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9803A - Signal processing method for device-to-device data transmission system - Google Patents

Signal processing method for device-to-device data transmiss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9803A
KR20200059803A KR1020180144973A KR20180144973A KR20200059803A KR 20200059803 A KR20200059803 A KR 20200059803A KR 1020180144973 A KR1020180144973 A KR 1020180144973A KR 20180144973 A KR20180144973 A KR 20180144973A KR 20200059803 A KR20200059803 A KR 20200059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terminal
transmitting
receiving
data transmiss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49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우종현
Original Assignee
(주)이스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스톰 filed Critical (주)이스톰
Priority to KR1020180144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9803A/en
Publication of KR20200059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80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Provided is a signal processing method for an end-to-end data transmission system. As a signal processing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signal sensitivity, the method includes: a step (a) in which a service operation server registers basic information for sensitivity confirmation for confirming the basic output intensity of a short-range wireless signal through a transmission-side wireless terminal and an identification value of the transmission-side wireless terminal delivered from a transmission-side agent; a step (b) in which as the short-range wireless signal is received from the transmission-side agent, a reception-side agent requests the basic information for sensitivity confirmation of the transmission-side wireless terminal by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value of the transmission-side wireless terminal to the service operation server; and a step (c) in which the reception-side agent determines whether the reception intensity of the short-range wireless signal currently received after being outputted from the transmission-side wireless terminal reaches a target reception intensity at a moment when a range between the transmission-side wireless terminal and the reception-side wireless terminal is within a predesignated approval range required for a normal data transmission procedure carried out by the data transmission system. Therefore, the method is capable of continuously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a received signal on a reception-side wireless terminal regardless of the output intensity of a short-range wireless signal of a transmission-side wireless terminal.

Description

단말 간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의 신호 처리 방법{SIGNAL PROCESSING METHOD FOR DEVICE-TO-DEVICE DATA TRANSMISSION SYSTEM}Signal processing method in a data transmission system between terminals {SIGNAL PROCESSING METHOD FOR DEVICE-TO-DEVICE DATA TRANSMISS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단말 간(예를 들어, 스마트폰 간, 결제 단말과 스마트폰 간 등)의 지불 시스템 등과 같은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서, 무선 단말에서 출력되는 근거리 무선 주파수 신호의 출력 세기와 관계없이 근접 거리에 따라 근거리 무선 주파수 신호의 감도를 일정하게 조절하거나 또는 근접 거리 센싱을 위해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constructing a data transmission system such as a payment system between wireless terminals (for example, between smartphones, between a payment terminal and a smartphone, etc.), the output strength of the short-range radio frequency signal output from the wireless terminal i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stantly adjusting the sensitivity of a short-range radio frequency signal according to the proximity distance or processing the signal for proximity distance sensing.

스마트폰을 이용한 결제 시스템 사용하는 방법으로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나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와 같은 근거리 무선 주파수 기술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결제 단말기에 가까이 대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스마트폰 대 스마트폰 간의 결제에 있어서는 아직까지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QR 코드를 센싱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다.As a method of using a payment system using a smartphone, a method in which a smartphone is brought close to a payment terminal using a short-range radio frequency technology such as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or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MST) is mainly used. As for payment between smartphones, a method of sensing a QR code using a smartphone camera has been mainly used.

그러나 이미지 기반의 데이터 전송방식인 QR 코드 결제 방식은 스마트폰에 악성코드를 삽입하여 정상 QR 코드 위에 악성 QR 코드가 올라오도록 하여 결제를 가로채는 공격에 취약하다. 이러한 취약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비콘을 이용한 단말 간 결제 방법이 논의되고 있으나, 종래 선행 기술들은 단순하게 비콘을 이용한 지불 방식만 명기되어 있을뿐 폰 대 폰 간의 비콘 감도를 조절하는데 있어서 표준화된 품질을 유지할 수 없었다.However, the QR code payment method, which is an image-based data transmission method, is vulnerable to an attack that intercepts payment by inserting malicious code into the smartphone to cause the malicious QR code to rise on top of the normal QR code. In order to improve this vulnerability, a payment method between terminals using beacons has been discussed, but conventional prior arts simply specify a payment method using a beacon, and can maintain a standardized quality in adjusting the beacon sensitivity between phones and phones. There was not.

이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비콘 신호의 출력이 쎈 모바일 단말기에서 비콘을 송출하는 경우 비콘 신호가 작게 출력된 모바일 단말기에 비하여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에서 수신되는 신호 감도가 상대적으로 커지기 때문에, 폰을 가까이 대지 않아도 출력 세기가 크게 인식되어 결제가 체결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output of the beac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beacon signal is transmitted, the sensitivity o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of the other party is relatively increased compared to the mobile terminal in which the beacon signal is output small. Even if the output intensity is largely recognized, a problem may occur in which payment is made.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신호의 출력의 세기가 각각 다른 무선 단말 간에 신호 세기를 인식하는데 있어서, 무선 단말 간의 거리가 사전에 지정한 일정 지점에 놓여있을 때에만 결제, 지불, 또는 데이터 전송 절차가 실행될 수 있도록, 송신측 무선 단말의 근거리 무선 신호의 출력 세기와 무관하게 수신측 무선 단말에서의 수신 신호의 감도를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recognizing signal strength between wireless terminals having different output strengths of short-range wireless signals, payment, payment, or data transmission procedures can be executed only when a distance between wireless terminals lies at a predetermined point. , It is intended to provide a method of constantly adjusting the sensitivity of a received signal at a receiving side wireless terminal regardless of the output strength of a short range wireless signal of the transmitting side wireless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단말 간의 거리가 사전에 지정한 일정 지점에 놓여있을 때에만 결제, 지불, 또는 데이터 전송 절차가 실행될 수 있도록, 근접 거리 센싱을 통한 신호 처리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capable of signal processing through proximity sensing, so that payment, payment, or data transmission procedures can be executed only when the distance between terminals lies at a predetermined poin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단말 간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구현을 위해 송신측 무선 단말에 설치되는 송신측 에이전트와 수신측 무선 단말에 설치되는 수신측 에이전트, 송신측 및 수신측 무선 단말과 통신 연동되는 서비스 운영 서버를 포함하는 단말 간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신호 감도를 조절하기 위한 신호 처리 방법으로서, (a) 상기 서비스 운영 서버가, 상기 송신측 에이전트로부터 전달된 상기 송신측 무선 단말의 식별값 및 상기 송신측 무선 단말에 의한 근거리 무선 신호의 기본 출력 세기의 확인을 위한 감도 확인용 기초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b) 상기 송신측 무선 단말로부터 출력된 근거리 무선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수신측 에이전트가, 상기 송신측 무선 단말의 식별값을 상기 서비스 운영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송신측 무선 단말의 상기 감도 확인용 기초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수신측 에이전트가, 상기 서비스 운영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감도 확인용 기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송신측 무선 단말로부터 출력되어 현재 수신되는 근거리 무선 신호의 수신 세기가, 상기 송신측 무선 단말과 상기 수신측 무선 단말 간의 거리가 상기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의한 정상적인 데이터 전송 절차를 진행하는데 요구되는 사전 지정된 승인 거리 이내로 근접하였을 때의 목표 수신 세기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간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의 신호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mplement a data transmission system between terminals, communication is interlocked with a transmitting agent installed on a transmitting wireless terminal and a receiving agent installed on a receiving wireless terminal, a transmitting side and a receiving wireless terminal. In the data transmission system between terminals comprising a service operation server, as a signal processing method for adjusting the sensitivity of the radio signal, (a) The service operation server, the identification value of the transmitting side wireless terminal transmitted from the sending agent And registering basic information for checking sensitivity for checking basic output strength of the short-range wireless signal by the transmitting-side wireless terminal. (b) As the short-range wireless signal output from the transmitting-side wireless terminal is received, the receiving agent sends the identification value of the transmitting-side wireless terminal to the service operation server to check the sensitivity of the transmitting wireless terminal. Requesting basic information about the application; (c)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short-range radio signal output from the transmitting-side wireless terminal and currently received by the receiving-side agent, using the basic information for checking the sensitivity received from the service operation server, is the transmitting-side wireless terminal And determining whether a target reception strength has been reached when a distance between the receiver and the receiving wireless terminal is within a predetermined approved distance required to perform a normal data transmission procedure by the data transmission system. A signal processing method in is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단말 간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의 신호 처리 방법으로서, (a) 송신측 무선 단말로부터 출력되는 근거리 무선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측 무선 단말에 설치되는 수신측 에이전트가, 상기 수신측 무선 단말에 탑재된 근접 센서에 의한 출력값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b) 상기 수신측 에이전트가, 상기 근거리 무선 신호의 수신 세기가 사전 지정된 목표 세기 이상인 상태에서 상기 근접 센서에 의해 출력되는 출력값에 따른 실측 거리가 사전 지정된 승인 거리 이내로 근접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실측 거리는 상기 송신측 무선 단말 또는 미리 지정된 탭핑 대상물과 상기 수신측 무선 단말 간의 거리를 의미함-; (c) 상기 근거리 무선 신호의 수신 세기가 상기 목표 세기 이상인 상태에서 상기 승인 거리 이내로 근접한 경우, 상기 수신측 에이전트가, 상기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의한 정상적인 데이터 전송 절차의 진행을 요청하거나 또는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간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의 신호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signal processing method in a data transmission system between terminals, (a) when a short-range wireless signal outputted from a transmitting side wireless terminal is received, a receiving side agent installed in the receiving side wireless terminal, Monitoring an output value by a proximity sensor mounted on the receiving wireless terminal; And (b) determining, by the receiving agent, whether an actual distance according to an output value output by the proximity sensor is within a predetermined approved distance while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short-range wireless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arget strength. , The actual distance means a distance between the transmitting wireless terminal or a predetermined tapping object and the receiving wireless terminal; (c) when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short-range wireless signal is close to within the authorized distance while the target strength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arget strength, the receiving-side agent requests or initiates a process of normal data transmission by the data transmission system. A signal processing method in a data transmission system between terminals is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근거리 무선 신호의 출력의 세기가 각각 다른 무선 단말 간에 신호 세기를 인식하는데 있어서, 무선 단말 간의 거리가 사전에 지정한 일정 지점에 놓여있을 때에만 결제 또는 지불 절차가 실행될 수 있도록, 송신측 무선 단말의 근거리 무선 신호의 출력 세기와 무관하게 수신측 무선 단말에서의 수신 신호의 감도를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cognizing the signal strength between wireless terminals having different output strengths of short-range wireless signals, a payment or payment procedure may be executed only when a distance between wireless terminals lies at a predetermined point. Thus, regardless of the output strength of the short-range wireless signal of the transmitting-side wireless terminal, there is an effect of constantly adjusting the sensitivity of the received signal at the receiving-side wireless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단말 간의 거리가 사전에 지정한 일정 지점에 놓여있을 때에만 결제, 지불, 또는 데이터 전송 절차가 실행될 수 있도록, 근접 거리 센싱을 통한 신호 처리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cessing signals through proximity sensing is provided so that payment, payment, or data transmission procedures can be executed only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s lies at a predetermined point. can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간 지불 시스템에서의 무선 신호의 감도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BLE 브로드캐스팅을 하는 송신 무선 단말에서의 BLE 비콘의 위치 표시 화면 예시.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adjusting the sensitivity of a wireless signal in an inter-terminal pay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ample of a location display screen of a BLE beacon in a transmitting wireless terminal performing BLE broadcasting.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transformations and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onvers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numbers (for example,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proces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only identification symbols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lso, in the specification, when one component is referred to as "connected" or "connected" with another component, the on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or may be directly connected, but in particula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s long as there is no objection to the contrary, it may or may be connected via an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instead of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에이전트"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해당 단말에 설치되어 후술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하는 앱(APP)(즉,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term "agent"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s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one or more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which is installed in a corresponding terminal and will be described later. It may be implemented as an app (APP) (that is, an application program) that performs each func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간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의 무선 신호의 감도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adjusting the sensitivity of a wireless signal in a data transmission system between termi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 간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송신측 무선 단말에 설치되는 송신측 에이전트(100)와 수신측 무선 단말에 설치되는 수신측 에이전트(200), 송신측 및 수신측 무선 단말과 통신 연동되는 서비스 운영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ata transmission system between terminals includes a transmitting agent 100 installed on a transmitting wireless terminal, a receiving agent 200 installed on a receiving wireless terminal, and a transmitting side And a service operation server 300 in communication with a receiving wireless terminal.

본 명세서에서는, 단말 간 데이터 전송 시스템으로서 주로 단말 간 지불 시스템을 중심으로 설명하겠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단말 간 지불 시스템 이외에도, 폰 투 폰 명함 전달, 쿠폰 전달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 간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도 후술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 및 집중을 위해, 단말 간 지불 시스템 케이스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후술할 서비스 운영 서버(300)에서 담당할 역할 및 기능들은 단말 간 지불 시스템을 가정하는 경우 거래 서버 또는 인증 서버에서 그 역할 및 기능들을 담당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inal-to-terminal data transmission system will be mainly described as a terminal-to-terminal payment system, but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in addition to the inter-terminal payment system,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also be applied to various inter-terminal data transmission systems such as phone-to-phone business card delivery, coupon delivery, and the like. However, hereinafter, for convenience and concentration of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of a payment system case between terminals. Accordingly, the roles and functions to be played by the service operation server 300 to be described later may assume the roles and functions from the transaction server or the authentication server when assuming a payment system between terminals.

또한 단말 간 지불 시스템을 가정할 때, 송신측 무선 단말과 수신측 무선 단말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일 예로, 송신측 무선 단말이 거래될 상품 또는 서비스의 제공자 측의 단말인 경우라면 수신측 무선 단말은 거래될 상품 또는 서비스의 소비자 측(즉, 대금을 지불할 측)의 단말이 될 수 있고, 다른 예로, 기기 간의 면대면 금액 이체 케이스라, 수신측 무선 단말은 송신측 무선 단말의 소지자에게 금액 이체를 하고자 하는 이체자 소지의 단말이 될 수 있다. 물론 송신측 무선 단말과 수신측 무선 단말의 상호 간의 구분은 위 설명에서와는 정반대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즉, 위 설명에서와 반대로, 송신측 무선 단말이 소비자 또는 이체자 측이고 수신측 무선 단말이 제공자 또는 이체 상대방 측일 수도 있는 것이다.Also, assuming a payment system between terminals, the wireless terminal of the transmitter and the wireless terminal of the receiver may be defined as follows. For example, if the transmitting wireless terminal is the terminal of the provider of the product or service to be traded, the receiving wireless terminal may be the terminal of the consumer side (ie, the side to pay the price) of the product or service to be traded, As another example, it is a face-to-face money transfer case between devices, and the receiving wireless terminal may be a terminal carrying a transfer person who wishes to transfer the money to the holder of the transmitting wireless terminal. Of course, the division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of the transmitting side and the wireless terminal of the receiving side may be configured in the opposite direction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at is, contrary to the above description, the transmitting side wireless terminal may be the consumer or the transferee side, and the receiving side wireless terminal may be the provider or transfer party sid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양자 간의 거래/결제/지불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어떠한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이 이용되는지는 별도의 제한이 없음은 물론이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그 설명의 편의 및 집중을 위해, 송신측 무선 단말과 수신측 무선 단말 간이 저전력 블루투스(BLE) 기술에 의한 비콘(Beacon) 신호의 송수신을 통해서 단말 간 지불 시스템이 구현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ransaction / payment / payment is made between the two by us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t this time,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whic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is used. However, in this specification, for convenience and concentration of the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a payment system between terminals is implemented through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beacon signal by a low power Bluetooth (BLE) technology between a transmitting wireless terminal and a receiving wireless terminal. Will be explained.

또한 본 발명은 단말 간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의 무선 신호 감도 조절 방법 또는 단말 간에 근접 거리를 설정하는 방법을 주요 기술적 해결 과제로서 목표하고 있는 바, 발명 설명의 집중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단말 간 지불 시스템에서의 각 단말의 진위 여부의 판별을 위한 인증 절차, 정상 거래/지불 승인을 위한 인증 절차 등에 관해서는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as a main technical solution for a method of adjusting the sensitivity of a wireless signal in a data transmission system between terminals or a method of setting a proximity distance between terminals. For concentration of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a payment system between terminal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for determining the authenticity of each terminal and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for normal transaction / payment approval will be omitted.

도 1을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간 지불 시스템에서의 무선 신호 감도 조절 방법에 의하면, 서비스 운영 서버(300)가, 송신측 에이전트(100)로부터 전달된 송신측 무선 단말의 식별값 및 송신측 무선 단말에 의한 비콘 신호의 기본 출력 세기의 확인을 위한 감도 확인용 기초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도 1의 S103 참조]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ccording to a method of adjusting wireless signal sensitivity in an inter-terminal pay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operation server 300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wireless terminal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transmitted from the sending agent 100. And registering basic information for checking the sensitivity for checking the identification value and the basic output intensity of the beacon signal by the transmitting wireless terminal (see S103 in FIG. 1).

이와 같이 송신측 무선 단말의 식별값 및 감도 확인용 기초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는, 도 1에 의할 때 BLE 발신 요청 단계(S101) 이후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지만, 시스템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단말 간 지불 시스템을 구성하는 최초 등록 단계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step of register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ransmitting side wireless terminal and the basic information for checking the sensitivity as described above is shown to be performed after the BLE transmission request step (S101) according to FIG. 1,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depends on the system design method. Of course, it may be made in the initial registration step of configuring the payment system between terminals.

다만, 도 1의 BLE 발신 요청 단계(S101) 이후에, 송신측 무선 단말의 식별값 및 감도 확인용 기초 정보가 서비스 운영 서버(300)에 실시간 등록되는 경우라면, 서비스 운영 서버(300)는 송신 무선 단말의 식별값에 따른 단말 모델에 맞는 BLE 의 위치를 전송해줌으로써, 송신측 무선 단말은 단말 화면을 통해서 BLE 비콘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도 2 참조). 이와 같이 송신측 단말의 화면을 통해서 BLE 비콘의 위치가 표시되게 되면, 향후 수신측 무선 단말의 소지자는 자신의 무선 단말을 송신측 단말의 어느 위치에 탭핑하면 되는지를 명확히 인지할 수 있으므로, 탭핑시의 근접 거리 감지 오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사용되는 단말기가 스마트폰이 아닌 크기가 큰 태블릿인 경우 태블릿 크기에 따라서 근거리 무선주파수를 송수신하는 안테나의 물리적 장착 위치의 차이가 크게 발생하여 감도 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기의 화면에 탭핑하는 방향을 알려주어 어디 위치에 근접시켜야 보다 일정하게 주파수의 세기를 인식시킬 수 있는지 단말기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However, after the BLE transmission request step (S101) of FIG. 1, if the basic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identification value and sensitivity of the transmitting wireless terminal is registered in real time in the service operation server 300, the service operation server 300 transmits By transmitting the location of the BLE suitable for the terminal model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value of the wireless terminal, the transmitting side wireless terminal can display the location of the BLE beacon through the terminal screen (see FIG. 2). When the location of the BLE beacon is displayed through the screen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as described above, in the future, the holder of the receiving wireless terminal can clearly recognize to which location the transmitting terminal taps its own wireless terminal.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error of detecting the proximity distance of. In particular, if the terminal used is a tablet with a large size other than a smartphone, the difference in the physical mounting position of the antenna that transmits and receives the short-range radio frequency depends on the size of the tablet. The terminal screen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to indicate where the frequency intensity can be recognized more consistently by being close to the position.

본 발명은 BLE의 브로드캐스팅 송신 단말들 마다 그 각각의 기기적 특성에 따라서 동일 거리임에도 수신 단말 측에서 측정되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가 다르게 나오는 경우가 있어, 지불 승인 절차를 실행함에 있어서 단말 간에 얼마만큼 근접하였는지에 관한 거리 측정이 일정하게 이루어지기 힘든 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송신 단말 마다의 비콘 신호의 송신 출력 세기가 얼마만큼 상이한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 상술한 바와 같은 감도 확인용 기초 정보의 확인이 요청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 measured on the receiving terminal side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respective device characteristics for each broadcasting transmitting terminal of the BLE. This is to compensate for the difficulty in measuring the distance of how close the liver is. Therefore,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ecessary to confirm how different the transmission output strength of the beacon signal for each transmission terminal is, and for this, confirmation of the basic information for checking the sensitivity as described above is requested.

일 예에 의할 때, 상기 감도 확인용 기초 정보는, 송신측 무선 단말의 단말 모델명일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 운영 서버(300)는 해당 단말 모델명을 기초로 하여 해당 모델의 단말에 탑재된 근거리 무선 송신 장치(즉, 본 명세서에서는 비콘 송신기)의 신호 출력 규격을 확인할 수 있고, 그 확인된 신호 출력 규격에 따라 해당 단말의 경우에 송신 비콘 세기가 기본적으로 어떤 출력 범위/값을 갖는지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According to an example, the basic information for checking the sensitivity may be the terminal model name of the transmitting-side wireless terminal. In this case, the service operation server 300 may check the signal output standard of the short-range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ie, a beacon transmitter in this specification) mounted on the terminal of the corresponding model based on the corresponding terminal model name, and the confirmed signal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check which output range / value the transmission beacon strength basically has in the case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output standard.

다른 예에 의할 때, 상기 감도 확인용 기초 정보는, 송신측 무선 단말에 탑재된 비콘 송신기 자체의 모델명(즉, 장치명)이 이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as the basic information for checking the sensitivity, a model name (ie, a device name) of the beacon transmitter itself mounted in the transmitting wireless terminal may be used.

또 다른 예에 의할 때, 상기 감도 확인용 기초 정보는 비콘 스캐너 등의 측정 장비를 활용하여 실제 측정한 RSSI 값이 직접 이용될 수도 있다. 즉, 비콘 스캐너 등의 측정 장비를 송신측 무선 단말에 후술할 승인 거리 이내로 근접시킨 상태에서 실제 RSSI 값을 측정하고, 그때 측정된 해당 승인 거리에서의 RSSI 값을 상기 감도 확인용 기초 정보로서 직접 이용하는 방식이 바로 그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as the basic information for checking the sensitivity, an RSSI value actually measured using a measurement device such as a beacon scanner may be directly used. That is, the actual RSSI value is measured in a state in which a measuring device such as a beacon scanner is brought close to the transmitting side wireless terminal within an approved distanc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RSSI value at the measured approved distance is then directly used as the basic information for checking the sensitivity. That's how it is.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측 무선 단말에 관한 식별값과 감도 확인용 기초 정보가 서비스 운영 서버(300)에 등록되면, 향후 송신측 무선 단말로부터 출력된(브로드캐스팅된) 비콘 신호가 수신측 무선 단말에 수신되었을 때[도 1의 S105 및 S107 참조], 수신측 에이전트(200)는, 해당 비콘 신호에 포함된 송신측 무선 단말의 식별값을 추출하고 그 식별값을 서비스 운영 서버(300)로 전송하여 송신측 무선 단말의 정보(즉, 감도 확인용 기초 정보)를 요청한다[도 1의 S109 참조].As described above, when the identification value and the basic information for checking the sensitivity of the transmitting wireless terminal are registered in the service operation server 300, the beacon signal output (broadcasted) from the transmitting wireless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wireless terminal. When received in (see S105 and S107 in FIG. 1), the receiving agent 200 extracts the identification value of the transmitting wireless terminal included in the beacon signal and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value to the service operation server 300 By requesting the information of the transmitting side wireless terminal (that is, the basic information for checking the sensitivity) (see S109 in Fig. 1).

이에 따라, 서비스 운영 서버(300)는 상기 감도 확인용 기초 정보를 수신측 에이전트(200)로 전송한다[도 1의 S111 참조]. 이에 따라 수신측 에이전트(200)는 서비스 운영 서버(300)로부터 회신된 감도 확인용 기초 정보를 이용하여 비콘 신호의 수신 감도를 조절하여 송신측 무선 단말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서 실제 지불 절차를 진행할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도 1의 S113 및 S115 참조].Accordingly, the service operation server 300 transmits the basic information for checking the sensitivity to the receiving agent 200 (see S111 in FIG. 1). Accordingly, the receiving agent 200 adjusts the receiving sensitivity of the beacon signal by using the basic information for checking the sensitivity returned from the service operation server 300 to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mitting wireless terminals, and through this, the actual payment procedure is performe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o proceed (see S113 and S115 in FIG. 1).

이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송신측 무선 단말과 수신측 무선 단말 간의 거리가 상기 지불 시스템에 의한 정상적인 지불 승인 절차를 진행하는데 요구되는 사전 지정된 승인 거리는 3cm라 가정하기로 한다. 이는 수신측 무선 단말을 송신측 무선 단말에 3cm 이내로 근접시켜 탭(tab)하였을 때에만 정상적인 지불 승인 절차가 진행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사전 지정된 승인 거리인 3cm 이내에서 근접 탭핑이 이루어졌는지에 관한 판단은 수신된 비콘 신호의 RSSI 값을 기준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송신측 무선 단말의 비콘 송신 출력이 기기마다 상이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판단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즉, 송신측 무선 단말의 비콘 송신 출력이 매우 큰 기기인 경우에는 매우 센 감도로 신호 수신되므로 사전 지정된 승인 거리보다 훨씬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지불 승인 절차가 이루어질 수도 있고, 그 반대로 비콘 송신 출력이 매우 작은 기기인 경우에는 사전 지정된 승인 거리 이내로 근접한 경우에도 신호 수신 감도가 낮아 지불 승인 절차가 이루어지지 않는 케이스도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mitting wireless terminal and the receiving wireless terminal is 3 cm, the predefined approval distance required to perform a normal payment approval procedure by the payment system. This means that the normal payment approval procedure proceeds only when the receiving wireless terminal is brought closer to the transmitting wireless terminal within 3 cm and tabbed.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determination as to whether proximity tapping is performed within 3 cm, which is a predetermined approval distance, is made based on the RSSI value of the received beacon signal, and the beacon transmission output of the transmitting wireless terminal may be different for each device. As it may, an accurate judgment may not be made. That is, in the case of a device having a very large beacon transmission power of a transmitting-side wireless terminal, a signal is received with a very strong sensitivity, so a payment approval procedure may be performed even when it is farther than a predetermined approval distance, and vice versa. In the case of a small device, even when it is close to within a predetermined approval distance, a signal receiving sensitivity is low, and a case in which a payment approval procedure is not performed may occur.

이에 따라, 일 예에 의할 때, 수신측 에이전트(200)에 의한 단계 S109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 운영 서버(300)는 상기 감도 확인용 기초 정보로서 양 무선 단말 간이 상기 승인 거리인 3cm 이내로 근접하였을 때의 수신 신호의 RSSI 값을 직접 수신측 에이전트(200)로 전달해줄 수 있고, 수신측 에이전트(200)는 그 RSSI 값을 이용하여 양 단말 간이 상기 승인 거리 이내로 근접하였는지에 관한 판단을 할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an example, in response to the request of step S109 by the receiving agent 200, the service operation server 300 may be close to within the authorized distance of 3 cm between the two wireless terminals as the basic information for checking the sensitivity. At this time, the RSSI value of the received signal may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agent 200, and the receiving agent 200 may use the RSSI value to determine whether the two terminals are within the approved distance.

다른 예에 의할 때, 수신측 에이전트(200)에 의한 단계 S109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 운영 서버(300)는 상기 감도 확인용 기초 정보로서 소정의 수신 감도 보정값을 수신측 에이전트(200)로 전달해줄 수 있고, 수신측 에이전트(200)는 그 보정값을 이용하여 양 단말 간이 상기 승인 거리 이내로 근접하였는지에 관한 판단을 할 수 있다. 즉, 양 단말이 사전 지정된 승인 거리인 3cm 이내로 근접하였을 때의 표준 RSSI 값을 임의로 또는 통계적인 값으로 하나 지정하여 둔 상태에서, 그 표준 RSSI 값과 해당 송신측 무선 단말인 경우의 동일 거리에서의 RSSI 값 간의 오차에 상응하는 보정 값을 수신측 에이전트(200)로 전달해주게 되면, 수신측 에이전트(200)에서는 그 보정 값을 이용하여 실제 수신된 RSSI 값을 + 혹은 - 의 보정 처리를 하여, 정상적인 지불 승인 절차를 진행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in response to the request of step S109 by the receiving agent 200, the service operation server 300 transmits a predetermined receiving sensitivity correction value as the basic information for checking the sensitivity to the receiving agent 200 The reception side agent 200 may use the correction value to determine whether the two terminals are within the approved distance. That is, in a state where both terminals are randomly or statistically designated as standard RSSI values when they are within 3 cm, which is a predetermined approved distance, the standard RSSI values and the same distances in the case of the corresponding wireless terminal of the transmitting side When the correction value corresponding to the error between the RSSI values is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agent 200, the receiving agent 200 uses the correction value to correct the actual received RSSI value by + or-, and normal It can be used to proceed with the payment approval process.

도 1의 S111 단계에 의하면 서비스 운영 서버(300)가 수신측 에이전트(200)로 사전 지정된 승인 거리에 상응하는 RSSI 값 자체 또는 RSSI 보정 값을 전달해주는 케이스를 중심으로 도시되고 있지만, 서비스 운영 서버(300)는 앞서 설명한 모델 정보 자체를 수신측 에이전트(200)로 전송해주고 수신측 에이전트(200)에서 해당 모델 정보에 상응하는 비콘 송출 신호 출력 규격을 직접 참조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승인 거리 이내로의 근접 여부의 판단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According to step S111 of FIG. 1, although the service operation server 300 is illustrated around a case in which the RSSI value itself or the RSSI correction value corresponding to the pre-specified approval distance is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agent 200, the service operation server ( 300) transmits the above-described model information itself to the receiving agent 200, and the receiving agent 200 directly refers to the beacon transmission signal output specificat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model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proximity is within the approved distance as described above. You may be able to perform your judgment.

앞선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송신측 무선 단말의 비콘 신호 송출 세기를 고려하여 수신측 무선 단말이 해당 비콘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의 RSSI 감도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양 단말 간의 거리가 사전 지정된 승인 거리 이내로 근접하였는지를 확인하는 방식에 관하여 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할 때, 수신측 무선 단말에 탑재된 근접 센서에 의해 측정된 실측 거리를 이용하는 방식이 독립적으로 또는 상술한 방식과 병행하여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In the previous embodiment of FIG. 1 and FIG. 2, the distance between both terminals is pre-specified by adjusting the RSSI sensitivity when the receiving wireless terminal receives the beacon signal in consideration of the beacon signal transmission strength of the transmitting wireless terminal. The method of confirming whether the proximity is within a distance has been mainly described, b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using the measured distance measured by the proximity sensor mounted on the receiving wireless terminal is independently or from the above-described method. It may be applied in parallel.

여기서, 근접 센서에 의한 거리 측정과 상술한 무선 신호 감도 조절 방법과 병행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즉, 수신측 에이전트(200)는, 상술한 수신 감도 조절 방법을 적용함에 있어서, 수신측 무선 단말에 탑재된 근접 센서에 의해 실제 측정된 측정 거리값을 이용하여 상기 사전 지정된 승인 거리 이내로 근접하였는지를 검증하는 단계를 더 추가함으로써, 지불 승인 절차 진행의 정확성을 더 높일 수도 있을 것이다.Here, the method of measuring the distance by the proximity sensor and the method of adjusting the sensitivity of the wireless signal described above may be as follows. That is, in applying the above-described reception sensitivity adjustment method, the reception-side agent 200 verifies whether it has approached within the predetermined approval distance using the measured distance value actually measured by the proximity sensor mounted on the reception-side wireless terminal. By adding more steps, the accuracy of the payment approval process could be further improved.

또한, 수신측 무선 단말에 탑재된 근접 센서에 의해 측정된 실측 거리를 독립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일 예로, 수신측 에이전트(200)는, 송신측 무선 단말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BLE 비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를 기본 전제로 하여, 송신측 무선 단말(혹은 송신측 무선 단말과 무관한 탭핑 대상물(ex. 탭핑을 유도하는 단순한 스티커일 수도 있음))과 수신측 무선 단말 간이 근접해감에 따라, 수신측 무선 단말에 탑재된 근접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실측 거리값에 기초하여 상기 사전 지정된 승인 거리 이내로 근접하였는지를 확인함으로써, 해당 승인 거리 이내일 때에만 비로소 거래 개시 요청 등의 절차를 진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method of independently using the measured distance measured by the proximity sensor mounted on the receiving side wireless terminal may be as follows. For example, the receiving agent 200, as a basic premise, when a BLE beacon signal broadcast by a transmitting wireless terminal is received, a transmitting wireless terminal (or a tapping object independent of the transmitting wireless terminal (ex May be a simple sticker that induces tapping)) and as the proximity between the receiving wireless terminal increases, based on the measured distance value measured by the proximity sensor mounted on the receiving wireless terminal, whether it has been within the predetermined approved distance. By confirming, it is possible to proceed with a procedure such as a request to initiate a transaction only when within the approved distance.

이때, 근접 센서가 의도한 대상(즉, 송신측 무선 단말 또는 탭핑 대상물)이 아닌 대상물과 근접하였음에도 승인 거리 이내로 근접하였다고 잘못 판단하는 것과 같은 오류 가능성을 해소하기 위해서, 수신측 에이전트(200)는 송신측 무선 단말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BLE 비콘 신호가 사전 지정된 일정 수준 이상의 강한 감도로 수신되는 경우에만 그 근접 센서에 의한 거리 측정 결과를 반영(인정)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in order to solve the possibility of an error such as erroneously determining that the proximity sensor is within an authorized distance even though the proximity sensor is close to an object other than the intended object (ie, the transmitting wireless terminal or the tapping object), the receiving agent 200 transmits It may be possible to reflect (recognize) the distance measurement result by the proximity sensor only when the BLE beacon signal broadcast by the side wireless terminal is received with a strong sensitivity of a predetermined level or higher.

이는 수신측 무선 단말기를 안전하게 사용하고자 후면에 금속성 임시 거치대를 부착시킨 경우, 종래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종래 NFC나 MST와 같은 근거리 데이터 전송기술)로 결제를 진행함에 있어서 결제 요청 신호 또는 값을 전달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나, 수신측 무선 단말기 앞면에 부착된 근접 센서를 이용하고 다른 근거리 주파수를 이용하게 되면 거래 요청을 개시될 수 있는 방식으로도 이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현재는 수신측 무선 단말기에서 데이터를 수신하여 거래를 요청을 개시하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구현 방식에 따라서 수신측 무선단말기와 송신측 무선단말기의 역할이 바뀌어 적용될 수 있음도 자명하다.
This does not convey the payment request signal or value when proceeding with payment using conventio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formerly NFC or MST, short-range data transmission technology) when a metallic temporary holder is attached to the rear side to safely use the wireless terminal on the receiving side. Although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not be used, it is obvious that the use of a proximity sensor attached to the front side of the wireless terminal of the receiving side and using a different short-range frequency may also be used in a manner that can initiate a transaction request. Currently,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receiving wireless terminal receives data to initiate a transaction, but it is obvious that the roles of the receiving wireless terminal and the transmitting wireless terminal may be changed and applied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ly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And it can be easily understood.

Claims (6)

단말 간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구현을 위해 송신측 무선 단말에 설치되는 송신측 에이전트와 수신측 무선 단말에 설치되는 수신측 에이전트, 송신측 및 수신측 무선 단말과 통신 연동되는 서비스 운영 서버를 포함하는 단말 간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신호 감도를 조절하기 위한 신호 처리 방법으로서,
(a) 상기 서비스 운영 서버가, 상기 송신측 에이전트로부터 전달된 상기 송신측 무선 단말의 식별값 및 상기 송신측 무선 단말에 의한 근거리 무선 신호의 기본 출력 세기의 확인을 위한 감도 확인용 기초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b) 상기 송신측 무선 단말로부터 출력된 근거리 무선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수신측 에이전트가, 상기 송신측 무선 단말의 식별값을 상기 서비스 운영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송신측 무선 단말의 상기 감도 확인용 기초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수신측 에이전트가, 상기 서비스 운영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감도 확인용 기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송신측 무선 단말로부터 출력되어 현재 수신되는 근거리 무선 신호의 수신 세기가, 상기 송신측 무선 단말과 상기 수신측 무선 단말 간의 거리가 상기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의한 정상적인 데이터 전송 절차를 진행하는데 요구되는 사전 지정된 승인 거리 이내로 근접하였을 때의 목표 수신 세기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 간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의 신호 처리 방법.
For the implementation of a data transmission system between terminals, between a terminal including a transmitting agent installed on a transmitting wireless terminal and a receiving agent installed on a receiving wireless terminal, and a service operation server in communication with a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terminal. In the data transmission system, as a signal processing method for adjusting the sensitivity of the radio signal,
(a) The service operation server registers the basic information for checking sensitivity for confirming the identification value of the transmitting wireless terminal and the basic output strength of the short-range wireless signal by the transmitting wireless terminal transmitted from the sending agent. To do;
(b) As the short-range wireless signal output from the transmitting-side wireless terminal is received, the receiving agent sends the identification value of the transmitting-side wireless terminal to the service operation server to check the sensitivity of the transmitting wireless terminal. Requesting basic information about the application;
(c)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short-range radio signal output from the transmitting-side wireless terminal and currently received by the receiving-side agent, using the basic information for checking the sensitivity received from the service operation server, is the transmitting-side wireless terminal And determining whether a target reception strength has been reached when a distance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and the receiving side approaches a predetermined approved distance required for a normal data transmission procedure by the data transmission system.
Signal processing method in a data transmission system between terminals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감도 확인용 정보는, 상기 송신측 무선 단말로부터의 상기 근거리 무선 신호가, 상기 송신측 무선 단말과 상기 수신측 무선 단말 간이 상기 사전 지정된 승인 거리 이내로 근접하였을 때를 기준으로, 상기 수신측 무선 단말에 의해 수신될 때의 신호 수신 세기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간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의 신호 처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step (c),
The sensitivity checking information is based on when the short-range wireless signal from the transmitting-side wireless terminal is close to within the predetermined authorization distance between the transmitting-side wireless terminal and the receiving-side wireless terminal. A signal processing method in a data transmission system between terminal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gnal reception intensity value when received b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목표 수신 세기는, 상기 송신측 무선 단말과 상기 수신측 무선 단말 간이 상기 사전 지정된 승인 거리 이내로 근접하였을 때의 사전 지정된 표준 수신 세기 값으로 셋팅되되,
상기 감도 확인용 정보는, 상기 송신측 무선 단말과 상기 수신측 무선 단말 간이 상기 사전 지정된 승인 거리 이내로 실제 근접하였을 때의 상기 수신측 무선 단말에 의해 수신될 신호 수신 세기 값과 상기 표준 수신 세기 값 간의 오차에 상응하는 보정 값이고,
상기 수신측 에이전트는, 상기 보정 값을 이용하여 현재 수신되는 신호 수신 세기 값의 보정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목표 수신 세기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간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의 신호 처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step (c),
The target reception strength is set to a pre-specified standard reception strength value when the transmission-side radio terminal and the reception-side radio terminal are close to within the predetermined authorization distance,
The sensitivity checking information is between a signal reception strength value to be received by the reception side radio terminal and the standard reception strength value when the transmission side radio terminal and the reception side radio terminal are actually close within the predetermined authorization distance. Correction value corresponding to the error,
The receiving ag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rmines whether the target reception strength has been reached by performing a correction of the signal reception strength value currently received using the correction value, a signal processing method in a data transmission system between terminals.
제1항에 있어서,
(d) 상기 수신측 에이전트가, 상기 송신측 무선 단말과 상기 수신측 무선 단말 간이 상기 사전 지정된 승인 거리 이내로 근접하였는지를 판단하거나 또는 상기 정상적인 데이터 전송 절차를 진행함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무선 단말에 탑재된 근접 센서에 의해 측정된 측정 거리값을 이용하여 상기 승인 거리 이내로 근접하였는지를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 간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의 신호 처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1,
(d) The receiving-side agent is mounted on the receiving-side wireless terminal in determining whether the transmitting-side wireless terminal and the receiving-side wireless terminal are close to within the predetermined authorization distance or performing the normal data transmission procedur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verifying that the proximity within the approved distance using the measured distance value measured by the proximity sensor, a signal processing method in a data transmission system between termin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운영 서버는, 상기 송신측 무선 단말로부터 식별값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식별값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측 무선 단말의 단말 모델을 확인하고, 해당 단말 모델에 따라 상기 송신측 무선 단말에서의 근거리 무선 송신기의 탑재 위치를 전송해주고,
상기 송신측 무선 단말은, 상기 서비스 운영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탑재 위치가 단말 화면을 통해서 표시됨으로써 상기 수신측 무선 단말이 탭핑할 위치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간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의 신호 처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ervice operation server, when an identification value is received from the transmitting side wireless terminal, checks the terminal model of the transmitting side wireless terminal based on the identification value, and the short range in the transmitting sid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model. Transmits the wireless transmitter's mounting position,
The transmitting-side wireless termina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iving position received from the service operation server is displayed on a terminal screen to guide the tapping position of the receiving-side wireless terminal, signal processing in a data transmission system between terminals Way.
단말 간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의 신호 처리 방법으로서,
(a) 송신측 무선 단말로부터 출력되는 근거리 무선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측 무선 단말에 설치되는 수신측 에이전트가, 상기 수신측 무선 단말에 탑재된 근접 센서에 의한 출력값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b) 상기 수신측 에이전트가, 상기 근거리 무선 신호의 수신 세기가 사전 지정된 목표 세기 이상인 상태에서 상기 근접 센서에 의해 출력되는 출력값에 따른 실측 거리가 사전 지정된 승인 거리 이내로 근접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실측 거리는 상기 송신측 무선 단말 또는 미리 지정된 탭핑 대상물과 상기 수신측 무선 단말 간의 거리를 의미함-;
(c) 상기 근거리 무선 신호의 수신 세기가 상기 목표 세기 이상인 상태에서 상기 승인 거리 이내로 근접한 경우, 상기 수신측 에이전트가, 상기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의한 정상적인 데이터 전송 절차의 진행을 요청하거나 또는 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 간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의 신호 처리 방법.
As a signal processing method in a data transmission system between terminals,
(a) when a short-range wireless signal outputted from a transmitting wireless terminal is received, a receiving agent installed in the receiving wireless terminal monitors an output value by a proximity sensor mounted on the receiving wireless terminal; And
(b) the receiving side agent determining whether the measured distance according to the output value output by the proximity sensor is within a predetermined approved distance while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short-range wireless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arget strength-here, The actual distance means a distance between the transmitting wireless terminal or a predetermined tapping object and the receiving wireless terminal;
(c) when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short-range wireless signal is close to within the authorized distance while the target strength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arget strength, the receiving-side agent requests or initiates the progress of a normal data transmission procedure by the data transmission system.
Signal processing method in a data transmission system between terminals comprising a.
KR1020180144973A 2018-11-22 2018-11-22 Signal processing method for device-to-device data transmission system KR2020005980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973A KR20200059803A (en) 2018-11-22 2018-11-22 Signal processing method for device-to-device data transmiss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973A KR20200059803A (en) 2018-11-22 2018-11-22 Signal processing method for device-to-device data transmiss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803A true KR20200059803A (en) 2020-05-29

Family

ID=70911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4973A KR20200059803A (en) 2018-11-22 2018-11-22 Signal processing method for device-to-device data transmiss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9803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2224A (en) * 2021-12-17 2023-06-26 (주)한우리아이티 Method for authenticating us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2224A (en) * 2021-12-17 2023-06-26 (주)한우리아이티 Method for authenticating us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64044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US10078831B2 (en) Connected toll pass
US8577292B2 (en) Bump validation
EP2689617B1 (en) Service enhancements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CN104144379B (en) Business data processing method, user terminal and service terminal
US20100281261A1 (en) Device and method for near field communications using audio transducers
PH12015500338B1 (en) Method of pairing mobile devices
CN105025490A (en)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ying pseudo base station
AU2014339777A1 (en) Positioning system with wireless beacons that vary transmission power levels
US9544020B2 (en) NFC negotiated pairing
KR10172642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yment Authorisation by Using Beacons
EP2752964A2 (en) Secure wireless charging
US10074087B2 (en) Method for carrying out a transaction between a portable data carrier and a terminal
KR20210013134A (en) Method and device for data transfer between mobile device and reader device
KR20200059803A (en) Signal processing method for device-to-device data transmission system
KR101670423B1 (en) Method for Processing Reverse Direction Payment for Refueling by using Medium Matching
KR10093546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 providing data communication based on lb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U2817064C1 (e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wireless connection
KR20170134888A (en) Method for Providing Two-Channel Payment by using Cigar Jack Device
CN102571156A (en) Short-distance identif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terminal
KR20160127340A (en) Method for Processing Reverse Direction Payment for Refueling
KR20170134854A (en) Method for Providing Refueling Payment by using Close Range Device
KR20180056487A (en) Method for Providing Two-Channel Payment by using Black Box Device
KR20240018983A (en) Noncontact payment system using ultra-wide band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KR20140134763A (en) Method for Multi Authentication by using One Time Division Co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