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9349A - 검색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검색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9349A
KR20200059349A KR1020180143480A KR20180143480A KR20200059349A KR 20200059349 A KR20200059349 A KR 20200059349A KR 1020180143480 A KR1020180143480 A KR 1020180143480A KR 20180143480 A KR20180143480 A KR 20180143480A KR 20200059349 A KR20200059349 A KR 20200059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list
information
server
service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경희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3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9349A/ko
Publication of KR20200059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3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보다 빠르게 상세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검색 서비스 방법이 개시된다. 이러한 검색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검색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받은 키워드로부터 검색어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검색어 리스트를 이용하여 검색 서버에서의 검색을 통해 생성된 검색 결과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결과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검색하기 위한 키워드만 입력하기만 해도, 해당 키워드와 관련된 다양한 검색어들을 직접 입력하거나 클릭하는 번거로움 없이 해당 검색어들에 따라 검색된 검색 정보들을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검색 서비스 방법{SEARCH SERVICE METHOD}
본 발명은 검색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검색어에 의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검색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검색을 원하는 사용자들은 자신의 스마트폰 또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인터넷 검색 포털 서버에 접속하여 검색어를 입력하여 자신이 원하는 검색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00898호(2008년 1월 3일)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검색어에 따른 검색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넷 검색 정보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임의의 회사원이 자기 부서의 회식 장소 검색을 위해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회식'을 입력하게 되면, 인터넷 검색 포털 서버는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에서 '회식'에 대한 검색 결과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해당 회사원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표시된 검색 결과를 확인하여 회식 장소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인터넷 검색 포털 서버에 의해 추출된 검색 결과는 복수의 검색 결과들이 리스트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때, 해당 회사원은 해당 검색 결과에 포함된 복수의 검색 결과들을 하나씩 클릭하면서 각 검색 결과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일반 사용자가 임의의 검색어를 입력하여 일차적으로 검색하면 해당 검색어에 따라 검색 결과들을 리스트 형태로 확인할 수 있고, 이후 상기 검색 결과들을 각각 클릭하면서 각 상세 정보를 다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검색어의 입력 및 각 검색 결과들을 각각 클릭하는 과정을 거쳐야 함으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보다 빠르게 상세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검색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검색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받은 키워드로부터 검색어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검색어 리스트를 이용하여 검색 서버에서의 검색을 통해 생성된 검색 결과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결과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검색 서비스 방법은 상기 검색 패턴 정보를 생성 또는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색 패턴 정보를 생성 또는 업데이트하는 단계에서는, 사용자의 검색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검색 패턴 정보를 자동으로 생성 또는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검색 패턴 정보를 생성 또는 업데이트하는 단계에서는, 입력받은 패턴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검색 패턴 정보를 생성 또는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기 검색 서비스 방법은 상기 검색 서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색 서버를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입력받은 서버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검색 서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검색어 리스트는 검색어 A를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의 검색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검색 결과 리스트는 상기 검색 서버에서 상기 검색어 A에 따라 검색되어 추출된 검색 정보 A를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의 검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색 정보 A는 상기 검색 서버에서 상기 검색어 A에 따라 검색되어 추출된 검색 결과를 요약한 내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색어 리스트는 복수의 검색어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검색 결과 리스트는 상기 검색 서버에서 상기 검색어들에 따라 각각 검색되어 추출된 복수의 검색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검색 결과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검색 정보들을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검색 결과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에서는, 스크롤 방식으로 상기 검색 정보들을 일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검색 결과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에서는, 화면 전환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검색 정보들을 화면 하나씩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검색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받은 키워드로부터 검색어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검색어 리스트를 이용하여 검색 서버에서의 검색을 통해 생성된 검색 결과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결과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와 신호를 주고받는 검색 서비스 모듈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검색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입력된 키워드로부터 검색어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검색어 리스트를 이용하여 검색 서버에서의 검색을 통해 생성된 검색 결과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결과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검색 서버는 상기 검색 서비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검색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가 키워드로부터 복수의 검색어들로 구성된 검색어 리스트를 생성하여 검색한 후 복수의 검색 정보들로 구성된 검색 결과 리스트를 표시함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검색하기 위한 키워드만 입력하기만 해도, 해당 키워드와 관련된 다양한 검색어들을 직접 입력하거나 클릭하는 번거로움 없이 해당 검색어들에 따라 검색된 검색 정보들을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검색 서비스 시스템을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검색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검색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검색 서비스 방법 중 키워드를 입력하는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5는 도 3의 검색 서비스 방법에서 키워드, 검색어 리스트 및 검색 결과 리스트 간의 관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3의 검색 서비스 방법 중 검색 결과 리스트를 표시한 일 예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7은 도 3의 검색 서비스 방법 중 검색 결과 리스트를 표시한 다른 예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 부호를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과장하여 도시한 것일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A와 B가'연결된다', '결합된다'라는 의미는 A와 B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결합하는 것 이외에 다른 구성요소 C가 A와 B 사이에 포함되어 A와 B가 연결되거나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방법 발명에 대한 특허청구범위에서, 각 단계가 명확하게 순서에 구속되지 않는 한, 각 단계들은 그 순서가 서로 바뀔 수도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검색 서비스 시스템을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검색 서비스 시스템은 임의의 사용자 단말기(100) 및 적어도 하나의 검색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및 상기 검색 서버(200)는 인터넷을 통해 서로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검색 서버(200)에 접속하여 검색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전자 장치로, 예를 들어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과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이거나, 노트북 및 데스크탑 등과 같은 컴퓨터 시스템일 수 있다.
상기 검색 서버(200)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으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버 시스템으로, 예를 들어 네이버, 다음, 네이트 등과 같은 인터넷 검색 포털 서버일 수 있다.
이하, 상기 검색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검색 서비스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도 1의 검색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검색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검색 서비스 방법 중 키워드를 입력하는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그림이며, 도 5는 도 3의 검색 서비스 방법에서 키워드, 검색어 리스트 및 검색 결과 리스트 간의 관계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6은 도 3의 검색 서비스 방법 중 검색 결과 리스트를 표시한 일 예를 도시한 그림이며, 도 7은 도 3의 검색 서비스 방법 중 검색 결과 리스트를 표시한 다른 예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방법으로, 우선,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가 검색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검색 서비스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실행하거나, 기 설치된 상기 검색 서비스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S10).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검색 서비스 프로그램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입력 행위에 의해 상기 검색 서비스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도 있지만, 단말기로 전원이 인가되어 최초로 구동될 때 자동으로 상기 검색 서비스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한 스마트 디바이스일 경우, 상기 검색 서비스 프로그램은 검색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일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가 검색 패턴 정보를 생성하거나, 기 생성된 상기 검색 패턴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경우, 상기 검색 패턴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S20).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복수의 검색어들을 입력하거나, 검색어의 입력에 따른 검색 결과 리스트 내에 다시 선택할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복수의 검색어들의 입력, 일차 검색된 결과 리스트 내에서 선택 결과 확인 등을 포함하는 검색 이력 정보를 생성 또는 업데이트하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가 이렇게 누적되어 저장된 상기 검색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검색 패턴 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거나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직접 패턴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검색 패턴 정보를 생성하거나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된 상기 패턴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검색 패턴 정보를 새롭게 생성하거나 변경하여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가 검색이 실제로 수행될 상기 검색 서버(200)를 결정할 수 있다(S30).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는 복수의 검색 포털 서버들 중에서 실제 검색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를 선택하여 해당 서버를 상기 검색 서버(200)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서버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검색 서버(200)를 새롭게 결정하거나 변경하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가 사용자의 입력 행위에 의해 키워드를 입력받을 수 있다(S40).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회식'이라는 키워드를 입력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저장되어 있는 상기 검색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키워드로부터 검색어 리스트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S50).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검색어 리스트를 외부로 표시시킬 수 있으나, 외부로 표시하지 않고 단지 잠시 또는 일정 시간 저장만 하고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검색어 리스트는 복수의 검색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키워드가 '회식'일 경우, 상기 검색어 리스트는 '판교맛집'이라는 검색어 A, '판교점심'이라는 검색어 B, '판교회식'이라는 검색어 C, '판교술집'이라는 검색어 D, '판교소고기'이라는 검색어 E, '동판교맛집'이라는 검색어 F, 및 '서판교맛집'이라는 검색어 G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가 상기 검색어 리스트를 이용하여 상기 검색 서버(200)에서의 검색을 통해 생성된 검색 결과 리스트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S60).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검색 서버(200)에 접속한 후 상기 검색어 리스트에 포함된 검색어들에 따라 각각 검색을 수행하여, 상기 검색 서버(200)로부터 상기 검색어들에 따른 검색 정보들을 수신하여, 상기 검색 결과 리스트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검색 결과 리스트는 상기 검색어들에 따른 검색 정보들, 예를 들어 검색어 A에 따른 검색 정보 A, 검색어 B에 따른 검색 정보 B, 검색어 C에 따른 검색 정보 C, 검색어 D에 따른 검색 정보 D, 검색어 E에 따른 검색 정보 E, 검색어 F에 따른 검색 정보 F, 및 검색어 G에 따른 검색 정보 G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검색 정보들 각각은 상기 검색 서버(200)에서 각 검색어에 따라 검색되어 추출된 검색 결과를 요약한 내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각 검색어에 따라 검색된 검색 결과 내에서 요약 정보만을 전송받거나, 상기 검색 결과를 모두 전송받은 후 단말기 내에서 요약 정보를 추출하여, 각 검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가 상기 검색 결과 리스트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S70). 즉,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가 상기 검색 결과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검색 정보들을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우선,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도 6과 같이 스크롤 방식으로 상기 검색 정보들을 일 방향으로, 예를 들어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상측으로 밀어 올리면서 상기 검색 정보들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도 7과 같이 화면 전환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검색 정보들을 화면 하나씩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좌측으로 밀어내면서 상기 검색 정보들을 한 화면에 하나씩 순차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검색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의 검색 서비스 프로그램과 연계되어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검색 서비스 모듈(30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검색 서비스 프로그램에 따른 검색 서비스 방법은 도 1 또는 도 2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내에서만 의해 수행될 수 있지만, 상기 검색 서비스 모듈(300)에 의해 제어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검색 서비스 모듈(300)은 도 8과 같이 상기 검색 서버(200)와 별도로 구비되는 서버 시스템일 수도 있지만, 도 9와 같이 상기 검색 서버(200) 내에 포함된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검색 서비스 모듈(300)은 임의의 검색 포털 서버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 상기 검색 서버(200)는 자동으로 해당 검색 포털 서버로 결정되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워드로부터 복수의 검색어들로 구성된 검색어 리스트를 생성하여 검색한 후 복수의 검색 정보들로 구성된 검색 결과 리스트를 표시함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검색하기 위한 키워드만 입력하기만 해도, 해당 키워드와 관련된 다양한 검색어들을 직접 입력하거나 클릭하는 번거로움 없이 해당 검색어들에 따라 검색된 검색 정보들을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사용자 단말기 200 : 검색 서버
300 : 검색 서비스 모듈

Claims (14)

  1.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검색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검색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받은 키워드로부터 검색어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검색어 리스트를 이용하여 검색 서버에서의 검색을 통해 생성된 검색 결과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결과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색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패턴 정보를 생성 또는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서비스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패턴 정보를 생성 또는 업데이트하는 단계에서는,
    사용자의 검색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검색 패턴 정보를 자동으로 생성 또는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서비스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패턴 정보를 생성 또는 업데이트하는 단계에서는,
    입력받은 패턴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검색 패턴 정보를 생성 또는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서비스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서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서비스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서버를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입력받은 서버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검색 서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서비스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어 리스트는
    검색어 A를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의 검색어를 포함하고,
    상기 검색 결과 리스트는
    상기 검색 서버에서 상기 검색어 A에 따라 검색되어 추출된 검색 정보 A를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의 검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서비스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정보 A는
    상기 검색 서버에서 상기 검색어 A에 따라 검색되어 추출된 검색 결과를 요약한 내용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서비스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어 리스트는
    복수의 검색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검색 결과 리스트는
    상기 검색 서버에서 상기 검색어들에 따라 각각 검색되어 추출된 복수의 검색 정보들을 포함하며,
    상기 검색 결과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검색 정보들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서비스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에서는,
    스크롤 방식으로 상기 검색 정보들을 일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서비스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에서는,
    화면 전환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검색 정보들을 화면 하나씩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서비스 방법.
  12.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되는 검색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검색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받은 키워드로부터 검색어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검색어 리스트를 이용하여 검색 서버에서의 검색을 통해 생성된 검색 결과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결과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색 서비스 방법.
  13. 사용자 단말기와 신호를 주고받는 검색 서비스 모듈에 의해 수행되는 검색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검색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입력된 키워드로부터 검색어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검색어 리스트를 이용하여 검색 서버에서의 검색을 통해 생성된 검색 결과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결과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색 서비스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서버는
    상기 검색 서비스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서비스 방법.
KR1020180143480A 2018-11-20 2018-11-20 검색 서비스 방법 KR202000593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480A KR20200059349A (ko) 2018-11-20 2018-11-20 검색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480A KR20200059349A (ko) 2018-11-20 2018-11-20 검색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349A true KR20200059349A (ko) 2020-05-29

Family

ID=70912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480A KR20200059349A (ko) 2018-11-20 2018-11-20 검색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93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6488A1 (ko) * 2021-12-10 2023-06-15 쿠팡 주식회사 페이지 정보 제공을 위한 동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6488A1 (ko) * 2021-12-10 2023-06-15 쿠팡 주식회사 페이지 정보 제공을 위한 동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1281B2 (en) Populating values in a spreadsheet using semantic cues
US201501697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arch results
US10810600B2 (en) Using multi-factor context for resolving customer service issues
US20090049010A1 (en) Method and system to enable domain specific search
US10331441B2 (en) Source code mapping through context specific key word indexes and fingerprinting
JP2008226061A (ja) 画像のタグ指定装置および画像検索装置ならびにそれらの動作制御方法およびそれらのコンピュータを制御するプログラム
US20070156649A1 (en) Source-context aware object-based navigation
US10459744B2 (en) Interactive hotspot highlighting user interface element
JP6648283B2 (ja) 人工知能ベースの関連度計算を用いたノート提供方法及び装置
CN110941779A (zh) 加载页面的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10089412B2 (en) Method of and system for processing a search query
US11151217B2 (en) Dynamic contextual library
US20160147897A1 (en) Method, system and terminal for performing search in a browser
CN116594683A (zh) 一种代码注释信息生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2013225181A (ja) 情報レコメンド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10038496A (ko) 키워드 관계 구조를 이용한 동의어 추출 방법 및 시스템
JP2022544830A (ja) 複数プロバイダの検索応答の検証と統合
KR20200059349A (ko) 검색 서비스 방법
CN111158998A (zh) 一种埋点数据的显示方法及装置
US9236049B2 (en) Mash-up service generation apparatus and method based on voice command
KR20200097949A (ko) 키워드 관계 구조를 이용한 동의어 추출 방법 및 시스템
CN114546220A (zh) 页面配置方法及装置、存储介质、计算机设备
US20180173729A1 (en) Microservice architecture for an analytic data access layer
US9779387B2 (en) Business-to-business document user interface and integration design
AU2017227739A1 (en) Automated testing method for application program user interface, electronic device, system,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