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0696A - 풍력이나 태양광 또는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을 활용한 선박 - Google Patents

풍력이나 태양광 또는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을 활용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0696A
KR20200060696A KR1020200052991A KR20200052991A KR20200060696A KR 20200060696 A KR20200060696 A KR 20200060696A KR 1020200052991 A KR1020200052991 A KR 1020200052991A KR 20200052991 A KR20200052991 A KR 20200052991A KR 20200060696 A KR20200060696 A KR 20200060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wind
power generation
coupled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2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9651B1 (ko
Inventor
선상규
Original Assignee
선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상규 filed Critical 선상규
Publication of KR20200060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0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1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 B63H21/17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by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3/04Driving of auxiliaries from power plant other than propulsion power pl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1/02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a plurality of rotors
    • F03D1/025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a plurality of rotors coaxially arrang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1/04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stationary wind-guiding means, e.g. with shrouds or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1/06Rotors
    • F03D1/0608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aerodynamic shape
    • F03D1/0633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aerodynamic shape of the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1/06Rotors
    • F03D1/065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elements
    • F03D1/0658Arrangements for fixing wind-engaging parts to a hub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007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the wind motor being combined with means for converting solar radiation into useful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10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 F03D9/11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storing electrical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0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2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on moving objects, e.g.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1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including a supplementary source of electric power, e.g. hybrid diesel-PV energy systems
    • H02S10/12Hybrid wind-PV energy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5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sola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6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wind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18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solar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2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wind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2003/001Driving of auxiliaries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supply, or power transmission, e.g. by using electric power or steam
    • B63J2003/002Driving of auxiliaries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supply, or power transmission, e.g. by using electric power or steam by using electric pow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F05B2240/93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structure floating on a liquid surface
    • F05B2240/931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structure floating on a liquid surface which is a veh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30Wind pow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70Hybrid systems, e.g. uninterruptible or back-up power supplies integrating renewable ener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60Thermal-PV hybr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7Offshore wind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상기 바람가이드부(30)의 바람제어날개(31)는 날개 곡면기울기 각(32)과 날개 뒤틀림 각(33)과 날개 배치각(34)을 형성하며, 상기 블레이드부(40)의 상기 나선형블레이드(41)는 곡면기울기 각(42)과 나선형 뒤틀림 각(43) 및 배치각(44)을 형성하므로, 바람제어날개(31)의 날개 곡면기울기 각(32)과 날개 나선형뒤틀림 각(33)은 상기 나선형블레이드(41)의 곡면기울기 각(42)과 나선형 뒤틀림 각(43)보다 입사각이 완만하고 넓으므로 더욱 많은 바람을 상기 나선형블레이드(41) 내측 중심방향으로 들어가게 하여 굴절된 회오리바람을 만들어주므로 더욱 높은 가속도를 얻을 수가 있다.
이를 이용한 상기 다중 풍력터빈(315)을 회전시킬 때 전체 터빈길이(310c)와 상기 풍력터빈 폭(310d)이 상기 선박갑판 폭(310e)을 벋어나지 않도록 상기 전반부 터빈길이(310a)와 상기 후반부 터빈길이(310b)를 조절하는데, 상기 전반부 터빈길이(310a)보다 상기 후반부 터빈길이(310b)를 더 길게 하여 상기 선박갑판 폭(310e)에 벋어나지 않도록 결합한다.
운항 중일 경우는 상기 다중 풍력터빈(315)이 상기 선박운항방향과 동일한 터빈방향(218)으로 유지되며, 정박 중일 경우는 바람의 영향으로 상기 다중 풍력터빈(315)을 상기 자유로운 풍향에 따른 터빈방향(219)으로 변환시키며, 상기 파워장치부(500)로써 선박 내부에 장착된 상기 PCS(520), 상기 PMS(540), 상기 메인배터리(550), 상기 DC전원공급장치(560)를 통해서 상기 추진모터(570)와 상기 스크류(screw)(580)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이나 태양광 또는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을 활용한 전기선박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은 풍량과 풍압의 집적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서 상기 발전장치부(50)와, 상기 바람가이드부(30)와, 상기 블레이드부(40)를 결합한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방법과, 솔라패널(402)을 이용하여 태양광의 집적효과를 증진시켜 태양광발전시스템(400)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방법과,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과 상기 태양광발전시스템(400)을 융합하여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600)으로 기전력을 생산하는 방법과, 발전동체B 또는 발전동체C와 블레이드부(40)가 융합된 B형 풍력발전시스템 또는 C형 풍력발전시스템(300C)으로 기전력을 생산하는 전기선박을 연구한 것이다.

Description

풍력이나 태양광 또는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을 활용한 선박{Ship using wind power, solar power or hybrid power generation system}
본 발명은 수평축 풍력터빈을 이용하는 풍력발전시스템과 솔라패널(solar panel)로 구성되는 태양광발전시스템 및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을 활용한 선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나선형 블레이드부의 풍력에너지와 솔라패널의 태양광에너지로 기전력을 얻어서 환경 친화적인 풍력발전선박과 태양광발전선박 및 하이브리드발전선박을 연구하기 위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는 대부분의 수평축 풍력발전장치들은 바람의 특성을 가장 효율적으로 이용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맞춰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수평축 풍력발전장치는 바람 방향에 평행하게 설치된 로터 회전력을 기어장치와 변속장치를 거쳐 발전기로 전달하는 구조로 되어있으며, 초대형 구조물은 제작 및 조립비용이 높고 경제성을 떨어뜨리며, 특히 프로펠러 회전체는 풍량의 집적효과가 낮아서 바람의 소실 율이 높고, 자연을 훼손과 소음으로 인해서 환경을 파괴하며, 이를 선박에 탑재하기 위해서는 큰 단점들이 많다.
따라서 종래의 프로펠러 타입 수평축 풍력발전장치는 날개 스스로 바람을 맞이하는 이용률이 낮고 블레이드 뒤쪽 바람의 저항을 피할 수가 없는 형식으로서 회전속도를 능률이 결여되어 전체적으로 낮게 평가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풍력발전선박과 상기 태양광발전선박을 개별적으로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하이브리드발전선박으로 이용하는데 있다.
상기 풍력발전선박은 선박의 내외부에 A형 풍력발전시스템, B형 풍력발전시스템, C형 풍력발전시스템과 각각의 파워장치부로 구성된다.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은 발전장치부, 바람가이드부, 블레이드부, 축결합부, 요잉(yawing)부로 구성된다.
상기 발전장치부는 A형발전동체, 키(key), 전압조정장치(AVR), 너셀(nacelle), 전력케이블(56)로 구성된다.
상기 바람가이드부는 바람제어날개, 제1중공원형관, 제1축결합부로 구성된다.
상기 블레이드부는 제1블레이드부 또는 제2블레이드부로 구성된다.
상기 제1블레이드부는 나선형블레이드, 제2중공원형관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블레이드부는 상기 나선형블레이드, 제3중공원형관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축결합부는 상기 제1중공원형관, 제1부싱, 베어링, 지지부재, 결합나사, 제1구동축, 축 커플링, 키, 제1축받침대로 구성된다.
상기 제2축결합부는 상기 제2중공원형관, 제2부싱, 상기 베어링, 상기 지지부재, 상기 결합나사, 상기 제1구동축, 상기 축 커플링, 상기 키, 제2축받침대로 구성된다.
상기 제3축결합부는 상기 제3중공원형관, 제3부싱, 상기 베어링, 상기 지지부재, 상기 결합나사, 제2구동축, 상기 축 커플링, 상기 키, 제3축받침대로 구성된다.
상기 B형 풍력발전시스템은 B형발전동체, 블레이드부, 상기 요잉부,
제4중공원형관, 바람조향날개, 지지부재 베어링을 장착하는 회전축 지지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C형 풍력발전시스템은 C형발전동체, 바람가이드부, 블레이드부, 상기 요잉부,
상기 제4중공원형관, 상기 바람조향날개, 고정축 지지부재(111c)로 구성된다.
태양광발전시스템은 선박갑판 또는 A형 풍력발전시스템 위에 설치하기 위한 솔라패널부로 구성된다.
A형 풍력발전시스템, B형 풍력발전시스템, C형 풍력발전시스템(300C)과 각각 결합되는 파워장치부는 PCS(Power Controller System), PMS(Power Management system), 메인배터리(Main Battery), DC전원공급장치(DC Power Supply)로 구성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상기 풍력발전시스템과, 상기 태양광발전시스템과, 상기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으로 나눈다.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은 상기 발전장치부, 상기 제1, 제2, 제3중공원형관, 상기 바람가이드부, 상기 블레이드부, 상기 축결합부, 요잉(yawing)부로 구성된다.
상기 발전장치부는 상기 A형발전동체, 상기 키(key), 상기 전압조정장치, 상기 너셀(nacelle)로 구성하고, 상기 제1구동축과 상기 바람가이드부를 상기 제1축결합부로 결합한다.
상기 바람가이드부의 상기 바람제어날개는 날개 기울기각과 날개 뒤틀림각과 날개 배치각을 성형하며,
상기 바람가이드부는 상기 발전장치부와 상기 제1축결합부로 결합한다.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제1블레이드부와 함께 상기 제2블레이드부로 추가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부의 나선형블레이드는 곡면기울기 각과 나선형뒤틀림 각 및 배치각을 성형한다.
상기 바람가이드부와 상기 제1블레이드부를 상기 제2축결합부로 결합한다.
상기 제1블레이드부와 상기 제2블레이드부를 상기 제3축결합부로 결합한다.
상기 B형 풍력발전시스템은 상기 선박갑판의 위쪽에 결합되어 풍향에 따라 좌우로 회전하는 상기 요잉부와, 상기 제4중공원형관의 외주면에서 꼬리날개를 형성하는 상기 바람조향날개와,
상기 B형발전동체와 상기 바람조향날개를 결합하고 지지하기 위해 상기 요잉부의 위쪽에 상기 지지부재 베어링을 장착하여 상기 회전축 지지부재로 결합한다.
상기 C형 풍력발전시스템은 상기 선박갑판의 위쪽에 결합되어 풍향에 따라 좌우로 회전하는 상기 요잉부와, 상기 제4중공원형관의 외주면에서 꼬리날개를 형성하는 상기 바람조향날개와, 상기 C형발전동체와 상기 바람조향날개를 결합하고 지지하기 위해 상기 요잉부의 위쪽에 상기 고정축 지지부재로 결합한다.
상기 태양광발전시스템은 상기 솔라발전시스템의 상기 솔라패널과 상기 고정지지대로 결합한다.
상기 파워장치부는 선박의 내부에 상기 PCS, 상기 PMS, 상기 메인배터리, 상기 DC전원공급장치로 결합된다.
상기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은 상기 풍력발전시스템과 상기 태양광발전시스템을 융합하여 구성된다.
상기 풍력발전시스템과 상기 태양광발전시스템 및 상기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은 각각 상기 풍력발전선박과 상기 태양광발전선박 및 상기 하이브리드발전선박에 설치되어 환경 친화적인 신재생에너지발전시스템으로 운용된다.
본 발명의 상기 풍력발전시스템에서,
상기 바람가이드부의 상기 바람제어날개는 상기 날개 기울기각과 상기 날개 뒤틀림각과 상기 날개 배치각을 형성하여 불어오는 바람을 충돌시켜 상기 블레이드부의 안쪽으로 굴절된 회오리바람을 만들어주므로 더욱 높은 가속도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운항뿐 아니라 정박 중에도 상기 풍력발전시스템이 풍향을 향하도록 하여 어느 방향에서든지 발전을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제1블레이드부의 뒤쪽에 직렬로 결합할 수 있는 동일한 모양과 크기를 가진 복수의 상기 제2블레이드부는 풍압의 지속시간을 길게 유지하면서 유속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며, 상기 제1블레이드부와 상기 제2블레이드부의 뒤쪽 공기에 대한 마찰저항을 감소시켜 회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시간적 및 경제적 부담 없이 풍량을 증가시켜 상기 풍력발전시스템의 유용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양광발전시스템은, 선박갑판(船舶甲板 vessel deck)위에 상기 솔라패널부 설치하며, 보다 많은 전력이 필요할 경우 상기 풍력발전시스템과 상기 태양광발전시스템을 융합하여 상기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으로 구성하면 Off-Grid용으로 전기선박은 스마트발전시스템으로써 실제생활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
도 1은 A형 풍력발전시스템의 단면도
도 2는 바람가이드부의 전면도와 후면도 및 측면도
도 3은 바람가이드부를 연결하기 위한 제1축결합부의 평면도와 단면도
도 4는 나선형 블레이드부의 전면도와 후면도 및 측면도
도 5는 블레이드부를 연결하기 위한 제2축결합부의 평면도와 단면도
도 6은 요잉부의 단면도와 평면도
도 7은 운항 또는 정박 중에 풍향에 따른 풍력발전시스템 회전도
도 8은 바람가이드부와 블레이드부를 결합한 평면도
도 9는 바람가이드부와 블레이드부의 분리 사시도
도 10은 바람가이드부와 블레이드부의 결합 사시도
도 11은 발전장치부의 평면도
도 12는 바람가이드부와 블레이드부의 결합 사시도
도 11은 발전장치부의 평면도
도 12는 A형 발전동체의 단면도
도 13은 A형 발전동체의 A면, B면, C면의 종단면도
도 14는 A형 풍력발전시스템의 단면도
도 15는 다중 풍력터빈의 사시도
도 16은 A형 풍력발전시스템의 다중 풍력터빈이 설치된 풍력발전선박의 측면도
도 17은 A형 풍력발전시스템의 다중 풍력터빈이 설치된 풍력발전선박의 평면도
도 18은 정박 중에 다중 풍력발전시스템이 회전된 풍력발전선박의 평면도
도 19는 태양광발전선박의 평면도
도 20은 하이브리드발전선박의 측면도와 평면도
도 21은 B형 발전동체의 단면도
도 22는 B형 발전동체의 A면, B면, C면의 종단면도
도 23은 B형 풍력발전시스템의 단면도
도 24는 B형 풍력발전시스템을 설치한 풍력발전선박의 측면도
도 25는 C형 발전동체의 단면도
도 26은 C형 발전동체의 A면, B면, C면의 종단면도
도 27은 C형 풍력발전시스템의 단면도
도 28은 C형 풍력발전시스템을 설치한 풍력발전선박의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풍량과 풍압의 집적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서 상기 발전장치부(50)와 상기 바람가이드부(30)와 상기 블레이드부(40)를 결합한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방법과, 솔라패널(402)을 이용하여 태양광의 집적효과를 증진시켜 태양광발전시스템(400)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방법과,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과 상기 태양광발전시스템(400)을 융합하여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600)으로 기전력을 생산하는 방법과, B형 풍력발전시스템 또는 C형 풍력발전시스템(300C)으로 기전력을 생산하는 전기선박을 연구한 것이다.
도 1은 A형 풍력발전시스템의 단면도이다.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은,
상기 선박갑판(301)의 위쪽에 결합되어 풍향에 따라 좌우로 회전하는 상기 요잉부(200)와,
상기 요잉부(200)의 위쪽에 결합되며 중공원형으로 외곽을 구성하는 상기 터빈하우징(320)과,
상기 터빈하우징(320)의 내부에 상기 A형발전동체(51A), 상기 회전축(52a), 상기 제1구동축(52b), 상기 키(53), 상기 축 커플링(19), 상기 제1축받침대(14a), 상기 전압조정장치(54), 상기 너셀(55), 상기 전력케이블(56)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52a)과 상기 제1구동축(52b)이 상기 키(53)와 상기 축 커플링(19)으로 결합되며, 내부에 베어링을 가지는 상기 제1축받침대(14a)를 이용하여 상기 터빈하우징(320)의 내주 면에 결합되는 상기 발전장치부(50)를 구성한다.
내부가 중공원형으로된 상기 제1중공원형관(15a)이 구비되고,
상기 제1중공원형관(15a) 외주면에 형성되는 상기 바람제어날개(31)는 2개의 판형구조물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나선형으로 절곡되며, 상기 날개 기울기각(32)과 상기 날개 뒤틀림각(33)과 상기 날개 배치각(34)을 형성하는 상기 바람가이드부(30)를 구성한다.
내부가 중공원형으로 형성된 일정한 길이의 상기 제2중공원형관(15b)이 구비되고,
상기 제2중공원형관(15b) 외주면에 3개의 판형구조물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나선형으로 절곡하여 상기 곡면기울기 각(42)과 상기 나선형뒤틀림 각(43)을 형성하는 상기 나선형블레이드(41)가 형성되고,
상기 제1블레이드부(40A) 및 상기 제2블레이드부(40B)로 구성되는 상기 블레이드부(40)를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요잉부(200)와, 상기 터빈하우징(320)과, 상기 발전장치부(50)와, 상기 바람가이드부(30)와, 상기 제1블레이드부(40A) 및 상기 제2블레이드부(40B)를 각각 상기 제1축결합부(10A), 상기 제2축결합부(10B), 상기 제3축결합부(10C)로 결합되는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을 나타내는 것이다.
즉, 상기 블레이드부(40)와 상기 회전축(52a) 및 상기 A형발전동체(51A)가 상호 연결된 상기 회전축(52a)과 상기 블레이드부(40)가 직접 결합된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블레이드부(40)와 상기 A형발전동체(51A)의 상기 회전축(52a) 및 상기 제1회전자(120)가 상호 연결에 의해서 회전될 때 상기 회전축(52a)으로부터 슬립상태로 결합된 상기 제2회전자(150)도 상기 복수의 자석(156)으로 형성된 상기 제1회전자(120)와의 강력한 자기장에 의해서 서로 붙으려는 힘 때문에 함께 회전운동을 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2는 바람가이드부의 전면도와 후면도 및 측면도이다.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의 상기 제1중공원형관(15a) 외주면에 형성되는 상기 바람가이드부(30)의 상기 바람제어날개(31)는 2개의 판형구조물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나선형으로 절곡되며, 상기 날개 기울기각(32)과 상기 날개 뒤틀림각(33)과 상기 날개 배치각(34)을 형성한다.
상기 날개 기울기각(32)은 곡면의 기울기 형상이 상기 제1중공원형관(15a)의 외주면에서 가장자리까지 240° 이내의 나선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날개 뒤틀림각(33)은 종방향으로 상기 제1중공원형관(15a)의 외주면의 시작점부터 끝지점까지 240° 이내의 나선형으로 형성하며,
상기 날개 배치각(34)은 정면에서 볼 경우 상기 제1중공원형관(15a)의 앞 끝단 외주면에 180° 수직으로 형성한다.
상기 바람제어날개(31)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회전은 하지 않고 바람만 가이드 하는 역할만 하게 된다.
상기 바람가이드부(30)의 상기 제1중공원형관(15a)의 일측단 내주면 에는 베어링(16)을 장착한 상기 제1부싱(18a)과 결합되며, 상기 제1부싱(18a)의 중심부로 상기 제1구동축(52b)이 회전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1중공원형관(15a)의 외주면은 2개의 지지부재(17)를 이용하여 상기 터빈하우징(320)의 내주면과 결합되는 것이다.
도 3은 바람가이드부를 연결하기 위한 제1축결합부의 평면도와 단면도이다.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의 상기 제1축결합부(10A)는,
상기 제1축받침대(14a), 상기 제1중공원형관(15a), 상기 베어링(16), 상기 지지부재(17), 상기 제1부싱(18a), 상기 축 커플링(19), 상기 제1구동축(52b)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52a)의 일측단과 상기 제1구동축(52b)의 일측단이 상기 키(53)와 상기 축 커플링(19)을 이용하여 상호 결합되며, 내부에 베어링을 포함한 상기 제1축받침대(14a)를 이용하여 상기 터빈하우징(320)의 내주 면에 결합된다.
상기 제1구동축(52b)은 상기 베어링(16)을 장착한 상기 제1부싱(18a)의 중심부를 관통하고, 상기 제1중공원형관(15a)의 내부를 통과해서 자유롭게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중공원형관(15a)의 외주면은 상기 지지부재(17)를 이용하여 상기 터빈하우징(320)의 내주면과 결합되는 것이다.
도 4는 나선형 블레이드부의 전면도와 후면도 및 측면도이다.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의 상기 제1블레이드부(40A)와 상기 제2블레이드부(40B)는,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된 일정한 길이의 상기 제2중공원형관(15b)이 구비되고,
판형구조물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나선형으로 절곡한 다수의 상기 나선형블레이드(41)가 구비되며,
상기 나선형블레이드(41)는 상기 제2중공원형관(15b) 외주면에 3개의 판형구조물을 나선형으로 절곡하여 상기 곡면기울기 각(42)과 상기 나선형뒤틀림 각(43)을 형성한다.
상기 곡면기울기 각(42)은 곡면의 기울기 형상이 240° 이내의 나선형으로 형성한다.
상기 나선형뒤틀림 각(43)은 종방향으로 상기 제2중공원형관(15b)의 앞쪽 시작점부터 끝지점까지 240° 이내의 나선형으로 형성하며, 상기 제2중공원형관(15b)의 원지름에 맞도록 성형한다.
상기 배치각(44)은 상기 제2중공원형관(15b)의 일측단의 정면에서 볼 경우 상기 제2중공원형관(15b)의 외주면에 120° 간격을 유지하여 3개를 3등분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바람제어날개(31)의 상기 날개 뒤틀림각(33)에 의해서 제어날개안쪽(36)으로 바람이 들어오면 상기 나선형블레이드(41)의 블레이드안쪽(41a)이 상기 나선형뒤틀림 각(43)과 마주보도록 형성되어있도록 하여 부딪히는 바람에 의해서 상기 제1블레이드부(40A) 및 상기 제2블레이드부(40B)가 블레이드바깥쪽(41b)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날개 뒤틀림각(33)이 시계방향으로 이루어졌을 경우 상기 나선형뒤틀림 각(43)은 반시계방향으로 이루어서 바람을 맞아들인 후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5는 블레이드부를 연결하기 위한 제2축결합부와 제3축결합부의 측면도와 단면도이다.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의 상기 제2축결합부(10B)는 상기 제1블레이드부(40A)를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제2축받침대(14b), 상기 제2중공원형관(15b), 상기 베어링(16), 상기 지지부재(17), 상기 제2부싱(18b), 상기 축 커플링(19), 상기 제1구동축(52b), 상기 키(58)가 구비되고,
상기 바람가이드부(30)의 상기 제1중공원형관(15a)을 관통하여 나온 상기 제1구동축(52a)이 상기 제2중공원형관(15b)의 일측단 내주면에 삽입된 상기 제2부싱(18b)과 상기 키(53)를 이용하여 결합되며,
상기 제1구동축(52b)은 내부에 베어링을 포함한 상기 제2축받침대(14b)로 상기 터빈하우징(320)의 내주면과 결합하고, 상기 제2중공원형관(15b)이 샤프트 역할을 한다.
상기 제3축결합부(10C)는 상기 제2블레이드부(40B)를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제3축결합부(10C)는 상기 제3축받침대(14c), 상기 제3중공원형관(15c), 상기 베어링(16), 상기 지지부재(17), 상기 제3부싱(18c), 상기 축 커플링(19), 상기 제2구동축(52c), 상기 키(58)가 구비되며,
상기 제2구동축(52c)을 상기 제3중공원형관(15c)의 일측단 내주면에 삽입된 상기 제3부싱(18c)과 상기 키(53)를 이용하여 결합되며,
상기 제2구동축(52c)은 내부에 베어링을 포함한 상기 제3축받침대(14c)로 상기 터빈하우징(320)의 내주면과 결합하며, 상기 제3중공원형관(15c)이 샤프트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요잉부의 단면도와 평면도이다.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과 상기 선박갑판(301)을 연결하기위한 상기 요잉부(200)는,
상기 요잉부(200)의 골격을 구성하는 중공원형의 요우타워(yaw tower)(212)와,
상기 요우타워(212)의 상단을 형성하며 상기 터빈하우징(320)과 결합하는 요우데크(yaw deck)(211)와,
상기 요우타워(212)의 하단을 형성하며, 내부에 구성하는 요우베어링(216)이 구비되며, 상기 선박갑판(301)과 결합되는 요우받침대(215)와,
상기 요우타워(212)의 외주면에 직사각 모양으로 형성되는 요우걸쇠(213)와,
상기 요우받침대(215)의 가장자리에 직사각 모양으로 형성되는 요우잠금쇠(214)가 구비된다.
상기 선박갑판(301)과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을 결합하는 상기 요잉부(200)는, 상기 요우받침대(215)의 내부에 장착된 상기 요우베어링(216)에 의해 회전하게 되며, 선박이 운항 중에는 선박운항방향과 동일한 터빈방향(218)을 유도하게 되며, 선박이 정박 중에는 자유로운 풍향에 따른 터빈방향(219)으로 유도하게 된다.
상기 요우타워(212)의 외주면에 붙어있는 상기 요우걸쇠(213)는 상기 요우타워(212)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요우받침대(215)의 가장자리에 붙어있는 상기 요우잠금쇠(214)에 닿으면 더 이상 회전을 못하게 된다.
만약 풍향에 의해서 반대쪽으로 되돌아가게 되어도 상기 요우타워(212)의 외주면에 붙어있는 상기 요우걸쇠(213)는 상기 요우타워(212)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요우받침대(215)의 가장자리에 붙어있는 상기 요우잠금쇠(214)의 반대쪽에 닿으면 더 이상 회전을 못하게 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7은 운항 또는 정박 중에 풍향에 따른 풍력발전시스템 회전도이다.
상기 요잉부(yawing)(200)는,
상기 풍력발전선박(1A)이 운항 또는 정박 중에는 풍향에 따라 상기 요잉부(200)의 상기 요우타워(212)가 상기 요우받침대(215)의 상기 요우베어링(216)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선박이 운항 중에는 상기 선박운항방향과 동일한 터빈방향(218)과 일치하게 되고, 선박이 정박 중에는 상기 자유로운 풍향에 따라 터빈방향(219)으로 유도되어 바람을 맞이하게 된다.
즉, 도 6과 같이 상기 요우타워(212)의 상단에 형성된 상기 요우데크(211)가 상기 터빈하우징(320)의 하단과 결합되며, 상기 요우타워(212)의 외주면에 붙어있는 상기 요우걸쇠(213)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요우받침대(215)의 가장자리에 붙어있는 상기 요우잠금쇠(214)에 닿으면 더 이상 회전방향으로 회전을 못하도록 하는 기능에 따라서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의 방향이 결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도 8은 바람가이드부와 블레이드부를 결합한 평면도이다.
상기 바람가이드부(30)와 상기 블레이드부(40)의 결합은,
먼저 상기 바람제어날개(31)의 상기 날개 기울기각(32) 및 상기 날개 뒤틀림각(33)에 의해서 상기 제어날개안쪽(36)으로 바람이 들어오면, 상기 나선형블레이드(41)의 상기 블레이드안쪽(41a)이 상기 곡면기울기 각(42) 및 상기 나선형뒤틀림 각(43)과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부딪히는 바람에 의해서 상기 블레이드바깥쪽(41b)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제1구동축(52b) 및 상기 제2구동축(52c)이 상기 회전축(52a)을 구동시켜서 발전을 이루게 된다.
상기 날개 기울기각(32) 및 상기 날개 뒤틀림각(33)이 시계방향으로 이루어졌을 경우 상기 곡면기울기 각(42) 및 상기 나선형뒤틀림 각(43)은 반시계방향으로 구성하여 바람을 맞아들인 후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9는 바람가이드부와 블레이드부의 분리 사시도이다.
상기 바람가이드부(30)와 상기 제1블레이드부(40A)와 상기 제2블레이드부(40B)가 분리된 사시도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10은 바람가이드부와 블레이드부의 결합 사시도이다.
상기 바람가이드부(30)와 상기 제1블레이드부(40A)와 상기 제2블레이드부(40B)가 결합된 사시도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11은 발전장치부의 평면도이다.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의 상기 발전장치부(50)는,
상기 A형발전동체(51A), 상기 회전축(52a), 상기 제1구동축(52a), 상기 키(key)(53), 상기 전압조정장치(54), 상기 너셀(nacelle)(55), 전력케이블(56)로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52a)과 상기 제1구동축(52a)이 상기 키(key)(53)와 상기 축 커플링(19)으로 결합되며, 내부에 베어링을 가지는 상기 제1축받침대(14a)를 이용하여 상기 터빈하우징(320)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12는 A형 발전동체의 단면도이다.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의 상기 A형발전동체(51A)는 외부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회전축(52a)과,
상기 회전축(52a)의 외곽에서 복수의 자석(156) 또는 자성체(126)로 성형된 제1회전자(120)와,
상기 제1회전자(120)의 외곽에서 구성되는 복합연성물질이나 비전도체 또는 비자성체로 성형되고 코일이 권선되는 고정자(130)와,
상기 고정자(130)의 외곽에서 상기 자성체(126) 또는 상기 복수의 자석(156)으로 성형된 제2회전자(150)와,
상기 회전축(52a)의 외주면과 상기 제1회전자(120)의 내주면을 고정되게 결합하는 제1회전자결합허브(123)와,
상기 제1회전자결합허브(123)와 상기 제1회전자(120)를 결합하기위해 성형된 제1회전자바퀴살(124)과,
상기 회전축(52a)의 일측단에서 슬립(slip)되게 결합되는 고정자결합베어링(135)과,
상기 고정자결합베어링(135)과 상기 고정자(130)의 지지를 위해 결합되는 고정자측판L(131)과,
내부에 부싱베어링(137)을 장착하고 상기 회전축(52a)의 타측단 외주면과 내부가 슬립되게 결합되는 부싱(bushing)(136)과,
상기 부싱(136)의 안쪽 외주면과 고정되게 결합되는 고정자측판R(132)과,
상기 부싱(136)의 바깥쪽 외주면과 결합되는 제2회전자결합베어링R(155b)과,
상기 제2회전자결합베어링(155b)의 외주면과 결합되고 상기 제2회전자(150)의 일 측면을 구성하는 제2회전자측판R(152)과,
상기 회전축(52a)의 일측단 외주면을 슬립하게 결합하여 상기 제2회전자(150)가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제2회전자결합베어링L(155a)과,
상기 제2회전자결합베어링L(155a)과 결합되어 상기 제2회전자(150)의 좌측면을 구성하는 제2회전자측판L(151)과,
상기 고정자(130)의 권선코일(133)은 상기 부싱(136)의 배선관통구(141)를 통해 외부로 안전하게 도출되는 배선(14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회전자(120) 및 상기 제2회전자(150) 중에 어느 한쪽을 상기 자성체(126)로 성형시킬 때 다른 쪽은 상기 복수의 자석(156)으로 형성하거나, 상기 제1회전자(120)와 상기 제2회전자(150) 모두에게 상기 복수의 자석(156)으로 형성된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상기 회전축(52a)을 사용하는 상기 A형발전동체(51A)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회전축(52a)에 회전동력이 발생하면 상기 회전축(52a)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자석(156)으로 형성된 상기 제1회전자(12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2회전자(150)는 상기 회전축(52a)에 베어링을 장착한 상기 제2회전자결합베어링L(155a)과 상기 제2회전자결합베어링R(155b)이 모두 슬립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회전각을 가지고 등속회전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제1회전자(120)와 상기 제2회전자(150)는 강력한 기자력에 의해 서로 붙으려고 하는 힘에 이끌림을 받게 되고, 슬립상태로 결합된 상기 제2회전자(150)도 상기 복수의 자석(156)으로 형성된 상기 제1회전자(120)의 강력한 기자력에 의해서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회전각을 이루며 등속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도 13은 A형 발전동체의 A면, B면, C면의 종단면도이다.
상기 회전축(52a)과 고정 상태로 결합된 제2회전자가 바람에 의해서 회전될 때 상기 회전축(52a)으로부터 슬립상태로 결합된 상기 제1회전자(120)도 상기 제2회전자(150)와의 강한 자기장에 의해서 서로 붙으려는 힘 때문에 함께 회전되는 구조로써 상기 A형발전동체(51A)를 A면, B면, C면을 각각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A형 풍력발전시스템의 단면도이다.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은,
선박지붕(301)의 위쪽에 결합되어 풍향에 따라 좌우로 회전하는 상기 요잉부(200)와,
상기 요잉부(200)의 위쪽에 결합되며 중공원형으로 외곽을 구성하는 상기 터빈하우징(320)과,
상기 터빈하우징(320)의 내부에 상기 A형발전동체(51A), 상기 회전축(52a), 상기 제1구동축(52b), 상기 키(53), 상기 축 커플링(19), 상기 제1축받침대(14a), 상기 전압조정장치(54), 상기 너셀(55), 상기 전력케이블(56)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52a)과 상기 제1구동축(52b)이 상기 키(53)와 상기 축 커플링(19)으로 결합되며, 내부에 베어링을 가지는 상기 제1축받침대(14a)를 이용하여 상기 터빈하우징(320)의 내주 면에 결합되는 상기 발전장치부(50)로 구성된다.
내부가 중공원형으로된 상기 제1중공원형관(15a)이 구비되고,
상기 제1중공원형관(15a) 외주면에 형성되는 상기 바람제어날개(31)는 2개의 판형구조물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유선형으로 절곡되며, 상기 날개 기울기각(32)과 상기 날개 뒤틀림각(33)과 상기 날개 배치각(34)을 형성하는 상기 바람가이드부(30)로 구성된다.
내부가 중공원형으로 형성된 일정한 길이의 상기 제2중공원형관(15b)이 구비되고,
판형구조물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유선형으로 절곡한 다수의 상기 나선형블레이드(41)가 구비되며, 상기 나선형블레이드(41)는 상기 제2중공원형관(15b) 외주면에 3개의 판형구조물을 나선형으로 절곡하여 상기 곡면기울기 각(42)과 상기 나선형뒤틀림 각(43)을 형성하고 상기 제1블레이드부(40A) 및 상기 제2블레이드부(40B)로 구성되는 상기 블레이드부(40)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요잉부(200)와, 상기 터빈하우징(320)과, 상기 발전장치부(50)와, 상기 바람가이드부(30)와, 상기 제1블레이드부(40A) 및 상기 제2블레이드부(40B)를 각각 상기 제1축결합부(10A), 상기 제2축결합부(10B), 상기 제3축결합부(10C)로 결합되는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을 나타내는 것이다.
즉, 상기 블레이드부(40)와 상기 회전축(52a) 및 상기 A형발전동체(51A)가 상호 연결된 상기 회전축(52a)과 상기 블레이드부(40)가 직접 결합된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블레이드부(40)와 상기 A형발전동체(51A)의 상기 회전축(52a) 및 상기 A형발전동체(51A)의 상기 제1회전자(120)가 상호 연결에 의해서 회전될 때 상기 회전축(52a)으로부터 슬립상태로 결합된 상기 제2회전자(150)도 상기 복수의 자석(156)으로 형성된 상기 제1회전자(120)와의 강력한 자기장에 의해서 서로 붙으려는 힘 때문에 함께 회전운동을 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5는 다중 풍력터빈의 사시도이다.
상기 A형발전동체(51A)가 복수로 설치된 상기 다중 풍력터빈(315)의 결합된 사시도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16은 A형 풍력발전시스템의 다중 풍력터빈이 설치된 풍력발전선박의 측면도이다.
상기 풍력발전선박(1A)에서,
상기 회전축(52a)과 상기 블레이드부(40)가 직접 결합된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은 상기 선박갑판(301)위에 설치하며, 상기 풍력발전선박(1A)이 운항을 시작하면은 풍향의 영향으로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이 상기 선박운항방향과 동일한 터빈방향(218)으로 유지되면서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을 가동하게 된다.
상기 파워장치부(500)는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로부터 인가된 전력을 제어 및 상기 메인배터리(550)에 충전할 수 있도록 선박 내부에 장착된 상기 PCS(520)와,
상기 PCS(520)를 통해 제어 및 충전된 전력을 상기 메인배터리(550)에서 관리하기 위해 선박 내부에 장착된 상기 PMS(540)와,
제어 및 변환된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상기 메인배터리(550)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배터리(550)로부터 저장되었던 DC전력을 인가하기 위해 상기 DC전원공급장치(560)를 이용하여 추진모터(570)와 스크류(screw)(580)를 구동하게 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17은 A형 풍력발전시스템의 다중 풍력터빈이 설치된 풍력발전선박의 평면도이다.
상기 풍력발전선박(1A)에서,
상기 회전축(52a)과 상기 블레이드부(40)가 직접 결합된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은 전체 터빈길이(310c)와 풍력터빈 폭(310d)이 선박갑판 폭(310e)을 벋어나지 않도록 전반부 터빈길이(310a)와 후반부 터빈길이(310b)를 조절하고, 상기 전반부 터빈길이(310a)보다 상기 후반부 터빈길이(310b)를 더 길게 하여 상기 회전축(52a)과 블레이드부(40)가 직접 결합된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이 회전을 하였을 때 상기 선박갑판 폭(310e)에 벋어나지 않도록 결합한다.
상기 풍력발전선박(1A)이 운항을 시작하면은, 풍향의 영향으로 상기 선박갑판(301)위의 상기 회전축(52a)과 상기 블레이드부(40)가 직접 결합된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이 상기 선박운항방향과 동일한 터빈방향(218)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을 가동하게 된다.
상기 파워장치부(500)는,
상기 회전축(52a)과 상기 블레이드부(40)가 직접 결합된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으로부터 인가된 전력을 제어 및 상기 메인배터리(550)에 충전할 수 있도록 선박 내부에 장착된 상기 PCS(520)와,
상기 PCS(520)를 통해 제어 및 충전된 전력을 상기 메인배터리(550)에서 관리하기 위해 선박 내부에 장착된 상기 PMS(540)와,
제어 및 변환된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상기 메인배터리(550)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배터리(550)로부터 저장되었던 DC전력을 인가하기 위해 상기 DC전원공급장치(560)를 이용하여 상기 추진모터(570)와 상기 스크류(580)를 구동하게 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18은 정박 중에 다중 풍력발전시스템이 회전된 풍력발전선박의 평면도이다.
상기 풍력발전선박(1A)은,
상기 회전축(52a)과 상기 블레이드부(40)가 직접 결합된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의 상기 다중 풍력터빈(315)을 상기 선박갑판(301)위에 설치하며,
상기 다중 풍력터빈(315)의 앞쪽 끝단에서부터 상기 요잉부(200) 중심선까지의 상기 전반부 터빈길이(310a)와,
상기 다중 풍력터빈(315)의 뒤쪽 끝단에서부터 상기 요잉부(200) 중심선까지의 상기 후반부 터빈길이(310b)와,
상기 요잉부(200)에 의해 상기 다중 풍력터빈(315)이 좌우로 회전할 때 상기 선박갑판 폭(310e)의 넓이를 벋어나지 않는 상기 터빈 전체길이(310c)와,
상기 요잉부(200)에 의해 상기 다중 풍력터빈(315)이 좌우로 회전할 때 상기 선박갑판 폭(310e)의 넓이를 벋어나지 않는 상기 풍력터빈 폭(310d)을 구성하고,
이를 위하여 상기 전반부 터빈길이(310a)보다 상기 후반부 터빈길이(310b)를 더 길게 하되 상기 선박갑판 폭(310e)에 벋어나지 않도록 결합한다.
따라서 상기 선박갑판(301) 위의 상기 다중 풍력터빈(315)은 바람을 받기위해 상기 자유로운 풍향에 따른 터빈방향(219)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을 가동하게 된다.
상기 풍력발전선박(1A)이 운항을 시작하면은 상기 다중 풍력터빈(315)이 상기 선박운항방향과 동일한 터빈방향(218)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을 가동하게 된다.
상기 파워장치부(500)는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으로부터 인가된 전력을 제어 및 상기 메인배터리(550)에 충전할 수 있도록 선박 내부에 장착된 상기 PCS(520)와,
상기 PCS(520)를 통해 제어 및 충전된 전력을 상기 메인배터리(550)에서 관리하기 위해 선박 내부에 장착된 상기 PMS(540)와, 제어 및 변환된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상기 메인배터리(550)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배터리(550)로부터 저장되었던 DC전력을 인가하기 위해 상기 DC전원공급장치(560)를 이용하여 상기 추진모터(570)와 상기 스크류(580)를 구동하게 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19는 태양광발전선박의 평면도이다.
상기 태양광발전선박(2A)에서 태양광발전시스템(400)은,
다수의 솔라셀(401)이 부착된 다수의 솔라패널(402)이 상기 선박갑판(301) 위에 설치된다.
상기 파워장치부(500)는 상기 태양광발전시스템(400)과 결합되며, 운항 또는 정박과 관계없이 상기 태양광발전시스템(400)로부터 인가된 전력을 동시에 제어 및 상기 메인배터리(550)에 충전할 수 있도록 선박 내부에 장착된 상기 PCS(520)와,
상기 PCS(520)를 통해 제어 및 충전된 전력을 상기 메인배터리(550)에서 관리하기 위해 선박 내부에 장착된 상기 PMS(540)와,
제어 및 변환된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상기 메인배터리(550)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배터리(550)로부터 저장되었던 DC전력을 인가하기 위해 상기 DC전원공급장치(560)를 이용하여 상기 추진모터(570)와 상기 스크류(580)를 구동하게 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20은 하이브리드발전선박의 측면도와 평면도이다.
상기 하이브리드발전선박(3A)에서,
상기 다중 풍력터빈(315)으로 구성된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은 상기 선박갑판(301)위에 설치되며,
상기 다중 풍력터빈(315)의 앞쪽 끝단에서부터 상기 요잉부(200) 중심선까지의 상기 전반부 터빈길이(310a)와,
상기 다중 풍력터빈(315)의 뒤쪽 끝단에서부터 상기 요잉부(200) 중심선까지의 상기 후반부 터빈길이(310b)와,
상기 요잉부(200)에 의해 상기 다중 풍력터빈(315)이 좌우로 회전할 때 상기 선박갑판 폭(310e)의 넓이를 벋어나지 않는 상기 터빈 전체길이(310c)와,
상기 요잉부(200)에 의해 상기 다중 풍력터빈(315)이 좌우로 회전할 때 상기 선박갑판 폭(310e)의 넓이를 벋어나지 않는 상기 풍력터빈 폭(310d)을 구성하고,
이를 위하여 상기 전반부 터빈길이(310a)보다 상기 후반부 터빈길이(310b)를 더 길게 하되 상기 선박갑판 폭(310e)에 벋어나지 않도록 결합되며, 항상 상기 선박갑판(301)위의 상기 다중 풍력터빈(315)을 따라서 함께 움직이게 된다.
상기 태양광발전시스템(400)은,
다수의 상기 솔라셀(401)이 부착된 다수의 상기 솔라패널(402)이 상기 다중 풍력터빈(315) 위에 설치되며, 상기 패널가로길이(452a)와 상기 패널세로길이(452b)가 상기 선박갑판 폭(310e)을 벋어나지 않도록 하며, 항상 상기 선박갑판(301) 위의 상기 다중 풍력터빈(315)을 따라서 함께 움직이게 된다.
상기 파워장치부(500)는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 및 상기 태양광발전시스템(400)과 결합되며,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 및 상기 태양광시스템(400)로부터 인가된 전력을 동시에 제어 및 상기 메인배터리(550)에 충전할 수 있도록 선박 내부에 장착된 상기 PCS(520)와,
상기 PCS(520)를 통해 제어 및 충전된 전력을 상기 메인배터리(550)에서 관리하기 위해 선박 내부에 장착된 상기 PMS(540)와,
제어 및 변환된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상기 메인배터리(550)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배터리(550)로부터 저장되었던 DC전력을 인가하기 위해 상기 DC전원공급장치(560)를 이용하여 상기 추진모터(570)와 상기 스크류(580)를 구동하게 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21은 B형 발전동체의 단면도이다.
상기 B형발전동체(51B)는 외부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110b)과,
상기 회전축(110b)의 외곽에서 상기 자성체(126) 또는 상기 복수의 자석(156)으로 성형된 상기 제1회전자(120)와,
상기 제1회전자(120)의 외곽에서 구성되는 복합연성물질이나 비전도체 또는 비자성체로 성형되고 상기 권선코일(133)을 갖는 상기 고정자(130)와,
상기 고정자(130)의 외곽에서 상기 복수의 자석(156) 또는 상기 자성체(126)로 성형된 상기 제2회전자(150)가 구성된다.
제1회전자결합베어링(125)을 장착하고 상기 회전축(110b)의 외주면과 상기 제1회전자(120)의 내주면을 슬립하게 결합시켜 상기 제1회전자(120)가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하는 상기 제1회전자결합허브(123)와,
상기 제1회전자결합허브(123)와 상기 제1회전자(120)를 결합하기위해 성형된 상기 제1회전자바퀴살(124)과,
상기 회전축(110b)의 일측단에서 슬립(slip)하게 결합되는 상기 고정자결합베어링(135)과,
상기 고정자결합베어링(135)과 상기 고정자(130)의 지지를 위해 결합되는 상기 고정자측판L(131)과,
상기 회전축(110b)의 타측단 외주면과 내부가 슬립되게 결합되도록 내부에 상기 부싱베어링(137)을 포함한 상기 부싱(136)과,
상기 부싱(136)의 안쪽 외주면과 고정되게 결합되는 상기 고정자측판R(132)과,
상기 부싱(136)의 바깥쪽 외주면과 결합되는 상기 제2회전자결합베어링R(155b)과,
상기 제2회전자결합베어링R(155b)의 외주면과 결합되고 상기 제2회전자(150)의 우측면을 구성하는 상기 제2회전자측판R(152)과,
상기 회전축(110b)의 일측단 외주면과 고정되게 결합되는 제2회전자결합기구(154)와,
상기 제2회전자결합기구(154)와 결합되어 상기 제2회전자(150)의 좌측면을 구성하는 상기 제2회전자측판L(151)과,
상기 고정자(130)의 상기 권선코일(133)은 상기 부싱(136)의 상기 배선관통구(141)를 통해 외부로 안전하게 도출되는 상기 배선(14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회전자(120) 및 상기 제2회전자(150) 중에 어느 한쪽을 상기 자성체(126)로 성형시킬 때 다른 쪽은 상기 복수의 자석(156)으로 형성하거나, 상기 제1회전자(120)와 상기 제2회전자(150) 모두에게 상기 복수의 자석(156)으로 형성된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상기 회전축(110b)을 사용하는 상기 B형발전동체(51B)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회전축(110b)에 회전동력이 발생하면 상기 회전축(110b)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자석(156)으로 형성된 상기 제2회전자(15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회전자(120)는 상기 회전축(110b)에 베어링을 장착한 상기 제1회전자결합베어링(125)을 통해서 슬립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회전각을 가지고 등속회전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제1회전자(120)와 상기 제2회전자(150)는 강력한 기자력에 의해 서로 붙으려고 하는 힘에 이끌림을 받게 되고, 슬립상태로 결합된 상기 제1회전자(120)는 상기 복수의 자석(156)으로 형성된 상기 제2회전자(150)의 강력한 기자력에 의해서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회전각을 이루며 등속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도 22는 B형 발전동체의 A면, B면, C면의 종단면도이다.
상기 회전축(110b)과 고정 상태로 결합된 상기 제2회전자(150)가 바람에 의해서 회전될 때 상기 회전축(110b)으로부터 슬립상태로 결합된 상기 제1회전자(120)도 상기 제2회전자(150)와의 강한 자기장에 의해서 서로 붙으려는 힘 때문에 함께 회전되는 구조로써 상기 B형발전동체(51B)의 A면, B면, C면을 각각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3은 B형 풍력발전시스템의 단면도이다.
상기 B형 풍력발전시스템(300B)은 상기 회전축(110b)과 고정 상태로 결합된 상기 제2회전자(150)가 바람에 의해서 회전될 때 상기 회전축(110b)으로부터 슬립상태로 결합된 상기 제1회전자(120)도 상기 제2회전자(150)와의 강한 자기장에 의해서 서로 붙으려는 힘 때문에 함께 회전되며, 상기 B형발전동체(51B)의 상기 제2회전자(150) 외주면에 결합된 상기 블레이드부(40)의 영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구성이다.
상기 선박갑판(301)의 위쪽에 결합되어 풍향에 따라 좌우로 회전하는 상기 요잉부(200)와,
제4중공원형관(15d)의 외주면에서 꼬리날개를 형성하는 바람조향날개(38)와,
상기 B형발전동체(51B)와 상기 바람조향날개(38)를 결합하고 지지하기 위해 상기 요잉부(200)의 위쪽에 지지부재 베어링(112)을 장착하여 회전축 지지부재(111b)로 결합된다.
도 24는 B형 풍력발전시스템을 설치한 풍력발전선박의 측면도이다.
상기 풍력발전선박(1A)에서,
상기 회전축(110b)을 이용하여 상기 제2회전자(150)의 외주면과 결합된 상기 B형 풍력발전시스템(300B)은 상기 선박갑판(301)위에 설치하며, 상기 선박갑판(301)의 위쪽에 결합되어 풍향에 따라 좌우로 회전하는 상기 요잉부(200)와,
상기 제4중공원형관(15d)의 외주면에서 꼬리날개를 형성하는 상기 바람조향날개(38)와,
상기 지지부재 베어링(112)을 장착하고 상기 B형발전동체(51B)와 상기 바람조향날개(38)를 결합하고 지지하기 위해 상기 요잉부(200)의 위쪽에 결합되는 상기 회전축 지지부재(111b)로 구성되는 상기 B형 풍력발전시스템(300B)으로,
상기 풍력발전선박(1A)이 운항을 시작하면은 풍향의 영향으로 상기 B형 풍력발전시스템(300B)이 상기 선박운항방향과 동일한 터빈방향(218)으로 유지되면서 상기 B형 풍력발전시스템(300B)을 가동하게 된다.
상기 파워장치부(500)는 상기 B형 풍력발전시스템(300B)으로부터 인가된 전력을 제어 및 상기 메인배터리(550)에 충전할 수 있도록 선박 내부에 장착된 상기 PCS(520)와,
상기 PCS(520)를 통해 제어 및 충전된 전력을 상기 메인배터리(550)에서 관리하기 위해 선박 내부에 장착된 상기 PMS(540)와,
제어 및 변환된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상기 메인배터리(550)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배터리(550)로부터 저장되었던 DC전력을 인가하기 위해 상기 DC전원공급장치(560)를 이용하여 상기 추진모터(570)와 상기 스크류(screw)(580)를 구동하게 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25는 C형 발전동체의 단면도이다.
상기 C형발전동체(51C)는 외부동력에 의해 회전하지 않은 상기 고정축(110c)과,
상기 고정축(110c)의 외곽에서 상기 자성체(126) 또는 상기 복수의 자석(156)으로 성형된 상기 제1회전자(120)와,
상기 제1회전자(120)의 외곽에서 구성되는 복합연성물질이나 비전도체 또는 비자성체로 성형되고 상기 권선코일(133)을 갖는 상기 고정자(130)와,
상기 고정자(130)의 외곽에서 상기 복수의 자석(156) 또는 상기 자성체(126)로 성형된 상기 제2회전자(150)가 구성된다.
상기 제1회전자결합베어링(125)을 장착하고 상기 고정축(110c)의 외주면과 상기 제1회전자(120)의 내주면을 슬립하게 결합시켜 상기 제1회전자(120)가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하는 상기 제1회전자결합허브(123)와,
상기 제1회전자결합허브(123)와 상기 제1회전자(120)를 결합하기위해 성형된 상기 제1회전자바퀴살(124)과,
상기 고정축(110c)의 일측단에서 고정되게 결합되는 고정자결합지지부재(134)와,
상기 고정자결합지지부재(134)와 상기 고정자(130)의 지지를 위해 결합되는 상기 고정자측판L(131)과,
상기 고정축(110c)의 타측단 외주면과 내부가 고정되게 결합되도록 내부에 상기 부싱베어링(137)을 포함한 상기 부싱(136)과,
상기 부싱(136)의 안쪽 외주면과 고정되게 결합되는 상기 고정자측판R(132)과,
상기 부싱(136)의 바깥쪽 외주면과 결합되는 상기 제2회전자결합베어링(155b)과,
상기 제2회전자결합베어링(155b)의 외주면과 결합되고 상기 제2회전자(150)의 일 측면을 구성하는 상기 제2회전자측판R(152)과,
상기 고정축(110c)의 일측단 외주면을 슬립하게 결합하여 상기 제2회전자(150)가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상기 제2회전자결합베어링L(155a)과,
상기 제2회전자결합베어링L(155a)과 결합되어 상기 제2회전자(150)의 좌측면을 구성하는 상기 제2회전자측판L(151)과,
상기 고정자(130)의 상기 권선코일(133)은 상기 부싱(136)의 상기 배선관통구(141)를 통해 외부로 안전하게 도출되는 상기 배선(14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회전자(120) 및 상기 제2회전자(150) 중에 어느 한쪽을 상기 자성체(126)로 성형시킬 때 다른 쪽은 상기 복수의 자석(156)으로 형성하거나, 상기 제1회전자(120)와 상기 제2회전자(150) 모두에게 상기 복수의 자석(156)으로 형성된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상기 고정축(110c)을 사용하는 상기 C형발전동체(51C)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블레이드부(40)에 회전동력이 발생하면 상기 고정축(110c)에 슬립되게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자석(156)으로 형성된 상기 제2회전자(15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회전자(120)는 상기 고정축(110c)에 베어링을 장착한 상기 제1회전자결합베어링(125)을 통해서 슬립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회전각을 가지고 등속회전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제1회전자(120)와 상기 제2회전자(150)는 강력한 기자력에 의해 서로 붙으려고 하는 힘에 이끌림을 받게 되고, 슬립상태로 결합된 상기 제1회전자(120)는 상기 복수의 자석(156)으로 형성된 상기 제2회전자(150)의 강력한 기자력에 의해서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회전각을 이루며 등속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도 26은 C형 발전동체의 A면, B면, C면의 종단면도이다.
상기 고정축(110c)과 슬립상태로 결합된 상기 제2회전자(150)가 바람에 의해서 회전될 때 상기 고정축(110c)으로부터 슬립상태로 결합된 상기 제1회전자(120)도 상기 제2회전자(150)와의 강한 자기장에 의해서 서로 붙으려는 힘 때문에 함께 회전되는 구조로써 상기 C형발전동체(51C)의 A면, B면, C면을 각각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7은 C형 풍력발전시스템의 단면도이다.
상기 고정축(110c)을 이용하여 상기 제2회전자(150)의 외주면에 상기 블레이드부(40)가 결합된 상기 C형 풍력발전시스템(300C)은 상기 고정축(110c)과 슬립상태로 결합된 상기 제2회전자(150)가 바람에 의해서 회전될 때 상기 고정축(110c)으로부터 슬립상태로 결합된 상기 제1회전자(120)도 상기 제2회전자(150)와의 강한 자기장에 의해서 서로 붙으려는 힘 때문에 함께 회전되며, 상기 C형발전동체(51C)의 상기 제2회전자(150) 외주면에 결합된 상기 블레이드부(40)의 영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구성이다.
상기 선박갑판(301)의 위쪽에 결합되어 풍향에 따라 좌우로 회전하는 상기 요잉부(200)와,
상기 제4중공원형관(15d)의 외주면에서 꼬리날개를 형성하는 상기 바람조향날개(38)와,
상기 C형발전동체(51C)와 상기 바람조향날개(38)를 결합하고 지지하기 위해 상기 요잉부(200)의 위쪽에 고정축 지지부재(111c)로 결합된다.
도 28은 C형 풍력발전시스템을 설치한 풍력발전선박의 측면도이다.
상기 풍력발전선박(1A)에서,
상기 고정축(110c)을 이용하며 상기 제2회전자(150)의 외주면과 결합된 상기 C형 풍력발전시스템(300C)은 상기 선박갑판(301)위에 설치하며, 상기 선박갑판(301)의 위쪽에 결합되어 풍향에 따라 좌우로 회전하는 상기 요잉부(200)와,
상기 제4중공원형관(15d)의 외주면에서 꼬리날개를 형성하는 상기 바람조향날개(38)와,
상기 요잉부(200)의 위쪽에서 상기 C형발전동체(51C)와 상기 바람조향날개(38)를 결합하고 지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축 지지부재(111c)로 결합되는 상기 C형 풍력발전시스템(300C)을 구성한다.
상기 풍력발전선박(1A)이 운항을 시작하면은 풍향의 영향으로 상기 C형 풍력발전시스템(300C)이 상기 선박운항방향과 동일한 터빈방향(218)으로 유지되면서 상기 C형 풍력발전시스템(300C)을 가동하게 된다.
상기 파워장치부(500)는 상기 C형 풍력발전시스템(300C)으로부터 인가된 전력을 제어 및 상기 메인배터리(550)에 충전할 수 있도록 선박 내부에 장착된 상기 PCS(520)와,
상기 PCS(520)를 통해 제어 및 충전된 전력을 상기 메인배터리(550)에서 관리하기 위해 선박 내부에 장착된 상기 PMS(540)와,
제어 및 변환된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상기 메인배터리(550)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배터리(550)로부터 저장되었던 DC전력을 인가하기 위해 상기 DC전원공급장치(560)를 이용하여 상기 추진모터(570)와 상기 스크류(screw)(580)를 구동하게 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하, 상기 파워장치부(500)는,
상기 풍력발전선박(1A)과 상기 태양광발전선박(2A) 및 상기 하이브리드발전선박(3A)의 상기 풍력발전시스템(300) 또는 상기 태양광발전시스템(400)로부터 인가된 전력을 제어 및 상기 메인배터리(550)에 충전할 수 있도록 선박 내부에 장착된 상기 PCS(520)와,
상기 PCS(520)를 통해 제어 및 충전된 전력을 상기 메인배터리(550)에서 관리하기 위해 선박 내부에 장착된 상기 PMS(540)와,
제어 및 변환된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상기 메인배터리(550)와,
상기 메인배터리(550)로부터 저장되었던 DC전력을 인가하기 위해 상기 DC전원공급장치(560)를 이용하여 상기 추진모터(570)와 상기 스크류(580)를 구동하게 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A : 풍력발전선박(wind turbine generation power system utilizes ship)
2A : 태양광발전선박(solar generation power system utilizes ship)
3A : 하이브리드발전선박(hybrid generation power system utilizes ship)
10A : 제1축결합부 10B : 제2축결합부 10C : 제3축결합부
13 : 결합나사
14a : 제1축받침대 14b : 제2축받침대 14c : 제3축받침대
15 : 제중공원형관
15a : 제1중공원형관 15b : 제2중공원형관 15c : 제3중공원형관 15d : 제4중공원형관
16 : 베어링(Bearing) 17 : 지지부재
18a : 제1부싱(1'st bushing) 18b : 제2부싱(2'nd bushing) 18c : 제3부싱(3'th bushing)
19 : 축 커플링(shaft coupling)
30 : 바람가이드부(wind guide) 31 : 바람제어날개(wind control pan)
32 : 날개 기울기각 33 : 날개 뒤틀림각 34 : 날개 배치각
36 : 제어날개 안쪽 37 : 제어날개 바깥쪽
38 : 바람조향날개(38)
40 : 블레이드부(blade) 40A : 제1블레이드부 40B : 제2블레이드부
41 : 나선형 블레이드 41a : 블레이드 안쪽 41b : 블레이드 바깥쪽
42 : 곡면기울기 각 43 : 나선형뒤틀림 각 44 : 배치각
50 : 발전장치부(generator system)
51A : 발전동체A 51B : 발전동체B 51C : 발전동체C
52a : 발전동체축 52b : 제1구동축 52c : 제2구동축
53 : 키(key) 54 : 전압조정장치(AVR) 55 : 너셀(nacelle) 56 : 전력케이블(power cable)
110a : 회전축A 110b : 회전축B 110c : 고정축
111a : 회전축 지지부재 111b : 고정축 지지부재 112 : 지지부재베어링
141 : 배선관통구 142 : 배선
120 : 제1회전자 123 : 제1회전자 결합허브 124 : 회전자바퀴살 125 : 제1회전자 결합베어링
126 : 자성체 또는 복수의 자석
130 : 고정자 131 : 고정자측판L 132 : 고정자측판R 133 : 권선코일 134 : 고정자결합지지부재
135 : 고정자 결합베어링 136 : 부싱(Bushing) 137 : 부싱 베어링
150 : 제2회전자 151 : 제2회전자 측판L 152 : 제2회전자 측판R
154 : 제2회전자 결합기구 155a : 제2회전자 결합베어링L 155b : 제2회전자 결합베어링R
156 : 복수의 자석 또는 자성체
200 : 요잉부(yawing)
211 : 요우데크(yaw deck) 212 : 요우타워(yaw tower) 213 : 요우걸쇠
214 : 요우잠금쇠 215 : 요우받침대 216 : 요우베어링
217 : 선박운항방향 218 : 선박운항방향과 동일한 터빈방향 219 : 자유로운 풍향에 따른 터빈방향
300 : 풍력발전시스템(wind turbine generation power system)
300A : A형 풍력발전시스템
300B : B형 풍력발전시스템
300C : C형 풍력발전시스템
301 : 선박갑판(船舶甲板 vessel deck)
310a : 전반부 터빈길이 310b : 후반부 터빈길이 310c : 전체 터빈길이
310d : 풍력터빈 폭 310e : 선박갑판 폭(船舶甲板폭 width of vessel deck)
315 : 다중 풍력터빈(multi wind turbine) 320 : 터빈하우징(turbine housing)
400 : 태양광발전시스템(solar generation power system)
401 : 솔라셀(solar cell) 402 : 솔라패널(solar panel) 430 : 고정지지대
452a : 패널 가로길이 452b : 패널 세로길이
500 : 파워장치부
520 : PCS(Power Controller System) 540 : PMS(Power Management System)
550 : 메인배터리(Main Battery) 560 : DC전원공급장치(DC Power Supply)
570 : 추진모터(Motor) 580 : 스크류(screw)
600 :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hybrid generation power system)

Claims (23)

  1.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은,
    상기 선박갑판(301)의 위쪽에 결합되어 풍향에 따라 좌우로 회전하는 상기 요잉부(200)와;
    상기 요잉부(200)의 위쪽에 결합되며 중공원형으로 외곽을 구성하는 상기 터빈하우징(320)과;
    상기 터빈하우징(320)의 내부에 결합되는 상기 A형발전동체(51A), 상기 회전축(52a), 상기 제1구동축(52b), 상기 키(53), 상기 축 커플링(19), 상기 제1축받침대(14a), 상기 전압조정장치(54), 상기 너셀(55), 상기 전력케이블(56)과;
    상기 회전축(52a)과 상기 제1구동축(52b)이 상기 키(53)와 상기 축 커플링(19)으로 결합되며, 내부에 베어링을 가지는 상기 제1축받침대(14a)를 이용하여 상기 터빈하우징(320)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상기 발전장치부(50)와;
    내부가 중공원형으로된 상기 제1중공원형관(15a)이 구비되고, 상기 제1중공원형관(15a) 외주면에 형성되는 상기 바람제어날개(31)는 2개의 판형구조물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나선형으로 절곡되며, 상기 날개 기울기각(32)과 상기 날개 뒤틀림각(33)과 상기 날개 배치각(34)을 형성하는 상기 바람가이드부(30)와;
    내부가 중공원형으로 형성된 일정한 길이의 상기 제2중공원형관(15b)이 구비되고,
    상기 제2중공원형관(15b) 외주면에 3개의 판형구조물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나선형으로 절곡하여 상기 곡면기울기 각(42)과 상기 나선형뒤틀림 각(43)을 형성하는 상기 나선형블레이드(41)와;
    상기 제1블레이드부(40A) 및 상기 제2블레이드부(40B)로 구성되는 상기 블레이드부(40)와;
    상기 요잉부(200)와, 상기 터빈하우징(320)과, 상기 발전장치부(50)와, 상기 바람가이드부(30)와, 상기 제1블레이드부(40A) 및 상기 제2블레이드부(40B)로 구성되고, 상기 A형발전동체(51A)의 상기 회전축(52a)과 상기 블레이드부(40)가 직접 결합된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 및
    상기 블레이드부(40)와 상기 A형발전동체(51A)의 상기 회전축(52a) 및 상기 제1회전자(120)가 상호 연결에 의해서 회전될 때 상기 회전축(52a)으로부터 슬립상태로 결합된 상기 제2회전자(150)도 상기 복수의 자석(156)으로 형성된 상기 제1회전자(120)와의 강력한 자기장에 의해서 서로 붙으려는 힘 때문에 함께 회전운동을 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이나 태양광 또는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을 활용한 선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의 상기 제1중공원형관(15a) 외주면에 형성되는 상기 바람가이드부(30)의 상기 바람제어날개(31)는 2개의 판형구조물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나선형으로 절곡되며, 상기 날개 기울기각(32)과 상기 날개 뒤틀림각(33)과 상기 날개 배치각(34)의 형상과;
    곡면의 기울기 형상이 상기 제1중공원형관(15a)의 외주면에서 가장자리까지 240° 이내의 나선형으로 형성하는 상기 날개 기울기각(32)과;
    종방향으로 상기 제1중공원형관(15a)의 외주면의 시작점부터 끝지점까지 240° 이내의 나선형으로 형성하는 상기 날개 뒤틀림각(33)과;
    정면에서 볼 경우 상기 제1중공원형관(15a)의 앞 끝단 외주면에 180° 수직으로 형성하는 상기 날개 배치각(34)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회전은 하지 않고 바람만 가이드 하는 역할만 하는 상기 바람제어날개(31)와;
    상기 바람가이드부(30)의 상기 제1중공원형관(15a)의 일측단 내주면에는 베어링(16)을 장착한 상기 제1부싱(18a)과 결합되며, 상기 제1부싱(18a)의 중심부로 상기 제1구동축(52b)이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것; 및
    상기 제1중공원형관(15a)의 외주면은 2개의 지지부재(17)를 이용하여 상기 터빈하우징(320)의 내주면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이나 태양광 또는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을 활용한 선박.
  3. 제 1 항과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의 상기 제1축결합부(10A)는,
    상기 제1축받침대(14a), 상기 제1중공원형관(15a), 상기 베어링(16), 상기 지지부재(17), 상기 제1부싱(18a), 상기 축 커플링(19), 상기 제1구동축(52b)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52a)의 일측단과 상기 제1구동축(52b)의 일측단이 상기 키(53)와 상기 축 커플링(19)을 이용하여 상호 결합되며, 내부에 베어링을 포함한 상기 제1축받침대(14a)를 이용하여 상기 터빈하우징(320)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것과;
    상기 제1구동축(52b)은 상기 베어링(16)을 장착한 상기 제1부싱(18a)의 중심부를 관통하고, 상기 제1중공원형관(15a)의 내부를 통과해서 자유롭게 회전하게 되는 것; 및
    상기 제1중공원형관(15a)의 외주면은 상기 지지부재(17)를 이용하여 상기 터빈하우징(320)의 내주면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이나 태양광 또는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을 활용한 선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의 상기 제1블레이드부(40A)와 상기 제2블레이드부(40B)는,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된 일정한 길이의 상기 제2중공원형관(15b)이 구비되는 것과;
    판형구조물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나선형으로 절곡한 다수의 상기 나선형블레이드(41)가 구비되는 것과;
    상기 나선형블레이드(41)는 상기 제2중공원형관(15b) 외주면에 3개의 판형구조물을 나선형으로 절곡하여 상기 곡면기울기 각(42)과 상기 나선형뒤틀림 각(43)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곡면기울기 각(42)은 곡면의 기울기 형상이 240° 이내의 나선형으로 형성하는 것과;
    상기 나선형뒤틀림 각(43)은 종방향으로 상기 제2중공원형관(15b)의 앞쪽 시작점부터 끝지점까지 240° 이내의 나선형으로 형성하며, 상기 제2중공원형관(15b)의 원지름에 맞도록 성형하는 것과;
    상기 배치각(44)은 상기 제2중공원형관(15b)의 일측단의 정면에서 볼 경우 상기 제2중공원형관(15b)의 외주면에 120° 간격을 유지하여 3개를 3등분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것과;
    상기 바람제어날개(31)의 상기 날개 뒤틀림각(33)에 의해서 제어날개안쪽(36)으로 바람이 들어오면 상기 나선형블레이드(41)의 블레이드안쪽(41a)이 상기 나선형뒤틀림 각(43)과 마주보도록 형성되어있도록 하여 부딪히는 바람에 의해서 상기 제1블레이드부(40A) 및 상기 제2블레이드부(40B)가 블레이드바깥쪽(41b)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것; 및
    상기 날개 뒤틀림각(33)이 시계방향으로 이루어졌을 경우 상기 나선형뒤틀림 각(43)은 반시계방향으로 이루어서 바람을 맞아들인 후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이나 태양광 또는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을 활용한 선박.
  5. 제 1 항내지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의 상기 제2축결합부(10B)는 상기 제1블레이드부(40A)를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제2축받침대(14b), 상기 제2중공원형관(15b), 상기 베어링(16), 상기 지지부재(17), 상기 제2부싱(18b), 상기 축 커플링(19), 상기 제1구동축(52b), 상기 키(58)가 구비되고,
    상기 바람가이드부(30)의 상기 제1중공원형관(15a)을 관통하여 나온 상기 제1구동축(52a)이 상기 제2중공원형관(15b)의 일측단 내주면에 삽입된 상기 제2부싱(18b)과 상기 키(53)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것과;
    상기 제1구동축(52b)은 내부에 베어링을 포함한 상기 제2축받침대(14b)로 상기 터빈하우징(320)의 내주면과 결합하고, 상기 제2중공원형관(15b)이 샤프트 역할을 하는 것과;
    상기 제3축결합부(10C)는 상기 제2블레이드부(40B)를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제3축결합부(10C)는 상기 제3축받침대(14c), 상기 제3중공원형관(15c), 상기 베어링(16), 상기 지지부재(17), 상기 제3부싱(18c), 상기 축 커플링(19), 상기 제2구동축(52c), 상기 키(58)가 구비되며,
    상기 제2구동축(52c)을 상기 제3중공원형관(15c)의 일측단 내주면에 삽입된 상기 제3부싱(18c)과 상기 키(53)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것; 및
    상기 제2구동축(52c)은 내부에 베어링을 포함한 상기 제3축받침대(14c)로 상기 터빈하우징(320)의 내주면과 결합하며, 상기 제3중공원형관(15c)이 샤프트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이나 태양광 또는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을 활용한 선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과 상기 선박갑판(301)을 연결하기위한 상기 요잉부(200)는,
    상기 요잉부(200)의 골격을 구성하는 중공원형의 요우타워(yaw tower)(212)와;
    상기 요우타워(212)의 상단을 형성하며 상기 터빈하우징(320)과 결합하는 요우데크(yaw deck)(211)와;
    상기 요우타워(212)의 하단을 형성하며, 내부에 구성하는 요우베어링(216)이 구비되며, 상기 선박갑판(301)과 결합되는 요우받침대(215)와;
    상기 요우타워(212)의 외주면에 직사각 모양으로 형성되는 요우걸쇠(213)와;
    상기 요우받침대(215)의 가장자리에 직사각 모양으로 형성되는 요우잠금쇠(214)와;
    상기 선박갑판(301)과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을 결합하는 상기 요잉부(200)가 상기 요우받침대(215)의 내부에 장착된 상기 요우베어링(216)에 의해 회전하게 되며, 선박이 운항 중에는 선박운항방향과 동일한 터빈방향(218)을 유도하게 되며, 선박이 정박 중에는 자유로운 풍향에 따른 터빈방향(219)으로 유도하게 되는 것과;
    상기 요우타워(212)의 외주면에 붙어있는 상기 요우걸쇠(213)는 상기 요우타워(212)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요우받침대(215)의 가장자리에 붙어있는 상기 요우잠금쇠(214)에 닿으면 더 이상 회전을 못하게 되는 것; 및
    만약 풍향에 의해서 반대쪽으로 되돌아가게 되어도 상기 요우타워(212)의 외주면에 붙어있는 상기 요우걸쇠(213)는 상기 요우타워(212)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요우받침대(215)의 가장자리에 붙어있는 상기 요우잠금쇠(214)의 반대쪽에 닿으면 더 이상 회전을 못하게 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이나 태양광 또는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을 활용한 선박.
  7. 제 1항과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요잉부(200)가 상기 풍력발전선박(1A)이 운항 또는 정박 중에는 풍향에 따라 상기 요잉부(200)의 상기 요우타워(212)가 상기 요우받침대(215)의 상기 요우베어링(216)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것과;
    선박이 운항 중에는 상기 선박운항방향과 동일한 터빈방향(218)과 일치하게 되고, 선박이 정박 중에는 상기 자유로운 풍향에 따라 터빈방향(219)으로 유도되어 바람을 맞이하게 되는 것; 및
    상기 요우타워(212)의 상단에 형성된 상기 요우데크(211)가 상기 터빈하우징(320)의 하단과 결합되며, 상기 요우타워(212)의 외주면에 붙어있는 상기 요우걸쇠(213)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요우받침대(215)의 가장자리에 붙어있는 상기 요우잠금쇠(214)에 닿으면 더 이상 회전방향으로 회전을 못하도록 하는 기능에 따라서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의 방향이 결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이나 태양광 또는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을 활용한 선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가이드부(30)와 상기 블레이드부(40)의 결합은,
    먼저 상기 바람제어날개(31)의 상기 날개 기울기각(32) 및 상기 날개 뒤틀림각(33)에 의해서 상기 제어날개안쪽(36)으로 바람이 들어오면, 상기 나선형블레이드(41)의 상기 블레이드안쪽(41a)이 상기 곡면기울기 각(42) 및 상기 나선형뒤틀림 각(43)과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부딪히는 바람에 의해서 상기 블레이드바깥쪽(41b)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것과;
    이 때 상기 제1구동축(52b) 및 상기 제2구동축(52c)이 상기 회전축(52a)을 구동시켜서 발전을 이루게 되는 것; 및
    상기 날개 기울기각(32) 및 상기 날개 뒤틀림각(33)이 시계방향으로 이루어졌을 경우 상기 곡면기울기 각(42) 및 상기 나선형뒤틀림 각(43)은 반시계방향으로 구성하여 바람을 맞아들인 후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이나 태양광 또는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을 활용한 선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의 상기 발전장치부(50)는,
    상기 A형발전동체(51A), 상기 회전축(52a), 상기 제1구동축(52a), 상기 키(key)(53), 상기 전압조정장치(54), 상기 너셀(nacelle)(55), 전력케이블(56)로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52a)과 상기 제1구동축(52a)이 상기 키(key)(53)와 상기 축 커플링(19)으로 결합되며, 내부에 베어링을 가지는 상기 제1축받침대(14a)를 이용하여 상기 터빈하우징(320)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이나 태양광 또는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을 활용한 선박.
  10. 제 1항내지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의 상기 A형발전동체(51A)는 외부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회전축(52a)과;
    상기 회전축(52a)의 외곽에서 복수의 자석(156) 또는 자성체(126)로 성형된 제1회전자(120)와;
    상기 제1회전자(120)의 외곽에서 구성되는 복합연성물질이나 비전도체 또는 비자성체로 성형되고 코일이 권선되는 고정자(130)와;
    상기 고정자(130)의 외곽에서 상기 자성체(126) 또는 상기 복수의 자석(156)으로 성형된 제2회전자(150)와;
    상기 회전축(52a)의 외주면과 상기 제1회전자(120)의 내주면을 고정되게 결합하는 제1회전자결합허브(123)와;
    상기 제1회전자결합허브(123)와 상기 제1회전자(120)를 결합하기위해 성형된 제1회전자바퀴살(124)과;
    상기 회전축(52a)의 일측단에서 슬립(slip)되게 결합되는 고정자결합베어링(135)과;
    상기 고정자결합베어링(135)과 상기 고정자(130)의 지지를 위해 결합되는 고정자측판L(131)과;
    내부에 부싱베어링(137)을 장착하고 상기 회전축(52a)의 타측단 외주면과 내부가 슬립되게 결합되는 부싱(bushing)(136)과;
    상기 부싱(136)의 안쪽 외주면과 고정되게 결합되는 고정자측판R(132)과;
    상기 부싱(136)의 바깥쪽 외주면과 결합되는 제2회전자결합베어링R(155b)과;
    상기 제2회전자결합베어링(155b)의 외주면과 결합되고 상기 제2회전자(150)의 일 측면을 구성하는 제2회전자측판R(152)과;
    상기 회전축(52a)의 일측단 외주면을 슬립하게 결합하여 상기 제2회전자(150)가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제2회전자결합베어링L(155a)과;
    상기 제2회전자결합베어링L(155a)과 결합되어 상기 제2회전자(150)의 좌측면을 구성하는 제2회전자측판L(151)과;
    상기 고정자(130)의 권선코일(133)은 상기 부싱(136)의 배선관통구(141)를 통해 외부로 안전하게 도출되는 배선(142)으로 구성되는 것과;
    상기 제1회전자(120) 및 상기 제2회전자(150) 중에 어느 한쪽을 상기 자성체(126)로 성형시킬 때 다른 쪽은 상기 복수의 자석(156)으로 형성하거나, 상기 제1회전자(120)와 상기 제2회전자(150) 모두에게 상기 복수의 자석(156)으로 형성되는 것과;
    상기 회전축(52a)에 회전동력이 발생하면 상기 회전축(52a)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자석(156)으로 형성된 상기 제1회전자(120)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2회전자(150)는 상기 회전축(52a)에 베어링을 장착한 상기 제2회전자결합베어링L(155a)과 상기 제2회전자결합베어링R(155b)이 모두 슬립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회전각을 가지고 등속회전을 하게 되는 것; 및
    상기 제1회전자(120)와 상기 제2회전자(150)는 강력한 기자력에 의해 서로 붙으려고 하는 힘에 이끌림을 받게 되고, 슬립상태로 결합된 상기 제2회전자(150)는 상기 복수의 자석(156)으로 형성된 상기 제1회전자(120)의 강력한 기자력에 의해서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회전각을 이루며 등속회전운동을 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이나 태양광 또는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을 활용한 선박.
  11. 제 1 항과 제 10항에 있어서,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은,
    선박지붕(301)의 위쪽에 결합되어 풍향에 따라 좌우로 회전하는 상기 요잉부(200)와;
    상기 요잉부(200)의 위쪽에 결합되며 중공원형으로 외곽을 구성하는 상기 터빈하우징(320)과;
    상기 터빈하우징(320)의 내부에 상기 A형발전동체(51A), 상기 회전축(52a), 상기 제1구동축(52b), 상기 키(53), 상기 축 커플링(19), 상기 제1축받침대(14a), 상기 전압조정장치(54), 상기 너셀(55), 상기 전력케이블(56)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52a)과 상기 제1구동축(52b)이 상기 키(53)와 상기 축 커플링(19)으로 결합되며, 내부에 베어링을 가지는 상기 제1축받침대(14a)를 이용하여 상기 터빈하우징(320)의 내주 면에 결합되는 상기 발전장치부(50)로 구성되는 것과;
    내부가 중공원형으로된 상기 제1중공원형관(15a)이 구비되고,
    상기 제1중공원형관(15a) 외주면에 형성되는 상기 바람제어날개(31)는 2개의 판형구조물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유선형으로 절곡되며, 상기 날개 기울기각(32)과 상기 날개 뒤틀림각(33)과 상기 날개 배치각(34)을 형성하는 상기 바람가이드부(30)로 구성되는 것과;
    내부가 중공원형으로 형성된 일정한 길이의 상기 제2중공원형관(15b)이 구비되고,
    판형구조물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유선형으로 절곡한 다수의 상기 나선형블레이드(41)가 구비되며, 상기 나선형블레이드(41)는 상기 제2중공원형관(15b) 외주면에 3개의 판형구조물을 나선형으로 절곡하여 상기 곡면기울기 각(42)과 상기 나선형뒤틀림 각(43)을 형성하고 상기 제1블레이드부(40A) 및 상기 제2블레이드부(40B)로 구성되는 상기 블레이드부(40)로 구성되는 것과;
    상기 요잉부(200)와, 상기 터빈하우징(320)과, 상기 발전장치부(50)와, 상기 바람가이드부(30)와, 상기 제1블레이드부(40A) 및 상기 제2블레이드부(40B)를 각각 상기 제1축결합부(10A), 상기 제2축결합부(10B), 상기 제3축결합부(10C)로 결합되는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을 나타내는 것과;
    상기 블레이드부(40)와 상기 회전축(52a) 및 상기 A형발전동체(51A)가 상호 연결된 상기 회전축(52a)과 상기 블레이드부(40)가 직접 결합된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을 나타내는 것; 및
    상기 블레이드부(40)와 상기 A형발전동체(51A)의 상기 회전축(52a) 및 상기 A형발전동체(51A)의 상기 제1회전자(120)가 상호 연결에 의해서 회전될 때 상기 회전축(52a)으로부터 슬립상태로 결합된 상기 제2회전자(150)도 상기 제1회전자(120)와의 강력한 자기장에 의해서 서로 붙으려는 힘 때문에 함께 회전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이나 태양광 또는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을 활용한 선박.
  12. 제 1항과 제10항내지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발전선박(1A)에서,
    상기 회전축(52a)과 상기 블레이드부(40)가 직접 결합된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은 상기 선박갑판(301)위에 설치하며, 상기 풍력발전선박(1A)이 운항을 시작하면은 풍향의 영향으로 상기 회전축(52a)과 상기 블레이드부(40)가 직접 결합된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이 상기 선박운항방향과 동일한 터빈방향(218)으로 유지되면서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을 가동하게 되는 것과;
    상기 파워장치부(500)가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로부터 인가된 전력을 제어 및 상기 메인배터리(550)에 충전할 수 있도록 선박 내부에 장착된 상기 PCS(520)와;
    상기 PCS(520)를 통해 제어 및 충전된 전력을 상기 메인배터리(550)에서 관리하기 위해 선박 내부에 장착된 상기 PMS(540)와; 및
    제어 및 변환된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상기 메인배터리(550)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배터리(550)로부터 저장되었던 DC전력을 인가하기 위해 상기 DC전원공급장치(560)를 이용하여 추진모터(570)와 스크류(screw)(580)를 구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이나 태양광 또는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을 활용한 선박.
  13. 제 1항과 제10항내지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발전선박(1A)에서,
    상기 회전축(52a)과 상기 블레이드부(40)가 직접 결합된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은 전체 터빈길이(310c)와 풍력터빈 폭(310d)이 선박갑판 폭(310e)을 벋어나지 않도록 전반부 터빈길이(310a)와 후반부 터빈길이(310b)를 조절하고, 상기 전반부 터빈길이(310a)보다 상기 후반부 터빈길이(310b)를 더 길게 하여 상기 회전축(52a)과 상기 블레이드부(40)가 직접 결합된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이 회전을 하였을 때 상기 선박갑판 폭(310e)에 벋어나지 않도록 결합되는 것과;
    상기 풍력발전선박(1A)이 운항을 시작하면은 풍향의 영향으로 상기 선박갑판(301)위의 상기 회전축(52a)과 상기 블레이드부(40)가 직접 결합된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이 상기 선박운항방향과 동일한 터빈방향(218)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을 가동하게 되는 것과;
    상기 파워장치부(500)가 상기 회전축(52a)과 상기 블레이드부(40)가 직접 결합된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으로부터 인가된 전력을 제어 및 상기 메인배터리(550)에 충전할 수 있도록 선박 내부에 장착된 상기 PCS(520)와;
    상기 PCS(520)를 통해 제어 및 충전된 전력을 상기 메인배터리(550)에서 관리하기 위해 선박 내부에 장착된 상기 PMS(540)와; 및
    제어 및 변환된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상기 메인배터리(550)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배터리(550)로부터 저장되었던 DC전력을 인가하기 위해 상기 DC전원공급장치(560)를 이용하여 상기 추진모터(570)와 상기 스크류(580)를 구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이나 태양광 또는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을 활용한 선박.
  14. 제 1항과 제10항내지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발전선박(1A)은,
    상기 회전축(52a)과 상기 블레이드부(40)가 직접 결합된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의 상기 다중 풍력터빈(315)을 상기 선박갑판(301)위에 설치되는 것과;
    상기 다중 풍력터빈(315)의 앞쪽 끝단에서부터 상기 요잉부(200) 중심선까지의 상기 전반부 터빈길이(310a)와;
    상기 다중 풍력터빈(315)의 뒤쪽 끝단에서부터 상기 요잉부(200) 중심선까지의 상기 후반부 터빈길이(310b)와;
    상기 요잉부(200)에 의해 상기 다중 풍력터빈(315)이 좌우로 회전할 때 상기 선박갑판 폭(310e)의 넓이를 벋어나지 않는 상기 터빈 전체길이(310c)와;
    상기 요잉부(200)에 의해 상기 다중 풍력터빈(315)이 좌우로 회전할 때 상기 선박갑판 폭(310e)의 넓이를 벋어나지 않는 상기 풍력터빈 폭(310d)을 구성하고,
    이를 위하여 상기 전반부 터빈길이(310a)보다 상기 후반부 터빈길이(310b)를 더 길게 하되 상기 선박갑판 폭(310e)에 벋어나지 않도록 결합되는 것과;
    따라서 상기 선박갑판(301) 위의 상기 다중 풍력터빈(315)은 바람을 받기위해 상기 자유로운 풍향에 따른 터빈방향(219)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을 가동하게 되는 것과;
    상기 풍력발전선박(1A)이 운항을 시작하면은 상기 다중 풍력터빈(315)이 상기 선박운항방향과 동일한 터빈방향(218)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을 가동하게 되는 것과;
    상기 파워장치부(500)가 상기 회전축(52a)과 상기 블레이드부(40)가 직접 결합된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으로부터 인가된 전력을 제어 및 상기 메인배터리(550)에 충전할 수 있도록 선박 내부에 장착된 상기 PCS(520)와;
    상기 PCS(520)를 통해 제어 및 충전된 전력을 상기 메인배터리(550)에서 관리하기 위해 선박 내부에 장착된 상기 PMS(540)와; 및
    제어 및 변환된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상기 메인배터리(550)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배터리(550)로부터 저장되었던 DC전력을 인가하기 위해 상기 DC전원공급장치(560)를 이용하여 상기 추진모터(570)와 상기 스크류(580)를 구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이나 태양광 또는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을 활용한 선박.
  15. 상기 태양광발전선박(2A)에서 태양광발전시스템(400)은,
    다수의 솔라셀(401)이 부착된 다수의 솔라패널(402)이 상기 선박갑판(301) 위에 설치되는 것과;
    상기 파워장치부(500)는 상기 태양광발전시스템(400)과 결합되며, 운항 또는 정박과 관계없이 상기 태양광발전시스템(400)로부터 인가된 전력을 동시에 제어 및 상기 메인배터리(550)에 충전할 수 있도록 선박 내부에 장착된 상기 PCS(520)와;
    상기 PCS(520)를 통해 제어 및 충전된 전력을 상기 메인배터리(550)에서 관리하기 위해 선박 내부에 장착된 상기 PMS(540)와; 및
    제어 및 변환된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상기 메인배터리(550)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배터리(550)로부터 저장되었던 DC전력을 인가하기 위해 상기 DC전원공급장치(560)를 이용하여 상기 추진모터(570)와 상기 스크류(580)를 구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이나 태양광 또는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을 활용한 선박.
  16. 제 1 항과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발전선박(3A)에서,
    상기 다중 풍력터빈(315)으로 구성된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은 상기 선박갑판(301)위에 설치되는 것과;
    상기 다중 풍력터빈(315)의 앞쪽 끝단에서부터 상기 요잉부(200) 중심선까지의 상기 전반부 터빈길이(310a)와;
    상기 다중 풍력터빈(315)의 뒤쪽 끝단에서부터 상기 요잉부(200) 중심선까지의 상기 후반부 터빈길이(310b)와;
    상기 요잉부(200)에 의해 상기 다중 풍력터빈(315)이 좌우로 회전할 때 상기 선박갑판 폭(310e)의 넓이를 벋어나지 않는 상기 터빈 전체길이(310c)와;
    상기 요잉부(200)에 의해 상기 다중 풍력터빈(315)이 좌우로 회전할 때 상기 선박갑판 폭(310e)의 넓이를 벋어나지 않는 상기 풍력터빈 폭(310d)을 구성하고,
    이를 위하여 상기 전반부 터빈길이(310a)보다 상기 후반부 터빈길이(310b)를 더 길게 하되 상기 선박갑판 폭(310e)에 벋어나지 않도록 결합되며, 항상 상기 선박갑판(301)위의 상기 다중 풍력터빈(315)을 따라서 함께 움직이게 되는 것과;
    상기 태양광발전시스템(400)은 다수의 상기 솔라셀(401)이 부착된 다수의 상기 솔라패널(402)이 상기 다중 풍력터빈(315) 위에 설치되며, 상기 패널가로길이(452a)와 상기 패널세로길이(452b)가 상기 선박갑판 폭(310e)을 벋어나지 않도록 하며, 항상 상기 선박갑판(301) 위의 상기 다중 풍력터빈(315)을 따라서 함께 움직이게 되는 것과;
    상기 파워장치부(500)는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 및 상기 태양광발전시스템(400)과 결합되며,
    상기 A형 풍력발전시스템(300A) 및 상기 태양광시스템(400)로부터 인가된 전력을 동시에 제어 및 상기 메인배터리(550)에 충전할 수 있도록 선박 내부에 장착된 상기 PCS(520)와;
    상기 PCS(520)를 통해 제어 및 충전된 전력을 상기 메인배터리(550)에서 관리하기 위해 선박 내부에 장착된 상기 PMS(540)와; 및
    제어 및 변환된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상기 메인배터리(550)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배터리(550)로부터 저장되었던 DC전력을 인가하기 위해 상기 DC전원공급장치(560)를 이용하여 상기 추진모터(570)와 상기 스크류(580)를 구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이나 태양광 또는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을 활용한 선박.
  17. 상기 B형발전동체(51B)는 외부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110b)과,
    상기 회전축(110b)의 외곽에서 상기 자성체(126) 또는 상기 복수의 자석(156)으로 성형된 상기 제1회전자(120)와;
    상기 제1회전자(120)의 외곽에서 구성되는 복합연성물질이나 비전도체 또는 비자성체로 성형되고 상기 권선코일(133)을 갖는 상기 고정자(130)와;
    상기 고정자(130)의 외곽에서 상기 복수의 자석(156) 또는 상기 자성체(126)로 성형된 상기 제2회전자(150)가 구성되는 것과;
    제1회전자결합베어링(125)을 장착하고 상기 회전축(110b)의 외주면과 상기 제1회전자(120)의 내주면을 슬립하게 결합시켜 상기 제1회전자(120)가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하는 상기 제1회전자결합허브(123)와,
    상기 제1회전자결합허브(123)와 상기 제1회전자(120)를 결합하기위해 성형된 상기 제1회전자바퀴살(124)과;
    상기 회전축(110b)의 일측단에서 슬립(slip)하게 결합되는 상기 고정자결합베어링(135)과;
    상기 고정자결합베어링(135)과 상기 고정자(130)의 지지를 위해 결합되는 상기 고정자측판L(131)과;
    상기 회전축(110b)의 타측단 외주면과 내부가 슬립되게 결합되도록 내부에 상기 부싱베어링(137)을 포함한 상기 부싱(136)과;
    상기 부싱(136)의 안쪽 외주면과 고정되게 결합되는 상기 고정자측판R(132)과;
    상기 부싱(136)의 바깥쪽 외주면과 결합되는 상기 제2회전자결합베어링R(155b)과;
    상기 제2회전자결합베어링R(155b)의 외주면과 결합되고 상기 제2회전자(150)의 우측면을 구성하는 상기 제2회전자측판R(152)과;
    상기 회전축(110b)의 일측단 외주면과 고정되게 결합되는 제2회전자결합기구(154)와;
    상기 제2회전자결합기구(154)와 결합되어 상기 제2회전자(150)의 좌측면을 구성하는 상기 제2회전자측판L(151)과;
    상기 고정자(130)의 상기 권선코일(133)은 상기 부싱(136)의 상기 배선관통구(141)를 통해 외부로 안전하게 도출되는 상기 배선(142)으로 구성되는 것과;
    상기 제1회전자(120) 및 상기 제2회전자(150) 중에 어느 한쪽을 상기 자성체(126)로 성형시킬 때 다른 쪽은 상기 복수의 자석(156)으로 형성하거나, 상기 제1회전자(120)와 상기 제2회전자(150) 모두에게 상기 복수의 자석(156)으로 형성되는 것과;
    상기 회전축(110b)에 회전동력이 발생하면 상기 회전축(110b)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자석(156)으로 형성된 상기 제2회전자(15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회전자(120)는 상기 회전축(110b)에 베어링을 장착한 상기 제1회전자결합베어링(125)을 통해서 슬립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회전각을 가지고 등속회전을 하게 되는 것; 및
    상기 제1회전자(120)와 상기 제2회전자(150)는 강력한 기자력에 의해 서로 붙으려고 하는 힘에 이끌림을 받게 되고, 슬립상태로 결합된 상기 제1회전자(120)는 상기 복수의 자석(156)으로 형성된 상기 제2회전자(150)의 강력한 기자력에 의해서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회전각을 이루며 등속회전운동을 하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이나 태양광 또는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을 활용한 선박.
  18. 제 1항과 제10항내지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B형 풍력발전시스템(300B)은 상기 회전축(110b)과 고정 상태로 결합된 상기 제2회전자(150)가 바람에 의해서 회전될 때 상기 회전축(110b)으로부터 슬립상태로 결합된 상기 제1회전자(120)도 상기 제2회전자(150)와의 강한 자기장에 의해서 서로 붙으려는 힘 때문에 함께 회전되며, 상기 B형발전동체(51B)의 상기 제2회전자(150) 외주면에 결합된 상기 블레이드부(40)의 영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구성되는 것과;
    상기 선박갑판(301)의 위쪽에 결합되어 풍향에 따라 좌우로 회전하는 상기 요잉부(200)와;
    중공원형관(15d)의 외주면에서 꼬리날개를 형성하는 바람조향날개(38)와; 및
    상기 B형발전동체(51B)와 상기 바람조향날개(38)를 결합하고 지지하기 위해 상기 요잉부(200)의 위쪽에 지지부재 베어링(112)을 장착하여 회전축 지지부재(111b)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이나 태양광 또는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을 활용한 선박.
  19. 제 1항과 제17항내지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발전선박(1A)에서,
    상기 회전축(110b)을 이용하여 상기 제2회전자(150)의 외주면과 결합된 상기 B형 풍력발전시스템(300B)은 상기 선박갑판(301)위에 설치하며, 상기 선박갑판(301)의 위쪽에 결합되어 풍향에 따라 좌우로 회전하는 상기 요잉부(200)와;
    상기 중공원형관(15d)의 외주면에서 꼬리날개를 형성하는 상기 바람조향날개(38)와;
    상기 지지부재 베어링(112)을 장착하고 상기 B형발전동체(51B)와 상기 바람조향날개(38)를 결합하고 지지하기 위해 상기 요잉부(200)의 위쪽에 결합되는 상기 회전축 지지부재(111b)로 구성되는 상기 B형 풍력발전시스템(300B)으로, 상기 풍력발전선박(1A)이 운항을 시작하면은 풍향의 영향으로 상기 B형 풍력발전시스템(300B)이 상기 선박운항방향과 동일한 터빈방향(218)으로 유지되면서 상기 B형 풍력발전시스템(300B)을 가동하게 되는 것과;
    상기 파워장치부(500)가 상기 B형 풍력발전시스템(300B)으로부터 인가된 전력을 제어 및 상기 메인배터리(550)에 충전할 수 있도록 선박 내부에 장착된 상기 PCS(520)와;
    상기 PCS(520)를 통해 제어 및 충전된 전력을 상기 메인배터리(550)에서 관리하기 위해 선박 내부에 장착된 상기 PMS(540)와; 및
    제어 및 변환된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상기 메인배터리(550)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배터리(550)로부터 저장되었던 DC전력을 인가하기 위해 상기 DC전원공급장치(560)를 이용하여 상기 추진모터(570)와 상기 스크류(screw)(580)를 구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이나 태양광 또는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을 활용한 선박.
  20. 상기 C형발전동체(51C)는 외부동력에 의해 회전하지 않은 상기 고정축(110c)과;
    상기 고정축(110c)의 외곽에서 상기 자성체(126) 또는 상기 복수의 자석(156)으로 성형된 상기 제1회전자(120)와;
    상기 제1회전자(120)의 외곽에서 구성되는 복합연성물질이나 비전도체 또는 비자성체로 성형되고 상기 권선코일(133)을 갖는 상기 고정자(130)와;
    상기 고정자(130)의 외곽에서 상기 복수의 자석(156) 또는 상기 자성체(126)로 성형된 상기 제2회전자(150)가 구성되는 것과;
    상기 제1회전자결합베어링(125)을 장착하고 상기 고정축(110c)의 외주면과 상기 제1회전자(120)의 내주면을 슬립하게 결합시켜 상기 제1회전자(120)가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하는 상기 제1회전자결합허브(123)와;
    상기 제1회전자결합허브(123)와 상기 제1회전자(120)를 결합하기위해 성형된 상기 제1회전자바퀴살(124)과;
    상기 고정축(110c)의 일측단에서 고정되게 결합되는 고정자결합지지부재(134)와;
    상기 고정자결합지지부재(134)와 상기 고정자(130)의 지지를 위해 결합되는 상기 고정자측판L(131)과;
    상기 고정축(110c)의 타측단 외주면과 내부가 고정되게 결합되도록 내부에 상기 부싱베어링(137)을 포함한 상기 부싱(136)과;
    상기 부싱(136)의 안쪽 외주면과 고정되게 결합되는 상기 고정자측판R(132)과;
    상기 부싱(136)의 바깥쪽 외주면과 결합되는 상기 제2회전자결합베어링(155b)과;
    상기 제2회전자결합베어링(155b)의 외주면과 결합되고 상기 제2회전자(150)의 일 측면을 구성하는 상기 제2회전자측판R(152)과;
    상기 고정축(110c)의 일측단 외주면을 슬립하게 결합하여 상기 제2회전자(150)가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상기 제2회전자결합베어링L(155a)과;
    상기 제2회전자결합베어링L(155a)과 결합되어 상기 제2회전자(150)의 좌측면을 구성하는 상기 제2회전자측판L(151)과;
    상기 고정자(130)의 상기 권선코일(133)은 상기 부싱(136)의 상기 배선관통구(141)를 통해 외부로 안전하게 도출되는 상기 배선(142)으로 구성되는 것과;
    상기 제1회전자(120) 및 상기 제2회전자(150) 중에 어느 한쪽을 상기 자성체(126)로 성형시킬 때 다른 쪽은 상기 복수의 자석(156)으로 형성하거나, 상기 제1회전자(120)와 상기 제2회전자(150) 모두에게 상기 복수의 자석(156)으로 형성되는 것과;
    상기 블레이드부(40)에 회전동력이 발생하면 상기 고정축(110c)에 슬립되게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자석(156)으로 형성된 상기 제2회전자(15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회전자(120)는 상기 고정축(110c)에 베어링을 장착한 상기 제1회전자결합베어링(125)을 통해서 슬립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회전각을 가지고 등속회전을 하게 되는 것; 및
    상기 제1회전자(120)와 상기 제2회전자(150)는 강력한 기자력에 의해 서로 붙으려고 하는 힘에 이끌림을 받게 되고, 슬립상태로 결합된 상기 제1회전자(120)는 상기 복수의 자석(156)으로 형성된 상기 제2회전자(150)의 강력한 기자력에 의해서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회전각을 이루며 등속회전운동을 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이나 태양광 또는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을 활용한 선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110c)을 이용하여 상기 제2회전자(150)의 외주면에 상기 블레이드부(40)가 결합된 상기 C형 풍력발전시스템(300C)은 상기 고정축(110c)과 슬립상태로 결합된 상기 제2회전자(150)가 바람에 의해서 회전될 때 상기 고정축(110c)으로부터 슬립상태로 결합된 상기 제1회전자(120)도 상기 제2회전자(150)와의 강한 자기장에 의해서 서로 붙으려는 힘 때문에 함께 회전되며, 상기 C형발전동체(51C)의 상기 제2회전자(150) 외주면에 결합된 상기 블레이드부(40)의 영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과;
    상기 선박갑판(301)의 위쪽에 결합되어 풍향에 따라 좌우로 회전하는 상기 요잉부(200)와;
    상기 제4중공원형관(15d)의 외주면에서 꼬리날개를 형성하는 상기 바람조향날개(38)와; 및
    상기 C형발전동체(51C)와 상기 바람조향날개(38)를 결합하고 지지하기 위해 상기 요잉부(200)의 위쪽에 고정축 지지부재(111c)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이나 태양광 또는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을 활용한 선박.
  22. 제 1항과 제20항내지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발전선박(1A)에서,
    상기 고정축(110c)을 이용하여 상기 제2회전자(150)의 외주면과 결합된 상기 C형 풍력발전시스템(300C)은 상기 선박갑판(301)위에 설치하며, 상기 선박갑판(301)의 위쪽에 결합되어 풍향에 따라 좌우로 회전하는 상기 요잉부(200)와;
    상기 제4중공원형관(15d)의 외주면에서 꼬리날개를 형성하는 상기 바람조향날개(38)와;
    상기 요잉부(200)의 위쪽에서 상기 C형발전동체(51C)와 상기 바람조향날개(38)를 결합하고 지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축 지지부재(111c)로 결합되는 상기 C형 풍력발전시스템(300C)을 구성되는 것과;
    상기 풍력발전선박(1A)이 운항을 시작하면은, 풍향의 영향으로 상기 C형 풍력발전시스템(300C)이 상기 선박운항방향과 동일한 터빈방향(218)으로 유지되면서 상기 C형 풍력발전시스템(300C)을 가동하게 되는 것과;
    상기 파워장치부(500)가 상기 C형 풍력발전시스템(300C)으로부터 인가된 전력을 제어 및 상기 메인배터리(550)에 충전할 수 있도록 선박 내부에 장착된 상기 PCS(520)와;
    상기 PCS(520)를 통해 제어 및 충전된 전력을 상기 메인배터리(550)에서 관리하기 위해 선박 내부에 장착된 상기 PMS(540)와; 및
    제어 및 변환된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상기 메인배터리(550)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배터리(550)로부터 저장되었던 DC전력을 인가하기 위해 상기 DC전원공급장치(560)를 이용하여 상기 추진모터(570)와 상기 스크류(screw)(580)를 구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이나 태양광 또는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을 활용한 선박.
  23. 제 10항내지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장치부(500)는 상기 풍력발전선박(1A)과 상기 태양광발전선박(2A) 및 상기 하이브리드발전선박(3A)의 상기 풍력발전시스템(300) 또는 상기 태양광발전시스템(400)로부터 인가된 전력을 제어 및 상기 메인배터리(550)에 충전할 수 있도록 선박 내부에 장착된 상기 PCS(520)와;
    상기 PCS(520)를 통해 제어 및 충전된 전력을 상기 메인배터리(550)에서 관리하기 위해 선박 내부에 장착된 상기 PMS(540)와;
    제어 및 변환된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상기 메인배터리(550)와; 및
    상기 메인배터리(550)로부터 저장되었던 DC전력을 인가하기 위해 상기 DC전원공급장치(560)를 이용하여 상기 추진모터(570)와 상기 스크류(580)를 구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이나 태양광 또는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을 활용한 선박.
KR1020200052991A 2020-04-19 2020-04-30 풍력이나 태양광 또는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을 활용한 선박 KR1023496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092 2020-04-19
KR1020200047092A KR20200049721A (ko) 2020-04-19 2020-04-19 풍력이나 태양광 또는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을 활용한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696A true KR20200060696A (ko) 2020-06-01
KR102349651B1 KR102349651B1 (ko) 2022-01-13

Family

ID=7067799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7092A KR20200049721A (ko) 2020-04-19 2020-04-19 풍력이나 태양광 또는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을 활용한 선박
KR1020200052991A KR102349651B1 (ko) 2020-04-19 2020-04-30 풍력이나 태양광 또는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을 활용한 선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7092A KR20200049721A (ko) 2020-04-19 2020-04-19 풍력이나 태양광 또는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을 활용한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000497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0949A (ko) * 2020-09-24 2022-03-31 선상규 나선형 블레이드를 이용한 발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2505A (ko) * 2011-01-14 2012-07-24 김춘식 복수의 발전기를 구비한 풍력발전기
KR20150025771A (ko) * 2013-08-30 2015-03-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친환경 발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62892A (ko) * 2014-11-26 2016-06-03 선상규 바람가이드를 갖는 나선형 블레이드
KR20180071159A (ko) * 2016-12-19 2018-06-27 선상규 회전축 또는 고정축을 사용할 수 있는 2개의 회전자를 이용하는 발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2505A (ko) * 2011-01-14 2012-07-24 김춘식 복수의 발전기를 구비한 풍력발전기
KR20150025771A (ko) * 2013-08-30 2015-03-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친환경 발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62892A (ko) * 2014-11-26 2016-06-03 선상규 바람가이드를 갖는 나선형 블레이드
KR20180071159A (ko) * 2016-12-19 2018-06-27 선상규 회전축 또는 고정축을 사용할 수 있는 2개의 회전자를 이용하는 발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0949A (ko) * 2020-09-24 2022-03-31 선상규 나선형 블레이드를 이용한 발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721A (ko) 2020-05-08
KR102349651B1 (ko) 202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2561B2 (en) Power generation system
JP5186383B2 (ja) エオールコンバータ
CN102159831B (zh) 包括多个电动机/发电机的发电系统
US20130106193A1 (en) Hybrid wind and solar energy device
EP1478850B1 (en) Roof mounted wind turbine
US7040858B2 (en) Wind power generator, windmill, and spindle and blade of the windmill
US10988223B2 (en) Electrical underwater jet motor with multiple stator for sea vehicles
RU2468250C2 (ru) Инфраструктура для привода и ускоренного взлета аэродинамических поверхностей для тропосферного эолового генератора
US20070108775A1 (en) Vehicle-mounted generator
WO2002077369A1 (fr) Generatrice electrique actionnee par effet d'onde gyroscopique, et absorbeur d'onde utilisant cette generatrice
JP2009522482A (ja) 風から再生エネルギーおよび再生可能エネルギーを発生させるための装置およびシステム
CN101943127A (zh) 集风立式风力发电系统
KR20050018764A (ko) 태양광과 풍력을 이용한 복합 발전 장치
KR20200051536A (ko) 이동용 모빌리티를 활용하는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
KR20200060696A (ko) 풍력이나 태양광 또는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을 활용한 선박
WO2009016372A2 (en) Wind energy generation apparatus
KR20110112106A (ko) 수직축형 풍력발전기
CN207801803U (zh) 一种车载风光互补电池充电装置
US11946442B2 (en)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s
CN109798223A (zh) 一种摇摆风能发电装置
CA2619006C (en) Windmill
JPH04303181A (ja) 高層建築物用風力発電装置
JPH0762471B2 (ja) 風力発電塔マスト・トップの方位制御装置
JP3241693U (ja) 風力発電装置
KR102487530B1 (ko) 부유식 해상 풍력 발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