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0205A - Electric and communication wiring system box buried under concrete floor - Google Patents

Electric and communication wiring system box buried under concrete flo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0205A
KR20200060205A KR1020190042820A KR20190042820A KR20200060205A KR 20200060205 A KR20200060205 A KR 20200060205A KR 1020190042820 A KR1020190042820 A KR 1020190042820A KR 20190042820 A KR20190042820 A KR 20190042820A KR 20200060205 A KR20200060205 A KR 20200060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member
box body
height
box
wir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8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69172B1 (en
Inventor
이성균
Original Assignee
(주)원영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영이엔지 filed Critical (주)원영이엔지
Publication of KR20200060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02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1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for coaxial connections of two rods or tub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and communication wiring system box buried under a concrete floor so as to assemble a wiring system box cover in accordance with a surface of the concrete floor. More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 and communication wiring system box buried under the concrete floor comprises: a box body (11) supported on a building floor (1); a box body cover (14)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box body (11) and including an open part (15)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part (I) of the box body (11); an upper cover support member (20) surrounding the open part (14) of the box body cover (14) and upwardly extended from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box body cover (14) to an indoor floor (3); a bracket (40) coupling an electric connector (41) for electric connection and a communication line connector (42); and an upper cover (30)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cover support member (20) to cover the inner part of the box, having an opening/closing lid (33) matched with the indoor floor (3), and including opening/closing door (36) disposed on one side of the opening/closing lid (33) and having a wire outlet (37) inserting a wire into the box body. The upper cover support member (20) comprises a fixing ring member (21) fixed to and installed on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box body cover (14) and a height adjustment ring member (26) coupled to mov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ixing ring member (21) along a sidewall of the fixing ring member (21) to allow the uppermost end to be matched with the indoor floor (3). The bracket includes a flange part (44) disposed on an upper end edge and is fixed by coupling the flange part (44) to the inner edge (31a) of a cover frame (31).

Description

콘크리트 바닥 매설용 전기통신선 배선 시스템 박스{Electric and communication wiring system box buried under concrete floor} Electric and communication wiring system box buried under concrete floor}

본 발명은 콘크리트 바닥 아래에 매설된 전선 및 통신선(이하, 간단히 '전선'이라 한다)을 실내측의 전선 등과 접속연결하기 위한 배선 시스템 박스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배선 시스템 박스의 상부 커버를 결합하여 지지하는 커버 지지부재의 높이를 박스 몸체의 상단에서의 높이에 대하여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콘크리트 바닥 매설용 전기통신선 배선 시스템 박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ing system box for connecting and connecting wires and communication lines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wires') embedded under a concrete floor.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lecommunication line wiring system box for laying concrete floors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a cover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upper cover of the wiring system box with respect to the height at the top of the box body.

콘크리트 바닥 아래에 매설되게 배선되는 전선 및 통신선(이들 2가지 선을 통칭하여 '전선'이라 한다)은 콘크리트 바닥 아래에 매설되는 배선 시스템 박스(통상, 배선 시스템 박스라 한다)에 구비된 커넥터에서 실내측 전선과 연결된다. 이러한 배선 시스템 박스의 일예가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알려져 있다. The wires and communication wires that are wired to be buried under the concrete floor (collectively, these two wires are referred to as 'wires') are indoors from the connectors provided in the wiring system box (usually referred to as wiring system box) buried under the concrete floor. It is connected to the side wire. An example of such a wiring system box is disclosed and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특허문헌 1과 같은 종래의 배선 시스템 박스를 콘크리트 바닥에 매입 설치할 때, 먼저 베이스박스(1, '박스 몸체'를 지칭함)의 내부에 '콘센트 고정플레이트(4)(16)'와 같은 부품들을 조립하여 박스 조립체를 조립하고,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박스 내부로 침입하지 않도록 박스 조립체의 상단 개방구를 임시 덮개로 덮어서 가린 다음, 건물 슬래브 바닥면 위에 지지대로써 일정한 높이로 설치한다. 그리고 나서 이 박스 조립체 주위에 콘크리트를 박스 조립체의 상단까지 채워지도록 일정한 높이로 타설하여 양생한다. 콘크리트가 양생되고 나면, 몸체 조립체의 상단 개방구를 덮고 있던 임시 덮개를 제거하고나서 상단 개방구에 상단 커버를 결합한다. When installing and installing a conventional wiring system box such as Patent Document 1 on a concrete floor, first, parts such as 'outlet fixing plate (4) (16)' are assembled inside the base box (1, referring to the 'box body'). To assemble the box assembly, cover the top opening of the box assembly with a temporary cover so that the concrete does not penetrate into the box when pouring concrete, and then install it at a constant height as a support on the floor surface of the building slab. Then, the concrete is poured around the box assembly at a constant height to fill the top of the box assembly, and then cured. After the concrete has been cured, remove the temporary cover covering the top opening of the body assembly and then attach the top cover to the top opening.

그런데, 콘크리트를 타설 작업시, 타설하여 양생할 콘크리트의 표면(실내의 바닥면이 됨)이 박스 조립체의 상단 높이와 정확하게 일치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시공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박스 조립체의 상단이 콘크리트 양생 표면보다 약간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박스 조립체를 지지하고,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에는 박스 조립체의 상단 개방구의 주위의 양생된 콘크리트를 부분적으로 제거하고나서, 그 자리에 보조 링을 끼워 낮게 매설된 박스 조립체의 상단 개방부에 의 높이를 보상하도록 하였다. However, when pouring concrete, it is impossible to precisely match the surface of the concrete to be cured by pouring (becoming the floor of the room) to the height of the top of the box assembly. In order to solve this construction problem, conventionally, the box assembly is supported so that the top of the box assembly is slightly below the concrete curing surface, and after the concrete is cured, the cured concrete around the upper opening of the box assembly is partially After removal, an auxiliary ring was put in place to compensate for the height of the upper opening of the buried box assembly.

그러나 이와 같이, 보조 링을 사용하여 배선 시스템 박스의 상단 높이를 실내 바닥과 일치시키기 위하여 보조 링을 사용하는 방법은 배선 시스템 박스의 상단 개방부 주위에 이미 양생된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추가적인 보수 작업이 필요하여 작업이 번거롭고, 보수작업에 숙련된 작업자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is way, the method of using the auxiliary ring to match the top height of the wiring system box with the interior floor using the auxiliary ring requires additional repair work to remove the already cured concrete around the top opening of the wiring system box. Therefore, the work is cumbersom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 skilled worker is required for maintenance work.

또한 종래 시스템 박스의 경우, 전기 플러그용 전기커넥터(C)와 통신 모듈러 잭을 접속하기 위한 통신선 모듈러잭용 통신커넥터(C)를 각각의 고정브라켓(4, 16)에 결합하여 박스 몸체(1)의 함실(8) 바닥에 설치한다. 이러한 배선 연결구(C)들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박스 조립체를 콘크리트 바닥에 매설한 후, 배선 연결할 때 콘크리트 바닥 아래에 매설된 박스 몸체에 작업자가 손을 집어넣어 바닥 외부로 인출하여 거기에 배선 연결작업을 하고, 그리고나서 다시 박스 내부로 집어 넣어 박스 몸체(1)에 고정한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system box, the communication connector (C) for connecting the electric connector (C) for electrical plugs and the communication modular jack for connecting the communication modular jack is coupled to the respective fixing brackets (4, 16), and the box body (1) It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chamber (8). A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these wiring connectors C are conventionally embedded in a box assembly on a concrete floor, and when a wiring is connected, an operator puts his hand into the box body buried under the concrete floor and draws it out of the floor. Connect the wiring to the wire, and then put it back into the box to fix it to the box body (1).

이와 같이 종래에는 전기커넥터를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4)과 통신선 커넥터를 연결하기 위한 브라켓(16)들을 박스 몸체(1) 내부에 집어 넣은 상태에서 박스 몸체(1)에 조립하여야 하므로, 배선 연결 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번거로워 작업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ior art, the bracket 4 for connecting the electrical connector and the bracket 16 for connecting the communication line connector must be assembled in the box body 1 in a state in which the box body 1 is inserted. There was a drawback that this was very demanding and cumbersome and took a lot of work time.

KR 20-0217383Y1KR 20-0217383Y1

상기 종래의 배선 시스템 박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콘크리트 바닥의 양생 높이 변화에 대응하여 배선 시스템 박스 커버를 콘크리트 바닥면과 일치시켜 조립할 수 있는 콘크리트 바닥 매설용 전기통신선 배선 시스템 박스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wiring system box,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lecommunication line wiring system box for laying concrete floor that can be assembled by matching the wiring system box cover with the concrete floor surface in response to a change in curing height of the concrete floor. Has a purpose.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스템 박스외부, 실내에서 전기커넥터와 통신커넥터에 배선연결작업이 가능하도록 된 콘크리트 바닥 매설용 전기통신선 배선 시스템 박스를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communication line wiring system box for laying a concrete floor to enable wiring connection to an electrical connector and a communication connector inside and outside the system box.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바닥 매설용 전기통신선 배선 시스템 박스는, Telecommunication line wiring system box for laying concrete floo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건물 바닥에 지지되게 설치되고 박스 몸체; 실내 바닥 아래의 전기배선과 실내 전기기구를 연결하기 위한 전선 접속용 전기커넥터와, 실내 바닥 아래의 통신선과 실내 통신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통신선 커넥터; 상기 박스 몸체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박스 몸체 내부와 연통되는 개방부를 구비하는 박스 몸체 커버와; 상기 박스 몸체 커버의 개방부를 둘러싸고 상기 박스 몸체 커버 상단면에서 실내 바닥까지 상측으로 연장되게 구비된 상부 커버 지지부재와; 상기 상부 커버 지지부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박스 내부를 덮어주고, 실내 바닥에 일치하는 개폐 뚜껑을 가지며 상기 개폐 뚜껑의 일측으로는 박스 몸체 내부로 전선을 인입가능하게 개방된 전선/통신선 인출구를 가진 개폐 도어를 구비한 상부 커버;를 포함한 콘크리트 바닥 매설용 전기통신선 배선 시스템 박스에 있어서, It is installed to be supported on the floor of the building box body; An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wires for connecting the electric wiring under the indoor floor and the indoor electric appliance, and a communication line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communication line under the indoor floor and the indoor communication device; A box body cover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box body and having an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box body; An upper cover supporting member surrounding the opening of the box body cover and extending upwardly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ox body cover to an indoor floor; 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cover support member to cover the inside of the box, has an opening / closing lid that matches the interior floor, and has one side of the opening / closing lid having an open wire / communication line outlet to open the wire inside the box body. In the telecommunication line wiring system box for laying a concrete floor, including; an upper cover having an opening and closing door,

상기 상부 커버 지지부재는, 상기 박스 몸체 커버의 상단면에 고정설치된 고정링 부재와, 최상단이 실내 바닥과 일치하도록 상기 고정링 부재의 측벽을 따라 고정링 부재의 높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높이 조절링 부재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The upper cover supporting member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x body cover and a fixed ring member, and a height movably coupl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ixed ring member along the side wall of the fixed ring member so that the top end coincides with the indoor floor.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made of an adjustment ring member.

상기 높이 조절링 부재를 고정링 부재에 대하여 높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가지는 것에 특징이 있다.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guide means for guiding the height adjustment ring member in the he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xed ring member.

상기 안내수단은 고정링 부재의 내측벽에 높이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안내홈과, 상기 높이 조절링 부재의 외측벽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높이 조절링 부재가 상기 고정링 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할 때,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높이 조절링 부재를 고정링 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돌기를 포함한다. The guide means is formed at least one guide groove formed in the height direction on the inner wall of the fixing ring member, and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outer wall of the height adjusting ring member, when the height adjusting ring member slides with respect to the fixing ring member , While moving along the guide groove, slides the height adjustment ring member against the fixed ring member and includes at least one guide protrusion.

상기 상부 커버 지지부재의 상단 높이를 일정한 높이로 유지시켜 주도록, 상기 고정링 부재에 대한 상기 높이 조절링 부재의 이동을 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 기구를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stopper mechanism to prevent the movement of the height adjustment r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fixed ring member, so as to maintain the top height of the upper cover support member at a constant height.

상기 스토퍼 기구는 상기 고정링 부재의 내측벽에 높이방향으로 다단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턱과, 상기 높이 조절링 부재의 외측벽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걸림턱중 어느 하나에 결합하는 걸림돌기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The stopper mechanism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ocking jaws formed in multiple stages in the height direction on the inner wall of the fixing ring member, and a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a lower end of the outer wall of the height adjusting ring member and coupl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locking jaws There are features.

또,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와 통신선 커넥터가 설치된 브라켓이 상기 커버 프레임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설치되는 것에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racket in which the electrical connector and the communication line connector are installe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ver frame and installed.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콘크리트 바닥에 전기통신선 배선 시스템 박스를 매설할 때, 콘크리트 바닥을 양생후 고정링 부재의 내측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삽입된 가동링 부재를 콘크리트 상단면과 일치하도록 위로 끌어올리는 작업만으로 배선 시스템 박스의 상단 개방부의 높이를 콘크리트 바닥면과 일치시키는 높이 조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배선 시스템 박스의 상단 개방부의 높이를 콘크리트 바닥면과 일치시키는 높이 조정 작업을 간단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hen the electrical communication line wiring system box is buried in the concrete floor, after curing the concrete floor, the movable ring member slidably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ixed ring member is pulled upward to match the top surface of the concrete. Since only the height adjustment operation can be performed to match the height of the upper opening of the wiring system box with the concrete floor surface, the height adjustment operation of matching the height of the upper opening of the wiring system box with the concrete floor surface can be performed simply and accurately.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바닥 매설용 전기통신선 배선 시스템 박스에서 상부 커버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바닥 매설용 전기통신선 배선 시스템 박스의 부품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바닥 매설용 전기통신선 배선 시스템 박스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선 시스템 박스를 콘크리트 바닥에 매설하고, 가동링 부재를 고정링 부재에서 위로 올려 가동링 부재의 상단이 양생한 콘크리트 상단면에 일치하도록 높이조절한 상태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a의 'X'부의 확대 상세도이다.
도 5a는 도 2의 'Y'부의 확대도로서, 이다.
도 5b는 도 2의 'Z'부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바닥 매설용 전기통신선 배선 시스템 박스에서 상부 커버를 분리한 상태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배선 시스템 박스에서 상부 커버 지지부재의 변형 실시예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상부 커버 지지부재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상부 커버 지지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상부 커버 지지부재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상부 커버 지지부재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배선 시스템 박스의 분리사시도로서, 전기 커넥터와 통신선 커넥터를 설치한 브라켓의 조립 관계를 보여주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배선 시스템박스의 설치 단면도로서, 전기 커넥터와 통신선 커넥터를 설치한 브라켓을 상부 커버의 커버 프레임상에 조립한 상태의 결합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upper cover is separated from the telecommunication line wiring system box for laying concrete flo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the component configuration of the telecommunication line wiring system box for laying concrete flo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elecommunication line wiring system box for laying concrete flo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B is a state in which the wiring system box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uried on a concrete floor, and the movable ring member is raised from the fixed ring member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movable ring member matches the upper surface of the cured concrete. It is a cross-sectional view of.
4 is an enlarged detail view of an 'X' portion of FIG. 3A.
5A is an enlarged view of a 'Y' portion of FIG. 2, and is.
5B is an enlarged view of a 'Z' portion of FIG. 2.
6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cover separated from a telecommunication line wiring system box for laying a concrete flo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upper cover supporting member in the wiring system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cover support member of FIG. 8.
10 is a plan view of the upper cover support member of FIG. 9.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the upper cover supporting member of FIG. 9.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the upper cover supporting member of FIG. 9.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iring system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y relationship between a bracket in which an electrical connector and a communication line connector are installed.
14 is an installation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ring system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cross-sectional view in a state in which a bracket on which an electrical connector and a communication line connector are installed is assembled on a cover frame of an upper cover.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배선 시스템 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wiring system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배선 시스템 박스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슬라브로 이루어진 건물 바닥(1)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한 콘크리트 바닥내에 매설되어 건물 바닥(1)에 설치된 배선(도시생략)과 콘크리트 바닥 위에 설치되는 실내 배선(전선, 통신선)을 서로 접속시킨다.The wiring system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mbedded in a concrete floor cured by pouring concrete on a building floor (1) made of concrete slab, wiring (not shown) and concrete installed in the building floor (1). The indoor wiring (wire, communication line) installed on the floor is connected to each other.

도 1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선 시스템 박스의 도면들을 나타낸다. 1 to 5B show diagrams of a wiring system box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선 시스템 박스는, 도 1, 도 2,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몸체(11), 박스 몸체 커버(14), 박스 몸체 커버(14)에 구비된 상부 커버 지지부재(20), 및 상부 커버(30)를 포함한다. The wiring system box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box body 11, the box body cover 14, and the box body cover 14, as shown in FIGS. 1, 2, and 3A. It includes an upper cover support member 20, and an upper cover 30.

상기 박스 몸체(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몸체(11)는 통상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를 사용하여 4각형 박스 형상으로 제작된다. 건물 바닥(1)위에 콘크리트(2)를 일정한 높이로 타설하기 전에 미리 건물 바닥(1)위에 얹어서 고정한다. 박스 몸체(11)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4모서리를 높이 조절가능한 받침대(도시생략)로 지지하여 콘크리트 바닥(1)에서 일정한 높이로 고정설치할 수도 있다. The box body 11, as shown in Figure 3, the box body 11 is usually made of a square box shape using a plastic or metal material. Before placing the concrete (2) on the building floor (1) to a certain height, it is fixed on the building floor (1) in advance. Although the box body 11 is not shown, the four corners may be supported by a height-adjustable pedestal (not shown) to be fixedly installed at a constant height on the concrete floor 1.

박스 몸체(11)는 바닥과, 바닥의 둘레를 따라 직립되게 연장된, 좌우측벽과 전후 측벽을 구비하고, 상단은 개방되어 있다. The box body 11 has a bottom, left and right side walls and front and rear side walls, which extend upright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ottom, and the top is open.

상기 박스 몸체(11)의 측벽에는, 건물 바닥측에 배치된 전선이나 통신선이 박스 몸체(11)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전선 삽입구멍(12)이 다수개 구비되어 있다. On the side wall of the box body 11, a plurality of wire insertion holes 12 are provided so that wires or communication lines disposed on the floor side of the building can be drawn into the box body 11.

상기 박스 몸체(11)의 상단에는 박스 몸체 커버(14)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박스 몸체 커버(14)는 도 1, 도 2, 도 3a, 도 3b, 중앙에 개방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박스 몸체 커버(14)의 개방부(15)에는 상부 커버 지지부재(20)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 커버 지지부재(20)는, 상기 박스 몸체 커버(14)의 개방부(15)를 둘레를 따라 상측으로 연장된 고정링 부재(21)와, 최상단이 실내 바닥(3)과 일치하도록 상기 고정링 부재(21)의 측벽을 따라 고정링 부재(21)의 높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높이 조절링 부재(26)로 이루어진다. At the top of the box body 11, a box body cover 14 is detachably coupled to form an inner space. The box body cover 14 is formed with an opening 15 in the center of FIGS. 1, 2, 3A, 3B, and 3. The upper cover support member 20 is provided at the opening 15 of the box body cover 14. The upper cover support member 20, the opening portion 15 of the box body cover 14 extends upwardly along the periphery of the retaining ring member 21, and the upper end to match the indoor floor (3) It consists of a height adjustment ring member 26 movably coupl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ixing ring member 21 along the side wall of the fixing ring member 21.

상기 상부 커버 지지부재(20)에는 높이 조절링 부재(26)를 고정링 부재(21)에 대하여 높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안내수단은, 고정링 부재(21)의 내측벽(22)에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안내홈(24)과, 상기 높이 조절링 부재(26)의 외측벽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높이 조절링 부재(26)가 상기 고정링 부재(21)에 대하여 이동할 때, 상기 안내홈(24)을 따라 이동하면서 높이 조절링 부재(26)를 고정링 부재(21)에 대하여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돌기(28)로 이루어진다. The upper cover support member 20 is provided with a guide means for guiding the height adjustment ring member 26 movably in the he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xed ring member 21. The guide means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at least one guide groove 24 form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n the inner wall 22 of the fixing ring member 21 and the outer wall of the height adjusting ring member 26, the When the height adjustment ring member 26 moves relative to the retaining ring member 21, at least one guides the height adjustment ring member 26 against the retaining ring member 21 while moving along the guide groove 24 It consists of a guide projection (28).

상기 높이 조절링 부재(26)가 상기 고정링 부재(21)에 대하여 위쪽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아래쪽 방향의 힘을 받는 경우에도 아래쪽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저지하여 상기 상부 커버 지지부재(20)의 상단의 높이를 일정한 높이로 유지시켜 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 기구를 포함한다. Even if the height adjustment ring member 26 moves upward with respect to the retaining ring member 21 and receives a force in a downward direction, it is prevented from moving downward, so that the upper cover support member 20 is prevented from moving downward. And at least one stopper mechanism that maintains the height at a constant height.

상기 스토퍼 기구는 바람직하게는 도 2, 도 4, 도 5a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링 부재(21)의 내측벽(22)에 높이방향으로 다단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턱(25)과, 상기 높이 조절링 부재(26)의 외측벽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걸림턱(25) 중 어느 하나의 걸림턱(25)에 결합하는 걸림돌기(27)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The stopper mechanism is preferably a plurality of locking jaws 25 formed in multiple stages in the height direction on the inner wall 22 of the fixing ring member 21, as shown in Figures 2, 4, 5A to 5B ), Is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outer wall of the height adjustment ring member 26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locking projection (27) coupled to any one of the locking jaws 25 of the plurality of locking jaws (25).

상기 상부 커버(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커버 지지부재(20)의 높이 조절링 부재(26)의 상단에 얹혀져 지지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조절링 부재(26)의 상단이 실내 바닥(3)과 일치하도록, 높이 조절링 부재(26)를 고정링 부재(21)에 대하여 일정한 높이(D)만큼 상승시킨 다음, 상부 커버(30)를 높이 조절링 부재(26)의 상단에 결합한다. 1 and 2, the upper cover 30 is supported by being mounted on the top of the height adjustment ring member 26 of the upper cover support member 20. As shown in FIGS. As shown in FIG. 3B, the height adjustment ring member 26 is raised by a certain height D with respect to the fixing ring member 21 so that the top of the height adjustment ring member 26 coincides with the indoor floor 3. Then, the upper cover 30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height adjustment ring member 26.

상기 상부 커버(30)는, 내측의 관통구멍(32)을 둘러싸고, 하부는 상기 높이 조절링 부재(26)의 내측 구멍(O)에 끼워져 결합되고, 외측 가장자리 저면은 실내 바닥(3)측 설치구멍(4)의 가장자리 위에 얹혀져 지지되는 커버 프레임(31); 상기 커버 프레임(31)의 관통 구멍(32)을 개폐하도록 관통구멍(32)의 일측 측벽에 힌지결합되고, 외측 가장자리에서 반경방향 안쪽으로 만입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35)을 가지는 개폐 뚜껑(33)과, 실내측 전선을 박스 몸체(11)의 내부공간(I)안으로 통과시키는 전선 인출구(37)를 제공하는 개방 위치에서, 상기 전선 인출구(37)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로 전환가능하게 상기 개폐 뚜껑(33)의 각 결합홈(35)에 결합되는 개폐 도어(36)와, 상기 개폐 뚜껑(33)을 커버 프레임(31)에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키이(39)를 포함한다. The upper cover 30 surrounds the inner through hole 32, the lower portion is fitted into the inner hole O of the height adjustment ring member 26, and the outer edge bottom surface is installed on the indoor floor 3 side. A cover frame 31 supported on the edge of the hole 4; Opening and closing lid having at least one engaging groove 35 which is hinged to one side wall of the through hole 32 to open and close the through hole 32 of the cover frame 31 and is formed to be inward radially from the outer edge. (33) and, in an open position providing an electric wire outlet (37) for passing the electric wires inside the box into the interior space (I) of the box body (11), it is possible to switch to a closed position to close the electric wire outlet (37) It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door 36 coupled to each coupling groove 35 of the opening and closing lid 33, and a key 39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opening and closing lid 33 to the cover frame 31.

도 6 내지 도 7은 배선 시스템 박스에서 상부 커버(30)가 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부 커버 지지부재(20)도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상부 커버와 상부 커버 지지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6 to 7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upper cover 30 and the upper cover support member 20 is also made of a rectangular upper cover 30 in the wiring system box.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변형예의 배선 시스템 박스는 상부 커버(30)와 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20)의 형상만 변경되었고, 부품의 구성이나, 부품간의 결합관계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6 and 7, in the wiring system box of this modified example, only the shape of the upper cover 30 and the support member 20 for supporting it were changed. I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본 발명의 배선 시스템 박스는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높이 조절링 부재(26)를 상기 고정링 부재(21)에 대하여 상하 높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높이 조절링 부재(26)의 상기 고정링 부재(21)에 대한 상대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수단(50)을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wiring system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8 to 12, by moving the height adjustment ring member 26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eight relative to the fixed ring member 21, the height adjustment ring member ( 26) may include a height adjustment means (50) for adjusting the relative height of the fixing ring member (21).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높이 조절수단(50)은 상기 고정링 부재(21)의 측벽 하단에 내측으로 연장된 고정 플랜지(23a)와, 상기 고정 플랜지(23a)의 상측에서 고정 플랜지(23a)에 포개어지게 상기 높이 조절링 부재(26)의 측벽 하단에 구비된 가동 플랜지(26a)와, 가동 플랜지(26a)의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하단은 상기 고정링 부재(21)의 나사구멍에 나사결합되어, 체결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가동 플랜지(26a)를 상기 고정링 부재(21)의 고정 플랜지(23a)에 대하여 눌러주고, 반면에 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가동 플랜지(26a)를 상기 고정링 부재(21)의 고정 플랜지(23a)에 대하여 풀어주는 복수의 조절나사(53)와, 상기 가동 플랜지(26a)의 저면과 고정 플랜지(23a)의 저면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된 슬리브(51)의 바닥면 사이에 압축되게 설치되어, 상기 조절나사(52)를 풀림방향으로 회전시켜 가동 플랜지(26a)를 고정 플랜지(23a)에 대하여 풀어주면 높이 조절링 부재(26)가 고정링 부재(26)에 대하여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가동 플랜지(26a)를 고정 플랜지(23a)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밀어내는 탄성 스프링(52)를 포함한 구성으로 된다. 8 to 12, the height adjustment means 50 is a fixed flange (23a) extending inward to the bottom of the side wall of the fixing ring member 21, and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flange (23a) The movable flange 26a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ide wall of the height adjustment ring member 26 so as to be superimposed on the fixed flange 23a and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movable flange 26a, the lower end of the fixed ring member 21 Screwed to the screw hole, when rotating in the fastening direction, the movable flange 26a is pressed against the fixed flange 23a of the fixed ring member 21, while the movable flange when rotated in the unlocking direction A plurality of adjustment screws 53 for releasing the 26a with respect to the fixing flange 23a of the fixing ring member 21, an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ovable flange 26a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flange 23a It is installed to be compress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sleeve 51, the adjustment screw 52 is rotated in the unlocking direction to loosen the movable flange 26a against the fixed flange 23a, the height adjustment ring member 26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lastic spring 52 that elastically pushes the movable flange 26a against the fixed flange 23a so as to move upward with respect to the fixed ring member 26.

상기한 높이 조절수단(50)에 의하면, 콘크리트 바닥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한 후, 상부 커버 지지부재(20)의 최상단 높이가 콘크리트 실내 바닥(3)의 높이 보다 낮게 시공된 경우에도, 상부 커버 지지부재(20)의 상단 주위에 양생된 콘크리트를 파쇄하지 않고서도 높이 조절링 부재(26)를 고정링 부재(21)에 대하여 위로 끌어올려 상부 커버(30)를 지지하는 상부 커버 지지부재(20)의 최상단 높이를 콘크리트 실내 바닥(3)의 높이에 간단하고 손쉽게 일치시킬 수 있다. 이로써, 종래 상부 커버 지지부재(20)의 상단 주위에 양생된 콘크리트를 파쇄하고, 그에 따라 노출된 상부 커버 지지부재의 상단에 높이조절용 보조 지지부재를 추가로 설치하여 높이를 맞추는 작업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배선 시스템 박스의 시공작업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height adjustment means 50, even after pouring and curing the concrete on the concrete floor, even if the uppermost height of the upper cover supporting member 20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concrete indoor floor 3, the upper cover The upper cover supporting member 20 supporting the upper cover 30 by pulling the height adjusting ring member 26 up against the fixing ring member 21 without crushing the concrete cured around the upper end of the supporting member 20 ) Can be easily and easily matched to the height of the top of the concrete floor (3). Thus, it is necessary to crush the concrete cured around the upper end of the conventional upper cover supporting member 20, and install the auxiliary supporting member for height adjustment on the upper end of the exposed upper cover supporting member, thereby matching the height. Since there is no wiring, the construction work of the wiring system box can be performed accurately and quickly.

한편, 도 13 및 도 14에는 전기 커넥터(41)와 통신선 커넥터(42)를 설치한 브라켓(40)이 상기 상부 커버(30)의 커버 프레임(31)에 조립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40)은 바닥벽, 좌우측벽, 전후 측벽을 구비하고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기 커넥터(41)와 통신선 커넥터(42)는 바닥벽에 결합되며, 상기 플랜지부(44)는 서로 마주보는 좌우측벽 또는 전후 측벽의 상단에 구비된다. 상기 브라켓(40)은 전기 커넥터(41)와 통신선 커넥터(42)가 설치된 브라켓 몸체가 커버 프레임(31)의 개방부를 통하여 박스 몸체 내부(I)에 수용되게 설치되고, 측벽 상단에 구비된 플랜지부(44)가 커버 프레임(31)의 내측 테두리(31a)에 얹혀져 체결나사로 체결된다. Meanwhile, FIGS. 13 and 14 illustrate an embodiment in which the bracket 40 provided with the electrical connector 41 and the communication line connector 42 is assembled to the cover frame 31 of the upper cover 30. 13 and 14, the bracket 40 has a bottom wall, left and right walls, and front and rear side walls, and is formed in a box shape with an open top, and the electrical connector 41 and the communication line connector 42 are It is coupled to the bottom wall, the flange portion 44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or front and rear side walls facing each other. The bracket 40 is installed to be accommodated in the inside of the box body (I) through the opening portion of the cover frame 31, the electrical connector 41 and the communication line connector 42 is installed, the flange portion provided on the top of the side wall 44 is mounted on the inner rim 31a of the cover frame 31 and is fastened with a fastening screw.

이와 같이, 전기 커넥터(41)와 통신선 커넥터(42)를 설치한 브라켓(40)이 상부 커버의 커버 프레임(31)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기 커넥터(41)와 통신선 커넥터(42)에 배선 연결시 상부 커버(30)의 개폐 뚜껑만 열면 전기 커넥터(41)와 통신선 커넥터(42)에 접근이 가능하여, 손쉽고 편리하게 배선작업을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bracket 40 on which the electrical connector 41 and the communication line connector 42 are installed is installed on the cover frame 31 of the upper cover, when connecting the wiring to the electrical connector 41 and the communication line connector 42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lid of the upper cover 30 is opened, the electrical connector 41 and the communication line connector 42 are accessible, so that wiring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performed.

1: 건물 바닥 2: 콘크리트
3: 실내 바닥 4: 설치 구멍
11: 박스 몸체 12: 전선 삽입 구멍
14: 박스 몸체 커버 15: 개방부
20: 상부 커버 지지부재 21: 고정링 부재
22: 내측벽 23: 플랜지
23a: 고정 플랜지 24: 안내홈
25: 걸림턱 26: 높이 조절링 부재
27: 걸림돌기 28: 안내돌기
30: 상부 커버 31: 커버 프레임
31a: 내측 테두리
32: 관통구멍 33: 개폐 뚜껑
35: 결합홈 36: 개폐 도어
37: 전선 인출구 39: 키이
40: 브라켓 41: 전기 커넥터
42: 통신선 커넥터 44: 플랜지부
50: 높이 조절수단 51: 슬리브
52: 탄성 스프링 53: 조절나사
1: building floor 2: concrete
3: Indoor floor 4: Installation hole
11: Box body 12: Wire insertion hole
14: box body cover 15: opening
20: upper cover support member 21: retaining ring member
22: inner wall 23: flange
23a: Fixed flange 24: Guide groove
25: locking jaw 26: height adjustment ring member
27: jam projection 28: guide projection
30: top cover 31: cover frame
31a: inner rim
32: through hole 33: opening and closing lid
35: engaging groove 36: opening and closing door
37: wire outlet 39: key
40: bracket 41: electrical connector
42: communication line connector 44: flange portion
50: height adjustment means 51: sleeve
52: elastic spring 53: adjusting screw

Claims (8)

건물 바닥(1)에 지지된 박스 몸체(11); 박스 몸체(11)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박스 몸체(11) 내부(I)와 연통되는 개방부(15)를 구비하는 박스 몸체 커버(14); 상기 박스 몸체 커버(14)의 개방부(15)를 둘러싸고 상기 박스 몸체 커버(14) 상단면에서 실내 바닥(3)까지 상측으로 연장되게 구비된 상부 커버 지지부재(20); 상기 상부 커버 지지부재(2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박스 내부를 덮어주고, 실내 바닥(3)에 일치하는 개폐 뚜껑(33)을 가지며, 상기 개폐 뚜껑(33)의 일측으로는 박스 몸체 내부로 전선을 인입가능하게 개방된 전선 인출구(37)를 가진 개폐 도어(36)를 구비한 상부 커버(30); 및 전선 접속용 전기 커넥터(41)와 통신선 커넥터(42)를 탈착가능하게 결합한 브라켓(40);을 포함한 콘크리트 바닥 매설용 전기통신선 배선 시스템 박스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 지지부재(20)는, 상기 박스 몸체 커버(14)의 상단면에 고정설치된 고정링 부재(21)와, 최상단이 실내 바닥(3)과 일치하도록 상기 고정링 부재(21)의 측벽을 따라 고정링 부재(21)의 높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높이 조절링 부재(2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 매설용 전기통신선 배선 시스템 박스.
A box body 11 supported on the building floor 1; A box body cover 14 coupled to the top of the box body 11 and having an opening 15 in communication with the interior (I) of the box body 11; An upper cover supporting member 20 surrounding the opening 15 of the box body cover 14 and extending upward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x body cover 14 to the indoor floor 3; The upper cover supporting member 20 is detachably coupled to cover the inside of the box, has an opening / closing lid 33 that matches the interior floor 3, and one side of the opening / closing lid 33 is inside the box body. An upper cover 30 having an opening / closing door 36 having an electric wire withdrawal opening 37 that is capable of retracting electric wires; And a bracket 40 detachably coupling the electrical connector 41 for wire connection and the communication line connector 42 in a telecommunication line wiring system box for laying concrete floor,
The upper cover support member 20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x body cover 14, the fixing ring member 21 and the side wall of the fixing ring member 21 so that the top end coincides with the indoor floor 3 A telecommunication line wiring system box for laying concrete flo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height adjustment ring member (26) movably coupl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ixing ring member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링 부재(26)를 고정링 부재(21)에 대하여 높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안내수단은 고정링 부재(21)의 내측벽(22)에 높이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안내홈(24)과, 상기 높이 조절링 부재(26)의 외측벽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높이 조절링 부재(26)가 상기 고정링 부재(21)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할 때, 상기 안내홈(24)을 따라 이동하면서 높이 조절링 부재(26)를 고정링 부재(21)에 대하여 슬라이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돌기(2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 매설용 전기통신선 배선 시스템 박스.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guide means for guiding the height adjustment ring member 26 to be movable in the he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xed ring member 21,
The guide means is formed to protrude on at least one guide groove 24 formed in the height direction on the inner wall 22 of the fixing ring member 21 and the outer wall of the height adjustment ring member 26, to adjust the height When the ring member 26 slides with respect to the fixed ring member 21, at least one slide guides the height adjustment ring member 26 with respect to the fixed ring member 21 while moving along the guide groove 24 Telecommunication line wiring system box for laying concrete flo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guide projection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 지지부재(20)의 상단 높이를 일정한 높이로 유지시켜 주도록, 상기 고정링 부재(21)에 대한 상기 높이 조절링 부재(26)의 이동을 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 매설용 전기통신선 배선 시스템 박스.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stopper mechanism for preventing the movement of the height adjustment ring member 26 with respect to the fixing ring member 21 to maintain the top height of the upper cover support member 20 at a constant height Telecommunication line wiring system box for laying concrete floor, characterized in tha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기구는 상기 고정링 부재(21)의 내측벽(22)에 높이방향으로 다단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턱(25)과, 상기 높이 조절링 부재(26)의 외측벽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걸림턱(25)중 어느 하나에 결합하는 걸림돌기(2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 매설용 전기통신선 배선 시스템 박스.
According to claim 3,
The stopper mechanism has a plurality of locking jaws 25 formed in multiple stages in the height direction on the inner wall 22 of the fixing ring member 21, and is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outer wall of the height adjusting ring member 26 to form the plurality of A telecommunication line wiring system box for laying concrete flo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locking projection (27) coupled to any one of the locking jaws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링 부재(26)를 상기 고정링 부재(21)에 대하여 상하 높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높이 조절링 부재(26)의 상기 고정링 부재(21)에 대한 상대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수단(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수단(50)은, 상기 고정링 부재(21)의 측벽 하단에 내측으로 연장된 고정 플랜지(23a)와, 상기 고정 플랜지(23a)의 상측에서 고정 플랜지(23a)에 포개어지게 상기 높이 조절링 부재(26)의 측벽 하단에 구비된 가동 플랜지(26a)와, 가동 플랜지(26a)의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하단은 상기 고정링 부재(21)의 나사구멍에 나사결합되어, 체결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가동 플랜지(26a)를 상기 고정링 부재(21)의 고정 플랜지(23a)에 대하여 눌러주고, 반면에 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가동 플랜지(26a)를 상기 고정링 부재(21)의 고정 플랜지(23a)에 대하여 풀어주는 복수의 조절나사(53)와, 상기 가동 플랜지(26a)의 저면과 고정 플랜지(23a)의 저면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된 슬리브(51)의 바닥면 사이에 압축되게 설치되어, 상기 조절나사(52)를 풀림방향으로 회전시켜 가동 플랜지(26a)를 고정 플랜지(23a)에 대하여 풀어주면 높이 조절링 부재(26)가 고정링 부재(21)에 대하여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가동 플랜지(26a)를 고정 플랜지(23a)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밀어내는 탄성 스프링(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 매설용 전기통신선 배선 시스템 박스.
According to claim 1,
Height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relative height of the height adjusting ring member 26 with respect to the fixing ring member 21 by moving the height adjusting ring member 26 in the vertical direction relative to the fixing ring member 21. 50 further comprises,
The height adjustment means 50, the fixed flange 23a extending inwardly at the bottom of the side wall of the fixed ring member 21, and the height to be superimposed on the fixed flange 23a on the upper side of the fixed flange 23a The movable flange 26a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ide wall of the adjusting ring member 26 and the through hole of the movable flange 26a are screwed into the screw holes of the fixing ring member 21, and are fastened in the fastening direction. When rotating, the movable flange 26a is pressed against the fixed flange 23a of the fixed ring member 21, while when rotated in the unlocking direction, the movable flange 26a is fixed to the fixed ring member 21 ) Between the plurality of adjusting screws 53 that are released relative to the fixed flange 23a, an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vable flange 26a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leeve 51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ed flange 23a. When installed to be compressed, the adjusting screw 52 is rotated in the unlocking direction to loosen the movable flange 26a with respect to the fixed flange 23a, so that the height adjustment ring member 26 moves upward with respect to the fixed ring member 21 A telecommunication line wiring system box for laying concrete flo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lastic spring (52) for elastically pushing the movable flange (26a) against the fixed flange (23a) to m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뚜껑(33)은 외측 가장자리에서 반경방향 안쪽으로 만입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35)을 가지고,
상기 개폐 도어(36)는, 실내측 전선을 박스 몸체(11)의 내부공간(I)안으로 통과시키는 전선 인출구(37)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에서, 상기 전선 인출구(37)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로 전환가능하게 상기 결합홈(35)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 매설용 전기통신선 배선 시스템 박스.
According to claim 1,
The opening and closing lid 33 has at least one coupling groove 35 formed to be inward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outer edge,
The opening / closing door 36 is in an open position to open the wire outlet 37 through which the indoor wire passes through the inner space I of the box body 11, and to the closed position to close the wire outlet 37. Telecommunication line wiring system box for laying concrete flo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35 to be switch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40)은 상단 가장자리에 플랜지부(44)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부(44)가 상기 커버 프레임(31)의 내측 테두리(31a)에 결합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 매설용 전기통신선 배선 시스템 박스.
According to claim 1,
The bracket 40 is provided with a flange portion 44 on the upper edge, the flange portion 44 is for fixing the concrete floor, characterized in that fixed to the inner rim 31a of the cover frame 31 Telecommunication wiring system box.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40)은 바닥벽, 좌우측벽, 전후 측벽을 구비하고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기 커넥터(41)와 통신선 커넥터(42)는 바닥벽에 결합되며, 상기 플랜지부(44)는 서로 마주보는 좌우측벽 또는 전후 측벽의 상단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 매설용 전기통신선 배선 시스템 박스.
The method of claim 7,
The bracket 40 has a bottom wall, left and right side walls, and front and rear side walls, and is formed in a box shape with an open top, and the electrical connector 41 and the communication line connector 42 are coupled to the bottom wall, and the flange portion 44 ) Is a telecommunication line wiring system box for laying concrete floo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at the top of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or front and rear side walls facing each other.
KR1020190042820A 2018-11-22 2019-04-12 Electric and communication wiring system box buried under concrete floor KR10216917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237 2018-11-22
KR20180145237 2018-1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205A true KR20200060205A (en) 2020-05-29
KR102169172B1 KR102169172B1 (en) 2020-10-23

Family

ID=70911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820A KR102169172B1 (en) 2018-11-22 2019-04-12 Electric and communication wiring system box buried under concrete flo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9172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538B1 (en) 2022-10-27 2023-06-28 이수기술단(주) Indoor Internet Communication Router
KR102548541B1 (en) 2022-10-27 2023-06-28 이수기술단(주) Communication Connector Equipment For Connecting Indoor Communication Cables
KR102548539B1 (en) 2022-10-27 2023-06-28 이수기술단(주) Internet Communication Cable Connecting Assembly
KR102548564B1 (en) 2022-10-27 2023-06-28 이수기술단(주) communication tray with leakage warning func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5009A (en) * 1991-06-28 1994-02-08 Butler Manufacturing Company Electrical floor box
KR200217383Y1 (en) 2000-07-11 2001-03-15 삼도개발산업주식회사 The system box of a covered type
KR100999471B1 (en) * 2010-03-12 2010-12-09 김세열 Electric wire outlet box
KR20110004076A (en) * 2009-07-07 2011-01-13 전동우 The system box of a floor covered type
KR20170035124A (en) * 2015-09-22 2017-03-30 주식회사 세홍 Floor Box having waterproof function and Installation method of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5009A (en) * 1991-06-28 1994-02-08 Butler Manufacturing Company Electrical floor box
KR200217383Y1 (en) 2000-07-11 2001-03-15 삼도개발산업주식회사 The system box of a covered type
KR20110004076A (en) * 2009-07-07 2011-01-13 전동우 The system box of a floor covered type
KR100999471B1 (en) * 2010-03-12 2010-12-09 김세열 Electric wire outlet box
KR20170035124A (en) * 2015-09-22 2017-03-30 주식회사 세홍 Floor Box having waterproof function and Installation method of the s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538B1 (en) 2022-10-27 2023-06-28 이수기술단(주) Indoor Internet Communication Router
KR102548541B1 (en) 2022-10-27 2023-06-28 이수기술단(주) Communication Connector Equipment For Connecting Indoor Communication Cables
KR102548539B1 (en) 2022-10-27 2023-06-28 이수기술단(주) Internet Communication Cable Connecting Assembly
KR102548564B1 (en) 2022-10-27 2023-06-28 이수기술단(주) communication tray with leakage warning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9172B1 (en) 2020-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9172B1 (en) Electric and communication wiring system box buried under concrete floor
CA2976073C (en) Expandable while-in-use electrical box cover
US7075005B1 (en) Electrical floor box with dual cover installation
US5285009A (en) Electrical floor box
US5023396A (en) Pop-up service fitting
US20090014196A1 (en) Recessed electrical outlet box for floors
US20060254794A1 (en) Enclosure system for underground utility connections
US7935898B2 (en) Pivoting or retractable cord lid with cord exit for floor box
US7989711B2 (en) Ultra shallow floor box
EP3654474B1 (en) Electrical installation box assembly
US20120231657A1 (en) Electrical Receptacle Enclosure
US20060169471A1 (en) Floor access box adjustment method
US10879684B2 (en) Floor box and method of installing
US4209660A (en) Out-of-sight service fittings
GB2194975A (en) Outlet boxes for raised floors
US20030109172A1 (en) Electrical access system and method
KR101775716B1 (en) System box of floor covered type
US11063397B2 (en) Flush ring spacer for electrical receptacles
US9941679B1 (en) Interlocking floor box with extended locking conduit hubs
KR101441656B1 (en) Electricity distribution box for public housing ceiling
US4369340A (en) Wall telephone adapter assembly
KR102005774B1 (en) The system box of a undergrounded type with a slide type cover
JP3344326B2 (en) Wiring device stand
KR101673985B1 (en) Fixture of electricity distribution box for public housing
KR101543283B1 (en) Sliding down the system box is provided caps withdraw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