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5384A - 무선 백홀망에서의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백홀망에서의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5384A
KR20200055384A KR1020180138989A KR20180138989A KR20200055384A KR 20200055384 A KR20200055384 A KR 20200055384A KR 1020180138989 A KR1020180138989 A KR 1020180138989A KR 20180138989 A KR20180138989 A KR 20180138989A KR 20200055384 A KR20200055384 A KR 20200055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node
bandwidth
channel
mhz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8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38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5384A/ko
Publication of KR20200055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53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7Inter-user or inter-terminal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6Acquisition of further OFDM parameters, e.g. bandwidth, subcarrier spacing, or guard interval 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14Carrier regulation
    • H04L2027/0024Carrier regulation at the receiver end
    • H04L2027/0026Correction of carrier offset
    • H04L2027/0032Correction of carrier offset at baseband and passb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대역폭 별로 미리 설정된 점유 대역폭 및 중심 주파수에 기초하여, RF(radio frequency) 신호가 매핑될 유효 부반송파들의 개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유효 부반송파들로 구성되는 주파수 대역의 상기 중심 주파수에 기초하여 기저대역 신호를 상향 변환함으로써 상기 RF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주파수 대역에서 대역통과 필터를 사용하여 상기 RF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무선 백홀 망에서 P2P 및 P2MP 송신 방식을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백홀망에서의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GNAL IN WIRELESS BACKHAUL NETWORK}
본 발명은 주파수 자원 할당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저대역 신호를 E-Band 주파수 대역에 할당하여 무선 백홀망에서의 P2P(Point to Point) 및 P2MP(Point to Multipoint) 방식을 구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LTE의 상용화 이후 데이터의 처리속도 향상, 다수 기기 간의 동시 접속 및 초저지연 실시간 연동과 같은 요구사항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는 5G 통신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다양한 통신 방식이 논의되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 방식이다.
무선 백홀 방식은 개별 단말로부터의 신호를 백본망으로 송신하는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무선 백홀 방식은 무선 신호의 주파수 대역 중 E-band(71~76GHz, 81~86Ghz)의 주파수 상에서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무선 백홀 방식은 P2P(Point to Point) 무선 백홀과 P2MP(Point to Multipoint) 무선 백홀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P2P 및 P2MP 방식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무선 백홀 노드는 E-band를 복수개의 서브채널들로 나누고 각각의 서브채널의 대역에 신호를 할당하여 전송할 수 있다.
P2P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무선 백홀 노드는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한 후, 중심 주파수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를 상향 변환하여 RF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백홀 노드는 파워앰프를 통해서 RF 신호의 출력 값을 제어한 후, 안테나를 통해 RF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무선 백홀 노드는 일반적으로 단일 반송파(Single Carrier) 방식의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경우 E-Band에서 P2P 송신 방식 및 P2MP 송신 방식을 지원하기 위해서 무선 백홀 노드는 복수개의 기저대역 신호를 중심주파수에 따라 독립적으로 상향변환 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백홀 노드는 채널의 요구 대역폭 별로 대역통과 필터와 시스템 클럭을 포함하여야 할 수 있다. 대역폭에 따라 구성요소를 독립적으로 요구하는 종래의 방식은 무선 백홀 노드의 구현을 복잡하게 만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E-Band에서 멀티대역폭 신호를 이용하여 P2P(Point to Point) 및 P2MP(Point to Multipoint) 전송 방식을 낮은 복잡도로 구현할 수 있는 신호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백홀 노드의 신호 송신 방법은, 대역폭 별로 미리 설정된 점유 대역폭 및 중심 주파수에 기초하여, RF(radio frequency) 신호가 매핑될 유효 부반송파들의 개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유효 부반송파들로 구성되는 주파수 대역의 상기 중심 주파수에 기초하여 기저대역 신호를 상향 변환함으로써 상기 RF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주파수 대역에서 대역통과 필터를 사용하여 상기 RF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노드는 채널의 대역폭에 따라 복수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하는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하여 P2P(Point to Point) 및 P2MP(Point to Multipoint) 전송 방식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신호 전송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통신 네트워크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통신 노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a는 E 대역(71000MHz - 76000MHz)의 주파수에 따른 채널 및 채널의 중심 주파수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b는 E 대역(81000MHz - 86000MHz)의 주파수에 따른 채널 및 채널의 중심 주파수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P2P 방식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노드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P2P 방식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의 채널 할당 결과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P2P 방식으로 다중대역폭 신호를 송신하는 노드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P2P 방식에 의해 송신되는 다중대역폭 신호의 채널 할당 결과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P2MP 방식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노드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P2MP 방식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의 채널 할당 결과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노드의 P2P, 멀티대역폭 P2P 및 P2MP 송신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노드의 OFDM 방식 기저대역 신호 생성 단계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a는 부반송파 결정 결과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2b는 부반송파 결정 결과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3은 P2P 방식에 의해 송신되는 멀티 대역폭 신호의 채널 할당 결과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4는 멀티 대역폭 신호의 부반송파 할당 결과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5는 P2MP 방식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의 채널 할당 결과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6은 신호의 부반송파 할당 결과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통신 네트워크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은 코어 네트워크 및 액세스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4G 통신을 지원하는 코어 네트워크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110-1), S-GW(110-2) (serving-gateway), P-GW(110-3) (PDN(packet data network)-gatewa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5G 통신(예를 들어, NR(new radio))을 지원하는 코어 네트워크는 UPF(user plan function),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는 매크로 기지국(120), 스몰 기지국(130), TRP(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150-1, 150-2), 단말(160-1, 160-2, 160-3, 160-4, 160-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매크로 기지국(120) 또는 스몰 기지국(130)은 코어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와 유선 백홀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TRP(150-1, 150-2)는 통신 프로토콜의 모든 기능들 중에서 원격 무선 송수신 기능을 지원할 수 있으며, TRP(150-1, 150-2)를 위한 기저대역 처리 기능은 BBU 블록(140)에서 수행될 수 있다. BBU 블록(140)은 액세스 네트워크 또는 코어 네트워크에 속할 수 있다.
매크로 기지국(120)은 유선 백홀 링크 또는 무선 백홀 링크를 사용하여 코어 네트워크(예를 들어, MME(110-1), S-GW(110-2), AMF, UPF)에 연결될 수 있고,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어, 4G 통신 프로토콜, 5G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단말들(160-3, 160-4)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스몰 기지국(130)은 유선 백홀 링크 또는 무선 백홀 링크를 사용하여 코어 네트워크(예를 들어, MME(110-1), S-GW(110-2), AMF, UPF)에 연결될 수 있고,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어, 4G 통신 프로토콜, 5G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제5 단말(160-5)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BBU(baseband unit) 블록(140)은 MME(110-1), S-GW(110-2), AMF, UPF 또는 매크로 기지국(120)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BBU 블록(140)은 MME(110-1), S-GW(110-2), AMF, UPF 및 매크로 기지국(120) 각각과 독립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BU 블록(140)은 매크로 기지국(120)과 MME(110-1)(또는, S-GW(110-2)) 사이의 논리 기능으로 구성될 수 있다. BBU 블록(140)은 복수의 TRP(150-1, 150-2)들을 지원할 수 있고, 유선 프론트홀 링크 또는 무선 프론트홀 링크를 사용하여 복수의 TRP(150-1, 150-2)들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즉, BBU 블록(140)과 TRP(150-1, 150-2) 간의 링크는 "프론트홀 링크"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TRP(150-1)는 유선 프론트홀 링크 또는 무선 프론트홀 링크를 통해 BBU 블록(140)에 연결될 수 있고,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어, 4G 통신 프로토콜, 5G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제1 단말(160-1)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TRP(150-2)는 유선 프론트홀 링크 또는 무선 프론트홀 링크를 통해 BBU 블록(140)에 연결될 수 있고,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어, 4G 통신 프로토콜, 5G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제2 단말(160-2)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통신 노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노드(2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노드(2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50), 저장 장치(2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노드(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2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a는 E 대역(71000MHz - 76000MHz)의 주파수에 따른 채널 및 채널의 중심 주파수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3b는 E 대역(81000MHz - 86000MHz)의 주파수에 따른 채널 및 채널의 중심 주파수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E 대역은 71GHz 이상 7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과 81GHz이상 86GHz이하의 주파수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E 대역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파수 채널로 분할될 수 있다. 주파수 채널의 대역폭은 250 MHz이상 4500MHz 이하일 수 있으며, 주파수 채널의 대역폭은 250MHz 단위로 정의될 수 있다.
도 4는 P2P 방식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노드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5는 P2P 방식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의 채널 할당 결과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P2P 방식에 의해 신호를 송신하는 노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노드는 기저대역 신호(410)를 생성할 수 있다(S410). 기저대역 신호(410)는 단일 반송파 변조방식(Single Carrier Modulation: SCM)으로 생성될 수 있다. 기저대역 신호(410)의 대역폭은 250MHz이상 2000MHz 이하일 수 있으며, 기저대역 신호(410)의 대역폭은 250MHz 단위로 정의될 수 있다.
노드는 생성한 기저대역 신호(410)를 상향 변환 주파수만큼 상향 변환할 수 있다(S420). 노드는 업 컨버터(up-converter)(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향 변환 주파수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의 중심 주파수(Channel Center Frequency,
Figure pat00001
)와 동일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저대역 신호(410)의 대역폭은 250MHz일 수 있다. 도 3a의 채널 그룹 A를 참조하면 상향 변환 주파수는 71250MHz, 71500MHz,…, 75750MHz일 수 있다. 노드는 기저대역 신호를 상향변환하여 RF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기저대역 신호의 대역폭이 250MHz인 경우, 노드는 최대 19개의 채널(A-0, A-1,…, A-18)에 신호를 할당하여 전송할 수 있다. 노드는 신호를 할당하는 각각의 채널(A-0, A-1,…, A-18)에 대하여 기저대역 신호를 상향 변환할 수 있다(S420). 상향 변환 주파수는 각각의 채널의 중심 주파수와 동일할 수 있으므로, 노드는 기저대역 신호를 각 채널(A-0, A-1,…, A-18)의 중심 주파수만큼 최대 19번 상향 변환하여 RF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420).
노드는 생성된 RF 신호를 대역폭에 따라 필터링할 수 있다(S430). 노드는 대역통과 필터(430)를 포함할 수 있다. 대역통과 필터(430)의 통과 대역은 채널의 중심 주파수와 통과 대역의 크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통과 대역의 크기는 기저대역 신호의 대역폭과 동일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RF 신호의 대역폭이 250MHz이고, 신호를 전송하는 채널의 중심주파수가 71250MHz인 경우, 대역통과 필터의 통과 대역은 71125MHz - 71375MHz 일 수 있다. 대역통과 필터(430)는 신호를 전송하고자 하는 채널(A-0, A-1,…, A-18) 각각에 대하여 RF 신호를 필터링할 수 있다(S430). 대역 통과 필터(430)는 신호를 전송하고자 하는 모든 채널(A-0, A-1,…, A-18)의 중심 주파수를 지원할 수 있다.
노드는 필터링 된 RF 신호의 출력을 파워앰프(440)를 통해 증폭할 수 있다(S440). 그리고 노드는 증폭된 RF 신호를 안테나(450)를 통해 외부의 노드로 전송할 수 있다(S450).
도 6은 P2P 방식으로 다중대역폭 신호를 송신하는 노드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7은 P2P 방식에 의해 송신되는 다중대역폭 신호의 채널 할당 결과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P2P 방식에 의해 다중대역폭 신호를 송신하는 노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노드는 기저대역 신호(610)를 생성할 수 있다(S610). 기저대역 신호(610)는 단일 반송파 변조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기저대역 신호(610)의 대역폭은 250MHz이상 2000MHz 이하일 수 있으며, 기저대역 신호(610)의 대역폭은 250MHz 단위로 정의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노드는 250MHz의 채널(A-0)과 500MHz 채널(B-1)을 통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노드는 일정 주기마다 가변 대역폭 기저대역 신호(610)의 대역폭을 조정할 수 있다. 노드는 시스템 클럭을 생성하는 멀티 시스템 클럭 발생기(6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느도는 시스템 클럭의 주기마다 서로 다른 대역폭을 가지는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610).
노드는 생성한 기저대역 신호(610)를 상향 변환 주파수만큼 상향 변환할 수 있다(S620). 노드는 업 컨버터(6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향 변환 주파수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의 중심 주파수와 동일할 수 있다. 노드는 기저대역 신호를 상향변환하여 RF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기저대역 신호(610)의 대역폭은 250MHz 및 500MHz일 수 있다. 도 3a의 채널 그룹 A를 참조하면 250MHz 신호를 포함하는 채널(A-0)의 중심 주파수는 71250MHz, 71500MHz,…, 75750MHz 중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도 3a의 채널 그룹 B를 참조하면, 500MHz 신호를 포함하는 채널(B-1)의 중심 주파수는 71375MHz, 71875MHz,…, 75375MHz 중 하나일 수 있다. 상향 변환 주파수는 신호를 포함하는 채널(A-0, B-1)의 중심 주파수와 동일할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향 변환 주파수는 71250MHz와 71875MHz일 수 있다. 상향 변환 주파수는 각각의 채널의 중심 주파수와 동일할 수 있으므로, 노드는 기저대역 신호를 각 채널(A-0, B-1)의 중심 주파수만큼 상향 변환하여 RF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420).
노드는 생성된 RF 신호를 대역폭에 따라 필터링할 수 있다(S630). 노드는 대역통과 필터(631, 632)를 포함할 수 있다. 대역통과 필터(631, 632)의 통과 대역은 채널의 중심 주파수와 필터의 통과 대역의 크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통과 대역의 크기는 기저대역 신호의 대역폭과 동일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기저대역 신호의 대역폭이 250MHz이고, 신호를 전송하는 채널(A-0)의 중심주파수가 71250MHz인 경우, 대역통과 필터(631)의 통과 대역은 71125MHz - 71375MHz 일 수 있다. 그리고 기저대역 신호의 대역폭이 500MHz이고, 신호를 전송하는 채널(B-1)의 중심주파수가 71875MHz인 경우, 대역통과 필터(632)의 통과 대역은 71625MHz - 72125MHz일 수 있다.
P2P 방식으로 멀티대역폭 신호를 전송하는 노드는 복수개의 대역통과 필터(631, 632)를 포함할 수 있다. 노드는 일정 주기마다 조정된 가변 대역폭 기저대역 신호의 대역폭에 따라 대역통과 필터(631, 632)를 변경할 수 있다. 노드는 시스템 클럭의 입력에 따라 대역통과 필터(631, 632)를 변경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노드는 필터링된 RF 신호의 출력을 파워앰프(640)를 통해 증폭할 수 있다(S640). 그리고 노드는 증폭된 RF 신호를 안테나(650)를 통해 외부의 노드로 전송할 수 있다(S650).
도 8은 P2MP 방식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노드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9는 P2MP 방식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의 채널 할당 결과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P2MP 방식에 의해 신호를 송신하는 노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노드는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811, S812). 기저대역 신호는 단일 반송파 변조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기저대역 신호의 대역폭은 250MHz이상 2000MHz 이하일 수 있으며, 기저대역 신호의 대역폭은 250MHz 단위로 정의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노드는 250MHz의 채널과 500MHz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신호를 P2MP 방식으로 전송하기 위한 노드는 서로 다른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811, S812). 도 9를 참조하면, 노드는 대역폭이 250MHz인 제1 기저대역 신호(811)를 생성할 수 있고(S811), 대역폭이 500MHz인 제2 기저대역 신호(812)를 생성할 수 있다(S812).
노드는 생성한 기저대역 신호를 상향 변환 주파수만큼 상향 변환할 수 있다(S821, S822). 노드는 업 컨버터(821, 8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향 변환 주파수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의 중심 주파수와 동일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저대역 신호의 대역폭은 250MHz일 수 있다. 도 3a의 채널 그룹 A를 참조하면 상향 변환 주파수는 71250MHz, 71500MHz,…, 75750MHz일 수 있다.
노드는 제1 기저대역 신호(811)를 제1 채널(A-0) 중심 주파수만큼 상향 변환할 수 있다(S821). 그리고 노드는 제2 기저대역 신호(812)를 제2 채널(B-1) 중심 주파수만큼 상향 변환할 수 있다(S822). 노드는 복수개의 업 컨버터(S821, S82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업 컨버터(S821, S822)는 입력 받은 기저대역 신호(811, 812)를 서로 다른 주파수만큼 상향 변환하여 RF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821, S822).
노드는 생성된 RF 신호를 대역폭에 따라 필터링할 수 있다(S831, S832). 노드는 대역통과 필터(831, 832)를 포함할 수 있다. 대역통과 필터(831, 832)의 통과 대역은 채널의 중심 주파수와 필터의 통과 대역 크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통과 대역의 크기는 기저대역 신호의 대역폭과 동일할 수 있다.
P2MP 방식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노드는 서로 다른 통과대역을 가지는 복수개의 대역통과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을 참조하면, 기저대역 신호의 대역폭이 250MHz이고, 신호를 전송하는 채널(A-0)의 중심주파수가 71250MHz인 경우, 대역통과 필터(831)의 통과 대역은 71125MHz - 71375MHz 일 수 있다. 그리고 기저대역 신호의 대역폭이 500MHz이고, 신호를 전송하는 채널(B-1)의 중심주파수가 71875MHz인 경우, 대역통과 필터(832)의 통과 대역은 71625MHz - 72125MHz일 수 있다.
노드는 필터링된 RF 신호의 출력을 파워앰프(840)를 통해 증폭할 수 있다(S840). 그리고 노드는 안테나(850)를 통해 증폭된 RF 신호를 외부의 노드로 전송할 수 있다(S850).
도 10은 P2P, 멀티대역폭 P2P 및 P2MP 송신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노드가 P2P 및 P2MP 방식에 의해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은 다음과 같다.
노드는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1010). 기저대역 신호의 대역폭은 250MHz이상 2000MHz 이하일 수 있으며, 기저대역 신호의 대역폭은 250MHz 단위로 정의될 수 있다. 노드는 생성한 기저대역 신호를 상향변환하고, 상향변환된 신호를 복수의 부반송파들에 매핑하여 OFDM 방식의 RF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1020).
도 11은 OFDM RF 신호 생성 단계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기저대역 신호를 상향변환하여 다중 부반송파 방식의 RF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노드는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노드는 생성한 기저대역 신호를 상향 변환 주파수만큼 상향 변환하여 RF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1020). 노드는 업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노드는 다중 반송파 변조방식(Multi Carrier Modulation: MCM)으로 RF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RF 신호는 복수개의 부반송파에 매핑될 수 있다. RF 신호가 매핑되는 복수개의 부반송파들의 규격은 다음 파라미터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노드는 표 1의 규격에 기초하여 P2P 및 P2MP 방식으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부반송파들의 규격을 정의하는 파라미터들을 설정할 수 있다. RF 신호는 101개의 부반송파들 중 일부에 매핑될 수 있다. RF 신호가 매핑되는 부반송파들은 포함된 각 부반송파들은 -50부터 50까지의 부반송파 인덱스가 설정될 수 있다.
RF 신호가 실제로 점유하는 점유대역폭은 RF 신호의 대역폭과 상이할 수 있다. 대역의 일부는 신호를 매핑하지 않는 가드 대역(Guard Band)일 수 있다. 점유 대역폭은 매핑되는 RF 신호의 대역폭의 90%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표 1의 파라미터는 가드 대역을 제외한 점유대역폭과 부반송파 간격에 기초하여 기저대역 신호의 대역폭에 따른 유효 부반송파의 수를 정의할 수 있다.
노드는 미리 설정된 파라미터로부터 신호를 매핑할 부반송파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S1022). 신호를 매핑할 부반송파의 수는 신호를 송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대역폭에 따라 다를 수 있다. P2P 방식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채널의 대역폭에 따른 자원 할당 파라미터는 [표 2]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표 2의 파라미터는 P2P 방식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채널의 대역폭에 따른 유효 부반송파 수와 부반송파의 인덱스를 정의할 수 있다. 노드는 표 2의 파라미터에 따라서 신호를 매핑할 부반송파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S1022). 표 2의 파라미터는 채널의 대역폭과 표 1의 부반송파 간격에 기초하여 채널의 대역폭에 따른 유효 부반송파의 수를 정의할 수 있다.
신호가 실제로 점유하는 점유대역폭은 채널의 대역폭과 상이할 수 있다. 대역폭의 일부는 신호를 매핑하지 않는 가드 대역(Guard Band)일 수 있다. 점유 대역폭은 채널의 대역폭의 90%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표 2의 파라미터는 가드 대역을 제외한 점유대역폭과 표 1의 부반송파 간격에 기초하여 채널의 대역폭에 따른 유효 부반송파의 수를 정의할 수 있다.
노드는 미리 설정된 파라미터로부터 기저대역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P2P 방식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노드는 기저대역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0으로 결정할 수 있다.
노드는 표 2 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신호를 매핑할 부반송파의 인덱스를 결정할 수 있다(S1023). 표 2의 파라미터는 전체 부반송파 중 기저대역 중심 주파수로부터 유효 부반송파 개수만큼의 부반송파를 결정할 수 있다. 표 2는 결정된 부반송파의 인덱스를 유효 부반송파 인덱스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의 대역폭이 250MHz인 경우, 노드는 신호를 기저대역 중심 주파수의 부반송파, 기저대역 중심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를 가지는 5개의 부반송파 및 기저대역 중심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를 가지는 5개의 부반송파에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표 2는 대역폭이 250MHz인 신호를 부반송파 인덱스가 -5 이상 5 이하인 부반송파에 할당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부반송파 결정 결과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P2MP 방식으로 신호를 송신할 경우, 노드는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하여 RF 신호를 매핑할 부반송파들을 결정할 수 있다.
노드는 미리 설정된 파라미터로부터 신호를 매핑할 부반송파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S1021). P2MP 방식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부반송파의 수는 [표 2]에서 정의하는 부반송파의 수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를 P2MP 방식으로 250MHz 채널에 송신할 경우, 노드는 [표 2] 에 기초하여 신호를 매핑할 부반송파의 수를 12개로 결정할 수 있다(S1021).
노드는 미리 정의된 파라미터로부터 기저대역 중심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노드는 신호를 매핑할 부반송파의 인덱스를 결정할 수 있다(S1023). 기저대역 중심 주파수와 부반송파 인덱스를 정의하는 파라미터는 신호와 채널의 대역폭 및 채널의 중심 주파수에 따라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신호를 포함하는 채널의 대역폭이 250MHz일 경우, 기저대역 중심 주파수와 부반송파 인덱스를 정의하는 파라미터는 [표 3]과 같을 수 있다.
Figure pat00004
표 3에서 정의된 채널은 도 3a의 Group A의 채널 중 주파수가 71000MHz - 73000MHz 범위 내에 포함된 채널(A-0, A-1,…, A-7)일 수 있다. 표 3의 기저대역 중심주파수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만큼 상향 변환할 경우 도 3a에 정의된 Group A의 채널 중심 주파수와 동일할 수 있다.
채널의 대역폭이 500MHz일 경우, 기저대역 중심 주파수와 부반송파 인덱스를 정의하는 파라미터는 [표 4]와 같을 수 있다.
Figure pat00005
표 4에서 정의된 채널은 도 3a의 Group B의 채널 중 주파수가 71000MHz - 73000MHz 범위 내에 포함된 채널(B-0, B-1,…, B-3)일 수 있다. 표 4의 기저대역 중심주파수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만큼 상향 변환할 경우 도 3a에 정의된 Group B의 채널 중심 주파수와 동일할 수 있다.
대역폭이 1000MHz일 경우, 기저대역 중심 주파수와 부반송파 인덱스를 정의하는 파라미터는 [표 5]와 같을 수 있다.
Figure pat00006
표 5에서 정의된 채널은 도 3a의 Group D의 채널 중 주파수가 71000MHz - 73000MHz 범위 내에 포함된 채널(D-0, D-1)일 수 있다. 표 5의 기저대역 중심주파수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만큼 상향 변환할 경우 도 3a에 정의된 Group D의 채널 중심 주파수와 동일할 수 있다.
대역폭이 2000MHz일 경우, 기저대역 중심 주파수와 부반송파 인덱스를 정의하는 파라미터는 [표 6]과 같을 수 있다.
Figure pat00007
표 6에서 정의된 채널은 도 3a의 Group H의 채널 중 주파수가 71000MHz - 73000MHz 범위 내에 포함된 채널(H-0)일 수 있다. 표 6의 기저대역 중심주파수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만큼 상향 변환할 경우 도 3a에 정의된 Group D의 채널 중심 주파수와 동일할 수 있다.
다시 도 11을 참조하면, 노드는 [표 3] 내지 [표 6]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기저대역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고, 부반송파 인덱스를 결정할 수 있다(S1023).
노드는 상향변환 결과 획득한 RF 신호를 결정된 부반송파에 매핑할 수 있다(S1024). 노드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의 RF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1024). 노드는 생성된 RF 신호를 S1023에서 결정된 부반송파들에 매핑할 수 있다.
노드는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RF 신호를 대역폭에 따라 필터링할 수 있다(S1030). 노드는 대역통과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노드는 파워앰프를 통해 필터링된 RF 신호의 출력을 증폭할 수 있다(S1040). 그리고 노드는 증폭된 RF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외부의 노드로 송신할 수 있다(S1050).
도 13은 P2P 방식에 의해 송신되는 멀티 대역폭 신호의 채널 할당 결과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14는 멀티 대역폭 신호의 부반송파 할당 결과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0,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P2P 방식으로 멀티대역폭 신호를 전송하는 노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노드는 가변 대역폭 기저대역 신호(1310)를 생성할 수 있다(S1010). 기저대역 신호(1310)는 멀티 부반송파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S1010). 기저대역 신호(1310)의 대역폭은 250MHz이상 2000MHz 이하의 범위 내에서 조정할 수 있으며, 250MHz 단위로 조정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노드는 250MHz 대역폭을 가지는 채널(A-0, A-1, A-18)과 500MHz 대역폭을 가지는 채널(B-1)을 통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노드는 생성한 기저대역 신호(1310)를 상향 변환 주파수만큼 상향 변환하여 RF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1021). 노드는 업 컨버터(1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향 변환 주파수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A-0, A-1, B-1, A-18)의 중심 주파수와 동일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기저대역 신호의 대역폭은 250MHz 및 500MHz일 수 있다. 도 3a의 채널 그룹 A를 참조하면, 대역폭이 250MHz인 신호를 포함하는 채널(A-0, A-1, A-18)의 중심 주파수는 71250MHz, 71500MHz,…, 75750MHz 중 하나일 수 있다. 도 3a의 채널 그룹 B를 참조하면 대역폭이 500MHz인 신호를 포함하는 채널(B-1)의 중심 주파수는 71375MHz, 71875MHz,…, 75375MHz 중 하나일 수 있다.
도 13의 실시예에 따르면, 노드는 250-0 채널, 250-1 채널, 500-1 채널 및 250-18 채널(A-0, A-1, B-1, A-18)을 통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채널(A-0, A-1, B-1, A-18)의 중심 주파수는 71250MHz, 71500MHz, 71875MHz 및 75750MHz 일 수 있다. 상향 변환 주파수는 복수의 채널(A-0, A-1, B-1, A-18)의 중심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일 수 있다.
P2P 방식에 의해 신호를 송신할 경우 노드는 복수의 채널(A-0, A-1, B-1, A-18)의 중심 주파수 각각에 대하여 상향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S1021). 도 13을 참조하면, 노드는 각각의 채널 주파수(71250MHz, 71500MHz, 71875MHz,…, 74125MHz, 75750MHz)만큼 기저대역 신호(1310)를 상향 변환하여 RF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1021).
노드는 표 2의 파라미터에 따라서 부반송파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S1022). 예를 들어 대역폭이 250MHz인 신호를 매핑할 경우, 노드는 12개의 부반송파를 사용할 수 있으며, 대역폭이 500MHz인 신호를 매핑할 경우 노드는 22개의 부반송파를 사용할 수 있다.
노드는 기저대역 신호(1310)의 중심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P2P 방식에 의해 신호를 송신하고자 하는 경우, 노드는 기저대역 신호(1310)의 중심주파수를 0으로 결정할 수 있다.
노드는 신호를 매핑할 부반송파의 인덱스를 결정할 수 있다(S1023). P2P 방식에 의해 신호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노드는 표 3의 부반송파 인덱스 파라미터에 따라서 신호를 매핑할 부반송파의 인덱스를 결정할 수 있다(S1023). 도 14를 참조하면 대역폭이 250MHz인 신호를 매핑하기 위해, 노드는 -6부터 5까지의 인덱스를 가지는 부반송파를 사용할 수 있고, 대역폭이 500MHz인 신호를 매핑할 경우, 노드는 -12부터 11까지의 인덱스를 가지는 부반송파를 사용할 수 있다.
노드는 생성된 RF 신호를 S1023에서 결정된 부반송파들에 매핑할 수 있다(S1024). 노드는 생성된 각각의 RF 신호를 부반송파에 매핑할 수 있다(S1024).
노드는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RF 신호를 대역폭에 따라 필터링할 수 있다(S1030). 노드는 대역통과 필터(1330)를 포함할 수 있다. 대역통과 필터(1330)의 통과 대역은 채널(A-0, A-1, B-1, A-18)의 중심 주파수와 통과 대역의 크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통과 대역의 크기는 기저대역 신호(1310)의 최대 대역폭과 동일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대역통과 필터(1330)의 통과 대역의 크기는 기저대역 신호(1310)의 최대 대역폭과 동일한 2000MHz일 수 있다.
노드는 파워앰프(1340)를 통해 필터링된 RF 신호의 출력을 증폭할 수 있다(S1040). 그리고 노드는 증폭된 RF 신호를 안테나(1350)를 통해 외부의 노드로 전송할 수 있다(S1050).
도 15는 P2MP 방식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의 채널 할당 결과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16은 신호의 부반송파 할당 결과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0,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P2MP 방식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노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노드는 기저대역 신호(1510)를 생성할 수 있다(S1010). 기저대역 신호(1510)는 다중 부반송파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기저대역 신호의 대역폭은 250MHz이상 2000MHz 이하일 수 있으며, 250MHz 단위로 정의될 수 있다.
신호를 P2MP 방식으로 전송하기 위한 노드는 서로 다른 신호(1511, 1512)를 포함하는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1010). 도 15를 참조하면, 노드는 대역폭이 250MHz인 제1 신호를 할당할 제1 기저대역 채널(1511)과 대역폭이 500MHz인 제2 신호를 할당할 제2 기저대역 채널(1512)을 포함하는 기저대역 신호(1510)를 생성할 수 있다(S1010).
노드는 제1 신호가 할당되는 제1 기저대역 채널(1511)과 제2 신호가 할당되는 제2 기저대역 채널(1512)을 포함하는 기저대역 신호(1510)를 생성할 수 있다(S1010).
노드는 생성한 기저대역 신호(1510)를 상향 변환 주파수만큼 상향 변환할 수 있다(S1021). 노드는 업 컨버터(1520)를 포함할 수 있다. 노드는 채널의 중심 주파수와 무관하게 미리 설정된 상향 변환 주파수에 기초하여 1회의 상향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향 변환 주파수는 72125MHz일 수 있다. 노드는 기저대역 신호(1510)을 미리 설정된 상향 변환 주파수만큼 상향 변환하여 RF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1021).
노드는 미리 설정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1 기저대역 채널(1511)과 제2 기저대역 채널(1512)에 할당할 부반송파의 개수, 기저대역 신호(1510)의 중심 부반송파 및 부반송파의 인덱스를 결정할 수 있다.
노드는 표 2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1 신호와 제2 신호를 포함하는 제1 채널(1511) 및 제2 채널(1512)에 할당할 부반송파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S1022). 제1 신호의 대역폭은 250MHz일 수 있다. 노드는 제1 기저대역 채널(1511)에 할당할 부반송파의 개수를 12개로 결정할 수 있다(S1022). 그리고 제2 신호의 대역폭은 500MHz일 수 있다. 노드는 제2 기저대역 채널(1512)에 할당할 부반송파의 개수를 22개로 결정할 수 있다(S1022).
노드는 표 3 및 표 4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1 기저대역 채널(1511)과 제2 기저대역 채널(1512)의 기저대역 중심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신호의 대역폭이 250MHz인 경우, 노드는 표 3의 채널(A-0,…, A-7) 중 하나(A-0)를 통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가 250-0 채널(A-0)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노드는 표 3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1 기저대역 채널(1511)의 중심 주파수를 -875MHz로 결정할 수 있다.
제2 신호의 대역폭이 500MHz인 경우, 노드는 표 4의 채널(B-0,…, B-3) 중 하나(B-1)를 통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가 500-1 채널(B-1)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노드는 제2 기저대역 채널(1512)의 기저대역 중심 주파수를 -250MHz로 결정할 수 있다.
노드는 표 3 및 표 4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1 기저대역 채널(1511)과 제2 기저대역 채널(1512)에 할당할 부반송파의 인덱스를 결정할 수 있다(S1023). 도 16을 참조하면, 제1 신호가 250-0 채널(A-0)에 할당되는 경우, 노드는 인덱스가 -49 이상 -39 이하인 부반송파를 제1 신호가 매핑될 부반송파들로 결정할 수 있다. 제2 신호(1512)가 500-1 채널(B-1)에 할당되는 경우, 노드는 인덱스가 -23 이상 -2 이하인 부반송파를 제2 신호가 매핑될 부반송파들로 결정할 수 있다.
노드는 생성된 RF 신호를 S1023에서 결정된 부반송파들에 매핑할 수 있다.
노드는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RF 신호를 대역폭에 따라 필터링할 수 있다(S1030). 노드는 대역통과 필터(1530)를 포함할 수 있다. 대역통과 필터(1530)의 통과 대역은 미리 설정된 상향 변환 주파수 통과 대역의 크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대역통과 필터의 대역을 결정하는 상향 변환된 주파수는 채널의 중심주파수와는 무관하게 설정될 수 있다. 대역통과 필터(1530)의 통과 대역의 크기는 기저대역 신호의 최대 대역폭과 동일할 수 있다.
도 15을 참조하면, 대역통과 필터(1530)의 통과 대역의 크기는 기저대역 신호의 최대 대역폭과 동일한 2000MHz일 수 있다. 그리고 상향 변환 주파수는 72125MHz일 수 있다. 따라서 대역통과 필터의 통과 대역은 71125MHz - 73125MHz일 수 있다.
노드는 파워앰프(1540)를 통해 필터링된 RF 신호의 출력을 증폭할 수 있다(S1040). 그리고 노드는 증폭된 RF 신호를 안테나(1550)를 통해 외부의 노드로 전송할 수 있다(S1050).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백홀 노드의 신호 송신 방법에 있어서,
    대역폭 별로 미리 설정된 점유 대역폭 및 중심 주파수에 기초하여, RF(radio frequency) 신호가 매핑될 유효 부반송파들의 개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유효 부반송파들로 구성되는 주파수 대역의 상기 중심 주파수에 기초하여 기저대역 신호를 상향 변환함으로써 상기 RF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주파수 대역에서 대역통과 필터를 사용하여 상기 RF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백홀 노드의 신호 송신 방법.
KR1020180138989A 2018-11-13 2018-11-13 무선 백홀망에서의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2000553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989A KR20200055384A (ko) 2018-11-13 2018-11-13 무선 백홀망에서의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989A KR20200055384A (ko) 2018-11-13 2018-11-13 무선 백홀망에서의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384A true KR20200055384A (ko) 2020-05-21

Family

ID=70910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8989A KR20200055384A (ko) 2018-11-13 2018-11-13 무선 백홀망에서의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53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3538A (ko) 2020-11-10 2022-05-17 주식회사 큐셀네트웍스 5g 무선 백홀 시스템의 데이터 신뢰성 향상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3538A (ko) 2020-11-10 2022-05-17 주식회사 큐셀네트웍스 5g 무선 백홀 시스템의 데이터 신뢰성 향상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22241B2 (ja) Srs設定情報を受信す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端末
RU2726150C1 (ru) Способ и оборудование передачи информации
WO2020015757A1 (zh) 信号传输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US10925046B2 (en) Signaling indication for flexible new radio (NR) long term evolution (LTE) coexistence
JP6584522B2 (ja) 動作帯域幅拡張のための波形設計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9479277B (zh) 使用参数集的发送方法和装置以及调度方法和装置
JP2021158690A (ja) ディスカバリー信号を伝送する方法および装置、そしてディスカバリー信号を受信する方法および装置
EP3285531B1 (en) Mobile station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communications control methods and integrated circuits
JP2020516134A (ja) 参照信号送信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CN113661757A (zh) 用于为毫米无线通信执行信道复用的方法和装置
JP2019208242A (ja) 自己完結型エアインターフェースパーティション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9150464A (zh) 无线通信方法和无线通信装置
CN110557833B (zh) 资源配置方法、网络设备和终端
JP2023542177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フロントホール伝送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CN114845395A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US20190053176A1 (en) Method for communicating using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US11258571B2 (en)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KR20200055384A (ko) 무선 백홀망에서의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20166317A1 (ja) 送信装置、受信装置、送信方法及び受信方法
CN111885612B (zh) 一种无线自组网进行子网分裂时的工作频带选择方法
CN116033558A (zh) 一种物理上行控制信道的发送方法、接收方法及通信装置
CN110890955B (zh) 一种通信方法和装置
CN106817747A (zh) 基于无线接入技术的数据处理方法及传输节点
CN114258132A (zh) 资源配置方法及装置
JPWO2020090998A1 (ja)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