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0562A - a return spring for a railway vehicle - Google Patents

a return spring for a railway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0562A
KR20200060562A KR1020180144106A KR20180144106A KR20200060562A KR 20200060562 A KR20200060562 A KR 20200060562A KR 1020180144106 A KR1020180144106 A KR 1020180144106A KR 20180144106 A KR20180144106 A KR 20180144106A KR 20200060562 A KR20200060562 A KR 20200060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urn spring
core bar
main body
cylinder
railway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41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20694B1 (en
Inventor
김연수
박성혁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44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0694B1/en
Publication of KR20200060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05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6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02Arrangements permitting limited transverse relative movements between vehicle underframe or bolster and bogie; Connections between underframes and bogies
    • B61F5/22Guiding of the vehicle underframes with respect to the bogies
    • B61F5/24Means for damping or minimising the canting, skewing, pitching, or plunging movements of the under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38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 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e.g. sliding axles, swinging ax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12Attachments or mountings
    • F16F1/126Attachments or mountings comprising an element between the end coil of the spring and the support proper, e.g. an elastomeric annulu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urn spring for a railway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turn spring for a railway vehicle, which is provided between a vehicle body and a bogie of the railway vehicle to act equally in both directions so as to avoid excessive rotational motion when the railway vehicle runs in a curved section, thereby preventing reduction in ride comfort. To this end, the return spring for the railway vehicle comprises: a main body formed in a pipe shape; a core bar provided to be movabl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main body; and a spring provid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core bar to elastically support the core bar.

Description

철도차량용 리턴 스프링{a return spring for a railway vehicle}{A return spring for a railway vehicle}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리턴 스프링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도차량의 대차와 차체 사이에 구비되는 리턴 스프링이 양방향으로 동일하게 힘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철도차량이 곡선구간 주행시에 과도한 회전운동을 방지하여 승차감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철도차량용 리턴 스프링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urn spring for a railway vehicle, and more specifically, by allowing the return spring provided between the bogie and the vehicle body of the railway vehicle to act in the same direction in both directions, preventing excessive rotational movement when the railway vehicle travels in a curved section. It relates to a return spring for railway vehicles that can prevent the ride comfort is lowered.

일반적으로 고무차륜형식 철도차량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타이어로 콘크리트 궤도를 주행하고, 대차프레임(안내프레임) 외측에 설치된 4개의 안내륜이 주행궤도 좌우에 설치된 안내레일을 따라 차량을 유도하는 고무차륜형식 경량전철이다.In general, a rubber wheel type railroad vehicle travels on a concrete track with a rubber tire, as shown in FIG. 1, and four guide wheels installed outside the bogie frame (guide frame) move the vehicle along the guide rail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riving track. It is a guided rubber wheel type lightweight train.

또한, 고무차륜형식 철도차량은 분기구간에서는 안내륜/안내레일과는 별도로 설치되는 분기륜/분기레일에 따라 주행함으로써 정해진 주행궤도로 분기할 수 있다.In addition, a rubber wheel type railroad vehicle can branch into a predetermined driving track by driving along a branch wheel / branch rail installed separately from a guide wheel / guide rail in a branch section.

따라서, 곡선구간·분기구간 등의 노선특성, 안내레일 및 분기레일의 마모·불규칙도, 시공 정밀도 등에 따라 발생되는 주행장치(대차)와 차체 사이의 회전변위를 신속히 정상상태로 복귀되는 것이 차량의 진동(동적거동) 및 승객의 승차감 특성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vehicle to quickly return the rotational displacement between the traveling device (car) and the vehicle body, which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ute, such as the curved section and branch section, the wear / irregularity of the guide rail and the branch rail, and the construction precision. Vibration (dynamic behavior) and passenger comfort characteristics are greatly affected.

또한, 최근에는 경량전철의 수송능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차량의 최고속도를 증속시키는 경향이 크고, 최고속도가 증속될 경우 차체에 대한 주행장치(대차)의 회전변위를 신속히 초기상태로 복원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설계기술로 인식되고 있다.In addition, recently, there is a tendency to increase the maximum speed of the vehicle to increase the transport capacity of the light rail, and when the maximum speed is increased, it is very quickly to restore the rotational displacement of the traveling device (car) to the vehicle body to the initial state. It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design technology.

특히, 리턴 스프링은 운행 중에 수시로 작동되는 부품이므로 주행장치(대차)와 차체 사이의 회전변위 방향에 관계없이 일정한 성능(회전변위의 신속한 복원)을 발휘하는 것이 주행장치(대차)의 안전성, 주행안정성 등의 확보를 위해 중요하다.In particular, since the return spring is a component that is frequently operated during operation, it is safe and stable to drive the vehicle (car) by exerting constant performance (quick restoration of rotational displacement) regardless of the direction of rotational displacement between the vehicle (car) and the vehicle body. It is important for securing the back.

따라서, 고무차륜형식 철도차량의 최고속도 증속 및 진동(승차감)특성 개선을 위해서는 차체와 주행장치(대차) 사이의 회전변위를 신속히 초기상태로 복원시킬 수 있는 성능을 갖는 리턴스프링(복원스프링)의 설치가 필수적이다.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maximum speed increase and vibration (ride comfort) characteristics of a rubber wheel type railway vehicle, the return spring (restored spring) has the ability to quickly restore the rotational displacement between the vehicle body and the traveling device (car). Installation is essential.

이러한 종래의 고무차륜형식 철도차량의 주행장치(대차)에 설치된 회전제어스프링은 스프링의 힘이 한쪽방향으로만 작용하는 한방향 코일스프링이 적용되어져 있다.The rotation control spring installed in the traveling device (car) of the conventional rubber wheel type railroad vehicle is a one-way coil spring in which the force of the spring acts only in one direction.

따라서, 곡선구간 또는 분기구간 통과 시 대차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제어스프링은 압축 또는 인장되어 양방향의 스프링 힘이 서로 상이하게 작용하는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고무차륜형식 철도차량이 곡선선로를 통과할 때 대차와 차체 사이에 과도한 회전운동(요잉, yawing)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승객의 승차감을 저하시키거나 차량의 진동(동적거동)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when the curved section or the branch section passes, the rotation control spring is compressed or tensioned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ogie, so that the spring force in both directions acts differently, so that the rubber wheel type railroad car passes through the curved line. Excessive rotational movement (yawing) may occur between the bogie and the body, and this phenomenon has a problem of deteriorating the ride quality of the passenger or adversely affecting the vibration (dynamic behavior) of the vehicle.

한국등록특허 10-1584433Korean Registered Patent 10-1584433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차와 차체 사이에는 리턴 스프링을 구비하되, 리턴 스프링이 양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항상 동일하게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철도차량이 곡선선로를 통과할 때 대차와 차체 사이에 과도한 회전운동을 방지하여 곡선 주행시의 승차감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철도차량용 리턴 스프링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turn spring between the bogie and the vehicle body, so that the force acting in both directions of the return spring always acts the same, so that the railway vehicle curves. It is to provide a return spring for a railroad vehicle that can prevent a deterioration in riding comfort during curved driving by preventing excessive rotational movement between the vehicle and the vehicle body when passing through the track.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메인 몸체의 내측에 코어 바가 구비되고, 상기 코어 바의 양단에는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실린더를 구비하며, 실린더는 스프링에 의해 양측으로 탄성지지됨으로써, 하나의 스프링에 의해 양측방향으로 모두 힘이 작용하도록 하여 양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항상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철도차량용 리턴 스프링을 제공하는 것이다.And,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re bar on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formed in a pipe shape, provided with a sliding movable cylinder at both ends of the core bar, the cylinder is elastically supported on both sides by a spring, one It is to provide a return spring for a railroad vehicle that allows force to act in both directions by a spring so that the forces acting in both directions are always the sam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is problem;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메인 몸체와, 상기 메인 몸체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코어 바와, 상기 메인 몸체와 코어 바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코어 바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ain body formed in a pipe shape, a core bar movably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main body, and provid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core bar to elastically support the core bar. Is done.

여기서, 상기 코어 바의 외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한 쌍의 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의 사이에는 상기 스프링이 위치하여 실린더의 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를 탄성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outer side of the core bar is provided with a pair of cylinders that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pring is located between the cylinder is characterized in that elastically supporting the flange formed at the end of the cylinder.

이때, 상기 코어 바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실린더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코어 바의 타측 단부에는 메인 몸체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로드가 구비되되, 코어 바와 접하는 로드의 단부에는 상기 실린더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at one end of the core bar, a locking jaw restricting movement of the cylinder is protruded, and at the other end of the core bar, a rod is provided to protrude outside the main body.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jaw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cylinder is formed protruding.

그리고, 상기 메인 몸체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실린더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엔드 블럭이 설치되고, 상기 메인 몸체의 타측 단부는 상기 실린더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엔드 플레이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 end block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to prevent the cylinder from leaving, and an end plate is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to prevent the cylinder from leaving.

여기서, 상기 엔드 플레이트의 중심부에는 상기 로드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rod passes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end plate.

또한, 상기 엔드 블럭의 중심부에는 상기 코어 바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턱이 삽입되도록 수용부가 메인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enter of the end block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locking jaw formed at the end of the core bar is inserted.

한편, 상기 엔드 플레이트 또는 엔드 블럭의 내측면에는 상기 실린더의 외측 단부가 접하는 부분에 쿠션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inner surface of the end plate or end block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ushion is installed so as to protrude inward in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outer end of the cylinder.

그리고, 상기 메인 몸체의 길이방향 중심부에는 내측과 관통되도록 통기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ventilation hole is further formed in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main body to penetrate the inside.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대차와 차체 사이에는 리턴 스프링을 구비하되, 리턴 스프링이 양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항상 동일하게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철도차량이 곡선선로를 통과할 때 대차와 차체 사이에 과도한 회전운동을 방지하여 곡선 주행시의 승차감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 return spring is provided between the bogie and the vehicle body, so that the force acting in both directions of the return spring always acts in the same way. It has an effect of preventing excessive rotational movement and preventing a decrease in ride comfort during curved driving.

그리고, 본 발명은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메인 몸체의 내측에 코어 바가 구비되고, 상기 코어 바의 양단에는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실린더를 구비하며, 실린더는 스프링에 의해 양측으로 탄성지지됨으로써, 하나의 스프링에 의해 양측방향으로 모두 힘이 작용하도록 하여 양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항상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nd,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re bar on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formed in a pipe shape, and provided with a sliding movable cylinder at both ends of the core bar, the cylinder is elastically supported on both sides by a spring, by one spring The force acts in both directions so that the forces acting in both directions are always the same.

도 1은 종래의 리턴 스프링이 구비된 대차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리턴 스프링이 설치된 대차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리턴 스프링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리턴 스프링이 설치된 대차의 일측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4 상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리턴 스프링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리턴 스프링이 설치된 대차의 타측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의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6 상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리턴 스프링의 단면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bogie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return spring.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bogie with a return spring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turn spring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tate in which the return spring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in one direction of a bogi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turn spring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ate of FIG. 4.
6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tate in which the return spring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bogi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turn spring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ate of FIG. 6.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for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리턴 스프링이 설치된 대차의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리턴 스프링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리턴 스프링이 설치된 대차의 일측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의 개념도이고, 도 5는 도 4 상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리턴 스프링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리턴 스프링이 설치된 대차의 타측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의 개념도이고, 도 7은 도 6 상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리턴 스프링의 단면도이다.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bogie with a return spring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turn spring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ide view of a bogie with a return spring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turn spring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of FIG. 4, and FIG. 6 is a state in which the return spring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It is a conceptual diagram, and FIG. 7 is a sectional view of a return spring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ate of FIG. 6.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리턴 스프링에 관한 것으로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메인 몸체(100)와 상기 메인 몸체(100)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코어 바(200)와 상기 메인 몸체(100)와 코어 바(20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코어 바(200)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urn spring for a railroad vehicle, and as shown in FIGS. 2 to 7, its configuration is a main body 100 formed in a pipe shape and is movable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main body 100. It is provided between the core bar 200 provided and the main body 100 and the core bar 200, and includes a spring 400 elastically supporting the core bar 200.

여기서, 상기 코어 바(200)의 외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한 쌍의 실린더(300)가 구비되는데, 상기 실린더(300)는 중공이 형성되는 몸체(310)와 상기 몸체(310)의 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320)로 이루어진다.Here, the outer side of the core bar 200 is provided with a pair of cylinders 300 that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ylinder 300 is a body 310 and the end of the body 310 is formed hollow It is made of a flange 320 formed on.

이때, 상기 실린더(300)는 상기 코어 바(20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는데, 상기 스프링(400)은 한 쌍의 실린더(300) 사이에 위치하여 실린더(300)의 플랜지(320)를 탄성 지지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cylinder 300 is positioned so as to face each other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re bar 200, the spring 400 is located between a pair of cylinders 300, the flange 320 of the cylinder 300 ) Elastically.

따라서, 상기 코어 바(200)의 외측에 구비되는 스프링(400)에 의해 실린더(300)가 양방향으로 모두 탄성지지되며, 하나의 동일한 스프링(400)에 의해 탄성 지지되므로 양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항상 동일하게 유지되게 된다.Therefore, the cylinder 300 is elastically supported in both directions by the spring 400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core bar 200, and the force acting in both directions is always supported because it is elastically supported by one and the same spring 400. Will remain the same.

그래서, 본 발명의 철도차량용 리턴 스프링은 양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항상 동일하게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철도차량이 곡선선로를 통과할 때 대차와 차체 사이에 과도한 회전운동을 방지하여 곡선 주행시의 승차감 저하를 방지하게 된다.Thus, the return spring for a railway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ensures that the forces acting in both directions always act the same, thereby preventing excessive rotational movement between the bogie and the vehicle body when the railway vehicle passes through the curved line, thereby preventing a decrease in ride comfort during curved driving. Is done.

그리고, 상기 코어 바(200)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코어 바(200)의 일측 단부에는 외측으로 걸림턱(210)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300)의 단부에는 상기 걸림턱(210)에 대응되는 지지턱(330)이 형성되어 일측의 실린더(300)가 코어 바(2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ore bar 200 is formed in a pipe shape, the locking jaw 210 is protruded outward at one end of the core bar 200, and the locking jaw 210 is formed at the end of the cylinder 300. A support jaw 330 corresponding to is formed to prevent the cylinder 300 on one side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core bar 200.

여기서, 상기 코어 바(200)의 타측 단부에는 로드(500)가 결합되는데, 상기 로드(500)의 일측 단부는 메인 몸체(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로드(500)의 타측 단부는 코어 바(200)의 단부에 결합되며, 코어 바(200)에 결합되는 단부에는 걸림턱(510)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타측의 실린더(300)가 코어 바(2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Here, the rod 500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ore bar 200, one end of the rod 500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of the main body 100, the other end of the rod 500 It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core bar 200, the end coupled to the core bar 200 is formed with a locking jaw 510 protruding outward to prevent the cylinder 300 on the other side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core bar 200 do.

따라서, 상기 스프링(400)이 양측의 실린더(300)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탄성 지지하게 되며, 상기 실린더(300)는 코어 바(200)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턱(210)과 로드(500)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턱(510)에 의해 코어 바(200)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로 지지되어 스프링(400)에 의해 코어 바(200)가 양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게 된다.Accordingly, the spring 400 elastically supports the cylinders 300 on both sides in different directions, and the cylinder 300 has a locking jaw 210 and a rod 500 formed at the ends of the core bar 200. ) Is supported by the locking jaw 510 formed at the end of the core bar 200 so as not to deviate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core bar 200 is elastically supported in both directions by the spring 400.

한편, 상기 메인 몸체(100)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데, 메인 몸체(100)의 일측 단부에는 엔드 블럭(700)이 설치되고, 타측 단부에는 엔드 플레이트(600)가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main body 100 is formed in a pipe shape is formed to open both sides, the end block 700 is installed on one end of the main body 100, the end plate 600 is installed on the other end. .

여기서, 상기 엔드 플레이트(600)는 중심부에 관통공(610)이 형성되어 상기 코어 바(200)의 단부에 연결되는 로드(500)가 관통공(610)에 삽입되게 되는데, 상기 관통공(610)의 직경은 상기 실린더(300)의 플랜지(32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실린더(300)가 메인 몸체(10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Here, the end plate 600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610 in the center, the rod 500 connected to the end of the core bar 20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610, the through hole 610 ) The diameter of the cylinder 300 is formed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flange 320 to prevent the cylinder 300 from falling out of the main body 100.

이때, 상기 엔드 블럭(700)에는 상기 코어 바(20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턱(210)이 삽입되도록 수용부(710)가 형성되는데, 상기 수용부(710)의 내경은 상기 실린더(300)의 플랜지(32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실린더(300)가 메인 몸체(10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end block 700 is formed with a receiving portion 710 to be inserted into the locking jaw 210 formed at one end of the core bar 200, the inner diameter of the receiving portion 710 is the cylinder ( It is formed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flange 320 of the 300 to prevent the cylinder 300 from falling out of the main body 100.

그리고, 상기 수용부(710)의 단부와 로드(510)의 단부에는 로드 엔드(730,520)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로드 엔드(730,520)에 대차와 차체의 브라켓이 각각 연결되어 철도차량이 곡선 구간을 주행할 때, 발생하는 변위에 대해 동일한 복원력을 발생시켜 곡선구간이 끝날 경우 신속하게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한다.In addition, rod ends 730 and 520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the ends of the receiving portion 710 and the ends of the rod 510, and the vehicle and the brackets of the vehicle body are connected to the rod ends 730 and 520, respectively, so that the railway vehicle is curved. When driving, the same restoring force is generated for the displacement that occurs, so that when the curve section ends, it is quickly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한편, 본원 발명의 리턴 스프링이 작용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차량이 곡선구간을 주행하여 일측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대차의 브라켓 및 차체의 브라켓에 의해 로드(500)가 메인 몸체(100)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가압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looking at the process of the return sp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cts, as shown in Figures 4 and 5, when the railroad vehicle rotates in a direction by running a curved section, the bracket is loaded by the bracket and the bracket of the vehicle body 500 is to be pressed in the direction to move inward of the main body 100.

여기서, 상기 로드(500)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턱(510)이 일측 실린더(300)의 지지턱(330)에 걸림 지지되어 실린더(300)가 이동하게 되며, 실린더(300)의 플랜지(320)에 의해 스프링(400)이 가압된다.Here, the locking jaw 510 formed at the end of the rod 500 is caught and supported by the supporting jaw 330 of the one side cylinder 300 so that the cylinder 300 moves, and the flange 320 of the cylinder 300 ), The spring 400 is pressed.

이때, 타측 실린더(300)의 플랜지(320)는 엔드 블럭(700)의 단부에 지지되어 더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되고, 상기 로드(500)의 이동에 따라 코어 바(200) 역시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코어 바(200)는 타측 실린더(300)의 중공을 통하여 이동하게 되므로 코어 바(200)의 걸림턱(210)은 엔드 블럭(700)의 수용부(710)에 삽입되어 스프링(400)이 압축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flange 320 of the other side cylinder 300 is supported at the end of the end block 700 and can no longer be moved, and the core bar 200 also moves in the same direc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rod 500 so that the core Since the bar 200 moves through the hollow of the other cylinder 300, the locking jaw 210 of the core bar 20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710 of the end block 700 so that the spring 400 is compressed. do.

그리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차량이 곡선구간을 주행하여 타측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대차의 브라켓 및 차체의 브라켓에 의해 로드(500)가 메인 몸체(100)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된다.And, as shown in Figures 6 and 7, when the railroad vehicle rotates in the other direction by driving the curved section, the rod 500 is mov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by the bracket of the bogie and the bracket of the vehicle body. The force acts in the direction of withdrawal.

여기서, 상기 코어 바(200)는 로드(500)와 연결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코어 바(200)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턱(210)은 타측 실린더(300)의 지지턱(320)에 걸림 지지되어 타측 실린더(300)가 코어 바(200)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상기 실린더(300)의 플랜지(330)에 의해 스프링(400)이 가압되게 된다.Here, the core bar 200 is connected to the rod 500 and moves in the same direction. The locking jaw 210 formed at the end of the core bar 200 is a support jaw 320 of the other cylinder 300 The other cylinder 300 is moved along the core bar 200 by being caught in the spring, and the spring 400 is pressed by the flange 330 of the cylinder 300.

이때, 상기 코어 바(200)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는 일측 실린더(300)는 메인 몸체(100)의 단부에 설치되는 엔드 플레이트(600)에 의해 플랜지(330)가 지지되어 더이상 이동할 수 없지만, 코어 바(200)는 일특 실린더(300)의 중공을 통하여 이동하여 엔드 플레이트(600)의 관통공(610)을 통하여 외축으로 돌출되게 되므로, 스프링(400)이 압축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one side cylinder 300 located at the other end of the core bar 200 is supported by the flange 330 by the end plate 600 installed at the end of the main body 100, but can no longer move, but the core Since the bar 200 moves through the hollow of the special cylinder 300 and protrudes outwardly through the through hole 610 of the end plate 600, the spring 400 is compressed.

따라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차량이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실린더(300)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400)은 회전하는 각도에 따라 양방향 모두 동일한 정도로 압축되게 되므로 압축되는 정도에 따라 양측 모두 동일한 복원력이 발생하게 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S. 4 to 7, the spring 400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cylinder 300 is compressed in the same direction in both directions depending on the angle of rotation, even if the railroad vehicle rotates in any direction. Accordingly, the same restoring force is generated on both sides.

한편, 상기 엔드 플레이트(600)와 엔드 블럭(700)의 내측면에는 상기 실린더(300)의 외측 단부가 접하는 부분에 쿠션(620,720)이 각각 설치되는데, 상기 쿠션(620,720)은 고무, 합성고무 등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실린더(300)의 플랜지(330)와 접할 때, 충격을 줄여주어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inner surfaces of the end plate 600 and the end block 700 are provided with cushions 620 and 720, respectively, in portions where the outer ends of the cylinder 300 come into contact, wherein the cushions 620 and 720 are rubber, synthetic rubber, etc. Made of an elastic material of, when in contact with the flange 330 of the cylinder 300, to reduce the impact to improve the durability.

여기서, 상기 실린더(300)의 몸체(310)의 외주면과 플랜지(330)의 외주면에는 웨어링(wear ring, 부호 미도시)이 각각 구비되어 실린더(300)와 코어 바(200), 실린더(300)와 메인 몸체(100) 사이의 마찰력을 줄어주어 내구성을 높여주게 된다.Her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310 of the cylinder 30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ange 330 are provided with wear rings (not shown), respectively, such that the cylinder 300, the core bar 200, and the cylinder 300 are provided. It reduces the friction between the and the main body 100 to increase the durability.

그리고, 상기 메인 몸체(100)의 길이방향 중심부에는 내측과 외측이 관통되도록 통기공(110)이 형성되는데, 상기 메인 몸체(100)의 내측에서 한 쌍의 실린더(300) 중 일측의 실린더(300)만 이동하게 되면 내부 공간이 압축되어 내부 공기는 상기 통기공(110)을 통하여 배출되게 되어 실린더(300)가 공기의 저항없이 안정적으로 이동하게 된다.In addition, a vent hole 110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main body 100 so as to penetrate the inside and the outside, the cylinder 300 of one side of the pair of cylinders 300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 Is moved, the internal space is compressed, and the internal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vent hole 110 so that the cylinder 300 moves stably without resistance of air.

또한, 반대의 경우로, 내부 공간이 줄어들 경우 내부에 음압이 형성되어 상기 메인 몸체(100)의 통기공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게 되므로, 실린더(300)가 공기의 저항없이 안정적으로 이동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opposite case, when the internal space is reduced, a negative pressure is formed therein so that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inside through the ventilation holes of the main body 100, so that the cylinder 300 is stably without resistance of air. Will mov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fluenced b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it is substantially equivalent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리턴 스프링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도차량의 대차와 차체 사이에 구비되는 리턴 스프링이 양방향으로 동일하게 힘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철도차량이 곡선구간 주행시에 과도한 회전운동을 방지하여 승차감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철도차량용 리턴 스프링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urn spring for a railway vehicle, and more specifically, by allowing the return spring provided between the bogie and the vehicle body of the railway vehicle to act in the same direction in both directions, preventing excessive rotational movement when the railway vehicle travels in a curved section. It relates to a return spring for railway vehicles that can prevent the ride comfort is lowered.

100 : 메인 몸체 110 : 통기공
200 : 코어 바 210 : 걸림턱
300 : 실린더 310 : 몸체
320 : 지지턱 330 : 플랜지
400 : 스프링 500 : 로드
600 : 엔드 플레이트 700 : 엔드 블럭
100: main body 110: ventilator
200: core bar 210: locking jaw
300: cylinder 310: body
320: support jaw 330: flange
400: spring 500: rod
600: end plate 700: end block

Claims (8)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메인 몸체와,
상기 메인 몸체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코어 바와,
상기 메인 몸체와 코어 바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코어 바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리턴 스프링.
The main body formed in a pipe shape,
A core bar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main body,
It is provid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core bar, the return spring for railway vehicles,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spring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core b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바의 외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한 쌍의 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의 사이에는 상기 스프링이 위치하여 실린더의 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를 탄성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리턴 스프링.
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side of the core bar is provided with a pair of cylinders mov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pring is located between the cylinder, the return spring for a railway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elastically supporting the flange formed at the end of the cylind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바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실린더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코어 바의 타측 단부에는 메인 몸체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로드가 구비되되, 코어 바와 접하는 로드의 단부에는 상기 실린더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리턴 스프링.
According to claim 2,
At one end of the core bar, a locking jaw limiting movement of the cylinder is protruded,
The other end of the core bar is provided with a rod so as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he end of the rod in contact with the core bar is a return spring for a railway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locking jaw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cylinder is formed protrud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몸체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실린더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엔드 블럭이 설치되고,
상기 메인 몸체의 타측 단부는 상기 실린더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엔드 플레이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리턴 스프링.
According to claim 3,
An end block for preventing departure of the cylinder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A return spring for railway vehicles, characterized in that an end plate is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to prevent the cylinder from coming off.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 플레이트의 중심부에는 상기 로드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리턴 스프링.
The method of claim 4,
A return spring for railway vehicles, characterized in that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rod passes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end plat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 블럭의 중심부에는 상기 코어 바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턱이 삽입되도록 수용부가 메인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리턴 스프링.
The method of claim 4,
In the center of the end block, the return spring for the railway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locking jaw formed at the end of the core bar is inserted.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 플레이트 또는 엔드 블럭의 내측면에는 상기 실린더의 외측 단부가 접하는 부분에 쿠션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리턴 스프링.
The method of claim 4 or 6,
The inner surface of the end plate or end block, the return spring for railway vehicles, characterized in that the cushion is installed to protrude inward to the portion where the outer end of the cylinder is in conta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몸체의 길이방향 중심부에는 내측과 관통되도록 통기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리턴 스프링.
According to claim 1,
A return spring for railway vehicles, characterized in that a ventilation hole is further formed in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main body to penetrate the inside.
KR1020180144106A 2018-11-21 2018-11-21 a return spring for a railway vehicle KR1021206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106A KR102120694B1 (en) 2018-11-21 2018-11-21 a return spring for a railway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106A KR102120694B1 (en) 2018-11-21 2018-11-21 a return spring for a railway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562A true KR20200060562A (en) 2020-06-01
KR102120694B1 KR102120694B1 (en) 2020-06-11

Family

ID=71070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4106A KR102120694B1 (en) 2018-11-21 2018-11-21 a return spring for a railway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069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5278A (en) * 1973-03-08 1975-09-16 Poclain Sa Manufacturers of jacks operated by high pressure fluid
JPH0781561A (en) * 1993-09-17 1995-03-28 Tokico Ltd Vibration damping device for railroad rolling stock
JP2007292254A (en) * 2006-04-27 2007-11-08 Kayaba Ind Co Ltd Shock absorber
KR101584433B1 (en) 2014-05-13 2016-01-22 양영희 Shock Absorber For Cabine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5278A (en) * 1973-03-08 1975-09-16 Poclain Sa Manufacturers of jacks operated by high pressure fluid
JPH0781561A (en) * 1993-09-17 1995-03-28 Tokico Ltd Vibration damping device for railroad rolling stock
JP2007292254A (en) * 2006-04-27 2007-11-08 Kayaba Ind Co Ltd Shock absorber
KR101584433B1 (en) 2014-05-13 2016-01-22 양영희 Shock Absorber For Cabin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0694B1 (en) 202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26507A (en) Pneumatic spring for railroad cars
JP6829769B2 (en) A bogie of a railroad vehicle having at least one lateral member and at least two pairs of wheels supported by axle box bearings.
US10131367B2 (en) Steering bogie, and vehicle for track-based transportation system
KR20110103462A (en) Bogie for track-guided vehicle
US8201504B2 (en) Railcar constant contact side bearing assembly
US20120048139A1 (en) Low floor vehicle
KR101989988B1 (en) Axial rubber spring assembly structure for railway vehicle
KR102120694B1 (en) a return spring for a railway vehicle
JP4011628B2 (en) Rail vehicle
JP2010070000A (en) Turning resistance variable truck for railroad vehicle
KR100659708B1 (en) The bogie traveling stability device for using mr fluid and the method thereof
US4132176A (en) Hydraulically dampened railway truck bolster
JP2015020616A (en) Axle box support device for railway vehicle
KR102308422B1 (en) A bogie for a rubber-tired light rail vehicle
CN109204363B (en) Rail vehicle and wheel assembly thereof
JPWO2014203971A1 (en) Railcar bogie
JP2010167835A (en) Axle box support device
JP5854542B1 (en) Air spring cushion roller
JP2013100055A (en) Bogie truck and track-based vehicle including the same
JP2019137137A (en) Truck for railway vehicle
US976845A (en) Equalizing mechanism for cars.
US2163253A (en) Railway truck
JP6339928B2 (en) Railcar bogie
JPS604460A (en) Truck for railway rolling stock
JP2010158941A (en) Guide device of traffic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