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3786A - Virtual Reality Album - Google Patents

Virtual Reality Albu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3786A
KR20200053786A KR1020180137093A KR20180137093A KR20200053786A KR 20200053786 A KR20200053786 A KR 20200053786A KR 1020180137093 A KR1020180137093 A KR 1020180137093A KR 20180137093 A KR20180137093 A KR 20180137093A KR 20200053786 A KR20200053786 A KR 20200053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bum
user
viewing
virtual spac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70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월드원미디어 주식회사
Original Assignee
월드원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월드원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월드원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7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3786A/en
Publication of KR20200053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378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06Q50/50
    • H04N13/0232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and convenient photo viewer system in which a user creates his or her picture and video by means of a virtual space (VR) on a web browser. The user can look back on memories with his or her mobile phone, with ease, and without paper album-based memory sharing. In addition, the user can share the memories with ease.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using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VR) album content includes: (A) a step of accessing by means of a PC or a mobile machine and then experiencing 360° browsing of a three-dimensional place or facility via movement icon navigation such as an arrow; (B) a step of being capable of viewing a VR album in a space selected in the space and watching the user′s memories and recording album by clicking while viewing each object-specific picture in the VR album of the step (B); (C) a step of being capable of leaving a message and a contact by moving to guest book view by clicking of a selective icon in the step (B); and (D) a step of being capable of real-time chatting by clicking a guest book window icon in the step (C).

Description

인터넷웹 브라우져에 3차원 가상공간(VR)에 사진이나 영상으로 앨범을 만들어 보다 편리한 형식의 앨범을 제공하는 시스템{Virtual Reality Album}A system that provides an album in a more convenient format by making an album of photos or videos in a 3D virtual space (VR) on an internet web browser {Virtual Reality Album}

본 발명은 인터넷 웹브라우저에 가상공간(VR)을 이용하여 사진과 영상을 담아서 앨범을 만드는 시스템, 4차 혁명에 트랜드에 맞게 기존에 있던 앨범을 들고 다니는 번거로움이 없이 스마트폰으로 누구나 손쉽게 사이트에 들어가 사진을 볼 수 있고, 학교에 직접가지 않고 학교에 외형 건물이나 내부 모습을 자세히 360도 전방향을 돌아보며 체험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uses a virtual space (VR) on an internet web browser to create an album that contains photos and videos, and it is easy for anyone to easily access the site with a smartphone without the hassle of carrying an existing album in line with the trend in the 4th revolution. It is about a system and a method that allows you to enter and view photos, and provide a 360-degree look and feel of the exterior or interior of the school in detail without going directly to the school.

최근들어 4차혁명에 가장 대표적인 수단인 가상공간(VR) 매체가 떠오르는 시점이다. 가상공간이란? 컴퓨터로 만들어 놓은 가상의 세계에서 사람이 실제와 같은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최첨단 기술을 말한다. 머리에 장착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인 HMD를 활용해 체험할 수 있다. 이 기술을 이용하여 기존에 있던 들고 다니기 무겁고, 방구석에 방치만 되어있었던 책자앨범을 대체하고 있다. 가상 현실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각종 사진, 영상을 보관하고 실행시켜 사용자들의 기본 수단으로 발전되었다.It is the time when the virtual space (VR) medium, which is the most representative means in the 4th Revolution, recently emerged. What is virtual space? It is a state-of-the-art technology that enables a person to experience life in a virtual world created by a computer. You can experience using HMD, a display device mounted on your head. Using this technology, it replaces the existing album that was heavy to carry and was left alone in the corner of the room. Virtual reality has been developed as a basic means for users by storing and executing various photos and videos using a smartphone.

[종래의기술][Conventional technology]

본 발명은 인터넷 웹 브라우져에 3차원 가상공간(VR)앨범을 만들어 사용자의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reate a 3D virtual space (VR) album on the Internet web browser,

추억,기록적 사진이나 영상을 저장해 사용자가 보는 것이다. Memories, record photos or videos are stored and viewed by the user.

앨범은 사진 ·서화 ·우표 ·크리스마스 카드 등을 붙여 두는 두꺼운 종이의 사진첩. 기원은 고대 로마의 집정관(執政官)의 이름이나 의사록(議事綠)을 기록하는 흰색 석판에서 유래하며, 당초에는 사진을 정리해 붙여서 파손과 분실을 방지하여 오래 보존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이었다. The album is a photo album of thick paper with photos, calligraphy, stamps, and Christmas cards. The origin comes from a white slab that records the name or minutes of an ancient Roman consul, and was originally intended to prevent damage and loss by organizing photographs and preserving them for a long time.

표지는 종이 ·천·가죽 등 간단한 것으로부터 호화로운 것까지 있고, 장정(裝幀)에 많은 신경을 쓰고 있으며, 금박 ·은박까지 한 고급품도 있다. 대지(臺地)는 흑 ·백색 이외에 연한 색에서 짙은 색에 이르기까지 취미와 용도에 따라 다양하다. Covers range from simple things such as paper, cloth, and leather, to luxurious ones, and they pay much attention to longevity, and there are also high-end products such as gold and silver foil. The land varies from light to dark, in addition to black and white, depending on your hobbies and uses.

역사만큼 이나 앨범은 인류에게 오랜 추억을 간직 할 수 있고 소장 할 수 있게 해주는 필수 아이템이다.As much as history, albums are a must-have item for humans to keep and retain their long memories.

그러나 오늘 날의 앨범은 우리의 소중한 추억이 가치만큼 크게 진화하지 못했다.However, today's album did not evolve as much as our precious memories.

표면적인 디자인은 화려해졌지만, 기능적 이고,하드웨어 적인 측면은 시대흐름에 맞게,진화 하지 못해 그 쓰임새는 많이 퇴색돼 우리 집 어딘가에 잠자고 있다.The surface design is gorgeous, but the functional and hardware aspects are not able to evolve according to the times, and its use has faded so much that it is sleeping somewhere in our home.

뿐만 아니라 활용도에 있어서 급변하는 신인류의 시대에는 맞지 않아 비싼 비용을 지불해 가며 앨범을 만들어 놓고도 평생 한번 꺼내보지도 않는 사람들도 있다.In addition, there are people who don't even take out their albums once in a lifetime, even if they make albums, paying a high price because they don't fit in the era of new humanity that is rapidly changing in utilization.

추억을 간직하고 소장하는 것은 인류에게 있어서 변하지 앉는 가치관 일 것이다.Storing and holding memories will be an unchanging value for mankind.

하지만 오늘날 인류는 시각적인 변화와 하드웨어 적인 측면만 바도 많은 변화와 패러다임을 시사한다.However, today humanity suggests a lot of change and paradigm in terms of visual change and hardware.

컴퓨터 나,모바일 기기와 같은 기술 발달로 인류는 모든 데이터 정보와 인터페이스가 가능 해졌고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의 발달로 서로 교류하며 소통하고 많은 정보를 주고 받는 일들도 가능해졌다.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such as computers and mobile devices, humans have been able to interface with all data information, and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applications,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communicate, and exchange a lot of information.

이러한 시대에 지금의 종이 앨범은 추억을 간직하고 저장하는 것에만 부합했지 기능 적인 측면과 휴대성,하드웨어 적인 측면은 발전이 미흡해 앞서 말한 거와 같이 우리 집 어딘가에 혹은 어딘지 찾지 못하는 곳에 잠들어 있다.In this era, the paper album now only fits in keeping and storing memories. The functional aspect, portability, and hardware aspect are poorly developed, and as mentioned earlier, we are asleep somewhere in our home or where we can't find it.

앨범의 필요성이나 소중함은 알지만 그것을 방치 하고 사용을 안 한다면, 그것은 한낯 쪽지에 불과 한 것이라 생각 된다. 그런데도 상징적인 의미로 남아 아직도 많은 소비를 한다. 하지만 그 시장도 이젠 예전만 못한 것도 사실이다. 학교에는 구입을 해놓고도 찾아가지 않는 앨범들도 많이 쌓여 있다고 한다.I know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the album, but if I neglect it and don't use it, I think it's just a note. Still, it remains symbolic and still consumes a lot.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the market is no longer as it used to be. It is said that there are a lot of albums in the school that are not visited even after purchase.

또한 아이를 키우는 부모들도 이젠 앨범이 짐처럼 여겨진다고들 한다.이러한 문제점들이 많이 있는 데도 앨범은 근본적인 틀을 벗어 나지 못하고 있다. Also, parents who raise children say that the album is now considered to be a burden, and despite many of these problems, the album is still out of the fundamental framework.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Task to be solv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서의 한계와 단점에 의해 발생되는 다양한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 사용자 참여형 3차원 가상공간 이미지 생성 방법과 이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 하는 것이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user-participating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image that can substantially compensate for various problems caused by limitations and disadvantages in the prior art. It is to provide a generating method and a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VR앨범을 통해 기존앨범보다 더 편리하고 간편하게 앨범을 찾아 볼수 있으며, 또 공간이나 시간에 제약없이 콘텐츠를 이용하여 공감과 공유를 하도록 쉽게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urpose to provide a more convenient and convenient way to find an album through a VR album, and to easily share and share content using content without limitation in space or time.

또한, 본 발명 VR앨범은 사용자간에 서로 상호작용으로 교류하고 공유하는 관계를 증진 시킬 수 있으며, 가상공간에서 직접 가지 않고 체험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VR albu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mote a relationship between users interacting with each other and sharing, and has a purpose to provide a method for experiencing without going directly in a virtual space.

본 발명에서 하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perform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re clearly understoo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able to.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참여형 3차원 가상공간(VR) 앨범 이미지 생성 방법은 스틸 사진을 360도 로 돌려 가며 촬영한 이미지를 웹 코딩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개체 이미지와 상기 입력 이미지 사이에 대응점을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 이미지로부터 스크린 좌표를 계산하고 개체영역에 정보에 명령어를 넣는 과정과, 이미지 워핑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스틸 사진의 이미지를 텍스쳐 맵 으로 변환하여 3차원 이미지에 정보를 저장해 보여주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generating a user-participating 3-dimensional virtual space (VR) album image is performed by rotating a still picture at 360 degrees and using a web coding algorithm to record an image taken between the object image and the input image.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corresponding point in the process, calculating the screen coordinates from the input image and putting the command into the object area, and converting the image of the still picture into a texture map using an image warping algorithm to inform the 3D ima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ocess for storing and showing.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3차원 가상공간(VR) 앨범 콘텐츠는 3차원 이미지 속에 이동 경로 표시를 구현하여 이동 하는 것을 포함 하며,이동 경로에 따른 이미지 구현과 그래픽, 텍스트, 음성 정보와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사용자 제어 시퀀스에 대한 상호 작용 방법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 graphical user interface), 웹 사용자 인터페이스(WUI : web user interface), 명령 줄 인터페이스(CLI : command-line interface), 배치 인터페이스(batch interface), 터치 인터페이스(touch interface), 음성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 한다.The contents of the 3D virtual space (VR) alb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moving by implementing a movement path display in a 3D image, and realizing an image according to the movement path and graphic, text, voice information, and a user Through interactive methods for user-controlled sequences to control the program. User interface,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web user interface (WUI), command-line interface (CLI), batch interface, touch interface , Includes a voice user interfac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3차원 가상공간 (VR) 앨범은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 In addition, the 3D virtual space (VR) alb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cessed through an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하며,3차원 가상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이미지.영상과 같은 3차원 공간에 필요한 모든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여 제공하는 서버, 상기 서버에 접속함에 의하여 생성 되며,상기 서버에 의하여 제공되는 3차원 가상공간에서의 실제 사용자가 제어하고 볼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들과 도 상호 통신, 소통을 할 수 있는 것을 포함 하며, 장소, 공간을 구분 없이 PC, 핸드폰. 각종 모바일 기기를 통해 볼 수 있다.In order to provide a 3D virtual space, a server that stores and provides all data information necessary for a 3D space such as an image and a video, and is generated by accessing the server, in the 3D virtual space provided by the server The real user can control and view it, and it can also communicate with and communicate with other users. PC, mobile phone, regardless of place or space. It can be viewed through various mobile devices.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가상공간 (VR) 앨범은 사용자 PC,모바일 기기를 통해 장속 구분 없이 언제 어디서나 앨범을 볼 수 있는 휴대성이 있으며,또한 학교 홈페이지를 통해 언제든 볼 수 있기 때문에 기존 앨범과 달리 분실우려가 없다.The 3D virtual space (VR) alb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portability to view the album anytime, anywhere without any discrimination through the user's PC and mobile device, and is also lost because it can be viewed at any time through the school website. There is no concern.

3차원 공간을 360도로 보여 주므로 기존앨범과 달리 장소에 대한 공간적 정보를 담을 수 있어, 좀 더 직관적이고 스마트하게 과거의 추억을 연상 하며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ince it shows the 3D space in 360 degrees, it can store spatial information about the place unlike existing albums, so it is more intuitive and smart, reminiscent of past memories.

또,사용자 참여형 실시간 채팅을 하수 있으며 친구 찾기도 할 수 있으며, 년도 별 앨범 자료를 학교 홈페이지에 저장하여 학생들이 언제든 자료를 열람할수 있어, 학교의 변화한 모습을 눈으로 쉽게 알 수 있고, 직접 학교를 방문하지 않아도, 학교 구석구석을 체험하듯이 360º VR로 볼수 있다. 사진뿐만 아니라 영상을 등록하여 사진보다 더 자세하고 기능적인 정보를 담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users can participate in real-time chat, find friends, and store album data for each year on the school's homepage so that students can view the material at any time, making it easy to see the changes in the school with their own eyes. Even if you don't visit, you can view it in 360º VR just like you experience every corner of the school. It is also possible to register not only pictures, but also images to contain more detailed and functional information than pictures.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앨범형식을 페이지에 기입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페이지에 접근하여 앨범에 들어가는 방법을 설여하기 위한 전체 흐름도이다.
도면3는 본 발명의 직접적인 페이지를 예시로 들어 자세하게 설명하여 차질이 없이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을 포함 하고 있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writing a user album format on a p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overall flow chart for explaining how a user accesses a page and enters an alb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ncludes a direct pag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and is described in detail to provide a system that can be used without a hitch.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a user's or operator's intention or precedent.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면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앨범 가상공간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user album virtual spa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앨범 가상공간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전체 흐름도이며,도2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이용해 사이트에 접속한다. 사이트에 도착하면 도면3과 같이 유치원교실 메인화면이 제공된다.FIG. 2 is an overall flow chart providing a method of using a user album virtual spa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a user first accesses a site using a smartphone. Upon arrival at the site, the main screen of the kindergarten classroom is provided as shown in Figure 3.

도면3은 사용자가 사이트에 접근하면 등장하는 메인화면을 구성한 것이다.Figure 3 shows the main screen that appears when the user accesses the site.

도면3,4,5을 보면 네비게이션 캐릭터가 등장하게 되는데 이는, 네비게이터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클릭하면 문을 열고 앞으로의 진입이 가능하다.Looking at the drawings 3, 4, and 5, a navigation character appears, which acts as a navigator and, when clicked, opens the door and allows entry into the future.

도면3에서 네비게이션 캐릭터를 클릭하면 도면4에서 보듯이, 각 사용자가 클릭한 방을 화면이동이 가능하다. When the navigation character is clicked in Fig. 3, as shown in Fig. 4, the room clicked by each user can be moved.

도면5에서 보면, 각 방안에 졸업액자를 두고 졸업액자를 클릭하면 페이지가 이동하면서 도면 6과 같이 사용방법이 나온다. As shown in Fig. 5, when the graduates are placed in each room and the graduates are clicked, the page moves and the usage method is shown as in Fig. 6.

도면6에 그림을 이해하였다면 도면7로 화면을 이동한다. 이동한 후, 도면7을 참조하면 각 사용자의 앨범사진을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도면7에서 검은색 부분을 PC나 모바일로 클릭이나 터치를 하여 드래그 하면 360도 전방향을 볼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이 생동감과 실사같은 느낌을 제공한다. If the figure in Figure 6 is understood, the screen moves to Figure 7. After moving, referring to Fig. 7, album pictures of each user are provided. And in Figure 7, the black part is clicked or touched with a PC or mobile and dragged and dragged to see the 360-degree direction, providing a more vivid and realistic look.

도면7에서 각 사용자의 앨범사진을 클릭하게 되면, 도면8과 같이 앨범형식의 사진으로 화면이동을 한다.If you click each user's album photo in Figure 7, the screen moves to the album type photo as shown in Figure 8.

도면8에 사진으로 메인화면으로 제공하는 바이고, 도면9처럼 끝에 부분을 책자를 넘기는 형식으로 드래그를 하면 다음 페이지로 넘어가는 형식을 제공하는 바이다. 그리고 앨범형식에 추가로 이전에 찍었던 동영상을 넣어 보다 생생하게 볼 수 있도록 제공한다.It is a bar that provides a main screen as a picture in Figure 8, and provides a form to move to the next page by dragging the part in the form of turning a booklet at the end as shown in Figure 9. In addition, an album format is added to provide a more vivid view of the video.

도면10으로 넘어가면서 책자형식으로 되고 왼쪽을 끝모서리 부분을 드래그하게 되면 이전 페이지를 책장 형식으로 넘기는 것이 가능하다.Turning to the drawing 10, it becomes a booklet form, and if the left edge is dragged, it is possible to turn the previous page to the bookshelf form.

또한 도면7번과 같은 도면 12번에서 각 사용자의 졸업사진 밑에 있는 ‘방명록남기기’라는 메뉴를 제공한다. 그 부분을 클릭하게 되면, 새로운 창이 뜨며, 들어간 사용자의 방명록에 입장이 가능하다. 또한, 방명록 뿐만아니라 사용자 참여형으로 서로간에 실시간으로 채팅 및 쪽지 보내는 것이 가능하여 교류가 용이하도록 제공한다.In addition, in Figure 12, such as Figure 7, a menu called 'Leave Guestbook' is provided below each user's graduation photo. When you click on that part, a new window appears, and you can enter the guestbook of the user who entered. In addition, as well as a guestbook, it is possible to exchange and facilitate chatting and sending messages in real time between each other in a user-participating manner.

방명록에서 새로운 글이 올라오면, 색깔 표시를 다르게 나타내서 사용자가 알아볼 수 있도록 제공한다.When a new article is uploaded from the guest book, the color display is displayed differently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it.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환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termined by returning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interpreted to include the claims and equivalents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Claims (4)

인터넷을 웹 브라우져 를 통해 사용자가 접속 했을 때 (VR) 이미지가 보여 지는 단계와,이미지속에 3차원 공간을 표현에 실내를 사용자가 체험하며 이동하면서 공간속 정보를 터치 해 가며 볼 수 있으며,PC,모바일 기계를 이용해 접속 후 3차원 공간의 장소, 시설을 화살표와 같은 이동 아이콘 네비계이션을 통해 360도 둘러보며 체험 하는 과정.
(VR)속 앨범을 보며 서로 채팅이나 정보를 교류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이다.
앨범 속에서 각 개체별 사진을 보며 클릭 하여 사용자의 추억,기록 앨범을 보는 과정
When the user accesses the Internet through a web browser, the (VR) image is displayed, and the user experiences and moves the room in expressing a three-dimensional space in the image. After connecting using a mobile machine, you can experience the place and facilities of a 3D space through a moving icon navigation, such as an arrow, through 360 degrees.
(VR) This is a content that provides an interface to chat and exchang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while viewing the album.
The process of viewing user's memories and record albums by clicking while viewing photos of each individual in the albu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VR) 콘텐츠는 사용자 끼리 방명록을 통해 연락처와 메세지 전달을 할 수 있고 친구찾기도 할 수 있으며,
3차원 가상공간에서의 실제 사용자가 제어하고 볼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들과 도 상호 통신, 소통을 할 수 있는 것을 포함 한다. 더욱이 새로운 메시지나 소식이 등록되면, 업데이트를 통해 사용자가 쉽게 식별 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According to claim 1, The (VR) content can be delivered to the contact and message through a guest book between users, and can also find friends,
This includes controlling and viewing a real user in a 3D virtual space, and communicating with and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Moreover, when a new message or news is registered, it is displayed for easy identification by the user through an update.
사용자 웹브라우져 가상공간(VR)을 이용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사이트에 접속하여 사용자 단말로 가상공간(VR)앨범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건물과 내부 모습 사진을 수신하여 사용자가 직접 가서 본 것 같이 360도 전방향으로 돌리며 볼 수 있도록 하는 과정과;

(B) 상기 (A)과정 후, 사용자가 네비게이션 캐릭터를 따라서 각 반에 화면을 이동할 수 있는 과정과;

(C) 상기 (B)과정 후, 반에 있는 앨범액자를 선택하여 사용자의 앨범사진페이지로 이동하는 과정과;

(D) 상기 (C)과정 후, 앨범사진 페이지에서 사용자의 사진을 클릭하면 앨범책자형식으로 화면 이동하여 끝 모서리를 드래그하여 책을 넘기듯이 이동하면 되는 과정과;

(E) 앨범사진에서 사용자의 사진 밑에 있는 방명록메뉴를 클릭하면 방명록을 등록하여 사용자와의 교류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과정과;

(F) 상기 선택된 콘텐츠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동작시키는 과정으로서 각 콘텐츠에 등장하는 사용자 참여형 3차원 영상에 따라 이동하며 사용자의 사진을 등록하여 더 실제 공간처럼 구성하여 좀 더 쉽게 앨범에 접근하기 쉬운 제공방법
In a method of providing a virtual space (VR) album content to a user terminal by accessing a site that provides content using the user web browser virtual space (VR),

(A) receiving a picture of the building and the inside view taken through the camera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and allowing the user to view it by turning 360 degrees in all directions as seen by the user;

(B) after the process (A), the user can move the screen in each class along the navigation character;

(C) after the step (B), selecting an album frame in the class and moving to a user's album photo page;

(D) After the process (C), when a user's picture is clicked on the album photo page, the screen moves in the form of an album booklet, and the end corner is dragged to move as if turning a book;

(E) the process of registering a guestbook and effectively interacting with the user by clicking the guestbook menu below the user's photo in the album photo;

(F) As the process of operating the selected content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it moves according to the user-participating 3D image appearing in each content, and registers the user's photos to make it more like a real space, making it easier to access the album. How to provide
본 발명, VR앨범 (Vertual Reality Album)은 VR을 이용하여 앨범을 만들어 사용자가 보다 생생하게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졸업앨범, 웨딩앨범, 유아앨범등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VR앨범은 이러한 앨범들이 모두 VR을 활용하여 만든 모든 앨범을 총괄하고 있으며, 앨범안에 사진 뿐만 아니라 영상까지 포함하여 넣은 것들을 말한다.
The present invention, VR album (Vertual Reality Album) is to make the album more vividly visible to the user by creating an album using VR, and includes a graduation album, a wedding album, an infant album, and the like.
In addition, VR albums refer to all of these albums, which cover all albums created using VR, and include photos as well as videos in the album.
KR1020180137093A 2018-11-09 2018-11-09 Virtual Reality Album KR2020005378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093A KR20200053786A (en) 2018-11-09 2018-11-09 Virtual Reality Alb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093A KR20200053786A (en) 2018-11-09 2018-11-09 Virtual Reality Albu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786A true KR20200053786A (en) 2020-05-19

Family

ID=70913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7093A KR20200053786A (en) 2018-11-09 2018-11-09 Virtual Reality Albu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378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80542B2 (en) Image panning and zooming effects
CN104956433B (en) Method for the display for controlling portable computing device
US20170337744A1 (en) Media tags - location-anchored digital media for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environments
JP2019521547A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content
Lal Digital design essentials: 100 ways to design better desktop, web, and mobile interfaces
US20180356942A1 (en) METHOD FOR DISPLAYING 360º MEDIA ON BUBBLES INTERFACE
KR102559791B1 (en) Shared three-dimensional user interface with personal space
CN107590771A (en) With the 2D videos for the option of projection viewing in 3d space is modeled
WO2019040539A1 (en) Augmented virtual reality
US9778779B2 (en) Device and method for visual sharing of data
US20140245166A1 (en) Artwork ecosystem
CN107636587B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iewing digital content
Grubert et al. Exploring the design of hybrid interfaces for augmented posters in public spaces
US9489685B2 (en) Visual and spatial controls for privacy settings in a charitable giving application
US20230368331A1 (en) Workplace digital billboard experience
JP7042284B2 (en) Dynamic picture resizing based on user access criteria
KR20200053786A (en) Virtual Reality Album
Raposo et al. Revisiting the city, augmented with digital technologies: the SeeARch tool
US20190288972A1 (en) Reveal posts in a content sharing platform
CN112667942A (en) Animation generation method, device and medium
US201803576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ustomizing photo product designs with minimal and intuitive user inputs
KR101355652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ractive visitors' book
Wang et al. An introductory video generator for disseminating cultural heritage projects
US20240020910A1 (en) Video playing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medium, and program product
Yi et al. SurfaceLens: near-surface spatial interaction with science museum exhibi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