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5885A - 치약이 내장된 일체형 휴대용 칫솔 - Google Patents

치약이 내장된 일체형 휴대용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5885A
KR20200055885A KR1020180139517A KR20180139517A KR20200055885A KR 20200055885 A KR20200055885 A KR 20200055885A KR 1020180139517 A KR1020180139517 A KR 1020180139517A KR 20180139517 A KR20180139517 A KR 20180139517A KR 20200055885 A KR20200055885 A KR 20200055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paste
toothbrush
tube
built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9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5997B1 (ko
Inventor
박정훈
이태호
Original Assignee
박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훈 filed Critical 박정훈
Priority to KR1020180139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5997B1/ko
Publication of KR20200055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5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A46B11/0024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with a permanently displaceable pressurising member that remain in position unless actuated, e.g. lead-screw or ratchet mechanisms, toothpaste tube twisting or ro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A46B11/0041Flexible or deformable reservoirs, e.g. resilient bulbs, compressible tubes
    • A46B11/0051Peristaltic pump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약이 내장된 휴대용 칫솔에 있어서, 칫솔모, 치약이 배출되는 구멍인 치약 배출구 및 상기 칫솔모가 심어지고 상기 치약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모판으로 구성된 칫솔모부, 상기 칫솔모부 말단에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치약 배출구로부터 연결되어 치약이 이동하는 중공의 내부통로를 가지는 칫솔대부, 상기 칫솔대부의 내부통로의 말단에 연결되어 내장된 치약 튜브의 치약이 분출되는 주사부, 상기 칫솔대부의 말단과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치약 튜브가 내장되어 있는 수트부 및 상기 수트부 말단에 연결되고, 상기 수트부의 내부에 포함되는 치약을 짜는 수단을 동작시켜 치약을 배출하도록 구성된 치약 배출 조절부를 포함하는 치약 내장형 휴대용 칫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약이 내장된 일체형 휴대용 칫솔{One-piece portable toothbrush with built-in toothpaste}
본 발명은 칫솔 몸체에 치약 튜브가 내장되고 치약을 짜면 칫솔대의 중공으로 이루어진 내부통로를 통해 치약이 치약모판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된 치약이 내장된 칫솔에 관한 것이다.
입으로 음식물을 섭취한 경우 치아 사이나 잇몸에 음식물 찌꺼기가 끼게 되고, 이를 제때에 제거하지 않는 경우에 구강의 충치균들이 입 안에 남은 음식물 찌꺼기의 당을 분해한 뒤 젖산을 배출하게 된다. 이 젖산이 치아의 에나멜질을 손상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이 충치이다.
충치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제때 칫솔과 치약을 이용하여 양치질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칫솔은 손잡이와 헤드 부분으로 구성되며, 헤드 부분의 칫솔모에 치약을 뭍혀 입 안의 음식 찌꺼기와 세균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양치질을 하게 된다. 규칙적인 양치질은 성인뿐만 아니라 유치가 나기 시작하는 아이들에게도 치아 관리를 위해 중요한 부분이다.
일반적으로 양치질에 필요한 칫솔과 치약은 별개로 구비가 필요하다. 둘 중 어느 하나라도 없는 경우에 제대로 된 양치질을 할 수 없게 된다. 외출한 상태에서 양치질이 필요한 경우 칫솔과 치약을 모두 챙겨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치약이 내장된 휴대용 칫솔(공개 특허 제10-2014-0121889호), 치약 내장형 칫솔(공개 실용신안 제20-2016-0005484호) 등이 치약 일체형 칫솔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치약 일체형 칫솔은 주사식 일체형 칫솔이거나 또는 치약 튜브를 별도로 내장하여 필요할 때마다 꺼내어 쓰는 방식의 일체형 칫솔이다. 주사식 칫솔의 경우 칫솔 내부에 치약을 지속적으로 충전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교체시기를 예상하기 어렵고, 서로 다른 종류의 치약이 혼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치약 튜브를 별도로 내장하는 경우에는 치약 튜브를 사용시 마다 꺼내어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에 있어서 불편함이 존재하고, 치약 튜브의 분실 위험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치약이 내장된 일체형 칫솔이 필요하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4-0121889호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6-000548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치약 튜브를 치약 수트부에 내장하고 양치질을 하는경우 치약 조절부의 구동에 의하여 치약을 짜는 수단이 연동됨으로써 치약 튜브를 압박하여 치약이 배출되게 하고 치약이 칫솔대부의 중공으로 이루어진 내부통로를 통과하여 칫솔모판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발명이다. 치약과 칫솔을 일체로 관리할 수 있게 하여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게 하고 내부기어의 연동에 의하여 치약 튜브에 압박을 가하여 치약을 짜서 쓸 수 있게 함으로써 조작이 매우 쉬운 치약 내장형 휴대용 칫솔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인 치약이 내장된 일체형 휴대용 칫솔은 칫솔모, 치약이 배출되는 구멍인 치약 배출구 및 칫솔모가 심어지고 치약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모판으로 구성된 칫솔모부, 칫솔모부 말단에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치약 배출구로부터 연결되어 치약이 이동하는 중공의 내부통로를 가지는 칫솔대부, 칫솔대부의 내부통로의 말단에 연결되어 내장된 치약 튜브의 치약이 분출되는 주사부, 칫솔대부의 말단과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치약 튜브가 내장되어 있는 수트부, 수트부의 말단에 연결되고, 치약을 짜는 수단과 연결되어 연동되는 제 1 내부기어가 내면에 부착되어 있는 치약 배출 조절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트부는 내부에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제 2 내부기어, 제 2 내부기어와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상하운동으로 전환하여 힘을 전달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스파이럴 베벨 기어, 스파이럴 베벨 기어에 의해 연동되는 제 3 내부기어, 운동방향을 전환하는 도르레 및 일축은 제 3 내부기어에 연결되고 타축은 도르레를 거쳐 치약을 짜는 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텐션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치약 배출 조절부는 상기 수트부 말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치약을 짜는 수단은 치약 튜브의 말단이 끼워지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치약 주사부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본체에서 입구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치약이 배출되는 압력에 의해 입구의 너비가 조절됨으로써 치약을 배출 할 수 있다.
또한, 치약 주사부는 액상 치약이 배출될 수 있는 펌핑식 튜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치약을 짜는 수단은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롤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롤러의 틈새에 치약 튜브가 끼워져 상기 텐션줄의 이동에 의해 상기 치약을 짜는 수단이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롤러가 상기 치약 튜브에 들어있는 치약을 압박하게 되어 치약이 배출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약 내장형 휴대용 칫솔은 치약 튜브를 칫솔 수트부에 내장하여 양치질을 하는 경우 치약 배출 조절부를 돌리면 내장된 치약이 내부통로를 통해 배출됨으로써 칫솔과 치약의 휴대를 간편하게 하는 칫솔 내장형 휴대용 칫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내부기어의 연동에 의하여 치약을 배출함으로써 양치질을 하는 사용자에게 자연스러운 사용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약 내장형 휴대용 칫솔의 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약 내장형 휴대용 칫솔의 내부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약 내장형 휴대용 칫솔의 칫솔모부와 칫솔대부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약 내장형 휴대용 칫솔의 치약 주사부의 단면도와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약 내장형 휴대용 칫솔의 수트부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약 내장형 휴대용 칫솔의 치약 배출 조절부의 옆모습과 내부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약 내장형 휴대용 칫솔의 치약을 짜는 수단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약 내장형 휴대용 칫솔(10)의 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약 내장형 휴대용 칫솔의 내부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약 내장형 휴대용 칫솔은 치아를 닦는 수단인 칫솔모(110)와 치약이 배출되는 치약 배출구(120)를 포함하는 칫솔모부(100), 치약이 이동하는 내부통로(210)를 포함하는 중공의 칫솔대부(200), 치약이 내부통로(210)로 배출되는 치약 주사부(300), 치약 튜브(460)가 내장되는 수트부(400), 치약을 짜는 수단(600) 및 제 1 내부기어(510)를 포함하는 치약 배출 조절부(500)로 구성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약 내장형 휴대용 칫솔의 칫솔모부(100)와 칫솔대부(200)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칫솔모부(100)는 칫솔모(110)와, 치약 배출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칫솔모(110)는 치아를 닦는 수단으로 합성수지 인조모 다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치약 배출구(120)는 치약이 배출되는 구멍으로서 칫솔모(110)가 식부된 칫솔모판 바닥에 존재하며 하나 이상의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칫솔대부(200)는 일측은 칫솔모부(100)에 결합되고 타측은 수트부(400)에 결합되어 양자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칫솔대부(200)는 내부에 치약이 치약 배출구(120)로 이동하는 통로인 중공의 내부통로(210)를 포함할 수 있다. 치약 주사부(300)에서 배출된 치약은 내부통로(210)를 통과하여 치약 배출구(120)로 배출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약 내장형 휴대용 칫솔의 치약 주사부(300)의 단면도와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약 주사부(300)는 칫솔대부(200)의 내부통로(210)말단에 연결되어 치약 튜브(460)에서 배출된 치약이 칫솔대부(200)의 내부통로(210)로 유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치약 주사부(300)의 입구는 칫솔대부(200)의 내부통로(210) 방향을 향하도록 연결된다.
일단 치약이 배출된 후에는 치약이 치약 주사부(300)로 재유입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통로(210)에 연결된 입구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고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치약이 배출될 경우에는 치약이 배출되는 압력에 의해 입구가 벌어지고, 치약이 배출된 이후에는 다시 입구가 좁아질 수 있다.
또한, 치약 주사부(300)는 액체 치약을 사용하는 경우 액체가 일정량만 배출될 수 있도록 펌핑식 튜브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약 내장형 휴대용 칫솔의 수트부(400)의 단면도와 저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트부(400)는 양치질을 하는 사용자가 칫솔을 파지하는 부분이다. 내부에는 치약이 들어있는 치약 튜브(460)가 내장되고, 치약을 짜는 수단(600)을 포함할 수 있다. 치약을 짜는 수단(600)은 치약 조절부와 연동되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치약을 짜는 수단(600)의 상하 이동에 의하여 내장된 치약 튜브(460)를 압박하면 치약을 배출할 수 있는 내부구조를 가진다.
치약 튜브는 치약이 배출되는 입구는 치약 주사부(300)에 연결되고, 말단은 치약을 짜는 수단(600)에 끼워져 내장된다.
수트부(40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제 2 내부기어(410), 스파이럴 베벨기어(420), 제 3 내부기어(430), 도르레(440) 및 텐션줄(4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내부기어(410)는 스파이럴 베벨기어(420)에 의하여 수트부(400)의 하단에 돌출되어 연결되며 치약 배출 조절부(500)의 제 1 내부기어(510)와 맞물려 배치될 수 있다. 스파이럴 베벨기어(420)는 제 2 내부기어(410)의 중앙을 관통하여 제 3 내부기어(430)와 맞물려 배치되어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제 3 내부기어(430)는 스파이럴 베벨기어(420)와 연동된다. 텐션줄(450)은 일측은 제 3 내부기어(430)에 연결되고 타측은 도르레(440)를 거쳐 치약을 짜는 수단(600)에 연결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약 내장형 휴대용 칫솔의 치약 배출 조절부(500)의 옆모습과 내부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약 배출 조절부(500)는 사용자가 양치질을 하는 경우 수트부(400)에 내장된 치약 튜브(460)에서 치약이 배출되도록 힘을 가하는 구성이다. 치약 배출 조절부(500)의 외형은 반드시 원형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내부의 제 1 내부기어(51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이면 다각형의 형상도 가능하다.
치약 배출 조절부(500)는 내부에 제 1 내부기어(5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내부기어(510)에는 복수개의 제 2 내부기어(410)가 맞물려 연결될 수 있으며 제 1 내부기어(510)의 지름은 제 2 내부기어(410)의 직경의 약 3배가 될 수 있다.
양치질을 하기 위해 치약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치약 배출 조절부(500)를 회전시키면 내부의 제 1 내부기어(510)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제 1 내부기어(510)가 회전하면 제 1 내부기어(510)와 맞물려 연결되어 있는 제 2 내부기어(410)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제 1 내부기어(510)와 제 2 내부기어(410)의 직경의 차이에 의해 약한 힘으로도 제 2 내부기어(410)를 구동할 수 있다.
제 2 내부기어(410)가 회전하면 제 2 내부기어(410)와 연결된 스파이럴 베벨기어(420)가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회전력을 제 3 내부기어(430)에 전달한다. 스파이럴 베벨기어(420)와 맞물려 있는 제 3 내부기어(430)는 스파이럴 베벨기어(420)와 연동되어 회전한다. 스파이럴 베벨기어(420)는 제 2 내부기어(410)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운동을 상하운동으로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텐션줄(450)은 일측은 제 3 내부기어(430)에 연결되고 도르레(440)를 거쳐 타측은 치약을 짜는 수단(600)에 연결된다. 제 3 내부기어(430)가 회전하면 연결되어 있는 텐션줄(450)이 감기거나 풀리게되어 치약을 짜는 수단(600)을 상하로 이동시키게 된다. 치약을 짜는 수단(600)이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치약 튜브(460)를 압박하여 치약이 배출된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약 내장형 휴대용 칫솔의 치약을 짜는 수단(600)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치약을 짜는 수단(600)은 치약 튜브(460)가 끼워질 수 있는 틈새를 포함할 수 있다. 틈새에 치약 튜브(460)의 말단을 넣어 장착한 후 치약을 짜는 수단(600)이 상하로 이동하면서 치약 튜브(460) 안의 치약을 압박하여 치약이 치약 주사부(300)로 배출되게 된다.
치약 튜브(460)를 효과적으로 압박하기 위하여 치약을 짜는 수단(600)은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롤러(61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롤러(610)의 틈새에 치약 튜브(460)를 끼워 장착할 수 있다. 치약 조절부를 회전시키면 텐션줄(450)의 이동에 의해 치약을 짜는 수단(600)이 상하로 이동하면 롤러(610)가 회전할 수 있다. 한 쌍의 롤러(610)가 치약 튜브(460)에 들어있는 치약을 압박하게 되어 치약이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할 경우 치약과 칫솔을 일체로 휴대할 수 있는 편리성과 양치질을 하는 사용자의 구동에 의해 내부기어가 회동함으로써 자연스러운 사용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치약 내장형 휴대용 칫솔
100: 칫솔모부
110: 칫솔모
120: 치약 배출구
200: 칫솔대부
210: 내부통로
300: 치약 주사부
400: 수트부
410: 제 2 내부기어
420: 스파이럴 베벨기어
430: 제 3 내부기어
440: 도르레
450: 텐션줄
460: 치약 튜브
500: 치약 배출 조절부
510: 제 1 내부기어
600: 치약을 짜는 수단
610: 롤러

Claims (6)

  1. 치약이 내장된 휴대용 칫솔에 있어서,
    칫솔모, 치약이 배출되는 구멍인 치약 배출구 및 상기 칫솔모가 심어지고 상기 치약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모판으로 구성된 칫솔모부;
    상기 칫솔모부의 말단에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치약 배출구로부터 연결되어 치약이 이동하는 중공의 내부통로를 가지는 칫솔대부;
    상기 칫솔대부의 내부통로의 말단에 연결되어 내장된 치약 튜브의 치약이 분출되는 주사부;
    상기 칫솔대부의 말단과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치약 튜브가 내장되어 있는 수트부; 및
    상기 수트부의 말단에 연결되고, 상기 수트부 내부에 포함되는 치약을 짜는 수단을 동작시켜 치약을 배출하도록 구성된 치약 배출 조절부;
    를 포함하는 치약 내장형 휴대용 칫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트부는 내부에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제 2 내부기어;
    상기 제 2 내부기어와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상하운동으로 전환하여 힘을 전달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스파이럴 베벨 기어;
    상기 스파이럴 베벨 기어와 치합되는 제 3 내부기어;
    운동방향을 전환하는 도르레; 및
    일축은 상기 제 3 내부기어에 연결되고 타축은 상기 도르레를 거쳐 상기 치약을 짜는 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텐션줄;
    을 포함하고,
    상기 치약 배출 조절부는 상기 제 2 내부기어와 치합된 제 1 내부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칫솔.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약 배출 조절부는 상기 수트부 말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치약을 짜는 수단은 치약 튜브의 말단이 끼워지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칫솔.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부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본체에서 입구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치약이 배출되는 압력에 의해 입구의 너비가 조절됨으로써 치약을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칫솔.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부는 액상 치약이 배출될 수 있는 펌핑식 튜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칫솔.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약을 짜는 수단은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롤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롤러의 틈새에 치약 튜브가 끼워져 상기 텐션줄의 이동에 의해 상기 치약을 짜는 수단이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롤러가 상기 치약 튜브에 들어있는 치약을 압박하게 되어 치약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칫솔.
KR1020180139517A 2018-11-14 2018-11-14 치약이 내장된 일체형 휴대용 칫솔 KR102115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517A KR102115997B1 (ko) 2018-11-14 2018-11-14 치약이 내장된 일체형 휴대용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517A KR102115997B1 (ko) 2018-11-14 2018-11-14 치약이 내장된 일체형 휴대용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885A true KR20200055885A (ko) 2020-05-22
KR102115997B1 KR102115997B1 (ko) 2020-05-28

Family

ID=70914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9517A KR102115997B1 (ko) 2018-11-14 2018-11-14 치약이 내장된 일체형 휴대용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59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70074A (ko) 2021-06-22 2022-12-29 최진호 롤러블 종이치약 일체형 칫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800Y1 (ko) * 1994-06-10 1996-08-08 강장수 치약 압출장치
KR20140121889A (ko) 2011-02-01 2014-10-16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전력 절약 방법, 액세스 포인트 디바이스 및 스테이션 디바이스
KR101613672B1 (ko) * 2015-04-27 2016-04-29 이화정 칫솔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800Y1 (ko) * 1994-06-10 1996-08-08 강장수 치약 압출장치
KR20140121889A (ko) 2011-02-01 2014-10-16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전력 절약 방법, 액세스 포인트 디바이스 및 스테이션 디바이스
KR101613672B1 (ko) * 2015-04-27 2016-04-29 이화정 칫솔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70074A (ko) 2021-06-22 2022-12-29 최진호 롤러블 종이치약 일체형 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5997B1 (ko)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383574B2 (en) Oral care implement
RU2465797C2 (ru) Инструмент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варианты)
US7901153B1 (en) Disposable toothbrush apparatus
US6371674B1 (en) Plaque disclosing agent dispensing toothbrush
US20130340185A1 (en) Interdental cleaning device
US20170095320A1 (en) Toothbrush and method for proper brushing of teeth and gums in the direction of gum growth optionally with an attached camera
KR102115997B1 (ko) 치약이 내장된 일체형 휴대용 칫솔
KR101195723B1 (ko) 마우스피스형 칫솔
AU2017100552A4 (en) Jet Brush
US6625834B2 (en) Manual toothbrush for gingival tissue stimulation
KR100755489B1 (ko) 치약 자동 공급디스펜스
WO2017107702A1 (zh) 牙套式3d牙刷
CN109043803A (zh) 一种自挤牙膏型牙刷
CN208492354U (zh) 一种立体式电动牙刷
CN201076155Y (zh) 一体式内输牙膏型牙刷
EP3071143B1 (en) Air-driven interproximal toothbrush
WO2006125341A1 (fr) Brosse a dent electrique double tournee vers l'interieur
EP1494610A1 (de) Maschinelle interdentalbürste, integriert in eine elektrisch betriebene zahnbürste
KR100598720B1 (ko) 전동칫솔
KR200331100Y1 (ko) 양치질액이 수용된 칫솔
CN217040394U (zh) 一种带有可拆卸牙膏筒的电动牙刷
RU44470U1 (ru) Зубная щетка
CN210329758U (zh) 一种改良重症患者口腔清洁刷
TWI685313B (zh) 具螺旋狀軟膠刷毛部且軟膠外顯在握柄部之潔牙裝置及其模具裝置
CN208192533U (zh) 口腔护理刷以及新型牙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