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4793A - Reading desk for people with low vision - Google Patents

Reading desk for people with low vis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4793A
KR20200054793A KR1020180138513A KR20180138513A KR20200054793A KR 20200054793 A KR20200054793 A KR 20200054793A KR 1020180138513 A KR1020180138513 A KR 1020180138513A KR 20180138513 A KR20180138513 A KR 20180138513A KR 20200054793 A KR20200054793 A KR 20200054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dle
slider
rail
magnifiers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85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87309B1 (en
Inventor
강시온
Original Assignee
강시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시온 filed Critical 강시온
Priority to KR1020180138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309B1/en
Publication of KR20200054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47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3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6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characterised by association with auxiliary devices, e.g. line indicators, leaf turners, lampholders, book or pag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16Book stan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ading stand for a person with low vision comprises: a holder for holding a readable medium; a plurality of magnifiers for enlarging content included in the medium held on the holder to display the same; a transfer unit including a first rail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holder and a first slider capable of being slid on the first rail, wherein one side of the magnifiers is installed on the first slider to transfer the magnifiers on the holder; and a support unit including a second rail installed at the other side of the holder, a second slider capable of being slid on the second rail, and a holder installed at the second slider to support the other side of the magnifiers. Each of the magnifiers is installed to be stacked with each other on the first slider to be rotated, and a protrusion may be formed at one of a surface and a back surface of each of the magnifiers and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at the other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erson with low vision can conveniently read a medium without using a separate vision aid.

Description

저시력자용 독서대 {READING DESK FOR PEOPLE WITH LOW VISION }READING DESK FOR PEOPLE WITH LOW VISION}

본 발명은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시력자가 별도의 추가 도구 없이 거치된 매체를 읽을 수 있도록 하는 저시력자용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ding tab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ading table for a low-sighted person that enables a low-sighted person to read a mounted medium without additional tools.

전세계적인 고령화 경향에 따라 노안으로 인한 시력 저하 문제로 불편을 겪고 있는 노인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나아가, 다양한 안과 질환들로 인한 일시적 내지 영구적 시력 저하로 일상 생활에 지장을 경험하는 사람들도 주변에서 흔하게 발견할 수 있다. Along with the global trend of aging, the elderly population, which suffers from vision problems due to presbyopia, is increasing. Furthermore, people who experience difficulties in their daily life due to temporary or permanent deterioration of vision due to various ophthalmic diseases can also be commonly found around them.

이러한 저시력자의 경우, 일상생활 중에서도 특히, 책, 잡지, 인쇄매체, 디스플레이 화면 등 각종 매체에 기록된 글을 읽는 데에 어려움을 겪게 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안경, 렌즈, 돋보기 등 시력을 보조하는 각종 수단을 사용한다. 하지만, 이들 시력 보조 수단도 항상 휴대하고 다녀야 한다는 점에서 불편하다. In the case of such a low-sighted person, in everyday life, it is difficult to read texts written in various media, such as books, magazines, print media, display screens, etc. Various means are used. However, these vision aids are also inconvenient in that they must be carried with them at all times.

따라서, 도서관에는 서가에 저시력자를 위한 돋보기를 비치하고 있다. 나아가, 은행이나 우체국에서도 각종 신청서의 세부 항목들을 읽고 내용을 작성하기 위하여 신청서 작성대에 돋보기를 비치하는 경우를 흔하게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들 돋보기는 안경 형태로 착용하게 되어 있어 파손될 위험이 크고, 위생 상태를 엄격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사람에 따라 크기를 조절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도수도 조절할 수 없어 사용에 제한적이었다.Therefore, the library has a magnifying glass for the low-vision in the library. Furthermore, it is common for banks and post offices to place magnifiers on the application desk to read the details of various applications and fill out the contents. However, since these magnifiers are to be worn in the form of glasses, there is a high risk of breakage, and it is necessary to strictly manage hygiene. In addition, it was difficult to adjust the size depending on the person, and it was limited in use because the frequency could not be adjust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저시력자가 별도의 시력 보조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거치된 매체를 편리하게 읽을 수 있도록 하는 저시력자용 독서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ading stand for low-sighted persons that enables a low-sighted person to conveniently read a mounted medium without using a separate visual ai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시력자용 독서대는, 읽을 수 있는 매체를 거치하는 거치대와; 이 거치대에 거치된 매체에 포함된 컨텐츠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복수의 돋보기와; 거치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레일과, 이 제1 레일에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제1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돋보기의 일측이 제1 슬라이더에 설치되어 돋보기를 거치대 상에서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거치대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 레일과, 이 제2 레일에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제2 슬라이더와, 제2 슬라이더에 설치되어 돋보기의 타측을 지지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돋보기의 각각은 제1 슬라이더에 회전 이동 가능하게 서로 적층하여 설치되고, 돋보기의 표면 및 이면 중 어느 하나에는 돌기가 다른 하나에는 돌기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A reading stand for low vi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unting stand for mounting a readable medium; A plurality of magnifiers showing enlarged contents included in the medium mounted on the cradle; A first rail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radle, and a first slider slidable on the first rail, and one side of the magnifier is installed on the first slider to transfer the magnifier onto the cradle; It includes; a second rail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cradle, a second slider capable of sliding movement on the second rail, and a support portion including a holder installed on the second slider to support the other side of the magnifier; Each of the first sliders are stacked and rotatably installed on the first slider, and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one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magnifier and the oth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시력자용 독서대에서 제1 및 제2 레일은 거치대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시력자용 독서대는 제1 및 제2 레일과 거치대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 가능한 이격거리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reading stand for low vi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rails are installed spaced apart from the holder, and the reading stand for low vi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ails and the holder. A possible separation distance control unit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시력자용 독서대에서 거치대는 매체를 고정하는 매체 고정부와; 거치대와 지면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reading stand for low eyes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dium fixing unit for fixing the medium; It may include an angl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angle between the cradle and the groun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시력자용 독서대는, 안경 형태로 비치되어 사용되던 종래 기술에 비하여, 저시력자가 사용을 위해 착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파손되거나 고장이 발생할 위험이 거의 없고 위생상태를 엄격하게 유지할 필요가 없다. The reading stand for low vi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little risk of being damaged or malfunctioning because it does not need to be worn for use by a low vision, compared to the prior art used in the form of glasses, and strictly maintains the hygiene state no need.

나아가, 착용을 위해 사람에 따라 크기를 조절할 필요도 없을 뿐만 아니라, 복수의 돋보기를 서로 중첩시키는 것만으로 도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돋보기와 매체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 이격거리를 조정함으로써 도수를 조절할 수도 있다.Furthermore, it is not necessary to adjust the size according to a person for wearing, and the frequency can be freely adjusted by simply overlapping a plurality of magnifiers. In addition,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magnifying glass and the medium can be adjusted, the frequency can also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separation dista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시력자용 독서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시력자용 독서대의 우측면도를 나타낸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w-vision reading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right side view of a low-vision reading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저시력자용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ding table for a low-sighted person, and it will be apparent by referring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e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Meanwhil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refers to the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elements mentioned abov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elements. Or do not exclude addition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시력자용 독서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시력자용 독서대의 우측면도를 나타낸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w-sight reading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right-side view of the low-sight reading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시력자용 독서대는 읽을 수 있는 매체(D)를 거치하는 거치대(10)를 포함할 수 있다. 읽을 수 있는 매체(D)는 책, 잡지, 팜플렛 등의 인쇄물 내지는 컴퓨터 화면, 모니터 등을 통해 전시되는 영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매체(D)에는 기호, 문자, 도형, 그림 등의 다양한 컨텐츠가 구비되어 독자가 읽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 매체(D)는 거치대(10)에 거치될 수 있다. 거치대(10)는 매체(D)를 안정적으로 거치하여 유지할 수 있는 형상 내지 크기를 가지면 충분하다. 통상적으로, 거치대(10)는 편평한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지면과 평행하게 구성될 수 있고, 매체(D)를 읽는 독자의 눈높이나 자세를 고려하여 높이 내지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거치대(10)는 제2 힌지(63)를 통해 각도 조절 로드(60)의 일측과 연결되고, 각도 조절 로드(60)의 타측은 제3 힌지(61)를 통하여 바닥 플레이트(62)에 연결됨으로써, 독자의 자세나 눈높이에 맞추어 거치대(10)의 각도 내지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힌지(63), 각도 조절 로드(60), 제3 힌지(61), 및 바닥 플레이트(62)를 합하여 각도 조절부(60, 61, 62, 63)라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거치대(10)는 각도 조절부(60, 61, 62, 63) 구성 없이 탁자나 책상의 상판과 평행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거치대(10)에 매체(D)를 고정할 수 있는 매체 고정부(미도시)를 설치하여 독자가 별도로 매체(D)를 잡거나 고정할 필요없이 편리하게 읽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매체 고정부는 탄성 클립을 거치대(10)의 하측 모서리에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reading stand for low eyes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older 10 for mounting a readable medium (D). The readable medium (D) may include various media including printed images such as books, magazines, brochures, or images displayed through a computer screen, a monitor, etc., such media, symbols, characters, figures, Various contents such as pictures are provided for readers to rea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dium (D) may be mounted on the cradle (10). The holder 10 is sufficient to have a shape or size capable of stably mounting and maintaining the medium D. Typically, the cradle 10 is made of a flat plate, can be configured parallel to the ground, it can be configured to adjust the height or angle in consideration of the eye level or posture of the reader reading the medium (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er 1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angle adjustment rod 60 through the second hinge 63, the other side of the angle adjustment rod 60 is a third hinge (61) By being connected to the bottom plate 62,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ngle or height of the cradle 10 according to the reader's posture or eye level. In this case, the second hinge 63, the angle adjustment rod 60, the third hinge 61, and the bottom plate 62 may be combined and referred to as an angle adjustment unit 60, 61, 62, 63.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adle 10 may be fixed in parallel with the top of the table or desk without the configuration of the angle adjustment unit (60, 61, 62, 63). In addition, a mounting medium (not shown) capable of fixing the medium D to the cradle 10 may be installed so that the reader can conveniently read the medium D without having to hold or fix the medium D separately. The media fixing part may be configured by installing an elastic clip on the lower edge of the cradle 10. It is not limited to this.

거치대(10) 상에는 매체(D)에 포함된 컨텐츠를 확대하여 보여줄 수 있는 돋보기(20)가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돋보기(20)는 저시력자, 특히, 노안에 따른 시력 저하를 보조할 수 있는 수단이며, 유리나 고분자 수지 재료로 제도된 볼록 렌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돋보기(20)는 매체(D)의 특성을 고려하여 폭에 비하여 길이가 긴 직사각형 라인 형태로 연장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돋보기(20)를 스트립 형태로 구성하는 경우, 매체(D)에 기록된 컨텐츠를 행 단위로 읽을 수 있어 독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고 매체(D)를 읽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돋보기(20)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서로 중첩시켜 도수를 조절할 수 있다. 도수를 조절할 수 있게 되면, 간단한 구성으로 다양한 시력을 가지는 독자들 각각에 맞춤형 돋보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서로 중첩된 돋보기(20)의 위치를 유지시키기 위해서, 돋보기(20)의 표면에는 홈(22)을 형성하고, 돋보기(20)의 이면에는 이 홈(2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돌기(21)를 형성할 수 있다. 돋보기(20)가 중첩하여 적층되는 경우, 위에 위치하는 돋보기(20)의 이면에 형성된 돌기(21)가 아래에 위치하는 돋보기(20)의 표면에 형성된 홈(22)에 안착되어 중첩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홈(22)에서 돌기(21)를 이탈시켜 돋보기(20) 각각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표면에 홈(22)을 설치하고, 이면에 돌기(21)를 설치하였지만, 홈과 돌기를 반대로 설치하거나, 돌기와 홈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홈에 가이드 홈을 설치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나아가, 홈과 돌기 이외에 다양한 탈착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magnifiers 20 capable of enlarging and showing the contents included in the medium D may be installed on the cradle 10. The magnifier 20 is a means for assisting low vision, in particular, deterioration of vision due to presbyopia, and may be made of a convex lens made of glass or a polymer resin material.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gnifying glass 20 may be configured to exten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line having a length longer than the width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um (D). When the magnifying glass 2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trip, the contents recorded in the medium D can be read in units of rows, so that the reader can read the medium D without feeling uncomfortable. In addition, a plurality of magnifiers 20 may be provided to overlap each other to adjust the frequency. If the frequency can be adjust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ustomized magnifying glass to each reader having various eyesight with a simple configuration. In order to maintain the positions of the magnifiers 20 overlapping each other, the grooves 22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agnifier 20, and the protrusions 21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grooves 22 on the back surface of the magnifier 20. ). When the magnifying glass 20 is superimposed and stacked, the projections 21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gnifying glass 20 positioned above are seated in the grooves 22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agnifying glass 20 positioned below, thereby overlapping the overlapping positions. It is possible to maintain, and the projections 21 are separated from the grooves 22 to move the respective positions of the magnifying glass 20. In one embodiment, the groove 22 is installed on the surface, and the protrusion 21 is installed on the back surface, but the groove and the protrusion are reversely installed, or the guide groove is installed in the groove to facilitate detachment of the protrusion and the groove. It is possible. Furthermore, various desorption means can be used in addition to the grooves and projections.

거치대(10) 상에 돋보기(20)를 설치하는 구성은 다음과 같다. 거치대(10)의 일측에는 제1 레일(31)과, 이 제1 레일(31)에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제1 슬라이더(32)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더(32)에는 제1 레일(31)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이 관통 구멍에 제1 레일(31)이 결합되어 제1 슬라이더(32)가 제1 레일(31) 상에서 왕복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제1 레일(31)과 제1 슬라이더(32)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레일(31)은 거치대(10)의 우측 모서리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슬라이더(32) 상에는 제1 힌지(33)가 설치되고, 제1 힌지(33)가 막대형 돋보기(20)의 일측에 연결되어 돋보기(20)를 거치대(10) 상에서 이송시킬 수 있게 되고, 복수의 돋보기(20)의 각각은 제1 힌지(33)를 통하여 제1 슬라이더(32)에 회전 이동 가능하게 서로 적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제1 레일(31), 제1 슬라이더(32) 및 제1 힌지(33)를 합하여 돋보기(20)를 거치대(10) 상에서 이송시키거나 이송부(31, 32, 33)로 지칭할 수 있다. The configuration of installing the magnifying glass 20 on the cradle 10 is as follows. A first rail 31 and a first slider 32 capable of sliding movement on the first rail 31 may b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cradle 10. A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rail 31 is formed in the first slider 32, and the first rail 31 is coupled to the through hole, so that the first slider 32 is attached to the first rail 31 ) On and off.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rail 31 and the first slider 32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ail 31 is installe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right edge of the cradle 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hinge 33 is installed on the first slider 32, and the first hinge 33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ar-shaped magnifier 20 so that the magnifier 20 can be transported on the cradle 10. , Each of the plurality of magnifiers 20 may be installed to be stacked with each other so as to be rotatable on the first slider 32 through the first hinge 33. The first rail 31, the first slider 32 and the first hinge 33 may be combined to transfer the magnifying glass 20 on the cradle 10 or referred to as transfer parts 31, 32, 33.

거치대(10)의 타측에는 돋보기(10)를 지지하는 지지부(41, 42, 43)가 설치될 수 있다. 이송부(31, 32, 33)가 설치된 우측 모서리와 마주보는 좌측 모서리에 지지부(41, 42, 43)를 설치하여 돋보기(2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좌측 모서리에 상항 방향으로 연장하여 제2 레일(41)을 설치하고, 제2 레일(41)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제2 슬라이더(42)를 설치할 수 있다. 제2 레일(41)과 제2 슬라이더(42)의 세부 구성은 제1 레일(31)과 제1 슬라이더(32)의 구성과 동일한 방식으로 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2 슬라이더(42)에는 홀더(43)가 설치되어 돋보기(20)의 타측을 지지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홀더(43)는 막대형 돋보기(20)의 타측 하변과 측변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돋보기(20)가 여러층으로 적층되는 경우에도 돋보기(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높이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Supports (41, 42, 43) for supporting the magnifying glass 10 may be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cradle (10).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position of the magnifier 20 by installing the support parts 41, 42, and 43 on the left edge facing the right edge where the transfer parts 31, 32, and 33 are installed. The second rail 41 may be installed extending in the upward direction to the left corner, and a second slider 42 capable of sliding movement may be installed on the second rail 41.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econd rail 41 and the second slider 42 can be made in the same manner as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rail 31 and the first slider 32, but is not limited thereto. A holder 43 is installed on the second slider 42 to support the other side of the magnifying glass 20. As shown in Figure 1,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embodiment, the holder 43 may be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oth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bar-shaped magnifying glass 20, a plurality of magnifying glass 20 Even when stacked in multiple layers, it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ufficient height to stably support the magnifying glass 20.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의 우측면도로서, 이송부(31, 32, 33)의 제1 레일(31)과 거치대(10)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구성을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레일(31)은 거치대(10)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제1 레일(31)의 양쪽 단부에 형성된 나사산이 형성된 길이 부재(35)가 거치대(10)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이 길이 부재(35)의 나사산에 결합 가능한 너트 부재(34)가 길이 부재(35)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레일(31)과 거치대(10) 사이의 이격 거리를 크게 하거나 작게 함으로써, 돋보기(20)와 매체(D)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되고, 독자의 시력에 맞추어 세밀하게 도수를 조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격 거리의 조절은 길이 부재(35)에 결합된 너트 부재(34)를 회전시켜 조정할 수 있다. 길이 부재(35)와 너트 부재(34)를 합하여 이격거리 조절부(34, 35)라 지칭할 수 있으며, 제1 레일(31)과 거치대(10)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구성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2 레일(41)과 거치대(10)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Figure 2 is a right side view of a reading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configuration for adjust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rail 31 and the cradle 10 of the transfer unit (31, 32, 33). As shown in FIG. 2, the first rail 31 may be installed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radle 10. A threaded length member 35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rail 31 is installed through the cradle 10, and a nut member 34 that can be coupled to the thread of the length member 35 has a length member ( 35).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rail 31 and the cradle 10, the distance between the magnifier 20 and the medium D can be adjusted, and the frequency can be adjust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reader's eyesight. It is effective. The separation distance can be adjusted by rotating the nut member 34 coupled to the length member 35. The length member 35 and the nut member 34 may be combined to be referred to as separation distance adjusting parts 34 and 35, and the same method as the configuration of adjust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rail 31 and the cradle 10 As a result, a configuration for adjust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econd rail 41 and the cradle 10 may be implemented.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preferred embodiments mentioned above, it is possi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will includ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s long as they belong to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D: 매체 10: 거치대
20: 돋보기 21: 돌기
22: 홈 30: 이송부
31: 제1 레일 32: 제1 슬라이더
33: 제1 힌지 34: 너트 부재
35: 길이 부재 40: 지지부
41: 제2 레일 42: 제2 슬라이더
43: 홀더 60: 각도 조절 로드
61: 제3 힌지 62: 바닥 플레이트
63: 제2 힌지
D: Medium 10: Cradle
20: magnifying glass 21: projection
22: groove 30: transfer unit
31: first rail 32: first slider
33: first hinge 34: nut member
35: length member 40: support
41: second rail 42: second slider
43: holder 60: angle adjustment rod
61: third hinge 62: bottom plate
63: second hinge

Claims (3)

읽을 수 있는 매체를 거치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매체에 포함된 컨텐츠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복수의 돋보기;
상기 거치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레일과, 이 제1 레일에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제1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돋보기의 일측이 상기 제1 슬라이더에 설치되어 상기 돋보기를 상기 거치대 상에서 이송시키는 이송부; 및
상기 거치대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 레일과, 이 제2 레일에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제2 슬라이더와, 상기 제2 슬라이더에 설치되어 상기 돋보기의 타측을 지지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돋보기의 각각은 상기 제1 슬라이더에 회전 이동 가능하게 서로 적층하여 설치되고, 상기 돋보기의 표면 및 이면 중 어느 하나에는 돌기가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는, 저시력자용 독서대.
A cradle for mounting readable media;
A plurality of magnifiers showing enlarged contents included in the medium mounted on the cradle;
A first rail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radle, and a first slider capable of sliding movement on the first rail, wherein one side of the magnifier is installed on the first slider to transfer the magnifier on the cradle; And
It includes; a support portion comprising a second rail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cradle, a second slider capable of sliding movement on the second rail, and a holder installed on the second slider to support the other side of the magnifier;
Each of the plurality of magnifiers is installed to be stacked with each other so as to be rotatable on the first slider, and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is formed on one of the surfaces and the back surface of the magnifier, and a reading stand for low vision is formed.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레일은 상기 거치대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레일과 거치대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 가능한 이격거리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저시력자용 독서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rails are installed spaced apart from the cradle, and further comprising a separation distance adjusting unit capable of adjust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ails and the crad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매체를 고정하는 매체 고정부; 및
상기 거치대와 지면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저시력자용 독서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radle,
A media fixing part for fixing the media; And
A reading stand for low eyesight, including an angl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angle between the cradle and the ground.
KR1020180138513A 2018-11-12 2018-11-12 Reading desk for people with low vision KR1021873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513A KR102187309B1 (en) 2018-11-12 2018-11-12 Reading desk for people with low vi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513A KR102187309B1 (en) 2018-11-12 2018-11-12 Reading desk for people with low vi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4793A true KR20200054793A (en) 2020-05-20
KR102187309B1 KR102187309B1 (en) 2020-12-04

Family

ID=70919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8513A KR102187309B1 (en) 2018-11-12 2018-11-12 Reading desk for people with low vis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30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424U (en) * 1991-07-08 1993-01-29 康生 鈴木 Light Viewer
KR19980041039U (en) * 1996-12-23 1998-09-15 후지나미쇼소 Negative film correction loupe
KR20090013008U (en) * 2008-06-17 2009-12-28 이병학 Pen clip with magnifying glas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424U (en) * 1991-07-08 1993-01-29 康生 鈴木 Light Viewer
KR19980041039U (en) * 1996-12-23 1998-09-15 후지나미쇼소 Negative film correction loupe
KR20090013008U (en) * 2008-06-17 2009-12-28 이병학 Pen clip with magnifying gla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7309B1 (en) 2020-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4053B2 (en) 3-D eyewear
US6417894B1 (en) Adjustable magnifying apparatus and method for viewing video or computer screens
US7319437B2 (en) Image display device
EP2625686B1 (en) Electronic magnification device
EP2668777B1 (en) Retainer for electronic magnification device
TW307087B (en)
JPH04502074A (en) prism partial lens glasses
US10761290B2 (en) Virtual reality video device for educational video monitor
KR102187309B1 (en) Reading desk for people with low vision
KR101180990B1 (en) Adhesion type 3d glasses
TW201224576A (en) Eyeglass frame, rim and temple
US9910286B2 (en) TwinScope 3-D viewer
US3064528A (en) Monocular microreproduction reader
KR20200040191A (en) Virtual Reality Video Device for Educational Video Monitor
RU2275754C2 (en) Device for watching stereoscopic image represented by video display aid (versions)
JP3163701B2 (en) Glasses-type image display device
BRPI0805205B1 (en) OPTICAL SUPPORT APPARATUS TO HELP VIEWING AND PROCESS TO HELP OBJECT VIEWING
US5461434A (en) Optical measurement method and apparatus
US2485411A (en) Microfilm reading spectacles
US20220254271A1 (en) Devices and methods to aid processing of visual information
JP2000509837A (en) Display device
Spitzberg et al. The Design of a Zoom Stand Magnifier—A New Low Vision Device
JP2001075025A (en) Desktop magnifying lens device
CN115390279A (en) Spectacle frame upper clamping structure
Francis The Jordy electronic magnification device: Opinions, observations, and commenta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