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4634A - 위치정보를 이용한 블록체인 거래인증방법, 기록매체 및 블록체인 시스템 - Google Patents

위치정보를 이용한 블록체인 거래인증방법, 기록매체 및 블록체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4634A
KR20200054634A KR1020180138159A KR20180138159A KR20200054634A KR 20200054634 A KR20200054634 A KR 20200054634A KR 1020180138159 A KR1020180138159 A KR 1020180138159A KR 20180138159 A KR20180138159 A KR 20180138159A KR 20200054634 A KR20200054634 A KR 20200054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action
blockchain
authentication
location information
n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8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0031B1 (ko
Inventor
한동수
손규호
신훈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80138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031B1/ko
Publication of KR20200054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4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4Transactions dependent on location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1Electronic credentials
    • G06Q20/38215Use of certificates or encrypted proofs of transaction righ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블록체인 거래인증방법, 기록매체 및 블록체인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블록체인 거래인증방법에 따르면, 위치정보가 포함된 블록들로 구성된 블록체인을 구성하고, 거래가 발생되면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거래를 인증하며, 거래 인증 결과로 생성된 블록을 블록체인에 연결할 수 있게 되어, 위치정보가 확인되는 노드에 대해서만 블록체인 거래 인증을 위한 네트워크 컨센선스에 참여시킴으로써 거래 인증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거래 인증의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더 적은 노드가 블록체인 네트워크 컨센선스에 참여하면서도 더 안전한 인증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위치에 기반하여 거래이력을 추적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위치정보를 이용한 블록체인 거래인증방법, 기록매체 및 블록체인 시스템 {Method, Recording medium and Blockchain system for confirming blockchain transaction using lo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블록체인 거래인증방법, 기록매체 및 블록체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거래를 인증하기 위한 블록체인 거래인증방법, 기록매체 및 블록체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수천, 수만 개의 노드로 시스템이 구성된다. 그리고 거래가 발행하면 해당 거래를 분산된 노드에 기록하는 분산 원장과 유사한 방식으로 구동된다. 따라서 한번 기록된 거래는 변경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것은 중앙집중형 시스템에서 중앙서버와 연결된 DB를 변경하는 것으로 이전의 거래 내역을 쉽게 변경하는 방식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이렇게 한번 실행이 완료된 거래의 위,변조가 어려운 블록체인은 금융, IoT, 전자투표, 거래이력 추적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최근 블록체인이 각광을 받고 있는 이유이다.
하지만 블록체인은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니다. 기록된 거래가 위,변조가 어려운 만큼 거래를 인증하고 기록하는 과정이 다소 복잡하다. 새로운 블록을 생성할 때 요구되는 거래 인증은 네트워크 컨센서스라는 과정을 거쳐 일어난다. P2P 형태로 일어난 거래는 주변에 전파가 되고,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노드 중 50% 이상의 노드에 전파가 이루어진 (사실상 동의를 얻은) 거래에 대해서 거래를 인증한다. 따라서 많은 노드의 동의를 얻어야 비로소 거래가 인증되는 문제가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 컨센선스 과정의 비효율성은 50% 이상의 동의를 얻는 것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만약 50%가 아닌 그 보다 적은 40%, 30%, 20%의 동의를 얻은 블록에 대해서 블록 생성을 인정하고 블록체인을 구동시키면 더 효율적인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물론 그것으로 인해 블록체인의 거래 인증의 안전성이 훼손되지 않아야 한다.
이와 같은 블록체인 컨센서스를 더욱 간편하고 빠르게 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치정보가 포함된 블록들로 구성된 블록체인을 구성하고, 거래가 발생되면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거래를 인증하며, 거래 인증 결과로 생성된 블록을 블록체인에 연결하는 블록체인 거래인증방법, 기록매체 및 블록체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시스템에 의한 블록체인 거래인증방법은, 위치정보가 포함된 블록들로 구성된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단계; 거래가 발생되면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거래를 인증하는 단계; 및 거래 인증 결과로 생성된 블록을 블록체인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위치정보가 포함된 블록은, 블록헤더부에 위치포인터가 포함되어 있고, 블록바디부에 노드위치리스트가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단계는, 위치가 확인된 노드들로 블록체인을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위치가 확인된 노드들을 최소 비용 신장 트리(Minimum Spanning Tree)로 표현하여 해당 최소 비용 신장 트리를 구성하는 각 노드 간의 거리의 합인 '전체 거리 합'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거래를 인증하는 단계는, 해당 거래 정보를 전달받은 노드들을 최소 비용 신장 트리(Minimum Spanning Tree)로 표현하여 해당 최소 비용 신장 트리를 구성하는 각 노드 간의 거리의 합인 '인증 거리 합'을 산출하고, '인증 거리 합'과 '전체 거리 합' 및 '해당 거래 정보를 전달받은 노드들의 개수'와 '위치가 확인된 노드들의 개수'를 이용하여 해당 거래를 인증할 수도 있다.
그리고, 거래를 인증하는 단계는, '전체 거리 합'에 대한 '인증 거리 합'의 비율('인증 거리 합' / '전체 거리 합')이 임계값 이상일 경우 해당 거래의 인증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거래를 인증하는 단계는, '전체 거리 합'에 대한 '인증 거리 합'의 비율('인증 거리 합' / '전체 거리 합')이 임계값 미만일 경우이더라도, '해당 거래 정보를 전달받은 노드들의 개수'가 '위치가 확인된 노드들의 개수'의 절반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거래의 인증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블록체인에 연결하는 단계는, 모든 노드에 대해, 거래 인증 결과로 생성된 블록을 각 노드의 블록체인에 추가로 연결시킬 수도 있다.
또한, 거래 인증 결과로 생성된 블록은, 해당 거래에 대한 거래 아이템 아이디가 기록될 수도 있다.
그리고, 거래 인증 결과로 생성된 블록은, 해당 거래에 대한 송신자 기기의 위치정보 및 수신자 기기의 위치정보가 기록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시스템에 의한 블록체인 거래인증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위치정보가 포함된 블록들로 구성된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단계; 거래가 발생되면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거래를 인증하는 단계; 및 거래 인증 결과로 생성된 블록을 블록체인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거래인증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수록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시스템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거래에 참여하는 기기; 및 위치정보가 포함된 블록들로 구성된 블록체인을 구성하고, 기기에 의해 거래가 발생되면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거래를 인증하며, 거래 인증 결과로 생성된 블록을 블록체인에 연결하는 블록체인 노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정보가 포함된 블록들로 구성된 블록체인을 구성하고, 거래가 발생되면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거래를 인증하며, 거래 인증 결과로 생성된 블록을 블록체인에 연결하는 블록체인 거래인증방법, 기록매체 및 블록체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위치정보가 확인되는 노드에 대해서만 블록체인 거래 인증을 위한 네트워크 컨센선스에 참여시킴으로써 거래 인증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거래 인증의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더 적은 노드가 블록체인 네트워크 컨센선스에 참여하면서도 더 안전한 인증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위치에 기반하여 거래이력을 추적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거래인증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하나의 블록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거래에 대한 내역이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체인 시스템(100)은 단말기기(110) 및 블록체인 노드(120)로 구성되며, 블록체인 노드(120)는 다른 블록체인 노드들로 구성된 블록체인 네트워크(130)에 연결된다.
단말기기(110)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거래에 참여하는 기기이다.
블록체인 노드(120)는 위치정보가 포함된 블록들로 구성된 블록체인을 구성하고, 기기에 의해 거래가 발생되면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거래를 인증하며, 거래 인증 결과로 생성된 블록을 블록체인에 연결하며, 생성된 블록을 블록체인 네트워크(130) 상의 다른 블록체인 노드들에 전달한다. 블록체인 노드(120)는 별도의 서버가 될 수도 있고, 상술한 단말기기(110)가 블록체인 노드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를 통해, 도 1의 블록체인 시스템(100)은 위치기반 블록체인을 구성하게 된다.
인터넷과 연결된 블록체인 노드(120)는 IP 주소나 블록체인 노드(120)에 장착된 무선 신호 수신기를 통해서 수집된 무선랜 신호 또는 이동통신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를 확인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위치기반 블록체인 시스템(100)은 위치가 확인된 블록체인 노드를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노드로 참여시킨다. 위치기반 블록체인 시스템(100)의 거래 인증을 위한 네트워크 컨센선스 메커니즘은 블록체인 노드의 위치 정보를 추가적으로 활용함으로써 거래 인증의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거래에 참여하는 단말 기기(110)(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등)는 GPS, 무선랜, 혹은 IP 주소를 이용하여 거래가 발생한 지점의 위치정보 혹은 거래가 처리된지점의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단말 기기(110)는 특정 거래에서 송신자 기기 또는 수신자 기기가 될 수 있다. 생성된 위치 정보는 확장된 블록의 바디부에 에 거래 대한 정보와 함께 기록된다.
단말 기기(110) 및 블록체인 노드(120)는 무선랜 신호를 활용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구글에서 제공하는 Wi-Fi Positioning System (WPS) 를 포함하여 무선랜 신호기반 위치인식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다. 단말 기기(110) 및 블록체인 노드(120)는 위치정보 생성에 IP 주소를 활용하는 경우에 무선랜 신호를 활용하는 방법에 비해서는 정확도가 다소 떨어진다. 따라서, 단말 기기(110) 및 블록체인 노드(120)는 IP 주소를 이용하는 방법 및 무선랜 신호를 이용하는 방법의 두 가지 방법을 모두 사용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말 기기(110) 및 블록체인 노드(120)는 IP 주소를 사용하여 생성한 위치정보와 무선랜 신호를 사용하여 생성한 위치정보 사이에 임계치 이상의 오차가 있는 경우, 해당 위치 정보는 이용하지 않고 해당 단말 기기(110) 및 블록체인 노드(120)는 위치를 알수 없는 것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고하여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블록체인의 거래를 인증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거래인증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우선, 블록체인 시스템(100)은 위치정보가 포함된 블록들로 구성된 블록체인을 구성한다(S210). 구체적으로, 블록체인 시스템(100)은 위치가 확인된 블록체인 노드들로 블록체인을 구성하며, 위치가 확인되지 않은 노드들은 블록체인에서 제외시킨다.
위치정보가 포함된 블록의 구조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하나의 블록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은 블록헤더부와 블록바디(Body)부로 구성되어 있고, 다양한 정보들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중에, 블록헤더부에 위치포인터(310)가 포함되어 있고, 블록바디부에 노드위치리스트(320)가 포함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블록체인에 참여하는 블록체인 노드의 위치정보는 블록의 헤더부와 블록의 바디부를 확장하여 기록된다.
위치포인터(310)는 블록바디부에서 노드위치리스트(320)가 기록된 부분을 나타내는 위치포인터 필드(4 Byte)에 해당된다.
노드위치리스트(320)는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블록체인 노드들의 정보가 위치정보와 함께 기록되어 있다. 노드위치리스트(320)는 새로운 노드가 블록체인에 참여하거나 제외될 경우 새로 업데이트 된다.
트랜잭션(330)은 하나의 블록체인 거래에 해당되는 정보가 기록된다. 트랙잭션(330)에는 해당 거래에 대응되는 거래번호 정보, 보내는 계좌번호, 받는 계좌번호, 거래 금액 등의 거래관련 정보가 기록되고, 또한 해당 거래에 대한 거래 아이템 아이디(ID), 송신자 기기 위치정보, 및 수신자 기기 위치정보가 기록된다. 즉, 거래 인증 결과로 생성된 블록은, 해당 거래에 대응되는 트랜잭션 필드에 해당 거래에 대한 거래 아이템 아이디가 기록된다. 또한, 거래 인증 결과로 생성된 블록은,해당 거래에 대한 송신자 기기의 위치정보 및 수신자 기기의 위치정보가 기록된다.
위치기반 블록체인 시스템(100)의 블록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다시 도 2를 기반으로 계속 설명한다.
블록체인 시스템(100)은 거래가 발생되면(S220-Y),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거래를 인증한다(S225).
구체적으로, 블록체인 시스템(100)은 거래를 인증하기 위해, 우선 위치가 확인된 블록체인 노드들을 최소 비용 신장 트리(Minimum Spanning Tree)로 표현하여 해당 최소 비용 신장 트리를 구성하는 각 노드 간의 거리의 합인 '전체 거리 합'을 산출한다.
최소 비용 신장 트리는 에지에 가중치가 주어진 네트워크에 대해서 모든 노드를 연결하면서 가장 적은 가중치 총합을 갖도록 하는 네트워크로 사이클이 존재하지 않아 트리 형태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노드 사이의 거리가 네트워크의 가중치로 취급된다. 최소 비용 신장 트리를 구하는 알고리즘으로는 Kruskal의 알고리즘이 널리 알려져 있고 본 실시예에서도 동일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최소 비용 신장 트리를 생성할 수 있다.
블록체인 시스템(100)은 '전체 거리 합'을 이용하여 블록체인 노드들의 분포가 잘 퍼져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같은 수의 블록체인 노드가 거래 인증을 위한 네트워크 컨센선스에 참여하는 서로 다른 두 개의 블록체인 시스템이 있다면, '전체 거리 합'이 더 큰 블록체인 시스템이 물리적으로 더 잘 분포된 것으로 간주된다. 더 넓은 영역으로 블록체인 노드들이 분포되어 있을 수록 더 신뢰할 수 있는 블록체인 시스템에 해당되는 것이다. 만약, 특정 집단이 블록체인 시스템의 블록체인 노드들을 장악하고 있다면, 해당 블록체인 노드들은 서로 가까이 위치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전체 거리 합'이 클수록 더 신뢰할 수 있는 블록체인 시스템인 것으로 가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 후에, 블록체인 시스템(100)은 해당 거래 정보를 전달받은 블록체인 노드들을 최소 비용 신장 트리(Minimum Spanning Tree)로 표현하여 해당 최소 비용 신장 트리를 구성하는 각 블록체인 노드 간의 거리의 합인 '인증 거리 합'을 산출하고, '인증 거리 합'과 '전체 거리 합' 및 '해당 거래 정보를 전달받은 블록체인 노드들의 개수'와 '위치가 확인된 블록체인 노드들의 개수'를 이용하여 해당 거래를 인증하게 된다. 여기에서, 해당 거래 정보를 전달받은 블록체인 노드들은 블록체인 시스템(100)에서 발생된 해당 거래에 대한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130)를 통해 전달받은 블록체인 노드들로, 인증에 참여하는 블록체인 노드들에 해당된다.
구체적으로, 블록체인 시스템(100)은 '전체 거리 합'에 대한 '인증 거리 합'의 비율('인증 거리 합' / '전체 거리 합')이 임계값 이상일 경우 해당 거래의 인증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에서, 임계값은 해당 거래의 인증이 완료되었다고 볼 수 있을 정도의 지역적 범위에 해당되는 거리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인증의 정도에 따라 값을 달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시스템(100)은 '전체 거리 합'에 대한 '인증 거리 합'의 비율('인증 거리 합' / '전체 거리 합')이 임계값 미만일 경우이더라도, '해당 거래 정보를 전달받은 블록체인 노드들의 개수'가 '위치가 확인된 블록체인 노드들의 개수'의 절반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거래의 인증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는 거리의 요건이 만족되지 않은 상태이더라도, 인증에 참여한 블록체인 노드의 개수가 전체 블록체인 노드의 개수의 절반을 초과할 경우에는 인증이 완료된 것으로 보는 것임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블록체인 시스템(100)은 거래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블록체인 시스템(100)은 상술한 인증 방식 이외에도, 위임지분증명 방식(Delegated Proof of Stake, DPoS)의 네트워크 컨센서스 인증 방식에 있어서도 위치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위임지분증명 방식은 블록체인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그룹을 대표하는 블록체인 노드를 선출하고 선출된 블록체인 노드 만이 네트워크 컨센선스에 참여하는 방식이다. 위치 정보는 위임지분증명 방식에 있어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록체인 시스템(100)은 위임지분증명 방식에 참여하는 대표 블록체인 노드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일정 거리 이상 떨어져 있는 블록체인 노드들을 대표 블록체인 노드로 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블록체인 시스템(100)은 대표 블록체인 노드들의 물리적 분포가 골고루 이루어질 수 있는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도, 블록체인 시스템(100)은 최소 비용 신장 트리를 생성하고 생성된 최소 비용 신장 트리를 이용하여 인증에 참여하는 대표 블록체인 노드들을 결정할 수도 있다.
그 후에, 블록체인 시스템(100)은 거래 인증 결과로 생성된 블록을 블록체인에 연결한다(S230). 그리고, 블록체인 시스템(100)은 거래 인증 결과로 생성된 블록을 다른 블록체인 노드들에 블록체인 네트워크(130)를 통해 전달하게 된다(S240). 즉, 블록체인 시스템(100)은 모든 노드에 대해, 거래 인증 결과로 생성된 블록을 각 노드의 블록체인에 추가로 연결시키게 된다.
또한, 거래 인증 결과로 생성된 블록은 해당 거래에 대한 거래 아이템 아이디가 기록된다. 그리고, 거래 인증 결과로 생성된 블록은 해당 거래에 대한 송신자 기기의 위치정보 및 수신자 기기의 위치정보가 기록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블록체인 시스템(100)은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거래를 인증할 수 있게 된다.
위치정보는 블록체인의 네트워크 컨센선스 성능을 향상시키고 안전성을 높이는 데 있어서만 유용한 것은 아니다. 인증이 완료되어 블록에 저장되는 내용에 거래의 위치를 포함시킴으로써 추후 거래 이력을 추적할 때 위치에 기반하여 추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익명성을 보장하는 블록체인은 때로는 지나친 익명성 보장으로 문제가 되기도 한다. 세금 탈루, 마약 거래 등과 같은 거래에 블록체인을 활용한 P2P 거래 방식이 악용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저장되는 거래의 내용에 거래의 위치가 기록으로 남고 추후 이를 추적할 수 있으면 블록체인의 지나친 익명성 보장으로 야기되는 문제를 예방하거나 완화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블록체인 시스템(100)은 모든 거래에 대해서 거래를 요청한 단말 기기(110)의 위치정보와 해당 거래 요청을 처음으로 인지하고 거래 인증을 요청한 블록체인 노드(120)의 위치정보를 블록에 저장하고, 이를 추후 위치기반 거래 이력 추적에 활용하게 된다.
거래를 발생시키기 위한 송금과 같은 금융 거래는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나 PC와 같은 단말 기기(110)를 통해서 요청된다. 따라서, 블록체인 시스템(100)은 우선 해당 단말 기기(110)의 위치정보를 기록한다. 단말 기기(110)의 위치 정보는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GPS 혹은 Wi-Fi 무선신호를 수집하여 파악할 수 있다. 유선으로 연결된 PC의 경우에는 GPS 신호를 사용할 수 없으나, 연결된 PC의 IP 주소 그리고 Wi-Fi 무선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가 부착된 PC의 경우에서 무선신호를 사용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IP 주소나 Wi-Fi 무선랜 신호를 사용하여 생성된 위치정보의 경우에는 사용되는 위치인식 시스템의 성능에 따라 위치 정확도가 달라질 수 있다.
블록체인 시스템(100)에서 단말 기기(110)를 통해 거래가 발생되면, 해당 거래는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블록체인 노드(120)로 전달되고, 블록체인 노드(120)는 거래 인증을 위해 해당 거래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130)를 통해 전달하게 된다. 이 때, 블록체인 네트워크(130)는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여 거래를 전달하며, 생성되는 블록의 바디부에 거래 정보가 포함된다. 그 각각의 거래정보에는 거래 인증 결과로 생성된 블록은 해당 거래에 대한 송신자 기기의 위치정보 및 수신자 기기의 위치정보가 기록된다. 위치 정보는 WS 84, 경도 위도 좌표 체계가 사용될 수도 있고, 위치인식 시스템이 제공하는 좌표 체계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블록체인 시스템(100)은 거래 이력을 위치를 기반으로 추적하기 위해, 거래되는 아이템에 대해서 이들이 최초로 생성되는 시점에 해당 거래 아이템 아이디(ID)를 신규로 발급하여 블록의 바디부에 기록하게 된다.
블록체인 시스템(100)이 위치 기반으로 거래 이력을 추적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블록체인 시스템(100)은 위치에 기반하여 거래를 추적하기 원하는 거래 아이템 아이디(ID)를 취득하면, 해당 거래 아이템 아이디에 대응되는 블록을 블록체인 네트워크(130)에서 찾고 해당 블록에 기록된 거래 관련 위치정보를 참고하여, 거래가 일어난 지점들을 물리적 공간 지도 상에 배치하고, 시간의 추이에 따라 해당 지점들을 상호 연결함으로써, 거래 이력을 물리적 공간 지도상에 가시화하고 거래 이력을 위치에 기반하여 추적할 수 있게 된다. 거래 위치는 거래를 요청한 단말 기기의 위치정보, 그리고 거래를 요청한 단말 기기와 연결된 블록체인 노드의 위치정보를 각각 구분하여 표현할 수도 있고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블록체인 시스템(100)은 거래 이력을 위치에 기반하여 추적할 수 있게 된다. 이런 거래 이력 추적시스템을 구현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할 수 있다. 거래 이력 추적 시스템을 별도의 응용 시스템으로 만들어서 구현할 수도 있고 블록체인에 거래 이력 추적 기능을 추가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또는 그 기능을 블록체인과 거래 이력 추적시스템에 적절하게 분산시킬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거래에 대한 내역이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블록체인 시스템(100)은 위치기반 거래이력 추적을 위해 특정 거래의 스냅샷을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래 정보 화면에는 거래아이템 아이디(310), 송신자 위치정보(320) 및 수신자 위치정보(330)도 함께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블록체인 시스템(100)은 위치기반 거래이력 추적이 가능하게 되므로, 비록 익명이라 해도 거래된 지점에 대한 정보가 블록에 저장되어 위,변조 되지 못하는 만큼 악의적이고 탈법적인 사용을 예방하고, 사건이 발생한 뒤에 추적하여 적발할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위치기반 블록체인 시스템(100)은 기존의 거래이력 추적 시스템에 비해서 훨씬 더 강력한 거래 이력 추적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기능 및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 코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읽을 수 있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어떤 데이터 저장 장치이더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디스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플래시 메모리,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SSD)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또는 프로그램은 컴퓨터간에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블록체인 시스템
110 : 단말 기기
120 : 블록체인 노드
130 : 블록체인 네트워크

Claims (12)

  1. 블록체인 시스템에 의한 블록체인 거래인증방법에 있어서,
    위치정보가 포함된 블록들로 구성된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단계;
    거래가 발생되면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거래를 인증하는 단계; 및
    거래 인증 결과로 생성된 블록을 블록체인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거래인증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위치정보가 포함된 블록은,
    블록헤더부에 위치포인터가 포함되어 있고, 블록바디부에 노드위치리스트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거래인증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단계는,
    위치가 확인된 노드들로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거래인증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위치가 확인된 노드들을 최소 비용 신장 트리(Minimum Spanning Tree)로 표현하여 해당 최소 비용 신장 트리를 구성하는 각 노드 간의 거리의 합인 '전체 거리 합'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거래인증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거래를 인증하는 단계는,
    해당 거래 정보를 전달받은 노드들을 최소 비용 신장 트리(Minimum Spanning Tree)로 표현하여 해당 최소 비용 신장 트리를 구성하는 각 노드 간의 거리의 합인 '인증 거리 합'을 산출하고, '인증 거리 합'과 '전체 거리 합' 및 '해당 거래 정보를 전달받은 노드들의 개수'와 '위치가 확인된 노드들의 개수'를 이용하여 해당 거래를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거래인증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거래를 인증하는 단계는,
    '전체 거리 합'에 대한 '인증 거리 합'의 비율('인증 거리 합' / '전체 거리 합')이 임계값 이상일 경우 해당 거래의 인증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거래인증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거래를 인증하는 단계는,
    '전체 거리 합'에 대한 '인증 거리 합'의 비율('인증 거리 합' / '전체 거리 합')이 임계값 미만일 경우이더라도, '해당 거래 정보를 전달받은 노드들의 개수'가 '위치가 확인된 노드들의 개수'의 절반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거래의 인증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거래인증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블록체인에 연결하는 단계는,
    모든 노드에 대해, 거래 인증 결과로 생성된 블록을 각 노드의 블록체인에 추가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거래인증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거래 인증 결과로 생성된 블록은,
    해당 거래에 대한 거래 아이템 아이디가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거래인증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거래 인증 결과로 생성된 블록은,
    해당 거래에 대한 송신자 기기의 위치정보 및 수신자 기기의 위치정보가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거래인증방법.
  11. 블록체인 시스템에 의한 블록체인 거래인증방법에 있어서,
    위치정보가 포함된 블록들로 구성된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단계;
    거래가 발생되면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거래를 인증하는 단계; 및
    거래 인증 결과로 생성된 블록을 블록체인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거래인증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2. 블록체인을 이용한 거래에 참여하는 기기; 및
    위치정보가 포함된 블록들로 구성된 블록체인을 구성하고, 기기에 의해 거래가 발생되면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거래를 인증하며, 거래 인증 결과로 생성된 블록을 블록체인에 연결하는 블록체인 노드;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시스템.
KR1020180138159A 2018-11-12 2018-11-12 위치정보를 이용한 블록체인 거래인증방법, 기록매체 및 블록체인 시스템 KR102170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159A KR102170031B1 (ko) 2018-11-12 2018-11-12 위치정보를 이용한 블록체인 거래인증방법, 기록매체 및 블록체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159A KR102170031B1 (ko) 2018-11-12 2018-11-12 위치정보를 이용한 블록체인 거래인증방법, 기록매체 및 블록체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4634A true KR20200054634A (ko) 2020-05-20
KR102170031B1 KR102170031B1 (ko) 2020-10-26

Family

ID=70919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8159A KR102170031B1 (ko) 2018-11-12 2018-11-12 위치정보를 이용한 블록체인 거래인증방법, 기록매체 및 블록체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03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01791A (zh) * 2021-01-29 2021-05-14 武汉大学 一种基于授权的区块链共识方法及系统
CN113421160A (zh) * 2021-06-21 2021-09-21 华中科技大学 一种基于区块链的交易追踪溯源方法
KR20220091202A (ko) * 2020-12-23 2022-06-30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데이터 분석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분석 서비스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91756A1 (en) * 2015-07-14 2017-03-30 Fmr Llc Point-to-Point Transaction Guidance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KR20180012061A (ko) * 2016-07-26 2018-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일을 안전하게 삭제하는 호스트, 스토리지 시스템 및 호스트의 동작방법
US20180083786A1 (en) * 2016-09-22 2018-03-22 Google Inc. Methods and systems of performing tamper-evident logging using block lattices
KR101842476B1 (ko) * 2017-07-19 2018-03-27 이영호 전자화폐를 이용한 전자 상거래방법
KR20180041043A (ko) * 2017-05-25 2018-04-23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m of n 다중 서명에 의한 인증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91756A1 (en) * 2015-07-14 2017-03-30 Fmr Llc Point-to-Point Transaction Guidance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KR20180012061A (ko) * 2016-07-26 2018-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일을 안전하게 삭제하는 호스트, 스토리지 시스템 및 호스트의 동작방법
US20180083786A1 (en) * 2016-09-22 2018-03-22 Google Inc. Methods and systems of performing tamper-evident logging using block lattices
KR20180041043A (ko) * 2017-05-25 2018-04-23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m of n 다중 서명에 의한 인증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KR101842476B1 (ko) * 2017-07-19 2018-03-27 이영호 전자화폐를 이용한 전자 상거래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1202A (ko) * 2020-12-23 2022-06-30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데이터 분석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분석 서비스 방법
CN112801791A (zh) * 2021-01-29 2021-05-14 武汉大学 一种基于授权的区块链共识方法及系统
CN112801791B (zh) * 2021-01-29 2023-06-16 武汉大学 一种基于授权的区块链共识方法及系统
CN113421160A (zh) * 2021-06-21 2021-09-21 华中科技大学 一种基于区块链的交易追踪溯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0031B1 (ko) 2020-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78554A1 (en) Techniques For Expediting Processing Of Blockchain Transactions
US112836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replay attack
US11677790B2 (en) Multi-dimensional drift nuance intelligence threat engine
US11900271B2 (en) Self learning data loading optimization for a rule engine
EP3545665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replay attack
US20160094947A1 (en) Bluetooth-Based Positioning Method and Apparatus
US107354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replay attack
US10299191B2 (en) Method and device for establishing wireless connection
US20170308898A1 (en) System and method of recognizing transactions as trusted
KR102170031B1 (ko) 위치정보를 이용한 블록체인 거래인증방법, 기록매체 및 블록체인 시스템
US20170358196A1 (en) Method for disaster notification service not requiring collecting of location information, and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and application system thereof
US10939228B2 (en) Mobile device location proofing
WO2021098028A1 (zh) 渐进式全球定位系统及其方法
CN105323210A (zh) 一种检测网站安全的方法、装置及云服务器
CN109522462B (zh) 一种基于区块链的云查询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hang et al. Protecting mobile crowd sensing against sybil attacks using cloud based trust management system
US11227220B2 (en) Automatic discovery of data required by a rule engine
US11948452B2 (en)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traffic information using blockchain technology
KR101909268B1 (ko) Rapi 기반 프로파일링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EP3562090B1 (en) Data processing device for processing a radio signal
EP4270864A1 (en) Transaction authorization and verification through distributed-ledger-based chain of custody
US2023003938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predicting a future value of real estate assets
Kanak et al. Integrated secure distance bounding and hardware-based security: A case study for the insurance claim verification of farmers during COVID-19
CN112070500B (zh) 基于数字金融服务的区块链支付处理方法及云计算中心
Akram et al. Empirical Evaluation of Ambient Sensors as Proximity Detection Mechanism for Mobile Pay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