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6110A - Duss 지원 가능한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Duss 지원 가능한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6110A
KR20200056110A KR1020180140040A KR20180140040A KR20200056110A KR 20200056110 A KR20200056110 A KR 20200056110A KR 1020180140040 A KR1020180140040 A KR 1020180140040A KR 20180140040 A KR20180140040 A KR 20180140040A KR 20200056110 A KR20200056110 A KR 20200056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ryption
random number
code
quantum random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3312B1 (ko
Inventor
이옥연
Original Assignee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40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3312B1/ko
Publication of KR20200056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52Quantum cryptograph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5Encryption by serially and continuously modifying data stream elements, e.g. stream cipher systems, RC4, SEAL or A5/3
    • H04L9/0656Pseudorandom key sequence combined element-for-element with data sequence, e.g. one-time-pad [OTP] or Vernam's cipher
    • H04L9/0662Pseudorandom key sequence combined element-for-element with data sequence, e.g. one-time-pad [OTP] or Vernam's cipher with particular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9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involving random numbers or se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USS(Different Units Same Security) 지원 가능한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아날로그 잡음에 대한 디지털화를 통해 임의의 시점에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디지털 잡음을 제공하는 양자난수 엔트로피 소스부, 상기 디지털 잡음의 검출을 통해 상기 임의의 시점을 획득하여 상기 임의의 시점을 암호생성을 위한 암호화 시드로 결정하는 암호화 시드 결정부 및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 생성기에 상기 암호화 시드를 제공하여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의 발급 내역을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 생성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IoT(Internet of Things)환경에서 충분한 난수 엔트로피를 제공하고 양자난수 엔트로피 생성기를 적용하여 블록체인을 처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DUSS 지원 가능한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ISSUING CODES FOR QUANTUM RANDOM NUMBER ENTROPY ENCRYPTION SUPPORTING DUSS(Different Units Same Security)}
본 발명은 DUSS 지원 가능한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IoT(Internet of Things)환경에서 충분한 난수 엔트로피를 제공하고 양자난수 엔트로피 생성기를 적용하여 블록체인을 처리하는 DUSS 지원 가능한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난수는 구조적으로 의사난수(Pseudo Random Number)와 양자난수로 구분된다. 의사난수는 사람이 소프트웨어(SW) 방식으로 구현한 것으로, 현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대부분의 난수 체계는 의사난수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암호화하는 입장에서 예측 가능한 난수는 이미 난수로서의 의미가 없기 때문에 더 길고 복잡한 알고리즘으로 난수를 예측하지 못하게 만들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더 높은 성능의 슈퍼컴퓨터가 필요하다. 양자난수는 사람이 아닌 순수 자연 현상의 물리계에서 추출해 생성하는 난수 체계를 말한다. 10나노미터(㎚, 10억분의 1미터) 이하의 미시 세계에서는 우리가 일상에서 관측하는 예측 가능한 물리 현상과는 달리 확률에 의존하는 불확실한 현상이 관측되는데 이를 양자역학이라 하며, 양자난수는 이 양자역학적 현상을 활용한다. 현재까지 알려진 양자난수 생성 방식은 크게 광학식과 전기식으로 구분된다. 광학식은 빛의 입자이자 파동인 광자(Photon)을 이용하는 방식이며, 전기식은 전기의 기본 구성인 이온을 이용해 전기저항을 고의로 일으켜 난수를 검출하는 방식이다.
양자 역학적 특성에 기초하여 물리적 입자를 전달하지 않고 큐비트를 전송하는 양자 통신 기술은 양자 상태로 정보를 기록하여 전송한다. 이로 인하여 양자 통신은 근본적으로 도청이 불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지지만 증폭기가 없는 광섬유로 연결된 채널이 사용되므로 거리에 제약이 있다는 단점을 가진다. 양자 통신을 위하여 양자 역학적 성질을 이용하는 양자 난수 발생기가 사용되어야 하고, 양자 난수 발생기는 패턴을 가지지 않으면서 예측이 불가능하도록 만들어진다. 그러나 다양한 형태의 통신을 위한 양자 난수 발생기, 양자 중계기, 추출 수단 및 양자 프로세서는 구조적으로 복잡하면서 제조를 위하여 고가의 비용이 필요하다는 단점을 가진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41408 (2009.04.28)호는 비밀 열쇠에 기초하여 의사 난수열을 생성하고, 상기 의사 난수열을 평문에 작용시킴으로써 암호문을 생성하는 암호 장치로서, 상기 의사 난수열의 생성에 이용하는 내부 상태로서, 유한개의 수치 열의 배열 변경을 기초로 하는 상태에 기초한 내부 상태를 이용하고, 상기 의사 난수열의 생성에 사용하는 일시 변수 중 적어도 1 개가, 상기 내부 상태 중 1 개 또는 복수개의 수치를 이용한 선형, 또는 비선형, 선형 및 비선형의 조합의 결과에 기초하여, 내부 상태의 수보다 적은 수에 의존하고, 미리 정해진, 좌 또는 우 로테이트 시프트를 실행한 결과를 값으로 하는 일시 변수이며, 상기 생성되는 의사 난수를, 상기 내부 상태 중 1 개 또는 복수개의 수치와, 상기 일시 변수의 연산에 의해 생성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41408 (2009.04.28)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충분한 난수 엔트로피를 제공할 수 있으면서 소형의 양자난수 엔트로피 생성기를 적용한 DUSS 지원 가능한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양자난수 엔트로피에서 발생되는 아날로그 잡음원을 바탕으로 암호적 처리과정 수행하여 블록체인에 적용 가능한 DUSS 지원 가능한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IoT(Internet of Things)기기의 사용이 필수적인 환경에서 안전하고 저가의 초소형의 양자난수 엔트로피를 확보하여 난수 발생기를 구동시키는 DUSS 지원 가능한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DUSS(Different Units Same Security) 지원 가능한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장치는 아날로그 잡음에 대한 디지털화를 통해 임의의 시점에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디지털 잡음을 제공하는 양자난수 엔트로피 소스부, 상기 디지털 잡음의 검출을 통해 상기 임의의 시점을 획득하여 상기 임의의 시점을 암호생성을 위한 암호화 시드로 결정하는 암호화 시드 결정부 및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 생성기에 상기 암호화 시드를 제공하여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의 발급 내역을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자난수 엔트로피 소스부는 상기 디지털화의 과정에서 양자난수 엔트로피 생성기의 종류를 기초로 상기 임의의 시점을 가변시키고, 상기 임의의 시점에서 동일 진폭을 가지는 순간적인 펄스를 상기 디지털 잡음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시드 결정부는 상기 동일 진폭보다 적은 진폭을 가지는 기준 잡음을 주기적으로 발생시킨 후 상기 주기마다 상기 디지털 잡음과 상기 기준 잡음을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시드 결정부는 상기 비교를 통해 상기 디지털 잡음의 발생 시점을 검출하고 상기 기준 잡음의 발생 카운트를 기초로 상기 임의의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시드 결정부는 상기 기준 잡음의 발생 카운트에 따른 임의의 시점 및 이전 기준 잡음의 발생 카운트에 따른 임의의 시점 간의 비트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암호화 시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 생성부는 상기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 생성기 중 하나로서 난수 생성기, 전자서명 생성기 또는 암호화 키 생성기에 상기 암호화 시드를 제공하여 난수, 전자서명 또는 암호화 키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 생성부는 상기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가 생성되면 발급시점, 접근코드 및 발급자를 기초로 상기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의 발급 내역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을 생성하고,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 생성부는 상기 블록체인을 통해 상대방 단말이 상기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의 발급 내역을 획득하면 상기 상대방 단말이 상기 접근코드를 사전에 정의된 접근함수에 적용하여 상기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의 저장 위치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DUSS(Different Units Same Security) 지원 가능한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방법은 양자난수 엔트로피 소스부가 아날로그 잡음에 대한 디지털화를 통해 임의의 시점에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디지털 잡음을 제공하는 단계, 암호화 시드 결정부가 상기 디지털 잡음의 검출을 통해 상기 임의의 시점을 획득하여 상기 임의의 시점을 암호생성을 위한 암호화 시드로 결정하는 단계 및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 생성부가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 생성기에 상기 암호화 시드를 제공하여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의 발급 내역을 보장하는 블록체인을 생성하고,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USS 지원 가능한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장치는 충분한 난수 엔트로피를 제공할 수 있으면서 소형의 양자난수 엔트로피 생성기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USS 지원 가능한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장치는 양자난수 엔트로피에서 발생되는 아날로그 잡음원을 바탕으로 암호적 처리과정을 수행하여 블록체인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USS 지원 가능한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장치는 IoT(Internet of Things)기기의 사용이 필수적인 환경에서 안전하고 저가의 초소형의 양자난수 엔트로피를 확보하여 난수 발생기 등을 구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USS(Different Units Same Security) 지원 가능한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DUSS 지원 가능한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USS 지원 가능한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DUSS 지원 가능한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방법의 암호화용 코드 발급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USS(Different Units Same Security) 지원 가능한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DUSS(Different Units Same Security) 지원 가능한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시스템(100)은 DUSS 지원 가능한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장치(110)(이하,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장치),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 생성기(120), 블록체인(130) 및 사용자 단말(1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DUSS는 IoT(Internet of Things) 환경에서 이기종 네트워크간 통합 보안시스템을 적용하는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장치(110),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 생성기(120) 및 블록체인(130)은 회로, 유무선통신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장치(110)는 양자난수 엔트로피의 소스로서 안정한 잡음원을 통해 암호화 시드를 결정하고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를 생성하여 암호 시스템 또는 블록체인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양자난수 엔트로피는 잡음원에서 발생한 양자난수의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하는 척도를 의미할 수 있다. 암호화 시드는 암호함수 또는 암호연산의 초기화를 위해 사용되는 수치로 엔트로피 소스를 의미할 수 있다. 잡음원(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잡음)은 예측 불가능한 물리적 소스에 해당할 수 있다. 잡음원의 엔트로피는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 생성기(120)의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장치(110)는 DUSS 기반으로 IoT 또는 IoST(Internet of Small Things) 등의 다양한 환경에서 다양한 이기종의 네트워크간 통합 보안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 생성기(120)는 각각 암호 시스템 또는 블록체인에 필요한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 또는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의 발급내역을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 생성기(120)는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장치(110)로부터 암호화 시드를 제공받아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 생성기(120)는 도 1과 같이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장치(110)와 분리된 별도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제 한정되지 않고, 도 1과 달리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장치(110)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블록체인(130)은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 생성기(120)로부터 생성된 암호화 디지털 코드의 발급 내역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블록체인(130)은 일반적으로, 관리 대상 데이터를 '블록'이라고 하는 소규모 데이터들이 P2P(peer to peer) 방식을 기반으로 생성된 체인 형태의 연결고리 기반 분산 데이터 저장환경에 저장하여 누구라도 임의로 수정할 수 없고 누구나 변경의 결과를 열람할 수 있는 분산 컴퓨팅 기술 기반의 데이터 위변조 방지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블록체인(130)은 누구나 열람할 수 있는 장부에 거래 내역을 투명하게 기록하고, 여러 대의 컴퓨터에 이를 복제해 저장하는 분산형 데이터 저장기술이다. 블록체인(130)에 연결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은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장치(110)를 통해 저장된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의 저장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40)은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장치(11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하고, 예를 들어, 산업기기 및 센서, 데스크톱, 노트북,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40)을 통해 특정 암호화 시스템 또는 블록체인(130)에 접근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장치(110)와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 생성기(120)는 특정 암호화 시스템 또는 블록체인(130)에 암호화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DUSS 지원 가능한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DUSS 지원 가능한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장치(11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사용자 입출력부(230), 네트워크 입출력부(240) 및 양자난수 엔트로피 생성기(25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도 4에 있는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방법을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2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22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 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장치(11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20), 사용자 입출력부(23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고, 양자난수 엔트로피 생성기(250)에 신호를 보내서 구동 및 엔트로피 잡음원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장치(11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20)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SSD(Solid State Disk)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장치(11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출력부(230)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마우스, 트랙볼, 터치 패드, 그래픽 태블릿, 스캐너, 터치 스크린,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LED 표시기 또는 모니터 등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230)은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장치(110)는 서버로서 수행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입출력부(240)은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 생성기(120), 블록체인(130) 및 사용자 단말(14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하기 위한 UART, SPI, I2C 등의 하드웨어 인터페이스 환경을 포함하고, LAN(Local Area Network)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장치(110)는 네트워크 입출력부(240)를 통해 사용자 단말(140)과 연동할 수 있다.
양자난수 엔트로피 생성기(250)는 양자난수 엔트로피 소스(잡음원)를 생성하여 양자난수 엔트로피 소스부(310)에 아날로그 잡음으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아날로그 잡음의 엔트로피는 난수 발생기 등에 해당하는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 생성기(120)의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양자난수 엔트로피 생성기(250)에서 생성되는 아날로그 잡음은 예측 불가능한 암호화 시드를 생성하기 위해 충분한 엔트로피를 가지도록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양자난수 엔트로피 생성기(250)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된 잡음원 운영체제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자난수 엔트로피 생성기(250)는 안드로이드, 리눅스 또는 윈도우 운영체제를 통해 아날로그 잡음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양자난수 엔트로피 생성기(250)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양자난수 엔트로피 생성기(250)는 제너(Zener) 다이오드의 산탄 잡음, 반도체 회로의 내재적인 열 잡음 등 전자회로 상의 비결정론적 현상들을 이용하거나 또는 물리적 현상인 방사선 붕괴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양자난수 엔트로피 생성기(250)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로 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USS 지원 가능한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장치(이하,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장치(110)는 양자난수 엔트로피 소스부(310), 암호화 시드 결정부(320),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 생성부(330) 및 제어부(340)을 포함할 수 있다.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장치(110)는 아날로그 잡음을 디지털 잡음으로 변환하고 디지털 잡음을 암호화 시드로 결정하여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를 생성하는 장치로서 암호화 시스템 또는 블록체인에 적용할 수 있다.
양자난수 엔트로피 소스부(310)는 아날로그 잡음에 대한 디지털화를 통해 임의의 시점에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디지털 잡음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양자난수 엔트로피 소스부(310)는 양자난수 엔트로피 생성기(250)로부터 생성된 아날로그 잡음을 수신하여 디지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양자난수 엔트로피 소스부(310)는 잡음원인 아날로그 잡음의 디지털화를 통해 임의의 시점에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디지털 잡음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양자난수 엔트로피 소스부(310)는 디지털화의 과정에서 양자난수 엔트로피 생성기(250)의 종류를 기초로 임의의 시점을 가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자난수 엔트로피 소스부(310)는 리눅스 등 소프트웨어로 구현된 경우와 하드웨어로 구현된 경우에 임의의 시점을 각각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양자난수 엔트로피 소스부(310)는 가변되는 임의의 시점에서 동일 진폭을 가지는 순간적인 펄스를 디지털 잡음으로 결정할 수 있다. 안정적인 디지털 잡음은 안정적인 암호화 시드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암호화 시드 결정부(320)는 디지털 잡음의 검출을 통해 임의의 시점을 획득하여 임의의 시점을 암호생성을 위한 암호화 시드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암호화 시드 결정부(320)는 임의의 시점(현재의 시각)을 암호화 시드로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암호화 시드 결정부(320)는 밀리초, 즉 1/1000초 단위의 값을 암호화 시드로 결정하여 인간 레벨에서는 의도적으로 같은 값을 내게 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또한, 암호화 시드 결정부(320)는 마지막으로 생성한 난수를 별도로 저장해 뒀다가 그것을 암호화 시드로 결정할 수 있고 사용자의 입력 행동 자체를 암호화 시드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암호화 시드 결정부(320)는 사용자의 마우스 움직임이나 키보드의 키를 누른 시간 간격 등을 샘플링해서 그것을 암호화 시드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암호화 시드 결정부(320)는 동일 진폭보다 적은 진폭을 가지는 기준 잡음을 주기적으로 발생시킨 후 주기마다 디지털 잡음과 기준 잡음을 비교하여 디지털 잡음의 발생시점을 검출하고 기준 잡음의 발생 카운트를 기초로 임의의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암호화 시드 결정부(320)는 기준 잡음의 발생 주기를 변화시킴으로써 디지털 잡음의 발생시점을 가변적으로 검출하고 가변되는 기준 잡음의 발생시점을 카운트하여 그에 따라 임의의 시점을 유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암호화 시드 결정부(320)는 기준 잡음의 발생 카운트에 따른 임의의 시점 및 이전 기준 잡음의 발생 카운트에 따른 임의의 시점 간의 비트 연산을 수행하여 암호화 시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호화 시드 결정부(320)는 복수의 임의의 시점간 비트 단위로 XOR 논리 연산을 수행하여 암호화 시드를 결정할 수 있다.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 생성부(330)는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 생성기(120)에 암호화 시드를 제공하여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를 생성하고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의 발급 내역을 블록체인(130)에 저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 생성부(330)는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장치(110)와 별도로 또는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장치(110)에 포함되어 구현된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 생성기(120)에 암호화 시드를 제공하여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를 난수로서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는 암호화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 생성부(330)는 생성된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의 발급 내역을 블록체인(13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 생성부(330)는 블록체인(130)에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의 발급 내역을 저장하여 블록체인(130)의 보안에 활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 생성부(330)는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 생성기(120) 중 하나로서 난수 생성기(난수 발생기), 전자서명 생성기 또는 암호화 키 생성기에 암호화 시드를 제공하여 난수, 전자서명 또는 암호화 키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 생성부(330)는 결정론적 난수 생성기(DRBG, Deterministic Random Bit Generator)에 암호화 시드를 제공하여 난수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결정론적 난수 생성기는 초기값인 암호화 시드로부터 비트 열을 생성하는 암호 알고리즘으로 구성될 수 있다. 결정론적 난수 생성기는 비결정론적 난수 생성기로부터 잡음원을 얻어 암호화 시드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 생성부(330)는 타원곡선을 이용한 전자서명 알고리즘으로 타원곡선 DSA(Elliptic Curve Digital Signature Algorithm, ECDSA) 또는 타원곡선 암호를 이용한 키 교환 방식에 해당하는 타원곡선 디피-헬만(Elliptic Curve Diffie-Hellman, ECDH)을 통해서 각각 전자서명이나 암호화 키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 생성부(330)는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가 생성되면 발급시점, 접근코드 및 발급자를 기초로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의 발급 내역을 생성하여 블록체인(130)에 저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 생성부(330)는 생성된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를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의 발급시점, 접근 가능한 코드 및 발급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해당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의 발급 내역을 생성하고 블록체인(130)에 저장하여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게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 생성부(330)는 블록체인(130)을 통해 상대방 단말이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의 발급 내역을 획득하면, 상대방 단말이 사전에 정의된 접근함수에 접근코드를 적용하여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의 저장 위치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 생성부(330)는 블록체인(130)의 구성원인 상대방 단말이 해당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의 발급내역에 대해서 사전에 정의된 접근함수에 접근코드를 적용하면 상대방 단말이 블록체인(130)내의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의 저장위치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340)는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장치(11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양자난수 엔트로피 소스부(310), 암호화 시드 결정부(320) 및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 생성부(330)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DUSS 지원 가능한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방법의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 발급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에서, DUSS 지원 가능한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 발급 방법(이하,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방법)은 양자난수 엔트로피 소스부(310)를 통해 아날로그 잡음에 대한 디지털화를 수행하고 임의의 시점에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디지털 잡음을 제공할 수 있다(단계 S410).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방법은 암호화 시드 결정부(320)를 통해 디지털 잡음의 검출을 수행하고 임의의 시점을 획득하여 임의의 시점을 암호생성을 위한 암호화 시드로 결정할 수 있다(단계 S420).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방법은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 생성부(330)를 통해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 생성기(120)에 암호화 시드를 제공하여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를 생성하고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의 발급 내역을 블록체인(130)에 저장할 수 있다(단계 S430). 결론적으로,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방법은 다양한 IoT 환경 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통합 보안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DUSS(Different Units Same Security) 지원 가능한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시스템
110: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장치
120: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 생성기
130: 블록체인
140: 사용자 단말
210: 프로세서 220: 메모리
230: 사용자 입출력부 240: 네트워크 입출력부
250: 양자난수 엔트로피 생성기
310: 양자난수 엔트로피 소스부
320: 암호화 시드 결정부
330: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 생성부
340: 제어부

Claims (9)

  1. 아날로그 잡음에 대한 디지털화를 통해 임의의 시점에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디지털 잡음을 제공하는 양자난수 엔트로피 소스부;
    상기 디지털 잡음의 검출을 통해 상기 임의의 시점을 획득하여 상기 임의의 시점을 암호생성을 위한 암호화 시드로 결정하는 암호화 시드 결정부; 및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 생성기에 상기 암호화 시드를 제공하여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의 발급 내역을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 생성부를 포함하는 DUSS(Different Units Same Security) 지원 가능한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난수 엔트로피 소스부는
    상기 디지털화의 과정에서 양자난수 엔트로피 생성기의 종류를 기초로 상기 임의의 시점을 가변시키고, 상기 임의의 시점에서 동일 진폭을 가지는 순간적인 펄스를 상기 디지털 잡음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USS 지원 가능한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시드 결정부는
    상기 동일 진폭보다 적은 진폭을 가지는 기준 잡음을 주기적으로 발생시킨 후 각 주기마다 상기 디지털 잡음과 상기 기준 잡음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USS 지원 가능한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시드 결정부는
    상기 비교를 통해 상기 디지털 잡음의 발생 시점을 검출하고 상기 기준 잡음의 발생 카운트를 기초로 상기 임의의 시점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USS 지원 가능한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시드 결정부는
    상기 기준 잡음의 발생 카운트에 따른 임의의 시점 및 이전 기준 잡음의 발생 카운트에 따른 임의의 시점 간의 비트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암호화 시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USS 지원 가능한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 생성부는
    상기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 생성기 중 하나로서 난수 생성기, 전자서명 생성기 또는 암호화 키 생성기에 상기 암호화 시드를 제공하여 난수, 전자서명 또는 암호화 키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USS 지원 가능한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 생성부는
    상기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가 생성되면 발급시점, 접근코드 및 발급자를 기초로 상기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의 발급 내역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USS 지원 가능한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 생성부는
    상기 블록체인을 통해 상대방 단말이 상기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의 발급 내역을 획득하면 상기 상대방 단말이 사전에 정의된 접근함수에 상기 접근코드를 적용하여 상기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의 저장 위치를 획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USS 지원 가능한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장치.
  9. 양자난수 엔트로피 소스부가 아날로그 잡음에 대한 디지털화를 통해 임의의 시점에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디지털 잡음을 제공하는 단계;
    암호화 시드 결정부가 상기 디지털 잡음의 검출을 통해 상기 임의의 시점을 획득하여 상기 임의의 시점을 암호생성을 위한 암호화 시드로 결정하는 단계; 및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 생성부가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 생성기에 상기 암호화 시드를 제공하여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암호화용 디지털 코드의 발급 내역을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USS 지원 가능한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방법.

KR1020180140040A 2018-11-14 2018-11-14 Duss 지원 가능한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장치 및 방법 KR102183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040A KR102183312B1 (ko) 2018-11-14 2018-11-14 Duss 지원 가능한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040A KR102183312B1 (ko) 2018-11-14 2018-11-14 Duss 지원 가능한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110A true KR20200056110A (ko) 2020-05-22
KR102183312B1 KR102183312B1 (ko) 2020-11-26

Family

ID=70913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040A KR102183312B1 (ko) 2018-11-14 2018-11-14 Duss 지원 가능한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331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801B1 (ko) * 2021-08-20 2021-12-2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양자보안 통신장치 통합형 영상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2356152B1 (ko) * 2021-08-20 2022-02-08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양자보안 통신장치 통합형 지능형 교통신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390988B1 (ko) * 2020-12-22 2022-04-27 김성중 양자난수 암호모듈이 탑재된 스마트 감시 제어 시스템
KR102425077B1 (ko) * 2022-04-08 2022-07-27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양자 엔트로피 기반 일회용 양자 비밀번호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220115323A (ko) * 2021-02-10 2022-08-17 주식회사 케이티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로그를 감시하는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7775A (en) * 1995-04-18 1997-05-06 Applied Computing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random numbers using electrical noise
KR20090041408A (ko) 2006-07-21 2009-04-28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암호 장치, 기록 매체, 및 방법
KR20180041043A (ko) * 2017-05-25 2018-04-23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m of n 다중 서명에 의한 인증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KR20180046758A (ko) * 2016-10-28 2018-05-09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기반의 DUSS(Different Units Same Security)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7775A (en) * 1995-04-18 1997-05-06 Applied Computing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random numbers using electrical noise
KR20090041408A (ko) 2006-07-21 2009-04-28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암호 장치, 기록 매체, 및 방법
KR20180046758A (ko) * 2016-10-28 2018-05-09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기반의 DUSS(Different Units Same Security) 장치
KR20180041043A (ko) * 2017-05-25 2018-04-23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m of n 다중 서명에 의한 인증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0988B1 (ko) * 2020-12-22 2022-04-27 김성중 양자난수 암호모듈이 탑재된 스마트 감시 제어 시스템
KR20220115323A (ko) * 2021-02-10 2022-08-17 주식회사 케이티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로그를 감시하는 장치
KR102341801B1 (ko) * 2021-08-20 2021-12-2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양자보안 통신장치 통합형 영상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2356152B1 (ko) * 2021-08-20 2022-02-08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양자보안 통신장치 통합형 지능형 교통신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425077B1 (ko) * 2022-04-08 2022-07-27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양자 엔트로피 기반 일회용 양자 비밀번호 생성 장치 및 방법
WO2023195755A1 (ko) * 2022-04-08 2023-10-12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양자 엔트로피 기반 일회용 양자 비밀번호 생성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3312B1 (ko) 2020-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3312B1 (ko) Duss 지원 가능한 양자난수 엔트로피 암호화용 코드 발급 장치 및 방법
US10089493B2 (en) Decentralized token table generation
US10333710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desired size of private randomness using Tsallis entropy
JP6285536B2 (ja) データを暗号化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2818380A (zh) 业务行为的回溯处理方法、装置、设备及系统
KR101393806B1 (ko) 다단계 물리적 복제 불가 함수 시스템
US10432663B2 (en) Electronic security keys for data security based on quantum particle states that indicates type of access
KR102425077B1 (ko) 양자 엔트로피 기반 일회용 양자 비밀번호 생성 장치 및 방법
US20210160088A1 (en) Device Pairing and Authentication
Xingyuan et al. A novel true random number generator based on mouse movement and a one-dimensional chaotic map
WO2012001747A1 (en) Device for storing data by utilizing pseudorandom number sequence
US11928249B2 (en) Quantum phenomenon-based obfuscation of memory
US11924327B2 (en) Variable data protection
US11321475B2 (en) Entropy data based on error correction data
US8914369B2 (en) Method and a system for data verification and/or authentication
Bar‐Yam et al. Computationally tractable pairwise complexity profile
US2024003138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detection of a security event associated with an iot device
Crutchfield et al. Intrinsic quantum computation
KR20180134047A (ko) 지문 검출 장치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30083837A (ko) 기밀 데이터의 보안성을 위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기반 SECaaS 장치 및 방법
JP5948238B2 (ja) データ管理方法およびデータ管理装置
CN114365135A (zh) 经由可变代码比较的装置入侵检测
Shah et al. A comparative analysis of different LFSR-based ciphers and parallel computing platforms for development of generic cipher compatible on both hardware and software platforms
KR102156568B1 (ko) 구명용 비상신호 발신장치 및 방법
Arora et al. A Variant of Secret Sharing Protected with Poly-1305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