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8146A - 블록 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구독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 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구독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8146A
KR20200058146A KR1020180142781A KR20180142781A KR20200058146A KR 20200058146 A KR20200058146 A KR 20200058146A KR 1020180142781 A KR1020180142781 A KR 1020180142781A KR 20180142781 A KR20180142781 A KR 20180142781A KR 20200058146 A KR20200058146 A KR 20200058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rvice
blockchain
contract
st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2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9311B1 (ko
Inventor
김선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Priority to KR1020180142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9311B1/ko
Publication of KR20200058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8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7Regul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 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구독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수요자는 각 매장에서 제공하는 구독서비스 중 자신에게 가장 필요하고 가장 유리한 구독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각 구독서비스를 제공하는 매장은, 수익이 예측 가능해지고, 지속적인 수입 모델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블록 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구독서비스 방법{SUBSCRIPTION METHOD USING SMART CONTRACT BASED BLOCK CHAIN}
본 발명은 블록 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구독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록 체인은 P2P 기술에 기반된 데이터의 기록 기술로서 누구나가 데이터의 저장 및 관리의 주체가 되어 동일한 정보를 각각 기록하는 기술이다.
여기서, 블록 체인의 "블록"은 데이터 저장 단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파일 시스템의 "블록"이 디스크에서 하나의 파일이 할당될 수 있는 최소의 공간이라는 의미와 차이가 있다.
블록 체인의 기술은 상기 파일 시스템에 기반된 파일 단위로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분산 데이터베이스 환경에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저장한다.
블록 체인의 기술은 블록의 저장 주체인 노드들간에 동일 데이터가 저장된 블록의 기록을 동기화하므로 데이터의 무결성과 영속성을 제공한다.
또한, 블록 체인의 기술은 범용 컴퓨터 장비에 적용이 가능하므로 고가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장비 없이 비용이 절감되는 구축을 제공한다.
한편, 최근 구독(subscription)서비스가 큰 인기를 끌고 있는데, 구독서비스는 월 정액요금을 내고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독'하는 정기배송 서비스이다.
구독서비스는 소비자의 소비 주기가 스케줄링 되기 때문에 자원의 낭비를 없애며 효율적인 비용 관리가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구독서비스에 대한 예로, 한국등록특허 제10-1103405호에는 이동통신 단문메시지를 통한 콘텐츠 구독서비스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 블록 체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구독서비스를 블록 체인과 연계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수요자는 각 매장에서 제공하는 구독서비스 중 자신에게 가장 필요하고 가장 유리한 구독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각 구독서비스를 제공하는 매장은, 수익이 어느 정도 예측 가능해지고, 지속적인 수입 모델을 확보할 수 있는 블록 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구독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a)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장에서 운영하는 매장단말기(T)가, 매장정보(SI)와 서비스이용조건정보(SCI)를 포함하는 구독서비스정보(SSI)를 관리서버(101)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관리서버(101)가, 상기 구독서비스정보(SSI)를 기초로 활용하여 컨트랙트정보(CI)를 생성하고, 상기 컨트랙트정보(CI)를 이용하여 트랜잭션을 생성하며, 상기 컨트랙트정보(CI)를 네트워크(103)에 업로드하는 단계; (c) 상기 네트워크(103)에 연결된 복수개의 노드들(nk, k는 자연수)이, 상기 컨트랙트정보(CI)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단계; (d) 유효성이 검증된 상기 컨트랙트정보(CI)가, 상기 네트워크(103) 상의 블록 체인(105)에 등록되는 단계; 및 (e) 상기 블록 체인(105)에 등록된 상기 컨트랙트정보(CI)가, 상기 네트워크(103)에 연결된 수요자단말기(107)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구독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f) 상기 수요자단말기(107)가, 상기 컨트랙트정보(CI)에 대한 서비스수락정보(SAI)를 기초로 활용하여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서비스수락정보(SAI)를 상기 네트워크(103)에 업로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구독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g) 상기 네트워크(103)에 연결된 상기 복수개의 노드들(nk, k는 자연수)이, 상기 서비스수락정보(SAI)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구독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h) 유효성이 검증된 상기 서비스수락정보(SAI)가, 상기 네트워크(103) 상의 상기 블록 체인(105)에 등록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구독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수요자는 각 매장에서 제공하는 구독서비스 중 자신에게 가장 필요하고 가장 유리한 구독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각 구독서비스를 제공하는 매장은, 수익이 예측 가능해지고, 지속적인 수입 모델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구독서비스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구독서비스 방법이 구현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 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구독서비스 방법이 구현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 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구독서비스 방법이 구현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스마트 컨트랙트에 대해 설명하면,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는 블록 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계약 또는 협상의 실행 및 시행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코드를 말한다.
따라서, 프로그램 코드에 의해 전체 프로세스가 자동화되어 법적 계약을 보완하거나 대체할 수 있다.
기존 블록 체인의 가상화폐 저장 기능은 다양한 형태로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
복수의 가상화폐 중 이더리움(ethereum)은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할 수 있는 블록 체인 시스템으로, EVM(Ethereum Virtual Machine)을 통해 글로벌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개발자는 프로그래밍을 통해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할 수 있고, 가상화폐 등의 디지털 자산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이더리움은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구조적 문제 때문에 협의가 잘 진행되지 않는 점을 극복하기 위해 SNS, 이메일 및 전자 투표 등의 다양한 정보를 기록하는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이더리움은 계정 관리, 통화 발생 및 채굴 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스마트 계약과 EVM 상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킬 수 있는 분산 애플리케이션(Distributed Applictaion, dApp)을 이용할 수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의 최초 발안자인 Nick Szabo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신뢰할 수 없는 컴퓨터 네트워킹 환경에서의 기계간의 고도로 발달된 자동 계약 이행 방법으로 정의하였으며, 블록 체인 위에 부동산 계약, 온라인 투표 및 헬스케어 등의 다양한 분산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플랫폼을 확장했다.
현재 2세대 블록 체인에서 가장 주목하는 기술은 스마트 컨트랙트이다.
비트코인에서도 스마트 컨트랙트는 가능하였으나 if 조건문만을 이용할 수 있었기 때문에 원하는 계약 사항을 만드는 것에 제약 사항이 존재하였다.
반면, 스마트 컨트랙트로 잘 알려진 이더리움은 튜링 완전성(turing completeness)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컴퓨터에 프로그래밍을 하는 정도까지 지원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거래 또는 계약 사항을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기존 계약은 법적 전문가에 의해 인쇄된 문서에 법적 언어를 포함하고, 제3 자에 대한 의존이 높았다.
또한, 전통적인 계약은 시간이 많이 걸리고, 분쟁이 생기면 사법 제도에 의지하여야 함으로,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다만, 블록 체인의 스마트 컨트랙트는 컴퓨터 프로그래머가 디지털 언어를 통해 작성하여 기존의 전통적인 계약에서 계약 당사자의 의무, 혜택 및 벌금을 명시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규칙 및 결과를 정의할 수 있고, 프로그래밍에 의해 개발되어 시스템에 의해 강제적으로 계약이 이행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구독서비스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구독서비스 방법이 구현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 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구독서비스 방법이 구현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 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구독서비스 방법이 구현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구독서비스 방법은, (a)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장에서 운영하는 매장단말기(T)가, 매장정보(SI)와 서비스이용조건정보(SCI)를 포함하는 구독서비스정보(SSI)를 관리서버(101)로 전송하는 단계; (b) 관리서버(101)가, 구독서비스정보(SSI)를 기초로 활용하여 컨트랙트정보(CI)를 생성하고, 컨트랙트정보(CI)를 이용하여 트랜잭션을 생성하며, 컨트랙트정보(CI)를 네트워크(103)에 업로드하는 단계; (c) 네트워크(103)에 연결된 복수개의 노드들(nk, k는 자연수)이, 컨트랙트정보(CI)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단계; (d) 유효성이 검증된 컨트랙트정보(CI)가, 네트워크(103) 상의 블록 체인(105)에 등록되는 단계; 및 (e) 블록 체인(105)에 등록된 컨트랙트정보(CI)가, 네트워크(103)에 연결된 수요자단말기(107)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a) 단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장에서 운영하는 매장단말기(T)가, 매장정보(SI)와 서비스이용조건정보(SCI)를 포함하는 구독서비스정보(SSI)를 관리서버(101)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관리서버(101)는, 독립된 서버뿐만 아니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블록 체인 스마트컨트랙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매장단말기(T)가 운영되는 매장은, 일예로, 커피숍, 식당, 세탁소 등 다양한 업종의 매장이 될 수 있으며, 동종 업종이지만 브랜드가 다른 매장, 브랜드가 동일한 동종 업종으로 프랜차이즈와 같이 여러 지점을 갖는 매장 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면들에서는 매장의 구분을 위해, 매장1의 단말기(T1), 매장2의 단말기(T2), 매장m의 단말기(Tm) 등으로 표시되어 있다.
한편, 매장단말기(T)는, 구독서비스정보(SSI)를 관리서버(101)로 전송하는데, 구독서비스정보(SSI)에는, 매장정보(SI)와 서비스이용조건정보(SCI)가 포함된다.
일예로, 매장정보(SI)는, 매장의 위치정보, 매장의 연락처정보, 매장의 영업시간정보, 매장의 서비스품목정보, 매장의 서비스가격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여기서, 매장의 위치정보는, 매장의 위치를 지도이미지에 표시한 이미지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매장의 서비스품목정보는 매장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품목에 대한 이미지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매장의 서비스가격정보는 매장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가격을 테이블(표) 이미지로 표시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이용조건정보(SCI)는, 매장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이용시간정보, 이용서비스종류정보, 이용서비스의 구독료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즉, 서비스이용조건정보(SCI)는, 후술할 수요자단말기(107)를 사용하는 수요자가, 각 매장에서 제공하는 구독서비스의 신청을 위해 확인하는 정보에 해당한다.
이어서, (b) 단계는, 관리서버(101)가, 구독서비스정보(SSI)를 기초로 활용하여 컨트랙트정보(CI)를 생성하고, 컨트랙트정보(CI)를 이용하여 트랜잭션을 생성하며, 컨트랙트정보(CI)를 네트워크(103)에 업로드하는 단계이다.
관리서버(101)는, 인가된 구독서비스정보(SSI)를 기초로 활용하여 컨트랙트정보(CI)를 생성하고, 이 컨트랙트정보(CI)를 이용하여 트랜잭션을 생성한다.
여기서, 구독서비스정보(SSI)에 포함된 서비스이용조건정보(SCI)는, 수요자단말기(107)를 사용하는 수요자(여기서, 수요자단말기(107) 및 수요자는 복수로 될 수 있다)가 각 매장을 방문하여 이용하는 각종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분석하여, 각 수요자의 소비 패턴과 소비액을 분석하고, 그 결과로 인공지능에 의해 추천된 각 매장의 이용시간정보, 이용서비스종류정보, 이용서비스의 구독료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관리서버(101)는, 컨트랙트정보(CI)를 네트워크(103) 상에 업로드한다.
이어서, (c) 단계는, 네트워크(103)에 연결된 복수개의 노드들(nk, k는 자연수)이, 컨트랙트정보(CI)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네트워크(103)에 연결된 복수개의 노드들(nk)은 블록 체인(105)에 참여하는 일종의 서버와 같은 역할을 한다.
이어서, (d) 단계는, 유효성이 검증된 컨트랙트정보(CI)가, 네트워크(103) 상의 블록 체인(105)에 등록되는 단계이다.
즉, (d) 단계를 통해, 유효성이 검증된 컨트랙트정보(CI)는 블록 체인(105)의 한 블록에 포함되게 된다.
이어서, (e) 단계는, 블록 체인(105)에 등록된 컨트랙트정보(CI)가, 네트워크(103)에 연결된 수요자단말기(107)로 전송되는 단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구독서비스 방법은, (f) 수요자단말기(107)가, 컨트랙트정보(CI)에 대한 서비스수락정보(SAI)를 기초로 활용하여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서비스수락정보(SAI)를 네트워크(103)에 업로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즉, 수요자단말기(107)를 사용하는 수요자는, 컨트랙트정보(CI)에 포함된 구독서비스정보(SSI)를 확인하여, 각 매장정보(SI) 그리고 각 서비스이용조건정보(SCI)를 확인하게 되며, 해당 정보에 동의하는 경우, 수요자단말기(107)를 통해 컨트랙트정보(CI)에 대한 서비스수락정보(SAI)를 기초로 활용하여 트랜잭션을 생성하게 된다.
그리고 수요자단말기(107)는 서비스수락정보(SAI)를 네트워크(103) 상에 업로드하게 된다.
일예로, 서비스수락정보(SAI)는, 매장1이 커피숍이고, 매장2가 식당이며, 매장3이 세탁소인 경우, 아래와 같을 수 있다.
- 매장1 관련 : 이용시간(월요일, 수요일, 금요일, 오전 10시~오전 10시 30분), 이용서비스종류(아메리카노 1잔, 샌드위치), 구독료정보(월 2만원)
- 매장2 관련 : 이용시간(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오후 12시~오후 13시), 이용서비스종류(정식), 구독료정보(월 15만원)
- 매장3 관련 : 이용시간(매주 수요일, 오후 7시~오후 7시 30분), 이용서비스종류(드라이크리닝), 구독료정보(월 2만원)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구독서비스 방법은, (g) 네트워크(103)에 연결된 복수개의 노드들(nk, k는 자연수)이, 서비스수락정보(SAI)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네트워크(103)에 연결된 복수개의 노드들(nk)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블록 체인(105)에 참여하는 일종의 서버와 같은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구독서비스 방법은, (h) 유효성이 검증된 서비스수락정보(SAI)가, 네트워크(103) 상의 블록 체인(105)에 등록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즉, 서비스수락정보(SAI)는, 네트워크(103)에 참석한 복수개의 노드들(nk)에 의해 유효성이 검증되며, 검증된 서비스수락정보(SAI)는 네크워크(103) 상의 블록 체인(105)에 블럭으로 등록되는 것이다.
이러한 각 단계를 통해, 수요자는 각 매장에서 제공하는 구독서비스 중 자신에게 가장 필요하고 가장 유리한 구독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각 구독서비스를 제공하는 매장은, 수익이 어느 정도 예측 가능해지고, 지속적인 수입 모델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 : 관리서버
103 : 네트워크
105 : 블록 체인
107 : 수요자단말기
T : 매장단말기
SI : 매장정보
SCI : 서비스이용조건정보
SSI : 구독서비스정보
CI : 컨트랙트정보
nk : 복수개의 노드들
SAI : 서비스수락정보

Claims (6)

  1. (a)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장에서 운영하는 매장단말기(T)가, 매장정보(SI)와 서비스이용조건정보(SCI)를 포함하는 구독서비스정보(SSI)를 관리서버(101)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관리서버(101)가, 상기 구독서비스정보(SSI)를 기초로 활용하여 컨트랙트정보(CI)를 생성하고, 상기 컨트랙트정보(CI)를 이용하여 트랜잭션을 생성하며, 상기 컨트랙트정보(CI)를 네트워크(103)에 업로드하는 단계;
    (c) 상기 네트워크(103)에 연결된 복수개의 노드들(nk, k는 자연수)이, 상기 컨트랙트정보(CI)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단계;
    (d) 유효성이 검증된 상기 컨트랙트정보(CI)가, 상기 네트워크(103) 상의 블록 체인(105)에 등록되는 단계; 및
    (e) 상기 블록 체인(105)에 등록된 상기 컨트랙트정보(CI)가, 상기 네트워크(103)에 연결된 수요자단말기(107)로 전송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구독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f) 상기 수요자단말기(107)가, 상기 컨트랙트정보(CI)에 대한 서비스수락정보(SAI)를 기초로 활용하여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서비스수락정보(SAI)를 상기 네트워크(103)에 업로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구독서비스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g) 상기 네트워크(103)에 연결된 상기 복수개의 노드들(nk, k는 자연수)이, 상기 서비스수락정보(SAI)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구독서비스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h) 유효성이 검증된 상기 서비스수락정보(SAI)가, 상기 네트워크(103) 상의 상기 블록 체인(105)에 등록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구독서비스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정보(SI)는,
    상기 매장의 위치정보, 연락처정보, 영업시간정보, 서비스품목정보, 서비스가격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구독서비스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이용조건정보(SCI)는,
    상기 매장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이용시간정보, 이용서비스종류정보, 이용서비스의 구독료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구독서비스 방법.
KR1020180142781A 2018-11-19 2018-11-19 블록 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구독서비스 방법 KR102169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781A KR102169311B1 (ko) 2018-11-19 2018-11-19 블록 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구독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781A KR102169311B1 (ko) 2018-11-19 2018-11-19 블록 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구독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8146A true KR20200058146A (ko) 2020-05-27
KR102169311B1 KR102169311B1 (ko) 2020-10-23

Family

ID=70911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2781A KR102169311B1 (ko) 2018-11-19 2018-11-19 블록 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구독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93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8207A (ko) * 2021-07-29 2023-02-07 주식회사 에어핏 환기 장치의 필터 교체 구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2335A (ko) * 2016-08-24 2018-03-06 김진오 중앙분산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가상화폐를 이용한 거래 시스템, 거래 단말 장치 및 거래 서버 장치, 이를 이용한 거래 방법
KR20180119488A (ko) * 2017-04-25 2018-11-02 주식회사 모아플래닛 암호화폐를 이용한 할인 적립금 지급 방법, 플랫폼 서버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2335A (ko) * 2016-08-24 2018-03-06 김진오 중앙분산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가상화폐를 이용한 거래 시스템, 거래 단말 장치 및 거래 서버 장치, 이를 이용한 거래 방법
KR20180119488A (ko) * 2017-04-25 2018-11-02 주식회사 모아플래닛 암호화폐를 이용한 할인 적립금 지급 방법, 플랫폼 서버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8207A (ko) * 2021-07-29 2023-02-07 주식회사 에어핏 환기 장치의 필터 교체 구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9311B1 (ko) 2020-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jeed et al. Blockchain for IoT-based smart cities: Recent advances, requirements, and future challenges
US20240144263A1 (en) Systems and Methods to Validate Transactions For Inclusion in Electronic Blockchains
Pasdar et al. Connect api with blockchain: A survey on blockchain oracle implementation
KR20220063147A (ko) 적합도-경사 블록체인 합의를 사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13508412A (zh) 基于铸造和销毁区块链的反馈通信协议
WO2020032990A1 (en) Security systems and methods based on cryptographic utility token inventory tenure
US201302902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social graph and graph assets valuation and monetization
WO2018224431A1 (en) Connected lighting system, method, and apparatus using blockchain
CN111444209B (zh) 一种基于区块链的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0852870A (zh) 一种虚拟资源转移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5730277A (zh) 使用非同质化代币nft的补充数字内容访问控制
EP414904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lockchain network congestion-adaptive digital asset event handling
CN116157818A (zh) 允许虚拟货币到期日期的电子钱包
Pouwelse et al. Laws for creating trust in the blockchain age
Talha Talukder et al. A customer satisfaction centric food delivery system based on blockchain and smart contract
Ramachandran et al. Blockchain in supply chain: Opportunities and design considerations
US2022039857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ransfers of digital assets
KR102169311B1 (ko) 블록 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구독서비스 방법
WO2019245577A1 (en) Systems and methods to validate transactions for inclusion in electronic blockchains
Dhillon et al. Ethereum tokens: high-performance computing
US20220084026A1 (en) Secure transactions
PG et al. Blockchain based verification of vehicle history for pre-owned vehicle industry
Alm et al. Toward a framework for assessing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blockchain platforms
CN110826994B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Dhillon et al. High-Performance Compu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