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7523A - 전기 집진 필터 - Google Patents

전기 집진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7523A
KR20200057523A KR1020180142028A KR20180142028A KR20200057523A KR 20200057523 A KR20200057523 A KR 20200057523A KR 1020180142028 A KR1020180142028 A KR 1020180142028A KR 20180142028 A KR20180142028 A KR 20180142028A KR 20200057523 A KR20200057523 A KR 20200057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late
plate
filter
dust collecting
pos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2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3665B1 (ko
Inventor
이기성
김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180142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3665B1/ko
Priority to CN201921963110.2U priority patent/CN211678243U/zh
Publication of KR20200057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7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03C3/1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characterised by the additional use of mechanical effects, e.g. gravity
    • B03C3/155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1Ionising-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455Collecting-electrodes specially adapted for heat exchange with the gas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47Collecting-electrodes flat, e.g. plates, discs, grating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습기에 의한 스파크 발생 및 화재의 위험을 방지하여 환기장치에 적용하기에 적합하고, 전리부와 집진부를 일체화 하여 구조를 간소화 함과 아울러 청소 및 유지보수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전기 집진 필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극 전압이 인가되는 방전극과, 음극 전압이 인가되는 대향 극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방전극과 상기 대향 극판을 통과하는 공기중의 먼지를 전리시키는 전리부; 및 상기 전리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양극 전압이 인가되는 양극판과, 상기 음극 전압이 인가되는 음극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리부를 통과하며 전리된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부;를 포함하되, 상기 집진부는, 상기 양극판과 음극판이 상하로 이격되며 교대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양극판은, 상기 양극 전압이 인가되는 제1금속판과, 상기 제1금속판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1절연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음극판은, 상기 음극 전압이 인가되는 제2금속판과, 상기 제2금속판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2절연층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금속판과 제2금속판은, 각각 상기 제1절연층과 제2절연층의 내측에 매입되어 공기 및 습기와의 접촉이 차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 집진 필터{ELECTRIC DUST COLLECTION FILTER}
본 발명은 전기 집진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습기에 의한 화재의 위험요소를 제거하여 환기장치에 적용하기에 적합하고, 전리부와 집진부를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구조를 간소화 한 전기 집진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기장치나 공기조화기 등에는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여과하여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필터가 사용된다.
일례로, 전기 집진 필터는 고전압을 인가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입자가 극성을 갖도록 전리시키는 전리부와, 상기 전리부를 통과하며 전리된 먼지 입자를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를 통과시켜 전기적 인력에 의해 흡착시키는 집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의 전기 집진 필터는 상기 집진부를 구성하는 양극판과 음극판이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환기장치나 공기조화기에 설치될 경우 공기중에 포함된 습기에 의해 양극판과 음극판에서 스파크 발생 및 화재의 위험요소가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기 집진 필터는 상기 전리부와 집진부가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전리부를 구성하는 방전극에 작업자의 손이 닿지 않도록 차단하기 위한 안전장치로서 전리부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안전망을 설치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해지고, 전리부를 청소하거나 유지보수를 요하는 경우에는 전리부의 전면과 후면에 설치된 안전망을 모두 분리해야 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기 집진 필터는, 상기 전리부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한 쌍의 양극 및 음극 단자와, 상기 집진부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또 다른 한 쌍의 양극 및 음극 단자를 별도로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져, 전기 집진 필터에 전압이 인가되는 전원 연결 구조가 복잡하여, 원가, 물류비용 및 관리비용이 상승하고, 전원 연결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기 집진 필터가 설치되는 장소의 상황에 따라 공기가 흡기 및 배기되는 위치를 고려하여 좌타입 방식과 우타입 방식을 구분하여 조립 및 시공할 필요가 있는데, 종래의 전기 집진 필터는 좌타입 방식과 우타입 방식에 적용되는 부품의 설치 방향에 따른 구조가 상이하여 상호 호환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전기 집진 필터가 설치되는 장소의 환경에 대응한 조립 및 시공 작업에 많은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4774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65693호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습기에 의한 스파크 발생 및 화재의 위험을 방지하여 환기장치에 적용하기에 적합하고, 전리부와 집진부를 일체화 하여 구조를 간소화 함과 아울러 청소 및 유지보수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전기 집진 필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리부와 집진부에 고전압이 인가되는 전원 연결 구조를 간소화 함과 아울러, 좌타입과 우타입의 전기 집진 필터의 부품을 공용화 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전기 집진 필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기 집진 필터는, 양극 전압이 인가되는 방전극과, 음극 전압이 인가되는 대향 극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방전극과 상기 대향 극판을 통과하는 공기중의 먼지를 전리시키는 전리부; 및 상기 전리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양극 전압이 인가되는 양극판과, 상기 음극 전압이 인가되는 음극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리부를 통과하며 전리된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부;를 포함하되, 상기 집진부는, 상기 양극판과 음극판이 상하로 이격되며 교대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양극판은, 상기 양극 전압이 인가되는 제1금속판과, 상기 제1금속판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1절연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음극판은, 상기 음극 전압이 인가되는 제2금속판과, 상기 제2금속판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2절연층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금속판과 제2금속판은, 각각 상기 제1절연층과 제2절연층의 내측에 매입되어 공기 및 습기와의 접촉이 차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금속판과 제2금속판은 자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절연층과 제2절연층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격벽이 형성되어, 상기 집진부는 격막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리부와 집진부는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일체형의 필터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대향 극판은 격자형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전극은 상기 대향 극판의 격자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향하여 첨단부가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필터모듈에는, 상기 대향 극판의 전면으로 격자형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개구부를 덮는 안전망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리부의 방전극 및 상기 집진부의 양극판에 상기 양극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공용의 양극 단자와, 상기 전리부의 대향 극판 및 상기 집진부의 음극판에 상기 음극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공용의 음극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극 단자는, 상기 전리부의 방전극으로 연결되는 도선과, 상기 집진부의 양극판으로 연결되는 도선이 공통으로 연결되는 단일의 양극 단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음극 단자는, 상기 전리부의 대향 극판으로 연결되는 도선과, 상기 집진부의 음극판으로 연결되는 도선이 공통으로 연결되는 단일의 음극 단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리부와 상기 집진부가 내부에 수용되어 조립되며, 상기 양극 단자와 상기 음극 단자가 일측면에 형성된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리부와 집진부 및 하우징은 일체형의 필터 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서는 상기 양극 단자와 상기 음극 단자가 상하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좌타입 표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는 우타입 표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모듈이 내부에 수용되어 조립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필터 모듈은 상하 위치를 전환함으로써 상기 케이스에 좌타입 또는 우타입 형태로 호환 가능하도록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양측면에는 상기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가 각각 접속되는 제1접속구와 제2접속구가 전후방으로 대칭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에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고전압 유닛과, 상기 고전압 유닛이 장작되며, 상기 고전압 유닛을 상기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전압 유닛과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좌타입과 우타입 형태에 대응하여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호환 가능하도록 조립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좌타입과 우타입 형태에 대응하여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상하 위치가 전환되어 조립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외측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좌타입 표시부와 우타입 표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가 조립되는 상기 케이스의 측면의 반대 측면에는, 상기 반대 측면에 형성된 제1접속구와 제2접속구을 차폐하기 위한 가이드 캡이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상면을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커버에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좌타입 표시부와 상기 우타입 표시부를 현시하기 위한 확인창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필터 모듈의 후방으로 기능성필터가 추가로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집진 필터에 의하면, 집진부의 양극판과 음극판을 금속판과 그 외측면에 형성된 절연층으로 형성하여 금속판이 절연층의 내측에 매입되어 공기 및 습기와의 접촉이 차단되도록 구성하여, 습기의 영향에 의해 집진부에서의 스파크 발생 및 화재의 위험요소를 제거함으로써, 환기장치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장점이 있다.
또한, 집진부는 양극판과 음극판이 상하로 이격되며 교대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격벽이 형성되어 상기 집진부를 격막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집진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격막 구조에 의해 정류되어 집진부의 전체 영역에 걸쳐 균일한 유량 분포를 가지며 유동하게 되고, 집진부의 격막 내부에 포집된 이물질은 격벽에 의해 타공간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므로 포집된 이물질이 집진부로부터 탈리되어 재비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집진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안전망이 결합된 지지판과 전리부 및 집진부을 일체형 구조의 필터 모듈로 구성함으로써, 종래기술에 비하여 전기 집진 필터의 구조를 간소화 할 수 있고, 종래기술에서 전리부의 전면과 후면에 이중의 안전망이 설치된 구조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서는 전리부의 전면에만 안전망이 설치되므로, 전리부의 청소 및 유지보수 작업시 분리를 요하는 안전망의 개수를 줄여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리부와 집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를 공용화하여 고전압이 인가되는 전원 연결 구조를 간소화 함으로써, 원가절감과 물류비용 및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전원 연결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좌타입과 우타입의 전기 집진 필터의 부품을 공용화 함으로써, 설치 장소에서 전기 집진 필터가 설치되는 방향에 대응하여 좌타입과 우타입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여 간편하게 조립 및 시공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필터를 일측의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필터를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6의 (a), (b)는 필터 모듈을 상측과 하측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은 필터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8의 (a), (b)는 케이스의 일측면을 외측과 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9의 (a), (b)는 가이드부재의 외측면과 내측면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케이스의 일측면과 가이드부재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케이스의 타측면과 가이드 캡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커버와 잠금구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집진 필터의 전원 공급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집진 필터의 집진부에 이물질이 집진되는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a) 양극판의 평면도, (b) 음극판의 평면도, (c) 격막 구조로 이루어진 집진부의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필터의 정면도,
도 17은 도 16의 A-A 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18과 도 1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필터를 일측의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필터를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1은 도 18의 분해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필터의 정면도,
도 23은 도 22의 B-B 선을 따르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전기 집진 필터(1-1,1-2,1-3,1-4)는, 양극 전압이 인가되는 방전극(120)과, 음극 전압이 인가되는 대향 극판(130)으로 이루어져, 상기 방전극(120)과 상기 대향 극판(130)을 통과하는 공기중의 먼지(P)를 전리시키는 전리부(I); 및 상기 전리부(I)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양극 전압이 인가되는 양극판(150-1)과, 상기 음극 전압이 인가되는 음극판(150-2)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리부(I)를 통과하며 전리된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집진부(150)는, 상기 양극판(150-1)과 음극판(150-2)이 상하로 이격되며 교대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양극판(150-1)은 상기 양극 전압이 인가되는 제1금속판(150a-1)과, 상기 제1금속판(150a-1)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1절연층(150b-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음극판(150-2)은 상기 음극 전압이 인가되는 제2금속판(150a-2)과, 상기 제2금속판(150a-2)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2절연층(150b-2)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금속판(150a-1)과 제2금속판(150a-2)은, 각각 상기 제1절연층(150b-1)과 제2절연층(150b-2)의 내측에 매입되어 공기 및 습기와의 접촉이 차단되도록 구성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필터(1-1)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필터(1-1)는, 고전압의 인가에 따라 공기중의 먼지를 극성을 갖도록 전리시켜 집진하는 일체형 구조의 필터 모듈(100), 상기 필터 모듈(100)이 내부에 수용되어 조립되는 케이스(200), 상기 케이스(200)의 일측에 조립되며 고전압을 발생시켜 인가하는 고전압 유닛(300), 상기 고전압 유닛(300)을 양극 단자(111)와 음극 단자(112)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가이드부재(400), 상기 가이드부재(400)가 조립되는 상기 케이스(200)의 측면의 반대 측면에 형성되는 단자의 접속구(231,232)를 차폐하기 위한 가이드 캡(500), 및 상기 케이스(200)의 상면을 덮는 커버(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필터 모듈(100)은,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 방전극(120), 대향 극판(130), 지지판(140) 및 집진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은, 내부에 공기 유동 공간(S3)이 마련된 사각 틀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측면(110a)에는 상하로 이격된 위치에 양극 단자(111)와 음극 단자(112)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의 양측면(110a,110b)에는 후술되는 케이스(200)의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부(223, 233, 도 8(b), 도 11 참조)에 걸림되는 고정돌기(113,1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상면(110c)에는 전기 집진 필터가 좌타입(L-Type)임을 나타내는 좌타입 표시부(116)가 형성되고(도 6(a) 참조), 하우징(110)의 저면(110)의 저면(110d)에는 전기 집진 필터가 우타입(R-Type)임을 나타내는 우타입 표시부(117)가 형성된다(도 6(b) 참조).
여기서, 상기 좌타입(L-Type)은 공기가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여 유동하는 장소에 설치되는 사양으로서, 전리부(I)가 좌측에 배치되고 집진부(150)가 우측에 배치되는 사양을 지칭한다. 상기 우타입(R-Type)은 공기가 우측에서 좌측을 향하여 유동하는 장소에 설치되는 사양으로서, 전리부(I)가 우측에 배치되고 집진부(150)가 좌측에 배치되는 사양을 지칭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상면(110c)과 저면(110d)에는 후술되는 커버(600)와의 조립을 위한 체결구(115,115-1)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에는 양극 단자(1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양극 전압이 인가되는 복수의 방전극(120, 도 4의 확대 도시부 참조)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대향 극판(130)은, 격자형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상기 방전극(120)의 전방에 배치되며, 격자 사이에는 공기 유동 공간(S2)이 마련된다. 상기 방전극(120)은 대향 극판(130)의 격자 내부에 형성된 공간(S2)을 향하여 첨단부가 뾰족하게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대향 극판(130)은 음극 단자(1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대향 극판(130)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관통구(131)가 형성되고, 하우징(110)에는 상기 관통구(131)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체결구(118)가 형성된다. 상기 대향 극판(130)은 상기 관통구(131)를 관통하여 상기 체결구(118)에 채결되는 복수의 체결부재(132)에 의해 하우징(110)의 내측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40)은, 격자형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상기 대향 극판(130)의 전방에 배치되며, 격자 사이에는 공기 유동 공간인 개구부(S1)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140)은 대향 극판(130)을 하우징(110)의 내측에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지지판(140)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관통구(141)가 형성되고, 하우징(110)에는 상기 관통구(141)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체결구(119)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140)은 상기 관통구(141)와 대향 극판(130)에 형성된 관통홈(133)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구(119)에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부재(142)에 의해 하우징(110)의 내측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40)의 후단면에는 복수의 돌출부(143)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돌출부(143)는 대향 극판(130)의 전단면에 접촉되어, 지지판(140)과 대향 극판(130)은 전후방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안정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40)의 개구부(S1)에는 안전망(144)이 결합된다.
종래에는 전리부와 집진부가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져, 전리부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안전망이 구비되어 구조가 복잡한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전리부(I)와 집진부(150)가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전리부(I)의 전면에만 안전망(144)이 구비되면 족하고, 전리부(I)의 후면에는 별도의 안전망을 추가로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장치의 구성을 간소화 할 수 있고, 전리부(I)의 청소 및 유지보수 작업시 분리를 요하는 안전망의 개수를 줄여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서는 필터 모듈(100) 내부 구조의 식별을 위하여 안전망(144)의 구성을 생략한 모습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집진부(150)는, 양극판(150-1)과 음극판(150-2)이 상하로 이격되며 교대로 배치된 복수의 격막 구조로 이루어져, 복수의 격막 내부에 공기 유동 공간(S4)이 마련된다.
일실시예로, 상기 양극판(150-1)은 양극 전압이 인가되는 제1금속판(150a-1)과, 상기 제1금속판(150a-1)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1절연층(150b-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금속판(150a-1)의 일측단에는 양극 연결부(150c-1)가 구비된다.
상기 음극판(150-2)은 음극 전압이 인가되는 제2금속판(150a-2)과, 상기 제2금속판(150a-2)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2절연층(150b-2)으로 이루어지고, 제2금속판(150a-2)의 타측단에는 음극 연결부(150c-2)가 구비된다.
일실시예로, 상기 제1금속판(150a-1)과 제2금속판(150a-2)은 자성(magnetic)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절연층(150b-1)과 제2절연층(150b-2)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양극판(150-1)과 음극판(150-2) 사이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격벽(150d)이 형성되어, 상기 집진부(150)는 격막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집진부(150)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1금속판(150a-1)과 제2금속판(150a-2)은, 각각 상기 제1절연층(150b-1)과 제2절연층(150b-2)의 내측에 매입되어 상기 격막 구조로 이루어진 집진부(150)의 공기 유동 공간(S4)을 통과하는 공기 및 공기중에 포함된 습기와의 접촉이 차단되므로, 습기의 영향에 의해 집진부(150)에서의 스파크 발생 및 화재의 위험요소를 제거할 수 있어, 환기장치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집진부(150)는 양극판(150-1)과 음극판(150-2)이 상하로 이격되며 교대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양극판(150-1)과 음극판(150-2) 사이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격벽(150d)이 형성되어 상기 집진부(150)를 격막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집진부(150)로 유입되는 공기는 격막 구조에 의해 정류되어 집진부(150)의 전체 영역에 걸쳐 균일한 유량 분포를 가지며 유동하게 되고, 집진부(150)의 격막 내부에 포집된 이물질(P)은 격벽(150d)에 의해 타공간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므로 포집된 이물질(P)이 집진부(150)로부터 탈리되어 재비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집진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0)는, 바닥면(210)과 일측면(220)과 타측면(230) 및 상단 프레임(2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200)의 일측면(220)과 타측면(230)은 대칭된 형태로 구성된다(도 8 및 도 11 참조).
도 8과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200)의 일측면(220)에는, 상하로 이격된 위치에 제1접속구(221)와 제2접속구(222)가 형성된다. 상기 제1접속구(221)와 제2접속구(222)는 양극 단자(111)와 음극 단자(112)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200)의 일측면(220)에는, 전술한 하우징(110)의 양측면에 형성된 고정돌기(113,114)와 걸림되는 걸림부(223)가 형성되고, 후술되는 가이드부재(400) 또는 가이드 캡(500)과의 체결을 위한 제1체결구(224), 제2체결구(225), 제3체결구(226), 제1후크(228a), 제2후크(228b), 제3후크(228c)가 형성되며, 도 4에 도시된 양극편(431)과 음극편(432)이 끼워져 고정되는 제1지지돌기(227a)와 제2지지돌기(227b)가 형성되고, 고전압 유닛(300)이 거치되는 제1거치부(229a)와 제2거치부(229b)가 형성된다.
또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200)의 내측면에는 필터 모듈(100)이 상하 방향으로 정위치에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구성으로, 양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한 쌍의 가이드리브(220a)와 가이드레일(220b)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200)의 타측면(230)에는, 상기 일측면(220)에 형성된 구성과 대응되는 구성으로, 제1접속구(231), 제2접속구(232), 걸림부(233), 제1체결구(234), 제2체결구(235), 제3체결구(236), 제1후크(238a), 제2후크(238b), 제3후크(238c), 제1지지돌기(237a)와 제2지지돌기(237b), 제1거치부(239a)와 제2거치부(239b)가 형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부재(400)는 일측의 제1부재(410)와 타측의 제2부재(420)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부재(410)에는 상하로 이격된 위치에 양극편 고정부(411)와 음극편 고정부(412)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200)의 일측면(220) 또는 타측면(230)과의 체결을 위한 관통구(413), 제1후크 걸림부(415), 제2후크 걸림부(416)가 형성된다. 상기 제2부재(420)에는, 상기 케이스(200)의 일측면(220) 또는 타측면(230)과의 체결을 위한 관통구(421), 제3후크 걸림부(424)가 형성되고, 고전압 유닛(300)과의 체결을 위해 상하 이격된 위치에 제1체결구(422)와 제2체결구(423)가 형성되며, 좌타입 표시부(425)와 우타입 표시부(426)가 상하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도 10은 가이드부재(400)가 케이스(200)의 일측면(220)에 조립되는 경우,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체결되는 구성요소들을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전압 유닛(300)의 일측부에는 관통구(30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전압 유닛(300)은 상기 관통구(301)를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부재(400)에 형성된 제1체결구(422)에 체결되는 체결부재(302)에 의해 가이드부재(400)에 조립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400)는, 상기 관통구(413)를 관통하여 케이스(200)의 일측면(220)에 형성된 제2체결구(225)에 체결되는 체결부재(414)에 의해 케이스(200)의 일측면에 조립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 컵(500)은, 일측의 제1컵부(510)와 타측의 제2컵부(520)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컵부(510)의 일측부에는 고정구(511)가 형성되고, 제1후크 걸림부(512)와 제2후크 걸림부(513)가 상하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2컵부(520)에는 제3후크 걸림부(521)와 체결돌기(522)가 형성된다. 도 11에는 가이드 컵(500)이 케이스(200)의 타측면에 조립되는 경우,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체결되는 구성요소들을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600)는, 플레이트부(610)와, 손잡이부(620)와, 회전되는 위상에 따라 상기 케이스(200)의 상단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는 잠금부(630,640)와, 상기 하우징(110)에 형성된 좌타입 표시부(116)와 상기 우타입 표시부(117)를 현시하기 위한 확인창(6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잠금부(630,640)는, 커버(600)의 양측부에 형성되며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 제1잠금부(630)와 제2잠금부(64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잠금부(630)는 소정 높이를 갖는 원통형 구조의 몸체부(631)와, 상기 몸체부(630)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파지부(632)와, 상기 몸체부(630)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연장부(633)와, 상기 연장부(633)에서 일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634), 상기 플레이트부(610)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631)가 안착되는 안착부(635), 및 상기 연장부(633)와 걸림돌기(634)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며 상기 연장부(633)와 걸림돌기(634)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관통부(63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장부(633)와 걸림돌기(634)가 관통부(636)를 관통하여 위치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파지부(632)를 일측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걸림돌기(634)가 안착부(635)의 저면에 걸림되도록 위치함으로써 커버(600)를 케이스(200)의 상단에 형성된 상단 프레임(240)에 고정시켜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600)에는 관통구(611)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 모듈(100)의 하우징(110)의 상면(110a)에는 상기 관통구(611)에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구(115)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600)는 관통구(611)를 관통하여 체결구(115)에 체결되는 체결부재(612)에 의해 케이스(200)의 상면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필터 모듈(100)의 하우징(110)의 저면(110d)에는 상기 관통구(611)에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구(115-1)가 형성된다.
도 13과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상기 양극 단자(111)는, 상기 전리부(I)의 방전극(120)으로 연결되는 도선(L1,L2)과, 상기 집진부(150)의 양극판(150-1)으로 연결되는 도선(L1,L3)이 공통으로 연결되는 단일의 양극 단자(111)로 이루어지고, 상기 음극 단자(112)는, 상기 전리부(I)의 대향 극판(130)으로 연결되는 도선(L4,L5)과, 상기 집진부(150)의 음극판(150-2)으로 연결되는 도선(L4,L6)이 공통으로 연결되는 단일의 음극 단자(11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음극 전압이 인가되는 도선(L4,L5,L6)은 접지부(G)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전리부(I; 120,130)와 집진부(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극 단자(111)와 음극 단자(112)를 공용화하여 고전압이 인가되는 전원 연결 구조를 간소화 함으로써, 원가절감과 물류비용 및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전원 연결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전리부(I; 120,130)의 방전극(120)과 대향 극판(130)에 고전압이 인가되면, 도 13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전극(120)과 대향 극판(130) 사이에 이온화선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이온화선을 통과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P)는 양극의 극성을 갖는 상태로 전리되며, 이와 같이 전리된 먼지(P) 입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적인 인력에 의해 집진부(150)의 음극판(150-2) 측으로 유도되어 흡착된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조립된 상태를 기준으로, 커버(600)의 확인창(650)에는 하우징(110)의 상면(110a)에 형성된 좌타입 표시부(116)가 위치하게 되고, 가이드부재(400)는 좌타입 표시부(425, 도 9 참조)가 우타입 표시부(426)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어, 작업자가 좌타입의 조립 방향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16과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필터(1-2)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필터(1-2)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고, 상기 필터 모듈(100)의 후방으로 기능성필터(160)가 추가로 조립된다.
도 17에서 화살표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나타낸 것으로,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좌타입(L-Type)의 실시예로서, 공기(AIR)는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하여 유입되어 대향 극판(130)과 방전극(120)을 통과하며 전리되고, 공기중에 포함된 전리된 먼지는 집진부(150)를 통하면서 집진부(150)의 음극판(150-2)에 흡착되어 1차로 집진되며, 상기 집진부(150)에서 미처 흡착되지 못하고 통과한 먼지 입자는 집진부(150)의 후방에 배치된 기능성필터(160)에서 2차로 여과된다.
상기 기능성필터(160)의 종류로는, 헤파필터, 탈취필터, 복합필터 등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집진부(150)를 기능성필터(160)의 전방에 배치한 구성에 의하면, 통과 전후의 차압이 낮은 집진부(150)에서 먼지 입자가 1차로 여과된 후, 그 후방에 배치되는 기능성필터(160)에서 2차로 여과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기능성필터(16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도 18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필터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필터(1-3)는, 전술한 제1, 2실시예와 달리 우타입(R-Type)의 사양에 적용되는 것으로,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품을 사용하면서 조립되는 방향을 우타입에 맞도록 변경한 조립 구조를 갖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4와 도 21을 참조하면,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본 실시예에서 필터 모듈(100)은 하우징의 저면(110d)이 상측을 향하도록 상하 위치를 변경하고, 필터 모듈(100)의 양극 단자(111)와 음극 단자(112)는 케이스(200)의 타측면(230)에 형성된 제1접속구(231)와 제2접속구(232)에 대응하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고전압 유닛(300)과 가이드부재(400)는 케이스(200)의 타측면(230)에 조립되되, 가이드부재(400)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하 위치가 변경된 상태로 조립된다. 또한, 가이드 캡(500)은 케이스(200)의 일측면(220)에 조립되되,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하 위치가 변경된 상태로 조립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조립된 상태를 기준으로, 커버(600)의 확인창(650)에는 하우징(110)의 저면(110d)에 형성된 우타입 표시부(117)가 위치하게 되고, 가이드부재(400)는 우타입 표시부(426, 도 9 참조)가 좌타입 표시부(425)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어, 작업자가 우타입의 조립 방향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22와 도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필터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필터(1-4)는 전술한 제3실시예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고, 상기 필터 모듈(100)의 후방으로 기능성필터(160)가 추가로 조립된다.
도 23에서 화살표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나타낸 것으로, 제4실시예는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우타입(R-Type)의 실시예로서, 공기(AIR)는 우측으로부터 좌측을 향하도록 유입되어 대향 극판(130)과 방전극(120)을 통과하며 전리되고, 공기중에 포함된 전리된 먼지는 집진부(150)를 통하면서 집진부(150)의 음극판(150-2)에 흡착되어 1차로 집진되며, 상기 집진부(150)에서 미처 흡착되지 못하고 통과한 먼지 입자는 집진부(150)의 후방에 배치된 기능성필터(160)에서 2차로 여과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집진부(150)의 양극판(150-1)과 음극판(150-2)을 금속판(150a-1,150a-2)과 그 외측면에 형성된 절연층(150b-1,150b-2)으로 형성하여 금속판(150a-1,150a-2)이 절연층(150b-1,150b-2)의 내측에 매입되어 공기 및 습기와의 접촉이 차단되도록 구성하여, 습기의 영향에 의해 집진부(150)에서의 스파크 발생 및 화재의 위험요소를 제거함으로써, 환기장치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전기 집진 필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집진부(150)는 양극판(150-1)과 음극판(150-2)이 상하로 이격되며 교대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양극판(150-1)과 음극판(150-2) 사이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격벽(150d)이 형성되어 상기 집진부(150)를 격막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집진부(150)로 유입되는 공기는 격막 구조에 의해 정류되어 집진부(150)의 전체 영역에 걸쳐 균일한 유량 분포를 가지며 유동하게 되고, 집진부(150)의 격막 내부에 포집된 이물질(P)은 격벽(150d)에 의해 타공간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므로 포집된 이물질(P)이 집진부(150)로부터 탈리되어 재비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집진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안전망(144)이 결합된 지지판(140)과 전리부(I) 및 집진부(150)을 일체형의 필터 모듈(100)로 구성함으로써, 전기 집진 필터의 구조를 간소화 할 수 있고, 전리부(I)의 전면에만 안전망(144)이 설치되므로, 전리부(I)의 청소 및 유지보수 작업시 분리를 요하는 안전망의 개수를 줄여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리부(I)와 집진부(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극 단자(111)와 음극 단자(112)를 공용화 함에 따라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고전압이 인가되는 전원 연결 구조를 간소화 함으로써, 원가절감과 물류비용 및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전원 연결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좌타입(L-Type)과 우타입(R-Type)의 전기 집진 필터의 부품을 공용화 함으로써, 설치 장소의 상황에 맞추어 전기 집진 필터가 설치되는 방향에 대응하여 좌타입과 우타입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여 간편하게 조립 및 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1,1-2,1-3,1-4 : 전기 집진 필터 100 : 필터 모듈
110 : 하우징 110a : 하우징의 일측면
110b : 하우징의 타측면 110c : 하우징의 상면
110d : 하우징의 저면 111 : 양극 단자
112 : 음극 단자 113,114 : 고정돌기
115,115-1 : 체결구 116 : 좌타입 표시부
117 : 우타입 표시부 I : 전리부
120 : 방전극 130 : 대향극판
140 : 지지판 144 : 안전망
150 : 집진부 150-1 : 양극판
150a-1 : 제1금속판 150b-1 : 제1절연층
150c-1 : 양극 연결부 150-2 : 음극판
150a-2 : 제2금속판 150b-2 : 제2절연층
150c-2 : 음극 연결부 150d : 격벽
160 : 기능성필터 200 : 케이스
210 : 케이스의 바닥면 220 : 케이스의 일측면
220a : 가이드리브 220b : 가이드레일
221 : 제1접속구 222 : 제2접속구
223 : 걸림부 224 : 제1체결구
225 : 제2체결구 226 : 제3체결구
227a : 제1지지돌기 227b : 제2지지돌기
228a : 제1후크 228b : 제2후크
228c : 제3후크 229a : 제1거치부
229b : 제2거치부 230 : 케이스의 타측면
231 : 제1접속구 232 : 제2접속구
233 : 걸림부 234 : 제1체결구
235 : 제2체결구 236 : 제3체결구
237a : 제1지지돌기 237b : 제2지지돌기
238a : 제1후크 238b : 제2후크
238c : 제3후크 239a : 제1거치부
239b : 제2거치부 240 : 케이스의 상단 프레임
300 : 고전압 유닛 301 : 체결구
302 : 체결부재 400 : 가이드부재
410 : 제1부재 411 : 양극편 고정부
412 : 음극편 고정부 413 : 관통구
414 : 체결부재 415 : 제1후크걸림부
416 : 제2후크걸림부 420 : 제2부재
421 : 관통구 422 : 제1체결구
423 : 제2체결구 424 : 제3후크걸림부
425 : 좌타입 표시부 426 : 우타입 표시부
431 : 양극편 432 : 음극편
500 : 가이드 캡 510 : 제1캡부
511 : 고정구 512 : 제1후크걸림부
513 : 제2후크걸림부 520 : 제2캡부
521 : 제3후크걸림부 522 : 체결돌기
600 : 커버 610 : 플레이트부
611 : 관통구 612 : 체결부재
620 : 손잡이부 630 : 제1잠금구
631 : 몸체부 632 : 파지부
633 : 연장부 634 : 걸림돌기
635 : 안착부 636 : 관통부
640 : 제2잠금구 650 : 확인창

Claims (20)

  1. 양극 전압이 인가되는 방전극과, 음극 전압이 인가되는 대향 극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방전극과 상기 대향 극판을 통과하는 공기중의 먼지를 전리시키는 전리부; 및
    상기 전리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양극 전압이 인가되는 양극판과, 상기 음극 전압이 인가되는 음극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리부를 통과하며 전리된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부;를 포함하되,
    상기 집진부는, 상기 양극판과 음극판이 상하로 이격되며 교대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양극판은, 상기 양극 전압이 인가되는 제1금속판과, 상기 제1금속판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1절연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음극판은, 상기 음극 전압이 인가되는 제2금속판과, 상기 제2금속판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2절연층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금속판과 제2금속판은, 각각 상기 제1절연층과 제2절연층의 내측에 매입되어 공기 및 습기와의 접촉이 차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금속판과 제2금속판은 자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절연층과 제2절연층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 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격벽이 형성되어, 상기 집진부는 격막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 필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리부와 집진부는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일체형의 필터모듈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 필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 극판은 격자형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전극은 상기 대향 극판의 격자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향하여 첨단부가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 필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모듈에는, 상기 대향 극판의 전면으로 격자형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개구부를 덮는 안전망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 필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리부의 방전극 및 상기 집진부의 양극판에 상기 양극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공용의 양극 단자와, 상기 전리부의 대향 극판 및 상기 집진부의 음극판에 상기 음극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공용의 음극 단자를 더 포함하는 전기 집진 필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단자는, 상기 전리부의 방전극으로 연결되는 도선과, 상기 집진부의 양극판으로 연결되는 도선이 공통으로 연결되는 단일의 양극 단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음극 단자는, 상기 전리부의 대향 극판으로 연결되는 도선과, 상기 집진부의 음극판으로 연결되는 도선이 공통으로 연결되는 단일의 음극 단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 필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리부와 상기 집진부가 내부에 수용되어 조립되며, 상기 양극 단자와 상기 음극 단자가 일측면에 형성된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리부와 집진부 및 하우징은 일체형의 필터 모듈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 필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서는 상기 양극 단자와 상기 음극 단자가 상하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 필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좌타입 표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는 우타입 표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 필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모듈이 내부에 수용되어 조립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필터 모듈은 상하 위치를 전환함으로써 상기 케이스에 좌타입 또는 우타입 형태로 호환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 필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양측면에는 상기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가 각각 접속되는 제1접속구와 제2접속구가 전후방으로 대칭된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 필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에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고전압 유닛과,
    상기 고전압 유닛이 장작되며, 상기 고전압 유닛을 상기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기 집진 필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유닛과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좌타입과 우타입 형태에 대응하여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호환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 필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좌타입과 우타입 형태에 대응하여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상하 위치가 전환되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 필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외측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좌타입 표시부와 우타입 표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 필터.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가 조립되는 상기 케이스의 측면의 반대 측면에는, 상기 반대 측면에 형성된 제1접속구와 제2접속구을 차폐하기 위한 가이드 캡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 필터.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면을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커버에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좌타입 표시부와 상기 우타입 표시부를 현시하기 위한 확인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 필터.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필터 모듈의 후방으로 기능성필터가 추가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 필터.
KR1020180142028A 2018-11-16 2018-11-16 전기 집진 필터 KR102623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028A KR102623665B1 (ko) 2018-11-16 2018-11-16 전기 집진 필터
CN201921963110.2U CN211678243U (zh) 2018-11-16 2019-11-13 电集尘过滤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028A KR102623665B1 (ko) 2018-11-16 2018-11-16 전기 집진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7523A true KR20200057523A (ko) 2020-05-26
KR102623665B1 KR102623665B1 (ko) 2024-01-11

Family

ID=70915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2028A KR102623665B1 (ko) 2018-11-16 2018-11-16 전기 집진 필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23665B1 (ko)
CN (1) CN21167824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30298A1 (en) * 2022-02-18 2023-08-23 Hengst SE Cabin air filter with polarisatio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8757U (ja) * 1996-12-16 1997-06-24 シルバー精工株式会社 電気集塵ユニット
KR0147748B1 (ko) 1995-10-12 1998-08-17 구자홍 공기정화기의 전기집진필터
KR100220736B1 (ko) * 1997-05-22 1999-09-15 윤종용 전기 집진기의 전원 인가 구조
JP2004174456A (ja) * 2002-11-28 2004-06-24 Ooden:Kk 電気集塵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65693B1 (ko) 2002-03-20 2005-01-13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공기 청정기의 집진 필터 장착구조
KR101331611B1 (ko) * 2012-04-13 2013-11-22 한국기계연구원 집진판 교체가 용이한 전기집진장치
JP2018167189A (ja) * 2017-03-30 2018-11-01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電気集塵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8757B2 (ja) * 1990-02-01 2000-05-08 日本電気株式会社 シフトレジスタ回路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7748B1 (ko) 1995-10-12 1998-08-17 구자홍 공기정화기의 전기집진필터
JP3038757U (ja) * 1996-12-16 1997-06-24 シルバー精工株式会社 電気集塵ユニット
KR100220736B1 (ko) * 1997-05-22 1999-09-15 윤종용 전기 집진기의 전원 인가 구조
KR100465693B1 (ko) 2002-03-20 2005-01-13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공기 청정기의 집진 필터 장착구조
JP2004174456A (ja) * 2002-11-28 2004-06-24 Ooden:Kk 電気集塵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31611B1 (ko) * 2012-04-13 2013-11-22 한국기계연구원 집진판 교체가 용이한 전기집진장치
JP2018167189A (ja) * 2017-03-30 2018-11-01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電気集塵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30298A1 (en) * 2022-02-18 2023-08-23 Hengst SE Cabin air filter with polarisation
WO2023156404A1 (en) 2022-02-18 2023-08-24 Hengst Se Cabin air filter device and compon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1678243U (zh) 2020-10-16
KR102623665B1 (ko) 2024-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9675B1 (ko) 2단 정전기 필터
US5759239A (en) Air purifier
KR100722863B1 (ko) 전기 집진기의 콜렉터 셀 유니트
KR101622667B1 (ko) 전기집진 장치
KR20120136795A (ko) 전기집진장치
US20150246595A1 (en) Air filt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 hvac unit in a transport compartment
KR101082713B1 (ko) 집진장치
KR20140110513A (ko) 레인지 후드형 플라즈마 전기 집진 필터 장치
KR20140134167A (ko) 이온발생기 및 이를 갖는 공기조화기
KR20170051893A (ko) 전기식 집진필터
KR20170027603A (ko) 집진효율이 향상된 전기집진기
KR20200057523A (ko) 전기 집진 필터
KR20190065872A (ko) 전기 집진 장치
KR20080021769A (ko) 공기류 중에 함유된 하전 입자의 정전기 침전 장치
CN107559966B (zh) 静电除尘装置、空气净化设备以及空调器
KR102512135B1 (ko) 전기 집진 필터
KR20170077124A (ko) 집진 어셈블리, 공기 정화 장치 및 에어컨
CN211328693U (zh) 一种多级多段多电压离子幕集尘过滤芯体
KR101342101B1 (ko) 전기 집진기
CN202045011U (zh) 一种空气过滤器
CN210994794U (zh) 静电集尘组件及空气净化装置
CN209577024U (zh) 一种复合式高压静电油烟净化器
JPH08266928A (ja) フィルターユニット
CN103307659B (zh) 带有空气净化装置的空气调节器
CN214390641U (zh) 带负离子功能的静电集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