재(331)에서 닫힌 공간에 설치된 다수의 캡슐부(110) 중 어느 하나와 대향되는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을 관통시켜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부(410)를 통해 캡슐부(110)에 담긴 향기가 외부로 토출되므로 발산된 향기가 모두 외부로 배출되도록 관통공부(410)의 크기는 캡슐부(110)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through-hole part 410 is a hole formed through the upper housing 330 of the housing unit forming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unit 300,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closed space, and smells the fragrance contained in the capsule part 110 installed in the closed space. It is a component that discharges to the outside. Therefore, the through-hole portion 410, as shown in Figures 1a to 1c, any one of the region opposite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apsule portion 110 installed in a closed space in the disk member 331 of the upper housing 330 It may be formed by penetrating an area. Since the fragrance contained in the capsule part 1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hole part 410, the size of the through-hole part 410 may be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diameter of the capsule part 110 so that the emitted fragran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have.

커버부(420)는 관통공부(410)를 개폐함으로써 닫힌 공간을 열거나 닫는 뚜껑으로 작용하는 구성요소로서, 관통공부(410)를 그 상부에서 덮을 수 있는 직경으로 관통공부(410) 외주연 일측의 원판부재(33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420)는 관통공부(410)를 개폐할 수 있기만 하면 재질 및 형태의 제한 없이 공지된 모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는데 일구현예로서 내부에 관통공부(410)에 삽입될 수 있는 직경을 갖는 돌출부가 형성된 형태가 설치되고 수동으로 이를 개폐하는 방식이 제안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자동개폐방식의 커버부(420)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의 커버부(420)를 통해 피검사자는 후각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1)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커버부(420)로 관통공부(410)를 덮어서 닫힌 공간을 폐쇄하고, 후각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1)를 이용하여 후각검사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커버부(420)를 열어서 닫힌 공간을 열어서 제어유닛에 의해 농도가 조절된 향기가 캡슐부(110)에서 토출되면 토출된 향기를 닫힌 공간 외부로 발산시키도록 할 수 있다.The cover part 420 is a component that acts as a lid that opens or closes a closed space by opening and closing the through-hole part 410, and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through-hole part 410 with a diameter that can cover the through-hole part 410 from the top. It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disk member 331. The cover portion 420 may be applied to all known methods without limitation of material and shape as long as the through-hole portion 410 can be opened and closed. As an example, the diameter of the through-hole portion 410 may be inserted. A form in which the protrusions are formed and a method of manually opening and closing them may be proposed. Of course, if necessary, an automatic opening/closing cover portion 420 may be installed. Through the cover portion 420 of this configuration, when the examinee does not use the olfactory threshold and false positive self-examination device 1, the closed space is closed by covering the through hole 410 with the cover portion 420, and the olfactory threshold and false positive In the case of using the self-inspection device 1 to open the closed space by opening the cover 420, the fragrance emitted by the control unit is discharged from the capsule unit 110 when the cover unit 420 is opened. It can be diverted outside the space.

중공돌출부(430)는 캡슐부(110)에서 발산되는 향기가 다른 곳으로 흩어지지 않고 관통공부(410)를 통해 거의 대부분 토출되도록 보조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부(410)의 외주연에서 그 하부로 수직하게 관통공부(410)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기둥형 중공부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중공돌출부(430)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부(110)의 상단부와 초 근접 거리를 유지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초 근접 거리"란 용어는 중공돌출부(430)의 하단부와 캡슐부(110)의 상단부 사이의 거리가 0은 아니지만 이동유닛(200)에 의해 캡슐부(110)의 이동시 마찰을 일으키지 않는 가장 최소화된 초미세한 거리를 의미한다. 따라서, "초 근접 거리"를 갖는 경우 시각적으로는 거의 접촉된 상태로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수나노에서 수백 마이크로미터 정도의 거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The hollow protrusion 430 is a component for assisting the fragrance emitted from the capsule 110 to be discharged almost through the through-hole 410 without being scattered elsewhere, and as shown in FIG. 1B, the through-hole ( It may be formed to form a cylindrical hollow portion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e through-hole portion 410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410). In particular, the hollow protrusion 430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maintaining an ultra close distance to the upper end of the capsule 110, as shown in Figure 1c. Hereinafter, the term "super close distance" is a distanc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hollow protrusion 430 and the upper end of the capsule 110, but does not cause friction when the capsule 110 is moved by the moving unit 200. It means the smallest ultra-fine distance. Thus, in the case of having a "super close distance", it may be visually seen as almost in contact, but in practice, it may be formed to have a distance of several hundreds of micrometers from several nanometers.

제어유닛은 하우징유닛(300)에 내장되어 캡슐유닛(100), 이동유닛(200) 및 향기토출유닛(400)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함으로써 기 설정된 후각검사프로토콜대로 향기토출유닛(400)을 통해 피검사자가 맡을 수 있는 향기를 토출시킬 수 있도록 후각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1)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구성요소로서, 공지된 모든 제어유닛 기술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일구현예로서 메모리, 보조회로 및 초소형연산처리장치(MPU)가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에 조립된 형태가 하우징유닛(300)에 내장되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제어유닛은 후각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1)의 전원이 켜지면, 기 설정된 후각검사프로토콜 프로그램에 따라 캡슐유닛(100), 이동유닛(200) 및 향기토출유닛(400)을 제어하는데, 특히 캡슐부(110)에 저장된 향기물질(113)로부터 발산되는 향기의 농도를 가장 약한 농도단계에서 가장 강한 농도단계까지 적어도 5단계 내지 16단계로 구분하고 기 설정된 후각검사순서에서 정해진 농도로 향기토출유닛(400)을 통해 피검사자가 맡을 수 있는 향기를 토출시키고, 피검사자가 토출된 향기를 맡은 후 선택한 입력정보에 따라 후각역치검사결과정보 및 위양성검사결과정보 중 하나 이상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근접센서유닛이 포함된 경우에는 선택된 후각검사프로토콜에서 정해진 n번째 횟수와 피검사자가 향기토출유닛을 통해 토출된 향기를 맡은 횟수를 비교하여 사용자가 후각검사를 보다 정확하게 수행했는지 평가할 수도 있다. 즉, 피검사자가 향기토출유닛을 통해 토출된 향기를 맡은 횟수는 피검사자의 얼굴이 향기토출유닛에 인접하게 있는 것으로 근접센서유닛이 감지한 횟수가 되므로, 사실상 실제로 향기토출유닛을 통해 토출된 향기토출횟수 이하가 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The control unit is built in the housing unit 300 and controls one or more of the capsule unit 100, the mobile unit 200, and the fragrance discharging unit 400 to be inspected through the fragrance discharging unit 40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olfactory inspection protocol. As a component that controls the olfactory threshold and the operation of the false positive self-inspection device 1 so as to discharge the scent that can be smelled, any known control unit technology can be used, but as an example, a memory, an auxiliary circuit, and The form in which the ultra-compact processing unit (MPU) is assembled on one printed circuit board may be built into the housing unit 300 and use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apsule unit 100, the mobile unit 200, and the fragrance discharging unit 40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olfactory test protocol program when the power of the olfactory threshold and false positive self-inspection device 1 is turned on. The concentration of the fragrance emitted from the fragrance material 113 stored in the capsule 110 is divided into at least 5 to 16 steps from the weakest concentration step to the strongest concentration step, and the fragrance discharging unit is set at a predetermined concentration in a predetermined olfactory test sequence. Through 400, the scent that can be taken by the testee is discharged, and after the scent is discharged, one or more of olfactory threshold test result information and false positive test result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input information selec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proximity sensor unit is included, it is possible to evaluate whether the user performed the olfactory test more accurately by comparing the nth number of times determined in the selected olfactory test protocol with the number of times the testee smelled the fragrance discharged through the fragrance discharging unit. That is, the number of times the inspected person smells the scent discharged through the fragrance discharging unit is the number of times the proximity sensor unit detects that the face of the examinee is adjacent to the fragrance discharging unit, so the number of fragrance discharge actually discharged through the fragrance discharging unit It is because there is no choice but to become the following.

통신유닛(미도시)은 피검사자의 후각검사정보 즉 후각역치검사결과정보 및 위양성검사결과정보를 피검사자의 주치의가 접근할 수 있는 병원서버로 송신하고, 주치의의 피드백정보를 포함하는 후각검사와 관련된 각종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요소로서, 하우징유닛(300)에 내장되어 설치되는데 통신유닛은 유무선 통신을 제한하지 않고 공지된 모든 구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일 구현예로서 후각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1)에서 직접 외부의 병원서버로 전송하는 경우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방식으로 외부시스템으로 통신이 가능하게 통신유닛이 구현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transmits olfactory test information, that is, olfactory threshold test result information and false positive test result information, to a hospital server accessible to the inspected physician, and various related to olfactory tests including feedback information from the attending physician. As a component for receiving information, it is installed and installed in the housing unit 300. The communication unit may use any known configuration without limiting wired/wireless communication, but as one embodiment, the olfactory threshold and false positive self-inspection device 1 In the case of direct transmission to an external hospital server, a communication unit may be implemented to enable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system in the form of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REST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SOAP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근접센서유닛(미도시)은 피검사자가 후각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1)를 이용하여 실제로 후각검사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향기토출유닛(400) 특히 관통공부(410)에 인접하여 상부 하우징유닛(330)의 상부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근접센서유닛은 피검사자의 얼굴이 관통공부(410)를 향하고 있음을 감지할 수 있기만 하면 공지된 모든 센싱기술을 다 적용할 수 있으나, 일 구현예로서 근접센서일 수 있다. The proximity sensor unit (not shown) is a component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testee actually performs olfactory testing using the olfactory threshold and the false positive self-testing apparatus 1, and the fragrance discharging unit 400, particularly the through hole 410 Adjacent to the upper housing unit 330 may be installed on the outer side. The proximity sensor unit can apply all known sensing techniques as long as it can detect that the subject's face is facing the through hole 410, but may be a proximity sensor as an embodiment.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후각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의 구성을 도 2a 내지 도 2c,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각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상부하우징(330)의 내부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며, 도 2c는 도 2a에 도시된 후각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향기토출유닛과 캡슐부재의 배치상태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후각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의 구성은 상술된 제1실시예의 구성과 향기토출유닛(400)의 구성만이 상이할 뿐 나머지 구성요소는 동일하므로 향기토출유닛(400)이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olfactory threshold and false positive self-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A to 2C and 4 to 6. Figure 2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lfactory threshold and false positive self-tes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upper housing 330 shown in Figure 2a, Figure 2c is Figure 2a It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fragrance discharging unit and the capsule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olfactory threshold and the false positive self-testing device shown in FIG. On the other hand, the configuration of the olfactory threshold and false positive self-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fragrance discharging unit 400, and the rest of the components are the same, thus discharging the fragrance The unit 400 will be described only for the configuration.

향기토출유닛(400)은 하우징유닛(300)에 포함된 닫힌 공간 상면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설치되어 이동유닛(200)에 의해 일정위치로 이동된 특정 캡슐부(110)에 담긴 향기를 일정시간 토출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다른 구현예로서 향기토출유닛(400)은 관통공부(410), 커버부(420) 및 이동가이드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향기토출유닛(400)의 구성 중 관통공부(410) 및 커버부(420)의 구성 또한 상술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동가이드부(440)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fragrance discharging unit 400 is installed to constitute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losed space included in the housing unit 300 and discharges the fragrance contained in the specific capsule unit 110 moved to a certain position by the moving unit 200 for a predetermined time. It is a component. As another embodiment, the fragrance discharging unit 400 may include a through-hole portion 410, a cover portion 420, and a moving guide portion 440. Here,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through-hole portion 410 and the cover portion 420 among the components of the fragrance discharging unit 400 is also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only the moving guide portion 4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이동가이드부(440) 또한 중공돌출부(430)와 동일하게 캡슐부(110)에서 발산되는 향기가 다른 곳으로 흩어지지 않고 관통공부(410)를 통해 거의 대부분 토출되도록 보조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힌 공간의 상면 하부에 삽입되는 원판상 판상구조(441)를 갖고 그 판상구조(441)의 중심에 이동유닛(200)의 회전축부재(221) 상부와 고정되는 고정부재(442)가 형성되며 설치된 다수의 캡슐부(110)와 각각 대향하는 위치에 캡슐부(110)의 상단부가 삽입되도록 판상구조(441)를 관통하여 다수의 관통삽입홀(443)이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moving guide part 440 is also a component for assisting in such that the fragrance emitted from the capsule part 110, like the hollow protrusion part 430, is almost always discharged through the through hole part 410 without being scattered elsewhere. A fixed member having a disk-shaped plate structure 441 inserted into a lower surface of the closed space as shown in 2b and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shaft member 221 of the mobile unit 200 at the center of the plate-shaped structure 441 ( 442) is formed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443 are formed by penetrating through the plate-shaped structure 441 so that the upper ends of the capsules 110 are inserted at positions facing each of the plurality of capsules 110 installed. Can be.

여기서, 판상구조(441)의 직경은 상부하우징(330)직경보다 작지만 캡슐유닛(100)에 포함된 모든 캡슐부(110)가 설치된 면적을 커버할 수 있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필요한 경우 판상구조(441)의 직경은 상부하우징(330)과 초 근접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직경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판상구조(441)의 두께는 회전축부재(221)의 높이를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는데, 회전축부재(221)에 판상구조(441)가 고정부재(442)를 통해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상부하우징(330)의 원판부재(331)의 내면과 초 근접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diameter of the plate-shaped structure 441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upper housing 330, but may have a diameter capable of covering the area where all the capsules 110 included in the capsule unit 100 are installed. If necessary, the diameter of the plate-shaped structure 441 may be formed to a diameter capable of maintaining a super close distance from the upper housing 330. The thickness of the plate-shaped structure 441 may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height of the rotating shaft member 221. In the state in which the plate-shaped structure 441 is fixedly installed through the fixing member 442 on the rotating shaft member 221, the upper housing 330 ) May be formed to a thickness capable of maintaining a super close distanc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isk member 331.

고정부재(442)는 판상구조(441)의 중심에 형성되어 회전축부재(221)와 고정될 수 있기만 하면 제한되지 않지만, 일 구현예로서 회전축부재(221) 상부가 억지끼움으로 끼워질 수 있는 직경의 고정홈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fixing member 442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late-shaped structure 441 and can be fixed with the rotating shaft member 221, but as an embodiment, the diameter of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shaft member 221 can be fitted by interference fit. It can be implemented as a fixed groove.

관통삽입홀(443)은 판상구조(441)의 가장자리 측으로 바닥판부(210)에 형성된 안착홈(211)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홀로서 그 직경은 캡슐부(110)가 삽입될 수 있는 직경이다.The through-insertion hole 443 is a through-hole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seating groove 211 formed in the bottom plate portion 210 toward the edge of the plate-shaped structure 441, the diameter of which can be inserted into the capsule portion 110 Diameter.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가이드부(4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442)에 의해 회전축부재(221)의 상부에 고정됨으로써 상부하우징(330)과 초 근접거리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이동유닛(200)에 의해 향기토출유닛(400)의 관통공부(410)의 하부에 캡슐부(110)의 상부가 위치하도록 마찰 없이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 할 수 있다.The movement guide part 44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shaft member 221 by the fixing member 442, as shown in FIG. 6, and is install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housing 330 at a very close distance. The moving unit 200 may guide the movement of the fragrance discharging unit 400 without friction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capsule portion 110 is positioned below the through hole portion 410.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후각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의 구성을 도 3a 내지 도 3c, 도 4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3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각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상부하우징(330)의 내부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며,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후각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향기토출유닛과 캡슐부재의 배치상태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후각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의 구성은 상술된 제2실시예와 동일하게 제1실시예의 구성과 향기토출유닛(400)의 구성만이 상이할 뿐 나머지 구성요소는 동일하므로 향기토출유닛(400)이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olfactory threshold and false positive self-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A to 3C and 4 to 5C. Figure 3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lfactory threshold and false positive self-tes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upper housing 330 shown in Figure 3a, Figure 3c is a It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fragrance discharging unit and the capsule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olfactory threshold and the false positive self-testing device shown in 3a are combined. On the other hand, the configuration of the olfactory threshold and false positive self-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fragrance discharging unit 400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Since the components are the same, the fragrance discharging unit 400 will be described only for the configuration.

향기토출유닛(400)은 하우징유닛(300)에 포함된 닫힌 공간 상면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설치되어 이동유닛(200)에 의해 일정위치로 이동된 특정 캡슐부(110)에 담긴 향기를 일정시간 토출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또 다른 구현예로서 향기토출유닛(400)은 관통공부(410), 커버부(420) 및 이중격벽가이드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향기토출유닛(400)의 구성 중 관통공부(410) 및 커버부(420)의 구성 또한 상술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중격벽가이드부(450)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fragrance discharging unit 400 is installed to constitute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losed space included in the housing unit 300 and discharges the fragrance contained in the specific capsule unit 110 moved to a certain position by the moving unit 200 for a predetermined time. It is a component. As another embodiment, the fragrance discharging unit 400 may include a through-hole portion 410, a cover portion 420, and a double bulkhead guide portion 440. Here,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through-hole portion 410 and the cover portion 420 among the components of the fragrance discharging unit 400 is also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only the double bulkhead guide portion 4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이중격벽가이드부(450) 또한 중공돌출부(430) 및 이동가이드부(440)와 동일하게 캡슐부(110)에서 발산되는 향기가 다른 곳으로 흩어지지 않고 관통공부(410)를 통해 거의 대부분 토출되도록 보조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하우징(330) 특히 원판부재(331)의 하면 중 바닥판부(210)의 안착홈(211)에 안착된 다수의 캡슐부(110)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수직하게 캡슐부(110)가 삽입될 수 있는 폭을 갖도록 서로 이격되어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내측격벽부(451)와 외측격벽부(4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double bulkhead guide part 450 also has the same scent emitted from the capsule part 110 as the hollow protrusion part 430 and the moving guide part 440 without being scattered elsewhere, and is almost always discharged through the through hole part 410. As a component for assisting, as shown in FIG. 3B, a plurality of capsules 110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211 of the bottom plate part 210 among the upper housing 330, especially the lower surface of the disk member 331,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inner partition wall portion 451 and an outer partition wall portion 452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have a width in which the capsule portions 110 can be inserted vertically at opposite positions and extend to a predetermined length.

이와 같이 향기토출유닛(400)이 이중격벽가이드부(450)를 포함하는 경우, 이중격벽 가이드부(450)의 내부 즉 내측격벽부(451)와 외측격벽부(452)사이의 이격공간에 다수의 캡슐부(110)의 상단부가 상부하우징(330)의 하면 즉 원판부재(331)의 하면과 초 근접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삽입되어야 하므로, 측면하우징(320)의 높이를 원판부재(331)의 하면과 캡슐부의 상단부가 초 근접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면 이중격벽가이드부(450)는 이동유닛(200)에 의해 특정 캡슐부 상단부가 향기토출유닛(400)의 관통공부(410)에 위치하도록 이동시 마찰 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ragrance discharging unit 400 includes the double bulkhead guide part 450, a plurality of spaces between the inner part of the double bulkhead guide part 450, that is, the inner partition part 451 and the outer partition part 452, are provided. Since the upper end of the capsule portion 110 of the upper housing 330 should be inserted in a state maintaining an ultra close distanc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disc member 331, the height of the side housing 320 is the disc member 331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end of the capsule can be adjusted to maintain an ultra close distance. When configured in this way, the double bulkhead guide portion 450 may guide the specific capsule portion by the moving unit 200 to move without friction when moving such that it is located in the through hole portion 410 of the fragrance discharging unit 400.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상술된 구성을 갖는 후각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1)는 피검사자의 자택은 물론 병원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지된 방식의 유선 코드형식이 아니라 하우징유닛(300)에 배터리를 내장하여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Although not specifically described, the olfactory threshold and false positive self-inspection apparatus 1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not a wired cord type of a known method, but a housing unit 300 in order to easily use power in a home as well as a hospital. The battery can be built in and used as a portable device.

다음으로, 상술된 구성을 갖는 후각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를 이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후각검사 특히 후각역치검사방법을 살펴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기본평가단계, 휴지하는 단계, 1차평가단계, 2차평가단계 및 3차평가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Next, looking at the olfactory threshold and the olfactory threshold tes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olfactory threshold and false positive self-testing device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7, the basic evaluation stage, the resting stage, the primary evaluation It may include a step, a second evaluation step and a third evaluation step.

먼저, 기본평가단계는 부탄올이 내장된 캡슐부로부터 가장 고농도인 부탄올 향기가 수초 내지 수십 초 토출되고, 토출된 향기를 피검사자가 감지할 수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는 가장 강한 향기가 토출되므로 이 단계에서 토출된 향기를 피검사자가 감지하지 못한다면 후각 기능에 문제가 있거나 피검사자가 거짓 선택을 하고 있을 확률이 높다. 따라서, 기본평가단계에서 토출된 향기를 피검사자가 감지하지 못하면 이후 단계를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검사를 종료하고, 후각 위양성검사 및 후각식별검사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휴지하는 단계는 기본평가단계에서 매우 강한 부탄올 향기에 노출된 피검사자의 후각이 순응되는 것을 피하기 위한 단계로서 수분 정도 향기를 토출하지 않고 기다리는데 일 구현예로서 2분 내지 5분 정도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First, the basic evaluation step is a step of evaluating whether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butanol scent is discharged for several seconds to tens of seconds from the capsule unit containing the butanol, and whether the inspected person can detect the emitted fragrance. Since the strongest scent is discharged in this step, if the subject cannot detect the scent discharged in this step,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there is a problem with the olfactory function or that the testee is making a false choice. Therefore, if the test subject does not detect the fragrance discharged in the basic evaluation step, there is no need to perform the subsequent step, so the test can be terminated and one or more of the olfactory false positive test and the olfactory identification test can be performed. The resting step is a step for avoiding acclimatization of the subject exposed to a very strong butanol scent in the basic evaluation step, and may wait 2 minutes to 5 minutes as an embodiment to wait without discharging the fragrance.

1차 평가단계는 제1감지단계, 휴지하는 단계 및 제2감지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로서 후각이 예민한 경우 1차 평가단계만으로 후각역치결과를 얻을 수 있지만, 후각이 예민하지 못하게 되면 1차 평가단계만으로 후각역치결과를 얻을 수 없으므로 순차적으로 2차 및 3차 평가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The first evaluation step is a step of perform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sensing step, the resting phase, and the second sensing step. If the sense of smell is sensitive, the threshold value can be obtained only by the first evaluation step, but if the sense of smell is not sensitive, Since the olfactory threshold result cannot be obtained only by the first evaluation step, the second and third evaluation steps may be sequentially performed.

여기서, 제1감지단계는 부탄올, 임의 향기물질1 및 임의 향기물질2가 각각 내장된 3개의 캡슐부로부터 가장 저농도인 제n농도로 조절된 향기가 무작위 순서로 각각 수초 내지 수십 초 토출되고, 토출된 향기를 순차적으로 맡은 피검사자에 의해 부탄올 향기가 나는 캡슐부가 선택되는 단계로서, 일 구현예로서 16단계로 향기의 농도를 조절하는 경우 첫 번째로 수행되는 제1감지단계에서 제n농도는 가장 약한 향기를 갖는 제16단계로 조절된 농도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기본평가단계에서는 가장 높은 농도인 1단계의 농도로 조절된 향기가 토출되고, 첫 번째로 수행되는 1차 평가단계에서 제1감지단계에서는 가장 약한 농도인 16단계의 농도로 조절된 향기가 토출될 수 있다. 휴지하는 단계는 피검사자 후각의 순응을 피하기 위한 것으로 수초 내지 수십초 휴지하여 수행된다. 제2감지단계는 휴지하는 단계가 수행된 후 다시 제1감지단계가 그대로 재수행되는 단계이다.Here, in the first sensing step, the fragrance adjusted to the nth concentration, which is the lowest concentration, is discharged for several seconds to tens of seconds, respectively, from the three capsules each containing butanol, optional fragrance material 1, and optional fragrance material 2, respectively, and discharged. As a step in which the capsule part having the butanol fragrance is selected by the testee who sequentially took the scent, the n concentration is the weakest in the first detection step performed in the first detection step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fragrance is controlled in 16 steps as an embodiment. It may mean the concentration adjusted to the sixteenth step with fragrance. Therefore, in the basic evaluation step, the fragrance adjusted to the concentration of the highest concentration in step 1 is discharged, and in the first evaluation step performed first, the fragrance adjusted to the concentration of 16 levels, which is the weakest concentration in the first detection step. Can be discharged. The resting step is to avoid acclimatization of the subject's sense of smell and is performed by resting for several seconds to tens of seconds. The second detection step is a step in which the first detection step is performed again as it is after the rest step is performed.

2차평가단계는 상술된 바와 같이 1차평가단계에서 수행되는 제1감지단계 및 제2감지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얻어진 피검사자의 부탄올캡슐부 선택결과에 따라 제1감지단계 및 제2감지단계에서 모두 맞으면 역치검사종료하거나 또는 제1 및 제2감지단계 중 어느 하나라도 틀리면 현재 농도보다 2단계 높은 농도로 조절된 향기가 토출된 상태로 제1감지단계 및 제2감지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이다.The second evaluation step is performed in the first detection step and the second detection step according to the result of selection of the butanol capsule portion of the test subject obtain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detection step and the second detection step performed in the first evaluation step as described above. If all are correct, the threshold test is terminated, or if any of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steps is wrong, at least one of the first sensing step and the second sensing step is performed with the fragrance adjusted to a concentration two levels higher than the current concentration. It is a step.

일구현예로서 1차평가단계 중 제1감지단계에서 부탄올이 내장된 캡슐부가 선택되고, 휴지단계 후 수행된 제2감지단계에서도 부탄올이 내장된 캡슐부가 선택되면 역치검사를 종료하고 16점을 피검사자의 후각역치로 결정할 수 있다.As an example, if the capsule part containing butanol is selected in the first sensing step during the first evaluation step, and the capsule part containing butanol is also selected in the second sensing step performed after the resting step, the threshold test is ended and 16 points are tested. It can be determined by the olfactory threshold.

하지만, 제1 및 제2감지단계 중 어느 하나라도 틀리면 현재 농도보다 2단계 높은 농도로 조절된 향기가 토출된 상태로 상술된 바와 동일하게 제1 및 제2 감지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However, if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steps is wrong,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steps may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with the fragrance adjusted to a concentration two levels higher than the current concentration discharged.

예를 들어 1차 평가단계에서 16단계의 농도로 조절된 향기가 토출된 상태로 수행된 제1감지단계에서 피검사자가 부탄올캡슐부를 선택하지 못하거나, 제1감지단계에서는 피검사자가 부탄올캡슐부를 선택했지만 제2감지단계에서는 선택하지 못하게 되면 14단계의 농도로 조절된 향기가 토출된 상태로 다시 제1감지단계가 수행되는 것이다.For example, in the first evaluation step, the test subject could not select the butanol capsule part in the first sensing step performed with the fragrance adjusted to the concentration of 16 steps, or the test subject selected the butanol capsule part in the first sensing step. In the second sensing step, if it cannot be selected, the first sensing step is performed again with the fragrance adjusted to the concentration of 14 steps discharged.

3차 평가단계는 2차 평가단계에서 2단계 높은 농도로 조절된 향기가 토출된 상태로 수행되는 제1감지단계 및 제2감지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얻어진 피검사자의 부탄올캡슐부 선택결과에 따라, 제1감지단계 및 제2감지단계에서 모두 맞으면 토출된 현재농도보다 1단계 낮은 농도로 조절된 향기가 토출된 상태로 제1감지단계 및 제2감지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거나 또는 제1 감지단계 및 제2 감지단계에서 중 어느 하나라도 틀리면 현재 농도보다 2단계 높은 농도로 조절된 향기가 토출된 상태로 제1감지단계 및 제2감지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이다.The third evaluation step is based on the result of the selection of the butanol capsule part of the test subject obtain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detection step and the second detection step in which the fragrance adjusted to the high concentration in the second step in the second evaluation step is discharged, If both the first sensing step and the second sensing step are correct, at least one of the first sensing step and the second sensing step is performed or the first sensing is performed with the fragrance adjusted to a concentration that is one level lower than the discharged current concentration. If any one of the steps and the second sensing step is wrong, it is a step of perform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sensing step and the second sensing step in a state in which the fragrance adjusted to a concentration two levels higher than the current concentration is discharged.

예를 들어, 14단계의 농도로 조절된 향기가 토출된 상태로 수행된 제1감지단계에서 피검사자가 부탄올캡슐부를 선택하고, 휴지하는 단계 후 수행된 제2감지단계에서도 피검사자가 부탄올캡슐부를 선택하면 토출된 현재농도(14단계농도)보다 1단계 낮은 15단계로 조절된 향기가 토출된 상태로 다시 제1감지단계를 수행할 수 있는데, 이 때도 피검사자가 부탄올캡슐부를 선택하면 휴지하는 단계 후 15단계 농도로 제2감지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test subject selects the butanol capsule part in the first sensing step performed with the fragrance adjusted to the concentration of step 14, and in the second sensing step performed after the resting step, the test subject selects the butanol capsule part. The first sensing step can be performed again with the fragrance adjusted to 15 steps, one level lower than the current concentration (14-step concentration) discharged. At this time, if the test subject selects the butanol capsule part, it is 15 steps after the resting step. A second detection step may be performed at a concentration.

하지만, 14단계의 농도로 조절된 향기가 토출된 상태로 수행된 제1감지단계에서 피검사자가 부탄올캡슐부를 선택하지 못하거나, 14단계의 농도로 조절된 제1감지단계에서는 피검사자가 부탄올캡슐부를 선택했지만 휴지하는 단계 후 수행된 제2감지단계에서는 올바로 선택하지 못하게 되면 현재 농도(14단계의 농도)보다 2단계 높은 농도인 12단계의 농도로 조절된 향기가 토출된 상태로 다시 제1감지단계가 수행되는 것이다.However, in the first sensing step performed with the fragrance adjusted to the concentration of step 14 discharged, the test subject cannot select the butanol capsule part, or in the first sensing step adjusted to the concentration of step 14, the test subject selects the butanol capsule part. However, in the second sensing step performed after the resting step, if the correct selection is not made, the first sensing step is performed again with the fragrance adjusted to the concentration of 12 steps, which is a concentration two steps higher than the current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of 14 steps). Is done.

따라서, 상술된 3차 평가단계는 적어도 7개의 전환점이 생기거나, 제n농도로 조절된 향기가 토출된 상태로 제1감지단계 및 제2감지단계가 수행될 때 얻어진 피검사자의 부탄올캡슐부 선택결과가 모두 맞을 때까지 수회 반복되어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n차 평가단계, n-1차 평가단계 및 n+1차 평가단계, 4차 평가단계, 5차 평가단계 등의 용어는 모두 7개의 전환점이 생길 때까지 상술된 기준에 따라 3차 평가단계가 반복되어 수행되는 단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구분의 편의를 위해 서로 다르게 명명한 것이다.Therefore, in the above-described third evaluation step, the result of the selection of the butanol capsule part of the test subject obtained when the first detection step and the second detection step are performed with at least seven turning points or the fragrance adjusted to the nth concentration is discharged. It can be repeated several times until all fit. The terms n-th evaluation step, n-1st evaluation step, n+1st evaluation step, 4th evaluation step, 5th evaluation step, etc., used in the following are all based on the above-mentioned criteria until 7 turning points occur. This refers to the step in which the primary evaluation step is repeatedly performed, and is differently named for convenience of classification.

여기서, 전환점은 n차 평가단계를 기준으로 그 이전인 n-1차 평가단계의 제1 및 2 감지단계에서 토출되는 향기의 농도가 n차 평가단계의 제1 및 제2 감지단계에서 토출되는 향기의 농도보다 낮을 때는 n+1차 평가단계의 제1 및 제2 감지단계에서 토출되는 향기의 농도가 n차 평가단계의 제1 및 2감지단계에서 토출되는 향기의 농도보다 낮은 경우, 및 n-1차 평가단계의 제1 및 제2 감지단계에서 토출되는 향기의 농도가 n차 평가단계의 제1 및 제2 감지단계에서 토출되는 향기의 농도보다 높을 때는 n+1차 평가단계의 제1 및 제2 감지단계에서 토출되는 향기의 농도가 n차 평가단계의 제1 및 제2감지단계에서 토출되는 향기의 농도보다 높은 경우로서 이와 같은 조건이 되면 상기 n차 평가단계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변곡점을 의미한다.Here, the turning point is based on the n-th evaluation step, the concentration of the fragrance discharged in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steps of the n-1th evaluation step, which is earlier, the fragrance discharged in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steps of the n-th evaluation step When the concentration is lower than the concentration of the fragrance discharged in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steps of the n+1st evaluation step is lower than the concentration of the fragrance discharged in the first and 2 detection steps of the nth evaluation step, and n-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fragrance discharged in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steps of the first evaluation step is higher than the concentration of the fragrance discharged in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steps of the nth evaluation step, the first and second n+1 evaluation steps and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fragrance discharged in the second detection step is higher than the concentration of the fragrance discharged in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steps of the n-th evaluation step, and when such conditions are met, the inflection point that occurs naturally in the n-th evaluation step is determined. it means.

예를 들어 n차 평가단계를 4차 평가단계(3차 평가단계가 1회 반복되는 단계)로 가정하면, n-1번째 평가단계는 3차 평가단계를 의미하고, n+1번째 평가단계는 5차 평가단계(3차평가단계가 2회 반복되는 단계)를 의미하므로, 상술된 바와 같이 3차 평가단계의 제1 및 제2감지단계에서 토출되는 향기의 농도가 15단계인 경우를 3차 평가단계의 제1감지단계1로 정의하고, 12단계인 경우를 3차 평가단계의 제1감지단계2로 정의할 수 있다.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nth evaluation step is the fourth evaluation step (the third evaluation step is repeated once), the n-1th evaluation step means the third evaluation step, and the n+1st evaluation step is As it means the 5th evaluation step (the 3rd evaluation step is repeated twice), as described above, the case where the concentration of the fragrance discharged in the 1st and 2nd detection steps of the 3rd evaluation step is the 15th step The first detection step 1 of the evaluation step may be defined, and the case of the 12th step may be defined as the first detection step 2 of the third evaluation step.

띠라서, 4차 평가단계의 제1 및 제2감지단계에서 토출되는 향기의 농도는 3차 평가단계의 제1감지단계1 즉 15단계인 경우 제1감지단계 및 제2감지단계에서 피검사자가 모두 부탄올캡슐부를 선택하게 되면 즉 모두 맞추면 제16단계가 되고 어느 하나라도 틀리면 제13단계가 되며, 3차 평가단계의 제1감지단계2 즉 농도가 13단계인 경우는 제1감지단계 및 제2감지단계에서 모두 맞추면 제13단계가 되고 어느 하나라도 틀리면 제10단계가 된다. Therefore, the concentration of the fragrance discharged from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stages in the fourth evaluation stage is the first detection stage 1 in the third evaluation stage, i.e., in the 15th stage, in the first detection stage and in the second detection stage, the subjects are both If the butanol capsule part is selected, that is, if it is all matched, it becomes the 16th step, and if any of them are wrong, it becomes the 13th step. If everything is matched in the steps, it becomes the 13th step, and if any of them is wrong, it becomes the 10th step.

또한, 5차 평가단계의 제1 및 제2 감지단계에서 토출되는 향기의 농도는 4차 평가단계의 제1 및 제2감지단계에서 토출되는 향기의 농도가 제16단계인 경우 모두 맞추면 제16단계의 농도를 연속으로 맞히게 되어 검사가 종료되고, 어느 하나라도 틀리면 제14단계가 된다. 반면, 5차 평가단계의 제1 및 제2 감지단계에서 토출되는 향기의 농도는 4차 평가단계의 제1 및 제2감지단계에서 토출되는 향기의 농도가 제13단계인 경우는 모두 맞추면 14단계가 되고, 어느 하나라도 틀리면 제11단계가 된다. 또한 5차 평가단계의 제1 및 제2 감지단계에서 토출되는 향기의 농도는 4차 평가단계의 제1 및 제2감지단계에서 토출되는 향기의 농도가 제10단계인 경우는 모두 맞추면 제11단계가 되고 어느 하나라도 틀리면 제8단계가 된다. In addition, if the concentration of the fragrance discharged in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steps of the fifth evaluation step is matched with the concentration of the fragrance discharged in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steps of the fourth evaluation step, the sixteenth step The test is terminated because the concentrations of are continuously set, and if any one of them is wrong, it becomes the 14th step. On the other hand, if the concentration of the fragrance discharged in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steps of the 5th evaluation step is the concentration of the fragrance discharged in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steps of the 4th evaluation step is the 13th step, it is 14 steps. And if any one is wrong, it becomes the eleventh step. In addition, if the concentration of the fragrances discharged in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steps of the 5th evaluation step is 10th, if the concentrations of the fragrances discharged in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steps of the 4th evaluation step are all matched, the 11th step If any one is wrong, it becomes the eighth step.

따라서, 일구현예로서 4차 평가단계가 전환점이 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상술된 바와 같이 4차 평가단계에서 토출되는 향기의 농도가 제13단계일 때 3차 평가단계에서 토출되는 향기의 농도가 제15단계이고 5차 평가단계에서 토출되는 향기의 농도가 제14단계나 제15단계인 경우 4차 평가단계가 전환점이 되며 그 때 점수는 4차 평가단계에서 토출되는 향기의 농도인 13점을 부여할 수 있다.Thus, as an example, looking at the case where the fourth evaluation step is a turning poin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fragrance discharged in the fourth evaluation step is the thirteenth step, the concentration of the fragrance discharged in the third evaluation step is removed. In the case of the 15th stage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fragrance discharged in the 5th evaluation stage is the 14th or 15th stage, the 4th evaluation stage becomes the turning point, and the score is given 13 points, the concentration of the fragrance discharged in the 4th evaluation stage. can do.

또한, 4차 평가단계에서 토출되는 향기의 농도가 제10단계일 때 3차 평가단계에서 토출되는 향기의 농도가 제12단계이고 5차 평가단계에서 토출되는 향기의 농도가 제15단계, 제14단계나 제11단계인 경우 모두 4차 평가단계가 전환점이 되며 그 때 점수는 4차 평가단계에서 토출되는 향기의 농도인 10점을 부여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fragrance discharged in the 4th evaluation step is the 10th step, the concentration of the fragrance discharged in the 3rd evaluation step is the 12th step,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fragrance discharged in the 5th evaluation step is the 15th, 14th In the case of the step or the eleventh step, the fourth evaluation step is the turning point, and the score can be given 10 points, which is the concentration of the fragrance discharged in the fourth evaluation step.

상술된 구현예에서는 n-1차 평가단계인 3차 평가단계에서 토출되는 향기의 농도가 n차 평가단계인 4차 평가단계에서 토출되는 향기의 농도보다 높을 때만 예를 들었으나, 낮은 경우에는 n+1차 평가단계에서 토출되는 향기의 농도가 n차 평가단계보다 높은 경우에만 n차 평가단계에서 발생하는 변곡점이 전환점임이 되는 것을 동일한 방식으로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 example is given only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fragrance discharged in the third evaluation step, which is the n-1st evaluation step, is higher than the concentration of the fragrance discharged in the fourth evaluation step, which is the n-th evaluation step, but in the low case, n In the same way,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inflection point generated in the n-th evaluation step is a turning point only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fragrance discharged in the +1st evaluation step is higher than the n-th evaluation step.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전환점을 계산하여 적어도 7개의 전환점이 생기거나, 제n농도 즉 제16단계의 농도로 조절된 향기가 토출된 상태로 제1감지단계 및 제2감지단계가 수행될 때 얻어진 피검사자의 부탄올캡슐부 선택결과가 모두 맞을 때까지 3차 평가단계를 수회 반복 수행한다. By calculating the turning point in this way, at least seven turning points are generated, or the subject obtained when the first sensing step and the second sensing step are performed with the fragrance adjusted to the nth concentration, that is, the concentration of the 16th step is performed. The third evaluation step is repeated several times until the selection results of the butanol capsules are all correct.

일 구현예로서 하기 표 1과 같이 피검사자의 역치는 7개의 전환점에서 얻어진 점수 중 나중에 얻어진 4개의 점수의 평균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As an example, as shown in Table 1 below, the test subject's threshold may be determined by an average of four scores obtained later among seven scores.

농도density 1One 22 33 44 55 66 II①II① II③II③ 77 II②II② IIII II⑦II⑦ 88 -- -- IIII II⑤II⑤ 99 IIII -⑥-⑥ 1010 -- -④-④ 1111 1212 -- 1313 1414 -- 1515 1616 --

II: correct answer, - : incorrect answer, II: correct answer,-: incorrect answer,

점수 = {10(④)+8(⑤)+9(⑥)+7(⑦)}/4= 8.5Score = {10(④)+8(⑤)+9(⑥)+7(⑦)}/4= 8.5

더 나아가 환자들이 이차적 이익 등을 이유로 거짓반응(malingering)을 보이는 경우 거짓반응 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장비 및 방법이 필요하다. Furthermore, equipment and methods for evalua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false reaction are needed when patients show malingering due to secondary benefits.

본 발명은 상술된 구성을 갖는 후각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를 이용하여 꾀병이나 가병(假病), 사병(詐病)을 확인할 수 있는 후각 위향성검사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두 가지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먼저, 냄새를 못 맡는 환자는 제 1번 뇌신경(cranial nerve), 후각신경이 이상이 있는 진성후각소실환자이다. 하지만 이와 같이 후각신경이 이상 있는 진성후각소실환자는 제5번뇌신경이 정상이므로, 제1번뇌신경 후각신경에 이상이 있다 하더라도, 제5번뇌신경인 삼차신경(trigerminal nerve)이 관장하는 암모니아 냄새 등은 맡을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익숙한 강한 농도의 커피향(후각신경관할)과 암모니아향(삼차신경관할)을 냄새 맡게 하는 경우, 진성후각소실 환자는 커피향은 못 맡지만 암모니아향은 맡을 수 있지만, 가병 또는 사병인 환자는 커피향과 암모니아향 모두를 못 맡는다고 진술하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method for testing olfactory inclination that can identify faint disease, leprosy, and pathogenesis using the olfactory threshold and false positive self-testing device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an be used. First, the patient who is unable to smell is a patient with true olfactory loss, having an abnormality in the first cranial nerve and olfactory nerve. However, since the fifth brain nerve is normal in patients with true olfactory loss of the olfactory nerve, even if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first brain nerve olfactory nerve, the smell of ammonia controlled by the trigerminal nerve, the fifth brain nerve, etc. Can take on. By using this, if the patient smells strong concentrations of coffee flavor (sensory nerve jurisdiction) and ammonia flavor (trigeminal nerve jurisdiction) that are familiar to the patient, patients with true olfactory loss cannot smell coffee but can smell ammonia. Or, a patient who is a soldier will state that he cannot smell both coffee and ammonia.

따라서, 상술된 구성을 갖는 후각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를 이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후각 위양성검사방법은 커피 및 암모니아가 각각 저장된 2개의 캡슐부로부터 커피 및 암모니아 향기가 토출되는 단계; 상기 토출된 향기의 감지여부에 대한 피검사자의 답변이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피검사자의 답변에 따라 피검사자의 후각감지에 대한 위양성이 평가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olfactory false positive tes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olfactory threshold and false positive self-examination device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omprises the steps of discharging coffee and ammonia scent from two capsules each storing coffee and ammonia; Inputting a response of an examinee about whether the discharged fragrance is detected; And evaluating false positives of the sense of smell of the examinee according to the response of the examinee.

여기서, 위양성이 평가되는 단계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검사자의 답변이 두 가지 향기를 모두 감지한 것으로 입력되면 피검사자의 후각이 정상으로 판단되고, 두 가지 향기를 모두 감지하지 못한다고 입력되면 피검사자가 위양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암모니아 향기만 감지한 것으로 입력되면 진성후각소실환자인 것으로 판단되는 것이다.Here, the step of evaluating false positives, as shown in FIG. 8, when the test subject's answer is input as detecting both scents, the sense of smell of the testee is determined to be normal, and if it is input that it does not detect both scents, the testee Is judged to have false positives, and if it is input that only ammonia scent is detected, it is determined that the patient has lost true scent.

또한 본 발명의 장치를 통해 후각식별검사(identification test)도 시행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의한 후각식별검사는 환자의 후각 잔존능력 정도와 위양성을 동시에 판별할 수 있는 검사로, 2가지 종류의 냄새로, 한 가지는 한번, 나머지 한 가지는 두 번, 총 3번의 냄새를 제시하여, 한번만 제시된 냄새를 식별하게 하는 검사이다. 각 다른 냄새들로 15회 정도 시행시하는 경우 잔존 후각능력이 좋은 사람은 식별하는 회수가 많을 것이며, 냄새를 전혀 못맡아 식별할 수 없는 사람은, 정답을 맞춘 회수가 0회가 아닌 통계학적으로 1/3 정도인 5회 정도를 맞추게 된다. 이를 이용하여, 0회 맞추는 사람은 위음성(malingering)의 가능성이 매우 높은 사람임을 알 수 있다. In addition, through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dentification test can also be performed, and the olfactory identification t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st capable of simultaneously determining the degree of olfactory residual ability and false positives of the patient. The test is to identify the odor presented only once by presenting a total of three odors, one for one and the other two. In the case of conducting about 15 times with different odors, those with good residual olfactory capacity will have a greater number of identifications, and those who cannot smell because they have no smell at all will be given statistically rather than 0 times. You will guess about 5 times, which is about 1/3. Using this, it can be seen that a person who matches 0 times is a person who has a very high possibility of malingering.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bu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By doing so,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possible.

1 : 후각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
100 : 캡슐유닛 110 : 캡슐부
110a, 110b, 110c, 110d, 110e, 100f: 제1 내지 제6 캡슐부
111 : 갭슐부재 112 :가열부재 113 : 향기물질
200 : 이동유닛 210 : 바닥판부
211 : 안착홈 220 : 회전부
221 : 회전축부재 222 : 회전연결부재
300 : 하우징유닛 310 : 하부하우징
311 : 원통형부재 312 : 돌출형연장부재
320 : 측면하우징 321 : 중공형 내부공간
322 : 관통형 원기둥부재 322a : 원기둥부재 하단부
322b :원기둥부재 상단부 330 : 상부하우징
331: 원판부재 332 : 수직하부연장부재
400 : 향기토출유닛 410 : 관통공부
420 : 커버부 430 : 중공돌출부
431 : 중공부 440 : 이동가이드부
441 : 판상구조 442 : 고정부재
443 : 관통삽입홀 450 : 이중격벽가이드부
451 : 내측격벽부 452 : 외측격벽부
453 : 격벽공간부
1: olfactory threshold and false positive self-inspection device
100: capsule unit 110: capsule unit
110a, 110b, 110c, 110d, 110e, 100f: first to sixth capsule parts
111: gap member 112: heating member 113: fragrance substance
200: mobile unit 210: bottom plate
211: seating groove 220: rotating part
221: rotating shaft member 222: rotating connecting member
300: housing unit 310: lower housing
311: cylindrical member 312: protruding extension member
320: side housing 321: hollow interior space
322: through cylindrical member 322a: cylindrical member lower part
322b: Cylindrical member upper part 330: Upper housing
331: disc member 332: vertical lower extension member
400: fragrance discharging unit 410: through hole
420: cover portion 430: hollow projection
431: hollow part 440: moving guide part
441: plate structure 442: fixing member
443: through insertion hole 450: double bulkhead guide section
451: inner partition part 452: outer partition part
453: partition wall space

Claims (18)

부탄올, 커피 및 암모니아를 포함하는 다수의 향기물질이 저장된 5개 이상의 캡슐부를 포함하는 캡슐유닛;
상기 캡슐유닛을 고정하고 일정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유닛;
상기 캡슐유닛 및 이동유닛이 설치될 수 있는 닫힌 공간을 포함하는 하우징유닛;
상기 하우징유닛에 포함된 닫힌 공간 상면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이동유닛에 의해 일정위치로 이동된 캡슐부에 담긴 향기를 일정시간 토출시키는 향기토출유닛; 및
상기 하우징유닛에 내장되고 상기 캡슐유닛, 이동유닛 및 향기토출유닛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캡슐부에 저장된 향기물질로부터 발산되는 향기의 농도를 가장 약한 농도단계에서 가장 강한 농도단계까지 적어도 5단계 내지 16단계로 구분하고 기 설정된 검사순서에서 정해진 농도로 상기 향기토출유닛을 통해 피검사자가 맡을 수 있는 향기를 토출시키고, 상기 피검사자가 토출된 향기를 맡은 후 선택한 입력정보에 따라 후각역치검사결과정보 및 위양성검사결과정보 중 하나 이상을 생성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
A capsule unit including five or more capsules in which a plurality of aroma substances including butanol, coffee, and ammonia are stored;
A moving unit that fixes the capsule unit and moves it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 housing unit including a closed space in which the capsule unit and the mobile unit can be installed;
A fragrance discharging unit which is installed to constitute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losed space included in the housing unit and discharges the scent contained in the capsule part mov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by the mobile unit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Built in the housing unit and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capsule unit, the mobile unit and the fragrance discharging unit, the concentration of the fragrance emitted from the fragrance material stored in the capsule is at least 5 steps from the weakest concentration step to the strongest concentration step. It is divided into 16 steps and discharges the scent that the testee can take through the scent discharging unit at the concentration determined in the preset test order. Threshold and false positive self-testing device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t least one of the test result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부는 일정직경 및 일정길이를 갖는 통형 캡슐부재, 상기 캡슐부재의 하면부와 측면부에 형성되는 가열부재 및 상기 캡슐부재내부에 저장되는 고체형 향기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의 제어에 의해 상기 가열부재가 열을 가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캡슐부에 저장된 고체형 향기물질로부터 일정 농도의 향기를 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apsule portion includes a cylindrical capsule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a predetermined length, a heating member formed on a lower surface portion and a side surface portion of the capsule member, and a solid fragrance material stored in the capsule member,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Threshold and false positive self-inspe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by discharging a predetermined concentration of fragrance from the solid fragrance material stored in the capsule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the heating member applies he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유닛이 6개의 갭슐부를 포함하는 경우, 2개의 캡슐부에는 부탄올이 저장되고, 1개의 캡슐부에는 커피가 저장되며, 1개의 캡슐부에는 암모니아가 저장되고, 2개의 캡슐부에는 임의 향기물질1 및 2가 각각 담겨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capsule unit includes six capsules, butanol is stored in two capsules, coffee is stored in one capsule, ammonia is stored in one capsule, and any scent is added to the two capsules. Threshold and false positive self-te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1 and 2 are contained respective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캡슐유닛에 포함된 다수의 캡슐부의 하부가 삽입고정 되는 다수의 안착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바닥판부 및 상기 바닥판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mobile unit includes a bottom plate portion in which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in which the lower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capsule portions included in the capsule unit are inserted and fixed are formed, and a rotating portion for rotating the bottom plate portion, wherein a threshold and false positive self-test is performed.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하우징유닛의 하부로부터 상기 바닥판부의 중심을 관통하여 지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회전축부재, 상기 바닥판부로 회전동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회전축부재와 상기 바닥판부를 연결하는 회전연결부재, 및 상기 회전축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바닥판부를 이동시키는 회전동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rotating portion is a rotating shaft member that penetrates through the center of the bottom plate portion from the bottom of the housing unit and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 rotating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rotating shaft member and the bottom plate portion so that rotational power is transmitted to the bottom plate portion, and Throttling and false positive self-inspection device comprising a rotating power member for rotating the rotating shaft member to move the bottom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유닛은 상기 닫힌 공간의 하면 및 측면 하단부를 이루어 상기 이동유닛의 바닥판부를 둘러싸는 하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닫힌 공간의 측면을 이루어 상기 캡슐유닛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측면하우징, 및 상기 측면하우징의 상단부를 덮어서 상기 캡슐유닛이 내장되는 상기 닫힌 공간의 상면을 이루는 상부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unit is formed to cover the capsule unit by forming a lower surface surrounding the bottom plate portion of the mobile unit and vertically extending from the lower housing to form a lower surface and a lower side surface of the closed space to form a side surface of the closed space. A threshold and false positive self-inspection device comprising a side housing and an upper housing covering an upper end of the side housing and forming an upper surface of the closed space in which the capsule unit is embedde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은 일정두께를 갖는 원통형부재와 상기 원통형부재의 외주연 내측 상부로 수직하게 일정높이 연장 형성되는 돌출연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하우징은 상기 돌출연장부재의 외측으로 끼워지는 직경을 갖고 상기 캡슐유닛보다 긴 길이를 갖는 중공형 내부공간을 형성하면서 상면과 하면이 없는 관통형 원기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하우징은 상기 측면하우징 상단부의 외측면과 끼워지는 내부직경을 갖는 원판부재와 상기 원판부재의 외주연에서 그 하부로 수직하게 일정길이 연장되는 수직하부연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lower housing includes a cylindrical member having a certain thickness and a protruding extension member vertically exten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toward the inner upper circumference of the cylindrical member, and the side housing has a diameter fitted outside the protruding extension member While forming a hollow inner space having a longer length than the capsule unit, and includes a through-type cylindrical member without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the upper housing is a disk member having an inner diameter fit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side of the side housing and the Threshold and false positive self-insp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ertical lower extension member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vertically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disc member to its lower por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유닛에 포함된 하부하우징, 측면하우징 및 상면하우징은 서로 탈부착가능하게 구성되는데, 상기 하부하우징의 돌출연장부재의 외측으로 상기 측면하우징의 관통형 원기둥부재의 하부가 끼워지고 상기 관통형 원기둥부재 상단부 외측으로 상기 상면하우징의 수직연장부재가 끼워져서 상기 하우징유닛은 전체적으로 상기 캡슐유닛보다 긴 높이를 갖고 그 내부에 상기 닫힌 공간이 형성된 원기둥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lower housing, the side housing, and the upper housing included in the housing unit are configur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each other,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through cylindrical member of the side housing is fitted to the outside of the protruding extension member of the lower housing and the through cylindrical member is inserted. Threshold and false positive self-insp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extension member of the upper housing is fitt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end, so that the housing unit has a height higher than that of the capsule unit as a whole and forms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the closed space is form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토출유닛은 상기 닫힌 공간의 상면을 형성하는 하우징유닛의 상부하우징 중 상기 다수의 캡슐부 중 어느 하나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부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된 1개의 관통공부, 상기 관통공부를 그 상부에서 덮도록 상부하우징에 설치되는 커버부 및 상기 관통공부의 하부로 수직하게 상기 관통공부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기둥형 중공부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1개의 중공돌출부를 포함하는 구조,
상기 닫힌 공간의 상면을 형성하는 하우징유닛의 상부하우징 중 상기 다수의 캡슐부 중 어느 하나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부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된 1개의 관통공부, 상기 관통공부를 그 상부에서 덮도록 상부하우징에 설치되는 커버부, 및 상기 닫힌 공간의 상면 하부에 삽입되는 판상구조를 갖고 그 판상구조의 중심에 상기 이동유닛의 회전축부재 상부와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설치된 다수의 캡슐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캡슐부의 상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판상구조를 관통하여 다수의 관통삽입홀이 형성된 이동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구조, 및
상기 닫힌 공간의 상면을 형성하는 하우징유닛의 상부하우징 중 상기 다수의 캡슐부 중 어느 하나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부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된 1개의 관통공부, 상기 관통공부를 그 상부에서 덮도록 상부하우징에 설치되는 커버부, 및 상부하우징의 하면 중 상기 다수의 캡슐부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수직하게 상기 캡슐부가 삽입될 수 있는 폭을 갖고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이중격벽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구조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ragrance discharging unit is one through hole formed through the upper housing at a position opposite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apsules of the upper housing of the housing unit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losed space, the through hole in the upper portion A structure including a cover portion installed in the upper housing so as to cover and one hollow protrusion formed to form a cylindrical hollow portion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e through hole portion vertically below the through hole portion,
Among the upper housing of the housing unit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losed space, one through hole formed by penetrating the upper housing at a position faci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apsules, and the upper housing so as to cover the through hole at the upper portion A cover portion to be installed, and a plate-like structure inserted into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losed space, and a fixing member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shaft member of the mobile unit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late-shaped structure and facing the plurality of installed capsule portions A structure including; a movement guide part throug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through the plate-shaped structure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capsule part is inserted into the
Among the upper housing of the housing unit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losed space, one through hole formed by penetrating the upper housing at a position opposite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apsules, and the upper housing so as to cover the through hole at the top Any one of the structures including a cover part to be installed and a double bulkhead guide part having a width at which the capsule part can be inserted vertically at a position facing the plurality of capsule part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and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Threshold and false positive self-te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이드부는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회전축부재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상부하우징과 초 근접 거리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이동유닛에 의해 상기 향기토출유닛의 관통공부의 하부에 상기 캡슐부의 상부가 위치하도록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moving guide part is fixed to the rotating shaft member by the fixing member so that it is install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housing at a very close distance,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capsule part is positioned below the through hole of the fragrance discharging unit by the moving unit. Threshold and false positive self-te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guide the movement to.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격벽 가이드부는 그 내부에 상기 다수의 캡슐부의 상단부가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면 내부에 초 근접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삽입되어, 상기 이동유닛에 의해 특정 캡슐부 상단부가 상기 향기토출유닛의 관통공부에 위치하도록 이동시 마찰 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double bulkhead guide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plurality of capsules therein maintaining a very close distance inside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the upper end of the specific capsule portion by the moving unit through hole of the fragrance discharging unit Threshold and false positive self-te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guide to move without friction when moving to be located in.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생성된 후각역치검사결과정보 및 위양성검사결과정보 중 하나 이상을 상기 피검사자의 주치의가 접근할 수 있는 병원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주치의의 피드백정보를 포함하는 후각검사관련정보를 수신하는 통신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Transmits one or more of olfactory threshold test result information and false positive test resul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to a hospital server accessible to the primary physician, and receives olfactory test 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feedback information of the primary physician Threshold and false positive self-test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부탄올이 내장된 캡슐부로부터 가장 고농도인 부탄올 향기가 수초 내지 수십 초 토출되고, 토출된 향기를 피검사자가 감지할 수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기본평가단계;
상기 기본평가단계에서 향기를 감지한 피검사자의 순응을 피하기 위해 수분 동안 휴지하는 단계;
부탄올, 임의 향기물질1 및 임의 향기물질2가 각각 내장된 3개의 캡슐부로부터 가장 저농도인 제n농도로 조절된 향기가 무작위 순서로 각각 수초 내지 수십 초 토출되고, 상기 토출된 향기를 순차적으로 맡은 피검사자에 의해 부탄올 향기가 나는 캡슐부가 선택되는 제1감지단계, 수초 내지 수십초 휴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감지단계가 그대로 재수행되는 제2감지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1차평가단계;
상기 1차평가단계에서 수행되는 상기 제1감지단계 및 제2감지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얻어진 피검사자의 부탄올캡슐부 선택결과에 따라 제1감지단계 및 제2감지단계에서 모두 맞으면 역치검사종료, 또는 상기 제1 및 제2감지단계 중 어느 하나라도 틀리면 현재 농도보다 2단계 높은 농도로 조절된 향기가 토출된 상태로 상기 제1감지단계 및 제2감지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2차평가단계; 및
상기 2차평가단계에서 2단계 높은 농도로 조절된 향기가 토출된 상태로 수행되는 상기 제1감지단계 및 제2감지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얻어진 피검사자의 부탄올캡슐부 선택결과에 따라, 제1감지단계 및 제2감지단계에서 모두 맞으면 토출된 현재농도보다 1단계 낮은 농도로 조절된 향기가 토출된 상태로 상기 제1감지단계 및 제2감지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 또는 상기 제1 감지단계 및 제2 감지단계에서 중 어느 하나라도 틀리면 현재 농도보다 2단계 높은 농도로 조절된 향기가 토출된 상태로 상기 제1감지단계 및 제2감지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3차평가단계;를 포함하는 역치검사방법.
A basic evaluation step of evaluating whether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butanol scent is discharged for several seconds to tens of seconds from the capsule unit containing the butanol, and whether the inspected person can detect the discharged fragrance;
Resting for a few minutes to avoid acclimatization of the test subject who sensed the scent in the basic evaluation step;
From the three capsules containing butanol, arbitrary scent substance 1, and random scent substance 2, respectively, the scent regulated to the lowest concentration nth concentration is discharged for several seconds to several tens of seconds in a random order, respectively, and the scent is discharged sequentially A first evaluation step of performing at least one of a first sensing step in which a capsule portion having a butanol scent is selected by a testee, a rest period of several seconds to tens of seconds, and a second sensing step in which the first sensing step is re-executed as it is;
If both of the first detection step and the second detection step are correc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election of the butanol capsule part of the test subject obtain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detection step and the second detection step performed in the first evaluation step, the threshold test ends, or If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steps is wrong, a second evaluation step of perform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sensing step and the second sensing step in a state in which a fragrance adjusted to a concentration two levels higher than the current concentration is discharged ; And
In the second evaluation step, the first detec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election of the butanol capsule part of the test subject obtain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detection step and the second detection step in which the fragrance adjusted to a high concentration in the second step is discharged. If both of the steps and the second sensing step are correct, at least one of the first sensing step and the second sensing step is performed or the first sensing step and the fragrance adjusted to a concentration one step lower than the discharged current concentration are discharged. And a third evaluation step of perform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sensing step and the second sensing step in a state in which a fragrance adjusted to a concentration two levels higher than the current concentration is discharged if any one of the second sensing steps is wrong. Threshold test method.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3차 평가단계는 7개의 전환점이 생기거나, 제n농도로 조절된 향기가 토출된 상태로 제1감지단계 및 제2감지단계가 수행될 때 얻어진 피검사자의 부탄올캡슐부 선택결과가 모두 맞을 때까지 수회 반복되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치검사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In the third evaluation step, when the results of the selection of the butanol capsule part of the test subject obtained when the first detection step and the second detection step are performed with seven turning points or the fragrance adjusted to the n concentration is discharged, all of the results are correct. Threshold tes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arried out repeatedly several times.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점은 n차 평가단계를 기준으로 그 이전인 n-1차 평가단계에서 토출되는 향기의 농도가 n차 평가단계에서 토출되는 향기의 농도보다 낮을 때는 n+1차 평가단계에서 토출되는 향기의 농도가 n차 평가단계에서 토출되는 향기의 농도보다 낮은 경우, 및
n-1차 평가단계에서 토출되는 향기의 농도가 n차 평가단계에서 토출되는 향기의 농도보다 높을 때는 n+1차 평가단계에서 토출되는 향기의 농도가 n차 평가단계에서 토출되는 향기의 농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n차 평가단계에서 발생하는 변곡점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치검사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The turning point is based on the n-th evaluation step,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fragrance discharged in the n-1th evaluation step, which is earlier, is lower than the concentration of the fragrance discharged in the n-th evaluation step, If the concentration is lower than the concentration of the fragrance discharged in the nth evaluation step, and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fragrance discharged in the n-1st evaluation step is higher than the concentration of the fragrance discharged in the n-th evaluation step, the concentration of the fragrance discharged in the n+1st evaluation step is higher than the concentration of the fragrance discharged in the n-th evaluation step. Threshold tes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means the inflection point generated in the n-th evaluation step if high.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평가단계에서 토출된 향기를 상기 피검사자가 감지하지 못하면 검사를 종료하고, 후각 위양성검사 및 후각식별검사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치검사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If the test subject does not detect the fragrance discharged in the basic evaluation step, the test is ended, and a threshold tes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more of the olfactory false positive test and the olfactory identification test are performed.
커피 및 암모니아가 각각 저장된 2개의 캡슐부로부터 커피 및 암모니아 향기가 토출되는 단계;
상기 토출된 향기의 감지여부에 대한 피검사자의 답변이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피검사자의 답변에 따라 피검사자의 후각감지에 대한 위양성이 평가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후각 위양성검사방법.
A step in which coffee and ammonia scents are discharged from two capsules each storing coffee and ammonia;
Inputting a response of an examinee about whether the discharged fragrance is detected; And
The method of evaluating the sense of smell of the testee according to the response of the testee; olfactory false positive test method comprising a.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양성이 평가되는 단계에서 상기 피검사자의 답변이 두 가지 향기를 모두 감지한 것으로 입력되면 피검사자의 후각은 정상으로 판단되고, 두 가지 향기를 모두 감지하지 못한다고 입력되면 피검사자가 위양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암모니아 향기만 감지한 것으로 입력되면 피검사자가 진성후각소실환자인 것으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각 위양성검사방법.
The method of claim 17,
In the step of evaluating the false positives, if the testee's response is input as detecting both scents, the sense of smell of the testee is judged to be normal, and if it is input that it does not detect both scents, the testee is determined to have false positives, A method of testing for olfactory false positive, characterized in that if only ammonia scent is detected, it is determined that the testee is a patient with true olfactory loss.
KR1020180146785A 2018-11-23 2018-11-23 Olfactory threshold and false-positive self-test device with the methods of olfactory threshold and false-positive self-te KR1021845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785A KR102184533B1 (en) 2018-11-23 2018-11-23 Olfactory threshold and false-positive self-test device with the methods of olfactory threshold and false-positive self-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785A KR102184533B1 (en) 2018-11-23 2018-11-23 Olfactory threshold and false-positive self-test device with the methods of olfactory threshold and false-positive self-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246A true KR20200061246A (en) 2020-06-02
KR102184533B1 KR102184533B1 (en) 2020-11-30

Family

ID=71090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6785A KR102184533B1 (en) 2018-11-23 2018-11-23 Olfactory threshold and false-positive self-test device with the methods of olfactory threshold and false-positive self-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453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1370A (en) * 2021-01-11 2022-07-19 주식회사 에스아이솔루션 Automatic smell-training applian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58322B1 (en) 1999-05-26 2003-05-06 Analysis Research Ag Method to determine olfactory perception
KR20070099100A (en) 2006-04-03 2007-10-09 이재수 Cartridge for testing smell sense
KR20140005607U (en) * 2013-04-22 2014-10-30 치엔-창 쑤 A Automatic injection type air freshener
KR101691396B1 (en) * 2015-05-11 2016-12-30 유수진 Aroma lamp with LED
JP2017529885A (en) * 2014-07-11 2017-10-12 インスパイアード 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Improve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left-right difference in olfactory detection threshold for pure olfactory agent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58322B1 (en) 1999-05-26 2003-05-06 Analysis Research Ag Method to determine olfactory perception
KR20070099100A (en) 2006-04-03 2007-10-09 이재수 Cartridge for testing smell sense
KR20140005607U (en) * 2013-04-22 2014-10-30 치엔-창 쑤 A Automatic injection type air freshener
JP2017529885A (en) * 2014-07-11 2017-10-12 インスパイアード 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Improve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left-right difference in olfactory detection threshold for pure olfactory agents
KR101691396B1 (en) * 2015-05-11 2016-12-30 유수진 Aroma lamp with LE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1370A (en) * 2021-01-11 2022-07-19 주식회사 에스아이솔루션 Automatic smell-training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4533B1 (en) 2020-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6395B2 (en) Method for screening a patient for alzheimer's disease
Tyler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tinnitus primary function questionnaire
Hicks et al. Listening effort and fatigue in school-age children with and without hearing loss
US10682087B2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testing human olfactory systems
Renner et al. The candy smell test: a new test for retronasal olfactory performance
US20180110457A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testing human olfactory systems
JP2021527517A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mood disorders
US20190142326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esting olfactory sensitivity
Robinson Properties of the diffuse thalamocortical system and human personality: A direct test of Pavlovian/Eysenckian theory
US20190021645A1 (en) Olfaction test device
WO2008076870A2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active cognitive testing
KR20200061246A (en) Olfactory threshold and false-positive self-test device with the methods of olfactory threshold and false-positive self-te
KR102214413B1 (en) User-friendly Olfactory self- training and feedback system
US20240091531A1 (en)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Weineck et al. Using bodily postures in the treatment of anorexia nervosa: Effects of power posing on interoception and affective states
US20020099276A1 (en) Method and system for acquiring at least one measured quantity for the diagnosis or the evaluation of the pathogenesis of a central nervous system disorder of a person
KR20230068857A (en) Self-olfaktometrie system
Maurischat et al. Preliminary validation of a German version of pain stages of change questionnaire
KR20140024761A (en) Tube-type kit for smell identification test
KR102190747B1 (en) Device and method of olfactory test for a parkinson's disease
Beauchamp et al. Reliability of nurses' neurological assessments in the cardiothoracic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ES2203808T3 (en) ELECTROMEDICAL DEVICE.
Strickland A Bionic Nose to Smell the Roses Again: Covid Survivors Drive Demand for a Neuroprosthetic Nose
Pistoia et al. Integrated ICT system for the implementation of rehabilitation therapy for Alzheimer’s patients and for the improvement of quality and efficiency in managing their health: the rehab-dem project
Boyd-Meredith Cognitive Dynamics during Formation and Revision of Perceptual Decis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