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5274A - Bipolar plate and unit cell for redox flow cell battery and redox flow battery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ipolar plate and unit cell for redox flow cell battery and redox flow battery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5274A
KR20200055274A KR1020180138732A KR20180138732A KR20200055274A KR 20200055274 A KR20200055274 A KR 20200055274A KR 1020180138732 A KR1020180138732 A KR 1020180138732A KR 20180138732 A KR20180138732 A KR 20180138732A KR 20200055274 A KR20200055274 A KR 20200055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polar plate
electrolyte
redox flow
electrode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87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45988B1 (en
Inventor
박준호
노태근
이준영
정봉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80138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5988B1/en
Publication of KR20200055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52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5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59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58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channels, e.g. by the flow field of the reactant or coo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97Arrangements for joining electrodes, reservoir layers, heat exchange units or bipolar separators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8Regenerative fuel cells, e.g. redox flow batteries or secondary fuel cells
    • H01M8/184Regeneration by electrochemical means
    • H01M8/188Regeneration by electrochemical means by recharging of redox couples containing fluids; Redox flow type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polar plate for a redox flow battery, a unit cell including the same, and a redox flow battery. The present invention is a bipolar plate formed with a flow path unit facing an electrode, and a surface bonded with an edge ion exchange membrane of the bipolar plate is formed higher than an upper surface of a flow path forming partition wall of the flow path unit to form an electrode receiving groove.

Description

바이폴라 플레이트,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용 단위셀 및 레독스 흐름 전지{Bipolar plate and unit cell for redox flow cell battery and redox flow battery comprising the same}Bipolar plate, unit cell for redox flow battery including the same, and redox flow battery {Bipolar plate and unit cell for redox flow cell battery and redox flow batter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바이폴라 플레이트,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용 단위셀 및 레독스 흐름 전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polar plate, a unit cell for a redox flow battery comprising the same, and a redox flow battery.

레독스 흐름 전지는 기존 이차전지와는 달리 전해액 중의 활물질(active material)이 산화·환원되어 충·방전되는 시스템으로 전해액의 화학적 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저장시키는 전기화학적 축전장치이다. 이러한 전지는 대용량 전력 저장용으로 용이하고, 높은 에너지 밀도와 효율을 가지며 수명이 길고 안전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전지는 잦은 교체가 필요 없어 유지 보수 비용이 적고 상온에서 작동하며 특히 용량과 출력을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 차세대 대용량 저장 장치로서 각광받고 있다.The redox flow battery is a system in which active materials in an electrolyte are oxidized, reduced, and charged and discharged, unlike conventional secondary batteries, and is an electrochemical power storage device that stores chemical energy of the electrolyte directly as electrical energy. Such a battery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for large-capacity power storage, having high energy density and efficiency, and long life and safety. In addition, the battery does not require frequent replacement, has low maintenance cost, operates at room temperature,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capable of designing various capacities and outputs, and has been spotlighted as a next-generation mass storage device.

레독스 흐름 전지의 기본 구조는 바이폴라 플레이트/전극/이온 교환막/전극/바이폴라 플레이트의 구조를 포함하는 스택과 함께 산화 상태가 각각 다른 활물질이 저장되어 있는 전해액 탱크와 이를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를 구비한다.The basic structure of the redox flow battery includes a stack including a bipolar plate / electrode / ion exchange membrane / electrode / bipolar plate structure, an electrolyte tank in which active materials having different oxidation states are stored, and a pump for circulating it.

실제 전기화학적 반응은 스택(stack)에서 일어나며, 펌프를 이용하여 전해액을 스택 내부에 지속적으로 순환시킴으로써 작동한다. 상기 전해액 내 활물질로 사용되는 레독스 쌍으로는 V/V, Zn/Br, Fe/Cr 및 Zn/air 등이 있으며, 이 중 V/V 및 Zn/Br 레독스 쌍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The actual electrochemical reaction takes place in a stack, and works by circulating the electrolyte continuously inside the stack using a pump. Redox pairs used as active materials in the electrolyte include V / V, Zn / Br, Fe / Cr, and Zn / air, among which V / V and Zn / Br redox pairs are most widely used.

전기화학적 반응은 스택 내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따라 흐르는 전해액과 전극간의 상호 작용에 따라 결정된다.The electrochemical reaction is determin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electrolyte flowing along the bipolar plate in the stack.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바이폴라 플레이트와 전극 간의 접촉을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위에서부터 바이폴라 플레이트(11)/전극(12)/이온 교환막(13)/전극(14)/바이폴라 플레이트(15)가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는 바이폴라 플레이트(11, 15)에 직접적으로 전해액을 흘리는 방식으로서, 구조가 간단하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고출력 조건으로 충·방전하거나 전지의 크기를 증가시킬 때 전해액이 고유량으로 수반됨에 따라 전해액 유입구와 배출구 간 높은 차압이 생겨나게 되고 이에 따라 막대한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한다.Figure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tact between the bipolar plate and the electrode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bipolar plate 11 / electrode 12 / ion exchange membrane 13 / electrode 14 / bipolar plate 15 is stacked from above It has a structure. Such a structure is a method in which an electrolyte is flowed directly into the bipolar plates 11 and 15, and has an advantage of a simple structure. However, when charging / discharging under high power conditions or when increasing the size of the battery, a high differential pressure is generated between the electrolyte inlet and outlet as the electrolyte is accompanied by a high flow rate, resulting in a problem of enormous energy loss.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로서 바이폴라 플레이트 내부에 전해액이 흐를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한 구조가 제시되었다.In an attempt to solve the above problem, a structure in which a flow path through which an electrolyte can flow is formed in a bipolar plate has been proposed.

미국특허공개 제2012-0244395호에서는 맞물림형(interdigitated type, 또는 깍지형) 유로가 형성된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구성을 제시하였다.U.S. Patent Publication No. 2012-0244395 proposes the configuration of a bipolar plate with an interdigitated type (or pod) flow path.

도 2 미국특허공개 제2012-0244395호에서 제시한 바이폴라 플레이트와 전극간의 접촉을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위에서부터 바이폴라 플레이트(21)/전극(22)/이온 교환막(23)/전극(24)/바이폴라 플레이트(25)가 적층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21, 25) 각각에 유로(27, 29)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의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경우 전지 모듈에 인가하는 유입구와 배출구 간의 차압을 어느 정도 저감시켰다.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tact between the bipolar plate and the electrode proposed in U.S. Patent Publication No. 2012-0244395, from above, bipolar plate 21 / electrode 22 / ion exchange membrane 23 / electrode 24 / bipolar plate (25) has a stacked structure,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flow paths (27, 29) are formed on each of the bipolar plates (21, 25). When using a bipolar plate of this structure, the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the inlet and outlet applied to the battery module was reduced to some extent.

그러나 도 2를 보면, 도 1 대비 유로로 인해 전극과 전해액과의 접촉 면적이 줄어드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전기 발생을 위한 전기화학 반응이 충분히 일어나지 못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전지의 충·방전 용량 및 속도가 저감되는 문제가 발생한다.However, referring to FIG. 2,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electrolyte is reduced due to the flow path compared to FIG. 1. Due to this, the electrochemical reaction for generating electricity does not sufficiently occur, and accordingly, a problem occurs in that the charge / discharge capacity and speed of the battery are reduced.

더욱이, 내부 차압을 감소시키기 위한 유로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전해액의 유량을 모든 범위에서 안정적으로 제어하는 것에는 일정 부분 한계가 존재하였으며 전해액이 유로 내 머무르는 시간이 짧아 충분한 반응 시간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 또한 발생하였다.Moreover, even if it has a flow path structure for reducing the internal differential pressure, there are certain limitations in stably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electrolyte in all ranges, and the problem that the reaction time is not secured due to the short residence time in the flow path is also Occurred.

또한, 종래의 레독스 흐름 전지는 스택 적층시 전해액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링(O-ring) 또는 면 가스켓을 사용하였으나, 조립 공정의 난이도가 높으며, 면압 분포가 불균일하게 발생하였을 뿐만 아니라, 전해액 누출을 방지하는데 한계를 보였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redox flow battery used an O-ring or a cotton gasket to prevent electrolyte leakage when stacking, but the assembly process was difficult and the surface pressure distribution was uneven and the electrolyte leaked. Showed a limit in preventing it.

따라서, 전해액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기밀이 향상되고, 조립 편의성이 우수하면서도, 충·방전 용량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레독스 흐름 전지에 대한 수요가 증대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a redox flow battery capable of improving airtightness to prevent leakage of the electrolyte solution and improving assembly / discharge capacity and efficiency, while improving assembly convenience.

미국 공개특허 제2012-0244395호U.S. Patent Publication No. 2012-0244395

본 발명자들은 압력의 손실을 저감시키고, 스택의 기밀성을 높여 전해액의 누출을 방지하며, 스택의 조립이 용이하며, 스택의 변형을 방지 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설계하였고, 이를 레독스 흐름 전지에 적용한 결과 에너지 효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The present inventors designed a bipolar plate of a new structure that can reduce the loss of pressure, increase the gas tightness of the stack to prevent leakage of the electrolyte, facilitate the assembly of the stack, and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stack. As a result of applying to the battery, it was confirmed that the energy efficiency increased.

따라서, 본 발명은 새로운 구조를 갖는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bipolar plate with a new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용 단위 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nit cell for a redox flow battery including the bipolar plat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위 셀을 복수개로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dox flow battery comprising a plurality of the unit cell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은 전극과 대면하는 유로부가 형성된 바이폴라 플레이트로,The present invention is a bipolar plate formed with a flow path portion facing the electrode,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이온 교환막 결합면은 상기 유로부의 유로 형성 격벽의 상부면보다 높게 형성되어 전극 수용홈을 형성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제공한다.An edge ion exchange membrane bonding surface of the bipolar plate is formed higher than an upper surface of the flow path forming partition wall of the flow path portion to form an electrode receiving groove, thereby providing a bipolar plate for a redox flow battery.

또한, 본 발명은 이온 교환막;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on exchange membrane;

상기 이온 교환막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전극층; 및Electrode layer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And

상기 전극층의 일측면에 각각 배치된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포함하고,Includes; bipolar plates respectively disposed on one side of the electrode layer,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는 상기 본 발명의 바이폴라 플레이트인 레독스 흐름 전지용 단위 셀을 제공한다.The bipolar plate provides a unit cell for a redox flow battery, which is the bipolar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은 전류를 생성하는 단위 스택들을 포함하는 단위 모듈을 서로의 측면에 배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전지 모듈;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ttery module formed by arranging and electrically connecting unit modules including unit stacks for generating electric currents on side surfaces of each other;

상기 전지 모듈에 전해액을 공급하고, 상기 모듈에서 유출되는 전해액을 저장하기 위한 전해액 탱크; 및An electrolyte tank for supplying an electrolyte to the battery module and storing the electrolyte flowing out of the module; And

상기 모듈과 전해액 탱크 간 전해액을 순환시키기 위한 전해액 펌프;를 포함하며,Includes; electrolyte pump for circulating the electrolyte between the module and the electrolyte tank;

상기 단위 스택은 상기 본 발명의 레독스 흐름 전지용 단위 셀을 복수개로 포함한 레독스 흐름 전지를 제공한다.The unit stack provides a redox flow battery including a plurality of redox flow battery unit cell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이폴라 플레이트는 압력의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어 전해액의 유량을 증가시키고, 스택의 기밀성을 높여 전해액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스택의 조립이 용이하며, 스택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The bipolar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loss of pressure, increase the flow rate of the electrolyte, increase the airtightness of the stack to prevent leakage of the electrolyte, facilitate assembly of the stack, and prevent deformation of the stack. It has an effect.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는 에너지 효율이 우수한 효과를 지니고 있다.In addition, the redox flow battery including the bipolar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cellent energy efficiency effect.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레독스 흐름 전지용 단위셀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미국 공개특허 제2012-0244395호에서 제시한 레독스 흐름 전지용 단위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레독스 흐름 전지의 구조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단위 스택의 입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전극 수용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 1의 레독스 흐름 전지용 단위 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비교예 1의 레독스 흐름 전지용 단위 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비교예 2의 레독스 흐름 전지용 단위 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실험예 1의 에너지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unit cell for a redox flow battery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unit cell for a redox flow battery proposed in US Patent Publication No. 2012-0244395.
3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structure of the redox flow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three-dimens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unit stack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of the bipolar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the electrode receiving groove of the bipolar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unit cell for a redox flow battery of Example 1.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dox flow battery unit cell of Comparative Example 1.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dox flow battery unit cell of Comparative Example 2.
10 is a graph showing the energy efficiency of Experimental Example 1.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을 생략하였고, 명세서 전체를 통해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였다. 또한, 도면에서 표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실제 축척과는 무관하며,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축소되거나 과장된 것일 수 있다.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addition, the size and relative size of the components indicated in the drawings are independent of the actual scale, and may be reduced or exaggerated for clarity of explanation.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 또는 생략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of the layers and regions may be exaggerated or omitted for clarity.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to ordinary or lexical meanings, and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or her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레독스 흐름 전지를 보여주는 모식도이고, 도 4는 단위 스택을 보여주는 입체 사시도이다.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redox flow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three-dimens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unit stack.

도 3을 참조하면, 레독스 흐름 전지(1000)는 전류를 생성하는 단위 스택들을 포함하는 단위 모듈(101, 102, 103, 104)을 서로의 측면에 배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전지 모듈(100); 상기 전지 모듈(100)에 전해액을 공급하고 상기 전지 모듈(100)에서 유출되는 전해액을 저장하기 위한 전해액 탱크(202, 204); 상기 전지 모듈(100)과 전해액 탱크(202, 204) 간 전해액을 순환시키기 위한 전해액 펌프(302, 304)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redox flow battery 1000 is a battery module formed by arranging unit modules 101, 102, 103, and 104 including unit stacks generating electric current on each side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m ( 100); An electrolyte tank (202, 204) for supplying an electrolyte to the battery module (100) and for storing the electrolyte flowing out of the battery module (100); And electrolyte pumps 302 and 304 for circulating the electrolyte between the battery module 100 and the electrolyte tanks 202 and 204.

이때 단위 스택은 단위 셀(130)을 복수로 적층하여 형성된다. 편의상, 도 4에서는 하나의 단위 셀(130)을 적층하여 형성된 단위 스택을 예시한다.At this time, the unit stack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unit cells 130. For convenience, FIG. 4 illustrates a unit stack formed by stacking one unit cell 130.

도 4를 참조하면, 단위 셀(130)은 중앙에 이온 교환막(123)이 배치되고, 이의 양측에 좌우 대칭 구조로 전극(120, 121) 및 바이폴라 플레이트(118, 119)가 각각 대칭하여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4, the ion exchange membrane 123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unit cell 130, and the electrodes 120 and 121 and the bipolar plates 118 and 119 are symmetrical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

상기 단위 셀(130)은 1개 또는 그 이상의 복수 개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118, 119)와 접하도록 집전 플레이트(115,117) 및 엔드 플레이트(111, 113)가 적층된다.The unit cell 130 has a stacked structure of one or more plural pieces, and the current collecting plates 115 and 117 and the end plates 111 and 113 are stacked so as to contact the bipolar plates 118 and 119.

상기 각각의 구성은 각각의 일측을 천공한 후 관통홀을 통해 연결부재(예, 볼트/너트)를 이용하여 서로 접합하여 단위 셀(130)을 구비하고, 이 단위 셀(130)을 복수 개 배치한 후 전기적 연결을 통해 단위 스택을 형성한다.Each of the above structures is provided with a unit cell 130 by punching each one side and bonding to each other using a connecting member (for example, a bolt / nut) through a through hole, and a plurality of unit cells 130 are arranged. After that, the unit stack is formed through electrical connection.

상기 이온 교환막(123), 전극(120, 121), 바이폴라 플레이트(118, 119), 집전 플레이트(115, 117) 및 엔드 플레이트(111, 113) 사이에는 전해액의 흐름이나 결합을 위해 스페이서(미도시)를 각각 개재할 수 있으며, 일례로 이온 교환막(123)과 전극(120, 121) 사이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pacers (not shown) for flow or bonding of the electrolyte between the ion exchange membrane 123, the electrodes 120, 121, the bipolar plates 118, 119, the current collecting plates 115, 117, and the end plates 111, 113 )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and is preferably disposed between the ion exchange membrane 123 and the electrodes 120 and 121 as an example.

상기 이온 교환막(123)은 판 형태의 셀 프레임과 이의 중앙에 이온 교환막이 장착된 구조를 갖는다.The ion exchange membrane 123 has a structure of a plate-shaped cell frame and an ion exchange membrane mounted in the center thereof.

복수 개의 단위 셀(130)이 도 3과 같이 직렬로 연결되거나 병렬로 연결된 구조를 가지며, 전해액의 순환으로 전류를 발생시키도록 구성한다. 단위 스택은 버스바(미도시)를 통해 이웃하는 다른 단위 스택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단위 모듈(101,102,103,104) 및 전지 모듈(100)은 단위 스택들의 내부에서 생성된 전류를 방전하거나 외부 전원에 연결된다.3, the plurality of unit cells 130 are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as shown in FIG. 3, and are configured to generate current through circulation of the electrolyte. The unit stack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other neighboring unit stacks through a bus bar (not shown). The unit modules 101, 102, 103, 104 and the battery module 100 discharge current generated inside the unit stacks or ar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본 발명에서는 단위 셀(130)을 구성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118, 119)의 구성을 변경하여 레독스 흐름 전지(1000)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nergy efficiency of the redox flow battery 1000 can be improved by chang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ipolar plates 118 and 119 constituting the unit cell 130.

따라서, 본 발명은 전극과 대면하는 유로부가 형성된 바이폴라 플레이트로,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a bipolar plate formed with a flow path portion facing the electrode,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이온 교환막 결합면은 상기 유로부의 유로 형성 격벽의 상부면보다 높게 형성되어 전극 수용홈을 형성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The edge ion exchange membrane bonding surface of the bipolar plate relates to a bipolar plate for a redox flow battery, which is formed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flow path forming partition wall of the flow path portion to form an electrode receiving groove.

전극(120, 121)과 접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118, 119)는 전기화학적 반응을 위해 전해액 탱크(202, 204)로부터 전해액을 공급받고, 이를 전극(120, 121)으로 균일한 압력과 양으로 공급한다.The bipolar plates 118 and 119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s 120 and 121 are supplied with an electrolyte from the electrolyte tanks 202 and 204 for electrochemical reaction, and supply them to the electrodes 120 and 121 at a uniform pressure and amount. .

도 5는 본 발명의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bipolar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유로부(F)는 바이폴라 플레이트(118, 119)에 일체로 형성된 유로를 포함하거나, 바이폴라 플레이트(118, 119)에 수용된 별도의 유로 형성 분리판(153)에 의해 형성된 것일 수 있다.The flow path portion F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low path integrally formed on the bipolar plates 118 and 119, or may be formed by a separate flow path forming separation plate 153 accommodated in the bipolar plates 118 and 119.

상기 유로부(F)는 전해액이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유로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유로는 맞물림형(interdigitated flow field, IDFF) 패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low path portion F includes a flow path formed to allow the electrolyte to move, and the flow path preferably has an interdigitated flow field (IDFF) pattern.

상기 맞물림형 패턴은 서로 맞물려 있는 형태의 유로들이 연속 배치되고, 각 유로들은 일면이 폐쇄되어 있는 구조로, 번갈아서 유로의 입구 또는 출구가 개방되는 형태를 의미한다. 상기 맞물림형 유로 구조의 경우 전해액이 유로를 따라 흐르는 것뿐만 아니라 유로를 타고 흘러 전극 반응의 기회를 더욱 높여 레독스 흐름 전지의 충·방전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 interlocking pattern has a structure in which flow paths in a form of interlocking with each other are continuously arranged, and each flow path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surface is closed. In the case of the interlocking flow path structure, not only the electrolyte flows along the flow path, but also flows through the flow path to further increase the chance of electrode reaction, thereby increasing the charge / discharge capacity of the redox flow battery.

상기 유로는 유로 형성 격벽(154)을 통해 형성되며, 이 때 격벽(154)의 폭 및 두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격벽(154) 사이의 간격은 유로 채널 폭으로 정의하며, 격벽(154)의 두께는 유로 채널의 깊이로 정의한다.The flow path is formed through the flow path forming partition wall 154, wherein the width and thickness of the partition wall 154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ipolar plate. In general, the spacing between the partition walls 154 is defined as the channel width, and the thickness of the partition walls 154 is defined as the depth of the channel.

상기 격벽(154)의 단면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삼각형, 트렌치 구조, 반구형 및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며, 통상적으로 전해액의 흐름을 위해 직사각형 형태를 갖도록 한다.The cross-section of the partition wall 154 may be various shapes such as a rectangle, a square, a triangle, a trench structure, a hemispherical shape, and a polygonal shape, and usually has a rectangular shape for the flow of the electrolyte.

예를 들어, 5 내지 10cm2 면적의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제작할 경우, 격벽(154)의 폭은 3 내지 8mm, 두께는 1 내지 3.5mm, 유로 채널 폭은 3 내지 8mm 및 유로 체널의 깊이는 1 내지 3.5mm가 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manufacturing a bipolar plate having an area of 5 to 10 cm 2 , the width of the partition wall 154 is 3 to 8 mm, the thickness is 1 to 3.5 mm, the channel width is 3 to 8 mm, and the channel channel depth is 1 to 3.5. It can be mm.

종래의 유로를 포함하지 않는 바이폴라 플레이트는 상대적으로 높은 스택 차압이 발생하여 동일한 유량의 전해액을 공급하더라도 펌프 구동에 의한 전력 손실이 상대적으로 크게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맞물림형 패턴의 유로를 형성함에 따라 스택 차압을 감소시킬 수 있어 동일한 펌프 구동 전력 조건에서도 높은 유량을 공급할 수 있어 스택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펌프 및 스택을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동일한 유량의 전해액 공급시 펌프 구동 전력량을 보다 적게 소모하므로 시스템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In the bipolar plate, which does not include a conventional flow path, a relatively high stack differential pressure is generated, so that even when the electrolyte is supplied at the same flow rate, power loss due to pump driving is relatively large.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flow path of the interlocking pattern is formed, the stack differential pressure can be reduced to supply a high flow rate even under the same pump driving power condition,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stack, and the entire system including the pump and the stack. It can improve the efficiency. That is, since the pump-driven electric power is consumed less when supplying the electrolyte at the same flow rate, the efficiency of the system can be increased.

또한,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118, 119)는 전도성 또는 비전도성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전도성 재질의 경우 금속, 그라파이트 등의 카본재 또는 전도성 고분자 등으로 셀 프레임 표면을 코팅할 수 있으며, 비전도성 재질의 경우 ETFE(ethylene-tetrafluoroethylene), PTFE(Polytetrafluoroethylene), PFA(Perfluoroalkoxy), FEP(fluorinated ethyleneepropylene polymer), ECTFE(Ethylene ChloroTriFluoroEthylene), PVDF(Polyvinylidene fluoride) 등의 불소 수지를 코팅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ipolar plate (118, 119) may be used a conductive or non-conductive material,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the conductive material, the surface of the cell frame may be coated with a carbon material such as metal, graphite, or a conductive polymer. For the non-conductive material, ethylene-tetrafluoroethylene (ETFE),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perfluoroalkoxy (FFA), or fluorinated FEP It can be used by coating fluorine resins such as ethyleneepropylene polymer), ECTFE (Ethylene ChloroTriFluoroEthylene), and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는 일측 상부에 전극에 전해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해액을 유입하기 위한 유입구(161), 일측 하부에 전해액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162), 상기 유입구(161)와 유로부(F) 사이에 위치하여 전해액의 균등 분배를 위한 공급 유로(171) 및 상기 배출구(162)와 유로부(F) 사이에 위치하여 전해액의 균등 분배를 위한 배출 유로(172)를 포함한다.The bipolar plate has an inlet 161 for introducing the electrolyte to supply the electrolyte to the electrode on one side, an outlet 162 for discharging the electrolyte at one side, between the inlet 161 and the flow path portion F Located in the supply passage 171 for the uniform distribution of the electrolyte and the discharge port 162 and the discharge passage 172 for the uniform distribution of the electrolyte is located between the flow path portion (F).

바이폴라 플레이트(118, 119)의 말단 일측에는 연결 부재(181, 182, 183, 184)가 배치되어 레독스 흐름 전지용 단위 셀 형성시 이온 교환막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하는 두 개의 바이폴라 플레이트(118, 119)가 물리적으로 접합될 수 있다.Connection members 181, 182, 183, and 184 are disposed at one end of the bipolar plates 118, 119, and two bipolar plates 118, 119 symmetrically left and right based on the ion exchange membrane when forming a unit cell for a redox flow battery. Can be physically joined.

또한, 상기 공급유로(171) 및 배출유로(172)는 전해액 유량을 균등하게 분배하여 공급 또는 배출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를 가지며, 일례로 다수개의 분지를 갖는 분배 유로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ly flow path 171 and the discharge flow path 172 have various forms to distribute or supply or discharge the electrolyte flow rate evenly, and for example, may have a distribution flow path form having a plurality of branches.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118, 119)는 전해액의 누출을 방지하는 띠 형태의 가스켓을 하나 이상 포함하며, 상기 가스켓은 이온 교환막 결합면(152)에 위치하고 있다.The bipolar plates 118 and 119 include one or more band-shaped gaskets to prevent leakage of the electrolyte, and the gaskets are located on the ion exchange membrane bonding surface 152.

종래에는 면 형태의 가스켓이나 오링(O-ring)을 사용하였으나, 이들은 스택에 불균일한 체결 압력이 가해지면 변형 또는 틀어짐이 발생하여 스택 전체의 변형을 유발하며, 스택 내부에서 밀착력이 낮아 전해액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으며, 스택 조립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면 형태의 가스켓은 얇고 넓어 말리거나 접히는 현상으로 인해 다루기 어려워 바이폴라 플레이트(118, 119)의 형상에 맞추어 조립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다. 또한, 스택 조립시 바이폴라 플레이트(119)를 뒤집어 조립하는 경우 고정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 오링은 접촉면이 좁아 대면적 스택 조립시 면압 균일도가 낮아 기밀을 유지하도록 조립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In the past, gaskets or O-rings in the form of cotton have been used, but when uneven clamping pressure is applied to the stack, deformation or distortion occurs, causing deformation of the entire stack, and low adhesion in the stack, resulting in leakage of electrolyte. It can not be effectively preven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ack assembly is not easy. More specifically, the gasket in the form of a surface is thin and wide, so it is difficult to handle due to the phenomenon of curling or folding, and thus it is not easy to assemble i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ipolar plates 118 and 119. In addition, when assembling the bipolar plate 119 upside down when assembling the stack, there is a problem that fixing is difficult. Since the O-ring has a narrow contact surface, it is difficult to assemble it to maintain airtightness due to low surface pressure uniformity when assembling a large area stack.

그러나, 본 발명의 띠 형태의 가스켓은 상기 면 가스켓 및 오링 사용으로 인해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즉, 면 가스켓과 비교하였을 때 취급이 용이하고, 바이폴라 플레이트(118, 119)의 이온 교환막 결합면(152)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어 스택 조립의 편의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오링과 비교하였을 때 접촉 면적이 넓고, 편평도가 낮은 면에 유연하게 적용이 가능하여 스택 내부에서 밀착력을 높일 수 있어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전해액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However, the band-shaped gaske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the use of the cotton gasket and O-ring. That is, it is easy to handle when compared with a cotton gasket, and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ion exchange membrane bonding surfaces 152 of the bipolar plates 118 and 119, thereby providing excellent stack assembly convenience. In addition, when compared with the O-ring, the contact area is large and can be flexibly applied to a surface with a low flatness, thereby increasing the adhesion within the stack, thereby improving airtightness, thereby preventing leakage of the electrolyte.

또한, 본 발명의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이온 교환막 결합면(152)은 상기 유로부(F)의 유로 형성 격벽(154)의 상부면 보다 높게 형성되어 전극 수용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edge ion exchange membrane bonding surface 152 of the bipolar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flow path forming partition wall 154 of the flow path portion F to form an electrode receiving groove (not shown).

상기 전극 수용홈은 전극(120, 121)을 삽입하기 위하여 형성한 것이며, 상기 전극 수용홈의 면적은 유로부(F)의 면적과 동일하다. 상기 전극 수용홈에 전극(120, 121)이 삽입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단위 셀(130)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F)의 상부면은 전극(120, 121)과 접촉될 수 있다.The electrode receiving groove is formed to insert the electrodes 120 and 121, and the area of the electrode receiving groove is the same as the area of the flow path portion F. Electrodes 120 and 121 may be inserted into the electrode receiving groove. That is, in the unit cell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ow path portion F may be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s 120 and 121.

상기 전극 수용홈에 전극(120, 121)이 삽입됨에 따라 레독스 흐름 전지용 단위 셀 형성시 이온 교환막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하는 두 개의 바이폴라 플레이트 가장자리의 이온 교환막 결합면(152)은 유격없이 물리적으로 밀착될 수 있어 스택의 기밀성을 높이고, 전해액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스택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electrodes 120 and 121 are inserted into the electrode receiving groove, the ion exchange membrane bonding surfaces 152 at the edges of two bipolar plates that are symmetrical to the left and right based on the ion exchange membrane when forming a unit cell for a redox flow battery are physically in close contact without play. It can increase the airtightness of the stack, prevent leakage of the electrolyte, and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stack.

일반적으로 스택 조립시 연결부재인 볼트의 위치는 스택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므로, 바이폴라 플레이트(118, 119)간의 유격이 형성되면 스택 체결에 따라 가장자리는 압축되고, 중간 부분은 볼록한 형태가 되어 스택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변형이 발생하면 면압 불균일, 접촉 저항 증가 및 전해액 누출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이폴라 플레이트(118, 119)는 바이폴라 플레이트 가장자리의 이온 교환막 결합면(152)이 유격없이 밀착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상기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할 수 있다.In general, when assembling the stack, the position of the bolt that is the connecting member is located at the edge of the stack. Therefore, when a gap between the bipolar plates 118 and 119 is formed, the edge is compressed according to the stack fastening, and the middle part is convex to deform the stack. This can happen. When the deformation occurs as described above, problems such as uneven surface pressure, increased contact resistance, and leakage of electrolyte may occur. The bipolar plates 118 and 119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ion exchange membrane bonding surfaces 152 at the edge of the bipolar plate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all of the above problems can be solved.

상기 유로 형성 격벽(154)의 상부면과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의 이온 교환막 결합면(152)의 높이 차이는 0.5 내지 1.5m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mm일 수 있다. 상기 높이 차이가 0.5mm 미만이면 높이가 너무 낮아 조립이 매우 어려우며, 1.5mm를 초과하면 스택의 두께가 증가하여 스택의 부피 및 중량이 증가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출력 감소, 에너지 밀도 감소 및 저항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The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channel forming partition wall 154 and the ion exchange membrane bonding surface 152 at the edge of the bipolar plate may be 0.5 to 1.5 mm, and preferably 1 to 1.5 mm. If the height difference is less than 0.5 mm, the height is too low to assemble very difficult, and if it exceeds 1.5 mm, the stack thickness increases to increase the volume and weight of the stack, thereby reducing power, reducing energy density, and increasing resistance. Can cause problems.

또한, 본 발명은 레독스 흐름 전지용 단위 셀에 관한 것으로, 상기 단위 셀은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dox flow battery unit cell, wherein the unit cell

이온 교환막;Ion exchange membranes;

상기 이온 교환막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전극층; 및Electrode layer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And

상기 전극층의 일측면에 각각 배치된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포함하고,Includes; bipolar plates respectively disposed on one side of the electrode layer,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는 상술한 본 발명의 바이폴라 플레이트이다.The bipolar plate is the bipolar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상기 이온 교환막(123)은 이온 투과막 또는 세퍼레이터라하며, 전해액 내 이온을 통과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해액을 통해 양측에 위치한 전극(120, 121)의 전기화학적 반응을 통해 전기를 발생한다. 이 때 이온 교환막의 재질, 두께 및 각 구성 요소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공지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온 교환막(123)은 판 형태의 셀 프레임과 이의 중앙에 이온 교환막이 장착된 구조를 갖는다.The ion exchange membrane 123 is called an ion permeable membrane or separator, and is configured to pass ions in an electrolyte, and generates electricity through electrochemical reactions of electrodes 120 and 121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electrolyte. At this time, the material, thickness, and each component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known ones can be used. The ion exchange membrane 123 has a structure of a plate-shaped cell frame and an ion exchange membrane mounted in the center thereof.

상기 전극(120, 121)은 전해액의 조성에 따라 전극 (120, 121) 중 하나는 양극, 다른 하나는 음극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The electrodes 120 and 121 function as an anode and the other as a cathode,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of the electrolyt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이온 교환막 결합면(152)은 유로부(F)의 유로 형성 격벽(154)의 상부면 보다 높게 형성되어 전극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극(120, 121)은 형성된 전극 수용홈에 삽입된다.As described above, the edge ion exchange membrane bonding surface 152 of the bipolar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channel forming partition wall 154 of the channel portion F to form an electrode receiving groove. The electrodes 120 and 121 are inserted into the formed electrode receiving groove.

상기 전극 수용홈에 삽입되기 전의 전극(120, 121)의 두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118, 119)의 전극 수용홈의 깊이 보다 두꺼우며, 단위 셀(130) 조립시 바이폴라 플레이트(118, 119) 간의 결합에 의해 압축되어 삽입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s 120 and 121 before being inserted into the electrode receiving groove is thicker than the depth of the electrode receiving groove of the bipolar plates 118 and 119, and when assembling the unit cell 130, the bipolar plates 118 and 119 are combined. It can be inserted by compression.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118, 119)에 형성된 유로부(F)로 인하여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두께가 증가하고, 그로 인하여 스택의 두께가 증가하여 스택의 부피 및 중량이 증가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출력 감소, 에너지 밀도 감소 및 저항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레독스 흐름 전지의 전극층 대비 얇은 두께의 전극층을 사용하고, 이를 압축하여 전극 수용홈에 삽입함으로써, 두께 증가로 인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Due to the flow path portion F formed in the bipolar plates 118 and 119, the thickness of the bipolar plate increases, there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stack, thereby increasing the volume and weight of the stack, thereby reducing power and energy density. The problem of reduction and increased resistance may occur.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 thinner electrode layer than the electrode layer of a conventional redox flow battery is used, and it is compressed and inserted into an electrode receiving groove, thereby preventing problems due to an increase in thickness.

상기 전극 수용홈에 삽입되기 전의 전극(120, 121)의 두께는 1 내지 2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 수용홈의 높이는 0.5 내지 1.5mm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극은 전극 수용홈의 높이만큼 압축되어 전극 수용홈에 삽입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s 120 and 121 before being inserted into the electrode receiving groove may be 1 to 2 mm. 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electrode receiving groove may be 0.5 to 1.5mm. Therefore, the electrode may be compressed by the height of the electrode receiving groove and inserted into the electrode receiving groove.

상기 전극(120, 121)이 전극 수용홈의 높이만큼 압축되어 삽입되기 위해서는 전극(120, 121)은 압축율의 조절이 용이한 도전성 재질을 사용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카본 펠트일 수 있다.In order for the electrodes 120 and 121 to be inserted by being compressed by the height of the electrode receiving groove, the electrodes 120 and 121 must use a conductive material that is easy to adjust the compression ratio, and may preferably be carbon felt.

또한, 본 발명의 전극(120, 121)은 유로부(F)의 유로 형성 격벽(154)의 상부면과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의 이온 교환막 결합면(152)의 높이 차에 의해 형성된 전극 수용홈에 삽입되는 것이므로, 전극(120, 121)의 면적은 유로부(F)의 면적과 동일하며, 그로 인하여 전해액과 충분히 반응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electrodes 120 and 121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 the electrode receiving groove formed by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flow path forming partition wall 154 of the flow path portion F and the ion exchange membrane bonding surface 152 at the edge of the bipolar plate. Since it is inserted, the areas of the electrodes 120 and 121 are the same as the areas of the flow path part F, and it is possible to react sufficiently with the electrolyte solution.

상기 전극(120, 121)이 상기 전극 수용홈에 삽입됨에 따라 전극의 일 측면에 배치된 각각의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이온 교환막 결합면(152)은 유격없이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밀착된 구조로 인하여 기밀성을 증가시킬 수 있어 전해액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스택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As the electrodes 120 and 121 are inserted into the electrode receiving grooves, the edge ion exchange membrane bonding surfaces 152 of each bipolar plat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electrode may be in close contact without gap. The tightness can increase the airtightness due to the contact structure, thereby preventing leakage of the electrolyte solution and preventing deformation of the stack.

또한, 본 발명은 레독스 흐름 전지에 관한 것으로,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dox flow battery,

전류를 생성하는 단위 스택들을 포함하는 단위 모듈을 서로의 측면에 배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전지 모듈;A battery module formed by arranging and electrically connecting unit modules including unit stacks for generating currents on side surfaces of each other;

상기 전지 모듈에 전해액을 공급하고, 상기 모듈에서 유출되는 전해액을 저장하기 위한 전해액 탱크; 및An electrolyte tank for supplying an electrolyte to the battery module and storing the electrolyte flowing out of the module; And

상기 모듈과 전해액 탱크 간 전해액을 순환시키기 위한 전해액 펌프;를 포함하며,Includes; electrolyte pump for circulating the electrolyte between the module and the electrolyte tank;

상기 단위 스택은 상술한 본 발명의 레독스 흐름 전지용 단위 셀을 복수개로 포함한 것이다.The unit stack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cells for a redox flow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레독스 흐름 전지(1000)를 구성하는 다른 요소, 구체적으로, 전지 모듈(100)을 구성하기 위한 여러 요소, 전해액 탱크(202, 204) 및 전해액 펌프(302, 304)와 같은 구성 요소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공지된 바의 내용을 따른다.Other components constituting the redox flow battery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various elements for constituting the battery module 100, components such as electrolyte tanks 202 and 204 and electrolyte pumps 302 and 304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ollows the contents of the known bar.

전해액 탱크(202, 204)에서 저장되는 전해액은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이 분야에서 공지된 바의 전해액이 사용될 수 있다.The electrolyte solution stored in the electrolyte tanks 202 and 204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lectrolyte solution known in the art may be used.

전해액은 활물질 및 용매를 포함하고, 이때 활물질은 전기화학적으로 안정하게 반응하는 레독스 커플 유기물을 포함하고, 용매는 수계 용매, 유기계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The electrolytic solution includes an active material and a solvent, wherein the active material includes an electrochemically stable redox couple organic material, and the solvent may be an aqueous solvent, an organic solvent, or a mixture thereof.

상기 전해액은 양극의 기능을 위한 양극 전해액 또는 음극의 기능을 위한 음극 전해액일 수 있으며, 이들은 산화·환원쌍 구성을 포함한다. 즉, 상기 양극활물질의 경우, 양극 전해액에 용해시키는 산화·환원쌍을 지칭하며, 산화·환원쌍이 2개의 산화상태(oxidation state) 중 높은 쪽으로 변할 때, 즉, 산화가 일어날 때 충전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음극 활물질의 경우, 음극 전해액에 용해시키는 산화·환원쌍을 지칭하며, 산화·환원쌍의 2개의 산화상태 중 낮은 쪽으로, 즉 환원될 때 충전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The electrolyte may be a positive electrode electrolyte for the function of the positive electrode or a negative electrode electrolyte for the funct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se include an oxidation / reduction pair configuration. That is, in the case of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t refers to an oxidation-reduction pair dissolved in a positive electrode electrolyte, and when the oxidation-reduction pair changes to the higher of the two oxidation states, that is, it is charged when oxidation occurs do. In the case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t refers to an oxidation / reduction pair dissolved in a negative electrode electrolyte, and means that it is charged when it is reduced to the lower of two oxidation states of the oxidation / reduction pair, that is, when reduced.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활물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활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V, Fe, Cr, Cu, Ti, Sn, Zn, Br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활물질은 산화·환원 차이에 의한 조합에 의해 V/V, Zn/Br, Fe/Cr 등 다양한 레독스쌍을 얻을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V/V로이루어진 레독스쌍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양극과 음극에서 동일 종류의 레독스 쌍을 사용하여 두 전극 사이에서의 혼합 현상에 의한 비가역적 오염을 극복할 수있는 이점이 있으며, 예를 들어 양극 전해액은 V4+/V5+을 사용하고, 음극 전해액은 V2+/V3+을 레독스 쌍으로 사용할 수 있다.The active material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 active material commonly used in the art may be used. For example, V, Fe, Cr, Cu, Ti, Sn, Zn, Br, etc. can be mentioned. Various redox pairs, such as V / V, Zn / Br, and Fe / Cr, can be obtained from the active material by a combination of oxidation and reduction differences. In the present invention, redox pairs made of V / V are used.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rreversible contamination by mixing phenomenon between two electrodes can be overcome by using the same type of redox pairs i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nd for example, the positive electrode electrolyte is V 4+ / V 5+ . As the anode electrolyte, V 2+ / V 3+ may be used as a redox pair.

상기 수계 용매는 황산, 염산 또는 인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고, 상기 유기계 용매는 아세토나이트릴, 디메틸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디메틸술폭사이드, 디메틸포름아미드, 프로필렌카보네이트, 에틸렌카보네이트, N-메틸-2-피롤리돈, 플루오로에틸렌카보네이트, 에탄올, 메탄올 및 감마-부티로락톤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The aqueous solvent is a mixture of one or two or more selected from sulfuric acid, hydrochloric acid, or phosphoric acid, and the organic solvent is acetonitrile, dimethyl carbonate, diethyl carbonate, dimethyl sulfoxide, dimethyl formamide, propylene carbonate, ethylene carbonate, It may be 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selected from N-methyl-2-pyrrolidone, fluoroethylene carbonate, ethanol, methanol and gamma-butyrolactone.

추가적으로, 상기 전해액은 지지 전해질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electrolyte solution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ing electrolyte.

지지 전해질은 알킬암모늄계 염, 리튬염 및 소듐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전해액에 있어서, 상기 알킬암모늄계 염은, PF6 -, BF4 -, AsF6 -, ClO4 -, CF3SO3 -, CF3SO3 -, C(SO2CF3)3, N(CF3SO2)2 및 CH(CF3SO2)2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음이온과, 테트라알킬암모늄 양이온에서 알킬은 메틸, 에틸, 부틸 또는 프로필인 암모늄 양이온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전해액에 있어서, 상기 리튬염은 LiPF6, LiBF4, LiAsF6, LiClO4, LiCF3SO3, LiCF3SO3, LiC(SO2CF3)3, LiN(CF3SO2)2 및 LiCH(CF3SO2)2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전해액에 있어서, 상기 소듐염은, NaPF6, NaBF4, NaAsF6, NaClO4, NaCF3SO3, NaCF3SO3, NaC(SO2CF3)3, NaN(CF3SO2)2 및 NaCH(CF3SO2)2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The supporting electrolyte can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kylammonium salts, lithium salts and sodium salts. In the redox flow battery electroly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lkyl ammonium salt, PF 6 -, BF 4 - , AsF 6 -, ClO 4 -, CF 3 SO 3 -, CF 3 SO 3 -, C (SO Combination of one anion selected from 2 CF 3 ) 3 , N (CF 3 SO 2 ) 2 and CH (CF 3 SO 2 ) 2 and an ammonium cation where alkyl is methyl, ethyl, butyl or propyl in the tetraalkylammonium cation It can be made. In the redox flow battery electroly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thium salt is LiPF 6 , LiBF 4 , LiAsF 6 , LiClO 4 , LiCF 3 SO 3 , LiCF 3 SO 3 , LiC (SO 2 CF 3 ) 3 , LiN (CF 3 SO 2 ) 2 and LiCH (CF 3 SO 2 ) 2 . In the electrolyte solution for a redox flow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odium salt is NaPF 6 , NaBF 4 , NaAsF 6 , NaClO 4 , NaCF 3 SO 3 , NaCF 3 SO 3 , NaC (SO 2 CF 3 ) 3 , NaN ( CF 3 SO 2 ) 2 And NaCH (CF 3 SO 2 ) 2 I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전해액 펌프(302, 304)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으며, 공지된 바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Electrolyte pumps 302 and 304 are not particularly mention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known ones can be used.

상기의 구성을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1000)는 바이폴라 플레이트(118, 119)의 유로부(F)가 형성됨에 따라 압력의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어 공급되는 전해액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펌프 손실 감소에 따른 스택 및 시스템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이온 교환막 결합면(152)에 띠 형태의 가스켓을 하나 이상 포함함에 따라 스택 기밀성을 향상시켜 전해액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스택의 조립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바이폴라 플레이트(118, 119)의 전극 수용홈에 전극 (120, 121)이 압축되어 삽입되어, 스택의 두께가 증가되지 않으며, 바이폴라 플레이트(118, 119)가 유격없이 밀착될 수 있어 전해액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Redox flow battery 1000 including the above configuration can reduce the loss of pressure as the flow path portion F of the bipolar plates 118 and 119 is formed, thereby increasing the flow rate of the supplied electrolyte. The efficiency of the stack and system can be increased by reducing the pump loss. In addition, as the ion exchange membrane bonding surface 152 of the bipolar plate includes one or more band-shaped gaskets, stack tightness can be improved to prevent leakage of electrolyte, and stack assembly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In addition, the electrodes 120 and 121 are compressed and inserted into the electrode receiving grooves of the bipolar plates 118 and 119,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stack is not increased, and the bipolar plates 118 and 119 can be closely adhered without any gap between the electrolyte solution. It can prevent leakage.

따라서, 본 발명의 레독스 흐름 전지(1000)는 향상된 에너지 효율을 얻을 수 있다.Therefore, the redox flow battery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improved energy efficiency.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practi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실시예 1.Example 1.

분리판에 맞물림형 유로를 형성하였다. 상기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격벽의 폭은 7mm, 유로 채널 폭은 4mm, 유로 채널의 깊이는 1.5mm이었다.An interlocking flow path was formed in the separation plate. The width of the partition wall for forming the flow path was 7 mm, the width of the flow channel channel was 4 mm, and the depth of the flow channel channel was 1.5 mm.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이온 교환막 결합면은 띠 형태의 가스켓을 1개 포함하고 있다.The ion exchange membrane bonding surface of the bipolar plate includes one gasket in the form of a belt.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이온 교환막 결합면과 상기 유로 형성 격벽의 높이 차이가 1mm 형성되도록 하였다.The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the ion exchange membrane bonding surface of the bipolar plate and the channel forming partition wall was 1 mm.

1.5mm 두께의 카본 펠트를 상기 높이 차이에 의해 형성된 전극 수용홈에 삽입하였다.A 1.5 mm thick carbon felt was inserted into the electrode receiving groove formed by the height difference.

상기 과정을 동일하게 반복하여 전극 수용홈에 카본 펠트가 삽입된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2개 준비하였다.The above process was repeated in the same manner to prepare two bipolar plates with carbon felt inserted in the electrode receiving grooves.

이온 교환막(나피온 212, 50μm)을 사이에 두고 상기 카본 펠트가 삽입된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각각 배치하고, 이들을 체결하여 레독스 흐름 전지를 제조하였다.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이온 교환막 결합면은 유격없이 서로 밀착되었으며, 체결 과정에서 카본 펠트가 압축되었으며, 압축된 카본 펠트의 두께는 전극 수용홈의 높이와 동일하였다(도 7).An ion exchange membrane (Nafion 212, 50 μm) was placed between the bipolar plates into which the carbon felts were inserted, and the redox flow batteries were prepared by fastening them. The ion exchange membrane bonding surfaces of the bipolar plates we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ithout play, and the carbon felt was compressed in the fastening process, and the thickness of the compressed carbon felt was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electrode receiving groove (FIG. 7).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유입구 및 배출구 각각에 전해액을 주입하였으며, 이때 전해액으로는 1.6M 바나듐 황산 수용액(3M H2SO4) 3L를 사용하였고, 유량은 75cc/min으로 하였다.Electrolytic solution was injected into each of the inlet and outlet of the bipolar plate. At this time, 3L of a 1.6M vanadium sulfuric acid aqueous solution (3M H 2 SO 4 ) was used as the electrolyte, and the flow rate was 75 cc / min.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이온 교환막 결합면에 오링 형태의 가스켓을 1개 포함하고 있는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준비하였다. A bipolar plate was prepared comprising one O-ring gasket on the ion exchange membrane bonding surface of the bipolar plate.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이온 교환막 결합면과 전극 수용홈의 높이 차이가 2.5mm 형성되도록 하였다.The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the ion exchange membrane bonding surface of the bipolar plate and the electrode receiving groove was 2.5 mm.

3.5mm 두께의 카본 펠트를 상기 전극 수용홈에 삽입하였다.A 3.5 mm thick carbon felt was inserted into the electrode receiving groove.

상기 과정을 동일하게 반복하여 전극 수용홈에 카본 펠트가 삽입된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2개 준비하였다.The above process was repeated in the same manner to prepare two bipolar plates with carbon felt inserted in the electrode receiving grooves.

이온 교환막(나피온 212, 50μm)을 사이에 두고 상기 카본 펠트가 삽입된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각각 배치하고, 이들을 체결하여 레독스 흐름 전지를 제조하였다.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이온 교환막 결합면은 유격없이 서로 밀착되었으며, 체결 과정에서 카본 펠트가 압축되었으며, 압축된 카본 펠트의 두께는 전극 수용홈의 높이와 동일하였다(도 8).An ion exchange membrane (Nafion 212, 50 μm) was placed between the bipolar plates into which the carbon felts were inserted, and the redox flow batteries were prepared by fastening them. The ion exchange membrane bonding surfaces of the bipolar plates we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ithout clearance, and the carbon felt was compressed in the fastening process, and the thickness of the compressed carbon felt was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electrode receiving groove (FIG. 8).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유입구 및 배출구 각각에 전해액을 주입하였으며, 이때 전해액으로는 1.6M 바나듐 황산 수용액(3M H2SO4) 3L를 사용하였고, 유량은 75cc/min으로 하였다.Electrolytic solution was injected into each of the inlet and outlet of the bipolar plate. At this time, 3L of a 1.6M vanadium sulfuric acid aqueous solution (3M H 2 SO 4 ) was used as the electrolyte, and the flow rate was 75 cc / min.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분리판에 맞물림형 유로를 형성하였다. 상기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격벽의 폭은 7mm, 유로 채널 폭은 4mm, 유로 채널의 깊이는 2.5mm이었다.An interlocking flow path was formed in the separation plate. The width of the partition wall for forming the flow path was 7 mm, the flow path channel width was 4 mm, and the flow path channel depth was 2.5 mm.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이온 교환막 결합면은 띠 형태의 가스켓을 1개 포함하고 있다.The ion exchange membrane bonding surface of the bipolar plate includes one gasket in the form of a belt.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상기 이온 교환막 결합면의 높이와 유로 형성 격벽의 높이는 동일하였다.The height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bonding surface of the bipolar plate and the height of the channel forming partition wall were the same.

이온 교환막(나피온 212, 50μm)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카본 페이퍼를 적층하여 이루어진 전극층을 각각 배치하고, 각각의 외부에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배치시킨 후 이들을 체결하여 레독스 흐름 전지를 제작하였다.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이온 교환막 결합면은 이온 교환막 및 카본 페이퍼의 높이만큼 유격되었다(도 9).Electrode layers formed by stacking carbon paper on both sides with an ion exchange membrane (Nafion 212, 50 μm) interposed therebetween, were placed bipolar plates on each outside, and then fastened to produce redox flow batteries. The ion exchange membrane bonding surface of the bipolar plate was spaced by the height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and carbon paper (FIG. 9).

상기 카본 페이퍼의 두께는 0.6mm 이었다.The carbon paper had a thickness of 0.6 mm.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유입구 및 배출구 각각에 전해액을 주입하였으며, 이때 전해액으로는 1.6M 바나듐 황산 수용액(3M H2SO4) 3L를 사용하였고, 유량은 75cc/min으로 하였다.Electrolytic solution was injected into each of the inlet and outlet of the bipolar plate. At this time, 3L of a 1.6M vanadium sulfuric acid aqueous solution (3M H 2 SO 4 ) was used as the electrolyte, and the flow rate was 75 cc / min.

실험예 1. 레독스 흐름 전지의 에너지 효율 측정Experimental Example 1. Energy efficiency measurement of redox flow battery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서 제작한 단위 셀을 이용하여 에너지 효율을 측정하였다. 활성 면적은 325cm2, 전류 밀도 200mA/cm2 로 충·방전을 실시하여 에너지 효율을 측정하였다.Energy efficiency was measured using the unit cells prepared in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2. The active area was 325 cm 2 , current density 200 mA / cm 2 was charged and discharged to measure energy efficiency.

그 결과, 실시예 1은 79.5%, 비교예 1은 71% 및 비교예 2는 77.5%로 측정되었다(도 10).As a result, Example 1 was measured to be 79.5%, Comparative Example 1 to 71%, and Comparative Example 2 to 77.5% (FIG. 10).

맞물림 패턴을 갖는 유로부가 형성되고, 띠 형태의 가스켓을 포함하며, 전극 수용홈에 전극이 삽입된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레독스 흐름 전지는 유로로 인하여 공급되는 전해액의 유량이 증가되었으며, 띠 형태의 가스켓을 포함하며, 전극이 전극 수용홈에 삽입됨으로 인하여 전해액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어 에너지 효율이 가장 우수하게 측정되었다. 또한, 기밀성 및 스택 조립 편의성도 매우 우수하였으며, 스택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았다.The redox flow battery of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flow path portion having an engaging pattern is formed, includes a band-shaped gasket, and an electrode is inserted into the electrode receiving groove, the flow rate of the electrolyte solution supplied due to the flow path is increased, It includes a gasket in the form, and because the electrode is inserted into the electrode receiving gro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eakage of the electrolyte, and thus the energy efficiency is measured best. In addition, the airtightness and the convenience of assembling the stack were also excellent, and the deformation of the stack did not occur.

반면, 비교예 1의 레독스 흐름 전지는 전극인 카본 펠트의 두께가 두꺼워 단위 셀 전체의 두께가 증가하였다. 또한, 유로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 전해액 흐름에 따른 압력 손실이 크게 나타나 상기의 전류 밀도 조건에서 물질 전달 손실이 크게 발생하였다. 이로부터 출력 운전시 효율이 저조하고, 펌프 작동에 의한 전력 손실이 크게 발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redox flow battery of Comparative Example 1, 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 the carbon felt, increased, and the thickness of the entire unit cell increased. In addition, since the flow path was not included, pressure loss due to the flow of the electrolyte was large and mass transfer loss was generated under the current density condition. From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efficiency is low during output operation, and power loss due to the operation of the pump can be largely generated.

비교예 2의 레독스 흐름 전지는 전극으로 카본 페이퍼를 사용하였다. 상기 카본 페이퍼는 카본 펠트에 비하여 압축율 조절이 어려우므로, 활성 면적 증가 및 스택 제작이 어려웠으며, 활성 면적이 증가시 에너지 효율이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The redox flow battery of Comparative Example 2 used carbon paper as an electrode. Since the carbon paper had difficulty in controlling the compression ratio compared to the carbon felt, it was difficult to increase the active area and make the stack, and it was shown that the energy efficiency decreases when the active area increases.

따라서, 고유량 및 고전류 밀도를 타겟으로 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에 본 발명의 구조를 도입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다.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it is very effective to introduce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to a redox flow battery targeting a high flow rate and a high current density.

11. 15. 21. 25 : 바이폴라 플레이트
12: 14, 22, 24 : 전극
13, 23 : 이온 교환막
27 : 유로
1000 : 레독스 흐름 전지
100 : 전지 모듈
101, 102, 103, 104 : 단위 모듈
202, 204 : 전해액 탱크
302, 304 : 전해액 펌프
111, 113 : 엔드 플레이트
115, 117 : 집전 플레이트
118: 119 : 바이폴라 플레이트
120, 121 : 전극
123 : 이온 교환막
130 : 단위 셀
152 : 이온 교환막 결합면
153 : 분리판
154 : 유로 형성 격벽
155 : 가스켓
161 : 유입구
162 : 배출구
171 : 공급 유로
172 : 배출 유로
181, 182, 183, 184 : 연결 부재
F : 유로부
11. 15. 21. 25: Bipolar plate
12: 14, 22, 24: electrode
13, 23: ion exchange membrane
27 Euro
1000: redox flow battery
100: battery module
101, 102, 103, 104: Unit module
202, 204: electrolyte tank
302, 304: electrolyte pump
111, 113: end plate
115, 117: current collector plate
118: 119: bipolar plate
120, 121: electrode
123: ion exchange membrane
130: unit cell
152: ion exchange membrane bonding surface
153: separation plate
154: flow path forming bulkhead
155: gasket
161: inlet
162: outlet
171: Supply Euro
172: discharge flow path
181, 182, 183, 184: connecting member
F: Euro part

Claims (10)

전극과 대면하는 유로부가 형성된 바이폴라 플레이트로,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이온 교환막 결합면은 상기 유로부의 유로 형성 격벽의 상부면보다 높게 형성되어 전극 수용홈을 형성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
Bipolar plate formed with a flow path facing the electrode,
A bipolar plate for a redox flow battery, wherein an edge ion exchange membrane bonding surface of the bipolar plate is formed higher than an upper surface of the flow path forming partition wall of the flow path portion to form an electrode receiving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형성 격벽의 상부면과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의 이온 교환막 결합면의 높이 차는 0.5 내지 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The bipolar plate for a redox flow batter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height difference between an upper surface of the flow path forming partition wall and an ion exchange membrane bonding surface at the edge of the bipolar plate is 0.5 to 1.5 m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는 바이폴라 플레이트에 일체로 형성된 유로를 포함하거나, 바이폴라 플레이트에 수용된 별도의 유로 형성 분리판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The bipolar plate for a redox flow batter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ow path part comprises a flow path integrally formed on the bipolar plate, or is formed by a separate flow path forming separation plate accommodated in the bipolar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는 이온 교환막 결합면에 띠 형태의 가스켓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The bipolar pl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ipolar plate includes one or more band-shaped gaskets on an ion exchange membrane bonding surface. 이온 교환막;
상기 이온 교환막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전극; 및
상기 전극의 일측면에 각각 배치된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바이폴라 플레이트인 레독스 흐름 전지용 단위 셀.
Ion exchange membranes;
Electrode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And
Includes; bipolar plates respectively disposed on one side of the electrode,
The bipolar plate is a unit cell for a redox flow battery, which is a bipolar plate of any one of claims 1 to 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전극 수용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용 단위 셀.The unit cell for a redox flow battery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electrode is inserted into an electrode receiving groove of a bipolar pla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의 두께는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전극 수용홈의 깊이보다 두꺼우며, 단위 셀 조립시 바이폴라 플레이트 간의 결합에 의해 압축되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용 단위 셀.According to claim 6, 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 is thicker than the depth of the electrode receiving groove of the bipolar plate, the unit cell for a redox flow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ressed and inserted by coupling between the bipolar plates when assembling the unit cel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수용홈에 삽입되기 전의 전극의 두께는 1 내지 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용 단위 셀.The redox flow battery unit cell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 before being inserted into the electrode receiving groove is 1 to 2 m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카본펠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용 단위 셀.The redox flow battery unit cell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electrode is a carbon felt. 전류를 생성하는 단위 스택들을 포함하는 단위 모듈을 서로의 측면에 배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전지 모듈;
상기 전지 모듈에 전해액을 공급하고, 상기 모듈에서 유출되는 전해액을 저장하기 위한 전해액 탱크; 및
상기 모듈과 전해액 탱크 간 전해액을 순환시키기 위한 전해액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단위 스택은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레독스 흐름 전지용 단위 셀을 복수개로 포함한 레독스 흐름 전지.
A battery module formed by arranging and electrically connecting unit modules including unit stacks for generating currents on side surfaces of each other;
An electrolyte tank for supplying an electrolyte to the battery module and storing the electrolyte flowing out of the module; And
Includes; electrolyte pump for circulating the electrolyte between the module and the electrolyte tank;
The unit stack is a redox flow battery comprising a plurality of unit cells for a redox flow battery of any one of claims 5 to 9.
KR1020180138732A 2018-11-13 2018-11-13 Bipolar plate and unit cell for redox flow cell battery and redox flow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26459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732A KR102645988B1 (en) 2018-11-13 2018-11-13 Bipolar plate and unit cell for redox flow cell battery and redox flow battery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732A KR102645988B1 (en) 2018-11-13 2018-11-13 Bipolar plate and unit cell for redox flow cell battery and redox flow battery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274A true KR20200055274A (en) 2020-05-21
KR102645988B1 KR102645988B1 (en) 2024-03-08

Family

ID=70910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8732A KR102645988B1 (en) 2018-11-13 2018-11-13 Bipolar plate and unit cell for redox flow cell battery and redox flow battery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598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00438A (en) * 2022-06-15 2022-09-02 宿迁时代储能科技有限公司 Electrode frame and bipolar plate integrated structure applied to flow battery and electric pi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44395A1 (en) 2009-12-18 2012-09-27 Perry Michael L Flow battery with interdigitated flow field
CN104716392A (en) * 2013-12-15 2015-06-17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Flow cell structure
KR20170113120A (en) * 2016-03-31 2017-10-12 주식회사 엘지화학 Bipolar plate and redox flow cell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20170127848A (en) * 2016-05-13 2017-11-22 주식회사케이세라셀 The Redox flow battery including inner cov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44395A1 (en) 2009-12-18 2012-09-27 Perry Michael L Flow battery with interdigitated flow field
CN104716392A (en) * 2013-12-15 2015-06-17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Flow cell structure
KR20170113120A (en) * 2016-03-31 2017-10-12 주식회사 엘지화학 Bipolar plate and redox flow cell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20170127848A (en) * 2016-05-13 2017-11-22 주식회사케이세라셀 The Redox flow battery including inner cov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00438A (en) * 2022-06-15 2022-09-02 宿迁时代储能科技有限公司 Electrode frame and bipolar plate integrated structure applied to flow battery and electric p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5988B1 (en) 2024-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52554B (en) Bipolar plate, cell frame, cell stack, and redox flow cell
US10593964B2 (en) Bipolar plate, cell frame, cell stack and redox-flow battery
US11108057B2 (en) Bipolar plate, cell stack, and redox flow battery
US11764384B2 (en) Segmented frames for redox flow batteries
US20180294486A1 (en) Cell frame, cell stack, and redox flow battery
KR102645988B1 (en) Bipolar plate and unit cell for redox flow cell battery and redox flow battery comprising the same
US20200266457A1 (en) Multipoint electrolyte flow field embodiment for vanadium redox flow battery
KR101570700B1 (en) Manifold and Redox Flow Battery Including the Same
US20190109334A1 (en) Cell plates for redox flow batteries
US10396369B2 (en) Fuel cell stack
US20220238904A1 (en) Redox flow battery
KR20200055311A (en) Manifold with back side flow path and Redox flow battery
JP6849954B2 (en) Frame, cell frame, cell stack, and redox flow battery
TW201618364A (en) Electrochemical flow cell assembly and bipolar plate thereof
US20240186556A1 (en) Co-extruded negative electrode spacer
KR20120116739A (en) Separator for fuel cell
KR20220096913A (en) Redox flow battery stack having a membrane with porous substrate
WO2018134927A1 (en) Bipolar plate, cell frame, cell stack, and redox flow cell
WO2023199169A1 (en) Redox flow battery stack having curved design for minimizing pressure drop
WO2022093117A1 (en) Flow frame for redox flow battery and redox flow battery
WO2024119129A1 (en) Co-extruded negative electrode spacer
CN116034502A (en) Bipolar plate, unit frame, battery unit, battery stack and redox flow battery
KR20190061387A (en) Redox flow battery
KR20200072822A (en) Electrode-current collector assembly and redox flow battery including the same
TWM512814U (en) Liquid fuel cell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