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9747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9747A
KR20200059747A KR1020180144848A KR20180144848A KR20200059747A KR 20200059747 A KR20200059747 A KR 20200059747A KR 1020180144848 A KR1020180144848 A KR 1020180144848A KR 20180144848 A KR20180144848 A KR 20180144848A KR 20200059747 A KR20200059747 A KR 20200059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raffic
inactivity timer
release
b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4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선희
임형택
차화진
김장환
이정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4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9747A/ko
Priority to EP19210569.0A priority patent/EP3657902A3/en
Priority to US16/690,740 priority patent/US20200163144A1/en
Priority to CN201911149565.5A priority patent/CN111212484A/zh
Publication of KR20200059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7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2Miscellaneous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2Miscellaneous aspects
    • H04L47/824Applicable to portable or mobil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8Connection release triggered by tim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2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또는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중 접속 시스템에서 연결 관리 방법을 제안하며, 통신 시스템의 제1 기지국의 방법에 있어서 제2 기지국을 추가하기 위해 설정된 추가 모드를 확인하고, 상기 추가 모드를 기반으로 제2 기지국의 추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기지국을 추가하기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제2 기지국을 추가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추가 모드는 블라인드 추가, 트래픽 기준 추가 및 측정 보고 기준 추가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 중 하나를 지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VING SIGNALS IN WIREL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또는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5G 통신 시스템은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으며 그 중 하나로 NSA(non stand-alone) 구조가 있다. NSA 구조 중 하나인 EN-DC(E-UTRA NR Dual connectivity)는 LTE 셀과 5G 셀(이하 NR(new radio, next radio) 셀과 혼용될 수 있다)으로의 이중 접속(dual connectivity)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구조이다.
이중 접속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각 네트워크 엔티티(network entity) 간 효율적으로 연결 관리가 수행되어야 하며, 특히 세컨더리 노드(secondary node)에 대한 추가 및 릴리즈가 효율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또한 이중 접속 시스템은 특정 서비스 또는 사업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세컨더리 노드에 대한 추가 및 릴리즈를 제어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의 제1 기지국의 방법에 있어서, 이중 접속 동작을 위해 제2 기지국을 추가하기 위해 설정된 추가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추가 모드를 기반으로 제2 기지국의 추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기지국을 추가하기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제2 기지국을 추가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추가 모드는 블라인드 추가, 트래픽 기준 추가 및 측정 보고 기준 추가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 중 하나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제2 기지국이 추가되어 있는 경우, 제2 기지국 릴리즈를 개시할 수 있는 주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기지국이 제2 기지국 릴리즈를 수행할 수 있는 주체로 설정된 경우,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되었을 경우, 제2 기지국 릴리즈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기지국 릴리즈 조건이 만족되었다면 제2 기지국 릴리즈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시스템의 제2 기지국의 방법에 있어서, 이중 접속 동작 중 제2 기지국 릴리즈를 개시할 수 있는 주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기지국이 제2 기지국 릴리즈를 수행할 수 있는 주체로 설정된 경우,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되었을 경우, 제2 기지국 릴리즈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기지국 릴리즈 조건이 만족되었다면 제2 기지국 릴리즈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통신 시스템의 제1 기지국에 있어서,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송수신부; 제2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백홀 연결부; 및 이중 접속 동작을 위해 상기 제2 기지국을 추가하기 위해 설정된 추가 모드를 확인하고, 상기 추가 모드를 기반으로 제2 기지국의 추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기지국을 추가하기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제2 기지국을 추가하는 절차를 수행하도록 설정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추가 모드는 블라인드 추가, 트래픽 기준 추가 및 측정 보고 기준 추가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 중 하나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제2 기지국이 추가되어 있는 경우, 제2 기지국 릴리즈를 개시할 수 있는 주체를 확인하고, 상기 제1 기지국이 제2 기지국 릴리즈를 수행할 수 있는 주체로 설정된 경우,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되었을 경우, 제2 기지국 릴리즈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제2 기지국 릴리즈 조건이 만족되었다면 제2 기지국 릴리즈 절차를 수행하도록 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통신 시스템의 제2 기지국에 있어서,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송수신부; 제1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백홀 연결부; 및 이중 접속 동작 중 제2 기지국 릴리즈를 개시할 수 있는 주체를 확인하고, 상기 제2 기지국이 제2 기지국 릴리즈를 수행할 수 있는 주체로 설정된 경우,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되었을 경우, 제2 기지국 릴리즈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제2 기지국 릴리즈 조건이 만족되었다면 제2 기지국 릴리즈 절차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어러 타입 변경과 SN 릴리즈 동작을 지양하는 동작을 통해 코어 망 부하 (X2, S1 인터페이스의 제어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방지될 수 있으며, 베어러 타입 변경, SN 릴리즈 및 SN 추가, RRC 릴리즈 절차 수행시 발생하는 중단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중 접속 단말의 경우 MN과 SN의 기지국 신호를 모두 모니터링하여야 하므로 단말의 전력 소모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저용량 트래픽 지원 상황에서 SN 추가 지양 및 SN 릴리즈 동작을 통해 이러한 단말 전력 소모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동작을 통해 MN 링크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 확보가 가능하며, VoLTE 등의 높은 우선 순위의 QoS를 가진 서비스를 지원할 경우 MN 링크의 자원 확보 및 신뢰도 있는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이중 접속을 수행하는 MN과 SN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EN-DC의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MN이 SN을 대상으로 한 측정 설정 및 해제시 트래픽 상태의 기준이 되는 임계값을 설정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EN-DC 시스템에서 각 NE 별로 독립적으로 SN 추가 및 릴리즈 조건을 설정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SN 추가 및 릴리즈를 위한 트래픽 임계값을 설정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EN-DC 시스템에서 각 NE 사이에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SN 개시 SN 릴리즈를 위한 제어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는 SN 개시 SN 릴리즈를 위한 제어 절차 중 SN에 관련된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는 MN 개시 SN 릴리즈를 위한 제어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b는 MN 개시 SN 릴리즈(RELEASE)를 위한 제어 절차 중 MN의 절차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eNB가 수행하는 SN 추가 동작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eNB가 수행하는 SN 릴리즈 동작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gNB가 수행하는 SN 릴리즈 동작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gNB가 수행하는 비활성 타이머 설정 동작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MeNB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4은 SgNB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5는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기지국은 단말의 자원할당을 수행하는 주체로서, gNode B, eNode B, Node B, BS (Base Station), 무선 접속 유닛, 기지국 제어기, 또는 네트워크 상의 노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단말은 UE (User Equipment), MS (Mobile Station), 셀룰러폰, 스마트폰, 컴퓨터, 또는 통신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하향링크(Downlink; DL)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전송하는 신호의 무선 전송경로이고, 상향링크는(Uplink; UL)는 단말이 기국에게 전송하는 신호의 무선 전송경로를 의미한다. 또한, 이하에서 LTE 또는 LTE-A 시스템을 일예로서 설명할 수도 있지만, 유사한 기술적 배경 또는 채널형태를 갖는 여타의 통신시스템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A 이후에 개발되는 5세대 이동통신 기술(5G, new radio, NR)이 이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하의 5G는 기존의 LTE, LTE-A 및 유사한 다른 서비스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써 본 발명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일부 변형을 통해 다른 통신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를 들면,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이때,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부'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EN-DC(E-UTRA NR Dual connectivity)는 NSA 구조 중 하나로 LTE 셀을 지원하는 LTE 기지국 및 NR 셀을 지원하는 NR 기지국으로의 이중 접속(dual connectivity)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구조이다. 단말은 LTE 셀에 캠프 온(camp on)하여, 4G NAS 프로시저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LTE 셀 및 EPC(Evolved Packet Core)(4G 네트워크로 이해할 수 있다)를 통해 제어 시그널링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단말은 LTE 셀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NR 셀을 통해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 시스템에서 마스터 노드(Master Node, 이하 MN과 혼용 가능하다)와 세컨더리 노드(Secondary Node, 이하 SN와 혼용 가능하다)를 포함하는 독립적인 네트워크 엔티티(Network Entity, 이하 NE와 혼용 가능하다)간의 연결 관리 기능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이러한 연결관리를 통해 MN 기지국과 SN 기지국이 SN 추가(addition) 과 SN 릴리즈(release) 및 RRC(radio resource control) 릴리즈(Release)를 제어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MN이 LTE 기지국(또는 4세대 통신 시스템(이하 4G) 기지국 또는 E-UTRAN 또는 eNB(Evolved Node B))이고 SN이 NR(new radio 또는 next radio) 기지국(또는 5세대 통신 시스템(이하 5G) 기지국 또는 gNB(g Node B))인 경우(이를 EN-DC(E-UTRA NR Dual connectivity)라고 칭할 수 있다)를 가정하고 기술되나, 이 뿐만 아니라 4G 시스템 상의 LTE-DC (즉 LTE 기지국간 이중 연결) 또는 5G 시스템 상의 EN-DC나 NR-NR DC (즉 NR 기지국간 이중 연결) 및 유사 시스템에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는 이중 연결 시스템에서 아래와 같은 사항을 제안한다. 첫 번째로 본 발명은 MN의 RAT 내 측정(Inter-RAT(Radio Access Technology) Measurement) 설정 조건과 SN 추가를 수행하는 조건이 될 수 있는 MN 기지국의 버퍼(buffer) 상황 및 베어러(Bearer)의 QoS(quality of service)의 기준을 제시한다. 또한 SN 릴리즈를 수행하는 조건이 될 수 있는 MN 기지국이 모니터링하는 베어러의 QoS 현황의 기준 및 SN 기지국이 모니터링하는 SN 기지국 버퍼 상황의 기준을 제시한다.
두 번째로 본 발명은 MN 기지국과 SN 기지국이 SN 추가와 SN 릴리즈 및 RRC 릴리즈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비활성 타이머(User inactivity timer) 설정 동작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망 운용에 있어서의 고려 사항 중 우선 순위(일례로 단말 저전력 소모, 코어 망(Core Network)의 부하를 최소화, 지연 최소화 등)에 따라 SN 릴리즈의 시작 주체를 MN 기지국 또는 SN 기지국으로 선정하여 설정하고 해당 모드에 따른 제어 시그널링 절차(control Signalling Procedure)를 제안한다. 또한 사용자 비활성 타이머를 차별화하여 설정하는 방법과 상기 설정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그널링 절차를 제안한다. 이러한 타이머 차별화 설정 방법은 단말 카테고리(UE category), 베어러 별 서비스, 활성화 알림 레벨(Activity Notification Level) 기반 결정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인 MN은 Master Node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MeNB, MgNB, eNB와 혼용될 수 있다. 또한 SN은 Secondary Node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SeNB, SgNB, gNB와 혼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용어에 제한되지 않고 MN과 SN은 망에 연결되어 단말의 자원 할당을 수행하는 주체이며 본 발명의 단말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terminal, 셀룰러폰, 스마트폰, 컴퓨터, 또는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하향링크(Downlink, DL)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전송하는 신호의 무선 전송 경로이고, 상향링크(Uplink, UL)는 단말이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신호의 무선 전송 경로를 의미한다.
도 1은 이중 접속을 수행하는 MN과 SN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이중 접속 시스템은 MN(100)과 SN(110)으로 구성되어 있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 NR 시스템에서는 5G 기지국인 SN(100)(또는 gNB)가 CU-CP(central unit-control plane)(120), CU-UP(central unit-user plane)(130), DU(distributed unit)(140)의 3개의 NE로 분리되었다. 일례로 RRC(Radio Resource Control) PDCP(Packet Data Convegence Protocol), SDAP(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 프로토콜(protocol)은 CU에 위치할 수 있으며, RLC(Radio Link Control), MAC(Meduam Access Control), PHY(physical layer) 프로토콜은 DU에 위치할 수 있으며 CU-CP는 제어 플레인(control plane)에 관련된 NE로 구체적으로 연결 수립(connection setup), 모빌리티(mobility) alc 보안(security) 관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CU-UP는 유저 플레인(user plane)에 관련된 NE로 사용자의 데이터 송수신 관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5G 기지국의 기능 분리(function split)에 따라 NE 별로 각각 관련 파라미터가 설정되고 운용되게 되었다. 따라서 각 NE들은 독립적인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운용할 수 있으며 파라미터 설정과 상태를 보고하기 위한 NE 간 제어 시그널링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연결관리를 통해 MN기지국과 SN 기지국은 SN 추가 과 SN 릴리즈 및 RRC 릴리즈를 제어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RAT 내 측정 및 SN 추가를 지양하는 모드를 설정 지원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첫 번째로 MN이 고용량 데이터를 송수신할 경우에 한정해 SN을 추가하도록 제어하는 동작에 대해 기술한다. 아래 표 1은 이중 접속 시스템에서 MN이 SN 추가를 결정하는 모드(Mode)를 제안한 것이다. 상기 모드는 MN이 SN을 추가할지 결정하는 기준으로, 블라인드(Blind), 측정 (Measurement), 트래픽(Traffic) 기반의 세 가지 기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SgNB Addition(이하 SgNB 추가와 혼용될 수 있다) 동작을 수행할 지에 대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블라인드(Blind), 측정 (Measurement), 트래픽(Traffic) 기반의 세 가지 기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 설정을 고려하면 표 1과 같이 5개의 (SgNB 추가 모드를 포함하는) 모드가 존재한다. 이러한 모드는 셀(Cell) 별로 설정 가능하며, 또한 단말 그룹(Group) 별로 이러한 모드와 모드에 따른 별도의 기준값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FWA(fixed wireless access) 단말의 SPID(Service Profile Identifier) 정보를 기반으로 SN 추가를 위한 설정이 제어될 수 있다. 일례로, FWA 단말은 특정한 SPID를 할당받을 수 있고, SPID 정보를 기반으로 확인된 FWA 단말(또는 CPE(customer-premises equipment 또는 customer-provided equipment)에 대해서는 블라인드 추가 모드로 SN 추가가 수행되고 이동 단말(Mobile UE)의 경우 측정 기반으로 SN 추가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FWA 단말 또는 CPE 단말이 아니더라도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특정한 단말 제조사 및/또는 기종에 대해서도 이러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SPID 기반 해당 동작은 사업자 코어 망의 HSS(Home Subscriber Server) 또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가 EN-DC를 수행할 수 있는 단말(이하 EN-DC 단말)의 RFSP(RAT/Frequency Selection Priority)를 설정하는 동작이 필요하다. 기지국에서의 SPID는 HSS 또는 MME가 할당한 RFSP와 매핑될 수 있으며 기지국은 해당 RFSP 기반으로 SPID를 각각 타겟 주파수 대역(target frequency band)에 대해 시스템 파라미터로 입력한다(즉 단말의 SPID를 할당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단말의 SPID를 기반으로 단말의 종류가 확인될 수 있다.
모드 SN 추가 모드 동작 설명
1 블라인드(blind) 코로케이티드(Colocated) gNB 셀에 대하여 조건 없이 gNB를 추가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코로케이티드 gNB란 MeNB와 동일 또는 유사한 위치에 설치되어 단말에 대해 동일 또는 유사한 채널 상태를 가질 것으로 예상되는 셀을 제어하는 기지국을 의미한다)
2 블라인드(blind) 및 트래픽(traffic) 코로케이티드 gNB 셀에 대하여 트래픽이 임계값(threshold)를 넘을 경우에만 gNB를 추가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3 측정(measurement) 측정된 셀에 대하여 gNB를 추가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4 측정(measurement)
및 트래픽(traffic)
측정된 셀 및 트래픽이 임계값을 넘을 경우에 gNB를 추가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5 트래픽(traffic)
및 측정(measurement)
트래픽 조건이 임계값을 넘을 경우 측정을 설정하여 MN이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 MR)를 수신한 경우 SgNB를 추가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두 번째로 단말 저전력을 위한 동작을 기술한다.
이중 접속 단말의 경우 MN과 SN의 기지국 신호(이는 특히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상의 신호 포함할 수 있다)를 모두 모니터링하여야 하므로 단말 전력 소모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저용량 트래픽 지원 상황에서 SN 추가 지양 및 SN 릴리즈 제어를 통해 이러한 단말 전력 소모를 경감시킬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위하여 이전 표 1의 SN 추가 모드 2, 4 및 5가 설정될 경우 트래픽 상태를 기준으로 SN 추가를 판단하는 동작이 수행된다. 이러한 모드는 SN 추가 모드 1 및 3에 비교하여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임계값을 비교하는 구현 복잡도가 증가하나, 조건부로 SN 추가를 수행함으로써 이중 접속 단말의 전력 소모를 경감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SN 추가 모드 2에 따르면 기지국이 측정 설정을 하지 않으므로 기지국의 단말의 측정 보고 수신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지연 감소의 효과가 있다(이러한 점에서 블라인드 모드라고 칭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드에서는 MN 기지국은 코로케이티드 SN 셀에 대하여 트래픽이 임계값을 넘을 경우에만 SN 추가를 수행한다.
또한 SN 추가 모드 2, 4 및 5에 적용되는 트래픽 상태를 기준으로 SN 추가를 판단하는 방법을 아래에 기술한다. 이는 트래픽 용량이 일정 수준 이상일 경우 SgNB를 추가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트래픽 용량이 일정 수준 이상인지 판단하는 기준으로는 다음과 같은 기준이 있다.
- 통신 사업자가 설정한 기준(Bearer별 QCI(quality class identifier), ARP(Allocation and Retention Priority) 값)에 따라 SN addition(추가) 절차 이후에 SCG 베어러로 변경될 베어러들에 버퍼에 누적된 데이터 양이 임계값 이상일 경우
- 임계값 이상의 트래픽이 존재하는 베어러의 개수가 미리 정의된(pre-defined)된 개수 이상일 경우,
- 단말 전체의 트래픽으로 버퍼에 누적된 데이터 양이 임계값 이상일 경우
-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토콜 레이어(Protocol layer) 의 기준 시간당 입력(input) 트래픽 량이 임계값 이상일 경우
-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토콜 레이어의 기준 시간당 출력(out) 트래픽 량이 임계값 이상일 경우
본 발명에서는 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할 때 SgNB를 추가하는 동작을 트리거하는 동작을 아래에서 기술한다.
도 2는 EN-DC의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MN(100)은 E-UTRA(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및 NR PDCP(200) 및 NR PDCP(210), E-UTRA RLC(220) 및 E-UTRA MAC(240)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SN(110)은 NR PDCP(210), NR RLC(230) 및 NR MAC(250)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MCG(master cell group) 베어러는 E-UTRA 및 NR PDCP(200) 및 NR PDCP(210)을 통해 연결되어 E-UTRA RLC(220)으로 연결되고, SCG(secondary cell group) 베어러는 NR PDCP(210)을 통해 연결되어 NR RLC(230)으로 연결되며, 스플릿(split) 베어러는 NR PDCP(210)을 통해 연결되어 E-UTRA RLC(220) 및 NR RLC(230)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베어러 및 프로토콜 구조를 기반으로 상기 트래픽 상태는 BO(buffer occupancy)가 임계값 기준 이상인지를 바탕으로 판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트래픽 상태는 프로토콜 레이어 별 BO를 기준으로 판단될 수 있으며 각 프로토콜 레이어 별 BO는 아래 표 2에 따라 판단될 수 있다. DL 트래픽과 UL 트래픽 상태는 각각 표 2에 따른 프로토콜 레이어의 BO를 기반으로 판단된다.
Case DL 트래픽 상태 판단 프로토콜 레이어 UL 트래픽 상태 판단 프로토콜 레이어
1 PDCP PDCP
2 PDCP RLC
3 PDCP MAC
4 RLC PDCP
5 RLC RLC
6 RLC MAC
7 MAC PDCP
8 MAC RLC
9 MAC MAC
표 2의 내용의 일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case 3은 DL 트래픽 상태는 PDCP BO가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기반으로 판단하고, UL 트래픽 상태는 MAC BO가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기반으로 판단될 수 있으며, 또는 case 7은 DL 트래픽 상태는 MAC BO를 기반으로 판단하고, UL 트래픽 상태는 PDCP BO를 기반으로 판단하는 일례이다. 표 2는 DL 또는 UL 트래픽 상태를 하나의 프로토콜 레이어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를 기술하였으나, 표 2 외에도 DL 또는 UL 트래픽 상태를 2개 이상의 프로토콜 레이어의 BO의 조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DL 트래픽은 PDCP 및 RLC 를 기준으로 판단하고, UL 트래픽은 PDCP, RLC 및 MAC 모두를 고려하여 결정하는 방법 등을 포함한다.
해당 기준 각각 및 해당 기준의 조합을 기반으로, DL 또는 UL 트래픽 기준이 적어도 하나 만족될 때 또는 DL 또는 UL 모두 기준이 만족될 때, SN 추가가 MN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DL 트래픽 상태는 PDCP BO가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기반으로 판단하고, UL 트래픽 상태는 MAC BO가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기반으로 판단하여 SN 추가를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DL PDCP BO는 베어러 단위로 분리되어 동작하므로 베어러 별로 BO가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 가능하다. 따라서 BO가 임계값 이상인 베어러에 대해서만 SN 추가를 통해 (MCG 베어러에서) SCG 베어러로 베어러 타입 변경(bearer type change)이 수행될 수 있다. UL의 경우 MAC 레이어를 기준으로 판단할 경우 MAC에서는 BO의 베어러 별 구분이 되지 않으므로 UE 별로 전체 베어러에 대한 SN 추가를 통해 전체 베어러를 MCG 베어러에서 SCG 베어러로 베어러 타입 변경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SN 추가 모드 4 및 5에 대해 기술한다. SN 추가 모드 4 및 5는 MR기반 SN 추가 모드로, 상기 모드에서는 SN 추가 이전에 기지국이 단말에게 측정 설정(measurement configuration)을 수행하고 단말이 전송하는 MR를 기반으로 SN을 선택하여 추가를 수행한다.
따라서 해당 모드에서는 SN 추가 결정을 위해 트래픽 현황과 측정을 모두 고려하여 동작한다.
측정 조건과 트래픽 조건을 모두 만족할 경우에 SgNB를 추가하는 동작에 있어서는 측정 조건과 트래픽 조건을 적용하는 순서에 따라 SN 추가 모드 4 또는 5로 분류된다.
구체적으로 SN 추가 모드 4에서는 측정 수행 이후 트래픽 상태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확인한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SN 대상에 대한 측정을 설정하고, 단말은 설정된 측정 조건이 만족된 경우 측정을 수행하고 기지국으로 MR을 전송하며 이후 기지국은 트래픽 상태 조건을 확인하여 트래픽 상태가 임계값 이상일 경우 SgNB 추가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SN 추가 모드 5에서는 트래픽 상태 조건을 확인한 이후 기지국이 측정 설정을 수행한다. 기지국은 트래픽 상태 조건이 제1 임계값 이상일 경우 측정을 수행하도록 설정하고
트래픽 조건이 제2 임계값 이하일 경우 측정 설정을 해제한다. 또한 단말로부터 MR이 수신되었을 경우 기지국은 제3 임계값을 기준으로 하는 트래픽 상태 조건을 확인하고 트래픽 상태 조건이 만족될 경우 SgNB 추가를 수행한다.
SN 추가 절차의 지연을 감소시키고 SN 추가 이전에 측정을 설정하고 MR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기지국은 제3 임계값이 제1 임계값보다 크도록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임계값은 일례로 특정 프로토콜 레이어의 BO라든가 또는 특정 베어러의 트래픽 등 상기 기술되었던 판단 대상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통신망 운용 우선 순위에 따라 기지국은 단말 저전력을 위해서는 높은 트래픽 임계값을 설정하여 SN이 쉽게 추가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고용량 데이터 발생시 SN 추가 절차의 지연을 감소 시키기 위해서는 역시 높은 트래픽 임계값을 설정하여 SN이 쉽게 추가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측정 설정을 수행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제1 임계값과 제2 임계값은 동일한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MN이 SN을 대상으로 한 측정 설정 및 해제시 트래픽 상태의 기준이 되는 임계값을 설정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측정 설정 및 해제는 RRC 재설정(reconfiguration)으로 수행되므로, 기지국이 단말에 측정을 설정하거나 해제하는 RRC 재설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지 않으려면 측정 설정의 조건이 되는 제1 임계값(300)과 측정 설정 해제의 조건이 되는 제2 임계값 사이에 차분(delta)(330)가 존재할 수 있다. 이는 제1 임계 - 제2 임계값 = Delta 로 표현될 수 있다.
Delta 값은 네트워크의 트래픽의 특성에 따라 (변동(fluctuation)을 관찰하여) 기지국이 단말에 측정을 설정하거나 해제하는 RRC 재설정이 빈번하게 발생하지 않도록 설정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Delta 값은 단위 시간당 트래픽 변화량의 PDF(probability density function) 분산(variance) 값의 부하 지수(weight factor)값 등을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트래픽 변화량의 확률 분포상 분포 값이 큰 경우 이러한 변동을 보상하기 위해 더 큰 Delta 값을 설정해 불필요한 SN addition(추가) 및 SN 릴리즈가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핑퐁(ping-pong) 현상을 막기 위함이다.
[수학식 1]
Delta > Ax = Variance of (트래픽 at UE within Time window) * weight factor
이러한 Ax값은 고정 값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해당 단말의 이전 트래픽의 특성에 근거하여 고정 값으로 설정되거나, 해당 네트워크에 유사 단말 클래스(class)의 이전 트래픽의 특성에 근거하여 고정 값으로 설정되거나 또는 동적(Dynamic)으로 해당 단말의 이전 트래픽의 특성에 근거하여 값을 갱신하여 설정되거나 또는 해당 네트워크에 유사 단말 클래스의 이전 트래픽의 특성에 근거하여 값을 갱신하여 설정하는 방법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방법의 조합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제까지는 SN 추가 동작에 대하여 MN이 MN의 현재 트래픽을 기준으로 SN 추가를 수행하는 일례를 기술하였다. 이제부터는 저용량 데이터 서비스의 경우 MN 또는 SN이 SN 릴리즈를 제어하는 동작에 대해 기술한다.
도 4는 EN-DC 시스템에서 각 NE 별로 독립적으로 SN 추가 및 릴리즈 조건을 설정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MN(100)에서는 SN 추가 조건으로 제3 임계값(400)이 설정되고, SN 릴리즈 조건으로 제4 임계값(410)이 설정될 수 있으며, SN(110)에서는 SN 추가 조건으로 제3 임계값(400)이 설정되고 SN 해제 조건으로 제5 임계값(430)이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은 일례에 불과하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MeNB와 SgNB는 독립된 NE이므로 각 기지국을 위해 독립적으로 SN 추가를 위한 측정 및 SN 추가 동작 활성화를 위한 트래픽 양과 관련된 임계값이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불필요하게 SN 추가 및 SN 릴리즈 제어를 반복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MeNB에서 SN 추가 제어를 활성화 시키는 기준인 임계값 자체나 그 값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X2 인터페이스(450) 상으로 SgNB로 전송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또한 SN 릴리즈 동작은 SN에서 종료되는(SN terminated) 베어러들의 트래픽 상태를 SN이 파악할 수 있으므로 다음의 두 가지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첫 번째로 SN이 SN 릴리즈를 시작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두 번째로 SN이 SN 내의 트래픽 상태에 대해 MN에게 알림(Notification)을 수행하고 이를 기반으로 MN이 SN 릴리즈를 시작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SN 추가를 수행하기 위한 트래픽의 임계값인 제3 임계값과 SN 릴리즈를 수행하기 위한 트래픽의 임계값인 제4 임계값은 동일한 값인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기지국이 단말에 SN 추가 설정 및 SN 릴리즈 설정을 빈번하게 수행하지 않으려면 제3 임계값과 제4 임계값 사이에 차분(gamma)(420)가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SN 추가 및 릴리즈를 위한 트래픽 임계값을 설정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기지국이 단말에 SN 추가 및 SN 릴리즈 설정을 빈번하게 수행하지 않으려면 제3 임계값(500) - 제4 임계값(510) = gamma(520)의 차분을 설정할 수 있다. Gamma 값은 네트워크의 트래픽의 특성에 따라 (변동을 관찰하여) 기지국이 단말에 측정을 설정하거나 해제하는 RRC 재설정이 빈번하게 발생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gamma는 단위 시간당 트래픽 변화량의 PDF 분산(variance) 값의 부하 지수(weight factor)값 등을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수학식 2]
gamma > Bx = Variance of (트래픽 at UE within Time window) * weight factor
이러한 Bx 값은 미리 결정된 값을 설정하는 방법으로 해당 단말의 이전 트래픽의 특성에 근거하여 고정 값으로 설정되거나 해당 네트워크에 유사 단말 클래스의 이전 트래픽의 특성에 근거하여 고정 값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또는 동적으로 설정하는 방법으로 해당 단말의 이전 트래픽의 특성에 근거하여 값이 갱신되어 설정되거나 해당 네트워크에 유사 단말 클래스의 이전 트래픽의 특성에 근거하여 값이 갱신되어 설정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기술한 바에 따라 SN 추가를 수행하기 위한 트래픽 임계값인 제3 임계값과 SN 릴리즈를 수행하기 위한 트래픽 임계값인 제4 임계값 정보를 바탕으로 SN 릴리즈가 수행될 수 있다.
SN 릴리즈 동작은 SN에서 종료되는 베어러들의 트래픽 상태를 SN이 파악할 수 있으므로 SN이 SN 릴리즈를 시작하는 방법의 경우 SN은 MN이 설정하는 SN 추가를 수행하기 위한 트래픽량 임계값인 제3 임계값을 미리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MN은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3 임계값을 SN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는 MN이 제4 임계값을 설정하여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SN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SN 트래픽의 현재 특성을 MN이 직접적으로 파악할 수 없으므로 최적의 gamma값을 결정하기 어렵다.
SN이 SN 내의 트래픽 상태에 대해 MN에게 (SN 릴리즈 기준값 이하로 트래픽 양이 감소했음에 대한) 알림(Notification)을 수행하고 이를 기반으로 MN이 SN 릴리즈를 시작하여 수행하는 방법의 경우, SN은 MN이 설정하는 SN 추가를 수행하기 위한 트래픽의 임계값인 제3 임계값 정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MN이 SN에게 제3 임계값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앞서 기술한 임계값들은 단말 그룹 별로 별도의 값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FWA 단말의 SPID 정보를 기반으로 블라인드 SN 추가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SPID정보를 기반으로 FWA 단말과 이동 UE의 측정 설정 및 해제를 위한 임계값인 제1 임계값1, 제2 임계값, SN 추가 기능 활성화 기준 임계값인 제3 임계값, SN 릴리즈 기준 임계값인 제4 임계값(MN의 경우), 제5 임계값(SN의 경우)이 별도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값을 기반으로 FWA 단말과 이동 UE의 경우 서로 다르게 SN 추가 및 SN 릴리즈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SPID 기반 해당 동작은 사업자 코어 망의 HSS 또는 MME가 EN-DC 단말의 RFSP를 설정하는 동작이 필요하다. 기지국은 해당 RFSP기반으로 SPID를 각각 타겟 주파수\ 대역에 대해 시스템 파라미터로 입력한다. 상기 절차를 거쳐 MeNB는 단말 그룹 별 SPID정보를 획득하고, MeNB는 상기 SPID 정보를 SN 추가 동작 또는/및 SN 변경(modification) 동작시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SgNB에게 전송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높은 우선 순위(Higher priority)의 QoS 지원시 SN 추가 지양 및 SN 릴리즈를 수행 동작에 대해 기술한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VoLTE 등의 높은 우선 순위의 QoS 지원시 MN 링크의 자원 확보 및 높은 신뢰도(Reliability)를 안정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또한 SN 추가 지양 및 SN 릴리즈를 통해 MN 링크에서의 충분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확보하고 MeNB의 무선 자원을 확보하여 안정적으로 VoLTE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경우 상기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 높은 우선 순위의 기준이 되는 QoS 레벨(level)을 설정하고 해당 QoS 이상의 베어러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정되어 활성화(active)된 경우,
- 높은 우선 순위의 기준이 되는 QoS 레벨을 설정하고 해당 QoS 이상의 베어러가 N개 이상 설정된 경우,
- 높은 우선 순위의 기준이 되는 QoS 레벨을 설정하고 해당 QoS 이상의 베어러가 N개 이상 설정되어 M개이상 활성화된 경우,
이러한 QoS 레벨의 우선 순위는 QCI(QoS class identifier)로 판단될 수 있다. 일례로 높은 우선 순위의 기준이 되는 QoS 레벨이 QCI = 1(이하 기준 QoS 레벨)로 설정된 경우, QCI에 따라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일례로 QCI = 1인 경우 우선 순위는 2일 수 있다)에 따라 해당 QoS 이상의 베어러(즉 이는 QCI에 따른 우선 순위가 2보다 높은 베어러일 수 있다)가 판단될 수 있다. 또한 발명의 일 실시예로 높은 우선 순위의 QoS 지원을 VoLTE를 서비스 하는 경우(베어러 QCI = 1 기반)로 해석할 수 있다.
상기 예시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의 경우 EN-DC 시스템에서 SN 추가 이전에는 SN 추가 비활성화 동작이 수행될 수 있으며, SN 추가 이후에는 SN 릴리즈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EN-DC 시스템에서 해당 단말에 SN이 추가되기 전에 VoLTE (QCI=1 베어러) 설정 또는 상기 기술한 신규 설정된 DRB(data radio bearer)의 QCI를 기반으로 SN 릴리즈 동작이 수행되도록 기준을 설정한 경우, 이러한 조건이 만족된 경우 (SN 릴리즈는 일어날 수 없으므로) MeNB는 RAT 내 측정을 해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EN-DC 시스템에서 해당 단말에 SN이 추가되기 전에 VoLTE (QCI=1 베어러) 설정 또는 상기 기술한 신규 설정된 DRB의 QCI 기반 SN 릴리즈 동작이 수행되도록 기준을 설정한 경우, MeNB는 해당 단말이 블라인드 SN 추가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블라인드로 SN이 추가되는 동작을 비활성화(Disable)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EN-DC 시스템에서 해당 단말에 SN이 추가된 이후 VoLTE (QCI=1 베어러) 설정 또는 상기 기술한 신규 설정된 DRB의 QCI 기반 SN 릴리즈 동작이 수행되도록 기준을 설정한 경우,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첫 번째로 MeNB가 SN RELEASE REQUST 메시지를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SgNB에게 전송하여 SN 릴리즈가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MeNB는 SN 릴리즈 전에 SCG 베어러들을 MCG 베어러로 베어러 타입 변경을 수행하여 (중단 시간(interruption time)을 최소화 하여) UE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하도록 한다.
두 번째 방법은 SgNB가 SN RELEASE REQUSTED 메시지를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MeNB에게 전송하여 SN 릴리즈를 수행하는 방법이다. 이 때 MeNB는 SN 릴리즈 전에 SCG 베어러들을 MCG 베어러로 베어러 타입 변경을 수행하여 (중단 시간을 최소화하여) UE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하도록 한다. 따라서 SCG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는 SgNB 역시 SN RELEASE REQUSTED 메시지를 X2 인터페이스로 MeNB에게 전송하여 SN 릴리즈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세 번째로 MeNB는 SN 릴리즈 전에 SCG 베어러들을 MCG 베어러로 베어러 타입 변경을 수행하여 (중단 시간을 최소화하여) UE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하고자 제어한다. 이후 SCG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는 SgNB가 X2 인터페이스로 SgNB activity Notification 정보를 MeNB로 전송하면, MeNB는 SN RELEASE REQUST 메시지를 X2 인터페이스로 SgNB에게 전송하여 SN 릴리즈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사용자 비활성 타이머(User Inactivity Timer)를 서로 다르게(Differentiation) 설정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도 6은 EN-DC 시스템에서 각 NE 사이에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따르면 MeNB(100)과 SgNB(110)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X2 인터페이스(600)으로 SgNB Activity Notification (SgNB 활성 알림) 메시지(602)가 SgNB(110)으로부터 MeNB(100)으로 전송될 수 있다. SgNB(110)는 CU-CP(120), CU-UP(130) 및 DU(140)을 포함하며, CU-CP(120)에서는 signal inactivity timer (시그널 비활성 타이머)가 구동될 수 있으며, CU-UP(130)에서는 data inactivity timer (데이터 비활성 타이머)가 구동될 수 있다. CU-CP(120)과 CU-UP(130) 사이는 E1 인터페이스(610)으로 정의되며, CU-CP(120)은 CU-UP(130)으로 data inactivity timer value configuration (데이터 비활성 타이머 값 설정) 정보(612)를 전송할 수 있다. CU-CP(120)과 DU(140) 사이는 F1-C 인터페이스(620)로 정의되며 DU(140)는 CU-CP(120)으로 UE activity notification (단말 활성 알림) 메시지(622)를 전송할 수 있다. CU-UP(130)과 DU(140) 사이는 F1-U 인터페이스(630)으로 정의되며 DU(140)와 CU-UP(130)은 각각 data inactivity report (데이터 비활성 보고) 정보와 resume report (중단 보고)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MN 기지국(100)과 SN 기지국(110)은 SN 추가와 SN 릴리즈 및 RRC 릴리즈를 제어시, 통신망 운용 우선 순위(일례로 단말 저전력, 코어 망 부하 최소화, 지연 최소화 등) 중 선택에 따라 제어 모드를 설정하고 동작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7a는 SN 개시 SN 릴리즈를 위한 제어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에 따르면, MeNB(710)은 MeNB의 사용자 비활성 타이머(user inactivity timer)가 만료되었는지 판단한다(s710). 만약 그렇다면 MeNB(710)은 SgNB가 추가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720). 만약 그렇다면 MeNB(710)은 SgNB(720)으로부터 SN 릴리즈 필요 메시지(SGNB RELEASE REQUIRED)가 전송되는 것을 기다린다(s740). 또한 SgNB(720)는 SgNB의 사용자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되었는지 판단한다(s730). 만약 타이머가 만료되었다면 SgNB(720)은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MeNB(710)으로 SGNB RELEASE REQUIRED (SgNB 릴리즈 필요) 메시지를 전송한다(s750). 이를 수신한 MeNB(710)은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SGNB RELEASE CONFIRM (SgNB 릴리즈 확인) 메시지를 전송한다(s760). 이를 수신한 후 단말(700)과 SgNB(720), MeNB(710) 사이에서는 SN 릴리즈 절차가 수행된다(s770). 만약 s720에서 SgNB가 추가되어 있지 않다면 MeNB의 사용자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되었으므로 MeNB(710)와 단말(700)은 RRC 릴리즈 절차를 수행한다(s780).
도 7b는 SN 개시 SN 릴리즈를 위한 제어 절차 중 SN에 관련된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SgNB(720)은 MeNB(710)의 비활성 동작을 알 수 없기 때문에 MeNB(710)의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되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SN 개시 SN 해제 동작을 수행한다. 즉 SgNB(720)의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되면 MeNB(710)의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아도 SN 해제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SgNB(720)은 SGNB RELEASE required 메시지를 MeNB(710)으로 전송하고(s750), MeNB(710)은 이를 수신한 경우 조건 없이 SGNB RELEASE CONFIRM 메시지를 SgNB(720)으로 전송한다(s760). 이는 현재 기술에 따르면 MeNB(710)는 SgNB(720)이 전송하는 SGNB RELEASE required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MeNB(710)의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아도 확인(confirm)하여 SN 해제를 수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MeNB(710)의 비활성 타이머 잔여량과 무관하게 SN 해제가 수행되고 SN 해제 이후 B1 측정 설정(B1은 RAT 내의 이웃 셀의 채널 상태가 특정 임계값보다 좋은 경우를 의미한다)이 수행되어 단말이 측정 보고를 수행할 경우, 곧바로 SgNB가 다시 추가되고 SgNB의 비활성 타이머가 처음부터 다시 시작될 수 있다. 이러한 불필요한 SN 해제 및 추가 동작에 따른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 SgNB의 비활성 타이머를 특정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례로 SgNB의 비활성 타이머를 10초로 설정할 경우, 최소 10초간은 SN 해제 및 추가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이와 같이 SgNB의 비활성 타이머를 현재보다 큰 값으로 설정해 운용할 경우, 시그널링 오버헤드의 감소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법은 SN 추가(addition) 시 조건 없이 SN 추가가 수행될 경우, SN 절차를 위한 대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만약 SN 추가가 트래픽 기준으로 수행될 경우(즉 BO 등을 기준으로 수행될 경우), MeNB(710)가 임계값 이하의 BO에 해당할 경우 MeNB(710)은 SN 추가를 바로 수행하지 않으며 이후 MeNB(710)의 BO가 임계값을 초과하거나 또는 SN 추가가 가능한 후보 셀에 대한 측정 보고를 단말로부터 수신한 경우 SN 절차가 수행되게 된다.
도 8a는 MN 개시 SN 릴리즈(RELEASE)를 위한 제어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에 따르면, MeNB(810)은 MeNB의 사용자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되었는지 판단한다(s810). 만약 그렇다면 MeNB(810)은 SgNB가 추가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820). 만약 그렇다면 MeNB(810)은 SgNB(820)으로부터 SN 릴리즈 필요 메시지가 전송되는 것을 기다린다(s840). 또한 SgNB(820)는 SgNB의 사용자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되었는지 판단한다(s830). 만약 타이머가 만료되었다면 SgNB(820)은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MeNB(810)으로 SgNB activity notification (SgNB 활성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s850). 이를 수신한 MeNB(810)은 X2 인터페이스 상으로 SGNB RELEASE REQUEST (SGNB 릴리즈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s860), SgNB(820)는 SN RELEASE REQUEST ACKNOWLEDGE(SN 릴리즈 요청 수신 확인) 메시지를 MeNB(810)으로 전송한다(s870). MeNB(810)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후 단말(800)과 SgNB(820), MeNB(810) 사이에서는 SN 릴리즈 절차가 수행된다(s880). 만약 s820에서 SgNB가 추가되어 있지 않다면 MeNB의 사용자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되었으므로 MeNB(810)와 단말(800)은 RRC 릴리즈 절차를 수행한다(s890).
도 8b는 MN 개시 SN 릴리즈(RELEASE)를 위한 제어 절차 중 MN의 절차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8b에 따르면 SgNB(820)은 SgNB의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s830) SGNB Activity notification (SGNB 활성 알림) 메시지를 MeNB(810)으로 전송한다(s850). 구체적으로 SgNB(820)은 아래와 같은 경우 SGNB 활성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 SGNB 활성 알림 메시지는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메시지는 UE 별 SgNB 비활성 타이머 만료 여부(Active or Not active 지시를 메시지에 포함한다), 또는 DRB 별로 비활성 타이머 만료 여부 (Active or Not active 지시를 메시지에 포함한다), 또는 PDU 세션 별로 비활성 타이머 만료 여부(Active or Not active 지시를 메시지에 포함한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 UE의 모든 트래픽에 대한 시그널링 및 데이터 비활성 타이머가 모두 만료된 경우 SGNB 활성 알림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 UE의 모든 트래픽에 대한 시그널링 및 데이터 비활성 타이머의 만료 상태가 변화한 경우 (Active에서 Not active로 변경된 경우) SGNB 활성 알림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 적어도 하나 이상의 DRB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Active or Not active 지시를 포함하여) SGNB 활성 알림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 적어도 하나 이상의 DRB 비활성 타이머 만료 상태가 변경된 경우 SGNB 활성 알림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Active or Not active 지시가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 적어도 N개 이상의 DRB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Active or Not active 지시를 포함하여) SGNB 활성 알림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N 값은 미리 설정되거나 또는 정해져 있을 수 있다.
- 적어도 N개 이상의 DRB 비활성 타이머의 만료 상태가 변경된 경우 SGNB 활성 알림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Active or Not active 지시가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N 값은 미리 설정되거나 또는 정해져 있을 수 있다.
- 적어도 하나 이상의 PDU 세션에 대한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Active or Not active 지시를 포함하여) SGNB 활성 알림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 적어도 하나 이상의 PDU 세션에 대한 비활성 타이머 만료 상태가 변경된 경우 SGNB 활성 알림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Active or Not active 지시가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 적어도 N개 이상의 PDU 세션에 대한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Active or Not active 지시를 포함하여) SGNB 활성 알림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N 값은 미리 설정되거나 또는 정해져 있을 수 있다.
- 적어도 N개 이상의 PDU 세션 비활성 타이머 만료 상태가 변경된 경우 SGNB 활성 알림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Active or Not active 지시가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N 값은 미리 설정되거나 또는 정해져 있을 수 있다.
MeNB(810)는 수신된 SgNB 활성 알림 정보를 기반으로 MN 개시 SN 해제 동작 수행 여부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MeNB(810)은 SgNB 비활성 타이머 만료 여부(s852) 및/또는 MeNB 비활성 타이머 만료 여부(s854) 및/또는 MeNB의 BO와 임계값의 비교 결과(s856)를 기반으로 SN 해제 동작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MeNB(810)는 SgNB 비활성 타이머가 이미 만료된 상황이더라도 MeNB 비활성 타이머 만료 전에는 SN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이는 SN 해제 요청을 수행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후 MeNB(810)은 MeNB 비활성 타이머 만료 시 MN 개시 SN 해제 동작을 수행하고(s860) 이후 EN-DC 단말의 RRC 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MeNB(810)은 SN 해제 전 수행해야 하는 SN 종료 SCG 베어러(SN Terminated SCG bearer)를 MN 종료 MCG 베어러(MN terminated MCG bearer)로 베어러 타입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SN 해제 이전에 수행해야 하는 SN 종료 SCG 베어러를 MN 종료 MCG 베어러로 베어러 타입 변경을 수행하지 않고, EN-DC 단말의 RRC 해제 동작을 수행하며 바로 SN 종료 SCG 베어러를 포함한 모든 UE 베어러 설정 및 UE 컨텍스트를 삭제하는 절차가 수행된다. 이러한 UE 컨텍스트 삭제 절차는 S1 인터페이스 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로 SgNB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s852) MeNB(810)는 즉시 SN 해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MeNB의 BO가 임계값 이하가 되면 MeNB(810)는 MN 개시 SN 해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로 SgNB 비활성 타이머가 이미 만료된 상황이더라도 MeNB(810)의 BO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s852, s856) MeNB(810)은 SN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즉 MeNB(810)은 SN 해제 요청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후 MeNB의 BO가 임계값 이하가 되면 MeNB(810)는 MN 개시 SN 해제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EN-DC 시스템에는 4개의 비활성 타이머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사용자 비활성 타이머와 혼용될 수 있다. eNB 상의 시그널링 비활성 타이머(Signaling inactivity timer) 및 데이터 비활성 타이머(Data inactivity timer)가 모두 만료될 경우 MeNB가 비활성이라고 결정될 수 있으며, gNB의 CU-CP 상의 시그널링 비활성 타이머(Signaling inactivity timer) 및 gNB의 DU 상의 데이터 비활성 타이머(Data inactivity timer)가 모두 만료될 경우 SgNB가 비활성이라고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MeNB와 SgNB가 모두 비활성으로 결정될 경우 RRC 해제 조건이 만족된다.
아래에서는 MN 개시(MN initiated) SN 릴리즈와 SN 개시(SN initiated) SN 릴리즈 모드 설정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첫 번째 방법으로, 코어 망의 제어 부담 감소를 위한 SN 릴리즈 지양 모드 제어를 기술한다. SN 추가 및 릴리즈는 MME와 MeNB 사이의 베어러 타입 변경을 위한 S1 및 코어 망 제어 시그널링 송수신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잦은 SN 추가 및 릴리즈는 잦은 제어 시그널링 송수신의 원인이 되므로 코어 망의 제어 부담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EN-DC 시스템은 SgNB 의 단말 비활성 타이머 만료 이후에도 SN이 추가된 상태를 지속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대신 SN에 의한 단말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SN(또는 SgNB)는 C-DRX(Connected Mode Discontinuous Reception)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C-DRX는 RRC 연결(RRC connected) 상태에서 데이터를 비연속적으로 수신하는 것으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때 SgNB의 CU-UP는 SgNB의 DU에 동일한 트래픽 비활성 타이머(traffic inactivity timer)값을 값을 설정한다. 이러한 트래픽 비활성 타이머는 단말의 저전력 소모를 위한 C-DRX 개시 및 단말의 PDCCH 모니터링 중지를 결정하기 위한 타이머이다. 마지막으로 도착한 패킷(last arrived packet)을 기준으로 트래픽 비활성 타이머 값을 리셋(reset)하는 동작을 통하여 CU와 DU는 트래픽 비활성 타이머에 대한 상태 보고(status report) 없이 해당 타이머의 만료 여부를 상호 획득할 수 있다. 즉 CU-CP와 DU는 트래픽 비활성 타이머 설정 값으로 동일한 값을 사용함으로써 CU-UP와 DU가 F1 인터페이스를 통해 트래픽 상태 정보를 공유하지 않더라도 트래픽 상태(active, not active)를 서로 알 수 있다. SgNB DU는 트래픽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되면 C-DRX를 설정하여 단말 저전력 동작을 지원한다.
이 때 SgNB CU는 SgNB 비활성 타이머(SgNB inactivity timer)가 만료되는 경우, SgNB 활성 알림 메시지를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MeNB로 전송한다. SgNB 활성 알림 메시지에는 SgNB의 활성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SgNB 비활성 타이머는 도 8의 사용자 비활성 타이머로 이해될 수 있다.여기서 SgNB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된다는 것은 SgNB의 시그널링 비활성 타이머(signalling inactivity timer)와 데이터 비활성 타이머(Data inactivity timer) 모두가 만료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SgNB는 SgNB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는 경우에도 미리 설정된 주기(pre-defined periodicity)를 기반으로 SgNB 활성 알림 메시지를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MeNB로 전송할 수 있다.
현재 기술에 따르면 MeNB는 SGNB RELEASE REQUIRED 메시지를 X2 인터페이스 상으로 수신하면 SgNB로 SGNB RELEASE CONFIRM만을 전송할 수 있다. REJECT 메시지가 표준 기술 상으로 지원되지 않으며, 따라서 SN이 개시하는 SN 릴리즈는 MN이 거절할 수 없으며 SN 릴리즈가 수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동작에 따르면 SN 릴리즈 이후 재차 추가가 수행될 수 있으므로 코어 망과 MeNB에서의 베어러 설정에 따른 제어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
또한 MN 개시 SN 릴리즈 모드에서는 X2 인터페이스로 전송되는 SgNB 활성 알림 메시지를 참고하여 MeNB가 SgNB의 DRB 별, PDU 세션(PDU(protocol data unit) session) 별, UE 별 비활성 정보를 알 수 있다. 또한 만약 SN에 트래픽이 존재하는 경우 MeNB가 EN-DC 단말을 RRC 연결 모드로 유지하여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각 기지국에 대한 아래의 SN 릴리즈에 대한 모드 설정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 및 사업자가 요구하는 성능에 따른 EN-DC 시스템의 성능 향상이 가능하다.
모드 1) SgNB가 SgNB 비활성 타이머 만료시 SN 개시 SgNB RELEASE required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을 지원하는 방법
모드 2) MeNB가 SgNB 활성 알림 메시지의 정보를 기반으로 MN 개시 SgNB 릴리즈를 제어하는 방법,
모드 3) SgNB와 MeNB 모두 SgNB 릴리즈를 요청 가능하도록 두 모드를 지원하는 방법,
독립 NE인 SgNB와 MeNB가 독립적으로 설정되고 운용되므로 각각 상기 기술한 3가지 모드 중 하나의 동작이 가능하다. 모드 3으로 동작하는 경우, MN이나 SN중 어느 쪽이 먼저 요청하더라도 SN 릴리즈가 가능하다.
첫 번째로 SgNB가 SN 릴리즈 수행시 가능한 동작을 기술한다. SgNB는 UE 별로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으면 SN 릴리즈를 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DRB 별로 판단되어 임계값 이하의 트래픽을 가지는 DRB의 개수에 기반하거나,미리 결정된 QCI에 해당하는 DRB 개수에 기반할 수 있으며 또는 이러한 판단 기준의 조합에 기반할 수 기반할 수 있다. SgNB PDCP BO 기반으로 SN 릴리즈 개시 여부가 판단될 경우 PDCP BO가 임계값 이하이면 SN 개시 SN 릴리즈만 가능할 수 있다. 이 때 SN 릴리즈 이전에 베어러 타입 변경이 SCG 베어러에서 MCG 베어러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SgNB 에 트래픽이 존재할 때도 조건부로 SN 릴리즈가 수행될 수 있다. 만약 SgNB가 임계값 이하의 트래픽을 서비스할 경우, SCG 베어러를 MCG 베어러로 변경한 후 SN 릴리즈가 수행될 수 있다.
MeNB가 베어러 타입 변경 동작을 수행시, SN에서 종료되는 SCG 베어러(SN terminated SCG bearer)를 MN에서 종료되는 MCG 베어러(MN terminated MCG bearer)로 변경시 DRB별 트래픽 유무를 기반으로, QCI에 따른 우선 순위가 높은 트래픽의 경우 데이터 포워딩으로 인한 지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제어를 수행한다. 즉 우선 순위가 높은 QCI의 경우 성능 저하를 막기 위해 베어러 타입 변경 동작 수행시 이러한 점을 고려한다.구체적인 예를 들면, DRB 별 트래픽 유무를 기반으로, QCI에 따른 우선 순위가 높은 트래픽의 경우 데이터 포워딩으로 인한 지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베어러 타입 변경 동작이 해당 QCI의 요구 지연보다 긴 경우 MeNB는 베어러 타입 변경이 수반되는 SN Release(릴리즈) 절차를 해당 QCI 베어러의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연기하고, 이후 SgNB 활성 알림(Activity Notification)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이후 다시 SN 릴리즈 제어 여부를 결정하여 동작할 수 있다.
두 번째로 MeNB가 SN 릴리즈 수행시 가능한 동작을 기술한다. SN에서 종료되는 SCG 베어러를 MN에서 종료되는 MCG 베어러로 변경시 상기 기술한 동작 방법에 따를 수 있다. 또한 UE 별로 판단하였을 때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으면 SN 릴리즈를 개시할 수 있다. 또는 DRB 별로 판단되어 임계값 이하의 트래픽을 가지는 DRB의 개수에 기반하거나 미리 정의된
QCI에 해당하는 DRB 개수가 임계값 이하인 조건 만족시 MeNB는 SN 릴리즈를 개시할 수 있다.
또는 SgNB 비활성 타이머 만료 이후에도 SN을 해제하지 않고 유지할 수 있다. 이는 베어러 타입 변경 동작을 미수행함으로써 코어 망의 부하(X2 인터페이스 및 MME와 eNB 사이의 S1 인터페이스의 시그널링 로드) 방지가 가능한 방법이다. 이러한 경우 SgNB는 C-DRX로 동작하여 단말 저전력 소모를 도모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래에서는 단말 카테고리 별 사용자 비활성 타이머를 차별화 설정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일례로 이러한 방법은 FWA 단말과 Mobile 단말의 비활성 타이머를 SPID 정보를 기반으로 서로 다르게 설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SPID 기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업자 코어 망의 HSS 또는 MME가 EN-DC 단말의 RFSP를 설정하는 동작이 필요하며, 기지국은 해당 RFSP 기반으로 SPID를 각각 타겟 주파수 대역에 대해 시스템 파라미터 로 입력한다. 상기 절차를 거쳐 MeNB는 단말 카테고리 별(또는 단말 그룹 별) SPID 정보를 획득하고, MeNB는 SgNB로 상기 SPID 정보를 SN 추가 동작 및/또는 SN 변경 동작시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SgNB에게 전송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SgNB의 각 NE가 사용자 비활성 타이머를 설정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첫 번째로 SgNB의 CU-CP는 UE 별, DRB 별, PDU 세션 별 최적의 비활성 타이머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결정을 위한 정보가 CU-CP에만 존재하고 CU-UP는 이러한 정보를 알 수 없으므로 CU-CP가 해당 설정을 수행한다. 이 때 CU-CP는 UE 카테고리, 베어러 별 서비스, 활성 알림 레벨 등을 기반으로 타이머 설정값을 결정한다. 또한 CU-UP는 E1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CU-CP가 CU-UP에 비활성 타이머 설정값을 전송하여 CU-UP 타이머 설정을 수행한다.
단말 카테고리 별 비활성 타이머 차별화 설정은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비활성 타이머는 DRB 별, UE 카테고리 별로 설정될 수 있으며 UE 카테고리는 FWA 단말과 일반 이동 UE로 구분될 수 있다. 또는 이러한 구분은 IMEI/SV(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software version) 또는 RSVP (SPID) 기반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MeNB는 SN 추가(X2 인터페이스 상의 SGNB ADDITION REQUEST) 또는/및 SN 변경(X2 인터페이스 상의 SGNB MODIFICATION REQUEST)수행시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셀 그룹 설정 정보(CG-config Info) 내의 SPID IE 정보를 SgNB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통해 해당 단말에 대해 CU-UP에서는 별도 데이터 비활성화 타이머가 설정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eNB가 수행하는 SN 추가 동작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따르면, MeNB는 셀 또는 단말 카테고리 또는 단말 그룹 별로 설정된 SgNB 추가 모드를 확인한다. 상기 SgNB 추가 모드는 표 1에 따른 모드 중 하나이다. MeNB는 확인된 SgNB 추가 모드를 기반으로 측정 설정 및/또는 gNB 추가 조건을 확인한다. 일례로 모드 1의 경우 조건 없이 gNB가 추가될 수 있으며, 모드 2의 경우 gNB를 추가하는 기준이 되는 트래픽 임계값을 확인하며, 모드 5의 경우 측정 설정을 수행하는 제1 임계값, 측정 설정을 해제하는 제2 임계값 및 gNB를 추가하는 제3 임계값을 확인한다. 이 때 트래픽 임계값은 표 2에 따라 프로토콜 레이어 별 BO를 기준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후 MeNB는 상기 확인된 조건이 만족된 경우 단말에 측정 설정 및/또는 SN 추가 절차를 수행한다.
또한 도 9에 기술된 동작은 VoLTE 가 설정된 경우 또는 높은 우선 순위의 QoS 레벨 설정시 비활성화 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기술된 동작은 모든 동작이 도 9에 기술된 순서대로 동작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 동작이 생략되거나 그 순서가 변경되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기술된 동작은 본 발명에 대해 앞서 기술된 내용과 결합되어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eNB가 수행하는 SN 릴리즈 동작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따르면, MeNB는 SN 추가를 수행하기 위한 트래픽 임계값(이는 제3 임계값으로 칭해질 수 있다)을 결정하고(1000), 이를 SgNB로 전송할 수 있다(1010). 또한 이 때 MeNB는 SN 추가를 수행하기 위한 트래픽 임계값과 함께 SN 릴리즈를 수행하기 위한 트래픽 임계값(이는 제4 임계값으로 칭해질 수 있다)를 결정하고, SgNB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MeNB는 SgNB로부터 SgNB 활성 알림(SgNB activity notification) 메시지를 수신하고(1020), SN 릴리즈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030). 이러한 조건 만족 여부는 SgNB 활성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 SgNB의 트래픽의 양, SgNB에 임계값 이하의 트래픽을 가지는 DRB의 수, 미리 결정된 QCI에 해당하는 DRB의 수, VoLTE 설정 여부 등 앞서 기술된 기준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SN 릴리즈 조건이 만족되었다면 MeNB는 현재 존재하는 SCG 베어러를 MCG 베어러로 베어러 타입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1040). 현재 SCG 베어러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이러한 절차는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이후 MeNB는 SgNB로 SGNB RELEASE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해 SN 릴리즈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1050). 만약 1030 단계에서 SN 릴리즈 조건이 만족되지 않았다면 SN 릴리즈 절차가 종료되어 SgNB는 유지될 수 있으며, 이 때 SgNB는 C-DRX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도 10에 기술된 동작은 모든 동작이 도 10에 기술된 순서대로 동작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 동작이 생략되거나 그 순서가 변경되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기술된 동작은 본 발명에 대해 앞서 기술된 내용과 결합되어 수행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gNB가 수행하는 SN 릴리즈 동작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따르면, SgNB는 SN 릴리즈를 위한 트래픽 임계값 및 비활성 타이머 설정값을 확인한다(1110). 상기 트래픽 임계값은 MeNB로부터 전송되었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으며, 비활성 타이머 설정값은 CU-CP에 의해 UE 별, DRB 별, PDU 세션 별로 CU-CP를 위한 시그널링 비활성 타이머 설정값 및 CU-UP를 위한 데이터 비활성 타이머 설정값이 설정될 수 있다. CU-CP는 상기 확인된 데이터 비활성 타이머 값을 CU-UP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확인된 값에 따라 시그널링 비활성 타이머 및 데이터 비활성 타이머의 값 중 적어도 하나(또는 전부)가 만료되면(1110) SgNB는 SN 릴리즈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120). 이러한 조건 만족 여부는 SgNB 활성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 SgNB의 트래픽의 양, SgNB에 임계값 이하의 트래픽을 가지는 DRB의 수, 미리 결정된 QCI에 해당하는 DRB의 수, VoLTE 설정 여부 등 앞서 기술된 기준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SN 릴리즈 조건이 만족되었다면 SCG 베어러를 MCG 베어러로 변경하는 베어러 타입 변경이 수행된다(1130). 이러한 단계는 SCG 베어러가 없다면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이후 SgNB는 SGNB RELEASE REQUIRED 메시지를 MeNB에 전송해 SN 릴리즈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1140).
1130 단계에서 SN 릴리즈 조건이 만족되지 않았다고 판단될 경우 SgNB는 유지될 수 있으며 이 때 SgNB는 C-DRX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도 11에 기술된 동작은 모든 동작이 도 11에 기술된 순서대로 동작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 동작이 생략되거나 그 순서가 변경되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기술된 동작은 본 발명에 대해 앞서 기술된 내용과 결합되어 수행될 수 있다. .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gNB가 수행하는 비활성 타이머 설정 동작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 따르면, SgNB의 CU-CP는 비활성 타이머 설정을 위한 정보를 확인한다(1200). 이러한 정보의 적어도 일부는 MeNB로부터 전송된 것일 수 있다. CU-CP는 시그널링 비활성 타이머 및 데이터 비활성 타이머의 설정값을 결정한다(1210). CU-CP는 UE (카테고리) 별, DRB 별, PDU 세션 별로 비활성 타이머의 설정값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 때 UE 카테고리, 베어러 별 서비스, 활성 알림 레벨 등을 기반으로 비활성 타이머의 설정값이 결정될 수 있다. 특히 UE 카테고리의 경우 SPID, RSVP 및 IMEI/SV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확인될 수 있다. CU-CP는 결정된 데이터 비활성 타이머의 설정값을 CU-UP로 전송한다(1220).
도 12에 기술된 동작은 모든 동작이 도 12에 기술된 순서대로 동작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 동작이 생략되거나 그 순서가 변경되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기술된 동작은 본 발명에 대해 앞서 기술된 내용과 결합되어 수행될 수 있다. 도 13은 MeNB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3에 따르면, MeNB(1300)는 송수신부(1310), 제어부(1320), 메모리(1330) 및 백홀 연결부(13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부(1310)는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제어 정보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송수신부(13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13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320)로 출력하며 제어부(132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백홀 연결부(1340)는 SgNB를 포함하는 다른 기지국 및 코어 망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제어 정보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20)은 본 발명에 기술된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도록 송수신부(1310) 및 백홀 연결부(134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20)는 백홀 연결부(1340)를 통해 SgNB와 본 발명에 기술된 메시지를 송수신하며, 임계값을 결정하고 SN 추가 및 릴리즈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결정을 위해 메모리(133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4은 SgNB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4에 따르면, SgNB(1400)는 송수신부(1410), 제어부(1420), 메모리(1430) 및 백홀 연결부(14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420)는 CU-CP 제어부(1422), CU-UP 제어부(1424) 및 DU 제어부(1026)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광의의 제어부가 CU-CP, CU-UP 및 DU를 모두 제어할 수 있다.
송수신부(1410)는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제어 정보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송수신부(14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14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420)로 출력하며 제어부(142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백홀 연결부(1440)는 MeNB를 포함하는 다른 기지국 및 코어 망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제어 정보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20)은 본 발명에 기술된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도록 송수신부(1410) 및 백홀 연결부(144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20)는 백홀 연결부(1440)를 통해 MeNB와 본 발명에 기술된 메시지를 송수신하며, 임계값을 결정하고 SN 추가 및 릴리즈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결정을 위해 메모리(143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5는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5에 따르면 단말(1500)는 송수신부(1510), 제어부(1520) 및 메모리(1530)로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부(1510)는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송수신부는 MeNB와 SgNB와 동시에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4G 통신 및 5G 통신 시스템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제어 정보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송수신부(15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15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520)로 출력하며 제어부(152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520)은 본 발명에 기술된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도록 송수신부(151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20)는 MeNB로부터 측정 설정을 수신한 경우 MR을 MeNB로 전송할 수 있으며, MeNB 및 SgNB와 SN 추가 및 릴리즈, RRC 릴리즈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133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어러 타입 변경과 SN 릴리즈 동작을 지양하는 동작을 통해 코어 망 부하 (X2, S1 인터페이스의 제어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방지될 수 있으며, 베어러 타입 변경, SN 릴리즈 및 SN 추가, RRC 릴리즈 절차 수행시 발생하는 중단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중 접속 단말의 경우 MN과 SN의 기지국 신호를 모두 모니터링하여야 하므로 단말의 전력 소모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저용량 트래픽 지원 상황에서 SN 추가 지양 및 SN 릴리즈 동작을 통해 이러한 단말 전력 소모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동작을 통해 MN 링크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 확보가 가능하며, VoLTE 등의 높은 우선 순위의 QoS를 가진 서비스를 지원할 경우 MN 링크의 자원 확보 및 신뢰도 있는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 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Claims (24)

  1. 통신 시스템의 제1 기지국의 방법에 있어서,
    이중 접속 동작을 위해 제2 기지국을 추가하기 위해 설정된 추가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추가 모드를 기반으로 제2 기지국의 추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기지국을 추가하기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제2 기지국을 추가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추가 모드는 블라인드 추가, 트래픽 기준 추가 및 측정 보고 기준 추가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 중 하나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기준 추가는 임계값 이상의 트래픽이 존재하는 베어러의 개수가 미리 정의된 개수 이상인지 여부,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토콜 레이어의 기준 시간당 입력 트래픽 양 또는 출력 트래픽 양이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 또는 특정 프로토콜 레이어의 BO(buffer occupancy)가 임계값 이상일 경우 상기 제2 기지국을 추가하기로 판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프로토콜 레이어의 BO가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는 하향링크 트래픽의 경우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BO를 기준으로 판단되고, 상향링크 트래픽의 경우 MAC(media access control) BO를 기준으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제2 기지국이 추가되어 있는 경우, 제2 기지국 릴리즈를 개시할 수 있는 주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기지국이 제2 기지국 릴리즈를 수행할 수 있는 주체로 설정된 경우,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되었을 경우, 제2 기지국 릴리즈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기지국 릴리즈 조건이 만족되었다면 제2 기지국 릴리즈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 릴리즈 조건 만족 여부는 트래픽 임계값, 상기 단말의 카테고리, 특정 우선 순위의 QoS(quality of service)를 가진 베어러(bearer)의 설정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 릴리즈 조건이 만족되고 제2 기지국에서 종료되는 SCG(secondary cell group) 베어러가 존재할 경우, 상기 SCG 베어러를 제1 기지국에서 종료되는 MCG(master cell group) 베어러로 변경하는 베어러 타입 변경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통신 시스템의 제2 기지국의 방법에 있어서,
    이중 접속 동작 중 제2 기지국 릴리즈를 개시할 수 있는 주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기지국이 제2 기지국 릴리즈를 수행할 수 있는 주체로 설정된 경우,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되었을 경우, 제2 기지국 릴리즈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기지국 릴리즈 조건이 만족되었다면 제2 기지국 릴리즈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 릴리즈 조건 만족 여부는 트래픽 임계값, 상기 단말의 카테고리, 특정 우선 순위의 QoS(quality of service)를 가진 베어러(bearer)의 설정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 릴리즈 조건이 만족되고 제2 기지국에서 종료되는 SCG(secondary cell group) 베어러가 존재할 경우, 상기 SCG 베어러를 제1 기지국에서 종료되는 MCG(master cell group) 베어러로 변경하는 베어러 타입 변경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 타이머는 시그널링 비활성 타이머 및 데이터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만료되었다고 판단되며,
    상기 시그널링 비활성 타이머의 설정값 및 데이터 비활성 타이머의 설정값은 상기 제2 기지국에 포함된 CU-CP(central unit-control plane)에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CU-CP는 상기 결정된 데이터 비활성 타이머의 설정값을 CU-UP(central unit-user plane)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비활성 타이머 및 데이터 비활성 타이머의 설정값은 단말, 베어러 및 PDU(procotol data unit) 세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통신 시스템의 제1 기지국에 있어서,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송수신부;
    제2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백홀 연결부; 및
    이중 접속 동작을 위해 상기 제2 기지국을 추가하기 위해 설정된 추가 모드를 확인하고, 상기 추가 모드를 기반으로 제2 기지국의 추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기지국을 추가하기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제2 기지국을 추가하는 절차를 수행하도록 설정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추가 모드는 블라인드 추가, 트래픽 기준 추가 및 측정 보고 기준 추가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 중 하나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기지국.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기준 추가는 임계값 이상의 트래픽이 존재하는 베어러의 개수가 미리 정의된 개수 이상인지 여부,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토콜 레이어의 기준 시간당 입력 트래픽 양 또는 출력 트래픽 양이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 또는 특정 프로토콜 레이어의 BO(buffer occupancy)가 임계값 이상일 경우 상기 제2 기지국을 추가하기로 판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기지국.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프로토콜 레이어의 BO가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는 하향링크 트래픽의 경우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BO를 기준으로 판단되고, 상향링크 트래픽의 경우 MAC(media access control) BO를 기준으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기지국.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2 기지국이 추가되어 있는 경우, 제2 기지국 릴리즈를 개시할 수 있는 주체를 확인하고, 상기 제1 기지국이 제2 기지국 릴리즈를 수행할 수 있는 주체로 설정된 경우,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되었을 경우, 제2 기지국 릴리즈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제2 기지국 릴리즈 조건이 만족되었다면 제2 기지국 릴리즈 절차를 수행하도록 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기지국.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 릴리즈 조건 만족 여부는 트래픽 임계값, 상기 단말의 카테고리, 특정 우선 순위의 QoS(quality of service)를 가진 베어러(bearer)의 설정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기지국.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기지국 릴리즈 조건이 만족되고 제2 기지국에서 종료되는 SCG(secondary cell group) 베어러가 존재할 경우, 상기 SCG 베어러를 제1 기지국에서 종료되는 MCG(master cell group) 베어러로 변경하는 베어러 타입 변경 절차를 수행하도록 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기지국.
  19. 통신 시스템의 제2 기지국에 있어서,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송수신부;
    제1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백홀 연결부; 및
    이중 접속 동작 중 제2 기지국 릴리즈를 개시할 수 있는 주체를 확인하고, 상기 제2 기지국이 제2 기지국 릴리즈를 수행할 수 있는 주체로 설정된 경우,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되었을 경우, 제2 기지국 릴리즈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제2 기지국 릴리즈 조건이 만족되었다면 제2 기지국 릴리즈 절차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기지국.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 릴리즈 조건 만족 여부는 트래픽 임계값, 상기 단말의 카테고리, 특정 우선 순위의 QoS(quality of service)를 가진 베어러(bearer)의 설정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기지국.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기지국 릴리즈 조건이 만족되고 제2 기지국에서 종료되는 SCG(secondary cell group) 베어러가 존재할 경우, 상기 SCG 베어러를 제1 기지국에서 종료되는 MCG(master cell group) 베어러로 변경하는 베어러 타입 변경 절차를 수행하도록 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기지국.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 타이머는 시그널링 비활성 타이머 및 데이터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만료되었다고 판단되며,
    상기 시그널링 비활성 타이머의 설정값 및 데이터 비활성 타이머의 설정값은 상기 제2 기지국에 포함된 CU-CP(central unit-control plane)에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기지국.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CU-CP는 상기 결정된 데이터 비활성 타이머의 설정값을 CU-UP(central unit-user plane)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기지국.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비활성 타이머 및 데이터 비활성 타이머의 설정값은 단말, 베어러 및 PDU(procotol data unit) 세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기지국.

KR1020180144848A 2018-11-21 2018-11-2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05974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848A KR20200059747A (ko) 2018-11-21 2018-11-2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EP19210569.0A EP3657902A3 (en) 2018-11-21 2019-11-21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6/690,740 US20200163144A1 (en) 2018-11-21 2019-11-21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201911149565.5A CN111212484A (zh) 2018-11-21 2019-11-21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和接收信号的方法和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848A KR20200059747A (ko) 2018-11-21 2018-11-2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747A true KR20200059747A (ko) 2020-05-29

Family

ID=68653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4848A KR20200059747A (ko) 2018-11-21 2018-11-2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00163144A1 (ko)
EP (1) EP3657902A3 (ko)
KR (1) KR20200059747A (ko)
CN (1) CN11121248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57811B2 (en) * 2018-12-14 2021-07-06 T-Mobile Usa, Inc. Bearer selection for dual connectivity cellular systems
US11272445B2 (en) * 2019-03-27 2022-03-08 Ofinno, Llc Power state transition in the presence of uplink traffic
US11356880B2 (en) * 2019-04-25 2022-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new radio (NR) communication in an electronic device
US10834774B1 (en) * 2019-06-25 2020-11-10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ystem and method for indicating coverage types for user devices in dual connectivity wireless networks
US11252017B2 (en) * 2019-07-22 2022-02-1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acilitating management of secondary cell group failures in fifth generation (5G) or other advanced networks
US11785657B2 (en) * 2020-02-24 2023-10-10 Qualcomm Incorporated UE assistance information for dual connectivity
WO2022021246A1 (zh) * 2020-07-30 2022-02-0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基于条件的辅节点或主辅小区添加方法及设备
CN114258155B (zh) * 2020-09-21 2023-10-27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网络连接控制方法、装置、主基站及辅基站
US11265943B1 (en) 2020-10-13 2022-03-01 Sprint Spectrum L.P. Use of fading as basis to control whether to use blind addition or rather threshold-based addition when configuring dual connectivity
US11539830B2 (en) * 2020-10-29 2022-12-2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acilitation of display of 5G icons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icons
KR20230106383A (ko) * 2022-01-06 2023-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7336874A (zh) * 2022-06-22 2024-01-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资源管理方法、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38920B2 (en) * 2010-01-20 2012-08-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triggering measurements of other radio access technologies (RATS)
KR20140102112A (ko) * 2013-02-13 2014-08-21 주식회사 케이티 스몰셀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방법 및 장치
KR20150020510A (ko) * 2013-08-12 2015-02-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통신 시스템의 이중 연결성의 제공 방법
KR102311030B1 (ko) * 2014-01-17 2021-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연결에서의 특별한 Scell 선택의 처리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10342066B2 (en) * 2014-11-07 2019-07-02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dual connectivity management
KR102301836B1 (ko) * 2015-02-27 2021-09-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SCell의 동적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306823B1 (ko) * 2015-03-11 2021-09-29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면허 도움 접속 기술 활용 시 기지국의 데이터 스케쥴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EP3171632B1 (en) * 2015-10-28 2019-10-16 HTC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of handling communication failure
WO2017108135A1 (en) * 2015-12-23 2017-06-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ffic characteristic indication for connection establishment control
US10848977B2 (en) * 2016-11-02 2020-11-24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Dual connectivity with licensed assisted access
EP3322254A1 (en) * 2016-11-11 2018-05-16 Nokia Technologies Oy Connection control for dual connectivity and interworking in wireless networks
WO2018202777A1 (en) * 2017-05-04 2018-11-08 Nokia Technologies Oy Communication apparatus in dual connectivity, method and computer program
WO2018222418A1 (en) * 2017-06-02 2018-12-06 Motorola Mobility Llc Determining data available for transmission
EP3711447A1 (en) * 2017-11-14 2020-09-23 IDAC Holdings, Inc. Operating dual connectivity in an inactive state
US11792701B2 (en) * 2017-11-16 2023-10-17 Nokia Technologies Oy Terminal device specific handover paramet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57902A2 (en) 2020-05-27
US20200163144A1 (en) 2020-05-21
EP3657902A3 (en) 2020-11-04
CN111212484A (zh) 2020-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5974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645505B1 (ko)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US11330653B2 (en) Mobility robustness and spatial reliability using multi-connectivity
KR10254122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105120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bas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54486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
CN114009087B (zh) 终端
KR20160105075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SCell의 동적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230087340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mote interference manag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4009092B (zh) 终端
CN114009081B (zh) 终端
CN114009082B (zh) 终端
US20230127705A1 (en) Link failure monitoring at a multi-sim device in a wireless network
US20230217338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40040741A (ko) 비-독립형 또는 이중 접속을 위한 사용자 장비 (ue) 보조 종단 선택
CN114009085B (zh) 终端
CN116134882A (zh) 测量报告定时调整
WO2021029075A1 (ja) 端末及び通信方法
WO2023132273A1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US20240188159A1 (en) Network Node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s for Handling Secondary Cell Group Operation Mod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20230088622A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and network
WO2020140290A1 (zh) 无线通信方法及设备
CN116636259A (zh) 用于用户装备功率节省的技术
CN118104375A (zh) 针对连接状态的控制信道调整
CN116762385A (zh) 终端以及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