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8103A - 페이지 지정과 스타일 지정이 가능한 벡터 이미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페이지 지정과 스타일 지정이 가능한 벡터 이미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8103A
KR20200058103A KR1020180142684A KR20180142684A KR20200058103A KR 20200058103 A KR20200058103 A KR 20200058103A KR 1020180142684 A KR1020180142684 A KR 1020180142684A KR 20180142684 A KR20180142684 A KR 20180142684A KR 20200058103 A KR20200058103 A KR 20200058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ge
vector image
virtual
rendering unit
image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2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자인커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자인커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자인커넬
Priority to KR1020180142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8103A/ko
Publication of KR20200058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81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86Templ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벡터 이미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페이지 지정이 가능하고 지정된 페이지의 각각에 스타일 지정이 가능하여 발표 자료 작성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페이지 지정과 스타일 지정이 가능한 벡터 이미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페이지 구분 경계 객체를 벡터 이미지로 형성하여 다수의 가상 페이지를 생성하는 제1 렌더링부; 상기 제1 렌더링부에서 형성된 다수의 가상 페이지에 페이지 스타일을 지정하는 페이지 스타일 지정부; 및 상기 페이지 스타일 지정부에서 지정된 페이지 스타일을 포함한 상기 제1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다수의 가상 페이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페이지 지정과 스타일 지정이 가능한 벡터 이미지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페이지 지정과 스타일 지정이 가능한 벡터 이미지 시스템{Paging and Styling Vector Image System}
본 발명은 벡터 이미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페이지 지정이 가능하고 지정된 페이지의 각각에 스타일 지정이 가능하여 발표 자료 작성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페이지 지정과 스타일 지정이 가능한 벡터 이미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그래픽은 뛰어난 표현 능력과 표현 기법 그리고 복제와 제작에 이르는 기능과 경제성은 기존의 개념마저 바꾸어 놓을 만큼 혁신적인 분야이다.
컴퓨터 그래픽은 거의 모든 디자인에 폭 넓게 활용되고 있다. 특히 예술의 상업화와 대중화가 확산되면서 디자이너들은 늘 새로운 이미지가 선택되어져야 하는 디자인을 끝없이 공급해야 하는 고단함에 빠지게 되는데,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하여 이러한 창조의 과정을 보다 빠르게 진행시키며 손으로 표현할 수 없던 실사들의 이미지 합성 등을 쉽게 수행할 수 있으며, 뜻밖의 효과와 다양한 결과물들을 손쉽게 얻어낼 수 있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이미지는 크게 두 가지 타입 즉, 벡터(VECTOR)이미지와 래스터(RASTER)이미지로 나눈다.
벡터 이미지는 주로 드로잉 프로그램(예: 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 코렐드로우, 프리핸드 등)에서 만들어지는 그래픽 타입으로 수학적 연산에 의해 처리된다.
즉, 점들과 베지어 커브를 이용해서 테두리와 내부를 채워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수학적 공식으로 처리되므로 이미지의 파일 크기가 작고 이미지를 줄이거나 늘여도 이미지에 손상을 주지 않는다. 이 방식을 또한 오브젝트 방식이라고도 한다. 3D나 캐드 프로그램은 이 방식을 이용한다.
래스터 그래픽(raster graphics)은 화상을 래스터 방식에 의해 생성하는 컴퓨터 그래픽의 총칭으로서 오늘날의 컴퓨터 그래픽의 대부분은 이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컴퓨터 이미지 타입에서 벡터 이미지는 이미지 크기가 비트맵에 비해 작고 이미지의 질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확대나 회전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조작할 수 있어 유용하다.
그리고, 이때의 라인은 스크린 상에서와 프린트할 때 모두 깨끗하게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벡터 이미지는 페이지 구분이 없어 발표 자료 등을 작성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스타일 지정에 있어 어려움이 있다.
국내특허등록번호 10-0751691호 국내특허공개번호 10-2012-0129627호 국내특허공개번호 10-2018-0041307호 국내특허공개번호 10-2011-001016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페이지 지정이 가능하고 지정된 페이지의 각각에 스타일 지정이 가능하여 발표 자료 작성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페이지 지정과 스타일 지정이 가능한 벡터 이미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페이지 구분 경계 객체를 벡터 이미지로 형성하여 다수의 가상 페이지를 생성하는 제1 렌더링부; 상기 제1 렌더링부에서 형성된 다수의 가상 페이지에 페이지 스타일을 지정하는 페이지 스타일 지정부; 및 상기 페이지 스타일 지정부에서 지정된 페이지 스타일을 포함한 상기 제1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다수의 가상 페이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 렌더링부가 형성하는 페이지 구분 경계 객체는 여백 영역, 경계 영역, 패딩 영역 및 콘텐츠 영역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 랜더링부가 형성하는 페이지 구분 경계 객체는 점선으로 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 랜더링부가 형성하는 페이지 구분 경계 객체는 실선으로 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 랜더링부가 형성하는 페이지 구분 경계 객체는 좌측 라인, 우측 라인, 상부 라인, 하부 라인의 벡터 이미지를 지정하여 박스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 랜더링부가 형성하는 페이지 구분 경계 객체는 아도비 일러스트레이터, 3D 스튜디오 맥스, 코렐 드로우, 오토캐드, 마야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벡터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 랜더링부가 형성하는 페이지 구분 경계 객체는 박스 형태의 좌측 라인의 하단 좌표값과 상부 라인의 중간 좌표값을 지정하여 가상 페이지를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 랜더링부가 형성하는 페이지 구분 경계 객체는 하나의 아트 보드 상에서 표시되는 일정 크기와 스타일을 가지는 가상 페이지의 각각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 랜더링부가 형성하는 페이지 구분 경계 객체는 일정 크기와 스타일을 가지는 가상 페이지에 각각 대응되는 레이어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 랜더링부가 형성하는 페이지 구분 경계 객체는 가상 페이지의 각각에 대응되는 각각의 파일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 렌더링부는 벡터 이미지로 구성된 페이지 구분 경계 객체를 벡터 연산을 통해 비디오 메모리의 일정 영역에 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 렌더링부에 의해 상기 비디오 메모리의 일정 영역에 그려진 페이지 구분 경계 객체를 처리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제2 렌더링부; 상기 페이지 경계 구분 객체를 기 구비된 캐시 메모리에 저장하는 캐싱부; 및 상기 화면에 표시된 페이지 구분 경계 객체에 대한 상태 변경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캐시 메모리에 저장된 해당 객체에 대응되는 텍스쳐의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 페이지 화면 내에 복수 가상 페이지들을 미리보기 형태로 표시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작업 내용과 슬라이드의 표시 내용을 동시에 비교 및 조정하며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드 제공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 작성된 다수개의 가상 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 페이지를 선택하도록 하고, 상기 선택된 가상 페이지를 페이지 자동설정 기능, 목차생성 기능, 용어검색/변경 기능, 바탕박스/표 통일 기능, 폰트 일괄수정 기능, 디자인 전/후 내용확인 기능 또는 마스터페이지 통일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여 재 작성하며, 상기 재 작성된 가상 페이지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편집 기능 제공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페이지 자동설정 기능은 상기 가상 페이지 중에서 페이지 확인 및 설정이 필요한 가상 페이지를 재 선택하고, 상기 재 선택된 가상 페이지의 시작페이지를 위한 옵션을 선택하며, 기 선택된 옵션에 따라 상기 재 선택된 가상 페이지를 실행하여 새로 지정할 페이지 및 기 지정된 페이지를 표시하며, 상기 기 지정된 페이지와 상기 새로 지정해야 할 페이지가 다른 경우 페이지 에러를 표시하고, 상기 페이지 에러로 표시된 가상 페이지를 순차적으로 실행하여 정상적인 페이지로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차생성 기능은 상기 선택된 가상 페이지 중에서 목차생성이 필요한 가상 페이지를 재 선택하고, 상기 재 선택된 가상 페이지의 장 번호 및 목차레벨 구분을 위한 옵션을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옵션에 따라 상기 재 선택된 가상 페이지를 순차적으로 실행하여 전체 페이지를 조사하여 목차부분을 찾아낸 후, 상기 선택된 옵션의 장 번호와 목차레벨별 빈칸 수 및 해당 페이지를 조합하여 텍스트 파일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텍스트 파일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페이지 지정이 가능하고 지정된 페이지의 각각에 스타일 지정이 가능하여 발표 자료 작성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 지정과 스타일 지정이 가능한 벡터 이미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하나의 아트 보드에 복수개의 가상 페이지가 설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가상 페이지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슬라이드 제공부가 제공하는 슬라이드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편집 기능 제공부가 제공하는 편집 기능 목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한정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 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페이지 지정과 스타일 지정이 가능한 벡터 이미지 시스템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벡터 이미지라는 용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벡터 이미지는 흔히 사용되는 벡터 이미지 제작 도구인 아도비 일러스트레이터, 3D 스튜디오 맥스, 코렐 드로우, 오토캐드, 마야 등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그래픽으로서, 전반적으로 매트릭스에 기반하여 픽셀의 위치와 값을 부여하는 비트맵형의 이미지(압축기법에 기초한 " jpeg" 파일이나 " gif" 등도 포함)와는 달리 벡터의 성질에 기반한 함수로 표시하는 그래픽을 말한다. 예를 들면, 하나의 라인을 표시할 경우, 비트맵형의 이미지일 경우는 각 위치에 따라 픽셀 값을 부여하지만 벡터 이미지일 경우는 시작점과 끝점(순서를 바꾸어도 상관없음)의 좌표를 부여하고 그 좌표 값에 근거하여 일련의 명령어에 기초하여 라인이 구성된다. 즉 " line(star point, end point)" 와 같은 함수의 형태로 표현되게 된다. 확대했을 경우 비트맵형의 이미지일 경우는 매트릭스 형태를 나타내게 되고, 벡터 이미지일 경우는 변화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 지정과 스타일 지정이 가능한 벡터 이미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 지정과 스타일 지정이 가능한 벡터 이미지 시스템은 제1 렌더링부(100), 제2 렌더링부(110), 페이지 스타일 지정부(120), 캐싱부(130), 제어부(140), 디스플레이부(150), 비디오 메모리(160), 슬라이드 제공부(170) 및 편집 기능 제공부(1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50)는 실제 화면이 표시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전력 소모가 적은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렌더링부(100)는 벡터 이미지로 구성된 페이지 구분 경계 객체를 벡터 연산을 통해 비디오 메모리(160)의 일정 영역에 그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1 렌더링부(100)는 페이지 구분 경계의 좌측 라인, 우측 라인, 상부 라인, 하부 라인의 벡터 이미지를 지정하여 박스 형태의 가상 페이지를 구성하도록 한다.
이러한 가상 페이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백 영역(210), 경계 영역(220), 패딩 영역(230), 콘텐츠 영역(2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렌더링부(100)는 박스 형태의 좌측 라인의 하단 좌표값과 상부 라인의 중간 좌표값을 지정하여 박스 형태의 가상 페이지를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페이지 구분 경계 객체는 본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 지정과 스타일 지정이 가능한 벡터 이미지 시스템이 실제 화면에 표시하기 위해 처리 또는 관리하는 기본 단위가 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아트 보드 상에서 표시되는 일정 크기와 스타일을 가지는 가상 페이지의 각각을 의미할 수 있고, 또는 일정 크기와 스타일을 가지는 가상 페이지에 각각 대응되는 레이어를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페이지 구분 경계 객체는 파일 시스템 레벨에서 서로 구별되는 것일 수도 있지만 응용 프로그램들 간에 서로 공유되거나 또는 특정 응용 프로그램에서 정의되는 그래픽 처리의 기본 단위에 해당할 수 있다. 즉, 페이지 구분 경계 객체는 가상 페이지의 각각에 대응되는 각각의 파일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하나의 문서는 다수의 가상 페이지의 각각에 대응되는 각각의 파일을 포함하는 폴더를 의미할 수 있다.
특히 벡터 이미지들은 벡터 연산의 대상으로서 서로 구분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각각의 벡터 이미지들은 페이지 구분 경계 객체라 할 수 있다.
상기 제1 렌더링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지 구분 경계 객체의 라인의 스타일을 지정할 수 있다.
일예로, 실선이나 점선 등으로 지정할 수 있으며, 굵기와 색깔등을 지정할 수 있으며, 투명도를 지정할 수 있다.
제1 렌더링부(100)가 수행하는 벡터 연산은 CPU(Center Processing Unit)자원을 이용한 것일 수 있다. 즉, 본실시예에 따른 페이지 지정과 스타일 지정이 가능한 벡터 이미지 시스템은 CPU와 GPU(Graphic Processing Unit)가 모두 포함될 수 있는데, 그중 메인 프로세서에 해당하는 CPU를 활용하여 제1 렌더링부(100)는 벡터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단말장치에 구비되는 CPU와 GPU의 기능과 그 구성은 기 공지된 것에 불과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렌더링부(100)가 벡터 이미지에 대한 연산에 의해 비디오 메모리(160)의 일정 영역에 그리는 데이터 즉, 벡터 연산에 의해 생성되는 비디오 메모리(160)의 일정 영역에 생성되는 데이터를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페이지 구분 경계'로 정의한다.
비디오 메모리(160)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비디오 메모리(160)는 실제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는 데이터가 1:1 존재하는 프레임 버퍼(Frame Buffer)와 그 프레임 버퍼 이외의 영역에 해당하는 오프스크린 버퍼(Offscreen Buffer)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오프스크린 버퍼는 현재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고 있지 않은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제1 렌더링부(100)는 이러한 비디오 메모리(160) 중 오프스크린 버퍼에 페이지 구분 경계 객체에 대한 텍스쳐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처리해야 하는 벡터 이미지로 구성된 페이지 구분 경계 객체가 복수 개인 경우 렌더링부(120)는 그 각각의 페이지 구분 경계 객체에 대한 텍스쳐를 오프스크린 버퍼에 생성할 수 있다.
즉, 제1 렌더링부(100)는 벡터 연산을 수행해야 하는 페이지 구분 경계 객체의 크기에 맞게 오프스크린 버퍼의 적어도 일부를 할당받고, 그 할당받은 영역에 해당 페이지 구분 경계 객체에 대한 벡터 연산을 수행하여 페이지 구분 경계를 그려 넣는 것이다.
제1 렌더링부(100)는 비디오 메모리(160)의 일정 영역에 그려진 텍스쳐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도록 하기 위해서 제2 렌더링부(110)는 비디오 메모리(160) 중 프레임 버퍼에 텍스쳐를 처리한 결과 데이터를 집어넣을 수 있다.
프레임 버퍼에 입력된 데이터는 그대로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볼 수 있게 되는데, 프레임 버퍼에 입력된 데이터의 화면 표시 과정은 기 공지된 것에 불과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렌더링부(110)가 텍스쳐를 처리한다는 것은 오프스크린 버퍼에 저장된 텍스쳐를 메모리 카피를 이용하여 그대로 프레임 버퍼에 저장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는데, 이때 제2 렌더링부(110)는 텍스쳐에 대한 몇 가지 연산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렌더링부(110)는 텍스쳐가 디스플레이부(150) 상에 표시되는 위치를 지정하거나 그 표시 위치를 산출하는 부가적인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제2 렌더링부(110)의 텍스쳐를 처리는 GPU 자원을 이용한 처리에 해당할 수 있다. 즉, 페이지 구분 경계 객체에 대한 벡터 연산은 CPU 자원을 이용하지만 벡터 연산에 의해 생성된 텍스쳐에 대한 화면 표시 처리는 GPU 자원을 이용하는 것이다.
한편, 페이지 스타일 지정부(120)는 각각의 가상 페이지에 대한 스타일을 지정한다. 여기에서, 스타일은 각 페이지에 대한 여백, 탭, 폰트, 머리말, 꼬리말 등의 설정의 의미하며, 폰트, 크기, 스타일, 색상, 자간 및 장평을 포함한다.
캐싱부(130)는 앞서 제1 렌더링부(100)에 의해 생성된 텍스쳐를 페이지 스타일 지정부(120)에 지정된 페이지 스타일과 연계하여 기 구비된 캐시 메모리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캐시 메모리는 텍스쳐가 생성되어 임시 저장되어 메모리(예를 들어 오프스크린 버퍼)의 용량 부족을 보완하고 또한 다양한 텍스쳐의 재활용을 지원하기 위해 구비된 것이다.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된 페이지 구분 경계 객체에 대한 상태 변경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캐시 메모리에 저장된 해당 객체에 대응되는 텍스쳐의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페이지 구분 경계 객체에 대한 상태 변경이라는 것은 예를 들어 제1 렌더링부(100)와 제2 렌더링부(110)에 의해 현재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는 페이지 구분 경계 객체에 대한 파일 경로, 색상, 크기 등이 변경되는 경우 등 이미 생성된 텍스쳐를 그대로 이용할 수 없는 경우를 의미한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판단결과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된 페이지 구분 경계 객체에 대한 상태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에는 캐시 메모리에 저장된 해당 객체에 대응되는 텍스쳐를 추출하고, 제2 렌더링부(110)가 그 추출된 텍스쳐를 처리하여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판단결과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된 페이지 구분 경계 객체에 대한 상태가 변경된 경우 제1 렌더링부(100)가 해당 상태가 변경된 페이지 구분 경계 객체를 벡터 연산을 통해 비디오 메모리(160)의 일정 영역에 그리도록 제어하고, 제2 렌더링부(110)가 제1 렌더링부(100)에 의해 비디오 메모리(160)의 일정 영역에 그려진 텍스쳐를 처리하여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각각의 페이지 구분 경계 객체별로 그 상태 변경 여부를 판단하고 상태가 변경된 페이지 구분 경계 객체에 대해서는 제1 렌더링부(100)와 제2 렌더링부(110)를 제어하여 텍스쳐를 다시 생성하고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도록 하지만, 상태가 변경되지 않은 페이지 구분 경계 객체에 대해서는 제2 렌더링부(110)(제1 렌더링부(100)는 제외)를 제어하여 기 생성된 텍스쳐를 다시 활용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디스플레이부(150)에는 페이지 구분 경계 객체가 복수 개 동시에 표시될 수 있고, 화면 전환에 따라 그 중 일부는 상태가 변경될 수도 있지만 또 그 중 일부는 상태가 변경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제어부(140)는 그 각각의 페이지 구분 경계 객체별로 상태 변경 여부에 따라 캐시 메모리에 저장된 해당 객체에 대응되는 텍스쳐의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한편, 슬라이드 제공부(17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페이지 화면 내에 복수 가상 페이지들을 미리보기 형태로 표시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작업 내용과 슬라이드의 표시 내용을 동시에 비교 및 조정하며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편집 기능 제공부(18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작성된 다수개의 가상 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 페이지를 선택하도록 하고(1100), 상기 선택된 가상 페이지를 페이지 자동설정 기능(1200), 목차생성 기능(1300), 용어검색/변경 기능(1400), 바탕박스/표 통일 기능(1500), 폰트 일괄수정 기능(1600), 디자인 전/후 내용확인 기능(1700) 또는 마스터페이지 통일(1800)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여 재 작성하며, 상기 재 작성된 가상 페이지를 저장하여 관리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페이지 자동설정 기능은 상기 가상 페이지 중에서 페이지 확인 및 설정이 필요한 가상 페이지를 재 선택하고, 상기 재 선택된 가상 페이지의 시작페이지를 위한 옵션을 선택하며, 기 선택된 옵션에 따라 상기 재 선택된 가상 페이지를 실행하여 새로 지정할 페이지 및 기 지정된 페이지를 표시하며, 상기 기 지정된 페이지와 상기 새로 지정해야 할 페이지가 다른 경우 페이지 에러를 표시하고, 상기 페이지 에러로 표시된 가상 페이지를 순차적으로 실행하여 정상적인 페이지로 재설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목차생성 기능은 상기 선택된 가상 페이지 중에서 목차생성이 필요한 가상 페이지를 재 선택하고, 상기 재 선택된 가상 페이지의 장 번호 및 목차레벨 구분을 위한 옵션을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옵션에 따라 상기 재 선택된 가상 페이지를 순차적으로 실행하여 전체 페이지를 조사하여 목차부분을 찾아낸 후, 상기 선택된 옵션의 장 번호와 목차레벨별 빈칸 수 및 해당 페이지를 조합하여 텍스트 파일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텍스트 파일을 실행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어검색/변경 기능은 상기 선택된 가상 페이지 중에서 용어검색/변경이 필요한 가상 페이지를 재 선택하고,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용어를 입력하여 상기 용어검색을 수행할 경우, 상기 재 선택된 가상 페이지를 순차적으로 실행하여 그 결과 데이터를 텍스트 파일로 생성하여 사용자가 찾을 용어 및 변경할 용어를 입력하여 상기 용어변경을 수행할 경우, 상기 재 선택된 가상 페이지를 순차적으로 실행하여 상기 찾을 용어를 검색하여 상기 입력된 변경할 용어로 변경한 후, 상기 변경한 결과데이터를 텍스트 파일로 생성하여 실행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탕박스/표 통일 기능은 상기 선택된 가상 페이지 중에서 바탕박스/표 통일이 필요한 가상 페이지를 재 선택하고, 상기 바탕박스/표에 대해서 테두리 두께/색상, 그림자 두께/색상, 모서리 모양, 내부선/외부선의 굵기 또는 제목 셀의 색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지정하고, 상기 재 선택된 가상 페이지를 순차적으로 실행하여 바탕박스/표를 찾아 상기 지정된 내용에 따라 일괄적으로 통일되게 수정한다.
본 발명은 페이지 지정이 가능하고 지정된 페이지의 각각에 스타일 지정이 가능하여 발표 자료 작성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제1 렌더링부 110 : 제2 렌더링부
120 : 페이지 스타일 지정부 130 : 캐싱부
140 : 제어부 150 : 디스플레이부
160 : 비디오 메모리 170 : 슬라이드 제공부
180 : 편집 기능 제공부

Claims (15)

  1. 페이지 구분 경계 객체를 벡터 이미지로 형성하여 다수의 가상 페이지를 생성하는 제1 렌더링부;
    상기 제1 렌더링부에서 형성된 다수의 가상 페이지에 페이지 스타일을 지정하는 페이지 스타일 지정부; 및
    상기 페이지 스타일 지정부에서 지정된 페이지 스타일을 포함한 상기 제1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다수의 가상 페이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페이지 지정과 스타일 지정이 가능한 벡터 이미지 시스템.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더링부가 형성하는 페이지 구분 경계 객체는 여백 영역, 경계 영역, 패딩 영역 및 콘텐츠 영역을 포함하는 페이지 지정과 스타일 지정이 가능한 벡터 이미지 시스템.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랜더링부가 형성하는 페이지 구분 경계 객체는 점선으로 표시되는 페이지 지정과 스타일 지정이 가능한 벡터 이미지 시스템.
  4.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랜더링부가 형성하는 페이지 구분 경계 객체는 실선으로 표시되는 페이지 지정과 스타일 지정이 가능한 벡터 이미지 시스템.
  5.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랜더링부가 형성하는 페이지 구분 경계 객체는 좌측 라인, 우측 라인, 상부 라인, 하부 라인의 벡터 이미지를 지정하여 박스 형태로 구성되는 페이지 지정과 스타일 지정이 가능한 벡터 이미지 시스템.
  6.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랜더링부가 형성하는 페이지 구분 경계 객체는 아도비 일러스트레이터, 3D 스튜디오 맥스, 코렐 드로우, 오토캐드, 마야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벡터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지정과 스타일 지정이 가능한 벡터 이미지 시스템.
  7.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랜더링부가 형성하는 페이지 구분 경계 객체는 박스 형태의 좌측 라인의 하단 좌표값과 상부 라인의 중간 좌표값을 지정하여 가상 페이지를 구성하는 페이지 지정과 스타일 지정이 가능한 벡터 이미지 시스템.
  8.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랜더링부가 형성하는 페이지 구분 경계 객체는 하나의 아트 보드 상에서 표시되는 일정 크기와 스타일을 가지는 가상 페이지의 각각을 의미하는 페이지 지정과 스타일 지정이 가능한 벡터 이미지 시스템.
  9.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랜더링부가 형성하는 페이지 구분 경계 객체는 일정 크기와 스타일을 가지는 가상 페이지에 각각 대응되는 레이어를 의미하는 페이지 지정과 스타일 지정이 가능한 벡터 이미지 시스템.
  10.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랜더링부가 형성하는 페이지 구분 경계 객체는 가상 페이지의 각각에 대응되는 각각의 파일을 의미하는 페이지 지정과 스타일 지정이 가능한 벡터 이미지 시스템.
  11.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더링부는 벡터 이미지로 구성된 페이지 구분 경계 객체를 벡터 연산을 통해 비디오 메모리의 일정 영역에 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 렌더링부에 의해 상기 비디오 메모리의 일정 영역에 그려진 페이지 구분 경계 객체를 처리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제2 렌더링부;
    상기 페이지 경계 구분 객체를 기 구비된 캐시 메모리에 저장하는 캐싱부; 및
    상기 화면에 표시된 페이지 구분 경계 객체에 대한 상태 변경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캐시 메모리에 저장된 해당 객체에 대응되는 텍스쳐의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지정과 스타일 지정이 가능한 벡터 이미지 시스템.
  1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단일 페이지 화면 내에 복수 가상 페이지들을 미리보기 형태로 표시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작업 내용과 슬라이드의 표시 내용을 동시에 비교 및 조정하며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드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페이지 지정과 스타일 지정이 가능한 벡터 이미지 시스템.
  1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된 다수개의 가상 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 페이지를 선택하도록 하고, 상기 선택된 가상 페이지를 페이지 자동설정 기능, 목차생성 기능, 용어검색/변경 기능, 바탕박스/표 통일 기능, 폰트 일괄수정 기능, 디자인 전/후 내용확인 기능 또는 마스터페이지 통일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여 재 작성하며, 상기 재 작성된 가상 페이지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편집 기능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페이지 지정과 스타일 지정이 가능한 벡터 이미지 시스템.
  14. 청구항 13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자동설정 기능은 상기 가상 페이지 중에서 페이지 확인 및 설정이 필요한 가상 페이지를 재 선택하고, 상기 재 선택된 가상 페이지의 시작페이지를 위한 옵션을 선택하며, 기 선택된 옵션에 따라 상기 재 선택된 가상 페이지를 실행하여 새로 지정할 페이지 및 기 지정된 페이지를 표시하며, 상기 기 지정된 페이지와 상기 새로 지정해야 할 페이지가 다른 경우 페이지 에러를 표시하고, 상기 페이지 에러로 표시된 가상 페이지를 순차적으로 실행하여 정상적인 페이지로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지정과 스타일 지정이 가능한 벡터 이미지 시스템.
  15. 청구항 13항에 있어서,
    상기 목차생성 기능은 상기 선택된 가상 페이지 중에서 목차생성이 필요한 가상 페이지를 재 선택하고, 상기 재 선택된 가상 페이지의 장 번호 및 목차레벨 구분을 위한 옵션을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옵션에 따라 상기 재 선택된 가상 페이지를 순차적으로 실행하여 전체 페이지를 조사하여 목차부분을 찾아낸 후, 상기 선택된 옵션의 장 번호와 목차레벨별 빈칸 수 및 해당 페이지를 조합하여 텍스트 파일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텍스트 파일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지정과 스타일 지정이 가능한 벡터 이미지 시스템.
KR1020180142684A 2018-11-19 2018-11-19 페이지 지정과 스타일 지정이 가능한 벡터 이미지 시스템 KR202000581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684A KR20200058103A (ko) 2018-11-19 2018-11-19 페이지 지정과 스타일 지정이 가능한 벡터 이미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684A KR20200058103A (ko) 2018-11-19 2018-11-19 페이지 지정과 스타일 지정이 가능한 벡터 이미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8103A true KR20200058103A (ko) 2020-05-27

Family

ID=70911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2684A KR20200058103A (ko) 2018-11-19 2018-11-19 페이지 지정과 스타일 지정이 가능한 벡터 이미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81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2608A (ko) * 2021-02-04 2022-08-11 (주)비케이 벡터 이미지의 화풍 변환 및 재생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691B1 (ko) 2005-11-08 2007-08-23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다수의 파워포인트 문서 편집 방법
KR20110010169A (ko) 2009-07-24 2011-02-01 공현식 네트워크를 이용한 폰트타입 판별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29627A (ko) 2011-05-20 2012-11-28 주식회사 모든박스 3차원 디자인 변환 시스템, 방법과 프로그램 기록매체 및 3차원 뷰어
KR20180041307A (ko) 2016-10-14 2018-04-24 이엔유 주식회사 에스브이지파일 포맷을 이용한 템플릿 적용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691B1 (ko) 2005-11-08 2007-08-23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다수의 파워포인트 문서 편집 방법
KR20110010169A (ko) 2009-07-24 2011-02-01 공현식 네트워크를 이용한 폰트타입 판별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29627A (ko) 2011-05-20 2012-11-28 주식회사 모든박스 3차원 디자인 변환 시스템, 방법과 프로그램 기록매체 및 3차원 뷰어
KR20180041307A (ko) 2016-10-14 2018-04-24 이엔유 주식회사 에스브이지파일 포맷을 이용한 템플릿 적용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2608A (ko) * 2021-02-04 2022-08-11 (주)비케이 벡터 이미지의 화풍 변환 및 재생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44806B2 (en) Method for rendering game, and method, apparatus and device for generating game resource file
CA2937702C (en) Emphasizing a portion of the visible content elements of a markup language document
US8065627B2 (en) Single pass automatic photo album page layout
KR102523843B1 (ko) 폰트 렌더링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CN103353863B (zh) 一种文本模板生成方法
CN104516867A (zh) 一种表格重排方法和系统
CN109636894B (zh) 一种基于像素点栅格化的动态三维热力计算方法及系统
JP202303349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Bakhromovna Innovative Process of Computer Graphics
KR20200058103A (ko) 페이지 지정과 스타일 지정이 가능한 벡터 이미지 시스템
US10282202B2 (en) In-editor spritesheeting
US10824405B2 (en) Layer-based conversion with functionality retention
US20220005151A1 (en) Method of processing picture, computing device, and computer-program product
CN111460770B (zh) 文档内元素属性同步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21082652A1 (zh) 显示信息的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20107902A (ko) 렌더링 방법, 장치, 전자 기기 및 저장 매체
CN111951367B (zh) 一种字符渲染方法、字符处理方法及装置
US20180189251A1 (en) Automatic multi-lingual editing method for cartoon content
US20240153170A1 (en) Managing multiple datasets for data bound objects
JP7011363B1 (ja) 絵コンテ制作装置、絵コンテ制作方法及び絵コンテ制作プログラム
KR960043806A (ko) 화상처리장치
JP201402300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230005195A1 (en) Free Form Radius Editing
JP2897441B2 (ja) イメージ処理方法及び装置
JP2018019212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描画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