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8969A - 음료 제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음료 제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8969A
KR20200058969A KR1020180143728A KR20180143728A KR20200058969A KR 20200058969 A KR20200058969 A KR 20200058969A KR 1020180143728 A KR1020180143728 A KR 1020180143728A KR 20180143728 A KR20180143728 A KR 20180143728A KR 20200058969 A KR20200058969 A KR 20200058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pressure
container
controller
ferme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웅
이경빈
홍진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3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8969A/ko
Priority to EP19209715.2A priority patent/EP3670435B1/en
Priority to US16/689,586 priority patent/US11459224B2/en
Publication of KR20200058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89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67D1/123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to determine the total amount
    • B67D1/1243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to determine the total amount comprising flow or pressure sensors, e.g. for controlling pump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3/00Brewing device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C12C1/00 - C12C12/04
    • C12C13/10Home brew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67D1/0412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the whole dispensing unit being fixed to the container
    • B67D1/0425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the whole dispensing unit being fixed to the container comprising an air pump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67D1/0412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the whole dispensing unit being fixed to the container
    • B67D1/0425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the whole dispensing unit being fixed to the container comprising an air pump system
    • B67D1/0431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the whole dispensing unit being fixed to the container comprising an air pump system power-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67D1/0412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the whole dispensing unit being fixed to the container
    • B67D1/0437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the whole dispensing unit being fixed to the container comprising a gas pressure space within the container for th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2Devices for controlling the dispens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2Devices for controlling the dispensing conditions
    • B67D1/0884Means for controlling the parameters of the state of the liquid to be dispensed, e.g. temperature,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8Means comprising electronic circuitry (e.g. control panels, switching or control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67D1/120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for ratio control purposes
    • B67D1/1222Pressure ga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47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67D2001/0087Dispensing valves being mounted on the dispenser housing
    • B67D2001/0089Dispensing valves being mounted on the dispenser housing operated by lev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67D2001/0475Type of gas or gas mixture used, other than pure CO2
    • B67D2001/0487Mixture of gases, e.g. N2 + CO2
    • B67D2001/0493Ai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음료가 수용된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갖는 발효조, 레버의 조작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음료가 취출되는 음료 취출기, 상기 컨테이너와 상기 음료 취출기를 연결하는 음료 취출채널, 상기 음료 취출채널에 배치된 음료 취출밸브,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및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온 됨을 감지하면, 상기 컨테이너에 수용된 음료가 상기 음료 취출기를 통해 취출되도록 상기 음료 취출밸브를 오픈시키고, 상기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음료의 취출량을 산출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료 제조기 및 그의 제어 방법{BEVERAGE MAK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음료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의 취출 시 취출량의 산출 및 에어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음료 제조기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료는 술이나 차 등의 음용 가능한 액체를 총칭한다. 예컨대, 음료는 갈증을 해결하기 위한 물(음료수), 독특한 향과 맛을 갖는 과즙음료, 청량감을 주는 청량음료, 각성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기호음료, 또는 알코올 효과가 있는 알코올 음료 등 다양한 카테고리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음료의 대표적인 예로서 맥주가 있다. 맥주는 보리를 싹틔워 만든 맥아(麥芽. 엿기름)로 즙을 만들어 여과한 후, 홉(hop)을 첨가하고 효모로 발효시켜 만든 술이다.
소비자는 맥주제조회사에서 제조하여 판매하는 기성품을 구입하거나 가정 또는 술집에서 맥주의 재료를 직접 발효시킨 하우스맥주(또는 수제맥주)를 음용할 수 있다.
하우스맥주는 기성품보다 다양한 종류로 제조될 수 있고, 소비자 취향에 맞게 제조될 수 있다.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는 물과, 맥아, 홉(hop), 이스트, 향 첨가제 등 일 수 있다.
이스트는 효모라 불릴 수 있고, 맥아에 첨가되어 맥아를 발효시킬 수 있고 알코올과 탄산을 생성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향 첨가제는 과일이나 시럽, vanilla beans와 같이 맥주의 맛을 높이는 첨가물이다.
통상적으로 하우스 맥주는 맥즙생성단계, 발효단계, 숙성단계의 총 3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맥즙생성단계에서 숙성단계까지 2주에서 3주 정도 소요될 수 있다.
하우스 맥주는 발효 단계시 최적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고, 간편하게 제조될수록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최근에는 가정이나 술집에서 손쉽게 하우스 맥주를 제조할 수 있는 음료 제조기가 점차 사용되는 추세이고, 이러한 음료 제조기는 안전하고 간편하게 맥주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발효조 내의 발효 컨테이너에 수용된 음료의 취출 시, 유량 감지 센서 없이도 취출량을 산출할 수 있는 음료 제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상기 음료의 취출 시 발효 컨테이너를 가압하기 위한 에어 펌프를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음료 제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컨테이너에 수용된 음료가 음료 취출기를 통해 취출되는 동안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음료의 취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컨테이너 내부에 유량 센서와 같은 별도의 센서가 구비되지 않고도, 음료 제조기에 구비된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음료의 취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음료 제조기는 상기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압력을 기준 시간마다 측정하고, 측정된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시간마다의 취출량을 연속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음료 제조기는, 기준 시간마다 측정되는 압력을 이용하여, 특정 시점에 측정된 압력과, 상기 특정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 이전 측정된 압력의 평균 압력을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시간 동안의 취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음료 제조기는 산출된 취출량에 기초하여 상기 컨테이너에 수용된 음료의 잔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취출량 또는 잔량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취출량 또는 잔량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음료 제조기는 발효조와 상기 컨테이너 사이의 공간으로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 펌프를 제어하여,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압력이 제1 기준 압력보다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음료가 원활히 취출되지 못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음료 제조기는 상기 에어 펌프의 구동 중 측정된 압력이 제2 기준 압력보다 높아지는 경우 상기 에어 펌프를 오프시킴으로써, 컨테이너 내부의 압력이 과다함에 따른 손상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음료 제조기는 음료의 취출이 종료된 후에도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압력을 소정 압력으로 조절함으로써, 추후 음료의 원활한 취출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음료 제조기는 내부에 유량을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음료의 취출 중 측정되는 압력 및 시간을 통해 취출량 및 잔량을 효과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음료 제조기는 산출된 취출량 및 잔량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음료의 취출량 및/또는 잔량에 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음료 제조기의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음료 제조기는 음료의 취출 중 발효 컨테이너 내부의 압력이 소정 압력보다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에어 펌프를 제어함으로써, 음료의 원활한 취출이 지속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음료 제조기는 음료의 취출이 종료된 후에도 발효 컨테이너 내부의 압력을 소정 압력으로 유지함으로써, 추후 취출 시에도 음료가 원활히 취출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음료 취출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제어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음료 취출량 산출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음료 제조기가 음료의 취출 중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8은 음료 제조기가 음료의 취출 종료 후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음료 취출 시 에어펌프를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0 내지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음료 제조기의 동작과 관련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음료 제조기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음료로서 맥주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음료 제조기를 이용하여 제조 가능한 음료의 종류가 맥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종류의 음료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구성도이다.
음료 제조기는 발효 모듈(1)을 포함할 수 있다. 발효 모듈(1)에서는 음료의 발효가 진행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발효 모듈(1)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급수모듈(5)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 모듈(5)는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음료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재료가 수용되는 재료 수용부(31)(32)(33)가 형성된 재료 공급기(3)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급수 모듈(5)과 발효 모듈(1)을 연결하는 메인 채널(41)(42)을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발효 모듈(1)에서 제조 완료된 음료를 외부로 취출하는 음료 취출기(6)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취출기(6)는 제2메인 채널(42)에 연결될 수 있고, 이로써 발효 모듈(1)에서 취출된 음료가 제2메인 채널(42)의 일부를 통과하여 음료 취출기(6)로 안내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가스배출기(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스배출기(7)는 발효 모듈(1)에 연결되어, 음료의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 주입기(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 주입기(8)는 급수 모듈(5) 또는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될 수 있다. 에어 주입기는 에어 펌프(82)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발효조(112)의 내벽과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 사이의 압력을 조절하는 에어 조절기(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서브 채널(9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채널(91)은 급수 모듈(5)과 음료 취출기(6)를 연결할 수 있다.
이하, 발효 모듈(1)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발효 모듈(1)은 개구부가 형성된 발효조 모듈(111)과,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발효 리드(107)를 포함할 수 있다.
발효조 모듈(111)은 발효 케이스(160)와, 발효 케이스(160)에 수용되고 내부공간(S1)이 형성된 발효조(112)를 포함할 수 있다. 발효 케이스(160)와 발효조(112) 사이에는 단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발효조 모듈(111)은 발효 리드(107)가 안착되는 리드 안착바디(17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효 케이스(160) 및 발효조(112)는 각각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발효 케이스(160)는 발효조 모듈(111)의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
발효 리드(107)는 발효조 모듈(111) 내부를 밀폐시키는 것으로서, 발효조모듈(111)의 상측에 배치되어 개구부를 덮을 수 있다. 발효 리드(107)에는 메인 채널, 좀 더 상세하게는 제2메인 채널(42)과 연결되는 메인 채널 연결부(115)가 마련될 수 있다.
발효조(112)의 내부에는 발효 컨테이너(12)가 수용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음료 재료 및 완성된 음료가 발효조(112)의 내벽에 뭍지 않도록 별도로 구비되는 용기일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발효조(112)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발효조(112)의 내부에 안착되어 발효조(112) 내부에서 음료를 발효시킬 수 있고, 사용이 완료된 후, 발효조(112)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내부에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가 수용된 팩일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어, 발효조(112)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압력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가능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효 컨테이너(12)가 페트(pet)의 재질을 갖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발효 컨테이너(12)의 내부에는 음료 재료가 수용되고 음료가 제조되는 음료 제조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발효조(112)의 내부 공간(S1)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내부에 재료가 수용된 상태에서 발효조(112)로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발효 리드(107)가 개방된 상태에서, 발효조(112) 내부로 삽입되어 발효조(112)에 수용될 수 있다.
발효 리드(107)는 발효 컨테이너(12)가 발효조(112) 내부로 삽입된 후 발효조(112)를 밀폐시킬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은 발효조(112)와 발효 리드(107)에 의해 밀폐된 내부 공간(S1)에 수용된 상태에서 재료의 발효를 도울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음료의 제조가 진행되는 동안 그 내부의 압력에 의해 팽창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내부에 담겨있던 음료가 취출되고 발효조(112)의 내면과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 사이로 에어가 공급되면, 발효조(112) 내부의 에어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한편, 발효조(112) 내로 발효 컨테이너(12)가 수용되고 발효 리드(107)가 클로즈됨에 따라, 발효 리드(107)의 메인 채널 연결부(115)는 제2메인 채널(42)과 발효 컨테이너(12) 내부의 음료 제조공간(S2)을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료의 제조 시 급수모듈(5)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상기 제2메인 채널(42) 및 상기 메인 채널 연결부(115)를 통해 발효 컨테이너(12)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또한,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된 재료는 상기 제2메인 채널(42) 및 상기 메인 채널 연결부(115)를 통해 발효 컨테이너(12)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또한, 발효 컨테이너(12) 내에서 제조 완료된 음료는, 상기 메인 채널 연결부(115), 상기 제2메인 채널(42), 및 음료 취출채널(61)을 통과하고, 디스펜서(62)를 통해 외부로 취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 제조기는 개폐 가능한 발효 리드(107)에 형성된 메인 채널 연결부(115)를 통해, 음료의 제조 시 공급되는 물 및 재료가 발효 컨테이너(12) 내로 투입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음료 제조기는 메인 채널 연결부(115)를 통해, 음료의 취출 시 발효 컨테이너(12)에 수용된 음료가 디스펜서(62)로 취출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음료 제조기는, 개폐 가능한 발효 리드(107)에 형성된 메인 채널 연결부(115)를 통해 물, 재료, 음료가 투입 또는 취출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제2메인 채널(42)과 발효 컨테이너(12) 사이의 연결을 위한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발효조(112)는 발효 케이스(16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발효조(112)의 외둘레 및 저면은 발효 케이스(160)의 내면과 이격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발효조(112)의 외둘레는 발효 케이스(160)의 내둘레와 이격될 수 있고, 발효조(112)의 외측 저면은 발효 케이스(160)의 내측 저면과 이격될 수 있다.
발효 케이스(160)와 발효조(112) 사이에는 단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열부는 발효 케이스(160) 내부에 위치하고 발효조(112)를 둘러쌀 수 있다. 이로써 발효조(112)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단열부는 단열성능이 높고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발포 폴리스티렌이나 폴리우레탄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발효조(112)에는 발효조(112)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6)가 구비될 수 있다.
온도 센서(16)는 발효조(112)의 둘레면에 장착될 수 있다. 온도 센서(16)는 발효조(112)에 감긴 증발기(134)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 온도 조절기(11)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온도 조절기(11)는 발효조 모듈(111)의 내부 온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온도 조절기(11)는 발효조(112)의 온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온도조절기(11)는 발효조(112)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것으로서, 음료 발효를 위한 최적 온도로 발효조(112)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온도조절기(11)는 냉각 사이클 장치(13)와 히터(1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온도 조절기는 열전소자(TEM)를 포함하는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냉각사이클 장치(13)는 발효조(112)를 냉각시켜 발효조(112)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냉각 사이클 장치(13)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및 증발기(134)를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134)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134)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감기는 증발 튜브로 구성될 수 있다. 증발기(134)는 발효조(112)와 단열부의 사이에 수용될 수 있고, 단열부에 의해 단열된 발효조(112)를 냉각할 수 있다.
온도조절기(11)는 발효조(112)를 가열시키는 히터(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터(14)는 발효조(112)의 저면에 접촉되게 설치될 수 있고,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되는 발열히터로 구성될 수 있다. 히터(14)는 플레이트 히터(Plate Heater)로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증발기(134) 및 히터(14)에 의해 발효조(112)의 내부에서 유체의 자연 대류가 발생할 수 있고 발효조(112) 및 발효 컨테이너(12) 내부의 온도분포가 균일해질 수 있다.
이하, 메인 채널(41)(42) 및 바이패스 채널(43)에 대해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인 채널(41)(42)은 급수 모듈(5)과 재료 공급기(3)를 연결하는 제1메인 채널(41)과, 재료 공급기(3)와 발효 모듈(1)을 연결하는 제2메인 채널(4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메인 채널(41)은 급수 모듈(5)에서 급수된 물을 재료 공급기(3)로 안내할 수 있고, 제2메인 채널(42)은 재료 공급기(3)에서 추출된 재료와 물의 혼합물을 발효 모듈(1)로 안내할 수 있다.
제1메인채널(41)의 일 단(41A)은 급수 모듈(5)과 연결될 수 있고, 타 단은 재료 공급기(3), 좀 더 상세하게는 후술할 최초 재료 수용부(31)의 입구(31A)에 연결될 수 있다.
제1메인 채널(41)에는, 제1메인 채널(41)을 개폐하는 재료 공급 밸브(310)가 설치될 수 있다. 재료 공급 밸브(310)는 재료 공급기(3)에 포함된 구성일 수 있다.
재료 공급밸브(310)는 재료 수용부(31)(32)(33)에 수용된 첨가물의 투입시 오픈되어 제1메인 채널(41)을 개방할 수 있다. 재료 공급밸브(310)는 재료 수용부(31)(32)(33)의 클리닝 시 오픈되어 제1메인 채널(41)을 개방할 수 있다.
제2메인 채널(42)의 일 단은 발효 모듈(1)의 메인 채널 연결부(115)와 연결될 수 있고, 타 단은 재료 공급기(3), 좀 더 상세하게는 후술할 최종 재료 수용부(33)의 출구(33B)에 연결될 수 있다.
제2메인채널(42)에는, 제2메인채널(42)을 개폐하는 메인 밸브(4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메인채널(42)에는 유체를 재료 공급기(3)에서 발효 모듈(1)로 유동시키는 메인 체크밸브(314)가 설치될 수 있다. 즉, 메인 체크밸브(314)는 유체가 재료 공급기(3)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메인 체크밸브(314)는, 제2메인채널(42)에 대해 메인 밸브(40)와 재료 공급기(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메인밸브(40)는 발효 컨테이너(12)로 물을 급수할 때 오픈되어 제2메인 채널(42)를 개방할 수 있다. 메인밸브(40)는 발효조(112)를 냉각하는 동안 클로즈되어 제2메인 채널(42)를 클로즈할 수 있다. 메인 밸브(40)는 발효 컨테이너(12)의 내부로 에어를 주입할 때 오픈되어 제2메인 채널(42)를 개방할 수 있다. 메인 밸브(40)는 첨가제를 발효 컨테이너(12) 내부로 공급할 때 오픈되어 제2메인 채널(42)를 개방할 수 있다. 메인 밸브(40)는 재료의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클로즈되어 발효 컨테이너(12) 내부를 밀폐할 수 있다. 메인 밸브(40)는 음료 숙성 및 보관시 클로즈되어 발효 컨테이너(12) 내부를 밀폐할 수 있다. 메인 밸브(40)는 음료 취출기(6)에 의한 음료 취출시 오픈되어 제2메인 채널(4)를 개방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음료는 메인 밸브(40)를 통과하여 음료 취출기(6)로 유동될 수 있다.
메인 채널(41)(42)은, 음료 제조기가 재료 공급기(3)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하나의 연속된 채널로 구성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가 재료 공급기(3)를 포함할 경우, 음료 제조기는, 물이나 공기가 재료 수용부(31)(32)(33)를 바이패스하게 구성된 바이패스 채널(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 채널(43)은 재료 수용부(31)(32)(33)를 바이패스하여 제1메인 채널(41)과 제2메인채널(42)을 연결할 수 있다.
바이패스 채널(43)의 일 단(43A)은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될 수 있고, 타 단(43B)은 제2메인 채널(42)에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바이패스 채널(43)의 일 단(43A)은 제1메인 채널(41)에 대해 급수 모듈(5)과 재료 공급 밸브(310)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고, 타 단(43B)은 제2메인 채널(42)에 대해 메인 밸브(40)와 재료 공급기(3)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바이패스 채널(43)에는, 바이패스 채널(43)을 개폐하는 바이패스 밸브(35)가 설치될 수 있다.
바이패스 밸브(35)는 급수 모듈(5)에서 급수된 물이 발효 컨테이너(12)로 공급되는 경우에 오픈되어 바이패스 채널(43)을 개방할 수 있다. 바이패스 밸브(35)는 에어 주입기(8)에서 주입된 에어가 발효 컨테이너(12)로 공급되는 경우에 오픈되어 바이패스 채널(43)을 개방할 수 있다. 바이패스 밸브(35)는 바이패스 채널(43)의 클리닝 시 오픈되어 바이패스 채널(43)을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바이패스 채널(43)에는, 유체를 제1메인 채널(41)에서 제2메인채널(42)로 유동시키는 바이패스 체크밸브(324)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유체는 제1메인 채널(41)에서 제2메인 채널(42)로만 유동될 수 있고, 그 반대 방향으로는 유동될 수 없다.
바이패스 체크밸브(324)는, 바이패스 채널(43)에 대해 바이패스 밸브(35)와 제2메인채널(4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 재료 공급기(3)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음료 제조기를 이용하여 맥주를 제조하는 경우,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는 물과, 맥아와, 이스트, 홉, 향 첨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재료 공급기(3)와 발효 컨테이너(12) 모두를 포함할 수 있고,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는 재료 공급기(3)와 발효 컨테이너(12)에 분산되어 수용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에는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 중 일부 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재료 공급기(3)에는 나머지 재료가 수용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어 있던 나머지 재료는 급수 모듈(5)에서 급수된 물과 함께 발효 컨테이너(12)으로 공급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 내에 수용되어 있던 일부 재료와 혼합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에는 음료 제조에 필수적인 주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재료 공급기(3)에는 주재료에 첨가되는 첨가제가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어 있던 첨가제는 급수 모듈(5)에서 급수된 물과 혼합되어 발효 컨테이너(12)으로 공급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에 수용되어 있던 주재료와 혼합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에 수용된 주 재료는 타 재료 보다 용량이 많은 재료일 수 있다. 예컨대 맥주 제조의 경우, 상기 주 재료는 맥아, 이스트, 홉, 향 첨가제 중 맥아일 수 있다. 그리고,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된 첨가제는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 중 맥아를 제외한 타 재료일 수 있고, 이스트, 홉, 향 첨가제 등일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재료 공급기(3)를 포함하지 않고, 발효 컨테이너(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발효 컨테이너(12)에는 주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사용자는 발효 컨테이너(12)에 첨가제를 직접 투입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재료 공급기(3)와 발효 컨테이너(12)을 모두 포함할 경우, 보다 간편하게 음료를 제조할 수 있고, 이하, 편의를 위해 재료 공급기(3)와 발효 컨테이너(12)을 모두 포함하는 예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재료 공급기(3)와 발효 컨테이너(12)을 모두 포함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재료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발효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 내에서 제조 완료된 음료는 메인 채널 연결부(115)를 통해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될 수 있고, 제2메인 채널(42)에서 음료취출기(6)로 유동되어 취출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는 음료 제조에 필요한 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급수 모듈(5)에서 공급된 물이 통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음료 제조기에서 제조되는 음료가 맥주인 경우,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는 재료는 이스트, 홉, 향 첨가제 등일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는 재료는 재료 공급기(3)에 형성된 재료 수용부(31)(32)(33)에 직접 수용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는 적어도 하나의 재료 수용부(31)(32)(33)가 형성될 수 있다. 재료 수용부(31)(32)(33)는 재료 공급기(3)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31)(32)(33)는 서로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각 재료 수용부(31)(32)(33)에는 유체가 유입되는 입구(31A)(32A)(33A)와, 유체가 유출되는 출구(31B)(32B)(33B)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재료 수용부의 입구로 유입된 유체는 재료 수용부의 재료와 혼합되어 출구로 유출될 수 있다.
한편,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는 재료는 재료 컨테이너(C1)(C2)(C3)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재료 수용부(31)(32)(33)에는 재료 컨테이너(C1)(C2)(C3)이 수용될 수 있고, 재료 수용부(31)(32)(33)는 재료 컨테이너 장착부로 명명될 수 있다.
재료 컨테이너(C1)(C2)(C3)는 캡슐(capsule)이나 포드(pod)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재료가 재료 컨테이너(C1)(C2)(C3)에 수용될 경우, 재료 공급기(3)는 재료 컨테이너(C1)(C2)(C3)의 안착 및 인출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재료 공급기(3)는 재료 컨테이너(C1)(C2)(C3)이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는 재료 컨테이너 킷 어셈블리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재료 공급기(3)에는 제1첨가제와, 제2첨가제와, 제3첨가제가 수용될 수 있다. 제1첨가제는 이스트일 수 있으며, 제2첨가제는 홉일 수 있으며, 제3첨가제는 향 첨가제일 수 있다. 재료 공급기(3)는 제1첨가제가 수용된 제1재료 컨테이너(C1)이 수용되는 제1재료 컨테이너 장착부(31)와, 제2첨가제가 수용된 제2재료 컨테이너(C2)이 수용되는 제2재료 컨테이너 장착부(32)와, 제3첨가제가 수용된 제3재료 컨테이너(C3)이 수용되는 제3재료 컨테이너 장착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재료 수용부 또는 재료 컨테이너(C1)(C2)(C3)에 담긴 재료는, 급수 모듈(5)에서 공급된 물의 수압에 의해 추출될 수 있다.
재료가 수압에 의해 추출되는 경우, 급수 모듈(5)에서 제1메인 채널(41)로 급수된 물은 재료 수용부 또는 재료 컨테이너(C1)(C2)(C3)을 통과하면서 재료와 혼합될 수 있고, 재료 수용부 또는 재료 컨테이너(C1)(C2)(C3)에 수용되어 있던 재료는 물과 함께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는 종류가 상이한 다수의 첨가제가 서로 분리되어 수용될 수 있다. 예컨대, 맥주의 제조 시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는 다수의 첨가제는 이스트와 홉과 향 첨가제일 수 있으며, 이들은 서로 분리되어 수용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가 형성될 경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31)(32)(33)는 물의 유동 방향에 대해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재료 공급기(3)는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31)(32)(33) 중 어느 하나의 재료 수용부의 출구와 다른 하나의 재료 수용부의 입구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채널(311)(3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31)(32)(33)는 최초 재료 수용부(31)와, 최종 재료 수용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31)(32)(33)는 중간 재료 수용부(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최초 재료 수용부(31)의 입구(31A)는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될 수 있고, 최종 재료 수용부(33)의 출구(33B)는 제2메인 채널(42)에 연결될 수 있다.
중간 재료 수용부(32)는 유체의 유동에 대해 제1재료 수용부(31)와 상기 제2재료 수용부(3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중간 재료 수용부(32)는 입구(32A)와 출구(32B) 각각에 서로 다른 연결 채널(311)(312)이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 공급기(3)에 재료 수용부가 3개 형성된 경우, 최초 재료 수용부(31)의 출구(31B)는 중간 재료 수용부(32)의 입구(32A)와 제1연결 채널(311)로 연결될 수 있고, 중간 재료 수용부(32)의 출구(32B)는 최종 재료 수용부(33)의 입구(33A)와 제2연결채널(312)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메인채널(41)를 통해 최초 재료 수용부(31)의 입구(31A)로 유입된 물은, 최초 재료 수용부(31)에 수용된 제1첨가제와 함께 출구(31B)를 통해 제1연결채널(311)로 유동될 수 있다.
제1연결채널(311)를 통해 중간 재료 수용부(32)의 입구(32A)로 유입된 유체(물과 제1첨가제의 혼합물)는, 중간 재료 수용부(32)에 수용된 제2첨가제와 함께 출구(32B)를 통해 제2연결채널(312)로 유동될 수 있다.
제2연결채널(312)를 통해 최종 재료 수용부(33)의 입구(33A)로 유입된 유체(물, 제1첨가제 및 제2첨가제의 혼합물)는, 최종 재료 수용부(33)에 수용된 제3첨가제와 함께 출구(33B)를 통해 제2메인채널(42)로 유동될 수 있다.
제2메인채널(42)을 통해 유출된 유체(물, 제1첨가제, 제2첨가제 및 제3첨가제의 혼합물)는 발효 모듈(1)의 메인 채널 연결부(115)로 안내되어, 발효 컨테이너(1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다만 재료 공급기(3)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례로 중간 재료 수용부가 없을 경우, 재료 공급기(3)에는 2개의 재료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어느 하나 재료 수용부는 최초 재료 수용부이고, 다른 하나의 재료 수용부는 최종 재료 수용부일 수 있다. 최초 재료 수용부의 출구와 최종 재료 수용부의 입구는 연결채널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중간 재료 수용부가 복수개일 경우, 재료 공급기(3)에는 4개 이상의 재료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어느 하나 재료 수용부는 최초 재료 수용부이고, 다른 하나의 재료 수용부는 최종 재료 수용부이며, 나머지 재료 수용부는 중간 재료 수용부일 수 있다. 이 경우 각 재료 수용부간의 직렬 연결 관계는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복수의 재료 수용부(31)(32)(33)가 직렬로 연결됨으로써, 재료 공급기(3)의 채널 구성이 간소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각 재료 컨테이너(C1)(C2)(C3)에 담긴 첨가제가 한 번에 추출되므로 소요 시간이 짧아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재료 컨테이너(C1)(C2)(C3)의 장착 순서를 신경쓰지 않아도 되므로, 재료 컨테이너(C1)(C2)(C3)을 잘못된 순서로 장착함으로써 발생하는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재료 공급기(3)의 누수 포인트가 최소화되어 신뢰성이 항상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는 재료가 재료 컨테이너(C1)(C2)(C3) 내에 수용되는 경우, 최초 재료 수용부(31)는 최초 재료 컨테이너 장착부로 명명될 수 있고, 중간 재료 수용부(32)는 중간 재료 컨테이너 장착부로 명명될 수 잇으며, 최종 재료 수용부(33)는 최종 재료 컨테이너 장착부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급수 모듈(5)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급수 모듈(5)은 수조(51)와, 수조(51)의 물을 펌핑하는 급수 펌프(52)와, 급수 펌프(52)에서 펌핑된 물을 가열하는 급수 히터(5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조(51)의 물을 펌핑하는 급수펌프(52) 및 급수펌프(52)에서 펌핑된 물을 가열하는 급수히터(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조(51)와 급수 펌프(52)는 수조 출수채널(55A)로 연결될 수 있고, 수조(51)에 담긴 물은 수조 출수채널(55A)을 통해 급수 펌프(52)로 흡입될 수 있다.
급수 펌프(52)와 제1메인 채널(41)의 일 단(41A)은 급수 채널(55B)로 연결될 수 있고, 급수 펌프에서 토출된 물은 급수 채널(55B)을 통해 제1메인 채널(41)로 안내될 수 있다.
수조 출수채널(55A)에는 수조(51)에서 출수되는 물의 유량을 측정하는 플로우 미터(56)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수조 출수채널(55A)에는 수조(51)에서 출수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54)가 설치될 수 있다. 유량조절밸브(54)는 스텝인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조 출수채널(55A)에는 수조(51)에서 출수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써미스터(54A)가 설치될 수 있다. 써미스터(54A)는 유량조절밸브(54)에 내장될 수 있다.
급수 채널(55B)에는 급수펌프(52)로 물이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급수 체크밸브(59)가 설치될 수 있다.
급수 히터(53)는 급수 채널(55B)에 설치될 수 있다.
급수히터(53)에는 온도가 높을 경우 회로가 차단되어 급수히터(53)로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써멀 퓨즈(58, Thermal fuse)가 설치될 수 있다.
급수 모듈(5)은 안전 밸브(53A, safety valv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전 밸브(53A)는 급수 히터(53)의 히터 케이스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안전 밸브(53A)는 히터 케이스의 최대 내압을 제한할 수 있다. 일례로, 안전 밸브(53A)는 히터 케이스의 최대 내압을 3.0bar로 제한할 수 있다.
급수 모듈(5)은 급수히터(53)를 통과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급수 온도센서(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급수 온도센서(57)는 급수 히터(53)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급수 온도센서(57)는 급수 채널(55B) 중 물의 유동방향을 따라 급수 히터(53)의 이후에 위치한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급수 온도센서(57)가 제1메인 채널(41)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급수펌프(52)의 구동시, 수조(51)의 물은 수조 출수채널(55A)을 통해 급수펌프(52)로 흡입되고, 급수 펌프(52)에서 토출된 물은 급수 채널(55B)를 통해 유동되는 과정에서 급수히터(53)에서 가열되어 제1메인 채널(41)로 안내될 수 있다.
이하, 음료 취출기(6)에 대해 설명한다.
음료취출기(6)는 제2메인 채널(42)에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음료취출기(6)는 음료가 취출되는 디스펜서(62)와, 디스펜서(62)와 제2메인채널(42)을 연결하는 음료 취출채널(61)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취출채널(61)의 일 단(61A)은, 제2메인 채널(42)에 대해 메인 체크밸브(314)와 메인 밸브(40)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고, 타 단은 디스펜서(62)에 연결될 수 있다.
음료 취출채널(61)에는, 음료 취출채널(61)을 개폐하는 음료 취출밸브(64)가 설치될 수 있다.
음료 취출밸브(64)는 음료가 취출될 때 오픈되어 음료 취출채널(61)을 개방할 수 있다. 음료 취출밸브(64)는 잔수 제거 시에 오픈되어 음료 취출채널(61)을 개방할 수 있다. 음료 취출밸브(64)는 음료 취출기(6)의 클리닝 시에 오픈되어 음료 취출채널(61)을 개방할 수 있다.
음료 취출채널(61)에는 거품차단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제2메인 채널(42)에서 음료 취출채널(61)로 유동된 음료의 거품은 상기 거품차단부를 통과하면서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거품차단부에는 거품이 걸러지는 메쉬(Mesh)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음료의 취출 시 음료 취출밸브(64)는 오픈될 수 있고, 음료가 취출되지 않을 경우에는 음료 취출밸브(64)는 클로즈 유지될 수 있다.
이하, 가스 배출기(7)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가스 배출기(7)는 발효 모듈(1)에 연결되고, 발효 컨테이너(12)의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가스 배출기(7)는 발효 모듈(1)에 연결된 가스 배출채널(71)과, 가스 배출채널(71)에 설치된 가스 압력센서(72)와, 가스 배출채널(71)에 가스 배출방향으로 가스 압력센서(72) 이후에 연결된 가스 배출밸브(7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 배출채널(71)는 발효 모듈(1) 특히, 발효 리드(107)에 연결될 수 있다. 발효 리드(107)에는 가스 배출채널(71)이 연결되는 가스 배출채널 연결부(121)가 마련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가스는 가스 배출채널 연결부(121)를 통해 가스 배출채널(71) 및 가스 압력센서(72)로 유동될 수 있다. 가스 압력센서(72)는 발효 컨테이너(12) 내에서 가스 배출채널 연결부(121)를 통해 가스 배출채널(71)로 유출된 가스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가스 배출밸브(73)는 에어주입기(8)에 의해 발효 컨테이너(12)의 내부로 에어가 주입될 때 온되어 오픈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발효 컨테이너(12)로 에어를 주입하여 맥아와 물을 고르게 혼합하게 할 수 있고, 이때, 액상 맥아에서 발생된 기포는 발효 컨테이너(12)의 상부에서 가스 배출채널(71) 및 가스 배출밸브(7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가스 배출밸브(73)는 발효공정 도중의 발효도 감지를 위해 온되어 오픈된 후 다시 오프되어 클로즈될 수 있다.
가스 배출기(7)는 가스 배출채널(71)에 연결된 안전 밸브(75, safety valv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전 밸브(75)는 가스 배출채널(71) 중 가스 배출 방향으로 가스 압력센서(72) 이후에 연결될 수 있다. 안전 밸브(75)는 발효 컨테이너(12) 및 가스 배출채널(71)의 최대 내압을 제한할 수 있다. 일례로, 안전 밸브(75)는 발효 컨테이너(12) 및 가스 배출채널(71)의 최대 내압을 3.0bar로 제한할 수 있다.
한편, 가스 배출기(7)는 압력 해제 밸브(7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력 해제 밸브(76)는 가스 배출 채널(71)에 연결될 수 있다. 압력 해제 밸브(76)와 가스 배출 밸브(73)는 택일적으로 오픈/클로즈 될 수 있다.
가스 배출 채널(71)은 분지되어 가스 배출 밸브(73)와 압력 해제 밸브(76)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압력 해제 밸브(76)에는 소음 저감장치(77)가 장착될 수 있으며, 소음 저감장치(77)는 오리피스 구조나 머플러 구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소음 저감장치(77)에 의해, 압력 해제 밸브(76)는 오픈되더라도 가스 배출 밸브(73)와 비교하여 발효 컨테이너(12)의 내압이 서서히 낮아질 수 있다.
압력 해제 밸브(76)는 음료의 발효가 진행되어 가스 발생으로 발효 컨테이너(12)의 내압이 상승한 상태에서 압력을 해제시키기 위해 오픈될 수 있다. 소음저감장치(77)는 발효 컨테이너(12)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압력 해제 밸브(76)는 내압이 상대적으로 높은 발효단계에서 오픈/클로즈 제어될 수 있다.
이하, 에어 주입기(8)에 대해 설명한다.
에어 주입기(8)는 급수 채널(55B) 또는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되어 에어를 주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에어 주입기(8)가 급수 채널(55B)에 연결된 경우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에어 주입기(8)는 급수 히터(53)를 기준으로, 후술할 서브 채널(91)의 반대편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에어 주입기(8)에서 주입된 에어는 급수 히터(53)를 통과할 수 있고, 급수 히터(53) 내부의 잔수와 함께 서브 채널(91)로 유동될 수 있다. 이로써, 급수 히터(53)내의 잔수가 제거되어 급수 히터(53)가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는, 에어주입기(8)에서 제1메인 채널(41)로 주입된 에어는, 바이패스 채널(43)과 제2메인 채널(4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발효 컨테이너(12)로 주입될 수 있다. 이로써, 발효 컨테이너(12) 내에서 교반이나 에어레이션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에어주입기(8)에서 제1메인 채널(41)로 주입된 에어는, 재료 공급기(3)로 안내되어 재료 컨테이너 장착부(31)(32)(33)로 유동될 수 있다. 재료 컨테이너(C1)(C2)(C3) 또는 재료 컨테이너 장착부(31)(32)(33) 내의 잔수나 찌꺼기는 에어주입기(8)에 의해 주입된 에어에 의해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될 수 있다. 재료 컨테이너(C1)(C2)(C3) 및 재료 컨테이너 장착부(31)(32)(33)는 에어주입기(8)에 의해 주입된 에어에 의해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에어주입기(8)는, 급수 채널(55B) 또는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된 에어 주입채널(81)과, 에어 주입채널(81)에 연결된 에어 펌프(82)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펌프(82)는 에어 주입채널(81)로 공기를 펌핑할 수 있다.
에어 주입채널(81)에는 급수 펌프(52)에 의해 급수 채널(55B)로 유동된 물이 에어 주입채널(81)를 통해 에어 펌프(82)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에어주입 체크밸브(83)가 설치될 수 있다.
에어 주입기(8)는 에어 필터(82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 필터(82A)는 에어 펌프(82)의 흡입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외부 공기는 에어 필터(82A)를 통과하여 에어 펌프(82)로 흡입될 수 있다. 이로써, 에어 펌프(82)는 청결한 공기를 에어 주입채널(81)로 주입할 수 있다.
이하, 에어 조절기(15)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에어 조절기(15)는 발효조(112)의 내벽과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 사이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에어 조절기(15)은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12) 내벽 사이로 에어를 공급하거나 반대로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12) 내벽 사이의 에어를 외부로 배기할 수 있다.
에어조절기(15)는 발효 모듈(1)에 연결된 에어 공급채널(154)와, 에어 공급채널(154)에 연결되어 에어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 채널(157)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공급채널(154)의 일 단(154A)은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될 수 있고, 타 단은 발효 모듈에 연결될 수 있다.
에어 공급채널(154)는 발효 모듈(1) 특히, 발효 리드(107)에 연결될 수 있다. 발효 모듈(1)에는 에어 공급채널(154)가 연결되는 에어 공급채널 연결부(117)가 마련될 수 있고, 에어 공급채널 연결부(117)는 발효조(112)의 내벽과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 사이 공간으로 연통될 수 있다.
에어 주입기(8)에서 제1메인채널(41)로 주입된 공기는 에어 공급채널(154)를 통해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과 발효조(112)의 내벽 사이로 안내될 수 있다.
에어 주입기(8)는 에어 공급채널(154)과 함께,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12)의 사이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기로 기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효조(112) 내부로 공급된 에어는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과 발효조(112)의 내벽 사이에서 발효 컨테이너(12)을 가압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음료는 에어에 의해 눌린 발효 컨테이너(12)에 의해 가압될 수 있고, 메인 밸브(40)와 음료 취출밸브(64)가 개방되면, 메인 채널 연결부(115)를 통과해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에서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된 음료는 음료취출기(6)를 통해 외부로 취출될 수 있다.
에어 펌프(82)는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12)의 사이에 소정 압력이 형성되게 에어를 공급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12)의 사이에는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음료 취출이 용이한 압력이 형성될 수 있다.
에어 펌프(82)는 음료 취출이 진행되는 동안 오프상태를 유지하고, 음료 취출이 끝나면, 다음 번 음료 취출을 위해 구동되었다가 정지될 수 있다.
이로써, 음료 제조기는 음료 제조가 완성되면, 발효 컨테이너(12)를 발효 모듈(1)의 외부로 꺼내지 않고, 발효 모듈(1)의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음료를 음료취출 채널모듈(6)로 취출할 수 있다.
에어 조절기(15)가 에어 주입기(8)와 별도의 에어 공급펌프를 포함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 경우, 에어 공급채널(154)는 제1메인채널(41)에 연결되지 않고 상기 에어 공급펌프에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에어 펌프(82)가 발효 컨테이너(12)에 에어를 주입하는 것과,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12) 사이에 에어를 공급하는 것을 병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제품의 컴팩트화 및 비용절감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배기 채널(157)은, 에어 공급채널(154)의 일부와 함께 발효 컨테이너(12)와 발효조(112)의 사이의 에어를 외부로 배기하는 에어 배기통로로 기능할 수 있다.
배기채널(157)는 발효 모듈(1)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배기 채널(157)은 에어 공급채널(154) 중 발효조(112) 외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에어 공급채널(154)은 제1메인채널(41)와 연결되는 연결부(154A)부터 배기채널(157)가 연결되는 연결부(157A)까지의 제1채널과, 배기채널(157)가 연결되는 연결부(154A)부터 에어 공급채널 연결부(117)까지의 제2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채널은 에어 펌프(82)에서 펌핑된 에어를 제2채널로 안내하는 급기채널일 수 있다. 그리고, 제2채널은 급기채널을 통과한 에어를 발효조(112)와 발효 컨테이너(12) 사이로 급기하거나, 발효조(112)와 발효 컨테이너(12) 사이에서 유출된 에어를 연결채널(157)로 안내하는 급기 및 배기 겸용 채널일 수 있다.
배기 채널(157)에는 배기 채널(157)을 개폐하는 배기 밸브(156)가 연결될 수 있다.
배기밸브(156)는 음료 제조의 도중에 발효 컨테이너(12)이 팽창될 때,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12) 사이의 에어가 외부로 배기되도록 개방될 수 있다. 배기밸브(156)는 급수 채널모듈(5)에 의한 급수시 오픈 제어될 수 있다. 배기밸브(156)는 에어주입 채널모듈(8)에 의한 에어 주입시, 오픈 제어될 수 있다.
배기밸브(156)는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음료 취출이 완료되면,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12) 사이의 에어를 빼내기 위해 개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음료 취출이 완료된 후, 발효 컨테이너(12)을 발효조(112)의 외부로 꺼낼 수 있는데, 발효조(112) 내부가 고압을 유지할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배기밸브(156)는 발효 컨테이너(12)의 음료 취출 완료시, 오픈 제어될 수 있다.
에어 조절기(15)는 에어 펌프(82)에서 펌핑되어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12)의 사이로 공급되는 에어를 단속하는 에어 공급 밸브(1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 공급 밸브(159)는 에어 공급채널(154)에 설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에어 공급 밸브(159)는 에어 공급채널(154) 중 제1메인채널(41)과의 연결부(154A)와 배기 채널(157)와의 연결부(157A)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서브 채널(91)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서브 채널(91)은 급수 모듈(5)과 음료 취출기(6)를 연결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서브 채널(91)의 일 단(91A)은 급수 채널(55B)에 연결되고 타 단(91B)은 음료 취출채널(61)에 연결될 수 있다.
서브 채널(91)은 급수 채널(55B)에 대해 급수 펌프(52)와 급수 히터(53)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서브 채널(91)은 음료 취출채널(61)에 대해, 제2메인 채널(42)과의 연결부(61A)와 음료 취출밸브(64)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 펌프(52)에 의해 급수된 물이나 에어 펌프(82)에 의해 펌핑된 에어는 서브 채널(91)을 통해 음료 취출채널(61)로 안내될 수 있고, 디스펜서(62)로 취출되며 음료 취출기(6) 내부에 남아있는 잔수나 음료를 제거할 수 있다.
서브 채널(91)에는 서브 채널(91)을 개폐하는 서브 밸브(92)가 설치될 수 있다.
서브 밸브(92)는 음료 취출 시 또는 내부 클리닝 시에 오픈되어 서브 채널(91)을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서브 채널(91)에는 음료 취출채널(61)의 음료가 급수 모듈(5)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서브 체크밸브(93)가 설치될 수 있다. 서브 체크밸브(93)는 서브 채널(91)에 대해 서브 밸브(92)와 음료 취출채널(6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서브 채널(91)은 급수 모듈(5)의 잔수 제거 채널로 기능할 수 있다. 일례로, 에어공급밸브(159), 바이패스 밸브(35) 및 재료공급밸브(310)가 클로즈되고 서브 밸브(92)가 오픈된 상태에서 에어 펌프(82)가 온 되면, 에어 주입채널(81)로 주입된 에어는 급수 히터(53)를 통과하여 서브 채널(91)로 유동될 수 있고, 서브 밸브(92)를 통과하여 음료 취출채널(61)로 유동된 후 디스펜서(62)로 취출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에어는 급수 모듈(5), 좀 더 상세히는 급수 히터(53) 및 급수 채널(55B)에 남아있던 잔수와 함께 디스펜서(62)로 취출됨으로써 잔수 제거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브 채널(91)은 클리닝 채널로 기능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디스펜서(62)에서 음료가 일부 취출되고, 다음 취출까지 오랜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다음 취출을 실시하기 이전에 물을 서브 채널(91)로 유동시켜 디스펜서(62)를 클리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사시도이다.
음료 제조기는 디스펜서(62)에서 낙하된 음료를 받아 보관할 수 있는 음료 컨테이너(1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컨테이너(101)는 내부에 디스펜서(62)에서 낙하된 음료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컨테이너 바디(101A)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컨테이너(101)는 컨테이너 바디(101A)의 상면에 배치되어 컨테이너 바디(101A) 내의 공간을 덮는 컨테이너 상판(101B)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 바디(101A)는 음료 제조기의 하부에서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 바디(101A)는 상면이 개방될 수 있다.
컨테이너 상판(101B)은 컨테이너 바디(101A)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할 수 있다. 컨테이너 상판(101B)에는 음료가 컨테이너 바디(101A) 내부로 낙하되는 다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디스펜서(62)에서 낙하된 음료 중 음료 용기(미도시) 주변으로 낙하된 음료는 컨테이너 상판(101B)으로 낙하될 수 있고, 컨테이너 상판(101B)의 홀을 통해 음료 컨테이너(101) 내부에 일시적으로 보관될 수 있고, 음료 제조기 주변은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201, 202, 210, 22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201, 202, 210, 2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제작 및 유지보수 측면에서 다수의 부재가 서로 결합되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커버(201, 202, 210, 220)는 발효모듈 커버(201), 수조 커버(202), 프론트 커버(210), 및 리어 커버(220)를 포함할 수 있다.
발효모듈 커버(201)와 수조 커버(202)는 대략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발효모듈 커버(201)와 수조 커버(202)의 둘레면 중 일부는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둘레면 중 개방된 부분은 음료 제조기의 내부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고, 음료 제조기가 디자인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발효모듈 커버(201)와 수조 커버(202)는 각각 발효모듈(1)과 수조(51)의 외둘레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발효모듈 커버(201)와 수조 커버(51)는 각각 발효모듈(1)과 수조(51)를 고정시키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발효모듈 커버(201)와 수조 커버(202)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발효모듈 커버(201)와 수조 커버(202)의 높이 및/또는 직경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로써 음료 제조기의 외관이 대칭 구조 및 통일성에 의해 디자인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발효모듈 커버(201)의 상면은 개방될 수 있고, 발효 리드(107)가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수조 커버(202)의 상면은 개방될 수 있고, 수조 리드(110)가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발효 리드(107)와 수조 리드(110)를 용이하게 개폐조작할 수 있다.
한편, 프론트 커버(210)는 음료 제조기의 전방측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210)는 발효모듈 커버(201)와 수조 커버(202)의 사이를 전방에서 커버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210)는 발효모듈 커버(201)와 수조 커버(20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210)의 양 측단은 각각 발효모듈 커버(201)와 수조 커버(202)에 접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210)는 수직하게 배치된 평판 형상일 수 있다.
프론트 커버(210)의 높이는 발효모듈 커버(201) 및 수조 커버(202)의 높이와 각각 동일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210)에는 디스펜서(62)가 장착될 수 있다. 디스펜서(62)는 프론트 커버(210)의 하단보다 상단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디스펜서(62)는 음료 컨테이너(101)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펜서(62)의 레버(620)를 조작하여 음료를 취출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프론트 커버(210)에는 디스펜서(62)가 장착되는 디스펜서 장착부(214)가 형성될 수 있다. 디스펜서 장착부(214)는 프론트 커버(210)의 하단보다 상단에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음료 제조기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32)는 프론트 커버(21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32)는 프론트 커버(210) 중 디스펜서(62)에 가려지지 않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132)는 디스펜서(62)와 수평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32)는 엘시디(LCD), 엘이디(LED), 오엘이디(OLED) 등의 디스플레이 소자와,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가 설치된 디스플레이 피시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는 프론트 커버(210)의 배면에 장착될 수 있으며, 후술할 컨트롤러(440; 도 4 참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음료 제조기는 음료 제조기의 제조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420; 도 4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420)는, 사용자의 명령을 터치 방식으로 입력받는 터치패드, 사용자가 잡고 회전시키는 방식의 로터리 놉 및 사용자가 누르는 방식의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입력부는 로터리 놉(122)을 포함할 수 있다. 로터리 놉(122)은 음료 제조기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로터리 놉(122)은 디스플레이(132)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로터리 놉(122)은 사용자가 누르는 방식의 버튼으로 기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로터리 놉(122)을 잡고 돌리거나, 로터리 놉(122)의 전면을 눌러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입력부는 사용자의 명령을 터치 방식으로 입력받는 터치패드(422; 도 4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터치패드(422)는 디스플레이(13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디스플레이(132)가 터치스크린으로 기능하는 것이 가능하다.
리어 커버(220)는 음료 제조기의 후방측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리어 커버(220)는 발효모듈 커버(201)와 수조 커버(202)의 사이를 후방에서 커버할 수 있다.
한편, 재료 공급기(3)는 발효 모듈(1)와 수조(5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음료 제조기는 재료 공급기(3)가 발효 모듈(1)와 수조(51)의 사이 이외에 위치하는 경우 보다 컴팩트하게 제조될 수 있고, 재료 공급기(3)가 발효 모듈(1) 및 수조(51)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의 각 양측면 중 적어도 일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곡면은 각각 발효 모듈 커버(201)의 외둘레와 수조 커버(202)의 외둘레에 각각 접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는 베이스(100)의 상측에 베이스(100)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재료 공급기(3)는 메인 프레임(23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는 전후 방향으로 프론트 커버(210)와 리어 커버(2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의 전면은 프론트 커버(210)에 의해 커버될 수 있고, 배면은 리어 커버(22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음료 취출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음료 취출기(6; 도 1 참조)의 디스펜서(62)는 디스펜서 바디(600), 승강바디(610), 레버(620) 및 리미트 스위치(6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펜서 바디(600)에는 음료 취출채널(61)과 연결된 디스펜서 채널(611)이 형성될 수 있다.
승강바디(610)는 디스펜서 바디(600) 내부에 승강되게 배치될 수 있다.
레버(620)는 승강바디(6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 동작시 승강바디(610)를 승강시킬 수 있다.
리미트 스위치(630)는 승강바디(610)에 의해 스위칭 될 수 있다.
디스펜서(62)는 디스펜서 바디(600)에 내장되어 승강바디(610)를 하측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밸브 스프링(6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펜서 바디(600)는 센터 커버(210)에 형성된 취출밸브 장착부(214)에 장착될 수 있다.
디스펜서 채널(611)는 디스펜서 바디(600)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된 제1디스펜서 채널(612)과, 제1디스펜서 채널(612)의 선단에서 하측 방향으로 꺾이게 형성된 제2디스펜서 채널(613)을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취출채널(61)로 안내된 음료는, 승강바디(610)의 개방시 제1디스펜서 채널(612)와 제2디스펜서 채널(613)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제2디스펜서 채널(613)의 하측으로 낙하될 수 있다.
디스펜서 바디(600)에는 디스펜서 채널(611)이 수용되는 채널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승강바디(610)에는 그 상승시 리미트 스위치(630)의 단자(631)를 접점시키는 조작돌기(614)가 돌출될 수 있다. 승강바디(610)가 상승하면 조작돌기(614)에 의해 리미트 스위치(630)의 단자가 접점될 수 있고, 승강바디(610)가 하강하면 리미트 스위치(630)의 단자가 접점 해제될 수 있다.
디스펜서 바디(600)에는 승강바디(610)를 상하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610A)가 형성될 수 있다.
레버(620)는 승강바디(610)의 상부에 힌지(621) 연결될 수 있고, 승강바디(610)에 연결된 상태에서,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거나 수평하게 눕혀질 수 있다.
레버(620)가 수평하게 눕혀질 경우, 승강바디(610)는 상승되어 리미트 스위치(630)를 온 시킬 수 있고, 레버(620)가 수직하게 세워질 경우, 승강바디(610)는 하강되어 리미트 스위치(630)를 오프 시킬 수 있다.
리미트 스위치(630)는 컨트롤러(4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컨트롤러(440)는 리미트 스위치(630)의 온, 오프에 따라 음료 제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펜서(62)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레버(620)를 조작하면 승강바디(610)가 상승하며 리미트 스위치(630)가 접점되고, 컨트롤러(440)는 디스펜서(62)의 개방을 감지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디스펜서(62)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레버(620)를 조작하면 승강바디(610)가 하강하며 리미트 스위치(630)가 접점 해제되고, 컨트롤러(440)는 디스펜서(62)의 폐쇄를 감지할 수 있다.
디스펜서 바디(600) 에는 리미트 스위치(630)가 장착되는 스위치 장착부(630A)가 형성될 수 있다.
밸브 스프링(640)은 디스펜서 바디(600)의 가이드부(610A)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고, 승강바디(610)를 하측 방향으로 탄성 가압할 수 있다.
한편, 음료 취출기(6)의 음료 취출밸브(64)는 센터 커버(210)의 배면에 체결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제어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음료 제조기는 통신부(410), 입력부(420), 메모리(430), 및 컨트롤러(4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제어 구성들이 음료 제조기를 구현하는 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닌 바, 실시 예에 따라 음료 제조기는 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단말기(스마트폰, 태블릿 PC 등)나 서버 등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컨트롤러(440)는 통신부(410)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음료 제조 기능의 실행 요청을 수신하거나, 레시피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440)는 음료 제조기의 동작, 음료의 제조 상태나 보관 상태 등의 각종 정보를 통신부(410)를 통해 단말기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410)는 기 공지된 각종 유무선 통신 방식들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410)는 블루투스(Bluetooth)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나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모듈 등의 무선 인터넷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42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요청이나 명령을 수신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입력부(420)는 로터리 놉(122), 터치 패드(422; 또는 터치 스크린), 기타 버튼이나 마이크로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440)는 입력부(420)를 통해 음료 제조 기능의 실행 요청, 레시피 정보, 기타 음료 제조기의 각종 동작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2)는 음료 제조기의 동작이나 상태와 관련된 각종 정보, 및 음료 제조기 내에서 제조 중 또는 보관 중인 음료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132)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디스플레이(132)가 원형으로 구현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나, 디스플레이(132)의 형태는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132)는 상기 정보를 그래픽 또는 텍스트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음료 제조기는 상기 정보를 음성 형태로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컨트롤러(440)는 상기 디스플레이(132) 및 사운드 출력부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를 그래픽, 텍스트, 음성의 다양한 조합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430)는 음료 제조기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430)는 제조가능한 음료들에 대해 기설정된 레시피 정보, 각종 설정값, 음료 제조기의 동작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430)는 디스플레이(132)를 통해 표시되는 화면들과 관련된 각종 그래픽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430)는 음료의 취출 시 가스 압력센서(72)를 통해 측정되는 압력과 타이머(445)를 통해 측정되는 시간에 기초하여 취출량을 산출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저장할 수 있다.
컨트롤러(440)는 음료 제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컨트롤러(440)는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러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러는 CPU,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마이크로컴퓨터(또는 마이컴), 집적 회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음료 취출과 관련하여, 컨트롤러(440)는 사용자의 레버(620) 조작에 의해 리미트 스위치(630)가 온 됨을 감지하면, 타이머(445)를 이용하여 취출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440)는 기준 시간마다 가스 압력센서(72)를 이용하여 발효 컨테이너(12) 내부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컨트롤러(440)는 메모리(430)에 저장된 취출량 산출 알고리즘과, 상기 측정된 압력에 기초하여 음료의 취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440)는 가스 압력센서(72)를 이용하여 측정된 발효 컨테이너(12) 내부의 압력에 기초하여 에어 펌프(82)의 구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는 음료 제조기 내에 보관 중인 음료의 취출 시, 취출량을 인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음료 제조기 내에 보관 중인 음료의 잔량을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음료 제조기는 음료의 취출량이나, 보관 중인 음료의 잔량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발효 컨테이너(12)의 특성 상 발효 컨테이너(12)의 내부에 유량 센서 등과 같이 음료의 양을 감지하는 구성을 구현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압력을 측정하여 취출량 및 잔량을 효과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이하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음료 제조기는 사용자의 레버(620) 조작에 의해 리미트 스위치(630)가 온 되면(S100), 타이머(445)를 이용하여 취출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S110).
사용자는 음료 제조기의 발효 컨테이너(12) 내에 보관 중인 음료를 음용하고자 하는 경우, 레버(620)를 조작(예컨대, 레버(620)를 수평하게 눕힘)할 수 있다.
컨트롤러(440)는 레버(620)의 조작에 의해 리미트 스위치(630)가 온 됨을 감지할 수 있다. 리미트 스위치(630)가 온 됨을 감지하면, 컨트롤러(440)는 음료가 디스펜서(62)를 통해 취출되도록 음료 취출밸브(64)를 오픈시켜 음료 취출채널(61)을 개방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발효 컨테이너(12)와 디스펜서(62) 사이에 복수의 밸브들이 배치된 경우, 컨트롤러(440)는 상기 복수의 밸브들을 오픈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발효 컨테이너(12)에 수용된 음료가 디스펜서(62)로 이동하여 외부로 취출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440)는 리미트 스위치(630)가 온 됨을 감지하면, 타이머(445)를 제어하여 취출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가스 압력센서(72)를 이용하여,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S120).
컨트롤러(440)는, 음료의 취출 중 가스 압력센서(72)를 제어하여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컨트롤러(440)는 타이머(445)에 의해 측정되는 취출 시간에 기초하여, 기준 시간마다 상기 압력을 측정하도록 가스 압력센서(72)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440)는 기준 시간마다 가스 배출밸브(73)를 오픈 및 클로즈하고, 가스 압력센서(72)를 이용하여 가스 배출밸브(73)의 오픈 시 가스 배출채널(71)을 통해 배출되는 가스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측정된 압력에 기초하여, 기준 시간 동안의 취출량을 산출하고(S130), 산출된 취출량에 기초하여 잔량을 산출할 수 있다(S140).
메모리(450)에는, 측정된 압력에 따른 기준 시간 동안의 취출량을 산출하는 알고리즘(예컨대, 수학식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알고리즘은 음료 제조기의 성능이나 모델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컨트롤러(440)는, 측정된 압력과 상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기준 시간(예컨대, 1초) 동안의 취출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취출량에 기초하여 음료의 잔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컨트롤러(440)는 메모리(430)에 저장된 잔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된 잔량 정보에 따른 잔량과 상기 산출된 취출량의 차를 통해 음료의 잔량을 산출하고, 메모리(430)에 저장된 잔량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의 취출량 산출 동작에 대해서는 추후 도 6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음료 제조기는 산출된 취출량 또는 잔량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132)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S150).
컨트롤러(440)는, 상기 산출된 취출량 또는 잔량에 대한 정보를, 음료의 취출 중에 디스플레이(132)를 통해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컨트롤러(440)는 음료의 취출이 완료된 후, 상기 취출량 또는 잔량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132)를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된 실시 예는 추후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의 레버(620) 조작에 의해 리미트 스위치(630)가 오프되면(S160의 YES), 음료 제조기는 음료의 취출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S170).
사용자는 음료의 취출을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 레버(620)를 조작(예컨대, 레버(620)를 세움)할 수 있다.
컨트롤러(440)는 레버(620)의 조작에 의해 리미트 스위치(630)가 오프됨을 감지할 수 있다. 리미트 스위치(630)가 오프됨을 감지하면, 컨트롤러(440)는 음료의 취출을 종료하기 위해 음료 취출밸브(64)를 클로즈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컨트롤러(440)는 발효 컨테이너(12)와 디스펜서(62) 사이의 복수의 밸브들을 클로즈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440)는 리미트 스위치(630)가 오프됨을 감지하면 가스 압력센서(72)를 이용하여 압력을 감지하고, 직전의 압력 감지 시점과 현재 압력 감지 시점 사이의 시간과 상기 감지된 압력에 기초하여 취출량 및 잔량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440)는 리미트 스위치(630)가 온인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S160의 NO), S120 단계 내지 S150 단계에 따라 취출량 및 잔량을 기준 시간마다 연속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음료 제조기는 음료의 취출 중 압력 및 시간을 측정하여 기준시간 동안의 취출량을 연속적으로 산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음료의 취출량 및 잔량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음료 취출량 산출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을 참조하면, S100 단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리미트 스위치(630)가 온 되면(S200), 음료 제조기는 가스 압력센서(72)를 이용하여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S210).
컨트롤러(440)는 리미트 스위치(630)가 온 됨에 따라 음료의 취출을 개시하고, 가스 압력센서(72)를 이용하여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초기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S210 단계에 따라 압력을 측정한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 후에, 가스 압력센서(72)를 이용하여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S220).
음료 제조기는, 이전 측정된 압력과 현재 측정된 압력의 평균 압력을 산출하고(S230), 산출된 평균 압력에 기초하여 기준 시간 동안의 음료 취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S240).
발효 컨테이너(12)에 수용된 음료가 디스펜서(62)를 통해 외부로 취출됨에 따라, 발효 컨테이너(12) 내부의 압력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트롤러(440)는 기준 시간 동안의 음료 취출량을 산출하기 위해, 이전 측정된 압력과, 상기 이전 측정된 압력의 측정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 후의 시점인 현재 측정된 압력의 평균 압력을 산출할 수 있다.
컨트롤러(440)는 산출된 평균 압력을 이용하여, 기준 시간 동안의 음료 취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430)에는 측정된 압력에 따른 기준 시간 동안의 취출량을 산출하는 알고리즘이 저장될 수 있고, 컨트롤러(440)는 상기 알고리즘과 상기 산출된 평균 압력을 이용하여, 기준 시간 동안의 음료 취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
리미트 스위치(630)가 오프되지 않은 경우(S250의 NO), 음료 제조기는 S220 단계에 따라 기준 시간 경과 후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압력을 측정하고, 이전 측정된 압력과 현재 측정된 압력의 평균 압력에 기초하여, 기준 시간 동안의 취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기준 시간이 1초인 경우, 음료 제조기는 매 초마다 압력을 측정하여 평균 압력을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 압력에 기초하여 매 초마다의 취출량을 연속적으로 산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음료 제조기는 리미트 스위치(630)가 오프된 경우(S250의 YES), 음료의 취출을 종료할 수 있다(S260).
실시 예에 따라, 도 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440)는 리미트 스위치(630)가 오프된 시점의 압력을 감지하고, 이전 측정된 압력과 현재 측정된 압력의 평균 압력을 산출할 수 있다. 컨트롤러(440)는 이전 측정된 압력의 측정 시점과 상기 리미트 스위치(630)가 오프된 시점 사이의 시간과, 상기 산출된 평균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시간 동안의 취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
도 7은 음료 제조기가 음료의 취출 중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컨트롤러(440)는 음료가 취출되는 동안, 음료가 취출 중임을 나타내는 취출 화면(700)을 디스플레이(132)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취출 화면(700)은 취출 중인 음료의 명칭(음료명 또는 레시피명)(701), 취출 중임을 나타내는 취출 텍스트(702), 음료의 색상이나 탄산량 등과 같은 음료의 특징을 나타내는 그래픽 이미지(703), 음료의 잔량을 나타내는 게이지(704), 및 메뉴 진입을 위한 메뉴 아이템(70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440)는 음료의 취출 중 기준 시간마다 취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 컨트롤러(440)는 산출된 취출량에 기초하여 음료의 잔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잔량에 기초하여 취출 화면(700)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컨대, 음료의 취출이 지속됨에 따라 잔량이 감소할수록, 컨트롤러(440)는 취출 화면(700) 내의 게이지(704)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취출 화면(700)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컨트롤러(440)는 취출 화면(700)을 통해 음료의 취출량 및/또는 잔량을 수치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취출 화면(700)을 통해, 음료의 취출량 및/또는 잔량에 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음료 제조기의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8은 음료 제조기가 음료의 취출 종료 후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컨트롤러(440)는 음료의 취출이 종료된 후, 발효 컨테이너(12) 내에 보관 중인 음료와 관련된 보관 상태 화면(800)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보관 상태 화면(800)은 보관 중인 음료의 명칭(음료명 또는 레시피명)(801), 보관 기간이나 온도 등의 보관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텍스트(802), 음료의 색상이나 탄산량 등과 같은 음료의 특징을 나타내는 그래픽 이미지(803), 보관 중인 음료의 잔량을 나타내는 게이지(804), 및 메뉴 진입을 위한 메뉴 아이템(805)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440)는 음료의 취출 동안 음료의 취출량 및 잔량을 기준 시간마다 산출할 수 있다. 컨트롤러(440)는 음료의 취출이 종료되면, 최종적으로 산출된 음료의 잔량에 기초하여 게이지(804)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보관 상태 화면(800)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컨트롤러(440)는 보관 상태 화면(800)을 통해 보관 중인 음료의 잔량을 수치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보관 상태 화면(800)을 통해, 음료의 취출이 종료된 후의 잔량에 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음료 제조기의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음료의 취출 중 발효 컨테이너(12) 내부의 압력은 지속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이 때, 발효 컨테이너(12) 내부의 압력이 소정 압력 미만으로 낮아지는 경우,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음료가 원활하게 취출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료 제조기는 발효조(112)와 발효 컨테이너(12) 사이의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발효 컨테이너(12) 내부의 압력을 소정 압력 이상으로 증가시켜 음료의 원활한 취출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해 이하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음료 취출 시 에어펌프를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음료 제조기는 도 5 내지 도 6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음료의 취출 중 가스 압력센서(72)를 이용하여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S300).
컨트롤러(440)는 도 5 내지 도 6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음료의 취출량을 산출하기 위해, 가스 압력센서(72)를 이용하여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압력을 기준 시간마다 측정할 수 있다.
측정된 압력이 제1 기준 압력보다 낮은 경우(S310의 YES), 음료 제조기는 에어 펌프(82)를 온 시킬 수 있다(S320).
음료의 취출이 진행됨에 따라, 발효 컨테이너(12) 내에 보관된 음료의 잔량이 감소할 수 있다. 음료의 잔량이 감소함에 따라,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압력 또한 감소할 수 있다.
이 때, 발효 컨테이너(12) 내부의 압력이 소정 압력 미만으로 낮아지는 경우,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음료가 원활하게 취출되지 못할 수 있다.
즉, 컨트롤러(440)는 발효 컨테이너(12) 내부의 압력이 기설정된 제1 기준 압력보다 낮아지는 경우, 에어 펌프(82)를 온 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440)는 바이패스 밸브(35)와 재료공급밸브(310)를 클로즈하고, 에어 공급밸브(159)를 오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 펌프(82)에 의해 주입되는 에어는, 에어 주입채널(81), 제1 메인채널(41), 및 에어 공급채널(154)을 통해 발효조(112)와 발효 컨테이너(12) 사이의 공간으로 투입될 수 있다.
발효조(112)와 발효 컨테이너(12) 사이의 공간으로 투입된 에어에 의해, 발효 컨테이너(12)는 외부로부터 내부로 가압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에어 펌프(82)의 에어 주입에 따른 가압에 의해 부피가 감소할 수 있고, 부피가 감소함에 따라 발효 컨테이너(12) 내부의 압력이 증가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가스 압력센서(72)를 이용하여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압력을 기준 시간마다 측정할 수 있다(S330). 측정된 압력이 제2 기준 압력에 도달하는 경우(S340의 YES), 음료 제조기는 에어 펌프(82)를 오프시킬 수 있다(S350).
상기 제2 기준 압력은 제1 기준 압력보다 높을 수 있다.
컨트롤러(440)는 에어 펌프(82)의 구동과 관계없이, 리미트 스위치(630)가 온인 경우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압력을 기준 시간마다 측정하여, 기준 시간 동안의 취출량을 연속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한편, S320 단계에서 에어 펌프(82)가 온 됨에 따라,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압력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압력이 과도하게 높아지는 경우, 발효 컨테이너(12), 발효조(112), 또는 음료 제조기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컨트롤러(440)는 상기 기준 시간마다 측정되는 압력이 제2 기준 압력에 도달(또는 제2 기준 압력 이상)하는 경우, 에어 펌프(82)를 오프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측정된 압력이 제2 기준 압력에 도달하기 이전에 음료의 취출이 종료될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440)는 상기 음료의 취출이 종료된 후에도, 가스 압력센서(72)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압력이 제2 기준 압력에 도달한 경우 에어 펌프(82)를 오프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440)는 에어 펌프(82)의 오프 시 에어 공급밸브(159)를 클로즈하여, 발효조(112)와 발효 컨테이너(12) 사이의 에어가 에어 공급채널(154)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음료 제조기의 동작과 관련된 예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음료 제조기의 구성 중 일부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리미트 스위치(630)가 온되는 경우, 컨트롤러(440)는 음료 취출밸브(64)를 오픈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컨트롤러(440)는 제2 메인채널(42)에 배치된 메인밸브(40) 또한 오픈시킬 수 있다.
음료 취출밸브(64)와 메인밸브(40)가 오픈됨에 따라,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음료는 제2 메인채널(42) 및 음료 취출채널(61)을 통해 디스펜서(62)로 이동하고, 디스펜서 채널(61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컨트롤러(440)는 가스 배출채널(71)에 배치된 가스 배출밸브(73)를 기준 시간마다 순간적으로 오픈/클로즈하고, 가스 압력센서(72)를 이용하여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압력(P1)을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9에서 상술한 제1 기준 압력이 0.6 bar이고, 측정된 압력(P1)이 제1 기준 압력보다 낮은 0.58 bar인 경우, 컨트롤러(440)는 에어 펌프(82)를 온 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440)는 에어 공급밸브(159)를 오픈시키고, 바이패스 밸브(35) 및 재료공급밸브(310)를 클로즈할 수 있다.
에어 펌프(82)가 온 됨에 따라, 에어(AIR)는 에어 공급채널(154) (정확하게는 에어 주입채널(81), 제1 메인채널(41), 및 에어 공급채널(154))을 통해 발효조(112)와 발효 컨테이너(12) 사이의 공간으로 주입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발효조(112)와 발효 컨테이너(12) 사이의 공간으로 주입된 에어(AIR)에 의해, 발효 컨테이너(12)가 내부로 가압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가압에 의해 부피가 감소할 수 있고, 부피가 감소함에 따라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압력이 증가할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440)는 가스 압력센서(72)를 이용하여 압력을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압력이 도 9에서 상술한 제2 기준 압력에 도달하는 경우 에어 펌프(82)를 오프시킬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440)는, 상기 측정된 압력이 제2 기준 압력에 도달하기 이전에 리미트 스위치(630)가 오프되는 경우, 음료 취출밸브(64)를 클로즈함으로써 음료의 취출을 종료할 수 있다. 이 때, 컨트롤러(440)는 음료의 취출이 종료된 후에도, 가스 압력센서(72)를 이용하여 발효 컨테이너(12) 내부의 압력을 주기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기준 압력이 0.9 bar이고, 측정된 압력(P2)이 0.9 bar에 도달한 경우, 컨트롤러(440)는 에어 펌프(82)를 오프시키고, 에어 공급밸브(159)를 클로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압력이 소정 압력으로 유지됨으로써, 압력의 과다에 따른 발효 컨테이너(12)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추후 음료의 취출 시 음료가 즉시 원활하게 취출될 수 있다.
즉,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음료 제조기는 음료의 취출 중 발효 컨테이너(12) 내부의 압력에 기초하여 에어 펌프(82)를 제어함으로써, 음료의 원활한 취출이 지속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음료의 취출이 종료된 후에도 발효 컨테이너(12) 내부의 압력을 소정 압력으로 유지함으로써, 추후 취출 시에도 음료가 원활히 취출되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8)

  1. 음료가 수용된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갖는 발효조;
    레버의 조작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음료가 취출되는 음료 취출기;
    상기 컨테이너와 상기 음료 취출기를 연결하는 음료 취출채널;
    상기 음료 취출채널에 배치된 음료 취출밸브;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및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온 됨을 감지하면, 상기 컨테이너에 수용된 음료가 상기 음료 취출기를 통해 취출되도록 상기 음료 취출밸브를 오픈시키고,
    상기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음료의 취출량을 산출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압력을 기준 시간마다 측정하고,
    측정된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시간마다의 취출량을 산출하는 음료 제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제1 시점에 측정된 제1 압력과, 상기 제1 시점으로부터 상기 기준 시간 경과 후의 제2 시점에 측정된 제2 압력의 평균 압력을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의 상기 기준 시간 동안의 취출량을 산출하는 음료 제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오프됨을 감지하면, 상기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제3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제3 압력과, 상기 제3 압력의 이전에 측정된 제4 압력의 평균 압력을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4 압력의 측정 시점과 상기 리미트 스위치의 오프 시점 사이의 시간 동안의 취출량을 산출하는 음료 제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산출된 취출량에 기초하여, 상기 컨테이너에 수용된 음료의 잔량을 산출하는 음료 제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에 수용된 음료의 잔량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잔량 정보에 따른 잔량과 상기 산출된 취출량 간의 차를 통해 상기 음료의 잔량을 산출하고, 산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잔량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음료 제조기.
  7. 제5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산출된 산출량과 잔량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음료 제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조와 상기 컨테이너 사이의 공간으로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 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측정된 압력이 제1 기준 압력보다 낮은 경우, 상기 에어 펌프를 온 시키는 음료 제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에어 펌프의 구동 중, 상기 측정된 압력이 상기 제1 기준 압력보다 높은 제2 기준 압력 이상인 경우, 상기 에어 펌프를 오프시키는 음료 제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측정된 압력이 상기 제2 기준 압력보다 낮은 상태에서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오프됨을 감지하면,
    상기 음료 취출밸브를 클로즈하고, 상기 음료 취출밸브의 클로즈 후 주기적으로 압력을 측정하도록 상기 압력센서를 제어하고,
    상기 측정된 압력이 상기 제2 기준 압력 이상인 경우 상기 에어 펌프를 오프시키는 음료 제조기.
  11. 음료 제조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료 제조기의 컨트롤러가, 음료 취출기의 리미트 스위치가 온 됨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가, 음료가 수용된 컨테이너와 상기 음료 취출기 사이의 음료 취출채널에 배치된 음료 취출밸브를 오픈시키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가,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음료의 취출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의 제어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압력을 기준 시간마다 측정하는 단계이고,
    상기 취출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기준 시간마다 측정된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시간마다의 취출량을 산출하는 단계인 음료 제조기의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는,
    제1 시점에 측정된 제1 압력과, 상기 제1 시점으로부터 상기 기준 시간 경과 후의 제2 시점에 측정된 제2 압력의 평균 압력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취출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산출된 평균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의 상기 기준 시간동안의 취출량을 산출하는 단계인 음료 제조기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오프됨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제3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측정된 제3 압력과, 상기 제3 압력의 이전에 측정된 제4 압력의 평균 압력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컨트롤러가, 산출된 평균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4 압력의 측정 시점과 상기 리미트 스위치의 오프 시점 사이의 시간 동안의 취출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의 제어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산출된 취출량에 기초하여, 상기 컨테이너에 수용된 음료의 잔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의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산출된 산출량과 잔량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의 제어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제조기는 상기 컨테이너가 수용되는 발효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측정된 압력이 제1 기준 압력보다 낮은 경우, 상기 발효조와 상기 컨테이너 사이의 공간으로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 펌프를 온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의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에어 펌프의 구동 중, 상기 측정된 압력이 상기 제1 기준 압력보다 높은 제2 기준 압력 이상인 경우, 상기 에어 펌프를 오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의 제어 방법.
KR1020180143728A 2018-11-20 2018-11-20 음료 제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0005896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728A KR20200058969A (ko) 2018-11-20 2018-11-20 음료 제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EP19209715.2A EP3670435B1 (en) 2018-11-20 2019-11-18 Beverage mak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6/689,586 US11459224B2 (en) 2018-11-20 2019-11-20 Beverage mak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728A KR20200058969A (ko) 2018-11-20 2018-11-20 음료 제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8969A true KR20200058969A (ko) 2020-05-28

Family

ID=68609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728A KR20200058969A (ko) 2018-11-20 2018-11-20 음료 제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59224B2 (ko)
EP (1) EP3670435B1 (ko)
KR (1) KR202000589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8716A (ko) * 2020-06-24 2021-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및 그 운전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13647B2 (en) 2015-06-11 2021-02-09 LifeFuels, Inc. Portable system for dispensing controlled quantities of additives into a beverage
US11337533B1 (en) * 2018-06-08 2022-05-24 Infuze, L.L.C. Portable system for dispensing controlled quantities of additives into a beverage
KR20200071542A (ko) * 2018-12-11 2020-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효 컨테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US10889424B1 (en) 2019-09-14 2021-01-12 LifeFuels, Inc. Portable beverage container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the composition of a beverage
KR20220098788A (ko) * 2019-11-15 2022-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테이너 기반의 차량 시스템에서 심리스 컨테이너 업데이트
US11903516B1 (en) 2020-04-25 2024-02-20 Cirku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bottle apparatuses, container assemblies, and dispensing apparatuses
CN111982230B (zh) * 2020-08-12 2023-02-28 广州技诺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商用售卖机液体体积检测系统和检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6550A (en) * 1995-09-29 1998-09-15 Frank Jimmy I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amount of liquid in a mixing chamber
WO1998042612A2 (en) * 1997-03-24 1998-10-01 Scottish & Newcastle Plc Dispensing of beverages into a container within a pre-pressurised chamber
US6237652B1 (en) * 2000-01-25 2001-05-29 Dispensing Systems, Inc. Pressurized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carbonated beverage
US6751525B1 (en) * 2000-06-08 2004-06-15 Beverage Works, Inc. Beverage distribution and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US8181822B2 (en) * 2006-07-07 2012-05-22 Fair Oaks Farms Brands, Inc. Liquid food dispenser system and method
DK2173849T3 (en) * 2007-08-01 2018-03-19 Williamswarn Holdings Ltd COMBINED BREWING SYSTEM
US20130048668A1 (en) * 2010-02-22 2013-02-28 John Patrick Osborne Pressure sensing liquid dispensing system
EA024537B1 (ru) * 2010-07-21 2016-09-30 Карлсберг Брюириз А/С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объема напитка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ая система
CN107400584B (zh) * 2016-05-18 2021-06-29 Lg电子株式会社 啤酒酿造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8716A (ko) * 2020-06-24 2021-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및 그 운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70435A1 (en) 2020-06-24
US11459224B2 (en) 2022-10-04
US20200156922A1 (en) 2020-05-21
EP3670435B1 (en) 2024-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2006B1 (ko) 발효장치
KR20200058969A (ko) 음료 제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548264B1 (ko) 음료 제조기 및 음료 제조기의 제어 방법
KR102587228B1 (ko) 음료 제조기
KR102304274B1 (ko) 발효 및 숙성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11970686B2 (en) Beverage mak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beverage maker
KR20200062706A (ko) 음료 제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00072048A (ko) 음료 제조기
EP3486308B1 (en) Beverage maker and method for making beverage
KR20200131689A (ko) 발효 및 숙성 장치
KR102570611B1 (ko) 음료 제조기
KR102570613B1 (ko) 음료 제조기
KR102274525B1 (ko) 발효 및 숙성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114304B1 (ko) 맥주 제조장치 및 그의 제조 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2314618B1 (ko) 음료 제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522000B1 (ko) 음료 제조기
KR102282483B1 (ko) 발효 및 숙성 장치
KR102533779B1 (ko) 음료 제조기
KR20200051323A (ko) 음료 제조기
KR20190016301A (ko) 음료 제조기 및 그의 음료 제조 방법
KR102526540B1 (ko) 음료 제조기
KR102216741B1 (ko) 음료 제조기
KR102522004B1 (ko) 음료 제조기 및 음료 제조기의 제어 방법
KR102557939B1 (ko) 음료 제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20089352A (ko) 음료 제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