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0162A - Device for propelling kayak - Google Patents

Device for propelling kaya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0162A
KR20200060162A KR1020180145806A KR20180145806A KR20200060162A KR 20200060162 A KR20200060162 A KR 20200060162A KR 1020180145806 A KR1020180145806 A KR 1020180145806A KR 20180145806 A KR20180145806 A KR 20180145806A KR 20200060162 A KR20200060162 A KR 20200060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gear
kayak
shaft
prope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58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23652B1 (en
Inventor
박대광
Original Assignee
박대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대광 filed Critical 박대광
Priority to KR1020180145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3652B1/en
Publication of KR20200060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01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6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20Canoes, kaya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26Accessories for canoes, kaya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02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mechanical gearing
    • B63H23/06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mechanical gearing for transmitting drive from a single propulsion power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3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characterised by use of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B63B2739/00
    • B63B274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6/00Marine propulsion by muscle power
    • B63H16/08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 B63H16/20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using rotary cranking arm
    • B63H2016/202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using rotary cranking arm specially adapted or arranged for being actuated by the feet of the user, e.g. using bicycle-like ped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ayak propelling apparatus which can propel a hull while rotating a pedal in one direction with a foot without using a hand of a passenger, and can easily move the hull forward and backward by changing a rotational direction of a propeller with a rotational force transfer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kayak propelling apparatus for propelling a hull forward or backward comprises: a housing fixed to the bottom of a hull so that a part of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is position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ottom of the hull and a part of a lower portion is position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ttom of the hull; a propeller rotatably mounted on a part of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position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ottom of the hull to rotate below the bottom of the hull; a pedal rotatably mounted on a par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ttom of the hull, and stepped by a passenger to rotate; and a rotational force transfer mean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to transfer rotation of the pedal to the propeller.

Description

카약 추진 장치{DEVICE FOR PROPELLING KAYAK}Kayak propulsion device {DEVICE FOR PROPELLING KAYAK}

본 발명은 카약 추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선자 손을 이용하지 않고 발로 페달을 일방으로 회전시키면서 선체를 추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력 전달 수단으로 프로펠러의 회전 방향을 변환시킴으로써 선체를 용이하게 전후진시킬 수 있는 카약 추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ayak propulsion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propel the hull while rotating the pedal in one direction without using a passenger's hand, as well as to facilitate the hull by changi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propeller by means of torque transmission. It relates to a kayak propulsion device that can be moved back and forth.

카약은 에스키모인이 사용하던 소형 배로써 1인승으로 이루어지며, 노를 좌우로 번갈아 저어 전진하는 선박으로, 근래들어 수상 레저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The kayak is a small boat used by Eskimo, which is made up of one person, and is a ship that stirs the row alternately from side to side, and has recently been used for water leisure.

이러한 카약은 이동과 보관이 용이하도록 대한믹국 등록특허 제10-1577280호(공기주입식 카약, 2015.12.08)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541995호(인플레이터블 에어시트 프레임을 가지는 차량 루프랙 장착형 접이식 카약, 2015.07.29)에서와 같이 에어를 주입하여 팽창시키는 타입의 카약이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1724호(접이식 카약, 2015.07.29)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1725호(차량의 루프랙 장착형 접이식 카약, 2015.07.29)에서와 같이 접는 방식의 카약에 대한 개발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These kayaks can be easily moved and stored by Korea Mick Kook Patent No. 10-1577280 (air-injected kayak, 2015.12.08) or Korea Patent No. 1001541995 (Vehicle roof rack-mounted folding kayak with inflatable air seat frame, 2015.07. 29) A type of kayak that expands by injecting air as in Korea, or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541724 (folding kayak, 2015.07.29) or Korea Registered Patent No. 10-1541725 (foldable kayak with a vehicle roof rack, 2015.07. As in 29), many developments of folding kayaks have been made.

이러한 카약의 추진을 위해서는 통상 노를 젓는데, 노를 저어 카약을 추진하는 것은 매우 힘들 뿐만 아니라 승선자가 손으로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에는 노를 저을 수 없는 단점이 있다.In order to promote the kayak, the oars are usually paddled, and it is very difficult to propel the kayak by rowing the paddle, 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paddle cannot be plowed when the passenger needs to work by hand.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8-0001004호(2018.04.11, 모터 추진체를 갖는 카약)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04856호(2017.09.18, 무(無)동력 워터젯 추진기를 사용한 카약 및 원리)에서와 같이 동력을 이용하는 카약의 개발되었으나 이는 기본적으로 엔진이나 모터와 같은 동력을 이용하는 한계를 갖는다.In order to solve these shortcomings,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No. 20-2018-0001004 (2018.04.11, kayak with a motor propellant) and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04856 (2017.09.18, no-power waterjet) Kayaks using propellers and principles) The use of power kayaks has been developed, but this basically limits the use of power such as engines and motors.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8-0001004호(2018.04.11) : 모터 추진체를 갖는 카약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No. 20-2018-0001004 (2018.04.11): kayak with motor propellant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04856호(2017.09.18) : 무(無)동력 워터젯 추진기를 사용한 카약 및 원리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04856 (2017.09.18): kayak and principle using a non-powered water jet propell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인식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승선자 손을 이용하지 않고 발로 페달을 일방으로 회전시키면서 선체를 추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력 전달 수단으로 프로펠러의 회전 방향을 변환시킴으로써 선체를 용이하게 전후진시킬 수 있는 카약 추진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by recognizing the above point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el the hull while rotating the pedal in one direction with the foot without using the passenger's hand, as well as converting the propeller's direction of rotation by means of torque transmission. It is to provide a kayak propulsion device that can be easily moved back and forth by hul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는, 선체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추진시키기 위한 카약 추진 장치에 있어서, 상부의 일부분은 상기 선체의 바닥 상부에 위치되고 하부의 일부분은 상기 선체의 바닥 하부에 위치되게 상기 선체의 바닥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선체의 바닥 하부에 위치된 상기 하우징 하부의 일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선체의 바닥 아래에서 회전되는 프로펠러와, 상기 선체의 바닥 상부에 위치된 상기 하우징 상부의 일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승선자가 발로 밟아 회전시키는 페달과, 상기 페달의 회전을 상기 프로펠러로 전달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회전력 전달 수단이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kayak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kayak propulsion device for propulsion of the hull forward or rear, a part of the upper part is located on the bottom of the hull and a part of the lower part is the hull A housing fixed to the bottom of the hull to b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hull, a propeller rotatably mounted to a part of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hull, and a propeller rotated under the bottom of the hull, and the bottom of the hull It is rotatably mounted on a par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pedal for the passenger to step on and rotate, and a rotational force transmitting mean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to transmit the rotation of the pedal to the propeller Is don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는, 상기 하우징은, 상부의 기어 박스부와, 하부의 프로펠러 지지부와, 상기 기어 박스부와 프로펠러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구비되어 구성되고, 선체에는 바닥에 하우징 통과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기어 박스부가 상기 선체의 바닥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프로펠러 지지부는 상기 선체의 바닥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연결부가 상기 하우징 통과홀을 지나게 상기 선체의 바닥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kayak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is composed of an upper gear box portion, a lower propeller support portion,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gear box portion and the propeller support portion is provided, the hull housing A through hole is formed, the housing, the gear box portion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hull, the propeller support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hull, and the connecting portion passes through the housing through hole at the bottom of the hull.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fix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는, 상기 회전력 전달 수단은, 상기 페달의 회전력을 입력받아 회전 방향을 전환하여 출력하는 방향 전환 기어부와, 상기 방향 전환 기어부의 출력을 상기 프로펠러로 전달하는 회전 전달부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kayak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ing means receives a rotational force of the pedal, rotates the direction changing gear unit for outputting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rotates the output of the direction changing gear unit to the propeller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unit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는, 상기 회전 전달부는 상기 방향 전환 기어부의 출력 기어와 연결되어 연직으로 세워진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의 회전을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축에 전달하도록 상기 연결축과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축에 구비되어 서로 맞물린 전달 기어가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방향 전환 기어부는 기어 박스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연결축은 상기 기어 박스부에서 상기 프로펠러 지지부로 이어지게 연장되고, 상기 연결축과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축에 구비되어 서로 맞물린 전달 기어는 상기 프로펠러 지지부 내부에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kayak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transmission unit is connected to the output gear of the direction changing gear portion and a vertically connected connection shaft, and the connection shaft and the propeller to transmit the rotation of the connection shaft to the rotation axis of the propeller It is provided on the rotating shaft is provided with a transmission gear engaged with each other, the direction change gear portion is accommodated inside the gear box portion, the connecting shaft extends to extend from the gear box portion to the propeller support, the connecting shaft and the propell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gear is provided on the rotating shaft and engaged with each other is accommodated inside the propeller suppor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는, 상기 방향 전환 기어부는, 중앙 부분에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상기 페달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기어축과, 상기 기어축의 스플라인에 맞물려 상기 기어축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클러치 슬리브와, 각각의 내측에 상기 클러치 슬리브의 양측 말단부와 맞닿아 맞물리는 클러치부가 형성되고, 각각 상기 클러치 슬리브의 양측 각각에 위치되어 상기 기어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상기 기어축의 양측 단부 각각에 지지된 한 쌍의 방향 전환 기어와, 상기 연결축과 일체로 회전되게 상기 연결축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방향 전환 기어와 동시에 맞물리는 출력 기어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kayak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 change gear portion, the spline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gear shaft that is rotated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edal, and engaged with the spline of the gear shaft to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ear shaft A clutch sleeve to be formed, and clutch portions to be engaged with both end portions of the clutch sleeve on each inner side, and located on each side of each of the clutch sleeves, are respectively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lutch sleeve to allow rotation relative to the gear shaf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air of direction change gears supported at each end and an output gear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shaft to rotate integrally with the connection shaft are provided at the same tim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는 승선자 손을 이용하지 않고 발로 페달을 일방으로 회전시키면서 선체를 추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력 전달 수단으로 프로펠러의 회전 방향을 변환시킴으로써 선체를 용이하게 전후진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The kayak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bove configuration can not only propel the hull while rotating the pedal with one foot without using the passenger's hand, but also facilitate the hull by changi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propeller by means of torque transmission.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에서 아웃리거 접이 장치에 의해 아웃리거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에서 카약의 아웃리거 접이 장치에 의해 아웃리거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에서 아웃리거 접이 장치, 추진 장치 및 조향 장치의 배치를 선체에서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에서 카약의 아웃리거 접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에서 카약의 아웃리거 접이 장치의 가이드 바, 스크류 바 및 슬라이더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도 5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에서 아웃리거 접이 장치의 아웃리거와 접철 링크의 힌지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도 5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에서 아웃리거 접이 장치에 의해 아웃리거가 접혀진 상태 및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선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의 페달 복귀 수단의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에서 조향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에서 조향 장치의 조타 드럼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8a 내지 도 18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에서 조타 드럼을 회전시키는 조향 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평면도
도 19a 내지 도 19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에서 조타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조향 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평면도 및 정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에서 조향 장치의 조타 드럼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 및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에서 방향키가 선미 및 선두에 장착된 조향 장치의 실시예 및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kayak with a kayak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utrigger is unfolded by the outrigger folding device in a kayak to which a kayak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3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utrigger is unfolded by the outrigger folding device of a kayak in a kayak to which a kayak propulsion device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sassembled arrangement of the outrigger folding device, the pushing device and the steering device in a kayak to which a kayak pu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disassembled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utrigger folding device of the kayak in the kayak is applied kayak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5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guide bar, a screw bar, and a slider of an outrigger folding device of a kayak in a kayak to which a kayak propulsion device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 5 showing the hing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outrigger and the folding link of the outrigger folding device in a kayak to which a kayak propulsion device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and 8B are plan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outrigger is folded and unfolded by an outrigger folding device in a kayak to which a kayak propulsion device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kayak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kayak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kayak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hull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kayak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A to 14C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a kayak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conceptual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edal return means of the kayak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ering device in a kayak to which a kayak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ering drum of a steering device in a kayak to which a kayak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18A to 18C are plan view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steering device for rotating the steering drum in a kayak to which a kayak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19A to 19C are a plan view and a front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a steering device for moving the steering slider in a kayak to which a kayak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0 is a front view conceptually show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steering drum of the steering device in a kayak to which a kayak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1 is a plan view conceptually showing an embodiment and operation of a steering device in which a rudder is mounted on the stern and head in a kayak to which a kayak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kayak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에서 아웃리거 접이 장치에 의해 아웃리거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에서 카약의 아웃리거 접이 장치에 의해 아웃리거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에서 아웃리거 접이 장치, 추진 장치 및 조향 장치의 배치를 선체에서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에서 카약의 아웃리거 접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에서 카약의 아웃리거 접이 장치의 가이드 바, 스크류 바 및 슬라이더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도 5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에서 아웃리거 접이 장치의 아웃리거와 접철 링크의 힌지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도 5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에서 아웃리거 접이 장치에 의해 아웃리거가 접혀진 상태 및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선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의 페달 복귀 수단의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에서 조향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에서 조향 장치의 조타 드럼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18a 내지 도 18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에서 조타 드럼을 회전시키는 조향 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9a 내지 도 19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에서 조타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조향 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평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에서 조향 장치의 조타 드럼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 및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에서 방향키가 선미 및 선두에 장착된 조향 장치의 실시예 및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kayak to which a kayak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2 is a state in which an outrigger is unfolded by an outrigger folding device in a kayak to which a kayak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3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outrigger is unfolded by an outrigger folding device of a kayak in a kayak to which a kayak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4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outrigger folding device, the pushing device, and the steering device in a kayak to which the kayak pus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assembled from the hull, and FIG. 5 is a kayak in the kayak to which the kayak pu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utrigger folding device, and FIG. 6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guide bar, a screw bar, and a slider of an outrigger folding device of a kayak in a kayak to which a kayak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and FIG. 7 is an enlarged portion B of FIG. 5 showing a hinge connection structure of an outrigger folding device and a folding link in a kayak to which a kayak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8A and 8B are plan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outrigger is folded and unfolded by an outrigger folding device in a kayak to which a kayak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10 is a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kayak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kayak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kayak propul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attached to the hull, Figure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kayak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4a to 14c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kayak propulsion device, Figure 15 is a conceptual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edal return means of the kayak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ering device in a kayak to which a kayak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17 shows a steering drum of a steering device in a kayak to which a kayak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IGS. 18A to 18C are plan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a steering device for rotating a steering drum in a kayak to which a kayak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S. 19A to 19C are views of the present invention A top view and a front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a steering device for moving the steering slider in a kayak to which a kayak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pplied, and FIG. 20 is a view of a steering device to a kayak to which a kayak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t is a front view conceptually show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steering drum, and FIG. 21 is an embodiment and operation of a steering device in which a direction key is mounted on the stern and head in a kayak to which a kayak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t is a plan view conceptually showing.

본 발명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20)가 적용된 카약에는 카약의 아웃리거 접이 장치(10)가 구비되어 이는 수상에서 복원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아웃리거(2)가 선체(1)의 양측에 부착된 카약에 적용된다. 특히, 상기 카약의 아웃리거 접이 장치(10)는 카약의 운반이나 보관이 용이하도록 상기 아웃리거(2)가 선체(1)의 양측에서 펼쳐질 뿐만 아니라 선체(1)의 양측에 포개지게 접혀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kayak to which the kayak propulsion device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provided with an outrigger folding device 10 for kayaks, which is applied to kayaks on which the outriggers 2 are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hull 1 to ensure restoration stability in the water phase. do. In particular, the outrigger folding device 10 of the kayak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rigger 2 is configured to be folded on both sides of the hull 1 as well as being unfolded on both sides of the hull 1 to facilitate transport or storage of the kayak. Is done.

우선, 카약의 아웃리거 접이 장치(10)가 적용된 카약은 비교적 폭이 좁고 길이가 긴 선체(1)의 양측 각각에 아웃리거(2)가 부착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카약 아웃리거 접이 장치(10)가 적용된 카약은 선체(1)의 바닥(1a) 아래에 카약의 추진을 위한 프로펠러(3)가 장착되고, 후미에 카약의 방향 조절을 위한 방향키(4)가 구비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선체(1)의 내부에는 탑승자가 앉을 수 있는 좌석(5)이 구비된다.First, the kayak to which the outrigger folding device 10 of the kayak is applie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outrigger 2 is attached to each side of the hull 1 having a relatively narrow and long length. In addition, the kayak to which the kayak outrigger folding device 10 is applied is equipped with a propeller 3 for pushing the kayak under the bottom 1a of the hull 1, and an arrow key 4 for adjusting the direction of the kayak at the rear. It has a structure provided. The interior of the hull 1 is provided with a seat 5 for occupants to sit on.

또한, 상기 카약의 아웃리거 접이 장치(10)가 적용된 카약에는 상기 프로펠러(3)를 회전시키기 위한 카약 추진 장치(20)가 구비되고, 카약의 조향을 위해서 상기 방향키(4)를 좌우로 회전시키기 위한 카약의 조향 장치(30)가 구비된다.In addition, a kayak propulsion device 20 for rotating the propeller 3 is provided on a kayak to which the outrigger folding device 10 of the kayak is applied, and for rotating the direction key 4 left and right for steering of the kayak A kayak steering device 30 is provided.

상기 카약의 아웃리거 접이 장치(10)는 접철 수단(11)과 접철 구동 수단(12)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카약의 아웃리거 접이 장치(10)의 구조 및 작동이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The outrigger folding device 10 of the kayak is provided with folding means 11 and folding driving means 12. 1 to 9 are shown in detail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kayak outrigger fold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접철 수단(11)은 상기 아웃리거(2) 각각과 선체(1)의 양측 각각을 연결하되, 상기 선체(1)의 양측 각각에서 아웃리거(2)를 선체(1)에 접근시키고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접히고 펼쳐지도록 하는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접철 수단(11)은 선두 및 선미 부착구(111a,111b), 가이드 바(112),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114a,114b) 및 구속부(115)가 구비되어 구성된다.The folding means 11 connects each of the outriggers 2 and both sides of the hull 1, but moves the outriggers 2 to the hull 1 from each side of the hull 1 and moves in a falling direction. It is a configuration to be folded and unfolded to make it unfold.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folding means 11 includes leading and stern attachments 111a and 111b, guide bars 112, leading and stern sliders 113a and 113b, leading and stern folding links 114a and 114b, and Constraints 115 are provided and configured.

상기 선두 및 선미 부착구(111a,111b)는 상기 가이드 바(112)의 양단이 지지되게 고정되고, 상기 접철 구동 수단(12)의 스크류 바(121)가 회전이 가능하게 그 양단이 지지되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선두 및 선미 부착구(111a,111b)는 상기 선체(1)의 양측 각각에 구비되는데, 상기 선체(1)의 양측 각각의 선두의 위치와 선미의 위치에서 상기 선체(1)의 측면에 부착된다.The leading and stern attachments 111a and 111b are fixed so that both ends of the guide bar 112 are supported, and both ends of the screw bar 121 of the foldable driving means 12 are rotatably supported. It is a composition.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head and stern attachments 111a and 111b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ull 1, and the hull 1 is positioned at the position of the head and the stern of each head of the hull 1, respectively. ) Is attached to the side.

상기 가이드 바(112)는 상기 선체(1)의 양측 각각에 구비되는데, 직선으로 길이가 긴 봉형상의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선체(1)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양단 각각이 상기 선두 및 선미 부착구(111a,111b)에 결합되어 상기 선체(1)의 측면 각각에 부설된다. 상기 가이드 바(112)를 따라 직선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상기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는 상기 가이드 바(112)에 지지된다.The guide bar 112 is provided on each side of the hull 1, and is formed of a rod-shaped member having a long length in a straight line. It is coupled to the stern attachments (111a, 111b) is laid on each side of the hull (1). The leading and stern sliders 113a and 113b are supported by the guide bar 112 so as to slide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guide bar 112.

상기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는 각각에 일단이 결합된 상기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114a,114b)의 일단을 상기 가이드 바(112)를 따라 직선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에는 상기 가이드 바(112)가 삽입되기 위한 슬라이딩 홀(113-1)이 형성되고, 그 슬라이딩 홀(113-1)에 이웃하여 내부에 스크류잭(sCfew jack) 구동을 위해 상기 스크류 바(121)의 수나사에 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스크류 홀(113-2)이 형성된다. 상기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는 상기 스크류 바(121)의 왕복 회전으로 상기 가이드 바(112)를 따라 선체(1) 전후 방향의 직선으로 왕복 이동되게 된다. 상기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에는 상기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114a,114b)의 일단에 구비된 힌지축(114-1)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힌지부(113-3)가 형성된다.The leading and stern sliders 113a and 113b are configured to move one end of the leading and stern folding links 114a and 114b with one end coupled to the guide bar 112 in a straight line.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leading and stern sliders 113a and 113b are formed with sliding holes 113-1 for inserting the guide bars 112, and adjacent to the sliding holes 113-1. For driving a screw jack (sCfew jack), a screw hole 113-2 formed with a female screw coupled to a male screw of the screw bar 121 is formed. The head and stern sliders 113a and 113b are reciprocated in a straight line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hull 1 along the guide bar 112 by reciprocating rotation of the screw bar 121. The leading and stern sliders 113a and 113b are formed with hinge portions 113-3 to which the hinge shafts 114-1 provided at one end of the leading and stern folding links 114a and 114b are inserted and coupled.

상기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114a,114b)는 상기 선체(1)의 측부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선체(1)의 선두부 및 선미부와 상기 아웃리거(2)의 전단부와 후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막대형상의 링크부재이다. 상기 선체(1),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114a,114b) 및 아웃리거(2)는 서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4절 링크 구조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114a,114b)의 왕복 회전으로 링크 구조가 접혀지거나 펼쳐지면서 상기 아웃리거(2)가 선체(1)의 측부에 포개지는 방향(F)으로 이동되거나 상기 선체(1)의 측부에서 벌어지는 방향(U)으로 이동되게 된다. 상기 선체(1)의 측부에 부설된 가이드 바(112)를 따라 상기 선체(1)의 선두와 선미 각각의 위치에서 왕복 이동되는 상기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 각각에는 상기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114a,114b) 각각의 일단이 연결된다.The leading and stern folding links 114a and 114b are provided on each side of the hull 1, and rods for connecting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hull 1 and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outrigger 2 It is a shaped link member. The hull (1), the leading and stern folding links (114a, 114b) and the outrigger (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four-section link structure as a whole, by the reciprocating rotation of the leading and stern folding links (114a, 114b) When the link structure is folded or unfolded, the outrigger 2 is moved in a direction F that is superimposed on the side of the hull 1 or is moved in a direction U that spreads on the side of the hull 1. Each of the head and stern sliders 113a and 113b reciprocated at positions of the head and the stern of the hull 1 along the guide bar 112 laid on the side of the hull 1 is folded into the head and stern. One end of each of the links 114a and 114b is connected.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114a,114b) 각각의 일단에는 연직의 힌지축(114-1)이 구비되고, 그 힌지축(114-1)이 상기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에 구비된 힌지부(113-3)에 연결되어 상기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114a,114b)의 일단은 상기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에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vertical hinge shaft 114-1 is provided at one end of each of the leading and stern folding links 114a and 114b, and the hinge shaft 114-1 includes the leading and stern sliders 113a, It is connected to the hinge part 113-3 provided in 113b), and one end of the leading and stern folding links 114a and 114b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eading and stern sliders 113a and 113b.

또한, 상기 아웃리거(2)의 전단부와 후단부 각각에는 상기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114a,114b) 각각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한 힌지부(2-1)가 형성된다. 상기 아웃리거(2)의 측부에 형성된 힌지부(2-1) 각각에는 상기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114a,114b) 각각의 타단에 구비된 연직의 힌지축(114-2)이 연결된다.In addition, a hinge portion 2-1 is formed at each of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outrigger 2 so that the other ends of each of the leading and stern folding links 114a and 114b are rotatably connected. Each of the hinge portions 2-1 formed on the side of the outrigger 2 is connected to a vertical hinge shaft 114-2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leading and stern folding links 114a and 114b.

상기 접철 수단(11)의 구속부(115)는 상기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114a,114b)의 이동으로 4절 링크 구조가 펼쳐지면서 상기 선체(1)의 측부에서 아웃리거(2)가 벌어지는 방향(U)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4절 링크 구조의 회전이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고 아웃리거(2)가 선체(1)에서 벌어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상기 구속부(115)는 상기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114a,114b)가 펼쳐진 상태에서 그 회전을 구속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접철 수단(11)의 구속부(115)는 상기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에 구비된 힌지부(113-3)나 상기 아웃리거(2)에 구비된 힌지부(2-1)에서 힌지축(114-1,114-2)이 회전되지 않도록 핀(pin)을 꼽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나, 도면에는 상기 아웃리거(2)에 구비된 힌지부(2-1)에 상기 구속부(115)로서 스토핑 돌기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114a,114b)가 충분히 펼쳐진 상태까지 회전되면 상기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114a,114b)가 그 스토핑 돌기에 걸려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구속부(115)는 상기 아웃리거(2)의 선두측과 선미측에 구비된 2개의 힌지부(2-1) 각각에 구비되고, 상기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114a,114b)가 완전히 펼쳐져 각각 펼쳐지는 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상기 구속부(2-1)에 걸리는데,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114a,114b)가 구속부(2-1)에 걸리는 상태까지 회전된 상태에서는 4절 링크의 구조상 선두 접철 링크(114a)가 접히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선미 접철 링크(114b)는 펼쳐지는 방향으로 회전되어야 하는데 상기 구속부(2-1)에 의해 선미 접철 링크(114b)가 더 이상 펼쳐지는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상기 아웃리거(2)는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이는 상기 선미 접철 링크(114b)가 내측으로 접히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반대의 경우에도 동일한 원리로 작동되어 상기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114a,114b)는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되어 상기 아웃리거(2)의 펼쳐진 상태가 유지된다.The restraining part 115 of the folding means 11 is a direction in which the outrigger 2 is opened at the side of the hull 1 while the four-section link structure is expanded by the movement of the leading and stern folding links 114a and 114b ( This is a configuration for maintaining the outrigger 2 in an open state in the hull 1 without further rotation of the section 4 link structure in the moved state to U). That is, the restraining part 115 is for restraining the rota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leading and stern folding links 114a and 114b are unfolded, which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restraining portion 115 of the folding means 11 is a hinge portion 113-3 provided on the head and stern sliders 113a and 113b or a hinge portion 2 provided on the outrigger 2 -1) the hinge shaft (114-1,114-2)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tructure that pins pins so as not to rotate, but in the drawing, the restraint is provided in the hinge portion 2-1 provided in the outrigger 2 When the stopper protrusion as the part 115 is protruded and is rotated until the leading and stern folding links 114a and 114b are fully extended, the leading and stern folding links 114a and 114b are no longer caught by the stopping protrusions. An embodiment configured to not rotate is shown. The restraining portion 115 is provided on each of the two hinge portions 2-1 provided on the leading side and the stern side of the outrigger 2, and the leading and stern folding links 114a and 114b are fully extended, respectively. It is caught in the restraining part 2-1 so that it is no longer rotated in the unfolding direc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leading and stern folding links 114a and 114b are rotated to the state of being engaged by the restraining part 2-1, the four-section link Structurally, when the leading folding link 114a is rotated in the folding direction, the stern folding link 114b should be rotated in the unfolding direction, and the stern folding link 114b is no longer extended by the restraining portion 2-1. As a result, the outrigger 2 remains unfolded because it is not rotated. This is operated in the same principle in the opposite case where the stern fold link 114b is rotated in the folding direction inward, so that the leading and stern fold links 114a, 114b are no longer rotated, so that the outrigger 2 is unfolded. State is maintained.

상기 접철 구동 수단(12)은 상기 접철 수단(11)이 접혀지고 펼쳐지도록 구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접철 구동 수단(12)은 상기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를 상기 가이드 바(112)를 따라 서로 반대방향(Sf,Su,Sf',Su')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그에 따라 상기 접철 수단(11)의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114a,114b)가 서로 반대방향(Rf,Ru,Rf',Ru')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아웃리거(2)가 접히는 방향(F)으로 이동되거나 벌어지는 방향(U)으로 이동되게 된다.The folding driving means 12 is configured to drive the folding means 11 to be folded and unfolded. The folding driving means 12 is configured to move the head and stern sliders 113a and 113b in opposite directions (Sf, Su, Sf ', Su') along the guide bar 112. The direction in which the outrigger 2 is moved or opened in the folding direction F while the leading and stern folding links 114a and 114b of the folding means 11 are rotated in opposite directions (Rf, Ru, Rf ', Ru') It is moved to (U).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접철 구동 수단(12)은 스크류 바(121)와 구동기(122)가 구비되어 구성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foldable driving means 12 is composed of a screw bar 121 and a driver 122.

상기 스크류 바(121)는 상기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스크류 바(121)는 상기 가이드 바(112)와 유사한 막대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가이드 바(112)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양단 각각이 상기 선두 및 선미 부착구(111a,111b)에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선체(1)의 측부에 장착된다. 상기 스크류 바(121)의 선두 측 단부와 선미 측 단부 각각에는 상기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 각각의 스크류 홀(113-2)에 형성된 암나사와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121-1,121-2)가 형성된다. 상기 수나사(121-1,121-2)에 상기 스크류 홀(113-2)이 나사 결합된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는 상기 스크류 바(121)의 회전으로 상기 가이드 바(112)를 따라 직선으로 이동되게 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는 상기 스크류 바(121)의 일방 회전으로 서로 반대방향(Sf,Su,Sf',Su')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스크류 바(121)의 선두 측 단부와 선미 측 단부 각각에 형성된 수나사(121-1,121-2)는 서로 반대방향의 나사방향을 갖도록 형성되어 한다. 참고로, 상기 스크류 바(121)의 일방 회전으로 상기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가 서로 반대방향(Sf,Su,Sf',Su')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구성은 상기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의 스크류 홀(113-2)의 암나사의 나사 방향을 동일하게 하고, 상기 스크류 바(121)의 선두 측 단부와 선미 측 단부 각각에 형성된 수나사(121-1,121-2)의 나사 형성 방향을 반대로 하여 달성될 수 있지만, 반대로 상기 스크류 바(121)의 선두 측 단부와 선미 측 단부 각각에 형성된 수나사(121-1,121-2)의 나사 형성 방향을 동일하게 하고, 상기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의 스크류 홀(113-2)의 암나사의 나사 방향을 반대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The screw bar 121 is configured to reciprocate the head and stern sliders 113a and 113b in opposite directions.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crew bar 121 is a rod-shaped member similar to the guide bar 112, and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guide bar 112, so that both ends of the head and stern attachments 111a and 111b are provided. It is supported to be rotatable on the side of the hull (1). Male screws 121-1 and 121-2 screwed to female threads formed in the screw holes 113-2 of each of the leading and stern sliders 113a and 113b at each of the leading and stern side ends of the screw bar 121. Is formed. The head and stern sliders 113a and 113b in which the screw holes 113-2 are screwed to the male screws 121-1 and 121-2 are straight along the guide bar 112 by rotation of the screw bar 121.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head and stern sliders 113a and 113b are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Sf, Su, Sf ', Su') by one-way rotation of the screw bar 121. It is composed. To this end, male screws 121-1 and 121-2 formed at each of the leading end portion and the stern side end of the screw bar 121 are formed to have screw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For referenc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head and stern sliders 113a and 113b are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Sf, Su, Sf ', Su') by one rotation of the screw bar 121 includes the head and stern sliders ( The screw direction of the female screw of the screw hole 113-2 of 113a, 113b is the same, and the screw formation of the male screw 121-1, 121-2 formed at each of the leading end and stern side ends of the screw bar 121 is performed. It can be achieved by reversing the direction, but on the contrary, the screw forming direction of the male threads 121-1 and 121-2 formed at each of the leading end and stern side ends of the screw bar 121 is the same, and the leading and stern sliders ( It can be achieved by forming the screw direction of the female screw of the screw hole 113-2 of 113a, 113b in the opposite direction.

상기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 각각의 스크류 홀(113-1)에 형성된 암나사는 상기 스크류 바(121)의 선두 측 단부와 선미 측 단부 각각에 형성된 수나사(121-1,121-2) 각각과 맞물려 결합되고, 그에 따라 상기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 각각은 상기 스크류 바(121)의 일방 회전으로 서로 반대 방향(Sf,Su,Sf',Su')으로 이동되게 된다.Female threads formed in the screw holes 113-1 of the head and stern sliders 113a and 113b, respectively, and male threads 121-1 and 121-2 formed at the head end and stern side ends of the screw bar 121, respectively. In engagement, each of the leading and stern sliders 113a and 113b i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Sf, Su, Sf ', Su') by one-way rotation of the screw bar 121.

상기 구동기(122)는 상기 스크류 바(121)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기(122)는 좌석(5)에 앉은 승선자가 손으로 잡아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선체(1)의 측부에 회전지지된 구동 핸들(122-1)과, 상기 구동 핸들(122-1)의 회전을 상기 스크류 바(121)에 전달하도록 한 쌍의 베벨 기어로 구성된 기어부(122-2)로 구성된다.The driver 122 is configured to rotate the screw bar 121.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driver 122 includes a drive handle 122-1 supported on the side of the hull 1 and a driving handle ( It consists of a gear portion (122-2) consisting of a pair of bevel gears to transmit the rotation of the 122-1) to the screw bar (121).

한편, 도면에는 상기 구동기(122)가 선체(1)의 좌측 측부에 구비되어 좌측에 장착된 스크류 바(121)가 직접 회전구동되고, 우측에 장착된 스크류 바(121)는 좌측 스크류 바(121)에서 우측 스크류 바(121)로 벨트 전동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구성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선체(1)의 좌측 및 우측에 구비된 스크류 바(121) 각각의 선미측 말단에는 벨트 풀리(123)가 결합되고, 그 벨트 풀리(123)를 벨트(124)로 감아 회전 동력이 좌측 스크류 바(121)에서 우측 스크류 바(121)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벨트 전동에 의해 승선자가 선체(1)의 좌측에 구비된 구동 핸들(122-1)을 회전시키면 좌측에 구비된 스크류 바(121) 뿐만 아니라 우측에 구비된 스크류 바(121)도 회전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drawing, the driver 122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hull 1 so that the screw bar 121 mounted on the left side is directly rotated and the screw bar 121 mounted on the right side is the left screw bar 121 ) Is shown an embodiment configured to be rotated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by belt transmission from the right screw bar 121. Referring to the drawings, a belt pulley 123 is coupled to the stern side ends of each of the screw bars 121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ull 1, and the belt pulley 123 is wound with a belt 124. The rotational power is configured to be transmitted from the left screw bar 121 to the right screw bar 121. When the passenger turns the drive handle 122-1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hull 1 by the belt transmission as described above, the screw bar 121 provided on the left side as well as the screw bar 121 provided on the right side rotates. Will b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아웃리거 접이 장치(10)의 작동은 도 6a 및 도 6b에 개념적으로 도시되어 있다.The operation of the outrigger folding device 10 constructed as above is conceptually illustrated in FIGS. 6A and 6B.

본 발명은 카약의 승선자가 선체(1)의 좌석(5)에 앉은 상태에서 손으로 상기 구동기(122)의 구동 핸들(122-1)을 정회전 및 역회전시켜 아웃리거(2)를 선체(1)의 측부에 근접시켜 포개거나 선체(1)의 측부로부터 일정 거리로 떨어뜨려 펼치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rigger (2) is hulled (1) by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drive handle (122-1) of the driver (122) by hand while the passenger of the kayak sits on the seat (5) of the hull (1). ) Close to the side of the stack, or sprea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side of the hull (1).

도 8a는 선체(1)의 측부에 아웃리거(2)가 가깝게 붙어 포개진 상태를 도시한 상태인데, 이 상태에서는 상기 접철 수단(11)의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는 선체(1)의 중앙으로 가깝게 모아진 위치에 위치된다. 8A is a state in which the outrigger 2 is closely attached to the side of the hull 1, and in this state, the leading and stern sliders 113a and 113b of the folding means 11 are the hull 1 It is located in a location that is collected close to the center of the.

도 8b는 선체(1)의 측부에서 아웃리거(2)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상태인데, 이 상태에서는 상기 접철 수단(11)의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는 선체(1)의 중앙에서 서로 멀어진 위치에 위치된다.8B is a state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utrigger 2 is unfolded on the side of the hull 1, in this state, the head of the folding means 11 and the stern sliders 113a, 113b are in the center of the hull 1 They are located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1)의 측부에 아웃리거(2)가 가깝게 붙어 포개진 상태에서 승선자가 아웃리거(2)를 펼치기 위해서 상기 구동기(122)의 구동 핸들(122-1)을 일방으로 회전시키면, 그 회전은 기어부(122-2)를 거쳐 상기 스크류 바(121)를 일방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스크류 바(121)의 회전으로 상기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는 서로 중앙에서 멀어지는 반대 방향(Su,Su')으로 이동되게 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에 연결된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114a,114b)의 일단은 상기 가이드 바(112)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114a,114b)는 가이드 바(112)에서 벌어지는 방향(Ru,Ru')으로 회전된다. 상기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114a,114b)가 상기 가이드 바(112)에서 벌어지는 방향(Ru,Ru')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아웃리거(2)는 선체(1)에서 멀어지면서 펼쳐지는 방향(U)으로 이동되게 된다. 상기 아웃리거(2)가 선체(1)에서 멀어져 충분히 펼쳐진 상태에 도달되면 상기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114a,114b)는 상기 구속부(115)에 걸려 더 이상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되지 않게 되면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리거(2)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가 유지된다.As shown in FIG. 8A, in the state in which the outrigger 2 is closely attached to the side of the hull 1, the passenger handles the driving handle 122-1 of the driver 122 in one direction in order to unfold the outrigger 2 in an overlapped state. When rotated, the rotation is to rotate the screw bar 121 in one direction through the gear portion 122-2. The rotation of the screw bar 121 causes the leading and stern sliders 113a and 113b to be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Su and Su ') away from the center of each other, and accordingly the leading and stern sliders 113a and 113b The leading and stern folding links 114a and 114b are moved along the guide bar 112 while the leading and stern folding links 114a and 114b are connected to the guide bar 112 in directions (Ru, Ru ') ). As the leading and stern folding links 114a and 114b are rotated in the direction (Ru, Ru ') that is spread out from the guide bar 112, the outrigger 2 is moved away from the hull 1 in the unfolding direction (U). Will be moved. When the outrigger 2 is far from the hull 1 and reaches a fully expanded state, the leading and stern folding links 114a and 114b are caught by the restraining portion 115 and are no longer rotated in any direction. As shown in the outrigger 2 is maintained in a fully unfolded state.

반대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1)의 측부에 아웃리거(2)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승선자가 아웃리거(2)를 접기 위해서 상기 구동기(122)의 구동 핸들(122-1)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 회전은 기어부(122-2)를 거쳐 상기 스크류 바(121)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스크류 바(121)의 회전으로 상기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는 서로 중앙으로 모아지는 반대 방향(Su,Su')으로 이동되게 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에 연결된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114a,114b)의 일단은 상기 가이드 바(112)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114a,114b)는 가이드 바(112)에 포개지는 방향(Rf,Rf')으로 회전된다. 상기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114a,114b)가 상기 가이드 바(112)로 모아지는 방향(Rf,Rf')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아웃리거(2)는 선체(1)로 가까워지면서 상기 선체(1)에 포개지는 방향(F)으로 이동되게 된다.On the contrary, as shown in FIG. 8B, in the state in which the outrigger 2 is fully extended on the side of the hull 1, the crew of the driver 122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order to fold the outrigger 2 in the opposite direction. When rotated, the rotation rotates the screw bar 121 in the opposite direction through the gear portion 122-2. The rotation of the screw bar 121 causes the leading and stern sliders 113a and 113b to move in opposite directions (Su and Su ') that are centrally collected from each other, and accordingly, the leading and stern sliders 113a and 113b. ) One end of the leading and stern folding links 114a and 114b is moved along the guide bar 112 while the leading and stern folding links 114a and 114b overlap the guide bar 112 in a direction Rf, Rf '). As the leading and stern folding links 114a and 114b are rotated in the directions Rf and Rf 'where the guide bars 112 are collected, the outrigger 2 approaches the hull 1 as it approaches the hull 1. The superimposition is moved in the direction (F).

한편, 상기 접철 구동 수단(12)은 도 3 내지 도 8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스크류 잭(SCfew Jack) 구동으로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를 왕복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와이어를 연결하여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를 이동시키는 접철 구동 수단(12')의 다른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로서 제시된 접철 구동 수단(12')은 승선자가 왕복으로 회전시켜 선두 및 선미 와이어(122a',122b')를 풀고 감을 수 있도록 구성된 권취 핸들(121')을 승선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위치에서 선체(1)의 측부에 설치하고, 상기 권취 핸들(121')의 양측으로 인출되어 상기 권취 핸들(121')에 감기고 풀리는 선두 및 선미 와이어(122a',122b') 각각의 가닥을 선체(1)의 선두측과 선미측에 구비된 선두 및 선미 와이어 지지 롤러(123a',123b')에 지지하여 방향을 전환시키고 각 가닥의 양쪽 말단 각각을 상기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에 연결하여 각 선두 및 선미 와이어(122a',122b')가 무한 궤도상으로 연결되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접철 구동 수단(12')은 상기 권취 핸들(121')을 승선자가 양방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선두 및 선미 와이어(122a',122b')는 상기 권취 핸들(121')에 감기고 풀리게 되고, 그 과정에서 상기 선두 및 선미 와이어(122a',122b') 각각이 상기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 각각을 양방으로 왕복이동 시킬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folding drive means 12 may be configured by a method of moving the head and stern sliders 113a and 113b reciprocally by driving a screw jack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3 to 8B. However, it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9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folding driving means 12 'that connects the wires to move the leading and stern sliders 113a and 113b. Referring to FIG. 9, the folding drive means 12 ′ proposed as another embodiment embarks a winding handle 121 ′ configured to allow the passenger to rotate and reciprocate to loosen and wind the leading and stern wires 122a ′ and 122b ′. The head and stern wires 122a 'and 122b' that ar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hull 1 at a position that can be held by the hand and are pulled to both sides of the winding handle 121 'and wound and unwound on the winding handle 121' ) Each strand is supported by leading and stern wire support rollers 123a 'and 123b' provided on the leading and stern sides of the hull 1 to change directions, and each of both ends of each strand is the leading and stern sliders. Connected to (113a, 113b), each leading and stern wire (122a ', 122b')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in a caterpillar. The folding drive means 12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winding handle 121' rotates in both directions, the head and stern wires 122a 'and 122b' are wound and unwound on the winding handle 121 '. , In the process, each of the leading and stern wires 122a 'and 122b' is capable of reciprocating each of the leading and stern sliders 113a and 113b in both directions.

또한,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를 이동시키는 접철 구동 수단은 와이어를 체인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체인을 이용하는 접철 구동 수단의 다른 예는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가 연결된 구동 체인을 도 9에 도시된 와이어와 마찬가지로 선체에 일주하게 무한궤도상으로 설치하고, 구동기가 상기 구동 체인을 잡아당겨 회전시키도록 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ldable driving means for moving the head and stern sliders 113a and 113b may be configured with a wire as a chain. That is, another example of the foldable drive means using a chain is to install the drive chain to which the leading and stern sliders are connected in a caterpillar like a wire shown in FIG. 9, and the driver pulls and rotates the drive chain. It can be configured to.

본 발명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20)는 카약 선체(1)의 하부에 장착된 프로펠러(3)를 회전시켜 카약 선체(1)를 전진 또는 후진으로 추진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10 내지 도 15b에는 본 발명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20)의 구조 및 작동이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The kayak propulsion device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propel the kayak hull 1 forward or backward by rotating the propeller 3 mounted under the kayak hull 1. 1 to 4 and 10 to 15b are shown in detail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kayak propulsion device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추진 장치(20)는 승선자가 좌석(5)에 앉은 상태에서 발로 페달을 밟아 구동시키도록 선체(1)의 바닥(1a)에 고정되고, 승선자가 발로 밟아 생성된 구동력을 선체(1)의 바닥(1a)의 아래에 장착된 프로펠러(3)로 전달시켜 프로펠러(3)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The propulsion device 20 is fixed to the bottom (1a) of the hull (1) so as to drive by pedaling with the foot while the passenger is seated in the seat (5), the passenger is the foot of the hull (1) It is configured to rotate the propeller 3 by transferring it to the propeller 3 mounted under the bottom 1a.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추진 장치(20)는 하우징(21), 프로펠러(3), 페달(22), 회전력 전달 수단(23) 및 페달 복귀 수단(24)이 구비되어 구성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propulsion device 20 is composed of a housing 21, a propeller 3, a pedal 22, a rotational force transmission means 23 and a pedal return means 24.

상기 하우징(21) 상기 추진 장치(20)를 선체(1)의 바닥(1a)에 고정되는 부분으로, 내부에는 상기 회전력 전달 수단(23)이 수용되어 보호되고, 그 회전력 전달 수단(23)의 입력 측에 연결된 페달(22)이 상기 하우징(21)의 상부에서 양측 외부로 돌출되게 장착되며, 상기 회전력 전달 수단(23)의 출력 측에 연결된 프로펠러(3)가 상기 하우징(21)의 하부에서 후방으로 노출되게 장착되도록 하는 케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housing 21 is a part of the propulsion device 20 fixed to the bottom 1a of the hull 1, and the rotational force transmission means 23 is received and protected therein, and the rotational force transmission means 23 The pedal 22 connected to the input side is mounted to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21 to the outside, and the propeller 3 connected to the output side of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ing means 23 is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21 It is a configuration for forming a case to be mounted to be exposed to the rear.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21)은 상부의 일부분은 상기 선체(1)의 바닥(1a) 상부에 위치되고, 하부의 일부분은 상기 선체(1)의 바닥(1a) 하부에 위치되게 상기 선체(1)의 바닥에 고정된다. 선체(1)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기 하우징(21)의 상부는 대략 사각 박스 형태의 기어 박스부(211)로 형성되고, 상기 기어 박스부(211)의 하부 중앙에서 하방으로 길게 기둥 형상으로 연장된 연결부(212)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211)의 하단에는 상기 선체(1)의 바닥(1a) 하부에 위치되는 프로펠러 지지부(213)가 전후방향의 원통체 형상으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하우징(21)은 중간의 연결부(212)의 상부에 하부에 기어 박스부(211)와 프로펠러 지지부(213)가 연결된 상태가 되게 상부의 기어 박스부(211), 하부의 프로펠러 지지부(212) 및 연결부(213)가 일체가 되게 형성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housing 21 is a part of the upper hull 1 is located above the bottom (1a) of the hull, the lower part of the hull 1 is located below the bottom (1a) of the hull It is fixed to the bottom of (1).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21 positioned on the upper part of the hull 1 is formed of a gear box part 211 of a substantially rectangular box shape, and extends downward in a column shape from the lower center of the gear box part 211. The connected portion 212 is formed, and at the bottom of the connecting portion 211, a propeller support portion 213 positioned below the bottom 1a of the hull 1 has a structur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housing 21 has an upper gear box portion 211 and a lower propeller support portion 212 such that the gear box portion 211 and the propeller support portion 213 are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ortion 212. And the connecting portion 213 is integrally formed.

상기와 같이 형성된 하우징(21)을 선체 바닥(1a)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선체(1)에는 바닥(1a)에 하우징 통과홀(1b)이 형성되고, 그 통과홀(1b)의 주위가 상방으로 연장된 지지단(1c)이 상방으로 돌출되어 그 입구로 물이 넘치지 않도록 입구가 수면 위에 위치되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단(1c)의 상단에는 상기 하우징(21)의 기어 박스부(211)가 걸쳐져 지지되어 상기 지지단(1c)의 상단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21)은 상기 기어 박스부(211)가 상기 지지단(1c)의 상단에 지지되어 상기 선체(1)의 바닥(1a)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프로펠러 지지부(213)는 상기 선체(1)의 바닥(1a)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연결부(212)가 상기 하우징 통과홀(1b)을 지나게 상기 선체(1)의 바닥(1a)에 고정된다.In order to fix the housing 21 formed as described above to the hull bottom 1a, a housing passage hole 1b is formed in the bottom 1a in the hull 1,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passage hole 1b is upward. The extended support end 1c protrudes upward and is formed so that the inlet is positioned on the water surface so that no water overflows into the inlet. The gear box part 211 of the housing 21 is supported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end 1c and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end 1c. Accordingly, the housing 21 is the gear box portion 211 is supported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end (1c) is located on the bottom (1a) of the hull (1), the propeller support (213)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bottom (1a) of the hull (1), the connecting portion 212 is fixed to the bottom (1a) of the hull (1) passing through the housing through hole (1b).

상기 페달(22)은 좌석(5)에 앉은 승선자가 발로 밟아 회전력을 상기 추진 장치(20)에 입력하기 위한 구성으로 통상 자전거의 페달과 같이 구성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페달(22)은 상기 선체(1)의 바닥(1a) 상부에 위치된 상기 하우징(21) 상부의 일부분, 즉 기어 박스부(211)의 양측으로 돌출되에 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페달(22)은 하술하는 방향 전환 기어부(231)의 기어축(231a)의 양단으로 연결되어 페달(22)의 회전은 상기 기어축(231a)의 회전으로 이어지게 된다.The pedal 22 is configured to input the rotational force to the propulsion device 20 by the passenger sitting on the seat 5, stepping on the foot, and is configured like a pedal of a bicycle.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pedal 22 is rotatable on a par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21 located above the bottom 1a of the hull 1, that is, protruding to both sides of the gear box portion 211 Is mounted. The pedal 22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gear shaft 231a of the direction changing gear unit 231 described below, so that the rotation of the pedal 22 continues to the rotation of the gear shaft 231a.

상기 프로펠러(3)는 수중에서 회전되어 물을 밀어내면서 반력에 의해 선체(1)에 추력을 가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프로펠러(3)는 상기 선체(1)의 바닥(1a) 하부에 위치된 상기 하우징(21) 하부의 일부분, 즉 프로펠러지 지지부(233)의 후미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선체(1)의 바닥(1a) 아래 수중에서 회전된다.The propeller (3) is configured to apply thrust to the hull (1) by the reaction force while rotating in the water while pushing the water.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propeller 3 is rotatably mounted on a part of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21 located at the bottom 1a of the hull 1, that is, a rear end of the propeller support 233. It is rotated underwater under the bottom 1a of (1).

상기 회전력 전달 수단(23)은 상기 페달(22)의 회전을 상기 프로펠러(3)로 전달하도록 기어 및 클러치 등이 조합되어 상기 하우징(21)의 내부에 구비된 구성이다. 상기 회전력 전달 수단(23)은 상기 페달(22)의 회전력을 입력받아 회전 방향을 전환하여 출력하는 방향 전환 기어부(231)와, 상기 방향 전환 기어부(231)의 출력을 상기 프로펠러로 전달하는 회전 전달부(232)가 구비되어 구성된다.The rotation force transmitting means 23 is a configuration provided inside the housing 21 by combining gears, clutches, and the like to transmit rotation of the pedal 22 to the propeller 3.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ing means 23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edal 22 and transfers the output of the direction changing gear part 231 for switching and outputting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the output of the direction changing gear part 231 to the propeller. The rotation transmission unit 232 is provided and configured.

상기 방향 전환 기어부(231)는 기어축(231a), 클러치 슬리브(231b), 한 쌍의 방향 전환 기어(231c,231c') 및 출력 기어(231d)가 구비되어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21)의 기어 박스부(211)의 내부에 수용된다.The direction change gear unit 231 is provided with a gear shaft 231a, a clutch sleeve 231b, a pair of direction change gears 231c, 231c 'and an output gear 231d, and the housing 21 It is accommodated inside the gear box portion 211 of the.

상기 기어축(231a)은 상기 페달(22)에 연결되어 페달(22)의 회전으로 회전력을 입력받는 축 부재이다. 상기 기어축(231a)은 페달(22)에 직접 연결될 수 있으나 도면에는 하술하는 페달 복귀 수단(24)을 구성하는 일방향 클러치(241)를 통해 페달(22)과 간접적으로 연결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기어축(231a)과 페달(22)을 매개하는 일방향 클러치(241)에 기어축(231a)이 연결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gear shaft 231a is a shaft member connected to the pedal 22 and receiving rotational force through rotation of the pedal 22. The gear shaft 231a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pedal 22, but the drawing shows an embodiment indirectly connected to the pedal 22 through the one-way clutch 241 constituting the pedal returning means 24 described below. In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 in which the gear shaft 231a is connected to the one-way clutch 241 that mediates the gear shaft 231a and the pedal 22.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기어축(231a)은 가공과 조립의 편의를 위해 외면에 스플라인이 형성된 코어축(231a-1)과, 상기 코어축(231a-1)이 삽입되어 스플라인 결합되는 통 형상의 스플라인 케이스(231a-2)로 구성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gear shaft 231a has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a splin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for convenience of processing and assembly, and a spline-coupled by inserting the core shaft 231a-1. It consists of a spline case (231a-2).

상기 코어축(231a-1)의 양측 단부는 상기 스플라인 케이스(231a-2)의 양측으로 노출되고 그 노출된 단부 부위는 상기 일방향 클러치(241)의 클러치 캠(241b)의 중앙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스플라인 결합되며, 그에따라 상기 일방향 클러치(241)를 통해 상기 페달(22)로부터 회전력이 상기 코어축(231a-1)으로 입력되게 된다.Both ends of the core shaft 231a-1 are exposed to both sides of the spline case 231a-2, and the exposed end portions are inserted into hole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lutch cam 241b of the one-way clutch 241. It is spline coupled, and accordingly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pedal 22 through the one-way clutch 241 is input to the core shaft 231a-1.

상기 스플라인 케이스(231a-2)는 상기 코어축(231a-1)에 스플라인 결합되어 상기 코어축(231a-1)과 일체로 회전된다. 상기 스플라인 케이스(231a-2)의 중앙 부위에는 상기 클러치 슬리브(231b)가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면서 스플라인 결합되기 위한 슬리브 스플라인부(231a-3)가 형성되고, 그 슬리브 스플라인부31a-3)의 양측 각각에는 상기 방향 전환 기어(231c,231c')가 미끄러지면서 회전이 가능하게 삽입되어 지지되는 기어 장착부(231a-4,231a-4')가 형성된다.The spline case 231a-2 is spline coupled to the core shaft 231a-1 and rotates integrally with the core shaft 231a-1. A sleeve spline portion 231a-3 for spline coupling while the clutch sleeve 231b is slidable in the axial direction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spline case 231a-2, and the sleeve spline portion 31a-3 )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gear shifting portions 231a-4 and 231a-4 'where the direction changing gears 231c and 231c' are slidably inserted and supported.

상기 클러치 슬리브(231b)는 상기 기어축(231a)의 회전을 상기 방향 전환 기어(231c,231c')로 전달하거나 단절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클러치 슬리브(231b)는 상기 기어축(231a)의 슬리브 스플라인부(231a-3)에 형성된 스플라인에 맞물려 상기 기어축(231a)과 일체로 회전되며, 또한 상기 기어축(231a)의 양측에 위치된 한 쌍의 방향 전환 기어(231c,231c')와 접촉되어 결합되고 떨어지도록 상기 기어축(231a)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클러치 슬리브(231b)에는 중앙 부위에 클러치 스틱(231e)의 말단이 회전방향으로는 미끄러지면서 축방향으로 걸리기 위한 스틱홈(231b-1)이 형성되고, 양측 말단부 측면에는 상기 방향 전환 기어(231c,231c')의 내측에 형성된 클러치부(231c-1)와 맞물리는 클러치 돌기(231b-2)가 형성된다.The clutch sleeve 231b is configured to transmit or disconnect rotation of the gear shaft 231a to the direction change gears 231c and 231c '.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lutch sleeve 231b is engaged with a spline formed in the sleeve spline portion 231a-3 of the gear shaft 231a and rotates integrally with the gear shaft 231a, and also the gear shaft 231a It is configured to sl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ear shaft 231a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and fall off in contact with a pair of direction changing gears 231c and 231c 'located on both sides of). Referring to the drawing, a stick groove 231b-1 is formed in the clutch sleeve 231b to be axially hung while the end of the clutch stick 231e slides in the rotational direction at the central portion, and the opposite direction is provided at the side surfaces of both ends. Clutch protrusions 231b-2 that are engaged with the clutch portions 231c-1 formed inside the switching gears 231c and 231c 'are form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클러치 슬리브(231b)는 승선자가 상기 클러치 스틱(231e)을 좌우로 조작함으로써 상기 기어축(231a)의 축방향으로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되고, 그 말단부 측면이 상기 방향 전환 기어(231c,231c')의 내측면에 접촉되면서 말단부 측면에 형성된 클러치 돌기(231b-2)가 상기 방향 전환 기어(231c,231c')의 클러치부(231c)와 맞물리게 된다.The clutch sleeve 231b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slidably moved from side to sid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gear shaft 231a by a rider operating the clutch stick 231e from side to side, and the distal end side thereof is the direction changing gear 231c , 231c '), the clutch protrusion 231b-2 formed on the side of the distal end is engaged with the clutch portion 231c of the direction changing gears 231c and 231c'.

상기 한 쌍의 방향 전환 기어(231c,231c')는 상기 클러치 슬리브(231b)의 양측에 배치되어 각각 상기 기어축(231a)의 기어 장착부(231a-4, 231a-4)에 삽입되어 미끄러지면서 상기 기어축(231a)와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게 상기 기어축(231a)의 양측 단부에 지지되게 장착된다.The pair of direction changing gears 231c and 231c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lutch sleeve 231b, respectively, and are inserted into the gear mounting portions 231a-4 and 231a-4 of the gear shaft 231a while sliding. It is mounted to be supported at both ends of the gear shaft 231a to enable relative rotation with the gear shaft 231a.

상기 한 쌍의 방향 전환 기어(231c,231c')의 내측면에는 상기 클러치 슬리브(231b)의 양측 말단부 측면이 접촉되는데, 그 접촉시 상기 클러치 슬리브(231b)의 클러치 돌기(231b-2)와 맞물리는 클러치부(231c-1)가 돌기 형상으로 형성된다.Both side ends of the clutch sleeve 231b ar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s of the pair of direction changing gears 231c and 231c ', and upon contact, the clutch protrusions 231b-2 of the clutch sleeve 231b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physical clutch portion 231c-1 is formed in a projection shape.

즉, 상기 한 쌍의 방향 전환 기어(231c,231c')는 각각의 내측에 상기 클러치 슬리브(231b)의 양측 말단부 측면에 형성된 클러치 돌기(231b-2)와 맞닿아 맞물리는 클러치부(231c-1)가 형성되고, 각각 상기 클러치 슬리브(231b)의 양측 각각에 위치되어 상기 기어축(231a)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상기 기어축(231a)의 양측 단부 각각에 지지된다.That is, the pair of direction change gears 231c and 231c 'includes a clutch portion 231c-1 that engages and engages the clutch protrusions 231b-2 formed on both side end portions of the clutch sleeve 231b on each inner side. ) Are formed, and are respectively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lutch sleeve 231b so as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gear shaft 231a and supported at each of both end portions of the gear shaft 231a.

상기 출력 기어(231d)는 상기 한 쌍의 방향 전환 기어(231c,231c')와 동시에 맞물리게 장착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방향 전환 기어(231c,231c')와 출력 기어(231d)는 베벨 기어로 형성되어 서로 직각을 이루게 배치되어 서로 맞물린 상태가 된다. 상기 출력기어(231d)에는 상기 회전 전달부(232)의 연결축(232a)의 상단이 결합되어 상기 출력 기어(231d)와 연결축(232a)은 일체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출력 기어(231d)는 한 쌍의 방향 전환 기어(231c,231c') 중 하나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연결축(232a)과 일체로 회전된다.The output gear 231d is simultaneously engaged with the pair of direction changing gears 231c and 231c '.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pair of direction change gears 231c and 231c 'and the output gear 231d are formed of bevel gears and arranged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output gear 231d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shaft 232a of the rotation transmission unit 232 so that the output gear 231d and the connection shaft 232a are integrally rotated. Accordingly, the output gear 231d receives rotational force from one of the pair of direction changing gears 231c and 231c 'and is integrally rotated with the connection shaft 232a.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방향 전환 기어부(231)는 페달(22)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입력되는 일방향 회전 방향을 바꾸어 상기 출력 기어(231d)를 회전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회전 전달부(232)를 통해 상기 출력 기어(231d)의 회전을 전달받는 프로펠러(3)의 회전 방향이 바꾸어 선체(1)를 전진시키거나 후진시킬 수 있게 된다.The direction change gear unit 23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hanges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input in one direction by rotating the pedal 22 in one direction, and rotates the output gear 231d, resulting in the output through the rotation transmission unit 232.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propeller 3 receiving the rotation of the gear 231d is changed, so that the hull 1 can be moved forward or backward.

도 14a 내지 도 14c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방향 전환 기어부(231)의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우선, 도 14a는 페달(22)의 회전이 상기 출력 기어(231d)로 전달되지 않는 중립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를 참조하면, 승선자가 클러치 스틱(231e)을 중앙의 위치로 조작하면 상기 클러치 슬리브(231b)는 기어축(231a)의 중앙의 위치에 위치되어 양측 말단부 측면 모두가 상기 방향 전환 기어(231c,231c')의 내측면과 떨어진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페달(22)의 회전으로 상기 기어축(231a)과 상기 클러치 슬리브(231b)가 회전되더라도 그 양측에 위치된 한 쌍의 방향 전환 기어(231c,231c')는 모두 회전되지 않고 정지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방향 전환 기어(231c,231c') 모두와 맞물린 출력 기어(231d)도 회전되지 않게 된다.14A to 14C conceptually illustrate the operation of the direction change gear unit 23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irst, FIG. 14A is a view showing a neutral state in which rotation of the pedal 22 is not transmitted to the output gear 231d. Referring to Figure 14a, when the passenger is operating the clutch stick (231e) to a central position, the clutch sleeve (231b) is located in the central position of the gear shaft (231a) both sides of the distal end side of the direction change gear (231c) , 231c '). Accordingly, even if the gear shaft 231a and the clutch sleeve 231b are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pedal 22, the pair of direction changing gears 231c and 231c 'located on both sides are not rotated but stopped. State. Therefore, the output gear 231d engaged with all of the pair of direction changing gears 231c and 231c 'is also not rotated.

다음으로 도 14b는 페달(22)의 회전이 상기 출력 기어(231d)를 정방향(Tf)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클러치 슬리브(231b)가 우측 방향 전환 기어(231c)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b를 참조하면, 승선자가 클러치 스틱(231e)을 좌측 방향(Af)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상기 클러치 스틱(231e)의 말단은 스틱홈(231b-1)에 걸리면서 상기 클러치 슬리브(231b)를 우측 방향(Bf)으로 밀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클러치 슬리브(231b)는 기어축(231a)의 우측 방향(Bf)으로 이동되면서 우측 말단부 측면이 우측에 위치된 방향 전환 기어(231c)의 내측면과 접촉되게 되고 결과적으로 클러치 슬리브(231b)의 우측 말단부 측면에 형성된 클러치 돌기(231b-2)가 우측에 위치된 방향 전환 기어(231c)의 클러치부(231c-1)와 맞물리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페달(22)의 회전은 상기 기어축(231a), 상기 클러치 슬리브(231b) 및 우측에 위치된 방향 전환 기어(231c)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우측에 위치된 방향 전환 기어(231c)와 맞물린 출력 기어(231d)는 정방향(Tf)으로 회전되게 된다.Next, FIG. 14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utch sleeve 231b is connected to the right direction switching gear 231c so that the rotation of the pedal 22 rotates the output gear 231d in the forward direction Tf. Referring to Figure 14b, when the passenger is operated in a direction to rotate the clutch stick (231e) in the left direction (Af), the end of the clutch stick (231e) is caught in the stick groove (231b-1) while the clutch sleeve (231b) Is pushed in the right direction (Bf). Accordingly, while the clutch sleeve 231b is moved in the right direction Bf of the gear shaft 231a, the right end end sid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direction changing gear 231c located on the right side, and as a result, the clutch sleeve 231b ), The clutch protrusion 231b-2 formed on the side of the right end portion is engaged with the clutch portion 231c-1 of the direction changing gear 231c located on the right side. Accordingly, the rotation of the pedal 22 rotates the gear shaft 231a, the clutch sleeve 231b, and a direction changing gear 231c located on the right side, and a direction changing gear 231c located on the right side. The output gear 231d engaged with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Tf.

반대로 도 14c는 페달(22)의 회전이 상기 출력 기어(231d)를 역방향(Tb)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클러치 슬리브(231b)가 좌측 방향 전환 기어(231c')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c를 참조하면, 승선자가 클러치 스틱(231e)을 우측 방향(Ab)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상기 클러치 스틱(231e)의 말단은 스틱홈(231b-1)에 걸리면서 상기 클러치 슬리브(231b)를 좌측 방향(Bb)으로 밀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클러치 슬리브(231b)는 기어축(231a)의 좌측 방향(Bb)으로 이동되면서 좌측 말단부 측면이 좌측에 위치된 방향 전환 기어(231c')의 내측면과 접촉되게 되고 결과적으로 클러치 슬리브(231b)의 좌측 말단부 측면에 형성된 클러치 돌기(231b-2)가 좌측에 위치된 방향 전환 기어(231c')의 클러치부(231c-1)와 맞물리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페달(22)의 회전은 상기 기어축(231a), 상기 클러치 슬리브(231b) 및 좌측에 위치된 방향 전환 기어(231c')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좌측에 위치된 방향 전환 기어(231c')와 맞물린 출력 기어(231d)는 역방향(Tb)으로 회전되게 된다.Conversely, FIG. 14C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utch sleeve 231b is connected to the left-hand shift gear 231c 'so that the rotation of the pedal 22 rotates the output gear 231d in the reverse direction Tb. Referring to Figure 14c, when the passenger is operated in a direction to rotate the clutch stick (231e) in the right direction (Ab), the end of the clutch stick (231e) is caught in the stick groove (231b-1) while the clutch sleeve (231b) ) In the left direction (Bb). Accordingly, while the clutch sleeve 231b is moved in the left direction Bb of the gear shaft 231a, the left end side surfac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direction changing gear 231c 'located on the left side, and as a result, the clutch sleeve ( The clutch protrusion 231b-2 formed on the side of the left end portion of 231b) is engaged with the clutch portion 231c-1 of the direction changing gear 231c 'located on the left side. Accordingly, the rotation of the pedal 22 rotates the gear shaft 231a, the clutch sleeve 231b, and the direction change gear 231c 'located on the left side, and the direction change gear 231c located on the left side. The output gear 231d engaged with ')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Tb.

상기 회전 전달부(232)는 연결축(232a) 및 전달 기어(232b)가 구비되어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21)의 연결부(212) 및 프로펠러 지지부(213)의 내부에 수용된다.The rotation transmission unit 232 is configured to be provided with a connecting shaft 232a and a transmission gear 232b, and is accommodated inside the connection portion 212 and the propeller support portion 213 of the housing 21.

상기 연결축(232a)은 상기 방향 전환 기어부(231)의 출력기어(231d)와 상기 전달 기어(232b)를 연결하는 축부재이다. 상기 연결축(232a)은 상단이 상기 방향 전환 기어부(231)의 출력기어(231d)와 연결되어 연직으로 세워져 상기 기어 박스부(211)에서 상기 프로펠러 지지부(213)로 이어지게 연장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축(232a)은 상기 하우징(21)의 연결부(212)를 지나 상기 기어 박스부(211)에서 상기 프로펠러 지지부(213)로 이어지게 세워져 베어링 등의 구성으로 상기 하우징(2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The connecting shaft 232a is an axial member connecting the output gear 231d of the direction changing gear unit 231 and the transmission gear 232b. The connecting shaft 232a has an upper end connected to the output gear 231d of the direction changing gear part 231 and vertically erected to extend from the gear box part 211 to the propeller support part 213.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onnection shaft 232a passes through the connection portion 212 of the housing 21 and extends from the gear box portion 211 to the propeller support portion 213, so that the housing 21 has a configuration such as a bearing. ) Is rotatably supported.

상기 전달 기어(232b)는 상기 연결축(232a)의 회전을 상기 프로펠러(3)의 회전축에 전달하도록 상기 연결축(232b)과 상기 프로펠러(3)의 회전축에 구비되어 서로 맞물린 한 쌍의 베벨 기어로 구성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전달 기어(232b)는 상기 프로펠러 지지부(213) 내부에 수용된다.The transmission gear 232b is provided on the rotation shaft of the connection shaft 232b and the propeller 3 to transmit rotation of the connection shaft 232a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propeller 3, and a pair of bevel gears meshed with each other It consists of.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transmission gear 232b is accommodated inside the propeller support portion 213.

상기 페달 복귀 수단(24)은 승선자가 한 쌍의 페달(22)을 밟는 힘만 가하면서 상기 기어축(231a)에 한 방향으로의 회전을 입력하기 위한 구성이다. 통상 페달(22)을 일회전 시키면 기어축(231a)은 페달의 일회전 방향으로 회전되지만 승선자가 좌석(5)에 앉은 상태에서 페달(22)을 양발로 일회전시키는 동작은 힘이 들고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페달 복귀 수단(24)에 의해 승선자가 한 쌍의 페달(22)을 교대로 앞으로 미는 방향으로 밟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승선자가 밟아 앞으로 회전된 페달(22)은 다시 복귀되어야 승선자가 다시 밟을 수 있는데, 상기 페달 복귀 수단(24)는 승선자가 밟아서 앞으로 회전된 페달(22)이 후방으로 복귀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pedal return means 24 is a configuration for inputting rotation in one direction to the gear shaft 231a while only a force for the passenger to step on the pair of pedals 22 is applied. Normally, when the pedal 22 is rotated once, the gear shaft 231a is rotat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pedal, but the operation of rotating the pedal 22 with both feet while the passenger is sitting in the seat 5 is difficult and difficul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by the pedal return means 24 to allow the passenger to step on the pair of pedals 22 alternately in the direction of pushing forward. At this time, the pedal 22 that the passenger has stepped on and rotated forward can be re-pressed again, so that the passenger can step on again, and the pedal returning means 24 is configured to return the pedal 22 rotated forward by the passenger stepping on the rear. .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페달 복귀 수단(24)은 한 쌍의 일방향 클러치(241,241'), 한 쌍의 드럼 기어(242,242') 및 중개 기어(243)가 구비되어 구성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pedal return means 24 is configured by a pair of one-way clutches 241 and 241 ', a pair of drum gears 242 and 242', and an intermediate gear 243.

상기 한 쌍의 일방향 클러치(241,241')는 승선자가 상기 페달(22)을 밟는 동작에 의해 앞으로 회전되는 회전력만 상기 기어축(231a)에 전달되고 상기 페달(22)가 후방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기어축(231a)으로의 연결이 단절되도록 하는 구성이다.The pair of one-way clutches 241 and 241 'are gears when only the rotational force rotated forward by the passenger's step on the pedal 22 is transmitted to the gear shaft 231a and the pedal 22 is rotated rearward. It is configured to disconnect the connection to the shaft 231a.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일방향 클러치(241,241')는 상기 페달(22)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상기 페달(22)의 회전 중심에서 상기 페달(22)에 연결된 클러치 드럼(241a)과, 상기 클러치 드럼(241a)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클러치 드럼(241a)과 캠기구에 의해 일방향으로만 회전이 연결되도록 상기 클러치 드럼(241a)과 맞물리거나 단절되는 클러치 캠(241b)이 구비되어 구성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one-way clutch 241, 241 'is a clutch drum 241a connected to the pedal 22 at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pedal 22 so as to rotate integrally with the pedal 22, and the clutch drum ( 241a), the clutch drum 241a is provided with a clutch cam 241b that is engaged with or disconnected from the clutch drum 241a so that rotation is only connected in one direction by the clutch drum 241a and a cam mechanism.

상기 클러치 캠(241b)에는 상기 기어축(231a)의 양측 말단부가 스플라인 결합되며, 그에 따라 상기 클러치 캠(241b)과 기어축(231a)은 일체로 회전된다.Both ends of the gear shaft 231a are spline coupled to the clutch cam 241b, so that the clutch cam 241b and the gear shaft 231a are integrally rotated.

상기 한 쌍의 드럼 기어(242,242') 및 중개 기어(243)는 우측(또는 좌측) 페달(22)의 전방으로의 회전시 좌측(또는 우측) 페달(22)을 후방으로 회전시켜 승선자가 밟을 수 있는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드럼 기어(242,242') 각각은 상기 한 쌍의 일방향 클러치(241,241') 각각의 클러치 드럼(241a)과 결합되어 상기 클러치 드럼(242a)과 일체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상기 페달(22)의 회전에 의해 클러치 드럼(241a) 및 드럼 기어(242,242')은 상기 페달(22)와 일체로 회전되게 된다. 상기 중개 기어(243)는 한 쌍의 드럼 기어(242,242')와 동시에 맞물리려 상기 일측 드럼 기어의 회전을 타측 드럼 기어의 회전으로 전달하는 구성이다. 도면에는 상기 한 쌍의 드럼 기어(242,242')와 중개 기어(243)은 베벨 기어로 형성되어 서로 직각으로 배치되어 연결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The pair of drum gears 242 and 242 'and the intermediate gear 243 rotate the left (or right) pedal 22 backward when the right (or left) pedal 22 rotates forward so that the passenger can step on it. It is a configuration for returning to a position. Referring to the drawings, each of the pair of drum gears 242 and 242 'is coupled to the clutch drum 241a of each of the pair of one-way clutches 241 and 241' to rotate integrally with the clutch drum 242a. Accordingly, the clutch drum 241a and the drum gears 242 and 242 'are rotated integrally with the pedal 22 by rotation of the pedal 22. The intermediate gear 243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rotation of the drum gear on one side to the rotation of the other drum gear by being engaged with the pair of drum gears 242 and 242 'simultaneously. In the drawing, the pair of drum gears 242 and 242 ′ and the intermediate gear 243 are formed of bevel gears and arranged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to show an exemplary embodiment.

상기와 같이 구성된 페달 복귀 수단(24)은 한 쌍의 페달(22)을 번갈아 밟는 동작만으로 상기 기어축(231a)을 한 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5a 및 도 15b는 상기 페달 복귀 수단(24)의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The pedal return means 24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continuously rotate the gear shaft 231a in one direction only by alternately stepping on the pair of pedals 22. 15A and 15B are diagrams conceptually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edal return means 24.

우선 도 15a에서와 같이 우측 페달(22)을 승선자가 밟아 전방(Cf1)으로 회전시키면 그에 따라 우측에 위치된 드럼 기어(242)도 전방(Cf2)으로 회전되게 되며, 그 회전은 우측에 위치된 일방향 클러치(241)의 연결에 의해 기어축(231a)을 전방(Cf3)로 회전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우측에 위치된 드럼 기어(241)에 맞물린 중개 기어(243)은 우회전 방향(Cf4)로 회전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중개 기어(243)의 좌측에 위치되어 상기 중개 기어(243)와 맞물린 드럼 기어(242')는 후방(Cf5)으로 회전된다. 상기 좌측에 위치된 드럼 기어(242')가 후방(Cf5)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좌측에 위치된 페달(22)도 후방(Cf6)으로 회전되면서 승선자가 다시 밟을 수 있는 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좌측에 위치된 드럼 기어(242')는 후방(Cf5)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좌측에 위치된 일방향 클러치(241')는 연결되지 않아 좌측에 위치된 드럼 기어(242')는 기어축(231a)의 회전과는 간섭되지 않고 자유롭게 회전되게 된다.First, as shown in FIG. 15A, when the passenger on the right pedal 22 rotates to the front (Cf1), the drum gear 242 located on the right is also rotated to the front (Cf2), and the rotation is located on the right. The gear shaft 231a is rotated forward (Cf3) by the connection of the one-way clutch 241. On the other hand, the intermediate gear 243 engaged with the drum gear 241 located on the right is rotated in the right rotation direction (Cf4) and consequently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intermediate gear 243, the drum engaged with the intermediate gear 243 The gear 242 'is rotated rearward (Cf5). Since the drum gear 242 'located on the left side is rotated to the rear (Cf5), the pedal 22 located on the left side is also rotated to the rear (Cf6) to return to a position where the passenger can step on again. At this time, the drum gear 242 'located on the left side is not connected to the one-way clutch 241' located on the left side in the process of being rotated to the rear (Cf5), so the drum gear 242 'located on the left side has a gear shaft ( It is free to rotate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rotation of 231a).

반대로 도 15b에서와 같이 좌측 페달(22)을 승선자가 밟아 전방(Cb1)으로 회전시키면 그에 따라 좌측에 위치된 드럼 기어(242')도 전방(Cb2)으로 회전되게 되며, 그 회전은 좌측에 위치된 일방향 클러치(241')의 연결에 의해 기어축(231a)을 전방(Cb3)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좌측에 위치된 드럼 기어(241')에 맞물린 중개 기어(243)은 좌회전 방향(Cb4)로 회전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중개 기어(243)의 d우측에 위치되어 상기 중개 기어(243)와 맞물린 드럼 기어(242)는 후방(Cb5)으로 회전된다. 상기 우측에 위치된 드럼 기어(242)가 후방(Cb5)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우측에 위치된 페달(22)도 후방(Cb6)으로 회전되면서 승선자가 다시 밟을 수 있는 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우측에 위치된 드럼 기어(242)는 후방(Cb5)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우측에 위치된 일방향 클러치(241)는 연결되지 않아 우측에 위치된 드럼 기어(242)는 기어축(231a)의 회전과는 간섭되지 않고 자유롭게 회전되게 된다.Conversely, as shown in FIG. 15B, when the passenger on the left pedal 22 rotates forward (Cb1), the drum gear 242 'located on the left side is also rotated forward (Cb2), and the rotation is located on the left side. The gear shaft 231a is rotated forward (Cb3) by the connection of the one-way clutch 241 '. On the other hand, the intermediate gear 243 engaged with the drum gear 241 'located on the left side is rotated in the left rotation direction Cb4 and consequently located on the d right side of the intermediate gear 243, and the intermediate gear 243 The engaged drum gear 242 is rotated rearward (Cb5). Since the drum gear 242 located on the right side is rotated to the rear (Cb5), the pedal 22 located on the right side is also rotated to the rear (Cb6) to return to the position where the passenger can step on again. At this time, the drum gear 242 located on the right side is not connected to the one-way clutch 241 located on the right side in the process of being rotated to the rear (Cb5), so the drum gear 242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gear shaft 231a It is free to rotate without interfering with rotation.

상기 조향 장치(30)는 카약 선체(1)의 후미에 장착된 방향키(4)를 좌우로 회전시켜 카약 선체(1)를 회전시켜 추진 방향을 조절하거나 바꾸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조향 장치(20)는 승선자가 좌석(5)에 앉은 상태에서 발이 무릎으로 방향키(4)의 회전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16 내지 도 21에는 상기 조향 장치(30)의 다양한 실시예의 구조 및 작동이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The steering device 30 is a configuration for adjusting or changing the propulsion direction by rotating the kayak hull 1 by rotating the direction key 4 mounted at the rear of the kayak hull 1 to the left and right, and the steering device 20 i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assenger is seated in the seat 5 and the foot is configured to adjust the rotation of the direction key 4 with the knee. 1 to 4 and FIGS. 16 to 21 show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steering device 30 in detail.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조향 장치(30)은 조타 드럼(31), 연결구(32), 방향키(4) 및 한 쌍의 케이블(33)이 구비되어 구성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teering device 30 is composed of a steering drum 31, a connector 32, an arrow key 4 and a pair of cables 33.

상기 조타 드럼(31)은 승선자가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선체(1)의 바닥(1a)의 상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장착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조타 드럼(31)은 승선자가 좌석(5)에 앉은 상태에서 발로 눌러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추진 장치(20)의 페달(22)과 좌석(5) 사이의 위치에서 선체(1)의 바닥(1a)의 상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회전 드럼(31)은 그 자체의 외주에 케이블(33)이 감기고 풀리면서 케이블(33)을 잡아 당김으로써 방향키(4)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뿐만 아니라 그 내부에 상기 케이블(33)을 일방으로 잡아 당기는 조타 슬라이더(333)가 장착될 수 있다. The steering drum 31 is rotatably supported and mounted on the top of the bottom 1a of the hull 1 so that the passenger can rotate left and right.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teering drum 31 is a hull (1) at a position between the pedal 22 and the seat 5 of the propulsion device 20 so that the passenger can press and rotate with his feet while sitting in the seat 5 ) Is rotatably mounted on the top of the bottom 1a. The rotating drum 31 is not only configured to rotate the direction key 4 by pulling the cable 33 while the cable 33 is wound and unwound on its outer periphery, but also the cable 33 therein. The steering slider 333 pulling in one direction may be mounted.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조타 드럼(31)은 하부의 베이스 드럼(311)과 그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 드럼(312)으로 구성되고, 그 내부에 조타 슬라이더(313)가 장착된 구조를 갖는다.Referring to the drawing, the steering drum 31 is composed of a lower base drum 311 and a cover drum 312 covering the upper portion thereof,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 steering slider 313 is mounted.

상기 베이스 드럼(311)은 하부 중심에 있는 지지축(331a)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선체 바닥(1a)에 지지된다. 상기 베이스 드럼(311)의 양쪽으로는 상기 한 쌍의 케이블(33)이 연결되는데, 상기 조타 드럼(31)의 회전으로 상기 케이블(33)이 이탈되지 않고 안착되어 감기도록 상기 베이스 드럼(311)의 외주면에는 케이블 권취홈(311b) 원주 방향으로 길게 패여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드럼(311)의 양측 각각에는 케이블 권취홈(311a)의 시작 위치에 상기 한 쌍의 케이블(33) 각각의 말단 부분이 삽입되어 통과되기 위한 케이블 통과홀(311c)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조타 드럼(31)의 내부에는 상기 조타 드럼(31)을 회전시키지 않고서 상기 케이블(33)을 잡아당길 수 있도록 좌우로 이동되는 조타 슬라이더(313)이 장착되는데, 상기 베이스 드럼(311)의 내부에는 상기 조타 슬라이더(313)의 좌우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홈(311d)이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The base drum 311 is supported on the hull bottom 1a to be rotatable about a support shaft 331a at the lower center. The pair of cables 33 ar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base drum 311, and the base drum 311 so that the cable 33 is seated and wound without being detached by rotation of the steering drum 31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ble winding groove (311b) is formed by being elongated in the circumference direction. Cable passage holes 311c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se drum 311 to insert and pass each end portion of the pair of cables 33 at the starting position of the cable winding groove 311a. On the other hand, inside the steering drum 31, the steering slider 313 is moved to the left and right so as to pull the cable 33 without rotating the steering drum 31 is mounted, the base drum 311 Inside the guide groove 311d for guiding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steering slider 313 is formed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커버 드럼(312)은 상기 베이스 드럼(311)의 상부를 커버하면서 상기 조타 드럼(31)의 내부에 장착된 조타 슬라이더(313)이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 더름(311)의 상부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상기 커버 드럼(311)의 상면에는 상기 조타 슬라이더(313)의 조타 레버(313b)가 통과되게 상하로 관통되고, 상기 조타 슬라이더(313)의 좌우 이동시 간섭되지 않고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가이드 슬롯(312a)이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 드럼(312)의 상부에는 조타 레버(313b)가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커버 드럼(312)의 상부로 수용되기 위한 레버 안착홈(312b)가 상기 가이드 슬롯(312a)의 중앙의 위치에서 전방으로 길게 패여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슬롯(312a)과 상기 레버 안착홈(312b)는 전체적으로 T자의 형상을 갖게 된다. The cover drum 312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dirt 311 so as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drum 311 and support the steering slider 313 mounted inside the steering drum 31 so as not to be separated. It is a configura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drum 311, the steering lever 313b of the steering slider 313 is penetrated up and down so as to pass, and a guide slot 312a is provided so as to slide without interference when mov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teering slider 313. It is formed lo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In addition, a lever seating groove 312b for receiving the upper portion of the cover drum 312 at the upper portion of the cover drum 312 does not protrude upward, and a steering lever 313b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guide slot 312a. It is formed by elongating forward from the position. The guide slot 312a and the lever seating groove 312b have a T-shape as a whole.

상기 조타 슬라이더(313)은 상기 조타 드럼(31)을 회전시키지 않고서도 조타 슬라이더(313)의 좌우 이동만으로 상기 케이블(33)을 잡아 당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조타 슬라이더(313)는 슬라이딩 블록(313a)과 조타 레버(313b)로 구성된다.The steering slider 313 is configured to allow the cable 33 to be pulled by only moving left and right of the steering slider 313 without rotating the steering drum 31.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teering slider 313 is composed of a sliding block 313a and a steering lever 313b.

상기 슬라이딩 블록(313a)은 상기 베이스 드럼(311)의 내부에 좌우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홈(311d)에 지지되어 그 가이드홈(311d)를 따라 좌우로 이동되는 구성이다. 상기 슬라이딩 블록(313a)의 양측 각각에는 상기 케이블 통과홀(311c)을 통과하여 상기 조타 드럼(31)의 내부로 삽입된 케이블(33) 각각의 말단이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딩 블록(313a)가 상기 가이드홈(311d)을 따라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슬라이딩 블록(313a)의 타측 방향의 위치에 연결된 케이블(33)은 잡아 당겨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방향키(4)가 회전되게 된다.The sliding block 313a is supported by a guide groove 311d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drum 311 and moved left and right along the guide groove 311d. Each end of each of the cables 33 inserted into the steering drum 31 through the cable passing hole 311c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liding block 313a. When the sliding block 313a is moved in one direction along the guide groove 311d, the cable 33 connected to the posi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sliding block 313a is pulled, and as a result, the direction key 4 Will rotate.

상기 조타 레버(313b)는 승선자가 상기 조타 슬라이더(313)를 좌우 일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조타 슬라이더(313)에 미는 힘을 가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블록(313a)에 연결되어 상기 커버 드럼(312)의 상부로 노출되는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조타 레버(313b)는 막대 형상의 부재로 형성되어, 전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그 하부 말단이 상기 슬라이딩 블록(313a)의 상부에 힌지 연결된다. 상기 슬라이딩 블록(313a)의 상부에 힌지 연결된 조타 레버(313b)는 상기 가이드 슬롯(312a)를 통과하여 상기 커버 드럼(312)의 상부로 노출되게 된다. 상기 조타 레버(312b)는 전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상기 슬라이딩 블록(313a)에 힌지 연결되어 있어, 전방으로 회전되어 눕혀져 상기 커버 드럼(312)의 상면에 형성된 레버 안착홈(312b)에 수용되어 안착된다. 승선자는 상기 조타 슬라이더(313)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조타 레버(313b)를 눕혀 상기 레버 안착홈(312b)에 안착시키고, 상기 조타 슬라이더(313)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타 레버(313b)를 연직으로 세우게 된다. 상기 조타 레버(313b)가 세워진 상태에서 승선자는 손이나 무릎 또는 발로 상기 조타 레버(313b)를 좌우로 밀어 상기 조타 슬라이더(313)을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방향키(4)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The steering lever 313b is connected to the sliding block 313a to apply a pushing force to the steering slider 313 in order for the passenger to move the steering slider 313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ver drum 312 It is a configuration exposed to the top.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teering lever 313b is formed of a rod-shaped member, and its lower end is hing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liding block 313a so that it can rotate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steering lever 313b hing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liding block 313a passes through the guide slot 312a and is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ver drum 312. The steering lever 312b is hinged to the sliding block 313a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is rotated forward to lie down and accommodated in a lever seating groove 312b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ver drum 312. To settle down. When the passenger does not use the steering slider 313, the steering lever 313b is laid down and seated in the lever seating groove 312b, and when the steering slider 313 is to be used, the steering lever 313b Will be set up vertically. In the state in which the steering lever 313b is erected, the passenger can rotate the steering key 4 by moving the steering slider 313 from side to side by pushing the steering lever 313b from side to side with hands, knees, or feet.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승선자는 상기 조타 드럼(31)을 발로 밟아 회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조타 슬라이더(313)을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조타 레버(313b)를 손으로 잡고 상기 조타 드럼(31)을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조타 레버(313b)는 상기 조타 드럼(31)의 회전 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passenger can not only rotate the pedal by stepping on the steering drum 31, but also hold the steering lever 313b for moving the steering slider 313 left and right by hand, and the steering drum 31 It can be configured to rotate left and right. To this end, the steering lever 313b is preferably located at an eccentric position in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teering drum (31).

상기 연결구(32)는 상기 방향기(4)를 회전시킬 수 있는 위치에 한 쌍의 케이블(33)이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구(32)는 상기 방향키(4)의 회전 중심에서 좌우로 편심된 위치로 연장된 부분을 갖고 상기 방향키(4)와 일체로 회전되게 상기 방향키(4)에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방향키(4)의 회전 중심에서 좌우로 편심된 위치로 연장된 부분에는 한 쌍의 케이블(33) 각각의 말단이 연결된다.The connector 32 is configured to allow a pair of cables 33 to be connected to a position capable of rotating the rudder 4. Referring to the drawing, the connector 32 has a structure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direction key 4 to an eccentric position to the left and right and connected to the direction key 4 so as to rotate integrally with the direction key 4 Have The ends of each of the pair of cables 33 are connected to a portion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direction key 4 to an eccentric position from side to side.

상기 한 쌍의 케이블(33)은 상기 조타 드럼(31)의 좌우 회전이나 상기 조타 슬라이더(313)의 좌우 이동으로 잡아 당겨지는 힘을 상기 연결구(32)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케이블(33)은 각각 상기 조타 드럼(31)의 외주에 감기게 각각의 일단이 상기 조타 드럼(31)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케이블(33)은 각각 상기 조타 드럼(31)의 좌우 측부에서 상기 방향키(4) 방향으로 연장되어 각각의 타측 말단이 상기 연결구(32)의 좌우 양측에 편심된 위치에 연결된다.The pair of cables 33 are configured to transmit the force pulled by the left and right rotation of the steering drum 31 or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steering slider 313 to the connector 32.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pair of cables 33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teering drum 31 so that each end is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steering drum 31. In addition, each of the pair of cables 33 extends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teering drum 31 in the direction of the direction key 4 so that each other end is connected to an eccentric position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nnector 32. do.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케이블(33) 각각은 상기 베이스 드럼(311)의 양측에 형성된 케이블 통과홀(311c)로 삽입되어 그 말단이 상기 조타 드럼(31)의 내부에 장착된 조타 슬라이더(313)의 양측 각각에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케이블(33)은 상기 조타 드럼(31)의 폭방향 양측 각각에 형성된 케이블 통과홀(311c)에 지지되어 일단이 상기 조타 슬라이더(313)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케이블 통과홀(311c)은 케이블(33)이 지지되는 '케이블 지지부'의 기능을 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pair of cables 33 is inserted into a cable passing hole 311c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se drum 311, and the end thereof is mounted inside the steering drum 31. It has a structure connected to each of both sides of the slider 313. That is, the cable 33 is supported by cable passing holes 311c form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eering drum 31, and one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steering slider 313. At this time, the cable passing hole 311c functions as a 'cable support' where the cable 33 is support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조향 장치(30)는 상기 조타 드럼(31)을 좌우로 회전시키거나 조타 슬라이더(313)을 좌우로 이동시켜 방향키(4)를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The steering device 3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rotate the steering drum 31 from side to side or move the steering slider 313 from side to side to rotate the direction key 4 from side to side.

도 18a 내지 도 18c는 상기 조타 드럼(31)의 좌우 회전으로 방향키(4)가 회전되는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18A to 18C conceptually illustrate an operation in which the direction key 4 is rotated by left and right rotation of the steering drum 31.

도 18a는 조타 드럼(31)이 좌우로 회전되지 않고 중립 위치에 위치되어 방향키(4)가 중립의 위치에서 정지되어 선체가 직진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FIG. 18A shows a state in which the steering drum 31 is not rotated to the left and right, but is positioned at a neutral position, and the direction key 4 is stopped at a neutral position to move the hull straight.

다음으로 도 18b는 승선자가 조타 드럼(31)을 좌측 방향(Df1)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선체가 우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b를 참조하면, 승선자가 조타 드럼(31)을 좌측 방향(Df1)으로 회전시키면 한 쌍의 케이블(33) 중 우측에 위치된 케이블이 상기 조타 드럼(31)에 감기면서 전방(Df2)으로 잡아 당겨지게 되고 그에 따라 우측에 위치된 케이블이 상기 연결구(32)를 잡아 당겨 좌측 방향(Df3)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방향키(4)도 좌측 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Next, FIG. 18B shows a state in which the hull is rotated to the right by turning the steering drum 31 in the left direction Df1. Referring to FIG. 18B, when the passenger turns the steering drum 31 in the left direction Df1, the cable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f the pair of cables 33 is wound around the steering drum 31 and moves forward (Df2). As the cable is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the direction key 4 is also rotated in the left direction by pulling the connector 32 and rotating it in the left direction Df3.

반대로 도 18c는 승선자가 조타 드럼(31)을 우측 방향(Db1)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선체가 좌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c를 참조하면, 승선자가 조타 드럼(31)을 우측 방향(Db1)으로 회전시키면 한 쌍의 케이블(33) 중 좌측에 위치된 케이블이 상기 조타 드럼(31)에 감기면서 전방(Db2)으로 잡아 당겨지게 되고 그에 따라 좌측에 위치된 케이블이 상기 연결구(32)를 잡아 당겨 우측 방향(Db3)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방향키(4)도 우측 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Conversely, FIG. 18C shows a state in which the hull is rotated left by the rider turning the steering drum 31 in the right direction Db1. Referring to FIG. 18C, when the passenger turns the steering drum 31 in the right direction Db1, the cable positioned on the left side of the pair of cables 33 is wound around the steering drum 31 and moves forward (Db2). It is pulled and the cable located on the left side pulls the connector 32 and rotates it in the right direction Db3, so that the direction key 4 is also rotated in the right direction.

한편, 도 19a 내지 도 19c는 상기 조타 드럼(31)을 회전시키지 않고 조타 슬라이더(313)의 좌우 방향 이동으로 방향키(4)가 회전되는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Meanwhile, FIGS. 19A to 19C conceptually illustrate an operation in which the direction key 4 is rotated by moving the steering slider 313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out rotating the steering drum 31.

도 19a는 조타 슬라이더(313)이 좌우로 이동되지 않고 중립 위치에 위치되어 방향키(4)가 중립의 위치에서 정지되어 선체가 직진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19A shows a state in which the steering slider 313 is not moved left and right, but is positioned at a neutral position, so that the direction key 4 is stopped at a neutral position and the hull is straight.

다음으로 도 19b는 승선자가 조타 슬라이더(313)를 좌측 방향(Ef1)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선체가 우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b를 참조하면, 승선자가 조타 슬라이더(313)을 좌측 방향(Ef1)으로 이동시키면 한 쌍의 케이블(33) 중 우측에 위치된 케이블이 전방(Ef2)으로 잡아 당겨지게 되고 그에 따라 우측에 위치된 케이블이 상기 연결구(32)를 잡아 당겨 좌측 방향(Ef3)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방향키(4)도 좌측 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Next, FIG. 19B shows a state in which the ship hull is rotated right by moving the steering slider 313 in the left direction Ef1. Referring to FIG. 19B, when the passenger moves the steering slider 313 in the left direction Ef1, the cable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f the pair of cables 33 is pulled toward the front Ef2 and accordingly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By pulling the connector 32 and rotating it in the left direction Ef3, the direction key 4 is also rotated in the left direction.

반대로 도 19c는 승선자가 조타 슬라이더(313)를 우측 방향(Eb1)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선체가 좌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c를 참조하면, 승선자가 조타 슬라이더(313)을 우측 방향(Eb1)으로 이동시키면 한 쌍의 케이블(33) 중 좌측에 위치된 케이블이 전방(Eb2)으로 잡아 당겨지게 되고 그에 따라 좌측에 위치된 케이블이 상기 연결구(32)를 잡아 당겨 우측 방향(Eb3)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방향키(4)도 우측 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Conversely, FIG. 19C shows a state in which the ship hull is rotated left by moving the steering slider 313 in the right direction Eb1. Referring to FIG. 19C, when the passenger moves the steering slider 313 in the right direction (Eb1), the cable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pair of cables 33 is pulled toward the front (Eb2) and accordingly positioned on the left side. When the cable is pulled, the connector 32 is pulled and rotated in the right direction Eb3, so that the direction key 4 is also rotated in the right direction.

한편, 상기된 실시예서는 조타 레버를 승선자가 좌우로 잡아 당겨 상기 조타 슬라이더(313)를 좌우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이 설명되었는데, 상기 조타 슬라이더(313)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타 레버를 지렛대의 지지점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구성하고 그 조타 레버를 지렛대와 같이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조타 슬라이더(313)을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0에서 (a)는 조타 레버가 연직으로 세워진 상태로서 조타 슬라이더(313)가 중립의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b)는 조타 레버를 좌측(Gf1)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조타 슬라이더(313)가 우측(Gf2)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c)는 조타 레버를 우측(Gb1)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조타 슬라이더(313)가 좌측(Gb2)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rider is configured to move the steering slider 313 from side to side by pulling the steering lever from side to side, the steering slider 313 as shown in FIG. It can be configured to rotate around the support point of the lever and rotate the steering lever like a lever to move the steering slider 313 from side to side. In FIG. 20,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steering slider 313 is in a neutral position as the steering lever is erected vertically, and (b) shows the steering slider (B) by rotating the steering lever to the left (Gf1) direction. 313) shows a state in which the right side (Gf2) is moved, and (c) shows a state in which the steering slider 313 is moved to the left side (Gb2) by rotating the steering lever in the right (Gb1) direction.

상기와 같은 조향 장치에 의해 방향키가 선체(1)의 후미에만 구비된 카약의 방향을 조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강물과 같이 역류나 순류를 주행하는 경우에도 조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도 21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향 장치는 선체(1)의 후미 및 선두 각각에 방향키(4,4')를 장착하고, 하나의 조타 드럼(31)으로 후미 및 선두 방향키(4,4') 모두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teering key may be configured to steer the direction of the kayak provided only at the rear end of the hull 1 by the steer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but FIG. 21 is shown so that steering can be smoothly performed even when driving in reverse or forward flow like a river. As described above, the steering device is equipped with direction keys (4,4 ') at each of the aft and the head of the hull (1), and can rotate both the aft and the head of the head (4,4') with one steering drum (31). It can be configured to.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카약 추진 장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 kayak propulsion device described above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is only one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and the improved and modifi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will be said that it belongs to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선체
1a 선체 바닥
1b 하우징 통과홀
1c 지지단
2 아웃리거
2-1 힌지부
3 프로펠러
4 방향키
5 좌석
10 아웃리거 접이 장치
11 접철 수단
111a,111b 선두 및 선미 부착구
112 가이드 바
113a,113b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
113-1 슬라이딩 홀
113-2 스크류 홀
113-3 힌지부
114a,114b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
114-1,114-2 힌지축
115 구속부(스토핑 돌기)
12 접철 구동 수단
121 스크류 바
121-1,121-2 수나사
122 구동기
122-1 구동 핸들
122-2 기어부
123 벨트 풀리
124 벨트
20 추진 장치
21 하우징
211 기어 박스부
212 연결부
213 프로펠러 지지부
22 페달
23 회전력 전달 수단
231 방향 전환 기어부
231a 기어축
231a-1 코어축
231a-2 스플라인 케이스
231a-3 슬리브 스플라인부
231a-4, 231a-4’ 기어 장착부
231b 클러치 슬리브
231b-1 스틱홈
231b-2 클러치 돌기
231c,231c' 방향 전환 기어
231c-1 클러치부
231d 출력 기어
231e 클러치 스틱
232 회전 전달부
232a 연결축
232b 전달기어
24 페달 복귀 수단
241,241’ 일방향 클러치
241a 클러치 드럼
241b 클러치 캠
242,242’ 드럼 기어
243 중개 기어
30 조향 장치
31 조타 드럼
311 베이스 드럼
311a 지지축
311b 케이블 권취홈
311c 케이블 통과홀
311d 가이드홈
312 커버 드럼
312a 가이드 슬롯
312b 레버 안착홈
313 조타 슬라이더
313a 슬라이딩 블록
313b 조타 레버
32 연결구
33 케이블
1 hull
1a hull bottom
1b housing through hole
1c support
2 Outrigger
2-1 hinge
3 propeller
4-way key
5 seats
10 Outrigger folding device
11 Folding means
111a, 111b leading and stern attachments
112 guide bar
113a, 113b leading and stern sliders
113-1 sliding hole
113-2 screw hole
113-3 hinge
114a, 114b Leading and stern folding links
114-1,114-2 hinge shaft
115 Restraint (stopping protrusion)
12 Folding drive means
121 screw bar
121-1,121-2 male thread
122 actuator
122-1 drive handle
122-2 gear section
123 belt pulley
124 belt
20 propulsion devices
21 housing
211 gear box section
212 connections
213 propeller support
22 pedals
23 Means of transmitting torque
231 direction change gear
231a gear shaft
231a-1 core shaft
231a-2 spline case
231a-3 sleeve spline section
231a-4, 231a-4 'gear mount
231b clutch sleeve
231b-1 Stick Groove
231b-2 clutch projection
231c, 231c 'directional shift gear
231c-1 clutch
231d output gear
231e clutch stick
232 rotation transmission
232a connecting shaft
232b transmission gear
24 pedal return means
241,241 'one-way clutch
241a clutch drum
241b clutch cam
242,242 'drum gear
243 intermediate gear
30 Steering system
31 steering drum
311 bass drum
311a support shaft
311b cable winding groove
311c cable through hole
311d guide home
312 cover drum
312a guide slot
312b Lever seating groove
313 steering slider
313a sliding block
313b steering lever
32 connector
33 cables

Claims (5)

선체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추진시키기 위한 카약 추진 장치에 있어서,
상부의 일부분은 상기 선체의 바닥 상부에 위치되고 하부의 일부분은 상기 선체의 바닥 하부에 위치되게 상기 선체의 바닥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선체의 바닥 하부에 위치된 상기 하우징 하부의 일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선체의 바닥 아래에서 회전되는 프로펠러와,
상기 선체의 바닥 상부에 위치된 상기 하우징 상부의 일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승선자가 발로 밟아 회전시키는 페달과,
상기 페달의 회전을 상기 프로펠러로 전달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회전력 전달 수단이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약 추진 장치.
In the kayak propulsion device for propulsion of the hull forward or rear,
A housing fixed to the bottom of the hull such that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hull and a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bottom of the hull;
A propeller rotatably mounted to a part of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hull and rotating under the bottom of the hull;
A pedal that is rotatably mounted on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hull and rotates by a rider on foot;
Kayak propul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al force transmission means provided in the housing is provided to transmit the rotation of the pedal to the propell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부의 기어 박스부와, 하부의 프로펠러 지지부와, 상기 기어 박스부와 프로펠러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구비되어 구성되고,
선체에는 바닥에 하우징 통과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기어 박스부가 상기 선체의 바닥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프로펠러 지지부는 상기 선체의 바닥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연결부가 상기 하우징 통과홀을 지나게 상기 선체의 바닥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약 추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is composed of an upper gear box portion, a lower propeller support portion,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gear box portion and the propeller support portion,
A housing passage hole is formed in the bottom of the hull,
The housin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ear box portion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hull, the propeller support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hull, and the connection part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hull through the housing through hole. Kayak propulsion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 전달 수단은, 상기 페달의 회전력을 입력받아 회전 방향을 전환하여 출력하는 방향 전환 기어부와,
상기 방향 전환 기어부의 출력을 상기 프로펠러로 전달하는 회전 전달부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약 추진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ing means includes a direction changing gear unit that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edal and converts and outputs a rotational direction,
Kayak propul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rotation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output of the direction change gear to the propell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전달부는 상기 방향 전환 기어부의 출력 기어와 연결되어 연직으로 세워진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의 회전을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축에 전달하도록 상기 연결축과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축에 구비되어 서로 맞물린 전달 기어가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방향 전환 기어부는 기어 박스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연결축은 상기 기어 박스부에서 상기 프로펠러 지지부로 이어지게 연장되고,
상기 연결축과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축에 구비되어 서로 맞물린 전달 기어는 상기 프로펠러 지지부 내부에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약 추진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rotation transmission unit is connected to the output gear of the direction change gear portion and a vertically connected connecting shaft,
The transmission shaft is provided on the rotation shaft of the connection shaft and the propeller so as to transmit rotation of the connection shaft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propeller.
The direction change gear portion is accommodated inside the gear box portion,
The connecting shaft extends from the gear box portion to the propeller support portion,
Kayak propul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connection shaft and the rotating shaft of the propeller and the transmission gear engaged with each other is accommodated inside the propeller support.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전환 기어부는, 중앙 부분에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상기 페달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기어축과,
상기 기어축의 스플라인에 맞물려 상기 기어축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클러치 슬리브와,
각각의 내측에 상기 클러치 슬리브의 양측 말단부와 맞닿아 맞물리는 클러치부가 형성되고, 각각 상기 클러치 슬리브의 양측 각각에 위치되어 상기 기어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상기 기어축의 양측 단부 각각에 지지된 한 쌍의 방향 전환 기어와,
상기 연결축과 일체로 회전되게 상기 연결축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방향 전환 기어와 동시에 맞물리는 출력 기어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약 추진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or 4,
The direction change gear portion, a spline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gear shaft is rotated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edal,
A clutch sleeve engaged with the spline of the gear shaft and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ear shaft;
A clutch part is formed on each inner side to be engaged with both ends of the clutch sleeve, and is respectively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lutch sleeve and supported at each of both ends of the gear shaft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gear shaft. A pair of turn gears,
Kayak propulsion device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shaft to rotate integrally with the connection shaft is provided with an output gear that is engaged with the pair of direction change gear at the same time.
KR1020180145806A 2018-11-22 2018-11-22 Device for propelling kayak KR1021236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806A KR102123652B1 (en) 2018-11-22 2018-11-22 Device for propelling kaya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806A KR102123652B1 (en) 2018-11-22 2018-11-22 Device for propelling kaya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162A true KR20200060162A (en) 2020-05-29
KR102123652B1 KR102123652B1 (en) 2020-06-26

Family

ID=70912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806A KR102123652B1 (en) 2018-11-22 2018-11-22 Device for propelling kaya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3652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7687A (en) * 2002-02-20 2003-08-27 Yamaha Motor Co Ltd Outrigger structure for small marine vessel
KR20080020709A (en) * 2006-08-17 2008-03-06 강용중 Power train using leverless boat as lever
KR20170104856A (en) 2016-03-08 2017-09-18 주식회사 태은 Nothin power Water-JetPropeller Kayak
KR101801636B1 (en) * 2016-08-04 2017-11-27 조민수 Thrusting device for boat and boat comprising the same
US20180001986A1 (en) * 2016-06-30 2018-01-04 Confluence Outdoor, Llc Propulsion system for a watercraft
KR20180001004U (en) 2018-03-22 2018-04-11 이정석 Kayak with motor propulsio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7687A (en) * 2002-02-20 2003-08-27 Yamaha Motor Co Ltd Outrigger structure for small marine vessel
KR20080020709A (en) * 2006-08-17 2008-03-06 강용중 Power train using leverless boat as lever
KR20170104856A (en) 2016-03-08 2017-09-18 주식회사 태은 Nothin power Water-JetPropeller Kayak
US20180001986A1 (en) * 2016-06-30 2018-01-04 Confluence Outdoor, Llc Propulsion system for a watercraft
KR101801636B1 (en) * 2016-08-04 2017-11-27 조민수 Thrusting device for boat and boat comprising the same
KR20180001004U (en) 2018-03-22 2018-04-11 이정석 Kayak with motor propul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3652B1 (en) 2020-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60161A (en) Device for folding outrigger of kayak
EP2396220B1 (en) Remote drive
US6607207B2 (en) Wheeled personal mobility devices with collapsible wheel axle assemblies and integrated steering and propulsion linkages
CN107249979A (en) Water cycle
US7568444B2 (en) Folding kayak
DE3334482A1 (en) FOLDING UP OR LEGABLE PADDLE BOAT
DE102015115895B4 (en) Wassergleitfahrzeug
US9428255B2 (en) Flexible propeller and uses for small vessels
JPWO2003002408A1 (en) Steering gear
KR102123652B1 (en) Device for propelling kayak
US10259553B2 (en) Propulsion device for watercraft
CN101586643A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KR20200060163A (en) Device for steering kayak
CN101559278A (en) Combined swimming device
KR102123654B1 (en) Device for propelling kayak
WO2010091485A2 (en) Portable boat
WO2008087044A1 (en) Watercraft propelled by muscle power
DE102015115893B4 (en) Transportable water planing vehicle
DE4031336C2 (en)
US6708996B1 (en) Manpower-driven cycle with rower mechanism
CN201441786U (en) Combined swimming device
KR200392490Y1 (en) A steering apparatus of anxiliary engine for fishing of boat
KR101327532B1 (en) Watercycle of left and right promoted with propelling pin
KR102642101B1 (en) Non-power boat
KR20120083657A (en) Propulsion unit using on the water and under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